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417B1 - 위치기반 사물인터넷을 위한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 - Google Patents

위치기반 사물인터넷을 위한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417B1
KR102112417B1 KR1020180136161A KR20180136161A KR102112417B1 KR 102112417 B1 KR102112417 B1 KR 102112417B1 KR 1020180136161 A KR1020180136161 A KR 1020180136161A KR 20180136161 A KR20180136161 A KR 20180136161A KR 102112417 B1 KR102112417 B1 KR 102112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data
interface
electronic devices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4086A (ko
Inventor
이기준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90094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04L67/1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76Architectures of general purpose stored program computers
    • G06F15/78Architectures of general purpose stored program computers comprising a single central processing unit
    • G06F15/7807System on chip, i.e. computer system on a single chip; System in package, i.e. computer system on one or more chips in a singl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기반 사물인터넷을 위한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 및 그 동작 방법이 제시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위치기반 사물인터넷을 위한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은 다른 전자기기와 위치데이터를 공유하는 인터페이스를 위한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 및 내부의 다른 장치가 위치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내부 위치접근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기반 사물인터넷을 위한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Geo-SoC Model for Location Internet on Things}
본 발명은 위치기반 사물인터넷을 위한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치데이터는 사물인터넷에 중요한 데이터이다. 특히 여러 개의 기기가 서로 협조하여 주어진 기능을 수행할 때, 위치를 서로 교환하여 다른 전자기기의 위치를 상호 인지하는 것은 사물인터넷의 매우 중요한 기능적 요구사항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이러한 기능은 공간정보시스템이라는 매우 큰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구현되었다. 따라서 작은 기기에 이러한 기능을 이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러 개의 기기가 서로 협조하여 주어진 기능을 수행할 때, 위치를 서로 교환하여 다른 전자기기의 위치를 상호 인지하기 위한 위치기반 기능을 제공하는 SoC(System on Chip) 모델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위치기반 사물인터넷을 위한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은 다른 전자기기와 위치데이터를 공유하는 인터페이스를 위한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 및 내부의 다른 장치가 위치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내부 위치접근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는 자신 전자기기의 위치를 취득하고, 취득된 자신 전자기기 위치를 다른 전자기기에 전송하고, 다른 전자기기의 위치를 수신하고,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공유되는 모든 위치정보는 위치 테이블 버퍼(Location Table Buffer)에 저장된다.
다른 전자기기와 위치데이터를 공유는 신호를 받을 수 있는 범위 내의 모든 전자기기가 대상이 되는 Ad-Hoc 네트워크를 이용하거나, 또는 명시적으로 관리되는 회원의 명단에 있는 전자기기와만 위치데이터를 공유한다.
상기 다른 전가기기와 공유되는 위치데이터는 각 전자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ID), 위치를 지정하는 데이터(p), 위치를 지정하는 데이터(p)가 취득된 시간(t)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는 물리적인 주소, 또는 논리적인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를 지정하는 데이터는 다른 전자기기와 미리 지정한 위치참조체계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내부 위치접근 인터페이스는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에서 공유되는 위치데이터를 사용하며, 동시에 위치데이터를 관리하고, 위치테이블(Location Table), 위치테이블 관리 인터페이스(Location Table Maintenance Interface), 회원 테이블(Member Table), 회원 관리 인터페이스(Membership Maintenance Interface)를 포함한다.
위치테이블은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하여 공유된 모든 위치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자기기 식별자, 가장 최근의 위치, 가장 최근의 위치가 취득된 시간에 관한 데이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들은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 블록에서 수집되는 위치데이터와 자신 전자기기의 위치데이터일 수 있다.
위치테이블 접근 인터페이스는 전자기기 내부의 다른 장치가 위치테이블의 데이터를 읽도록 하고, 위치 데이터의 읽기 기능, 일정한 시간이 지난 위치데이터 또는 가장 오래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회원테이블은 위치 데이터를 공유하는 다른 전자기기의 목록이 기록되고, Ad-Hoc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거리에 있는 주위의 전자기기와 위치데이터를 공유하는 경우, 목록에 있는 전자기기만 위치 데이터의 공유가 가능하다.
