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748B1 - Method for managing of Earth-volume and frame-volume resource using construction management plan and computer readable media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aging of Earth-volume and frame-volume resource using construction management plan and computer readable media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748B1
KR102112748B1 KR1020180149936A KR20180149936A KR102112748B1 KR 102112748 B1 KR102112748 B1 KR 102112748B1 KR 1020180149936 A KR1020180149936 A KR 1020180149936A KR 20180149936 A KR20180149936 A KR 20180149936A KR 102112748 B1 KR102112748 B1 KR 102112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earthwork
sub
volum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9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찬영
조동완
김구택
정해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코퍼레이션
주식회사 코스펙이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코퍼레이션, 주식회사 코스펙이노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80149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74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7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ome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 program and a computer storable medium for managing the earthwork volume and the framework volume, based on the integrated schedule plan established based on a vertical relationship and a horizontal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aging the earthwork volume and the framework volume comprises the steps of: (a) dividing a construction work area into a plurality of zones on a horizontal basis and each zone into a plurality of sub-divisions; (b) establishing a vertical relationship for each construction in the order of earthwork, underground framing, and ground framing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ub-divisions; (c) for each construction, establishing a horizontal relationship for each sub-division for the plurality of sub-divisions; (d) using both the vertical relationship and the horizontal relationship, setting a sequence of each sub-division-construction; (e) allocating the work days by a preset method for each of the set sub-division-construction; (f) receiving the start date of the first sub-division-construction, using the allocated work days for each sub-division-construction, and setting an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 (g) confirming the volume of all sub-divisions where earthwork is made, and dividing the volume by the number of work days of the sub-division-construction, thereby confirming the daily earthwork volume per sub-division; and (h) using an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 identifying sub-divisions where earthworks are made on a predetermined date, and confirming the daily earthwork volume of the confirmed sub-divisions, thereby confirming the total earthwork volume of the day.

Description

통합 일정 계획을 이용한 건설 공사 토공량과 골조량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for managing of Earth-volume and frame-volume resource using construction management plan and computer readable media thereof}Method for managing of earth-volume and frame-volume resource using construction management plan and computer readable media thereof

본 발명은 건설 공사에 사용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통합 일정 계획을 이용하여 건설 공사의 토공량과 골조량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한 프로그램과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used in construction 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anaging earthwork volume and bone structure of a construction project using an integrated schedule, and relates to a program therefor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D 또는 BIM과 같은 설계 관련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발전은, 건축 설계의 결과물을 3차원 모델링 데이터로서 획득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 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설계자가 아닌 다른 사람(건축주, 시공자, 허가자 등)도 아직 실재하지 않은 건축 설계의 개념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일부 설계가 변경되어도 이에 따라 영향을 받는 다른 부분들의 수정 역시 간편하게 되었다.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design-related programs such as CAD or BIM has made it a common trend to obtain the results of architectural design as three-dimensional modeling data. This makes it easier for non-designers (architects, contractors, permitters, etc.)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architectural design, which has not yet existed, and it is easy to modify other parts that are affected by some design changes. .

건축 설계 과정에서의 변화와 달리, 건설 공사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은, 여전히 2차원 도면과 수작업 스케치를 기초로, 사람의 경험과 직관력 등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Unlike the changes in the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construction plan is still generally based on two-dimensional drawings and hand sketches, using human experience and intuition.

하지만, 현실의 건설 공사는 3차원 공간에서 이루어지며, 건축물, 각종 가설부재, 장비, 인력 등이, 시간과 공간 양 측면에서, 복합적이고 유기적인 관계를 맺기에, 사람의 경험과 직관력만으로 건설 공사 계획을 수립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공사 계획의 오류는, 공사 기간의 연장, 자재 또는 인력의 낭비, 공사비용의 상승, 공사 중 사고 위험의 증가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한다. 특히, 사람의 숙련도에 따라 공사 계획의 적절성의 차이가 커서, 최적의 공사 계획을 수립할 가능성은 현실적으로 매우 낮다. However, the actual construction work is done in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the construction, various temporary members, equipment, manpower, etc., form a complex and organic relationship in terms of both time and space. There is a limit to planning. Errors in construction plans cause various problems such as extension of construction period, waste of material or manpower,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 and increase in risk of accidents during construction.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adequacy of the construction plan is large depending on the skill level of the person, so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the optimal construction plan is very low in reality.

또한, 건설 공사 계획 단계, 계획 완료 단계, 또는 공사 도중에, 보다 적절한 대안이 확인되어도,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과 공간 양 측면에서 복잡하고 유기적인 공사 현장을 고려하면, 해당 대안을 적용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특정 공정 또는 장비 하나만 변경되어도, 이에 따라 변경하여야 하는 공정 내지 장비가 무수히 많다. In addition, even if a more appropriate alternative is identified during the construction construction planning stage, the planning completion stage, or during construction, considering the complex and organic construction site in terms of both time and space as described above, it is very difficult to apply the alternative. It is work. Even if only one specific process or equipment is changed, there are a myriad of processes or equipment that must be changed accordingly.

건설 공사에 반출되는 토공량 및 반입되는 골조량 역시 효과적으로 설정되거나 관리되지 못한다. 예를 들어, 반출되는 토공량을 연산하고자 한다면, 종래 기술에서는 2차원 또는 3차원 모델링에서 부피 연산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기초로 전체 토공량을 연산하고, 사람이 개별적으로 수립하였던 공사 계획을 적용하여 1일 토공량을 연산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많다. 정보 추출 단계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고, 공사 계획이 적절하지 못하여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 골조량의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The amount of earthwork that is carried out to the construction work and the amount of bone that is brought in are also not effectively set or managed. For example, if you want to calculate the volume of excavated soil, the prior art extracts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volume calculation in 2D or 3D modeling, then calculates the total volume of soil based on this, and applies the construction plan established by the person individually. To calculate the amount of earthwork per day.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errors during this process. An error may occur at the information extraction stage, or an error may occur due to an inadequate construction plan. The same problem occurs in the case of bone mass.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사 계획을 설정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특허들이 제안되어 왔다. In order to recognize these problems and solve them, various programs and patents for establishing a construction plan have been proposed.

한국등록특허 제10-0968708호는, 공사 프로젝트의 스케쥴 생성 시스템을 개시한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사람이 이미 수립해 놓은 공사 계획을 기반으로, 실재 공사에서 이를 준수하는지 여부를 이정표 기능을 토대로 제공할 뿐이어서, 전술한 문제점을 그대로 갖고 있다.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68708 discloses a schedule generation system for a construction project. However, here, based on the milestone function, whether or not the actual construction complies with this is based on the construction plan already established by the person, and thus has the above-described problems.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04162호는, 일정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건설 공사 현황 정보의 통합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사람이 공사 계획을 모두 수립하여야 하고, 수립한 공사 계획을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면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저장하며 호출하는 기술을 개시할 뿐이다.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04162 discloses a method of constructing an integrated management database of construction construction status information using a schedule management program. However, here too, a person must establish all of the construction plans, and only enter the established construction plans into the database and only disclose the technique to systematically manage, store and call them.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9391호는, 객체 행위를 기반으로 4D 건설 공정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에서는 작업자, 장비, 가설재, 자재, 지반 등의 객체그룹을 기반으로, 각각 관련된 객체를, 작업자, 타워크레인, 굴삭장비, 철근, 토사 등으로 각각 설정하고, 여기에 필요한 행위를 나타나기, 이동, 회전 등으로 구분함으로써 건설 공정을 시뮬레이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하지만, 복잡한 건설 환경에서의 다양한 공사를 객체와 행위 2가지 요소만으로 정의하여 공정을 결정하고 시뮬레이션한다는 것은 현실성이 매우 낮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49391 provides a 4D construction process simulation system based on object behavior. Here, based on a group of objects such as workers, equipment, temporary materials, materials, and ground, each related object is set as a worker, tower crane, excavator, rebar, soil, etc., and the necessary actions are shown, moved, We propose a method to simulate the construction process by dividing it by rotation. However, it is very unreal to decide and simulate the process by defining only two elements of objects and behaviors in a complex construction environment.

일본특허 제5700902호는, 건축물의 시공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사용자가 직접 다양한 시공 관련 날짜를 입력하여야 하는 것이 전제되는데, 결국 사람이 공사 계획을 하나씩 수립하여야 하기에 전술한 문제점이 갖는다. Japanese Patent No. 5700902 discloses a system for managing construction information of buildings. It is premised that the user has to manually input various construction-related dates, and in the end, there is a problem described above because a person must establish a construction plan one by one.

한국등록특허 제10-1595243호는, BIM 기반의 현장 시설물 자동화 모델링 시스템을 개시한다. 여기에서는, 건설 공사에 필요한 다양한 시설물인 가설자재 및 타워크레인 등을 BIM을 기반으로 하는 건축설계정보 모델링에 겹쳐서 제공함으로써, 건설 공사 현장을 실재와 유사하게 시뮬레이션하고 모델링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하지만, 시간의 개념이 없어서 공사 계획 수립과는 거리가 있다.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95243 discloses an automated modeling system for field facilities based on BIM. Here, we propose a technology for simulating and modeling a construction site similar to the reality by providing superimposed materials and tower cranes, which are various facilities required for construction work, on the BIM-based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modeling. However, there is no concept of time, so it is far from establishing a construction plan.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0968708호(Patent Document 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68708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04162호(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04162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9391호(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49391

(특허문헌 4) 일본특허 제5700902호(Patent Document 4) Japanese Patent No. 57009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구체적으로, 사람이 수립하기에 최적의 공사 계획 및 토공량 및 골조량 관리 계획을 수립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오류를 최소화하고, 다양한 계획 대안을 즉각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적용 즉시 다른 연관된 공사를 자동으로 수정할 수 있으며, 리소스 관리와 관련된 다양하고 입체적인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Specifically, it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that could not establish an optimal construction plan and earthwork volume and bone management plan for humans to establish. Accordingly, we would like to propose a system that minimizes errors, can immediately apply various planning alternatives, automatically correct other related constructions immediately upon application, and effectively manage various and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related to resource management. .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설 공사에서 토공량 리소스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a) 구역 설정 모듈(130)이, 건설 공사 영역을 수평 기준의 다수의 존으로 구분하고, 다수의 존 각각을 다수의 세부구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b) 수직 관계 설정 모듈(310)이, 다수의 세부구역마다 토공사, 지하골조공사 및 지상골조공사의 순서로 각 공사별 수직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c) 수평 관계 설정 모듈(320)이, 토공사, 지하골조공사 및 지상골조공사마다, 다수의 세부구역에 대하여 각 세부구역별 수평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d) 통합 일정 계획 모듈(330)이 상기 (b) 단계에서 설정된 수직 관계와 상기 (c) 단계에서 설정된 수평 관계를 이용하여, 각각의 세부구역의 각각의 공사에 대한 순서를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세부구역-공사의 순서가 설정되는 단계; -여기서, 세부구역-공사 중 일부는 동시에 시작되는 것으로 설정이 가능함- (e) 통합 일정 상세 계획 모듈(340)이, 상기 (d) 단계에서 설정된 각각의 세부구역-공사마다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해 작업일수를 할당하는 단계; (f) 상기 통합 일정 상세 계획 모듈(340)이, 최초 세부구역-공사의 착수일을 입력받아, 상기 (e) 단계에서 할당된 각각의 세부구역-공사마다의 작업일수를 이용하여, 통합 일정 상세 계획을 설정하는 단계; (g) 토공량 리소스 모듈(510)이, 토공사가 이루어지는 모든 세부구역의 부피를 확인하고, 해당 부피를 해당 세부구역-공사의 작업일수로 나눔으로써, 세부구역별 1일 토공량을 확인하는 단계; 및 (h) 상기 토공량 리소스 모듈(510)이, 상기 (f) 단계에서 설정된 통합 일정 상세계획을 이용하여, 소정의 날짜에 토공사가 이루어지는 세부구역들을 확인하고, 확인한 세부구역들의 1일 토공량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날짜의 1일 총 토공량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s a method for managing the earthwork resource in the construction work, (a) the zone setting module 130, the construction work are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of the horizontal standard And dividing each of the plurality of zones into a plurality of subdivisions; (b) vertical relationship setting module 310, establishing a vertical relationship for each construction in the order of earthwork, underground framing and ground framing for each of a number of sub-divisions; (c) horizontal relation setting module 320, for each earthwork, underground construction, and ground frame construction, establishing a horizontal relationship for each subdivision for a plurality of subdivisions; (d) The integrated schedule planning module 330 uses the vertical relationship set in step (b) and the horizontal relationship set in step (c) to set the order for each construction in each sub-area, respectively The sub-division of the construction-the order of construction is established; -Here, some of the sub-sections can be set to start at the same time.-(E) The integrated schedule detail planning module 340, by each sub-section set in step (d)-by a preset method for each construction Assigning work days; (f) The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ning module 340 receives the start date of the first subdivision-construction and uses the number of work days for each subdivision-construction assigned in step (e), to consolidate the schedule Establishing a detailed plan; (g) the earthwork resource module 510, checking the volumes of all subdivisions where earthwork is made, and dividing the volume by the number of work days of the subdivision-construction, confirming the daily earthwork volume per subdivision; And (h) the earthwork resource module 510, using the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 set in step (f), checks detailed areas where earthwork is performed on a predetermined date, and checks the daily earthwork volume of the checked detailed areas By doing so, there is provided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identifying the total amount of earthwork per day of the day.

