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834B1 - Inspirometer - Google Patents

Inspirome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834B1
KR102117834B1 KR1020180058978A KR20180058978A KR102117834B1 KR 102117834 B1 KR102117834 B1 KR 102117834B1 KR 1020180058978 A KR1020180058978 A KR 1020180058978A KR 20180058978 A KR20180058978 A KR 20180058978A KR 102117834 B1 KR102117834 B1 KR 102117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le
cylinder
communication
spiro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9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33951A (en
Inventor
김서곤
김일
하명헌
남기원
고정열
이석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Priority to KR1020180058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834B1/en
Priority to PCT/KR2019/003011 priority patent/WO2019225843A1/en
Publication of KR20190133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9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8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91Measuring volume of inspired or expired gases, e.g. to determine lung capac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폐활량계의 일 실시예는, 복수로 구비되고, 하부에 제1통공이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플로터(floater); 상기 실린더의 일측과 연통되는 제1연통부와, 상기 제1연통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연통부에 대하여 절곡형성되며 제2통공이 형성되는 제2연통부를 포함하는 통기관; 상기 제2연통부와 연통되고 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플렉시블호스(flexible hose); 및 상기 제2연통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2통공의 개도(opening rate)를 조절하는 개폐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spirometer, the cylind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the first through-hole formed in the lower cylinder; A floater accommodated in the cylinder and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A ventilation pipe including a first communication portion communicating with one side of the cylinder, and a second communication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portion and b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communication portion to form a second through hole; A flexible hose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ion and provided to be deformable; And an opening/closing lever coupl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o adjust the opening rat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Description

폐활량계{Inspirometer}Spirometry {Inspirometer}

실시예는, 사용자의 폐활량을 측정할 수 있는 폐활량계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relates to a spirometer capable of measuring the spirulence of a user.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embodiment and does not constitute a prior art.

인간의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키기 위해 원활한 호흡에 필요한 호흡보조장치 또는 이와 관련된 치료장치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In order to maintain and promote human health, breathing aids necessary for smooth breathing or treatment devices related thereto are continuously being studied.

폐활량이란 한번으로 최대한 들이마실 수 있는 공기의 량 또는 반대로 한번에 최대한 들이마시고 다시 한번에 내뿜을 수 있는 최대의 공기의 량을 의미한다.The lung capacity means the maximum amount of air that can be inhaled as much as possible at one time, or, conversely, the maximum amount of air that can be inhaled at once and exhaled at once.

폐활량계는 폐활량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건강한 인간은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키기 위해 폐활량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호흡기관련 질환이 있는 환자는 치료와 건강의 회복을 도모하기 위해 폐활량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Spirometry is a device that measures lung capacity. Healthy humans need to measure lung capacity in order to maintain and promote health.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need to measure lung capacity in order to promote treatment and recovery of health.

폐활량계는 폐활량을 측정할 뿐 아니라, 호흡기 관련 재활환자가 정해진 폐활량만큼으로 호흡하는 훈련을 하도록 함으로써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다.The spirometer not only measures lung capacity, but can also help rehabilitation by instructing respiratory-related rehabilitation patients to breathe as much as the specified lung capacity.

폐활량계는 폐활량을 측정하는 것인 만큼, 폐활량의 측정범위가 넓을수록 그 가용범위가 향상될 수 있다.As the spirometer measures the pulmonary capacity, the available range can be improved as the measurement range of the spirometer is wider.

따라서, 실시예는, 폐활량의 측정범위를 넓힐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폐활량계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 relates to a spiromete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xtending the measurement range of the spirulative capacity.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폐활량계의 일 실시예는, 복수로 구비되고, 하부에 제1통공이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플로터(floater); 상기 실린더의 일측과 연통되는 제1연통부와, 상기 제1연통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연통부에 대하여 절곡형성되며 제2통공이 형성되는 제2연통부를 포함하는 통기관; 상기 제2연통부와 연통되고 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플렉시블호스(flexible hose); 및 상기 제2연통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2통공의 개도(opening rate)를 조절하는 개폐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spirometer, the cylind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the first through-hole formed in the lower cylinder; A floater accommodated in the cylinder and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A ventilation pipe including a first communication portion communicating with one side of the cylinder, and a second communication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portion and b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communication portion to form a second through hole; A flexible hose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ion and provided to be deformable; And an opening/closing lever coupl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o adjust the opening rat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폐활량계의 일 실시예는, 상기 실린더가 배치되는 베이스; 일측이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1연통부와 결합하는 지지대; 상기 플렉시블호스의 일측에 결합하는 마우스피스; 및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마우스피스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spirometer is a base on which the cylinder is disposed; A support on which one side is coupled to the base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portion; A mouthpiece coupled to one side of the flexible hose; And it is disposed on the base, the mouthpiece may further include a holder that is coupled to be detachable.

상기 개폐레버는, 상기 제2연통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또는 회전하여 상기 제2통공의 개방된 면적을 조절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lever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part that slides or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part to adjust an open area of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And a connec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pening/closing portion.

