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546B1 - 보청기 착용자의 귓속 기압 조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보청기 착용자의 귓속 기압 조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546B1
KR102112546B1 KR1020130117137A KR20130117137A KR102112546B1 KR 102112546 B1 KR102112546 B1 KR 102112546B1 KR 1020130117137 A KR1020130117137 A KR 1020130117137A KR 20130117137 A KR20130117137 A KR 20130117137A KR 102112546 B1 KR102112546 B1 KR 102112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air pressure
wearer
eardrum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7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8855A (ko
Inventor
김양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7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546B1/ko
Priority to US14/494,959 priority patent/US9402140B2/en
Publication of KR20150038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0Monitoring or testing of hearing aids, e.g. functioning, settings, battery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8Remote control, e.g. of amplification,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025In the ear hearing aids [ITE] hearing a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61Aspects relating to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e.g. func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5Electronic compensation of the occlusion eff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3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청기에서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상기 보청기 사이의 기압을 측정하고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보청기에서, 상기 보청기의 기압 밸브 조정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기압 밸브 조정 신호에 대응하여 기압 밸브를 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청기 착용자의 귓속 기압 조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AIR PRESSURE INSIDE OF AN EA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보청기 착용자의 귓속 기압 또는 기압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귓속 기압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노인성 질환을 앓는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노인성 질환 중 대표적인 예로 청력의 저하로 인한 난청을 들 수 있다. 난청 환자의 경우 대부분 보청기를 사용함으로써 청력 저하로 인한 문제를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다.
이러한 보청기는 노인성 난청 환자들 뿐 아니라 선천적인 경우 또는 사고 또는 다른 각종 질병 등으로 인해 청력이 저하된 환자들도 사용하고 있다. 보청기는 이비인후과 같은 전문 기관을 통한 청력 검사 후에 난청으로 진단된 환자의 귀에 장착해 소리를 환자의 청각 특성에 맞게 증폭하는 장치다. 보청기의 간략한 구성을 살펴보면, 소리를 수집하는 마이크, 소리를 증폭시키는 증폭기, 증폭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리시버 등으로 구성되며, 특히 디지털 보청기는 기존의 보청기에 더해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를 상호 변환하는 코덱(CODEC) 또는 D/A 및 A/D 변환기(Converter), 디지털 신호를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해 증폭하거나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또는 프로세서(Processor)), 외부 컴퓨터와 연결 가능한 인터페이스 등이 추가된다.
한편, 보청기 착용자의 난청 종류에 따라 적합한 보청기의 형태가 다를 수 있다. 가령 전 대역 난청자 또는 저주파 청력 난청자의 경우 대체로 귓속형 보청기를 사용한다. 귓속형 보청기의 경우 귓속의 외이도 부분에 보청기를 삽입하는 형태이다. 이처럼 귓속의 외이도 부분에 보청기를 삽입하면, 외이도의 내부 즉, 고막부터 보청기까지와 보청기부터 대기 중의 공간이 삽입된 보청기로 인해 차단된다. 이 결과 보청기 착용자는 울림 현상 또는 피드백 현상 및 폐쇄 효과를 호소하는 경우가 잦다.
울림 현상 또는 피드백 현상이란, 보청기에서 증폭된 소리가 귀 내부에서 울리거나 공명됨으로 인해 두개골 진동을 초래하고, 이로 인해 저음이 과도하게 증폭되는 현상이다. 또한 폐쇄 효과란, 보청기로 인해 외부와 고막 사이가 차단됨으로 인해 보청기에서 증폭된 본인 혹은 타인의 목소리가 울려서 들리거나 너무 부드럽게 느껴지는 것과 함께 외부와의 기압 차가 발생함으로 인한 압박감 또는 답답함을 느끼는 경우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저주파 영역의 이득을 감소시키거나 보청기 자체에 환기구(vent hole)를 기구적으로 설계하여 배치시킨다. 또한 환기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울림 현상 또는 폐쇄효과를 호소하는 경우 환기구를 넓히거나 길이를 줄이는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울림 현상, 피드백 현상, 폐쇄효과 등을 방지하기 위해 환기구를 갖도록 하는 이유는 주된 원인이 저주파 대역의 울림이기 때문이다. 저주파 음역의 특성상 좁고 작은 통로를 쉽게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에 조그만 환기구를 이용하여 울림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환기구는 보청기의 밖과 고막 사이에 공기의 통로 역할을 함으로써 보청기와 고막 사이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보청기의 환기구 설치는 보청기의 판매점 또는 병원에서 이루어진다. 하지만, 보청기의 크기 혹은 난청인의 외이도 크기로 인해 환기구 설치가 어려운 경우가 있을 수도 있으며, 귓속 내부의 공기 배출을 위한 구멍의 크기가 적절하지 못한 경우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보청기의 착용자가 등산 또는 차량을 타고 고도가 높은 곳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비행기 등에 탑승해 갑작스런 기압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청기의 환기구 크기가 적절하지 않아 착용자에게 답답함을 유발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보청기는 일반적인 상황 또는 향후 보청기 착용자의 청력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상황만을 가정하여 고정된 환기구를 갖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이처럼 추가로 발생되는 상황에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해 보청기 환기구의 크기를 보청기 착용자가 직접 조정하거나 보청기 착용자의 귓속 기압을 직접 조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해 보청기 착용자가 등산을 하거나 차량이나 항공기 등에 탑승해 이동함으로써 급격한 기압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보청기 착용자가 직접 환기구의 크기를 조정하거나 외이도 기압을 직접 조정하여 폐쇄효과 및 울림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해 보청기에서 보청기와 고막 사이의 귓속 내부 기압과 외부 기압간의 차이를 보청기 착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보청기에서, 상기 보청기의 기압 밸브 조정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기압 밸브 조정 신호에 대응하여 기압 밸브를 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보청기와 통신이 가능한 전자장치에서 상기 보청기의 기압 밸브 조정을 위한 방법으로, 상기 기압 밸브의 조정 요구에 대응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보청기로 송신하는 동작; 및 상기 보청기로부터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조정된 기압 밸브 정보 또는 기압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보청기 착용자의 귓속 기압을 측정하기 위한 기압 센서; 상기 기압을 조정하기 위한 기압 밸브; 상기 장치의 기압 밸브 조정 신호 수신 시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장치의 기압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보청기 착용자의 귓속 기압을 조정하기 위한 전자장치로, 상기 보청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보청기로부터 수신한 보청기 착용자의 귓속 기압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기압 조정 요구 신호를 상기 보청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보청기 또는 전자장치를 통해 보청기 착용자의 귓속 기압 정보를 보청기 착용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보청기 착용자의 귓속 기압을 보청기에 포함된 기압 밸브를 조정함으로써 보청기 착용자가 직접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청기 착용자의 울림 현상 또는 피드백 현상 및 폐쇄효과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보청기를 스마트 단말로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되는 디지털 보청기의 내부 기능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되는 스마트 단말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청기에서 귓속의 기압 조정 시의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청기에서 기압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스마트 단말로 알려 귓속의 기압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을 갖는 스마트 단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의 착용자 외이도 기압 검사 및 기압 조정 시의 신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에서 보청기와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 사이의 기압과 대기압 정보를 표시하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보청기에서 기압 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 첨부된 본 발명의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도면에 예시된 형태 또는 배치 등에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대한 부가적인 실시 예에 대한 균등 또는 확장은 도면을 참조한 설명 등을 통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보청기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귀에 착용하여 귀로 소리를 출력해주는 유선 또는 무선의 헤드폰(head-phone), 헤드셋(head-set), 이어폰(ear-phone), 이어셋(ear-set), 이어버드(ear-bud) 등의 귀 착용형 음향 출력 장치 또는 귓속형 음향 출력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편의상 이하에서는 보청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보청기를 스마트 단말로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서 설명하는 보청기(100)는 귓속형 보청기 뿐 아니라 리시버를 귓속에 장착하는 모든 타입의 보청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귓속형 보청기인 RIC(Receiver In the Canal) 타입, CIC(Completely In the Canal) 타입은 물론 리시버가 외이도 안에 장착되는 모든 형태의 보청기가 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면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보청기(100)는 보청기(100)와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 사이의 기압과 같은 보청기 착용자의 귓속 기압을 측정할 수 있는 초소형 디지털 기압 센서(107)를 포함하며, 보청기(100) 외부로 귓속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환기구(120)를 가질 수 있다. 예로, 보청기(100)에 포함된 디지털 기압 센서(107)는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으로부터 보청기까지의 내부 기압, 즉, 외이도의 기압을 측정하기 위한 디지털 장치일 수 있으며, 외이도 기압 측정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보청기(100)의 환기구(120)는 마이크로 밸브(도 1에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 형태로 구성한다. 환기구는 통기를 가능하게 하는 형태이며, 마이크로 밸브는 집음(음향을 수집하는) 장치인 마이크가 위치한 외측(보청기와 대기 중의 공기가 만나는 부분)과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인 스피커가 위치한 내측(보청기에서 고막 측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부분) 모두에 구비할 수도 있고, 내측 또는 외측 중 하나만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밸브는 후술되는 방법에 의해 귓속의 기압을 높게 또는 낮게 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귓속과 대기 사이의 기압차도 줄일 수 있다. 실례로 유압을 활용한 3mmX3mm 이하의 기압 또는 유압 마이크로 밸브 제품들이 시판되고 있으며, 디지털 마이크로 기압 밸브로써 밸브의 개폐 정보 등 밸브의 상태를 주변 회로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전달할 수 있고,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밸브의 개폐 등이 제어될 수 있다.
