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046B1 -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046B1
KR102118046B1 KR1020130078359A KR20130078359A KR102118046B1 KR 102118046 B1 KR102118046 B1 KR 102118046B1 KR 1020130078359 A KR1020130078359 A KR 1020130078359A KR 20130078359 A KR20130078359 A KR 20130078359A KR 102118046 B1 KR102118046 B1 KR 102118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enu interface
stylus
length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799A (ko
Inventor
이건우
김진
홍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955,936 priority Critical patent/US8890855B1/en
Priority to EP13881424.9A priority patent/EP2981878B1/en
Priority to PCT/KR2013/007133 priority patent/WO2014163250A1/en
Priority to CN201380075393.6A priority patent/CN105103076A/zh
Priority to US14/779,078 priority patent/US9766726B2/en
Publication of KR20140120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고 더욱 정확하게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이를 위해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수단인 스타일러스 유닛;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에 의한 입력을 센싱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을 탑재하는 하우징 유닛;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이 상기 하우징 유닛으로부터 뽑힌(pulled out) 길이 및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의 회전 각도를 센싱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하우징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이 상기 하우징 유닛으로부터 제 1 길이 미만으로 뽑힌 경우, 상기 제 1 길이에 대응하는 제 1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제 1 메뉴 인터페이스 제공 중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의 회전이 센싱된 경우, 상기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메뉴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메뉴들을 네비게이팅(navigating)하되,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이 상기 하우징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 1 길이 이상으로 뽑힌 경우, 상기 메뉴들 중 한 메뉴를 상기 네비게이팅 결과에 따라 선택 또는 실행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Portab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명세서는 스타일러스 유닛을 탑재한 포터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스타일러스 유닛의 회전 각도 및 뽑힌(pulled out) 길이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보급됨에 따라, 디바이스는 유저의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디바이스는 보다 섬세하고 정확한 터치 입력을 위한 수단인 스타일러스 유닛에 의한 입력도 함께 센싱할 수 있다. 이러한 스타일러스 유닛은 휴대성을 고려하여 디바이스 내부에 탑재되고, 필요에 따라 디바이스로부터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스타일러스 유닛의 입력 환경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터치 입력을 가하거나 스타일러스 유닛을 디바이스로부터 분리하여 별도의 입력을 가함으로써 설정해야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유닛의 회전 각도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를 네비게이팅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유닛이 포터블 디바이스로부터 뽑힌 길이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유닛의 뽑힌 길이와 함께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유닛의 뽑힌 길이에 따라 제공하는 메뉴 인터페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의 입력 환경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유닛의 회전에 대응하여 청각적 또는 촉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고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수단인 스타일러스 유닛;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에 의한 입력을 센싱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을 탑재하는 하우징 유닛;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이 상기 하우징 유닛으로부터 뽑힌(pulled out) 길이 및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의 회전 각도를 센싱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하우징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이 상기 하우징 유닛으로부터 제 1 길이 미만으로 뽑힌 경우, 상기 제 1 길이에 대응하는 제 1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제 1 메뉴 인터페이스 제공 중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의 회전이 센싱된 경우, 상기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메뉴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메뉴들을 네비게이팅(navigating)하되,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이 상기 하우징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 1 길이 이상으로 뽑힌 경우, 상기 네비게이팅 결과에 따라 상기 메뉴들 중 한 메뉴를 선택 또는 실행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바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을 디바이스로부터 분리하는 동작과 연계하여 메뉴를 선택 또는 실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선택 또는 실행 동작 없이도 스타일러스 유닛을 뽑는 동작만으로 유저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 또는 실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바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의 회전 각도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메뉴들을 네비게이팅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한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제공하는 메뉴 인터페이스의 종류도 달라지므로, 디바이스는 상황에 따라 적절한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 목차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스타일러스 유닛이 디바이스로부터 뽑힌 길이 및 스타일러스 유닛의 회전 각도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가 제어되는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스타일러스 유닛의 뽑힌 길이 및 회전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가 제어되는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위 메뉴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메뉴에 따라 하위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디바이스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아닌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포터블 디바이스 제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들의 소형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명세서는, 이동 가능한 포터블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 이하에서 이를 통칭하여 포터블 디바이스로 지칭하도록 한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이동성을 갖는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예를 들면,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 태블릿 피씨, MP3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워치폰(watch phone) 등의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로 약칭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최근 터치 센서의 발전에 따라 터치 입력의 센싱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함께 구비하는 경우가 많다.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유저의 터치 입력을 센싱하여, 상기 센싱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유저는 유저의 신체 일부(예를 들어, 유저의 손가락)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인가할 수 있으나, 스타일러스 유닛을 통해서도 터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스타일러스 유닛이란, 글자를 쓰거나 선을 그리는 데 사용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스타일러스 유닛은 펜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유저의 신체 일부로는 할 수 없는 보다 섬세하고 정확한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를 통해 그림을 그리거나 사진을 편집하는 경우와 같이 보다 섬세하고 정확한 터치 입력이 필요한 경우, 유저는 스타일러스 유닛을 펜 또는 붓과 같은 필기 도구로써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교한 터치 입력의 인가가 가능하다.
