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485B1 - 다중채널 초음파 자극기 - Google Patents

다중채널 초음파 자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485B1
KR102117485B1 KR1020180110361A KR20180110361A KR102117485B1 KR 102117485 B1 KR102117485 B1 KR 102117485B1 KR 1020180110361 A KR1020180110361 A KR 1020180110361A KR 20180110361 A KR20180110361 A KR 20180110361A KR 102117485 B1 KR102117485 B1 KR 102117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hannel
channels
ultrasonic
ultrasonic w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1398A (ko
Inventor
박주영
김창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to KR1020180110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485B1/ko
Priority to PCT/KR2019/001910 priority patent/WO2020054929A1/ko
Priority to EP19860576.8A priority patent/EP3851163A4/en
Publication of KR20200031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485B1/ko
Priority to US17/199,169 priority patent/US2021019698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47Ultrasound therapy interstit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56Beam shaping elements
    • A61N2007/0065Concave transdu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73Ultrasound therapy using multiple frequenc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78Ultrasound therapy with multiple treatment transdu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86Beam steering
    • A61N2007/0095Beam steering by modifying an excitation sign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암 등의 치료를 위한 약물치료의 효과를 높이는데 사용되는 초음파자극기에 관한 것으로,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 면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 구비되고 독립적으로 초음파를 외부로 조사하여 광범위한 초음파 음장을 형성하는 다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채널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 면에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상기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다수의 채널은 하우징의 오목한 형상에 따라 유방조직에 균일하게 자극하는 음장을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을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기를 통해 다수의 채널에서 조사되는 초음파의 범위를 넓히는 동시에 국부적인 자극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초음파의 출력 강도에 맞추어 다수의 채널의 초음파 조사 순서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통해 균일하면서 과도한 자극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채널 초음파 자극기{ULTRASOUND STIMULATOR HAVING MULTIPLE CHANNEL}
본 발명은 다중채널 초음파 자극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유방 등 신체부위의 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초음파 자극기에 있어서, 다수의 채널을 배열하여 초음파 자극의 효율을 높인 다중채널 초음파 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방암 등의 암 치료는 수술적 치료와 항암 치료로 나눌 수 있고, 항암 치료의 방법에는 약물을 투여하는 약물치료 방법이 있다.
이러한 항암 치료는 암세포의 재발 및 전이 방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데, 최근 초음파를 이용하여 신체에 기계적 진동과 열을 발생하여 근섬유의 활동성 자극을 통해 통증을 감소시키고 신체의 혈류량과 신경 전달 속도를 증가시켜 항암제의 치료 효과를 높이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84802호에서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에 이용되는 초음파 프로브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하우징의 상부에 구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프로브 유닛이 구비되어 하우징의 상부 형상에 의해 광범위한 초음파 음장을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프로브 유닛에서 초음파가 조사됨에 따라 사용자 신체 전반에 걸친 고른 자극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초음파 강도가 강한 경우 사용자의 신체 조직 내부에 과도한 자극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3450호에서는 유방암 진단을 위한 초음파 스캐닝 보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스캐닝 보조장치는 유방에 부착되는 고정용 용기의 내부에 초음파가 조사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는 휴대가 불편하고, 초음파가 특정 위치에서 조사되어 사용자 신체에 대한 고른 자극을 수행할 수 없으며 초음파 강도에 따라 유동적인 대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문헌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84802(공개일:2011.07.26.) (문헌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03450(공개일:2015.01.09.)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용이하고 초음파의 강도에 따라 유동적으로 초음파 조사 시퀀스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담을 감소시키는 다중채널 초음파 자극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채널을 통해 초음파를 조사하더라도 사용자의 신체 전반에 걸쳐 고른 자극이 가능한 다중채널 초음파 자극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하우징 및 하우징의 내측 면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 구비되고 독립적으로 초음파를 외부로 조사하여 광범위한 초음파 음장을 형성하는 다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다수의 채널은 하우징의 내측 면에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또한, 다수의 채널은, 하우징의 중심으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되고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군과 하우징의 중심으로부터 제2거리만큼 이격되고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제2군으로 