KR102118681B1 - 데크로드시스템 - Google Patents

데크로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681B1
KR102118681B1 KR1020190091957A KR20190091957A KR102118681B1 KR 102118681 B1 KR102118681 B1 KR 102118681B1 KR 1020190091957 A KR1020190091957 A KR 1020190091957A KR 20190091957 A KR20190091957 A KR 20190091957A KR 102118681 B1 KR102118681 B1 KR 102118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deck
fixed
transverse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철환
Original Assignee
임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철환 filed Critical 임철환
Priority to KR1020190091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04H17/1456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the ends of the rails being located in vertical channels extending along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po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77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94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flooring elements
    • E04H2017/1456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로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횡부재와 횡부재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유지부를 지주부에 삽입하여 상하 이동되도록 하고, 그대로 지주부에 적층되어 설치가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며 단가가 절감되고 설치 후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데크플레이트의 연결지점에서 고정클립을 삽입하고 분리하는 작업만으로 데크플레이트와 지지프레임의 고정 및 분리가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데크플레이트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매우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그럼에도 고정클립이 지지프렘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데크로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데크로드시스템{A Deck-road System}
본 발명은 데크로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횡부재와 횡부재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유지부를 지주부에 삽입하여 상하 이동되도록 하고, 그대로 지주부에 적층되어 설치가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며 단가가 절감되고 설치 후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데크플레이트의 연결지점에서 고정클립을 삽입하고 분리하는 작업만으로 데크플레이트와 지지프레임의 고정 및 분리가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데크플레이트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매우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그럼에도 고정클립이 지지프렘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데크로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은 차도, 인도, 교량, 계단 등에 적용되어 보행자의 추락을 방지하거나 차량의 침범을 막는 용도로 사용된다. 종래에는 금속제의 난간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주변환경과 어울리지 못하고 이질감을 주며, 금속이 서로 부딪히는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목재로 이루어진 난간이 인도나 산책로, 공원, 산길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난간은 주로 브라켓이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조립, 설치된다.
아래 특허문헌의 경우에도 별도의 브라켓, 나사결합방식을 이용하여 난간을 제작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경우 설치가 번거롭고 단가가 비싸며 장시간 사용시 브라켓이나 나사에 녹이 발생하여 미관을 해치고 결합력을 약화시켜 하자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828272호(2018.02.06. 등록)"자유로운 데크로드 난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횡부재의 설치가 용이하며 단가가 절감되고 설치 후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크로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삽입본체와 레일부재 사이의 밀착력을 높여 삽입본체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크로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삽입본체가 횡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횡부재의 설치시나 횡부재에 부하가 주어졌을 때 횡부재 및 삽입본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크로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경사진 횡부재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크로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횡부재 사이의 간격조절이 쉽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크로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지지프레임에 고정클립을 삽입 및 분리하는 작업만으로 데크플레이트의 고정 및 해체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그럼에도 고정클립이 지지프레임과 4면에서 밀착되어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데크플레이트가 지지프레임으로부터 들뜨지 않고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크로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에 대한 고정클립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크로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삽입판의 충분한 단면적을 확보하여 데크플레이트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지지프레임에 대한 고정클립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크로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고정클립의 지지프레임에 대한 밀착력을 높이면서도 수직밀착대의 굽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고정클립의 용이한 삽입과 견고한 고정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는 데크로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시스템은 바닥을 형성하는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설치되는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 사이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부재와; 상기 횡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횡부재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횡부재 및 간격유지부는 지주부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는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는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횡부재 및 간격유지부가 삽입·적층되는 레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재는 횡부재가 연결되는 측면에서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개방홈과; 상기 개방홈의 양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인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횡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횡부재를 지지하는 삽입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본체는 