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836B1 - Central bundling device of wrapping paper - Google Patents
Central bundling device of wrapping pap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4836B1 KR102114836B1 KR1020180023362A KR20180023362A KR102114836B1 KR 102114836 B1 KR102114836 B1 KR 102114836B1 KR 1020180023362 A KR1020180023362 A KR 1020180023362A KR 20180023362 A KR20180023362 A KR 20180023362A KR 102114836 B1 KR102114836 B1 KR 1021148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d
- outer ring
- wrapping paper
- inner ring
- centra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459 clea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02—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지의 중앙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점보롤과 같이 중앙홀이 형성된 제품을 포장할 시, 개방부를 묶어 내용물이 포장지에서 쏟아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반을 편리하게 하고, 외관을 깔끔하게 마무리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ntral bundling device of a wrapping p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packaging a product having a central hole such as a jumbo roll, the opening is tied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spilling out of the wrapping paper, making transport convenient and neat appearance. By finish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arketability.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장지의 중앙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내용물이 담긴 포장지의 개방부를 자동으로 모아 묶어주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ntral bundling device of a wrapping pap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vice for automatically collecting and bundling the opening of the wrapping paper containing the contents.
점보롤 화장지(이하 '점보롤'이라 함)는 대형 두루마리 화장지를 지칭하는 것으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공중 화장실에서 주로 사용된다. 점보롤은 크기가 큰 만큼 무게도 상당하기 때문에 청소 요원들이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포장에 각별히 신경 쓸 필요가 있다.Jumbo roll toilet pap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jumbo roll') refers to a large roll toilet paper and is mainly used in public toilets used by many people. Because jumbo rolls are large and have a considerable weight, special care must be taken in the packaging so that cleaning agents can conveniently carry them.
점보롤이 유통되는 방식은 통상적으로 일정 개수(보통 4개 단위)의 점보롤을 비닐 포장지에 담아 한 묶음을 형성시키고, 다시 복수의 묶음을 종이 박스에 담아 납품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제공된 박스는 건물 내 창고 등에서 보관된 후, 필요시 청소 요원들이 한 묶음씩 꺼내어 운반하곤 한다.The way in which the jumbo rolls are distributed is a method in which a certain number (usually 4 units) of jumbo rolls are usually packed in a plastic wrapper to form a bundle, and then a plurality of bundles are delivered in a paper box. The boxes provided in this way are stored in warehouses in the building, and, if necessary, cleaning agents take out and transport one bundle at a time.
하지만 종래의 비닐 포장 방식은, 포장이라기보다는 담아 보관하는 것에 불과하다. 즉 일측이 막힌 비닐 포장지에 점보롤을 넣은 후 개방된 부분엔 별다른 처리를 하지 아니하고 단순히 접어 놓은 것이다.However, the conventional vinyl packaging method is merely storing and storing rather than packaging. That is, after putting a jumbo roll in a plastic wrapper on one side, the opened part is simply folded without any special treatment.
이 경우 비닐 포장지에서 점보롤을 꺼내는 것은 수월하겠지만, 포장지가 견고하게 내용물을 잡아줄 수 없기 때문에 운반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비닐 포장지의 개방부가 항상 열려 있는 상태라서 청소 요원이 양손을 사용하여 점보롤 묶음을 조심스럽게 운반해야만 했다.In this case, it would be easy to take the jumbo roll out of the plastic wrapper,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arry it because the wrapper cannot hold the contents firmly. That is, since the opening of the plastic wrapper was always open, the cleaning agent had to carefully carry the bundle of jumbo rolls using both hands.
더불어 비닐 포장지의 개방된 부분을 마구잡이로 접어놓은 상태이기 때문에 제품의 외관이 깔끔하지 못하다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is not neat because the open part of the plastic wrapper is folded at random.
물론 제품을 넣은 후 포장지의 개방부를 묶어 놓는다면 운반이 조금은 편리해지겠지만, 수작업으로 개방부를 묶어야만 해서 제조 효율이 떨어지며, 단순히 묶어 놓기만 할 경우 제품의 하중을 제대로 견디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Of course, if the opening of the packaging is tied up after the product is put in, the transportation will be a little convenient, but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decreases because the opening must be manually tied, and if it is simply bundl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roduct load cannot be properly handled.
