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920B1 - Device and method that pen input for working with graphics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that pen input for working with graphic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920B1
KR102114920B1 KR1020200032935A KR20200032935A KR102114920B1 KR 102114920 B1 KR102114920 B1 KR 102114920B1 KR 1020200032935 A KR1020200032935 A KR 1020200032935A KR 20200032935 A KR20200032935 A KR 20200032935A KR 102114920 B1 KR102114920 B1 KR 102114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holder
input device
angle
pe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9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선일
Original Assignee
(주)더포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포스트 filed Critical (주)더포스트
Priority to KR1020200032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92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9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n input device for graphic work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n input device comprises: a touch panel sensing input of a stylus pen; a pen holder having a pen groove for storing the stylus pen inserted therein; a holder frame supporting the pen holder; and a rotating member rotating between the holder frame and the touch panel to adjust an angle between the pen holder and the touch panel.

Description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THAT PEN INPUT FOR WORKING WITH GRAPHICS}DEVICE AND METHOD THAT PEN INPUT FOR WORKING WITH GRAPHICS}

본 발명은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펜 홀더(Pen holder)와 결합되어 동작하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graphic work.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graphic work in combination with a pen holder.

최근 다양한 전자제품에서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a touch panel for input by contacting an input device such as a finger or a stylus pen in various electronic products has been applied.

그러나 터치펜은, 일반 필기구와 달리 각종 전자부품이 내장된 정밀 전자제품으로, 사용 중 떨어뜨림 등에 의한 고장 내지 파손 발생 위험성이 매우 커서 사용시 안전하게 보관 및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However, unlike a general writing instrument, the touch pen is a precision electronic product wit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built-in, so there is a very high risk of breakdown or damage due to dropping during use, so it must be safely stored and used easily.

이러한 필요성에 의하여 터치펜에 대한 입출 및 보관의 기능을 수행하는 펜 홀더(Pen holder)가 개발되었으나,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펜 홀더의 구비를 위한 별도의 세팅을 수행하여 작업환경을 구축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Due to this necessity, a pen holder has been develop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entering and storing a touch pen, but in order to use this, the user has to establish a working environment by performing separate settings for the provision of the pen holder. There is a ship.

또한, 별도로 관리되는 펜 홀더는 분실의 위험이 동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보관 시 요구되는 안전성 요구 기준이 상당한 실정이다. In addition, the separately managed pen holder has a problem that is accompanied by a risk of loss, and safety requirements required for storage are substantial.

더하여, 이동 가능한 휴대용 장치와 터치펜을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시, 휴대용 장치의 이동에 따라서 펜 홀더를 일일이 따로 옮겨 주어야 하는 등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는 펜 홀더에 의한 어려움이 존재한다. In addition, when performing work using a portable portable device and a touch pen, there is a difficulty due to a pen holder that must be separately provided, such as separately moving the pen hold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device.

또한, 터치펜의 경우 터치펜을 상하 수직방향으로 정확하게 꽂거나 빼내지 않아 꺾이게 되면 터치펜의 부러짐이나 내부 부품의 손상 등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터치펜을 전용으로 보관하면서 사용 중 편리함을 도모함과 동시에 터치펜의 파손 내지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ouch pen, it is easy to break the touch pen or damage internal parts if the touch pen is not bent correctly inserted or pulled out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it is easy to use while storing the touch pen exclusively. At the same tim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prevents damage or failure of the touch pen.

KR 10-2005-0043101 AKR 10-2005-0043101 A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자적으로 구현된 터치 펜인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을 수용하는 펜 홀더(Pen holder)와 결합되어 동작하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 p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a graphic operation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a pen holder that accommodates a stylus pen, which is an electronically implemented touch pen.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펜 홀더와 결합된 펜 입력 장치의 기울기가 변화하여도 상기 펜 홀더의 기울기는 그대로 유지되어 펜 홀더에 대한 스타일러스펜의 입출의 편의와 펜 입력 장치의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inclination of the pen input device coupled to the pen holder is maintained, the inclination of the pen holder is maintained as a graphic work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entering and exiting the stylus pen to the pen holder and usability of the pen input device To provide a p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또한, 본 발명은, 펜 홀더 자체에서 스타일러스펜의 입출을 수용하는 펜 홈에 대한 각도 변경을 자유롭게 설정하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a graphic operation for freely setting an angle change with respect to a pen groove accommodating the stylus pen in and out from the pen holder itself.

또한, 본 발명은, 펜 홀더와 결합된 펜 입력장치를 기반으로 펜 홀더와 스타일러스펜 사이에서의 동작을 감지하여 광고 그래픽 작업에 편의로운 유저 인터페이스 및 경험(UI/UX)을 제공하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a pen input device coupled with a pen holder, detects an operation between a pen holder and a stylus pen to perform a graphic operation that provides a convenient user interface and experience (UI / UX) for advertising graphic work. To provide a p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장치 및 방법은,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인입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수용하기 위한 펜 홈이 형성된 펜 홀더; 상기 펜 홀더를 지지하는 홀더 프레임; 및 상기 홀더 프레임과 상기 터치 패널 사이에서 회전하여, 상기 펜 홀더와 상기 터치 패널 사이의 각도를 조정하는 회동부재를 포함한다. P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a graphic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panel for detecting the input of the stylus pen; A pen holder having a pen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drawn stylus pen; A holder frame supporting the pen holder; And a rotating member that rotates between the holder frame and the touch panel to adjust an angle between the pen holder and the touch panel.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장치 및 방법은,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 동작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펜 입력장치의 기울기에 따라서 상기 회동부재를 컨트롤하여 상기 펜 홀더의 기울기를 조절해 상기 펜 홈의 홀딩 각도를 제어한다. At this time, the p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graphic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otation member,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otation member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pen input device By adjusting the tilt of the pen holder to control the holding angle of the pen groov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딩 각도가 직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 동작을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ating member so that the holding angle is maintained at a right angle.

또한, 상기 펜 홀더는, 상기 회동부재 및 상기 홀더 프레임과 통합되어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고정형 펜 홀더이다. In addition, the pen holder is a fixed pen holder that is integrally implemented with the rotating member and the holder frame.

또한, 상기 펜 홀더는, 상기 회동부재 및 상기 홀더 프레임에 탈착되도록 구현되는 탈착형 펜 홀더이다. In addition, the pen holder is a detachable pen holder that is implemented to be detached from the rotating member and the holder frame.

여기서, 상기 탈착형 펜 홀더는, 자체 제어 프로세서와 동력을 생성하는 자체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체 제어 프로세서와 원격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자체 모터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기반으로 상기 홀딩 각도를 제어한다. Here, the detachable pen holder includes a self-control processor and a self-motor for generating power, and the control unit performs remote communication with the self-control processor to generate the holding angle based on power generated from the self-motor. To control.

또한, 상기 펜 홀더는, 가열하면 연화하여 변형되고 식으면 다시 굳어지는 성질을 가지는 열가소성 소재; 전류에 의한 발열 작용을 이용하여 상기 열가소성 소재에 대한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열선; 및 상기 가열 동작의 온/오프(on/off)를 설정하는 유저 입력을 감지하는 세팅버튼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pen holder, a thermoplastic material having a property of softening and deformed when heated and hardened again when cooled; A heating wire that performs a heating operation on the thermoplastic material by using an exothermic action by electric current; And a setting button for sensing a user input for setting on / off of the heating operation.