상기 인입홈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인입체결부와, 상기 인입체결부로부터 횡부재가 연결되는 개방홈의 개방된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는 삽입본체의 측면에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는 유동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는 삽입본체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횡부재에 밀착되는 탄력밀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는 삽입본체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며, 경사를 갖도록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경사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삽입본체는 복수개로 분할되는 단위삽입체로 형성되어 상기 횡부재의 간격에 따라 횡부재 사이에 삽입·적층되도록 하고, 상기 단위삽입체는 상단 및 하단에 일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홈과, 상기 함입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시스템은 지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데크플레이트를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삽입되는 일면밀착대와; 상기 일면밀착대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면과 수직을 이루는 양 측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수직밀착대와; 상기 수직밀착대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프레임 일면의 반대측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밀착대 각각에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턱과; 상기 수직밀착대의 상단에서 데크플레이트 측으로 돌출되어 데크플레이트에 삽입되는 삽입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턱 사이의 공간으로 지지프레임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데크플레이트가 연결되는 위치에서 신속한 삽입 및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턱은 그 외부면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되는 경사를 가지며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외측라운딩면을 포함하여 지지프레임에 대한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삽입판은 내측면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외측라운딩면과 연결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연장라운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수직밀착대 상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에 밀착되는 밀착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날개는 상시 수직밀착대 상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 지점에서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프레임에 밀착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횡부재와 횡부재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유지부를 지주부에 삽입하여 상하 이동되도록 하고, 그대로 지주부에 적층되어 설치가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며 단가가 절감되고 설치 후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삽입본체의 일측에 탄성을 가진 소재의 유동방지부재가 형성되도록 하여, 삽입본체와 레일부재 사이의 밀착력을 높임으로써, 삽입본체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삽입본체의 상단 또는 하단에 횡부재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탄력밀착부재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횡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횡부재의 설치시나 횡부재에 부하가 주어졌을 때 횡부재 및 삽입본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횡부재가 레일부재에 경사지게 삽입되는 경우 삽입본체와 횡부재 사이에 경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형성되는 경사조절부재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경사진 횡부재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삽입본체를 단위삽입체로 분할하여 형성하도록 하고, 단위삽입체는 체결핀에 의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횡부재 사이의 간격조절이 쉽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의 연결지점에서 고정클립을 삽입하고 분리하는 작업만으로 데크플레이트와 지지프레임의 고정 및 분리가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데크플레이트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매우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고정클립이 지지프레임과 4면에서 밀착되어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데크플레이트가 지지프레임으로부터 들뜨지 않고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정턱의 외부면이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지지프레임에 대한 고정클립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삽입판의 내측면도 하향 경사지게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고정턱의 외부면과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삽입판의 충분한 단면적을 확보하여 데크플레이트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지지프레임에 대한 고정클립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정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날개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지지프레임에 대한 밀착력을 높이면서도 수직밀착대의 굽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고정클립의 용이한 삽입과 견고한 고정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시스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레일부재에 횡부재와 간격유지부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횡부재와 간격유지부의 삽입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유동방지부재 및 탄력밀착부재가 형성된 삽입본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탄력밀착부재의 횡부재에 대한 지지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경사조절부재의 횡부재에 대한 지지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삽입본체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1의 측면도
도 9는 도 1의 고정클립의 사시도
도 10은 지지프레임에 대한 고정클립의 설치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11은 고정클립의 다른 장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고정클립에 의한 데크플레이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13은 고정클립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4는 고정클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데크로드시스템은 데크플레이트(4)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설치되는 지주부(1)와; 상기 지주부(1) 사이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부재(3)와; 상기 횡부재(3) 사이에 삽입되어 횡부재(3)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유지부(2)와; 지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5)과; 상기 지지프레임(5) 상에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데크플레이트(4)와; 상기 데크플레이트(4)를 지지프레임(5)에 고정시키는 고정클립(6)과; 를 포함한다.
