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635B1 - Sheave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Sheave for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635B1
KR102113635B1 KR1020190142698A KR20190142698A KR102113635B1 KR 102113635 B1 KR102113635 B1 KR 102113635B1 KR 1020190142698 A KR1020190142698 A KR 1020190142698A KR 20190142698 A KR20190142698 A KR 20190142698A KR 102113635 B1 KR102113635 B1 KR 102113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lifting
protector
outer diameter
centr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6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대성
Original Assignee
김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성 filed Critical 김대성
Priority to KR1020190142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63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6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5/00Main component parts of mining-hoist winding devices
    • B66B15/02Rope or cable carriers
    • B66B15/04Friction sheaves; "Koepe" pu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ave for lifting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vator sheave for optimizing the outer diameter of a lifting pulley compared to the outer diameter of a main body to provide an efficient sheave structure. The elevator sheave comprises: a main body including a body part having a shaft hole having a rotating shaft coupled to the center thereof and a rib part radially connected to an outer side of the body part; and a lifting pulley provided in an outer side of the main body in a ring shape and including a receiving groove to which the rib part is connected and having a lifting wire coupled to an outer surface thereof, wherei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art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lifting pulley is 1 : 2-2.5.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브{Sheave for elevator}Sheav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을 위해 구비되는 시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바디의 외경 대비 리프팅 풀리의 외경을 최적화함으로써 효율적인 시브 구조를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시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ave provided for lifting of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vator sheave that provides an efficient sheave structure by optimiz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lifting pulley compare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main body.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승강로프의 일단에 승강 카가 장착되고, 타단에는 웨이트가 장착되며, 승강로프가 권상기와 연결된 시브에 권취되어 권상기가 작동함에 따라 회전을 하고, 시브가 회전함에 따라 권상 시브에 권취되어 있는 승강로프가 끌어올려지거나 내려감으로써 승강 카(car)가 상승 또는 하강을 하게 된다.In general, an elevator is equipped with a lifting car at one end of a hoisting rope, a weight is mounted at the other end, and the hoisting rope is wound on a sheave connected to a hoisting machine to rotate as the hoisting machine operates, and wound up on a hoisting sheave as the sheaves rotate. As the lifting rope is raised or lowered, the lifting car rises or falls.

이러한 엘리베이터 시브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05-0106471호(2005년11월09일)(이하 종래기술) 등이 있는데, 종래기술은 로프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고, 로프의 특정 부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으며, 로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시브를 제시하고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related to such an elevator sheave, there is 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106471 (November 9, 2005)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ior art), which can reduce fatigue of the rope and reduce rope fatigue. An elevator sheave is proposed that can suppress deterioration of a specific part and extend the life of the rope.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브는 로프가 끼워지는 베이스 외주면의 홈 및, 홈의 표면에 제공되어 로프에 발생한 회전 작용을 도와주는 저마찰 코팅 재료로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The elevator shea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ntended to include a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on which the rope is fitted, and a coating layer formed of a low friction coating material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groove to assist the rotational action generated on the rope.

또한 각각의 로프가 끼워지고 각각의 로프와 1:1 관계에 있는 홈을 갖도록 구성된 다수의 로프-대응(rope-corresponding) 시브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로프-대응 시브는 상기 카와 균형추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된 샤프트 상에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rope-corresponding sheaves, each rope being fitted and configured to have a groove in a 1: 1 relationship with each rope, wherein the plurality of rope-corresponding sheaves is any one of the car and counterweigh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rranged side by side to rot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n the shaft attached to.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을 포함하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브는 리프팅 풀리의 외경을 최적화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elevator sheave including such a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lifting pulley is not optimiz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메인 바디의 외경 대비 리프팅 풀리의 외경을 최적화하여, 리프팅 풀리의 소재 채택에 있어서 선택의 폭을 넓히고, 이와 동시에 시브의 두께가 과도하게 늘어나지 않도록 하여 설치 공간의 제약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optimiz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lifting pulley compare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main body, widening the choice in adopting the material of the lifting pulley, and at the same time preventing the thickness of the sheave from excessively increasing. It aims to eliminate the limitation of the installation space.

또한 승강로프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함은 물론 이와 더불어 승강로프의 이탈 방지 기능 강화, 승강로프의 손상 방지, 제조 용이성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re convenient combination of the lifting rope and to strengthen the prevention function of the lifting rope, prevent damage to the lifting rope, and facilitate manufacturing.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중심에 회전축이 결합되는 축설공을 구비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연결된 리브부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그리고 링 형상으로 상기 메인 바디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리브부가 연결되며 외면에 리프팅 와이어가 결합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리프팅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외경 : 상기 리프팅 풀리의 외경이 1 : 2 ~ 2.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 is, the main body including a body portion having a shaft hole with a rotating shaft coupled to the center, and a rib portion radi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in a ring shape And a lifting pulley having a receiving groove to which the rib part is connected and the lifting wire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wherei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art: the outer diameter of the lifting pulley is 1: 2 to 2.5.

