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283B1 - 팜인식방법 - Google Patents

팜인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283B1
KR102115283B1 KR1020130148398A KR20130148398A KR102115283B1 KR 102115283 B1 KR102115283 B1 KR 102115283B1 KR 1020130148398 A KR1020130148398 A KR 1020130148398A KR 20130148398 A KR20130148398 A KR 20130148398A KR 102115283 B1 KR102115283 B1 KR 102115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farm
touch
area
pa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3709A (ko
Inventor
장현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8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283B1/ko
Publication of KR20150063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 대한 센싱데이터로부터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 터치가 인식된 영역을 복수의 패치로 식별하는 단계, 복수의 패치 중 제1패치의 최외곽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 제1패치의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패턴에 따라 제1패치의 최외곽 영역을 확장하여 제1팜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및 제1팜영역에 위치하는 패치들을 팜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팜인식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팜인식방법{PALM RECOGNITION METHOD}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를 센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를 경량화 및 슬림화하기 위해서는 표시장치에 부가적으로 부착되는 키보드 혹은 마우스를 대체하는 터치스크린 기술이 필요하다.
최근 터치스크린에 관한 기술은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예를 들어, 손가락)를 이용하여 터치 조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 뿐만 아니라 펜을 이용하여 터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발전되고 있다.
도 1은 사용자가 펜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11)는 펜(12)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0)을 터치한다. 도 1에서 터치스크린(10)은 사용자(11)의 신체 접촉을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펜(12)의 접촉 또한 인식함으로써 사용자(11)가 펜(12)을 사용하여 터치 조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11)의 신체는 정교한 형상-예를 들어, 터치를 위해 주로 사용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은 표면적이 넓고 정형화되지 않은 형상을 가짐-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11)는 신체를 이용한 터치 조작을 통해 정교한 제어를 수행하기 어렵다. 이에 반해, 펜(12)은 정교한 형상(예를 들어, 원형이며 표면적인 작은 형상)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11)는 이러한 정교한 형상의 펜(12)을 사용하여 보다 세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펜(12)을 이용한 터치 조작은 도 1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도 1의 (b)는 도 1의 (a)와 같은 사용자(11) 접촉에 대하여 터치스크린(10)이 인식한 터치센싱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11)는 펜(12)으로 터치스크린(10)을 터치할 때, 손의 일부분이 펜(12)과 함께 터치스크린(10)에 접촉되고 있다.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10)은 도 1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손의 일부분이 터치된 부분(13)과 펜(12)이 터치된 부분(14)에서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사용자(11)는 펜(12)을 조작할 때, 통상적으로 손의 일부분을 펜(12)이 접촉되는 물체 위에 올려놓게 되는데, 이러한 사용자(11)의 행동에 의해 터치스크린(10)은 도 1의 (b)와 같이 펜(12)이 터치되는 부분(14) 뿐만 아니라 사용자(11)의 손의 일부분이 터치되는 부분(13)에서도 터치를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터치스크린(10)은 터치된 두 부분(13, 14) 중 어떠한 터치가 사용자(11)가 의도한 터치인지 판단하기 어렵게 된다. 특히, 터치스크린(10)이 손의 일부분이 터치된 부분(13)에 따라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11)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제어되어 오동작을 일으킬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 측면에서, 의도되지 않은 터치부분을 인식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도되지 않은 터치부분을 제거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 대한 센싱데이터로부터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 터치가 인식된 영역을 복수의 패치로 식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패치 중 제1패치의 최외곽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1패치의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패턴에 따라 상기 제1패치의 최외곽 영역을 확장하여 제1팜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팜영역에 위치하는 패치들을 팜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팜인식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의도되지 않은 터치부분을 인식하거나 의도되지 않은 터치부분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펜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을 터치할 때 센싱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팜 및 펜터치에 의해 형성되는 패치들의 일 예시 도면이다.
도 4는 팜을 인식하는 제1 예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팜 및 펜터치에 의해 형성되는 패치들의 다른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팜을 인식하는 제2 예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제3패치의 최외곽 영역을 확장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팜 및 펜터치에 의해 형성되는 패치들이 다수 존재하는 예시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팜을 인식하는 제3 예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팜 및 펜터치에 의해 형성되는 패치들의 또 다른 예시 도면이다.
