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385B1 - 협대역 동기화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 - Google Patents

협대역 동기화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385B1
KR102116385B1 KR1020187020680A KR20187020680A KR102116385B1 KR 102116385 B1 KR102116385 B1 KR 102116385B1 KR 1020187020680 A KR1020187020680 A KR 1020187020680A KR 20187020680 A KR20187020680 A KR 20187020680A KR 102116385 B1 KR102116385 B1 KR 102116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ss
sss
frame
subframes
synchroniz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7662A (ko
Inventor
안수만 아디카리
이-핀 에릭 왕
싱친 린
니클라스 요한손
애즈비욘 그뢰브렌
유타오 수이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180097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3Acquisition of primary synchronisation channel, e.g. detection of cell-ID within cell-ID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6Acquisition of secondary synchronisation channel, e.g. detection of cell-ID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네트워크 노드(10)가 다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협대역 1차 동기화 신호(NB-PSS) 및 협대역 2차 동기화 신호(NB-SSS)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PSS를 NB-P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매핑한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또한 NB-SSS를 NB-PSS가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NB-S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매핑한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SSS를 NB-PSS가 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과 상이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매핑함으로써 그와 같이 행한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이 매핑에 따라,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NB-PSS 및 NB-SSS를 송신한다.

Description

협대역 동기화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동기화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의 협대역 1차 동기화 신호 및 협대역 2차 동기화 신호의 송신 및 수신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셀들 중 하나를 찾아서 동기화하기 위해 셀 탐색(cell search)으로 알려진 절차를 수행한다. 셀과 동기화하는 것은 디바이스의 송신 및 수신 타이밍을 셀의 송신 및 수신 타이밍과 동기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송신들은 "프레임들"(예를 들어, 10ms)의 관점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의 세분성(granularity)에서,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1ms)의 관점에서는 더 낮은 레벨의 세분성에서, "심볼들"의 관점에서는 훨씬 더 낮은 레벨의 세분성에서 특정되는 타이밍 구조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동기화는 셀의 프레임 및 심볼 타이밍을 취득하는 것(즉, 셀의 프레임 구조로 심볼-레벨 타이밍 정렬을 취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동기화는 또한 셀에 대한 주파수 동기화를 취득하는 것(예를 들어,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는 것), 셀의 식별자를 획득하는 것, 및 절대 프레임 번호 레퍼런스를 취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셀 탐색은 전형적으로 검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공지된 시퀀스를 주기적으로 송신함으로써 달성된다. 하나 이상의 공지된 시퀀스는 집합적으로 "동기화 신호"로 지칭된다. 일부 시스템들에서, 동기화 신호는 동기화에서 상이한 목적들을 제공하는 다수의 상이한 컴포넌트 신호들을 포함한다. 광대역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xing)(WCDMA) 및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 시스템들과 같은 일부 시스템들에서, 이들 컴포넌트 신호들은 1차 동기화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PSS) 및 2차 동기화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SSS)를 포함한다. PSS는 단독으로,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심볼 기반의) 거친 해상도에서 타이밍 동기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반면, PSS는 SSS와 함께 (예를 들어, 프레임 기반의) 보다 미세한 해상도에서 타이밍 동기화를 용이하게 한다.
동기화는 특정 맥락들에서 어려움을 드러낸다. 특히, 셀룰러 통신 시스템들은 현재 머신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MTC)을 위해 개발되고 개선되고 있다. MTC는, 예를 들어, 모바일 광대역보다 데이터 레이트들에 대한 요구는 더 낮지만, 예를 들어, 저비용 디바이스 설계, 더 양호한 커버리지, 및 배터리 충전 또는 교체 없이 배터리들로 수년 동안 동작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해서는 요구사항들이 더 많다는 특징이 있다. 현재, 제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는 현재의 LTE 무선 액세스 기술과의 역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MTC 타입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해 제안되는 모든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band Internet of Things)(NB-IoT)이라고 불리는 피처를 표준화하고 있다. NB-IoT 송신들은 광대역 LTE 송신의 대역 내(in-band)에서, 광대역 LTE 송신의 가드 대역 내에서 또는 독립형 스펙트럼에서 발생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NB-IoT 디바이스들은 매우 낮은 신호 대 잡음비(SNR)들에서 동작해야 할 수 있기 때문에, NB-IoT 환경에서의 동기화는 어려움을 드러낸다. 이것은 협대역 동기화 신호 설계가 광범위한 SNR들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매우 견고하되, 역 호환성 또한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공지된 협대역 동기화 신호 설계들로는 부족하다.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는 다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협대역 1차 동기화 신호(narrowband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NB-PSS) 및 협대역 2차 동기화 신호(narrowband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NB-SSS)를 송신한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NB-PSS를 NB-P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매핑한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유사하게 NB-SSS를 NB-S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매핑한다. 이것은 NB-PSS가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한다(즉, NB-PSS 및 NB-SSS는 동기화 신호 주기 내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대해 동일한 프레임에서 송신된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NB-SSS를 NB-PSS가 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과 상이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매핑함으로써 이를 달성한다. 그 다음,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이 매핑에 따라,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NB-PSS 및 NB-SSS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NB-PSS가 송신되는 프레임마다 하나 걸러 NB-SSS를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NB-PSS 및 NB-SSS를 송신하는 것은 유리하게는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더 높은 동기화 신호 밀도를 용이하게 한다. 실제로, NB-PSS 및 NB-SSS를 상이한 서브프레임들(즉, 시간적으로 상이한 서브프레임 포지션들을 가짐)에서 송신함으로써, NB-PSS 송신 밀도는 NB-SSS 송신과의 잠재적인 충돌에 의해 제약받지 않는다. 실제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NB-PSS는 동기화 신호 주기의 매 프레임 내에서 송신되기도 한다. NB-PSS를 시간적으로 더 높은 밀도로 송신하면 낮은 SNR에도 불구하고 더욱 견고한 것으로 판명되는 동기화로 전환된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명세서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예를 들어, 역 호환성을 보장하거나 적어도 최대화하기 위해 NB-PSS 및 NB-SSS를 특정 선택 서브프레임들에 매핑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NB-PSS 및 NB-SSS 각각을, 저간섭 서브프레임들로서 구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않거나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가능한 시분할 듀플렉스 구성들 전부 또는 대부분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인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배타적으로 매핑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NB-PSS 및 NB-SSS 각각을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한 시스템 정보의 송신이 결여되는 서브프레임들에 배타적으로 매핑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동기화 신호 주기의 매 프레임마다 NB-PSS를 송신한다. 대안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동기화 신호 주기의 홀수 프레임들에서만 NB-PSS를 송신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동기화 신호 주기의 단지 하나의 프레임에서만 NB-SSS를 송신한다. 대안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NB-P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에서 NB-SSS를 송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동기화 신호 주기의 짝수 프레임들에서만 NB-SSS를 송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NB-SSS를 NB-S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단일 서브프레임에만 매핑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NB-SSS를 NB-S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 9에 매핑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NB-PSS를 NB-P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단일 서브프레임에만 매핑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NB-PSS를 NB-P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 5에 매핑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NB-PSS를 단일 서브프레임에만 매핑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2개의 기본 NB-PSS 시퀀스의 합으로부터 NB-PSS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NB-PSS 및 NB-SSS 각각을, 저간섭 서브프레임들로서 구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가능한 시분할 듀플렉스 구성들 전부 또는 대부분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인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배타적으로 매핑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NB-PSS 및 NB-SSS 각각을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한 시스템 정보의 송신이 결여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배타적으로 매핑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NB-PSS를 상이한 기본 NB-PSS 시퀀스들로서 생성하고, 동기화 신호 주기의 상이한 프레임들에서 기본 NB-PSS 시퀀스들 중 상이한 각각의 것을 송신함으로써 NB-PSS를 송신하되, 여기서 임의의 주어진 프레임에서는 하나의 기본 NB-PSS 시퀀스만이 송신된다. 이 경우, 상이한 기본 NB-PSS 시퀀스들은 2개의 기본 NB-PSS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동기화 신호 주기의 선택 프레임들 내에서 NB-PSS를 송신할 수 있다. 그 다음,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2개의 기본 NB-PSS 시퀀스 중 하나를 송신하는 것과 2개의 기본 NB-PSS 시퀀스 중 다른 하나를 송신하는 것 사이에서 선택 프레임들마다 하나 걸러 교대로 반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나타내기 위해 NB-PSS 및/또는 NB-SSS를 송신한다.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협대역 송신들이 광대역 송신의 대역 내에 있는지, 광대역 송신의 가드 대역 내에 있는지 또는 독립형인지를 나타내는 협대역 배치 타입; 광대역 송신의 대역 내에 위치되는 협대역 송신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송신 자원 인덱스; 및 무선 네트워크 노드가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모드에서 동작하는지 또는 시분할 듀플렉싱 모드에서 동작하는지를 나타내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NB-PSS 및 NB-SSS와 함께 송신할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길이를 선택한다. 