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926B1 - Virtual reality based disaster educa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Virtual reality based disaster educa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926B1
KR102113926B1 KR1020180160585A KR20180160585A KR102113926B1 KR 102113926 B1 KR102113926 B1 KR 102113926B1 KR 1020180160585 A KR1020180160585 A KR 1020180160585A KR 20180160585 A KR20180160585 A KR 20180160585A KR 102113926 B1 KR102113926 B1 KR 102113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virtual
mission
user
s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5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수
김예진
신인아
정현경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0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9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9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12Bounding bo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5/00Indexing scheme for image rendering
    • G06T2215/16Using real world measurements to influence ren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omet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rtual reality 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method comprises: executing a disaster response education game performed in a virtual spa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3D virtual objects in virtual reality; applying a disaster event for a specific disaster situation to a virtual space at an arbitrary point of time; generating mission information for the disaster event; analyzing the type of 3D virtual object acquired by a user in a process of performing a mission and actions performed by a user based on log data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mission information; and calculating a corresponding score for performing the mission information based on an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ctive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service with improved learning efficiency and immersion can be provided by allowing a user to naturally acquire disaster evacuation abilities through events and missions unexpectedly given to the user.

Description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VIRTUAL REALITY BASED DISASTER EDUCA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Training Method, Device and Record Media for Performing It {VIRTUAL REALITY BASED DISASTER EDUCA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현실적인 재난 상황을 가상의 게임 형태로 체험하도록 하여 몰입도 및 학습 효율이 향상된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method, an apparatus and a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by using a virtual reality technology, learners can experience a realistic disaster situation in the form of a virtual game, resulting in immersion and It relates to a method for evacuating disaster based on virtual reality with improved learning efficiency, an apparatus and a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same.

지금까지 여러 전문가들이 한국 사회의 안전불감증을 꾸준히 지적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재난 대비 교육은 여전히 과거의 비효율적인 방식을 답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진의 경우 2016년 이후로 지진 발생 횟수가 그전까지의 5배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했으나 교육 현장에서는 아직까지도 이론 위주의 지진 대피 교육만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Despite the fact that many experts have consistently pointed out the insecurity of Korean society, Korea's disaster preparedness education still follows the inefficient way of the past. For example, in the case of earthquakes, the number of earthquakes has increased rapidly to more than 5 times since 2016, but the education field still carries out only theory-based earthquake evacuation education.

이에, 최근에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기술을 이용하여 재난 상황을 간접적으로 체험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Accordingly, recently, a service for indirectly experiencing a disaster situation using a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has been provided.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난 체험 서비스들은 사용자 단말에 연결된 VR(Virtual Reality)기기를 통해 특정 재난 상황에 대한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재난 현장에 있는 듯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Such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xperience servic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may provide an image of a specific disaster situation through a VR (Virtual Reality) device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thereby providing an effect as if the user is in an actual disaster scene.

하지만, 종래 기술들은 가상 현실을 체험 중인 사용자의 실시간 행동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몰입도 및 학습 효율이 낮다는 한계가 있다. However, the prior arts have a problem that they do not consider the real-time behavior of a user experiencing virtual reality, and accordingly, there is a limit that the user's immersion and learning efficiency are low.

한국등록특허 제10-1785197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785197 한국등록특허 제10-1563668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63668

본 발명의 일측면은 학습자에게 재난 상황을 현실감 있게 체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체험 과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재난 상황 대처 능력을 측정하는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arner with an environment to realistically experience a disaster situation, and uses the data generated in the user's experience process to measure the user's ability to cope with the disaster situation, a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method, It provides an apparatus and a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i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방법은, 복수의 3차원 가상객체로 구성된 가상 공간에서 수행되는 재난 대응 훈련 게임을 가상현실 상에서 실행하고, 특정 재난 상황에 대한 재난 이벤트를 임의의 시점에 상기 가상 공간에 적용하고, 상기 재난 이벤트에 대한 미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미션 정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로그 데이터를 기초로 미션 수행 과정에서 사용자가 획득한 3차원 가상객체의 종류 및 사용자가 수행한 행동을 분석하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미션 정보 수행에 대한 대응 점수를 산출한다.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a disaster response training game performed in a virtual spa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3D virtual objects on virtual reality and randomizes a disaster event for a specific disaster situation Type of the 3D virtual object acquired by the user in the mission execution process based on log data generat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information to the virtual space at the time, generating mission information for the disaster event, and performing the mission information And it analyzes the action performed by the user, and calculates a corresponding score for performing the miss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상기 사용자가 획득한 3차원 가상객체의 종류를 분석하는 것은, 상기 로그 데이터 중 상기 3차원 가상객체와 상호작용한 수집 데이터를 기초로 미션 수행 과정에서 인벤토리 UI(User Interface)에 수집된 3차원 가상객체의 종류를 분석하는 것일 수 있다.Analyzing the type of the 3D virtual object acquired by the user is a 3D virtual collected in the inventory UI (User Interface) during the mission proces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interacting with the 3D virtual object among the log data. It may be to analyze the type of object.

