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660B1 - 지지체, 용기 본체 및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지지체, 용기 본체 및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660B1
KR102114660B1 KR1020180041856A KR20180041856A KR102114660B1 KR 102114660 B1 KR102114660 B1 KR 102114660B1 KR 1020180041856 A KR1020180041856 A KR 1020180041856A KR 20180041856 A KR20180041856 A KR 20180041856A KR 102114660 B1 KR102114660 B1 KR 102114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upport
rotating body
cosmetic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2513A (ko
Inventor
김병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뛰드
Priority to PCT/KR2018/00623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221983A1/ko
Publication of KR20180132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45D40/065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체, 용기 본체 및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설정 깊이를 갖는 출입구를 갖는 지지체; 및 내측에 화장료를 수용할 수 있고, 상부 구성과 하부 구성을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내측에 수용된 화장료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고, 하부가 상기 지지체에 삽입될 수 있는 용기 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지체, 용기 본체 및 화장품 용기{Support, container body and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지지체, 용기 본체 및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립스틱, 입술 보호제 등과 같은 화장품은 미용, 건강 등의 목적으로 입술에 도포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제품은 설정 형상을 갖는 화장품이 용기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제공된다.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캡을 용기에서 분리하여 일측을 개방시킨 후, 용기의 일부분을 다른 부분에 대해 회전시키면 화장품이 용기의 내측에서 상승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화장품의 사용을 완료한 후, 용기의 일부분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화장품을 하강시켜 용기의 내측에 수용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제품은 하나의 용기에 하나의 화장품이 수용된 상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상이한 목적, 또는 상이한 색상을 갖는 화장품을 입술에 도포하고자 하는 경우, 용기의 내측에 1개의 화장품이 수용된 형태의 제품을 각각 구입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가 탈착 또는 교체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자력에 의해 용기 본체와 지지체의 결합 상태가 보완될 수 있는 지지체 및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자력에 의해 서로 상대적으로 정렬될 수 있는 용기 본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설정 깊이를 갖는 출입구를 갖는 지지체; 및 내측에 화장료를 수용할 수 있고, 상부 구성과 하부 구성을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내측에 수용된 화장료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고, 하부가 상기 지지체에 삽입될 수 있는 용기 본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용기 본체에 인력을 작용하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는 영구 자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중공 몸체에 위치될 때 좌우로 위치되는 부분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통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단으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 된 내면에 상기 자성체의 일측을 지지하는 자성체 안착부를 갖는 아웃터 슬리브; 및 통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아웃터 슬리브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자성체의 타측을 지지하는 이너 슬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터 슬리브의 내면에는, 상기 자성체 안착부를 기준으로 상기 이너 슬리브가 위치되는 방향의 반대쪽에, 상부 마찰 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마찰 리브는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슬리브의 내면에는 하부 마찰 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마찰 리브는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는, 내측이 상하 방향으로 비어 있는 통 형상으로 제공되고,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 몸체; 상기 중공 몸체의 내측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외면에 상기 가이드 슬릿에 위치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이동체; 상기 중공 몸체의 하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상기 중공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면에 상기 가이드 돌기의 단부가 위치되는 승강홈을 갖는 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중공 몸체의 아래쪽에 위치되는 용기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자성체는 영구 자석으로 제공되고, 좌우로 위치 부분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자성체는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상하로 개방된 통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부 내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설정 길이 돌출된 이탈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회전체; 및 내측에 설정 체적을 갖는 통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상부 회전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몸체에는 외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하부 회전체의 상단과 상기 이탈 방지부의 저면 사이에 위치되는 회전 결합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회전체의 내면에는 제1 회전 방지부가 제공되고, 상기 하부 회전체의 상부 외면에는 상기 상부 회전체와 접하는 위치에 제2 회전 방지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의 외면 하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갖는 리브가 둘레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결합 보조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는, 내측이 상하 방향으로 비어 있는 통 형태로 제공되고, 내측의 길이 방향 일 지점에 중앙 영역에 가이드 홀이 형성된 구획부를 갖는 중공 몸체; 상기 중공 몸체의 내측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화장료의 하부가 삽입되는 컵부와 상기 컵부의 하부에서 설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이동축부를 갖는 이동체; 및 내측에 상기 이동축부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중공 몸체의 하부 내측에 삽입되는 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의 내면에는 나사산 형태의 승강홈이 상부에서 하부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이동축부의 외면에는 상기 승강홈에 위치되는 가이드 돌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측에 화장료를 수용한 상태로 제공되는 용기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설정 깊이를 가지고 상기 용기 본체가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되는 출입구를 갖는 지지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내측 중앙 영역에 위치되는 자성체; 통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단으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 된 내면에 상기 자성체의 일측을 지지하는 자성체 안착부를 갖는 아웃터 슬리브; 및 통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아웃터 슬리브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자성체의 타측을 지지하는 이너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측이 상하 방향으로 비어 있는 통 형상으로 제공되고,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 몸체; 상기 중공 몸체의 내측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화장료를 