상기 제2연통부는, 상기 제2통공을 형성하는 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가 장착되어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홈; 및 상기 제2통공을 형성하는 벽면 중 상기 장착홈과 겹치지 않는 부위에 돌출되고, 상기 연결부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레버의 자유이동을 제한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portion may include a mounting groove formed on a wall surface forming the second through hole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mounted;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portion of the wall surface forming the second through hole that does not overlap the mounting groove, and restricting free movement of the opening/closing lever by pressing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 돌기는 상기 개폐레버의 이동방향으로 설정된 이격거리를 가지며 다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돌기가 각 단에서 상기 연결부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레버의 자유이동을 제한함에 따라, 상기 개폐레버는 상기 제2통공의 개도를 조절하는 것The protrusion has a separation distance set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and is provided in multiple stages, and as the protrusion presses the connecting portion at each stage to limit the free move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is the second through hole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폐활량계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2통공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2통공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써, 측정가능한 폐활량의 범위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spirometer may be to control the range of measurable spirometer by adjusting the opening of the second duct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entering the second pit.

실시예에서, 폐활량계에 제2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공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폐활량계가 측정할 수 있는 폐활량의 범위를 넓히고 다단계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pirometer, and b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through hole, the range of the spirometer that can be measured by the spirometer can be expanded and multi-staged.

이로인해, 실시예에서는 폐활량계의 측정범위를 넓혀 다양한 사용자가 다양한 경우에 폐활량계를 사용할 수 있다.Due to this, in the embodiment, the measurement range of the spirometer is widened, so that various users can use the spirometer in various cases.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의 폐활량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폐활량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개폐레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pirometer in one embodiment.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pirometer in one embodiment.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4.
6 is a side view of FIG. 5.
7 is a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of one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may be variously changed and have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 to a specific disclosure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embodiment.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are only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when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the "top (top)" or "bottom (bottom) (on or under)" of each element, the top (top) or bottom (bottom) (on or under) ) Includes both two elements directly contacting each other or one or more other elements formed indirectly between the two elem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 (up)” or “down (down)” (on or under), it may include the meaning of the downward direction as well as the upward direction based on one element.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relational terms, such as "top/top/top" and "bottom/bottom/bottom" as used below, do not necessarily require or imply any physical or logical relationship or order between such entities or elements, It can also be used to distinguish one entity or element from another.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의 폐활량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폐활량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폐활량계는 사용자의 폐활량을 측정하거나, 환자의 재활훈련을 돕기위한 기구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pirometer in one embodiment.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pirometer in one embodiment. The spirometer is a device for measuring the user's lung capacity or assisting patients in rehabilitation.

예를 들어, 실시예의 폐활량계는 사용자가 한번 숨을 들이쉴 때 최대로 흡입할 수 있는 공기량 즉, 폐활량을 개략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폐활량계는 사용자의 폐활량을 측정하고, 사용자가 호흡기 관련 재활치료를 받는 경우에 폐활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면서 호흡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the spirometer of the embodiment can roughly measure the amount of air that the user can inhale maximum, ie, the spirometer when inhaling once. Therefore, the spirometer of the embodiment measures the user's lung capacity, and allows the user to perform breathing training while grasping how much the lung capacity is when receiving respiratory-related rehabilitation treatment.

실시예의 폐활량계는 베이스(100), 실린더(200), 통기관(300), 지지대(400), 플렉시블호스(500)(flexible hose), 마우스피스(600), 거치대(700), 플로터(800)(floater) 및 개폐레버(9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pirometer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base 100, a cylinder 200, a ventilation pipe 300, a support 400, a flexible hose 500 (flexible hose), a mouthpiece 600, a holder 700, a plotter 800 ( floater) and the opening/closing lever 900.

베이스(100)는 상면에 상기 실린더(200)가 배치되고, 실린더(200), 통기관(300), 지지대(400) 등의 구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도 1을 참조하면, 폐활량계가 바닥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base 100, the cylinder 20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can serve to support the configuration of the cylinder 200, the ventilation pipe 300, the support 400, etc. Referring to Figure 1, the spirometer It can serve as a support for stable positioning on the floor.

실린더(200)는 상기 베이스(100)에 배치될 수 있다. 실린더(200)는 사용자가 호흡하는데 필요한 공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린더(200) 하부에는 제1통공(210)이 형성되고, 실린더(200) 상단은 제1연통부(310)와 연통될 수 있다.The cylinder 200 may be disposed on the base 100. The cylinder 200 may serve to temporarily store air required for the user to breathe. A first through hole 210 is formed under the cylinder 200, and an upper end of the cylinder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10.

따라서, 도 3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마우스피스(600)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면 외부의 공기는 제1통공(210)을 통해 실린더(200) 내부로 유입되고 실린더(200) 상단을 통해 제1연통부(310)로 다시 유입될 수 있다. 상기한 실린더(200)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상기 실린더(2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as illustrated by the arrow in FIG. 3, when the user inhales air through the mouthpiece 600,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cylinder 200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10 and the top of the cylinder 200 Through it may be introduced back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10.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role of the cylinder 200, for example, the cylinder 200 may be provided in plural.

