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391B1 - 전산화된 기록물의 보안출력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산화된 기록물의 보안출력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391B1
KR102114391B1 KR1020180043756A KR20180043756A KR102114391B1 KR 102114391 B1 KR102114391 B1 KR 102114391B1 KR 1020180043756 A KR1020180043756 A KR 1020180043756A KR 20180043756 A KR20180043756 A KR 20180043756A KR 102114391 B1 KR102114391 B1 KR 102114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record
document
records
compl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0498A (ko
Inventor
이세희
Original Assignee
이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희 filed Critical 이세희
Priority to KR1020180043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391B1/ko
Publication of KR20190120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2Image or content composition onto a page
    • G06F3/1243Variable data printing, e.g. document forms, templates, labels, coupons, advertisements, logos, watermarks, transactional printing, fixed content vers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Bioet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관공서에서 사용되는 공문서가 오프라인 상에서 위조 또는 변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산화된 기록물의 보안출력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지자체의 기록물의 스캔 이미지가 저장된 복수개의 기록물 서버와, 각 기록물 서버에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각 기록물 서버를 중계하는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서버와, 기록물의 스캔 이미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및 상기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서버와 프린터에 연결되고, 기록물확인 요청에 따라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서버를 통해 기록물 서버에 저장된 기록물의 스캔 이미지를 추출하며, 문서발급 요청에 따라 보안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보안코드와 추출된 스캔 이미지를 병합하여 출력용 기록물을 생성하며, 상기 출력용 기록물을 상기 프린터로 전송하여 출력하는 민원서버를 포함하는 전산화된 기록물의 보안출력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프라인 상으로 제작된 후 전산화(디지털화) 과정을 통해 지자체의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의 서버에 저장된 기록물을 오프라인 상으로 출력하더라도 위변조 방지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출력된 기록물의 위변조를 방지하거나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산화된 기록물의 보안출력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SECURITY OF COMPUTERISED DOCUMENTATION}
본 발명은 전산화된 기록물의 보안출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공서에서 사용되는 공문서가 오프라인 상에서 위조 또는 변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산화된 기록물의 보안출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문서와 데이터 등과 같은 정보들이 컴퓨터에 의해 디지털화되고, 인터넷이나 이메일 및 디지털 저장매체들이 발달함에 따라, 원하는 자료(이하 전자문서라 총칭함)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전자문서의 특성상 원본과 동일한 복사본 혹은 변형본을 쉽게 만들어 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손쉽게 배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불법적인 복사 및 배포 등으로 인하여 개인과 관련된 공문서가 악용되거나, 기관의 기밀 누출을 통해 국가경쟁력의 약화까지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전자문서의 보호기술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불법적인 배포 및 사용을 막기 위한 기술과 서비스분야에 대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로는 시스템 로그인의 관리와 시스템의 불법 접근을 봉쇄하기 위한 시스템 관리기법으로 방화벽 설치 기술과, 전자문서를 보호하고 보안 및 관리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이하 DRM이라 함) 기술 및 전자메일의 사용자 제한 기술 등을 들 수 있다.