마이크로 밸브는 환기구의 크기를 물리적으로 조정할 필요 없이, 환기구를 관통하는 기체 또는 액체의 흐름을 조정함으로써 귓속의 기압을 조정할 수 있는 역할을 하며, 구체적인 방법의 예로, 밸브를 열고 잠그는 정도(개폐 정도)를 조정할 수도 있고, 보청기 내의 공기 밀도를 조정할 수도 있으며, 특정 방법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마이크로 밸브의 열고 잠그는 정도의 변화를 통해 귓속의 기압을 조정하는 방법을 예로 설명한다.
또한 보청기(100)는 스마트 단말(200)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보청기(100)는 스마트 단말(200)과 미리 설정된 무선 통신 규약에 의거해 통신하거나 또는 유선 라인으로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단말(200)로부터 보청기(100)의 환기구 마이크로 밸브 상태 요청 시 밸브의 개폐 정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스마트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200)로부터 보청기(100)의 기압 밸브 조정 요청 신호 수신 시, 즉, 귓속의 기압 조정이 요구되면, 요청된 신호에 따라 환기구의 마이크로 밸브 개폐 정도를 조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청기 착용에 따른 착용자의 귓속 기압을 조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청기(100) 자체적으로 또는 스마트 단말(200)의 요구에 따라 보청기(100) 디지털 기압 센서(107)에 의해 측정된 기압 정보를 스마트 단말(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측정된 기압 정보는 실시간으로 스마트 단말(200)에서 표시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보청기(100) 또는 스마트 단말(200)에 기 저장된 적정 귓속 기압 정보 및 측정된 기압 정보를 바탕으로 귓속 기압을 조정할 수 있으며, 밸브 개폐 정도의 조정에도 불구하고 기압 조정이 잘 되지 않는 경우 보청기가 올바르게 착용되지 않았음을 의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 단말(200)은 보청기(100)의 제어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탑재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통신 방식에 의거하여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보청기(10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200)은 보청기(100)의 마이크로 밸브의 개폐 정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그래프, 그림, 숫자, 이모티콘 등의 다양한 시각적 표시 방법들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 단말(200)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보청기(100)의 마이크로 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밸브의 개폐 정도에 따라 디지털 기압 센서에 의해 측정된 귓속의 기압 변화를 그래프, 그림, 숫자, 이모티콘 등의 다양한 시각적 표시 방법들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보청기(100)와 스마트 단말(2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서는 보청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이 스마트 단말(200)인 경우를 예로 가정하여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이라하면, 제어부, 통신부, 입력부, 표시부, 저장부 등을 갖춘 휴대전화, 스마트폰, 노트PC, 컴퓨터 등의 전자 장치가 될 수 있으나, 스마트 단말(200)은 도 1에서 설명한 내용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전자 장치로도 대체가 가능하다. 이는 도 2 이하의 설명에서도 동일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내용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장치라면, 어떠한 형태의 전자장치로 대체하여도 무방하다. 스마트 단말(200)을 대체할 수 있는 전자장치는 아래와 같이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장치는 데스크탑 PC(personal computer), 랩탑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이동전화기, 화상전화기, 피쳐 폰, 스마트 폰, 전자북 리더기, 디지털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무선 장치(wireless device),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핸드-헬드 장치(hand-held device), MP3 플레이어, 캠코더,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시계(electronic watch),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evice), 전자 사진(electronic photograph),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보드(electronic sign board), 프로젝터, 네비게이션, 블랙박스, 셋톱박스, 전자 사전,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인공 지능 로봇, TV, DVD 플레이어, 오디오,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의료기기, 자동차 장치, 조선 장치, 항공 장치, 보안 기기, 농축수산 장비, 전자 의복, 전자 키, 전자 팔찌, 또는 전자 목걸이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예컨대, 안드로이드(Android), iOS, 윈도우즈(Windows), 리눅스(Linux), 심비안(Symbian), 타이젠(Tizen), 바다(Bada) 등의 다양한 운영체제들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장치 및 운영체제는 전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되는 디지털 보청기의 내부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의 예시에서는 디지털 보청기를 예로 가정하였으나, 아날로그 보청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아날로그 신호를 그대로 증폭하여 제공하는 아날로그 보청기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 등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디지털 보청기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지털 보청기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보청기의 구성은 크게 보청기의 고유 동작인 소리의 증폭을 위한 구성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보청기 착용자의 귓속 기압 변화 또는 보청기에 포함된 기압 밸브의 상태 제어 및 이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가진다.
먼저 보청기의 고유 구성으로, 마이크(MIC), 제1필터(101), 제1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2), 보청기 제어부(103),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04), 제2필터(105), 스피커(SPK), 제2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필터(101), 제2필터(105) 및 제2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9)는 경우에 따라서 그 구비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착용자의 귓속 기압 측정과 기압 밸브의 조정 및 기압 밸브의 상태 값을 제공하기 위한 보청기에 있어서 추가적인 구성으로, 제어부(103), 무선부(106), 기압 센서(107), 기압 밸브(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보청기 메모리(108)와 알람 표시부(1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이러한 구성들 중 경우에 따라서는 필요한 구성을 추가할 수도 있으며, 불필요한 구성은 제거할 수도 있다. 구성에 대한 추가 또는 제거는 이하의 설명을 토대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먼저 보청기의 고유 동작 및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의 상태 및 보청기 착용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동작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마이크(MIC)는 대기 중의 음향(acoustic signal)을 입력받는데, 가청음 주파수 대역 또는 미리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입력받을 수도 있으며, 이를 전기적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마이크(MIC)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아날로그의 전기적인 오디오 신호이다. 마이크(MIC)에서 출력된 아날로그의 전기적인 오디오 신호는 제1필터(101)로 입력된다. 제1필터(101)는 보청기 착용자의 청각 특성에 맞춰 입력 신호를 필터링하거나 또는 가청음 대역의 신호만을 추출하기 위한 필터이다. 또한 제1필터(101)는 소리를 고르고 평탄화하기 위한 앤티-앨리어싱(anti-aliasing) 동작을 병행할 수 있다.