상기 데크로드시스템은 지주부(1)에 간격유지부(2)와 횡부재(3)를 삽입하여 상하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손쉬운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간격유지부(2)를 통해 횡부재(3)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간단한 구성만으로 횡부재(3)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데크로드시스템은 제작이 용이하고 단가가 절감되면서도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로드시스템은 고정클립(6)이 지지프레임(5)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면서도 지지프레임(5)의 끝단에서 끼워넣을 필요없이 데크플레이트(4)가 연결되는 위치에서 고정클립(6)을 삽입하여 용이하고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고, 그럼에도 지지프레임(5) 및 데크플레이트(4)에 대한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시스템은 횡부재(3) 및 데크플레이트(4)의 설치가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견고한 결합 또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도 1의 A,B,C,D,E,F 방향을 각각 상하좌우전후 방향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지주부(1)는 바닥과 수평으로 형성되는 데크플레이트(4) 상에 수직으로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지주부(1) 사이에 횡부재(3)가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지주부(1)는 횡부재(3)의 설치 및 간격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간단한 구성만으로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둥부재(11), 레일부재(12), 상부덮개(23), 하부하우징(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둥부재(11)는 데크플레이트(4) 상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는 레일부재(12)가 형성되어 횡부재(3) 및 간격유지부(2)의 상하 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레일부재(12)는 기둥부재(11)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어 횡부재(3) 및 간격유지부(2)의 상하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횡부재(3) 및 간격유지부(2)의 삽입·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레일부재(12)는 횡부재(3)가 결합되는 일측으로 개방되는 개방홈(121)과, 개방홈(121)에서 좌우측으로 다시 함입되는 인입홈(122)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방홈(121) 및 인입홈(122)은 상측으로 개방된 형태를 갖도록 하여 상측에서 횡부재(3) 및 간격유지부(2)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개방되는 상단은 상부덮개(23)에 의해 차단된다.
상기 개방홈(121)은 횡부재가 결합되는 측으로 개방되어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개방홈(121)을 통해 횡부재(3)의 삽입 및 상하 방향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간격유지부(2)의 후술할 돌출지지부(211)도 삽입되어 이동한다. 또한, 상기 개방홈(121)의 좌우측으로는 인입홈(122)이 합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인입홈(122)은 개방홈(121)의 양측으로 인입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간격유지부(2)의 후술할 인입체결부(212)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간격유지부(2)의 삽입본체(21)는 개방홈(121) 및 인입홈(122)에 삽입된 상태로 레일부재(12)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레일부재(12)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횡부재(3)와의 적층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레일부재(12)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여 횡부재(3) 사이의 간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부덮개(23)는 상기 기둥부재(11) 및 레일부재(12)의 상단에 결합하여 차단하는 구성으로, 횡부재(3) 및 간격유지부(2)의 이탈을 방지하며, 레일부재(12) 및 기둥부재(11) 내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하우징(24)은 기둥부재(11) 및 레일부재(12)의 하단 주위를 둘러싸도록 결합하는 구성으로, 기둥부재(11), 레일부재(12)와 데크플레이트(4)의 사이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기둥부재(11) 및 레일부재(12)의 견고한 고정 또한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간격유지부(2)는 횡부재(3) 사이에 삽입되어 횡부재(3) 사이의 간격이 일정 간격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레일부재(12)의 개방홈(121) 및 인입홈(122)을 통해 삽입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2)는 레일부재(12)에 대한 밀착력을 높여 삽입 후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횡부재(3)에 대한 안정적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횡부재(3)가 경사져 연결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간격유지부(2)는 삽입본체(21), 유동방지부재(22), 탄력밀착부재(23), 경사조절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본체(21)는 레일부재(12)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횡부재(3) 사이에 적층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횡부재(3)와 밀착되어 횡부재(3)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삽입본체(21)는 횡부재(3)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와 레일부재(12)를 따른 안정적인 이동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돌출지지부(211) 및 인입체결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지지부(211)는 상기 개방홈(121)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구성으로, 인입체결부(212)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삽입본체(21)가 횡부재(3)를 지지하는 면적을 넓혀 레일부재(12)에 삽입되는 횡부재(3)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입체결부(212)는 돌출지지부(211)에서 양측으로 수직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인입홈(122)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인입체결부(212)는 삽입본체(21)가 