이 경우에,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선택된 길이에 관계없이 동일한 하나 이상의 기본 NB-PSS 시퀀스들을 사용하지만, 상이한 선택된 길이들에 대해 상이한 펑처링 패턴들을 사용함으로써, 상이한 선택된 길이들에 대해 상이한 방식들로 NB-PSS를 생성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상이한 선택된 길이들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NB-SSS를 생성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들 중 일부 또는 전부에서, NB-PSS 및 NB-SSS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IoT) 동기화 신호들일 수 있다. 이 경우, 동기화 신호 주기는 80ms일 수 있고, 프레임은 10ms일 수 있고, 서브프레임은 1ms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협대역 1차 동기화 신호(NB-PSS) 및 협대역 2차 동기화 신호(NB-SSS)를 수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방법은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NB-PSS 및 NB-SSS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NB-PSS가 수신되는 프레임마다 하나 걸러 NB-SSS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NB-PSS가 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NB-PSS를 디매핑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반한다. 본 방법은 또한 NB-PSS가 디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과 상이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NB-SSS를 디매핑함으로써, NB-PSS가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NB-SSS가 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NB-SSS를 디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동기화 신호 주기의 매 프레임마다 NB-PSS를 수신한다. 대안적으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동기화 신호 주기의 홀수 프레임들에서만 NB-PSS를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동기화 신호 주기의 짝수 프레임들에서만 NB-SSS를 수신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동기화 신호 주기의 하나의 프레임에서만 NB-SSS를 수신한다. 대안적으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NB-PSS가 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에서 NB-SSS를 수신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NB-SSS가 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단일 서브프레임으로부터만 NB-SSS를 디매핑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NB-SSS가 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 9로부터 NB-SSS를 디매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NB-PSS가 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단일 서브프레임으로부터만 NB-PSS를 디매핑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NB-PSS가 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 5로부터 NB-PSS를 디매핑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일 서브프레임으로부터만 NB-PSS를 디매핑하기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2개의 기본 NB-PSS 시퀀스의 합으로부터 NB-PSS를 복원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저간섭 서브프레임들로서 구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가능한 시분할 듀플렉스 구성들 전부 또는 대부분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인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배타적으로 NB-PSS 및 NB-SSS 각각을 디매핑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한 시스템 정보의 송신이 결여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배타적으로 NB-PSS 및 NB-SSS 각각을 디매핑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NB-PSS를 상이한 기본 NB-PSS 시퀀스들로서 복원하고, 동기화 신호 주기의 상이한 프레임들에서 기본 NB-PSS 시퀀스들 중 상이한 각각의 것을 수신함으로써 NB-PSS를 수신하되, 임의의 주어진 프레임에서는 하나의 기본 NB-PSS 시퀀스만이 수신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이한 기본 NB-PSS 시퀀스들은 2개의 기본 NB-PSS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동기화 신호 주기의 선택 프레임들 내에서 NB-PSS를 수신할 수 있고, 2개의 기본 NB-PSS 시퀀스들 중 하나를 수신하는 것과 2개의 기본 NB-PSS 시퀀스들 중 다른 하나를 수신하는 것 사이에서 선택 프레임들마다 하나 걸러 교대로 반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NB-PSS 및/또는 NB-SSS로부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협대역 송신들이 광대역 송신의 대역 내에 있는지, 광대역 송신의 가드 대역 내에 있는지 또는 독립형인지를 나타내는 협대역 배치 타입; 광대역 송신의 대역 내에 위치되는 협대역 송신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송신 자원 인덱스; 및 무선 네트워크 노드가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모드에서 동작하는지 또는 시분할 듀플렉싱 모드에서 동작하는지를 나타내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수신된 NB-PSS 및 NB-SSS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공되는 셀의 프레임 및 심볼 타이밍을 취득한다.
이들 실시예들 중 일부 또는 전부에서, NB-PSS 및 NB-SSS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IoT) 동기화 신호들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동기화 신호 주기는 80ms일 수 있고, 프레임은 10ms일 수 있고, 서브프레임은 1ms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또한 다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협대역 1차 동기화 신호(NB-PSS) 및 협대역 2차 동기화 신호(NB-SSS)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NB-PSS를 NB-P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매핑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NB-SSS를 NB-PSS가 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과 상이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매핑함으로써, NB-SSS를 NB-PSS가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NB-S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매핑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이 매핑에 따라,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NB-PSS 및 NB-SSS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NB-SSS를 NB-PSS가 송신되는 프레임마다 하나 걸러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다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협대역 1차 동기화 신호(NB-PSS) 및 협대역 2차 동기화 신호(NB-SSS)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추가로 포함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NB-PSS 및 NB-SSS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NB-PSS가 수신되는 프레임마다 하나 걸러 NB-SSS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NB-PSS가 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NB-PSS를 디매핑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NB-PSS가 디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과 상이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NB-SSS를 디매핑함으로써, NB-PSS가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NB-SSS가 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NB-SSS를 디매핑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다수의 NB-IoT 동기화 신호 배치 설계들을 포함하여, 공지된 설계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전술한 단점을 해결한다. 또한, TDD 및 확장 CP의 지원이 고려된다.
도 1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의 로직 흐름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동기화 신호 매핑들의 블록도들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신호 매핑들에서 고려되는 상이한 서브프레임 제약들의 블록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동기화 신호 매핑들의 블록도들이다.
도 6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신호 매핑의 블록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동기화 신호 매핑들의 블록도들이다.
도 8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신호 생성의 블록도이다.
도 9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의 로직 흐름도이다.
도 10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10)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12)를 예시한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예를 들어, 협대역 사물 인터넷(IoT)을 위해 협대역 1차 동기화 신호(NB-PSS)(14) 및 협대역 2차 동기화 신호(NB-SSS)(16)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노드의 배치 모드에 따라, 이러한 협대역 신호들(14, 16)은 독립형 스펙트럼(예를 들어, GSM으로부터 재구성됨)에서, 광대역 송신(예를 들어, 광대역 LTE 송신)의 가드 대역 내에서, 또는 광대역 송신의 대역 내에서 송신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12)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제공되는 셀의 프레임 및 심볼 타이밍을 취득하기 위해 셀 탐색의 일부로서 협대역 동기화 신호들(14, 16)을 수신한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동기화 신호 주기(18) 내에서 NB-PSS 및 NB-SSS를 송신한다. 도 1은 시간에 따라(예를 들어, 매 80ms마다)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주기들(18A, 18B, 18C 등)과 같은 다수의 이러한 주기들(18)을 도시한다. 각각의 동기화 신호 주기(18)는 다수의 소위 말하는 프레임들(20)을 포함한다. 프레임(20)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타이밍 구조에 따라 특정 레벨의 세분성에서의 특정 시간량(예를 들어, 10ms)으로 정의된다. 각각의 프레임(20)은 다수의 서브프레임들(22)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프레임(22)은 유사하게 시스템의 타이밍 구조에 따라 보다 더 낮은 레벨의 세분성에서의 특정 시간량(예를 들어, 1ms)인 것으로 정의된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예를 들어, 동기화 신호 주기(18) 내에서 특정 동기화 신호 밀도를 달성하기 위해 특정 프레임들(20) 및 서브프레임들(22) 내에서 NB-PSS(14) 및 NB-SSS(16)를 송신한다. 이와 관련하여,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동기화 신호 주기(18) 내에서 신호들(14, 16)을 송신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에서의 프로세싱은 NB-PSS(14)를 NB-P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20)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22)에 매핑하는 단계(블록(110))를 포함한다. 즉, NB-PSS(14)가 매핑되는 서브프레임(들)(22)은 NB-PSS(14)가 송신되는 상이한 프레임들(20) 전반에 걸쳐 동일하다(즉, 각각의 프레임(20) 내의 서브프레임들(22)의 포지션들이 동일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PSS(14)를 NB-PSS(14)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20) 내의 동일한 2개의 서브프레임(22A 및 22B)에 매핑한다. 이들 2개의 서브프레임(22A 및 22B)의 포지션은 각각의 프레임(20) 내에서 동일하다(예를 들어, NB-PSS(14)는 NB-PSS(14)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20) 내의 서브프레임 포지션 4 및 5에 매핑된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에서의 프로세싱은 유사하게 NB-SSS(16)를 NB-SSS(16)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20)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22)에 매핑하는 단계(블록(11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이것은 NB-SSS(16)가 매핑되는 서브프레임(들)(22)이 NB-SSS(16)가 송신되는 상이한 프레임들(20) 전반에 걸쳐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즉, 각각의 프레임(20) 내의 서브프레임들(22)의 포지션들은 동일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SSS(16)를 NB-SSS(16)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20) 내의 동일한 단일 서브프레임(22C)에 매핑한다.