제1필터(101)에서 필터링되어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는 제1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2)로 입력되어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제1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2)에서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는 보청기 제어부(103)로 입력된다. 보청기에 따라서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바로 제1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2)에 입력되어 제1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2)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가 제1필터(101)로 입력될 수도 있으며, 제1필터(101)의 구비가 생략될 수도 있다.
보청기 제어부(103)는 크게 4가지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첫째, 보청기의 기본적인 제어 동작인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의 증폭을 제어하는 것이다. 보청기 제어부(103)는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각각의 대역 또는 채널마다 설정된 증폭률만큼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보청기의 종류에 따라 보청기에 하드웨어 증폭기가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청기 제어부(103)를 통해 소프트웨적으로 스피커에서 증폭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각 주파수 대역별 또는 채널별로 설정된 증폭률은 보청기 착용자의 청각 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값이며, 대개 병원 또는 보청기 판매점 등에서 조정이 가능하다.
보청기 제어부(103)의 두 번째 제어 동작은 귓속 기압 상태 변화를 알리기 위한 동작이다. 즉, 보청기 제어부(103)는 디지털 기압 센서로 하여금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 사이의 기압 정보를 측정하도록 하고,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의 기압 변화가 발생할 시 변화된 기압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며, 보청기 무선부(106)를 제어하여 생성된 기압 정보를 스마트 단말(200)로 전달하도록 한다. 연결된 스마트 단말(200)이 존재하지 않을 시에는 보청기 자체적으로 알림음이나 LED 등을 통하여 경보를 출력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청기(100)가 능동적으로 급격한 귓속 기압 변화 등을 보청기 착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보청기 제어부(103)의 세 번째 제어 동작은 스마트 단말(200)의 요구에 의해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 사이의 기압 정보 및 디지털 마이크로 밸브의 개폐 정도 등을 스마트 단말(200)로 제공하도록 하는 동작이다. 즉, 보청기 제어부(103)는 보청기 무선부(106)를 통해 보청기와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 사이의 기압 측정 요구와 같은 명령을 스마트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때, 기압 센서(107)에서 측정된 기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압 정보를 스마트 단말(200)로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보청기 무선부(106)를 통해 스마트 단말(200)로 송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보청기 착용자는 스마트 단말(200)에서 착용자가 원할 때마다 보청기와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 사이의 기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청기 제어부(103)의 네 번째 제어 동작은 기압 밸브(110)를 제어하는 동작이다. 이처럼 보청기 제어부(103)가 기압 밸브(110)를 제어하는 경우는 스마트 단말(200)로부터 보청기 무선부(106)를 통해 기압 밸브(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물론 보청기에 제어를 위한 입력부(버튼, 터치, 휠, 모션센서 등)가 구비된 경우 보청기 자체적으로도 기압 밸브(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청기 제어부(103)는 기압 밸브(110)를 제어하여 마치 환기구의 크기가 넓거나 좁아지는 효과를 내도록 하여 귓속의 기압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04)는 보청기 제어부(103)에서 증폭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의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이처럼 변환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보청기의 착용자의 난청을 해소할 수 있도록 보청기 착용자의 청각 특성에 맞게 증폭된 전기적인 오디오 신호이다.
제2필터(105)는 증폭된 전기적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 동작,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동작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동작 시에 발생한 잡음 등을 제거하여 출력한다. 제2필터(105)에서 잡음이 제거된 전기적 신호는 스피커(SPK)를 통해 보청기 착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2필터 없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04)에서 출력된 신호를 바로 스피커(SPK)를 통해 오디오 신호로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제2필터(105)에서 출력된 전기적인 오디오 신호 중 일부는 제2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9)로 입력될 수 있다.
제2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9)는 제2필터(105)에서 출력된 신호를 다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보청기 제어부(103)로 제공한다. 보청기 제어부(103)는 제2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9)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원하는 증폭도 만큼 증폭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보청기(100)는 경우에 따라서 제2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9)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보청기 무선부(106)는 보청기와 다른 전자장치와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예를 들어 보청기 무선부(106)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와이파이(Wi-Fi)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의 대상 전자장치는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전자장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블루투스 방식 또는 와이파이 방식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그 밖의 어떠한 무선 통신 방식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도 2의 설명에서는 보청기 무선부(106)를 포함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보청기와 스마트 단말(200)간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보청기 무선부(106)는 유선 통신 방식에 근거한 인터페이스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방식이 USB 통신 방식인 경우 USB 통신 방식으로, 또는 스마트 단말(100)의 제작사에서 자체적으로 사용하는 유선 통신 방식인 경우 해당 방식 등으로 다양한 유선 통신 방식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가 될 수 있다.
기압 센서(107)는 보청기 착용자의 보청기를 착용한 귀의 고막과 보청기 사이의 기압을 측정하기 위한 디지털 센서로, 지속적으로 또는 보청기 제어부(103)의 요구에 의해 고막과 보청기 사이의 기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보청기 제어부(103)로 제공한다. 필요에 따라 이러한 기압 센서(107)는 보청기에 복수 개가 실장 될 수 있으며, 실장 위치나 구조에 따라 고막과 보청기 사이, 즉, 외이도 기압 측정 뿐 아니라 귓속의 다른 부분의 기압 또는 대기압도 측정할 수 있다.
보청기 메모리(108)는 반도체 형태의 초소형 메모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청기 제어부(103)에서 제어 시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와 보청기에 설정하기 위한 각종 설정 값들 예컨대, 기압 밸브(110)의 조정 값, 증폭 동작을 위해 각 주파수별 또는 채널별로 미리 설정된 증폭률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추가적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기압 밸브(110)는 디지털 마이크로 유체 밸브일 수 있으며, 보청기(100) 환기구를 통한 기체의 흐름을 조정하기 위한 유압식 마이크로 기압 밸브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기압 밸브는 귓속의 기압을 조정하기 위해 보청기 제어부(110)에 의해 밸브를 열고 잠그는 정도(개폐 정도)를 조정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고, 보청기 내의 공기 밀도를 조정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으며, 유압식 마이크로 밸브의 압력을 조정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으며, 이는 특정 방법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실례로 유압을 활용한 3mmX3mm 이하의 기압 또는 유압 마이크로 밸브 제품들이 시판되고 있으며, 디지털 마이크로 기압 밸브로써 밸브의 개폐 정보 등 밸브의 상태를 주변 회로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전달할 수 있고,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밸브의 개폐 등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보청기 제어부(103)는 밸브의 조정에 있어 고막이 위치한 측만 또는 그 반대 위치만 조정할 수도 있고, 양측 모두를 함께 조정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되는 스마트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스마트 단말(200)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한 제1안테나(ANT_1)와 보청기와 통신이 가능한 제2안테나(ANT_2)를 가지며, 각각의 안테나들(ANT_1, ANT_2)은 제1무선부(201) 및 제2무선부(202)와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 경로 역할을 수행한다.
