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688B1 - 외부 빗물 유입 방지가 가능한 창호 - Google Patents

외부 빗물 유입 방지가 가능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688B1
KR102114688B1 KR1020200040336A KR20200040336A KR102114688B1 KR 102114688 B1 KR102114688 B1 KR 102114688B1 KR 1020200040336 A KR1020200040336 A KR 1020200040336A KR 20200040336 A KR20200040336 A KR 20200040336A KR 102114688 B1 KR102114688 B1 KR 102114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closing cap
window
inflow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운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40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외부 빗물의 유입 방지가 가능한 창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빗물 유입 방지가 가능한 창호는, 창호 본체에 일체형으로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마감캡부; 및 마감캡부에 끼움결합되어, 외부로부터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빗물 차단 가스켓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실리콘 마감을 사용하지 않고, 구조적 개선 및 가스켓을 활용하여 빗물 유입 및 누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 빗물 유입 방지가 가능한 창호{Window capable of prevent rainwater from entering}
본 발명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한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빗물의 유입 방지가 가능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 등의 건축물 외벽에는 창을 설치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에는 창의 개폐를 위하여 창호를 설치하게 되는데, 그 사용재료에 따라 목재 창호와 금속재 창호로 분류되나 최근에는 플라스틱에 의한 문이나 창틀 등도 만들어지고 있다.
한편,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창호의 창틀은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함과 동시에, 건축물 외부의 냉기나 각종 이물질, 빗물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창틀과 개구부 벽면의 경계부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마감 처리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실리콘은 3 ~ 4년이 경과하면 노후화되어 경화되거나 갈라지면서, 창틀 또는 벽면에서 분리됨으로써 냉기, 빗물 등이 건축물 내부로 유입되어 난방 효율이 저하되고, 창틀 주변에 결로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곰팡이 등이 번식하며, 벽면을 타고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누수 현상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창호의 외부에서 빗물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리콘 마감을 사용하지 않고, 구조적 개선 및 가스켓을 활용하여 빗물 유입 및 누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외부 빗물 유입 방지가 가능한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빗물 유입 방지가 가능한 창호는, 창호 본체에 일체형으로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마감캡부; 및 마감캡부에 끼움결합되어, 외부로부터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빗물 차단 가스켓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마감캡부는, 빗물 차단 가스켓부가 삽입되도록, 양단에 삽입홈이 마련되고, 이때, 빗물 차단 가스켓부는, 삽입홈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도록, 삽입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삽입홈 길이의 수직방향을 따라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빗물 차단 가스켓부는, 용이한 삽입을 위해, 절곡되는 상면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삽입홈에 삽입된 이후,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곡되는 하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빗물 유입 방지가 가능한 창호는, 빗물 유입의 2중 차단을 위해, 마감캡부의 중심부와 양단에 마련되는 삽입홈 사이에 마련되되, 마감캡부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계단식 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 빗물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빗물 유입 방지가 가능한 창호는, 빗물 유입의 3중 차단을 위해, 마감캡부의 중심부로부터 삽입홈보다 외측에 마련되되, 마감캡부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계단식 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2 빗물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마감캡부와 체결되는 창호 본체는, 양끝단에서 중심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고정 돌기가 마련되고, 제2 빗물 차단부는, 창호 본체와 결합 시, 창호 본체와의 결합 유지력이 향상되도록, 절곡되는 면이 창호 본체의 고정 돌기와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빗물 차단부는, 외측으로부터 마감캡부의 중심부를 향하여 물리력이 가해진 상태로 창호 본체와 