이러한 스타일러스 유닛의 이동성 및 휴대성을 보장하기 위해 디바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을 디바이스 내부에 탑재할 수 있다. 유저는 필요에 따라 스타일러스 유닛을 디바이스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스타일러스 유닛을 탑재한 디바이스들은, 스타일러스 유닛이 디바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별다른 동작을 수행 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디바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이 디바이스로부터 분리되는 동작을 메뉴 선택 동작과 연계시켜, 보다 쉽고 간편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스타일러스 유닛이 디바이스로부터 분리된 후에 별도로, 그러나 필수적으로 선택되어야 하는 메뉴를 스타일러스 유닛의 분리와 함께 미리 선택하게 함으로써 보다 간편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타일러스 유닛을 탑재한 디바이스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디바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1010), 하우징 유닛(1030), 센서 유닛(1040), 디스플레이 유닛(1020) 및 프로세서(10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유닛(1010)은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수단을 나타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타일러스 유닛(1010)은 디바이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유닛(1020)에 대한 입력 수단을 나타낼 수 있다. 스타일러스 유닛(1010)은 펜, 붓 등 필기구 형태일 수 있으며, 보다 섬세하고 정확한 터치 입력이 요구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유닛(1010)은 디바이스 내부에 탑재되어 필요에 따라 디바이스로부터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 유닛(1030)은 상술한 스타일러스 유닛(1010)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유닛(103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유닛(1010)이 디바이스로부터 뽑힌 길이 및/또는 스타일러스 유닛(1010)의 회전 각도를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스타일러스 유닛(1010)의 뽑힌 길이 및 회전 각도를 센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통칭하여 센서 유닛(1040)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센서 유닛(1040)은 뎁스 센서, 터치 센서, 적외선/자외선 센서, 위치 검출용 센서, 각속도 센서, 근접 센서, 자이로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및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센서 유닛(1040)은 상술한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센싱 결과를 프로세서(105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 유닛(1040)은 스타일러스 유닛이 하우징 유닛으로부터 뽑힌 정확한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센서 유닛(1040)은 스타일러스 유닛(1010)의 뽑힌 길이가 특정 길이 미만인지 혹은 이상인지 만을 판단함으로써 대략적인 길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040)은 스타일러스 유닛(1010)이 하우징 유닛(1030) 내에서 회전한 각도 또는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센서 유닛(1040)은 스타일러스 유닛(1010)의 회전한 각도가 특정 각도 미만인지 혹은 이상인지 만을 판단함으로써 대략적인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센서 유닛(1040)에 의해 획득한 길이 및 각도는 정확한 길이 및 각도를 의미할 뿐 아니라, 실질적인 길이 및 각도를 나타내며, 일정한 범위의 오차를 허용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020)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유닛(1020)은 프로세서(1050)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미지란, 디스플레이 유닛(102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기타 다양한 시각적으로 표현 가능한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020)은 터치 센서 유닛(미도시)을 함께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020)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유닛(1020)은 디바이스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사용하여 유저의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은 터치 센서, 지문 센서, 모션 센서, 근접 