제1무선부(201)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등의 특정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 신호 처리부로, 음성 또는/및 데이터 통신을 위해 송신할 데이터를 해당하는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대역으로 대역 상승 변환하고, 해당하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대역 하강 변환한다. 즉, 제1무선부(201)는 음성 또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기저대역의 신호를 해당 네트워크의 대역으로 대역 상승 변환하여 제1안테나(ANT_1)를 통해 해당 네트워크로 송신하고, 제1안테나(ANT_1)를 통해 해당 네트워크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대역 하강 변환함으로써,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제1무선부(201)의 동작은 스마트 단말(200)이 속해있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무선부(202)는 보청기로 송신할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대역으로 대역 상승 변환하고, 보청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대역 하강 변환한다. 즉, 제2무선부(202)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기저대역의 신호를 미리 설정된 방식의 무선 대역으로 대역 상승 변환하여 제2안테나(ANT_2)를 통해 송신하고, 제2안테나(ANT_2)를 통해 미리 설정된 방식의 무선 대역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대역 하강 변환함으로써,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제2무선부(202)의 동작은 상기 설명한 프로토콜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보청기 무선부(106)와의 통신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모뎀(203)은 송/수신 데이터의 변조, 복조, 부호화, 복호화와 같은 일련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도 3은 일반적인 스마트 단말인 경우를 가정하였으므로 모뎀(203)은 음성신호의 변복조와 부호화/복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보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모뎀(203)은 마이크(MIC)로부터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모뎀(203)은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의 전기적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모뎀(203)은 그 외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경우 스마트 단말 제어부(204)의 제어에 의해 변조, 복조, 부호화, 복호화 등의 일련의 동작을 처리한다.
스마트 단말 제어부(204)는 스마트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보청기와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 사이의 기압을 조정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에 대한 방법은 앞서 간략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보청기(100)에 포함된 환기구(120)의 기압 밸브를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도 있고, 그 밖의 다른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압이 조정되는 경우를 보청기(100)에 구비된 환기구(120)의 기압 밸브를 조정하는 방법을 예로 설명할 것이다.
이처럼 보청기와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 사이의 기압 조정을 위해 스마트 단말 제어부(204)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보청기 제어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환기구(120)의 기압 밸브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보청기(100)와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 사이의 기압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단말 제어부(204)는 보청기로부터 기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여 보청기(100)로 제공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 제어부(204)는 보청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기구(120)의 기압 밸브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동작은 후술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스마트 단말 메모리(205)는 롬(ROM) 또는/및 램(RAM) 등의 저장 매체로, 스마트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제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보청기(100)와 통신을 위한 제어 데이터 및 보청기 환기구(120)의 기압 밸브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스마트 단말 메모리(205)는 보청기와 고막 사이에 유지되어야 하는 기압 정보 및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206)는 LCD 판넬 또는 LED 판넬 등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스마트 단말 제어부(204)의 제어에 의해 스마트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과정 및 대기 상태에서 스마트 단말의 상태를 표시한다. 그 외에 스마트 단말(200)은 사용자에게 알림을 주기 위한 진동 모터(도 3에 도시하지 않음), 경고음 발생기(도 3에 도시하지 않음), 향기 발생기(도 3에 도시하지 않음) 등의 다양한 출력 장치들을 부가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경고음 발생은 모뎀(203) 및 스피커(SPK)를 이용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입력부(207)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터치 감지 센서 또는/및 키 입력을 위한 키 버튼 또는/및 호버링 센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입력부(207)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한 신호 또는/및 키 입력 신호 또는/및 호버링 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 단말 제어부(204)로 제공한다.
센서부(208)는 스마트 단말(200)이 위치한 곳의 대기압을 측정하여 대기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08)는 대기압을 측정하기 위한 기압 센서 외에도 GPS, 고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대기압 정보는 GPS 또는 고도 센서에 따른 위치에 해당하는 대기압 정보로 제1무선부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보청기에서 귓속의 기압 조정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보청기 제어부(103)는 300동작에서 기압 센서(107)로부터 입력되는 기압 값을 지속적으로 검사한다. 예컨대, 기압 센서(107)는 보청기 착용자의 보청기(100)와 고막 사이의 기압 값을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기압 값을 보청기 제어부(103)로 제공한다. 보청기 제어부(103)는 기압 센서(107)로부터 입력되는 기압 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기압 값이 보청기 메모리(108)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압 값과 동일한 값인가 또는 미리 설정된 기압의 범위 내에 있는가를 검사한다.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압 값 또는 미리 설정된 기압의 범위는 보청기 착용자의 청력에 따라 보청기(100)를 피팅했을 때 설정된 값이 될 수 있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 기압 센서(107)로부터 수신된 현재의 기압 값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의 이전 시간, 예를 들어 5분 전의 기압 값 또는 이전 5분간의 누적 기압 범위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여러 가지 경우 중 어떠한 기압 값을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정한 시간 이전의 기압 값 또는 범위가 아닌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압 값 또는 기압의 범위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보청기 제어부(103)는 이처럼 기압 값이 미리 설정된 값 또는 범위 내에 있는가를 검사하면서 302동작에서 기압 변화가 발생하였는가를 검사한다. 기압 변화의 발생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압 값과 다른 기압 값이 수신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302동작의 검사결과 기압 변화가 발생하면 보청기 제어부(103)는 308동작으로 진행하고, 기압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304동작으로 진행한다. 먼저 기압 변화가 발생하여 308동작으로 진행하면, 보청기 제어부(103)는 변화된 기압 정보를 스마트 단말(200)로 송신하기 위한 형태의 데이터로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스마트 단말(200)로 송신하기 위한 형태의 데이터는 기압 변화 데이터일 수 있다. 스마트 단말(200)로 송신할 기압 변화 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기압 값 또는/및 미리 설정된 기압 범위와 현재 측정된 기압 값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마트 단말(200)로 송신할 기압 변화 데이터는 현재 측정된 기압 값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스마트 단말(200)로 송신할 기압 변화 데이터는 보청기(200)에 피팅 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압 또는 기압의 범위에서 현재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보청기(100)와 고막 사이의 기압이 어느 정도 상승했는지 또는 어느 정도 하강했는지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다.
이처럼 스마트 단말(200)로 송신하기 위한 기압 변화 데이터가 생성되면, 보청기 제어부(103)는 보청기 무선부(106)를 제어하여 기압 변화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200)로 송신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 단말(200)은 고막에서부터 보청기 사이의 기압 변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302동작에서 304동작으로 진행하는 경우는 기압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이다. 이 경우 보청기 제어부(103)는 기압 조정이 요구되는가를 검사한다. 기압 조정 요구의 검사는 스마트 단말(200)이 송신한 기압 조정 요구 신호가 보청기 무선부(106)에서 수신되어 보청기 제어부(103)로 제공되었는가를 검사하는 것이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302동작과 무관하게, 즉, 기압 변화 발생 여부와 상관없이 바로 304동작을 진행할 수도 있으며, 기압 변화 발생이 있을 경우 스마트 단말(200)로 기압 변화 데이터를 송신한 후에 304동작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를 좀 더 상술하면, 앞서 예를 들어 설명한 바와 같이 기압 조정 요구는 보청기(100)에 구비된 환기구(120)의 일측 또는 양측의 기압 밸브(110)를 조정하여 보청기(100)를 관통하는 환기구(120)의 홀(Hole, 구멍) 크기를 넓게 또는 좁게 변경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것을 요구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유압식 마이크로 밸브의 조정을 통해 환기구(120) 크기를 좁히거나 넓히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기가 흐르는 양을 조절해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을 조정할 수 있다.
보청기 제어부(103)는 304동작의 검사결과 기압 조정이 요구된 경우 306동작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300동작으로 진행한다. 기압 조정이 요구되어 306동작으로 진행하면, 보청기 제어부(103)는 기압 조정 요구에 따라 기압 밸브(110)의 개폐 정도를 조정한다. 이를 통해 보청기 환기구(120)의 홀(구멍)의 크기를 넓게 또는 좁게 조정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을 조정할 수 있다. 물론 앞서 설명하였듯이 디지털 마이크로 기압 밸브는 개폐 정도뿐만 아니라 공기의 밀도 조절 등을 통하여도 기압 조정이 가능하며 특정 방법에 국한하지는 않는다.