체결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어, 절곡되는 면이 고정 돌기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실리콘 마감을 사용하지 않고, 구조적 개선 및 가스켓을 활용하여 빗물 유입 및 누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빗물 유입 방지가 가능한 창호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본체와 마감캡부가 분리된 모습이 도시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 가스켓부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빗물 유입 방지가 가능한 창호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본체(10)와 마감캡부(100)가 분리된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빗물 유입 방지가 가능한 창호는, 실리콘 마감을 사용하지 않고, 구조적 개선 및 가스켓을 활용하여 빗물 유입 및 누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 외부 빗물 유입 방지가 가능한 창호는, 창호 본체(10) 이외에, 마감캡부(100), 빗물 차단 가스켓부(200), 제1 빗물 차단부(300) 및 제2 빗물 차단부(40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마감캡부(100)는, 창호 본체(10)에 일체형으로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감캡부(100)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형성되는 마감캡이 구비되어, 빗물 유입을 차단하고, 단열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폴리아미드 재질은, 물체 표면에 접착성이 좋으며, 휨성이 양호하고, 전기 절연성이 좋고, 내약품성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창호 본체(10)는, 마감캡부(100)와 체결되는 부분의 중심 돌출부(11)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창호 본체(10)는, 안착부(12) 및 고정 돌기(13)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12)는, 중심 돌출부(11)로부터 양측으로 연장형성된 본체의 끝단, 상측에 마련되되, 내측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창호 본체(10)에 마감캡부(100)를 비롯한 제1 빗물 차단부(300)에 체결되는 경우, 창호 본체(10)에 체결된 제1 빗물 차단부(300)가 안착하여, 체결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 돌기(13)는, 창호 본체(10)의 양끝단에 해당하는 부분 중 안착부(12)의 하측에 마련되되, 중심 돌출부(11)를 향해 돌출형성되어, 창호 본체(10)에 제2 빗물 차단부(400)가 체결되는 경우, 제2 빗물 차단부(4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마감캡부(100)는, 중심부가, 창호 본체(10)의 돌출형성된 중심부에 끼움결합되어, 창호 본체(10)와 일체형으로 체결될 수 있다.
빗물 차단 가스켓부(200)는,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고 마감이 가능하도록, 마감캡부(100)에 끼움결합되어, 외부로부터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빗물 차단 가스켓부(200)는, 빗물이 유입될 수 있는 마감캡부(100)의 연결면 또는 마감캡와 창호 본체(10)의 연결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마감캡부(100)에 끼움결합되는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빗물 차단 가스켓부(200)는, 마감캡부(100)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도록, 삽입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마감캡부(100)의 삽입홈(110) 길이의 수직방향을 따라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빗물 차단 가스켓이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마감캡부(100)는, 빗물 차단 가스켓부(200)가 삽입되도록, 양단에 삽입홈(110)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빗물 차단 가스켓부(200)는,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어, 장기적인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시공 및 조립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제1 빗물 차단부(300)는, 마감캡부(100)의 중심부와 양단에 마련되는 삽입홈(110) 사이에 마련되어, 빗물 유입을 막기 위한 계단식 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빗물 차단부(300)는, 빗물 차단 가스켓부(200)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1차로 차단되는 경우, 마감캡부(100)의 중심부와 양단에 마련되는 삽입홈(110) 사이에 마련되어, 유입되는 빗물의 2차로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빗물 차단부(300)는, 빗물 유입의 2중 차단을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1 빗물 차단부(300)는, 마감캡부(100)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계단식 층인 제1 빗물 차단층(31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빗물 차단부(300)는, 창호 본체(10)의 결합 시, 창호 본체(10)에 안착하여, 체결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제1 안착 돌기(32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안착 돌기(320)는, 창호 본체(10)와 결합되는 내측으로부터 창호 본체(10)를 향해 돌출되어, 창호 본체(10)와 결합 시, 안착부(12)에 안착하여, 체결된 제1 빗물 차단부(30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체결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빗물 차단부(400)는, 