센서, 자기장 센서, 카메라 센서 및 압력 센서 등 다양한 터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유닛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20)은 터치 센서 유닛을 통하여 유저의 다양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센서 유닛은 유저의 롱-프레스(long-press) 터치 입력, 숏-프레스(short-press) 터치 입력, 드래그(drag) 터치 입력, 릴리즈(release) 터치 입력, 호버링 입력 또는 플리킹(flicking) 터치 입력 등 접촉 또는 비접촉의 다양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특히, 터치 센서 유닛은 터치 펜, 스타일러스 유닛(1010), 스타일러스 펜 등 다양한 터치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을 센싱하여, 센싱 결과를 프로세서(1050)에 전달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050)는 디바이스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50)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50)는 상술한 디바이스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050)는 상술한 센서 유닛들을 통해 입력 신호가 센싱된 경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실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프로세서(1050)는 센서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스타일러스 유닛(1010)의 뽑힌 길이 및 스타일러스 유닛(10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050)는 스타일러스 유닛(1010)이 디바이스로부터 뽑힌 길이에 따라 상기 뽑힌 길이에 대응하는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뉴 인터페이스란, 유저가 디바이스를 제어함에 있어서 명시적 명령어를 사용하는 대신, 제공된 복수의 메뉴 중 어느 한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메뉴 인터페이스는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한 메뉴들을 제공할 수 있다.
메뉴 인터페이스가 제공 중인 상태에서 스타일러스 유닛(1010)의 회전이 추가로 센싱된 경우, 프로세서(1050)는 상기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메뉴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메뉴들을 네비게이팅할 수 있다. 나아가, 스타일러스 유닛(1010)이 디바이스로부터 추가로 더 뽑히거나, 기설정된 시간 초과로 회전이 멈춘 경우, 프로세서(1050)는 제공되는 메뉴들 중 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나 동작이 유저 입력에 의해 시작되거나 진행되는 경우, 유저 입력에 따라 입력 신호가 생성되는 과정은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아도 상술한 과정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 것으로 한다. 또한, 유저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가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제어한다고 표현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050)와 디바이스를 동일시하여 설명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바이스의 구성 요소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스타일러스 유닛이 디바이스로부터 뽑힌 길이 및 스타일러스 유닛의 회전 각도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가 제어되는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바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2030)이 디바이스로부터 뽑힌 길이에 따라 다양한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2030)이 하우징 유닛으로부터 뽑힌 길이에 따라 다양한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유닛이 하우징 유닛으로부터 제 1 길이(d1) 미만으로 뽑힌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길이(d1)에 대응하는 제 1 메뉴 인터페이스(2010-1)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스타일러스 유닛(2030)이 하우징 유닛으로부터 제 1 길이(d1)만큼 뽑힌 후 기설정된 시간 초과로 정지한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메뉴 인터페이스(2010-1)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제 1 메뉴 인터페이스(2010-1)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메뉴 인터페이스이다. 한편, 디바이스의 잠금 상태에서 스타일러스 유닛(2030)이 제 1 길이(d1) 미만으로 뽑힌 경우에는, 디바이스는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도 있다.