특히, NB-SSS(16)는 NB-PSS(14)가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20) 내에서 송신된다. 즉,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20) 내에서 NB-PSS(14) 및 NB-SSS(16)를 송신한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SSS(16)를 NB-PSS(14)가 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22)과 상이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22)에 매핑함으로써 이를 달성한다. 예를 들어, 도 1은 NB-PSS(14) 및 NB-SSS(16)가 모두 동기화 신호 주기(18)의 마지막 프레임 내에서 송신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NB-PSS(14)는 서브프레임(22A 및 22B)에 매핑되고, NB-SSS(16)는 해당 동일한 프레임 내의 상이한(중첩되지 않는) 서브프레임(22C)에 매핑되는 것을 도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에서의 프로세싱(100)은, 이 매핑에 따라, 동기화 신호 주기(18) 내에서 NB-PSS(14) 및 NB-SSS(16)를 송신하는 단계(블록(130))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PSS가 송신되는 프레임마다 하나 걸러 NB-SSS를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NB-PSS 및 NB-SSS를 송신하는 것은 유리하게 동기화 신호 주기(18) 내에서 더 높은 동기화 신호 밀도를 용이하게 한다. 실제로, 상이한 서브프레임들(즉, 시간적으로 상이한 서브프레임 포지션들을 가짐)에서 NB-PSS(14) 및 NB-SSS(16)를 송신함으로써, NB-PSS(14) 송신 밀도는 NB-SSS(16) 송신과의 잠재적 충돌에 의해 제약받지 않는다(예를 들어, NB-PSS(14) 및 NB-SSS(16)는 상이한 서브프레임들에 매핑되기 때문에, 동일한 프레임 내에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협대역 동기화 신호들(14, 16)의 대역 내 또는 가드 대역 송신에 대한 낮은 송신 전력으로 인해) NB-PSS(14)를 시간적으로 더 높은 밀도로 송신하면 낮은 SNR에도 불구하고 더욱 견고한 것으로 판명되는 동기화로 전환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동기화 신호들이 매 프레임마다 동일한 서브프레임들을 사용하여 송신되면, 동기화 신호 검출에 요구되는 복잡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도, 동기화 신호 밀도가 이러한 방식으로 증가된다.
도 3a는, 도 2의 프로세싱에 따라 동기화 신호들(14, 16)을 매핑함으로써 NB-PSS(14) 밀도가 어떻게 증가되는지에 대한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를 예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화 신호 주기(18)는 연속적으로 인덱싱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프레임 0-7로 번호가 매겨진 8개의 프레임(20)을 포함한다. 차례로, 각각의 프레임(20)은 연속적으로 인덱싱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서브프레임 0-9로 번호가 매겨진 10개의 서브프레임(22)을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PSS(14)를 NB-PSS(14)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2개의 서브프레임(22)(서브프레임 4 및 5로서 인덱싱됨)에 매핑한다. 특히, 이 예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PSS(14)를 2개의 상이한 기본 시퀀스 NB-PSS1 및 NB-PSS2(예를 들어, 자도프-추(Zadoff-Chu) 시퀀스들)로서 생성하고, NB-PSS1을 서브프레임 4에 매핑하고, NB-PSS2를 서브프레임 5에 매핑한다. 대조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SSS(16)를 NB-SSS(16)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20) 내의 하나의 서브프레임(22)에만 매핑한다(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2개의 서브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지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의 NB-SSS(16)의 송신은 낮은 SNR 환경들에서도 NB-SSS(16)에 대한 허용 가능한 검출 성능을 여전히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NB-PSS(14)가 매핑되는 서브프레임들 중 임의의 서브프레임과 상이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10)는 NB-SSS(16)를 NB-PSS(14)가 매핑되는 서브프레임 4 및 5와 구별되는 서브프레임 9에 매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NB-PSS(14) 및 NB-SSS(16)를 상이한 서브프레임들(즉, 상이한 포지션들)에 매핑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예를 들어, 이 매핑 전략 없이 다른 방식으로 가능했던 것보다 더 높은 동기화 신호 주기(18)의 밀도로 NB-PSS(14)를 송신할 수 있다. 실제로, 도 3a의 예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동기화 신호 주기(18) 내의 8개의 프레임 0-7 각각에서 NB-PSS(14)를 송신한다. 낮은 SNR 환경들에서도 NB-SSS(16)의 저밀도 송신이 충분한 것으로 판명되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반대로 동기화 신호 주기(18)의 하나의 프레임에서만, 즉, 마지막 프레임 7에서만 NB-SSS(16)를 송신한다. NB-PSS(14) 및 NB-SSS(16) 모두가 이러한 방식으로 마지막 프레임 7에서 송신되는 경우, 신호들(14, 16)이 상이한 서브프레임들을 점유하기 때문에, 신호들(14, 16) 간의 충돌이 회피된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PSS(14)의 밀도에 관한 융통성을 여전히 유지한다. 도 3b에 도시된 것들과 같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대신에 NB-PSS(14)를 프레임(20)마다 하나 걸러, 예를 들어, 동기화 신호 주기(18)의 홀수 프레임들(즉, 1, 3, 5, 7, ...)에서만 송신함으로써 더 낮은 밀도로 NB-PSS(14)를 송신한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상이한 서브프레임들이 어떻게 사용되도록 허용되는지를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제약에 기초하여, NB-PSS(14) 및 NB-SSS(16)를 특정 선택 서브프레임들에 매핑한다. 이러한 제약들은, 예를 들어, 임의의 주어진 서브프레임이 저간섭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ulticast-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MBSFN) 서브프레임)으로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으로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시스템 정보가 송신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으로서 구성 가능한지와 관계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제약들에 관계없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PSS(14) 및 NB-SSS(16)를 서브프레임들이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해 잠재적으로 경쟁하는 제약들의 균형을 맞추는 이러한 방식으로 선택된 특정 서브프레임들에 매핑한다.
예를 들어, 정의된 수의 가능한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TDD) 구성들이 어떤 서브프레임들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로서 구성 가능한지를 관리하는 경우의 실시예들을 고려하도록 한다. 도 4a는 7개의 이러한 가능한 TDD 구성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 0 및 5는 모든 7개의 가능한 TDD 구성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으로서 구성되고, 서브프레임 9는 구성 0을 제외한 모든 가능한 TDD 구성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로서 구성되고, 서브프레임 4 및 8은 3개를 제외한 4개의 가능한 TDD 구성들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로서 구성된다. 이를 고려하여,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PSS(14) 및 NB-SSS(16) 각각을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의 가능한 TDD 구성들 전부(또는 대부분)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인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배타적으로 매핑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그 매핑에서 특정 서브프레임들이 소위 말하는 저간섭 서브프레임들로서 구성 가능하다는 사실을 고려한다. 저간섭 서브프레임은 동일한 주파수 자원 상에서 상이한 송신기에 의해 송신되는 다른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간섭을 야기하지 않거나 제한된 양의 간섭을 야기하는 서브프레임이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예를 들어, 특정 시간-주파수 자원들에 대해 펑처링(puncturing)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예를 들어, 저간섭 서브프레임 내의 하나 이상의 송신 자원에 대해, 예를 들어, 정상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공칭 송신 전력에 비해, 그 송신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례로서, 저간섭 서브프레임은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PSS(14) 및 NB-SSS(16) 각각을 저간섭 서브프레임들로서 구성에 영향을 받지 않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배타적으로 매핑한다. 도 4b는,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들 1-3 및 6-8이 저간섭 서브프레임들로서 구성 가능한 일례를 예시한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이것을 고려하여 NB-PSS(14) 및 NB-SSS(16)가 매핑되는 서브프레임들을 선택한다. 실제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서브프레임 0, 4, 5 및 9로 구성된 세트로부터 NB-PSS(14) 및 NB-SSS(16)를 매핑하기 위한 서브프레임들을 선택하는데, 왜냐하면 그 서브프레임들은 저간섭 서브프레임으로서 구성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그 매핑에서 시스템 정보가 특정 서브프레임들 내에서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한다. 도 4c는,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가 서브프레임 0 내에서 브로드캐스트 채널(예를 들어, 협대역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narrowband physical broadcast channel)(NB-PBCH))을 통해 송신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 시스템 정보 송신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PSS(14) 및 NB-SSS(16) 각각을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한 시스템 정보의 송신이 결여되는 서브프레임들에 배타적으로 매핑한다. 도 4c에서,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서브프레임 1 내지 9로 구성된 세트로부터 NB-PSS(14) 및 NB-SSS(16)를 매핑하기 위한 서브프레임들을 선택하는데, 왜냐하면 해당 서브프레임들은 (항상) 시스템 정보의 송신이 결여되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PSS(14) 및 NB-SSS(16) 각각을, 저간섭 서브프레임들로서 구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의 가능한 TDD 구성들 전부(또는 대부분)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인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배타적으로 매핑한다. 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b에서 이미 예시된 실시예들을 고려하도록 한다. 여기서, NB-PSS(14) 및 NB-SSS(16)가 매핑되는 서브프레임들(즉, 서브프레임 4, 5 및 9)은 도 4b에 따른 저간섭 서브프레임들로서 구성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서브프레임들은 도 4a의 가능한 TDD 구성들 대부분, 즉, 구성 1, 2, 4 및 5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이다(서브프레임 9는 구성 0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아니고, 서브프레임 4는 구성 3 또는 6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아니다). 도 3a 및 도 3b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10)가 또한 NB-PSS(14) 및 NB-SSS(16) 각각을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한 시스템 정보의 송신이 결여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배타적으로 매핑하는 실시예들을 추가로 나타낸다. 실제로, 도 4c에 따르면, 어떠한 시스템 정보도 NB-PSS(14) 및 NB-SSS(16)가 매핑되는 서브프레임 4, 5 및 9를 통해 송신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PSS(14) 및 NB-SSS(16)를 도 3a 및 도 3b에서의 매핑들보다 더 많은 수의 잠재적인 TDD 구성들과 호환 가능한 서브프레임들에 매핑한다. 도 5a 및 도 5b는 이와 관련한 상이한 예들을 예시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PSS(14)를 NB-PSS(14)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단일 서브프레임에만 매핑한다. 실제로,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NB-PSS(14)를 서브프레임 4 및 5에 매핑하는 대신에,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PSS(14)를 서브프레임 5에만 매핑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것은 유리하게는 NB-PSS(14) 및 NB-SSS(16)가 매핑되는 서브프레임들(즉, 서브프레임 5 및 9)이 도 4b에 따른 저간섭 서브프레임들로서 구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도 4a의 가능한 TDD 구성 대부분(즉, 구성 1-6으로서, 여기서 서브프레임 9는 구성 0에서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아님)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이고, 도 4c에 따른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한 시스템 정보의 송신이 결여되는 것을 의미한다.