이후 보청기 제어부(103)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기압 센서(107)로부터 제공되는 기압 값을 이용하여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으로부터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 변화를 검사할 수 있다. 보청기 제어부(103)는 이처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기압 변화를 검사한 후 변화된 기압 정보를 보청기 무선부(106)를 제어하여 스마트 단말(200)로 송신한다. 스마트 단말(200)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압 밸브(110)를 조정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으로부터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 변화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4의 설명에서는 보청기(100)와 스마트 단말(200)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도 4와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청기에서 기압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스마트 단말로 알려 귓속의 기압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5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보청기(100)가 능동적으로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 변화를 검출하고, 기압 변화가 발생하면 기압 변화를 스마트 단말(200)로 알린다. 이에 따라 스마트 단말(200)은 미리 등록된 보청기(100)로부터 기압 변화 데이터를 수신하면, 알림을 발생한다. 이를 통해 보청기 착용자는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 변화가 발생하면, 스마트 단말(200)을 조작하지 않고도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보청기 착용자는 스마트 단말(200)을 이용하여 보청기(100)와 고막 사이가 적정한 기압이 되도록 기압 밸브(110)를 조정할 수 있다. 도 5는 이러한 동작에 따른 신호 흐름도이다. 그러면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하자.
보청기 제어부(103)는 400동작에서 지속적으로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 단위로 기압 센서(107)로부터 기압 값을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기압 값과 동일한가를 검사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기압 범위 내에 존재하는가를 검사한다. 이러한 기압 검사는 전술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압 센서(107)로부터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 값을 수신하고, 미리 설정된 기압 값과 동일한 값인가를 검사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기압 범위 내에 존재하는가를 검사하는 것이다. 보청기 제어부(103)는 402동작에서 미리 설정된 기압 값과 다르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기압 범위를 벗어났는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기압 변화의 검사는 전술한 여러 가지 방법들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402동작의 검사결과 미리 설정된 기압과 현재 측정된 기압 값이 서로 다르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기압 범위를 벗어나 기압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검사되면 제어부(103)는 404동작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400동작을 계속 수행한다. 기압 변화가 발생하여 404동작으로 진행하면, 보청기 제어부(103)는 기압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보청기 무선부(106)를 제어하여 미리 등록된 스마트 단말(200)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기압 변화 데이터는 406동작과 같이 스마트 단말(200)로 전송된다. 이때, 보청기(100)가 스마트 단말(200)로 기압 변화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식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청기(100)와 스마트 단말(200)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스마트 단말(200)은 406동작에서 전송된 기압 변화 데이터를 408동작에서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단말 제어부(204)는 제2무선부(202) 및 모뎀(203)을 통해 기압 변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단말 제어부(204)는 수신된 기압 변화 데이터를 표시부(206)에 표시함으로써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 변화를 착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 제어부(204)는 미리 설정된 방식의 알람을 통해 착용자에게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 변화가 발생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여기서 알람 방식은 진동 또는 소리 또는 깜빡임, 냄새 등의 촉각, 청각, 시각 및 후각적인 방법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만일 소리를 통해 보청기 착용자에게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 변화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경우 진동이나 깜빡임과 같은 다른 알람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보청기 착용자의 경우 소리로만 알람을 알리게 되면, 이를 쉽게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마트 단말(200)이 대기압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현재 대기압의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단말의 센서부(208)가 대기압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 제어부(204)는 센서부(208)로부터 측정된 대기압 값을 획득하고, 이를 표시부(206)에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보청기(100)가 대기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경우 보청기(100)가 측정한 대기압 값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보청기(100) 또는 스마트 단말(200) 자체적으로 대기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나 측정 불가의 상태에 있는 경우 현재 대기압 정보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자.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에서 보청기와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 사이의 기압과 대기압 정보를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참조부호 611과 같이 스마트 단말 제어부(204)는 센서부(208)로부터 제공되는 대기압 값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대기압 값을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보청기(100)로부터 수신된 기압 값 예컨대,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 정보를 참조부호 612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200)에서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적정 기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적정 기압 값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 메모리(205)에 대기압 값과 보청기 착용자의 보청기와 고막 사이의 기압 값에 따라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을 지시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라면, 스마트 단말 제어부(204)는 스마트 단말 메모리(205)에서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 조정을 위한 방법을 지시하는 데이터를 읽어와 표시부(206)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압 조정 방법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 경우 스마트 단말 제어부(204)는 참조부호 613과 같이 스마트 단말 메모리(205)에 저장된 일반적인 안내 메시지를 읽어와 표시부(206)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04)는 표시부(206)에 디지털 기압 밸브(110) 조절을 위한 제어 화면(614)을 함께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제어 화면(614)은 기압 조정창이라 호칭하겠다.
기압 조정창(614)에 표시된 "열기"는 보청기(100)의 기압 밸브(110)를 조정하여 보청기(100)를 관통하는 환기구(120)의 홀 크기를 넓히는 효과를 내고자 하는 경우일 수 있고, "잠그기"는 보청기(100)의 기압 밸브(110)를 조정하여 보청기(100)를 관통하는 환기구(120)의 홀 크기를 좁히는 효과를 내고자 하는 경우일 수도 있으며, 반대의 경우가 될 수도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의 제어부(204)는 410동작에서 입력부(207)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해 기압 조정 요구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컨대, 기압 조정 요구 데이터의 생성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기" 또는 "잠그기"의 터치 횟수 또는 터치의 지속 시간 또는 "열기" 또는 "잠그기"에 대응하여 구비된 버튼의 입력 횟수 또는 입력 지속 시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위로 환기구(120)의 홀 크기를 넓히거나 좁히는 효과를 갖도록 기압 밸브(110)를 조정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도 7의 예시는 기압 밸브(110)를 조정하여 보청기 환기구(120)의 크기를 좁히거나 넓히는 효과를 갖도록 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일 뿐 환기구(120)의 홀 크기를 좁히거나 넓히는 효과를 갖도록 하는 방법에 대한 제약은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생성되는 기압 밸브(110)를 조정하기 위한 데이터는 결과적으로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을 조정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스마트 단말 제어부(204)는 410동작에서 기압 밸브(110)를 조정하기 위한 기압 조정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고, 412동작에서 보청기(100)로 송신하기 위한 형태로 변환한다. 이처럼 보청기(100)로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로의 변환은 미리 설정된 통신 규약에 맞춰 데이터를 가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 제어부(204)는 기압 조정 요구 데이터가 생성되면, 이를 모뎀(203) 및 제2무선부(202)를 제어하여 보청기(100)로 전송한다. 이처럼 전송되는 데이터는 참조부호 414동작와 같이 스마트 단말(200)에서 보청기(100)로 전송된다.
보청기 제어부(103)는 보청기 무선부(106)를 통해 기압 조정 요구 데이터를 수신하게 할 수 있다. 기압 조정 요구 데이터를 수신하면, 보청기 제어부(103)는 416동작에서 수신된 기압 조정 요구 데이터에 대응하여 기압 밸브(110)의 개폐를 조정한다. 이를 통해 보청기(100)를 관통하는 환기구(120)의 홀(구멍)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을 조정할 수 있다.
이후 보청기 제어부(103)는 416동작에서 기압 밸브(110)의 개폐를 조정한 후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기압 센서(107)로부터 기압 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기압 값의 변화량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의 최종 기압 값을 메시지로 생성하여 보청기 무선부(106)를 제어하여 스마트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보청기 제어부(103)는 기압 밸브(110)의 개폐 정도에 대한 정보를 함께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418동작과 같이 기압 밸브(110)의 개폐 정도가 전송될 수 있으며, 추가로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 사이의 변화된 기압 값이 전송될 수도 있다.