만일 디바이스가 제 1 메뉴 인터페이스(2010-1)를 제공 중이었던 경우, 유저는 스타일러스 유닛(2030)을 회전시킴으로써 제 1 메뉴 인터페이스(2010-1)가 제공하는 복수의 메뉴들을 네비게이팅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유저는 제 1 길이(d1) 미만으로 뽑힌 스타일러스 유닛(2030)을 뽑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제 1 메뉴 인터페이스(2010-1)가 제공하는 복수의 메뉴들을 탐색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센싱된 스타일러스 유닛(2030)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복수의 메뉴들을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메뉴들은 스타일러스 유닛(203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거나, 순차적으로 돌아가며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는 센싱된 스타일러스 유닛(2030)의 회전 각속도에 대응하여 복수의 메뉴들을 탐색할 수 있다. 이는 디바이스의 UI 디자인, 설계 목적, 유저의 설정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당업자가 용인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나아가, 스타일러스 유닛(2030)의 회전이 센싱된 경우, 디바이스는 회전에 대응하는 청각적 또는 촉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유닛(2030)이 90도만큼 회전할 때마다, 디바이스는 진동 피드백을 유저에게 제공하여 회전 각도 또는 회전 정도를 인디케이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바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2030)의 회전의 정지를 센싱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유닛(2030)의 회전이 멈추면, 디바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2030)의 변화된 회전 각도에 대응하는 메뉴(2010-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스타일러스 유닛(2030)의 회전이 기설정된 시간 초과로 멈춘 경우, 디바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2030)의 회전 각도의 변화량에 대응하는 메뉴(2010-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2030)이 120도만큼 회전할 때마다 메뉴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처음으로 제공되었던 메뉴가 검색(search) 애플리케이션 실행 메뉴였던 경우, 스타일러스 유닛(2030)의 120도 회전이 센싱되면, 디바이스는 검색 애플리케이션 실행 메뉴의 다음 메뉴인 달력(calendar) 애플리케이션 실행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메뉴는 각 메뉴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콘, 이미지 또는 텍스트 등 다양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타일러스 유닛(2030)이 디바이스로부터 제 1 길이(d1) 이상으로 뽑힌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메뉴 인터페이스(2010-1)가 제공한 복수의 메뉴들 중 한 메뉴(2010-2)를 선택 및/또는 실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타일러스 유닛(2030)의 회전이 기설정된 시간 초과로 멈춘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메뉴 인터페이스(2010-1)가 제공하는 메뉴들 중 한 메뉴(2010-2)를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스타일러스 유닛(2030)이 제 1 길이(d1) 이상으로 뽑힌 경우에는, 디바이스는 선택된 메뉴(2010-2)를 실행할 수 있다. 특히, 제 1 메뉴 인터페이스(2010-1)가 제공하는 복수의 메뉴들이 스타일러스 유닛(2030)의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는, 스타일러스 유닛(2030)이 제 1 길이(d1) 이상으로 뽑힌 시점에 디스플레이 중이던 메뉴가 선택 및/또는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스타일러스 유닛(2030)이 제 1 길이 이상으로 뽑히면서 어느 한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스타일러스 유닛(2030)이 디바이스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경우, 상기 선택된 메뉴가 실행될 수 있다.
나아가, 디바이스가 복수의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스타일러스 유닛(2030)의 뽑힌 길이의 기준 갯수가 복수개일 수 있다. 본 도면에는 2개의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도시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2030)의 뽑힌 길이의 기준으로서 상술한 제 1 길이(d1)보다 긴 제 2 길이(d2)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스타일러스 유닛(2030)이 디바이스로부터 제 1 길이(d1) 이상 제 2 길이(d2) 미만으로 뽑힌 경우, 디바이스는 제 2 길이(d2)에 대응하는 제 2 메뉴 인터페이스(202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2030)의 뽑힌 길이에 의해 메뉴 인터페이스가 제어될 수 있음을 유저에게 직관적으로 알리기 위해 디바이스 내부의 스타일러스 유닛(2030)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각 메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단에는 제 1 메뉴 인터페이스(2010-1)를,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단에는 제 2 메뉴 인터페이스(2020)를 스타일러스 유닛(2030)의 뽑힌 길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도면에는 제 2 메뉴 인터페이스(2020)로서 스타일러스 유닛(2030)의 펜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인터페이스를 도시하였다. 이때, 추가로 스타일러스 유닛(2030)의 회전이 센싱되는 경우, 앞서 제 1 메뉴 인터페이스(2010-1)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제 2 메뉴 인터페이스(2020)가 제공하는 복수의 메뉴들을 네비게이팅할 수 있다. 또한, 스타일러스 유닛(2030)이 제 2 길이(d2) 이상으로 뽑힌 경우, 상기 복수의 메뉴들 중 한 메뉴를 선택 및/또는 실행할 수 있다. 즉, 제 2 메뉴 인터페이스(2020)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제어 동작은 상술한 제 1 메뉴 인터페이스(2010-1)에서의 제어 동작과 상응한다.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 단계의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스타일러스 유닛(2030)의 이동에 의해 메뉴가 선택 및/또는 실행된 후 스타일러스 유닛(2030)이 디바이스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디바이스는 선택 및/또는 실행된 메뉴를 바로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유저는 스타일러스 유닛(2030)을 디바이스로부터 분리한 후에 사용하고자 하는 메뉴를 별도의 입력 없이 스타일러스 유닛(2030)을 뽑는 동작만으로 미리 선택할 수 있다. 즉, 유저는 스타일러스 유닛(2030)을 디바이스로부터 분리한 후에 별도의 입력 없이 원하는 메뉴 또는 모드에서의 스타일러스 유닛(2030)의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유저에게 보다 쉽고 직관적인 메뉴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는 효과가 있다.