이때, 상기 열가소성 소재는, 상기 펜 홀더 내 펜 홈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회동공간부에 필링(filling)되어 배치되고, 가열되어 연화된 상태에서는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펜 홈의 각도가 조절되게 하고, 열이 식어서 굳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펜 홈의 각도가 고정되게 한다. At this time, the thermoplastic material is disposed and filled in a rotating space formed around the pen groove in the pen holder, and heated and softened to be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adjust the angle of the pen groove. And, when the heat is cooled and hardened, the angle of the pen groove is fix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팅버튼에 대한 유저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열선의 가열 동작을 실행(on)하고, 상기 가열 동작이 실행되어 상기 열가소성 소재가 연화되면, 상기 펜 홈에 대한 유저 입력을 기초로 상기 홀딩 각도를 조정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user input to the setting button, performs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heating wire (on), and when the heat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soften the thermoplastic material, based on the user input to the pen groove Adjust the holding ang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장치 및 방법은, 상기 터치 패널의 제어부가 수행하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방법으로서, 상기 터치 패널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터치 패널의 기울기 변화와펜 홀더 내 펜 홈각도에 따라서 상기 펜 홀더의 각도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펜 홀더에 대한 스타일러스 펜의 인입 또는 인출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스타일러스 펜의 인입 또는 인출에 따른 광고 그래픽 작업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 p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a graphic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pen input method for a graphic operation performed by a controller of the touch panel,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 change in tilt of the touch panel; Controlling an angle of the pen holder according to the sensed tilt change of the touch panel and the pen groove angle in the pen holder; Detecting the entry or withdrawal of a stylus pen to the pen holder; And executing an advertisement graphic work mode according to the incoming or outgoing of the detected stylus pe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장치 및 방법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을 수용하는 펜 홀더(Pen holder)와 결합되어 동작하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세팅이 없어도 스타일러스펜을 이용한 작업환경을 편리하게 구축할 수 있고, 펜 홀더 분실의 위험을 감소시키며, 이를 통해 펜 입력장치에 대한 사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P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graphic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p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graphic work in combination with a pen holder (Pen holder) for receiving a stylus pen , Even without a separate setting,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build a working environment using a stylus pen, reduce the risk of losing the pen holder,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pen input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장치 및 방법은, 펜 홀더와 결합된 펜 입력 장치의 기울기가 변화하여도 상기 펜 홀더의 기울기는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작업 시 유저가 펜 입력장치의 거치 각도를 조절하여 펜 입력장치가 기울어짐에 따라 해당 펜 입력장치에 결합된 펜 홀더가 동일하게 기울어져 발생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graphic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inclination of the pen holder even when the inclination of the pen input device combined with the pen holder changes, so that a user inputs a pen when working As the pen input device is inclined by adjusting the mounting angle of the device, the pen holder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pen input device is inclined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same inclin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장치 및 방법은, 펜 홀더 자체에서 스타일러스펜의 입출을 수용하는 펜 홈에 대한 각도 변경을 자유롭게 설정 가능함으로써, 유저 개개인에 최적화된 홀딩 각도를 제공할 수 있고, 작업 시 유저가 요구하는 어느 각도로도 스타일러스펜을 펜 홀더에 인입/인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graphic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set an angle change with respect to a pen groove that accommodates the entry and exit of the stylus pen in the pen holder itself, thereby holding an optimized holding angle for each u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re is an effect that allows the stylus pen to be drawn in / out from the pen holder at any angle required by the user during work.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장치 및 방법은, 펜 홀더에 대한 스타일러스펜의 입출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작업 시 펜 입력 장치, 펜 홀더와 스타일러스펜에 대한 사용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펜 홀더에 대한 부적합한 입출 각도에 의해 스타일러스펜이 파손 내지 고장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graphic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usability of a pen input device, a pen holder, and a stylus pen by controlling the entry / exit angle of the stylus pen with respect to the pen holder.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ylus pen from being damaged or broken due to an inappropriate input / output angle to the pen hold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장치 및 방법은, 펜 홀더와 결합된 펜 입력장치를 기반으로 펜 홀더와 스타일러스펜 사이에서의 동작을 감지하여 광고 그래픽 작업에 편의로운 유저 인터페이스 및 경험(UI/UX)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성능의 펜 입력장치를 기반으로 그래픽 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의 효율성과 결과물의 퀄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graphic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nient user for advertising graphic work by detecting an operation between a pen holder and a stylus pen based on a pen input device combined with a pen holder By providing an interface and experience (UI / UX), it is possible to perform a graphic operation based on a pen input device having improved performance,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work and the quality of results.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펜 입력장치 외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펜 홀더와 스타일러스펜 외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펜 홀더의 상세한 모습을 나타내는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동부재를 나타내는 모습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을 나타내는 모습의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펜 홀더의 일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펜 홀더의 일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펜 홀더가 펜 입력장치와 결합되는 방식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구조를 가지는 펜 홀더를 나타내는 모습의 일례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펜 입력장치가 펜 홀더와 스타일러스펜 사이에서의 동작을 감지하여 광고 그래픽 작업에 편의로운 유저 인터페이스와 경험(UI/UX)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pen input system for graphic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n example of the appearance of the pe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xample of the appearance of a pen holder and a stylus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showing a detailed state of a pen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ample of a state showing a rota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ample of a state showing a stylus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ample of a fixed pen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ample of a removable pen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in which a removable pen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a pen input device.
10 is an example of a state showing a pen holder having a flow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in which a pe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 operation between a pen holder and a stylus pen to provide a convenient user interface and experience (UI / UX) for advertising graphic work. to be.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ransformation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example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not used in a limited sense, but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a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a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a feature or componen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in advance.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pen input system for graphic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시스템은, 펜 입력장치(100),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200) 및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pen input system for graphic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en input device 100, a stylus pen 200, and a display device 300.

실시예에서, 펜 입력장치(100), 스타일러스 펜(200) 및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상호 연동하여 스타일러스 펜(200)을 수용하는 펜 홀더와 결합되어 동작하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장치(100)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pen input device 100, the stylus pen 2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are interlocked with a pen holder that accommodates the stylus pen 200 to operate the pen input device for graphic work ( 100) and methods.

또한, 도 1의 펜 입력장치(100), 스타일러스 펜(200) 및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en input device 100, the stylus pen 2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of FIG. 1 may b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여기서, 네트워크는, 펜 입력장치(100), 스타일러스 펜(200) 및 디스플레이 장치(300) 등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each node, such as the pen input device 100, the stylus pen 2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In one example of such a network,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network,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network, Internet, Local Area Network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Wide Area Network (WAN) ), PAN (Personal Area Network), Bluetooth (Bluetooth)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and the lik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the components of the pen input system for graphic work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 펜 입력장치(Tablet) -Pen input device (Table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펜 입력장치(100)는, 컴퓨터의 입력 장치의 하나로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판상의 장치에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200)에 기반한 입력을 수행하면, 그 궤적의 좌표 정보가 컴퓨터에 입력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장치이다.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en input device 100 performs input based on the stylus pen 200 on a plate-like device for detecting a position as one of the input devices of a computer, the coordinates of the trajectory It is a device that operates in such a way that information is input into a computer.

도 1을 더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펜 입력장치(100)는, 기능적 관점에서 입력부(101), 펜 감지부(102), 인터페이스부(103), 센서부(104), 전원부(105), 저장부(106) 및 제어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further, in the embodiment, the pen input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is an input unit 101, a pen sensing unit 102, an interface unit 103, a sensor unit 104, and a power unit 105 from a functional point of view. ), A storage unit 106 and a control unit 107.

자세히, 입력부(101)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서비스와 관련된 유저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In detail, the input unit 101 may detect a user input related to a pen input service for graphic work.

실시예에서, 입력부(101)는, 그래픽 작업을 위하여 스타일러스 펜(200)을 기반으로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유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input unit 101 may sense a user input input to the touch panel based on the stylus pen 200 for graphic work.

또한, 펜 감지부(102)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인입, 배출 또는 보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펜 홀더에 대한 스타일러스 펜(200)의 입출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en sensing unit 102 may detect the input / output operation of the stylus pen 200 with respect to the pen holder capable of performing the function of entering, discharging, or storing the stylus pen 200.

또한, 인터페이스부(103)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 및/또는 정보 등을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103 may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and / or information for providing a pen input service for graphic work us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부(103)는, 스타일러스 펜(200), 디스플레이 장치(300) 및/또는 탈착형 펜 홀더 등과 통신하여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interface unit 103 may communicate with the stylus pen 200, the display device 300, and / or the removable pen holder, and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related to a pen input service for graphic work.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03)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장치 및/또는 임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03 includes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for example,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etc. wirelessly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external devices and / or any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ignal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또한, 센서부(104)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센싱하여 획득할 수 있다. Also, the sensor unit 104 may acquire and obtain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a pen input service for graphic work.

실시예에서, 센서부(104)는,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및/또는 틸트 센서(tilt sensor) 등을 포함하는 기울기 센서를 기반으로, 펜 입력장치(100) 및/또는 펜 홀더의 기울기 변화를 센싱하여 획득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ensor unit 104, based on a tilt sensor including a gyroscope sensor and / or a tilt sensor, tilts the pen input device 100 and / or the pen holder It can be obtained by sensing change.

또한, 전원부(105)는, 제어부(107)의 컨트롤에 의하여 외부의 전원 및/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펜 입력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05 may receive external power and / or internal power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7 and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pen input device 100.

예를 들어, 전원부(105)는, 전원저장부, 연결포트, 전원공급 제어부 및 충전 모니터링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05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a power storage unit, a connection port, a power supply control unit, and a charge monitoring unit.

또한, 저장부(106)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Also, the storage unit 106 may store any one or more of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data, and instructions that provide a pen input service for graphic work.

실시예로 저장부(106)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값 및/또는 스타일러스 펜(200)에 의한 유저 입력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torage unit 106 may store and manage a program that provides a pen input service for graphic work, a tilt value of the pen input device 100, and / or user input by the stylus pen 200. have.

이러한 저장부(106)는,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상기 저장부(106)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06 may be various storage devices such as ROM, RAM, EPROM, flash drive, hard drive, etc., and web storage performing a storage function of the storage unit 106 on the Internet. ).

마지막으로, 제어부(107)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술된 요소들을 제어해 일련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Finally, the control unit 107 may perform a series of data processing by controlling the above-described elements in order to perform a pen input service for graphic work.

이러한 제어부(107)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7 include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controller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펜 입력장치(100) 외형의 일례를 나타낸다. Figure 2 shows an example of the appearance of the pen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위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펜 입력장치(100)는, 기구적 관점에서 터치 패널(110), 조작버튼(120), 펜 홀더(130), 홀더 프레임(140) 및 회동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2, the pen input device 100 including the above components, the touch panel 110, the operation button 120, the pen holder 130, the holder frame 140 from a mechanical point of view And it may include a rotating member 150.

자세히, 터치 패널(110)은, 펜 입력장치(100)에 대한 입력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판상의 장치일 수 있다. In detail, the touch panel 110 may be a plate-shaped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n inpu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pen input device 100.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110)은, 스타일러스 펜(200)에 기반한 유저 입력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유저 입력의 위치를 기반으로 해당 입력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touch panel 110 may sense a user input based on the stylus pen 200 and obtain coordinate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input based on the detected location of the user input.

또한, 조작버튼(120)은,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서비스에 관련된 소정의 각종 기능 동작을 수행하는 버튼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Further, the operation button 120 may be a button interface that performs a variety of functions related to a pen input service for graphic work.

예를 들어, 조작버튼(120)은, 펜 입력장치(100)에 대한 전원 온/오프(on/off) 및/또는 홈(메인 화면) 이동 기능 등을 수행하는 버튼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button 120 may be a button that performs power on / off and / or a home (main screen) movement function for the pen input device 100.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펜 홀더(130)와 스타일러스 펜(200) 외형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펜 홀더(130)의 상세한 모습을 나타내는 일례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3 shows an example of the appearance of the pen holder 130 and the stylus pe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ample showing a detailed view of the pen holder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펜 홀더(130)를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펜 홀더(130)를 구현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펜 홀더(130)는 이하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면 상에 도시된 펜 홀더(130)의 외형은 일례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en holder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but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S. 3 and 4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to implement the pen holder 130. As not required, the pen holder 130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below.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shape of the pen holder 130 shown on the drawing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펜 홀더(130)는, 펜 입력장치(100)에 대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인입, 배출 또는 보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3 and 4, in an embodiment, the pen holder 130 may perform a function of inlet, discharge, or storage of the stylus pen 200 capable of performing input to the pen input device 100. have.