또한, 상기 (a) 단계 이전에, (a11) 토공사 관리 모듈(220)이, 터파기존을 확인하는 단계; 및 (a12) 상기 토공사 관리 모듈(220)이, 상기 터파기존의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파기존은 상기 (a) 단계에서 설정된 다수의 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터파기존의 부피가 상기 (g) 단계에서의 토공사가 이루어지는 모든 세부구역의 부피의 합과 같으며, 상기 (a11) 단계 이전에, 외부 데이터 로딩 모듈(110)이, 건축설계정보를 로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a11) 단계는, 상기 토공사 관리 모듈(220)이, 로딩된 건축설계정보에서 골조구역을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터파기존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prior to the step (a), (a11) the earthwork management module 220, the step of confirming the extinction; And (a12) the earthwork management module 220, further comprising checking the level of the extinction zone, the extinction zon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zones set in the step (a), and the volume of the extinction zone A is equal to the sum of the volumes of all the sub-districts where the earthwork in step (g) is made, and before the step (a11), the external data loading module 110 further includes a step of loading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 The step (a11), the earthwork management module 220,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the step of extracting a framed area from the loaded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and based on this, confirming the extinction.

또한, 상기 (g) 단계는, (g11) 상기 토공량 리소스 모듈(510)이, 토공사가 이루어지는 모든 세부구역의 토질별 부피를 확인하고, 해당 부피를 해당 세부구역-공사의 작업일수로 나눔으로써, 세부구역별 1일 토공량을 토질별로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질은, 토사, 풍화암, 연암, 보통암, 및 경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a) 단계 이전에, (i11) 대지 관리 모듈(210)이 2차원으로 구성된 대지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i12) 상기 대지 관리 모듈(210)이 상기 대지 내의 소정의 위치를 다수 포함하며, 각 위치마다의 토질별 깊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추공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i13) 상기 대지 관리 모듈(210)이 상기 시추공정보를 이용하여 대지 정보 내에 토질이 깊이별로 포함되는 3차원 지형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g11) 단계에서, 토공사가 이루어지는 모든 세부구역의 토질별 부피는 상기 (i13) 단계에서의 3차원 지형 모델을 이용하여 연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step (g), (g11) the earthwork resource module 510 checks the volume of each soil in each subdivision where the earthwork is made, and divides the volume by the number of work days of the subdivision-construc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firming the amount of soil per day per subdivision by soil, the soil includes any one or more of sediment, weathered rock, soft rock, common rock, and hard rock, before step (a), (i11 ) The land management module 210 receives the two-dimensional land information; (i12) receiving the borehole information, wherein the site management module 210 includes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site, and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depth of each soil for each position; And (i13) the site management module 210 using the borehole information to generate a three-dimensional terrain model in which soil quality is included in each piece of land by depth, and in step (g11), earthwork is per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volume for each soil of each sub-area is calculated using the three-dimensional terrain model in step (i13).

또한, 상기 (h) 단계 이후에, (k11) 상기 토공량 리소스 모듈(510)이 상기 (h) 단계에서 결정된 1일 총 토공량을, 미리 결정된 차량의 적재량으로 나누어, 차량의 1일 운영회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k12) 상기 토공량 리소스 모듈(510)이 상기 (h) 단계에서 결정된 1일 총 토공량을, 미리 결정된 굴삭장비의 1일 작업량으로 나누어, 굴삭장비의 대수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fter the step (h), the (k11) the earthwork resource module 510 calculates the number of daily operation times of the vehicle by dividing the total daily earthwork amount determined in the step (h) by the predetermined vehicle load. To do; And (k12) the earthwork resource module 510 further comprising calculating the number of excavation equipment by dividing the total daily earthwork volume determined in step (h) by the predetermined daily work volume of the excavation equipment. Do.

또한, 상기 (h) 단계 이후에, (l11) 상기 토공량 리소스 모듈(510)이, 미리 결정된 차량의 적재량, 차량의 1일 운영회수, 굴삭장비의 1일 작업량 및 굴삭장비 대수를 기준으로, 1일 장비용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l12) 상기 토공량 리소스 모듈(510)이 상기 (h) 단계에서의 1일 총 토공량이 상기 (l11) 단계에서 결정된 1일 장비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fter the step (h), (l11), the earthwork resource module 510, based on a predetermined vehicle load, the number of operations per day of the vehicle, the amount of work per day and the number of excavators, 1 Determining a daily equipment capacity; And (l12) the earthwork resource module 510 further comprising outputting a warning when the total daily earthwork volume in the step (h) exceeds the daily equipment capacity determined in the step (l11). desirabl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건설 공사에서 골조량 리소스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a) 구역 설정 모듈(130)이, 건설 공사 영역을 수평 기준의 다수의 존으로 구분하고, 다수의 존 각각을 다수의 세부구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b) 수직 관계 설정 모듈(310)이, 다수의 세부구역마다 토공사, 지하골조공사 및 지상골조공사의 순서로 각 공사별 수직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c) 수평 관계 설정 모듈(320)이, 토공사, 지하골조공사 및 지상골조공사마다, 다수의 세부구역에 대하여 각 세부구역별 수평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및 (d) 통합 일정 계획 모듈(330)이 상기 (b) 단계에서 설정된 수직 관계와 상기 (c) 단계에서 설정된 수평 관계를 이용하여, 각각의 세부구역의 각각의 공사에 대한 순서를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세부구역-공사의 순서가 설정되는 단계; -여기서, 세부구역-공사 중 일부는 동시에 시작되는 것으로 설정이 가능함- (e) 통합 일정 상세 계획 모듈(340)이, 상기 (d) 단계에서 설정된 각각의 세부구역-공사마다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해 작업일수를 할당하는 단계; (f) 상기 통합 일정 상세 계획 모듈(340)이, 최초 세부구역-공사의 착수일을 입력받아, 상기 (e) 단계에서 할당된 각각의 세부구역-공사마다의 작업일수를 이용하여, 통합 일정 상세 계획을 설정하는 단계; (g') 골조량 리소스 모듈(520)이, 지하골조공사 또는 지상골조공사가 이루어지는 모든 세부구역의 부피를 확인하고, 해당 부피를 해당 세부구역-공사의 작업일수로 나눔으로써, 세부구역별 1일 골조량을 확인하는 단계; 및 (h') 상기 골조량 리소스 모듈(520)이, 상기 (f) 단계에서 설정된 통합 일정 상세 계획을 이용하여, 소정의 날짜에 지하골조공사 또는 지상골조공사가 이루어지는 세부구역들을 확인하고, 확인한 세부구역들의 1일 골조량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날짜의 1일 총 골조량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s a method for managing the bone mass resources in the construction work, (a) the zone setting module 130, the construction work area to a plurality of zones of the horizontal standard Dividing and dividing each of the plurality of zones into a plurality of subdivisions; (b) vertical relationship setting module 310, establishing a vertical relationship for each construction in the order of earthwork, underground framing and ground framing for each of a number of sub-divisions; (c) horizontal relation setting module 320, for each earthwork, underground construction, and ground frame construction, establishing a horizontal relationship for each subdivision for a plurality of subdivisions; And (d) the integrated schedule planning module 330 sets the order for each construction of each subdivision using the vertical relationship set in step (b) and the horizontal relationship set in step (c), Each sub-zone-the order of construction is established; -Here, some of the sub-sections can be set to start at the same time.-(E) The integrated schedule detail planning module 340, by each sub-section set in step (d)-by a preset method for each construction Assigning work days; (f) The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ning module 340 receives the start date of the first subdivision-construction and uses the number of work days for each subdivision-construction assigned in step (e), to consolidate the schedule Establishing a detailed plan; (g ') The bone mass resource module 520 checks the volume of all sub-zones where the underground or ground-frame construction is performed, and divides the volume by the number of work days of the sub-zone, so that each sub-zone 1 Identifying a daily bone mass; And (h ') the bone mass resource module 520, using the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 set in step (f), confirms and confirms the sub-regions where the underground frame construction or the ground frame construction is performed on a predetermined date. A method is provided, comprising the step of identifying the total daily bone structure of the day by checking the daily bone structure of the subdivisions.

또한, 상기 (a) 단계 이전에, (a21) 외부 데이터 로딩 모듈(110)이, 건축설계정보를 로딩하는 단계; 및 (a22) 지하골조공사 관리 모듈(240) 또는 지상골조공사 관리 모듈(250)이, 각각, 로딩된 건축설계정보에서 골조구역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g') 단계에서, 지하골조공사 또는 지상골조공사가 이루어지는 모든 세부구역의 부피는, 상기 (a22) 단계에서 추출된 골조구역에서 확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efore the step (a), (a21) external data loading module 110, the step of loading the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And (a22) the underground framework management module 240 or the ground framework management module 250, respectively, comprising extracting a skeleton zone from the loaded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and in the step (g '), the underground It is preferable that the volume of all the sub-regions where the framing construction or the ground framing construction is performed is confirmed in the framing region extracted in the step (a22).

또한, 상기 (g') 단계는, (g21) 상기 골조량 리소스 모듈(520)이, 지하골조공사 또는 지상골조공사가 이루어지는 모든 세부구역의 부피에, 미리 결정된 골조 당 시멘트량과 골조 당 철근량을 곱함으로써, 세부구역별 1일 시멘트량 및 세부구역별 1일 철근량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step (g '), (g21), the bone structure resource module 520, the predetermined amount of cement per frame and the amount of reinforcing bars per frame in the volume of all sub-regions where the underground or ground frame construction is performed By multiplying,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step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daily cement per subdivision and the amount of daily rebar per subdivision.

또한, 상기 (c) 단계는, (c11) 토공사 관리 모듈(220) 또는 지하골조공사 관리 모듈(240)이, 각각, 하나의 세부구역의 토공사 또는 지하골조공사가 선행되어야 하는 어느 하나의 세부구역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및 (c12) 상기 수평 관계 설정 모듈(320)이, 상기 (c11) 단계에서 선행되어야 하는 세부구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세부구역의 토공사 또는 지하골조공사가 상기 다른 하나의 세부구역의 토공사 또는 지하골조공사 이후에 수행되도록, 수평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통합 일정 계획 모듈(330)에 의해, 모든 세부구역의 토공사가 완료된 후 지하골조공사가 시작되고 모든 세부구역의 지하골조공사가 완료된 후 지상골조공사가 시작되도록 각각의 세부구역-공사의 순서가 설정되고, 토공사 및 지하골조공사의 각각의 세부구역-공사의 순서는 미리 설정된 다수의 존 별 순서에 따라 설정되고, 지상골조공사의 각각의 세부구역-공사의 순서는 미리 설정된 작업팀의 세부구역 투입계획에 따라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e11) 상기 통합 일정 상세 계획 모듈(340)이, 세부구역-공사 중 토공사에 있어서, 세부구역을 구성하는 각 토질마다의 부피를 토질 종류별 1일 반출량으로 나눔으로써, 해당 세부구역-토공사의 작업일수를 연산하여 할당하는 단계; 및 (e12) 상기 통합 일정 상세 계획 모듈(340)이, 세부구역-공사 중 지상골조공사와 지하골조공사에 있어서, 각 공사마다의 공사 위치를 확인하고, 각 공사 위치마다 미리 설정된 작업일수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질은, 토사, 풍화암, 연암, 보통암, 및 경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공사 위치는, 기초, 기초층, 및 PIT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1층, 2층, 3층, 4층 및 기준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step (c), the (c11) earthwork management module 220 or the underground frame management module 240, respectively, any one of the subdivisions to be preceded by earthwork or underground construction of one subdivision Determining whether it exists; And (c1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orizontal relation setting module 320 has a subdivision to be preceded in the step (c11), earthwork or underground construction work of the subdivision of any one of the oth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establishing a horizontal relationship, so that it will be performed after the earthwork or subterranean construction of the sub-area, step (d), by the integrated schedule planning module 330, after all the sub-earth excavation is completed The order of each sub-division-construction is set so that the ground-frame construction starts after the underground framing work starts and all sub-zones have been completed. It is set according to the order of a plurality of zones set, each sub-section of the ground frame construction-the order of the construction further includes a step that is set according to the input plan of the sub-section of the preset work team, step (e), (e11) The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ning module 340 divides the volume of each soil constituting the subdivision into the daily export amount for each type of soil in the subdivision of the subdivision-construction, thereby working on the subdivision-earthwork Calculating and allocating days; And (e12) The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ning module 340 checks the construction location for each construction and allocates a preset number of work days for each construction location in the sub-regional construction and underground construction construc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soil, soil, weathered rock, soft rock, and includes any one or more of the common rock, and hard rock, the construction site, the foundation, the base layer, and any one or more of the PIT lay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y one or more of the 1st, 2nd, 3rd, 4th and reference layers.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전술한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및 전술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execut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above method and a program code for executing the above method Provides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건축설계정보가 포함된 CAD 또는 BIM 등에 의해 작성된 외부 데이터를 로딩함으로써(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직접 모델링함으로써) 자동으로 다양한 세부구역 및 관련 공사의 순서가 설정된다. 이에 따라, 사람이 수립함에 따른 공사 계획의 오류를 원천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최적의 공사 계획을 신속하게 수립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공사 기간의 단축, 공사 비용의 절감, 공사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의 방지, 성공적인 건설 공사에 이르게 된다.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loading external data created by CAD or BIM, etc. containing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or by directly modeling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sub-areas and related construction orders are automatically set.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errors in the construction plan caused by a person, and to quickly establish an optimal construction plan. This ultimately leads to shorter construction periods, reduced construction costs,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construction, and successful construction.

이와 같이 최적의 공사 계획이 수립되면, 이를 토대로 토공량 및 골조량 관리 계획 역시 최적으로 수립할 수 있다. 공사 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필요하였던 정보들에는 토공량과 골조량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들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를 효과적으로 가공하고 연산하여 제공함으로써, 토공량과 골조량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When the optimal construction plan is establish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optimally establish an earthwork volume and bone management plan based on this. The information needed to establish the construction plan includes all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of earthwork volume and bone volum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ffectively processing and providing i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anage the amount of earthwork and bone.

최초 수립한 공사 계획 내지 토공량 및 골조량 관리 계획을 수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어느 하나의 공사 계획을 수정하면 모든 공사 일정에 즉각 반영된다. 예를 들어, 아파트에서 특정 주동의 층수를 변경하면, 변경에 따른 모든 공사 일정의 변화가 신속하게 제공된다. 이는, 공사 계획 단계는 물론, 공사 계획 도중에, 공사 계획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다양한 대안을 제한 없이 시뮬레이션하면서 최적의 대안을 발견할 수 있다. If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initially established construction plan or the soil volume and bone structure management plan, any one of the construction plans is immediately reflected in all construction schedules. For example, if you change the number of floors in a specific building in an apartment, changes in all construction schedules are provided quickly. This can find the best alternative while simulating various alternatives without limitation, even when the construction plan is to be changed, as well as during the construction planning stage.

