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236B1 -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236B1
KR102113236B1 KR1020180070880A KR20180070880A KR102113236B1 KR 102113236 B1 KR102113236 B1 KR 102113236B1 KR 1020180070880 A KR1020180070880 A KR 1020180070880A KR 20180070880 A KR20180070880 A KR 20180070880A KR 102113236 B1 KR102113236 B1 KR 102113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peaker
search
personal
patter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3210A (ko
Inventor
김주일
최정은
곽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80070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236B1/ko
Publication of KR20190143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06F16/437Administration of user profiles, e.g. generation, initialisation, adaptation, distrib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화자 음성 인증을 이용하여 개인화된 검색 패턴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자 음성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입력된 화자 음성을 처리하여 기동어를 식별하는 기동어 식별부와, 멀티미디어 장치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전송하는 통신부와, 입력부, 기동어 식별부, 그리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화자 음성이 입력되면 입력된 화자 음성이 기동어인지를 식별하도록 기동어 식별부를 제어하고, 화자 음성이 기동어이면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인증을 수행하며, 화자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된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며, 생성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멀티미디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RIVATE SEARCH PATTERN GUIDE}
본 발명은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자 음성 인증을 이용하여 개인화된 검색 패턴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는, 인간의 언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석 방법을 통해 기계적인 형태로 변환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이를 다시 인간이 해석할 수 있는 형태소 만드는 기술도 포함하고 있다.
자연어 처리는, 인공지능의 하위 분야로 1960년대의 인공지능을 만들려던 시도가 실패한 후에 인간의 언어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기술이 세분화되면서 파생된 기술 분야로서, 언어공학, 인공지능, 전산언어학의 연구 분야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자연어(Natural Language)는, 프로그래밍 언어처럼 사람이 인공적으로 만든 언어가 아닌 과거에 오랜 시간을 거쳐 자연스럽게 발생한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해 온 한국어나 영어 같은 언어를 의미한다.
한편, TV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장치의 화면에 검색 가이드를 제공하는 장치는, 텍스트 검색의 경우, 검색 진행에 따라 추천어 및 연관어 등을 제공하여 검색의 편의성을 높이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검색 가이드 제공 장치가 자연어 처리가 가능할 경우에는, 음성 검색 기능도 제공할 수 있는데, 음성 검색의 경우, 마이크 표시나 검색을 위한 호출어 가이드 등을 제공하여 검색의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검색 가이드 제공 장치는, 텍스트 검색이나 음성 검색의 경우, 개인별로 최적화된 검색 패턴 가이드를 제공하지 못하므로, 검색 성공률이 매우 낮고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활용한 상품 및 서비스 프로모션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들이 있었다.
따라서, 향후 개인화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제공하여 검색 성공률을 높이고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활용한 상품 및 서비스 프로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된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 및 제공함으로써, 음성 검색 성공률을 높이고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활용한 상품 및 서비스 프로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는, 화자 음성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입력된 화자 음성을 처리하여 기동어를 식별하는 기동어 식별부와, 멀티미디어 장치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전송하는 통신부와, 입력부, 기동어 식별부, 그리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화자 음성이 입력되면 입력된 화자 음성이 기동어인지를 식별하도록 기동어 식별부를 제어하고, 화자 음성이 기동어이면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인증을 수행하며, 화자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된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며, 생성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멀티미디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인증을 수행할 때, 기동어에 상응하는 화자 음성에 대한 화자 음성 신호 및 화자 인증 요청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고, 서버로부터 화자 인증 요청에 대한 화자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인증을 수행할 때, 기동어에 상응하는 화자 음성 신호와 미리 등록된 화자 음성 신호를 직접 비교하여 화자 인증을 수행하고, 화자 인증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인증된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할 때, 화자의 인증 정보 및 개인 프로파일 정보 요청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인증된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할 때, 화자의 인증 정보를 토대로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개인 프로파일 정보 테이블로부터 인증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다음, 제어부는,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항목별로 분류하며, 항목별로 분류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갖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키워드의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한 추출 기준율에 따라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추출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항목별로 분류할 때, 추출된 음성 검색 키워드가, 채널명 항목, 채널번호 항목, 컨텐츠명 항목, 컨텐츠장르 항목, 인물명 항목, 검색엔진명 항목, 그리고 검색어 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한 항목으로 분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는,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화자의 음성 특성을 분석하고,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분석한 음성 특성에 상응하는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제어부는,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화자의 음성 특성을 분석하여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분석한 음성 특성에 상응하는 음성 검색 키워드를 1차 추출하고, 1차 추출된 음성 검색 키워드들 중에서,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한 추출 기준율에 따라 음성 검색 키워드를 2차 추출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는,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추천 컨텐츠, 추천 광고, 추천 음성 검색 키워드, 추천 신규 서비스 프로모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다수의 항목들로 분류된 음성 검색 키워드 표시하는 제1 영역,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 추천 광고를 표시하는 제3 영역, 그리고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4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시스템은, 입력되는 화자 음성을 인증하고 인증된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정보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와,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에 통신 연결되고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표시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와,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에 통신 연결되고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의 요청에 따라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는, 화자 음성이 입력되면 입력된 화자 음성이 기동어인지를 식별하고, 화자 음성이 기동어이면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인증을 수행하며, 