지지할 수 있고, 외면에 상기 가이드 슬릿에 위치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이동체; 상기 중공 몸체의 하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상기 중공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면에 상기 가이드 돌기의 단부가 위치되는 승강홈을 갖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 몸체의 아래쪽에 위치되는 용기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상하로 개방된 통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부 내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설정 길이 돌출된 이탈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회전체; 및 내측에 설정 체적을 갖는 통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상부 회전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몸체에는 외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하부 회전체의 상단과 상기 이탈 방지부의 저면 사이에 위치되는 회전 결합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가 탈착 또는 교체 가능한 지지체 및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자력에 의해 용기 본체와 지지체의 결합 상태가 보완될 수 있는 지지체 및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자력에 의해 서로 상대적으로 정렬될 수 있는 용기 본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에서 용기 본체가 지지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 및 세로 방향으로 절단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용기 본체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용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용기 본체가 조립된 상태에서 세로 방향으로 절단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용기 본체가 지지체에 삽입될 때, 자성체와 용기 자성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용기 본체가 좌우로 배열된 상태에서의 용기 자성체에 작용하는 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중공 몸체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이동체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본체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의 화장품 용기에서 용기 본체가 지지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1과 같이 화장품 용기(10)가 위치되었을 때, 도 1의 위쪽을 향하는 방향을 위쪽 방향, 도 1의 아래쪽을 향하는 방향을 아래쪽 방향이라 한다. 또한, 후술할 용기 본체(100)에 있어서, 지지체(200)에 삽입되는 부분을 용기 본체(100)의 하부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는 용기 본체(100) 및 지지체(200)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100)는 내측에 화장료(도 6, C)를 수용하고, 사용시 일 측이 개방되고, 상부 구성과 하부 구성을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내측에 수용된 화장료(C)가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화장료(C)는 사용자의 입술에 도포되는 용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료(C)는 립스틱 등과 같은 색조 화장료(C), 입술 보호제 등일 수 있다. 화장료(C)는 설정 경도를 갖는 고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체(200)는 용기 본체(100)의 일측을 지지 가능하게 제공된다. 지지체(200)는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체(200)는 원기둥, 다각형 기둥 형상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체(20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설정 깊이를 갖는 출입구(201, 202)가 제공되고, 용기 본체(100)가 출입구(201, 202)에 삽입되는 형태로, 지지체(200)의 상부 및/또는 지지체(200)의 하부는 용기 본체(100)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체(200)의 내측 중앙 영역에는 용기 본체(100)와 지지체(200)의 결합을 보조하는 자성체(210)가 위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용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 및 세로 방향으로 절단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용기 본체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예로, 지지체(200)는 자성체(210), 아웃터 슬리브(220)(outer sleeve) 및 이너 슬리브(230)(inner sleeve)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210)는 지지체(200)의 내측에 위치되어, 용기 본체(100)가 지지체(200)에 삽입될 때, 용기 본체(100)가 지지체(200)에 고정되는 자기적 인력을 제공한다. 자성체(210)는 설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자성체(210)는 좌우 폭이 상하 방향을 따른 영역에 따라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자성체(210)는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자성체 상부(211), 자성체 중부(212) 및 자성체 하부(213)를 가질 수 있다. 자성체 중부(212)는 자성체 상부(211) 중에서 가장 좌우 폭이 큰 영역 및 자성체 하부(213) 중에서 가장 좌우 폭이 큰 영역보다 좌우 폭이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체(210)는 자성체 중부(212)와 자성체 상부(211) 사이, 자성체 중부(212)와 자성체 하부(213) 사이에 각각 단차가 형성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자성체(210)는 상면이 자성체 중부(212) 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자성체 상부(211)는 외측 둘레에 테이퍼가 형성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자성체(210)는 하면이 자성체 중부(212) 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자성체 하부(213)는 외측 둘레에 테이퍼가 형성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자성체(210)는 자성체 상부(211)에 테이퍼가 형성되는 형태로 제공되고, 자성체 중부(212)와 자성체 하부(213) 사이에 단차가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자성체(210)는 자성체 하부(213)에 테이퍼가 형성되는 형태로 제공되고, 자성체 상부(211)와 자성체 중부(212) 사이에 단차가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아웃터 슬리브(220)는 지지체(200)의 골격을 제공한다. 아웃터 슬리브(220)는 원통, 다각형 통 형상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아웃터 슬리브(220)의 내면에는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자성체(210)의 일측을 지지하는 자성체 안착부(221)가 제공될 수 있다. 자성체 안착부(221)는 아웃터 슬리브(220)의 내면에서 중심 방향을 향해 설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자성체 안착부(221)는 아웃터 슬리브(220)의 내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제공될 수 있다. 자성체 안착부(221)는 자성체(210)의 상부의 외측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체 상부(211)와 자성체 중부(212)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때, 자성체 안착부(221)는 단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자성체 상부(211)의 외측 둘레에 테이퍼가 형성될 때, 자성체 안착부(221)의 저면은 테이퍼에 대응되는 형상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웃터 슬리브(220)는 자성체 안착부(221)를 기준으로 위쪽에 위치되는 일측 서브 슬리브(220a)와 아래쪽에 위치되는 타측 서브 슬리브(220b)로 구획될 수 있다. 일측 서브 슬리브(220a)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의 단면은 타측 서브 슬리브(220b)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웃터 슬리브(220)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의 단면이 원형으로 제공될 때, 일측 서브 슬리브(220a)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내경(D1)은 타측 서브 슬리브(220b)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 내경(D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일측 서브 슬리브(220a)의 내측은 지지체(200)의 출입구(201)로 제공되고, 일측 서브 슬리브(220a)의 내측은 용기 본체(100)의 하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측 서브 슬리브(220a)의 상단부의 내측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챔퍼부(222)가 형성되어, 일측 서브 슬리브(220a)의 상단부의 내측은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내측 공간의 단면적이 증가되게 제공될 수 있다.