회원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는 위치데이터 공유가 가능한 전자기기 목록을 관리하고, 새로운 전자기기의 등록, 등록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삭제, 전자기기의 검색 기능을 수행한다.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위치기반 사물인터넷을 위한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의 동작 방법은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 전자기기의 위치를 취득하고, 취득된 자신 전자기기 위치를 다른 전자기기에 전송하고, 다른 전자기기의 위치를 수신함으로써 다른 전자기기와 위치데이터를 공유하는 단계 및 내부 위치접근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에서 공유되는 위치데이터를 사용하며, 동시에 위치데이터를 관리하고, 내부의 다른 장치가 위치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여러 개의 기기가 서로 협조하여 주어진 기능을 수행할 때, 위치를 서로 교환하여 다른 전자기기의 위치를 상호 인지하기 위한 위치기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사물인터넷을 위한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사물인터넷을 위한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Geo-SoC는 크게 다른 전자기기와 위치데이터를 공유하는 인터페이스를 위한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External Location Sharing Interface Block)와 내부의 다른 장치가 이 위치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내부 위치접근 인터페이스( Internal Access Interface Block)으로 나누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사물인터넷을 위한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위치기반 사물인터넷을 위한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은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110) 및 내부 위치접근 인터페이스(120)를 포함한다.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110)는 다른 전자기기와 위치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Geo-SoC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은 SoC를 통하여 위치 인지에 관한 가장 기본이 되는 데이터를 다른 기기와 서로 교환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은 아래의 세 가지 기능으로 나누어진다.
기능 1(Get My Location): 자신 전자기기의 위치를 취득한다(111).
기능 2(Send My Location): 자신 전자기기 위치를 다른 전자기기에 보낸다(112).
기능 3(Receive Other Locations): 다른 전자기기의 위치를 수신한다(113).
여기서 교환되는 위치 데이터는 (ID, p, t)로 표현한다. 여기서 ID는 각 전자기기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것이다. 식별자 체계는 본 발명에 포함되지 않으며, 어떤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Mac 주소나 IPv6의 주소와 같은 물리적인 주소, 또는 URI (Unique Reference Identifier)와 같은 논리적인 주소 등 각 전자기기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어떤 식별자 체계도 이용이 가능하다.
p 는 위치를 지정하는 데이터로 다른 전자기기와 미리 지정한 위치참조체계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 참조체계 자체를 포함하지 않으며 어떠한 것도 될 수 있다. 경/위도와 같은 절대 참조체계일 수도 있으며, 건물의 한 지점을 원점으로 하는 상대좌표체계일 수도 있으며, 또는 주소와 같은 기호적 참조체계이어도 된다. 단 다른 전자기기와 동일하게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t 는 위치 p 가 취득된 시간을 말한다. 시간에 대한 참조체계도 위치참조체계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포함되지는 않는다.
자신 전자기기의 위치 데이터 취득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모델 외부에 구현된 기능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자신의 위치 취득하는 방법에 대하여서는 명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GNSS와 같이 위성항법 장치로 입력 받을 수 있고, 만일 고정된 전자기기라면, 설치 시 설치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단, 어떤 방법으로라도 위치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기능은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칩으로 위치 인지 모델을 구현할 경우, 이 칩은 위치를 취득하는 모듈과 인터페이스 하는 기능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공유되는 모든 위치정보는 위치 테이블 버퍼(Location Table Buffer)에 저장된다. 기능 2와 기능 3에서 위치 데이터를 공유하는 다른 전자기기는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방법은 Ad-Hoc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신호를 받을 수 있는 범위내의 모든 전자기기가 대상이 되는 것이다. 이 경우는 특별하게 서로 공유하는 명단이 필요없다. 두 번째 방법은 명시적으로 관리되는 회원의 명단에 있는 전자기기와만 위치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이다. 이 회원테이블은 별도의 기능에 의하여 관리된다.