상기 대응 점수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가상 공간을 구성하는 각각의 상기 3차원 가상객체별로 미리 부여된 점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벤토리 UI에 수집된 3차원 가상객체의 점수 정보를 합산하여 상기 대응 점수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Calculating the corresponding score is based on the score information previously given for each of the 3D virtual objects constituting the virtual space, and adding the score information of the 3D virtual objects collected in the inventory UI to the corresponding score It may be to calculate.

상기 사용자가 수행한 행동을 분석하는 것은, 상기 로그 데이터 중 상기 가상 공간 내의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미션 수행 과정에서 상기 재난 이벤트별로 미리 설정된 대피 장소 또는 위험 장소에 상기 사용자가 위치해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일 수 있다.Analyzing the actions performed by the user may be an analysis of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 a preset evacuation site or a dangerous place for each disaster event in a mission performance process based on location data in the virtual space among the log data. have.

상기 대응 점수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재난 이벤트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 내에 상기 위치 데이터가 상기 대피 장소 내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대응 점수에 가산점을 부여하고, 상기 재난 이벤트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 내에 상기 위치 데이터가 상기 위험 장소 내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대응 점수에 감산점을 부여하는 것일 수 있다.Calculating the corresponding sco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data is located in the evacuation site within a preset time limit from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disaster event, an additional point is added to the corresponding score, and preset from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disaster even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data is located in the dangerous place within the time limit, a subtraction point may be given to the corresponding score.

상기 재난 이벤트에 대한 미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재난 이벤트의 종류 및 상기 미션 정보의 종류에 따라 상기 3차원 가상객체별로 미리 부여된 점수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Generating mission information for the disaster event may include assigning different weights to the previously assigned score information for each 3D virtual objec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saster event and the type of the mission information.

상기 상기 3차원 가상객체별로 미리 부여된 점수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은, 미션 수행 과정에서 인벤토리 UI(User Interface)에 어느 하나의 3차원 가상객체가 수집된 것으로 확인되면, 수집된 상기 어느 하나의 3차원 가상객체와 미리 매칭된 다른 3차원 가상객체의 가중치를 증가시키는 것이고, 상기 대응 점수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어느 하나의 3차원 가상객체와 미리 매칭된 모든 3차원 가상객체가 상기 인벤토리 UI(User Interface)에 수집된 것으로 확인되면 추가 점수를 상기 대응 점수에 가산하는 것일 수 있다.When assigning different weights to the previously assigned scor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3D virtual objec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y one 3D virtual object is collected in the inventory UI (User Interface) during the mission execution process, the collected Increasing the weight of one 3D virtual object and another 3D virtual object pre-matched, and calculating the corresponding score means that all 3D virtual objects pre-matched with any one 3D virtual object are in the inventory. If it is confirmed that the UI (User Interface) is collected, it may be that an additional score is added to the corresponding score.

산출된 상기 대응 점수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different result screens according to the calculated size of the corresponding scor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a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cor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는, 복수의 3차원 가상객체로 구성된 가상 공간에서 수행되는 재난 대응 훈련 게임을 가상현실 상에서 실행하는 게임 진행부, 특정 재난 상황에 대한 재난 이벤트를 임의의 시점에 상기 가상 공간에 적용하고, 상기 재난 이벤트에 대한 미션 정보를 생성하는 미션 생성부, 상기 미션 정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로그 데이터를 기초로 미션 수행 과정에서 사용자가 획득한 3차원 가상객체의 종류 및 사용자가 수행한 행동을 분석하는 행동 분석부 및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미션 정보 수행에 대한 대응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ame progress unit that executes a disaster response training game performed in a virtual spa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3D virtual objects on virtual reality, in a specific disaster situation. A mission generating unit that applies a disaster event for the virtual space to the virtual space at any point in time and generates mission information for the disaster event, and a user performs a mission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a mission based on log data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mission information. It includes a behavior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type of the obtained 3D virtual object and the behavior performed by the user, and a scor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corresponding score for performing the miss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는 돌발적으로 부여되는 이벤트 및 미션을 통해 재난 대피 능력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어 학습 효율 및 몰입도가 향상된 능동적인 재난 대피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naturally acquire a disaster evacuation ability through an event and mission that are suddenly granted, thereby providing an active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service with improved learning efficiency and immersion.

또한, 재난 발생시 건물 구조에 따른 사용자들의 대피 행동 패턴 데이터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어 실제 건물의 구조적 특징에 최적화된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case of a disaster, it is possible to collect evacuation behavior pattern data of user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and use it as big data, thereby generating guidance information optimized for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가 사용자와 3차원 가상객체의 상호작용을 감지하는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device of FIG. 1 detects an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a 3D virtual object.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hematic flow of a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illustrate, by way of exampl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xamples are described in detail enough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th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properties described herei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plac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can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ppropriate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rang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In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several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 (1)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1)는 지진, 화재 등과 같은 재난 상황을 사용자가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상으로 체험하기 위한 일련의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series of tasks for a user to experience a disaster situation such as an earthquake or a fire in a virtual reality.