NB-PSS(14)를 단일 서브프레임에만 매핑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단일 NB-PSS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NB-PSS(14)를 생성한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예를 들어, 2개의 기본 NB-PSS 시퀀스들의 합으로부터 이 단일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도 3a 및 도 3b에서 상이한 서브프레임들에서 송신되는 동일한 2개의 기본 NB-PSS 시퀀스들, 즉, 시퀀스들 NB-PSS1 및 NB-PSS2를 생성할 수 있고, 단일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을 위해 단일 결합형 시퀀스를 형성하도록 이들을, 예를 들어,
Figure 112018070866763-pct00001
로서 함께 합산한다.
일부 실시예들(도시되지 않음)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SSS(16)는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동기화 신호 주기(18)의 단지 하나의 프레임(예를 들어, 마지막 프레임)에서만 여전히 송신하고, NB-PSS(14)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핑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동기화 신호 주기(18)의 2개 이상의 프레임에서 NB-SSS(16)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SSS(16)를 NB-PSS(14)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에서 송신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더 적은 프레임들에서 (예를 들어, NB-PSS(14)가 송신되는 프레임마다 하나 걸러) NB-SSS(16)를 송신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낮은 SNR 환경들에서도 NB-SSS(16)를 검출하는 데 필요한 것보다 더 높은 밀도로 NB-SSS(16)를 송신한다. 노드(10)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2)에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시그널링하기 위해 이러한 더 높은 밀도로부터 기인하는 정보 운반 용량의 증가를 이용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NB-SSS(16)를 활용할 수 있다. 이들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로부터의 협대역 송신들이 광대역 송신의 대역 내에 있는지, 광대역 송신의 가드 대역 내에 있는지 또는 독립형인지를 나타내는 협대역 배치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는 광대역 송신의 대역 내에 위치되는 협대역 송신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송신 자원 인덱스(예를 들어, 대역 내 배치를 갖는 NB-IoT 송신의 물리적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PRB)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10)가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모드에서 동작하는지 또는 시분할 듀플렉싱 모드에서 동작하는지를 나타내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의 동작 모드를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임의의 수의 방식들로 NB-SSS(16)를 통해 이들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NB-SSS(16)가 생성되는 시퀀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택된 시퀀스 및 이에 따른 NB-SSS(16)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인코딩하거나 암시적으로 나타낸다. 이하에서 더욱 충분히 설명되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SSS(16)가 송신되는 방식에 의해(예를 들어, NB-SSS(16)가 어느 서브프레임들 및/또는 프레임들을 통해 송신되는지에 의해)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암시적으로 나타낸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PSS(14)를 통해 전술한 파라미터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NB-PSS(14)가 생성되는 시퀀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택된 시퀀스 및 이에 따른 NB-PSS(14)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인코딩하거나 암시적으로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PSS(14)가 송신되는 방식에 의해(예를 들어, NB-PSS(14)가 어느 서브프레임들 및/또는 프레임들을 통해 송신되는지에 의해)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암시적으로 나타낸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PSS(14) 및 NB-SSS(16)를 도 3a 및 도 3b, 및 도 5a 및 도 5b에서의 매핑들보다 훨씬 더 많은 수의 잠재적인 TDD 구성들과 호환 가능한 서브프레임들에 매핑한다. 도 6은 이와 관련하여 일례를 예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SSS(16)를 단일 서브프레임에만 매핑한다. 그러나, 도 3a 및 도 3b, 및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NB-SSS(16)를 서브프레임 9에 매핑하기보다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SSS(16)를 서브프레임 0에 매핑한다. 이것은 매핑이 도 4a에 예시된 모든 가능한 TDD 구성들과 호환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NB-PSS(14) 및 NB-SSS(16)가 매핑되는 서브프레임들(즉, 서브프레임 0 및 5)은 모든 7개의 TDD 구성들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로서 지정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서브프레임들은 도 4b에 따른 저간섭 서브프레임들로서 구성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매핑은 가능한 TDD 구성들과 보다 호환 가능하지만, 시스템 정보 송신들과의 잠재적인 충돌을 희생시키는 것으로 판명된다. 예를 들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정보는 서브프레임 0에서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NB-SSS(16)를 서브프레임 0에 매핑함으로써, NB-SSS(16)는 시스템 정보 송신들과의 충돌을 겪게 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SSS(16)를 타겟 NB-SSS 검출 임계치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수의 프레임들에서 송신하고, 다른 NB-SSS가 없는 프레임들 중 하나 이상에서 시스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이러한 잠재적인 충돌을 해결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동기화 신호 주기(18)의 마지막 프레임(즉, 프레임 7)에서만 NB-SSS(16)를 송신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저밀도 송신은 낮은 SNR 환경들에서도 타겟 NB-SSS 검출 임계치를 충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시스템 정보 송신을 위해 동기화 신호 주기(18)에서 나머지 프레임들을 자유롭게 한다. 예를 들어, NB-SSS(16)가 프레임 7의 서브프레임 0 내에서 송신되는 동안, 시스템 정보는 프레임 0-6의 서브프레임 0 내에서 송신될 수 있다. 단지 이 하나의 프레임에서만 시스템 정보를 생략하면 (예를 들어, NB-PBCH의) 시스템 정보의 검출 성능은, 예를 들어, 대략 0.6dB만큼 미미하게 감소된다.
도 6은 또한 단일 서브프레임 내에서 NB-PSS(14)를 송신하기 위한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는 것에 주목하도록 한다. 상이한 기본 NB-PSS 시퀀스들이 동시에 결합하여 송신되는 도 5a 및 도 5b에 의해 예시된 실시예들과 대조적으로, 이들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시퀀스들을 결합하지 않고) 상이한 시간들에서 상이한 NB-PSS 시퀀스들을 송신한다. 특히,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동기화 신호 주기(18)의 상이한 프레임들에서 기본 NB-PSS 시퀀스들의 상이한 각각의 것들을 송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하나의 기본 NB-PSS 시퀀스만이 임의의 주어진 프레임에서 송신된다.