도 11은 팜을 인식하는 제4 예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연속된 프레임에서 터치가 진행되거나 해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팜을 인식하는 제5 예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팜을 인식하는 제6 예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손가락) 혹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물건(예를 들어, 터치펜)이 스크린에 접촉하는 것을 인식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기술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의도되지 않은 터치부분을 인식하거나 제거하는 기술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상"에 또는 "아래"에 형성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또는 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200)는 표시패널(290) 및 표시패널(290)에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드라이버회로(292, 드라이버 IC) 및 타이밍콘트롤러(294, T-con)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200)는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방출 표시소자(Field Emission Display :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전기영동 표시소자(Electrophoresis, EPD) 등의 평판 표시소자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평판 표시소자의 일 예로서 표시장치를 액정표시소자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표시장치(200)는 액정표시소자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표시패널(290)은 두 장의 기판들 사이에 액정층이 형성될 수 있다. 표시패널(290)의 하부 기판에는 다수의 데이터라인들, 데이터라인들과 교차되는 다수의 게이트라인들,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의 교차부들에 형성되는 다수의 TFT들(Thin Film Transistor), 액정셀들에 데이터전압을 충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화소전극, 화소전극에 접속되어 액정셀의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290)의 픽셀들은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에 의해 정의된 픽셀 영역에 형성되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픽셀들 각각의 액정셀은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전압과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공통전압의 전압차에 따라 인가되는 전계에 의해 구동되어 입사광의 투과양을 조절할 수 있다. TFT들은 게이트라인으로부터의 게이트펄스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데이터라인으로부터의 전압을 액정셀의 화소전극에 공급할 수 있다.
표시패널(290)의 상부 기판에는 블랙매트릭스, 컬러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290)의 하부 기판은 COT(Color filter On TFT)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블랙매트릭스와 컬러필터는 표시패널(290)의 하부 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패널(290)의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각각에는 편광판이 부착되고 액정과 접하는 내면에 액정의 프리틸트각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될 수 있다. 표시패널(290)의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에는 액정셀의 셀갭(Cellgap)을 유지하기 위한 컬럼 스페이서가 형성될 수 있다.
드라이버회로(292)는 타이밍콘트롤러(294)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아날로그 정극성/부극성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전압은 데이터라인들에 공급된다. 드라이버회로(292)는 또한, 데이터전압에 동기되는 게이트펄스를 게이트라인들에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데이터 전압이 기입되는 표시패널(290)의 라인을 선택한다.
타이밍콘트롤러(294)는 호스트(240)로부터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메인 클럭(MCLK) 등의 타이밍신호를 입력받아 드라이버회로(292)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스캔 타이밍 제어신호와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스캔 타이밍 제어신호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ate Output Enable, GO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는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 극성제어신호(Polarity, POL),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urce Output Enable, SO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부분은 표시장치(200)에서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것과 관련된 구성들이다. 도 2를 계속해서 참조하면서, 표시장치(200)에서 터치를 센싱하는 것과 관련된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표시장치는(200)는 터치스크린(210) 및 터치스크린(210)에서의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터치회로(220, 터치 IC) 및 마이크로콘트롤유니트(230, MCU)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IC(220)와 MCU(230, Micro Control Unit)를 합쳐서 터치콘트롤러로 명명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명칭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서는 터치IC(220)와 MCU(230, Micro Control Unit)가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터치IC(220)와 MCU(230)는 하나의 제어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IC(220)와 MCU(230)가 분리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IC(220)와 MCU(230)는 하나의 제어기로 구현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터치IC(220)가 수행하는 기능 중 일부는 MCU(230)에서 수행될 수 있고 MCU(230)가 수행하는 기능 중 일부는 터치IC(2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210)은 표시패널(290)의 상부 편광판 상에 접합되거나, 상부 편광판과 상부 기판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210)의 전극들은 표시패널(290) 내에서 픽셀 어레이와 함께 인셀(In-cell) 타입으로 하부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210)은 Tx 라인들, Tx 라인들과 교차하는 Rx 라인들 및 Tx 라인들과 Rx 라인들의 교차부들에 형성되는 센서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IC(220)는 Tx 라인들에 구동펄스를 공급하고 Rx 라인들을 통해 센서 노드의 전압을 센싱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Tx 라인들로 구동펄스를 공급하는 회로와 Rx 라인들의 전압을 센싱하는 회로는 분리되어 별도의 IC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 2의 예시와 같이 하나의 ROIC(Read-out IC) 내에 집적될 수 있다.
터치IC(220)는 MCU(230)로부터 입력된 셋업신호에 응답하여 Tx 채널을 설정하고, 설정된 Tx 채널에 연결된 Tx 라인들에 구동펄스를 공급한다.
하나의 Tx 라인에 연결된 센서 노드로 한번씩 구동펄스를 공급하는 것을 하나의 스캔이라고 할 때, 터치IC(220)는 하나의 Tx 라인에 대하여 둘 이상의 스캔(예를 들어, 10회의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IC(220)는 이렇게 하나의 Tx 라인에 대하여 다수의 스캔을 수행하고 다음 Tx 라인에도 같은 방식으로 다수의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IC(220)는 MCU(230)로부터 입력된 셋업신호에 응답하여 센서 노드의 전압을 수신할 Rx 채널을 설정하고, 설정된 Rx 채널과 연결된 Rx 라인을 통해 센서 노드의 전압을 센싱한다. 터치IC(220)는 센싱된 센서 노드의 전압을 디지털 데이터인 터치 로 데이터(touch raw data)로 변환하여 MCU(230)로 전송할 수 있다.