화자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된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며, 생성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멀티미디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방법은, 화자 음성을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된 화자 음성이 기동어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화자 음성이 기동어이면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화자 인증이 수행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화자 인증이 수행 완료되면 인증된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은,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된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 및 제공함으로써, 음성 검색 성공률을 높이고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활용한 상품 및 서비스 프로모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화자 인증을 통한 화자 프로파일 정보를 활용하여 검색 패턴을 개인화하고 TV 화면에 최적 검색 패턴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검색 성공률을 높일 수 있으며, 화자 인증을 통한 개인화된 검색 패턴 가이드의 실시간 제공을 통해 상품 광고 및 서비스 프로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매출 기여 컨텐츠의 검색을 유도할 수 있고, 특정 댁내 IoT 제어를 유도할 수 있으며, 소정의 신규 서비스 프로모션을 제공할 수도 있고, 맛집 등과 같이 관련 제휴 업체의 광고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검색 편의를 위해 인기 검색어를 제공할 수도 있고, 검색 실패 사례 등을 분석하여 이를 반영함으로써 검색 성공률이 높도록 검색 패턴을 유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멀티미디어 장치에 표시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의 음성 검색 키워드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 “전(앞) 또는 후(뒤)”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 및“전(앞) 또는 후(뒤)”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는, 자연어 처리가 가능한 대화형 서비스 장치로서, 통상 음성 인식 스피커라고도 지칭되며, 이외에도 인공지능 스피커, AI 스피커, 인공지능 비서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의 일 실시예로 챗봇(Chat Bot)을 들 수 있다. 챗봇(Chat bot)은 말 그대로 '채팅(Chatting)'과 '로봇(Robot)'의 합성어로써 사람처럼 대화(채팅)하는 로봇을 의미할 수 있다. 챗봇은 구글, 아마존, 애플 등에서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는 구글홈, 아마존 에코(echo), 시리 등의 가정용 기기일 수 있으며, 고객 응대 등을 하는 기업형 기기일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되는 이동 단말기일 수도 있다.
다른 경우로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는,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시스템은,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 멀티미디어 장치(100), 그리고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는, 멀티미디어 장치(100) 및 서버(200)에 통신 연결되어 입력되는 화자 음성을 인증하고 인증된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정보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장치(100)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에 통신 연결되고,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멀티미디어 장치(100)는,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어, 서버(200)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에 통신 연결되고,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의 요청에 따라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시스템에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는, 화자 음성이 입력되면 입력된 화자 음성이 기동어인지를 식별하고, 화자 음성이 기동어이면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인증을 수행하며, 화자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된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며, 생성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멀티미디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는, 화자 음성이 입력되면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분류를 수행하고, 화자 분류가 완료되면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며, 생성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멀티미디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는,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분류를 수행할 때, 화자 분류를 성별, 연령대별, 기분 상태별, 건강 상태별, 가족 구성원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음성의 주파수, 진폭 등 음성 내 포함된 정보들을 통해 성별, 연령대, 기분 상태, 건강 상태를 분류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장치 또는 서버를 통해 입력된 각각 다른 음성의 수를 확인하여 가족 구성원 수를 확인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는,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가 다수의 분류 항목에 중첩 분류될 수도 있다.
또한,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는,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화자 음성으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음성 검색 키워드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는, 화자 음성으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키워드의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한 추출 기준율에 따라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는, 화자 음성으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화자 음성으로부터 음성 검색 키워드를 검색하고,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 기준율을 산출하며,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무시하고,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는,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분류된화자에 상응하는 추천 컨텐츠, 추천 광고, 추천 음성 검색 키워드, 추천 신규 서비스 프로모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는,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다수의 항목들로 분류된 음성 검색 키워드 표시하는 제1 영역,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 추천 광고를 표시하는 제3 영역, 그리고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4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은,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표시하는 멀티미디어 장치(100), 개인 정보 패턴 가이드를 제공하는 서버(200), 그리고 멀티미디어 장치(100) 및 서버(200)에 통신 연결되어 입력되는 화자 음성을 서버(200)에 전송하고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개인 정보 패턴 가이드를 멀티미디어 장치(100)로 전송하는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200)는, 화자 음성이 수신되면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분류를 수행하고, 화자 분류가 완료되면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며, 생성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분류를 수행할 때, 화자 분류를 성별, 연령대별, 기분 상태별, 건강 상태별, 가족 구성원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경우에 따라, 서버(200)는,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가 다수의 분류 항목에 중첩 분류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200)는,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화자 음성으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음성 검색 키워드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200)는, 화자 음성으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키워드의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한 추출 기준율에 따라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200)는, 화자 음성으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화자 음성으로부터 음성 검색 키워드를 검색하고,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 기준율을 산출하며,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무시하고,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분류된화자에 상응하는 추천 컨텐츠, 추천 광고, 추천 음성 검색 키워드, 추천 신규 서비스 