자세히, 이러한 펜 홀더(130)는, 실시예에서 스타일러스 펜(200)을 탄성 지지하는 받침대(131), 스타일러스 펜(200)이 수용되는 수용 홀(hole)을 구성하는 펜 홈(132) 및 펜 홈(132)의 흔들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펜 홀더(130)의 외형을 형성하는 몸체(133)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such a pen holder 130 includes, in an embodiment, a pedestal 131 elastically supporting the stylus pen 200, a pen groove 132 and a pen constituting a receiving hole in which the stylus pen 200 is accommodate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shaking of the groove 132, it may include a body 133 to form the outer shape of the pen holder 130.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받침대(131)는, 수직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in the embodiment, the pedestal 131 may include an elastic body having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구체적으로, 받침대(131)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상부로 입설되어 상기 수용 홀의 하면에 연결되며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탄성기둥을 포함하여, 수용 홀을 수직방향으로 탄성 복귀시키는 탄성체로 기능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edestal 131 includes a bottom plate and an elastic column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connect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hole, which is installed above the bottom plate to elastically return the receiving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can function as an elastic body.

이때, 상기 바닥판은, 펜 입력장치(100)의 홀더 프레임(140) 등에 탈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면 중앙에 탄성기둥이 수직방향으로 입설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ottom plate may include an area detachable from the holder frame 140 of the pen input device 100, and an elastic column may be vertically plac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상기 탄성기둥은,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져 외력이 가해지면 그에 따라 기울기가 변하고, 외력이 해소되면 수직방향으로 원상 복귀될 수 있다. The elastic column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slope changes accordingly,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eliminated, it can be returned to a vertic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실시예에서 펜 홈(132)은, 상기 받침대(131) 상단에 결합되고 상면 투입구를 갖는 터치펜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pen groove 132 may be provided with a touch pen accommodating portion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pedestal 131 and having an upper surface inlet.

자세히, 실시예에서 수용 홀은, 상기 수용부를 구비한 내부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in the embodiment, the receiving hole may include an inner column having the receiving portion.

여기서, 상기 내부기둥은 상면이 개구되면서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상으로 형성된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내벽부와 바닥부로 이루어진 원기둥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Here, the inner column may be a member of a cylindrical shape composed of an inner wall portion and a bottom portion to form a receiving portion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or more in a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upper surface is opened.

또한, 실시예에서 몸체(133)는, 상기 펜 홈(132)의 흔들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펜 홀더(13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body 133 may prevent the pen groove 132 from shaking, and at the same time, may form the outer shape of the pen holder 130.

이때, 상기 몸체(133)는, 펜 홀더(130) 내부에 상기 받침대(131) 및 펜 홈(132)이 내장되는 회동공간부(134)를 형성하도록 상기 받침대(131)의 외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외벽부와, 상기 외벽부의 상단을 연결하고 상기 펜 홈(132)이 결합되는 상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ody 133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outside of the pedestal 131 so as to form a rotation space part 134 in which the pedestal 131 and the pen groove 132 are built in the pen holder 130. The outer wall por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ll portion are connected and the pen groove 132 may be formed.

다시 돌아와서, 도 2를 더 참조하면, 또한 펜 입력장치(100)의 홀더 프레임(140)은, 위와 같은 펜 홀더(130)의 몸체(133)를 지지하는 동시에 펜 입력장치(100)의 회동부재(150)와 연결될 수 있다. Returning again, referring to FIG. 2, the holder frame 140 of the pen input device 100 also supports the body 133 of the pen holder 130 as described above, while simultaneously rotating the pen input device 100 It can be connected to 150.

즉, 실시예에서 홀더 프레임(140)은, 상기 몸체(133)를 지지하며 회동부재(150)를 거쳐 펜 입력장치(100)와 펜 홀더(130)가 연결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embodiment, the holder frame 140 supports the body 133 and may serve to assist the pen input device 100 and the pen holder 130 to be connected via the rotation member 150. .

또한, 위와 같은 홀더 프레임(140)은,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몸체(133)에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lder frame 140 as described above may be detachable from the body 133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 내지 4에서는, 펜 입력장치(100)의 홀더 프레임(140)을 장방형 판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예컨대, 장방형, 고리형 또는 사각틀형 등)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2 to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frame 140 of the pen input device 100 is illustrat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hapes (for example, a rectangular shape, a ring shape) Or it can be implemented as a square frame typ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동부재(150)를 나타내는 모습의 일례이다. 5 is an example of a state showing a rotating member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회동부재(150)는, 펜 입력장치(100) 제어부(107)의 컨트롤에 따른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in the embodiment, the rotation member 150 may perform a rota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7 of the pen input device 100.

자세히, 회동부재(150)는, 펜 홀더(130)의 몸체(133)를 지지하는 홀더 프레임(140)에 탈착될 수 있다. In detail, the rotation member 150 may be detached from the holder frame 140 supporting the body 133 of the pen holder 130.

여기서, 홀더 프레임(140)에 부착되어 결합된 회동부재(150)는, 상기 부착된 홀더 프레임(140)으로 제어부(107)의 컨트롤에 의해 생성되는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Here, the rotation member 150 attached to and coupled to the holder frame 140 may transmit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7 to the attached holder frame 140.

즉, 회동부재(150)는, 제어부(107)의 컨트롤에 따른 회전 동작을 상기 회동부재(150)에 결합된 홀더 프레임(140)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홀더 프레임(140)이 지지하는 펜 홀더(130)에 대한 회전 동작이 구현되게 할 수 있다. That is, the rotation member 150 transmits a rotation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7 to the holder frame 140 coupled to the rotation member 150, thereby supporting the pen holder supported by the holder frame 140 ( 130) can be implemented.

보다 상세히, 이러한 회동부재(150)는, 실시예에서 하우징(150-1), 회전부재(150-2), 모터(150-3) 및 회전축(150-4)을 포함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rotation member 150 may include a housing 150-1, a rotation member 150-2, a motor 150-3, and a rotation shaft 150-4 in an embodiment.

구체적으로, 회동부재(150)는, 상기 홀더 프레임(140)에 탈착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하우징(150-1)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rotation member 150 may include a housing 150-1 providing an area detachable from the holder frame 140.

또한, 상기 하우징(150-1)은, 일단에서 상기 하우징(150-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부재(150-2)와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using 150-1 may be connected to a rotating member 150-2 that transmits a rotational force to the housing 150-1 at one end.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150-2)는, 상기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150-3)로부터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150-4)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150-4)의 회전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150-1)을 회전시킬 수 있다. Here, the rotating member 150-2 may be connected to a rotating shaft 150-4 that transmits power generated from the motor 150-3 generating the rotating force, and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150-4 By rotating it, the housing 150-1 can be rotated.

즉, 회동부재(150)는, 모터(150-3)로부터 생성된 회전력을 회전축(150-4)으로 전달하고, 상기 회전축(150-4)이 전달받은 회전력을 회전부재(150-2)로 전달하며, 상기 회전부재(150-2)가 전달받은 회전력을 하우징(150-1)에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하우징(150-1)에 결합된 펜 홀더(130)가 회전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That is, the rotating member 150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motor 150-3 to the rotating shaft 150-4, and transmits the rotating force received by the rotating shaft 150-4 to the rotating member 150-2. Transmission, the rotation member 150-2 provides the rotational force received to the housing 150-1, and as a result, the pen holder 130 coupled to the housing 150-1 can perform a rotation operation. have.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이 펜 홀더(130)가 결합된 형태의 펜 입력장치(100)를 제공하여, 별도의 세팅이 없어도 스타일러스 펜(200)을 이용한 작업환경을 편리하게 구축할 수 있고, 펜 홀더(130) 분실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펜 입력장치(100)에 대한 사용성 향상을 도모하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en input device 100 in which the pen holder 130 is combined is provided to conveniently construct a working environment using the stylus pen 200 even without a separate sett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of losing the pen holder 130, thereby improving usability of the pen input device 100.

- 스타일러스 펜(Stylus-pen) -Stylus-pe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타일러스 펜(200)은, 컴퓨터에서 지유아이(GUI)를 통해 도형을 그리거나 위치를 입력할 때 쓰는 도구의 하나로서, 펜 입력장치(100)에 대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펜 홀더(130)에 인입, 배출 또는 보관될 수 있는 장치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ylus pen 200 is one of tools used to draw a figure or input a location through a GUI in a computer, and performs input to the pen input device 100 It is a device that can be inserted, discharged, or stored in the pen holder 13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0)을 나타내는 모습의 일례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스타일러스 펜(200)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기술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스타일러스 펜(200)을 구현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스타일러스 펜(200)은 이하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면 상에 도시된 스타일러스 펜(200)의 외형은 일례일 뿐이며, 본 발명에서 스타일러스 펜(200)은 그 모양이나 규격 등에 제한이 없다. 6 is an example of a state showing a stylus pe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ylus pen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but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6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the stylus pen 200, and thus,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tylus pen 200 described above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below.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shape of the stylus pen 200 shown in the drawings is only an exampl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ylus pen 200 is not limited in its shape or standard.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타일러스 펜(200)은, 바디부(210), 펜팁(220: Pen-tip), 고무팁(230), 기능버튼(240), 배터리(250) 및 캡(26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ylus pen 200 includes a body part 210, a pen tip (220), a rubber tip 230, a function button 240, and a battery 250 And it may include a cap 260.