마감캡부(100)의 중심부로부터 삽입홈(110)보다 외측에 마련되어, 빗물 유입을 막기 위한 계단식 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빗물 차단부(400)는, 빗물 차단 가스켓부(200) 및 제1 빗물 차단부(300)를 통해, 빗물이 2중 차단되는 경우, 마감캡부(100)의 중심부로부터 삽입홈(110)보다 외측에 마련되되, 마감캡부(100)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빗물 유입의 3차로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 빗물 차단부(400)는, 빗물 유입의 3중 차단을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2 빗물 차단부(400)는, 마감캡부(100)의 중심부로부터 삽입홈(110)보다 외측에 마련되되, 마감캡부(100)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계단식 층인 제2 빗물 차단층(41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정리하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은, 빗물 차단 가스켓부(200)에 의해, 1차로 유입이 차단되고, 이어서 제1 빗물 차단부(300)에 의해 2차로 유입이 차단되고, 마지막으로 제2 빗물 차단부(400)에 의해 3차로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더불어, 제2 빗물 차단부(400)는, 외측으로부터 마감캡부(100)의 중심부를 향하여 물리력이 가해진 상태로 창호 본체(10)와 체결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제2 빗물 차단부(400)는, 창호 본체(10)에 고정 돌기(13)가 형성되는 경우 창호 본체(10)와 결합 시, 창호 본체(10)와의 결합 유지력이 향상되도록, 일단에 절곡되는 절곡면(420)이 창호 본체(10)의 고정 돌기(13)와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빗물 차단부(400)는, 창호 본체(10)의 결합 시, 창호 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 유지력이 향상되도록, 타단에 제2 안착 돌기(43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안착 돌기(430)는, 창호 본체(10)와 결합되는 내측으로부터 창호 본체(10)를 향해 돌출되어, 창호 본체(10)와 결합 시, 안착부(12)에 안착하여, 체결된 제2 빗물 차단부(40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체결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리콘 마감을 사용하지 않고, 구조적 개선 및 가스켓을 활용하여 빗물 유입 및 누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 가스켓부(200)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빗물 차단 가스켓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마감캡부(100)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도록, 삽입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마감캡부(100)의 삽입홈(110) 길이의 수직방향을 따라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빗물 차단 가스켓부(200)는, 삽입 시, 용이한 삽입을 위해, 절곡되는 상면(210)이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빗물 차단 가스켓부(200)는, 삽입홈(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곡되는 하면(220)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빗물 차단 가스켓부(200)의 절곡되는 하면(220)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이탈 방지 단턱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창호 본체 11 : 중심 돌출부
12 : 안착부 13 : 고정 돌기
100 : 마감캡부 110 : 삽입홈
200 : 빗물 차단 가스켓부 210 : 상면
220 : 하면 300 : 제1 빗물 차단부
310 : 제1 빗물 차단층 320 : 제1 안착 돌기
400 : 제2 빗물 차단부 410 : 제2 빗물 차단층
420 : 절곡면 430 : 제2 안착 돌기

Claims (7)

  1. 창호 본체에 일체형으로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마감캡부; 및
    마감캡부에 끼움결합되어, 외부로부터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빗물 차단 가스켓부;를 포함하고,
    마감캡부는,
    빗물 차단 가스켓부가 삽입되도록, 양단에 삽입홈이 마련되고,
    빗물 차단 가스켓부는,
    삽입홈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도록, 삽입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삽입홈 길이의 수직방향을 따라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빗물 차단 가스켓부는,
    용이한 삽입을 위해, 절곡되는 상면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삽입홈에 삽입된 이후,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곡되는 하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외부 빗물 유입 방지가 가능한 창호는,
    빗물 유입의 2중 차단을 위해, 마감캡부의 중심부와 양단에 마련되는 삽입홈 사이에 마련되되, 마감캡부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계단식 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 빗물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빗물 유입 방지가 가능한 창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빗물 유입의 3중 차단을 위해, 마감캡부의 중심부로부터 삽입홈보다 외측에 마련되되, 마감캡부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계단식 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2 빗물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빗물 유입 방지가 가능한 창호.