구분되며, 제2거리는 제1거리보다 길고, 제2군은 인접한 제1군과의 거리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채널 각각에 연결되고 외부 전력을 충전하여 채널로 공급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채널은 충전부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초음파로 변환하여 외부로 조사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에 연결되며 하우징을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채널의 초음파 조사 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다수의 채널 객체별로 초음파를 조사시켜 초음파 조사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의 설정된 시퀀스는, 채널에서 근접한 채널로 하우징의 둘레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초음파를 조사하되, 채널에서 조사되는 초음파의 출력 값이 증가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초음파를 조사하는 채널들의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회전기를 통해 하우징을 회전시켜 다수의 채널의 위치가 가변되므로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자극을 신체 전반에 걸쳐 균일하게 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에서 설정된 시퀀스에 맞추어 초음파의 조사 강도에 따라 채널의 조사 순서가 변경되므로 사용자의 신체에 과도한 자극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자극기를 통하여 신체 자극을 선행하여 암 치료에 대한 약물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초음파 자극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된 다수의 채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초음파 자극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회전에 따른 초음파의 조사범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시퀀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초음파 자극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된 다수의 채널(200)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도 2에서는 (a)에서 상기 채널(200)의 배열 개념을 나타내고, (b)에서 상기 채널(200)에서 조사되는 초음파의 조사방향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초음파 자극기는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하우징(1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면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 구비되고 독립적으로 초음파를 외부로 조사하여 광범위한 초음파 음장을 형성하는 다수의 채널(200)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채널(2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면에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수의 채널(200)은 동시에 조사하는 것 보다는 순차적으로 일정 순서를 가지며 초음파를 조사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부담을 경감하며 고른 초음파 자극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100)은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고 상기 오목한 형상의 내측에 사용자의 신체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오목한 정도는 사용자의 신체, 특히 유방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고정부(3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31)는 연성을 갖는 완충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완충소재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331)는 상기 하우징(10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고정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하우징(100)과 별개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고정부(331)를 상기 사용자의 가슴 위치에 고정시킨 후 상기 사용자의 유방을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채널(200)에서 조사되는 초음파를 통한 자극을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사용자의 유방과 일정 거리 이격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채널(2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일정 배열을 이루면서 구비되어 초음파를 조사한다. 상기 채널(200)은 서로 이격 구비되며 서로 독립적으로 초음파를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채널(200)은 전력을 공급받아 초음파로 변환 및 조사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진동에너지나 열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채널(200)은 압전효과를 이용하여 전압을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며, 이에 따라 특정 진동수를 갖는 초음파를 외부로 조사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채널(200)은 입력되는 전압을 변환하는 전압변환부와 변환된 전압에 따라 설정된 초음파를 형성하는 트랜스듀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변환되는 전압이나 초음파의 강도를 조절하는 신호증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다수의 채널(2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일정 배열을 이루면서 배치되는데,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의 채널(200)은, 상기 하우징(100)의 중심으로부터 제1거리(D1)만큼 이격되고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군(210)과 상기 하우징(100)의 중심으로부터 제2거리(D2)만큼 이격되고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제2군(2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거리(D2)는 상기 제1거리(D1)보다 길고, 상기 제1군(210)을 이루는 채널(200)은 상기 제2군(220)을 이루는 채널(200)보다 상기 하우징(100)의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가깝다. 또한, 상기 제1군(210)을 이루는 채널(200)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군(220)을 이루는 채널(200)들 사이의 간격보다 가까우며, 상기 제2군(220)은 인접한 상기 제1군(210)과의 거리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다수의 채널(200)은 상기 하우징(10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된 지그재그 배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거리(D2)와 제1거리(D1)의 차이는 상기 채널(200)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초음파의 조사범위 확보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의 채널(200)은 모두 16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1군(210)을 이루는 채널(200)과 제2군(220)을 이루는 채널(200)은 각각 8개일 수 있다. 