BIM을 기반으로 설계된 건축물에서 특히 효과적이다. BIM을 통해 작성된 건축설계정보에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해당 정보를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It is especially effective in buildings designed based on BIM. The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created through BIM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and by apply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can be widely used.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계속 적용되면, 사용자의 의사결정이 필요한 순간 및 그 결과들이 누적 저장될 수 있는데, 인공지능이 적용되는 경우, 보다 최적의 선택을 능동적으로 제안하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I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inuously applied, the moments and results of the user's decision-making may be accumulated and stored. When artificial intelligence is applied, a system for actively proposing a more optimal selection may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대지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존 및 세부구역을 구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수직 관계와 수평 관계를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합 일정 계획 및 통합 일정 상세 계획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통합 일정 상세 계획을 설정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a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토공량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b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골조량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UI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대지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출력 화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존 및 세부구역을 구분하는 방법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출력 화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수직 관계를 설정하는 방법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출력 화면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수평 관계를 설정하는 방법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출력 화면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통합 일정 상세 계획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통합 일정 상세 계획을 설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출력 화면을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 통합 일정 상세 계획의 설정이 완료된 결과를 나타내기 위한, 프로그램의 출력 화면을 도시한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 통합 일정 상세 계획의 설정이 완료된 결과를 다른 방식으로 나타내기 위한, 프로그램의 출력 화면을 도시한다.
도 20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토공량 관리 방법이 적용된 프로그램의 출력 화면을 도시한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골조량 관리 방법이 적용된 프로그램의 출력 화면을 도시한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ystem for carrying out a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land information 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lassifying zones and sub-regions 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establishing a vertical relationship and a horizontal relationship 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etting an integrated schedule plan and an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 based thereon.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in more detail a method for setting a detailed schedule of integration 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aging the amount of earthwork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aging bone mass in a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UI of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8 shows an output screen of a program in which a method for generating land information is executed 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n output screen of a program in which a method of classifying zones and sub-zones is executed 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shows an output screen of a program in which a method for establishing a vertical relationship is executed 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n output screen of a program in which a method for setting a horizontal relationship is executed 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setting an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 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show an output screen of a program in which a specific method of setting an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 is executed 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shows an output screen of a program for indicating a result of setting of an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 according to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to 19 show an output screen of a program for displaying in a different way the result of the setting of the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 according to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to 24 show an output screen of a program to which the soil volum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5 shows an output screen of a program to which the bone mass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용어를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The term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defined as follows.

이하에서, "건축설계정보"는 건축물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프로그램에서 로딩 가능한 어떠한 종류의 데이터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CAD 또는 BIM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작성된 3차원 또는 2차원 모델링이 포함된 데이터일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건축물과 관련된 어떠한 종류의 프로그램으로 작성된 데이터일 수도 있다. Hereinafter,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building, and any kind of data that can be loaded in a program may be used. For example, it may be data including 3D or 2D modeling created by a program such as CAD or BIM, or may be data created by any kind of program related to buildings.

이하에서, "관계"는 2개의 다른 공사 또는 다른 구역 사이의 공사 선후 순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구역에서 A공사가 선행된 후 B공사가 후행되는 내용이 A공사와 B공사 사이의 관계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를 들어, 동일한 공사에 있어서 A구역의 공사가 선행된 후 B구역의 공사가 후행되는 내용 역시 A구역과 B구역 사이의 관계일 수 있다. 2개의 다른 공사 또는 다른 구역이 동시에 수행된다는 내용 역시 이러한 관계에 포함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relationship" means the order of post-construction between two different constructions or different zones. For example, after construction A is preceded in the same area, the content that construction B is followed may be a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on A and construction B. For another example, after construction of construction A in the same construction, The details of the construction of the B zone may be related to the A zone and the B zone. The fact that two different constructions or different areas are being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may also be included in this relationship.

한편, "관계"는 3차원 건축물을 기준으로"수직 관계"와 "수평 관계"로 구분될 수 있다. "수직 관계"는 건축물의 수직 방향의 건설에서의 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1층 골조 공사를 선행한 후 2층 골조 공사를 후행한다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수평 관계"는 건축물의 수평 방향의 건설에서의 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아파트 단지에서 101동의 공사를 선행하고 102동의 공사를 후행한다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동시에 수행되는 것 역시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relationship" may be divided into a "vertical relationship" and a "horizontal relationship" based on a 3D building. "Vertical relationship" refers to a relationship in the vertical construction of a building,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floor frame construction followed by a second floor frame construction. "Horizontal relationship" refers to a relationship in the horizontal construction of a building, and may include, for example, the construction of 101 buildings in the apartment complex, followed by the construction of 102 buildings. Simultaneously performed can also be included in each.

이하에서, "세부구역-공사"는 다수의 세부구역 중 어느 하나의 세부구역과 다수의 공사 중 어느 하나의 공사를 함께 언급하기 위한 개념이다. 예를 들어, A세부구역과 B세부구역에서 토공사, 골조공사가 수행되어야 한다면, A-토공사, A-골조공사, B-토공사, B-골조공사의 총 4개의 세부구역-공사가 설정된다. 이들은 각각 선후 순서를 갖는데, 이는 전술한 "관계"로 표현될 것이다. Hereinafter, "detailed zone-construction" is a concept for referring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detailed zones and one of a plurality of constructions. For example, if earthwork and framing work should be carried out in sub-A and B-detail areas, a total of four sub-areas are constructed: A-earthwork, A-framework, B-earthwork, and B-framework. Each of them has a sequential order, which will be expressed as the "relationship" described above.

이하에서, "통합 일정 계획"은 다수의 세부구역-공사 단위로 그 각각이 이루어지는 순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동시에 수행되는 세부구역-공사가 존재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integrated schedule planning" is a concept including a sequence of each of a number of subdivisions-each of which is performed in units of construction. There may be subdivisions-constructions performed simultaneously.

이하에서, "통합 일정 상세 계획"은, 전술한 통합 일정 계획에서 날짜가 포함되는 개념이다. 즉, 다수의 세부구역-공사 각각의 작업일수가 포함되며, 착수일과 종료일의 정확한 날짜가 포함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 is a concept in which the date is included in the aforementioned integrated schedule plan. That is, the number of work days of each of the multiple sub-areas-construction is included, and the exact date of the start and end dates may be includ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시스템의 설명1. Description of the system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1000)은, 구역설정부(100), 공사관리부(200), 일정계획부(300), 양중계획부(400), 리소스관리부(500), 작업팀 관리 모듈(600), 제원 관리 모듈(700), 입력부(800) 및 출력부(900)를 포함하며, 입력되는 각종 장비 등의 제원이 저장된 제원 데이터베이스(D)를 더 포함한다. The system 1000 in which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ncludes a zone setting unit 100, a construction management unit 200, a schedule planning unit 300, a weight planning unit 400, a resource management unit 500, and a work team management. It includes a module 600, a specification management module 700, an input unit 800 and an output unit 900, and further includes a specification database D in which specifications such as various types of input equipment are stored.

구역설정부(100)는 건설 공사 영역을 다수의 존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존을 다시 다수의 세부구역으로 구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건설 공사 영역은 대지 내에 위치하며 실재 공사가 이루어지는 영역을 의미한다. The zone setting unit 100 performs a function of dividing the construction work area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dividing each zone into a plurality of detailed zones again. Here, the construction work area is located within the site and refers to an area where actual construction is performed.

구역설정부(100)는 외부 데이터 로딩 모듈(110), 모델링 모듈(120), 구역 설정 모듈(130) 및 구역 검토 모듈(140)을 포함한다. The zone setting unit 100 includes an external data loading module 110, a modeling module 120, a zone setting module 130, and a zone review module 140.

외부 데이터 로딩 모듈(110)은 건축설계정보(예를 들어, BIM 또는 CAD로 작성된 데이터 등) 또는 대지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예를 들어, 라이노(Rhino) 데이터 등), 시추공정보 등 시스템(1000) 외부에서 별도로 작성된 데이터를 시스템(1000)으로 불러오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external data loading module 110 includes a system 1000 such as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for example, data written in BIM or CAD) or data including site information (for example, Rhino data, etc.), borehole information, etc. ) It performs the function of loading the separately created data into the system 1000.

모델링 모듈(120)은 외부 데이터가 없거나 또는 외부 데이터를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0) 사용자가 직접 오브젝트를 추가하는 경우 모델링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 알려진 어떠한 툴(tool)이 적용될 수도 있다. The modeling module 120 performs a function of performing modeling when there is no external data or a user of the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rectly adds an object to supplement the external data. Any conventionally known tool may be applied.

구역 설정 모듈(130)은 다수의 존과 각각의 존을 구성하는 다수의 세부구역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zone setting module 130 performs a function of setting a plurality of zones and a plurality of detailed zones constituting each zone.

구역 검토 모듈(140)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통합 일정 계획이 수립된 이후, 이를 기반으로, 존 및 세부구역이 적절하게 설정된 것인지 여부를 검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zone review module 140 performs a function of reviewing whether zones and sub-zones are appropriately set based on the integrated schedule plan after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stablished.

공사관리부(200)는 건설 공사를 구성하는 다양한 공사를 관리하기 위해 입력부(800)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거나 외부 데이터 등으로부터 로딩하고, 이를 적절한 방법으로 연산하여 가공함으로써, 출력부(9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다른 형식의 결과 연산을 위해 다른 모듈들에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construction management unit 200 receives the required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unit 800 or loads it from external data, etc. to manage various constructions constituting the construction work, and calculates and processes it in an appropriate manner, thereby outputting the output unit 900 It performs the function of providing information to other users or providing information to other modules for calculating other types of results.

공사관리부(200)는 건설 공사가 이루어지는 대지에 대한 3차원 지형 모델을 생성하는 대지 관리 모듈(210), 토공사, 파일공사, 지하골조공사, 지상골조공사, 가설공사 각각을 관리하는 토공사 관리 모듈(220), 파일공사 관리 모듈(230), 지하골조공사 관리 모듈(240), 지상골조공사 관리 모듈(250) 및 가설공사 관리 모듈(260)을 포함한다. The construction management unit 200 is a site management module 210 that generates a three-dimensional terrain model for the land on which construction work is performed, earthwork, pile construction, underground construction construction, ground construction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construction management module that manages each temporary construction ( 220), a pile construction management module 230, an underground frame management module 240, a ground frame construction management module 250 and a temporary construction management module 260.

건설 공사는, 토공사, 파일공사, 지하골조공사, 지상골조공사, 가설공사 외에도 다양하게 구분된 다른 공사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의 기술자가 예측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공사들의 관리를 담당하는 모듈들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0)에 적절하게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토공사, 파일공사, 지하골조공사 및 지상골조공사가 통합 일정 계획에 가장 큰 영향을 주기에,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추가로, 건축물에 따라 파일공사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도 있음에 유의한다. In addition to the earthwork, pile construction, underground construction construction, ground construction construction, and temporary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construction may include various other constructions. Modules that manage other constructions within a range predictable by ordinary engineer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an be suitably added to the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invention. However, as earthwork, pile construction, underground construction and ground construction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integrated schedule, it will be explained mainly. In addition, note that some constructions do not require pile construction.

일정계획부(300)는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통합 일정 계획 및 통합 일정 상세 계획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schedule planning unit 300 performs a function of setting an integrated schedule plan and an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일정계획부(300)는 세부구역-공사별 수직 관계와 수평 관계를 각각 설정하는 수직 관계 설정 모듈(310), 수평 관계 설정 모듈(320), 통합 일정 계획을 설정하는 통합 일정 계획 모듈(330), 통합 일정 상세 계획을 설정하는 통합 일정 상세 계획 모듈(340)을 포함한다. The schedule planning unit 300 includes a vertical relationship setting module 310, a horizontal relationship setting module 320, and an integrated schedule planning module 330 for setting an integrated schedule plan, each of which establishes a vertical relationship and a horizontal relationship for each sub-area. , An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ning module 340 for setting an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

양중계획부(400)는 지상골조공사 등에 있어서 자재를 양중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한다. 전체적은 양중 계획을 수립하는 양중 계획 모듈(410), 양중에 필요한 타워크레인(T/C)의 대수를 산정하고 배치를 결정하고 운용 방법을 설정하는 타워크레인 대수 산정 모듈(420), 타워크레인 배치 모듈(430), 타워크레인 운용 모듈(440)을 포함한다. The Yangjung Planning Department (400) establishes a plan for lifting materials in ground framing. The overall weight planning module 410 for establishing the overall weight planning, the tower crane number calculation module 420 for estimating the number of tower cranes (T / C) required for the weight, determining the deployment and setting the operation method, and the tower crane deployment It includes a module 430, a tower crane operation module 440.

리소스관리부(500)는 토공사, 지하골조공사 및 지상골조공사에 있어서, 반출되어야 하는 토공량, 반입되어야 하는 골조량 등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토공량 리소스 관리부(510)와 골조량 리소스 관리부(520)를 포함한다. The resource management unit 500 performs a function of managing the amount of earthwork to be taken out, the amount of bone to be brought in, and the like in earthwork, underground construction, and ground construction. It includes a soil volume resource management unit 510 and a bone volume resource management unit 520.

작업팀 관리 모듈(600)은 골조공사 등에 있어서 투입되어야 하는 다수의 작업팀을 세부구역별로 할당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work team management module 600 performs a function of allocating and managing a plurality of work teams, which should be input in a frame construction, for each detailed area.

제원 관리 모듈(700)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수행에 필요한 각종 장비, 예를 들어, 타워크레인, 차량 등의 제원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관리하는 제원은 제원 데이터베이스(D)에 저장될 수 있다. The specification management module 700 performs a function of managing various specifications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ower cranes, vehicles, and the like. The specifications managed here may be stored in the specification database (D).