자세히, 실시예에서 바디부(210)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in the embodiment, the body portion 21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ylus pen 200.

상기 바디부(210)는, 스타일러스 펜(200) 사용시, 실질적으로 유저가 손으로 쥐고 사용하게 되는 부분일 수 있다. When using the stylus pen 200, the body part 210 may be a part that the user holds and uses by hand.

상기 바디부(210)는 상기 펜팁(220), 상기 기능버튼(240), 상기 회로 기판 및 상기 배터리(250) 등을 수용하는 하우징(150-1)의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body part 210 may serve as a housing 150-1 accommodating the pen tip 220, the function button 240, the circuit board, and the battery 250.

따라서, 상기 바디부(210)는, 상기 바디부(210) 내에 내장되는 구성들을 보호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body part 210 may protect components built in the body part 210.

또한, 실시예에서 펜팁(220)은, 상기 바디부(210) 내에 내장되고, 상기 펜팁(22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the pen tip 220 is embedded in the body portion 210, and a part of the pen tip 220 may be exposed.

자세히, 상기 펜팁(220)은, 상기 펜팁(220)의 끝단이 스타일러프펜의 일단에서 노출될 수 있다. In detail, the tip of the pen tip 220 may be exposed at one end of the style rough pen.

또한, 상기 펜팁(220)의 끝단은, 펜 입력장치(100)의 터치 패널(110)의 표면을 터치할 수 있다. 즉, 상기 펜팁(220)은, 펜 입력장치(100)의 터치 패널(110)에 대한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p of the pen tip 220 may touch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110 of the pen input device 100. That is, the pen tip 220 may perform an input operation to the touch panel 110 of the pen input device 100.

실시예에서, 이러한 펜팁(220)은, 상기 바디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정전용량 방식 및/또는 초음파 방식 등의 다양한 터치 패널(110)에서 사용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pen tip 220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210 and may be used in various touch panels 110 such as a capacitive type and / or an ultrasonic type.

또한, 상기 펜팁(220)의 끝단을 보호할 수 있도록 고무팁(2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무팁(230)은, 도전성 재질의 고무(conductive rubber)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rubber tip 230 may be further included to protect the tip of the pen tip 220. At this time, the rubber tip 230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rubber (conductive rubber).

또한, 실시예에서 기능버튼(240)은,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서비스에 관련된 소정의 각종 기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lso, in the embodiment, the function button 240 may perform various functions of functions related to a pen input service for graphic work.

예를 들면, 기능버튼(240)은, 스타일러스 펜(200)의 기능버튼(240)에 대한 유저의 입력을 기반으로 메뉴 팝업 기능 및/또는 아이콘 선택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unction button 240 may perform a menu pop-up function and / or an icon selection function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function button 240 of the stylus pen 200.

또한, 실시예에서 배터리(250)는, 상기 바디부(210) 내에 내장되어 스타일러스 펜(200)의 구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battery 250 is built in the body part 210 to supply driving power of the stylus pen 200.

여기서, 상기 배터리(250)는, 상기 배터리(250) 상에 배치되는 스프링(25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Here, the battery 250 may be fixed by a spring 251 disposed on the battery 250.

또한, 실시예에서 캡(260)은, 상기 바디부(210) 내에 내장되는 구성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the cap 260 may protect components embedded in the body portion 210.

이러한 상기 캡(260)은,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바디부(210)의 상부에 스크류 결합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본딩 결합되어 고정될 수도 있으며,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결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The cap 260 may be screwed a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ar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r may be fixed by bonding, or may be fixed by being inserted and inserted in a forced fitting manner.

한편, 위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200)은, 데이터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들과, 전술한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구동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tylus pen 200 including the above components may include processors for processing data, and memories storing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and driving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component described above.

-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300 may output a graphic image of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a pen input service for graphic work.

자세히,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펜 입력장치(100)에 대한 스타일러스 펜(200)의 입력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In detail, in an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300 may display and provide data implemented based on the input of the stylus pen 200 to the pen input device 100 as a display.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유저가 그래픽 작업을 위하여 스타일러스 펜(200)을 이용해 펜 입력장치(100)에 입력한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좌표 정보에 매칭되는 위치 상에 소정의 표시(예컨대, 유저에 의해 지정된 그래픽 이미지(실선 등))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300 is based on the coordinat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o the pen input device 100 using the stylus pen 200 for graphic work, and is predetermined on a position match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A display (eg, a graphic image (solid line, etc.) designated by the user) can be display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인 스마트 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tablet PC),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및 스마트 글라스(smart glas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300 includes a smart phone,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mobile 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and PMP (PMP), which are portable terminals equipped with a program for performing a pen input service for graphic work. portable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a tablet PC (tablet PC), a wearable device (wearable device) and a smart glass (smart glass).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고정형 단말인 데스크 탑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울트라북(ultrabook)과 같은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이 유/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300 executes a pen input service for graphic work based on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desktop PC, a laptop computer, a personal computer such as an ultrabook, which is a fixed terminal. It may further include a device for installing the program.

- 펜 입력장치에 장착된 펜 홀더 -Pen holder mounted on the pen input devic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장치(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the pen input device 100 for graphic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One. 홀더 프레임과 펜 홀더의 홀딩 각도 제어Control the holding angle of the holder frame and pen hold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펜 입력장치(100)의 제어부(107)는, 홀더 프레임(140)과 펜 홀더(130)의 홀딩(holding)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07 of the pen input device 100 may control the holding angle of the holder frame 140 and the pen holder 130.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홀딩 각도란, 스타일러스 펜(200)이 펜 홀더(130)에 인입, 보관 또는 배출될 시 펜 홀더(130)의 펜 홈(132)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holding ang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mean an angle of the pen groove 132 of the pen holder 130 when the stylus pen 200 is inserted, stored, or discharged into the pen holder 130.

자세히, 제어부(107)는, 센서부(104)의 기울기 센서를 기반으로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 In detail, the control unit 107 may detect a change in tilt of the pen input device 100 based on the tilt sensor of the sensor unit 104.

그리고 제어부(107)는, 감지된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펜 입력장치(100)가 포함하는 펜 홀더(130)의 홀딩 각도 즉, 펜 홀더(130)에 인입 또는 배출되는 스타일러스 펜(200)을 홀딩하는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And the control unit 107, the holding angle of the pen holder 130 included in the pen input device 100 based on the detected amount of change in the tilt of the pen input device 100, that is, entering or exiting the pen holder 13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ngle of holding the stylus pen 200.

보다 상세히, 제어부(107)는,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 변화에 따른 홀딩 각도 제어 시, 상기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에 상관없이 상기 펜 홈(132) 각도가 직각을 유지하도록 상기 홀딩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control unit 107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right angle of the pen groove 132 at a right angle regardless of the inclination of the pen input device 100 when controlling a holding angl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inclination of the pen input device 100. The holding angle can be controlled.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각이란, 지면에 수직한 각도, 유저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각도 또는 펜 홀더(130)에 대한 스타일러스 펜(200)의 입출에 용이하도록 기설정된 소정의 각도(예컨대,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 대비 소정의 퍼센트(%)의 기울기를 가지는 각도 등) 등일 수 있다. Here, the right ang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gl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predetermined angle set by the user, or a predetermined angle preset to facilitate entry and exit of the stylus pen 200 to the pen holder 130 (eg , An angle having a predetermined percentage (%) of the slope of the pen input device 100).

이하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설명을 위하여 직각이 지면에 수직한 각도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for a more effective explanation, the right angle will be described as being an angl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다시 돌아와서, 즉 제어부(107)는, 펜 홀더(130)가 장착된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가 변화하여도 펜 홀더(130)의 펜 홈(132) 각도는 지속적으로 직각을 유지하게 하여, 유저가 스타일러스 펜(200)을 펜 홀더(130)에 넣고 빼고 보관하는 등의 사용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홀딩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Returning again, that is, the control unit 107 maintains the angle of the pen groove 132 of the pen holder 130 at a right angle even when the inclination of the pen input device 100 in which the pen holder 130 is mounted changes. ,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holding angle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perform a use operation such as putting the stylus pen 200 into the pen holder 130, removing and storing it.

예를 들면, 제어부(107)는, 지면 상에 수평으로 놓여져 있던 펜 입력장치(100)가 유저의 거치 각도 조정 입력에 의해 상기 지면과 후방 45도 각을 이루도록 기울기가 변화한 경우, 상기 기울기 변화량인 45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함께 기울기가 변화된 펜 홀더(130)가 상기 지면과 수평을 이루고 상기 지면과 직각을 이루는 홀딩 각도를 가지도록 후방 45도 각만큼 되돌아가는 회전이 수행되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07, when the inclination is changed so that the pen input device 100 placed horizontally on the ground forms a 45-degree angle with the ground by the user's mounting angle adjustment input, the amount of tilt change On the basis of the 45-degree angle, the pen holder 130 whose inclina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change of the pen input device 100 forms a horizontal with the ground and has a holding angle that forms a right angle with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cause the rotation to go back by an angle.

즉, 이를 통해 제어부(107)는, 펜 홀더(130)가 장착된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가 변화하여도 펜 홀더(130)의 홀딩 각도를 지속적으로 직각이 유지되게 할 수 있다. That is, through this, the control unit 107 can maintain the holding angle of the pen holder 130 continuously even when the inclination of the pen input device 100 on which the pen holder 130 is mounted change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펜 입력장치(100)의 제어부(107)는, 펜 홀더(130)가 결합된 형태의 펜 입력장치(100)를 제공하여 그 사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펜 홀더(130)와 결합된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상기 펜 홀더(130)의 기울기는 직각을 유지하게 제어함으로써, 작업 시 유저가 펜 입력장치(100)의 거치 각도를 조절하여 펜 입력장치(100)가 기울어짐에 따라 해당 펜 입력장치(100)에 결합된 펜 홀더(130)가 동일하게 기울어져 발생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07 of the pen input device 100 may provide the pen input device 100 in a form in which the pen holder 130 is coupled,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its usability. , Even when the inclination of the pen input device 100 coupled with the pen holder 130 changes, the inclination of the pen holder 130 is maintained at a right angle, so that the user can mount the pen input device 100 during work. As the pen input device 100 is inclined by adjusting the angle, the pen holder 130 coupled to the pen input device 100 may be inclined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same inclination.

