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237B1 -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 Google Patents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237B1
KR102112237B1 KR1020190151832A KR20190151832A KR102112237B1 KR 102112237 B1 KR102112237 B1 KR 102112237B1 KR 1020190151832 A KR1020190151832 A KR 1020190151832A KR 20190151832 A KR20190151832 A KR 20190151832A KR 102112237 B1 KR102112237 B1 KR 102112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ayer portion
label sheet
main layer
arbitrari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이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현 filed Critical 이승현
Priority to KR1020190151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01Self adhesive nail coating bl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부위로의 선택적인 부착성을 구비하는 라벨 시트지에 관한 것으로서, 기저 레이어를 형성하며, 상면에 소정의 라벨지를 부착하여,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라벨지의 임의 탈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캐리어부; 캐리어부의 상면에 제공되어 캐리어부 상에서 임시 고정 부착되며,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을 형성하는 메인 레이어부; 및 메인 레이어부의 하면에 접착되며, 캐리어부의 상면에 임의 점착되는 어드히전 레이어부를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Label sheet equipped with selective adhesion on human body}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선택적인 부착성 및 부착력을 구비하도록 하는 라벨 시트지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점착 라벨의 경우, 단순히 상품의 이름, 상표의 표시, 혹은 정보를 전달하는 정도에서 벗어나, 제품의 이미지를 높이고 제품의 디자인의 심미성을 부가하며, 제품의 기능성을 극대화 하는 또 하나의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발전했다.
2008년, AC닐슨의 조사에 의하면 세계 최대 식품회사 중 하나인 KRAFT는 지난 2002년 32.5%였던 드레싱 시장 점유율이 2007년 들어 27.8%로 하락하면서 전면적인 패키징 변경을 단행하여 글루 방식으로 부착되던 기존의 종이라벨을 투명라벨로 전환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재료의 색감과 신선함이 고품질의 투명라벨을 통해 그대로 전달되면서, 새로운 패키징을 적용한 리뉴얼 제품은 소비자들의 좋은 반응을 얻어 약 16%의 판매 신장을 기록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같은 변화는 점착라벨의 소재도 변화되었지만 인쇄기술의 뒷받침이 없었으면 불가능한 것이었다. 
패키지개발과 마케팅 전문가들은 빠르게 진화하는 소비재 시장을 위해 끊임없이 새로운 라벨 솔루션을 고안하고 있다. 한번 개봉한 후에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재부착 포장 (Reclosure 또는 Resealable)은 여러 가지 버전으로 상용화 되어 현재 패키지시장을 선도하는 새로운 흐름이 되고 있다. 세계 곳곳에서 인구의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포장용기를 쉽게 열고 닫을 수 있게 하는 재부착 기술은 앞으로 패키지의 핵심 요소 중 하나가 될 것으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신체 부착을 위한 라벨지 역시 시장에서 도입되고, 그 기술적인 개선의 시도는 특허문헌 등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일 예로서, "손톱 스티커의 구조와 그 제조방법(등록번호 제10-0933482 호,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 "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의 경우, 이형제가 부착되어 있는 PET 필름과; PET 필름 위에 부착되어 있는 이형제 상부에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인쇄될 그림 또는 무늬모양과 동일한 형상으로 적층되는 아크릴계열의 프라 이머층과; 프라이머층 상부에 칼라층이 잘 인쇄되게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적층되는 아크릴계열의 바인더층 과; 바인더층 상부에 칼라잉크를 스크린 또는 옵셋 인쇄 방식으로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되는 아크릴계열의 칼라층과; 칼라층 상부에 적정한 두께를 유지하고 점착제층이 잘 인쇄되게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되는 아크릴계열의 바인더층과; 바인더층 상부에 점착성의 향상과 향기를 부여하는 점착제층과; 점착제층 상부를 보호하기 위해 부착되는 보호테이프를 개시한다.