MCU(230)는 I2C 버스,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시스템 버스(System bus)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치IC(220)에 연결될 수 있다. MCU(230)는 셋업신호를 터치IC(220)에 공급하여 구동펄스가 출력될 Tx 채널을 설정하고 센서 노드의 전압이 읽혀질 Rx 채널을 선택한다. MCU(230)는 터치IC(220)에 내장된 샘플링 회로의 스위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Rx 샘플링 클럭을 터치IC(220)에 공급하여 센서 노드의 전압 샘플링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MCU(230)는 ADC 클럭을 터치IC(220)에 내장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에 공급하여 ADC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MCU(230)는 터치IC(220)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로 데이터들을 미리 설정된 터치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소정의 기준값 이상의 터치 데이터들에 대한 좌표값을 추정하여 좌표 정보를 포함한 터치 데이터를 생성하고 호스트(240)로 출력할 수 있다.
호스트(240)는 외부 비디오 소스 기기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시스템, 셋톱박스,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홈 시어터 시스템, 방송 수신기, 폰 시스템(Phone system) 등에 접속되어 그 외부 비디오 소스 기기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호스트(240)는 스케일러(scaler)를 포함한 SoC(System on chip)을 포함하여 외부 비디오 소스 기기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패널(290)에 표시하기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또한, 호스트(240)는 MCU(230)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데이터의 좌표값과 연계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MCU(230)는 터치IC(22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터치IC(220)가 주기적으로 터치스크린(210)에 대하여 터치를 센싱하고 이렇게 센싱된 센싱데이터를 MCU(2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하나의 주기를 프레임으로 호칭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호칭으로 제한되지는 않음. MCU(230)는 이러한 센싱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도되지 않은 터치부분을 인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의도되지 않은 터치를 팜(PALM) 혹은 팜터치로 호칭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러한 호칭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MCU(230)는 터치스크린(210)에 대한 센싱데이터를 터치IC(22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데이터를 이용하여 터치가 이루어진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MCU(230)는 터치가 이루어진 영역을 하나 이상의 터치부분(이하 '패치'라고 함)으로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센싱데이터는 센서 노드 단위로 형성되는데, MCU(230)는 연속된 센서 노드에서 발생한 센싱데이터들을 그룹화하여 하나의 패치로 인식할 수 있다.
도 3은 팜 및 펜터치에 의해 형성되는 패치들의 일 예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MCU(230)는 터치영역을 두 개의 패치(310, 320)로 식별하고 있다. 이때, 제1패치(310)는 펜터치에 의해 형성된 패치이고, 제2패치(320)는 팜에 의해 형성된 패치이다. 통상적으로 팜은 펜을 잡고 있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팜에 의해 형성되는 패치가 펜터치에 의해 형성되는 패치보다 클 수 있다. 유사한 맥락에서, MCU(230)는 식별되는 패치들의 크기를 이용하여 패치가 팜에 의해 형성된 것인지 펜에 의해 형성된 것인지 판단함으로써 팜을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팜을 인식하는 제1 예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MCU(230)는 터치가 인식된 영역을 복수의 패치로 식별하고(S402), 각각의 패치에 대한 크기 요소를 분석한다(S404).
패치의 크기 요소는 여러 가지일 수 있는데, 도 3에 패치의 크기 요소에 대한 예시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패치들은 가로축 방향의 크기 및 세로축 방향의 크기를 크기 요소로서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제1패치(310)는 가로축 방향의 크기로서 xd1을 가지고 있고, 세로축 방향의 크기로서 yd1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2패치(320)는 가로축 방향의 크기로서 xd2를 가지고 있고, 세로축 방향의 크기로서 yd2를 가지고 있다.
이외에도 패치들의 면적 또한 패치의 크기 요소가 될 수 있다. 패치들은 연속된 센서 노드에서 발생한 센싱데이터들을 그룹화함으로써 인식될 수 있는데, 하나의 패치에 포함되는 센서 노드의 수는 패치의 면적에 비례하는 값으로서 MCU(230)는 이러한 센서 노드의 수를 이용하여 패치의 면적을 인식할 수 있고, 이러한 패치의 면적을 패치의 크기 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
MCU(230)는 S404 단계를 통해 분석한 각각의 패치의 크기 요소를 이용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패치를 팜으로 인식할 수 있다(S406).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MCU(230)는 패치의 가로축 방향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이면 해당 패치를 팜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MCU(230)는 S404 단계에서 패치의 면적을 인식하고 패치의 면적이 일정 크기 이상이면 해당 패치를 팜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5는 팜 및 펜터치에 의해 형성되는 패치들의 다른 예시 도면이다.
