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600B1 - 유량제어 및 내진 성능을 강화한 스마트 자동제어 비점오염 저감 시설 - Google Patents

유량제어 및 내진 성능을 강화한 스마트 자동제어 비점오염 저감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600B1
KR102114600B1 KR1020200003171A KR20200003171A KR102114600B1 KR 102114600 B1 KR102114600 B1 KR 102114600B1 KR 1020200003171 A KR1020200003171 A KR 1020200003171A KR 20200003171 A KR20200003171 A KR 20200003171A KR 102114600 B1 KR102114600 B1 KR 102114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point pollution
filter
washing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건완
Original Assignee
씨앤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앤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앤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3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처리조 안에 방진 댐퍼로 처리장치를 장착하여 지진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시공하므로, 지진 발생에도 비점오염 저감 시설이 파괴되지 않게 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입관에 게이트를 장착하되, 비점 오염이 주로 발생하는 우수 초기만 처리할 수 있게 제어함으로, 비점오염 저감 시설의 피로도를 낮추고 구성요소들의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막아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처리장치 하부에 경사지게 스크린을 두어 처리장치로 처리한 이물을 다시 거를 수 있게 하고, 거른 이물을 포집 공간에서 쉽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슬러지 배출 수단이 크기가 큰 이물 등에 의해 막히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린 이물을 쉽게 배출할 수 있어 유지보수를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량제어 및 내진 성능을 강화한 스마트 자동제어 비점오염 저감 시설{SMART AUTOMATCI CONTROL NON-POINT POLLUTION SOURCE REDUCTION SYSTEM WITH REINFORCED FLOW CONTROL AND SEISMIC PERFORMANCE}
본 발명은 유량제어 및 내진 성능을 강화한 스마트 자동제어 비점오염 저감 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를 처리하는 처리장치를 방진 댐퍼를 이용하여 장착하여 내진 성능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일정 강우 이상일 때 미리 정해진 유량만 유입한 뒤 게이트롤 통해 더는 유입하지 않게 제어함으로, 비점오염을 현저하게 줄이면서도 저감 시설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처리장치 하부에 경사지게 스크린을 설치하고, 이 스크린으로 거른 오염원이 문을 통해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쉽고 편리하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아래의 (특허문헌 1)과 같이, 2014.03.12.자로 우수처리장치를 출원하여 2014.08.25.자로 등록받은 바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436281호
이물질의 막힘 현상을 없애 그 수명을 연장하고 우수 분리 효과를 향상할 수 있는 실린더 형상의 회전 부분과 원뿔 형상의 스크린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처리 장치로 1차 정화하고, 1차로 정화한 정화수를 부유성 여재가 있는 적어도 2개의 정화조에서 역류 방식으로 2차 정화하여 오랫동안 우수 처리 장치의 세척(청소) 없이 정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질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우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부유성 여재가 있는 정화조를 한 곳씩 청소하고 역세정 방식으로 이 부유성 여재를 세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우수 처리 장치의 가동을 완전히 멈추지 않고 가동 중에도 이 부유성 여재와 일부 정화조를 주기적으로 청소하여 정화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우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부유성 여재가 있는 정화조에 정화수를 이용한 분산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이물질 등의 부착으로 서로 뭉친 부유성 여재를 분산시켜 이 부유성 여재에서 이물질이 쉽게 분리되게 하여 부유성 여재 자체의 청소 효과를 높이고 또한, 이 부유성 여재가 정화조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정화 효율을 향상할 수 있게 한 우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우수 처리 장치, 특히 비점오염을 저감하는 시설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비점 오염은 넓은 지역에서 빗물 등에 씻겨 배출되는 오염으로 배출원이 어디인지 알 수 없다. 특히, 이러한 비점 오염은 강우가 시작하여 일정 시간이 지난 강우 초기에 많이 발생한다.