한편 두루마리 화장지를 포장하는 기술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996-0034011호(1996.10.22. '화장지 자동포장장치') 등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technology of wrapping the rolled toilet paper i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6-0034011 (October 22, 1996, 'Automatic Packaging Machine for Toilet Paper').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점보롤과 같이 중앙홀이 형성된 제품을 포장할 시, 개방부를 묶어 내용물이 포장지에서 쏟아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반을 편리하게 하고, 외관을 깔끔하게 마무리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when packaging a product having a central hole such as a jumbo roll, the opening is tied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spilling out of the packaging, making transportation convenien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can improve the merchandise by finishing the exterior neat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의 중앙묶음장치는, 내측이 개방된 원형이며, 원주 상 복수 지점에 제1밴드연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내륜; 상기 내륜보다 직경이 큰 원형이며, 원주 상 복수 지점에 제2밴드연결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내륜 둘레에 설치되는 외륜; 일측이 상기 복수의 제1밴드연결부 중 특정 제1밴드연결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복수의 제2밴드연결부 중 특정 제2밴드연결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밴드부; 상기 내륜 또는 외륜을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내륜 및 외륜의 내측으로 포장지의 개방부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내륜 또는 외륜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개방부의 바깥에 위치하고 있던 상기 복수의 밴드부가 상기 포장지의 개방부를 중앙으로 모으면, 상기 중앙으로 모인 포장지의 개방부를 묶어 묶음부를 형성시키는 묶음부형성수단;을 포함한다.The central bundling device of the wrapping p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inner ring is open, the inner ring is provided with a first band connection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circumference; A circular ring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ring, a second band connecting portion provided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circumference, and an outer ring installed around the inner ring; A plurality of band portions, one side of which is fixed to a specific first band connection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band connection portions,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fixed to a specific second band connection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band connection portions; A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inner or outer ring; And when the inner ring or outer ring rotates while the opening of the wrapping paper is located inside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when the plurality of band portions located outside the opening portion are collected, the opening of the wrapping paper is centered, It includes; a bundle forming means for bundling the opening portion to form a bundle.
여기서, 상기 밴드부는 길이가 가변되는 탄성밴드이고,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포장지가 상기 내륜 및 외륜의 내측으로 진입할 시에는 상기 밴드부가 연결된 양측 제1밴드연결부 및 제2밴드연결부 사이의 거리가 인접해 있도록 하고, 상기 포장지의 개방부를 중앙으로 모을 시에는 상기 밴드부가 연결된 양측 제1밴드연결부 및 제2밴드연결부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어지도록 상기 내륜 또는 외륜을 회전시킬 수 있다.Here, the band portion is an elastic band having a variable length, and when the wrapper enters the inside of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and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band connecting portion on both sides of which the band portion is connected is adjacent. When the opening portion of the wrapping paper is centrally collected, the inner ring or the outer ring may be rotat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nd connecting portions on both sides connected to the band portion is relatively far.
또한, 상기 묶음부형성수단은 상기 포장지의 모아진 개방부 부분을 융착시키는 중앙융착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undle forming means may be a central fusion tip for fusing the collected open portion of the wrapping paper.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의 중앙묶음장치는, 제품을 담기 위해 열려 있던 포장지의 개방부를 가운데로 모아 묶음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제품이 포장지에서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손잡이를 파지한 채 간편하게 운반할 수가 있다.The central bundling device of the wrapping p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openings of the wrapping paper opened to contain the product in the middle to form a bundling, so that the product does not escape from the wrapping paper.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carry the handle while holding the handle with one hand.
또한 포장지의 개방부를 모아주는 과정이 외륜과 내륜 사이에 연결된 밴드부의 움직임에 따라 이루어지고, 묶음부 형성 공정 역시 중앙융착팁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개방부를 묶어 주는 것에 비해 빠르고 정확한 공정 효율을 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opening portion of the wrapping paper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and portion connected between the outer ring and the inner ring,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bundle portion is also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central fusion tip, so it is faster and more accurate than manually binding the opening portion. It can show efficiency.