"손잡이를 구비한 네일 어플리케(등록번호 제20-0475005호, 이하 특허문헌2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2에 따른 고안의 경우, 이형 시트지의 상부면에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구비되고, 부착부 영역과 손잡이부 영역으로 구분되는 상부층; 및 손잡이부 영역에 대응하여 이형 시트지를 완칼 처리라인으로 영역을 형성한 후면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젤 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등록번호 제10-1982125 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3의 경우, 손톱 또는 발톱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는 부분으로서 컬러 또는 패턴을 가지며 손톱 또는 발톱의 곡면에 대응될 수 있도록 연질의 재 질로 형성되는 하단합지부 및 하단합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단합지부의 컬러 또는 패턴에 광택을 부여하는 투명 코팅 층으로서 손톱 또는 발톱에 접착하기 전에는 손톱 또는 발톱의 곡면에 대응될 수 있도록 연질의 반고체 상태이며 손톱 또는 발톱에 부착 후 자외선을 조사하면 손톱 또는 발톱에 부착된 형태를 유지하며 고체 상태로 경화되는 상단합지부를 포함한다.
종래의 이러한 선행 문헌들의 경우, 사용자의 신체의 표면 예컨대, 피부나 네일(nail) 등에 부착되는 경우, 부착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아 당김에 의하여 재질이 울퉁불퉁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신체 부착형의 라벨지의 경우, 부착된 후에 발생되는 측면 방향으로의 밀림이나 쓸림에 의하여 그 부착의 위치가 견고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사용자의 신체에서 발견되는 전형적인 패턴에 기반한 라벨지 모양의 밸런스를 고려하지 않고, 대충의 눈대중으로 패턴을 형상화화여 사용자는 신체 예컨대, 손톱에 부착한 후, 이를 다시 재단하는 등의 번거로운 절차를 가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손톱 등의 경우, 길이 방향에 대해서는 사용자 마다 기른 손톱의 길이가 상이하여 길이 방향의 문제는 통상적인 네일의 길이보다 다소 길게 한 후, 사용자가 잘라 내도록 할 수는 있으나, 사용자 손톱의 폭 즉, 너비의 경우 일정한 패턴에 따른 상호 통계적인 규칙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아, 네일의 폭에 전혀 맞지 않는 경우에는 라벨지의 너비가 사용자의 손톱으로부터 남거나 부족한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였다.
등록번호 제10-0933482 호 등록번호 제20-0475005호 등록번호 제10-1982125 호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사용자의 특정 부위에 적합하도록 하고, 그에 따라 선택적인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사용자의 특정 부위의 형태에 맞추어 설계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사용자의 신체의 특정 부위에 대한 부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는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의 경우, 기저 레이어를 형성하며, 상면에 소정의 라벨지를 부착하여, 사용자에 의해 상기 소정의 라벨지의 임의 탈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캐리어(carrier)부; 상기 캐리어부의 상면에 제공되어 상기 캐리어부 상에서 임시 고정 부착되며,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closed line)을 형성하는 메인 레이어부; 및 상기 메인 레이어부의 하면에 접착되며, 상기 캐리어부의 상면에 임의 점착되는 어드히전 레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의 경우, 상기 메인 레이어부는, 상기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을 따라 절개되고, 상기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의 외부는 임의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의 경우, 상기 캐리어부는, 상기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의 내부에서 상기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에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이너 라인(inner lin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의 경우, 상기 이너 라인은, 상기 캐리어부의 상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의 경우, 상기 어드히전 레이어부는, 상면이 상기 메인 레이어부의 하면에 접착되어 고정 부착되는 제1접착 레이어; 및 상면이 상기 제1접착 레이어의 하면에 고정 부착되며, 하면은 상기 캐리어부의 상면에 점착되는 제2점착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의 경우, 상기 제2점착 레이어는, 사용자의 보디의 표면에 형성된 주름과 주름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인력과 척력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제2점착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의 경우, 상기 메인 레이어부는, 상기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closed line)을 복수 개 포함하되, 상기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의 복수 개 각각은 상호 너비(width)의 연관 함수를 구비하여, 상기 연관 함수를 통하여 상기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의 복수 개 각각은 상호 너비의 밸런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의 경우, 상기 메인 레이어부는, 상기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closed line)을 복수 개 포함하되, 상기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의 복수 개 각각은, 상기 사용자의 핸드 네일의 큐티클 형상의 통계적 패턴에 