레일부재(12)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횡부재(3)의 지지 후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동방지부재(22)는 상기 삽입본체(21)의 양측면에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어 레일부재(12)와의 마찰력을 높이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홈(122)의 내측면과 마찰력을 높이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유동방지부재(22)는 레일부재(12) 내에 삽입되어 횡부재(3) 사이에 적층된 상태에서 흔들림 없이 레일부재(12)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더욱 안정적인 횡부재(3)의 고정과 간격유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탄력밀착부재(23)는 삽입본체(21) 상단 및/또는 하단에 형성되어 횡부재(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력밀착부재(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부재(3)를 탄력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압착되므로 횡부재(3)가 흔들리거나 미끄러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경사조절부재(24)는 삽입본체(21)의 상단 및 하단에 일정 부피를 가진 형태로 삽입되며, 압력에 의해 형태가 변하는 고무, 우레탄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부재(3)가 경사진 상태로 삽입되는 경우, 횡부재(3)가 삽입되는 각도에 따라 경사조절부재(24)가 경사진 상태로 변형되도록 하고, 횡부재(3)와 삽입본체(21) 사이에서 변형된 상태로 압착되도록 하여 경사진 횡부재(3)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경사조절부재(24)는 횡부재(3)가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삽입본체(2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삽입체(21a)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개수의 단위삽입체(21a)를 삽입하여 횡부재(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삽입체(21a)는 체결핀(21a-1)에 의한 결합에 의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단위삽입체(21a)의 상단 및 하단으로 체결핀(21a-1)이 삽입되는 함입홈(21a-2)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위삽입체(21a)는 레일부재(12) 내에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원하는 횡부재(3) 사이의 간격에 따라 적절한 개수의 단위삽입체(21a)를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손쉬운 횡부재(3) 사이의 간격조절과 설치가 가능해진다.
상기 횡부재(3)는 상기 지주부(1) 사이에 결합되어 난간이나 울타리, 가림막 등의 기능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횡부재(3)는 일정 너비와 길이를 가진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본체(21)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데크플레이트(4)는 지면과 수평으로 형성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합성목재, 천연목재 등 다양한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플레이트(4)는 확장형 인도교를 구성하는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데크플레이트(4)는 지지프레임(5) 상에 복수개가 연결되어 바닥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클립(6)에 의해 지지프레임(5)에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데크플레이트(4) 상에는 삽입홈(41)이 형성되어 고정클립(6)의 후술할 삽입판(64)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데크플레이트(4)는 고정클립(6) 특유의 구조에 의해 지지프레임(5)으로부터 들뜨지 않고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며, 이를 통해 구조적인 안정성의 유지와 함께 소음, 파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5)은 지면에 고정되어 데크플레이트(4)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고정클립(6)에 의해 데크플레이트(4)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5)은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클립(6)이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데크플레이트(4)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5)은 데크플레이트(4)가 연결되는 위치에서 고정클립(6)의 삽입이 이루어져 고정되므로, 지지프레임(5)이 아무리 긴 길이로 형성되더라도 지지프레임(5)의 끝단에서부터 끼워넣을 필요없이 간단하고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고정클립(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5) 상에 복수의 데크플레이트(4)를 연결하여 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지지프레임(5)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면서도 지지프레임(5)의 끝단에서 끼워넣을 필요없이 데크플레이트(4)가 연결되는 위치에서 고정클립(6)을 삽입하여 용이하고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고, 그럼에도 지지프레임(5) 및 데크플레이트(4)에 대한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클립(6)은 지지프레임(5)의 어느 방향에서나 지지프레임(5)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어 다양한 형태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클립(6)은 탄력성을 가진 플라스틱, 금속제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장시간 사용에도 탄력성을 유지하고 복원력 또한 우수한 나일론 소재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지프레임(5)에 대한 용이한 삽입과 안정적인 고정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클립(6)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5)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삽입되는 일면밀착대(61)와; 상기 일면밀착대(61)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며, 지지프레임(5)의 일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지프레임(5)의 양 측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수직밀착대(62)와; 상기 수직밀착대(62)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며, 지지프레임(5) 일면의 반대측 외부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턱(63)과; 상기 수직밀착대(62)의 상단에서 데크플레이트(4) 측으로 