즉,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1)는 장치(1)와 연동되는 VR기기를 통해 특정 장소에 대한 3차원 가상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재난 이벤트 발생 시, 재난의 종류에 따라 가상공간을 구성하는 3차원 오브젝트에 특정 효과를 시뮬레이션하여 사용자가 실제 재난 현장에 있는 듯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That is,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device 1 can provide a 3D virtual reality service for a specific place through a VR device interlocked with the device 1, and when a disaster event occurs, the virtual By simulating specific effects on the 3D objects that make up the space, the user can be given the effect of being in a real disaster scene.

이때,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1)는 장치(1)와 연동되는 컨트롤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기초로 가상 현실 공간 내에서 사용자가 이동하거나 가상객체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device 1 is configured to enable a user to move or interact with a virtual object in a virtual reality space based on an input signal input from a user through a controller interlocked with the device 1 can do.

이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1)는 사용자의 몰입도 및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재난 상황을 게임 형태로 제공하고, 게임 내에 특정 미션을 부여하여 사용자들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행동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1)는 미션 수행 과정에서 수집되는 사용자의 로그 데이터를 점수화하여 재난에 대처하는 사용자의 행동을 측정할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aster situation in the form of a game in order to maximize the user's immersion and learning effect, and grants specific missions in the game to provide users with missions. You can encourage them to take action to perform.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device 1 may measure the user's behavior in response to the disaster by scoring the log data of the user collected during the mission execution proces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 평가 장치(1)는 게임 진행부(100), 미션 생성부(200), 행동 분석부(300) 및 점수 산출부(40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language evalu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ame progress unit 100, a mission generation unit 200, a behavior analysis unit 300, and a score calculation unit 40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1)는 이동성을 갖거나 고정된 장치일 수 있다. 장치(1)는, 서버(server) 또는 엔진(engine) 형태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smartphone), 디바이스(device), 기구(apparatus), 단말(terminal),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At this time,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mobility or a fixed device. The device 1 may be in the form of a server or an engine, and a smartphone, a device, an apparatus, a terminal, a user equipment (UE), and a mobile (MS) station, wireless device, and handheld device.

또한,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는,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1)는 게임 진행부(100), 미션 생성부(200), 행동 분석부(300) 및 점수 산출부(400)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하나의 구성요소가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apparatus 1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ose shown in FIG. 1, and may be implemented by fewer components. Alternatively,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apparatus 1 is configured by at least two components of the game progress unit 100, the mission generation unit 200, the behavior analysis unit 300, and the score calculation unit 400. It can be integrated as an element, and a single component may perform multiple functions. Hereinafter,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게임 진행부(100)는 재난 대응 훈련 게임을 가상현실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임 진행부(100)는 학교, 병원 등과 같이 특정 건물을 3차원으로 모델링하여 가상 공간에 생성하고, 이를 재난 대응 훈련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환경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 game progress unit 100 may provide a disaster response training game as virtual reality. Specifically, the game proceeding unit 100 may model a specific building, such as a school or hospital, in 3D and create it in a virtual space, and set it as an environment for performing a disaster response training game.

게임 진행부(100)는 기 저장된 복수의 3차원 모델링 파일들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3차원 모델을 가상 공간에 구현하고, 이를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1)와 연동되는 VR기기를 통해 가상현실로 제공할 수 있다.The game proceeding unit 100 implements any one 3D model selected from a user among a plurality of 3D modeling files stored in the virtual space, and provides a VR device interworking with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device 1. It can be provided through virtual reality.

또한, 게임 진행부(100)는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1)와 연동되는 컨트롤러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기초로 가상현실 화면 내에서 사용자의 이동, 조작 등에 따른 화면 효과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ame progress unit 100 outputs a screen effect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manipulation, or the like within the virtual reality screen based on a user's manipulation signal received through a controller interlocked with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device 1 It can be controlled as much as possible.

한편, 게임 진행부(100)는 게임 진행 과정에서 후술하는 미션 생성부(200)에 의해 생성된 재난 이벤트 및 미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임 진행부(100)는 지진과 관련된 재난 이벤트가 발생되면 특정 3차원 객체에 진동 효과를 부여하여 사용자의 시야가 흔들리는 듯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게임 진행부(100)는 재난 이벤트 발생 시, 이를 알리는 안내 방송이 스피커 객체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게임 진행 도중 지진이 발생하면 기준 시간 내에 책상 밑으로 대피해야되는 미션 정보를 음성 또는 텍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game progress unit 100 may provide disaster events and miss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mission generation unit 200 described later in the course of the game progress. Specifically, when a disaster event related to an earthquake occurs, the game progress unit 100 may provide a vibration effect to a specific 3D object to provide an effect that the user's view is shaken. As another example, when a disaster event occurs, the game proceeding unit 100 causes the announcement to notify the speaker object to be output, and when an earthquake occurs during the game, the mission information to be evacuated under the desk within the reference time is voice or text. Can be provided as

이 외에도, 후술하겠지만 게임 진행부(100)는 사용자가 수집한 아이템(3차원 가상객체)의 무게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가변시켜 수집한 물건이 많을수록 이동 속도를 감소시켜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game proceeding unit 100 may change the movement speed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items (3D virtual objects) collected by the user, thereby reducing the movement speed as more objects are collected, thereby providing a sense of reality. .