일측 서브 슬리브(220a)의 내면에는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상부 마찰 리브(223)가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다. 상부 마찰 리브(223)는 일측 서브 슬리브(220a)의 내면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부 마찰 리브(223)가 복수 제공될 때, 상부 마찰 리브(223)는 일측 서브 슬리브(220a)의 내면 둘레를 따라 서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될 있다.
일측 서브 슬리브(220a)의 내면 하부에는 경사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224)는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슬리브(230)는 아웃터 슬리브(2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아웃터 슬리브(220)에 결합되고, 자성체(210)는 자성체 안착부(221)와 이너 슬리브(230)의 상부에 의해 지지되어 지지체(200)의 내측 일 지점에 위치된다.
이너 슬리브(230)는 외면이 타측 서브 슬리브(220b)의 내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너 슬리브(230)의 내면은 용기 본체(100)의 하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너 슬리브(230)의 상부에는 자성체 압착부(231)가 제공될 수 있다. 자성체 압착부(231)는 이너 슬리브(230)의 내면에서 중심 방향을 향해 설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자성체 압착부(231)는 이너 슬리브(230)의 내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제공될 수 있다. 자성체 압착부(231)는 자성체(210)의 하부의 외측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체 하부(213)와 자성체 중부(212)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때, 자성체 압착부(231)는 단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자성체 하부(213)의 외측 둘레에 테이퍼가 형성될 때, 자성체 안착부(221)의 상면은 테이퍼에 대응되는 형상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자성체 압착부(231)는 이너 슬리브(230)의 상단에서 아래쪽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자성체 압착부(231)가 이격된 거리는 자성체 중부(212)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자성체(210)가 자성체 압착부(231)에 위치되는 상태가 되면, 자성체 중부(212)의 외측 둘레는 이너 슬리브(230)의 내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너 슬리브(230)의 상단에는 삽입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아웃터 슬리브(220)에는 자성체 안착부(221)의 일측에 삽입부(232)에 대응되는 홈 형상의 삽입홈(226)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너 슬리브(230)가 아웃터 슬리브(220)에 삽입되면, 삽입부(232)는 삽입홈(226)에 삽입되어, 이너 슬리브(230)의 결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너 슬리브(230)의 내면에는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하부 마찰 리브(234)가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다. 하부 마찰 리브(234)는 이너 슬리브(230)의 내면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하부 마찰 리브(234)가 복수 제공될 때, 하부 마찰 리브(234)는 이너 슬리브(230)의 내면 둘레를 따라 서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될 있다.
이너 슬리브(230)의 하단부의 내측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챔퍼부(235)가 형성되어, 이너 슬리브(230)의 하단부의 내측은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내측 공간의 단면적이 증가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너 슬리브(230)의 하단부의 외면에는 결합돌기부(236)가 형성되고, 아웃터 슬리브(220)의 하단부의 내면에는 결합돌기부(236)에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홈부(227)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너 슬리브(230)가 아웃터 슬리브(220)에 삽입되면, 결합돌기부(236)는 안착홈부(227)에 삽입되어, 이너 슬리브(230)의 결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용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용기 본체가 조립된 상태에서 은 세로 방향으로 절단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2의 B-B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용기 본체(100)는 중공 몸체(110), 이동체(120), 회전체(130) 및 오버 캡(140)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공 몸체(110)는 내측이 상하 방향으로 비어 있는 통 형태로 제공되어, 화장료(C)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일 예로, 중공 몸체(110)는 상하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중공 몸체(110)의 내면의 둘레는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중공 몸체(110)의 외면에는 회전 결합부(111)가 돌출되어 제공될 수 있다. 회전 결합부(111)는 중공 몸체(110)의 상단에서 아래쪽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된다. 회전 결합부(111)는 중공 몸체(1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 결합부(111)는 중공 몸체(110)의 외측 둘레에 따라 아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전 결합부(111)의 단부는 중공 몸체(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중공 몸체(110)의 외주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또한, 회전 결합부(111)는 중공 몸체(110)의 외측에 설정 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회전 결합부(111)는 중공 몸체(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중공 몸체(110)의 외주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중공 몸체(1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슬릿(11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112)은 상하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가지고 중공 몸체(1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 슬릿(112)은 중공 몸체(110)의 하단에서 위쪽을 향해 설정 길이를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슬릿(112)의 하단은 중공 몸체(110)의 하단에서 위쪽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될 수 도 있다. 가이드 슬릿(112)의 상단은 회전 결합부(111)에서 아래쪽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112)이 복수 제공될 때, 가이드 슬릿(112)은 중공 몸체(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설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 슬릿(112)이 2개 제공될 때, 가이드 슬릿(112)은 중공 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위치될 수 있다.
이동체(120)는 중공 몸체(110)의 내측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화장료(C)를 지지한다. 이동체(12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화장료(C)의 하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공된다.