입력부(800)와 출력부(900)는 사용자가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마우스, 키보드, 모니터를 포함한 어떠한 수단이어도 무방하다. The input unit 800 and the output unit 900 are means for a user to input and output information, and may be any means including a mouse, a keyboard, and a monitor.

2. 방법의 구체적인 설명2.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ethod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존재하여,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정보를 입출력하거나, 또는 외부 데이터를 로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수행된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UI가 도 7에 도시된다. 후술할 바와 같이, 3차원 모델이 입체적으로 출력됨은 물론, 2차원 모델도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프로젝트를 로딩한 경우, 필요한 모든 정보가 입력되고 연산이 수행된 상태라면, 통합 일정 계획 및 상세 계획(일정 관리) 및 자원 관리(리소스 관리)가 출력되며, 다양한 옵션 창에서 관련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There is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which the user inputs / outputs information or loads external data, thereby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I of this program is shown in FIG. 7. As will be described later, not only the 3D model is output in three dimensions, but also the 2D model can be output together. When one project is loaded, if all necessary information is input and the calculation is performed, integrated schedule planning and detailed planning (schedule management) and resource management (resource management) are output, and related information is displayed in various option windows. Can be confirmed.

2.1 대지 정보 설정2.1 Site Information Settings

도 2를 참조하여,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수행되는 건설 공사에서, 건설 공사 영역이 포함되는 대지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2, first, in a construction work in which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a method for setting a site including a construction work area will be described.

대지 설정은 대지 관리 모듈(210)에서 수행된다. Site setting is performed in the site management module 210.

3차원으로 구성된 대지 정보가 외부 데이터로서 별도로 존재하는지 여부가 확인된다(S210). 여기에서의 3차원으로 구성된 대지 정보의 외부 데이터는, 예를 들어, 토질별 깊이까지 포함되어 있는 라이노 데이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외부 데이터가 있는 경우, 외부 데이터 로딩 모듈(110)이 이를 로딩하여, 지형과 매핑함으로써, 3차원 지형 모델을 생성하여 대지 정보로서 사용된다(S240). It is checked whether the three-dimensionally constructed land information separately exists as external data (S210). Here, the external data of the three-dimensional land information, for example, may be Rhino data that includes depths for each soil. If there is separate external data as described above, the external data loading module 110 loads it and maps it with the terrain, thereby generating a 3D terrain model and using it as site information (S240).

별도의 3차원 대지 정보 외부 데이터가 없는 경우, 대지 관리 모듈(210)은 외부 데이터 로딩 모듈(110)을 통해 2차원으로 구성된 대지 정보를 입력받는다(S220). 예를 들어, CAD 등의 프로그램으로 작성된 2차원 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BIM 등의 프로그램으로 작성된 3차원 데이터에서 대지 부분을 2차원으로 추출할 수도 있다. When there is no separate 3D land information external data, the land management module 210 receives land information composed of two dimensions through the external data loading module 110 (S220). For example, it may be two-dimensional data created by a program such as CAD. Alternatively, the site portion may be extracted in 2D from 3D data created by a program such as BIM.

다음, 대지 관리 모듈(210)은 입력받은 2차원 데이터인 대지 내의 소정의 위치를 다수 포함하며, 각 위치마다의 토질별 깊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추공정보를 외부에서 입력받는다(S230). 여기에서, 토질 종류는 토사, 풍화암, 연암, 보통암, 및 경암으로 구성될 수 있다. Next, the site management module 210 includes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locations in the site, which are input 2D data, and receives borehole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depth for each soil at each location (S230). Here, the soil type may be composed of soil, weathered rock, soft rock, normal rock, and hard rock.

이제, 대지 관리 모듈(210)은 시추공정보를 이용하여 대지 정보 내에 토질이 깊이별로 포함되는 3차원 지형 모델을 생성하게 된다(S240). 이는, 시추공정보에 포함된 토질별 깊이를 연속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Now, the site management module 210 uses the borehole information to generate a 3D terrain model in which the soil is included in each piece of land depth (S240). This can be obtained by continuously connecting the depths of each soil included in the borehole information.

도 8의 (A)는, S230 단계로서, 시추공정보가 입력되는 프로그램 화면을 도시한다. FIG. 8A shows a program screen to which borehole information is input as step S230.

도 8의 (B)는, S240 단계로서, 3차원 모델링과 2차원 모델링을 함께 도시한다. 특히, 좌측의 3차원 모델링에서, 토질별로 상이한 색상으로 구분되어 출력됨을 알 수 있으며, 대지 내 어느 위치에서든 토질별 깊이의 구체적인 수치까지 확인될 수 있다. 8B, in step S240, 3D modeling and 2D modeling are illustrated together. In particular, in the three-dimensional modeling on the left, it can be seen that it is output by being divided into different colors for each soil, and even a specific number of depths for each soil can be confirmed at any location on the site.

2.2 존 및 세부구역 구분2.2 Zone and subdivision

도 3을 참조하여, 하나의 건설 공사 영역을 구성하는 다수의 존과, 하나의 존을 구성하는 다수의 세부구역을 구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존과 세부구역은 각각 수평 기준으로 구분된 것이다. 이러한 구분은, 존 관계 정의 또는 조닝(zoning)으로 지칭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method of classifying a plurality of zones constituting one construction construction area and a plurality of detailed zones constituting one zone will be described. Zones and subdivisions are each divided on a horizontal basis. This distinction may be referred to as zone relationship definition or zoning.

전술한 대지 정보가 설정되고, 대지 정보 내의 건설 공사 영역이 설정된 상태에서 진행된다. 건설 공사 영역은 외부 데이터인 건축설계정보에서 확인되는 터파기존일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land information is set, and the construction work area in the land information is set. The construction work area may be a pre-existing location identified in external data,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건축설계정보에 터파기존이 직접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BIM 등으로 작성된 경우이다. 이 경우, 토공사 관리 모듈(220)은, 해당 터파기존이 건설 공사 영역인 것으로 확인하며, 이를 다수의 존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토공사 관리 모듈(220)은 터파기존의 상이한 레벨도 확인할 수 있는데, 대지 관리 모듈(210)이 먼저 확인한 토질별 깊이와 함께 터파기 레벨을 고려하면, 토공량의 정확한 연산이 가능하다. 이는 아래에서 후술한다. It is possible that the extinction zone is directly entered in the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This is the case, for example, in BIM. In this case, the earthwork management module 220 may confirm that the corresponding terrestrial zone is a construction work area, and may divide it into a plurality of zones. In particular, the earthwork management module 220 may also check different levels of the excavation zone, and when the soil excavation level is considered together with the depth of each soil checked by the land management module 210, accurate calculation of the earthwork amount is possible.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건축설계정보에 별도의 터파기존이 입력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AD 등으로 작성된 경우이다. 하지만 터파기존이 직접 입력되어 있지 않아도 골조를 구성하는 기둥, 내력벽, 슬라브 등의 오브젝트를 기반으로 골조구역의 확인은 가능하여, 이를 이용하여 터파기존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토공사 관리 모듈(220)은 로딩된 건축설계정보에서 골조구역을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터파기존을 확인함으로써 건설 공사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A separate terrestrial zone may not be entered in the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This is the case, for example, in CAD. However, even if the trough zone is not directly inpu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trough zone based on the objects such as pillars, bearing walls, and slabs that make up the skeleton, and thus the trough zone can be checked. That is, the earthwork management module 220 can check the construction work area by extracting the framed area from the loaded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and confirming the extinction based on this.

건설 공사 영역이 확정된 상태에서, 먼저, 외부 데이터인 건축설계정보 자체에 존과 세부구역이 이미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기에, 이를 확인한다(S310). 특히, BIM을 이용하여 건축설계정보가 구축된 경우, 존과 세부구역은 이미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데이터 로딩 모듈(110)이 건축설계정보 로딩시 여기에 저장된 다수의 존과 다수의 세부구역을 함께 로딩하고, 구역 설정 모듈(130)이 이를 다수의 존과 다수의 세부구역으로 설정한다(S320).In the state in which the construction work area has been determined, first, the zone and the sub-division may already be classified and stored in the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itself, which is external data, so it is checked (S310). In particular, when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is constructed using BIM, zones and subdivisions may already be classified and stored. In this case, when the external data loading module 110 loads the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the multiple zones and multiple detailed zones stored there are loaded together, and the zone setting module 130 sets them as multiple zones and multiple detailed zones. (S320).

만약, 존과 세부구역이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CAD 등을 이용하여 건축설계정보를 작성하여 별도의 구분이 없는 경우, 사용자가 이를 직접 지정하여여 한다. If zones and sub-divisions are not separated and stored, for example, when building design information is created using CAD, etc., there is no distinction, the user must designate them.

이를 위해, 출력부(900)는 건축설계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는 입력부(800)를 이용하여 존과 세부구역을 구분하여 입력하며, 구역 설정 모듈(130)은 이를 다수의 존과 다수의 세부구역으로 설정한다(S330).To this end, the output unit 900 outputs the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and the user inputs the zone and the detailed zones separately by using the input unit 800, and the zone setting module 130 uses them for multiple zones and multiple details. It is set as a zone (S330).

이와 같은 방법으로 존과 세부구역이 설정되었다면, 구역 설정 모듈(130)은 다수의 존 사이에서, 또는 다수의 세부구역 사이에서 간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며(S340), 간섭이 있는 경우라면 출력부(900)가 경고를 출력한다. 간섭 여부는 각 존 또는 각 세부구역 사이에 겹치는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토대로 확인될 수 있다. If the zone and the sub-zone are set in this way, the zone setting module 130 checks whether there is interference between a plurality of zones or between a plurality of sub-zones (S340), and if there is interference, the output unit 900 outputs a warning. Interference can be checked based on whether overlapping areas exist between each zone or each sub-zone.

간섭이 없거나 해결되었다면, 구역 설정 모듈(130)은 설정된 다수의 존과 세부구역을 저장하고, 최종적으로 출력부(900)가 이를 출력한다. 이 때에 로딩되었던 건축설계정보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S360). If there is no interference or is resolved, the zone setting module 130 stores the set number of zones and sub-zones, and finally, the output unit 900 outputs them. At this time, it can be output together with the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that was loaded (S360).

도 9의 (A)는, S310 단계로서, BIM으로 작성된 건축설계정보를 로딩한 도면을 도시한다. FIG. 9 (A) is a drawing in which the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written in BIM is loaded in step S310.

도 9의 (B) 및 (C)는, S320 단계로서, 각각 BIM에 저장되어 있는 존과 세부구역을 추출하는 화면과, 추출된 존과 세부구역만을 나타내는 화면을 도시한다. 9B and 9C show screens for extracting the zones and sub-zones stored in the BIM and screens showing only the extracted zones and sub-zones, respectively, in step S320.

도 9의 (D)는 추출된 존과 세부구역에 따라 BIM으로 작성된 건축설계정보에서 오브젝트를 절단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절단된 오브젝트는, 그 부피가 계산될 수 있어서, 후술하는 작업일수 결정을 위한 토공량 확인, 리소스 관리 및 구역 검토 등을 위한 골조량 내지 타설량 확인 등에 사용될 것이다. 9 (D) shows a screen for cutting an object from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written in BIM according to the extracted zone and the detailed area. The cut object may be used to check the amount of earthwork to determine the number of working days to be described later, resource management, and the amount of bone to pour for area review, etc., as the volume can be calculated.

아파트 공사라면, 세부구역은 각 주동 단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주동 단위로 지하골조공사 및 지상골조공사가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후술할 작업팀 관리에도 특히 용이하다. 아파트 주동 단위로 세부구역이 설정된 예시는 도 10, 11, 13, 15, 16, 19, 20에서 확인할 수 있다. If it is an apartment construction, it is desirable that the subdivision is set for each main unit. This is because it is common for underground structures and ground structures to be performed in each main unit. In this case, it is particularly easy to manage the work team to be described later. Examples of detailed zones set in the main apartment units can be found in FIGS. 10, 11, 13, 15, 16, 19, and 20.

2.3 수직 관계 및 수평 관계 설정2.3 Setting vertical and horizontal relationships

도 4를 참조하여, 수직 관계 및 수평 관계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4, a method for setting vertical and horizontal relationships will be described.

전술한 다수의 존과 다수의 세부구역이 설정된 상태이다. The aforementioned multiple zones and multiple detailed zones are set.

수직 관계 설정 모듈(310)은, 다수의 세부구역마다 토공사, 지하골조공사 및 지상골조공사의 순서로 각 공사별 수직 관계를 설정한다(S410). The vertical relation setting module 310 sets vertical relations for each construction in the order of earthwork, underground construction, and ground construc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sub-areas (S410).

도 10의 (A)에 도시된 예를 들어, 101동 내지 113동을 포함하는 아파트 공사에 있어서, 세부구역은 각 주동마다 설정될 수 있는데, 109동에 해당하는 세부구역을 B-4로 명명할 경우, B-4구역은 토공사, 지하골조공사 및 지상골조공사가 필요하며, 그 순서로 수직 관계가 설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설정된 수직 관계는 "B-4-토공사", "B-4-지하골조공사", "B-4-지상골조공사"의 순서가 된다. 이러한 순서는 각 세부구역(아파트 단지에서는, 주동)마다 설정된다. For example, in the apartment construction including 101 to 113, shown in FIG. 10 (A), the sub-division may be set for each main building, and the sub-division corresponding to 109 is named B-4. If you do, the B-4 area requires earthwork, underground framing and ground framing, and the vertical relationship is established in that order. Therefore, the set vertical relationship is in the order of "B-4-earthwork", "B-4-underground framework", and "B-4-ground framework". This order is established for each subdivision (in the apartment complex, the main building).