미션 생성부(200)는 특정 재난 상황에 대한 재난 이벤트를 가상 공간에 적용하고, 재난 이벤트에 대한 미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mission generator 200 may apply a disaster event for a specific disaster situation to a virtual space and generate mission information for the disaster event.

먼저, 미션 생성부(200)는 화재, 지진, 홍수, 정전 등과 같은 각각의 재난 상황에 대한 복수의 재난 이벤트를 미리 생성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미션 생성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임의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난 이벤트를 가상 공간에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재난 이벤트인 경우, 미션 생성부(200)는 가상 공간의 특정 위치에 화염 효과를 생성하고, 이에 대한 연기 발생, 온도 변화, 시야 변화 등에 대한 부가적인 효과를 함께 가상공간에 반영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미션 생성부(200)는 지진 이벤트 발생 시, 건물에 흔들림 효과를 적용하고, 이에 대한 물건 낙하, 외벽 균열, 시야 흔들림 효과 등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미션 생성부(200)는 이와 같은 재난 이벤트를 게임 진행 중 임의의 시점에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the mission generator 200 may generate and store a plurality of disaster events for each disaster situation in advance, such as fire, earthquake, flood, power failure, and the like. The mission generator 200 may simulate any one disaster event selected by the user or randomly selected in the virtual spa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ire disaster event, the mission generator 200 generates a flame effect at a specific location in the virtual space, and reflects additional effects on smoke generation, temperature change, and field of view change in the virtual space. can do. As another example, the mission generating unit 200 may apply a shaking effect to a building when an earthquake event occurs, and simulate a falling object, a crack in an outer wall, a shaking effect, and the like. The mission generation unit 200 may improve the immersion of the user by generating such a disaster event at any time during the game.

이와 동시에, 미션 생성부(200)는 선택된 재난 이벤트를 극복하기 위한 미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션 생성부(200)는 '지진이 발생하였습니다. 건물 외부로 탈출하십시오'와 같은 미션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미션 생성부(200)는 At the same time, the mission generating unit 200 may generate mission information for overcoming the selected disaster event. For example, the mission generating unit 200 has a 'earthquake occurred. Escape outside the building '. Or, the mission generating unit 200

한편, 미션 생성부(200)는 재난 이벤트와 관련된 서브 미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션 생성부(200)는 건물 외부로 탈출하는 미션 도중 '강한 지진이 감지되었으니 책상 밑으로 피신하세요' 등과 같이 기 생성된 미션 정보와 연계되는 서브 미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mission generator 200 may generate sub-mission information related to a disaster event. For example, the mission generating unit 200 may generate sub-miss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previously generated mission information, such as 'a strong earthquake has been detected, so evacuate under the desk' during a mission escaping outside the building.

행동 분석부(300)는 미션 정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로그 데이터를 기초로 미션 수행 과정에서 재난 이벤트에 대한 사용자의 행동을 분석할 수 있다.The behavior analysis unit 300 may analyze a user's behavior for a disaster event in a mission performance process based on log data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mission information.

구체적으로, 행동 분석부(300)는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1)와 연동되는 컨트롤러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기초로 발생되는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게임 수행 과정에서 수집한 3차원 가상객체인 아이템의 종류를 분석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ehavior analysis unit 300 analyzes log data generated based on a user's manipulation signal received through a controller interworking with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device 1, and the user collects it during the game execution process Analyze the type of item as a 3D virtual object.

즉, 행동 분석부(300)는 생성되는 로그 데이터들 중 3차원 가상객체와 상호작용한 수집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수집 데이터를 기초로 미션 수행 과정에서 인벤토리 UI(User Interface)에 수집된 3차원 가상객체의 종류를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at is, the behavior analysis unit 300 extracts collected data that interacts with a 3D virtual object among generated log data, and collects 3 in the inventory UI (User Interface) during a mission process based on the extracted collected data. You can analyze the types of dimensional virtual objects. 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together.

도 2는 특정 3차원 가상객체와 상호작용하는 게임 화면의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game screen that interacts with a specific 3D virtual object.