통기관(300)은 내측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통로를 통해 기체가 유동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관(300)은 제1연통부(310)와 제2연통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pipe 300 is formed with a passage through which air can flow, and gas can flow through the passage. 1 and 2, the ventilation pipe 300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portion 310 and a second communication portion 320.

제1연통부(310)는 상기 실린더(200)의 일측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200)와 제1연통부(310) 사이의 연통을 위해, 실린더(200) 상단에는 개구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제1연통부(310)는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10 may communicate with one side of the cylinder 200. Therefore,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cylinder 200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10, an opening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cylinder 200. Of cours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10 may have a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s.

제2연통부(320)는 상기 제1연통부(310)와 연통되고 상기 제1연통부(310)에 대하여 절곡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베이스(100)와 결합할 수 있다. 제2연통부(320)는 제1연통부(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제2연통부(320)도 기체가 유동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10 and bend with respect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10, and one side may be combined with the base 100.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10. Of cours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gas flows may also be form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다른 실시예로 제1연통부(310)와 제2연통부(320)는 별도로 형성되고, 제1연통부(310)와 제2연통부(320)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연통부(310)와 제2연통부(320) 서로간 연통을 위해, 제1연통부(310)와 제2연통부(320) 각각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are separately formed,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In this case, openings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한편, 제2연통부(320)는 플렉시블호스(500)의 일측이 장착되고, 상기 플렉시블호스(500)와 연통되는 호스연결부(50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호스(500)가 제2연통부(320)의 상기 통기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2연통부(320)는 설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flexible hose 500, a hose connection 501 may b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lexible hose 500. For exampl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may be designed such that the flexible hose 50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ventilation port of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연통부(320)에는 제2연통부(320) 내부의 유로에 외부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제2통공(32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통공(321)이 개방된 경우, 도 3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통부(320)에는 제1연통부(310) 및 제2통공(321)으로부터 동시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a second through hole 321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part 320 to introduce external air into the flow path inside the second communication part 320. Therefore, when the second through hole 321 is opened, as illustrated by the arrow in FIG. 3, air flows into the second communication part 320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part 31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21 simultaneously. Can be.

지지대(400)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100)와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1연통부(310)와 결합할 수 있다. 지지대(400)는 제1연통부(3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support 400 may be coupled to the base 100, and the other side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portion 310. The support 400 may stably suppor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10.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통부(310), 제2연통부(320) 및 지지대(4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복수의 실린더(200)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대(400)는 베이스(100), 실린더(200), 제1연통부(310) 및 제2연통부(3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200), 제1연통부(310) 및 제2연통부(32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Accordingly, as illustrated in FIGS. 1 to 3, a plurality of cylinders 200 may be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10,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and the support 400. . The support 40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100, the cylinder 200,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the cylinder 200,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10 and It may be provided to more stably support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플렉시블호스(500)는 상기 제2연통부(320)와 연통되고 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호스(500)는 일측이 호스연결부(501)에서 제2연통부(320)와 결합 및 연통되고, 타측에는 마우스피스(600)가 결합할 수 있다.The flexible hose 500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part 320 and be deformable. 1 to 3, one side of the flexible hose 500 is coupled and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part 320 at the hose connection part 501, and the mouthpiece 600 can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

사용자는 변형가능한 플렉시블호스(500)를 변형시킴으로써 편안하게 폐활량계를 사용할 수 있다.The user can comfortably use the spirometer by deforming the deformable flexible hose 500.

마우스피스(600)는 상기 플렉시블호스(500)의 일측에 결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피스(600)를 통해 호흡을 할 수 있다.The mouthpiece 600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flexible hose 500. The user can breathe through the mouthpiece 600.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마우스피스(600)를 통해 숨을 들이쉬면, 공기는 실린더(200)로부터 제1연통부(310), 제2연통부(320), 플렉시블호스(500) 및 마우스피스(600)로 유동하고, 또한, 제2통공(321)이 개방되면 추가적으로 공기가 외부로부터 제2통공(321)을 통해 제2연통부(320), 플렉시블호스(500) 및 마우스피스(600)로 유동하여, 사용자는 공기를 들이마실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inhales through the mouthpiece 600, the air from the cylinder 200,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10,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the flexible hose 500 and the mouthpiece ( 600), and also, when the second through hole 321 is opened, additional ai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321 to the second communication part 320, the flexible hose 500 and the mouthpiece 600 By flowing, the user can inhale air.

거치대(700)는 상기 마우스피스(600)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100)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거치대(700)는 상기 베이스(100) 이외에 폐활량계의 다른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The cradle 700 may be coupled so that the mouthpiece 600 is detachable, and may be disposed on the base 100. However, the cradle 700 may be disposed at another suitable location of the spirometer in addition to the base 100.

거치대(700)는 마우스피스(600)가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마우스피스(600)를 거치대(700)의 상기 개구부에 끼움으로써, 마우스피스(600)는 거치대(700)에 결합할 수 있다.The holder 700 may be provided in a hollow shape with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so that the mouthpiece 600 can be coupled. Therefore, by fitting the mouthpiece 600 into the opening of the cradle 700, the mouthpiece 600 can be coupled to the cradle 700.