또한, 이를 통해 제어부(107)는,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상기 펜 입력장치(100)에 결합된 펜 홀더(130)에 대한 스타일러스 펜(200)의 입출 동작이 편리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rough this, the control unit 107 conveniently performs the input / output operation of the stylus pen 200 with respect to the pen holder 130 coupled to the pen input device 100 regardless of the inclination of the pen input device 100. It can be done.

2.2. 홀딩 각도 제어를 위한 구조Structure for holding angle control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펜 입력장치(100)의 제어부(107)는, 다양한 제어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홀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07 of the pen input device 100 may adjust the holding angle based on various control method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홀딩 각도를 제어하는 다양한 방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various methods of controlling the holding ang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One) 팬 홀더 몸체의 회전구조The rotation structure of the fan holder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펜 입력장치(100)의 제어부(107)는, 펜 홀더(130) 전체 즉, 펜 홀더(130)의 구성요소를 내장하고 외형을 형성하는 몸체(133) 자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홀딩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07 of the pen input device 100 rotates the entire body of the pen holder 130, that is, the body 133 itself, which embeds the components of the pen holder 130 and forms an external shape. , Holding angle can be controlled.

자세히, 제어부(107)는, 먼저 펜 입력장치(100)에 장착된 펜 홀더(130)의 홀딩 각도를 지면에 수직한 각인 직각을 기준으로 초기화할 수 있다. In detail, the control unit 107 may first initialize the holding angle of the pen holder 130 mounted on the pen input device 100 based on a right angle imprint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즉, 제어부(107)는, 펜 홀더(130)의 기울기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직각으로 초기화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 unit 107 may initialize the inclination of the pen holder 130 to a right angl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또한, 제어부(107)는,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가 변화하여 펜 홀더(130)의 기울기가 직각에서 벗어나는 경우, 센서부(104)를 통해 센싱된 기울기 변화량을 기반으로 상기 펜홀더가 초기 직각 홀딩 각도로 회귀되도록 회동부재(150)의 회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inclination of the pen input device 100 changes and the inclination of the pen holder 130 deviates from the right angle, the control unit 107 may initiate the pen holder based on the inclination change amount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104.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otating member 150 can be controlled to return to the right angle holding angle.

그리하여, 제어부(107)는, 상기 회동부재(150)의 회전에 따라서 펜 입력장치(100)의 홀더 프레임(140) 및 상기 홀더 프레임(140)에 연결된 펜 홀더(130)가 회전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초기의 직각 홀딩 각도에서 벗어난 펜 홀더(130)의 기울기를 다시 초기 홀딩 각도로 복귀시킬 수 있다. Thus, the control unit 107 may rotate the holder frame 140 of the pen input device 100 and the pen holder 130 connected to the holder frame 14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150, Through this, the inclination of the pen holder 130 deviating from the initial right angle holding angle may be returned to the initial holding angle.

즉, 제어부(107)는,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 변화 시, 상기 기울기의 변화량을 기초로 상기 펜 입력장치(100)에 결합된 펜 홀더(130) 몸체(133)를 전체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초기 설정된 직각 기울기를 홀딩 각도로 유지하는 펜 홀더(130)를 구현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tilt of the pen input device 100 changes, the control unit 107 rotates the pen holder 130 body 133 coupled to the pen input device 100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til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pen holder 130 that maintains the initially set right-angled tilt at a holding angle.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펜 홀더(130)는, 도 2 및 도 7과 같이, 펜 입력장치(100)의 회동부재(150) 및 홀더 프레임(140)과 통합되어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고정형 펜 홀더(130), 또는 도 8와 같이, 펜 입력장치(100)의 회동부재(150) 및/또는 홀더 프레임(140)에 탈착 가능하게 구현되는 탈착형 펜 홀더(13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n holder 130, as shown in FIGS. 2 and 7, is a fixed pen that is integrally implemented with the rotating member 150 and the holder frame 140 of the pen input device 100 The holder 130, or as shown in Figure 8, may be any one of a removable pen holder 130 that is detachably implemented on the rotating member 150 and / or the holder frame 140 of the pen input device 100. .

여기서, 도 8을 더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상기 탈착형 펜 홀더(130)는, 홀더 프레임(140)과 결합된 상태일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1) 펜 입력장치(100)에 내장된 회동부재(150)와 기구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거나, 또는 2) 자성 방식으로 펜 입력장치(100) 일부에 탈착될 수 있다. Here, referring to FIG. 8 further, in the embodiment, the detachable pen holder 130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holder frame 140 is coupled, and in this state 1) the rotation built in the pen input device 100 It may be mechanically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member 150, or 2) detached from the pen input device 100 in a magnetic manner.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펜 홀더(130)가 펜 입력장치(100)와 결합되는 방식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in which the removable pen holder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the pen input device 100.

도 9를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탈착형 펜 홀더(130)는, 펜 입력장치(100)에 내장된 회동부재(150)와 기구적으로 탈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for example, the detachable pen holder 130 may be mechanically detached from the rotating member 150 built in the pen input device 100.

이때, 상기 회동부재(150)의 일단은 제 1 톱니 나사(160-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홀더 프레임(140)의 일단은 제 2 톱니 나사(160-2)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one end of the rotating member 150 may include a first toothed screw 160-1, and one end of the holder frame 140 may include a second toothed screw 160-2.

그리고 상기 제 1 및 2 톱니 나사(160-1, 160-2)는, 상호 맞물리는 경우 고정 결합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toothed screws 160-1 and 160-2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a fixed coupling is possible when engaged with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제 1 및 2 톱니 나사(160-1, 160-2)가 결합될 시, 펜 입력장치(100)의 제어부(107)는, 상기 회동부재(150)를 제어하여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에 따른 회전 동작이 수행되게 할 수 있다. Here, when the first and second toothed screws 160-1 and 160-2 are coupled, the control unit 107 of the pen input device 100 controls the rotation member 150 to control the pen input device 100 ) Can be rotat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150)의 회전 동작에 의하여, 상기 회동부재(150)에 상기 제 1 및 2 톱니 나사(160-1, 160-2)를 통해 결합된 상기 탈착형 펜 홀더(130)는, 전달받은 회전력에 기반하여 회전함으로써, 제어부(107)의 컨트롤에 따른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nd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ating member 150, the detachable pen holder 130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15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oothed screws 160-1, 160-2, By rotating based on the received rotational force, a rotation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7 may be performed.

그리하여 상기 탈착형 펜 홀더(130)는, 제어부(107)의 제어에 기반한 몸체(133) 자체의 회전을 통해 홀딩 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 Thus, the detachable pen holder 130, the holding angle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rotation of the body 133 itself based on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7.

다른 예시에서, 탈착형 펜 홀더(130)는, 자성 방식으로 펜 입력장치(100) 일부에 탈착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removable pen holder 130 may be detached from the pen input device 100 in a magnetic manner.

이러한 경우, 펜 입력장치(100)의 일단과 상기 홀더 프레임(140)의 일단은, 상호 결착 가능한 자석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one end of the pen input device 100 and one end of the holder frame 140 may be disposed with magnets that can be attached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자석 각각은, 소정의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는 경우에 상호 결착될 수 있다. Here, each of the magnets may be bound to each other when they are clos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때, 상기 홀더 프레임(140)과 결합된 상태의 탈착형 펜 홀더(130)는, 자체적인 제어 프로세서 및 동력 생성을 수행하는 자체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etachable pen holder 130 coupled with the holder frame 140 may further include its own control processor and its own motor that performs power generation.

여기서,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원격의 펜 입력장치(100)의 제어부(107)와 통신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자체 모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탈착형 펜 홀더(130)에 대한 회전 동작이 수행되게 할 수 있다. Here, the control processor can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unit 107 of the remote pen input device 100, and control the own motor based on this, through which the detachable pen holder 130 is connected. It is possible to cause the rotation operation to be performed.

자세히, 펜 입력장치(100)의 제어부(107)는, 자석이 배치된 펜 입력장치(100)의 일단과 상기 홀더 프레임(140)의 일단이 소정의 거리 이내로 가까워짐으로써 상기 자석에 의해 결착되는 경우, 상기 탈착형 펜 홀더(130)의 제어 프로세서와 원격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control unit 107 of the pen input device 100 is attached by the magnet by one end of the pen input device 100 in which the magnet is disposed and one end of the holder frame 140 are brough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 It is possible to perform remote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processor of the detachable pen holder 130.

또한, 제어부(107)는, 상기 제어 프로세서와의 원격 통신에 기반하여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 변화에 따른 홀딩 각도 조절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프로세서에 송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7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a holding angle according to a change in tilt of the pen input device 100 based on remote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processor to the control processor.

그리고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자체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탈착형 펜 홀더(130)에 대한 회전 동작이 수행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processor, which has received the control signal, may control the own motor based on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 allow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detachable pen holder 130 to be performed.