행동 분석부(300)는 구글 카드보드 SDK 등과 같이 VR기기에서 지원하는 초점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들과 물건(3차원 가상객체)간의 상호작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behavior analysis unit 300 may detect whether there is an interaction between users and an object (a 3D virtual object) by using a focus function supported by a VR device, such as a Google Cardboard SDK.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선을 이동시키게 되면 화면 중앙에 표시된 초점 또한 3차원 가상 공간 내에서 이동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특정 물건에 초점을 맞추면 게임 진행부(100)는 해당 3차원 가상객체(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키보드)의 가장자리에 하이라이트가 발생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초점이 특정 3차원 가상객체에 위치하게 되면, 해당 3차원 가상객체의 외곽선에 하이라이트 효과를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moves the gaze, the focus displayed on the center of the screen also moves within the 3D virtual space. Through this, when focusing on a specific object, the game progress unit 100 displays the corresponding 3D virtual object (shown) In an embodiment, the effect of highlighting on the edge of the keyboard) may be provided. That is, when the focus is located on a specific 3D virtual object, a highlight effect may be set on the outline of the 3D virtual object.

이 상태에서, 컨트롤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특정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행동 분석부(300)는 특정 입력신호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통해 해당 3차원 가상객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선택된 3차원 가상객체를 인벤토리 UI(User Interface)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state, when a specific input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controller, the behavior analysis unit 300 may determine that the corresponding 3D virtual object is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log data for the specific input signal, and the selected 3D The virtual object can be controlled to be stored in the inventory UI (User Interface).

이때 사용자는 컨트롤러의 버튼을 통해 인벤토리에 넣거나 제외시킬 수 있으며, 행동 분석부(300)는 이와 관련된 로그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가 미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물건을 선택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can be included in or excluded from the inventory through the button of the controller, and the behavior analysis unit 300 may determine what object the user has select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mission through log data related to this.

또한, 행동 분석부(300)는 발생되는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션 수행 과정에서 사용자가 가상 공간 내의 어느 위치에 위치해 있는지를 시간별로 구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havior analysis unit 300 analyzes the generated log data to identify where the user is located in the virtual space in the course of mission execution by time.

즉, 행동 분석부(300)는 이동과 관련된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상 공간 내의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미션 수행 과정에서 재난 이벤트별로 미리 설정된 대피 장소 또는 위험 장소에 사용자가 위치해 있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초 내에 특정 장소로 이동하라는 미션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사용자의 10초 후 위치가 특정 장소에 도착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behavior analysis unit 300 may analyze log data related to movement and analyze whether a user is located in a preset evacuation site or a dangerous place for each disaster event in a mission performance process based on location data in a virtual space. For example, when mission information to move to a specific place is generated within 10 seconds,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location of the user has arrived at a specific place after 10 seconds.

점수 산출부(400)는 행동 분석부(300)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미션 정보 수행에 대한 대응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The score calculator 400 may calculate a corresponding score for mission information performanc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behavior analyzer 300.

여기서, 대응 점수는 미션 정보를 얼마만큼 잘 수행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정보로, 특정 재난 상황에 얼마큼 적절하게 대응했는지를 판단하는 척도로 활용될 수 있다.Here, the response score is information used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how well the mission information has been performed, and can be used as a measure for determining how appropriately the specific disaster situation has been responded.

이를 위해, 점수 산출부(400)는 가상 공간을 구성하는 각각의 3차원 가상객체별로 미리 부여된 점수 정보를 조회하여, 인벤토리 UI에 수집된 3차원 가상객체의 점수 정보를 합산하여 대응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core calculating unit 400 retrieves the score information previously given for each 3D virtual object constituting the virtual space, and adds the score information of the 3D virtual objects collected in the inventory UI to calculate the corresponding score can do.

또한, 점수 산출부(400)는 재난 이벤트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 내에 위치 데이터가 상기 대피 장소 내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 대응 점수에 가산점을 부여할 수 있다. 반면, 점수 산출부(400)는 재난 이벤트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제한 시간 내에 위치 데이터가 위험 장소 내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 대응 점수를 차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core calculator 400 may add an additional point to the corresponding sco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data is located within the evacuation site within a preset time limit from the time of the occurrence of the disaster event. On the other hand, the score calculating unit 400 may deduct the corresponding sco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data is located in the dangerous place within a set time limit from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disaster event.

한편, 점수 산출부(400)는 상기 재난 이벤트의 종류 및 상기 미션 정보의 종류에 따라 상기 3차원 가상객체별로 미리 부여된 점수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Meanwhile, the score calculator 400 may assign different weights to the score information previously given for each 3D virtual objec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saster event and the type of the mission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점수 산출부(400)는 미션 수행 과정에서 인벤토리 UI(User Interface)에 어느 하나의 3차원 가상객체가 수집된 것으로 확인되면, 수집된 어느 하나의 3차원 가상객체와 미리 매칭된 다른 3차원 가상객체의 가중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수 산출부(400)는 인벤토리에 성냥 객체가 수집된 것으로 판단되면, 라이터 또는 종이 등과 같은 객체에 부여된 가중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y one 3D virtual object is collected in the inventory user interface (UI) during the mission execution process, the score calculating unit 400 determines another 3D virtual object previously matched with the other 3 The weight of the dimensional virtual object can be increased.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tch object is collected in the inventory, the score calculator 400 may increase the weight assigned to an object such as a lighter or paper.