기초하여 형성되는 큐티클 라인을 독립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의 경우, 상기 메인 레이어부는, 상기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closed line)을 복수 개 포함하되, 상기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의 복수 개 각각은, 균일한 형상의 톱 라인을 형성하되, 상기 톱 라인의 형상은, 스퀘어(square), 스퀘어드 오벌(squared oval), 오벌(oval), 라운드(rounded), 아몬드(almond), 마운틴 피크(mountain peak), 스틸레토(stiletto), 발레리나(ballerina), 에지(edge), 립스틱(lipstick), 플래어(flare) 또는 애로우 헤드(arrow hea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의 경우, 상기 라벨 시트지는, 상기 메인 레이어부의 상면에 미립자 형태로 분사되어, 가시광선의 파장대를 선택적으로 반사하거나 흡수하며, 상기 미립자의 임의 분사를 통해 두께의 임의 형성이 가능하게 되는 리플렉션 레이어부; 및 부분 용융된 미세입자의 형태로 분사되어, 상기 리플렉션 레이어부와 상기 메인 레이어부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며, 상기 부분 용융된 미세입자의 조밀도의 선택적 조절을 통하여 상기 부분 용융된 미세입자의 두께와 투명도를 임의 조절하도록 하는 라미네이팅 레이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어드히전 레이어부의 적층 구조를 통하여 상부로는 접착이 되도록 하고, 하부로는 점착되도록 하여, 신체에 부착된 후에 측면 쓸림이나 밀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둘째, 사용자의 전형적인 신체적 패턴에 맞추어 연관함수를 짓는바, 이에 따라 라벨지의 과도함이나 부족함을 방지하여 신체 맞춤형 및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라벨지를 형성하게 된다.
셋째, 전산화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임의 폐라인을 설정 및 재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공정 라인에서 메인 레이어부의 형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넷째, 리플렉션 레이어부의 입자 조절을 통하여 입체감을 형성하고, 라미네이팅 레이어부 자체적인 입자의 밀도 조절을 통하여 빛의 반사량을 조절하여 별도의 레이어 적층이 필요 없이, 투명 불투명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중, 캐리어부 상에 메인 레이어부가 적층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중, 메인 레이어부 상의 폐라인의 너비가 밸런싱을 맞추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중, 메인 레이어부 상의 폐라인의 큐티클 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중, 도 4에 따른 큐티클 라인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중, 메인 레이어부 상의 폐라인의 톱 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중, 도 6에 따른 톱 라인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중, 메인 레이어부 상의 폐라인을 따라 임의 절개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중, 메인 레이어 하부에 형성된 어드히전 레이어부의 이중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중, 메인 레이어부 상에 미립자 형태로 분사되어 리플렉션 레이어부의 두께가 임의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중, 라미네이팅 레이어부가 다양하게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중, 사용자의 보디의 스킨 등에 형성된 주름 상에 어드히전 레이어부가 점착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중, 사용자의 보디의 스킨 등에 형성된 주름 상에 어드히전 레이어부가 점착된 후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중, 캐리어부 상에 메인 레이어부가 적층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중, 메인 레이어부 상의 폐라인의 너비가 밸런싱을 맞추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중, 메인 레이어부 상의 폐라인의 큐티클 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중, 도 4에 따른 큐티클 라인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중, 메인 레이어부 상의 폐라인의 톱 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중, 도 6에 따른 톱 라인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중, 메인 레이어부 상의 폐라인을 따라 임의 절개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중, 메인 레이어 하부에 형성된 어드히전 레이어부의 이중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중, 메인 레이어부 상에 미립자 형태로 분사되어 리플렉션 레이어부의 두께가 임의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중, 라미네이팅 레이어부가 다양하게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중, 사용자의 보디의 스킨 등에 형성된 주름 상에 어드히전 레이어부가 점착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중, 사용자의 보디의 스킨 등에 형성된 주름 상에 어드히전 레이어부가 점착된 후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carrier)부(100), 메인 레이어(main layer)부(200), 어드히전 레이어(adhesion layer)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부(100)의 경우, 그 상면에 소정의 라벨지를 부착하도록 하는 기저 레이어를 형성하게 된다.
캐리어부(10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라벨지를 상면에 적층하고, 이러한 소정의 라벨지들의 다양한 조합들이 적층되어 한번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저층의 역할을 수행한다.