돌출되어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삽입판(64)과; 상기 수직밀착대(62) 상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5)에 밀착되는 밀착날개(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면밀착대(61)는 지지프레임(5)의 일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5)의 바닥측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일면밀착대(61)의 양측 끝단에는 수직으로 돌출되는 수직밀착대(62)가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프레임(5)의 양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직밀착대(62)는 일면밀착대(61)의 양 끝단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지지프레임(5)의 양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특히, 상기 수직밀착대(6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5)에 대해 벌려지면서 삽입되며, 지지프레임(5)이 고정클립(6) 내에 삽입된 후에는 지지프레임(5)의 양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수직밀착대(6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일론 소재 플라스틱 등의 장시간 사용에도 복원력을 유지하는 소재로 형성되므로 설치시에는 휘어져 지지프레임(5)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설치 후에는 우수한 복원력에 의해 지지프레임(5)에 밀착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직밀착대(62)의 상단에는 고정턱(63)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지지프레임(5)의 상면에 밀착·고정되도록 하고, 상단 및 하단에는 삽입판(64)이 전후측으로 돌출되어 데크플레이트(4)의 삽입홈(41)에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직밀착대(62) 상에는 밀착날개(65)가 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지지프레임(5)에 대한 밀착력을 높이고 고정클립(6)의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수직밀착대(62)는 그 강도를 높이고 지지프레임(5)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하 끝단에 확장단(62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확장단(621)은 수직밀착대(62)의 상하단 측에 형성되어 상하 끝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고정턱(63)과 일면밀착대(61)가 형성되는 지점에서부터 상하 끝단측으로 갈수록 수직밀착대(62)의 좌우 방향의 너비가 커지도록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확장단(621)은 고정클립(6)이 지지프레임(5)과 밀착되는 4 모서리 지점에서 고정클립(6)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하여, 고정클립(6)의 설치 및 분리시 휨이 발생하더라도 고정클립(6)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지지프레임(5)에 대한 밀착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정클립(6)의 파손 또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턱(63)은 상기 수직밀착대(62)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지지프레임(5)의 상면에 밀착·고정되는 구성으로, 한 쌍의 수직밀착대(62)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마주보는 한 쌍의 고정턱(63)은 일정 간격 이격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그 사이로 지지프레임(5)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클립(6)은 지지프레임(5)의 어느 위치에서나 데크플레이트(4)의 연결을 위해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턱(63)은 지지프레임(5)에 대한 용이한 삽입과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라운딩면(631)과 내측경사면(632)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측라운딩면(631)은 고정턱(63)의 외부면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라운드지게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5)에 고정클립(6)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외측라운딩면(631)이 지지프레임(5)과 접촉되면서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6)이 지지프레임(5)을 둘러싸 밀착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외측라운딩면(631)은 지지프레임(5)에 대한 고정클립(6)의 삽입이 큰 힘을 들이지 않으면서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지지프레임(5)과의 접촉에 의한 고정클립(6)의 손상 또한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내측경사면(632)은 고정턱(63)의 하부면, 즉 지지프레임(5)과 맞닿는 측의 면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지지프레임(5)과의 밀착시 고정턱(63)의 끝단이 지지프레임(5)에 강하게 압착된 상태를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내측경사면(632)은 지지프레임(5)에 대한 고정턱(63)의 결합력을 높여 고정클립(6)이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클립(6)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턱(63)이 지지프레임(5)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결합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기 내측경사면(632)에 의해 지지프레임(5)을 받치는 힘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고정클립(6)의 장시간 사용에도 고정턱(63)이 벌어져 지지프레임(5)으로부터 이탈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삽입판(64)은 상기 수직밀착대(62)의 상단 및/또는 하단에서 플레이트 측, 즉 전후측으로 돌출되어 데크플레이트(4)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4)의 삽입홈(41)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삽입판(64)은 수직밀착대(62)의 상단뿐만 아니라 하단에도 형성되도록 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6)의 설치 방향을 바꾸더라도 데크플레이트(4)의 삽입과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삽입판(64)은 수직밀착대(62)의 전후 방향 폭보다 더 큰 폭으로 형성되어 수직밀착대(62)의 전후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데크플레이트(4)의 삽입홈(41)에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데크플레이트(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5)으로부터 