이중, DRM 기술은 멀티미디어 정보의 불법유통과 복제를 방지하고, 적법한 사용자만이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관리하며, 결재 등과 같은 과금 서비스를 통해서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DRM 기술은 현재 시장에서 전자문서의 저작권을 보호하고 관리할 수 있는 현실적인 솔루션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현재의 DRM 시스템은 그 구조와 시스템이 매우 복잡하고 비대하여 실제로 사용자가 이를 적용하여 서비스를 실시하기는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DRM 기술은 온라인상에서의 전자문서의 위, 변조 방지 및 사용자 인증 등에 유용하나, 오프라인 상에 서의 출력물(이하 인쇄문서라 칭함)에 대한 복사 등의 위, 변조를 방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오프라인 상에서의 문서의 위, 변조를 판단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써는 위조지폐 감지를 위한 위폐감지장치를 들 수 있다. 위조지폐 감지장치는 지폐의 진위를 감지하기 위하여 평판잠상이나 광간섭 등과 같은 디자인적 요소나 혹은 요철인쇄나 엠보싱 인쇄 등과 같은 인쇄기법, 특수잉크 등이나 혹은 은화용지 등이 결합된 특수한 용지를 감별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이러한 기술은 인쇄기법이나 특수용지를 감별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반용지를 사용한 문서에는 같은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진위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위의 기술은 제한적으로 사용될 수밖에 없으며 특수인쇄기법과 용지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경제적 비용추가 문제로 인하여 널리 대중화되지 못하고 주로 유가증권이나 지폐 등의 특수목적에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방법 중의 하나인 광간섭과 잠상현출의 경우는 물리학적인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특수패턴을 일정간격으로 형성시켜 복사 시 특정이미지가 나타나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근래 디지털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광간섭 현상만으로는 이미지 스캐너 등을 통하여 편집하는 경우 위변조를 방지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또한, 디지털 워터마크는 인증 또는 저작권 보호의 목적으로 저작권자의 고유한 로고나 인증정보를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삽입하는 기법으로서, 이와 같은 기술에 의해 데이터 위조와 변형을 검출해 낼 수 있고 데이터의 소유자를 밝혀낼 수가 있다. 따라서 불법복제 및 배포문제가 대두되었을 때 콘텐츠 제공자가 콘텐츠로부터 인증된 워터마크를 추출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소유자가 누구인지 밝혀내는 방법이다. 하지만 워터마킹의 기술은 주로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경우에 적용되고 오프라인에서는 특성상 적용이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인쇄문서는 오프라인 상에서의 복사나 배포, 위/변조 방지 등과 같은 관리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으므로, 관공서나 기업 등에서 발급하는 각종 증명서나 기밀문서 등은 온라인상으로 배포되지 않으며, 특수 용지 등을 통해 직접 날인을 부착한 인쇄(또는 수기로 작성한) 문서로서 오프라인 상으로 배포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오프라인 상에서 전자문서를 인쇄한 인쇄문서 등의 복사나 배포 제어, 위/변조 방지 등이 이루어질 수 있는 종합적 문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16428호(2015.10.15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09436호(2016.09.21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3427호(2013.01.25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인쇄된 기록물이 원본 문서인지, 위변조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문서인증 암호화 솔루션이 마련되어 위변조 방지 기능이 구비된 문서를 출력할 수 있는 전산화된 기록물의 보안출력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전산화되어 관공서에 설치된 기록물 서버에 저장된 기록물을 민원인의 요청에 따라 출력함에 있어 신뢰성 높은 보안을 구현할 수 있는 전산화된 기록물의 보안출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자체의 기록물의 스캔 이미지가 저장된 복수개의 기록물 서버와, 각 기록물 서버에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각 기록물 서버를 중계하는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서버와, 기록물의 스캔 이미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및 상기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서버와 프린터에 연결되고, 기록물확인 요청에 따라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서버를 통해 기록물 서버에 저장된 기록물의 스캔 이미지를 추출하며, 문서발급 요청에 따라 보안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보안코드와 추출된 스캔 이미지를 병합하여 출력용 기록물을 생성하며, 상기 출력용 기록물을 상기 프린터로 전송하여 출력하는 민원서버를 포함하는 전산화된 기록물의 보안출력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민원서버를 통해 기록물에 대한 기록물확인 요청을 입력받는 접수단계와, 상기 기록물확인 요청에 따라 