프로모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버(200)는,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다수의 항목들로 분류된 음성 검색 키워드 표시하는 제1 영역,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 추천 광고를 표시하는 제3 영역, 그리고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4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장치(100)에 표시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의 발화 문장을 참고하여 음성 명령을 입력하면 편리하게 음성 검색을 수행할 수 있고, 음성 검색 성공률이 높으며, 음성 검색 관련하여 자신에게 맞춤화된 상품 및 서비스 프로모션을 제공받을 수 있는 사용자 편의성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는, 화자 인증을 통한 화자 프로파일 정보를 활용하여 검색 패턴을 개인화하고 TV 화면에 최적 검색 패턴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검색 성공률을 높일 수 있으며, 화자 인증을 통한 개인화된 검색 패턴 가이드의 실시간 제공을 통해 상품 광고 및 서비스 프로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는, 화자 음성을 입력받는 입력부(310), 입력된 화자 음성을 처리하여 기동어를 식별하는 기동어 식별부(320), 멀티미디어 장치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전송하는 통신부(330), 그리고 입력부(310), 기동어 식별부(320), 그리고 통신부(330)를 제어하는 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40)는, 화자 음성이 입력되면 입력된 화자 음성이 기동어인지를 식별하도록 기동어 식별부(320)를 제어하고, 화자 음성이 기동어이면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인증을 수행하며, 화자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된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며, 생성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멀티미디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인증을 수행할 때, 기동어에 상응하는 화자 음성에 대한 화자 음성 신호 및 화자 인증 요청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30)를 제어하고, 서버로부터 화자 인증 요청에 대한 화자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는, 내부에 화자 인증부를 추가적으로 배치하지 않아도 되고, 내부 저장부에 인증 정보를 추가 저장하지 않아도 되므로, 내부 설계 구성을 단순화하고 메모리 저장 공간 확보가 유리하여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340)는,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인증을 수행할 때, 기동어에 상응하는 화자 음성 신호와 미리 등록된 화자 음성 신호를 직접 비교하여 화자 인증을 수행하고, 화자 인증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미리 등록된 화자 음성 신호는,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화자 음성 등록 테이블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 경우,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는, 내부의 화자 인증부를 이용하여 화자 인증을 수행하므로, 빠르고 신속하게 화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어, 제어부(340)는, 인증된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할 때, 화자의 인증 정보 및 개인 프로파일 정보 요청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30)를 제어하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는, 개인 프로파일 수집부를 추가적으로 배치하지 않아도 되고, 내부 저장부에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추가 저장하지 않아도 되므로, 내부 설계 구성을 단순화하고 메모리 저장 공간 확보가 유리하여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340)는, 인증된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할 때, 화자의 인증 정보를 토대로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개인 프로파일 정보 테이블로부터 인증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는, 내부의 개인 프로파일 수집부를 이용하여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수집하므로, 빠르고 신속하게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예로, 개인 프로파일 정보는, 화자의 식별 정보, 화자의 시청 환경 정보, 화자의 시청 이력 정보, 그리고 화자의 검색 이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화자의 식별 정보는, 화자의 연령, 성별, 거주 지역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화자의 시청 환경 정보는, 선호 채널 정보, 볼륨 정보, 시청 등급 정보, 영상 모드 정보, 오디오 모드 정보, 시청 예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 제어부(340)는,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항목별로 분류하며, 항목별로 분류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갖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40)는,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키워드의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한 추출 기준율에 따라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340)는,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음성 검색 키워드를 검색하고,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 기준율을 산출하며,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무시하고,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40)는,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무시할 때,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가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에 대한 추출 기준율이 모두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무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때,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가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에 대한 추출 기준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추출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항목별로 분류할 때, 추출된 음성 검색 키워드가, 채널명 항목, 채널번호 항목, 컨텐츠명 항목, 컨텐츠장르 항목, 인물명 항목, 검색엔진명 항목, 그리고 검색어 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한 항목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검색 키워드는, 하나의 항목에 하나씩 분류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수의 항목에 중복 분류될 수도 있다.
다음, 제어부(340)는, 추출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항목별로 분류할 때, 추출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이 항목별로 분류되면 각 항목별로 음성 검색 키워드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각 항목별로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배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40)는, 각 항목별로 음성 검색 키워드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할 때,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을 토대로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340)는, 각 항목별로 상기 음성 검색 키워드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할 때,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순위 항목, 인기도 순위 항목, 최신도 순위 항목, 노출시간 순위 항목,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순위 항목 중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항목에 따라 1차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1차 우선 순위가 서로 동일한 음성 검색 키워드가 존재하면 음색 검색 키워드가 포함되는 순위 항목에 대한 산출 비율에 따라 2차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로서, 제어부(340)는,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화자의 음성 특성을 분석하고,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분석한 음성 특성에 상응하는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화자의 음성 특성은, 화자의 연령, 성별 및 건강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제어부(340)는, 화자의 음성 특성을 분석할 때, 화자 음성 신호와 화자 음성 특성 요청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30)를 제어하고, 서버로부터 화자 음성 신호에 대한 화자 음성 특성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화자 음성 특성 정보를 토대로 화자의 음성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제어부(340)는,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화자의 음성 특성을 분석하여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분석한 음성 특성에 상응하는 음성 검색 키워드를 1차 추출하고, 1차 추출된 음성 검색 키워드들 