이때, 마우스피스(600)는 거치대(700)에 예를 들어, 형상 끼워맞춤 또는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즉, 마우스피스(600)는 상기 거치대(700)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형상 끼워맞춤 또는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거치대(700)의 중공에 수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uthpiece 600 may be coupled to the cradle 700 by, for example, a shape fit or a force fit method. That is, the mouthpiece 600 may be inserted into an opening formed in the cradle 700 in a shape-fitting or forced fit manner to be accommodated in the hollow of the cradle 700.

따라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마우스피스(600)를 거치대(700)에 부착하고 또한, 마우스를 거치대(700)에서 탈착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attach the mouthpiece 600 to the cradle 700 and also detach the mouse from the cradle 700.

거치대(700)가 구비됨으로써, 폐활량계의 보관시 폐활량계 특히, 플렉시블호스(500)와 마우스피스(600)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피스(600)의 이동시 사용자의 불편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 마우스피스(600)의 외부노출을 억제하여 감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When the holder 700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damage of the spirometer, particularly the flexible hose 500 and the mouthpiece 600 when the spirometer is stored. In addition, when the mouthpiece 600 is moved, the user's inconvenience can be effectively resolved, and the exposure of the mouthpiece 600 can be suppressed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infection.

플로터(800)(floater)는 상기 실린더(200)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실린더(2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플로터(800)는 체적에 비해 가볍게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공기를 흡입하면 실린더(200) 내부에서 제1통공(210)으로부터 실린더(200) 상단으로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가압되어 상승할 수 있다.The floater 800 is accommodated inside the cylinder 200 and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200. Since the plotter 800 is provided lightly compared to the volume, when the user inhales air, it can be pressurized by the air flowing from the first through hole 210 to the top of the cylinder 200 inside the cylinder 200.

예를 들어, 플로터(800)는 비중이 작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속이 빈 구껍질 형태로 구비되거나 속이 빈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체적 대비 질량이 작도록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otter 800 may be formed of a plastic having a small specific gravity, and may be provided in a hollow spherical shape or provid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mass to volume ratio is small.

실시예에서, 실린더(200) 외벽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는 플로터(800)의 상승여부 및 상승하는 플로터(800)의 갯수를 관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폐활량을 알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outer wall of the cylinder 200 is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observe whether the floater 800 rises and the number of rising floaters 800, through which the user has his lung capacity Can be seen.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3개의 실린더(200)가 병렬로 배치되는데, 사용자가 한번 흡입하는 공기 흡입량의 최대량에 따라 상승하는 플로터(800)의 갯수와 상승폭이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관찰하여 자신이 한번에 흡입할 수 있는 최대 공기량 즉, 폐활량을 알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three cylinders 200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the number and rise width of the plotter 800 rising may vary according to the maximum amount of air intake that the user inhales once. The user can observe this and know the maximum amount of air that can be inhaled at a time, that is, the amount of lung activity.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공기를 흡입하면 A 내지 C실린더 중 제1통공(210)에서 호스연결부(501)까지 측정되는 유로길이가 가장 짧은 A실린더에 수용된 플로터(800)가 가장먼저 상승한다.Referring to FIG. 3, when a user inhales air, the plotter 800 accommodated in the A cylinder having the shortest flow path length measured from the first through 210 to the hose connection part 501 among the A to C cylinders rises first. .

공기흡입량이 상승하면 A실린더에 수용된 플로터(800)가 실린더(200) 상단까지 이동하고, 공기흡입량이 더욱 상승하면 상기 유로길이가 A실린더보다 더 긴 B실린더 및 마지막으로 상기 유로길이가 가장 긴 C실린더에 수용된 플로터(800)가 순차적으로 상승한다.When the amount of air intake increases, the floater 800 accommodated in the cylinder A moves to the top of the cylinder 200, and when the amount of air intake increases further, the length of the flow path is longer than that of the cylinder A, and the cylinder B is the longest. The plotter 800 accommodated in the cylinder sequentially rises.

따라서, 폐활량계의 설계에서, A실린더의 플로터(800)가 상단까지 상승한 경우에 대응하는 공기흡입량, A 및 B실린더의 플로터(800)가 상단까지 상승한 경우에 대응하는 공기흡입량, A, B 및 C실린더의 플로터(800)가 상단까지 상승한 경우에 대응하는 공기흡입량을 미리 산정함으로써, 플로터(800)의 상승한 갯수와 상승 정도를 사용자가 관찰하여 자신의 폐활량을 알 수 있다.Therefore, in the design of the spirometer, the air intak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plotter 800 of the A cylinder rises to the top, and the air intak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plotter 800 of the A and B cylinders rises to the top, A, B and C By pre-calculating the amount of air intake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floater 800 of the cylinder rises to the top, the user can observe the rising number and the degree of rise of the floater 800 to know his own lung capacity.