또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리프팅 와이어의 외주연에 상응하는 곡률을 갖는 라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라운드부의 양단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가 30도로 구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ceiving groove includes a round portion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fting wi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tangent of both ends of the round portion can be composed of 30 degrees.

또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라운드부의 양단에 형성된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ceiv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ay further include an inclined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round portion.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몸체부 대비 리프팅 풀리의 외경을 한정함을 통해, 리프팅 풀리의 소재 채택에 있어서 선택의 폭을 넓히고, 이와 동시에 시브의 두께가 과도하게 늘어나지 않도록 하여 설치 공간의 제약을 해소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features limits the installation space by limit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lifting pulley relative to the body portion, thereby widening the selection in adopting the material of the lifting pulley, and at the same time preventing the sheave thickness from excessively increasing. To solve.

또한 승강로프를 수용하는 수용홈에 라운드부 및 경사부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승강로프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함은 물론 이와 더불어 승강로프의 이탈 방지 기능 강화, 승강로프의 손상 방지, 제조 용이성 등을 제공한다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by introducing the structure of the round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into the receiving groove accommodating the hoisting rope, as well as facilitating the joining of the hoisting rope as well as strengthening the anti-departure function of the hoisting rope, preventing damage to the hoisting rope, ease of manufacturing, etc.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도 1은 본 시브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시브의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시브의 제조 과정에 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관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the sieve.
2 is a sid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sieve.
Figure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ieve.
4 is a diagram of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changes and can have a variety of forms, the implementation (態 樣, aspect) (or embodiments) to describe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ure form,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sun, 態 樣, aspect) (or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 include ~ or ~ consist of ~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1 ~, ~ 2 ~,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only refer to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and the name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It may not match.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브(이하 본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levator she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을 위해 구비되는 시브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중앙의 메인 바디(1)와 그 외곽의 리프팅 풀리(2)를 포함한다.The device relates to a sheave provided for lifting of an elevator, and as shown in FIGS. 1 to 2, largely includes a main body 1 in the center and a lifting pulley 2 in the outer part.

이러한 본 장치는 메인 바디(1)의 외경 대비 리프팅 풀리(2)의 외경을 최적화함으로써 효율적인 시브 구조를 제공한다는 효과를 갖는다.This device has an effect of providing an efficient sheave structure by optimiz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lifting pulley 2 compare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main body 1.

구체적으로, 메인 바디(1)는 본 장치의 기초가 되는 구성으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회전축이 결합되는 축설공(11)을 구비한 몸체부(12) 및 이 몸체부(12)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연결된 리브부(13)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main body (1) is a configuration that is the basis of the device, as shown in Figures 1 to 2, the body portion 12 having a shaft hole (11)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in the center and this It includes a rib portion 13 radi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12.

회전축에는 본 장치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축이 결합되고, 몸체부(12)는 메인 바디(1)의 중심 구성이며, 리브부(13)는 몸체부(12)와 리프팅 풀리(2) 간의 연결을 제공함과 더불어 엘리베이터의 하중 등과 같은 외력에 저항하는 구성이다.The rotating shaft is coupled to a rotating shaft that enables the rotation of the device, the body portion 12 is the central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1, and the rib portion 13 is a connection between the body portion 12 and the lifting pulley 2 In addition to providing, it is a component that resists external forces such as the load of an elevator.

이러한 메인 바디(1)는 중심에 몸체부(12)가 구비되고, 몸체부(12)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리브부(13)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main body 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ody portion 12 is provided at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rib portions 13 are radi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12.

다음으로, 리프팅 풀리(2)는 본 장치의 회전 방향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승강 카가 승강될 수 있도록 승강로프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 메인 바디(1)의 외측에 구비되고 리브부(13)가 연결되며 외면에 리프팅 와이어가 결합되는 수용홈(20)을 포함한다.Next, the lifting pulley (2)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ifting rope is coupled so that the lifting car of the elevator can be elev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evice, as shown in FIGS. 1 to 2, the main body (1) in a ring shape )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rib portion 13 is connected and includes a receiving groove 20 to which the lifting wire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리프팅 풀리(2)와 상기한 메인 바디(1)는 기본적으로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분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특별히 어느 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리프팅 풀리(2)와 메인 바디(1)는 모두 승강 카의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수준에서 요구하는 것 이상의 강성을 가진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The lifting pulley 2 and the main body 1 described above are preferably basically integrally formed, but may be formed of powder if necessary, and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form. However, since both the lifting pulley 2 and the main body 1 must be able to withstand the load of the hoisting car, they can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tiffness higher than that required at a general level.