들뜨지 않고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종래 고정클립(10)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20)와 지지프레임(30) 사이(G)가 들뜬 상태로 고정되어 데크플레이트(20)가 굽거나 파손되며 소음이 발생하고, 그 결합력도 좋지 못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삽입판(64)은 수직밀착대(62)보다 더욱 전후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4)가 지지프레임(5)으로부터 들뜨지 않고 밀착된 상태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이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밀착날개(65)도 고정턱(63)의 하측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지지프레임(5)에 대한 데크플레이트(4)의 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삽입판(64)은 그 내측면에 상기 외측라운딩면(631)과 연결되는 연장라운딩면(641)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연장라운딩면(641)은 상기 삽입판(64)의 내측면에서 라운드지게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외측라운딩면(631)과 연결되어 매끈한 연장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수직밀착대(62)의 상단에 형성되는 삽입판(64)이 고정턱(63)의 내측 끝단까지 충분한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그럼에도 지지프레임(5)에 대한 고정클립(6)의 삽입시 삽입판(64)이 지지프레임(5)에 걸리는 문제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클립(6)의 삽입시 외측라운딩면(631) 및 연장라운딩면(641)을 따라 지지프레임(5)에 대해 미끄러지며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삽입판(64)이 고정턱(63)보다 더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절곡되도록 형성될 경우 고정클립(6)의 삽입시 삽입판(64)이 지지프레임(5)에 걸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삽입판(64)을 너무 짧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데크플레이트(4)에 대한 충분한 고정력을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클립(6)은 연장라운딩면(641)을 통해 삽입판(64)의 충분한 너비를 확보하여 데크플레이트(4)에 대한 최대의 고정력을 제공하면서 고정클립(6)의 삽입도 손상없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밀착날개(65)는 상기 수직밀착대(62) 상에 고정되어 지지프레임(5)에 밀착되는 구성으로, 지지프레임(5)에 대한 수직밀착대(62)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밀착날개(65)는 수직밀착대(62) 상에 고정되는 고정부(651)와 수직밀착대(62)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날개부(652)를 별도로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지지프레임(5)에 대한 접촉면적을 넓히면서도 수직밀착대(62)의 굽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날개부(652)를 통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밀착날개(65)는 지지프레임(5)과 접촉되는 부분에 마찰력을 높이는 밀착부재(653)가 추가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밀착부재(653) 상에는 밀착돌기(654)가 형성되어 마찰력을 극대화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651)는 수직밀착대(62) 상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수직밀착대(62)에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밀착대(62)와 일체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651)는 지지프레임(5)과 밀착되는 면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5)에 밀착되도록 하며, 일 지점, 바람직하게는 일정 간격 이격된 상하 끝단에 날개부(652)가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651)는 최대한 수직밀착대(62)에 가까운 폭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수직밀착대(62)의 굽힘 성능을 유지하고 다양한 형태로의 활용시 손쉬운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날개부(652)는 고정부(651)의 일 지점에서 전후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고정부(651)의 상단 및 하단에서 한 쌍이 돌출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는 형태를 갖도록 한다. 상기 날개부(652)는 수직밀착대(62)가 지지프레임(5)과 접촉되는 면적을 넓혀 지지프레임(5)에 대한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652)는 일정 간격 이격된 형태가 되도록 하여 지지프레임(5)에 대한 접촉면적을 넓히면서도 수직밀착대(62)의 굽힘 성능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수직밀착대(62) 전체를 넓은 판의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수직밀착대(62)의 굽힘 성능이 현저하게 줄어 지지프레임(5)에 대한 삽입과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없으며, 수직밀착대(62)의 절단로 쉽게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날개부(652)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하여 지지프레임(5)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면서도 날개부(652) 사이의 폭이 좁은 고정부(651)을 통해 굽힘 성능을 유지하고 절단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정클립(6)의 용이한 삽입과 견고한 고정, 그리고 다양한 활용이 모두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652)를 통해 고정클립(6)의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5)의 하부에는 멍에(M)와 같은 구성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데크플레이트(4)의 연결지점에 멍에(M)가 설치되는 지점과 겹치게 되는 경우 고정클립(6)을 지지프레임(5)에 제대로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뿐만 아니라 지지프레임(5) 및 데크플레이트(4)의 설치 형태 및 위치에 따라 고정클립(6)이 지지프레임(5) 전체를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별도의 클립을 제작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그 과정이 번거롭고 추가 비용 및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클립(6)은 추가적으로 지지프레임(5)에 밀착되는 날개부(652)를 형성하도록 하면서, 날개부(652) 사이의 고정부(651)는 수직밀착대(62)에 최대한 가까운 폭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날개부(652) 