만약, 사용자가 마우스피스(600)를 통해 한번에 공기를 최대로 흡입한 결과, A실린더의 플로터(800)가 상단까지 상승한 경우, 사용자는 이 경우에 대응하는 공기흡입량 이상의 폐활량을 가진 것으로 볼 수 있다.If, as a result of the user inhaling the air at the maximum through the mouthpiece 600, the floater 800 of the A-cylinder rises to the top, the user can be regarded as having a lung capacity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air intake corresponding to this case. .

따라서, 사용자는 실시예의 폐활량계를 사용하여 자신의 폐활량을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재활치료를 받는 경우에 폐활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면서 호흡훈련을 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measure his own lung capacity by using the spirometer of the embodiment, and can also perform breathing training while grasping the extent of the lung capacity when receiving rehabilitation treatment.

한편, 폐활량계는 모든 실린더(200)의 플로터(800)가 모두 실린더(200) 상단까지 상승하는 경우를 초과하는 폐활량을 측정할 수 없다. 이러한 제약 하에서 폐활량계의 폐활량 측정범위를 넓힐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pirometer cannot measure the spirometer exceeding the case where the plotters 800 of all cylinders 200 all rise to the top of the cylinder 200. Under these constraints, it is necessary to widen the range of spirometric measurement of the spirometer.

즉, 재활치료를 받는 환자의 경우, 정상인에 비해 폐활량이 10% 미만일 수도 있으므로, 폐활량계의 측정범위를 넓혀 다양한 사용자가 다양한 경우에 폐활량계를 사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a patient receiving rehabilitation treatment, since the lung capacity may be less than 10% compared to a normal person, it is necessary to widen the measurement range of the spirometer to allow various users to use the spirometer in various cases.

이를 위해 제2연통부(320)에 제2통공(321)을 형성하여 실린더(200) 이외의 부위에서 폐활량계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폐활량계의 측정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제2통공(321)의 개도(opening rate)를 조절하여 제2통공(321)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써, 측정가능한 폐활량의 범위를 조절할 수도 있다.To this end, a second through hole 321 is form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ion 320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pulmonary circulator from a portion other than the cylinder 200, thereby widening the measurement range of the spirometer.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opening rat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21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321,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range of measurable lung capacity.

다시 말하면, 상기 제2통공(321)의 개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2통공(321)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증가하고, 이에따라 측정가능한 폐활량의 최소값과 최대값이 모두 증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s the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21 increases,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321 increases, and accordingly, both a minimum value and a maximum value of measurable lung capacity may increase.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제2통공(321)의 개도는 0 내지 4로 설정될 수 있다. 0은 제2통공(321)이 폐쇄된 경우이고, 4는 제2통공(321)이 최대로 개방된 경우이다. 즉, 0에서 4로 갈수록 폐쇄된 상태에서 시작하여 제2통공(321)의 개도는 순차적으로 증가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the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21 may be set to 0 to 4. 0 is when the second through hole 321 is closed, and 4 is when the second through hole 321 is opened to the maximum. That is, the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21 increases sequentially starting from 0 to 4 as it is closed.

제2통공(321)이 폐쇄된 경우에 A실린더의 플로터(800)가 상승하기 시작하는 경우에 폐활량계가 측정할 수 있는 최소 폐활량이 되고, A, B 및 C실린더의 플로터(800)가 모두 실린더(200) 상단까지 상승한 경우에 폐활량계가 측정할 수 있는 최대 폐활량이다.When the second through hole 321 is closed, when the plotter 800 of the cylinder A starts to rise, the spirometer becomes the minimum spirometer that can be measured, and the plotter 800 of the A, B, and C cylinders is all cylinders. (200) This is the maximum spirometer that the spirometer can measure when rising to the top.

제2통공(321)이 폐쇄된 경우의 폐활량계가 측정할 수 있는 최소 폐활량에서 최대 폐활량까지의 범위를 0차범위라 한다. 마찬가지로 제2통공(321)의 개도가 1 내지 4가 되는 경우에 폐활량계가 측정할 수 있는 최소 폐활량에서 최대 폐활량까지의 범위를 1차 내지 4차범위라 한다.When the second through hole 321 is closed, a range from a minimum spirometer to a maximum spirometer that can be measured by the spirometer is referred to as a zero-order range. Similarly, when the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21 is 1 to 4, the range from the minimum pulmonary capacity that the spirometer can measure to the maximum pulmonary capacity is referred to as the 1st to 4th range.

따라서, 실시예의 폐활량계는 제2통공(321)을 구비하고 제2통공(321)의 개도를 조절하여 0차 내지 4차범위의 폐활량 측정범위를 가질 수 있다. 0차범위의 최대값은 1차범위의 최소값보다 작고, 1차범위의 최대값은 2차범위의 최소값보다 작고, 2차범위의 최대값은 3차범위의 최소값보다 작고, 3차범위의 최대값은 4차범위의 최소값보다 작을 수 있다.Therefore, the spirometer of the embodiment may have a pulmonary capacity measurement range of 0 to 4 th order by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321 and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21. The maximum value of the 0th range is less than the minimum value of the 1st range, the maximum value of the 1st range is less than the minimum value of the 2nd range, the maximum value of the 2nd range is less than the minimum value of the 3rd range,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3rd range The value may be smaller than the minimum value in the fourth order range.