상기 채널(20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군(210)을 이루는 채널(200)과 제2군(220)을 이루는 채널(200)에서 각각 조사된 초음파는 상기 하우징(100)의 오목한 형상에 따라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 임의의 한 점에 집중될 수 있으며, 상기 임의의 한 점은 상기 하우징(100)의 중심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상기 집중되는 한 점에 모든 채널(200)이 동시에 초음파를 조사하는 것은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채널 초음파 자극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의 회전에 따른 초음파의 조사범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00)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100)을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300)는 상기 하우징(100)을 회전시켜 상기 하우징(100)에서 지그재그 배열을 이루는 다수의 채널(200)을 회전시켜 초음파의 국부적인 조사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초음파의 균일한 조사범위와 강도를 확보한다. 즉, 상기 제1군(210)과 제2군(220)으로 구분되는 다수의 채널(200)이 상기 하우징(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초음파의 조사 범위가 확대될 수 있으며, 동일한 조사 범위에서 상기 채널(200)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200)에서 조사되는 초음파는 점이 아닌 면의 범위로 확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채널(200)이 정해진 위치에서 초음파를 조사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는 채널(200)의 위치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만 자극을 받게 되는데, 상기 회전기(300)를 통한 하우징(100)의 회전으로 상기 채널(200)의 위치가 가변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면의 범위로 보다 넓은 범위의 자극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전반에 걸쳐 고른 초음파 자극을 수행할 수 있어 국부적 자극에 따른 사용자 신체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고른 자극을 통해 약물 효과를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회전기(3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100)의 중심에 연결된 회전축(310) 및 상기 회전축(310)에 연결되며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모터(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모터(320)를 지지하는 지지커버(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32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거나 자체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지지커버(330)는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커버(330)가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100)의 회전에 따른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커버(330)와 사용자 신체의 고정은 상기 지지커버(330)에 탄성밴드(400)를 연결하거나 끈 등을 연결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체결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과 지지커버(330) 사이 또는 상기 회전축(310)과 지지커버(330) 사이에는 베어링(B)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커버(330)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는 형상을 갖고, 상기 지지커버(330)의 일측에는 상술한 고정부(33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4의 (a)와 (b)는 상기 하우징(100)의 회전 전후 상태에서 각각 초음파의 조사범위를 나타내며, 도 4의 (c)에서는 상기 하우징(100)이 회전됨에 따라 하우징(100)의 회전 전 상태의 초음파 조사범위와 하우징(100)의 회전 후 초음파의 조사범위가 더해지는 결과를 나타내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기(300)를 이용한 상기 하우징(100)의 회전은 상기 하우징(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π/8(radian)씩 단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회전은 연속적이어도 무방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의 채널(200)의 개수가 16개인 경우 상기 제1군(210)을 이루는 채널(200)과 인접한 제2군(220)을 이루는 채널(200)의 각도는 π/8(radian)이고, 상기 회전기(300)를 통한 하우징(100)의 회전을 π/8(radian)로 설정하여 상기 회전기(300)를 통한 회전 전 후에 각각 초음파를 조사하는 경우 상기 제1군(210)과 제2군(220)을 이루는 채널(200)에서 조사되는 초음파의 조사범위가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회전모터(320)의 동작은 후술하는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회전기(300)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우징(100)을 회전시키는 목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으며, 다양한 구성이 추가 또는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의 채널(200) 각각에 연결되고 외부 전력을 충전하여 상기 채널(200)로 공급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채널(200)은 상기 충전부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초음파로 변환하여 외부로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충전부는 상기 채널(200) 각각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되어 상기 채널(200)로 직접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거나 상기 지지커버(330)에 연결되어 무선 등의 간접방식으로 상기 채널(20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00)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00)의 시퀀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도 6에서는 (a)에서 채널(200)의 다수의 채널(200)을, (b)에서 다수의 채널(200)의 조사순서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다수의 채널(200)의 초음파 조사 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된 채널(2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상기 다수의 채널(200) 객체별로 초음파를 조사시켜 초음파 조사 강도를 조절한다.