상기에서, 메인 바디(1)의 핵심 구성인 몸체부(12)와 리프팅 풀리(2)의 외경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리프팅 풀리(2)의 외경 조건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리프팅 풀리(2)는 승강 카의 하중을 비롯한 각 종 외력이 상시 작용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리프팅 풀리(2)의 외경이 너무 크면 리프팅 풀리(2)의 소재 채택에 있어서 과도한 강성을 요구하게 되고, 리프팅 풀리(2)는 승강로프와 결합하여 승강 카의 승강을 실현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리프팅 풀리(2)의 외경이 너무 작으면 회전 당 승강 카의 변위가 감소하여 시브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진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시브의 두께 증대는 설치 공간을 과도하게 요구한다는 점에서 적절히 제한될 필요가 있다.In the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diameters of the body portion 12 and the lifting pulley 2, which are the core components of the main body 1, satisfy certain conditions. This is for limiting the outer diameter condition of the lifting pulley 2, and considering that the external force of each type including the load of the lifting car is always applied, the lifting pulley 2 is too large to lift the pulley if the outer diameter of the lifting pulley 2 is too large. Considering that the adoption of the material in (2) requires excessive stiffness, and the lifting pulley (2) is combined with the lifting rope to realize the lifting of the lifting car, if the outer diameter of the lifting pulley (2) is too small, it is rotated. This is becau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placement of the hoisting car decreases and the thickness of the entire sheave becomes thicker. In particular, the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sheave needs to be appropriately limited in that it requires excessive installation space.

상기한 몸체부(12) 및 리프팅 풀리(2)의 외경 조건은 몸체부의 외경(OD1) : 리프팅 풀리의 외경(OD2)이 1: 2 ~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리프팅 풀리의 외경(OD2)(이하의 분체 구성 실시에서는 중앙몸체(H1)의 외경)은 몸체부의 외경(OD1)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가령 리프팅 풀리의 외경(OD2)이 몸체부의 외경(OD1) 대비 2배보다 작으면 두께 증대 문제가 발생하고 2.5배보다 크면 소재 채택에 어려움이 따른다.The outer diameter condition of the body portion 12 and the lifting pulley 2 is preferably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OD1): the outer diameter (OD2) of the lifting pulley is 1: 2 to 2.5. The outer diameter (OD2) of the lifting pulley (in the following powder configuration implementation, the outer diameter of the central body (H1))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uter diameter (OD1) of the body, for example, the outer diameter (OD2) of the lifting pulley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OD1) If it is smaller than 2 times, the problem of thickness increase occurs, and if it is larger than 2.5 times, it is difficult to adopt a material.

추가적인 특징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리프팅 풀리(2)의 외경을 따라 복수 구비된 수용홈(20) 리프팅 와이어의 외주연에 상응하는 곡률을 갖는 라운드부(21)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As an additional feature, as shown in FIG. 2, the apparatus includes a round portion 21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fting groove 2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along the outer diameter of the lifting pulley 2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이러한 수용홈(20)은 전체적으로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홈 구조를 갖고, 이는 결국 승강로프의 삽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수용홈(20)의 하단의 폭은 승강로프의 직경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고, 수용홈(20)의 상단의 폭은 승강로프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승강로프의 삽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수용홈(20)의 상단의 폭이 승강로프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근소한 차이만을 갖는 경우 승강로프가 정확한 위치에 걸리지 않으면 잘 삽입되지 않는데 비해, 수용홈(20)이 하협상광 구조를 갖는 경우 걸림 없이 쉽게 삽입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승강로프가 삽입된 상태에서 승강로프는 하방으로의 외력만 받는다는 점 때문에 수용홈(20) 외부로의 이탈이 다른 홈 구조에 비해서 민감하지 않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The receiving groove 20 has a groove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is widened toward the top as a whole, which in turn makes it possible to insert the hoisting rope more smoothly. The width of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groove 20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lifting rope, and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groove 20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lifting rope. Accordingly, the insertion of the hoisting rope can be made more easily, but when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groove 20 is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hoisting rope or has only a slight difference, the hoisting rope is not inserted well unless it is in the correct position. If the receiving groove 20 has a lower-narrow light structure, it can be easily inserted without jamming. This is to consider that the departure from the receiving groove 20 outside the receiving groove 20 is not sensitive compared to other groove structures, in particular, because the lifting rope receives only the external force from the downward direction while the lifting rope is inserted.