(2) 하지만, 기존의 비점오염 저감 시설은 강우가 시작하여 비점오염 저감 시설에 어느 정도 이상 정해진 유량이 유입되면 가동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기존 비점오염 저감 시설은 강우 초기 뿐만 아니라 강우 초기가 끝난 뒤에도 계속해서 가동할 우려가 있다.
(3) 이는, 비점오염을 줄일 수 있고, 또한 계속해서 빗물을 처리할 수는 있으나, 비점오염 저감 설비가 계속해서 가동해야 함으로, 비점오염 저감 설비의 수명을 단축하게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4) 특히, 강우량이 많을 때는 늘어난 유량만큼 기존 비점오염 저감 시설이 계속해서 가동해야 하므로, 비점오염 저감 설비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만큼 구성요소들의 피로도가 늘어난다.
(5) 한편, 종래의 우수 처리 장치는 우수를 편심 방향에서 공급하여 분리한 이물 중 크기가 큰 이물이 슬러지 배출장치를 막아 자주 청소하거나 제거해 주어야 하므로, 유지보수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기간이 짧아지게 된다.
(6) 또한, 이처럼 큰 이물은 처리조 바닥에 침적하면 쉽게 분리하기 어려워 제거에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만큼 처리 비용도 더 많이 필요하게 된다.
(7) 그리고 종래의 우수 처리 장치는 내진 기능이 없어 지진 등이 발생했을 때 처리조가 파손될 우려가 있고, 이는 처리조 안에 남아있는 유해 물질 등이 외부로 노출될 우려가 있어 주변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36281호 (등록일: 2014.08.25)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처리조 안에 처리장치를 장착할 때 방진 댐퍼를 매개로 장착하여 지진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시공할 뿐만 아니라 여과조와 방류조에 장착하는 세척수단을 내진 기능을 가진 부재로 장착함으로써, 지진 발생에도 비점오염 저감 시설이 파괴되지 않게 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유량제어 및 내진 성능을 강화한 스마트 자동제어 비점오염 저감 시설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관에 게이트를 장착하되, 비점 오염이 주로 발생하는 우수 초기에 정해진 유량만큼만 유입하게 하여 비점오염을 처리할 수 있게 제어함으로, 비점오염 저감 시설의 피로도를 낮추고 구성요소들의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막아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유량제어 및 내진 성능을 강화한 스마트 자동제어 비점오염 저감 시설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처리장치 하부에 경사지게 스크린을 두어 처리장치로 처리한 이물을 다시 거를 수 있게 하고, 거른 큰 이물을 포집 공간에서 쉽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슬러지 배출 수단이 크기가 큰 이물 등에 의해 막히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린 이물을 쉽게 배출할 수 있어 유지보수를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한 유량제어 및 내진 성능을 강화한 스마트 자동제어 비점오염 저감 시설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제어 및 내진 성능을 강화한 스마트 자동제어 비점오염 저감 시설은, 유입관(120)을 통해 우수를 편심 방향으로 공급받아 내부에서 회전시키는 실린더 형상의 회전 부분(111)과 상기 회전 부분(111)의 하부에 설치하며 아래로 갈수록 넓은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회전 부분(111)에서 회전하는 회전력으로 우수를 걸러주는 스크린 부재(112)를 포함하는 처리장치(110)를 장착한 처리조(100); 내부에 필터 수단(210)과 세척수단(220)을 갖추되, 상기 처리조(100)에서 처리한 처리수가 중력 반대방향으로 필터 수단(210)을 통과하게 하여 여과한 다음 흘러 넘치게 하는 여과조(200); 및 상기 여과조(200)에서 흘러 넘치는 여과수를 외부로 방류하는 방류조(300);를 포함하되;, 상기 처리장치(110)는 