사이를 절단하여 날개부(652)에 스크류를 삽입시킴으로써 고정클립(6)을 지지프레임(5)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클립(6)은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또는 양측의 날개부(652) 사이, 또는 일면밀착대(61) 상을 절단선(L)을 따라 절단하도록 할 수 있고, 날개부(652)에 스크류(미도시) 등을 삽입하여 지지프레임(5)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주변 환경에 따라 고정클립(6) 전체를 지지프레임(5)에 고정시킬 수 없는 경우에도 별도의 클립을 제작할 필요없이 고정클립(6)을 다양한 형태로 간단하게 절단하여 지지프레임(5)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밀착부재(653)는 밀착날개(65) 상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5)과의 밀착력을 높이는 구성으로,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착부재(653)는 지지프레임(5)에 대한 고정클립(6)의 고정력을 높이면서도 굽힘 성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밀착부재(653)의 형성에도 고정클립(6)의 설치 및 분리가 여전히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밀착돌기(654)는 밀착부재(653)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지지프레임(5)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밀착부재(653)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5)에 대한 밀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지주부
11: 기둥부재 12: 레일부재 121: 개방홈
122: 인입홈 13: 상부덮개 14: 하부하우징
2: 간격유지부
21: 삽입본체 211: 돌출지지부 212: 인입체결부
21a: 단위삽입체 21a-1: 체결핀 21a-2: 함입홈
22: 유동방지부재 23: 탄력밀착부재 24: 경사조절부재
3: 횡부재 4: 데크플레이트 5: 지지프레임
6: 고정클립
61: 일면밀착대 62: 수직밀착대 621: 확장단
63: 고정턱 631: 외측라운딩면 632: 내측경사면
64: 삽입판 641: 연장라운딩명 65: 밀착날개
651: 고정부 652: 날개부 653: 밀착부재 654: 밀착돌기

Claims (10)

  1. 바닥을 형성하는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설치되는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 사이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부재와; 상기 횡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횡부재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유지부와; 지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데크플레이트를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횡부재 및 간격유지부는 지주부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삽입되는 일면밀착대와;
    상기 일면밀착대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면과 수직을 이루는 양 측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수직밀착대와;
    상기 수직밀착대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지지프레임 일면의 반대측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밀착대 각각에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턱과;
    상기 수직밀착대의 상단에서 데크플레이트 측으로 돌출되어 데크플레이트에 삽입되는 삽입판;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판은,
    상기 수직밀착대의 하단에도 데크플레이트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는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는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횡부재 및 간격유지부가 삽입·적층되는 레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재는,
    횡부재가 연결되는 측면에서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개방홈과; 상기 개방홈의 양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인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횡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횡부재를 지지하는 삽입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본체는,
    상기 인입홈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인입체결부와, 상기 인입체결부로부터 횡부재가 연결되는 개방홈의 개방된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는
    삽입본체의 측면에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는 유동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는
    삽입본체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횡부재에 밀착되는 탄력밀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는
    삽입본체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며, 경사를 갖도록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경사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본체는
    복수개로 분할되는 단위삽입체로 형성되어 상기 횡부재의 간격에 따라 횡부재 사이에 삽입·적층되도록 하며,
    상기 단위삽입체는,
    상단 및 하단에 일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홈과, 상기 함입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시스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턱은
    그 외부면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되는 경사를 가지며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외측라운딩면을 포함하여 지지프레임에 대한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판은
    내측면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외측라운딩면과 연결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연장라운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수직밀착대 상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에 밀착되는 밀착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날개는,
    상시 수직밀착대 상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 지점에서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지지프레임에 밀착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시스템.