또, 묶음부가 형성된 포장지가 펴짐방지용 융착장치에 진입하면, 묶음부 부분의 개방부가 제품의 중앙홀 내에 삽입되고, 중앙홀 둘레에 융착부가 형성됨으로써, 접혀진 주름이 펼쳐지지 않게 되어 외관을 깔끔하게 마무리하고 견고한 포장 구조를 완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rapping paper on which the bundled portion is formed enters the fusion device for preventing spreading, the open portion of the bundle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hole of the product, and the fused portion is formed around the central hole, so that folded wrinkles are not spread and the exterior is neatly finished A sturdy packaging structure can be complete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묶음장치가 적용된 포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묶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도2에 도시된 중앙묶음장치에서 밴드부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도2에 도시된 중앙묶음장치에서 외륜이 회전하여 밴드부가 포장지의 개방부를 모아주고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도2에 도시된 중앙묶음장치를 이용하여 포장지의 개방부를 중앙으로 모아 묶어주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도2에 도시된 중앙묶음장치를 이용하여 개방부를 중앙으로 모아 묶어 놓은 상태의 포장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ckaging system to which the central bund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entral bund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nd portion in the central bundling device shown in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band portion collects the opening of the wrapping paper by rotating the outer ring in the central bundling apparatus shown in FIG. 2;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bundling the opening portion of the wrapping paper to the center by using the central bundling device shown in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wrapping paper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s are collected and bundled to the center using the central bundling device shown in FIG. 2;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ome components irrelevant to the subject matter of the inventio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but the omitted components are not necessarily 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또한, 이하에서는 중앙홀(11)이 형성된 제품의 예시로 점보롤(10)(대형 두루마리 화장지)을 도시하고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반드시 점보롤(10)을 포장하는 데에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중앙홀(11)이 형성된 모든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hereinafter, as an example of a product in which th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묶음장치가 적용된 포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시스템(100)은 중앙묶음장치(110) 및 펴짐방지용 융착장치(120)를 포함한다. 물론 포장시스템(100)은 점보롤(10)을 이송시키는 수단, 점보롤(10)을 포장지(20)에 일정 개수 담는 수단, 일정 개수의 점보롤(10)이 담겨진 포장지(20)를 세우거나 눕히는 수단, 포장이 완료된 제품을 이송하고 박스에 담는 수단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다루지 않도록 한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ckaging system to which the central bund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shown in FIG. 1, the
또한 중앙묶음장치(110)는 일정 개수의 점보롤(10)이 포장지(20)에 담겨지면, 포장지(20)의 개방부(21)를 중앙으로 모아 묶어주는 장치이며, 펴짐방지용 융착장치(120)는 중앙묶음장치(110)에서 묶여진 개방부(21)를 점보롤(10)의 중앙홀(11)에 삽입시키고, 묶음 과정에서 발생한 포장지(20)의 주름(22)이 펼쳐지지 않도록 융착시키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펴짐방지용 융착장치(12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앙묶음장치(11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토록 한다.In addition, the
도2는 도1에 도시된 포장시스템에서 중앙묶음장치의 밴드부와 묶음부형성수단이 열림 상태일 때의 평면도(a)와 정면도(b)이고, 도3은 중앙묶음장치의 밴드부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4는 도2에 도시된 중앙묶음장치에서 외륜이 회전하여 밴드부가 포장지의 개방부를 모아주고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plan view (a) and a front view (b) when the band portion and the bundle forming means of the central bundling device are opened in the packaging system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state where the band portion of the central bundling device is installed.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ring of the central bundling device shown in FIG. 2 rotates and the band portion collects the opening of the wrapping paper.