내부 위치접근 인터페이스(120)는 내부의 다른 장치가 위치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앞에서 설명한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 블록에서 공유되는 데이터를 내부 장치가 사용하며, 동시에 이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능을 위하여 내부 위치접근 인터페이스 블록이 있다. 매부 위치접근 인터페이스 블록은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된다.
1. 위치테이블(Location Table)(121)
2. 위치테이블 관리 인터페이스(Location Table Maintenance Interface)(122)
3. 회원 테이블(Member Table)(123)
4. 회원 관리 인터페이스 (Membership Maintenance Interface)(124)
위치테이블(121)은 위치테이블 버퍼는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하여 공유된 모든 위치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이 테이블은 전자기기 식별자, 가장 최근의 위치, 가장 최근의 위치가 취득된 시간과 같은 데이터를 반드시 포함한다. 이 세가지 데이터는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 블록의 기능 3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와 자신 전자기기의 데이터가 된다.
위치테이블 접근 인터페이스(122)는 위치테이블 접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기기 내부의 다른 장치가 위치테이블의 데이터를 읽는다. 이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두 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 위치 데이터의 읽기 기능
- 일정한 시간이 지난 위치데이터 또는 가장 오래된 데이터를 삭제
두 번째 기능은 위치테이블에 여유공간이 없을 경우, 새로운 위치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위하여 필요하다.
회원테이블(123)은 회원테이블은 위치 데이터를 공유하는 다른 전자기기의 목록이 기록되어 있다. 만일 Ad-Hoc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단순하게 통신 가능한 거리에 있는 주위의 전자기기와 위치데이터를 공유한다면 이 회원목록이 필요없지만, 그 외에는 이 목록에 있는 전자기기만 위치 데이터의 공유가 가능하다.
회원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124)는 위치데이터 공유가 가능한 전자기기 목록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의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이 기능은 새로운 전자기기의 등록, 등록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삭제, 그리고 전자기기의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각 전자기기는 자신의 위치를 취득하는 기능을 가진다. 여기서 위치는 절대좌표나 상대좌표 또는 지오코딩으로 표현된 어떠한 공간 참조체계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경/위도로 표현된 좌표도 가능하고, 또는 건물 내 하나의 점을 원점으로 한 상대좌표 체계도 가능하며, 건물의 주소와 같은 지번으로 표현된 지오코딩도 가능하다. 단 이 공간참조체계는 상호 해석이 가능하여야 한다. 단, 위치는 항상 시간과 결합될 때만 의미가 있으므로 위치정보와 더불어 그 위치를 취득한 시간정보도 함께 취득 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사물인터넷을 위한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위치기반 사물인터넷을 위한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의 동작 방법은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 전자기기의 위치를 취득하고, 취득된 자신 전자기기 위치를 다른 전자기기에 전송하고, 다른 전자기기의 위치를 수신함으로써 다른 전자기기와 위치데이터를 공유하는 단계(210) 및 내부 위치접근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에서 공유되는 위치데이터를 사용하며, 동시에 위치데이터를 관리하고, 내부의 다른 장치가 위치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220)를 포함한다.
단계(210)에서,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 전자기기의 위치를 취득하고, 취득된 자신 전자기기 위치를 다른 전자기기에 전송하고, 다른 전자기기의 위치를 수신함으로써 다른 전자기기와 위치데이터를 공유한다.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공유되는 모든 위치정보는 위치 테이블 버퍼(Location Table Buffer)에 저장된다.