이동체(120)는 외측 둘레가 중공 몸체(110)의 내면에 대응되는 형상 갖는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동체(120)의 외면에는 가이드 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21)는 가이드 슬릿(112)에 대응되는 수로 제공되어, 이동체(12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동체(120)가 중공 몸체(110)의 내측에 위치되면, 가이드 돌기(121)는 가이드 슬릿(112)에 위치된다. 일 예로, 이동체(120)는 가이드 돌기(121)가 가이드 슬릿(112)과 상하로 정렬된 상태에서 중공 몸체(11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21)는 중공 몸체(110)의 외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 이동체(120)가 중공 몸체(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121)의 외측 단부는 중공 몸체(110)의 외면에서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동체(120)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장품 지지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화장품 지지부(122)는 이동체(120)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돌기 형상, 설정 길이를 갖는 리브 형상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화장품 지지부(122)가 리브 형상으로 제공될 때, 화장품 지지부(122)는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회전체(130)의 내면은 중공 몸체(110)의 하부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회전체(130)는 중공 몸체(110)의 하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중공 몸체(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회전체(130)의 내면 상부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 결합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중공 몸체(110)의 하부가 회전체(130)에 결합되면, 회전 결합부(111)는 회전 결합홈(131)에 위치되어, 중공 몸체(110)는 회전체(130)와 분리가 방지된 상태로 회전체(13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체(130)는 상부 회전체(130a) 및 하부 회전체(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회전체(130a)는 상하로 개방된 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부 회전체(130a)의 외면에는 외측을 향해 설정 길이만큼 돌출된 지지 리브(132)가 제공될 수 있다. 지지 리브(132)는 상부 회전체(130a)의 외측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 리브(132)는 오버 캡(140)이 씌워질 때, 오버 캡(140)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00)가 지지체(200)에 끼워질 때, 지지 리브(132)는 지지체(200)의 상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부 회전체(130a)의 상부 내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설정 길이 돌출된 이탈 방지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33)는 상부 회전체(130a)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탈 방지부(133)는 설정 길이를 가지고 둘레 방향을 따라 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탈 방지부(133)의 단부는 둘레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하부 회전체(130b)는 내측에 설정 체적의 공간을 갖는 통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부 회전체(130a)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회전체(130b)의 상부는 외면이 상부 회전체(130a)의 내면에 대응되게 제공되어, 상부 회전체(130a)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회전체(130b)의 상단에서 아래쪽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회전체(130b)가 상부 회전체(130a)에 삽입될 때, 걸림부(134)는 상부 회전체(130a)의 하단과 접하게 되어, 하부 회전체(130b)가 삽입되는 깊이가 제한될 수 있다. 하부 회전체(130b)의 상단에서 걸림부(134)까지의 길이는 이탈 방지부(133)의 저면에서 상부 회전체(130a)의 하단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회전체(130b)가 상부 회전체(130a)에 삽입되면, 하부 회전체(130b)의 상단은 이탈 방지부(133)의 저면과 설정거리 이격 되면서 회전 결합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회전체(130b)의 상부의 외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135a)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35a)는 둘레 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제공되는 리브, 아크 형상으로 제공되는 리브, 설정 길이 돌출된 돌기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부 회전체(130a)의 내면에는 결합부(135a)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135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회전체(130b)가 상부 회전체(130a)에 결합되면, 결합부(135a)는 결합홈(135b)에 위치되어 하부 회전체(130b)와 상부 회전체(130a)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부 회전체(130a)의 내면에는 제1 회전 방지부(136a)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회전 방지부(136a)는 상하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갖는 리브가 둘레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하부 회전체(130b)의 상부의 외면에는, 상부 회전체(130a)와 하부 회전체(130b)가 결합될 때 제1 회전 방지부(136a)와 접하는 위치에, 제2 회전 방지부(136b)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회전 방지부(136b)는 제1 회전 방지부(136a)에 대응하여 설정 길이를 갖는 리브가 둘레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부 회전체(130a)와 하부 회전체(130b)가 결합되면, 제1 회전 방지부(136a)와 제2 회전 방지부(136b)는 이들 중 하나에 형성된 홈에 다른 하나의 리브가 끼워지는 형태로 위치되어, 상부 회전체(130a)와 하부 회전체(130b)가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회전체(130b)의 내면에는 승강홈(137)이 형성된다. 승강홈(137)은 하부 회전체(130b)의 상부에서 하부에 걸쳐 나사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동체(120)를 수용한 상태의 중공 몸체(110)가 회전체(130)에 결합되면, 가이드 돌기(121)의 단부는 승강홈(137)에 위치될 수 있다. 회전체(130)가 중공 몸체(110)에 대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가이드 돌기(121)는 승강홈(137)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회전체(130)가 중공 몸체(110)에 대해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면, 가이드 돌기(121)는 승강홈(137)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회전체(130)를 중공 몸체(110)에 대해 회전 시킴에 따라, 이동체(120)는 중공 몸체(110)에 대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회전체(130)의 내측 공간 하부에는 중공 몸체(110)의 아래쪽에 위치되는 형태로 용기 자성체(150)가 위치될 수 있다. 용기 자성체(150)는 설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용기 자성체(150)는 회전체(130)의 내측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중공 몸체(110)의 하단은 용기 자성체(150)와 이격되게 위치되어, 용기 자성체(150)는 외력이 작용하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중공 몸체(110)의 하단은 용기 자성체(150)와 접하게 제공되어, 용기 자성체(150)는 고정된 상태로 제공될 수 도 있다.