도 5의 (a)는 펜을 잡고 터치 조작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손 모양을 도시하고 있고, 도 5의 (b)는 도 5의 (a)와 같은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인식되는 패치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210)에는 3개의 패치들이 형성된다. 패치들을 도 5의 (a)와 비교해 보면, 제1패치(530)는 펜터치에 의해 형성된 것이고, 제2패치(520) 및 제3패치(530)는 팜에 의해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MCU(230)는 도 5에 도시된 패치들 중 팜을 구별해 내기 위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예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예시 방법에 의할 때, MCU(230)는 먼저 터치된 영역을 복수의 패치들로 식별하고, 각각의 패치들에 대하여 크기 요소를 분석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MCU(230)는 각각의 패치들에 대하여 가로축 방향의 크기 및 세로축 방향의 크기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MCU(230)는 이러한 가로축 방향의 크기 및 세로축 방향의 크기를 이용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패치들을 팜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MCU(230)는 제3패치(530)의 가로축 방향의 크기(xd3) 혹은 세로축 방향의 크기(yd3)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것으로 확인하고 제3패치(530)를 팜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런데, MCU(230)는 제2패치(520)를 팜으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제2패치(520)의 가로축 방향의 크기(xd2)는 제1패치(510)의 가로축 방향의 크기(xd1)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또한, 제2패치(520)의 세로축 방향의 크기(yd2)는 제1패치(510)의 세로축 방향의 크기(yd1)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MCU(230)는 펜터치가 팜으로 인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팜을 인식하는 기준 값을 제1패치(510)의 크기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할 경우, 제1패치(510)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의 제2패치(520)는 MCU(230)에게 팜으로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제2패치(520)가 팜으로 인식되지 않고 제1패치(510)와 같은 터치로 인식되는 경우, MCU(230)는 터치스크린(210)에 멀티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하나의 터치 조작만을 의도하였는데, MCU(230)는 멀티 터치를 인식하게 되어, 결국 호스트(240)는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른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MCU(230)는 이러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예시 방법에서 사용된 패치의 크기 요소 분석 이외에 패치의 패턴을 분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5의 (a)에서의 사용자 손 모양을 참조하면, 제2패치(520)는 손의 끝부분으로써 제3패치(530)와 함께 하나의 손에서부터 유래되었으나 손가락의 마디부분과 같이 터치스크린(210)과 접촉되지 않는 부분에 의해 두 패치가 떨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3패치(530)가 손바닥의 일부분 형상인 것을 인식하면, 제3패치(530)와 근접한 위치에 있는 제2패치(520)가 같은 손에서 유래된 팜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통상적으로 손바닥에 의해 형성되는 큰 패치의 주변에는 같은 손에서 유래되는 작은 패치들이 근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MCU(230)는 제3패치(530)와 같이 큰 패치의 패턴을 분석하여 그 주변으로 형성된 작은 패치들(예를 들어, 제2패치(520))이 팜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도 6은 팜을 인식하는 제2 예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MCU(230)는 터치가 인식된 영역을 복수의 패치로 식별한다(S602).
그리고, MCU(230)는 각각의 패치의 최외곽 영역을 설정한다(S604). 패치는 연속된 센서 노드에서 발생한 센싱데이터들을 그룹화함으로써 인식될 수 있는데, 이때, MCU(230)는 최외곽에 있는 센서 노드 좌표들을 이용하여 패치의 최외곽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S604).
그리고, MCU(230)는 패치의 최외곽 영역의 패턴을 분석한다(S606). 패턴은 최외곽 영역의 방향(예를 들어, 가장 길게 늘어선 방향), 모양 및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CU(230)는 패턴으로써 패치의 최외곽 영역의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 MCU(230)는 패치에 대한 방향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손이 어느 방향으로 놓여져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MCU(230)가 패치의 방향을 통해 사용자의 손 방향을 파악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 방향으로 형성되는 작은 팜들을 더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MCU(230)는 패턴으로써 패치의 최외곽 영역의 모양을 분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은 터치스크린(210)에 접촉하면서 'U', 'C', 'L'자 형상과 같이 양끝에 비해 가운데 부분이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패치를 형성할 수 있는데, MCU(230)는 이러한 모양을 인식하여 패치가 손에 의해 형성된 패치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또한 패치가 손의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손이 어느 방향으로 놓여 있는지 등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MCU(230)는 패치 주변에 형성되는 작은 팜들을 더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MCU(230)는 제3패치(530)의 모양을 인식하고, 제3패치(530)의 앞쪽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제2패치(520)가 펜터치에 의해 형성된 것이 아닌 팜에 의해 형성된 패치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MCU(230)는 패치의 최외곽 영역의 패턴을 분석한 후, 최외곽 영역을 확장해서 재설정할 수 있다-설명의 편의를 위해 확장된 영역을 팜영역이라 함. 그리고, MCU(230)는 이러한 팜영역 내의 패치를 팜으로 인식한다(S608).