다만, 하협상광 구조의 수용홈(20)에 관한 실시에서, 수용홈(20)의 상단 폭이 너무 크게 되면 승강로프의 이탈 둔감성에도 불구하고 승강로프가 이탈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바람직한 한도는 라운드부(21)의 양단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가 30도인 것이다.However,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receiving groove 20 of the lower negotiation light structure, if the upper width of the receiving groove 20 is too large, it is limited to some extent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ifting rope may deviate despite the desensitization of the lifting rope. Preferably, the preferred limit is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tangent of both ends of the round portion 21 is 30 degrees.

추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수용홈(20)이 라운드부(21)의 양단에 형성된 경사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사부(22)는 수용홈(20)의 상단 폭을 상기 라운드 구조와 대비하여 보다 크게 하는 것으로 승강로프가 정위치에 삽입되지 않아도 경사부(22)가 가이드 역할을 하여 수용홈(20) 내부로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apparatu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groove 20 may further include an inclined portion 22 formed at both ends of the round portion 21. The inclined portion 22 increases the upper width of the receiving groove 20 in comparison with the round structure, and the inclined portion 22 serves as a guide even when the hoisting rope is not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0.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아울러 승강로프의 삽입 시에 모서리 부분에 의해 승강로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함께 부여한다.In addition, when inserting the hoisting rop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hoisting rope from being damaged by the edge portion is also provided.

도 3에는 이러한 본 장치의 제조 과정에 관한 실시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3 shows the implementa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is device.

본 장치의 제조 과정은 크게 두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제1단계는 제1가공장치(100)에서 본 장치의 면 부위와 축 부위가 가공되는 단계이고, 제2단계는 제2가공장치(200)에서 본 장치의 홈이 가공되는 단계이다.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evice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wo steps. The first step is a step in which the surface part and the shaft part of the device are processed in the first process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step is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200. ) Is the step of processing the groove of the device.

제1단계를 수행하는 제1가공장치(100)는 회전 구동하는 제1베이스, 그리고 제1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된 제1가공부를 포함한다. 제1가공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시브의 면과 축 부위를 가공하는데, 해당 가공은 밀링, 선반, 절삭, 면처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통상의 기술을 따르는 것으로 한다.The first processing device 100 performing the first step includes a first base that is rotationally driven, and a first processing unit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The first processing part processes the surface and the axial part of the sheave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ocessing may include milling, lathe, cutting, surface treatment, etc., and more specific details are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technique is followed.

제2단계를 수행하는 제2가공장치(200)는 회전 구동하는 제2베이스, 그리고 제2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된 제2가공부를 포함한다. 제2가공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시브의 홈을 가공하는데, 해당 가공은 천공, 홈파기, 절삭, 표면가공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역시 통상의 기술을 따르는 것으로 한다.The second processing device 200 performing the second step includes a second base that is rotationally driven, and a second processing unit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The second processing part processes the groove of the sheave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ocessing may include perforation, grooving, cutting, surface processing, etc., and it is also assumed to follow a conventional technique.

한편, 리프팅 풀리(2)는 메인 바디(1)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분체로 구성될 수 있는데, 특히 분체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일부는 메인 바디(1)와 일체로 구성되고 또 다른 일부는 메인 바디(1)와 분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소개하는 실시예에서는 승강로프 이탈 방지 기능 강화, 승강로프 보호와 더불어 제작 용이성을 위해 리프팅 풀리(2)를 메인 바디(1)와 일체를 이루는 부분과 이 부분에 대하여 분체로 구성되는 부분으로 구분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한정한다.On the other hand, the lifting pulley 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1, or may be composed of powder. Particularly, even when composed of powder, some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1 and another part May be composed of a main body (1) and powder. In the embodiment to be introduced below, the lifting pulley 2 is divided into a part integral with the main body 1 and a part composed of a powder for this part, in order to strengthen the lifting rope detachment prevention function, protect the lifting rope, and facilitate manufacturing. It is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추가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장치는 리프팅 풀리(2)가 수용홈(20)이 형성된 중앙몸체(H1), 중앙몸체(H1)의 전후방에 각각 결합되고 중앙몸체(H1)보다 큰 외경을 갖는 프로텍터(H2) 및, 중앙몸체(H1)와 프로텍터(H2)를 결합 및 밀폐시키는 밀폐결합수단을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the present device is a lifting pulley (2) i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central body (H1), the central body (H1), the receiving groove 20 is formed, each having an outer diameter greater than the central body (H1) Characterized in that it may include a protector (H2), and the central body (H1) and the protector (H2) for coupling and sealing the sealing means.