민원서버가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서버를 통해 기록물 서버에 저장된 기록물의 스캔 이미지를 추출하는 검색단계와, 상기 민원서버를 통해 입력된 문서발급 요청에 따라 보안코드를 생성하는 보안코드 생성단계와, 상기 검색단계를 통해 추출된 스캔 이미지에 상기 보안코드를 병합하여 출력용 기록물을 생성하는 인증단계, 및 상기 출력용 기록물을 프린터를 통해 출력하는 발급단계를 포함하는 전산화된 기록물의 보안출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프라인 상으로 제작된 후 전산화(디지털화) 과정을 통해 지자체의 기록물 서버에 저장된 기록물을 오프라인 상으로 출력하더라도 위변조 방지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출력된 기록물의 위변조를 방지하거나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장비를 추가하는 대신 강력한 암호화솔루션을 탑재하여 시청, 구청, 동사무소 등의 관공서에서도 민원24를 통해 발급하는 문서와 동등한 수준의 문서를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관공서에서 건축물대장 발급 시에 사용하던 기존의 수동인증기와 통합민원발급기를 컬러 프린트로 대체할 수 있으므로, 관공서에 필수적인 민원발급창구의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자체 앱이나 발급문서진위확인 페이지를 통해서 출력된 기록물의 진위확인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물 보안출력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민원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물 보안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록물 보안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전산화된 기록물의 보안출력 시스템(이하, '기록물 보안출력 시스템'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물 보안출력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록물 보안출력 시스템은 오프라인을 통해 생성된 기록물에 대한 스캔 이미지가 저장된 복수개의 기록물 서버(100)와, 상기 기록물 서버(100)를 중계하는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의 서버(이하, 'KRAS 서버'라고 약칭함)와, 상기 스캔 이미지를 출력하는 프린터(300), 및 상기 스캔 이미지 중 민원인에 의해 요청된 스캔 이미지에 보안코드를 삽입하여 프린터(300)로 출력하는 민원서버(400)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린터(300)를 통해 출력된 기록물에 삽입된 보안코드는 복사기를 통해 복사하는 경우 희미해지거나 깨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기록물의 원본과 사본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록물 보안출력 시스템은 기록물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기록물 서버(100)는 지자체별로 오프라인을 통해 생성된 기록물을 각각 독립적으로 저장하는 서버로, 전산화된 지자체의 기록물의 스캔 이미지가 저장된다. 여기서, 스캔 이미지는 기록물을 스캔하여 디지털화된 전자문서를 의미한다.
또한, 기록물은 지적 기록물, 건축물 기록물, 주민관련 기록물 등을 포함한다. 상기 지적 기록물은 토지조사부, 임야원도, 폐쇄지적도, 지적도, 토지(임야)대장, 공시지가확인서, 공동주택가격확인서, 토지이용계획확인서, 농지원부 등을 포함하고, 상기 건축물기록물은 건축물대장을 포함하며, 주민관련 기록물은 주민등록등본, 초본, 가족관계증명원, 인감증명서 등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기록물 서버(100)는 건축서버, 지적서버, 주민서버, 세무서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록물 보안출력 시스템은 KRAS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KRAS 서버(200)는 각 기록물 서버에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각 기록물 서버를 중계하는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의 서버이다. 여기서,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은 전산화된 기록물(DB)들이 저장이 되지 않고, 지적공부 및 부동산종합공부를 정보관리체계에 의하여 전산처리하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축된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KRAS 서버(200)는 민원서버로부터 기록물확인 요청이 전송되면, 상기 기록물확인 요청에 따라 해당하는 기록물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기록물 서버에 저장된 기록물의 스캔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스캔 이미지를 기록물확인 요청을 전송한 민원서버로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록물 보안출력 시스템은 프린터(3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린터(300)는 기록물의 스캔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으로, 단일 또는 복수개의 민원서버(400)에 연결되어 민원서버(400)의 요청에 따라 민원서버(400)가 제공한 출력용 기록물을 출력한다. 이러한 프린터(300)로는 출력용 기록물에 삽입된 관인 등을 적색 등으로 출력하기 위해 컬러 프린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동 인증기나 통합증명발급기를 관공서에 설치하지 않더라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프린터(300)를 사용하여 기록물에 대한 증명발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프린터(300)를 사용하여 건축물대장 증명발급 서비스와, 토지·임야대장 증명발급 서비스, 지적물대장 증명발급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록물 보안출력 시스템은 민원서버(400)를 포함한다.