S608 단계에서 MCU(230)가 최외곽 영역을 확장하는 예시를 도 7을 통해 부연 설명한다.
도 7은 도 5에서 제3패치(530)의 최외곽 영역을 확장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MCU(230)는 제3패치(530)의 최외곽 영역을 사각형의 영역(710)으로 설정한다. 패치의 최외곽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패치의 최외곽에 있는 센서 노드의 좌표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으나 좀더 간단한 방법으로 패치 중 가로축 방향 좌표 값이 가장 작은 센서 노드의 좌표, 가로축 방향 좌표 값이 가장 큰 센서 노드의 좌표, 세로축 방향 좌표 값이 가장 작은 센서 노드의 좌표, 그리고 세로축 방향 좌표 값이 가장 큰 센서 노드의 좌표를 이용하여 패치를 둘어싸는 사각형의 영역을 최외곽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MCU(230)는 S606 단계에서 제3패치(530)의 모양을 분석하여 제3패치(530)가 도 5의 (a)와 같은 손 모양의 일부라는 것을 인식하고, S608 단계에서 참조번호 730 방향으로 최외곽 영역(710)을 확장하여 팜영역(720)을 설정한다. 이때, 도 5의 (a)와 같은 손 모양에서는 손가락 방향(도 7의 730방향)으로 작은 패치들이 더 형성될 수 있음으로 MCU(230)는 다른 방향에 비해 참조번호 730 방향으로 더 많이 확장하여 팜영역(720)을 설정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확장된 팜영역(720)에는 제2패치(520)와 제3패치(530)가 모두 포함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MCU(230)는 제2패치(520)와 제3패치(530)를 모두 팜으로 인식하고 제1패치(510)만이 정상적인 터치라고 인식하게 된다.
MCU(230)는 패치의 패턴을 분석하고 패턴에 따라 최외곽 영역을 확장하여 팜영역을 설정함에 있어서, 이와 관련된 데이터베이스 혹은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MCU(230)는 여러 가지 패턴에 대한 패턴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가지고 있을 수 있는데, 도 5 혹은 도 7에 도시된 제3패치(530)와 같은 뒤집어진 'L'자 형상도 이렇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의 패턴일 수 있다. MCU(230)는 분석된 패치의 패턴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패턴과 비교하면서 적합도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패턴 중 하나를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패턴과 연관되어 저장된 패턴정보를 팜영역을 설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패턴정보에는 최외곽 영역의 확장하는데 적용되는 확장로직이 함께 저장될 수 있다. MCU(230)는 분석된 패턴에 따라 미리 설정된 확장로직들 중 하나의 확장로직을 선택하고, 선택된 하나의 확장로직에 따라 패치의 최외곽 영역을 확장하여 팜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로직들은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두께로 확장되도록 하는 제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확장로직들은 패턴에 따라 어느 부분으로 확장해야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제3패치(530)의 패턴에 따라 이와 연관되어 있는 확장로직은 다른 방향에 비해 참조번호 730의 방향으로 더 확장하라는 제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정보는 확장이 잘못된 방향으로 진행되어 의도된 터치(예를 들어, 제1패치(510)와 같은 펜터치)도 팜으로 인식되는 오류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패치는 도 5에 도시된 패치보다 더 많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더 많은 패치가 형성되었을 때의 팜인식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팜 및 펜터치에 의해 형성되는 패치들이 다수 존재하는 예시에 대한 도면이고, 도 9는 팜을 인식하는 제3 예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210)에 5개의 패치가 인식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MCU(230)는 5개의 패치들을 크기 순으로 정렬하고(S902), 가장 큰 패치(도 8에서, 820)를 선택한다(S904).
그리고, MCU(230)는 선택된 패치가 일정 크기 이상인지 판단한다(S905). 이때, MCU(230)는 패치의 면적, 장반경(가장 긴 축의 길이) 혹은 단반경(가장 짧은 축의 길이)이 팜기준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선택된 패치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S905에서 YES), MCU(230)는 패치의 최외곽 영역을 설정하고(S906), 최외곽 영역의 패턴을 분석한다(S908).
패치의 패턴에 대한 분석 후, MCU(230)는 패턴에 따라 패치의 최외곽 영역을 확장하여 팜영역(도 8에서 850)을 설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팜영역(850) 내에 있는 패치들(820, 830 및 840)을 팜으로 인식한다(S910).
팜을 인식한 후에, MCU(230)는 인식되지 않은 패치(팜이나 터치로 인식되지 않은 패치)가 있는지 확인하고(S912), 인식되지 않은 패치가 있는 경우(S912에서 YES), 다음 크기의 패치(도 8에서 860)를 선택한다(S914).