중공 몸체(110)는 회전 결합부(111)에서 하단까지의 길이가 회전 결합홈(131)에서 회전체(130)의 내측 공간 저면까지의 길이 보다 설정 길이만큼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중공 몸체(110)가 회전체(130)에 결합되면, 중공 몸체(110)의 하단은 회전체(130)의 내측 공간 저면에서 위쪽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용기 자성체(150)는 중공 몸체(110)의 하단과 회전체(130)의 내측 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되어, 자성체(210)의 상면은 중공 몸체(110)의 하단에 접하거나 인접하게 위치되어, 위쪽으로의 이동이 중공 몸체(110)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회전체(130)의 저면에는 노출홀(138)이 형성되어, 회전체(130)의 하부 중앙 영역은 개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자성체(150)의 일측 둘레에는 용기 자성체 상부(211)와 용기 자성체 하부(152)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용기 자성체 하부(152)는 노출홀(138)의 내측에 위치되고, 용기 자성체 상부(211)는 회전체(130)의 내측 저면에 위치되는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회전체(130)의 외면 하부에는 결합 보조부(139)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보조부(139)는 상하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갖는 리브가 둘레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용기 본체(100)의 하부가 지지체(200)에 삽입되면, 지지체(200)의 내면에 형성된 마찰 리브(223, 234)는 결합 보조부(139)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형태로 위치된다. 이에 따라, 지지체(200)에 삽입된 용기 본체(100)가 지지체(200)에 대해 회전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는 용기 본체(100)와 지지체(200)가 탈착 가능하게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의 용기 본체(100) 중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용기 본체(100)를 지지체(200)에 삽입한 상태로 휴대하고 필요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200)에는 2개의 용기 본체(100)가 부착될 수 있어, 사용자는 하나의 화장품 용기(10)를 사용하여 각각 상이한 속성, 예를 들어, 색상, 경도, 발림성 등이 다른 화장품을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본체(100)는 화장료(C)를 지지하는 이동체(120)가 외면에 제공되는 가이드 돌기(121)를 통해 화장료(C)를 수용하는 중공 몸체(110)에 대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제공된다. 따라서, 중공 몸체(110)에 수용되는 화장료(C)의 상하 길이는 중공 몸체(110)의 상하 길이에서 화장료(C)의 아래쪽에 위치되는 이동체(120)의 하부를 뺀 값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화장료(C)의 아래쪽에 위치되는 이동체(120)의 하부는 용기 본체(100)의 구동에 필요한 구성을 포함하지 않아 얇게 형성될 수 있어, 용기 본체(100)에 수용되는 화장료(C)의 길이는 용기 본체(100)의 길이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용기 본체가 지지체에 삽입될 때, 자성체와 용기 자성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자성체(210)와 용기 자성체(150)는 영구 자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자성체(210)는 중공 몸체(110)에 위치될 때 평면 방향으로 위치되는 부분(즉, 자성체(210)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부 영역 및 다른 일부 영역)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평면 방향으로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영역은 적어도 2개 이상 제공될 수 있다. 용기 자성체(150)는 용기 본체(100)에 위치될 때 평면 방향으로 위치되는 부분(즉, 용기 자성체(150)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부 영역 및 다른 일부 영역)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평면 방향으로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영역은 적어도 2개 이상 제공될 수 있다. 용기 자성체(150)의 평면 방향에서 자극이 배열되는 영역은 자성체(210)에서 자극이 배열되는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용기 자성체(150)는 회전체(130)의 내측에 고정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용기 자성체(150)는 회전체(130)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도 있다.
용기 본체(100)를 지지체(200)와 상하로 정렬한 후, 용기 본체(100)의 하부를 지지체(200) 방향으로 이동 시킬 때, 도 9와 같이 자성체(210)와 용기 자성체(150)는 서로 반대되는 극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자성체(210)와 용기 자성체(150)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자성체(210)와 용기 자성체(150) 사이의 인력은 용기 본체(100)가 지지체(200)로 삽입되는 것을 보조하고, 용기 본체(100)가 지지체(200)에 삽입된 후 설정 강도 이상의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용기 본체(100)가 지지체(20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반면, 용기 본체(100)를 지지체(200)와 상하로 정렬한 후, 용기 본체(100)의 하부를 지지체(200) 방향으로 이동 시킬 때, 도 10과 같이 자성체(210)와 용기 자성체(150)는 일부 영역은 서로 반대되는 극이 서로 마주보고, 나머지 일부 영역은 서로 동일한 극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반대되는 극이 마주보는 영역에서 발생하는 인력과 서로 동일한 극이 마주보는 영역에서 발생되는 척력으로 인해 자성체(210)와 용기 자성체(150) 사이에는 서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 자성체(150)가 고정된 상태로 제공될 때, 용기 본체(100)를 지지체(200)에 삽입하는 사람은 회전력의 보조를 받아 용기 본체(100)와 지지체(200)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게 이들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 자성체(150)가 회전되게 제공될 때, 회전력에 의해 용기 자성체(150)는 회전되어 자성체(210)와 서로 반대되는 극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 자성체(150)와 자성체(210) 사이의 인력은 용기 본체(100)와 지지체(200)의 결합을 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는 자성체(210) 및 용기 자성체(150)에 의해 용기 본체(100)가 지지체(200)에 체결될 때, 용기 본체(100)와 지지체(200)가 효과적으로 정렬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는 자성체(210) 및 용기 자성체(150)에 의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용기 본체(100)와 지지체(200)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2는 용기 본체가 좌우로 배열된 상태에서의 용기 자성체에 작용하는 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2 개 이상의 용기 자성체(150)는 서로 대응되는 높이에서 좌우로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본체(100)는 지지체(200)와 분리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100)는 지지체(200)와 분리 가능함에 따라, 용기 본체(100)는 지지체(200)와 함께 수요자에게 판매되거나 지지체(200)와 별개로 용기 본체(100)만 수요자에게 판매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용기 본체(100)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일부 용기 본체(100)는 지지체(200)에 결합된 상태로 보관하고 나머지 용기 본체(100)는 지지체(200)에서 분리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체(200)에서 분리된 상태의 용기 본체(100)가 판매자에 의해 전시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보관될 때 도 11과 같이 용기 자성체(150)가 서로 인접한 상태가 된다.