중에서,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한 추출 기준율에 따라 음성 검색 키워드를 2차 추출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화자의 음성 특성은, 화자의 연령, 성별 및 건강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제어부(340)는, 1차 추출된 음성 검색 키워드들로부터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2차 추출할 때, 1차 추출된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 기준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1차 추출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무시하고,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1차 추출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2차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40)는, 1차 추출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무시할 때, 1차 추출한 음성 검색 키워드가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에 대한 추출 기준율이 모두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무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1차 추출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2차 추출할 때, 1차 추출한 음성 검색 키워드가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에 대한 추출 기준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1차 추출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2차 추출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340)는,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추천 컨텐츠, 추천 광고, 추천 음성 검색 키워드, 추천 신규 서비스 프로모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다수의 항목들로 분류된 음성 검색 키워드 표시하는 제1 영역,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 추천 광고를 표시하는 제3 영역, 그리고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4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의 제1 영역은, 채널명 음성 검색 키워드와 대표 발화 문장을 포함하는 채널명 항목 표시 영역, 채널번호 음성 검색 키워드와 대표 발화 문장을 포함하는 채널번호 항목 표시 영역, 컨텐츠명 음성 검색 키워드와 대표 발화 문장을 포함하는 컨텐츠명 항목 표시 영역, 컨텐츠장르 음성 검색 키워드와 대표 발화 문장을 포함하는 컨텐츠장르 항목 표시 영역, 채인물 음성 검색 키워드와 대표 발화 문장을 포함하는 인물명 항목 표시 영역, 검색엔진명 음성 검색 키워드와 대표 발화 문장을 포함하는 검색엔진명 항목 표시 영역, 그리고 검색어 음성 검색 키워드와 대표 발화 문장을 포함하는 검색어 항목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의 제3 영역은,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추천 정보 관련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이어,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의 제4 영역은, 가이드 메시지와 이전 발화 문장 이력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통신부(330)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와 외부 서버 사이, 또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와 멀티미디어 장치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33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31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31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는, 센싱부, 출력부, 인터페이스부, 메모리, 그리고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 내 정보,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마이크로폰(microphone),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부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햅팁 모듈,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인터페이스부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340)에 의하여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의 제어부(34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의 제어부(34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는, 제어부(34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300)는, 화자 음성을 입력받는 입력부, 멀티미디어 장치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전송하는 통신부, 그리고 입력부 및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화자 음성이 입력되면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분류를 수행하고, 화자 분류가 완료되면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며, 생성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멀티미디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분류를 수행할 때, 화자 분류를 성별, 연령대별, 기분 상태별, 건강 상태별, 가족 구성원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음성의 주파수, 진폭 등 음성 내 포함된 정보들을 통해 성별, 연령대, 기분 상태, 건강 상태를 분류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장치 또는 서버를 통해 입력된 각각 다른 음성의 수를 확인하여 가족 구성원 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가 다수의 분류 항목에 중첩 분류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는,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화자 음성으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음성 검색 키워드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화자 음성으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키워드의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한 추출 기준율에 따라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화자 음성으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화자 음성으로부터 음성 검색 키워드를 검색하고,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 기준율을 산출하며,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무시하고,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분류된화자에 상응하는 추천 컨텐츠, 추천 광고, 추천 음성 검색 키워드, 추천 신규 서비스 프로모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다수의 항목들로 분류된 음성 검색 키워드 표시하는 제1 영역,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 추천 광고를 표시하는 제3 영역, 그리고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4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된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 및 제공함으로써, 음성 검색 성공률을 높이고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활용한 상품 및 서비스 프로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화자 인증을 통한 화자 프로파일 정보를 활용하여 검색 패턴을 개인화하고 TV 화면에 최적 검색 패턴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검색 성공률을 높일 수 있으며, 화자 인증을 통한 개인화된 검색 패턴 가이드의 실시간 제공을 통해 상품 광고 및 서비스 프로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매출 기여 컨텐츠의 검색을 유도할 수 있고, 특정 댁내 IoT 제어를 유도할 수 있으며, 소정의 신규 서비스 프로모션을 제공할 수도 있고, 맛집 등과 같이 관련 제휴 업체의 광고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검색 편의를 위해 인기 검색어를 제공할 수도 있고, 검색 실패 사례 등을 분석하여 이를 반영함으로써 검색 성공률이 높도록 검색 패턴을 유도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멀티미디어 장치에 표시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의 음성 검색 키워드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400)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화면(110) 위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400)는, 다수의 항목들로 분류된 음성 검색 키워드 표시하는 제1 영역(410),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420), 추천 광고를 표시하는 제3 영역(430), 그리고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4 영역(440)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400)의 제1 영역(410)은, 다수의 항목(412), 각 항목에 상응하는 음성 검색 키워드(414), 그리고 각 음성 키워드에 상응하는 발화 문장(416)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이유는, 각 항목별로 음성 검색 키워드와 그의 발화 문장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분야의 음성 검색을 쉽고 빠르게 인지하고 수행할 수 있으므로, 향상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검색 성공율을 높일 수 있다.