상기 민원서버(400)는 KRAS 서버(200)와 프린터(300)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것으로, 전산화되어 기록물 서버(100)에 저장된 기록물 중 관공서를 방문한 민원인이 선택한 기록물을 KRAS 서버(200)를 통해 다운로드 받은 후 상기 기록물에 보안코드를 병합한 상태로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민원서버(400)는 관공서에 마련된 민원발급창구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민원서버(400)는 다수 개의 프린터(300)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민원서버(400)와 다수 개의 프린터(300)는,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로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민원서버(400)는 KRAS 서버(200)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민원서버(400)는 KRAS 서버(200)와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광역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민원서버(400)는 키보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 자체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기록물확인 요청에 따라 기록물 서버(100)에 저장된 기록물 중 상기 기록물확인 요청에 상응하는 기록물의 스캔 이미지를 KRAS 서버(200)를 통해 추출한다.
상기 민원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문서발급 요청에 따라 보안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보안코드와 미리 추출된 스캔 이미지를 병합하여 출력용 기록물을 생성하며, 상기 출력용 기록물을 상기 프린터(300)로 전송하여 출력한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민원서버(400)는 상기 KRAS 서버(200)로부터 추출된 기록물의 스캔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록물의 종류에 따라 스캔 이미지와 병합될 보안코드의 병합 위치와 종류를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민원서버(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문서발급 요청에 따라 KRAS 서버(200)를 통해 수집한 기록물의 스캔 이미지가 프린터 스풀러에 의해 프린터 버퍼에 임시로 저장되면, 상기 프린터 버퍼에 저장된 스캔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록물이 횡방향 문서인지 아니면 종방향 문서인지 확인하고, 문서의 종류에 따라 스캔 이미지와 병합될 보안코드의 병합 위치를 조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민원서버(400)는 기록물 중 용지의 가로(횡) 방향으로 생성된 기록물(주로 대장)에는 2D 바코드를 문서의 우측 방향에 병합할 수 있으며, 세로(종) 방향으로 생성된 기록물(주민등초본, 공시지가, 토지이용계획확인원, 가족관계 증명원 등)에는 2D 바코드를 문서의 아래측 방향에 병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민원서버(400)는 기록물 중 용지의 가로(횡) 방향으로 생성된 기록물에는 4단 분할 바코드를 문서의 아래측 방향에 병합할 수 있으며, 세로(종) 방향으로 생성된 기록물에는 3단 분할 바코드를 문서의 아래측 방향에 병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민원서버(400)는 수입증지를 기록물 용지의 왼쪽 하단에 병합할 수 있고, 기관장명을 기록물 용지의 중앙 하단에 병합할 수 있으며, 관인을 기록물 용지의 오른쪽 하단에 병합할 수 있다. 이때, 관인은 기관장명의 우측 말단에 겹쳐지도록 병합할 수도 있다.
상기 보안코드는 기록물이 프린터(300)를 통해 문서로 출력될 경우, 해당 문서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코드로서, 2D 바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2D 바코드에는 상기 민원서버(400)를 통해 KRAS 서버(200)에 접속해 기록물을 추출한 사용자인 공무원의 사용자 인증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는, 발급된 문서의 확인을 통해 사용자 인증정보를 식별하여 문서를 발급을 공무원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여 민원인의 요청에 의한 문서 발급을 제외한 기록물에 대한 불법적인 발급을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바코드는 굵거나 가는 바(검은 막대) 와 스페이스(흰 막대)의 조합에 의해 영숫자 또는 특수 기호를 광학적으로 판독하기 쉽게 부호화한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정보의 표현과 정보의 수집 및 해독을 가능하게 한다. 문자나 숫자를 나타내는 검은 바와 흰 공간의 연속으로 바와 스페이스를 특정하게 배열해 이진수 0과 1의 비트로 표현되고, 이들을 조합해 정보로 이용하게 되는데, 이들은 심벌로지라고 하는 바코드 언어에 의해 정의된 규칙에 의해 만들어진다. 즉, 바코드는 컴퓨터 내부 로직의 기본인 0과 1의 비트로 이루어진 하나의 언어로, 바의 두께와 스페이스의 폭의 비율에 따라 여러 종류의 코드 체계가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보안코드는 문서확인번호, 관인, 수입증지,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워터마킹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민원서버(400)는 온라인 문서 발급 시스템과 같은 기간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다. 