  6. 청구항 5에 있어서,
    마감캡부와 체결되는 창호 본체는,
    양끝단에서 중심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고정 돌기가 마련되고,
    제2 빗물 차단부는,
    창호 본체와 결합 시, 창호 본체와의 결합 유지력이 향상되도록, 절곡되는 면이 창호 본체의 고정 돌기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빗물 유입 방지가 가능한 창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2 빗물 차단부는,
    외측으로부터 마감캡부의 중심부를 향하여 물리력이 가해진 상태로 창호 본체와 체결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어, 절곡되는 면이 고정 돌기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빗물 유입 방지가 가능한 창호.
KR1020200040336A 2020-04-02 2020-04-02 외부 빗물 유입 방지가 가능한 창호 KR102114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336A KR102114688B1 (ko) 2020-04-02 2020-04-02 외부 빗물 유입 방지가 가능한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336A KR102114688B1 (ko) 2020-04-02 2020-04-02 외부 빗물 유입 방지가 가능한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688B1 true KR102114688B1 (ko) 2020-05-25

Family

ID=70914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336A KR102114688B1 (ko) 2020-04-02 2020-04-02 외부 빗물 유입 방지가 가능한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6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083B1 (ko) * 2021-02-10 2021-12-28 허정범 다중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 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339B1 (ko) * 2016-03-11 2016-11-15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단열 및 수밀성능이 증가된 pvc 복합 커튼월
KR101679269B1 (ko) * 2014-12-09 2016-12-06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단열창호 프레임
KR200483553Y1 (ko) * 2014-11-20 2017-05-26 삼산알미늄공업(주) 커튼월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553Y1 (ko) * 2014-11-20 2017-05-26 삼산알미늄공업(주) 커튼월 결합구조
KR101679269B1 (ko) * 2014-12-09 2016-12-06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단열창호 프레임
KR101676339B1 (ko) * 2016-03-11 2016-11-15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단열 및 수밀성능이 증가된 pvc 복합 커튼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083B1 (ko) * 2021-02-10 2021-12-28 허정범 다중 단열 구조를 갖는 커튼 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3782B1 (ko) 꼭지바의 연결구조 변형을 통한 단열성능 및 설치공정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
KR101077492B1 (ko) 단열성능과 조립성이 개선된 프로젝트 풀다운 창호 샤시구조체
KR101610195B1 (ko) 커튼월용 창호
KR101016204B1 (ko) 강화 유리벽 샤시 구조체
KR102114688B1 (ko) 외부 빗물 유입 방지가 가능한 창호
KR101508484B1 (ko) 기밀성이 향상된 레일 은폐형 미서기창
KR101133914B1 (ko)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및 이의 조립방법
KR101567259B1 (ko) 방풍창호시스템
KR101427053B1 (ko) 창호용 방풍 방음체
KR101470909B1 (ko) 기능성 단열 창호
KR102178628B1 (ko) 기밀 유지 및 강도가 보강되는 창틀
KR101678033B1 (ko) 유리 커튼월의 설치구조
KR101800378B1 (ko) 창호 틈새 미세먼지 차단부재
KR200483553Y1 (ko) 커튼월 결합구조
KR101763160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1354665B1 (ko) 방충 및 방범 기능이 동시에 부여되고, 물성성능이 강화된 창호 시스템
KR101234284B1 (ko) 문짝 및 폐쇄창의 설치용 유리 실외 끼움 창호프레임 구조
KR101612412B1 (ko) 창호의 유리창 단열 마감장치
KR101962629B1 (ko) 밀폐성능이 향상된 개선형 창호구조
KR200423740Y1 (ko) 창문의 풍지판 구조
KR101750692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KR200486254Y1 (ko) 다중 단열 프로젝트창
KR101788698B1 (ko) 알루미늄 미서기창용 창문프레임의 방풍가이드
KR101121121B1 (ko) 창호의 가로프레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