상기 제어부(500)를 통하여 독립적으로 초음파가 조사되는 채널(200)은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선택적으로 초음파를 조사할 수 있는 동시에, 선택적으로 초음파가 조사되는 채널(200)의 초음파의 강도를 달리하여 초음파를 이용한 신체 자극 정도를 위치별로 달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중 암 등이 발생된 위치에 집중적으로 초음파를 조사하거나, 신체부위 중 자극에 취약한 부분은 상대적으로 초음파의 조사 강도를 낮추는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500)를 통한 상기 채널(200)의 초음파 조사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500)의 설정된 시퀀스는, 상기 채널(200)에서 근접한 채널(200)로 상기 하우징(1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초음파를 조사하되, 상기 채널(200)에서 조사되는 초음파의 출력 값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순차적으로 초음파를 조사하는 채널(200)들의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500)는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상기 채널(200)을 통한 초음파의 조사 순서를 변경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 상기 다수의 채널(200)이 16개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다수의 채널(200)은 1번부터 16번까지 상기 하우징(100) 내측에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됨을 가정한다. 상기 다수의 채널(200) 중 홀수번의 채널(200)은 제1군(210)을 이루며 짝수번의 채널(200)은 제2군(220)을 이루며, 상기 제1군(210)을 이루는 채널(200) 사이사이에 상기 제2군(220)을 이루는 채널(200)이 배치된다. 상기 제1군(210)을 이루는 채널(200)과 인접한 제2군(220)을 이루는 채널(200)의 간격은 상기 하우징(100)을 중심을 기준으로 π/8(radia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00)이 π/8(radian)씩 회전한다고 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에 따라 지그재그로 배치된 다수의 채널(200) 사이사이의 간격에 상기 채널(200)이 위치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회전각도 π/8(radian)은 π/16(radian) 등으로 초음파 조사 조건과 목적 또는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제1모드(510), 제2모드(520) 및 제3모드(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드(510)는 초음파의 출력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를 의미하고, 상기 제2모드(520)는 초음파의 출력 강도가 상대적으로 중간인 경우를 의미하고, 상기 제3모드(530)는 초음파의 출력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제1모드(510)는 제1시퀀스(511)에 따라 상기 채널(200)을 작동시키는데, 상기 제1시퀀스(511)는 상기 다수의 채널(200)의 작동을 1번부터 16번까지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이 경우 상기 채널(200)에서 조사되는 초음파의 강도는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1번채널(200)을 통해 초음파 자극을 가한 후 인접한 2번채널(200)을 통해 초음파 자극을 가하더라도 사용자의 신체가 느끼는 진동이나 열에 의한 부담은 미미하다.
상기 제2모드(520)는 제2시퀀스(521)에 따라 상기 채널(200)을 작동시키는데, 상기 제2시퀀스(521)는 상기 다수의 채널(200)의 작동이 1, 3, 5, 7, 9, 11, 13, 15, 6, 8, 10, 12, 14, 16, 2, 4, 등의 순서로 진행하도록 한다. 상기 제2시퀀스(521)의 경우 상기 제1시퀀스(511)와 비교할 때 초음파를 조사하는 채널(200)의 간격을 증가시켜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시킨다. 즉, 1번채널(200)을 통해 중간강도의 초음파가 조사된 경우 근접한 2번채널(200)에서 연이어 초음파가 조사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간격이 큰 3번채널(200)에서 초음파를 조사하는 것이 사용자의 신체 부담이 경감되며, 상기 제2모드(520)를 통해 제어부(500)에서 초음파의 강도에 맞추어 각 채널(200)의 순차적 초음파 조사 간격을 조절한다. 상기 제2모드(520)를 통한 제2시퀀스(521)에서 순차적으로 작동되는 다수의 채널(200) 간 이격거리는 상기 하우징(100)의 중심으로부터 45도 이상 90도이하 일 수 있다.