스타일러스 유닛(2030)이 디바이스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분리되는 동안 선택 및/또는 실행되었던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가 제 1 메뉴 인터페이스(2010-1)에서 달력 애플리케이션 실행 메뉴를 선택한 경우, 스타일러스 유닛(2030)이 디바이스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디바이스는 “달력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됩니다”와 같은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만일, 실시에에 따라 복수의 메뉴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선택 메뉴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디바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2030)의 뽑힌 길이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므로, 유저는 상기 뽑힌 길이를 제어함으로써 상위 메뉴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메뉴의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메뉴 인터페이스(2010-1)에서 선택된 제 1 메뉴를 제 2 메뉴로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유저는 뽑혀 있던 스타일러스 유닛(2030)을 디바이스로 다시 밀어 넣을 수 있다. 이때, 스타일러스 유닛(2030)의 뽑힌 길이가 제 1 길이(d1) 미만이 되는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메뉴 인터페이스(2010-1)를 다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유저는 제 1 메뉴를 선택했던 방식과 동일하게 제 2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메뉴 수정이 가능하다.
도 3은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스타일러스 유닛의 뽑힌 길이 및 회전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가 제어되는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타일러스 유닛의 뽑힌 길이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 인터페이스의 종류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메뉴 인터페이스의 종류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갤러리 애플리케이션(3010) 실행 중에 스타일러스 유닛이 제 1 길이(d1) 미만으로 뽑히면, 디바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의 회전에 따라 갤러리 애플리케이션(3010)이 제공하는 사진을 네비게이팅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 1 메뉴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메뉴는, 갤러리 애플리케이션(3010)에서 제공하는 사진일 수 있다.
나아가, 스타일러스 유닛이 추가적으로 뽑힌 경우, 디바이스는 앞서 제공되었던 제 1 메뉴 인터페이스에 의존적(dependent) 또는 독립적(independent)인 제 2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메뉴 인터페이스가 제 1 메뉴 인터페이스에 독립적인 경우, 디바이스는 제 2 메뉴 인터페이스로서 갤러리 애플리케이션 실행 메뉴(3010)와는 독립적인 스타일러스 유닛의 펜 종류를 설정하는 메뉴 인터페이스(3020)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2 메뉴 인터페이스가 제 1 메뉴 인터페이스에 의존적인 경우, 본 도면에서 제 2 메뉴 인터페이스는 제 1 메뉴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사진의 해상도 또는 사이즈를 결정하는 메뉴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즉, 제 1 메뉴 인터페이스 및 제 2 메뉴 인터페이스는 상호 독립적이거나 의존적일 수 있으며, 이는 디바이스의 설계 목적,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이 가능하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로, 제 2 메뉴 인터페이스의 종류는 제 1 메뉴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메뉴에 의존적일 수 있는데,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와 관련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렇듯,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각 메뉴 인터페이스에서 메뉴가 선택되고, 스타일러스 유닛이 디바이스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유저는 선택된 메뉴를 기반으로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메뉴 인터페이스에서 편집할 사진이 선택되고, 제 2 메뉴 인터페이스(3020)에서 스타일러스 유닛의 펜 종류가 결정된 후, 스타일러스 유닛이 디바이스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디바이스는 제 1 메뉴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사진을, 제 2 메뉴 인터페이스(3020)에서 선택된 펜 종류로 편집이 가능하다.