그리고, 점수 산출부(400)는 어느 하나의 3차원 가상객체와 미리 매칭된 모든 3차원 가상객체가 상기 인벤토리 UI(User Interface)에 수집된 것으로 확인되면 추가 점수를 상기 대응 점수에 가산할 수 있다.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ll 3D virtual objects previously matched with any one 3D virtual object are collected in the inventory UI (User Interface), the score calculator 400 may add an additional score to the corresponding score. .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1)는 선택된 객체의 중요도를 개별적으로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택된 객체들간의 연관성을 함께 고려하여 미션 수행에 따른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Therefore,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individually determine the importance of the selected object, but also calculate the score according to the mission performance by consider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elected objects together. .

이후,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1)는 산출된 대응 점수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 화면(엔딩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Thereafter,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apparatus 1 may output different result screens (end screens) according to the calculated size of the corresponding score.

한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1)는 재난 발생시 건물 구조에 따른 사용자들의 대피 행동 패턴 데이터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device 1 can collect and use users' evacuation behavior pattern data according to the building structure in case of a disaster, and use it as big data.

구체적으로,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1)는 재난 상황을 시뮬레이션하여 사용자들의 주 대피 경로를 파악하여 실시간 위치 분석을 통해 건물의 대피 경로 예측 모델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1)는 건물 구조에 따른 대피 경로의 취약점을 파악하고, 서로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수집되는 로그 데이터를 통해 해당 취약점과 건물 특징에 따른 가장 이상적인 대피 경로 및 예상되는 건물내 사람들의 행동 방향성 등을 분석한 자료를 해당 건물의 운영진에게 전달하여, 각 건물에 가장 알맞은 대피 방송을 미리 녹음 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device 1 can simulate a disaster situation, identify the main evacuation route of users, and implement a prediction model of the evacuation route of a building through real-time location analysis. Through this,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device 1 identifies the vulnerability of the evacuation rout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and through log data collected from different users, the most ideal evacuation route and prediction according to the vulnerability and building characteristics Data that analyzes the behavioral direction of people in the building can be delivered to the management of the building, and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pre-recording evacuation broadcasts that are most suitable for each buildin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hematic flow of a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1)는 후술하는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가 미리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방법에 대한 플랫폼이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미리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방법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o this end,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software) for performing each step constituting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method described later. For example, a platform for a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install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on a user's smartphone, and the user executes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martphone to execute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the basic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method can be provided.

먼저,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재난 대응 훈련 게임을 실행시킬 수 있다(31).First,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device 1 may execute a disaster response training game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31).

구체적으로,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1)는 재난 대응 훈련 게임과 관련된 화면이 장치(1)와 연동된 VR기기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가 가상현실 환경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재난 대응 훈련 게임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device 1 controls a screen related to a disaster response training game to be output through a VR device interlocked with the device 1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a disaster response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You can make it possible to experience the game.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1)는 특정 재난 상황에 대한 재난 이벤트를 임의의 시점에 가상 공간에 적용하고, 재난 이벤트에 대한 미션 정보를 VR기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32).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device 1 may apply a disaster event for a specific disaster situation to a virtual space at any time, and output mission information for the disaster event through a VR device (32).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1)는 미션 정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로그 데이터를 기초로 미션 수행 과정에서 사용자가 획득한 3차원 가상객체의 종류 및 사용자가 수행한 행동을 분석할 수 있다(33).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apparatus 1 may analyze the type of 3D virtual objects acquired by the user and the actions performed by the user based on log data generated in the course of performing the mission information. (33).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1)는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미션 정보 수행에 대한 대응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34).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apparatus 1 may calculate a corresponding score for performing the miss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34).

이후,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1)는 산출된 대응 점수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종료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35).Thereafter,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apparatus 1 may output different end screens according to the calculated size of the corresponding score (35).

상술한 각 단계들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1 및 도 2를 통해 상술하였으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detailed contents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step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repeat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이와 같은,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Such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method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or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to be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r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executable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Will be able to.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Will be able to.