용기 본체(100)가 서로 인접할 때, 용기 자성체(150)에서 서로 인접한 부분은 서로 반대 극성으로 배열되는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용기 자성체(150)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으로 인해, 용기 본체(100)들은 서로 접하는 상태로 정렬될 수 있다.
반면, 용기 본체(100)가 서로 인접할 때, 도 11과 유사하게 서로 인접한 부분의 일부는 서로 동일한 극이고 나머지는 서로 다른 극일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반대되는 극이 인접한 영역에서 발생하는 인력과 서로 동일한 극이 인접한 영역에서 발생되는 척력으로 인해, 용기 자성체(150) 사이에는 회전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 자성체(150)가 고정된 상태로 제공될 때, 용기 본체(100)를 정리하는 사람은 회전력의 보조를 받아 용기 본체(100)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용기 본체(100)를 회전시켜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 자성체(150)가 회전되게 제공될 때, 회전력에 의해 용기 자성체(150)는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서로 반대되는 극이 인접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 자성체(150) 사이에 작용하는 일력에 의해 용기 본체(100)들은 서로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본체(100)는 용기 자성체(150)에 의해 효과적으로 정렬될 수 있어, 복수의 용기 본체(100)를 인접한 상태로 효과적으로 정리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중공 몸체의 저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이동체의 저면도이고, 도 16은 도 13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본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본체(300)는 중공 몸체(310), 이동체(320), 회전체(330) 및 오버 캡(340)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공 몸체(310)는 내측이 상하 방향으로 비어 있는 통 형태로 제공되어, 화장료(C)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일 예로, 중공 몸체(310)는 상하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중공 몸체(310)의 내면의 둘레는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중공 몸체(310)의 외면에는 외측을 향해 설정 길이만큼 돌출된 지지 리브(311)가 제공될 수 있다. 지지 리브(311)는 중공 몸체(3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 리브(311)는 오버 캡(340)이 씌워질 때, 오버 캡(340)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300)가 지지체(200)에 끼워질 때, 지지 리브(311)는 지지체(200)의 상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중공 몸체(310)의 내측에는 길이 방향 일 지점에서 구획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구획부(312)의 중앙 영역에는 가이드 홀(313)이 형성될 수 있다. 구획부(312)는 리브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중공 몸체(310)의 내측 하부에는 회전 결합홈(314)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결합홈(314)은 중공 몸체(3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동체(320)는 중공 몸체(310)의 내측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화장료(C)를 지지한다. 이동체(320)는 컵부(321) 및 이동축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컵부(321)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화장료(C)의 하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공된다. 화장료(C)는 하부가 컵부(321)에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동축부(322)는 컵부(321)의 저면에서 아래쪽으로 설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동축부(322)는 횡단면의 형상이 가이드 홀(31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가질 수 있다. 이동체(320)는 이동축부(322)가 가이드 홀(313)에 정렬된 후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강제 삽입되는 형태로 중공 몸체(310)에 조립될 수 있다. 이동축부(322)의 횡단면은 중공 몸체(310)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공간의 횡단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축부(322)의 외면은 중공 몸체(310)의 내면에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동축부(322)의 외면에는 가이드 돌기(323)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323)는 설정 길이를 가지고 상하로 수직한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동축부(322)는 일 방향의 폭 및 이에 교차하는 방향의 폭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돌기(323)는 상대적으로 폭이 크게 형성되는 방향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동축부(322)의 외면에서 상대적으로 폭이 작게 형성되는 방향의 외면에는 정지턱(324)이 형성될 수 있다. 정지턱(324)은 이동축부(322)가 가이드 홀(313)의 위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축부(322)의 하단부에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32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축부(322)의 하단부는 내측이 비어있는 홈부(32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축부(322)가 강제 끼움 형식으로 가이드 홀(313)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회전체(330)는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제공되어, 내측에 이동축부(322)를 수용한 상태로 중공 몸체(310)의 하부 내측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회전체(330)의 내면에는 승강홈(331)이 형성된다. 승강홈(331)은 회전체(330)의 상부에서 하부에 걸쳐 나사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동축부(322)가 회전체(330)의 내측에 위치되면, 가이드 돌기(323)는 승강홈(331)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이동체(320)와 회전체(330)가 상대적으로 회전되면, 가이드 돌기(323)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이동체(32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회전체(330)의 상부 외면에는 회전 결합부(332)가 돌출되어 제공될 수 있다. 회전 결합부(332)는 회전체(330)의 상단에서 아래쪽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된다. 회전 결합부(332)는 회전체(33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 결합부(332)는 회전체(330)의 외측 둘레에 따라 아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전 결합부(332)의 단부는 회전체(33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체(330)의 외주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또한, 회전 결합부(332)는 회전체(330)의 외측에 설정 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회전 결합부(332)는 회전체(33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체(330)의 외주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회전체(330)의 상부가 중공 몸체(310)의 내측에 삽입되면, 회전 결합부(332)는 회전 결합홈(314)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회전체(330)는 중공 몸체(310)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체(330)의 외면 하부에는 결합 보조부(333)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보조부(333)는 상하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갖는 리브가 둘레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회전체(330)의 상면에는 회전 지지부(336)가 제공될 수 있다. 