도2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묶음장치(110)는 내륜(111), 외륜(113), 밴드부(115), 회전구동부(116) 및 묶음부형성수단을 포함한다.2 to 3, the
내륜(111)은 내측이 개방된 원형이며, 원주 상 복수 지점에 제1밴드연결부(112)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내륜(111)은 중앙묶음장치(110)의 다른 구성들을 지지하는 프레임 역할도 수행한다. 즉 내륜(111)은 바닥에 고정되고 중앙에 전후면으로 원형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 구멍 둘레에 제1밴드연결부(112)가 마련되어 있는 형태이다.The
외륜(113)은 내륜(111) 둘레에 설치되되, 내륜(111)보다는 직경이 큰 원형이며 내측이 개방되어 있고, 원주 상 복수 지점에 제2밴드연결부(11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외륜(113)은 베어링(미도시)을 매개로 하여 내륜(111)을 상대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밴드부(115)는 탄력적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탄성밴드이며, 제1밴드연결부(112)와 제2밴드연결부(114)에 양단이 고정된다. 따라서 밴드부(115)는 양단이 연결된 제1밴드연결부(112)와 제2밴드연결부(114) 사이의 거리에 따라 길이가 가변된다.The
본 실시예에서 내륜(111)과 외륜(113)에는 30도 간격으로 총 12개의 제1밴드연결부(112) 및 제2밴드연결부(114)가 각각 마련되어 있어서 각 밴드연결부(112,114)를 서로 연결하는 밴드부(115) 역시 12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다. 즉 도2의 (b) 도면을 기준으로 내륜(111)에서 12시 방향 제1밴드연결부(112)와 외륜(113)에서 3시 방향 제2밴드연결부(114)가 밴드부(115)로 연결되어 있고, 같은 방식으로 내륜(111) 1시 - 외륜(113) 4시, 내륜(111) 2시 - 외륜(113) 5시, (중간 설명 생략), 내륜(111) 11시 - 외륜(113) 2시 방향으로 밴드부(11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a total of twelve first
도2의 (b) 상태에서는 외륜(113)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각 밴드부(115)의 양단을 잇는 사이각이 90도를 이루고 있어서, 밴드부(115) 양단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편이다. 하지만 밴드부(115) 양단을 잇는 사이각이 커질수록 밴드부(115) 양단의 거리는 길어지고, 그만큼 밴드부(115)도 탄력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론적으로 밴드부(115) 양단을 잇는 사이각이 180도일 때 밴드부(115) 양단의 거리가 가장 길어지게 되며, 이때 밴드부(115)는 외륜(113)의 회전 중심을 지나가게 된다. 즉 도2의 (b) 상태에서 외륜(113)이 회전하여 밴드부(115) 양단을 잇는 사이각이 커질수록 밴드부(115) 역시 외륜(113)의 회전 중심을 향하게 된다.In the state of FIG. 2 (b), the angle between the ends of each
도4의 (b)를 참조하면 밴드부(115) 양단을 잇는 사이각이 180도에 근접(대략 170도)하게 될 경우 12개의 밴드부(115)가 모두 외륜(113)의 회전 중심 인근을 지나게 된다. 즉 밴드부(115)들이 만나면서 외륜(113)의 회전 중심에 형성되는 12각형의 공간이 좁아지게 되는 것이다.Referring to (b) of FIG. 4, when the angle between the ends of the
여기서 12개의 밴드부(115)들은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움직임이 발생하기 때문에, 서로간의 간섭이 최소화 되도록 설치된다. 도3은 밴드부(115)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중앙묶음장치(110)의 일부분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3을 참조하면 내륜(111)에 형성된 제1밴드연결부(112)와 외륜(113)에 형성된 제2밴드연결부(114)는 외륜(113)의 회전면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높이차를 가지고 있다. 즉 밴드부(115)가 제1밴드연결부(112)에 연결되는 지점이 제2밴드연결부(114)에 연결되는 지점보다 낮다. 모든 밴드부(115)들이 같은 방식으로 양단의 높이차가 발생하도록 연결된다면, 외륜(113)이 회전하면서 밴드부(115)의 움직임이 발생하더라도, 각 밴드부(115)들이 이웃하는 밴드부(115)나 제1밴드연결부(112)에 간섭되지 아니하거나 간섭이 최소화(무시할 만한 수준) 된다.Here, since the twelve
밴드부(115)들의 작동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다룰 예정이다.The operation of the
회전구동부(116)는 외륜(113)을 회전 작동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회전구동부(116)의 동력으로 외륜(113)을 회전시키는 매커니즘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구동부(116)가 외륜(113)의 둘레와 기어 맞물림 되어 회전 동력이 전달되는 예시를 도시하였다.The
묶음부형성수단은 외륜(113)이 회전하여 밴드부(115)가 외륜(113)의 중심을 향해 모이면서 포장지(20)를 모으면, 포장지(20)의 개방부(21)를 묶어 묶음부(23)를 형성시키기 위해 마련된다.In the bundle forming means, when the
본 발명에서 포장지(20)의 개방부(21)를 '묶는다'는 표현은 말 그대로 끈을 이용하여 묶어주는 것일 수도 있지만, 기능적인 의미에서 더욱 확장된 정의를 내리자면, 개방된 부분이 풀어지지 않도록 하여 내용물이 개방부(21)를 통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과정을 말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ression 'bundling' the
본 발명에서는 묶음부형성수단으로 포장지(20)의 모아진 개방부(21) 부분을 융착시키는 중앙융착팁(117)을 적용시켰다. 즉 중앙융착팁(117)은 외륜(113)의 양측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고, 밴드부(115)에 의해 포장지(20)의 개방부(21)가 모아지면 중앙융착팁(117)이 모아진 개방부(21)를 양쪽에서 가열 압착한다. 이에 따라 양쪽 중앙융착팁(117)에 의해 포장지(20)가 일시적으로 용융되었다가 굳어짐으로써 융착된 형상의 묶음부(23)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개방부(21)가 다시 펼쳐지지 않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또한 양측의 중앙융착팁(117)이 모여 서로 접촉하게 되는 단면은 톱니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한정된 구간 내에서 최대한 넓은 융착 면적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만약 중앙융착팁(117)이 접촉하는 부분이 평평하다면, 융착 면적은 중앙융착팁(117)의 수직 단면적에 불과하다. 하지만 중앙융착팁(117)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이 톱니 형상이라면, 중앙융착팁(117)의 수직 단면적보다 훨씬 넓은 면적에서 포장지(20)의 융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넓은 면적에서 더욱 많은 열을 전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열융착 고정도 더욱 확실해진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s where the