MCU(230)는 다음 크기의 패치가 일정 크기 이상인지 판단하고(S905),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S905에서 YES), S906, S908 및 S910 단계를 수행하여 팜을 추가로 인식한다.
그리고, 또, 인식되지 않은 패치가 있는지 확인하고(S912), 인식되지 않은 패치가 있는 경우(S912에서 YES), 다음 크기의 패치를 선택한다(S914). 이때, 도 8의 예시에서는 전단계들을 통해 참조번호 820, 830, 840 및 850의 패치가 팜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다음 크기의 패치로 참조번호 810의 패치가 선택된다.
MCU(230)는 참조번호 810 패치가 일정 크기 이상인지 확인하고(S905), 일정 크기보다 작은 경우(S905에서 NO), 해당 패치(810)를 터치로 인식한다(S916). 그리고, 더 이상으로 인식해야 하는 터치가 없으면(S912에서 NO), 팜인식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하나의 패치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다른 패치를 팜으로 인식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패치에 근접하지 않은 다른 패치를 팜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하나의 패치에 근접하지 않은 다른 패치를 팜으로 인식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팜 및 펜터치에 의해 형성되는 패치들의 또 다른 예시 도면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팬을 잡고 터치스크린(210)을 터치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팔의 다른 부분(예를 들어, 팔꿈치)이 터치스크린(210)과 접촉될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이런 팔꿈치에 의한 접촉(1030)은 터치스크린(210)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기 때문에 그 면적이 작다. 이에 따라, 패치의 크기를 통해 팜을 인식하는 제1 예시 방법을 통해서는 이러한 접촉(1030)은 팜으로 인식되지 않고 정상적인 터치로 인식될 수 있다.
도 11은 팜을 인식하는 제4 예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210)에 3개의 패치가 인식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MCU(230)는 3개의 패치들을 크기 순으로 정렬하고(S1102), 가장 큰 패치(도 10에서 1020)를 선택한다(S1104).
그리고, MCU(230)는 선택된 패치가 일정 크기 이상인지 판단한다(S1105). 이때, MCU(230)는 패치의 면적, 장반경(가장 긴 축의 길이) 혹은 단반경(가장 짧은 축의 길이)이 팜기준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선택된 패치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S1105에서 YES), MCU(230)는 패치의 최외곽 영역을 설정하고(S1106), 최외곽 영역의 패턴을 분석한다(S1108).
패치의 패턴에 대한 분석 후, MCU(230)는 패턴에 따라 패치의 최외곽 영역을 확장하여 팜영역을 설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팜영역 내에 있는 패치들을 팜으로 인식한다(S1110). 이때, 도 10의 참조번호 1020 패치는 팜으로 인식되게 된다.
팜을 인식한 후에, MCU(230)는 인식되지 않은 패치(팜이나 터치로 인식되지 않은 패치)가 있는지 확인하고(S1112), 인식되지 않은 패치가 있는 경우(S1112에서 YES), 다음 크기의 패치(도 10에서 1030)를 선택한다(S1114).
MCU(230)는 다음 크기의 패치(도 10에서 1030)가 일정 크기 이상인지 판단하고(S1105), 일정 크기보다 작은 경우(S1105에서 NO), 다른 패치와의 관계에 따라 팜여부를 판단한다(S1116).
S1116 단계에서, MCU(230)는 현재 대상이 되고 있는 패치(도 10에서 1030)가 다른 패치의 장축 방향으로 연장된 선과 만나고 현재 대상이 되고 있는 패치가 터치스크린(2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 이에 해당되는 경우(S1116에서 YES), MCU(230)는 현재 대상이 되는 패치를 팜으로 인식할 수 있다(S1118).
그리고, MCU(230)는 인식되지 않은 패치가 있는지 확인하고(S1112), 인식되지 않은 패치가 있는 경우(S1112에서 YES), 다음 크기의 패치를 선택한다(S1114).