이러한 프로텍터(H2)는 중앙몸체(H1)보다 큰 외경을 갖기 때문에 한 쌍의 프로텍터(H2) 사이에 수용홈(20) 및 승강로프가 존재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외부 요인으로부터 승강로프의 파손, 절단을 방지한다. 또한 프로텍터(H2)는 승강로프의 이탈 방지 기능을 강화하는 효과를 갖는다.Since such a protector (H2) has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the central body (H1), the receiving groove (20) and the elevating rope are present between the pair of protectors (H2), resulting in damage and cutting of the elevating rope from external factors. prevent. In addition, the protector (H2) has an effect of strengthening the departure preventing function of the lifting rope.

상기에서, 프로텍터(H2)는 중앙몸체(H1)에 결합되는 형태를 취하는데, 이와 같이 프로텍터(H2)를 중앙몸체(H1)와 분체로 제작하는 경우, 프로텍터(H2)와 중앙몸체(H1) 간의 분리 문제, 결합 부위의 틈새로 이물질이나 물 등이 침투하여 부식 및 손상을 유발하는 문제 등에 노출되게 된다.In the above, the protector (H2) takes the form of being coupled to the central body (H1), in this way, when the protector (H2) is made of a central body (H1) and powder, the protector (H2) and the central body (H1) It is exposed to problems such as separation of livers, foreign matter or water penetrating into the gaps of the bonding sites, causing corrosion and damage.

상기한 바와 같은 리프팅 풀리(2)의 분체 구성에 따른 결합력 및 밀폐성 약화를 보강하기 위해 중앙몸체(H1)와 프로텍터(H2)를 결합시키고 중앙몸체(H1)와 프로텍터(H2) 간의 결합 부위를 밀폐하는 밀폐결합수단(C)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ral body (H1) and the protector (H2) are combined to reinforce the weakening of the bonding force and sealing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owder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pulley (2) as described above, and the bonding portion between the central body (H1) and the protector (H2) is seal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may further include a closed coupling means (C).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밀폐결합수단(C)이 중앙몸체(H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결착홈(C1), 결착홈(C1)의 벽면에 형성된 연장홈(C2), 연장홈(C2)의 벽면에서 프로텍터(H2) 측으로 형성된 입출공(C3), 프로텍터(H2)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결착홈(C1)에 삽입되는 결착돌기(C4), 프로텍터(H2)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입출공(C3)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도킹홈(C5), 결착돌기(C4)의 외면에 구비된 밀폐부재(C6) 및 입출공(C3)에 수용되어 전후진하고 후단이 연장홈(C2) 측으로 노출되며 전진 시에 전단이 도킹홈(C5)에 삽입되는 도킹핀(C7)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4,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ealing engagement means (C)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entral body (H1), the binding groove (C1), the binding groove (C1) on the wall surface Formed elongate groove (C2), elongation groove (C2) formed on the wall surface to the protector (H2) side of the entry and exit hole (C3), the protector (H2) i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and inserted into the binding groove (C1) binding projection (C4) , Docking groove (C5) provi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protector (H2) and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try / exit hole (C3), the sealing member (C6) and the entry / exit hole (C3)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inding projection (C4) It is accommodated back and forth, the rear end is exposed toward the extension groove (C2), and the front end includes a docking pin (C7) inserted into the docking groove (C5).

아울러 상기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밀폐부재(C6)가 임계치 이상의 충격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부(C61) 및 발열부(C61)의 외측에 구비되어 발열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부(C62)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4,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C61) and the heat generating portion (C61) that the sealing member (C6) generates heat by an impact of a threshold value or more and expands due to heat generation It includes an expansion portion (C62).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를 기준으로 상, 하, 좌, 우를 설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방향 특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요소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4. The specification of these direction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element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4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결착홈(C1)은 중앙몸체(H1)의 단부 측에 중앙몸체(H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홈으로, 이 결착홈(C1)의 전체 형상은 중앙몸체(H1)의 형상을 따른다.Referring to Figure 4, in more detail, first, the binding groove (C1) is a groov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entral body (H1) on the end side of the central body (H1), the overall shape of the binding groove (C1) Follows the shape of the central body (H1).