예컨대 민원서버(400)는 온라인 문서 발급 시스템으로 자격증, 졸업증명서, 주민등록등본과 같은 증명서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온라인 문서 발급 시스템은 요청된 증명서의 원본 문서를 추출하여 민원서버(400)로 전송하며, 상기 민원서버(400)는 디지털화 된 증명서의 원본 문서를 프린터(300)에 제공하여 문서로 출력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민원서버(400)는 각종 데이터베이스(DB)가 구비된 저장부(410)와, 사용자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420)와, 기록물확인 요청에 따라 KRAS 서버(200)를 통해 기록물 서버(100)에 저장된 기록물 중 상기 기록물확인 요청에 대응되는 기록물을 추출하는 기록물 매칭부(430)와, 기록물 서버(100)에 저장된 스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기록물 뷰어(440)와, 문서발급 요청에 따라 보안코드를 생성하는 보안코드 생성부(450)와, 상기 보안코드 생성부(450)를 통해 생성된 보안코드와 기록물 매칭부(430)를 통해 추출된 기록물을 병합하여 출력용 기록물을 생성하는 위변조 방지부(460), 및 민원서버(400)와 연동 가능한 프린터(300)를 검색해 주는 프린터 처리부(47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410)는 사용자 인증정보 DB와 스캔 이미지 D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증정보 DB는 사용자 등록부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인증정보, 예컨대 아이디 및 비밀번호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스캔 이미지 DB는 기록물 매칭부(430)를 통해 기록물 서버(100)로부터 추출된 기록물의 스캔 이미지를 임시로 저장한다. 필요에 따라, 저장부(410)는 출력된 문서의 진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문서발급 요청에 따라 생성된 문서확인번호를 저장하는 문서확인번호 D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부(420)는 저장부(410)의 인증정보 DB에 저장된 사용자 인증정보를 기반으로 기록물 보안출력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공무원)를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사용자 인증부(420)는 민원서버(4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인증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를 인증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그 일치 여부에 따라 사용자를 인증하거나 또는 사용 인증을 불허할 수 있다.
상기 기록물 매칭부(430)는 민원서버(4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기록물확인 요청에 따라 KRAS 서버(200)를 검색하여 상기 기록물확인 요청에 대응되는 기록물을 추출하는 구성이다.
상기 기록물 뷰어(440)는 사용자가 기록물 매칭부(430)를 통해 추출된 기록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기록물을 민원서버(400)에 연결된 모니터를 통해 출력하는 뷰어로, 모니터를 통해 출력된 기록물의 프린트를 요청하기 위한 메뉴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기록물을 열람하다가, 상기 메뉴를 통하여 예컨대 "인쇄"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보안코드 생성부(4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문서발급 요청에 따라 기록물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일련의 정보를 보안코드 형태로 변환하여, 문서에 삽입 가능한 이미지 형태의 보안코드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상기 보안코드 생성부(450)는 프린터(300)를 통해 출력된 문서가 불법복사가 된 경우 문서에 불법복사 여부를 나타내는 소정의 문자를 나타내게 하는 광학적 워터마크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문서에 삽입될 이미지 형태의 워터마크는 반드시 이미지 형태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보안코드 생성부(450)는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가시적인 워터마크 (Visible Watermark)나,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한 비가시적인 워터마크 (Invisible Watermark), 또는 이들 모두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보안코드 생성부(450)는 기록물 보안출력 시스템을 통해 출력된 문서에 할당되는 고유번호나,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된 숫자, 문자, 날짜, 또는 이들이 조합된 문서확인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위변조 방지부(460)는 보안코드를 스캔 이미지에 삽입하는 구성으로, 기록물의 이미지 부분에 겹쳐지도록 보안코드를 삽입하거나, 이미지 부분을 제외한 여백 부분에 보안코드를 삽입한다. 이와 같이, 위변조 방지부(460)에서는 보안코드가 병합(삽입)된 출력용 기록물이 생성된다.