자신 전자기기의 위치 데이터 취득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모델 외부에 구현된 기능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자신의 위치 취득하는 방법에 대하여서는 명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GNSS와 같이 위성항법 장치로 입력 받을 수 있고, 만일 고정된 전자기기라면, 설치 시 설치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단, 어떤 방법으로라도 위치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기능은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칩으로 위치 인지 모델을 구현할 경우, 이 칩은 위치를 취득하는 모듈과 인터페이스 하는 기능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공유되는 모든 위치정보는 위치 테이블 버퍼(Location Table Buffer)에 저장된다. 기능 2와 기능 3에서 위치 데이터를 공유하는 다른 전자기기는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방법은 Ad-Hoc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신호를 받을 수 있는 범위내의 모든 전자기기가 대상이 되는 것이다. 이 경우는 특별하게 서로 공유하는 명단이 필요없다. 두 번째 방법은 명시적으로 관리되는 회원의 명단에 있는 전자기기와만 위치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이다. 이 회원테이블은 별도의 기능에 의하여 관리된다.
단계(220)에서, 내부 위치접근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에서 공유되는 위치데이터를 사용하며, 동시에 위치데이터를 관리하고, 내부의 다른 장치가 위치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앞에서 설명한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 블록에서 공유되는 데이터를 내부 장치가 사용하며, 동시에 이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능을 위하여 내부 위치접근 인터페이스 블록이 있다. 매부 위치접근 인터페이스 블록은 위치테이블(Location Table), 위치테이블 관리 인터페이스(Location Table Maintenance Interface), 회원 테이블(Member Table), 회원 관리 인터페이스 (Membership Maintenance Interface)와 같은 요소로 구성된다.
각 전자기기는 자신의 위치를 취득하는 기능을 가진다. 여기서 위치는 절대좌표나 상대좌표 또는 지오코딩으로 표현된 어떠한 공간 참조체계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경/위도로 표현된 좌표도 가능하고, 또는 건물 내 하나의 점을 원점으로 한 상대좌표 체계도 가능하며, 건물의 주소와 같은 지번으로 표현된 지오코딩도 가능하다. 단 이 공간참조체계는 상호 해석이 가능하여야 한다. 단, 위치는 항상 시간과 결합될 때만 의미가 있으므로 위치정보와 더불어 그 위치를 취득한 시간정보도 함께 취득 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다른 전자기기와 위치데이터를 공유하는 인터페이스를 위한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 및
    내부의 다른 장치가 위치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내부 위치접근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는,
    자신 전자기기의 위치를 취득하고, 취득된 자신 전자기기 위치를 다른 전자기기에 전송하고, 다른 전자기기의 위치를 수신하고,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공유되는 모든 위치정보는 위치 테이블 버퍼(Location Table Buffer)에 저장되는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
  3. 제2항에 있어서,
    다른 전자기기와의 위치데이터 공유는 신호를 받을 수 있는 범위 내의 모든 전자기기가 대상이 되는 Ad-Hoc 네트워크를 이용하거나, 또는 명시적으로 관리되는 회원의 명단에 있는 전자기기와만 위치데이터를 공유하는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자기기와 공유되는 위치데이터는 각 전자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ID), 위치를 지정하는 데이터(p), 위치를 지정하는 데이터(p)가 취득된 시간(t)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는 물리적인 주소, 또는 논리적인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를 지정하는 데이터는 다른 전자기기와 미리 지정한 위치참조체계를 사용하여 나타내는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
  5.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위치접근 인터페이스는,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에서 공유되는 위치데이터를 사용하며, 동시에 위치데이터를 관리하고,
    위치테이블(Location Table), 위치테이블 관리 인터페이스(Location Table Maintenance Interface), 회원 테이블(Member Table), 회원 관리 인터페이스(Membership Maintenance Interface)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
  6. 제5항에 있어서,
    위치테이블은,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 을 통하여 공유된 모든 위치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자기기 식별자, 가장 최근의 위치, 가장 최근의 위치가 취득된 시간에 관한 데이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들은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 에서 수집되는 위치데이터와 자신 전자기기의 위치데이터인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
  7. 제5항에 있어서,
    내부 위치접근 인터페이스는,
    전자기기 내부의 다른 장치가 위치테이블의 데이터를 읽도록 하고, 위치 데이터의 읽기 기능, 일정한 시간이 지난 위치데이터 또는 가장 오래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
  8. 제5항에 있어서,
    회원테이블은,
