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291B1 - Retaining wall structure - Google Patents
Retaining wall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8291B1 KR102118291B1 KR1020190123540A KR20190123540A KR102118291B1 KR 102118291 B1 KR102118291 B1 KR 102118291B1 KR 1020190123540 A KR1020190123540 A KR 1020190123540A KR 20190123540 A KR20190123540 A KR 20190123540A KR 102118291 B1 KR102118291 B1 KR 1021182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fastening
- retaining wall
- circumferential surface
- threa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록과 배면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재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the stiffener installed between the block and the back surface can be easily and quickly fixed.
옹벽 구조물은 도로나 주택을 건설할 때, 후방에 존재하는 절토사면 또는 건물(이하 배면)이 무너지거나 기울지 않게 유지하도록 도모하면서 전방에 쌓인 블록이 침하되거나 이탈되지 않게 축조되어야 한다.The retaining wall structure should be constructed so that the blocks accumulated in the front are not settled or deviated while attempting to keep the cut slope or building (the back) existing at the rear from collapsing or tilting when constructing roads or houses.
이를 위해, 최근의 옹벽 구조물은 보강토 공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보강토 공법은 전방의 블록과 후방의 배면 사이에 보강재를 흙속에 포설하거나 삽입하여 지반을 보강함과 동시에 블록, 흙 및 배면 전체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안정성을 높히는 공법이다.To this end, the recent retaining wall structure uses a reinforced soil construction method, which reinforces the ground by placing or inserting a reinforcement material between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rear surface in the soil, and at the same time strengthening the strength of the entire block, soil and rear surface. It is a method of increasing and increasing stability.
이러한 옹벽 구조물에 사용되는 보강재로는 와이어와 같은 금속성 보강재와 지오그리드와 같은 비금속성 섬유보강재로 크게 대별될 수 있다.Reinforcing materials used in such retaining wall structures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metallic reinforcement materials such as wire and non-metallic fiber reinforcement materials such as geogri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15718호(발명의 명칭: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은 보강재로서 비금속성 보강재인 지오그리드를 사용하고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15718 (invention name: an ecological retaining wall block incorporating a geogrid) is a non-metallic reinforcement geogrid as a reinforcing material.
그러나, 비금속성 보강재인 지오그리드에 관련된 종래 기술은 배면에 돌출된 벽체나 구조물이 전부 또는 일부에 존재하는 경우에 지오그리드 설치에 문제가 있다.However,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non-metallic reinforcement geogrid has a problem in installing the geogrid when a wall or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is present in all or part.
예를 들어, 전방의 블럭과 배면 사이의 길이가 5m인 경우 지오그리드의 길이는 이에 맞게 제작되어 현장에서 설치되는데, 배면 일부에 벽체 또는 구조물이 배치되어 블럭과 벽체 사이의 길이가 짧아지는 경우 이미 재단된 지오그리드를 설치하기가 까다로운 문제가 있으며, 현장에서 재단시 공기가 길어지고 이에 따른 시공비가 전체적으로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For example, if the length between the front block and the back side is 5m, the length of the geogrid is manufactured accordingly and installed in the field.If a wall or structure is disposed on a part of the back side, the length between the block and the wall is already c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old geogri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ir lengthens when cutting at the site and the construction cost increases overall.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2527호(발명의 명칭: 강연선 지중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는 보강재로서 금속성 보강재인 와이어를 사용하고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072527 (invention name: steel retaining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underground anchors) is used as a metal reinforcement wire as a reinforcing material.