상기 프린터 처리부(470)는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또는 IPP(Internet Print Protocol) 등을 기반으로 하여 민원서버(400)와 연동 가능한 프린터(300)들, 예컨대 n(n은 1이상의 정수)개의 프린터(P1-Pn)를 검색할 수 있다. n개의 프린터(P1-Pn)가 검색되면, 민원서버(400)의 프린터 처리부(470)는 검색된 n개의 프린터(P1-Pn)에 대응하는 프린터(300) 정보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프린터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민원서버(400)의 모니터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표시된 프린터 정보들의 리스트를 기반으로 하여 원하는 프린터를 지정할 수 있다. 그러면 프린터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지정된 프린터(300)에 대응하는 프린터 정보를 선택한다.
상기 통신부(480)는 민원서버(400)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중계서버인 KRAS 서버(200)에 접속하여 KRAS 서버(200)에 연계된 기록물 서버(100)에 저장된 기록물 중 상기 기록물확인 요청에 대응되는 기록물의 제공을 요청한다.
그리고 통신부(480)는 온라인 문서 발급 시스템과 같은 기간 시스템과 연동이 가능하도록 통신망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부(480)는 자격증, 졸업증명서, 주민등록등본 등과 같은 증명서에 대한 요청정보를 외부의 기간 시스템에 송신하고, 상기 외부의 기간 시스템으로부터 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응답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민원서버(400)는 출력된 문서의 진위확인을 위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문서번호와 일치하는 문서확인번호가 상기 문서확인번호 DB에 존재하면 원본인증신호를 생성하는 진위확인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물 보안출력 시스템은 웹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웹 서버는 민원서버(400)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출력된 문서의 진위확인을 위한 문서번호를 입력받는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웹페이지는 인터넷을 통해 누구나 접속할 수 있으므로, 출력된 문서의 진위확인이 필요한 사용자는 상기 웹페이지에 접속한 후 출력된 문서에 표시된 문서확인번호를 웹페이지에 입력하여 문서의 진위를 확인받는다.
이를 위해, 웹 서버는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문서번호를 상기 민원서버(400)에 제공하며, 상기 민원서버(400)로부터 원본인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원본인증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원본인증신호에는 '본 문서는 정상적으로 출력된 문서입니다'라는 문장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웹 서버는 민원서버(400)로부터 원본인증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원본인증신호에 포함된 문장이나 자체 설정된 문장을 웹페이지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웹 서버는 민원서버(400)로부터 원본불인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원본불인증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원본불인증신호에는 '본 문서는 비정상적으로 출력된 문서입니다'라는 문장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웹 서버는 민원서버(400)로부터 원본불인증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원본불인증신호에 포함된 문장이나 자체 설정된 문장을 웹페이지를 통해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물 보안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록물 보안출력 방법은 민원서버(400)를 통해 기록물에 대한 기록물확인 요청을 입력받는 접수단계(S100)와, 상기 기록물확인 요청에 따라 KRAS 서버(200)를 통해 기록물 서버(100)에 저장된 기록물의 스캔 이미지를 추출하는 검색단계(S200)와, 민원서버(400)를 통해 입력된 문서발급 요청에 따라 보안코드를 생성하는 보안코드 생성단계(S300)와, 상기 KRAS 서버(200)로부터 추출된 스캔 이미지에 상기 보안코드를 병합하여 출력용 기록물을 생성하는 인증단계(S400), 및 상기 출력용 기록물을 프린터(300)를 통해 출력하는 발급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 접수단계(S100)에서는 민원서버(40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록물에 대한 기록물확인 요청을 입력받는다.
상기 검색단계(S200)에서는 민원서버(400)가 기록물확인 요청에 따라 KRAS 서버(200)를 통해 각 기록물 서버(100)에 저장된 기록물을 검색하여 상기 기록물확인 요청에 대응되는 기록물의 스캔 이미지를 추출한다.
상기 보안코드 생성단계(S300)에서는 민원서버(40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문서발급 요청에 따라 보안코드를 생성한다.