회전 지지부(336)는 회전체(330)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지지부(336)는 회전체(330)의 상면의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회전 지지부(336)는 회전체(330)의 상면과 중공 몸체(310)가 접하는 영역을 감소시켜, 회전체(330)가 중공 몸체(310)에 대해 원활히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체(330)의 하부에는 폐쇄부(337)가 결합될 수 있다. 폐쇄부(337)는 마감판부(338) 및 삽입부(339)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감판부(338)는 회전체(330)의 저면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삽입부(339)는 마감판부(338)의 일측에서 회전체(330)를 향해 설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삽입부(339)는 마감판부(338)의 외측 둘레에 대응되는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폐쇄부(337)는 자성체(210)와 자기적 인력을 발생 시킬 수 있는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쇄부(337)는 금속성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폐쇄부(337)는 영구 자석으로 제공될 수 도 있다. 이 때, 폐쇄부(337)는 용기 자성체(15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평면 방향으로 위치되는 부분(즉, 마감판부(338)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부 영역 및 다른 일부 영역)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회전체(330)의 저면에는 삽입부(339)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335)이 형성될 수 있다. 폐쇄부(337)는 삽입부(339)가 결합홈(335)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회전체(3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용기 본체 110: 중공 몸체
120: 이동체 130: 회전체
140: 오버 캡 150: 용기 자성체
200: 지지체

Claims (23)

  1.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설정 깊이를 갖는 출입구를 갖는 지지체; 및
    내측에 화장료를 수용할 수 있고, 상부 구성과 하부 구성을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내측에 수용된 화장료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고, 하부가 상기 지지체에 삽입될 수 있는 용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와 상기 용기 본체는 분리될 수 있고,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이 상하 방향으로 비어 있는 중공 몸체의 아래쪽에 위치되는 영구 자석으로 제공되는 용기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용기 본체에 인력을 작용하는 영구 자석으로 제공되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에 제공되는 상기 자성체는 좌우로 위치되는 부분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제공되고,
    상기 용기 본체에 제공되는 상기 용기 자성체는 좌우로 위치되는 부분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통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단으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 된 내면에 상기 자성체의 일측을 지지하는 자성체 안착부를 갖는 아웃터 슬리브; 및
    통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아웃터 슬리브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자성체의 타측을 지지하는 이너 슬리브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슬리브의 내면에는, 상기 자성체 안착부를 기준으로 상기 이너 슬리브가 위치되는 방향의 반대쪽에, 상부 마찰 리브가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마찰 리브는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슬리브의 내면에는 하부 마찰 리브가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마찰 리브는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내측이 상하 방향으로 비어 있는 통 형상으로 제공되고,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 몸체;
    상기 중공 몸체의 내측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외면에 상기 가이드 슬릿에 위치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이동체; 및
    상기 중공 몸체의 하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상기 중공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면에 상기 가이드 돌기의 단부가 위치되는 승강홈을 갖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자성체는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하로 개방된 통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부 내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설정 길이 돌출된 이탈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회전체; 및
    내측에 설정 체적을 갖는 통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상부 회전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몸체에는 외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하부 회전체의 상단과 상기 이탈 방지부의 저면 사이에 위치되는 회전 결합부가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체의 내면에는 제1 회전 방지부가 제공되고,
    상기 하부 회전체의 상부 외면에는 상기 상부 회전체와 접하는 위치에 제2 회전 방지부가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외면 하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갖는 리브가 둘레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결합 보조부가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내측이 상하 방향으로 비어 있는 통 형태로 제공되고, 내측의 길이 방향 일 지점에 중앙 영역에 가이드 홀이 형성된 구획부를 갖는 중공 몸체;
    상기 중공 몸체의 내측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화장료의 하부가 삽입되는 컵부와 상기 컵부의 하부에서 설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이동축부를 갖는 이동체; 및
    내측에 상기 이동축부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중공 몸체의 하부 내측에 삽입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내면에는 나사산 형태의 승강홈이 상부에서 하부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이동축부의 외면에는 상기 승강홈에 위치되는 가이드 돌기가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19. 삭제
  20. 삭제
  21. 내측이 상하 방향으로 비어 있는 통 형상으로 제공되고,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 몸체;
    상기 중공 몸체의 내측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화장료를 지지할 수 있고, 외면에 상기 가이드 슬릿에 위치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이동체; 및
    상기 중공 몸체의 하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상기 중공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면에 상기 가이드 돌기의 단부가 위치되는 승강홈을 갖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몸체의 아래쪽에 위치되는 영구 자석으로 제공되는 용기 자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기 자성체는 좌우로 위치되는 부분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제공되고,
    상기 회전체는,
    상하로 개방된 통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부 내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설정 길이 돌출된 이탈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회전체; 및
    내측에 설정 체적을 갖는 통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상부 회전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몸체에는 외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하부 회전체의 상단과 상기 이탈 방지부의 저면 사이에 위치되는 회전 결합부가 제공되는 용기 본체.