한편, 스타일러스 유닛의 뽑힌 길이에 따라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인터페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의 입력 환경을 설정하는 메뉴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유저가 스타일러스 유닛을 디바이스로부터 뽑는 것은 스타일러스 유닛을 사용하기 위한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볼 수 있으므로, 스타일러스 유닛의 입력 환경을 미리 설정하도록 하여 유저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스타일러스 유닛의 입력 환경을 설정하는 메뉴 인터페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의 선 스타일, 선 종류, 펜의 종류, 펜촉의 종류, 선의 굵기, 선의 색 등 필기 수단의 다양한 속성을 설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메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상위 메뉴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메뉴에 따라 하위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위 메뉴 인터페이스는 제 1 길이에 대응하는 제 1 메뉴 인터페이스(4010)를 나타낼 수 있다. 나아가, 하위 메뉴 인터페이스는 제 2 길이에 대응하는 제 2 메뉴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디바이스는 상위 메뉴 인터페이스(4010)에서 선택된 메뉴에 따라 하위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디바이스는 상위 메뉴 인터페이스(4010)에서 선택된 메뉴에 따라 하위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하위 메뉴 인터페이스의 제공 여부는 상위 메뉴 인터페이스(4010)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위 메뉴 인터페이스(4010)에서 선택된 메뉴가 추가적인 메뉴 선택을 필요로 하는 경우, 디바이스는 추가적인 메뉴 선택을 위한 하위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메뉴 인터페이스(4010)에서 갤러리 애플리케이션 실행 메뉴(4030-1)가 선택된 경우, 디바이스는 수정할 사진을 선택할 수 있는 사진 선택 메뉴 인터페이스(4040-1)를 하위 메뉴 인터페이스로서 제공할 수 있다. 유저는 사진 선택 메뉴 인터페이스(4040-1)를 통해 사진들을 네비게이팅하여, 수정하고자 하는 사진을 선택할 수 있다.
이렇듯, 디바이스는 상위 메뉴 인터페이스(4010)에서 선택된 메뉴에 따라 하위 메뉴 인터페이스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므로, 제공될 수 있는 메뉴 인터페이스의 단계 수는 유동적(flexibl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갤러리 애플리케이션 실행 메뉴(4030-1)가 선택된 경우, 편집할 사진 선택을 위한 하나의 하위 메뉴 인터페이스(4040-1)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드로잉 애플리케이션 실행 메뉴(4030-2)가 선택된 경우에는, 디바이스는 펜의 종류 및 선의 종류를 각각 선택하는 2가지 하위 메뉴 인터페이스(4040-2, 4040-3)들을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복수개의 하위 메뉴 인터페이스(4040-2, 4040-3)가 제공되는 경우, 스타일러스 유닛(4020)의 뽑힌 길이에 각 하위 메뉴 인터페이스(4040-2, 4040-3)가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스타일러스 유닛(4020)이 기설정된 길이로 뽑히는 경우, 디바이스는 그에 대응되는 하위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디바이스는 상위 메뉴 인터페이스(4010)에서 선택된 메뉴에 따라 하위 메뉴 인터페이스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위 메뉴 인터페이스의 종류는 상위 메뉴 인터페이스(4010)에서 선택된 메뉴에 의존적(dependent)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메뉴 인터페이스(4010)에서 드로잉 애플리케이션 실행 메뉴(4030-2)가 선택된 경우, 하위 메뉴 인터페이스는 드로잉 애플리케이션에서 쓰일 스타일러스 유닛(4020)의 펜의 종류의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인터페이스(4040-2)일 수 있다. 상기 하위 메뉴 인터페이스를 통해 펜의 종류가 선택된 경우, 디바이스는 선택된 펜의 종류를 기반으로 선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추가적인 하위 메뉴 인터페이스(4040-3)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위 메뉴 인터페이스(4010)에서 선택된 메뉴를 기반으로 하위 메뉴 인터페이스의 종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5는 디바이스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순서도에서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설명과 유사하거나 상응하는 부분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디바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이 하우징 유닛으로부터 뽑히는 것을 센싱할 수 있다(S5010). 특히, 디바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이 제 1 길이 미만으로 뽑히는지를 센싱할 수 있다.