캐리어부(100)의 경우, 소정의 라벨지를 임의 부차하고 탈거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캐리어부(100)로부터 소정의 라벨지의 부착과 탈거가 용이하도록 해야한다. 이러한 까닭에, 캐리어부(100)는 소정의 라벨지의 부착과 탈거의 과정에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하여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하는 질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부(100)의 상면은 소정의 라벨지의 하면에 적용된 점착층으로 인하여 쉽게 그 재질의 입자가 탈거되지 않도록 하여, 소정의 라벨지 하면의 점착층의 점착력을 하락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캐리어부(100)의 상면은 매끄러운 표면을 유지하여, 소정의 라벨지의 하면의 점착층이 오롯이 캐리어부(100)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메인 레이어부(200)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소정의 라벨지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이다.
메인 레이어부(200)의 경우, 캐리어부(100)의 상면에 제공되어 캐리어부(100) 상에서 임시 고정 부착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메인 레이어부(200)는 사용자의 임의 의사에 따라 임의 탈거하여, 사용자의 피부나 네일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구성이다.
메인 레이어부(200)의 경우,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closed line, CL)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의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CL)의 경우, 메인 레이어부(200) 상에서 육안으로 식별 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나, 육안으로는 식별 불가능 하되, 전산화된 방식 즉, 프로그래밍된 알고리즘을 통하여 외부 단말기 예컨대, PC 등의 시스템을 통하여 인식되고 시스템화 될 수 있다.
즉,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CL)은 향후, 절개하기 위한 라인에 해당하며, 이러한 절개의 방식은 절개를 위한 팁(tip), 나이프(nife), 커터(cutter) 등을 통하여 세밀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레이어부(100)는 이러한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CL)을 따라 절개되고,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CL)의 외부는 임의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어드히전 레이어부(300)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레이어부(200)의 하면에 형성됨과 동시에 캐리어부(100)의 상면에 임의 점착되는 구성이다.
어드히전 레이어부(300)의 경우, 메인 레이어부(200)의 하면에는 접착되어 고정되어 그 위치를 이탈하지 않으며, 캐리어부(100)의 상면에서는 임의 점착되어 사용자가 메인 레이어부(200)를 사용하기 위하여 임의 탈거되도록 하고, 이후 사용자가 사용자의 피부나 네일 표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부(100)의 경우,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CL)의 내부를 따라 폐라인(CL)으로부터 평행하게 배치는 이너 라인(inner line, IL)을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부(100)의 이러한 이너 라인(IL)은 캐리어부(100)의 상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캐리어부(100)의 이러한 이너 라인(IL)의 구비로 인하여, 캐리어부(100)의 굽힘시 이러한 이러 라인(IL)을 중심으로 과도한 굽힘 각이 형성되며, 이러한 과도한 굽힘 각을 통하여 메인 레이어부(200)의 임의 탈거가 용이하도록 돕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드히전 레이어부(200)의 경우, 제1접착 레이어(310), 및 제2점착 레이어(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착 레이어(310)의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이 메인 레이어부(200)의 하면에 접착되어 고정 부착되는 구성이다.
아울러, 제2점착 레이어(320)의 경우, 그 상면이 제1접착 레이어(310)의 하면에 고정 부착되며, 하면은 캐리어부(100)의 상면에 점착되는 구성이다.
즉, 제2점착 레이어(320)는 상면으로는 제1접착 레이어(310)의 접착력에 의하여 견고하게 부착되고, 그 하면으로는 점착력으로 인하여 캐리어부(100)의 상면에 임의 부착과 탈거가 되며, 사용자의 피부나 네일 표면에는 임의 부착과 탈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2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점착 레이어(320)는 사용자의 보디(1) 예컨대, 스킨이나 네일의 표면에 형성된 주름과 주름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인력과 척력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제2점착 입자(32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점착 입자(321)들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입자 상호간의 간격이 w32와 같이 일정하게 배열되어 있다가, 도 13과 같이 보디(1)의 스킨의 주름(1-1, 1-2)의 사이 사이에 배치되면, 그 입자들(321) 사이에서는 척력과 인력이 발생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름의 산(1-1)과 계곡(1-2)으로 보면, 제2점착 입자(321)들은 산(1-1)에서 벌어지며, 계곡(1-2)으로 몰리게 된다.