100: 게임 진행부
200: 미션 생성부
300: 행동 분석부
400: 점수 산출부
100: game progress
200: mission generation unit
300: behavior analysis department
400: score calculation unit

Claims (10)

복수의 3차원 가상객체로 구성된 가상 공간에서 수행되는 재난 대응 훈련 게임을 가상현실 상에서 실행하고,
특정 재난 상황에 대한 재난 이벤트를 임의의 시점에 상기 가상 공간에 적용하고, 상기 재난 이벤트에 대한 미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미션 정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로그 데이터를 기초로 미션 수행 과정에서 사용자가 획득한 3차원 가상객체의 종류 및 사용자가 수행한 행동을 분석하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미션 정보 수행에 대한 대응 점수를 산출하며,
상기 재난 이벤트에 대한 미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재난 이벤트의 종류 및 상기 미션 정보의 종류에 따라 상기 3차원 가상객체별로 미리 부여된 점수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이며,
상기 사용자가 획득한 3차원 가상객체의 종류를 분석하는 것은, 상기 로그 데이터 중 상기 3차원 가상객체와 상호작용한 수집 데이터를 기초로 미션 수행 과정에서 인벤토리 UI(User Interface)에 수집된 3차원 가상객체의 종류를 분석하는 것이며,
상기 3차원 가상객체별로 미리 부여된 점수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은, 미션 수행 과정에서 인벤토리 UI(User Interface)에 어느 하나의 3차원 가상객체가 수집된 것으로 확인되면, 수집된 상기 어느 하나의 3차원 가상객체와 미리 매칭된 다른 3차원 가상객체의 가중치를 증가시키는 것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방법.
A disaster response training game performed in a virtual spa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3D virtual objects is executed in virtual reality,
Apply a disaster event for a specific disaster situation to the virtual space at any time, generate mission information for the disaster event,
Based on the log data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mission information, analyzes the type of the 3D virtual object acquired by the user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mission and the action performed by the user,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 corresponding score for performing the mission information is calculated,
Generating mission information for the disaster event is to assign different weights to the previously assigned score information for each 3D virtual objec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saster event and the type of the mission information,
Analyzing the type of the 3D virtual object acquired by the user is a 3D virtual collected in the inventory UI (User Interface) during the mission proces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interacting with the 3D virtual object among the log data. To analyze the type of object,
When assigning different weights to the previously assigned scor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3D virtual objec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y 3D virtual object is collected in the inventory UI (User Interface) during the mission execution process, the collected ones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method of increasing the weight of another 3D virtual object pre-matched with the 3D virtual objec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점수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가상 공간을 구성하는 각각의 상기 3차원 가상객체별로 미리 부여된 점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벤토리 UI에 수집된 3차원 가상객체의 점수 정보를 합산하여 상기 대응 점수를 산출하는 것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calculating the corresponding score,
Based on the score information previously given for each of the 3D virtual objects constituting the virtual space, the virtual reality is calculated by summing the score information of the 3D virtual objects collected in the inventory UI Based Disaster Evacuation Train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수행한 행동을 분석하는 것은,
상기 로그 데이터 중 상기 가상 공간 내의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미션 수행 과정에서 상기 재난 이벤트별로 미리 설정된 대피 장소 또는 위험 장소에 상기 사용자가 위치해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nalyzing the behavior performed by the user,
Based on the location data in the virtual space among the log data, analyzing whether a user is located in a preset evacuation site or a dangerous place for each disaster event in a mission performance process, a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metho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점수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재난 이벤트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 내에 상기 위치 데이터가 상기 대피 장소 내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대응 점수에 가산점을 부여하고,
상기 재난 이벤트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 내에 상기 위치 데이터가 상기 위험 장소 내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대응 점수에 감산점을 부여하는 것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calculating the corresponding sco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data is located within the evacuation site within a preset time limit from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disaster event, an additional point is added to the corresponding sco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data is located in the dangerous place within a preset time limit from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disaster event, a subtraction point is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score, and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metho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점수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어느 하나의 3차원 가상객체와 미리 매칭된 모든 3차원 가상객체가 상기 인벤토리 UI(User Interface)에 수집된 것으로 확인되면 추가 점수를 상기 대응 점수에 가산하는 것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방법.
According to claim 1,
Calculating the corresponding score is to add an additional score to the corresponding sco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ll 3D virtual objects previously matched with the one 3D virtual object are collected in the inventory UI (User Interface). ,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train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산출된 상기 대응 점수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nd outputting different result screens according to the calculated size of the corresponding scores.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for performing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to 5, 7 and 8.
복수의 3차원 가상객체로 구성된 가상 공간에서 수행되는 재난 대응 훈련 게임을 가상현실 상에서 실행하는 게임 진행부;
특정 재난 상황에 대한 재난 이벤트를 임의의 시점에 상기 가상 공간에 적용하고, 상기 재난 이벤트에 대한 미션 정보를 생성하는 미션 생성부;
상기 미션 정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로그 데이터를 기초로 미션 수행 과정에서 사용자가 획득한 3차원 가상객체의 종류 및 사용자가 수행한 행동을 분석하는 행동 분석부; 및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미션 정보 수행에 대한 대응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점수 산출부는, 상기 재난 이벤트의 종류 및 상기 미션 정보의 종류에 따라 상기 3차원 가상객체별로 미리 부여된 점수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며,
상기 행동 분석부는, 상기 로그 데이터 중 상기 3차원 가상객체와 상호작용한 수집 데이터를 기초로 미션 수행 과정에서 인벤토리 UI(User Interface)에 수집된 3차원 가상객체의 종류를 분석하며,
상기 점수 산출부에 의해, 3차원 가상객체별로 미리 부여된 점수 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은, 미션 수행 과정에서 인벤토리 UI(User Interface)에 어느 하나의 3차원 가상객체가 수집된 것으로 확인되면, 수집된 상기 어느 하나의 3차원 가상객체와 미리 매칭된 다른 3차원 가상객체의 가중치를 증가시키는 것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장치.
A game progress unit that executes a disaster response training game performed in a virtual spa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3D virtual objects on virtual reality;
A mission generator configured to apply a disaster event for a specific disaster situation to the virtual space at any time and generate mission information for the disaster event;
A behavior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type of the 3D virtual object acquired by the user and the action performed by the user based on log data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mission information; And
It includes a scor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corresponding score for performing the miss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score calculation unit assigns different weights to the score information previously given for each 3D virtual objec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saster event and the type of the mission information,
The behavior analysis unit analyzes the type of the 3D virtual object collected in the inventory UI (User Interface) during the mission proces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interacting with the 3D virtual object among the log data,
By assigning different weights to the previously assigned score information for each 3D virtual object by the score calculation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y one 3D virtual object is collected in the inventory user interface (UI) during the mission execution process ,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collected one of the other three-dimensional virtual object and the other three-dimensional virtual object,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device.
KR1020180160585A 2018-12-13 2018-12-13 Virtual reality based disaster educa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1139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585A KR102113926B1 (en) 2018-12-13 2018-12-13 Virtual reality based disaster educa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585A KR102113926B1 (en) 2018-12-13 2018-12-13 Virtual reality based disaster educa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926B1 true KR102113926B1 (en) 2020-05-21