상기 처리조(100) 바닥에 형성한 포집 공간(130) 위에 방진 댐퍼(131)를 매개로 장착하되, 상기 포집 공간(130)에는 상기 처리장치(110)에서 처리한 이물을 거를 수 있도록 경사지게 설치한 스크린(132)을 장착하고, 측면에는 상기 스크린(131)으로 걸러 그 경사를 따라 한쪽에 모인 오염원을 포집 공간(130) 밖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문(133)을 갖추며, 상기 스크린(132) 하부에는 이물을 배출하는 펌프(134)를 갖추고;, 상기 유입관(120)에는, 미리 정해진 강우량보다 많을 때 개방하여 정해진 초기 우수량만큼 유입하면 우수 유입을 차단하는 게이트(121)를 갖추며;, 상기 세척수단(220)은, 상기 방류조(300)의 있는 여과수를 강제로 공급하되, 상기 필터 수단(210)을 중력 방향으로 위에서 아래로 세척하고, 상기 여과조(200) 바닥을 세척할 수 있게 배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처리조(100)에는, 상기 문(131)을 개방했을 때 쏟아져 내린 오염원이 한쪽으로 모일 수 있도록 포집 자리(140)를 형성하고, 상기 포집 자리(140)에는 펌프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오염원을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수단(220)은, 상기 방류조(300) 바닥에 장착한 제1 펌프(221); 상기 제1 펌프(221)에서 배관하여 상기 여과조(200) 안에 장착하여 필터 수단(210) 위에서 분사할 수 있게 배관한 상부 세척관(222); 상기 상부 세척관(222)에서 분기하여 상기 여과조(200) 안에 장착하여 여과조(200) 바닥과 측면 하부를 세척하는 하부 세척관(223); 및 상기 여과조(200) 바닥에 설치하여 세척 후에 세척한 세척수를 상기 처리조(100)로 배출하는 제2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수단(210)은, 칸막이(211)를 이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격실로 나누어지고, 상기 상부 세척관(222)은 상기 각 격실을 구획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 밸브(222a)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방류조(300) 내부에는, 내부에 UV 램프와 AOP(Advanced Oxidation Process)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장착하고, 내면에는 반사판을 갖춰서 살균과 탁도를 높일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제어 및 내진 성능을 강화한 스마트 자동제어 비점오염 저감 시설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우수를 초기에 처리하는 처리장치를 방진 댐퍼를 매개로 포집 공간 위에 장착함으로, 내진 성능을 높여 비점오염 정도가 심한 초기 우수를 걸러냄에 따라 쌓인 오염원이 쉽게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막아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2) 특히, 이러한 내진 성능은 여과조와 방류조에 장착하는 세척 수단을 고정할 때 사용하는 클램프와 지지대를 내진 성능이 있는 것으로 사용함으로써, 내진 효과를 더욱더 높일 수 있다.
(3) 초기 우수를 유입하는 유입관에는 게이트를 장착하고, 비점오염이 심한 초기 우수만을 정해진 우수량 만큼만 유입 받아 비점오염이 심한 우수만을 처리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 시설의 작동 시간을 현저하게 줄여 내구성을 높이면서도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처리장치의 하부에 경사지게 스크린을 장착하여 편심과 회전력으로 분리한 오염원을 다시 걸러서 크기가 큰 이물을 걸러줌으로써, 펌프 등을 통해 오염원을 외부로 배출할 때 펌프가 막히는 고장이나 송출 부하를 줄여 안정적으로 오염물질을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다.
(5) 또한, 이처럼 거른 큰 이물은 문을 통해 쉽게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이물 배출 작업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쉽다.