즉, 제어부(107)는, 자석을 통해 결착된 상기 탈착형 펜 홀더(130)의 자체 프로세서와의 원격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탈착형 펜 홀더(130) 몸체(133)의 회전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홀딩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 unit 107 may implement rotation of the detachable pen holder 130 body 133 by performing remote communication with the processor of the detachable pen holder 130 attached through a magnet. ,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holding ang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고정형 펜 홀더(130) 또는 탈착형 펜 홀더(130)는, 상술된 방식에 기반하여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 변화에 따른 홀딩 각도 조절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유저의 수동 제어에 따라서 홀딩 각도 조절이 수행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pen holder 130 or the detachable pen holder 130 as described above automatically adjusts the holding angl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tilt of the pen input device 100 based on the above-described method. It may be, or the holding angl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manual control of the user.

2)2) 펜 홀더 내 펜 홈의 유동구조Flow structure of pen groove in pen holde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펜 홀더(130) 몸체(133)의 회전을 통한 홀딩 각도 제어와 더불어, 펜 홀더(130) 내 펜 홈(132) 수준에서의 자체적인 펜 홈(132) 각도 조절을 통한 홀딩 각도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control of the holding angle through the rotation of the pen holder 130 body 133, the pen pen 132 within the pen holder 132, its own pen groove 132 angle Holding angle control through adjustment can be implemented.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구조를 가지는 펜 홀더(130)를 나타내는 모습의 일례이다. 10 is an example of a state showing a pen holder 130 having a flow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자세히,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펜 홀더(130)는, 펜 홀더(130) 내부의 열가소성 소재(135)에 기반하여 펜 홈(132) 각도가 조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홀딩 각도의 제어가 구현되게 할 수 있다. In detail, referring to FIG. 1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n holder 130 may adjust the pen groove 132 angle based on the thermoplastic material 135 inside the pen holder 130, thereby holding the pen holder 130. The angle control can be implemented.

상세히, 실시예에서 펜 홀더(130)는, 열가소성 소재(135), 열선(136) 및 세팅버튼(137: setting-butto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in the embodiment, the pen holder 130 may further include a thermoplastic material 135, a heating wire 136, and a setting button (137).

여기서, 열가소성 소재(135)란, 가열하면 연화하여 쉽게 변형되고 식히면 다시 굳어지는 성질을 가지는 소재를 의미한다. Here, the thermoplastic material 135 means a material having a property of softening when heated, easily deformed, and hardening when cooled.

실시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소재(135)는, 펜 홀더(130) 내 펜 홈(132)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회동공간부(134)에 필링(filling)되어 있을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thermoplastic material 135 may be filled in the rotation space portion 134 formed around the pen groove 132 in the pen holder 130.

그리하여 펜 홈(132) 주변에 형성된 상기 열가소성 소재(135)는, 가열되어 연화된 상태에서는 외부 압력(예컨대, 홀딩 각도 변경을 시도하는 유저의 수동 입력에 의한 압력 및/또는 홀딩 각도 변경을 위하여 펜 입력장치에 입력된 유저의 수치 입력에 기반하여 펜 홀더의 일 구성요소로부터 자동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펜 홈(132) 각도가 조절되게 할 수 있고, 열이 식어서 다시 굳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펜 홈(132) 각도가 고정되게 할 수 있다. Thus, the thermoplastic material 135 formed around the pen groove 132 is heated and softened to the external pressure (for example, to change the holding angle and / or pressure by manual input by a user who tries to change the holding angle) Deformed by pressure (automatically applied from one component of the pen holder) based on the numerical input of the user input to the input device so that the angle of the pen groove 132 can be adjusted, the heat is cooled again and solidified again In, the pen groove 132 angle can be fixed.

또한, 열선(136)은, 전류에 의한 발열 작용을 이용하여 가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저항선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heating wire 136 means a resistance wire capable of performing a heating operation using an exothermic action by electric current.

실시예에서, 상기 열선(136)은, 세팅버튼(137)에 대한 유저 입력을 기반으로 가열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발열되어 상기 열가소성 소재(135)로 열을 전도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heating wire 136 may generate heat when conducting a heating operation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setting button 137 to conduct heat to the thermoplastic material 135.

또한, 세팅버튼(137)은,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열가소성 소재(135)를 기반으로 펜 홈(132) 수준에서 홀딩 각도를 설정하는 세팅 기능에 대한 온/오프(on/off)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tting button 137, on / off (on / off) for the setting function to set the holding angle at the pen groove 132 level based on the thermoplastic material 135 based on the user input Can be.

자세히, 세팅버튼(137)은, 세팅 기능이 온(on)된 경우 상기 열선(136)의 가열 동작이 수행되게 할 수 있고, 세팅 기능이 오프(off)된 경우 상기 열선(136)의 가열 동작이 중지되게 할 수 있다. In detail, the setting button 137 may cause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heating wire 136 to be performed when the setting function is turned on, and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heating wire 136 when the setting function is turned off. Can be stopped.

이러한 세팅버튼(137)은, 펜 홀더(130)를 포함하는 펜 입력장치(100) 어디에도 배치될 수 있으나, 상기 세팅버튼(137)의 기능을 가장 직관적으로 나타내어 효율적인 어포던스(affordance)를 제공할 수 있는 펜 홀더(130)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예일 것이다. The setting button 137 may be disposed anywhere in the pen input device 100 including the pen holder 130, but the function of the setting button 137 is most intuitively displayed to provide efficient affordance. It would be a preferred embodiment to be placed on a pen holder 130.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펜 홀더(130)는, 펜 홀더(130) 내부의 열가소성 소재(135)에 기반하여 홀딩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먼저 세팅버튼(137)에 대한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열가소성 소재(135)를 기반으로 펜 홈(132) 수준에서 홀딩 각도를 설정하는 세팅 기능을 온(on)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n holder 130, based on the user input to the setting button 137, in order to adjust the holding angle based on the thermoplastic material 135 inside the pen holder 130 The setting function for setting the holding angle at the pen groove 132 level based on the thermoplastic material 135 may be turned on.

그리고 상기 세팅버튼(137)은, 세팅 기능이 온(on)되면 상기 열선(136)의 가열 동작이 수행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tting button 137 may cause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heating wire 136 to be performed when the setting function is turned on.

이때, 가열 동작이 수행된 열선(136)은, 가열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발열되어 상기 열가소성 소재(135)로 열을 전도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eating wire 136 on which the heating operation is performed may be heated when the heat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conduct heat to the thermoplastic material 135.

또한, 상기 열선(136)으로부터 열을 전도받은 상기 열가소성 소재(135)는, 가열되어 변형 가능한 상태로 연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ermoplastic material 135 that has received heat from the heating wire 136 may be heated and softened in a deformable state.

그리고 상기 열가소성 소재(135)는, 외부 압력(예컨대, 홀딩 각도 변경을 시도하는 유저의 입력)에 의해 변형되어 펜 홈(132) 각도 즉, 홀딩 각도가 조절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ermoplastic material 135 may be deformed by an external pressure (eg, a user's input to change the holding angle) to adjust the pen groove 132 angle, that is, the holding angle.

한편, 상기 세팅버튼(137)은, 세팅 기능이 오프(off)되면 상기 열선(136)의 가열 동작이 중단되게 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etting function is turned off, the setting button 137 may cause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heating wire 136 to be stopped.

그리하면, 가열 동작을 수행하던 열선(136)은, 발열을 중지할 수 있고, 상기 열가소성 소재(135)로의 열 전도를 중단할 수 있다. Then, the heating wire 136, which was performing the heating operation, may stop heat generation and stop heat conduction to the thermoplastic material 135.

그리고 상기 열가소성 소재(135)는, 상기 열선(136)으로부터의 열 전도가 중단됨으로 인하여 다시 굳어질 수 있고, 이와 같이 굳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조절된 펜 홈(132) 각도 즉, 홀딩 각도가 고정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ermoplastic material 135 may be hardened again due to interruption of heat conduction from the hot wire 136. In this hardened state, the adjusted pen groove 132 angle, that is, the holding angle is fixed. Can be.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펜 홀더(130)에서 스타일러스 펜(200)의 입출을 수용하는 펜 홈(132)에 대한 각도 변경을 열가소성 소재(135)를 기반으로 자유롭게 설정 가능함으로써, 유저 개개인에 최적화된 홀딩 각도를 편리하게 설정하도록 할 수 있고, 작업 시 유저가 요구하는 어느 각도로도 스타일러스 펜(200)을 펜 홀더(130)에 입출하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change with respect to the pen groove 132 that accommodates the entry and exit of the stylus pen 200 from the pen holder 130 can be freely set based on the thermoplastic material 135, so that each individual user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set the holding angle optimized for the operation, and to allow the stylus pen 200 to enter and exit the pen holder 130 at any angle required by the user during work.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홀딩 각도 변경을 자유롭게 설정 가능함으로써, 부적합한 홀딩 각도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200)의 파손 내지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펜 입력장치(100)에 대한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holding angle freely,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or breakdown of the stylus pen 200 due to an inappropriate holding angle, through which the pen input device 100 can be prevented. Usability can be increased.

이러한 열가소성 소재(135)에 기반한 펜 홈(132) 각도의 조정은, 회동부재를 통해 자동 각도 조절하는 실시예와 결합되어 좀더 효과적인 스타일러스 펜(200) 인입/인출의 편의를 보조할 수 있다. The adjustment of the angle of the pen groove 132 based on the thermoplastic material 135 may be combined with the embodiment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angle through the rotating member to assist the more convenient stylus pen 200 in / out convenience.

자세히, 펜 홀더(130)는, 열가소성 소재(135)에 의한 펜 홈(132)의 홀딩 각도를 센싱할 수 있는 기울기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en holder 130 may further include a tilt sensor (not shown) capable of sensing the holding angle of the pen groove 132 by the thermoplastic material 135.

제어부(107)는, 세팅버튼(137)에 따른 펜 홈(132) 홀딩 각도가 변화된 후 고정되는 시간이 경과한 이후 기울기 센서로부터 펜 홈(132)의 최종 홀딩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7 may obtain the final holding angle of the pen groove 132 from the tilt sensor after a fix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holding angle of the pen groove 132 according to the setting button 137 is changed.