그리고 연장홈(C2)은 결착홈(C1)의 벽면(도면 기준 측벽면)에 형성된 홈으로, 역시 연장홈(C2)의 전체 형상은 중앙몸체(H1)의 형상을 따른다. 즉, 상기한 결착홈(C1)과 연장홈(C2)은 중앙몸체(H1)의 둘레를 따라 연속된 홈 구조를 취한다.And the extended groove (C2) is a groove formed on the wall surface (the reference side wall of the drawing) of the binding groove (C1), and also the overall shape of the extended groove (C2) follows the shape of the central body (H1). That is, the above-described binding groove (C1) and the extension groove (C2) take a continuous groove structur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entral body (H1).

상기 입출공(C3)은 연장홈(C2)의 벽면에서 프로텍터(H2) 측으로 형성되며 프로텍터(H2) 측으로 노출된 통공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entry / exit hole C3 is formed at the side of the protector H2 on the wall surface of the extension groove C2 and may be configured as a through hole exposed at the side of the protector H2.

그리고 결착돌기(C4)는 프로텍터(H2)의 둘레를 따라 하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어 중앙몸체(H1)와 프로텍터(H2) 간의 결합 시에 결착홈(C1)에 삽입된다. 이러한 결착돌기(C4)의 전체 형상은 프로텍터(H2)의 형상을 따르며, 바람직하게는 결착홈(C1)의 형상에 상응하는 연속된 돌기 구조를 취하는 것이다.And the binding projection (C4)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to the bottom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rotector (H2) is inserted into the binding groove (C1) 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central body (H1) and the protector (H2). The overall shape of this binding projection (C4) follows the shape of the protector (H2), preferably taking a continuous protrusion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inding groove (C1).

그리고 도킹홈(C5)은 프로텍터(H2)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형성된 홈으로, 프로텍터(H2)의 둘레를 따라 상기한 입출공(C3)에 상응하는 위치 및 형상을 갖는다.And the docking groove (C5) is a groove form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protector (H2), and has a position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above-mentioned entry / exit hole (C3) along the perimeter of the protector (H2).

그리고 밀폐부재(C6)는 결착돌기(C5)의 외면에 구비되는데, 이러한 밀폐부재(C6)는 임계치 이상의 충격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부(C61) 및 발열부(C61)의 외측에 구비되어 발열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부(C62)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발열부(C61)는 아세트산나트륨 80 중량부 대비 물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열부(C61)는 아세트산나트륨을 물에 과포화 상태로 용해시킴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And the sealing member (C6)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inding projection (C5), the sealing member (C6)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heating unit (C61) and the heating unit (C61) to generate heat by the impact of a threshold or higher to generate heat It includes an expansion portion (C62) to expand by. In more detail, the heating part C61 may include 50 parts by weight of water compared to 80 parts by weight of sodium acetate. In addition, the heating unit C61 may be provided by dissolving sodium acetate in supersaturated water.

이러한 발열부(C61)는 프로텍터(H2)와 중앙몸체(H1) 간의 결합 과정에서 결착돌기(C5)의 하단과 결착홈(C1)의 저면 간의 접촉에 의해 가압되면서 임계치 이상의 충격을 받아 발열하게 되며, 그 발열 온도는 약 50 ~ 90℃이다.The heat generating part (C61) is heated by receiving a shock over a threshold while being pressed by contact between the bottom of the binding protrusion (C5)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inding groove (C1) during the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protector (H2) and the central body (H1). , The exothermic temperature is about 50 ~ 90 ℃.

팽창부(C62)는 발열부(C51)의 발열에 의해 팽창하면서 연장홈(C2)을 채우는데, 이러한 팽창부(C62)는 셀룰로스 에스테르 100 중량부 대비, 폴리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 중량부 및 하이드로 플루오르 에테르 13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expansion portion (C62) fills the extension groove (C2) while expanding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portion (C51), and this expansion portion (C62) is 1 part by weight of polyol di (meth) acrylate compared to 100 parts by weight of cellulose ester. And 13 parts by weight of hydro fluorine ether.

상기에서, 셀룰로스 에스테르는 중합성 단량체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고분자로서 사용되고,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120℃인데, 후술하는 가교제에 의해 유리전이온도가 55℃까지 낮아진다. 팽창부(C62)의 기타 조성물은 이 셀룰로스 에스테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In the above, cellulose ester is used as a thermoplastic polymer constituting the polymerizable monomer,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30 to 120 ° C., bu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lowered to 55 ° C. by a crosslinking agent described later. The other composition of the expanded portion (C62) i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is cellulose ester.