또한 중앙융착팁(117)의 종단면인 톱니의 삼각형 홈에 포장지(20)의 개방부(21)가 들어가게 되면, 톱니 홈에 의해 개방부(21)를 모아준 상태에서 가열 압착하게 되어, 결국 열융착으로 형성된 묶음부(23)의 폭도 작아지게 된다. 만약 중앙융착팁(117)의 종단면이 평면이라면 묶음부(23)도 넓적하게 형성될 것이고, 묶음부(23)의 폭도 커지게 될 것이다. 이는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추후 점보롤(10)의 중앙홀(11)에 삽입시킬 때에도 불리하게 작용한다. 즉 중앙홀(11)에 묶음부(23)가 형성된 개방부(21)를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넓은 면적의 묶음부(23)가 중앙홀(11) 주변 부분과 간섭을 일으킬 가능성이 커질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opening
한편 중앙융착팁(117)은 외륜(113)의 바로 앞에, 더욱 구체적으로는 밴드부(115)의 바로 앞에 배치된다. 따라서 밴드부(115)에 의해 포장지(20)의 개방부(21)가 모아진 상태에서, 점보롤(10)이 담긴 포장지(20)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필요 없이 즉시 중앙융착팁(117)을 통해 묶음부(23)를 형성시킬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물론 가열 압착시키는 방식의 중앙융착팁(117)을 대신하여, 끈을 이용하여 모아진 포장지(20)의 개방부(21)를 묶어주는 수단, 또는 테이핑하는 수단이 묶음부형성수단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Of course, instead of the
이하에서는 도5를 참조하여 중앙묶음장치(110)를 이용하여 포장지(20)의 개방부(21)를 중앙으로 모아 묶어주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토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5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ocess of bundling the opening
먼저 도5의 (a)와 같이 점보롤(10)이 담긴 포장지(20)를 중앙묶음장치(110)의 외륜(113)과 내륜(111) 사이의 관통 구멍으로 진입시킨다.First, as shown in (a) of FIG. 5, the wrapping
포장지(20)는 한쪽은 막혀 있고 다른 쪽은 열린 상태로 준비되며, 열려진 개방부(21)를 통해 적정 개수의 점보롤(10)을 넣어 적층시킨다. 이러한 작업은 별도 장치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Wrapping
이렇게 점보롤(10)이 담긴 포장지(20)는 막혀 있는 부분이 먼저 외륜(113)과 내륜(111) 사이의 관통 구멍을 향하게 되며, 점보롤(10)이 담긴 부분이 모두 관통 구멍을 통과하면 포장지(20)의 열려진 부분, 즉 개방부(21)는 외륜(113)의 전후에 걸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점보롤(10)이 담긴 포장지(20)가 외륜(113)과 내륜(111) 사이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상태에서는 밴드부(115) 양단의 거리가 인접하여 밴드부(115)들로 이루어진 12각형의 평면 면적이 도2의 (b)와 같이 넓은 상태여야 한다. 더불어 중앙융착팁(117) 역시 도2의 (a)와 같이 열려진 상태여야 한다.In this way, the wrapping
점보롤(10)이 담긴 포장지(20)가 밴드부(115)들로 인해 가상으로 형성되는 12각형의 평면 공간을 통과한 후, 도5의 (b)와 같이 포장지(20)의 개방부(21)가 외륜(113)의 전후면에 걸쳐 위치하게 되면, 도5의 (c) 및 도4의 (b)와 같이 회전구동부(116)가 외륜(113)을 회전시킨다.After the
밴드부(115)의 초기 위치는 도2의 (b)와 같은 상태이다. 즉 외륜(113)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밴드부(115) 양단 사이의 사이각이 90도로 비교적 인접한 상태이다. 따라서 밴드부(115)들로 이루어지는 가상의 12각형의 평면 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상태이다. 만약 이 상태에서 회전구동부(116)가 외륜(113)을 회전시켜 특정 밴드부(115)의 양단을 고정시키고 있는 제1밴드연결부(112)와 제2밴드연결부(114)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한다면, 밴드부(115)는 길이가 길어지면서 점점 외륜(113)의 회전 중심과 가까워지게 된다.The initial position of the
따라서 밴드부(115) 양단의 사이각이 대략 170도 정도가 될 때까지 외륜(113)이 회전한다면, 12개의 밴드부(115)들이 모두 외륜(113)의 회전 중심을 향하게 되고, 결국에는 도4의 (b)와 같이 12각형의 평면 면적이 매우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밴드부(115)들 사이의 가상의 12각형 평면 공간에 위치하고 있던 포장지(20)의 개방부(21)는 외륜(113)의 회전 중심쪽으로 자연스럽게 모아지게 된다.Therefore, if the
이후 도5의 (c) 및 도4의 (a)와 같이 외륜(113) 양측에 설치된 중앙융착팁(117)이 작동하여 가운데로 모인 포장지(20)의 개방부(21) 양쪽을 열압착 한 후 떨어지면, 포장지(20)의 모아진 개방부(21) 부분은 순간적으로 용융되었다가 굳어짐으로써 융착된 형태의 묶음부(23)가 형성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S. 5 (c) and 4 (a), the
외륜(113)의 회전으로 밴드부(115)가 포장지(20)의 개방부(21)를 모으고 중앙융착팁(117)이 묶음부(23)를 형성시키고 나면, 도5의 (d) 및 도2의 (a)와 같이 중앙융착팁(117)이 다시 열리게 되고, 회전구동부(116)는 다시 외륜(113)을 역회전시켜 도2의 (b)와 같이 12각형의 평면 면적이 넓어지도록 한다. 이후 별도의 이송수단(미도시)을 통해 개방부(21)에 묶음부(23)가 형성된 포장지(20)가 펴짐방지용 융착장치(120)로 이송되고, 펴짐방지용 융착장치(120)에서 묶음부(23)가 형성된 개방부(21) 부분이 점보롤(10)의 중앙홀(11)에 삽입되고, 중앙홀(11) 주변으로 동심원 형태의 융착부가 형성되어 포장지(20)의 마감 처리가 이루어진다.After the