만일, 스타일러스 유닛이 제 1 길이 미만으로 뽑힌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길이에 대응하는 제 1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5020). 제 1 메뉴 인터페이스의 종류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디바이스는 제 1 메뉴 인터페이스 제공 중, 스타일러스 유닛의 회전이 센싱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5030). 스타일러스 유닛의 회전은 스타일러스 유닛이 탑재된 하우징 유닛의 센서 유닛을 통하여 센싱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과 관련하여 상술하였다.
제 1 메뉴 인터페이스 제공 중 스타일러스 유닛의 회전이 센싱된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메뉴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복수의 메뉴들을 네비게이팅할 수 있다(S5040). 특히, 디바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의 회전에 대응하여 복수의 메뉴들을 네비게이팅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는 다양한 그래픽 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나아가, 디바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의 회전에 대응하여 청각적 또는 촉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그러나, 스타일러스 유닛의 회전이 센싱되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는 회전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의 메뉴들을 네비게이팅하는 단계(S5040)를 건너뛰어 그 다음 단계(S5050)로 진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바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이 하우징 유닛으로부터 제 1 길이 이상으로 뽑히는 것을 센싱할 수 있다(S5050). 만일, 스타일러스 유닛이 제 1 길이 이상으로 뽑혔음이 센싱된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메뉴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메뉴들 중 한 메뉴를 선택 또는 실행할 수 있다(S5060). 보다 상세하게는, 스타일러스 유닛의 회전이 기설정된 시간 초과로 멈춘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메뉴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메뉴들 중 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스타일러스 유닛이 제 1 길이 이상으로 뽑힌 경우에는, 디바이스는 선택된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 메뉴는 전 단계에서 네비게이팅된 결과에 따라 선택 및/또는 실행될 수 있다. 만일, 메뉴들이 네비게이팅되는 단계를 거치지 않은 경우에는, 회전 각도 0도에 대응하는 메뉴가 선택 및/또는 실행될 수 있다. 또는, 마지막으로 선택 및/또는 실행 되었던 메뉴가 선택 및/또는 실행될 수 있다.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그러나, 스타일러스 유닛이 제 1 길이 이상으로 뽑히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는 제 1 길이에 대응하는 제 1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S5020).
한편, 제 1 메뉴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메뉴 또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메뉴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경우, 디바이스는 추가적인 길이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단계의 메뉴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경우, 디바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의 뽑힌 길이로서 제 2 길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 2 메뉴 인터페이스는 스타일러스 유닛이 제 1 길이 이상 및 제 2 길이 미만으로 뽑혔음이 센싱된 경우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나아가, 하위 메뉴 인터페이스의 종류는 상위 메뉴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메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각도, 거리 및 길이는 정확한 값을 의미할 뿐 아니라, 일정 범위의 실질적인 각도, 거리 및 길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각도, 거리 및 길이는 실질적인 각도, 거리 및 길이를 나타낼 수 있고, 일정 범위의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10: 스타일러스 유닛
1020: 디스플레이 유닛
1030: 하우징 유닛
1040: 센서 유닛
1050: 프로세서

Claims (20)

  1. 포터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수단인 스타일러스 유닛;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에 의한 입력을 센싱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을 탑재하는 하우징 유닛;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이 상기 하우징 유닛으로부터 뽑힌(pulled out) 길이 및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의 회전 각도를 센싱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하우징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이 상기 하우징 유닛으로부터 제 1 길이 미만으로 뽑힌 경우, 상기 제 1 길이에 대응하는 제 1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제 1 메뉴 인터페이스 제공 중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의 회전이 센싱된 경우, 상기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메뉴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메뉴들을 네비게이팅(navigating)하되,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이 상기 하우징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 1 길이 이상으로 뽑힌 경우, 상기 메뉴들 중 한 메뉴를 상기 네비게이팅한 결과에 따라 선택 또는 실행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의 회전에 대응하여 청각적 또는 촉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 1 메뉴 인터페이스의 종류를 결정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이 상기 하우징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 1 길이 이상 및 제 2 길이 미만으로 뽑힌 경우, 상기 제 2 길이에 대응하는 제 2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제 2 메뉴 인터페이스 제공 중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의 회전이 센싱된 경우, 상기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메뉴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메뉴들을 네비게이팅(navigating)하되,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이 