이러한 와이어 보강재는 전방의 블록 및 후방의 배면과의 연결이 복잡하고 재료비가 많이 들어 전체적인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이 높은 문제가 있다.Such a wire reinforcement has a problem in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ack is complicated and the material cost is high, so the overall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 are hig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견고한 인장력을 구비함과 동시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블럭과 배면 사이에 와이어를 배치할 수 있는 옹벽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taining wall structure capable of quickly and easily disposing a wire between a block and a back surface while having a solid tensile for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블록이 일렬로 배치되어 여러 층의 높이로 적층됨으로써 형성된 옹벽과 상기 옹벽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배면 사이에 시공되는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옹벽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블록 사이에 배치되거나 복수 개의 블록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와이어; 상기 제1 와이어에 체결되는 제1 체결유닛; 배면에 고정되는 앙카볼트; 상기 앙카볼트에 체결되는 제2 체결유닛; 및 일단이 상기 제1 체결유닛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체결유닛에 체결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는 옹벽 구조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taining wall structure constructed between a retaining wall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blocks in a row and stacked at a height of several layers, and a rear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retaining wall by at least one of the retaining walls. A first wire disposed between a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layer or spaced apart from the plurality of block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first fastening unit fastened to the first wire; An anchor bolt fixed to the back surface; A second fastening unit fastened to the anchor bolt; And a second wire having one end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unit and the other end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unit.
또한, 상기 제1 체결유닛은 일측면과 인접한 외주면에 상기 제1 와이어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과, 타측면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제1 체결홈과, 상기 제1 체결홈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을 포함하는 제1 체결부재; 일측면과 인접한 외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과 치합되도록 형성된 제2 나사산과, 상기 제2 와이어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타측면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제1 수용홈을 포함하는 제2 체결부재; 및 상기 제1 수용홈의 내주면과 상기 제2 와이어 일단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와이어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 수용홈에 수용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astening unit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and the first fastening groove formed by being recessed on the other side, and the through-hole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wir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djacent to one side surface. A first fastening member comprising a first thread; A second fastening member including a second screw thread formed to mesh with the first screw threa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djacent to one side surface, and a first receiving groove formed recessed on the other side so that one end of the second wire is accommodated; And a bind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second wire to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to fix the second wire.
또한, 상기 결속부재는 길이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절단 했을 때의 절단면이 타원형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inding member may be formed to have an oval cut surface when c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결속부재는 장축을 기준으로 절단된 제1 반원통; 및 상기 제1 반원통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반원통;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inding member is a first semi-cylindrical cut based on the long axis; And a second semi-cylinder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mi-cylinder.
또한, 상기 결속부재의 외주면에는 제1 요철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제2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uneven portion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inding member, and a second uneven portion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또한,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제2 와이어의 일측과 상기 결속부재가 상기 제1 수용홈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2 체결부재와 체결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wire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member by press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when one side of the second wire and the binding member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또한, 상기 제2 체결유닛은 타측면에 형성된 제2 체결홈과, 상기 앙카볼트의 제3 나사산과 치합되도록 상기 제2 체결홈에 형성되는 제4 나사산과, 일측면과 인접한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5 나사산과,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2 수용홈을 포함하는 제3 체결부재; 일측면으로부터 형성된 제1 수용홀과, 상기 제1 수용홀로부터 연장되어 타측면으로 관통되는 제2 수용홀과, 상기 제5 나사산과 치합되도록 상기 제2수용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6 나사산을 포함하는 제4 체결부재; 상기 제1 수용홀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제2 와이어의 타측을 클램핑하는 콜렛; 및 일단이 상기 콜렛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수용홈에 수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fastening unit is a second fastening groove formed on the other side, a fourth screw thread formed in the second fastening groove so as to mesh with the third screw thread of the anchor bolt, and a first outer peripheral surface adjacent to one side 5 A third fastening member including a thread and a second receiv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It includes a first receiving hole formed from one side, a second receiving hole extending from the first receiving hole and penetrating to the other side, and a sixth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eceiving hole to mesh with the fifth thread. A fourth fastening member; A collet movably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hole and clamping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wire; And an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disposed on the collet and the other end accommodated 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또한, 상기 제1 수용홈은 상기 제2 수용홈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콜렛은 상기 제1 수용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arger diameter towar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and the collet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ceiving groove.
또한, 상기 콜렛의 내주면에는 제3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ird uneven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llet.
또한, 상기 콜렛과 탄성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washer disposed between the collet and the elastic member.