제2점착 입자(321) 들은 산(1-1)과 산(1-1)사이의 입자들은 강제로 벌어지기 때문에 인력이 발생되며, 계곡(1-2) 내에서는 그 제2점착 입자(321) 들의 밀도가 높기 때문에 상호 척력이 발상하게 된다.
메인 레이어부(200)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CL)을 복수 개 포함하되,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CL)의 복수 개 각각은 상호 너비(width)의 연관 함수를 구비하고, 이러한 연관 함수를 통하여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의 복수 개 각각은 상호 너비의 밸런싱을 구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컨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CL)은 다섯개로서 200A~200E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폐라인(CL)을 따라 절개되어 절개된 영역의 외부는 버려지며, 폐라인(CL)의 내부만 남기게 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폐라인은 5개의 것으로서 사용자의 네일의 표면에 부착할 수 있는데, 이러한 폐라인(CL) 다섯개 각각은 사용자의 손톱의 너비에 맞추어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5개의 너비 d1~d5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의 5개 네일이 가지는 너비의 공통적인 특성을 고려하고, 5개의 네일이 가지는 너비의 연관 함수를 도출하여, 그 d1~d5를 형성시키게 된다. 즉, d1~d5는 일정한 비율을 가지는데, d1의 사이즈가 15mm라면 이에 따른 d2~d5의 비율을 자동산출하게 되고, d1의 사이즈가 14mm라면 다시 이에 따른 d2~d5의 비율을 자동산출하여 이들 d1~d5는 전형적인 패턴에 따른 절개 라인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연관 함수는 연령대별, 인종별, 남녀 차이에 따라 상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레이어부(200)는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CL)을 복수 개 포함하되,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CL)의 복수 개 각각은, 사용자의 핸드 네일의 큐티클 형상의 통계적 패턴에 기초하여 형성되는 큐티클 라인을 독립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용자의 네일의 패턴을 살펴보면, 손톱과 피부 조직의 경계라인 즉, 큐티클 라인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패턴을 가지게 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의 경우 일자에 가까우며 모서리는 곡률 반경이 짧은 곡면을 형성하고, 검지부터 약지까지의 경우 일자 모양은 잘 보이지 않고 곡면을 형성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통계적 패턴에 기초하여, 큐티클 라인의 패턴 역시 통계에 기초한 만큼의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레이어부(200)는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CL)을 복수 개 포함하되,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CL)의 복수 개 각각은 톱 라인을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톱 라인의 형상은, 스퀘어(square), 스퀘어드 오벌(squared oval), 오벌(oval), 라운드(rounded), 아몬드(almond), 마운틴 피크(mountain peak), 스틸레토(stiletto), 발레리나(ballerina), 에지(edge), 립스틱(lipstick), 플래어(flare) 또는 애로우 헤드(arrow hea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데, 다섯개의 t1-t5의 모양을 하나의 톱 라인으로 균일하게 할 수도 있으며, 다섯개의 t1-t5 중 선택적으로 각각 이들 모양에서 선택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플렉션 레이어(reflection layer)부(500), 및 라미네이팅 레이어(laminating layer)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리플렉션 레이어부(500)의 경우, 메인 레이어부(100)의 상면에 미립자 형태로 분사되어, 가시광선의 파장대를 선택적으로 반사하거나 흡수하며, 미립자의 임의 분사를 통해 두께의 임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라미네이팅 레이어부(400)의 경우, 부분 용융된 미세입자의 형태로 분사되어, 리플렉션 레이어부(500)와 메인 레이어부(200)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며, 부분 용융된 미세입자의 조밀도의 선택적 조절을 통하여 부분 용융된 미세입자의 두께와 투명도를 임의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디지털화된 방식으로 라미네이팅 레이어부(400)를 분사 노즐(10)을 통하여 분사하게 되는데, 이러한 디지털 방식으로 라미네이팅 레이어부(400)를 형성하는 입자들의 밀도와 적층의 두께 등을 자유롭게 조절하게 된다.