상기 제 2 길이 이상으로 뽑힌 경우, 상기 메뉴들 중 한 메뉴를 상기 네비게이팅한 결과에 따라 선택 또는 실행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길이는 상기 제 1 길이보다 긴, 포터블 디바이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뉴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메뉴 인터페이스의 하위(sub) 메뉴 인터페이스인, 포터블 디바이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메뉴 인터페이스에서 선택 또는 실행된 메뉴에 따라 상기 제 2 메뉴 인터페이스의 종류를 결정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뉴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 2 메뉴 인터페이스는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의 입력 환경을 설정하는 메뉴 인터페이스인, 포터블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잠금 상태에서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이 상기 하우징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 1 길이 미만으로 뽑힌 경우,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의 회전이 멈춘 경우, 상기 제 1 메뉴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상기 메뉴들 중 한 메뉴를 선택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유닛이 상기 하우징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 1 길이 이상으로 뽑힌 경우, 상기 선택된 메뉴를 실행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30078359A 2013-04-04 2013-07-04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18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55,936 US8890855B1 (en) 2013-04-04 2013-07-31 Portab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EP13881424.9A EP2981878B1 (en) 2013-04-04 2013-08-07 Portab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PCT/KR2013/007133 WO2014163250A1 (en) 2013-04-04 2013-08-07 Portab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CN201380075393.6A CN105103076A (zh) 2013-04-04 2013-08-07 便携式设备及其控制方法
US14/779,078 US9766726B2 (en) 2013-04-04 2013-08-07 Portab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08237P 2013-04-04 2013-04-04
US61/808,237 2013-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799A KR20140120799A (ko) 2014-10-14
KR102118046B1 true KR102118046B1 (ko) 2020-06-02

Family

ID=51992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359A KR102118046B1 (ko) 2013-04-04 2013-07-04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0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2586A1 (en) * 2003-04-25 2004-10-28 Denny Trueman H. Multi-function poin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5243A (ja) * 1997-12-09 1999-07-02 Canon Inc 携帯情報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2586A1 (en) * 2003-04-25 2004-10-28 Denny Trueman H. Multi-function poin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799A (ko)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0855B1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US10503346B2 (en) Swipe-based confirmation for touch sensitive devices
KR10237546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5066055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38495B2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表示情報操作方法
JP5738494B2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表示情報操作方法
EP2720132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4577428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2179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screen based user interface interaction
TWI579732B (zh) 多顯示設備及其控制方法
US9433857B2 (en) Input control device, input control method, and input control program
EP40803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pplication
US9280265B2 (en) Input control device, input control method, and input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display target upon receiving input on display screen of display device
US20110283212A1 (en) User Interface
US20110316888A1 (en) Mobile device user interface combining input from motion sensors and other controls
JP200814624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100051A1 (en) Input control device, input control method, and input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display target upon receiving input on display screen of display device
US201202846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e management
KR102161061B1 (ko) 복수의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20140068025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US20130100050A1 (en) Input control device, input control method, and input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display target upon receiving input on display screen of display device
KR20110115683A (ko) 터치스크린에서의 한 손 입력방법
JP6359862B2 (ja) タッチ操作入力装置、タッチ操作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981878B1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CN107111930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