이와 같이 수직 관계 설정이 완료된 후,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방법의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UI에서 건축설계정보의 3차원 화면에서 특정 세부 구역을 클릭하여 지칭하면, 해당 세부구역에 해당하는 모든 종류의 공사가 별도의 창으로 출력될 수 있다. After the vertical relationship setting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0 (B), when a specific detail area is clicked and referred to in a 3D screen of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in a UI of a program execu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kinds of constructions corresponding to the sub-area can be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한편, 다수의 세부구역 중 일부의 세부구역들은 토공사만 수행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해당 세부구역의 지상에는 별도의 구축물이 없어서 지하골조공사 및 지상골조공사가 필요 없지만 터파기와 같은 토공사가 필요한 영역이다. On the other hand, some of the sub-regions of the sub-area may be set to be carried out only earthwork. Since there are no separate structures on the ground in the sub-area, there is no need for underground and ground construction, but it is an area that requires earthwork such as digging.

S410 단계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평 관계 설정 모듈(320)이, 토공사, 지하골조공사 및 지상골조공사마다, 다수의 세부구역에 대하여 각 세부구역별 수평 관계를 설정한다(S420). 이 때의 수평 관계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할 수도 있고, 수동으로 입력하지 않은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준은, 예를 들어, 건설 공사 영역의 최외곽으로부터의 접근 길이일 수도 있으며, 또는 무작위, 또는 가나다(ABC) 순서일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다양한 기준이 적용될 수도 있다.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in step S410, the horizontal relation setting module 320 sets horizontal relations for each subdivision for a plurality of subdivisions for each earthwork, underground construction, and ground construction (S420). The horizontal relationship at this time may be manually input by the user, or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if not manually input. Here, the preset criterion may be, for example, an access length from the outermost part of the construction work area, or may be in a random or alphabetical (ABC) order, and various other standards may be applied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도 11의 (A)에는 다수의 세부구역이 도시된다. 이를 기반으로 수평 관계를 설정하게 된다. In FIG. 11A, a number of detailed zones are shown. Based on this, a horizontal relationship is established.

도 11의 (B)는 지하골조공사에 있어서 설정된 수평 관계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아파트 주동 단위로 세부구역이 설정되어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는, "102동-지하골조공사", "109동-지하골조공사", "103동-지하골조공사", "108동-지하골조공사", "113동-지하골조공사", "112동-지하골조공사"의 순서로 수평 관계가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Fig. 11B shows the horizontal relationship established in the underground construction. Here, the detailed area is set as the main unit of the apartment. In the illustrated example, "dong 102-underground framing", "dong 109-underground framing", "dong 103-underground framing", "dong 108-underground framing", "dong 113-underground framing", It can be seen that the horizontal relationship is established in the order of "Building 112-Underground Frame".

한편, 도 11의 (B)의 우측 창과 같이, 토공사 또는 지하골조공사에 있어서 선행존 내지 선행구역을 설정하여, 이를 수평 관계 설정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세부구역의 토공사를 수행하지 않으면 다른 세부구역의 토공사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right window of FIG. 11 (B), the preceding zone or the preceding zone may be set in the earthwork or underground frame construction, and this may be reflected in the horizontal relationship setting. This is because, for example, it may not be possible to perform earthworks in other subregions without earthworks in one subregion.

이를 위해, 토공사 관리 모듈(220) 내지 지하골조공사 관리 모듈(240)이, 각각, 하나의 세부구역의 토공사 또는 지하골조공사가 선행되어야 하는 어느 하나의 세부구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도 11의 (B)와 같이 창으로 나타나서 사용자가 별도로 입력할 수도 있으며, 또는 토공사 내지 지하골조공사가 수행되는 세부구역이 건설 공사 영역의 최외곽으로부터 접근 가능한지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To this end, the earthwork management module 220 to the underground framing construction management module 24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y subdivision to which the earthwork or underground construction of one subdivision should precede. This may be performed by automatically determining whether a detailed area in which earthwork or underground construction is performed is accessible from the outermost part of the construction work area, as shown in FIG. 11 (B) as a window. have.

선행되어야 하는 세부구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후행하는 세부구역의 토공사 또는 지하골조공사가 선행하는 세부구역의 토공사 또는 지하골조공사 이후에 수행되도록 수평 관계가 설정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division to be preceded exists, the horizontal relationship is established such that the earthwork or subterranean framework construction of the succeeding subdivision is performed after the earthwork or subterranean construction of the preceding subdivision.

또한, 수평 관계에서는 다수의 세부구역-공사가 동시에 진행 가능한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02동-지상골조공사", "109동-지상골조공사", "103동-지상골조공사"는 동시에 진행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후술하는 작업팀이 각각 상이하여야 한다는 점과, 선행 세부구역 관계가 아니라는 점을 만족하여야 한다. In addition, in a horizontal relationship, it can be set that a plurality of sub-zones can be simultaneously processed. For example, "102 dong-ground frame construction", "109 dong-ground frame construction" and "103 dong-ground frame construction" can be set to be performed simultaneously. However, it must be satisfied that the work teams described below should be different, and not related to the preceding sub-division.

한편, 파일공사가 필요한 경우라면, 수직 관계 및 수평 관계 설정에 있어서, 토공사, 파일공사, 지하골조공사 및 지상골조공사의 순서가 설정된다. On the other hand, if pile construction is required, in order to establish vertical and horizontal relations, the order of earthwork, pile construction, underground framing construction, and ground framing construction is established.

즉, 수직 관계 설정 모듈(310)이, 파일 공사 필요여부를 수동으로 확인하고, 파일 공사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수직 관계 설정 모듈(310)이, 다수의 세부구역마다 토공사, 파일공사, 지하골조공사 및 지상골조공사의 순서로 각 공사별 수직 관계를 설정하고, 수평 관계 설정 모듈(320)이, 토공사, 파일공사, 지하골조공사 및 지상골조공사마다, 다수의 세부구역에 대하여 각 세부구역별 수평 관계를 설정한다. In other words, if the vertical relationship setting module 310 manually checks whether a file construction is necessary,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le construction is necessary, the vertical relationship setting module 310, earthwork, pile construction, underground In the order of framing and ground framing, the vertical relationship is established for each construction, and the horizontal relation setting module 320 is for each subdivision of multiple subdivisions, for each earthwork, pile construction, underground framing construction, and ground framing construction. Set the horizontal relationship of stars.

2.4 통합 일정 계획 및 통합 일정 상세 계획2.4 Integrated scheduling and detailed planning

도 4를 계속 참조하여, 통합 일정 계획 및 통합 일정 상세 계획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With continued reference to FIG. 4, a method for setting an integrated schedule plan and an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 will be described.

다수의 존과 각각의 존에 대한 다수의 세부구역이 구분되어 있는 상태이며, 각 세부구역-공사마다 수직 관계와 수평 관계가 모두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통합 일정 계획 모듈(330)이 수직 관계와 수평 관계를 이용하여, 각각의 세부구역의 각각의 공사에 대한 순서를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세부구역-공사의 순서가 설정되어 통합 일정 계획이 수립된다(S450). A plurality of zones and a plurality of sub-zones for each zone are separated, and in each state-both vertical and horizontal relationships are set for each zone, the integrated schedule planning module 330 establishes a vertical relationship and By establishing the order for each construction of each subdivision using the horizontal relationship, the sequence of each subdivision-construction is established to establish an integrated schedule (S450).

통합 일정 계획 설정을 위한 몇 가지 기준이 적용된다. Several criteria apply to establish an integrated scheduling.

먼저, 수평 관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순서가 동일한 세부구역-공사가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 즉, "A구역-지상골조공사", "B구역-지상골조공사"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동시 진행이 이루어지기 위한 조건은 1)작업팀이 겹치지 않아야 한다는 점과 2)선행 세부구역 관계가 아니라는 점이다. 이로 인하여, 특정 날짜에 다수의 세부구역-공사가 동시에 진행된다. First, as mentioned in the horizontal relationship, it is considered that there are subdivision-constructions of the same order. That is, "A-zone-ground framing" and "B-zone-ground framing"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The conditions for simultaneous progress are that 1) the work team should not overlap and 2) it is not related to the preceding sub-district. Due to this, a number of subdivisions-constructions are carried out simultaneously on a specific date.

다음, 모든 세부구역의 토공사가 완료된 후 지하골조공사가 시작되고 모든 세부구역의 지하골조공사가 완료된 후 지상골조공사가 시작되도록 각각의 세부구역-공사의 순서가 설정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일부 세부구역에서 토공사가 진행되는 동안에 다른 세부구역에서 지하골조공사가 진행될 수 없다. 파일공사가 필요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도 12에는 이러한 개념이 도시된다. Next, the order of each subdivision-construction should be set so that the underground framing work begins after the earthwork of all subdivisions is completed and the ground framing work starts after the underground framing work of all subdivisions is completed. For example, while earthwork is being carried out in some subdivisions, underground framing work cannot be carried out in other subdivisions. The same is true when pile construction is required. Figure 12 illustrates this concept.

다음, 통합 일정 계획 상에서, 토공사 및 지하골조공사의 각각의 세부구역-공사의 순서는 미리 설정된 다수의 존 별 순서에 따라 설정되고, 지상골조공사의 각각의 세부구역-공사의 순서는 미리 설정된 작업팀의 세부구역 투입계획에 따라 설정된다. Next, in the integrated schedule plan, the order of each subdivision-construction of earthwork and underground framing is set according to the order of a plurality of preset zones, and the order of each subdivision-construction of ground framing is preset It is set according to the team's detailed area input plan.

간단한 예를 들어, 다수의 존은 A, B, C로 구분되고, A존은 101동, 102동, B존은 103동, 104동, C존은 105동, 106동의 세부구역으로 구분되며, 파일공사가 필요하지 않으며, 존 단위에서의 순서는 A-B-C이고, 101, 103, 104동에 X작업팀이 투입되고, 102, 105, 106동에 Y작업팀이 투입되고, 106동의 지하골조공사가 105동의 지하골조공사보다 선행되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음을 가정한다. For a simple example, the multiple zones are divided into A, B, and C zones, and the A zone is divided into 101, 102, and B zones of 103, 104, and C zones of 105 and 106 subdivisions. No pile work is required, and the order in zone is ABC, X work team is put into 101, 103, 104 dong, Y work team is put into 102, 105, 106 dong, and 106 underground construction works It is assumed that there is a condition that it should be preceded by the underground frame construction in Building 105.

이 경우, 통합 일정 계획 상에서는, "101동-토공사", "102동-토공사", "103동-토공사", "104동-토공사", "105동-토공사", "106동-토공사", "101동-지하골조공사", "102동-지하골조공사", "103동-지하골조공사", "104동-지하골조공사", "106동-지하골조공사", "105동-지하골조공사"를 진행한 후, "101동-지상골조공사"와 "102동-지상골조공사"가 동시 시작되고, 101동-지상골조공사가 완료되면 차례로 "103동-지상골조공사", "104동-지상골조공사"가 진행되고, 102동-지상골조공사가 완료되면 차례로 "105동-지상골조공사", "106동-지상골조공사"가 진행된다. 지상골조공사는 두 장소에서 동시에 진행될 것이다. In this case, on the integrated schedule, "Building 101-Earthwork", "Building 102-Earthwork", "Building 103-Earthwork", "Building 104-Earthwork", "Building 105-Earthwork", "Building 106-Earthwork", "Building 101-underground", "Building 102-underground", "Building 103-underground", "Building 104-underground", "Building 106-underground", "Building 105-underground" After proceeding with the "Frame Construction", "101 Building-Ground Construction" and "102 Building-Ground Construction" are started at the same time. When the 101 Building-Ground Construction is completed, "103 Buildings-Ground Construction", " The 104-dong-ground frame construction proceeds, and when the 102-ground construction is completed, the "105-dong-ground construction" and the "106-ground-ground construction" are sequentially performed. The ground frame construction will be carried out in two places at the same time.

도 16에는, 통합 일정 계획 중 토공사에 대하여 설정된 통합 일정 계획이 도시된다. 도 16의 (A)와 같이 순서로서 출력될 수도 있으며, 도 16의 (B)와 같이 도면으로서 출력될 수도 있다. In Fig. 16, the integrated schedule plan set for the earthwork among the integrated schedule plans is shown. It may be output as a sequence as shown in FIG. 16 (A), or may be output as a drawing as shown in FIG. 16 (B).

도 17에는, 통합 일정 계획 중 골조공사(지하골조공사 및 지상골조공사)에 대하여 설정된 통합 일정 계획이 도시된다. 도 17의 (A)와 같이 순서로서 출력될 수도 있으며, 도 17의 (B)와 같이 도면으로서 출력될 수도 있다. In FIG. 17, an integrated schedule plan is set for the frame construction (underground frame construction and ground frame construction) among the integrated schedule planning. It may be output as a sequence as shown in FIG. 17 (A), or may be output as a drawing as shown in FIG. 17 (B).

통합 일정 계획은 각 세부구역-공사의 순서에 대한 것이며, 여기에 작업일의 개념이 포함된 통합 일정 상세 계획이 설정된다.The consolidated schedule is for each subdivision-construction sequence, and a consolidated schedule detailed plan is set up, which includes the concept of working days.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먼저, 통합 일정 상세 계획 모듈(340)이, 통합 일정 계획에서 설정된 각각의 세부구역-공사마다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해 작업일수를 할당한다(S440). Referring again to FIG. 4, first, the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ning module 340 allocates the number of work days by a preset method for each detailed zone-construction set in the integrated schedule planning (S440).

다음, 통합 일정 상세 계획 모듈(340)이, 최초 세부구역-공사의 착수일(즉, 날짜)을 입력받아, 할당된 각각의 세부구역-공사마다의 작업일수를 더하기 시작하고, 작업일수가 경과하면 종료일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모든 세부구역-공사의 착수일 및 종료일이 설정되며, 이에 따라 통합 일정 상세 계획이 설정된다(S450). Next, the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ning module 340 starts to add the number of work days for each assigned sub-zone-construction, receiving the first sub-zone-work start date (ie, date), and the number of work days has elapsed. When the end date is set, the start date and end date of all subdivision-construction are set, and accordingly, the detailed schedule of the integrated schedule is set (S450).