본 발명은 제1 체결유닛에 의해 와이어의 일단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배면과의 거리에 맞게 유동적으로 와이어의 타단을 절단하여 제2 체결유닛에 삽입함으로써 신속하고 견고하게 금속성 보강재인 와이어를 옹벽과 배면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wire can be firmly fixed by the first fastening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fluidly cut into the second fastening unit to fit the distance to the rear surface, and the metal reinforcement wire is rapidly and firmly inserted. It can be plac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and the back.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체결유닛 및/또는 제2 체결유닛 자체의 길이를 소정 길이만큼 신축시킬 수 있으므로, 옹벽 구조물의 전체적인 강도를 증가시키고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end the length of the first fastening unit and/or the second fastening unit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reby increasing the overall strength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further improving st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에서 블록에 배치된 제1 와이어, 제1 체결유닛 및 제2 와이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체결유닛 및 제2 와이어 일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에서 배면에 배치된 앙카볼트, 제2 체결유닛 및 제2 와이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체결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체결유닛의 측단면도.1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first wire, the first fastening unit and the second wire disposed in the block in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first fastening unit and the second wire illustrated in FIG. 2.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5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anchor bolt, the second fastening unit and the second wi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5;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faste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faste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Unless otherwise specified, all terms in this specification are identical to the general meanings of terms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f the terms used herein conflict with the general meanings of the terms, the definition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used.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owever,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only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블록(11)이 일렬로 배치되어 여러 층의 높이로 적층됨으로써 형성된 옹벽(10)과 상기 옹벽(10)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배면(40) 사이에 시공되는 옹벽 구조물(100)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상기 블록(11)은 옹벽(10)을 형성하도록 옹벽 구조물(100)의 전방에 다수 개가 적층될 수 있다. 일단, 상기 블록(11)을 쌓기 위해, 시공 현장에서는 지면(20)을 다져 평탄화를 도모하거나, 콘크리트 작업을 통해 지면(20)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A plurality of
상기 블록(11)은 일렬로 배치되어 여러 층의 높이로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블록(11)의 층간과 배면(40) 사이에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100)이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이러한 옹벽 구조물(100)은 상기 옹벽(10)과 배면(40) 사이에 충진될 수 있는 보강토(30)와 상호작용을 유발하여 옹벽 구조물(100) 전체의 강도 및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상기 보강토(30)는 상기 옹벽(10)과 배면(40)의 사이에 채워지며, 구체적으로, 상기 블록(11)에 인접하여 채워지는 골재(31)와, 상기 골재(31)와 배면(40) 사이에 채워지는 뒷채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inforcing
상기 골재(31)는 모래 또는 자갈과 같은 투수성이 우수한 배수재로써 옹벽 구조물(100)의 전방에 채워지며, 상기 뒷채움재(32)는 투수성이 양호한 사질토로써 옹벽 구조물(100)의 후방에 채워질 수 있다.The