그리고 제어부(107)는, 펜 홈 (132)의 최종 홀딩 각도 및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펜 홀더(130)를 회전시켜, 최종 홀딩 각도가 지면과 수직이되도록 회동부재(150)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Then, the control unit 107 rotates the pen holder 130 based on the final holding angle of the pen groove 132 and the inclination of the pen input device 100, so that the rotating member 150 is formed so that the final holding angle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 Can be controlled automatically.

즉, 제어부(107)는, 펜 홈(132)의 최종 홀딩 각도가 지면의 수직이 되도록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와 펜 홈(132)의 홀딩 각도 변화를 모두 고려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 unit 107 may consider both the inclination of the pen input device 100 and the change in the holding angle of the pen groove 132 so that the final holding angle of the pen groove 132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3.3. 펜 입력장치에서 광고 그래픽 작업에 편의로운 UI와 UX를 제공하는 방법How to provide convenient UI and UX for advertising graphic work in pen input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펜 입력장치(100)가 펜 홀더(130)와 스타일러스 펜(200) 사이에서의 동작을 감지하여 광고 그래픽 작업에 편의로운 유저 인터페이스와 경험(UI/UX)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en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 operation between the pen holder 130 and the stylus pen 200 to facilitate user interface and experience for advertising graphic work How to provide (UI / UX)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펜 입력장치(100)가 펜 홀더(130)와 스타일러스 펜(200) 사이에서의 동작을 감지하여 광고 그래픽 작업에 편의로운 유저 인터페이스와 경험(UI/UX)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1 is a pen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operation between the pen holder 130 and the stylus pen 200, which is a convenient user interface and experience for advertising graphic work (UI / UX) It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how to provide.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펜 입력장치(100)의 제어부(107)는,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 변화에 따른 펜 홀더(130)의 기울기를 제어할 수 있고, 펜 홀더(130)에서의 스타일러스 펜(200) 입출에 따른 기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07 of the pen input device 100 may control the tilt of the pen holder 130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tilt of the pen input device 100, and the pen A function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entry and exit of the stylus pen 200 in the holder 130 may be performed.

자세히, 펜 입력장치(100)의 제어부(107)는,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S101) In detail, the control unit 107 of the pen input device 100 may detect a change in tilt of the pen input device 100. (S101)

상세히, 제어부(107)는, 센서부(104)의 기울기 센서에 기반하여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 변화량을 센싱해 감지할 수 있다.In detail, the control unit 107 may sense and detec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tilt of the pen input device 100 based on the tilt sensor of the sensor unit 104.

또한, 제어부(107)는, 감지된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를 기반으로 펜 홀더(130)의 홀딩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S103)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7 may control the holding angle of the pen holder 130 based on the sensed tilt of the pen input device 100. (S103)

자세히, 제어부(107)는, 감지된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펜 입력장치(100)가 포함하는 펜 홀더(130)의 홀딩 각도 즉, 펜 홀더(130)에 인입 또는 배출되는 스타일러스 펜(200)을 홀딩하는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In detail, the control unit 107, based on the detected amount of change in the tilt of the pen input device 100, the holding angle of the pen holder 130 included in the pen input device 100, that is, drawn in or out of the pen holder 130 The angle of holding the discharged stylus pen 200 can be controlled.

보다 상세히, 제어부(107)는,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 변화에 따른 홀딩 각도 제어 시, 상기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에 상관없이 상기 펜 홈(132) 각도가 지면에 수직한 각인 직각을 유지하도록 회동부재(150)의 회전을 컨트롤하거나, 또는 펜 홀더(130)의 자체 프로세서와 원격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홀딩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control unit 107, when controlling the holding angl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inclination of the pen input device 100, regardless of the inclination of the pen input device 100, the angle of the pen groove 132 is imprint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holding angle may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rotation of the rotation member 150 to maintain a right angle, or by performing remote communication with the pen holder 130's own processor.

즉, 제어부(107)는, 펜 홀더(130)가 장착된 펜 입력장치(100)의 기울기가 변화하여도 펜 홀더(130)의 펜 홈(132) 각도는 지속적으로 지면에 수직한 각인 직각을 유지하게 하여, 유저가 스타일러스 펜(200)을 펜 홀더(130)에 넣고 빼고 보관하는 등의 사용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홀딩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That is, even when the inclination of the pen input device 100 in which the pen holder 130 is mounted is changed, the control unit 107 continuously adjusts the angle of the pen groove 132 of the pen holder 130 to b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By holding,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holding angle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perform a use operation such as inserting, removing, and storing the stylus pen 200 into the pen holder 130.

또한, 실시예에서 제어부(107)는, 펜 홀더(130)에 대한 스타일러스 펜(200)의 입출을 감지할 수 있다. (S105)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07 may detect the entry and exit of the stylus pen 200 with respect to the pen holder 130. (S105)

자세히, 제어부(107)는, 펜 감지부(102)에 기반하여 펜 홀더(130)에 대한 스타일러스 펜(200)의 인입 또는 배출을 감지할 수 있다. In detail, the control unit 107 may detect the inflow or outflow of the stylus pen 200 with respect to the pen holder 130 based on the pen detection unit 102.

또한, 제어부(107)는, 감지된 스타일러스 펜(200)의 입출에 따른 광고용 그래픽 작업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S107)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7 may execute a graphic operation mode for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input / output of the detected stylus pen 200. (S107)

자세히, 제어부(107)는, 펜 감지부(102)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200)의 인입이 감지된 경우, 광고용 그래픽 작업 모드를 오프(off) 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inflow of the stylus pen 200 is detected using the pen detection unit 102, the control unit 107 may turn off the graphic work mode for advertisement.

또한, 제어부(107)는, 펜 감지부(102)를 통한 스타일러스 펜(200)의 배출이 감지되면, 광고용 그래픽 작업 모드를 온(on)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ischarge of the stylus pen 200 through the pen detection unit 102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07 may turn on the graphic operation mode for advertisement.

예를 들면, 제어부(107)는, 스타일러스 펜(200)이 펜 홀더(130)에 인입된 경우 펜 입력장치(100)에 대한 전원공급을 중지하여 오프(off)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tylus pen 200 is inserted into the pen holder 130, the control unit 107 may set the off state by stopping the power supply to the pen input device 100.

또한, 제어부(107)는, 스타일러스 펜(200)이 펜 홀더(130)로부터 배출된 경우 펜 입력장치(100)에 대한 전원공급을 실행하여 온(on) 상태를 설정할 수 있고, 터치 패널(110)에 대한 스타일러스 펜(200)의 입력 감지를 활성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tylus pen 200 is discharged from the pen holder 130, the control unit 107 may set the on state by supplying power to the pen input device 100, and set the on state. ), The input detection of the stylus pen 200 may be activated.