(6) 이때, 이처럼 거른 큰 이물을 펌프 등을 통해 자동으로 강제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유지보수가 쉬울 뿐만 아니라 배출 효과를 높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7) 초기 우수를 처리한 다음, 방류조에 있는 여과수로 필터 수단과 그 하부인 여과조 바닥과 하부 측벽을 세척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이물 등의 침적을 최소화하면서도 오염원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8) 필터 수단을 적어도 두 개로 구획하여 구성함으로, 구획한 구간을 하나씩 세척할 수 있어 적은 용량의 펌프로도 쉽게 세척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9) 방류조에 UV 램프와 AOP(Advanced Oxidation Process)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장착함으로, 방류하는 처리수의 살균 효과와 탁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이때, 방류조에는 내면에 반사판을 장착하므로, 이러한 살균과 탁도 개선 효과를 더욱더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제어 및 내진 성능을 강화한 스마트 자동제어 비점오염 저감 시설의 전체 구성을 정면에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제어 및 내진 성능을 강화한 스마트 자동제어 비점오염 저감 시설의 전체 구성을 평면에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제어 및 내진 성능을 강화한 스마트 자동제어 비점오염 저감 시설에서 처리수의 흐름 방향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확대한 단면도로, (a)는 문을 닫은 상태를, (b)는 문을 개방한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단으로 세척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으로, (a)는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고, (b)는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제어 및 내진 성능을 강화한 스마트 자동제어 비점오염 저감 시설은,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처리조(100), 여과조(200), 그리고 방류조(3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처리조(100)에는, 그 내부에 구성한 포집 공간(130) 위에 처리장치(110)를 방진 댐퍼(131)를 장착하여 내진 성능을 높일 수 있게 하고 또한, 상기 포집 공간(130) 안에는 경사지게 스크린(132)을 장착하여 상기 처리장치(110)로 거른 오염원 중에서 크기가 큰 이물을 걸러 슬러지 배출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이렇게 거른 큰 이물은 문(133)을 통해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하여 쉽고 편리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처리장치(110)에 장착하여 우수를 공급받는 유입관(120)에는 게이트(121)를 장착하되, 상기 게이트(121)는 우수 초기에만 우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함으로써, 비점오염이 많은 초기 우수만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 시설이 가동하게 하여 처리 부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게 하면서도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여과조(200)에는 방류조(300)에 있는 처리수를 이용하여 세척수단(220)과 여과조(200) 바닥을 세척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여과조(200) 바닥과 측면 하부에 침적하는 이물 제거 효과를 높여 여과 효율이 떨어지지 않게 한 것이다. 이때, 제거한 이물은 상기 처리조(100)로 이송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여과조(200)에 장착한 필터 수단(210)은 적어도 두 개로 구획함으로써, 용량이 적은 펌프를 이용하여 한 곳씩 세척할 수 있게 하여 시설 비용을 줄이면서도 효과적으로 필터 수단(210)을 세척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방류조(300) 내부에는, 내부에 UV 램프와 AOP(Advanced Oxidation Process)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장착하고, 내면에는 반사판을 갖춰서 여과수를 방류하기 전에 살균과 탁도를 개선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화살표는 우수를 처리하면서 발생한 우수 흐름을 표시한다.
가. 처리조
처리조(100)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유입관(120)으로 우수를 공급받아 처리장치(110)로 처리한 다음, 처리수를 후술할 여과조(200)에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처리장치(110)는 처리조(100) 바닥에 설치한 포집 공간(130)에 장착한다. 이러한 처리조(100)는 처리장치(110), 유입관(120), 그리고 포집 공간(130)을 포함한다.
1. 처리장치
처리장치(110)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 부분(111)과, 이 회전 부분(111)의 아래에 장착한 원추 형상의 스크린 부재(11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 부분(111)에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후술할 유입관(120)을 통해 우수를 편심 방향으로 공급받는다. 이에, 우수는 회전 부분(111)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회전력을 얻게 되고, 이렇게 회전하는 우수는 회전 부분(111) 아래에 장착한 스크린 부재(112)에 부딪히면서 물은 빠져나가고 이물과 같은 오염원은 스크린 부재(112)에 부딪혀서 아래로 떨어지게 한다.
2. 유입관
유입관(120)은,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처리조(100)에 장착하여 외부에서 우수를 상술한 처리장치(110), 바람직하게는 회전 부분(111)에 공급한다. 이때, 상기 유입관(111)은 회전 부분(11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과 나란하게 장착함으로써, 유입하는 우수가 편심하여 회전 부분(111) 안에 공급함에 따라 회전력을 받아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한다.