도 6은 2개의 기본 NB-PSS 시퀀스(즉, NB-PSS1 및 NB-PSS2)를 갖는 예를 예시하며,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동기화 신호 주기(18)의 매 프레임마다 기본 NB-PSS 시퀀스를 송신한다. 이 경우에,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PSS1을 송신하는 것과 NB-PSS2를 송신하는 것 사이에서 프레임마다 하나 걸러 교대로 반복한다(예를 들어, NB-PSS1은 짝수 프레임들에서 송신되고, NB-PSS2는 홀수 프레임들에서 송신된다). 그러나, 보다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가 동기화 신호 주기의 선택 프레임들 내에서 NB-PSS를 송신하는 경우, 노드(10)는 2개의 기본 NB-PSS 시퀀스 중 하나를 송신하는 것과 2개의 기본 NB-PSS 시퀀스 중 다른 하나를 송신하는 것 사이에서 선택 프레임들마다 하나 걸러 교대로 반복한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 접근법은 유리하게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2)가 주파수 오프셋과 타이밍 오프셋 둘다를 동시에(또는 병렬로) 추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이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분리된 실시예의 예로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신호 밀도 요구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건들에 관계없이 동일한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TDD 모드에서 동작하는지 또는 FDD 모드에서 동작하는지에 관계없이, 도 6의 실시예를 항상 적용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결합된 실시예들의 예로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상이한 조건들 하에서 및/또는 상이한 시간들에서 상이한 실시예들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TDD 모드에서 동작할 때에 일 실시예를 적용하고,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모드에서 동작할 때에는 상이한 실시예를 적용한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예를 들어, 모든 가능한 TDD 구성들과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TDD 모드에서 동작할 때에는 도 6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라 NB-PSS(14) 및 NB-SSS(16)를 송신하고, (예를 들어, TDD 구성 호환성이 적용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FDD 모드에서 동작할 때에는 도 3a 및 도 3b 또는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라 NB-PSS(14) 및 NB-SSS(16)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노드의 NB-PSS(14) 및 NB-SSS(16)의 송신은 노드의 동작 모드를 TDD 또는 FDD 중 어느 하나로 인코딩하거나 암시적으로 나타낸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2)는, 예를 들어, NB-PSS 송신들 사이의 시간 분리를 평가하는 것에 기초하여 노드의 동작 모드를 TDD 또는 FDD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상대적으로 높은 동기화 신호 밀도를 요구하는 조건들 하에서 동작할 때에 일 실시예를 적용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동기화 신호 밀도만을 요구하는 조건들 하에서 동작할 때에는 상이한 실시예를 적용한다. 이러한 조건들은, 예를 들어, 동적으로 또는 주어진 시점에서 변경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협대역 배치 모드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립형 모드는 상대적으로 더 낮은 동기화 신호 밀도(예를 들어, 더 낮은 반복 인터벌)를 요구하는 조건들을 생성할 수 있는 반면, 대역 내 또는 가드 대역 모드는 상대적으로 더 높은 동기화 신호 밀도(예를 들어, 더 높은 반복 인터벌)를 요구하는 조건들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대역 내 또는 가드 대역 모드에서 동작할 때에는 도 3a, 도 5a 또는 도 6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라 NB-PSS(14) 및 NB-SSS(16)를 송신하고, 독립형 모드에서 동작할 때에는 도 3b 또는 도 5b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라 NB-PSS(14) 및 NB-SSS(16)를 송신한다. 대안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대역 내 또는 가드 대역 모드에서 동작할 때에는 도 3b 또는 도 5b에 예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NB-PSS(14) 및 NB-SSS(16)를 송신하고, 독립형 모드에서 동작할 때에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NB-PSS(14) 및 NB-SSS(16)를 송신한다. 하나의 이러한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는, 예를 들어, 도 3b 또는 도 5b의 수정된 버전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NB-PSS(14) 및/또는 NB-SSS(16)는 도시된 프레임들 및/또는 서브프레임들의 서브세트에서만 송신된다(예를 들어, NB-SSS(16)는 프레임 1, 3, 5 및 7 대신 프레임 1 및 5에서만 송신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노드의 NB-PSS(14) 및 NB-SSS(16)의 송신은 노드의 배치 모드를 독립형, 대역 내 또는 가드 대역인 것으로 인코딩하거나 암시적으로 나타낸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2)는, 예를 들어, NB-PSS 송신들 사이의 시간 분리를 평가하는 것에 기초하여 노드의 배치 모드를 독립형, 대역 내 또는 가드 대역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NB-PSS(14) 및 NB-SSS(16)가 다수의 방식들 중 임의의 방식으로 주어진 서브프레임 내의 송신 자원들에 보다 구체적으로 매핑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7a 내지 도 87d는 협대역 동기화 신호들(14, 16)이 광대역 LTE 송신의 대역 내에서 송신되는 맥락에서의 몇 가지 예들을 예시한다. 이 예에서, 서브프레임(22)은 다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OFDM) 심볼들(24)을 포함한다.
도 7a 및 도 7b는 서브프레임(22)이 14개의 OFDM 심볼(24)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동기화 신호들(14, 16)이 정상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CP)와 함께 송신되는 경우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NB-PSS(14)는 서브프레임의 OFDM 심볼들 중 마지막 11개 내에서 송신될 수 있다. 나머지 OFDM 심볼들(24)은 동기화 신호들(14, 16)에 의해 사용되지 않고, 대신에 광대역 제어 정보(예를 들어, LTE PDCCH)의 송신을 위해 자유롭게 남겨진다. 도 7b는 NB-SSS(14)가 서브프레임의 OFDM 심볼들 중 마지막 9개 내에서 송신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다시 말하면, 나머지 OFDM 심볼들(24)은 사용되지 않고, 대신에 광대역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다른 송신들을 위해 자유롭게 남겨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NB-PSS(14) 및 NB-SSS(16)는 각각의 동기화 신호 주기(18)에서 고정된 수의 OFDM 심볼을 점유한다.
도 7c 및 도 7d는 다수의 자원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소위 말하는 자원 블록을 추가로 도시한다. 각각의 자원 엘리먼트는 하나의 OFDM 심볼과 (예를 들어, 15kHz의) 하나의 주파수 서브 캐리어의 결합으로서 형성된 시간-주파수 자원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NB-PSS(14) 및 NB-SSS(16)는 광대역 셀-특정 참조 신호(cell-specific reference signal)(CRS)(26)(예를 들어, LTE CRS)에 의해 특정 자원 엘리먼트들 상에 펑처링된다. 광대역 CRS(26)는 또한 LTE PDCCH와 같은 광대역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WB-PDCCH)(28)을 통한 광대역 제어 정보의 송신을 펑처링한다. CRS와 PDCCH 송신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이러한 방식으로 NB-PSS(14) 및 NB-SSS(16)를 송신함으로써, 유리하게는 연관된 광대역 송신들(예를 들어, 광대역 LTE)과의 역 호환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NB-PSS(14) 및 NB-SSS(16)는 임의의 주어진 서브프레임(22) 내에서 상이한 수의 심볼들을 점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정상 사이클릭 프리픽스 실시예들에서, NB-PSS(14)는 각각의 서브프레임(22)에서 11개 또는 9개의 심볼에 걸쳐 있고, NB-SSS(16)는 각각의 서브프레임(22)에서 6개 내지 11개의 심볼에 걸쳐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들은 정상 CP보다 길이가 더 긴 확장 사이클릭 프리픽스(CP)들을 지원한다. 정상 CP의 경우,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반면, 확장 CP의 경우,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2개의 OFDM 심볼만을 포함한다. 일부 확장 사이클릭 프리픽스 실시예들에서, NB-PSS(14)는 각각의 서브프레임(22)에서 9개의 심볼에 걸쳐 있고, NB-SSS(16)는 각각의 서브프레임(22)에서 6개 내지 9개의 심볼에 걸쳐 있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상이한 길이들의 기본 시퀀스들을 사용하여 NB-PSS(14)를 생성함으로써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상 및 확장 CP 모두에 대한 지원을 실현한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정상 CP와 함께 송신할 때에는 길이 141의 하나 이상의 기본 시퀀스를 사용하여 NB-PSS(14)를 생성할 수 있지만, 확장 CP와 함께 송신할 때에는 길이 133의 하나 이상의 기본 시퀀스를 사용하여 NB-PSS(14)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길이에 관계없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PSS(14)에 의해 걸쳐 있는 9개의 OFDM 심볼에 매핑하기 위해 필요한 수의 심볼(예를 들어, 132)을 달성하기 위해 시퀀스 내의 특정 심볼들을 펑처링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상이한 정상 및 확장 CP에 대해 상이한 펑처링 패턴들을 사용함으로써 정상 및 확장 CP 모두에 대한 지원을 실현한다.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NB-PSS 및 NB-SSS와 함께 송신할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길이를 선택한다. 그 다음, 노드(10)는 상이한 선택된 길이들에 대해 상이한 방식들로 NB-PSS(14)를 생성한다. 노드(10)는 선택된 CP 길이에 관계없이 동일한 하나 이상의 기본 NB-PSS 시퀀스를 사용하고, 상이한 선택된 CP 길이들에 대해서는 상이한 펑처링 패턴들을 사용함으로써 그와 같이 한다. 예를 들어, 정상 CP에 대한 NB-PSS를 생성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길이-141의 기본 시퀀스로부터 특정 패턴의 심볼들을 펑처링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즉, NB-PSS가 11개의 OFDM 심볼에 걸쳐 있게 하기 위해 13번째, 26번째, 51번째, 64번째, 77번째, 90번째, 103번째, 116번째 및 141번째 심볼들을 펑처링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확장 CP에 대한 NB-PSS를 생성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길이-141의 기본 시퀀스로부터 다른 패턴의 심볼들을 펑처링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즉, NB-PSS가 9개의 OFDM 심볼에 걸쳐 있게 하기 위해 13번째, 14번째, 15번째, 28번째, 29번째, 30번째, 43번째, 44번째, 45번째, 58번째, 59번째, 60번째, 73번째, 74번째, 75번째, 88번째, 89번째, 90번째, 103번째, 104번째, 105번째, 118번째, 119번째, 120번째 및 133번째 내지 141번째 심볼들을 펑처링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확장 CP에 대한 지원은 만족스러운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NB-PSS 상관 관계들의 수를 2배만큼 증가시켜야 함에 주목하도록 한다.