한편, 앞서 설명한 바 있지만, 포장지(20)의 개방부(21)에 묶음부(23)를 형성시키기 위해 포장지(20)를 중앙묶음장치(110)에 투입할 시에는, 점보롤(10)이 담긴 포장지(20)에서 막혀 있는 부분을 먼저 외륜(113)과 내륜(111) 사이의 관통 구멍에 진입시킨다. 이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늦게 밴드부(115) 사이에 개방부(21)가 위치한 상태에서 개방부(21)가 모아지고 중앙융착팁(117)에 의해 묶음부(23)가 형성되고 나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점보롤(10)이 담긴 포장지(20)를 젖혀줌으로써 묶음부(23)가 형성된 개방부(21)가 상방향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후 공정을 위해 추가적인 포장지(20)의 위치 변경을 거치지 않더라도 개방부(21)를 중앙홀(11)에 삽입시키고 융착시키는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rapping
도6은 도2에 도시된 중앙묶음장치를 이용하여 개방부를 중앙으로 모아 묶어 놓은 상태의 포장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rapping paper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s are collected and bundled to the center using the central bundling device shown in FIG. 2.
도6을 기준으로 포장지(20)의 아래쪽은 막혀 있는 상태이며, 이 부분에는 손잡이(2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포장지(20)의 위쪽은 처음에는 개방된 상태였고, 개방부(21)를 통해 점보롤(10)들이 포장지(20) 내측으로 수납된 상태이다. 이후 점보롤(10) 위쪽으로 포장지(20)의 남아 있는 부분, 즉 개방부(21)가 중앙묶음장치(110)에서 가운데로 모여진 후 융착되어 묶음부(23)가 형성되었다. 따라서 개방부(21)가 막힌 상태에서 풀어지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손으로 손잡이(26)를 잡아 점보롤(10)이 담긴 포장지(20)를 운반할 수가 있다.The lower side of the wrapping
한편 포장지(20)는 비닐 재질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 때문에 중앙묶음장치(110)에서 포장지(20)의 개방부(21)가 가운데로 모이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주름(22)이 생기게 된다. 즉 펼쳐져 있던 포장지(20)가 좁은 공간으로 모여지기 때문에 개방부(21) 부분이 접혀지면서 주름(22)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 plastic material or the like may be used for the
물론 개방부(21)가 묶인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잡이(26)를 파지하고 운반하더라도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도6의 포장지(20) 상태에서 아래쪽에 있는 손잡이(26)를 위쪽으로 하여 점보롤(10)을 운반한다면, 주름(22)이 생긴 부분에 점보롤(10)의 하중이 집중된다. 이 경우 운반 과정에서 접힌 주름(22)이 펼쳐지면서 개방부(21)가 터지거나 벌어질 가능성도 있다.Of course, since the opening
이를 위해 중앙묶음장치(110)에서 포장지(20)의 개방부(21)를 모아 묶어 놓은 점보롤(10) 포장지(20)는 펴짐방지용 융착장치(120)로 진입하게 되고, 펴짐방지용 융착장치(120)에서 묶음부(23)가 형성된 개방부(21)가 점보롤(10)의 중앙홀(11) 내로 삽입되어 깔끔한 외관을 형성하게 되고, 이후 중앙홀(11) 둘레에 융착부가 형성되면, 융착부에 의해 주름(22)이 고정되기 때문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주름(22) 부분이 펼쳐지지 아니하고 개방부(21)가 터질 가능성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To this end, th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20)의 중앙묶음장치(110)는, 제품을 담기 위해 열려 있던 포장지(20)의 개방부(21)를 가운데로 모아 묶음부(23)를 형성시킴으로써, 제품이 포장지(20)에서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손잡이(26)를 파지한 채 간편하게 운반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또한 포장지(20)의 개방부(21)를 모아주는 과정이 외륜(113)과 내륜(111) 사이에 연결된 밴드부(115)의 움직임에 따라 이루어지고, 묶음부(23) 형성 공정 역시 중앙융착팁(117)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개방부(21)를 묶어 주는 것에 비해 빠르고 정확한 공정 효율을 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opening
또, 묶음부(23)가 형성된 포장지(20)가 펴짐방지용 융착장치(120)에 진입하면, 묶음부(23) 부분의 개방부(21)가 제품의 중앙홀(11) 내에 삽입되고, 중앙홀(11) 둘레에 융착부가 형성됨으로써, 접혀진 주름(22)이 펼쳐지지 않게 되어 외관을 깔끔하게 마무리하고 견고한 포장 구조를 완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rapping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내륜(111)이 다른 구성들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기능까지 수행하고, 베어링(미도시)을 매개로 내륜(1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륜(113)이 회전하는 예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실시하기에 따라 외륜(113)이 다른 구성들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고정되어 있고, 이러한 외륜(113)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내륜(11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후, 회전구동부(116)가 내륜(111)을 회전 시켜 밴드부(115)의 움직임이 발생토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description, for an example in which the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점보롤
11 : 중앙홀
20 : 포장지
21 : 개방부
22 : 주름
23 : 묶음부
26 : 손잡이
100 : 포장시스템
110 : 중앙묶음장치
111 : 내륜
112 : 제1밴드연결부
113 : 외륜
114 : 제2밴드연결부
115 : 밴드부
116 : 회전구동부
117 : 중앙융착팁
120 : 펴짐방지용 융착장치
122 : 제품지지수단
123 : 중앙삽입수단
130 : 융착수단10: jumbo roll
11: Central Hall
20: wrapping paper
21: opening
22: wrinkle
23: bundle
26: handle
100: packaging system
110: central bundling device
111: inner ring
112: first band connection
113: paddle
114: second band connection
115: band
116: rotating drive
117: Central welding tip
120: Splicing device for preventing spreading
122: product support means
123: central insertion means
130: fusing means