한편, 상기 유입관(120)에는,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게이트(121)를 갖춘다. 게이트(121)는 상기 처리장치(110)에 공급하는 우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우수 초기에 작동하여 비점오염이 심한 우수만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 시설에서 처리할 수 있는 용량만큼만 유입하게 한 다음, 더는 우수공급을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한다. 즉, 비점오염은 대부분 우수 초기에 집중하므로, 이에 맞춰 우수량을 통해 비점오염이 집중될 것으로 보이는 초기의 우수량 만큼만 상기 처리조(100)에 공급하여 이를 처리할 수 있게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 시설의 가동 시간을 최소화하면서도 비점오염의 처리 효과를 최대한으로 높이고 또한, 이러한 비점오염 저감 시설의 내구성을 높여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게이트(121)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 시설 내부에 장착한 여러 개의 수위센서를 통해 유량을 검출하고, 게이트(121)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통해 현재의 우수량을 바탕으로 처리해야 할 우수량을 계산하거나 미리 계산해 놓은 표를 바탕으로 수동이나 자동 그리고 원격 등으로 쉽게 제어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3. 포집 공간
포집 공간(13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처리조(100) 바닥에 장착하고 그 위에 상술한 처리장치(110)를 장착하여, 이 처리장치(110)에서 처리한 슬러지와 같은 이물을 모아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는 공간이다.
이에, 상기 포집 공간(13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부를 개방하고 그 위에 처리장치(110)를 장착하여 처리장치(110)에서 분리한 오염원이 중력을 받아 자연스럽게 아래로 가라앉을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포집 공간(130)에는, 방진 댐퍼(131)를 이용하여 처리장치(110)를 장착함으로써,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하더라도 오염원에 의한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포집 공간(130)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스크린(132)을 장착한다. 스크린(132)은 상술한 처리장치(110)에서 처리하면서 거른 오염원과 이물 등을 다시 한 번 걸러줌으로써, 후술할 펌프(134) 등으로 슬러지와 같은 오염원을 배출할 때 막히거나 고장을 일으키게 하는 큰 이물을 미리 걸러주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러한 스크린(132)은 이처럼 거른 큰 이물이 자연스럽게 굴러서 한쪽으로 모일 수 있도록 포집 공간(130) 안에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집 공간(130)의 측면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문(133)을 장착한다. 이때, 문(133)은 상술한 스크린(132)으로 걸러서 포집 공간(130)에 포집한 크기가 큰 이물을 포집 공간(130) 밖으로 배출하여 비점오염 저감 시설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포집 공간(130)의 하부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펌프(134)를 갖춘다. 펌프(134)는 상술한 처리장치(110)에서 분리한 오염원 중에서 상기 스크린(132)을 통해 크기가 큰 이물을 거르고 남은 슬러지와 같은 이물을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 시설 외부로 배출하게 구성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처리조(100)에는, [도 4]와 같이, 바닥면에 상술한 포집 공간(130) 옆에 위치하도록 포집 자리(140)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포집 자리(140)는 상술한 문(133)을 열었을 때 아래로 쏟아지는 크기가 큰 이물이 모일 수 있게 하는 자리로, 이처럼 포집 자리(140)에 크기가 큰 이물이 모이게 함으로써 쉽게 비점오염 저감 시설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면에서는 표시하지 않았으나, 이 포집 자리(140)에 펌프 등을 장착하고 강제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나. 여과조
여과조(2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처리조(100)에서 처리한 처리수를 공급받아 여과하고, 이 여과수를 후술할 방류조(300)로 흘러넘치게 하여 방류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처리조(100)에서 처리한 처리수는 후술할 필터 수단(210)을 중력과 반대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게 공급한다.
이러한 여과조(200)에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6]과 같이, 필터 수단(210)과 세척수단(220)을 갖춘다.