상기 인증단계(S400)에서는 민원서버(400)가 검색단계(S200)를 통해 기록물 서버(100)로부터 추출된 스캔 이미지에 상기 보안코드를 병합하여 출력용 기록물을 생성한다.
상기 발급단계(S500)에서는 민원서버(400)가 출력용 기록물을 프린터(300)로 제공하여 출력용 기록물에 대한 문서를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록물 보안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록물 보안출력 방법은 민원서버(400)를 통해 기록물에 대한 기록물확인 요청을 입력받는 접수단계(S100)와, 상기 기록물확인 요청에 따라 KRAS 서버(200)를 통해 기록물 서버(100)에 저장된 기록물의 스캔 이미지를 추출하는 검색단계(S200)와, 민원서버(400)를 통해 입력된 문서발급 요청에 따라 보안코드를 생성하는 보안코드 생성단계(S300)와, 상기 KRAS 서버(200)로부터 추출된 스캔 이미지에 상기 보안코드를 병합하여 출력용 기록물을 생성하는 인증단계(S400)와, 상기 출력용 기록물을 프린터(300)를 통해 출력하는 발급단계(S500)와, 상기 출력용 기록물에 표시된 보안코드를 확인하는 보안코드 확인단계(S600)와, 상기 보안코드의 확인 결과를 출력하는 원본인증신호 출력단계(S700)를 포함한다.
상기 보안코드 확인단계(S600)에서는 웹페이지를 통해 문서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가 웹페이지로 입력된 문서번호를 민원서버(400)로 전송한다. 이때, 민원서버(400)는 웹서버로부터 제공된 문서번호와 일치하는 문서확인번호가 저장부(410)의 문서확인번호 DB에 존재하는지를 검색한 후, 문서확인번호가 존재하면 원본인증신호를 생성하여 웹서버로 제공한다.
상기 원본인증신호 출력단계(S700)는 민원서버(400)로부터 원본인증신호가 전송되면 사용자가 문서의 진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웹페이지를 통해 원본인증신호에 포함된 문장이나 자체 설정된 문장을 출력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기록물 서버 200 : KRAS 서버
300 : 프린터 400 : 민원서버
410 : 저장부 420 : 사용자 인증부
430 : 기록물 매칭부 440 : 기록물 뷰어
450 : 보안코드 생성부 460 : 위변조 방지부
470 : 프린터 처리부 480 : 통신부

Claims (8)

  1. 지자체의 기록물의 스캔 이미지가 저장된 복수개의 기록물 서버;
    각 기록물 서버에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각 기록물 서버를 중계하는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서버;
    기록물의 스캔 이미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관공서에 설치되고 상기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서버와 프린터에 연결되며, 기록물확인 요청에 따라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서버를 통해 기록물 서버에 저장된 기록물의 스캔 이미지를 추출하는 기록물 매칭부와, 문서발급 요청에 따라 상기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서버에 접속해 기록물을 추출한 사용자의 사용자 인증정보가 포함된 2D 바코드와 문서확인번호를 포함하는 보안코드를 생성하는 보안코드 생성부와, 상기 보안코드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보안코드와 기록물 매칭부를 통해 추출된 스캔 이미지를 병합하여 출력용 기록물을 생성하는 위변조 방지부와, 상기 출력용 기록물을 상기 프린터로 전송하여 출력하는 프린터 처리부와, 문서발급 요청에 따라 생성된 문서확인번호를 저장하는 문서확인번호 DB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문서번호와 일치하는 문서확인번호가 상기 문서확인번호 DB에 존재하면 원본인증신호를 생성하는 진위확인부가 포함된 민원서버; 및
    상기 민원서버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출력된 문서의 진위확인을 위한 문서번호를 웹페이지를 통해 입력받아 민원서버에 제공하며, 민원서버로부터 원본인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출력하는 웹 서버를 포함하는 전산화된 기록물의 보안출력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코드는
    문서확인번호, 관인, 수입증지,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워터마킹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화된 기록물의 보안출력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민원서버는
    상기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서버를 통해 기록물 서버로부터 추출된 기록물의 스캔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록물의 종류에 따라 스캔 이미지와 병합될 보안코드의 병합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화된 기록물의 보안출력 시스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번호를 입력받는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문서번호를 상기 민원서버에 제공하며, 상기 민원서버로부터 원본인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원본인증신호를 출력하는 웹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화된 기록물의 보안출력 시스템.