418동작에서 전송되어 온 데이터를 제2무선부(202) 및 모뎀(203)을 통해 수신하면, 스마트 단말(200)의 제어부(204)는 420동작에서 수신된 기압 밸브(110)의 개폐 정도 및 기압 변경 정보 또는 변경된 최종 기압 값을 표시부(206)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만일 보청기(100)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기압 변화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단지 기압 밸브(110)의 개폐 정도에 대한 정보만 제공되는 경우라면, 제어부(204)는 기압 밸브(110)의 개폐 정도에 대응하여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변화가 예상되는 기압 값을 계산하여 표시부(206)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만일 예상 기압 값에 대한 데이터가 스마트 단말 메모리(205)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스마트 단말 제어부(204)는 스마트 단말 메모리(205)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을 갖는 스마트 단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의 착용자 외이도 기압 검사 및 기압 조정 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을 설명함에 있어 먼저 스마트 단말(200)에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특정한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것으로 가정한다. 예컨대, 스마트 단말(200)은 보청기(100)의 기압 밸브(110)를 조정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이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스마트 단말(200)은 보청기(100)의 기압 밸브(110)를 조정함으로써 환기구(120) 홀(구멍)의 크기가 변경된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2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은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 값 요청 등도 수행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가정한다. 또한 스마트 단말(200)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보청기(100) 착용자인 청각 장애인인 경우로 가정한다. 도 6의 신호 흐름도는 보청기(100) 착용자가 폐쇄효과 또는/및 울림 현상 또는/및 피드백 현상을 느끼는 경우 스마트 단말(200)을 이용하여 상태를 검사하고, 보청기(100)를 제어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보청기(100) 착용자가 폐쇄효과 또는/및 울림 현상 또는/및 피드백 현상이 있다고 판단되면, 스마트 단말(2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보청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 이후 보청기 착용자가 스마트 단말(200)에서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을 조작하여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을 포함한 상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500동작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200)의 사용자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입력부(207)를 통해 보청기의 상태 정보를 요청한 경우에 수행된다. 입력부(207)를 통해 보청기의 상태 요청이 있는 경우이므로, 스마트 단말 제어부(204)는 500동작에서 보청기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보청기로 송신하기 위한 형태로 구성하여 모뎀(203)으로 제공한다. 그러면 모뎀(203)은 스마트 단말 제어부(204)의 제어에 따라 보청기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부호화 및 변조하여 제2무선부(202)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2무선부(202)는 스마트 단말 제어부(204)의 제어에 의해 부호화 및 변조된 데이터를 대역상승 변환하여 보청기(100)로 송신한다. 502동작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전송되는 보청기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도시한 것이다.
502동작에서 전송되어 온 보청기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보청기 제어부(103)는 504동작으로 진행하여 기압 밸브(110)의 상태 및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 값을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한다. 여기서 기압 밸브(110)의 상태란, 환기구(120) 홀의 넓이 정보가 될 수도 있고, 기압 밸브(110)의 개폐 정도를 알리는 값이 될 수도 있다. 또한 기압 값은 기압 센서(107)로부터 획득한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 값이 될 수 있다. 또한 보청기(100)는 위의 값들을 모두 제공할 수도 있고, 위의 값들 중 어느 하나만 제공할 수도 있다.
보청기 제어부(103)는 이처럼 생성된 기압 밸브(110)의 상태 및 기압 값을 스마트 단말(200)로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 후 보청기 무선부(106)를 제어하여 스마트 단말(200)로 송신한다. 506동작은 보청기(100)가 504동작에서 생성된 데이터가 스마트 단말(200)로 전송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스마트 단말(200)은 506동작에서 밸브 상태 및 기압 값을 수신하면, 508동작에서 밸브 상태 및 기압 값을 표시부(206)에 표시한다. 이는 앞서 설명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200)은 도 7과 같이 표시할 시 만일 기압 밸브(110)의 조정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도 7에서 참조부호 613의 조언 메시지 표시 영역에 아무런 데이터를 표시하지 않거나 "정상 동작 상태입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보청기(100)로부터 수신된 기압 값과 미리 설정된 기압 값의 차이가 일정한 범위를 벗어나거나 또는 보청기(100)로부터 수신된 기압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밖에 존재한다면, 도 7의 참조부호 613의 조언 메시지 표시 영역에 이를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만일 기압 차이가 크거나 또는 보청기 착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 보청기 착용자가 기압 밸브(110)를 조정해 환기구(120)의 크기를 조정하게 될 것이다. 510동작은 이처럼 보청기 착용자가 기압 밸브(110)를 조정하여 환기구(120)의 크기를 조정하고자 하는 입력 신호가 입력부(207)를 통해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동작이다.
510동작의 검사결과 밸브 조정이 요구되면, 스마트 단말 제어부(204)는 512동작으로 진행하여 입력부(207)를 통해 수신된 기압 밸브(110) 조정 요구 데이터를 생성하고, 모뎀(203) 및 제2무선부(202)를 제어하여 보청기(100)로 송신한다.
스마트 단말(200)이 512동작에서 생성한 기압 밸브(110) 조정 요구 데이터가 보청기(100)로 송신되는 과정을 514동작에 도시하였다. 보청기(100)는 514동작에서와 같이 밸브 조정 요구 데이터를 수신하면, 516동작으로 진행하여 수신된 밸브 조정 요구 데이터에 대응하여 기압 밸브(110)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이 조정될 수 있다.
이후 보청기 제어부(103)는 516동작에서 기압 밸브(110)를 조정한 후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기압 센서(107)로부터 기압 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기압 값의 변화량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의 최종 기압 값을 메시지로 생성하여 보청기 무선부(106)를 제어하여 스마트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보청기 제어부(103)는 기압 밸브(110)의 개폐 정도에 대한 정보를 함께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518동작과 같이 기압 밸브(110)의 개폐 정도 및 변화된 기압 값이 전송될 수 있다. 518동작은 보청기(100)에서 생성된 기압 값 및 기압 밸브(110)의 상태 정보가 스마트 단말(200)로 전송되는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스마트 단말(200)의 제어부(204)는 518동작에서 전송되어 온 데이터를 제2무선부(202) 및 모뎀(203)을 통해 수신하면, 520동작에서 수신된 기압 밸브(110)의 개폐 정도 및 기압 변경 정보 또는 변경된 최종 기압 값을 표시부(206)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만일 보청기(100)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기압 변화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단지 기압 밸브(110)의 개폐 정도에 대한 정보만 제공되는 경우라면, 제어부(204)는 기압 밸브(110)의 개폐 정도에 대응하여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100)간 변화가 예상되는 기압 값을 계산하여 표시부(206)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만일 예상 기압 값에 대한 데이터가 스마트 단말 메모리(205)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스마트 단말 제어부(204)는 스마트 단말 메모리(205)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보청기에서 기압 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8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8에 적용되는 보청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에서 사용되는 보청기는 도 2의 구성에 부가하여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의의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을 조정하는 경우이다.
보청기(100)에 사용자 입력부를 갖는 경우 보청기(100)는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 또는 기압 밸브(110)의 개폐 정도를 알리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입력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표시부는 LCD, LED 등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구성된 표시부는 보청기와 고막 사이의 기압 상태, 보청기의 유압식 마이크로 밸브의 개폐 정도, 사용자에게 입력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내용 등을 문자 또는/및 숫자 또는/및 그래프 또는/및 이모티콘 등의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에는 사용자에게 이상 상태를 알리기 위한 진동 모터, 향기 발생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보청기가 사용자 입력부 또는/및 표시부를 갖는 경우 입력부 또는/및 표시부는 보청기 자체에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또는 리모컨과 같이 무선으로 보청기와 통신을 할 수도 있다.