일 예로, 채널명 항목 표시 영역(412-1)에는, 채널명 음성 검색 키워드(414)와 대표 발화 문장(416)을 포함할 수 있고, 채널번호 항목 표시 영역(412-2)에는, 채널번호 음성 검색 키워드(414)와 대표 발화 문장(41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컨텐츠명 항목 표시 영역(412-3)에는, 컨텐츠명 음성 검색 키워드(414)와 대표 발화 문장(41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장르 항목 표시 영역(412-4)에는, 컨텐츠장르 음성 검색 키워드(414)와 대표 발화 문장(416)을 포함할 수 있고, 인물명 항목 표시 영역(412-5)에는, 인물 음성 검색 키워드(414)와 대표 발화 문장(416)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검색엔진명 항목 표시 영역(412-6)에는, 검색엔진명 음성 검색 키워드(414)와 대표 발화 문장(416)을 포함할 수 있고, 검색어 항목 표시 영역(412-7)에는, 검색어 음성 검색 키워드(414)와 대표 발화 문장(41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400)의 제3 영역(430)은, 제2 영역(420)에 표시되는 추천 정보 관련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제2 영역(420)에 표시되는 추천 정보와 제3 영역(430)에 표시되는 관련 광고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매출 기여 컨텐츠를 검색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므로, 상품이나 서비스 프로모션에 대한 매출 기여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400)의 제3 영역(430)은, 제2 영역(420)의 추천 정보와 관련 없는 광고를 표시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제2 영역(420)에 표시되는 추천 정보와 제3 영역(430)에 표시되는 관련 없는 다른 광고를 통해, 사용자가 다양한 분야의 컨텐츠를 검색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므로, 상품이나 서비스 프로모션에 대한 매출 기여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400)의 제4 영역(440)은, 가이드 메시지와 이전 발화 문장 이력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사용자가 가이드 메시지 및 이전 발화 문장을 토대로, 쉽고 빠르게 음성 검색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향상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검색 성공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항목별로 분류하며, 항목별로 분류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갖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음성 검색 키워드를 검색하고,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 기준율을 산출하며,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무시하고,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이처럼,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는 이유는, 사용자 개인에게 최적화되고 검색 성공율을 높일 수 있는 음성 검색 키워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무시할 때,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가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에 대한 추출 기준율이 모두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무시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사용자 개인에게 불필요하거나 음성 검색 성공율이 낮은 음성 검색 키워드를 제거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음성 검색 키워드만을 제공하여 음성 검색 성공율을 높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의 개수가 적을 경우에는,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에 대한 추출 기준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무시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사용자에게 최소한의 음성 검색 키워드를 제공하여 쉽고 편리하게 음성 검색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때,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가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에 대한 추출 기준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출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항목별로 분류할 때, 추출된 음성 검색 키워드가, 채널명 항목, 채널번호 항목, 컨텐츠명 항목, 컨텐츠장르 항목, 인물명 항목, 검색엔진명 항목, 그리고 검색어 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한 항목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음성 검색 키워드를 항목별로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다양한 분야의 음성 검색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 본 발명은, 추출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항목별로 분류할 때, 추출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이 항목별로 분류되면 각 항목별로 음성 검색 키워드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각 항목별로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배열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음성 검색 키워드를 제공하여 쉽고 편리하게 음성 검색을 수행하고 음성 검색 성공율을 높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각 항목별로 음성 검색 키워드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할 때,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을 토대로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은, 각 항목별로 상기 음성 검색 키워드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할 때,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순위 항목, 인기도 순위 항목, 최신도 순위 항목, 노출시간 순위 항목,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순위 항목 중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항목에 따라 1차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1차 우선 순위가 서로 동일한 음성 검색 키워드가 존재하면 음색 검색 키워드가 포함되는 순위 항목에 대한 산출 비율에 따라 2차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사용자에게 가장 최적화된 음성 검색 키워드를 제공하여 쉽고 편리하게 음성 검색을 수행하고 음성 검색 성공율을 높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른 경우로서, 본 발명은,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화자의 음성 특성을 분석하고,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분석한 음성 특성에 상응하는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사용자에게 현재 가장 최적화된 음성 검색 키워드를 제공하여 쉽고 편리하게 음성 검색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경우로서, 본 발명은,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화자의 음성 특성을 분석하여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분석한 음성 특성에 상응하는 음성 검색 키워드를 1차 추출하고, 1차 추출된 음성 검색 키워드들 중에서,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한 추출 기준율에 따라 음성 검색 키워드를 2차 추출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사용자에게 현재 가장 최적화된 음성 검색 키워드를 제공하여 쉽고 편리하게 음성 검색을 수행하고 음성 검색 성공율을 높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은,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추천 컨텐츠, 추천 광고, 추천 음성 검색 키워드, 추천 신규 서비스 프로모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는, 먼저 기동어와 같은 화자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S100).
다음, 본 발명은, 입력된 화자 음성이 기동어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S200).
이어, 본 발명은, 화자 음성이 기동어이면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300).
여기서, 본 발명은,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인증을 수행할 때, 기동어에 상응하는 화자 음성에 대한 화자 음성 신호 및 화자 인증 요청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화자 인증 요청에 대한 화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화자 인증 정보를 토대로 화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은,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인증을 수행할 때, 기동어에 상응하는 화자 음성 신호와 미리 등록된 화자 음성 신호를 직접 비교하여 화자 인증을 수행하고, 화자 인증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화자 인증 정보를 토대로 화자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미리 등록된 화자 음성 신호는,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화자 음성 등록 테이블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화자 인증이 수행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400).
다음, 본 발명은, 화자 인증이 수행 완료되면 인증된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00).
여기서, 본 발명은, 인증된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할 때, 화자의 인증 정보 및 개인 프로파일 정보 요청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은, 인증된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할 때, 화자의 인증 정보를 토대로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개인 프로파일 정보 테이블로부터 인증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개인 프로파일 정보는, 화자의 식별 정보, 화자의 시청 환경 정보, 화자의 시청 이력 정보, 그리고 화자의 검색 이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은,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S600).
그리고, 본 발명은, 생성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전송할 수 있다(S70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는 단계(S600)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개인 프로파일 정보가 획득되면,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수 있다(S610).
이어, 본 발명은, 추출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항목별로 분류할 수 있다(S620).
다음, 본 발명은, 항목별로 분류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갖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S630).
여기서, 일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먼저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음성 검색 키워드를 검색한다(S612).