상기 배면(40)은 절토사면(41) 또는 건축물(42)로 정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100)이 상술한 옹벽(10)과 배면(40) 사이에 견고하고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는 바,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에서 블록에 배치된 제1 와이어, 제1 체결유닛 및 제2 와이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체결유닛 및 제2 와이어 일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에서 배면에 배치된 앙카볼트, 제2 체결유닛 및 제2 와이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체결유닛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체결유닛의 측단면도이다.Figure 2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first wire, the first fastening unit and the second wire disposed in the block in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the first fastening unit and the first fastening unit shown in Figure 2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wire,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anchor bolt, the second fastening unit and the second wi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5,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faste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faste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100)은 옹벽 구조물(100)은 각 층의 블록(11) 사이마다, 또는 소정 간격의 블록(11) 층 사이마다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와이어(110), 제1 체결유닛(120), 앙카볼트(130), 제2 체결유닛(140) 및 제2 와이어(15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8, the
상기 제1 와이어(110)는 옹벽(10)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블록(11) 사이에 배치되거나 복수 개의 블록(11)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와이어(110)는 상기 블록(11)에 별도로 배치되는 고정부재(50)의 자유단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상기 제1 체결유닛(120)은 후술할 제2 와이어(150)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와이어(110)에 체결될 수 있으며, 제1 체결부재(121), 제2 체결부재(122) 및 결속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1 체결부재(121)는 일측면과 인접한 외주면에 상기 제1 와이어(110)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121a)과, 타측면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제1 체결홈(121b)과, 상기 제1 체결홈(121b)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121c)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2 체결부재(122)는 일측면과 인접한 외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121c)과 치합되도록 형성된 제2 나사산(122a)과, 상기 제2 와이어(150)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타측면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제1 수용홈(122b)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결속부재(123)는 상기 제1 수용홈(122b)의 내주면과 상기 제2 와이어(150) 일단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와이어(150)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 수용홈(122b)에 수용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결속부재(123)는 길이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절단면이 타원형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경우, 절단면이 타원형 형상을 갖는 상기 결속부재(123)의 단축은 상기 제2 와이어(150)의 지름과 대응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장축은 상기 제1 수용홈(122b)의 내경과 대응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short axis of the
또한, 상기 결속부재(123)는 장축을 기준으로 절단된 제1 반원통(123a)과, 상기 제1 반원통(123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반원통(123b)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inding
후술할 제2 와이어(150)를 상기 제1 수용홈(122b)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상기 결속부재(123)의 외주면에는 제1 요철부(123c)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제2 요철부(123d)가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securely fix the
예를 들어,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요철부(123c)는 상기 결속부재(123) 외주면 상에 교차된 격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요철부(123d)는 상기 결속부재(123) 내주면 상에 나사산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제1 요철부(123c) 및/또는 제2 요철부(123d)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the first concavo-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제1 체결유닛(120)은 상기 제2 와이어(150)를 결속하는 부재들보다 비교적 적은 구성요소를 가지고 소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제품 가격면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으며, 더욱 더 큰 인장 응력에 견딜 수 있는 체결력을 가질 수 있다.The
이러한 제1 체결유닛(120)의 구조 하에서, 상기 제2 와이어(150)는 상기 제2 와이어(150)의 일측과 상기 결속부재(123)가 상기 제1 수용홈(122b)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제2 체결부재(122)의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2 체결부재(122)와 체결될 수 있다.Under the structure of the