라미네이팅 레이어부(400)는 부분 용융된 미립자의 형태로 분사되는바, 완전 경화에 필요한 시간이 기존의 완전 용융된 수지를 뽑아내는 방식보다 현격하게 줄어든다. 기존의 것은 수십 시간이 걸리는데 반해, 본 방식에 의할 경우 수십분으로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라미네이팅 레이어부(400)의 표면은 임의 형성 가능하며, 이에 따라 라미네이팅 레이어부(400)의 표면의 마찰 계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향후 라미네이팅 레이어부(400)의 표면 상에 증착하는 포일층(foil layer)의 고정 부착력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리플렉션 레이어부(500)의 경우, 디지털화된 분사 노즐을 통하여 미립자 형태의 것으로 분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미립자의 두께 역시 임의 조절할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러한 방식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톤에 맞추어 미세 튜닝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보디(body)
1-1, 1-2: 주름
CL: 폐라인(closed line)
d1~d5: 너비
IL: 이너 라인(inner line)
q1~q5: 큐티클 라인(cuticle line)
t1~t5: 톱 라인(top line)
10: 노즐(nozzle)
100: 캐리어(carrier)부
200: 메인 레이어(main layer)부
300: 어드히전(adhesion) 레이어(layer)부
310: 제1접착 레이어
311: 제1접착 입자
320: 제2점착 레이어
321: 제2점착 입자
400: 라미네이팅(laminating) 레이어부
500: 리플렉션(reflection) 레이어부

Claims (10)

  1. 기저 레이어를 형성하며, 상면에 소정의 라벨지를 부착하여, 사용자에 의해 상기 소정의 라벨지의 임의 탈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캐리어(carrier)부;
    상기 캐리어부의 상면에 제공되어 상기 캐리어부 상에서 임시 고정 부착되며,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closed line)을 형성하는 메인 레이어부;
    상기 메인 레이어부의 하면에 접착되며, 상기 캐리어부의 상면에 임의 점착되는 어드히전 레이어부;
    상기 메인 레이어부의 상면에 미립자 형태로 분사되어, 가시광선의 파장대를 선택적으로 반사하거나 흡수하며, 상기 미립자의 임의 분사를 통해 두께의 임의 형성이 가능하게 되는 리플렉션 레이어부; 및
    부분 용융된 미세입자의 형태로 분사되어, 상기 리플렉션 레이어부와 상기 메인 레이어부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며, 상기 부분 용융된 미세입자의 조밀도의 선택적 조절을 통하여 상기 부분 용융된 미세입자의 두께와 투명도를 임의 조절하도록 하는 라미네이팅 레이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어드히전 레이어부는,
    상면이 상기 메인 레이어부의 하면에 접착되어 고정 부착되는 제1접착 레이어; 및
    상면이 상기 제1접착 레이어의 하면에 고정 부착되며, 하면은 상기 캐리어부의 상면에 점착되는 제2점착 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라미네이팅 레이어부는,
    상기 부분 용융된 미세입자의 증착의 단차를 임의 형성하여, 표면 마찰력을 조절하여 상기 라미네이팅 레이어부의 상면에 추가 증착을 위한 부착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레이어부는,
    상기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을 따라 절개되고, 상기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의 외부는 임의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점착 레이어는,
    사용자의 보디의 표면에 형성된 주름과 주름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인력과 척력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제2점착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레이어부는,
    상기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closed line)을 복수 개 포함하되,
    상기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의 복수 개 각각은 상호 너비(width)의 연관 함수를 구비하여,
    상기 연관 함수를 통하여 상기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의 복수 개 각각은 상호 너비의 밸런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레이어부는,
    상기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closed line)을 복수 개 포함하되,
    상기 임의 설정 가능한 폐라인의 복수 개 각각은,
    상기 사용자의 핸드 네일의 큐티클 형상의 통계적 패턴에 기초하여 형성되는 큐티클 라인을 독립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51832A 2019-11-25 2019-11-25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KR102112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832A KR102112237B1 (ko) 2019-11-25 2019-11-25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832A KR102112237B1 (ko) 2019-11-25 2019-11-25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237B1 true KR102112237B1 (ko) 2020-05-18

Family