그리고, 본 발명은,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 기준율을 산출한다(S614).
다음, 본 발명은,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를 확인한다(S616).
여기서, 본 발명은,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한다(S618).
그리고, 본 발명은,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무시할 수 있다(S619).
다른 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화자의 음성 특성을 분석하고,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분석한 음성 특성에 상응하는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화자의 음성 특성을 분석할 때, 먼저 화자 음성 신호와 화자 음성 특성 요청 신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622).
그리고, 본 발명은, 서버로부터 화자 음성 신호에 대한 화자 음성 특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26).
다음, 본 발명은, 수신한 화자 음성 특성 정보를 토대로 화자의 음성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S626).
이어, 본 발명은,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분석한 음성 특성에 상응하는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S628).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은, 화자의 음성 특성을 분석할 때, 서버 요청 없이, 자체적으로 화자의 음성 특성을 분석하고,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분석한 음성 특성에 상응하는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먼저 화자의 음성 특성을 분석하여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분석한 음성 특성에 상응하는 음성 검색 키워드를 1차 추출하고, 1차 추출된 음성 검색 키워드들 중에서,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한 추출 기준율에 따라 음성 검색 키워드를 2차 추출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먼저 화자 음성 신호와 화자 음성 특성 요청 신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631).
그리고, 본 발명은, 서버로부터 화자 음성 신호에 대한 화자 음성 특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32).
다음, 본 발명은, 수신한 화자 음성 특성 정보를 토대로 화자의 음성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S633).
이어, 본 발명은,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분석한 음성 특성에 상응하는 음성 검색 키워드를 1차 추출할 수 있다(S634).
그리고, 본 발명은, 1차 추출된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 기준율을 산출한다(S635).
다음, 본 발명은,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를 확인한다(S636).
여기서, 본 발명은,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2차 추출한다(S637).
그리고, 본 발명은,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무시할 수 있다(S638).
한편, 도 6에서, 추출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항목별로 분류하는 단계(S620)는, 추출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이 항목별로 분류되면, 각 항목별로 음성 검색 키워드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각 항목별로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배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은, 각 항목별로 상기 음성 검색 키워드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할 때,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을 토대로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음성 검색 키워드를 제공하여 쉽고 편리하게 음성 검색을 수행하고 음성 검색 성공율을 높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각 항목별로 상기 음성 검색 키워드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할 때,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순위 항목, 인기도 순위 항목, 최신도 순위 항목, 노출시간 순위 항목,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순위 항목 중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항목에 따라 1차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1차 우선 순위가 서로 동일한 음성 검색 키워드가 존재하면 음색 검색 키워드가 포함되는 순위 항목에 대한 산출 비율에 따라 2차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사용자에게 가장 최적화된 음성 검색 키워드를 제공하여 쉽고 편리하게 음성 검색을 수행하고 음성 검색 성공율을 높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 6과 같이,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는 단계(S630)는,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추천 컨텐츠, 추천 광고, 추천 음성 검색 키워드, 추천 신규 서비스 프로모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는 단계(S630)는, 다수의 항목들로 분류된 음성 검색 키워드 표시하는 제1 영역,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 추천 광고를 표시하는 제3 영역, 그리고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4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영역 포함 이유는, 각 항목별로 음성 검색 키워드와 그의 발화 문장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분야의 음성 검색을 쉽고 빠르게 인지하고 수행할 수 있으므로, 향상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검색 성공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2, 제3 영역 포함 이유는,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추천 정보와 제3 영역에 표시되는 추천 광고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매출 기여 컨텐츠를 검색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므로, 상품이나 서비스 프로모션에 대한 매출 기여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4 영역 포함 이유는, 사용자가 가이드 메시지 및 이전 발화 문장을 토대로, 쉽고 빠르게 음성 검색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향상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검색 성공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는, 화자 음성을 입력받으면, 입력된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분류를 수행하고, 화자 분류가 수행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 다음, 화자 분류가 수행 완료되면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고, 생성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는, 화자 분류를 수행할 때, 화자 분류를 성별, 연령대별, 기분 상태별, 건강 상태별, 가족 구성원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의 주파수, 진폭 등 음성 내 포함된 정보들을 통해 성별, 연령대, 기분 상태, 건강 상태를 분류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장치 또는 서버를 통해 입력된 각각 다른 음성의 수를 확인하여 가족 구성원 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는,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가 다수의 분류 항목에 중첩 분류될 수도 있다.