    위치 데이터를 공유하는 다른 전자기기의 목록이 기록되고, Ad-Hoc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거리에 있는 주위의 전자기기와 위치데이터를 공유하는 경우, 목록에 있는 전자기기만 위치 데이터의 공유가 가능한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
  9. 제5항에 있어서,
    회원 관리 인터페이스는,
    위치데이터 공유가 가능한 전자기기 목록을 관리하고, 새로운 전자기기의 등록, 등록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삭제, 전자기기의 검색 기능을 수행하는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
  10.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 전자기기의 위치를 취득하고, 취득된 자신 전자기기 위치를 다른 전자기기에 전송하고, 다른 전자기기의 위치를 수신함으로써 다른 전자기기와 위치데이터를 공유하는 단계; 및
    내부 위치접근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위치공유 인터페이스에서 공유되는 위치데이터를 사용하며, 동시에 위치데이터를 관리하고, 내부의 다른 장치가 위치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 동작 방법.
KR1020180136161A 2018-01-09 2018-11-07 위치기반 사물인터넷을 위한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 KR102112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602 2018-01-09
KR20180002602 2018-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086A KR20190094086A (ko) 2019-08-12
KR102112417B1 true KR102112417B1 (ko) 2020-06-04

Family

ID=67625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161A KR102112417B1 (ko) 2018-01-09 2018-11-07 위치기반 사물인터넷을 위한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417B1 (ko)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oT 단말 플랫폼동향 및 생태계 구축(김선태 외 3명, 전자통신동향분석, 2014년)
낮은 복잡도의 Deeply Embedded 중앙처리장치 및 시스템온칩 구현(박성정 외 1명,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년)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행동 인식을 위한 센서 융합 SoC 설계(정창민, 2015년)
확장성을 고려한 IoT SoC모듈 기반의 모바일 오픈 플랫폼 구현(방수준, 2017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086A (ko) 201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51041A1 (en) FACILITATING PORTABLE, REUSABLE, AND SHARABLE INTERNET OF THINGS (IoT)-BASED SERVICES AND RESOURCES
KR102041449B1 (ko)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CA2923978C (en) Systems and methods of transmitter location detection
US20160088546A1 (en) Regulation via geofence boundary segment crossings
US20180152811A1 (en) Beacon addressing
JP2016517518A (ja) 支援データ生成のためのアクセスポイント選択
US10990595B2 (en) Fast distributed graph query engine
JP7450629B2 (ja) 拡張現実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90149942A1 (en) Location-based wireless device presentation and connection
US20160125587A1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tracking items
KR20210046217A (ko) 복수 영역 검출을 이용한 객체 탐지 방법 및 그 장치
US96812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 using indoor positioning
KR20140002338A (ko) 토폴로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112417B1 (ko) 위치기반 사물인터넷을 위한 위치기반 시스템 온 칩 모델
WO2015057767A1 (en) Selecting an access poin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mobile device based on access point related traffic load information
US10152652B2 (en) Selecting a device with visual confirmation in the internet of things
US10034131B1 (en) System and method for a proximity correlation platform based on geolocation information
US10313217B2 (en) System on chip (SoC) capable of sharing resources with network device and devices having the SoC
JP2024507759A (ja) イベント位置送信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1051167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1618446B1 (ko) 실내 장소 결정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파일 배포 시스템
KR101524292B1 (ko) 네트워크 접속 장비에 매핑된 스마트프린터의 스마트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7450669B2 (ja) 通信端末、プログラム、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US11270459B2 (en) Enterprise system augmented reality detection
KR101536002B1 (ko) 위치 기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착용형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