MCU(230)는 이때, 선택된 참조번호 1010 패치가 일정 크기 이상인지 확인하고(S1105), 일정 크기보다 작은 경우(S1105에서 NO), 해당 패치(1010)에 대해 S1116 단계를 진행하고 S1116 단계에서 NO인 경우, 해당 패치(1010)를 터치로 인식한다(S1120). 그리고, 더 이상으로 인식해야 하는 터치가 없으면(S1112에서 NO), 팜인식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하나의 프레임에서 팜을 인식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아래에서는 여러 프레임에서 팜을 인식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연속된 프레임에서 터치가 진행되거나 해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a)는 연속된 프레임에서 터치가 진행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터치가 진행될 때, 작은 면적으로 터치가 시작되어 넓은 면적으로 터치가 확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2의 (b)는 연속된 프레임에서 터치가 해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터치가 해제될 때, 큰 면적의 터치가 프레임의 흐름에 따라 작은 면적으로 축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할 때, 제1 예시 방법에 따르면, 도 12의 (a)의 제1프레임 혹은 도 12의 (b)의 제3프레임은 패치의 크기가 작아 팜으로 인식되지 않고 터치로 인식될 수 있다. 반대로, 도 12의 (a)의 제3프레임 혹은 도 12의 (b)의 제1프레임은 패치의 크기가 커 팜으로 인식될 수 있다. 결국, 하나의 사용자 동작에서부터 유래되는 터치들이 프레임에 따라 터치로 인식되기도 하고 팜으로 인식되기도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연속된 프레임에서 계속해서 팜을 인식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팜을 인식하는 제5 예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MCU(230)는 N(N은 자연수)개의 연속된 프레임에서의 패치를 인식한다(S1302). 이때, MCU(230)는 N개의 연속된 프레임에서의 패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면서 어느 한 시점에서 N개의 연속된 프레임에서의 패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팜을 인식할 수 있다.
MCU(230)는 전술한 패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한 패치가 다른 프레임에서 팜으로 인식된 다른 한 패치의 영역에 포함되면 이러한 한 패치를 팜으로 인식할 수 있다(S1304).
예를 들어, 도 12의 (a)의 예시에서 MCU(230)는 제1 내지 제3프레임의 패치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면서, 제1프레임의 패치가 제3프레임에서 팜으로 인식된 패치의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제1프레임의 패치를 팜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MCU(230)는 전술한 최외곽 영역 확장의 방법을 통해 팜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데, 팜으로 인식된 제3프레임 패치의 팜영역에 대하여 이전 M(M은 자연수) 프레임 동안에 상기 팜영역 내에 위치하는 패치들은 모두 팜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2의 (b)의 예시에서 MCU(230)는 제1프레임에서 팜으로 인식되는 패치의 영역 혹은 패치의 팜영역에 대하여, 다음 L(L은 자연수) 프레임 동안 상기 패치의 영역 혹은 상기 팜영역에서 인식되는 패치들을 팜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14는 팜을 인식하는 제6 예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MCU(230)는 패치를 트래킹하고 트래킹된 패치에 대하여 팜 플래그를 관리할 수 있다(S1402).
MCU(230)는 연속된 프레임에서 인식되는 터치들을 서로 연동시키는 트래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지점에 대한 터치 뿐만 아니라 움직이는 터치(예를 들어, 슬라이딩 터치)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연속된 프레임에서 인식되는 터치들을 서로 연동시켜서 트래킹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트래킹은 연속된 프레임의 터치들의 좌표들에 대하여 근접도 테스트(예를 들어, 좌표들이 떨어져 있는 거리 측정)를 통해 근접성이 높은 좌표들을 서로 연동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MCU(230)는 패치를 트래킹하고 이러한 트래킹된 패치에 대하여 팜 플래그를 관리할 수 있다. 팜 플래그는 해당 패치가 팜의 특성(예를 들어, 패치의 크기가 일정 이상)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로서 해당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 팜 플래그가 ON으로 설정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팜 플래그가 OFF로 설정될 수 있다. 팜 플래그는 프래임 단위로 관리될 수 있는데, 도 12의 (b)와 같이 제1프레임에서는 패치의 크기가 커서 팜으로 인식되어 해당 패치의 팜 플래그가 ON으로 설정될 수 있지만 제3프레임에서는 패치의 크기가 작아서 팜의 특성이 없어지게 되어 해당 패치의 팜 플래그가 OFF로 설정될 수 있다.