  22. 삭제
  23. 삭제
KR1020180041856A 2017-06-02 2018-04-10 지지체, 용기 본체 및 화장품 용기 KR102114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6238 WO2018221983A1 (ko) 2017-06-02 2018-05-31 지지체, 용기 본체 및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69177 2017-06-02
KR1020170069177 2017-06-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513A KR20180132513A (ko) 2018-12-12
KR102114660B1 true KR102114660B1 (ko) 2020-05-25

Family

ID=64541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856A KR102114660B1 (ko) 2017-06-02 2018-04-10 지지체, 용기 본체 및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4660B1 (ko)
CN (1) CN1089682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689B1 (ko) * 2019-07-09 2021-06-28 함형길 리필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 용기
CN110432620B (zh) * 2019-07-31 2021-01-19 杭州腾赢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组合式化妆盒结构
KR102167165B1 (ko) * 2019-08-05 2020-10-19 주식회사 노바텍 버튼 타입 화장품 케이스
IT202000001678A1 (it) * 2020-01-29 2021-07-29 Intercos Italiana Supporto ecologico per prodotti cosmetici e relativi processi di formazione.
KR200494978Y1 (ko) * 2020-03-11 2022-02-09 옥수정 듀얼 립스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186Y1 (ko) * 2001-12-07 2002-06-03 유성열 복합 결합형 립스틱
KR200393364Y1 (ko) * 2005-06-08 2005-08-18 주식회사 태평양 색상별 선택 사용이 가능한 립스틱
KR101560537B1 (ko) * 2014-06-09 2015-10-16 (주)연우 립스틱 용기
JP2017000718A (ja) * 2015-06-08 2017-01-05 花王株式会社 棒状化粧料容器、棒状化粧料の脱落防止方法並びに棒状化粧料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4077A (ko) * 1990-01-19 1991-08-31 쉬지니 끌로드 동심원상으로 배치된 2개의 회전부재사이의 회전마찰장치
JP2559112Y2 (ja) * 1991-10-15 1998-01-14 鈴野化成株式会社 化粧用繰出容器
FR2923998B1 (fr) * 2007-11-26 2010-03-05 Rexam Reboul Etui d'application d'un raisin de rouge a levres comprenant un systeme d'association magnetique reversible de la base sur le mecanisme.
CN202060222U (zh) * 2011-05-26 2011-12-07 浙江阿克希龙舜华铝塑业有限公司 双头口红管
CN202722923U (zh) * 2012-08-02 2013-02-13 浙江阿克希龙舜华铝塑业有限公司 可更换型口红包装管
KR101416495B1 (ko) * 2012-11-08 2014-07-09 (주)유니팩 코리아 리필 립스틱 용기 및 리필캡
US8556527B1 (en) * 2013-01-18 2013-10-15 Yu-Hsing Chou Lipstick case
CN203252134U (zh) * 2013-04-28 2013-10-30 浙江阿克希龙舜华铝塑业有限公司 一种盖合时自动对位的唇膏管
CN209436523U (zh) * 2018-05-11 2019-09-27 株式会社伊蒂得 化妆品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186Y1 (ko) * 2001-12-07 2002-06-03 유성열 복합 결합형 립스틱
KR200393364Y1 (ko) * 2005-06-08 2005-08-18 주식회사 태평양 색상별 선택 사용이 가능한 립스틱
KR101560537B1 (ko) * 2014-06-09 2015-10-16 (주)연우 립스틱 용기
JP2017000718A (ja) * 2015-06-08 2017-01-05 花王株式会社 棒状化粧料容器、棒状化粧料の脱落防止方法並びに棒状化粧料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968299A (zh) 2018-12-11
KR20180132513A (ko) 2018-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660B1 (ko) 지지체, 용기 본체 및 화장품 용기
KR101996194B1 (ko) 자성 특징부를 구비한 나사형 용기-폐쇄부 시스템
KR101560537B1 (ko) 립스틱 용기
JP6725256B2 (ja) 化粧料容器
KR200479844Y1 (ko) 자석의 자기력을 활용한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US11026494B2 (en) Lipstick vessel
KR102182456B1 (ko) 편리한 리필 구조를 갖는 립스틱 용기
US10894636B2 (en) Axial magnetic attraction device
KR102089711B1 (ko) 밀폐형 립스틱 용기
US11191338B2 (en) Rotary cosmetic container
KR102622172B1 (ko) 자기력을 이용한 화장스틱케이스
CN209436523U (zh) 化妆品容器
KR200474398Y1 (ko) 화장품 케이스
KR200483398Y1 (ko) 꺾인 안내슬릿을 구비한 립스틱 용기
KR102481752B1 (ko) 내용물 용기
KR20170003567U (ko) 화장용 함침재 리필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101799243B1 (ko) 주걱 내장형 화장품 용기
KR102610605B1 (ko) 자석을 이용한 화장스틱케이스
CN209883337U (zh) 化妆品组合件
KR101309504B1 (ko) 마스카라
CN111772321A (zh) 化妆品组合件
CN213639985U (zh) 内容物容器
KR102484068B1 (ko) 스틱형 용기
KR102142998B1 (ko) 편의성이 향상된 화장품 용기
KR20210028479A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