즉, 상기 제1 수용홈(122b)에 결속부재(123)를 배치하고 상기 제2 와이어(150)의 일단을 상기 제1 수용홈(122b)에 삽입한 후, 별도의 장치로써 상기 제2 체결부재(122)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변형시키면 상기 제2 와이어(150)의 일단은 견고하게 상기 제1 체결유닛(120)과 체결될 수 있다.That is, after placing the binding
또한, 상기 제1 체결부재(121)의 제1 나사산(121c)과 상기 제2 체결부재(122)의 제2 나사산(122a)의 정, 역 방향 회전으로써 상기 제2 와이어(150)의 장력 조절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nsion of the
상기 앙카볼트(130)는 배면(40)에 고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배면(40)으로 정의되는 절토사면(41) 또는 건축물(42)에 구멍을 뚫고, 상기 앙카볼트(130)와 구멍 사이를 실리콘, 콘크리트 등을 충진하여 배면(40)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상기 제2 체결유닛(140)은 상기 제2 와이어(150)의 타단을 체결하기 위해, 상기 앙카볼트(130)에 체결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제2 체결유닛(140)은 제3 체결부재(141), 제4 체결부재(142), 콜렛(143) 및 탄성부재(144)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상기 제3 체결부재(141)는 타측면에 형성된 제2 체결홈(141a)과, 상기 앙카볼트(130)의 제3 나사산(131)과 치합되도록 상기 제2 체결홈(141a)에 형성되는 제4 나사산(141b)과, 일측면과 인접한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5 나사산(141c)과,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2 수용홈(141d)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4 체결부재(142)는 일측면으로부터 형성된 제1 수용홀(142a)과, 상기 제1 수용홀(142a)로부터 연장되어 타측면으로 관통되는 제2 수용홀(142b)과, 상기 제5 나사산(141c)과 치합되도록 상기 제2 수용홀(142b)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6 나사산(142c)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콜렛(143)은 상기 제1 수용홀(142a)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제2 와이어(150)의 타측을 클램핑할 수 있다.The
상기 탄성부재(144)는 일단이 상기 콜렛(143)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수용홈(141d)에 수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코일스프링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제2 와이어(150)의 타단을 용이하게 클램핑하기 위해, 상기 제1 수용홈(122b)은 상기 제2 수용홈(141d)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콜렛(143)은 상기 제1 수용홈(122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easily clamp the other end of the
여기서, 상기 콜렛(143)은 세 구획으로 분할된 원기둥 형상의 콜렛(143)일 수 있으며, 또는, 복수 개의 홈으로써 스프링 구조를 갖는 스프링 콜렛(143)으로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또한, 상기 제2 와이어(150)의 타단을 견고하게 클램핑하기 위해, 상기 콜렛(143)의 내주면에는 제3 요철부(143a)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o firmly clamp the other end of the
또한, 상기 제2 체결유닛(140)은 상기 콜렛(143)과 탄성부재(144)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145)를 더 포함하여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상기 제2 체결유닛(140)의 구조하에서, 상기 콜렛(143)을 상기 제4 체결부재(142)의 제2 수용홀(142b)을 통해 상기 제1 수용홀(142a)로 집어넣고, 이 후, 상기 와셔(145)를 집어넣고, 상기 탄성부재(144)를 상기 와셔(145)와 상기 제3 체결부재(141)의 제2 수용홈(141d)에 배치시키고, 상기 제5 나사산(141c)과 제6 나사산(142c)을 치합시켜 결합한다.Under the structure of the
이 후, 상기 제2 와이어(150)의 타단을 상기 제1 수용홀(142a) 외부로 노출된 콜렛(143)에 삽입하면 상기 콜렛(143)이 상기 제1 수용홈(122b) 내부(후방)로 밀리면서 상기 제2 와이어(150)를 수용하게 되고, 이 후 상기 탄성부재(144)의 복귀력으로 인해 상기 콜렛(143)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2 와이어(150)의 타단을 견고하게 클램핑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other end of the
이러한 제2 체결유닛(140)의 구조에 따라, 상기 제2 와이어(150)의 체결을 신속하고 용이하고 견고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앙카볼트(130)와 제3 체결부재(141)의 나사산 조절 및/또는 상기 제3 체결부재(141)와 제4 체결부재(142)의 나사산 조절로써 상기 제2 와이어(150)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제2 와이어(150)는 일단이 상기 제1 체결유닛(120)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체결유닛(140)에 체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미도시되었으나, 옹벽 구조물(100) 내부로 수분 침투시 내구성을 고려하여, 상기 제1 와이어(110) 및 또는 제2 와이어(150)는 외주면에 에폭시 코팅을 하거나,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피복이 끼워질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considering the durability when water penetrates into the retaining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100)의 시공방법을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100)의 시공방법은 일단 지면(20)에 블록(11)을 일렬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이러한 블록(11) 설치 단계 이전에 지면(20)의 평탄화를 위한 지면(20) 다지기 또는 콘트리스 타설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Before the