Family

ID=70910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585A KR102113926B1 (en) 2018-12-13 2018-12-13 Virtual reality based disaster educa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92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242A (en) * 2020-07-01 2022-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Disaster evacuation training and customized advertisement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a training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668B1 (en) 2014-11-25 2015-10-28 권일 Experiential safety training method and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based on game
KR20170079135A (en) * 2015-12-30 2017-07-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Virtual reality-based customized training system
KR101780949B1 (en) * 2016-12-30 2017-09-21 비즈 주식회사 An exercise system for radiological emergency based on virtual reality
KR101785197B1 (en) 2016-03-23 2017-11-06 이동규 Serious game system for correspond to disaster
KR20180077588A (en)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한울네오텍 Game based disaster safety virtual traini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668B1 (en) 2014-11-25 2015-10-28 권일 Experiential safety training method and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based on game
KR20170079135A (en) * 2015-12-30 2017-07-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Virtual reality-based customized training system
KR101785197B1 (en) 2016-03-23 2017-11-06 이동규 Serious game system for correspond to disaster
KR20180077588A (en)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한울네오텍 Game based disaster safety virtual traini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KR101780949B1 (en) * 2016-12-30 2017-09-21 비즈 주식회사 An exercise system for radiological emergency based on virtual real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242A (en) * 2020-07-01 2022-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Disaster evacuation training and customized advertisement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a training method thereof
KR102402757B1 (en) * 2020-07-01 2022-05-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Disaster evacuation training and customized advertisement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a train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vreglio et al. Prototyping virtual reality serious games for building earthquake preparedness: The Auckland City Hospital case study
Kyriakou et al. Interaction with virtual crowd in Immersive and semi‐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s
US8830188B2 (en) Infrastructural haptics on wall scale interactive displays
CN106530887B (en) Fire scene simulating escape method and device
CN110794968A (en) Emergency drilling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scene construction
Tsampounaris et al. Exploring visualizations in real-time motion capture for dance education
Cetto et al. Friend inspector: A serious game to enhance privacy awareness in social networks
US20160203727A1 (en) Incident exercise in a virtual environment
KR102113926B1 (en) Virtual reality based disaster educa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29281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irefighting training program based on user-centered design
JP3948202B2 (en) Evacuation virtual experience system
Cheng et al. Using 360-Degree Virtual Reality Technology for Training Construction Workers about Safety Challenges of Drones
Fogarty et al. Exploring structural behavior and component detailing in virtual reality
Bailie et al. Implementing user-centered methods and virtual reality to rapidly prototype augmented reality tools for firefighters
Selin et al. The functional design method for buildings (FDM) with gamification of information models and AI help to design safer buildings
Häkkilä et al. Jogging in a virtual city
CN116113475A (en) Virtual reality simulated activity scheduling
Quagliarini et al. Understanding human behaviors in earthquakes to improve safety in built environment: A State of the art on sustainable and validated investigation tools
Liu et al. SimSITE: The HLA/RTI based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training simulation
KR1019930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x information in chatting environment
Xi et al. Supporting path switching for non-player characters in a virtual environment
Månsson Using a virtual fire extinguisher as a tool for safety training
KR2019012730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game user control
JP2023079199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Gyeonggi-Do et al. Analysis of a quality evaluation model for VR cont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