또한,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는,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화자 음성으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음성 검색 키워드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는, 화자 음성으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키워드의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한 추출 기준율에 따라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는, 화자 음성으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화자 음성으로부터 음성 검색 키워드를 검색하고,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 기준율을 산출하며,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무시하고,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는,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분류된화자에 상응하는 추천 컨텐츠, 추천 광고, 추천 음성 검색 키워드, 추천 신규 서비스 프로모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는,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다수의 항목들로 분류된 음성 검색 키워드 표시하는 제1 영역,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 추천 광고를 표시하는 제3 영역, 그리고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4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시스템에서, 서버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장치로부터 화자 음성을 입력받으면, 입력된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분류를 수행하고, 화자 분류가 수행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 다음, 화자 분류가 수행 완료되면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고, 생성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장치는, 입력되는 화자 음성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개인 정보 패턴 가이드를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서버는, 화자 분류를 수행할 때, 화자 분류를 성별, 연령대별, 기분 상태별, 건강 상태별, 가족 구성원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의 주파수, 진폭 등 음성 내 포함된 정보들을 통해 성별, 연령대, 기분 상태, 건강 상태를 분류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장치 또는 서버를 통해 입력된 각각 다른 음성의 수를 확인하여 가족 구성원 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가 다수의 분류 항목에 중첩 분류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는,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화자 음성으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음성 검색 키워드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화자 음성으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키워드의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한 추출 기준율에 따라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화자 음성으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화자 음성으로부터 음성 검색 키워드를 검색하고,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 기준율을 산출하며,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무시하고,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분류된화자에 상응하는 추천 컨텐츠, 추천 광고, 추천 음성 검색 키워드, 추천 신규 서비스 프로모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버는,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다수의 항목들로 분류된 음성 검색 키워드 표시하는 제1 영역,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 추천 광고를 표시하는 제3 영역, 그리고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4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된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 및 제공함으로써, 음성 검색 성공률을 높이고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활용한 상품 및 서비스 프로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화자 인증을 통한 화자 프로파일 정보를 활용하여 검색 패턴을 개인화하고 TV 화면에 최적 검색 패턴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검색 성공률을 높일 수 있으며, 화자 인증을 통한 개인화된 검색 패턴 가이드의 실시간 제공을 통해 상품 광고 및 서비스 프로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매출 기여 컨텐츠의 검색을 유도할 수 있고, 특정 댁내 IoT 제어를 유도할 수 있으며, 소정의 신규 서비스 프로모션을 제공할 수도 있고, 맛집 등과 같이 관련 제휴 업체의 광고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검색 편의를 위해 인기 검색어를 제공할 수도 있고, 검색 실패 사례 등을 분석하여 이를 반영함으로써 검색 성공률이 높도록 검색 패턴을 유도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5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 예에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응용 주문형 직접회로(ASIC), 디지털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신호 처리기기(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 부품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멀티미디어 장치
200: 서버
300: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310: 입력부
320: 기동어 식별부
330: 통신부
340: 제어부

Claims (37)

  1. 멀티미디어 장치 및 서버에 통신 연결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에 있어서,
    화자 음성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화자 음성을 처리하여 기동어를 식별하는 기동어 식별부;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전송하는 통신부; 그리고,
    상기 입력부, 기동어 식별부, 그리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자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화자 음성이 기동어인지를 식별하도록 상기 기동어 식별부를 제어하고, 상기 화자 음성이 기동어이면 상기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화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인증된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상기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항목별로 분류하며, 상기 항목별로 분류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각 항목별로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배열하여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인증을 수행할 때, 상기 기동어에 상응하는 화자 음성에 대한 화자 음성 신호 및 화자 인증 요청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화자 인증 요청에 대한 화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인증을 수행할 때, 상기 기동어에 상응하는 화자 음성 신호와 미리 등록된 화자 음성 신호를 직접 비교하여 화자 인증을 수행하고, 화자 인증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된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할 때, 상기 화자의 인증 정보를 토대로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개인 프로파일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인증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프로파일 정보는,
    화자의 식별 정보, 화자의 시청 환경 정보, 화자의 시청 이력 정보, 그리고 화자의 검색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자의 식별 정보는,
    상기 화자의 연령, 성별, 거주 지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자의 시청 환경 정보는,
    선호 채널 정보, 볼륨 정보, 시청 등급 정보, 영상 모드 정보, 오디오 모드 정보, 시청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키워드의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한 추출 기준율에 따라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상기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음성 검색 키워드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 기준율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무시하고, 상기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항목별로 분류할 때, 상기 추출된 음성 검색 키워드가, 채널명 항목, 채널번호 항목, 컨텐츠명 항목, 컨텐츠장르 항목, 인물명 항목, 검색엔진명 항목, 그리고 검색어 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한 항목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검색 키워드는,
    상기 다수의 항목에 중복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항목별로 분류할 때, 상기 추출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이 항목별로 분류되면 각 항목별로 상기 음성 검색 키워드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각 항목별로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상기 화자의 음성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상기 분석한 음성 특성에 상응하는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자의 음성 특성은,
    상기 화자의 연령, 성별 및 건강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상기 화자의 음성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상기 분석한 음성 특성에 상응하는 음성 검색 키워드를 1차 추출하고,
    상기 1차 추출된 음성 검색 키워드들 중에서, 상기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한 추출 기준율에 따라 상기 음성 검색 키워드를 2차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 추출된 음성 검색 키워드들로부터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2차 추출할 때, 상기 1차 추출된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 기준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1차 추출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무시하고, 상기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1차 추출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2차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상기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추천 컨텐츠, 추천 광고, 추천 음성 검색 키워드, 추천 신규 서비스 프로모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다수의 항목들로 분류된 음성 검색 키워드 표시하는 제1 영역,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 추천 광고를 표시하는 제3 영역, 그리고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4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20. 멀티미디어 장치에 통신 연결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에 있어서,
    화자 음성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전송하는 통신부; 그리고,
    상기 입력부 및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자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분류를 수행하고, 상기 화자 분류가 완료되면 상기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상기 화자 음성으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항목별로 분류하며, 상기 항목별로 분류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각 항목별로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배열하여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분류를 수행할 때, 상기 화자 분류를 성별, 연령대별, 기분 상태별, 건강 상태별, 가족 구성원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가 다수의 분류 항목에 중첩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23.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자 음성으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키워드의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한 추출 기준율에 따라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자 음성으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상기 화자 음성으로부터 음성 검색 키워드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 기준율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무시하고, 상기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25.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상기 분류된화자에 상응하는 추천 컨텐츠, 추천 광고, 추천 음성 검색 키워드, 추천 신규 서비스 프로모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26.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다수의 항목들로 분류된 음성 검색 키워드 표시하는 제1 영역,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 추천 광고를 표시하는 제3 영역, 그리고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4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27. 입력되는 화자 음성을 인증하고 인증된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상기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에 통신 연결되고, 상기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표시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그리고,
    상기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에 통신 연결되고, 상기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는,
    상기 화자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화자 음성이 기동어인지를 식별하고, 상기 화자 음성이 기동어이면 상기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화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인증된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상기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항목별로 분류하며, 상기 항목별로 분류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각 항목별로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배열하여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시스템.