이 후, 블록(11)이 설치되었으면, 블록(11) 높이에 대응되게 배면(40)과 블록(11) 사이에 보강토(30)를 매립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After this, if the
이러한 보강토(30) 매립단계에서는 전방에 자갈 또는 쇄석과 같은 골재(31)(배설재)를 적층하고, 후방에 투수성이 양호한 사질토를 뒷채움재(32)로 매립하고, 다짐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In the reinforcing
이 후, 배면(40)과 블록(11) 사이에 매립된 보강토(30) 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100)을 설치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Thereafter, the step of installing the retaining
이러한 일련의 단계가 수행되어 옹벽(10)으로 설정된 높이가 만족되면 마감 작업이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한 블록(11) 설치 단계부터 재수행될 수 있다.If the height set as the retaining
여기서, 상기 옹벽 구조물(100) 설치 단계는 다음과 같이 더욱 세분화될 수 있다.Here, the step of installing the retaining
일단, 블록(11)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제1 와이어(11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상술한 것과 같이 하나의 층을 이루는 복수 개의 상기 블록(11)에 별도의 고정부재(50)를 체결한 후 상기 고정부재(50)의 자유단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와이어(110)를 배치할 수 있다.First, the
상기 제1 와이어(110)를 고정부재(50)에 관통시키고, 인접하는 고정부재(50)에 관통시키기 전에 상기 제2 와이어(150)가 체결된 제1 체결유닛(120)을 상기 제1 와이어(110)에 체결한 후 상기 인접하는 고정부재(50)에 상기 제1 와이어(110)를 관통시킨다.Before passing the
이 후, 또는 이 전에, 절토사면(41) 또는 건축물(42)과 같은 배면(40)에 앙카볼트(130)를 매설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앙카볼트(130)는 배면(40)에 천공된 구멍에 실리콘 또는 콘크리트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After this, or before, the
이렇게 고정된 상기 앙카볼트(130)에 상기 제2 체결유닛(140)을 나사산 결합시킬 수 있다.The
이 후, 상기 제2 와이어(150)의 타단을 상기 제2 체결유닛(140)까지의 길이만큼 절단하여 상기 콜렛(143)이 삽입하므로써, 상기 제2 와이어(150)의 설치는 신속하고 용이하게 종료될 수 있다.Thereafter, the other end of the
이 후, 상기 제1 체결부재(121)의 나사산조절, 상기 제2 체결부재(122)의 나사산 조절 및/또는 상기 제2 체결부재(122)와 앙카볼트(130)의 나사산 조절을 통해 상기 제2 와이어(150)의 미세한 장력 조절을 도모함으로써, 상기 제2 와이어(150)의 견고한 고정을 도모함과 동시에 옹벽(10)에 가중되는 수평응력에 대한 집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Thereafter, the thread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thread of the
요컨대, 본 발명은 제1 체결유닛(120)에 의해 제2 와이어(150)의 일단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배면(40)과의 거리에 맞게 유동적으로 제2 와이어(150)의 타단을 절단하여 제2 체결유닛(140)에 삽입함으로써 신속하고 견고하게 금속성 보강재인 와이어를 옹벽(10)과 배면(40)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In short, the present invention can firmly fix one end of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체결유닛(120) 및/또는 제2 체결유닛(140) 자체의 길이를 소정 길이만큼 신축시킬 수 있으므로, 옹벽 구조물(100)의 전체적인 강도를 증가시키고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end the length of the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able to se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xamples, but claims I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and its equivalent.
10: 옹벽 11: 블록
20: 지면 30: 보강토
31: 골재 32: 뒷채움재
40: 배면 41: 절토사면
42: 건축물 50: 고정부재
100: 옹벽 구조물 110: 제1 와이어
120: 제1 체결유닛 121: 제1 체결부재
121a: 관통홀 121b: 제1 체결홈
121c: 제1 나사산 122: 제2 체결부재
122a: 제2 나사산 122b: 제1 수용홈
123: 결속부재 123a: 제1 반원통
123b: 제2 반원통 123c: 제1 요철부
123d: 제2 요철부 130: 앙카볼트
131: 제3 나사산 140: 제2 체결유닛
141: 제3 체결부재 141a: 제2 체결홈
141b: 제4 나사산 141c: 제5 나사산
141d: 제2 수용홈 142: 제4 체결부재
142a: 제1 수용홀 142b: 제2 수용홀
142c: 제6 나사산 143: 콜렛
144: 탄성부재 145: 와셔
150: 제2 와이어10: retaining wall 11: block
20: ground 30: reinforced soil
31: aggregate 32: backfill
40: back 41: cut slope
42: building 50: fixing member
100: retaining wall structure 110: first wire
120: first fastening unit 121: first fastening member
121a: Through
121c: first thread 122: second fastening member
122a:
123: binding
123b:
123d: 2nd uneven part 130: anchor bolt
131: third thread 140: second fastening unit
141:
141b:
141d: second receiving groove 142: fourth fastening member
142a: first receiving
142c: sixth thread 143: collet
144: elastic member 145: washer
150: second wire
Claims (10)
옹벽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블록 사이에 배치되거나 복수 개의 블록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와이어;
상기 제1 와이어에 체결되는 제1 체결유닛;
배면에 고정되는 앙카볼트;
상기 앙카볼트에 체결되는 제2 체결유닛; 및