NB-SSS는 정상 및 확장 CP 모두의 각각의 점유된 서브프레임에서 단지 9개의 OFDM 심볼만을 점유하므로, 확장 사이클릭 프리픽스에 대한 지원을 가능하게 하는 수정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상이한 선택된 CP 길이들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NB-SSS를 생성한다.
도 8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신호 생성의 추가적인 세부 사항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L인 기본 NB-PSS 시퀀스는 자도프-추 시퀀스의 형태로 시퀀스 획득 모듈 또는 회로(30)에 의해 획득된다. 심볼 제거 모듈 또는 회로(32)는 시퀀스로부터 특정 패턴의 심볼들 또는 엘리먼트들을 제거하여, 펑처링된 자도프-추(ZC) 시퀀스 du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L=NPSS=141인 경우, NB-PSS가 엘리먼트 OFDM 심볼에 걸쳐 있게 하기 위해 13번째, 26번째, 51번째, 64번째, 77번째, 90번째, 103번째, 116번째 및 141번째 심볼들이 제거될 수 있다. 그 다음, 서브시퀀스 생성 모듈 또는 회로(34)는 du,1, du,2, ... du,m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펑처링된 ZC 시퀀스 du를 m개의 서브-시퀀스로 분할한다. 시퀀스들의 길이가 m으로 나눠질 수 없는 경우, 나눠질 수 있도록 0들이 패딩될 수 있다. 그 다음, 이산 푸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DFT)(36)이 이들 m개의 서브-시퀀스 각각에 대해 사용되어, 서브-시퀀스들의 주파수 도메인 표현들 ru,1, ru,2, ... ru,m을 생성할 수 있다. 이들 주파수 도메인 표현들은 역 고속 푸리에 변환 모듈 또는 회로(38)에 입력되어, 서브-시퀀스들의 레이트 변환된 버전들 tu,1, tu,2, ... tu,m을 생성하며, 즉, 레이트-변환된 버전들은 DFT 및 IFFT로 인해 상이한 샘플링 레이트(예를 들어, 1.92kHz)에 있다. 사이클릭 프리픽스(CP) 모듈 또는 회로(40)가 최종적으로 CP를 부가하고, 동기화 신호 NB-PSS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물론, 일부 실시예들에서, NB-PSS는 2개의 자도프-추(ZC) 시퀀스 NB-PSS1 및 NB-PSS2로 구성된다. NB-PSS1은 루트 인덱스 1을 갖는 NPSS-길이의 ZC 시퀀스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반면, NB-PSS2는 NB-PSS1의 복소 공액(complex conjugate)에 기초한다.
Figure 112018070866763-pct00002
예를 들어, 도면들 중 임의의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들에서, NB-SSS 설계는 또한 2개의 자도프-추(ZC) 시퀀스들 NB-SSS1 및 NB-SSS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NB-SSS는 단지 하나가 아닌 2개의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다. 이 경우, NB-SSS1 및 NB-SSS2는 각각 루트 인덱스 u1 및 u2를 갖는 NSSS-길이의 ZC 시퀀스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Figure 112018070866763-pct00003
길이 NSSS는 최대 NSSS-1개의 상이한 시퀀스들에 대한 지원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소수(즉, 107)가 되도록 선택된다. 2개의 ID(u1, u2)의 조합은 동기화 신호 주기(예를 들어, 80ms 블록) 내에서 물리적 셀 ID 및 타이밍을 인코딩하기에 충분하다.
대안적으로, 다른 실시예들에서, NB-SSS는 NB-SSS1 또는 NB-SSS2와 유사한 방식으로 생성되는 단일 ZC 시퀀스로 구성될 수 있다.
NB-SSS가 송신되는 프레임의 포지션에 따라, 동기화 신호 주기(예를 들어, 80ms 블록) 내에서 정확한 타이밍을 제공하기 위해 스크램블링 코드가 그것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관련 실시예들에서 504개의 상이한 물리적 셀 ID들에 대한 지원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상이한 자도프-추 시퀀스들의 루트들 및 순환 시프트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수정들 및 변형들의 견지에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송신되는 바와 같은 NB-PSS(14) 및 NB-SSS(16)를 수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12)에서 수행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싱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9는 이와 관련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12)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싱(200)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2)에서의 프로세싱(200)은 동기화 신호 주기(18) 내에서 NB-PSS(14) 및 NB-SSS(16)를 수신하는 단계(블록(210))를 포함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NB-PSS가 수신되는 프레임마다 하나 걸러 NB-SSS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200)은 NB-PSS(14)가 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20)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22)으로부터 NB-PSS(14)를 디매핑하는 단계(블록(220))를 추가로 포함한다. 프로세싱(200)은 또한 NB-SSS(16)가 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20)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22)로부터 NB-SSS(16)를 디매핑하는 단계(블록(230))를 수반한다. 이것은 NB-PSS(14)가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20)을 포함한다. 디바이스(12)는 NB-PSS(14)가 디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22)과 상이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22)으로부터 NB-SSS(16)를 디매핑함으로써 이것을 수행한다. 디바이스(12)는,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8 중 임의의 것에 따라 송신되는 NB-PSS(14) 및 NB-SSS(16)를 복원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수신 프로세싱을 사용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12)는 또한 수신된 NB-PSS(14) 및 NB-SSS(16)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제공되는 셀의 프레임 및 심볼 타이밍을 취득한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12)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사양들에 따라 동작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특정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무선 단말들 또는 UE들로 상호 교환가능하게 지칭되기도 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과 무선 통신 채널들을 통해 통신하는 RAN에서 또는 이와 연관되어 동작하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들은 NB-IoT에 대한 사양들의 개발과 관련하여 설명되는데, 특히 이것은 때때로 이볼브드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로 지칭되고 LTE 시스템으로 널리 공지된 E-UTRAN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스펙트럼 및/또는 사용 장비에서의 NB-IoT 동작에 대한 사양들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 기술들은 E-UTRAN의 후계자들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LTE에 대한 3GPP 표준으로부터의 용어를 사용하여 신호들을 참조하는 것은 다른 네트워크들에서 유사한 특성들 및/또는 목적들을 갖는 신호들에 보다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무선 신호들을 통해 다른 노드와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이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2)는 무선 신호들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와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디바이스이다. 따라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12)는 머신-투-머신(machine-to-machine)(M2M) 디바이스, 머신-타입 통신(machine-type communications)(MTC) 디바이스, NB-IoT 디바이스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UE일 수 있지만, UE가 디바이스를 소유 및/또는 동작하는 개인의 의미에서의 "사용자"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는 것에 주목하도록 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 단말 또는 간단히 단말로 지칭될 수 있으며, 문맥상 다른 것을 지시하지 않는 한, 이들 용어들 중 임의의 것의 사용은 디바이스-투-디바이스 UE들 또는 디바이스들, 머신-투-머신 통신을 할 수 있는 머신 타입 디바이스들 또는 디바이스들, 무선 디바이스가 장착된 센서들, 무선 가능형 테이블 컴퓨터들, 모바일 단말들, 스마트폰들, 랩탑 내장형 장비(laptop-embedded equipped)(LEE), 랩탑 장착형 장비(laptop-mounted equipment)(LME), USB 동글들, 무선 고객 댁내 장비(customer-premises equipment)(CPE)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의 논의에서, 머신-투-머신(M2M) 디바이스, 머신-타입 통신(MTC) 디바이스, 무선 센서 및 센서라는 용어들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UE들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직접적인 인간 상호 작용 없이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IOT 시나리오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모니터링 또는 측정들을 수행하고, 이러한 모니터링 측정들의 결과들을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머신 또는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머신들의 특정 예들로는 전력계들, 산업 머신 또는 가정용 또는 개인용 기기들, 예를 들어, 냉장고들, 텔레비전들, 시계들과 같은 개인용 웨어러블 등이 있다. 다른 시나리오들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차량에 포함될 수 있고, 차량의 동작 상태 또는 차량과 연관된 다른 기능들의 모니터링 및/또는 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임의의 기능적 수단들 또는 유닛들을 구현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도 2에 도시된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각각의 회로들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회로들은 메모리와 함께 특정 기능 프로세싱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회로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 캐시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광학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등과 같은 하나 또는 다수의 타입들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를 사용하는 실시예들에서,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다. 즉,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의 메모리는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본 명세서의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의 추가적인 세부 사항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회로(620) 및 하나 이상의 무선 회로(610)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무선 회로(61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640)를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회로(620)는, 예를 들어, 메모리(63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 2에서 전술된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회로(620)는 특정 기능적 수단들 또는 유닛들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1은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NB-PSS(14) 및 NB-SSS(16)를 매핑하기 위한 매핑 모듈 또는 유닛(650), 및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무선 회로(610)를 통해 NB-PSS(14) 및 NB-SSS(16)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또는 유닛(6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들 또는 유닛들은 도 10의 프로세싱 회로(들)(6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12)는 임의의 기능적 수단들 또는 유닛들을 구현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12)는 도 9에 도시된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각각의 회로들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회로들은 메모리와 함께 특정 기능 프로세싱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회로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 캐시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광학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등과 같은 하나 또는 다수의 타입들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를 사용하는 실시예들에서,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다. 