상기 제3모드(530)는 제3시퀀스(531)에 따라 상기 채널(200)을 작동시키는데, 상기 제3시퀀스(531)는 작동되는 다수의 채널(200)을 1, 5, 9, 13, 3, 7, 11, 15, 2, 6, 10, 14, 16, 4, 8, 12, 등의 순서로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3모드(530)에서 초음파의 강도는 상대적으로 크고, 초음파의 강도가 커짐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는 신체 자극의 부담은 더욱 커지므로 상기 제어부(500)를 통해 초음파가 조사되는 채널(200)의 간격은 상기 제3시퀀스(531)에서 상기 제2시퀀스(521)보다 증가된다. 상기 제3모드(530)를 통한 제3시퀀스(531)에서 순차적으로 작동되는 다수의 채널(200) 간 이격거리는 상기 하우징(100)의 중심으로부터 90도 이상 180도 미만일 수 있다.
위와 같이 초음파의 강도에 따라 초음파가 조사되는 채널(200)의 간격을 가변시키는 제어부(500)는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는 동시에 신체 전반에 걸쳐 고른 초음파 자극이 가해지도록 하여 약물 흡수 등의 효과를 증가시킨다. 상기 제1모드(510) 내지 제3모드(530)의 시퀀스는 본 발명에서 하나의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 내에서 상술한 채널(200)의 개수와 초음파 조사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100 : 하우징 200 : 채널
210 : 제1군 220 : 제2군
300 : 회전기 310 : 회전축
320 : 회전모터 330 : 지지커버
331 : 고정부
400 : 탄성밴드
500 : 제어부 510 : 제1모드
511 : 제1시퀀스 520 : 제2모드
521 : 제2시퀀스 530 : 제3모드
531 : 제3시퀀스
D1 : 제1거리 D2 : 제2거리
B : 베어링

Claims (6)

  1.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 면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 구비되고 독립적으로 초음파를 외부로 조사하여 초음파 음장을 형성하는 다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채널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된 지그재그 배열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의 중심으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되고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군과, 상기 하우징의 중심으로부터 제2거리만큼 이격되고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제2군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2거리는 상기 제1거리보다 길고, 상기 제1군을 이루는 채널의 개수와 상기 제2군을 이루는 채널의 개수는 서로 동일하며, 상기 제2군을 이루는 각각의 채널은 상기 제1군을 이루는 인접한 채널과의 이격 거리가 동일하며,
    상기 다수의 채널의 초음파 조사 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상기 다수의 채널 객체별로 초음파를 조사시켜 초음파 조사 강도를 조절하며,
    상기 제어부의 설정된 시퀀스는,
    상기 채널에서 근접한 채널로 상기 하우징의 둘레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초음파를 조사하되,
    상기 채널에서 조사되는 초음파의 출력 값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순차적으로 초음파를 조사하는 채널들의 간격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채널 초음파 자극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채널 각각에 연결되고 외부 전력을 충전하여 상기 채널로 공급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상기 충전부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초음파로 변환하여 외부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채널 초음파 자극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을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채널 초음파 자극기.