일단이 상기 제1 체결유닛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체결유닛에 체결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유닛은,
일측면과 인접한 외주면에 상기 제1 와이어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과, 타측면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제1 체결홈과, 상기 제1 체결홈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을 포함하는 제1 체결부재;
일측면과 인접한 외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과 치합되도록 형성된 제2 나사산과, 상기 제2 와이어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타측면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제1 수용홈을 포함하는 제2 체결부재; 및
상기 제1 수용홈의 내주면과 상기 제2 와이어 일단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와이어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 수용홈에 수용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재는 장축을 기준으로 절단된 제1 반원통과, 상기 제1 반원통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반원통을 포함하고, 길이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절단 했을 때의 절단면이 타원형을 갖도록 형성되며,
절단면이 타원형 형상을 갖는 상기 결속부재의 단축은 상기 제2 와이어의 지름과 대응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장축은 상기 제1 수용홈의 내경과 대응되거나 작게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재의 외주면에는 제1 요철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제2 요철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 요철부는 상기 결속부재 외주면 상에 교차된 격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요철부는 상기 결속부재 내주면 상에 나사산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제2 와이어의 일측과 상기 결속부재가 상기 제1 수용홈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2 체결부재와 체결되며,
상기 제2 체결유닛은,
타측면에 형성된 제2 체결홈과, 상기 앙카볼트의 제3 나사산과 치합되도록 상기 제2 체결홈에 형성되는 제4 나사산과, 일측면과 인접한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5 나사산과,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2 수용홈을 포함하는 제3 체결부재;
일측면으로부터 형성된 제1 수용홀과, 상기 제1 수용홀로부터 연장되어 타측면으로 관통되는 제2 수용홀과, 상기 제5 나사산과 치합되도록 상기 제2 수용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6 나사산을 포함하는 제4 체결부재;
내주면에는 제3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홀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제2 와이어의 타측을 클램핑하는 콜렛;
일단이 상기 콜렛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수용홈에 수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콜렛과 탄성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홀은 상기 제2 수용홀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콜렛은 상기 제1 수용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옹벽 구조물.In a retaining wall structure that is constructed between a retaining wall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blocks in a row and stacked at a height of several layers and a rear surfac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taining wall,
A first wire disposed between a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at least one layer of the retaining wall or spaced apart from the plurality of block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first fastening unit fastened to the first wire;
An anchor bolt fixed to the back surface;
A second fastening unit fastened to the anchor bolt; And
Includes; one end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unit,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unit;
The first fastening unit,
A first including a through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wir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djacent to one side, a first fastening groove formed by being recessed on the other side, and a first thread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Fastening member;
A second fastening member including a second screw thread formed to mesh with the first screw threa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djacent to one side surface, and a first receiving groove formed recessed on the other side so that one end of the second wire is accommodated; And
Includes a bind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second wire to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to fix the second wire.