즉,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12)의 메모리는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디바이스(12)는 본 명세서의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12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12)의 추가적인 세부 사항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12)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회로(720) 및 하나 이상의 무선 회로(710)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무선 회로(71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740)를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회로(720)는, 예를 들어, 메모리(73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 9에서 전술된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회로(720)는 특정 기능적 수단들 또는 유닛들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3은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12)의 추가적인 세부사항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2)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무선 회로(710)를 통해 NB-PSS(14) 및 NB-SSS(16)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또는 유닛(750), 및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NB-PSS(14) 및 NB-SSS(16)를 디매핑하기 위한 디매핑 모듈 또는 유닛(7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유닛들 또는 모듈들은 도 12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회로(7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추가로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노드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노드로 하여금 위에서 설명된 각각의 프로세싱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은 위에서 설명된 수단들 또는 유닛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코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캐리어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캐리어는 전자 신호, 광 신호, 무선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스토리지 매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들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들 이외의 다른 방법들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고, 첨부된 청구 범위의 의미 및 등가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경들이 여기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37)

  1. 다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동기화 신호 주기(synchronization signal period) 내에서 협대역 1차 동기화 신호(narrowband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NB-PSS) 및 협대역 2차 동기화 신호(narrowband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NB-SSS)를 송신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NB-PSS를 상기 NB-P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매핑하는 단계(110);
    상기 NB-SSS를 상기 NB-PSS가 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과 상이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매핑함으로써, 상기 NB-SSS를 상기 NB-PSS가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NB-S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매핑하는 단계(120); 및
    상기 NB-PSS 및 상기 NB-SSS의 매핑에 따라, 상기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상기 NB-PSS 및 NB-SSS를 송신하는 단계(130) -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NB-PSS가 송신되는 프레임마다 하나 걸러(in every other frame) 상기 NB-SSS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 주기의 매 프레임마다 상기 NB-PSS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 주기의 짝수 프레임들에서만 상기 NB-SSS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B-SSS를 상기 NB-S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단일 서브프레임에만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B-SSS를 상기 NB-S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 9에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B-PSS를 상기 NB-P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단일 서브프레임에만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B-PSS를 상기 NB-P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 5에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B-PSS 및 NB-SSS 각각을, 저간섭 서브프레임들로서 구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의 가능한 시분할 듀플렉스 구성들 전부 또는 일부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인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배타적으로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NB-PSS 및 NB-SSS 각각을,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한 시스템 정보의 송신이 결여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배타적으로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B-PSS 및 NB-SSS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IoT) 동기화 신호들이고, 상기 동기화 신호 주기는 80ms이고, 프레임은 10ms이고, 서브프레임은 1ms인 방법.
  11. 다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협대역 1차 동기화 신호(NB-PSS) 및 협대역 2차 동기화 신호(NB-SSS)를 수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12)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상기 NB-PSS 및 NB-SSS를 수신하는 단계(210) -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NB-PSS가 수신되는 프레임마다 하나 걸러 상기 NB-SSS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함 -;
    상기 NB-PSS가 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NB-PSS를 디매핑(de-mapping)하는 단계(220); 및
    상기 NB-PSS가 디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과 상이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NB-SSS를 디매핑함으로써, 상기 NB-PSS가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NB-SSS가 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NB-SSS를 디매핑하는 단계(230)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 주기의 매 프레임마다 상기 NB-PSS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 주기의 짝수 프레임들에서만 상기 NB-SSS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NB-SSS가 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단일 서브프레임으로부터만 상기 NB-SSS를 디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NB-SSS가 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 9로부터 상기 NB-SSS를 디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NB-PSS가 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단일 서브프레임으로부터만 상기 NB-PSS를 디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NB-PSS가 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 5로부터 상기 NB-PSS를 디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저간섭 서브프레임들로서 구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의 가능한 시분할 듀플렉스 구성들 전부 또는 일부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인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배타적으로 상기 NB-PSS 및 NB-SSS 각각을 디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한 시스템 정보의 송신이 결여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배타적으로 상기 NB-PSS 및 NB-SSS 각각을 디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NB-PSS 및 NB-SSS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제공되는 셀의 프레임 및 심볼 타이밍을 취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1.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NB-PSS 및 NB-SSS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IoT) 동기화 신호들이고, 상기 동기화 신호 주기는 80ms이고, 프레임은 10ms이고, 서브프레임은 1ms인 방법.
  22. 다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협대역 1차 동기화 신호(NB-PSS) 및 협대역 2차 동기화 신호(NB-SSS)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로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상기 NB-PSS를 상기 NB-P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매핑하고,
    상기 NB-SSS를 상기 NB-PSS가 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과 상이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매핑함으로써, 상기 NB-SSS를 상기 NB-PSS가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NB-S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매핑하고,
    상기 NB-PSS 및 상기 NB-SSS의 매핑에 따라, 상기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상기 NB-PSS 및 NB-SSS를 송신하도록 - 상기 송신하는 것은 상기 NB-PSS가 송신되는 프레임마다 하나 걸러 상기 NB-SSS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함 -
    구성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10).
  23. 제22항에 있어서, 제2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10).
  24. 다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협대역 1차 동기화 신호(NB-PSS) 및 협대역 2차 동기화 신호(NB-SSS)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로서,
    상기 NB-PSS를 상기 NB-P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매핑하기 위한, 그리고 상기 NB-SSS를 상기 NB-PSS가 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과 상이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매핑함으로써, 상기 NB-SSS를 상기 NB-PSS가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NB-S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매핑하기 위한 매핑 모듈(650); 및
    상기 NB-PSS 및 상기 NB-SSS의 매핑에 따라, 상기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상기 NB-PSS 및 NB-SSS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660) - 상기 송신하는 것은 상기 NB-PSS가 송신되는 프레임마다 하나 걸러 상기 NB-SSS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함 -
    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10).
  25. 다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협대역 1차 동기화 신호(NB-PSS) 및 협대역 2차 동기화 신호(NB-SSS)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12)로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2)는,
    상기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상기 NB-PSS 및 NB-SSS를 수신하고 - 상기 수신하는 것은 상기 NB-PSS가 수신되는 프레임마다 하나 걸러 상기 NB-SSS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함 -,
    상기 NB-PSS가 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NB-PSS를 디매핑하고,
    상기 NB-PSS가 디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과 상이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NB-SSS를 디매핑함으로써, 상기 NB-PSS가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NB-SSS가 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NB-SSS를 디매핑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2).
  26. 제25항에 있어서, 제11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2).
  27. 다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협대역 1차 동기화 신호(NB-PSS) 및 협대역 2차 동기화 신호(NB-SSS)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12)로서,
    상기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상기 NB-PSS 및 NB-SSS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750) - 상기 수신하는 것은 상기 NB-PSS가 수신되는 프레임마다 하나 걸러 상기 NB-SSS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함 -; 및
    상기 NB-PSS가 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NB-PSS를 디매핑하기 위한, 그리고 상기 NB-PSS가 디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과 상이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NB-SSS를 디매핑함으로써, 상기 NB-PSS가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NB-SSS가 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NB-SSS를 디매핑하기 위한 디매핑 모듈(760)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2).