Claims (3)
상기 내륜보다 직경이 큰 원형이며, 원주 상 복수 지점에 제2밴드연결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내륜 둘레에 설치되는 외륜;
일측이 상기 복수의 제1밴드연결부 중 특정 제1밴드연결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복수의 제2밴드연결부 중 특정 제2밴드연결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밴드부;
상기 내륜 또는 외륜을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내륜 및 외륜의 내측으로 포장지의 개방부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내륜 또는 외륜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개방부의 바깥에 위치하고 있던 상기 복수의 밴드부가 상기 포장지의 개방부를 중앙으로 모으면, 상기 중앙으로 모인 포장지의 개방부 부분을 융착시켜 묶음부를 형성시키는 중앙융착팁;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융착팁의 접촉 단면은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는 길이가 가변되는 탄성밴드이며,
상기 내륜에 형성된 상기 제1밴드연결부와 상기 외륜에 형성된 상기 제2밴드연결부는 상기 외륜의 회전면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높이차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륜이 회전하면서 상기 밴드부의 움직임이 발생하더라도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포장지가 상기 내륜 및 외륜의 내측으로 진입할 시에는 상기 밴드부가 연결된 양측 제1밴드연결부 및 제2밴드연결부 사이의 거리가 인접해 있도록 하고, 상기 포장지의 개방부를 중앙으로 모을 시에는 상기 밴드부가 연결된 양측 제1밴드연결부 및 제2밴드연결부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어지도록 상기 내륜 또는 외륜을 회전시켜 상기 밴드부가 상기 내륜 또는 외륜의 회전 중심과 가까워지게 함으로써 상기 밴드부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있던 상기 포장지의 개방부를 상기 내륜 또는 외륜의 회전 중심쪽으로 모아지게 한 후 상기 중앙융착팁이 묶음부를 형성시키고 나면 상기 내륜 또는 외륜을 역회전시켜 평면 면적이 넓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의 중앙묶음장치.An inner ring with an open inside and a first band connecting portion provided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circumference;
A circular ring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inner ring, a second band connecting portion provided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circumference, and an outer ring installed around the inner ring;
A plurality of band portions, one side of which is fixed to a specific first band connection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band connection portions,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fixed to a specific second band connection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band connection portions;
A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inner or outer ring; And
When the inner ring or the outer ring rotates while the opening portion of the wrapping paper is located inside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when the plurality of band portions located outside the opening portion are collected in the center of the opening portion of the wrapping paper, opening of the wrapping paper collected in the center Containing; a central welding tip to form a bundle by fusing the partial portion;
The contact cross-section of the central fusion tip is formed in a serrated shape,
The band portion is an elastic band having a variable length,
The first band connect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ring and the second band connect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ring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height differences based on the rotational surface of the outer ring, so that the movement of the band portion occurs while the outer ring rotates. This does not happen,
When the wrapping paper enters the inside of the inner and outer rings, the rotary driving unit ensure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nd connecting portions on both sides connected to the band portion is adjacent, and when the opening of the wrapping paper is collected to the center. In the space between the band portions by rotating the inner ring or the outer ring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and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band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band portion is relatively far away, so that the band portion becomes closer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inner ring or outer ring. After the opening portion of the wrapping paper is collected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inner ring or outer ring, and after the central fusion tip forms a bundle, the inner ring or outer ring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o increase the flat area. Bu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70169185 | 2017-12-11 | ||