KR1020190091957A 2019-07-29 2019-07-29 데크로드시스템 KR102118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957A KR102118681B1 (ko) 2019-07-29 2019-07-29 데크로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957A KR102118681B1 (ko) 2019-07-29 2019-07-29 데크로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681B1 true KR102118681B1 (ko) 2020-06-03

Family

ID=7108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957A KR102118681B1 (ko) 2019-07-29 2019-07-29 데크로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6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406B1 (ko) * 2021-03-31 2022-02-08 양우임 시공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펜스
KR102433484B1 (ko) * 2022-04-18 2022-08-18 최혁 스프링클립을 적용한 데크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837A (ko) * 2011-06-16 2011-07-04 김성국 울타리용 연결 브라켓의 각도조절 및 완충장치
KR101498268B1 (ko) * 2014-11-03 2015-03-05 임철환 친환경 합성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울타리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시스템
KR101852360B1 (ko) * 2017-06-26 2018-04-30 (주)젠텍 설치시공이 용이한 데크로드 시스템
KR101920180B1 (ko) * 2018-04-25 2018-11-19 황재순 데크 결합용 클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837A (ko) * 2011-06-16 2011-07-04 김성국 울타리용 연결 브라켓의 각도조절 및 완충장치
KR101498268B1 (ko) * 2014-11-03 2015-03-05 임철환 친환경 합성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울타리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시스템
KR101852360B1 (ko) * 2017-06-26 2018-04-30 (주)젠텍 설치시공이 용이한 데크로드 시스템
KR101920180B1 (ko) * 2018-04-25 2018-11-19 황재순 데크 결합용 클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406B1 (ko) * 2021-03-31 2022-02-08 양우임 시공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펜스
KR102433484B1 (ko) * 2022-04-18 2022-08-18 최혁 스프링클립을 적용한 데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852B1 (ko) 플레이트 연결용 고정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데크로드시스템
US7730677B2 (en) Barrier system
KR102118681B1 (ko) 데크로드시스템
US8944414B2 (en) Component railing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8776477B2 (en) Architectural alignment system
US11021868B2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KR101769884B1 (ko) 목재용 데크의 연결조립체
KR102153885B1 (ko) 경제성과 내진성을 향상시킨 천장 구조 시스템
KR101683268B1 (ko) 탄성지지체를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US202400935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cking tiles
US20110260129A1 (en) Panel clamps for fences and barriers
US7407152B2 (en) Fencing system and post insert for use therewith
KR101362809B1 (ko) 곡선부의 적용이 가능한 데크조립체
US7168688B2 (en) Privacy fence
KR102122981B1 (ko)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KR102256356B1 (ko) 데크조립체
CN110670784A (zh) 稳装型吊顶结构
KR102038801B1 (ko) 퀵 클립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재 어셈블리
US11746533B2 (en) Step clip fastening system and method
KR101773040B1 (ko) 목재데크 상판 연결용 클립 브라켓
KR101711553B1 (ko) 칸막이 판넬용 높이 조절장치
US20220290437A1 (en) Bracket for stair railings
KR200419486Y1 (ko)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US7207427B2 (en) Base for a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KR20230060117A (ko) 시공이 용이하고 미끄럼방지 기능을 구비한 금속데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