MCU(230)는 팜 플래그가 ON에서 OFF로 설정되면 해당 패치의 영역 혹은 해당 패치의 팜영역을 회피 영역(Avoid Area)로 설정하고(S1404), 다음 L(L은 자연수) 프레임 동안 회피 영역의 터치를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S1406).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라 MCU(230)는 팜을 인식하고 해당 팜을 제거할 수 있다. 터치로 인식된 좌표들은 호스트(240)로 전송될 수 있는데, MCU(230)는 팜으로 인식된 데이터를 제거함으로써 호스트(240)로 해당 좌표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따라 호스트(240)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접촉에 대한 터치좌표를 수신하지 않아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0 : TSP
220 : 터치IC
230 : MCU
240 : 호스트
290 : 표시패널
292 : 드라이버IC
294 : T-con

Claims (10)

  1. 터치스크린에 대한 센싱데이터로부터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
    터치가 인식된 영역을 복수의 패치로 식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패치 중 면적이 가장 큰 패치를 제1패치로 선택하고, 상기 제1패치의 최외곽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1패치의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패턴에 따라 상기 제1패치의 최외곽 영역을 확장하여 제1팜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패치 중 패치의 크기가 팜 기준보다 작은 패치는 터치로 인식하고, 상기 제1패치의 최외곽 영역을 확장하여 제1팜영역으로 설정한 이후에도 인식되지 않는 패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패치의 최외곽 영역을 다시 확장하여 상기 제1팜영역으로 다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팜영역에 위치하는 패치들을 팜으로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팜인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치의 면적, 장반경 혹은 단반경은 팜기준 값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팜인식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최외곽 영역의 방향, 모양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팜인식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패턴에 따라 상기 제1패치의 최외곽 영역을 확장하고 제1팜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석된 패턴에 따라 미리 설정된 확장로직들 중 하나의 확장로직을 선택하고, 선택된 하나의 확장로직에 따라 상기 제1패치의 최외곽 영역을 확장하고 상기 제1팜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팜인식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로직들은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두께로 확장되도록 하는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팜인식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치의 장축방향으로 연장된 선과 만나고 터치스크린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2패치를 팜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팜인식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치의 크기, 장반경 혹은 단반경은 팜기준 값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팜인식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팜으로 인식하는 단계에서,
    다음 N(N은 자연수)프레임 동안 상기 제1팜영역에서 인식되는 패치들을 팜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팜인식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다음 N(N은 자연수)프레임 동안 상기 제1팜영역의 터치를 인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팜인식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팜으로 인식하는 단계에서,
    이전 M(M은 자연수)프레임 동안에 상기 제1팜영역에 위치한 패치를 팜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팜인식방법.
KR1020130148398A 2013-12-02 2013-12-02 팜인식방법 KR102115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398A KR102115283B1 (ko) 2013-12-02 2013-12-02 팜인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398A KR102115283B1 (ko) 2013-12-02 2013-12-02 팜인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709A KR20150063709A (ko) 2015-06-10
KR102115283B1 true KR102115283B1 (ko) 2020-05-26

Family

ID=5350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398A KR102115283B1 (ko) 2013-12-02 2013-12-02 팜인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2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109A (ko) * 2017-10-30 2019-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터치 인식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6003A (ja) * 2009-10-13 2011-04-28 Sony Corp 情報入力装置、情報入力方法、情報入出力装置、情報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機器
KR101180865B1 (ko) 2011-05-25 2012-09-07 (주)나노티에스 터치펜 좌표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5718B2 (en) * 2007-01-03 2010-12-21 Apple Inc. Multi-touch input discrimination
US8294047B2 (en) * 2008-12-08 2012-10-23 Apple Inc. Selective input signal rejection and modification
KR101213642B1 (ko) * 2011-01-12 2012-12-1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 스크린 상의 접촉 매개체 구분 장치 및 방법
KR20130088104A (ko) * 2013-04-09 2013-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접촉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휴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6003A (ja) * 2009-10-13 2011-04-28 Sony Corp 情報入力装置、情報入力方法、情報入出力装置、情報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機器
KR101180865B1 (ko) 2011-05-25 2012-09-07 (주)나노티에스 터치펜 좌표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109A (ko) * 2017-10-30 2019-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터치 인식 방법 및 그 장치
KR102344971B1 (ko) 2017-10-30 2021-12-3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터치 인식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709A (ko) 201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6883B2 (en) Touch screen device with normal and sleep mode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9891747B2 (en) Multi-touch sensitiv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ssigning touch identification therein
KR102088906B1 (ko) 터치 스크린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2008512B1 (ko) 터치 센싱 시스템의 에지부 좌표 보상 방법
KR102050385B1 (ko) 터치 센싱 시스템과 그 지연 시간 감소 방법
JP5894957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
US10838539B2 (en) Touch display device, touch driving circuit, and touch sensing method
CN103019434A (zh) 触摸屏幕驱动器及其驱动方法
KR102007817B1 (ko) 기준 데이터 보정방법과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KR101503106B1 (ko) 터치 스크린 구동 장치 및 방법
CN103164095B (zh) 具有触摸传感器的显示装置及其触摸数据处理方法
KR102115283B1 (ko) 팜인식방법
KR102272952B1 (ko) 터치 센싱 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1992849B1 (ko) 터치 좌표 전송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KR102541935B1 (ko) 입력 센싱 장치
KR101976834B1 (ko) 터치 로우 데이터 보정방법과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KR102016570B1 (ko) 터치 센싱 시스템과 그 노이즈 제거 방법
KR20130017888A (ko) 터치 위치의 중심좌표 추출방법 및 그를 이용한 터치표시장치
KR101798662B1 (ko) 터치 스크린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2143760B1 (ko) 터치추적방법
KR101977253B1 (ko) 터치 및 호버 센싱 시스템과 그 구동 방법
KR102520692B1 (ko) 터치 센싱 시스템
KR101920491B1 (ko) 터치센서를 가지는 표시장치와 그의 snr 향상방법
KR102269955B1 (ko) 터치 스크린 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KR102143945B1 (ko) 터치 센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