도 8에서는 위와 같은 경우들 중 보청기에 사용자 입력부와 표시부가 모두 포함된 경우의 보청기로 가정하여 설명하며,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보청기 자체에 또는 보청기를 제어하기 위한 유/무선 리모컨 형식의 입력부 및 표시부를 갖는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표시부가 없는 경우에 대해서는 도 8의 말미에 도 8을 기준으로 간략히 더 설명하기로 한다.
보청기 제어부(103)는 700동작에서 지속적으로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 단위로 기압 센서(107)에서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 값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기압의 상태를 검사한다. 이러한 기압 검사는 전술한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압 센서(107)로부터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보청기(100) 사이의 기압 값을 수신하고, 미리 설정된 기압 값과 동일한 값인가를 검사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기압 범위 내에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미리 설정된 주기 또는 시간 대역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도 있고, 제품의 제조 시에 설정될 수도 있다.
보청기 제어부(103)는 702동작에서 미리 설정된 기압 값과 다르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기압 범위를 벗어났는가를 판단한다.
702동작의 판단결과 기압 센서(107)로부터 수신된 상기 기압 값이 미리 설정된 기압 값과 다르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기압 범위를 벗어나면 이를 기압 변화 발생으로 판단하여 보청기 제어부(103)는 704동작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706동작으로 진행한다. 704동작에서 보청기 제어부(103)는 표시부를 통해 기압 변화를 알린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문자 또는/및 숫자 또는/및 그래프 또는/및 이모티콘 등의 형태로 알릴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진동 또는/및 향기를 함께 출력하여 기압 변화를 알릴 수도 있고 특정 경고음 또는/및 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또한 이때 표시되는 형태는 앞서 설명한 도 7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즉, 대기압의 정보가 있는 경우 대기압과 함께 외이도 기압을 표시하고, 현재 상태에 대한 처리 방식을 알리는 문자 등을 표현할 수 있으며, 기압 조정창(614)을 표시부에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704동작 이후에 700동작으로 진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710동작 또는 712동작으로 진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702동작에서 706동작으로 진행하면, 보청기 제어부(103)는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기압 값 요구 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706동작의 검사 결과 기압 값이 요구된 경우 보청기 제어부(103)는 708동작으로 진행하고, 기압 값이 요구되지 않은 경우 710동작으로 진행한다. 또한 702 및 706동작은 건너뛰고 바로 710동작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708동작으로 진행하면, 보청기 제어부(103)는 기압 센서(107)에서 측정된 기압 값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기압 값을 표시하는 형식은 기압 값 자체만을 표시하는 형식일 수도 있고, 기압의 변화를 표시하는 형식일 수도 있으며, 기압 값 또는/및 기압의 변화를 문자 또는/및 숫자 또는/및 그래프 또는/및 이모티콘 등의 형태로 표시하는 형식일 수도 있다.
710동작으로 진행하면, 보청기 제어부(103)는 입력부로부터 기압 조정 모드가 요구되는가를 검사한다. 기압 조정 모드의 요구는 기압 밸브(110)의 조정이 요구되는가를 검사하는 것일 수 있다. 710동작의 검사결과 기압 조정이 요구되는 경우 보청기 제어부(103)는 712동작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700동작으로 진행한다.
712동작으로 진행하는 경우 보청기 제어부(103)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형태 또는 유사한 형태의 기압 조정창(614)을 표시부에 표시한 후 714동작으로 진행한다. 714동작에서 보청기 제어부(103)는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 입력 또는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보청기에 직접 터치 없이 착용자의 손 제스처 등을 감지하는 입력) 또는 음성 입력 또는 모션(보청기 착용자의 머리 움직임 등을 통해 입력되는 보청기의 움직임 변화 감지 등) 입력 또는 뇌파 입력 등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에 대응하여 기압 밸브(110)를 조정한다.
이후 보청기 제어부(103)는 기압 밸브(110)를 조정한 후 716동작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기압 센서(107)로부터 기압 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기압 값의 변화량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의 최종 기압 값을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보청기 제어부(103)는 기압 밸브(110)의 개폐 정도(또는 조정 정도)에 대한 정보를 함께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어 보청기 제어부(103)는 718동작에서 기압 조정 모드의 종료가 요구되는가를 검사한다. 718동작의 검사결과 기압 조정 모드의 종료가 요구되는 경우 보청기 제어부(103)는 700동작으로 진행하고, 기압 조정 모드의 종료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 보청기 제어부(103)는 714동작으로 진행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기압 밸브(110)를 추가로 조정한다. 또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기압 조정 모드의 종료가 요구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718동작 이후 714동작으로 진행하도록 구성하였으나, 712동작으로 진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청기 자체에 또는 보청기를 제어하기 위한 유/무선 리모컨 형식의 입력부 및 표시부를 갖는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스마트 단말이나 기타 외부의 다른 전자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보청기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된 장치만을 이용하여 보청기에 구비된 기압 밸브를 조정함으로써 보청기와 고막 사이의 기압을 사용자 편의에 맞춰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보청기(100)가 표시부를 갖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보청기(100)가 표시부를 갖지 않는 경우에는 표시부의 출력을 음성 또는 진동 또는 LED 점멸 또는 경고음 등의 출력으로 대신할 수 있다. 또는 보청기(100)가 표시부를 갖지 않는 경우에는 706동작 및 708동작은 도 8에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를 갖지 않는 경우 712동작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표시부를 갖지 않는 경우 714동작에서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716동작을 수행하고, 716동작에서 표시하지는 못한다.
100 : 보청기 MIC : 마이크
SPK : 스피커 101 : 제1필터
102 : 제1A/D 변환기 103 : 보청기 제어부
104 : D/A 변환기 105 : 제2필터
106 : 보청기 무선부 107 : 기압 센서
108 : 보청기 메모리 109 : 제2A/D 변환기
110 : 기압 밸브 120 : 환기구
200 : 스마트 단말 ANT_1, ANT_2 : 안테나
201 : 제1무선부 202 : 제2무선부
203 : 모뎀 204 : 스마트 단말 제어부
205 : 메모리 206 : 표시부
207 : 입력부 208 : 센서부
611, 612 : 기압 표시 창 613 : 안내 메시지 창
614 : 기압 조정 창

Claims (2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보청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전자장치에서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상기 보청기 사이의 기압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입력부를 통해 상기 보청기의 상태 정보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보청기로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상기 보청기 사이의 기압 값 요구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동작;
    상기 보청기로부터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상기 보청기 사이의 기압 값을 수신할 시, 상기 수신된 기압 값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상기 보청기 사이의 기압을 조정하기위한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상기 보청기 사이의 기압을 조정하기 위한 요구 신호에 대응하여 기압 밸브 조정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기압 밸브 조정 신호를 상기 보청기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로부터 상기 수신된 기압 값을 미리 설정된 기압 값 또는 미리 설정된 기압 범위와 비교하는 동작;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수신된 기압 값이 미리 설정된 기압 값과 다르거나 미리 설정된 기압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안내 메시지, 안내 이미지, 안내 음성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보청기에서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상기 보청기 사이의 기압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압 밸브 조정 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보청기에 송신한 후 상기 보청기로부터 상기 기압 밸브 조정 신호에 대응하여 조정된 기압 밸브 상태 정보 또는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상기 보청기 사이의 기압 값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보청기에서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상기 보청기 사이의 기압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센서부 혹은 무선부를 통하여 현재 대기압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보청기로부터 수신된 기압 값을 표시할 시, 상기 수신된 대기압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함께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보청기에서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상기 보청기 사이의 기압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로부터 상기 보청기의 기압 밸브 상태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기압 밸브 상태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압 밸브 상태 정보는 상기 보청기의 환기구 홀 넓이 또는 상기 기압 밸브의 개폐 정도를 알리는 값인, 보청기에서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상기 보청기 사이의 기압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15.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상기 보청기 사이의 기압을 측정하기 위한 기압 센서;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상기 보청기 사이의 기압을 조정하기 위한 기압 밸브;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무선으로 기압 밸브 조정을 위한 신호 수신 시, 상기 기압 밸브 조정을 위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기압 밸브를 조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무선으로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상기 보청기 사이의 기압 값 요구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상기 보청기 사이의 기압 값을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청기 장치.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압 밸브 조정을 위한 신호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보청기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압 밸브는 상기 보청기의 환기구를 관통하는 기체의 흐름을 조정하는 보청기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막과 상기 보청기 사이의 미리 설정된 기압 값 또는 상기 고막과 상기 보청기 사이의 미리 설정된 기압 범위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상기 보청기 사이의 기압을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측정된 기압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기압 값과 다르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기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 하여금 알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보청기 장치.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는,
    입력부를 통해 보청기의 상태 정보 요청이 입력되면,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보청기로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상기 보청기 사이의 기압 값 요구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보청기로부터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상기 보청기 사이의 기압 값을 무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기압 값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상기 보청기 사이의 기압을 조정하기위한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상기 보청기 사이의 기압을 조정하기 위한 요구 신호에 대응하여 기압 밸브 조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기압 밸브 조정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보청기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보청기 착용자의 귓속 기압 조정을 위한 전자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보청기로부터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고막과 상기 보청기 사이의 기압이 미리 설정된 기압 값과 다르거나 미리 설정된 기압 범위를 벗어날 경우, 기압 변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기압 변화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보청기 착용자의 귓속 기압 조정을 위한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기압 변화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문자, 숫자, 기호, 이모티콘, 그래프 형태로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진동, 향기, 소리 중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알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보청기 착용자의 귓속 기압 조정을 위한 장치.