  5. 삭제
  6. 삭제
KR1020180110361A 2018-09-14 2018-09-14 다중채널 초음파 자극기 KR102117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361A KR102117485B1 (ko) 2018-09-14 2018-09-14 다중채널 초음파 자극기
PCT/KR2019/001910 WO2020054929A1 (ko) 2018-09-14 2019-02-18 다중채널 초음파 자극기
EP19860576.8A EP3851163A4 (en) 2018-09-14 2019-02-18 MULTI-CHANNEL ULTRASONIC STIMULATOR
US17/199,169 US20210196988A1 (en) 2018-09-14 2021-03-11 Multi-channel ultrasound stimu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361A KR102117485B1 (ko) 2018-09-14 2018-09-14 다중채널 초음파 자극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398A KR20200031398A (ko) 2020-03-24
KR102117485B1 true KR102117485B1 (ko) 2020-06-02

Family

ID=6977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361A KR102117485B1 (ko) 2018-09-14 2018-09-14 다중채널 초음파 자극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196988A1 (ko)
EP (1) EP3851163A4 (ko)
KR (1) KR102117485B1 (ko)
WO (1) WO20200549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13117A1 (de) 2016-07-15 2018-01-18 Samson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r Stellantrieb und Stellgerät mit einem elektrischen Stellantrieb
KR102414954B1 (ko) * 2021-11-30 2022-07-01 주식회사 모세메디 초음파 와류에너지 투입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832B1 (ko) * 2016-06-28 2017-12-13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Hifu를 이용한 초음파 치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326A (ko) * 2009-12-24 2011-06-30 주식회사 알디에스코리아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 시스템
KR101214458B1 (ko) * 2010-01-18 2012-12-21 주식회사 휴먼스캔 초음파 프로브
TW201243371A (en) * 2011-04-19 2012-11-01 Univ Chang Gung Multi-channel ultrasonic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KR20130026327A (ko) * 2011-09-05 2013-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음파 의료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86096B1 (ko) 2013-07-01 2020-12-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방암 진단을 위한 초음파 스캐닝 보조 장치 및 초음파 스캐닝 방법
KR101935375B1 (ko) * 2016-02-01 2019-01-07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Hifu와 초음파 영상을 위한 초음파 치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236467A1 (en) * 2016-04-22 2017-10-25 Cardiawave Ultrasound imaging and therapy device
EP3476436B1 (en) * 2016-06-28 2023-11-15 Sogang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Ultrasonic therapy device using hifu
US11272904B2 (en) * 2017-06-20 2022-03-15 Insightec, Ltd. Ultrasound focusing using a cross-point switch matrix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832B1 (ko) * 2016-06-28 2017-12-13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Hifu를 이용한 초음파 치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398A (ko) 2020-03-24
US20210196988A1 (en) 2021-07-01
EP3851163A4 (en) 2021-11-03
WO2020054929A1 (ko) 2020-03-19
EP3851163A1 (en) 202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9492B2 (ja) 治療微小振動装置
JP5912019B2 (ja) 治療用の微振動装置
US8649876B2 (en) Leadless system for deep brain stimulation using time reversal acoustics
JP5248491B2 (ja) シーケンス機能を有する治療装置
ES2458629T3 (es) Transductor de ultrasonidos de frecuencia dual
JP2016152941A (ja) 脳刺激システム
US20110270138A1 (en) Ultrasound macro-pulse and micro-pulse shapes for neuromodulation
US20120083719A1 (en) Ultrasound-intersecting beams for deep-brain neuromodulation
US20120053391A1 (en) Shaped and steered ultrasound for deep-brain neuromodulation
KR102117485B1 (ko) 다중채널 초음파 자극기
US20130079682A1 (en) Ultrasound-neuromodulation techniques for control of permeability of the blood-brain barrier
WO2017113179A1 (zh) 头戴式超声刺激设备及系统
CN107073290A (zh) 超声波套筒及利用其的超声波治疗头
CN105536156A (zh) 一种基于大规模面阵元的超声脑刺激或调控方法及装置
JP2023111991A (ja) トランスフェクションおよび薬剤送達用の新規デバイス
KR102411326B1 (ko) 다중 주파수 초음파 발생이 가능한 원통형 초음파 발진 프로브
KR102117636B1 (ko) 초음파 치료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치료 장치
US20210236861A1 (en) Portable ultrasonic stimulator
KR20150087897A (ko) 음파를 이용한 국소 진동기
KR102054002B1 (ko) 집속초음파를 이용한 관절염 치료기
KR102049345B1 (ko) 유방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초음파 장치
KR20200077863A (ko) 휴대용 초음파 자극기
KR102436432B1 (ko) 휴대용 초음파 자극기
KR102535255B1 (ko) 초음파 마사지 장치
JP3582796B2 (ja) 癌治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