실시예에서, 폐활량계에 제2통공(3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공(321)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폐활량계가 측정할 수 있는 폐활량의 범위를 넓히고 다단계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cond through hole 321 is formed in the spirometer and b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21, the range of the spirometer that the spirometer can measure can be widened and multi-staged.

이로인해, 실시예에서는 폐활량계의 측정범위를 넓혀 다양한 사용자가 다양한 경우에 폐활량계를 사용할 수 있다.Due to this, in the embodiment, the measurement range of the spirometer is widened, so that various users can use the spirometer in various cases.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개폐레버(9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제2통공(321)이 4의 개도를 가진 상태를 나타내었다.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4. 6 is a side view of FIG. 5. 7 is a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900 of one embodiment. 4 to 6, the second through hole 321 has a state of opening 4.

개폐레버(900)는 상기 제2연통부(320)에 결합하여 상기 제2통공(321)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2통공(321)의 개도는 제2통공(321)이 외부로 개방된 면적의 크기를 의미한다. 제2통공(321)의 개도가 크면 제2통공(321)의 개방된 면적은 크고, 개도가 작으면 상기 면적은 작다.The opening/closing lever 90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ion 320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321. At this time, the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21 means the size of the area where the second through hole 321 is opened to the outside. When the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21 is large, the open area of the second through hole 321 is large, and when the opening degree is small, the area is small.

제2통공(321)의 개도가 클수록 제2통공(321)을 통해 제2연통부(3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시간당 유량은 증가하고, 따라서, 폐활량계가 측정할 수 있는 최소 폐활량값과 최대 폐활량값이 모두 증가한다.As the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21 increases, the hourly flow rate of air flowing into the second communicating part 320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321 increases, and thus, the minimum and maximum pulmonary capacity that the spirometer can measure. All values increase.

실시예에서는 제2통공(321)은 0 내지 4의 개도를 가지고 0은 제2통공(321)이 폐쇄된 상태이다. 제2통공(321)이 4의 개도를 가지는 경우, 폐활량계가 측정할 수 있는 최소 폐활량값과 최대 폐활량값이 모두 최대가 된다. 실시예에서 제2통공(321)의 개도는 0 내지 4에 제한되지 않고, 0 내지 1, 0 내지 2, 0 내지 3 또는 0 내지 5 또는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second through hole 321 has an opening degree of 0 to 4, and 0 i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through hole 321 is closed. When the second through hole 321 has an opening degree of 4, both the minimum spirometer value and the maximum spirometer value that the spirometer can measure become maximum. In an embodiment, the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21 is not limited to 0 to 4, and may have 0 to 1, 0 to 2, 0 to 3, or 0 to 5 or other values.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레버(900)는 개폐부(910), 연결부(920) 및 파지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opening/closing lever 900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part 910, a connecting part 920, and a gripping part 930.

개폐부(910)는 상기 제2연통부(32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2통공(321)의 개방된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개폐부(910)는 판형으로 구비되고, 제2연통부(32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제2통공(321)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어 제2통공(321)의 개방된 면적의 크기 즉,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portion 910 may slide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ion 320 to adjust the open area of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321. The opening/closing portion 910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slid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ion 320 to cover part or all of the second through hole 321 to adjust the size of the opened area of the second through hole 321, that is, the opening degree. You can.

다른 실시예로, 개폐부(910)는 일정한 폭을 가진 원호형상으로 구비되고, 제2연통부(320)에 대하여 회전하여 제2통공(321)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어 제2통공(321)의 개방된 면적의 크기 즉,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통공(321)의 형상은 상기 개폐부와 대응하는 원호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910 is provided in an arc shape having a constant width, and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ion 320 to cover a part or all of the second through hole 321 to cover the second through hole 321 The size of the open area, that is, the opening degree can be adjusted.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21 may be provid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연결부(920)는 일측은 상기 개폐부(910)와 결합하되 개폐부(910)로부터 돌출되고, 타측은 파지부(930)와 결합할 수 있다. 파지부(930)는 상기 연결부(920)로부터 절곡형성되고, 사용자는 파지부(930)를 움직여 개폐레버(900)의 이동을 조작할 수 있다. 파지부(930)는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표면에 요철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920 may be coupled to the opening/closing part 910 on one side but protruding from the opening/closing part 910, and the other side may be combined with the gripping part 930. The gripping portion 930 is bent from the connecting portion 920, and the user can manipulate the movement of the opening/closing lever 900 by moving the gripping portion 930. The gripping portion 930 may form a concavo-convex portion on the surfa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it using a finger or the like.

실시예에서 개폐부(910), 연결부(920) 및 파지부(930)는 예를 들어, 사출성형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opening/closing portion 910, the connecting portion 920, and the gripping portion 930 may be integrally formed through, for example, injection molding.

제2연통부(320)에는 개폐레버(900)가 장착되어 용이하게 제2통공(321)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홈(321)과 돌기(323)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is equipped with an opening/closing lever 900 so that the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21 can be easily adjusted,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mounting groove 321 and the protrusion ( 323) may be formed.