추가로, 통합 일정 상세 계획 모듈(340)이, 마지막 세부구역-공사의 착수일과 작업일(즉, 종료일)을 이용하여 총 작업 완료일을 연산하고, 최초 세부구역-공사의 착수일과의 차이를 이용하여 총 작업일을 연산하게 된다(S460). 동시에 수행되는 세부구역-공사가 다수 있기에, 즉 지상골조공사는 다수의 작업팀에 의하여 다수의 세부구역에서 동시에 진행되고 있기에, 단순한 작업일수 합산만으로는 총 작업일이 연산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ning module 340 calculates the total work completion date using the last subdivision-work start date and work day (ie, end date), and uses the difference from the initial subdivision-work start date To calculate the total working day (S460).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otal number of work days is not calculated by simply summing the number of work days since there are a number of subdivisions-constructions that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that is, the ground frame construction is being performed simultaneously by a number of work teams in a number of subdivisions.

도 5를 참조하여, 각 세부구역-공사마다 작업일수를 할당하는 방법, 즉 S440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5, a method of allocating work days for each sub-area, that is, step S4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토공사인 경우와 골조공사(지하골조공사 및 지상골조공사)인 경우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S510). It can be described separately in the case of earthwork and frame construction (underground and ground construction) (S510).

토공사인 경우, 토공량을 기반으로 작업일수가 결정된다(도 12 참조).In the case of earthwork, the number of working days is determined based on the amount of earthwork (see FIG. 12).

본 발명의 시스템(1000)에는 토질 종류별 1일 가능 반출량이 미리 저장되어 있기에, 이를 먼저 출력한다(S520). 여기서 토질은, 건설 공사에서 주로 다루는 토사, 풍화암, 연암, 보통암, 및 경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의 (A)에는 이러한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이 도시된다.In the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ily carrying amount per soil type is stored in advance, so it is output first (S520).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oil includes any one or more of soil, weathered rock, soft rock, normal rock, and hard rock mainly dealt with in construction work. 13A shows a screen in which such information is output.

다음, 통합 일정 상세 계획 모듈(340)이, 대지 정보를 이용하여 각 세부구역을 구성하는 각 토질마다의 부피를 확인한다(S530).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대지 정보가 3차원 모델로서 어느 구역이든 각 토질의 종류별 깊이를 저장하고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도 8의 (B) 참조). Next, the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ning module 340 checks the volume of each soil constituting each detailed area using the site information (S530).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land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3D model, as described above, and stores the depth of each soil type in any region (see FIG. 8B).

다음, 통합 일정 상세 계획 모듈(340)이, S530 단계에서 연산된 토질마다의 부피를 토질 종류별 1일 반출량으로 나눔으로써, 해당 세부구역-토공사의 작업일수를 연산하게 되며, 이를 해당 세부구역-토공사의 작업일수로 할당하게 된다(S540). Next, the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ning module 340 calculates the number of working days of the corresponding sub-district-earthwork by dividing the volume of each soil calculated in step S530 by the daily discharge amount for each soil type. It will be assigned as the number of working days (S540).

지상골조공사 또는 지하골조공사인 경우, 공사 위치를 기초로 한 공기산정팩터(factor)를 기반으로 작업일수가 결정된다(도 12 참조).In the case of a ground frame construction or an underground frame construction, the number of working days is determined based on an air calculation factor based on the construction location (see FIG. 12).

먼저, 본 발명의 시스템(1000)에는 공사 위치별 작업일수의 기본값이 미리 저장되어 있기에, 이를 출력한다(S550). 여기서, 공사 위치는 지하골조공사의 경우 기초, 기초층, 및 PIT층일 수 있으며, 지상골조공사의 경우 다층 건물에서 기준층을 설정하고, 그 외의 층(1, 2, 3, 4층 등)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4의 (A)에 이러한 정보가 도시된다. First, since the default value of the number of work days per construction location is stored in advance in the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utput (S550). Here, the location of the construction may be a foundation, a base layer, and a PIT layer in the case of an underground frame construction. In the case of a ground frame construction, a reference layer is set in a multi-story building, and separated into other layers (1, 2, 3, 4, etc.) Can be. This information is shown in Fig. 14A.

이러한 팩터는 지상골조공사의 공사 위치는 건물의 특성에 따라 자유롭게 변동될 것이다. 기준층 없이 모든 층에 개별적으로 작업일수가 할당될 수도 있으며, 또는 2층 이상이 모두 기준층이어서, 1층과 기준층 2개만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In such a factor, the construction location of the ground frame construction will be freely chang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The number of working days may be individually assigned to all the floors without a reference layer, or since the two or more floors are all reference layers, it may be set as only one and two reference layers.

또한, 팩터의 수치인 작업일수는 건설 공사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다. 기초 단차, 램프 단차, 필로티 여부 등 다양한 변수가 해당 값을 보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변수는 도 13의 (A)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일수 설정에 반영된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working days, which is a factor of the factor,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work. Various parameters such as basic step, ramp step, and pilotti can be used to correct the corresponding value. These variables are reflected in the setting of working days, as shown at the bottom of FIG. 13A.

다음, 각 세부구역의 공사 위치가 확인되고, 확인된 공사 위치에서 미리 저장된 작업일수가 로딩되어 해당 작업일수로 할당된다(S560). Next, the construction location of each sub-area is confirmed, and the number of working days previously stored at the confirmed construction location is loaded and allocated as the corresponding working days (S560).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세부구역-공사마다 작업일수가 할당되면, 먼저 결정된 각각의 세부구역-공사의 순서(즉, 통합 일정 계획)에 반영되고, 최초 세부구역-공사의 착수일이 더 입력되면, 모든 세부구역-공사의 각각의 착수일이 확인된다(S450). 또한, 마지막 세부구역-공사의 착수일과 작업일수를 이용한다면 최종 완료일, 즉 총 작업 완료일의 연산이 가능하며, 최초 착수일과 총 완료일의 차이를 이용하여 총 작업일의 연산도 가능하다(S460). In this way, if the number of work days is assigned to each subdivision-construction, it is reflected in the order of each subdivision-construction determined first (that is, the integrated schedule), and when the start date of the initial subdivision-construction is further input , All detailed areas-the start date of each construction is confirmed (S450). In addition, if the start date and the number of work days of the last sub-area are used, the calculation of the final completion date, that is, the total work completion date is possible, and the calculation of the total work day is also possible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start date and the total completion date (S460).

물론, 이 경우 동시에 시작되는 것으로 설정된 세부구역-공사의 착수일은 동일한 날짜로 설정되고, 순차적으로 시작되는 것으로 설정된 세부구역-공사의 착수일은 앞선 세부구역-공사의 착수일로부터 해당 세부구역-공사의 작업일(즉, 종료일) 이후의 날짜로 설정된다. Of course, in this case, the start date of the subdivision-construction set to start at the same time is set to the same date, and the start date of the subdivision-construction set to start sequentially is the subdivision-construction from the start date of the subdivision-construction It is set to a date after the working day (ie, end date).

도 15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연산된 통합 일정 상세 계획을 도시한다. 최초 착수일 입력시 각각의 세부구역-공사마다 착수일과 종료일이 연산됨이 나타난다. 도 15에서는 토공사, 지하골조공사 및 지상골조공사(도면에서 아파트로 표시)가 별도의 테이블로 구분되어 도시되는데, 각각의 토공사, 지하골조공사 및 지상골조공사에서 세부구역-공사의 수평 관계는 하나의 테이블에서 각 열로 도시되며, 수직 관계는 각 테이블을 연결하는 직선으로 도시된다. 15 shows a detailed schedule of the integrated schedule calculated in this way. When entering the first start date, it appears that the start date and end date are calculated for each sub-zone. In Figure 15, earthwork, underground framing and ground framing (shown as apartments in the drawing) are shown as separate tables, and the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subdivision and construction in each earthwork, underground framing and ground framing is one. The table is shown in each column, and the vertical relationship is shown as a straight line connecting each table.

도 18은 토공사의 일종인 터파기에 대한 통합 일정 세부 계획을 별도로 도시한다. 세부구역별로 시작 가능일과 종료일이 입력될 수 있다. 파일공사는 선택적으로 더 입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파일량을 기반으로 작업일수가 선정된다(도 12 참조). Figure 18 separately shows the detailed schedule of the integrated schedule for the earthwork, which is a kind of earthwork. The start and end dates can be entered for each subdivision. The pile construction can be optionally further input, in which case the number of working days is selected based on the amount of pile (see FIG. 12).

도 19는 지하골조공사에 대한 통합 일정 세부 계획을 별도로 도시한다. 세부구역별로 시작 가능일과 작업 일수가 도시된다. 작업 일수에는 공사 위치에 따라 결정된 팩터가 나타난다. 종료일 연산시 휴무일이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 shows a detailed plan for the integrated schedule for the underground construction. The start dates and working days are shown for each subdivision. Factors determined by the location of the construction appear in the number of work days. It can be seen that the holiday is reflected in the calculation of the end date.

2.5 토공량 리소스 관리2.5 Earthmoving Resource Management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 건설 공사 현장에서 반출되는 토공량을 관리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amount of earthwork carried out from the construction site and provide various information.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방법으로 통합 일정 세부 계획이 수립된 상태이다.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A. A detailed plan for the integration schedule has been established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토공량 리소스 모듈(510)이, 토공사가 이루어지는 모든 세부구역의 부피를 확인하고, 해당 부피를 해당 세부구역-공사의 작업일수로 나눔으로써, 세부구역별 1일 토공량을 확인한다(S610). The earthwork resource module 510 checks the volume of all sub-districts where earthwork is made, and divides the volume by the number of work days of the subdivision-construction to check the amount of earthwork per day per subdivision (S610).

토공사가 이루어지는 세부구역의 부피는, 통합 일정 계획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이미 연산된 것이다. 즉, 토공사 관리 모듈(220)이, 터파기존을 확인하고, 터파기존의 레벨을 확인한 후, 먼저 구분된 세부구역을 이용하여 연산된다. 마찬가지로, 외부 데이터 로딩 모듈(110)이 로딩한 건축설계정보를 활용한 것일 수 있으며, 별도의 터파기존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골조구역을 추출함으로써 확인할 수도 있다. The volume of the subdivision where the earthwork is made has already been calculat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the integrated scheduling. That is, the earthwork management module 220, after confirming the extinction zone, and confirming the level of the extinction zone, is first calculated using the divided subdivision. Likewise, the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loaded by the external data loading module 110 may be utilized, and if a separate terrestrial zone is not set, it may be confirmed by extracting a skeleton zone.

다음, 토공량 리소스 모듈(510)이, 설정되어 있는 통합 일정 상세 계획을 이용하여, 소정의 날짜에 토공사가 이루어지는 세부구역들을 확인하고, 확인한 세부구역들의 1일 토공량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날짜의 1일 총 토공량을 확인하게 된다(S620). 즉, 다수의 세부구역에서 동시에 토공사가 이루어지는 경우를 고려한 것이며, 전체 토공량은 물론 특정 날짜에서 1일 토공량의 확인이 가능한 것이다. Next, the earthwork resource module 510 checks detailed areas where earthworks are made on a predetermined date using the established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 and confirms the daily earthwork volume of the confirmed detailed areas on the first day of the day The total earth volume is checked (S620). That is, it is considered that earthwork is simultaneously performed in a number of detailed areas, an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total amount of earthwork as well as the amount of earthwork per day on a specific date.

이와 같은 방식으로 1일 토공량이 연산되면, 특정 날짜에 얼마의 토공량이 반출되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도 20 및 도 21은 이를 도시한다. 하단에 날짜와 세부구역-공사 여부가 도시된다. 도 20의 (a)는 특정 날짜의 1일 토공량을 막대 그래프로 도시하며, (b)는 테이블로 도시한다. If the amount of earthwork per day is calculat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heck how much earthwork is carried out on a specific date. 20 and 21 illustrate this. At the bottom, the date and subdivision-construction status are shown. 20 (a) shows the daily soil volume on a specific date as a bar graph, and (b) shows the table.

한편, S610 단계 및 S620 단계에서 확인되는 토공량은 토질별 토공량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대지 정보에서 토질별로 정보를 확인하였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토공량 리소스 모듈(510)이, 토공사가 이루어지는 모든 세부구역의 토질별 부피를 확인하고, 해당 부피를 해당 세부구역-공사의 작업일수로 나눔으로써, 세부구역별 1일 토공량을 토질별로 확인하는 것이다. Meanwhile, the amount of earthwork identified in steps S610 and S620 may be the amount of earthwork by soil. To this end, a method of confirming information for each soil in the land information may be applied. That is, the earthwork resource module 510 checks the volume of soil for each subdivision where earthwork is performed, and divides the volume by the number of working days of the subdivision-construction to check the daily soil volume for each subdivision by soil quality. will be.

이렇게 확인된 정보는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thus identified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첫째, 차량의 1일 운영회수 및 굴삭장비의 대수가 결정되어 있지 않다면(S630) 이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의 1일 운영회수는, 토공량 리소스 모듈(510)이 앞서 연산한 1일 총 토공량을, 미리 결정되어 저장되어 있는 제원인 차량의 적재량으로 나눔으로써 연산된다. 굴삭장비의 대수는, 토공량 리소스 모듈(510)이 앞서 연산한 1일 총 토공량을, 미리 결정되어 저장되어 있는 제원인 굴삭장비의 1일 작업량으로 나눔으로써 연산된다. First, if the number of operations per day of the vehicle and the number of excavators are not determined (S630), it can be determined. The number of operations per day of the vehicle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total amount of daily earthwork calculated by the earthwork resource module 510 with the load of the vehicle, which is a predetermined and stored specification. The number of excavation equipment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total daily excavation amount calculated by the earthwork resource module 510 by the daily work amount of the excavation equipment, which is a predetermined and stored specification.