  8. 삭제
KR1020180043756A 2018-04-16 2018-04-16 전산화된 기록물의 보안출력 시스템 및 방법 KR102114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756A KR102114391B1 (ko) 2018-04-16 2018-04-16 전산화된 기록물의 보안출력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756A KR102114391B1 (ko) 2018-04-16 2018-04-16 전산화된 기록물의 보안출력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498A KR20190120498A (ko) 2019-10-24
KR102114391B1 true KR102114391B1 (ko) 2020-05-25

Family

ID=68423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756A KR102114391B1 (ko) 2018-04-16 2018-04-16 전산화된 기록물의 보안출력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3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677B1 (ko) 2020-07-16 2021-12-09 (주)휴먼스케이프 디지털 검증 지문 삽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37673B1 (ko) 2020-07-16 2021-12-09 (주)휴먼스케이프 데이터 열람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09488B1 (ko) * 2020-07-16 2022-06-16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전자상환위임장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494B1 (ko) * 2002-05-04 2004-12-03 주식회사 마크애니 온라인 상으로 발급된 출력물의 복사 방지를 위한 방법 및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0430469B1 (ko) * 2003-08-30 2004-05-08 주식회사 마크애니 문서 위조/변조 방지 시스템
KR20090123555A (ko) * 2008-05-28 2009-12-02 주식회사 다몬이지서티 발급문서에 대한 온라인 발급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1223427B1 (ko) 2010-05-18 2013-01-25 주식회사 마크애니 내부 문서 배포보완 장치 및 방법
KR101666604B1 (ko) 2015-03-11 2016-10-24 주식회사 마크애니 문서 보안 방법 및 장치
KR20150116428A (ko) 2015-09-14 2015-10-15 대한민국(관리부서: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위변조 방지 기능이 구비된 문서, 문서의 위변조 방지 방법 및 그 문서의 위변조 확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498A (ko)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3378B2 (ja) 機密文書の安全な複製方法
US697025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rgery detection and deterrence of printed documents
US8340291B2 (en) Systems and processes of automatic verification and protection of paper documents against falsification, adulteration and leakage
US7301654B2 (en) Image data outputting apparatus and image data outputting method
EP1209897B1 (en) Systems and method for policy based printing and forgery detection
US6512915B2 (en) Recording medium outputting method, database server, recording medium outputt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outputting system
US711054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licy based printing
US20060263134A1 (en) Method for managing transaction document and system therefor
WO2016189488A2 (en) Universal original document validation platform
US20040021549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nd autheticating works and authorship based on watermark technique
CN101686294B (zh) 嵌入式文件信息安全管理系统
CA25042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coding digital encoded images
KR102114391B1 (ko) 전산화된 기록물의 보안출력 시스템 및 방법
US20050262034A1 (en) Method of invisibly embedding into a text document the license identification of the generating licensed software
KR101223427B1 (ko) 내부 문서 배포보완 장치 및 방법
CN112258376A (zh) 一种加密文档的处理方法及系统
CN100474885C (zh) 打印文档的窜改检测装置以及窜改检测方法
KR20090123555A (ko) 발급문서에 대한 온라인 발급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0430469B1 (ko) 문서 위조/변조 방지 시스템
US7455216B2 (en) Printed-matter issuing managing system, printed-matter verifying device and contents managing device
JP4877412B2 (ja) 手続システムの端末装置及び記憶媒体
CN112765568A (zh) 一种基于第三方认证的电子印章实施方法
KR101578550B1 (ko) 전용 뷰어 기반 전자증명서 생성 열람 시스템
US20150043025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ocuments and/or information with permanent authentication
JP2003084962A (ja) 原本性保証印刷システム、プリント用原本データ作成システム、原本性保証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