장착홈(321)은 상기 제2통공(321)을 형성하는 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910)가 장착되어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홈(321)은 상기 제2통공(321)을 형성하는 벽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groove 321 is formed on the wall surface forming the second through hole 321, and the opening/closing part 910 is mounted to provide a moving space. For example, the mounting groove 321 may be formed by recessing a part of the wall surface forming the second through hole 321.

장착홈(321)은 개폐부(910)와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개폐부(91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클리어런스(clearance)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Mounting groove 321 is formed to have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910, it may be formed to have an appropriate clearance (clearance)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910 can move smoothly.

돌기(323)는 상기 제2통공(321)을 형성하는 벽면 중 상기 장착홈(321)과 겹치지 않는 부위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돌기(323)는 예를 들어, 상기 제2통공(321)의 내벽 중 상기 연결부(920)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323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a portion of the wall surface forming the second through hole 321 that does not overlap the mounting groove 321. The protrusion 323 may be formed, for example, on a por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through hole 321 that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art 920.

이때, 돌기(323)는 상기 연결부(920)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레버(900)의 자유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돌기(323)는 연결부(920)를 향하여 돌출되므로, 상기 개폐레버(900)는 하중이나 경미한 외부충격에 의해 자유로이 이동할 수는 없고, 사용자가 일정 정도 이상의 힘을 가하여 파지부(930)를 움직여야 개폐레버(900)는 제2연통부(320) 상에서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jection 323 may limit the free movement of the opening/closing lever 900 by pressing the connecting portion 920. That is, since the protrusion 323 protrudes toward the connection portion 920, the opening/closing lever 900 cannot freely move due to a load or a slight external impact, and the user applies a force of a certain level or more to the gripping portion 930. The movable opening and closing lever 900 can be moved by sliding o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상기 돌기(323)는 상기 개폐레버(900)의 이동방향으로 설정된 이격거리를 가지며 다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323)가 각 단에서 상기 연결부(920)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레버(900)의 자유이동을 제한함에 따라, 상기 개폐레버(900)는 상기 제2통공(321)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protrusion 323 has a separation distance set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opening/closing lever 900 and may be provided in multiple stages. At this time, as the protrusion 323 presses the connecting portion 920 at each end to limit the free movement of the opening/closing lever 900, the opening/closing lever 900 opens the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21. Can be adjusted.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일정 정도의 힘을 가하여 파지부(930)를 밀어올리면 개폐레버(900) 전체가 위로 이동하여 제2통공(321)의 개도는 4에서 3으로 변경되고, 사용자가 그대로 두면 연결부(920)에 대한 돌기(323)의 가압력으로 인해 개폐레버(900)는 아래로 이동하지 않고 개도 3의 위치가 유지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when the user pushes the gripping part 930 by applying a certain degree of force, the entire opening/closing lever 900 moves upward to change the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21 from 4 to 3 When the user leaves it as it is, the opening/closing lever 900 does not move downward due to the pressing force of the projection 323 to the connection portion 920, and the position of the opening degree 3 is maintained.

다시, 사용자가 돌기(323)의 가압력보다 큰 힘을 가하여 파지부(930)를 밀어올리면 개폐레버(900) 전체가 위로 이동하여 제2통공(321)의 개도는 3에서 2로 변경될 수 있다.Again, when the user pushes the gripping part 930 by applying a force greater than the pressing force of the protrusion 323, the entire opening/closing lever 900 moves upward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21 may be changed from 3 to 2. .

상기한 구조로 사용자는 파지부(930)를 일정정도 이상의 힘으로 밀어올리거나 아래로 당겨 개폐레버(900)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통공(321)의 개도를 조절하고, 이에 따라 폐활량계가 측정할 수 있는 폐활량의 범위를 다단계로 할 수 있다.Wit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user adjusts the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21 by pushing the gripping part 930 up or down with a certain degree of force or moving the opening/closing lever 900 up and down, thereby measuring the spirometer. The range of lung capacity that can be done can be multi-staged.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Although only a few have bee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various other forms of implementation are possibl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combined in various forms, unless the technologies are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and may be implemented as a new embodiment.

100: 베이스
200: 실린더
210: 제1통공
300: 통기관
310: 제1연통부
320: 제2연통부
400: 지지대
500: 플렉시블호스
600: 마우스피스
700: 거치대
800: 플로터
900: 개폐레버
910: 개폐부
920: 연결부
930: 파지부
100: base
200: cylinder
210: first pass
300: clearance
310: first communication unit
320: second communication unit
400: support
500: flexible hose
600: mouthpiece
700: cradle
800: plotter
900: open/close lever
910: opening and closing
920: connection
930: gripping part

Claims (6)