둘째, 차량의 1일 운영회수 및 굴삭장비의 대수가 결정되어 있다면(S630), 이러한 결정이 적절한지 검토할 수 있다. 토공량 리소스 모듈(510)이, 미리 결정된 차량의 적재량, 차량의 1일 운영회수, 굴삭장비의 1일 작업량 및 굴삭장비 대수를 기준으로, 1일 장비용량을 결정한다(S651). 다음, 앞서 연산된 1일 총 토공량이 1일 장비용량을 초과한다면(S652), 장비의 제원을 넘는 것이므로, 경고를 출력한다(S653). Second, if the number of operations per day of the vehicle and the number of excavators are determined (S630), it is possible to examine whether such a decision is appropriate. The earthwork resource module 510 determines the equipment capacity per day based on the predetermined vehicle load, the number of operations per day of the vehicle, the amount of work per day of the excavation equipment, and the number of excavation equipment (S651). Next, if the total amount of earthwork calculated per day exceeds the equipment capacity per day (S652), it exceeds the specifications of the equipment and a warning is output (S653).

도 22는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1일 총 토공량을 결정하고 검토하기 위한 창을 도시한다.FIG. 22 shows a window for determining and reviewing the total earthwork volume per day based on this information.

한편, 토공사 후 필요한 흙막이벽 역시 이와 함께 연산되어 도시될 수 있다. 도 24의 (a)는 이를 도시한다. 또한, 파일공사에서도 동일한 방법이 적용되어 파일량이 연산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파일 제원에 따라 천공하여야 하는 시간도 함께 연산할 수 있다. 도 24의 (b)는 d이를 도시한다. On the other hand, the earth retaining wall required after earthwork can also be calculated and illustrated with this. 24 (a) shows this. In addition, the same method is applied to the pile construction, so the pile amount can be calculated. Here, the time to be drilled can also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ile specifications. Fig. 24 (b) shows d.

2.6 골조량 리소스 관리2.6 Bone Management Resource Management

토공량에서와 유사한 방법이 적용되어, 반입되는 골조량 연산이 가능하다. 골조량은 시멘트(레미콘), 철근 등 골조 공사에 필요한 모든 자재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A method similar to that of the earthwork volume is applied, so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amount of bone imported. The frame structure is a concept that includes all materials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of a frame, such as cement (remicon) and rebar.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전술한 방법으로 통합 일정 세부 계획이 수립된 상태이다.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B. Likewise, a detailed schedule for the integration schedule has been established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골조량 리소스 모듈(520)이, 지하골조공사 또는 지상골조공사가 이루어지는 모든 세부구역의 부피를 확인하고, 해당 부피를 해당 세부구역-공사의 작업일수로 나눔으로써, 세부구역별 1일 골조량을 확인한다(S660). The bone mass resource module 520 checks the volume of all sub-zones where the underground or ground frame construction is performed, and divides the volume by the number of work days of the sub-zone and construction to determine the daily bone volume per sub-zone. Confirm (S660).

지하골조공사 또는 지상골조공사가 이루어지는 세부구역의 부피 역시 전술한 방법으로 연산될 수 있다. 즉, 외부 데이터 로딩 모듈(110)이, 건축설계정보를 로딩하고, 지하골조공사 관리 모듈(240) 또는 지상골조공사 관리 모듈(250)이, 각각, 로딩된 건축설계정보에서 골조구역을 추출하여 그 부피를 확인함으로써 각 세부구약의 부피가 확인될 수 있다. The volume of the sub-zone where the underground framing or ground framing is done can also be calculated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That is, the external data loading module 110 loads the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and the underground framework management module 240 or the ground framework management module 250 extracts the skeleton zone from the loaded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respectively. By checking the volume, the volume of each sub-test can be confirmed.

다음, 골조량 리소스 모듈(520)이, 앞서 연산된 통합 일정 상세 계획을 이용하여, 소정의 날짜에 지하골조공사 또는 지상골조공사가 이루어지는 세부구역들을 확인하고, 확인한 세부구역들의 1일 골조량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날짜의 1일 총 골조량을 확인한다(S670). 즉, 동시에 골조공사가 이루어지는 경우를 고려한 것이며, 전체 골조량은 물론, 세부적으로 특정 날짜에서 1일 골조량의 확인이 가능한 것이다. Next, the bone structure resource module 520, using the previously calculated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 checks the detailed areas where the underground frame construction or the ground frame construction is performed on a predetermined date, and checks the daily bone volume of the confirmed detailed regions. By checking, the total daily bone structure of the day is checked (S670). That is, it is considered that a frame construction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an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total amount of bones as well as the amount of bones per day on a specific date in detail.

이렇게 확인된 정보는, 세부적인 골조 종류에 따라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The information thus confirmed can be checked according to the detailed frame type.

골조량 리소스 모듈(520)이, 지하골조공사 또는 지상골조공사가 이루어지는 모든 세부구역의 부피에, 미리 결정된 골조 당 시멘트량과 골조 당 철근량을 곱함으로써, 세부구역별 1일 시멘트량 및 세부구역별 1일 철근량을 연산된다(S680). 도 25는 이를 도시한다. The amount of bone structure resource module 520 multiplies the volume of all sub-regions where the underground or ground frame construction is performed by the predetermined amount of cement per frame and the amount of reinforcing bars per frame, and the amount of cement per sub-region and the amount of sub-division per day The amount of rebar per day is calculated (S680). 25 shows this.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구역설정부
110: 외부 데이터 로딩 모듈
120: 모델링 모듈
130: 구역 설정 모듈
140: 구역 검토 모듈
200: 공사관리부
210: 대지 관리 모듈
220: 토공사 관리 모듈
230: 파일공사 관리 모듈
240: 지하골조공사 관리 모듈
250: 지상골조공사 관리 모듈
260: 가설공사 관리 모듈
300: 일정계획부
310: 수직 관계 설정 모듈
320: 수평 관계 설정 모듈
330: 통합 일정 계획 모듈
340: 통합 일정 상세 계획 모듈
400: 양중계획부
410: 양중 계획 모듈
420: 타워크레인 대수 산정 모듈
430: 타워크레인 배치 모듈
440: 타워크레인 운용 모듈
500: 리소스관리부
510: 토공량 리소스 모듈
520: 골조량 리소스 모듈
600: 작업팀 관리 모듈
700: 제원 관리 모듈
800: 입력부
900: 출력부
D: 제원 데이터베이스
100: zone setting unit
110: external data loading module
120: modeling module
130: zoning module
140: zone review module
200: Construction Management Department
210: site management module
220: earthwork management module
230: file construction management module
240: underground framework management module
250: Ground frame management module
260: temporary construction management module
300: schedule planning department
310: vertical relationship setting module
320: horizontal relationship setting module
330: integrated scheduling module
340: Integrated scheduling detailed planning module
400: bilateral planning department
410: bilateral planning module
420: Tower crane number calculation module
430: tower crane placement module
440: tower crane operation module
500: Resource management department
510: earthwork resource module
520: bone mass resource module
600: work team management module
700: Specification management module
800: input
900: output
D: Specification database

Claims (11)