  28.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표시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상기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제공하는 서버;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 및 서버에 통신 연결되어 입력되는 화자 음성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 전송하는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화자 음성이 수신되면 상기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분류를 수행하고, 상기 화자 분류가 완료되면 상기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상기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상기 화자 음성으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항목별로 분류하며, 상기 항목별로 분류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각 항목별로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배열하여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시스템.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분류를 수행할 때, 상기 화자 분류를 성별, 연령대별, 기분 상태별, 건강 상태별, 가족 구성원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시스템.
  30.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가 다수의 분류 항목에 중첩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시스템.
  31.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화자 음성으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키워드의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한 추출 기준율에 따라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시스템.
  32.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화자 음성으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할 때, 상기 화자 음성으로부터 음성 검색 키워드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빈도, 인기도, 최신도, 노출시간, 그리고 음성 검색 성공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 기준율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무시하고, 상기 산출된 추출 기준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검색한 음성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시스템.
  33.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상기 분류된화자에 상응하는 추천 컨텐츠, 추천 광고, 추천 음성 검색 키워드, 추천 신규 서비스 프로모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시스템.
  34.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할 때, 다수의 항목들로 분류된 음성 검색 키워드 표시하는 제1 영역,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 추천 광고를 표시하는 제3 영역, 그리고 가이드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4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시스템.
  35. 멀티미디어 장치 및 서버에 통신 연결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의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방법에 있어서,
    화자 음성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화자 음성이 기동어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화자 음성이 기동어이면 상기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화자 인증이 수행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화자 인증이 수행 완료되면 상기 인증된 화자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생성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개인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항목별로 분류하며, 상기 항목별로 분류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각 항목별로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배열하여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방법.
  36. 멀티미디어 장치 및 서버에 통신 연결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의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방법에 있어서,
    화자 음성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화자 음성에 상응하는 화자 분류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화자 분류가 수행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화자 분류가 수행 완료되면 상기 분류된 화자에 상응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생성한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화자 음성으로부터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항목별로 분류하며, 상기 항목별로 분류된 다수의 음성 검색 키워드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각 항목별로 음성 검색 키워드들을 배열하여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방법.
  37. 제35 항 내지 제3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80070880A 2018-06-20 2018-06-20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13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880A KR102113236B1 (ko) 2018-06-20 2018-06-20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880A KR102113236B1 (ko) 2018-06-20 2018-06-20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210A KR20190143210A (ko) 2019-12-30
KR102113236B1 true KR102113236B1 (ko) 2020-05-20

Family

ID=69103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880A KR102113236B1 (ko) 2018-06-20 2018-06-20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2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785A1 (ko) * 2022-08-10 2024-02-15 주식회사 지어소프트 Iptv를 이용한 음성 인식 온라인 마켓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118B1 (ko) * 2006-05-16 2010-08-23 주식회사 케이티 문맥광고/정보의 맵핑 적중률 향상을 위한 광고/정보 노출방법 및 그를 이용한 문맥광고/정보 추천 서비스 시스템
KR100913130B1 (ko) * 2006-09-29 2009-08-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프로파일을 이용한 음성 인식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2109381B1 (ko) * 2013-07-11 2020-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98601B1 (ko) * 2014-05-14 2016-03-02 전자부품연구원 상황 기반 서비스 지원 기술
KR20160039830A (ko) * 2014-10-02 2016-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음성 가이드 제공방법
KR102287739B1 (ko) * 2014-10-23 2021-08-09 주식회사 케이티 음성 검색 시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누적하여 화자를 인식하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210A (ko) 201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731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using machine learning
US11810562B2 (en) Reducing the need for manual start/end-pointing and trigger phrases
US1096431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176810B2 (en) Using voice information to influence importance of search result categories
US9734193B2 (en) Determining domain salience ranking from ambiguous words in natural speech
KR10208192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스피치 검색 방법
US2019005768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701521B1 (en) Voice recognition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
US11657800B2 (en) Electronic device with wakeup word determined multi-mode operation
US1068565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00722A (ko) 전자기기 및 그의 음성 인식 방법
US202101108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emantic meaning of pronoun
KR20190134975A (ko) 인공지능 시스템의 앱들 또는 스킬들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증강 현실 장치 및 동작 방법
KR102113236B1 (ko) 개인 검색 패턴 가이드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210181838A1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US2019016343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00011796A (ko) 음성 인식 시스템
KR20190031829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140967A1 (en) Method performed by an application for communication with a user installed at a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for communicating with a user
KR102467041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방송 콘텐트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KR20190035363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