폴리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는 팽창부(C62)의 유리전이온도를 낮추어 낮은 온도에서 발포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폴리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는 너무 적으면 증점 효과가 미미하여 발포 도중 쉽게 찢어질 수 있고, 과도하면 가교밀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발포배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반복 실험 결과 최적의 발포 특성을 보이는 함량은 4 중량부였다.The polyol di (meth) acrylate has an effect of lower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expanded portion (C62) and allowing foaming at a low temperature. If the polyol di (meth) acrylate is too small, the thickening effect is insignificant and can be easily torn during foaming. If excessive, the crosslinking density is excessively high, thereby deteriorating the foaming magnification. As a result of repeated experiments, the content showing optimal foaming properties was 4 parts by weight.

하이드로 플루오르 에테르는 발포제로서 첨가되고, 그 함량은 1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팽창부(C62)는 발열부(C61)에 의해 가열되면 열가소성 고분자가 연화되면서 동시에 발포제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부피가 팽창하게 된다.The hydrofluor ether is added as a blowing agent, and the content is preferably 13 parts by weight. When the expansion portion (C62) is heated by the heating portion (C61), the thermoplastic polymer softens, and at the same tim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lowing agent rises to expand the volume.

다음, 도킹핀(C7)은 후단이 연장홈(C2) 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한 입출공(C3)에 수용되며, 팽창부(C62)의 팽창에 의해 밀려서 전진하여 그 전단이 도킹홈(C5)에 삽입된다. 예시적으로 이러한 도킹핀(C7)의 수용 상태에서의 이탈 방지는 돌기 형태의 스토핑 구조 등을 채택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구체적 사항은 기 공지된 기술 및 통상의 기술자의 일반상식을 따르는 것으로 한다.Next, the docking pin (C7) is accommodated in the above-described entry / exit hole (C3) with the rear end exposed toward the extension groove (C2), and is pushed forward by the expansion of the expansion portion (C62) to advance the front end of the docking groove (C5). ). Exemplarily, the prevention of departure from the receiving state of the docking pin C7 may adopt a protruding stopping structure, etc., and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is are to follow the well-known technology and general common knowledge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

상기한 밀폐결합수단(C)은 단순히 중앙몸체(H1)와 프로텍터(H2)를 결합하는 행위만으로, 중앙몸체(H1)와 프로텍터(H2) 간의 결합부위에 발생하는 틈새를 완전하게 밀폐함과 더불어, 중앙몸체(H1)와 프로텍터(H2) 간의 결합력 향상과 결합 안정성을 보장한다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sealing means (C) described above is simply an act of combining the central body (H1) and the protector (H2), and completely closes the gap occurring at the joint between the central body (H1) and the protector (H2). , It provide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central body (H1) and the protector (H2) and ensures the bonding stability.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밀폐결합수단(C)의 동작 및 효과를 정리하면, 도 4 좌측 원 영역의 상태에서, 중앙몸체(H1)와 프로텍터(H2) 간의 결합 시에 발열부(C61)가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발열되면서 팽창부(C62)를 팽창시키고, 이에 도 4 우측 원 영역과 같이 중앙몸체(H1)와 프로텍터(H2) 간의 틈새가 메워져 완전히 밀폐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팽창부(C62)가 팽창하여 연장홈(C2)에 충진되면서 도킹핀(C7)을 밀어내어 전진시키고, 전진된 도킹핀(C7)이 도킹홈(C5)에 삽입되면서 중앙몸체(H1)와 프로텍터(H2) 간의 결합 및 잠금 구조를 실현한다.Summarizing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hermetic coupling means (C) with reference to FIG. 4, in the state of the left circle region in FIG. 4, the heating unit (C61) is applied upon coupling between the central body (H1) and the protector (H2). As the paper is heated by the impact, the expansion portion (C62) expands, and thus the gap between the central body (H1) and the protector (H2) is filled as shown in the right circle region in FIG. And in this process, the expansion portion (C62) expands and fills the extension groove (C2) while pushing the docking pin (C7) to advance, and the advanced docking pin (C7) is inserted into the docking groove (C5) and the central body A coupling and locking structure between (H1) and protector (H2) is realized.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메인 바디
11: 축설공 12: 몸체부
13: 리브부
2: 리프팅 풀리
20: 수용홈 21: 라운드부
22: 경사부
H1: 중앙몸체 H2: 프로텍터
100: 제1가공장치 200: 제2가공장치
1: main body
11: Snow hole 12: Body part
13: rib part
2: lifting pulley
20: receiving home 21: round part
22: slope
H1: Central body H2: Protector
100: first processing device 200: second processing device

Claims (4)