건설 공사에서 토공량 리소스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a) 구역 설정 모듈(130)이, 건설 공사 영역을 수평 기준의 다수의 존으로 구분하고, 다수의 존 각각을 다수의 세부구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b) 수직 관계 설정 모듈(310)이, 다수의 세부구역마다 토공사, 지하골조공사 및 지상골조공사의 순서로 각 공사별 수직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 여기서, 수직 관계는 건축물 수직 방향의 공사 선후 순서를 의미함 -
(c) 수평 관계 설정 모듈(320)이, 토공사, 지하골조공사 및 지상골조공사마다, 다수의 세부구역에 대하여 각 세부구역별 수평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 여기서, 수평 관계는 건축물 수평 방향의 공사 선후 순서를 의미함 -
(d) 통합 일정 계획 모듈(330)이 상기 (b) 단계에서 설정된 수직 관계와 상기 (c) 단계에서 설정된 수평 관계를 모두 이용하여, 각각의 세부구역의 각각의 공사에 대한 순서를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세부구역-공사의 순서가 설정되는 단계; -여기서, 세부구역-공사 중 일부는 동시에 시작되는 것으로 설정이 가능함-
(e) 통합 일정 상세 계획 모듈(340)이, 상기 (d) 단계에서 설정된 각각의 세부구역-공사마다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해 작업일수를 할당하는 단계;
(f) 상기 통합 일정 상세 계획 모듈(340)이, 최초 세부구역-공사의 착수일을 입력받아, 상기 (e) 단계에서 할당된 각각의 세부구역-공사마다의 작업일수를 이용하여, 통합 일정 상세 계획을 설정하는 단계;
(g) 토공량 리소스 모듈(510)이, 토공사가 이루어지는 모든 세부구역의 부피를 확인하고, 해당 부피를 해당 세부구역-공사의 작업일수로 나눔으로써, 세부구역별 1일 토공량을 확인하는 단계; 및
(h) 상기 토공량 리소스 모듈(510)이, 상기 (f) 단계에서 설정된 통합 일정 상세계획을 이용하여, 소정의 날짜에 토공사가 이루어지는 세부구역들을 확인하고, 확인한 세부구역들의 1일 토공량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날짜의 1일 총 토공량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s a method of managing earthwork resources in construction work,
(a) the zone setting module 130, dividing the construction work area into a plurality of zones on a horizontal basis, and dividing each of the zones into a plurality of sub-zones;
(b) vertical relationship setting module 310, establishing a vertical relationship for each construction in the order of earthwork, underground framing and ground framing for each of a number of sub-divisions; -Here, the vertical relationship means the order of pre-constru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uilding-
(c) horizontal relation setting module 320, for each earthwork, underground construction, and ground frame construction, establishing a horizontal relationship for each subdivision for a plurality of subdivisions; -Here, the horizontal relationship means the order of pre-constru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building-
(d) By setting the order for each construction of each sub-area, the integrated schedule planning module 330 uses both the vertical relationship set in step (b) and the horizontal relationship set in step (c), Each sub-zone-the order of construction is established; -Here, it is possible to set up some areas-some of the construction starts simultaneously-
(e) the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ning module 340, assigning the number of work days by a preset method for each sub-zone set in step (d);
(f) The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ning module 340 receives the start date of the first subdivision-construction and uses the number of work days for each subdivision-construction assigned in step (e), to consolidate the schedule Establishing a detailed plan;
(g) the earthwork resource module 510, checking the volume of all sub-districts where earthwork is made, and dividing the volume by the number of work days of the sub-division-construction, confirming the daily earthwork volume per subdivision; And
(h) the earthwork resource module 510, by using the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 set in step (f), checks detailed areas where earthwork is performed on a predetermined date, and checks the daily earthwork volume of the confirmed detailed areas , Comprising the step of identifying the total amount of earthwork per day of the day,
W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a11) 토공사 관리 모듈(220)이, 터파기존을 확인하는 단계; 및
(a12) 상기 토공사 관리 모듈(220)이, 상기 터파기존의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파기존은 상기 (a) 단계에서 설정된 다수의 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터파기존의 부피가 상기 (g) 단계에서의 토공사가 이루어지는 모든 세부구역의 부피의 합과 같으며,
상기 (a11) 단계 이전에,
외부 데이터 로딩 모듈(110)이, 건축설계정보를 로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a11) 단계는,
상기 토공사 관리 모듈(220)이, 로딩된 건축설계정보에서 골조구역을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터파기존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Before step (a),
(A11) the earthwork management module 220, the step of confirming the extinction; And
(a12) the earthwork management module 220,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hecking the level of the extinction,
The terrestrial zon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zones set in step (a),
The volume of the excavation zone is equal to the sum of the volumes of all sub-districts where the earthwork in step (g) is made,
Before step (a11),
The external data loading module 110 further includes a step of loading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Step (a11) is,
The earthwork management module 220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extracting a framed area from the loaded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and checking the extinction zone based on this,
W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g11) 상기 토공량 리소스 모듈(510)이, 토공사가 이루어지는 모든 세부구역의 토질별 부피를 확인하고, 해당 부피를 해당 세부구역-공사의 작업일수로 나눔으로써, 세부구역별 1일 토공량을 토질별로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질은, 토사, 풍화암, 연암, 보통암, 및 경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a) 단계 이전에,
(i11) 대지 관리 모듈(210)이 2차원으로 구성된 대지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i12) 상기 대지 관리 모듈(210)이 상기 대지 내의 소정의 위치를 다수 포함하며, 각 위치마다의 토질별 깊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추공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i13) 상기 대지 관리 모듈(210)이 상기 시추공정보를 이용하여 대지 정보 내에 토질이 깊이별로 포함되는 3차원 지형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g11) 단계에서, 토공사가 이루어지는 모든 세부구역의 토질별 부피는 상기 (i13) 단계에서의 3차원 지형 모델을 이용하여 연산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Step (g) is,
(g11) The earthwork resource module 510 checks the volume of each soil in each subdivision where the earthwork is made, and divides the volume by the number of working days of the subdivision-construction, dividing the daily soil volume by subdivision by soil qualit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firming,
The soil includes any one or more of sediment, weathered rock, soft rock, normal rock, and hard rock,
Before step (a),
(i11) the land management module 210 receiving two-dimensional land information;
(i12) receiving the borehole information, wherein the site management module 210 includes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site, and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depth of each soil for each position; And
(i13) the site management module 210 further includes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terrain model including soil by depth in the site information using the borehole information,
In step (g11), the volume for each soil of all sub-areas where earthwork is performed is calculated using the 3D terrain model in step (i13),
W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 이후에,
(k11) 상기 토공량 리소스 모듈(510)이 상기 (h) 단계에서 결정된 1일 총 토공량을, 미리 결정된 차량의 적재량으로 나누어, 차량의 1일 운영회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k12) 상기 토공량 리소스 모듈(510)이 상기 (h) 단계에서 결정된 1일 총 토공량을, 미리 결정된 굴삭장비의 1일 작업량으로 나누어, 굴삭장비의 대수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fter step (h),
(k11) the earthwork resource module 510 calculating the number of daily operation times of the vehicle by dividing the total daily earthwork volume determined in the step (h) by the predetermined vehicle load; And
(k12) the earthwork resource module 510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viding the total daily earthwork amount determined in the step (h) by the predetermined daily work amount of the excavator, and calculating the number of excavators.
W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 이후에,
(l11) 상기 토공량 리소스 모듈(510)이, 미리 결정된 차량의 적재량, 차량의 1일 운영회수, 굴삭장비의 1일 작업량 및 굴삭장비 대수를 기준으로, 1일 장비용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l12) 상기 토공량 리소스 모듈(510)이 상기 (h) 단계에서의 1일 총 토공량이 상기 (l11) 단계에서 결정된 1일 장비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fter step (h),
(l11) the earthwork resource module 510 determining a daily equipment capacity based on a predetermined vehicle load, a daily operation number of the vehicle, a daily work amount of the excavator equipment, and a number of excavator equipment; And
(l12) the earthwork resource module 510 further includes outputting a warning when the total daily earthwork volume in the step (h) exceeds the daily equipment capacity determined in the step (l11).
Way.
건설 공사에서 골조량 리소스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a) 구역 설정 모듈(130)이, 건설 공사 영역을 수평 기준의 다수의 존으로 구분하고, 다수의 존 각각을 다수의 세부구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b) 수직 관계 설정 모듈(310)이, 다수의 세부구역마다 토공사, 지하골조공사 및 지상골조공사의 순서로 각 공사별 수직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 여기서, 수직 관계는 건축물 수직 방향의 공사 선후 순서를 의미함 -
(c) 수평 관계 설정 모듈(320)이, 토공사, 지하골조공사 및 지상골조공사마다, 다수의 세부구역에 대하여 각 세부구역별 수평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및 - 여기서, 수평 관계는 건축물 수평 방향의 공사 선후 순서를 의미함 -
(d) 통합 일정 계획 모듈(330)이 상기 (b) 단계에서 설정된 수직 관계와 상기 (c) 단계에서 설정된 수평 관계를 모두 이용하여, 각각의 세부구역의 각각의 공사에 대한 순서를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세부구역-공사의 순서가 설정되는 단계; -여기서, 세부구역-공사 중 일부는 동시에 시작되는 것으로 설정이 가능함-
(e) 통합 일정 상세 계획 모듈(340)이, 상기 (d) 단계에서 설정된 각각의 세부구역-공사마다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해 작업일수를 할당하는 단계;
(f) 상기 통합 일정 상세 계획 모듈(340)이, 최초 세부구역-공사의 착수일을 입력받아, 상기 (e) 단계에서 할당된 각각의 세부구역-공사마다의 작업일수를 이용하여, 통합 일정 상세 계획을 설정하는 단계; 및
(g') 골조량 리소스 모듈(520)이, 지하골조공사 또는 지상골조공사가 이루어지는 모든 세부구역의 부피를 확인하고, 해당 부피를 해당 세부구역-공사의 작업일수로 나눔으로써, 세부구역별 1일 골조량을 확인하는 단계;
(h') 상기 골조량 리소스 모듈(520)이, 상기 (f) 단계에서 설정된 통합 일정 상세 계획을 이용하여, 소정의 날짜에 지하골조공사 또는 지상골조공사가 이루어지는 세부구역들을 확인하고, 확인한 세부구역들의 1일 골조량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날짜의 1일 총 골조량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s a way to manage bone mass resources in construction work,
(a) the zone setting module 130, dividing the construction work area into a plurality of zones on a horizontal basis, and dividing each of the zones into a plurality of sub-zones;
(b) vertical relationship setting module 310, establishing a vertical relationship for each construction in the order of earthwork, underground framing and ground framing for each of a number of sub-divisions; -Here, the vertical relationship means the order of pre-constru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uilding-
(c) horizontal relation setting module 320, for each earthwork, underground construction, and ground frame construction, establishing a horizontal relationship for each subdivision for a plurality of subdivisions; And-Here, the horizontal relationship means the order of post-constru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building-
(d) By setting the order for each construction of each sub-area, the integrated schedule planning module 330 uses both the vertical relationship set in step (b) and the horizontal relationship set in step (c), Each sub-zone-the order of construction is established; -Here, it is possible to set up some areas-some of the construction starts simultaneously-
(e) the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ning module 340, assigning the number of work days by a preset method for each sub-zone set in step (d);
(f) The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ning module 340 receives the start date of the first subdivision-construction and uses the number of work days for each subdivision-construction assigned in step (e), to consolidate the schedule Establishing a detailed plan; And
(g ') The bone mass resource module 520 checks the volume of all sub-zones where the underground or ground-frame construction is performed, and divides the volume by the number of work days of the sub-zone, so that each sub-zone 1 Identifying a daily bone mass;
(h ') The bone structure resource module 520, using the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 set in step (f), checks the sub-regions where the underground or ground frame construction is performed on a predetermined date, and confirms the details. Identifying the total daily bone mass of the day by checking the daily bone mass of the zones,
Wa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a21) 외부 데이터 로딩 모듈(110)이, 건축설계정보를 로딩하는 단계; 및
(a22) 지하골조공사 관리 모듈(240) 또는 지상골조공사 관리 모듈(250)이, 각각, 로딩된 건축설계정보에서 골조구역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g') 단계에서, 지하골조공사 또는 지상골조공사가 이루어지는 모든 세부구역의 부피는, 상기 (a22) 단계에서 추출된 골조구역에서 확인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Before step (a),
(a21) external data loading module 110, loading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And
(a22) the underground framework management module 240 or the ground framework management module 250, respectively, includes the step of extracting the skeleton area from the loaded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In the step (g '), the volume of all sub-zones in which the underground frame construction or the ground frame construction is performed is confirmed in the frame region extracted in the step (a22),
Wa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g21) 상기 골조량 리소스 모듈(520)이, 지하골조공사 또는 지상골조공사가 이루어지는 모든 세부구역의 부피에, 미리 결정된 골조 당 시멘트량과 골조 당 철근량을 곱함으로써, 세부구역별 1일 시멘트량 및 세부구역별 1일 철근량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g ') step,
(g21) The amount of bone structure resource module 520 multiplies the volume of all the sub-areas where the underground or ground frame is made by the predetermined amount of cement per frame and the amount of reinforcing bar per frame, and the amount of cement per day per sub-area And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reinforcing bar per day for each subdivision,
Way.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1) 토공사 관리 모듈(220) 또는 지하골조공사 관리 모듈(240)이, 각각, 하나의 세부구역의 토공사 또는 지하골조공사가 선행되어야 하는 어느 하나의 세부구역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및
(c12) 상기 수평 관계 설정 모듈(320)이, 상기 (c11) 단계에서 선행되어야 하는 세부구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세부구역의 토공사 또는 지하골조공사가 다른 하나의 세부구역의 토공사 또는 지하골조공사 이후에 수행되도록, 수평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통합 일정 계획 모듈(330)에 의해, 모든 세부구역의 토공사가 완료된 후 지하골조공사가 시작되고 모든 세부구역의 지하골조공사가 완료된 후 지상골조공사가 시작되도록 각각의 세부구역-공사의 순서가 설정되고,
토공사 및 지하골조공사의 각각의 세부구역-공사의 순서는 미리 설정된 다수의 존 별 순서에 따라 설정되고, 지상골조공사의 각각의 세부구역-공사의 순서는 미리 설정된 작업팀의 세부구역 투입계획에 따라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e11) 상기 통합 일정 상세 계획 모듈(340)이, 세부구역-공사 중 토공사에 있어서, 세부구역을 구성하는 각 토질마다의 부피를 토질 종류별 1일 반출량으로 나눔으로써, 해당 세부구역-토공사의 작업일수를 연산하여 할당하는 단계; 및
(e12) 상기 통합 일정 상세 계획 모듈(340)이, 세부구역-공사 중 지상골조공사와 지하골조공사에 있어서, 각 공사마다의 공사 위치를 확인하고, 각 공사 위치마다 미리 설정된 작업일수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질은, 토사, 풍화암, 연암, 보통암, 및 경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공사 위치는, 기초, 기초층, 및 PIT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1층, 2층, 3층, 4층 및 기준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Step (c) is,
(c11) the earthwork management module 220 or the underground structure management module 240, respective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y one subdivision area to which the earthwork or underground construction of one subdivision should precede; And
(c1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orizontal relation setting module 320 has a sub-division to be preceded in the step (c11), the sub-division of one of the sub-divisions or the sub-structure of the subterranean framework is differen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establishing a horizontal relationship to be performed after the earthwork or underground construction of,
Step (d) is,
By the integrated schedule planning module 330, the sequence of each sub-zone is started so that after the earthwork of all the sub-zones is completed, the underground frame construction starts and the ground-frame construction starts after the underground frame construction of all the sub-areas is completed. Being set,
The order of each subdivision-construction of earthwork and underground framing is set according to a number of preset zon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to be set,
Step (e) is,
(e11) The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ning module 340 divides the volume of each soil constituting the subdivision into the daily export amount for each type of soil in the subdivision of the subdivision-construction, thereby working on the subdivision-earthwork Calculating and allocating days; And
(e12) The integrated schedule detailed planning module 340 checks the construction location for each construction and allocates a preset number of work days for each construction location in the sub-zone-construction of the ground and underground constructions. Further comprising steps,
The soil includes any one or more of sediment, weathered rock, soft rock, normal rock, and hard rock, and the construction site includes any one or more of a base, a base layer, and a PIT layer, and includes 1, 2, 3 Further comprising any one or more of the layer, the fourth layer and the reference layer,
Way.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code for executing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is recorded.
KR1020180149936A 2018-11-28 2018-11-28 Method for managing of Earth-volume and frame-volume resource using construction management plan and computer readable media thereof KR1021127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936A KR102112748B1 (en) 2018-11-28 2018-11-28 Method for managing of Earth-volume and frame-volume resource using construction management plan and computer readable media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936A KR102112748B1 (en) 2018-11-28 2018-11-28 Method for managing of Earth-volume and frame-volume resource using construction management plan and computer readable media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748B1 true KR102112748B1 (en) 2020-05-21

Family

ID=70910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936A KR102112748B1 (en) 2018-11-28 2018-11-28 Method for managing of Earth-volume and frame-volume resource using construction management plan and computer readable media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74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0488A (en) * 2020-09-22 2020-12-11 深圳市安远瑞盈项目管理有限公司 Real-time progress management system for engineering construction project
KR102531019B1 (en) * 2022-08-31 2023-05-11 주식회사 씨오플랜지 Geological Model Automatic Generation System for Civil Work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6845A (en) * 2000-11-08 2002-05-22 Nishimatsu Constr Co Ltd Earthwork management system
KR20100116382A (en) * 2009-04-22 2010-11-01 (주)덕성알파이엔지 System of automatically calculating and displaying amount of earthwork materials based on three dimensional design and method thereof
KR20120068114A (en) * 2010-12-17 2012-06-27 현대건설주식회사 Method of construction planning of supertall buildings
KR20160041281A (en) * 2014-10-07 2016-04-18 현대건설주식회사 Construction work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M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same
KR101755901B1 (en) * 2015-11-27 2017-07-1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performing BIM-integrated productivity simulation for generating construction pla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6845A (en) * 2000-11-08 2002-05-22 Nishimatsu Constr Co Ltd Earthwork management system
KR20100116382A (en) * 2009-04-22 2010-11-01 (주)덕성알파이엔지 System of automatically calculating and displaying amount of earthwork materials based on three dimensional design and method thereof
KR20120068114A (en) * 2010-12-17 2012-06-27 현대건설주식회사 Method of construction planning of supertall buildings
KR20160041281A (en) * 2014-10-07 2016-04-18 현대건설주식회사 Construction work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M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same
KR101755901B1 (en) * 2015-11-27 2017-07-1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performing BIM-integrated productivity simulation for generating construction pla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0488A (en) * 2020-09-22 2020-12-11 深圳市安远瑞盈项目管理有限公司 Real-time progress management system for engineering construction project
KR102531019B1 (en) * 2022-08-31 2023-05-11 주식회사 씨오플랜지 Geological Model Automatic Generation System for Civil Wor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on et al. Development of workspace conflict visualization system using 4D object of work schedule
Kim et al. Generating construction schedules through automatic data extraction using open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echnology
Mahalingam et al. An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4D CAD on construction projects
Zhang et al. BIM-based fall hazard identification and prevention in construction safety planning
Li et al. Virtual prototyping for planning bridge construction
Candelario-Garrido et al. A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feasibility of 4D planning graphic systems versus conventional systems in building projects
Li et al. Virtual experiment of innovative construction operations
Issa et al. Benefits of 3D and 4D models for facility managers and AEC service providers
KR102112748B1 (en) Method for managing of Earth-volume and frame-volume resource using construction management plan and computer readable media thereof
Huang et al. Planning gang formwork operations for building construction using simulations
KR102112749B1 (en) Method for managing of the tower crane using construction management plan and computer readable media thereof
Chepurnova Assessing the influence of jet-grouting underpinning on the nearby buildings
KR102471851B1 (en) Apparatus capable of the automatic design of the Undergroun pipe rack module and method thereof
KR102112747B1 (en) Method for planning of construction management using vertical relation and horizontal relation and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media thereof
JP2006201979A (en) Program for supporting construction planning of building
Naik et al. GIS based 4D model development for planning and scheduling of a construction project
Retik Visualization for decision making in construction planning
CN107729686A (en) Component methods of exhibiting,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the storage medium of BUILDINGS MODELS
Lucko et al. Rapid deployment of simulation models for building construction applications
Toledo et al. Improving planning in congested sites using 3D and 4D modelling: A case study of a pile-supported excavation project in Chile
Nguyen et al. Predicting construction duration with typical construction sequences for high-rise buildings
Rezaei Location Based Scheduling In The Form Of Flow Line and Its Comparison to Cpm-Bar Chart Scheduling
Maghrebi et al. Integrated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with supply chain and feed-forward control
Barabanova et al. Improving the Efficiency of Developing Models of Construction Production Based on Modern Methods of Designing Organizational and Technological Processes
Huang et al. Adaptive Design and Sustainability Assessment for Prefabricated Metro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