1. 필터 수단
필터 수단(210)은, [도 1] 내지 [도 3] 및 [도 6]과 같이, 상술한 여과조(200)의 중간 부분에 장착한다. 이는, 상술한 처리조(100)에서 처리한 처리수가 여과조(200) 하부로 공급하고, 이 처리수가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필터 수단(210)을 통과하여 여과함으로써, 여과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필터 수단(210)은 여재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이처럼 여과에 사용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 수단(210)은, [도 2]와 같이, 여과 전면을 적어도 하나의 칸막이(211)를 이용하여 적어도 두 개로 구획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세척수단(220)을 통해 세척할 때 구획한 한 부분씩 세척할 수 있게 구성함에 따라 적은 용량의 펌프를 이용해서도 쉽고 신속하게 필터수단(210)과 상술한 여과조(200) 바닥을 충분히 세척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2. 세척수단
세척수단(220)은, [도 1] 내지 [도 3] 및 [도 6]과 같이, 후술할 방류조(300)에 있는 여과수를 이용하여 상술한 필터 수단(210)과 여과조(200)의 내부 바닥을 세척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세척수단(220)은, [도 1] 내지 [도 3] 및 [도 6]과 같이, 제1 펌프(221), 상부 세척관(222), 하부 세척관(223), 그리고 제2 펌프를 포함한다.
제1 펌프
제1 펌프(221)는, [도 1]·[도 3] 및 [도 6]과 같이, 후술할 방류조(300) 바닥에 장착한다. 이는, 방류조(300)에 남아있는 여과수를 세척에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 펌프(2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 수단(210)을 적어도 두 개로 나눠서 구성함으로 구획한 필터 수단을 세척할 수 있는 용량이 적은 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상부 세척관
상부 세척관(222)은, [도 1] 내지 [도 3] 및 [도 6]과 같이, 상술한 제1 펌프(221)에서 분기하여 상술한 필터 수단(210) 위에서 아래, 바람직하게는 중력 방향으로 여과수를 분사하여 필터 수단(210)을 세척할 수 있게 배관한다. 이때, 상기 상부 세척관(222)에는, 여러 개의 노즐을 구성하되, 이들 노즐이 상술한 칸막이(211)로 구획한 필터 수단(210)의 구획 구간마다 선택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세척관(222)에는 세척 밸브(222a)를 갖춰서 칸막이(211)로 구획한 필터 수단(210)의 격실을 선택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구성한다.
하부 세척관
하부 세척관(223)은, [도 1]·[도 3] 및 [도 6]과 같이, 상술한 필터 수단(210) 하부에 위치하도록 여과조(200) 바닥과 필터 수단(210) 사이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하부 세척관(223)은 여러 개의 관로와 여러 개의 노즐을 구성하여 여과조(200) 바닥과 하부 측면 부분에 침적한 오염원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배관한다.
이때, 상기 하부 세척관(223)은 상술한 상부 세척관(222)과 함께 작동하게 구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구분하여 작동할 수 있게 배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 제1 펌프(221)의 용량과 부하 하중을 줄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제2 펌프
제2 펌프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술한 여과조(200) 바닥에 장착함으로써, 상술한 세척수단(220)에서 세척에 사용했던 여과수를 다시 배출하기 위한 펌프이다. 이때, 제2 펌프는 세척에 사용했던 여과수를 비점오염 저감 시설 외부로 직접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처리조(100)로 배출하여 상술한 펌프(134)나 포집 자리(140)에 장착한 펌프 등을 통해 한 번에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 방류조
방류조(30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6]과 같이, 상술한 여과조(200)에서 여과하여 넘치는 여과수를 모아서 배출관(310)을 통해 비점오염 저감 시설 외부로 방류하게 한다.