KR1020130117137A 2013-10-01 2013-10-01 보청기 착용자의 귓속 기압 조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12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137A KR102112546B1 (ko) 2013-10-01 2013-10-01 보청기 착용자의 귓속 기압 조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4/494,959 US9402140B2 (en) 2013-10-01 2014-09-24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ir pressure inside the ear of a person wearing an ear-wear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137A KR102112546B1 (ko) 2013-10-01 2013-10-01 보청기 착용자의 귓속 기압 조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855A KR20150038855A (ko) 2015-04-09
KR102112546B1 true KR102112546B1 (ko) 2020-05-19

Family

ID=52740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137A KR102112546B1 (ko) 2013-10-01 2013-10-01 보청기 착용자의 귓속 기압 조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02140B2 (ko)
KR (1) KR1021125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67626B1 (en) * 2014-07-10 2020-09-16 Widex A/S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pplication softwar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hearing aid
WO2016155019A1 (zh) * 2015-04-03 2016-10-06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头戴式电子装置
US9686610B2 (en) * 2015-09-02 2017-06-20 Intel Corporation Digital MEMS loudspeaker
US10064758B2 (en) * 2015-10-20 2018-09-04 Cirrus Healthcare Products, Ll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sion of meterological data to assist in timing of remedy to ameliorate physical distress
CN105962483B (zh) * 2016-06-23 2018-01-26 北京华创矿安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智能口罩
JP6697768B2 (ja) * 2016-06-29 2020-05-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歩行支援ロボット及び歩行支援方法
EP3340654A1 (en) * 2016-12-20 2018-06-27 Widex A/S Integrated circuit component for a hearing assistive device
US11218820B2 (en) * 2017-02-14 2022-01-04 Sonova Ag Hearing device with multiple consistent controllers
US10239750B2 (en) * 2017-03-27 2019-03-26 Invensense, Inc. Inferring ambient atmospheric temperature
US20180338195A1 (en) * 2017-05-16 2018-11-22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Jamming Grip For Earbud Retention
WO2018213477A1 (en) * 2017-05-16 2018-11-22 Royer Brianna Marie Headset and method for automatic reduction of ear pressure and barotrauma
KR102501025B1 (ko) 2017-11-21 2023-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압 조절 장치 및 기압 조절 장치의 기압 조절 방법
CN107995548B (zh) * 2017-11-29 2019-05-03 宣城良知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一种保护儿童耳膜的平台
KR102406572B1 (ko) 2018-07-17 202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장치 및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WO2020044307A1 (en) * 2018-08-31 2020-03-05 Cochlear Limited Sleep-linked adjustment methods for prostheses
CN109819365B (zh) * 2018-12-20 2020-05-15 歌尔股份有限公司 无线耳机关机方法、无线耳机及电子终端
US10939215B2 (en) * 2019-03-29 2021-03-02 Sonova Ag Avoidance of user discomfort due to pressure differences by vent valve,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EP3963904A1 (en) * 2019-05-01 2022-03-09 Widex A/S An ear level auditory system
CN112565964B (zh) * 2020-11-30 2022-11-15 歌尔科技有限公司 智能耳机及其控制系统、控制方法
US20220360881A1 (en) * 2021-05-06 2022-11-10 Gn Hearing A/S Hearing device comprising a receiver module comprising a vent having a vent valve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4842A1 (en) * 2006-06-01 2008-06-19 Personics Holdings Inc. Earhealth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iv
US20120082335A1 (en) * 2009-06-02 2012-04-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arphone arrangement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US20130195299A1 (en) * 2012-01-30 2013-08-01 Etymotic Research, Inc. Hearing testing probe with integrated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s and active temperatur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7905A (en) * 1979-07-31 1980-12-09 Electro Audio Dynamics, Inc. Automatic tympanometric testing means
JPH11514898A (ja) * 1995-09-11 1999-12-21 ノーラン,ジェームズ・エイ 血圧パラメータの連続的非侵襲性監視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169885B1 (ko) 2011-01-26 2012-07-31 이승택 귀속형 보청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4842A1 (en) * 2006-06-01 2008-06-19 Personics Holdings Inc. Earhealth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iv
US20120082335A1 (en) * 2009-06-02 2012-04-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arphone arrangement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US20130195299A1 (en) * 2012-01-30 2013-08-01 Etymotic Research, Inc. Hearing testing probe with integrated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s and active temperature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855A (ko) 2015-04-09
US9402140B2 (en) 2016-07-26
US20150092971A1 (en)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546B1 (ko) 보청기 착용자의 귓속 기압 조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0326305B (zh) 入耳式耳机的离头检测
KR102179043B1 (ko) 보청기의 특성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380374B2 (en) Hearing assistance systems configured to detect and provide protection to the user from harmful conditions
KR101833756B1 (ko) 스마트 음향 레벨 노출을 위해 스피커와 통합된 귀 압력 센서
US20130343585A1 (en) Multisensor hearing assist device for health
WO2016167878A1 (en) Hearing assistance systems configured to enhance wearer's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 individuals
KR102190283B1 (ko) 사용자 환경 기반의 청력 보조 장치 피팅 시스템 및 방법
KR101135064B1 (ko) 보청기, 그 동작 방법, 및 보청기 시스템
CN113439446A (zh) 具有动态参数的动态掩蔽
US20190289409A1 (en) Auditory device assembly
KR2017007618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KR2017003302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US11282492B2 (en) Smart-safe masking and alerting system
KR2017003023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CN112866890B (zh) 一种入耳检测方法及系统
CN114125639A (zh) 音频信号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746983A (zh) 助听方法及装置、存储介质、智能终端
US20240205584A1 (en) Ear-wearable devices for control of other devices and related methods
JP5591078B2 (ja) 生体情報遠隔監視システム
US10873816B2 (en) Providing feedback of an own voice loudness of a user of a hearing device
KR101649661B1 (ko) 이어셋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CN115065907B (zh) 耳机设备的防脱落方法、装置、耳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EP4290886A1 (en) Capture of context statistics in hearing instruments
CN113194396B (zh) 助听器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