  28. 노드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노드로 하여금 제1항, 제2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9. 삭제
  30. 다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협대역 1차 동기화 신호(NB-PSS) 및 협대역 2차 동기화 신호(NB-SSS)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로서,
    무선 회로(610); 및
    프로세싱 회로(620)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620)는,
    상기 NB-PSS를 상기 NB-P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매핑하고,
    상기 NB-SSS를 상기 NB-PSS가 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과 상이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매핑함으로써, 상기 NB-SSS를 상기 NB-PSS가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NB-S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매핑하고,
    상기 NB-PSS 및 상기 NB-SSS의 매핑에 따라, 상기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상기 NB-PSS 및 NB-SSS를 송신하도록 - 상기 송신하는 것은 상기 NB-PSS가 송신되는 프레임마다 하나 걸러 상기 NB-SSS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함 -
    구성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10).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620)는 제2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10).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620)는 상기 동기화 신호 주기의 매 프레임마다 상기 NB-PSS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10).
  33. 제30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620)는 상기 NB-SSS를 상기 NB-SSS가 송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단일 서브프레임에만 매핑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10).
  34. 다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협대역 1차 동기화 신호(NB-PSS) 및 협대역 2차 동기화 신호(NB-SSS)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12)로서,
    무선 회로(710); 및
    프로세싱 회로(720)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720)는,
    상기 동기화 신호 주기 내에서 상기 NB-PSS 및 NB-SSS를 수신하고 - 상기 수신하는 것은 상기 NB-PSS가 수신되는 프레임마다 하나 걸러 상기 NB-SSS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함 -,
    상기 NB-PSS가 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NB-PSS를 디매핑하고,
    상기 NB-PSS가 디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과 상이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NB-SSS를 디매핑함으로써, 상기 NB-PSS가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NB-SSS가 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NB-SSS를 디매핑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2).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720)는 제17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2).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720)는 상기 동기화 신호 주기의 매 프레임마다 상기 NB-PSS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2).
  37. 제34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720)는 상기 NB-SSS가 수신되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단일 서브프레임으로부터만 상기 NB-SSS를 디매핑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2).
KR1020187020680A 2015-12-18 2016-12-19 협대역 동기화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 KR102116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69662P 2015-12-18 2015-12-18
US62/269,662 2015-12-18
PCT/SE2016/051285 WO2017105338A1 (en) 2015-12-18 2016-12-19 Transmitting and receiving narrowband synchronization sig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662A KR20180097662A (ko) 2018-08-31
KR102116385B1 true KR102116385B1 (ko) 2020-05-29

Family

ID=5779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680A KR102116385B1 (ko) 2015-12-18 2016-12-19 협대역 동기화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70373900A1 (ko)
EP (3) EP3391579B1 (ko)
JP (2) JP6599561B2 (ko)
KR (1) KR102116385B1 (ko)
CN (2) CN108702270B (ko)
ES (1) ES2762996T3 (ko)
HU (1) HUE047627T2 (ko)
PL (1) PL3391579T3 (ko)
PT (1) PT3391579T (ko)
WO (1) WO20171053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4606B2 (en) * 2015-07-22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operating IoT in cellular system and system therefor
US20170142615A1 (en) * 2015-11-18 2017-05-18 Prakash Bhalerao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additional narrowband traffic over an existing 4g/lte network
KR20170092443A (ko) * 2016-02-03 2017-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협대역 동기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422613B1 (en) * 2016-02-26 2022-01-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system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narrowband-iot, and device therefor
US11057837B2 (en) * 2016-03-15 2021-07-06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power adjustment in narrowband wireless communications
US10123152B2 (en) * 2016-07-20 2018-11-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mart load-based deployment and tuning of narrowband carriers
WO2018073683A1 (en) * 2016-10-10 2018-04-26 Nokia Technologies Oy Synchronization of narrowband and wideband user equipment
DE112018000244T5 (de) * 2017-01-09 2019-09-12 Intel IP Corporation Synchronisationssignal-übertragungstechniken
CN108400949B (zh) * 2017-02-04 2021-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设备
US10404360B2 (en) 2017-02-14 2019-09-03 Qualcomm Incorporated Narrowband time-division duplex frame structure for narrowband communications
US10524258B2 (en) 2017-02-15 2019-12-31 Qualcomm Incorporated Narrowband time-division duplex frame structure for narrowband communications
EP3590241A1 (en) * 2017-03-03 2020-01-08 Intel IP Corporation Transmission of synchronization signals
WO2018236165A1 (ko) 2017-06-21 2018-12-27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660095B1 (en) * 2017-07-05 2020-05-19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in-band carrier use based on capacity-mode of service on host carrier
EP3634033B1 (en) * 2017-07-12 2022-10-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and device
CN109392127B (zh) 2017-08-10 2021-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方法、设备及系统
WO2019028802A1 (zh) 2017-08-10 2019-0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发送、接收方法及装置
CN109392132A (zh) * 2017-08-11 2019-02-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帧序号信息的指示方法、接收方法、相关设备及系统
CN107682287A (zh) * 2017-09-14 2018-02-09 上海无线通信研究中心 通信信号的检测方法/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设备
WO2019095188A1 (en) 2017-11-16 2019-05-2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carrier management
CN110769495B (zh) * 2018-07-27 2021-07-23 莆田市湄洲湾北岸经济开发区忠门隽永昇研发中心 通信的方法和装置
WO2020034432A1 (en) * 2018-11-02 2020-02-20 Zte Corporation Time domain mapping of synchronization signal blocks
US11659505B2 (en) * 2019-06-03 2023-05-23 Jio Platform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ation of small cell
WO2023123099A1 (zh) * 2021-12-29 2023-07-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物理下行控制信道接收、发送方法和装置
WO2023201495A1 (zh) * 2022-04-18 2023-10-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物理下行控制信道接收、发送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197B1 (ko) * 2010-03-26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참조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 참조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US9166718B2 (en) * 2012-05-11 2015-10-20 Intel Corporation Downlink control indication for a stand-alone new carrier type (NCT)
US9930678B2 (en) * 2012-07-19 2018-03-27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UEs with different TDD configurations and some techniques to mitigate UE-to-UE and base station-to-base station interference
US9479218B2 (en) * 2013-04-22 2016-10-25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s for LTE cell search with large frequency offset
US10521897B2 (en) * 2016-07-22 2019-12-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ing photonic emission to develop electromagnetic emission models
US20180027835A1 (en) * 2016-07-26 2018-02-01 Sigma Alimentos, S.A. De C.V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panela cheese, resulting as by-product whey without salt or with minimal amount of salt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56010
3GPP R1-15646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91579A1 (en) 2018-10-24
EP3391579B1 (en) 2019-09-25
EP3813289A1 (en) 2021-04-28
PL3391579T3 (pl) 2020-04-30
KR20180097662A (ko) 2018-08-31
HUE047627T2 (hu) 2020-05-28
PT3391579T (pt) 2019-11-21
CN113037673A (zh) 2021-06-25
CN108702270B (zh) 2021-04-02
JP6851644B2 (ja) 2021-03-31
JP6599561B2 (ja) 2019-10-30
ES2762996T3 (es) 2020-05-26
CN108702270A (zh) 2018-10-23
US20170373900A1 (en) 2017-12-28
JP2020036325A (ja) 2020-03-05
JP2019500795A (ja) 2019-01-10
CN113037673B (zh) 2024-05-14
EP3605937A1 (en) 2020-02-05
EP3605937B1 (en) 2021-05-12
WO2017105338A1 (en)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385B1 (ko) 협대역 동기화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
RU2696561C1 (ru) Скачкообразное изменение частоты для произвольного доступа
ES2865824T3 (es) Secuencias DMRS de enlace ascendente eficientes en potencia y recursos para IFDMA
US11290236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iving
US9806862B2 (en) Grouping of CS and comb values for DM-RS and SRS on shared time-frequency resources
EP2984886A1 (en)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format selection
CN108476127B (zh) 根据dmrs分配隐式推导频率同步
WO2011135788A1 (ja) 送信装置、受信装置、送信方法、及び通知方法
KR20130049780A (ko) 통신들에서 기준 신호들을 활용
CA308539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reference signal
KR20120035938A (ko) 무선 통신에서 잡음 추정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CN108029108B (zh) 数据传输的方法、终端设备和基站
JP7112570B2 (ja) TDDモードにおけるNB-IoT送信のためのスペシャルサブフレーム利用
JP6954409B2 (ja) ユーザ機器、基地局、ユーザ機器の方法、及び基地局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