특히, 이러한 방류조(300)에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내부에 UV 램프와 AOP(Advanced Oxidation Process)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장착함으로써, 여과수를 방류하기 전에 살균 효과와 탁도를 개선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류조(300) 내부에는 반사판을 장착함으로써, 이러한 살균 효과와 탁도 개선 효과를 더욱더 높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램프는 방류조(300) 상부에 장착하여 빗물 등에 접촉을 최대한 차단할 수 있게 장착하고, 상기 반사판은 방류조(300) 내면 하부에 장착하여 살균 효과와 탁도 개선 효과를 최대한 높일 수 있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내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해진 초기 우수만을 처리하여 비점오염 처리 효과를 높이면서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어 쉽고 편리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이처럼 이루어진 장치를 제어할 때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원격 제어를 통해 가동 상태나 점검하고, 이에 따른 이력을 휴대 단말이나 개인용 컴퓨터 등을 통해 쉽게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제어는 터치 방식의 패널을 통해 제어반을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 시설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도 운전 상태나 수위 그리고 고장 등을 쉽고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된다.
100: 처리조
110: 처리장치
111: 회전 부분
112: 스크린 부재
120: 유입관
121: 게이트
130: 포집 공간
131: 방진 댐퍼
132: 스크린
133: 문
134: 펌프
140: 포집 자리
200: 여과조
210: 필터 수단
211: 칸막이
220: 세척수단
221: 제1 펌프
222: 상부 세척관
223: 하부 세척관
300: 방류조

Claims (5)

  1. 유입관(120)을 통해 우수를 편심 방향으로 공급받아 내부에서 회전시키는 실린더 형상의 회전 부분(111)과 상기 회전 부분(111)의 하부에 설치하며 아래로 갈수록 넓은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회전 부분(111)에서 회전하는 회전력으로 우수를 걸러주는 스크린 부재(112)를 포함하는 처리장치(110)를 장착한 처리조(100); 내부에 필터 수단(210)과 세척수단(220)을 갖추되, 상기 처리조(100)에서 처리한 처리수가 필터 수단(210)을 중력 반대방향으로 통과하게 하여 여과한 다음 흘러 넘치게 하는 여과조(200); 및 상기 여과조(200)에서 흘러 넘치는 여과수를 외부로 방류하는 방류조(300);를 포함하되;,
    상기 처리장치(110)는 상기 처리조(100) 바닥에 형성한 포집 공간(130) 위에 방진 댐퍼(131)를 매개로 장착하되, 상기 포집 공간(130)에는 상기 처리장치(110)에서 처리한 이물을 거를 수 있도록 경사지게 설치한 스크린(132)을 장착하고, 측면에는 상기 스크린(132)으로 걸러 그 경사를 따라 한쪽에 모인 오염원을 포집 공간(130) 밖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문(133)을 갖추며, 상기 스크린(132) 하부에는 이물을 배출하는 펌프(134)를 갖추고,
    상기 유입관(120)에는, 미리 정해진 강우량보다 많을 때 개방하여 정해진 초기 우수량만큼 유입하면 우수 유입을 차단하는 게이트(121)를 갖추며,
    상기 세척수단(220)은, 상기 방류조(300)에 있는 여과수를 강제로 공급하되, 상기 필터 수단(210)을 중력 방향으로 위에서 아래로 세척하고, 상기 여과조(200) 바닥을 세척할 수 있게 배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및 내진 성능을 강화한 스마트 자동제어 비점오염 저감 시설.
  2. 제1항에서,
    상기 처리조(100)에는,
    상기 문(133)을 개방했을 때 쏟아져 내린 오염원이 한쪽으로 모일 수 있도록 포집 자리(140)를 형성하고, 상기 포집 자리(140)에는 펌프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오염원을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및 내진 성능을 강화한 스마트 자동제어 비점오염 저감 시설.
  3. 제1항에서,
    상기 세척수단(220)은,
    상기 방류조(300) 바닥에 장착한 제1 펌프(221);
    상기 제1 펌프(221)에서 배관하여 상기 여과조(200) 안에 장착하여 필터 수단(210) 위에서 분사할 수 있게 배관한 상부 세척관(222);
    상기 상부 세척관(222)에서 분기하여 상기 여과조(200) 안에 장착하여 여과조(200) 바닥과 측면 하부를 세척하는 하부 세척관(223);
    상기 여과조(200) 바닥에 설치하여 세척 후에 세척한 세척수를 상기 처리조(100)로 배출하는 제2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및 내진 성능을 강화한 스마트 자동제어 비점오염 저감 시설.