복수로 구비되고, 하부에 제1통공이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플로터(floater);
상기 실린더의 일측과 연통되는 제1연통부와, 상기 제1연통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연통부에 대하여 절곡형성되며 제2통공이 형성되는 제2연통부를 포함하는 통기관;
상기 제2연통부와 연통되고 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플렉시블호스(flexible hose); 및
상기 제2연통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2통공의 개도(opening rate)를 조절하는 개폐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레버는,
상기 제2연통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또는 회전하여 상기 제2통공의 개방된 면적을 조절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통부는,
상기 제2통공을 형성하는 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가 장착되어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홈; 및 상기 제2통공을 형성하는 벽면 중 상기 장착홈과 겹치지 않는 부위에 돌출되고, 상기 연결부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레버의 자유이동을 제한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폐활량계.
A cylinder provided in plural and having a first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 floater accommodated in the cylinder and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A ventilation pipe including a first communication portion communicating with one side of the cylinder, and a second communication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portion and b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communication portion to form a second through hole;
A flexible hose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ion and provided to be deformable; And
It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lever for adjusting the opening rate of the second through hole coupl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ion,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An opening/closing part for sliding or rotating relative to the second communication part to adjust the open area of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And a connec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pening/closing por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 mounting groove formed on a wall surface forming the second through hole, and provided with a space for moving the opening/closing part;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portion of the wall surface forming the second through hole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mounting groove, and pressing the connecting portion to limit the free movement of the opening/closing le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가 배치되는 베이스;
일측이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1연통부와 결합하는 지지대;
상기 플렉시블호스의 일측에 결합하는 마우스피스; 및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마우스피스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거치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활량계.
According to claim 1,
A base on which the cylinder is disposed;
One side is coupled to the base, the other side is a support for engaging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portion;
A mouthpiece coupled to one side of the flexible hose; And
The cradle is disposed on the base and coupled so that the mouthpiece is detachable.
Spirometr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개폐레버의 이동방향으로 설정된 이격거리를 가지며 다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돌기가 각 단에서 상기 연결부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레버의 자유이동을 제한함에 따라, 상기 개폐레버는 상기 제2통공의 개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활량계.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 has a separation distance set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and is provided in multiple stages,
A spirometer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second through hole as the protrusion limits the free move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by pressing the connecting portion at each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공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2통공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써, 측정가능한 폐활량의 범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활량계.
According to claim 1,
A spirometer characterized by adjusting a range of measurable lung capacity by adjusting the opening of the second hole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second hole.
KR1020180058978A 2018-05-24 2018-05-24 Inspirometer KR1021178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978A KR102117834B1 (en) 2018-05-24 2018-05-24 Inspirometer
PCT/KR2019/003011 WO2019225843A1 (en) 2018-05-24 2019-03-15 Spirome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978A KR102117834B1 (en) 2018-05-24 2018-05-24 Inspirome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951A KR20190133951A (en) 2019-12-04
KR102117834B1 true KR102117834B1 (en) 2020-06-03

Family

ID=68615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978A KR102117834B1 (en) 2018-05-24 2018-05-24 Inspiromet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7834B1 (en)
WO (1) WO201922584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55475B (en) * 2021-01-04 2022-03-04 赵柏英 Breathing training device for cardiology department
CN114588598B (en) * 2022-04-11 2023-03-21 淮阴师范学院 Vocal music singing and broadcasting host vital capacity exercis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4607A (en) * 1976-02-11 1978-09-19 Chesebrough-Pond's Inc. Inhalation device
US4391283A (en) * 1981-03-24 1983-07-05 Whitman Medical Corporation Incentive spirometer
US4444202A (en) * 1982-03-31 1984-04-24 Howard Rubin Breathing exerciser
KR20090084308A (en) * 2008-01-31 2009-08-05 이두용 Flow rate regulator for ringer's solution
KR101821329B1 (en) * 2016-04-14 2018-01-2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uction device for absorptive power and has less tissue damage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951A (en) 2019-12-04
WO2019225843A1 (en)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3069B2 (en) Respiratory muscle endurance training device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US20210030983A1 (en) Volume-adjustable manual ventilation device
US8161966B2 (en) Respiratory muscle endurance training device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CN203291462U (en) Breathing training device
EP2760390B1 (en) Nasal insert
KR102117834B1 (en) Inspirometer
US8678005B2 (en) Adjustable tracheostomy valve
US20070169780A1 (en) Volume-adjustable manual ventilation device
US11964103B2 (en) Huff Cough simulation device
WO2018136112A1 (en) Emergency resuscitation apparatus with external volume control
US9233274B2 (en) Combination spirometer and PEP breathing exerciser
US10463912B2 (en) Bi-directional oxygenation apparatus for a non-intubated patient
KR102328600B1 (en) Patient customized peak flow meter
CN210331325U (en) Oxygen breathing mask
CN213759382U (en) Hospital nursing is with detaining back of body ware
EP3650084A1 (en) Device of respiratory physiotherapy
CN206138661U (en) Repeatedly usable's portable type far infrared tu na device
US20190381262A1 (en) A device for increasing the efficacy of a metered dose inhaler
EP4168136A1 (en) Voice therapy device and system
CN115666693A (en) Oxygen PEP casing
TWM477286U (en) Respiratory training device
TWM444848U (en) Respiratory training device
KR20170068908A (en) Induced nasal breathing device and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