The binding member includes a first semi-cylinder cut with respect to the long axis, and a second semi-cylinder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mi-cylinder, and is formed to have an elliptical cut surface when c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hortening of the binding member having an oval shape with a cut surface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o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wire, and the long axis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o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A first uneven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inding member, and a second uneven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irst concavo-convex portion may be formed as a lattice-shaped groove cros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inding member, and the second concavo-convex portion is formed as a thread-shaped groov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inding member,
The second wire is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member by press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when one side of the second wire and the binding member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The second fastening unit,
A second fastening groove formed on the other side, a fourth thread formed on the second fastening groove to be engaged with the third thread of the anchor bolt, a fifth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djacent to one side, and formed on one side A third fastening member including a second receiving groove;
It includes a first receiving hole formed from one side, a second receiving hole extending from the first receiving hole and penetrating to the other side, and a sixth thread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receiving hole so as to mesh with the fifth screw thread. A fourth fastening member;
A collet that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movably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hole and clamping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wire;
An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disposed on the collet and the other end accommodated 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And
Includes; a washer disposed between the collet and the elastic member,
The first receiving hol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arger diameter toward the second receiving hole,
The collet is a retaining wall structu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ceiving ho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3540A KR102118291B1 (en) | 2019-10-07 | 2019-10-07 | Retaining wall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3540A KR102118291B1 (en) | 2019-10-07 | 2019-10-07 | Retaining wall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8291B1 true KR102118291B1 (en) | 2020-06-02 |
Family
ID=7109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3540A KR102118291B1 (en) | 2019-10-07 | 2019-10-07 | Retaining wall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8291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94972A (en) * | 2004-03-24 | 2005-09-29 | 주식회사 브사렐컨설턴트 | Construction of soil nailing for build up revetment |
KR100851356B1 (en) * | 2007-12-20 | 2008-08-08 | 이근선 |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n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
KR101027800B1 (en) * | 2010-04-12 | 2011-04-07 | 주식회사 아이콘텍이앤씨 | Prefabricated revet construc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KR200455432Y1 (en) * | 2010-09-17 | 2011-09-06 | 주식회사 브룸 | Retaining device for retaining wall construction |
-
2019
- 2019-10-07 KR KR1020190123540A patent/KR10211829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94972A (en) * | 2004-03-24 | 2005-09-29 | 주식회사 브사렐컨설턴트 | Construction of soil nailing for build up revetment |
KR100851356B1 (en) * | 2007-12-20 | 2008-08-08 | 이근선 |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n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
KR101027800B1 (en) * | 2010-04-12 | 2011-04-07 | 주식회사 아이콘텍이앤씨 | Prefabricated revet construc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KR200455432Y1 (en) * | 2010-09-17 | 2011-09-06 | 주식회사 브룸 | Retaining device for retaining wall constru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56680B1 (en) | Wall using precast concrete building materia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KR101078047B1 (en) | Precast concrete truss suppor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2127377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 |
KR101169732B1 (en) | Earth anchor and retaining wall using it | |
KR102075437B1 (en) | Composite phc pile for soil retaining wall | |
KR102084842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method for the same | |
KR102118291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 |
KR20190109890A (en) | Composite phc pile for soil retaining wall | |
KR102085723B1 (en) | Reinforced earth wall's reinforcement device | |
KR20180131042A (en) | Pile and method for constucting same | |
KR20190137432A (en) | Soil retaining wall for phc pile | |
KR100317701B1 (en) | a reinforcement land method of construction to using tires | |
KR102171787B1 (en) | Soil retaining wall using phc pile | |
KR102062534B1 (en) | Structure for grid join | |
KR20130104810A (en) |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concrete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KR102272258B1 (en) | Apparatus for withstanding against displac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
KR20120084716A (en) | Backfill structure and backfill method | |
KR200223114Y1 (en) | A structure reinforcing for retaining wall for inclined plane which to cut off a rock wall | |
KR101182802B1 (en) | a Complex Micro Pile | |
KR20200124511A (en) | Mat for soil reinforcing and soil reinforcing method the same | |
KR102510851B1 (en) | Fixed Grid Structure for Earth Filling Part Reinforcement, and Blast-Stone Wall Construction Method by Using This | |
KR102510850B1 (en) | Fixed Grid Structure for Earth Filling Part Reinforcement, and Blast-Stone Wall Construction Method by Using This | |
KR200335066Y1 (en) | Structure For Carrying Out The Breast Wall Using The Waste Tire | |
KR102275813B1 (en) | structrue for reinforcement of foundation using mat | |
RU224783U1 (en) | Modular retaining wall bl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