이와 동시에, 제어부(107)는, 그래픽 작업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자동 송신하여 그래픽 작업 모드를 신속하게 활성화시킬 수 있다.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unit 107 may automatically activate a graphic work mode by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the graphic work program to the display device 30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07)는, 펜 홀더(130)와 결합된 펜 입력장치(100)를 기반으로, 펜 홀더(130)와 스타일러스 펜(200) 사이에서의 동작을 감지하여 광고 그래픽 작업에 편의로운 유저 인터페이스 및 경험(UI/UX)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성능의 펜 입력장치(100)를 기반으로 그래픽 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의 효율성과 결과물의 퀄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07 detects an operation between the pen holder 130 and the stylus pen 200 based on the pen input device 100 combined with the pen holder 130. By providing a convenient user interface and experience (UI / UX) for advertising graphic work, it is possible to perform a graphic work based on the pen input device 100 of more improved performance, through which the efficiency and result of work Quality can be improv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장치 및 방법은, 스타일러스 펜(200)을 수용하는 펜 홀더(130)와 결합되어 동작하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세팅이 없어도 스타일러스 펜(200)을 이용한 작업환경을 편리하게 구축할 수 있고, 펜 홀더(130) 분실의 위험을 감소시키며, 이를 통해 펜 입력장치(100)에 대한 사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 p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graphic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by providing a p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graphic work performed in combination with a pen holder 130 accommodating a stylus pen 200 , Even without a separate setting, the working environment using the stylus pen 200 can be conveniently built, and the risk of losing the pen holder 130 is reduced, thereby improving usability of the pen input device 100. It has the effec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장치 및 방법은, 펜 홀더(130)와 결합된 펜 입력 장치의 기울기가 변화하여도 상기 펜 홀더(130)의 기울기는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작업 시 유저가 펜 입력장치(100)의 거치 각도를 조절하여 펜 입력장치(100)가 기울어짐에 따라 해당 펜 입력장치(100)에 결합된 펜 홀더(130)가 동일하게 기울어져 발생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graphic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inclination of the pen input device combined with the pen holder 130 changes, the inclination of the pen holder 130 is maintained, When working, the user adjusts the mounting angle of the pen input device 100, and as the pen input device 100 inclines, the pen holder 130 coupled to the pen input device 100 tilts the same, causing inconvenien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장치 및 방법은, 펜 홀더(130) 자체에서 스타일러스 펜(200)의 입출을 수용하는 펜 홈(132)에 대한 각도 변경을 자유롭게 설정 가능함으로써, 유저 개개인에 최적화된 홀딩 각도를 제공할 수 있고, 작업 시 유저가 요구하는 어느 각도로도 스타일러스 펜(200)을 펜 홀더(130)에 입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graphic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set an angle change with respect to the pen groove 132 that accommodates the entry and exit of the stylus pen 200 in the pen holder 130 itself.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timal holding angle for each user, and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stylus pen 200 to be brought in and out of the pen holder 130 at any angle required by the user during work.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장치 및 방법은, 펜 홀더(130)에 대한 스타일러스 펜(200)의 입출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작업 시 펜 입력 장치, 펜 홀더(130)와 스타일러스 펜(200)에 대한 사용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펜 홀더(130)에 대한 부적합한 입출 각도에 의해 스타일러스 펜(200)이 파손 내지 고장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graphic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entry / exit angle of the stylus pen 200 with respect to the pen holder 130, the pen input device during operation, the pen holder 130 And improves usability for the stylus pen 200, and at the same time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situation where the stylus pen 200 is damaged or broken by an improper entry / exit angle to the pen holder 13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 장치 및 방법은, 펜 홀더(130)와 결합된 펜 입력장치(100)를 기반으로 펜 홀더(130)와 스타일러스 펜(200) 사이에서의 동작을 감지하여 광고 그래픽 작업에 편의로운 유저 인터페이스 및 경험(UI/UX)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성능의 펜 입력장치(100)를 기반으로 그래픽 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의 효율성과 결과물의 퀄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graphic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pen holder 130 and the stylus pen 200 based on the pen input device 100 combined with the pen holder 130 By detecting the motion of the advertisement, by providing a convenient user interface and experience (UI / UX) for advertising graphic work, it is possible to perform a graphic work based on the pen input device 100 of improved performance, through which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quality of results.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can be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executable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can be changed to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embodiment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nfiguration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r connection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illustrative examples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It can be represented as a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unless specifically mentioned, such as “essential”, “importantly”, etc.,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10)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인입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수용하기 위한 펜 홈이 형성된 펜 홀더;
상기 펜 홀더를 지지하는 홀더 프레임; 및
상기 홀더 프레임과 상기 터치 패널 사이에서 회전하여, 상기 펜 홀더와 상기 터치 패널 사이의 각도를 조정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 동작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펜 입력장치의 기울기에 따라서 상기 회동부재를 컨트롤하여 상기 펜 홀더의 기울기를 조절해 상기 펜 홈의 홀딩 각도를 제어하고,
상기 펜 홀더는,
상기 회동부재 및 상기 홀더 프레임에 탈착되도록 구현되는 탈착형 펜 홀더이며, 상기 탈착형 펜 홀더는, 자체 제어 프로세서와 동력을 생성하는 자체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체 제어 프로세서와 원격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자체 모터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기반으로 상기 홀딩 각도를 제어하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장치.
A touch panel for sensing the input of the stylus pen;
A pen holder having a pen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drawn stylus pen;
A holder frame supporting the pen holder; And
And a rotating member rotating between the holder frame and the touch panel to adjust an angle between the pen holder and the touch panel,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otating member,
The control unit,
The holding member of the pen groove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tilt of the pen holder by controlling the rotation member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pen input device,
The pen holder,
It is a detachable pen holder that is implemented to be detached from the rotating member and the holder frame, and the detachable pen holder includes its own control processor and its own motor generating power,
The control unit performs remote communication with the self-control processor to control the holding angle based on power generated from the self-motor.
Pen input device for graphic work.
삭제delete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인입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수용하기 위한 펜 홈이 형성된 펜 홀더;
상기 펜 홀더를 지지하는 홀더 프레임; 및
상기 홀더 프레임과 상기 터치 패널 사이에서 회전하여, 상기 펜 홀더와 상기 터치 패널 사이의 각도를 조정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 동작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홀딩 각도가 직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장치.
A touch panel for sensing the input of the stylus pen;
A pen holder having a pen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drawn stylus pen;
A holder frame supporting the pen holder; And
And a rotating member rotating between the holder frame and the touch panel to adjust an angle between the pen holder and the touch panel,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otating member,
The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so that the holding angle is maintained at a right angle
Pen input device for graphic work.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펜 홀더는,
상기 회동부재 및 상기 홀더 프레임과 통합되어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고정형 펜 홀더인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en holder,
It is a fixed pen holder that is integrated with the rotating member and the holder frame and is integrally implemented.
Pen input device for graphic work.
삭제delete 삭제delete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인입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수용하기 위한 펜 홈이 형성된 펜 홀더;
상기 펜 홀더를 지지하는 홀더 프레임; 및
상기 홀더 프레임과 상기 터치 패널 사이에서 회전하여, 상기 펜 홀더와 상기 터치 패널 사이의 각도를 조정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 동작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펜 홀더는,
가열하면 연화하여 변형되고 식으면 다시 굳어지는 성질을 가지는 열가소성 소재;
전류에 의한 발열 작용을 이용하여 상기 열가소성 소재에 대한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열선; 및
상기 가열 동작의 온/오프(on/off)를 설정하는 유저 입력을 감지하는 세팅버튼을 포함하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장치.
A touch panel for sensing the input of the stylus pen;
A pen holder having a pen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drawn stylus pen;
A holder frame supporting the pen holder; And
And a rotating member rotating between the holder frame and the touch panel to adjust an angle between the pen holder and the touch panel,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otating member,
The pen holder,
A thermoplastic material having a property of being softened when heated, deformed, and hardened when cooled;
A heating wire that performs a heating operation on the thermoplastic material by using an exothermic action by electric current; And
And a setting button for detecting a user input for setting on / off of the heating operation.
Pen input device for graphic work.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소재는, 상기 펜 홀더 내 펜 홈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회동공간부에 필링(filling)되어 배치되고,
가열되어 연화된 상태에서는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펜 홈의 각도가 조절되게 하고, 열이 식어서 굳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펜 홈의 각도가 고정되게 하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thermoplastic material is disposed and filled in a rotational space formed around a pen groove in the pen holder,
When heated and softened, it is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so that the angle of the pen groove is adjusted, and when the heat is cooled, the angle of the pen groove is fixed
Pen input device for graphic work.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팅버튼에 대한 유저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열선의 가열 동작을 실행(on)하고, 상기 가열 동작이 실행되어 상기 열가소성 소재가 연화되면, 상기 펜 홈에 대한 유저 입력을 기초로 홀딩 각도를 조정하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When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heating wire is performed based on the user input to the setting button, and when the heat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soften the thermoplastic material, the holding angle is adjusted based on the user input to the pen groove.
Pen input device for graphic work.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인입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수용하기 위한 펜 홈이 형성된 펜 홀더; 상기 펜 홀더를 지지하는 홀더 프레임; 및 상기 홀더 프레임과 상기 터치 패널 사이에서 회전하여, 상기 펜 홀더와 상기 터치 패널 사이의 각도를 조정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펜 입력장치의 제어부가 수행하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방법으로서,
상기 터치 패널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터치 패널의 기울기 변화와 펜 홀더 내 펜 홈 각도에 따라서 상기 펜 홀더의 각도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펜 홀더에 대한 스타일러스 펜의 인입 또는 인출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스타일러스 펜의 인입 또는 인출에 따른 광고 그래픽 작업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펜 입력방법.

A touch panel for sensing the input of the stylus pen; A pen holder having a pen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drawn stylus pen; A holder frame supporting the pen holder; And a rotating member that rotates between the holder frame and the touch panel to adjust an angle between the pen holder and the touch panel, as a pen input method for a graphic operation performed by a control unit of a pen input device comprising:
Sensing a change in tilt of the touch panel;
Controlling the angle of the pen holder according to the sensed tilt change of the touch panel and the angle of the pen groove in the pen holder;
Detecting the entry or withdrawal of a stylus pen to the pen holder; And
And executing an advertisement graphic work mode according to the incoming or outgoing of the detected stylus pen.
Pen input method for graphic work.

KR1020200032935A 2020-03-18 2020-03-18 Device and method that pen input for working with graphics KR1021149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935A KR102114920B1 (en) 2020-03-18 2020-03-18 Device and method that pen input for working with graphi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935A KR102114920B1 (en) 2020-03-18 2020-03-18 Device and method that pen input for working with graphic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920B1 true KR102114920B1 (en) 2020-05-25

Family

ID=7091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935A KR102114920B1 (en) 2020-03-18 2020-03-18 Device and method that pen input for working with graphic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92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101A (en) 2003-11-05 2005-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interface to wireless electronic pen in portable computer
KR20190142820A (en) * 2018-06-19 2019-12-30 (주)금오전자 Stylus pen holder
KR20200017157A (en) * 2018-08-08 2020-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outputting information regarding stylus pen connected with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101A (en) 2003-11-05 2005-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interface to wireless electronic pen in portable computer
KR20190142820A (en) * 2018-06-19 2019-12-30 (주)금오전자 Stylus pen holder
KR20200017157A (en) * 2018-08-08 2020-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outputting information regarding stylus pen connected with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7045B2 (en) Terminal with flexible screen
CN109393565B (en) Electronic cigarette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cigarette
KR102063952B1 (en) Multi display apparatus and multi display method
US967870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667906B2 (en) Display apparatus
EP3129696A1 (en) Mount that facilitates positioning and orienting a mobile computing device
EP2840486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restricting use of portable device
WO2018103498A1 (en) Mobile terminal
KR20150004714A (en) Inpu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EP3657311B1 (en)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screen change method thereof
EP2818982B1 (en) Display apparatus and image erasing device system for electronic chalkboard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2002197A1 (en) Electronic device assembly, charging control method, and charging control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CN103729138A (en) Display screen based physical button simula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WO2022237736A1 (en) Appl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ing control, and electronic device
KR102114920B1 (en) Device and method that pen input for working with graphics
CN103902183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3514024A (en) Rapid start UI system and rapid start method for electrical appliance
KR20110021070A (en) Electric mascara
CN109189313B (e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16905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345863B2 (en) Cover with shape memory material
TWI533199B (en) Smart monitor, display system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TW202046593A (en) Wireless charging device
CN110650236B (en) Rotating bracket, electronic equipment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W201445319A (en) Electronic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