KR1020170169185 | 2017-12-1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9271A KR20190069271A (en) | 2019-06-19 |
KR102114836B1 true KR102114836B1 (en) | 2020-05-25 |
Family
ID=67104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3362A KR102114836B1 (en) | 2017-12-11 | 2018-02-27 | Central bundling device of wrapping pap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4836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141475A (en) * | 2015-02-05 | 2016-08-08 | 株式会社コバード | Food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
KR101645482B1 (en) | 2016-03-22 | 2016-08-12 | 이경옥 | Soy automatic packaging tai solidarity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10223A (en) * | 1991-09-20 | 1993-11-22 | Mitsui Toatsu Chem Inc | Automatic bag packing device |
KR970001479Y1 (en) * | 1992-12-30 | 1997-03-10 | 전성원 | Cup holder having variable fixing device |
JPH0948410A (en) * | 1995-08-04 | 1997-02-18 | Sekisui Plastics Co Ltd | Tightening device for the upper opening of the packaging bag |
-
2018
- 2018-02-27 KR KR1020180023362A patent/KR10211483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141475A (en) * | 2015-02-05 | 2016-08-08 | 株式会社コバード | Food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
KR101645482B1 (en) | 2016-03-22 | 2016-08-12 | 이경옥 | Soy automatic packaging tai solidarity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9271A (en) | 2019-06-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1480B1 (en) | Packages | |
ES2376156T3 (en) | PROCEDURE AND DEVICE FOR THE MANUFACTURE OF A PACKAGING UNIT. | |
CN105916368B (en) | Packing device and the method for utilizing this device package package | |
KR102114836B1 (en) | Central bundling device of wrapping paper | |
IT8912619A1 (en) | BELLOWED SPORTINA, MADE OF PLASTIC MATERIAL,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CONTINUOUS POWER SUPPLY OF AUTOMATIC DISTRIBUTION AND POSSIBLE OPENING EQUIPMENT. | |
FR2632844A1 (en) | BATHROOM PACKET, DISPENS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ACKAGE | |
ITBO990385A1 (en) | CORRUGATED CARDBOARD BOX FOR THE PACKAGING OF PRODUCT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ALIZATION AND FOR THE USE ON INDUSTRIAL SCALE D | |
US8522999B2 (en) | Speedy bag—bag dispensing system | |
ES2359834T3 (en) | PACKAGE WITH A PARTIAL AMOUNT OF TOBACCO TOBACCO AS WELL AS PROCESS OF MANUFACTURE OF PACKAGES WITH A PARTIAL AMOUNT OF TOBACCO TOBACCO. | |
WO2015178813A1 (en) | A package containing rolls of absorbent material | |
EP3552982B1 (en) | A bag suitable for packaging horticultural products and a method and means for the production thereof | |
RU2423305C1 (en) | Package for stack of confectionery or similar product pellets | |
FR2719282A1 (en) | Device for compressing and packaging a stack of compressible products. | |
KR102003010B1 (en) | Packing structure of products with center hole | |
JP3343254B2 (en) | How to pack packaging and bags into rolls | |
FR2517631A1 (en) | PACKAGING FOR FRAGILE OR DEFORMABLE PRODUCTS | |
KR102049559B1 (en) | Fusing device to prevent spreading of wrapping paper | |
WO1991013815A1 (en) | Dispenser of plastic objects packaged in rolls | |
FR2638149A1 (en) | DISTRIBUTOR BOX RETAINING THE ROLL | |
KR20100007262U (en) | Bundle type pouch structure | |
ITTV20080090A1 (en) | POUCH BAG WITH CLOSING STRAP DEVICE AND METHOD OF CLOSURE AND PRODUCTION OF THE BAG. | |
EP0065055B1 (en) | Wrap around type machine for automatically packaging articles such as bottles | |
EP0798224B1 (en) | Soft package provided with a suspension device | |
KR20220002605U (en) | Grape packaging paper bag and manufacturing device thereof | |
JP2537651Y2 (en) | Large storage bag group pack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5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