중심에 회전축이 결합되는 축설공을 구비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연결된 리브부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및
링 형상으로 상기 메인 바디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리브부가 연결되며 외면에 리프팅 와이어가 결합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리프팅 풀리;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외경 : 상기 리프팅 풀리의 외경이 1 : 2 ~ 2.5이고,
상기 리프팅 풀리는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 중앙몸체, 상기 중앙몸체의 전후방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중앙몸체보다 큰 외경을 갖는 한 쌍의 프로텍터 및, 상기 중앙몸체와 상기 프로텍터를 결합 및 밀폐시키는 밀폐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결합수단은 상기 중앙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결착홈, 상기 결착홈의 벽면에 형성된 연장홈, 상기 연장홈의 벽면에서 상기 프로텍터 측으로 형성된 입출공, 상기 프로텍터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결착홈에 삽입되는 결착돌기, 상기 프로텍터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입출공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도킹홈, 상기 결착돌기의 외면에 구비된 밀폐부재 및 상기 입출공에 수용되어 전후진하고 후단이 상기 연장홈 측으로 노출되며 전진 시에 전단이 상기 도킹홈에 삽입되는 도킹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브.
A main body including a body portion having a shaft hole to which a rotating shaft is coupled to the center and a rib portion radi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 lifting pulley provided on an outer side of the main body in a ring shape and including a receiving groove to which the ribs are connected and a lifting wire coupled to an outer surface;
Includ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the outer diameter of the lifting pulley is 1: 2 ~ 2.5,
The lifting pulley includes a central body in which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a pair of protectors each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central body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central body, and a sealing coupling means for joining and sealing the central body and the protector and,
The sealing coupling means is a binding groov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entral body, an extension groove formed in the wall surface of the binding groove, an entry / exit hole formed in the protector side on the wall surface of the extension groove, and provid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protector The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ircumference of the protector, the docking groov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try / exit hole, the sealing membe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rotrusion, and accommodated in the entry / exit hole to move back and forth and the rear end extend the groove. Elevator sheav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ocking pin that is exposed to the side and is inserted into the docking groove when shearing forw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리프팅 와이어의 외주연에 상응하는 곡률을 갖는 라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라운드부의 양단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가 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groove includes a round portion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fting wire,
An elevator sheave comprising an angle formed by a tangent line at both ends of the round portion is 30 degree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라운드부의 양단에 형성된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receiving groove is an elevator sheav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clined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round portion.
삭제delete
KR1020190142698A 2019-11-08 2019-11-08 Sheave for elevator KR1021136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698A KR102113635B1 (en) 2019-11-08 2019-11-08 Sheave for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698A KR102113635B1 (en) 2019-11-08 2019-11-08 Sheave for ele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635B1 true KR102113635B1 (en) 2020-05-21

Family

ID=70910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698A KR102113635B1 (en) 2019-11-08 2019-11-08 Sheave for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63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5739A (en) * 1957-01-15 1960-02-23 Livermore Corp H F Harness sheaves
KR102013159B1 (en) * 2018-10-17 2019-08-22 민병규 Sehave for elev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5739A (en) * 1957-01-15 1960-02-23 Livermore Corp H F Harness sheaves
KR102013159B1 (en) * 2018-10-17 2019-08-22 민병규 Sehave for elev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96771B (en) Cutting insert, milling tool, and cutting method
KR102113635B1 (en) Sheave for elevator
CN1650111A (en) Blind rivet
TWI447307B (en) Externally splined fastener
NO337758B1 (en) The whipstock
KR102138196B1 (en) Connection elements for forming friction-welding connections
AU20152792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sealing tubular connection in a wellbore
US6505970B2 (en) Thrust dynamic pressure bearing
EA020831B1 (en) Device for applying an expandable skirt having application diameter control upon advance
US6722428B2 (en) Apparatus for suspending a pipe within a well casing
JP6112918B2 (en) Pipe connection structure for civil works
CA3122795A1 (en) Threaded connection for steel pipe
CN215629934U (en) Ground anchor
CN205654318U (en) Cover mills integration instrument of salvaging
CN106522869B (en) Pit shaft throws stifled devic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CN206319853U (en) Pit shaft throws stifled device
JP4103595B2 (en) Drilling tools
JP3900486B2 (en) Steel pipe pile for embedded pile
CN112012683A (en) Releasing tool for coiled tubing
CN214741226U (en) Slip starting device for intelligent opening device and intelligent opening device
CN217106931U (en) Pipeline sealing structure and downhole operation tool
CN107916906A (en) A kind of handling can move back the fishing spear of back-off
CN212249821U (en) Torsion impactor outer tube and torsion impactor
CN206937252U (en) A kind of electric tool cable jacket
CN209413877U (en) A kind of oil/gas well patching tube extrac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