  4. 제3항에서,
    상기 필터 수단(210)은, 칸막이(211)를 이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격실로 나누어지고,
    상기 상부 세척관(222)은 상기 각 격실을 구획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 밸브(222a)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및 내진 성능을 강화한 스마트 자동제어 비점오염 저감 시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방류조(300) 내부에는,
    내부에 UV 램프와 AOP(Advanced Oxidation Process)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장착하고, 내면에는 반사판을 갖춰서 살균과 탁도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 및 내진 성능을 강화한 스마트 자동제어 비점오염 저감 시설.
KR1020200003171A 2020-01-09 2020-01-09 유량제어 및 내진 성능을 강화한 스마트 자동제어 비점오염 저감 시설 KR102114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171A KR102114600B1 (ko) 2020-01-09 2020-01-09 유량제어 및 내진 성능을 강화한 스마트 자동제어 비점오염 저감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171A KR102114600B1 (ko) 2020-01-09 2020-01-09 유량제어 및 내진 성능을 강화한 스마트 자동제어 비점오염 저감 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600B1 true KR102114600B1 (ko) 2020-06-17

Family

ID=71405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171A KR102114600B1 (ko) 2020-01-09 2020-01-09 유량제어 및 내진 성능을 강화한 스마트 자동제어 비점오염 저감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6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7138A (zh) * 2020-09-29 2021-01-05 金利军 一种基于水位变化的蓄水池自动排水防溢装置
KR102244107B1 (ko) * 2020-12-15 2021-04-23 주식회사 우성테크 비점오염 저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281B1 (ko) 2014-03-12 2014-08-29 씨앤씨주식회사 우수 처리 장치
KR101562757B1 (ko) * 2015-01-15 2015-10-30 주식회사 젠스텍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754123B1 (ko) * 2017-02-08 2017-07-06 황성규 오일성분의 포집이 가능한 교량용 다단계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281B1 (ko) 2014-03-12 2014-08-29 씨앤씨주식회사 우수 처리 장치
KR101562757B1 (ko) * 2015-01-15 2015-10-30 주식회사 젠스텍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754123B1 (ko) * 2017-02-08 2017-07-06 황성규 오일성분의 포집이 가능한 교량용 다단계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7138A (zh) * 2020-09-29 2021-01-05 金利军 一种基于水位变化的蓄水池自动排水防溢装置
KR102244107B1 (ko) * 2020-12-15 2021-04-23 주식회사 우성테크 비점오염 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819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0920689B1 (ko) 집수구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2114600B1 (ko) 유량제어 및 내진 성능을 강화한 스마트 자동제어 비점오염 저감 시설
KR101436281B1 (ko) 우수 처리 장치
KR101136385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초기 우수 처리방법
KR102199644B1 (ko) 유동상 필터층에서의 압밀 및 이완 기술을 구성한 비점오염원처리시스템
KR101872911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2365033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212298B1 (ko) 오폐수 정화처리장치
JP2010221197A (ja) 合流式下水道における越流水の処理システム
KR100414905B1 (ko) 원통형 미세 협잡물 제거장치
KR100805877B1 (ko) 하수도용 저류조 월류수 스크린장치
CN110711425A (zh) 旋斗式过滤器
KR101616225B1 (ko)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CN208815647U (zh) 一种用于水利工程的水利管道
KR101760856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2230225B1 (ko)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0921785B1 (ko) 오수 여과장치
KR101674853B1 (ko)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KR101185763B1 (ko) 월류수 처리장치
KR102322913B1 (ko) 우수 처리시스템
KR102054310B1 (ko) 자동운전형 빗물재이용 시스템
KR101758155B1 (ko) 와류방지 및 여과역세박스를 이용한 자동화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2010569B1 (ko) 원통형 스크린 기반의 우수처리 장치
CN210127143U (zh) 一种用于河道废水的多级吸附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