ID=70912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832A KR102112237B1 (ko) 2019-11-25 2019-11-25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2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084B1 (ko) * 2020-07-15 2021-06-07 이승현 역학적 구조 변형을 통한 선택적 굽힘 기능이 구비된 라벨지 시스템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317U (ko) * 1998-03-18 1999-10-25 이상목 인조손톱
KR200213256Y1 (ko) * 2000-08-17 2001-02-15 정세은 향 발산 스티커형 매니큐어
KR20060091440A (ko) * 2005-02-15 2006-08-21 주식회사 제논 인조 손톱용 접착테이프, 이를 구비하는 인조 손톱 및 이를구비하는 인조 손톱의 제조 방법
KR100933482B1 (ko) 2009-06-19 2009-12-23 임동을 손톱 스티커의 구조와 그 제조방법
JP2012125312A (ja) * 2010-12-14 2012-07-05 Casio Computer Co Ltd ネイルプリント装置および印刷制御方法
KR20130015029A (ko) * 2011-08-02 2013-02-13 장순동 네일스티커
KR200475005Y1 (ko) 2014-06-18 2014-11-04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손잡이를 구비한 네일 어플리케
KR20150140471A (ko) * 2014-06-05 2015-12-16 천수테이프 주식회사 손으로 절취가능한 알루미늄 코튼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85867A (ko) * 2016-01-15 2017-07-25 윤덕중 피부 처짐 및 주름 개선시트
KR20190017833A (ko) * 2019-01-31 2019-02-20 (주)선우인더스트리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20190017832A (ko) * 2019-01-31 2019-02-20 (주)선우인더스트리 젤네일 스티커
KR101982125B1 (ko) 2019-01-29 2019-05-24 (주)글루가 젤 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317U (ko) * 1998-03-18 1999-10-25 이상목 인조손톱
KR200213256Y1 (ko) * 2000-08-17 2001-02-15 정세은 향 발산 스티커형 매니큐어
KR20060091440A (ko) * 2005-02-15 2006-08-21 주식회사 제논 인조 손톱용 접착테이프, 이를 구비하는 인조 손톱 및 이를구비하는 인조 손톱의 제조 방법
KR100933482B1 (ko) 2009-06-19 2009-12-23 임동을 손톱 스티커의 구조와 그 제조방법
JP2012125312A (ja) * 2010-12-14 2012-07-05 Casio Computer Co Ltd ネイルプリント装置および印刷制御方法
KR20130015029A (ko) * 2011-08-02 2013-02-13 장순동 네일스티커
KR20150140471A (ko) * 2014-06-05 2015-12-16 천수테이프 주식회사 손으로 절취가능한 알루미늄 코튼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200475005Y1 (ko) 2014-06-18 2014-11-04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손잡이를 구비한 네일 어플리케
KR20170085867A (ko) * 2016-01-15 2017-07-25 윤덕중 피부 처짐 및 주름 개선시트
KR101982125B1 (ko) 2019-01-29 2019-05-24 (주)글루가 젤 네일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17833A (ko) * 2019-01-31 2019-02-20 (주)선우인더스트리 젤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KR20190017832A (ko) * 2019-01-31 2019-02-20 (주)선우인더스트리 젤네일 스티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084B1 (ko) * 2020-07-15 2021-06-07 이승현 역학적 구조 변형을 통한 선택적 굽힘 기능이 구비된 라벨지 시스템
KR102262083B1 (ko) * 2020-07-15 2021-06-07 이승현 역학적 구조 변형을 통한 선택적 굽힘 기능이 구비된 라벨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71382C (en) One-touch artificial nail
US5484168A (en) Shipping label
KR102112237B1 (ko) 신체 부위의 선택적 부착성을 구비한 라벨 시트지
EP2478793B1 (en) One-touch artificial nail
US20020106493A1 (en) Transfer sheet for nail decoration
US20120006347A1 (en) Nail Template
US2018009245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cosmetic eyebrows
US201603608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cosmetic eyebrows
AU715607B2 (en) Adhesive label/leaflet assemblies
US20050067830A1 (en) Shielded label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730677B2 (en) Reclosable flap device
JP2005321422A (ja) ラベル用紙
JP5083852B1 (ja) ラップフィルム容器
JP2008299053A (ja) Rfidラベル
TWM591395U (zh) 皮膚貼覆用緩衝貼片及存放容器總成
US20150044427A1 (en) Label
KR102184126B1 (ko) 절개라인이 형성된 레이어드 커버 시트 시스템
CA2461251A1 (en) Fingernail veneer applique and method of use thereof to simulate a french manicure
JP2008036200A (ja) ネイルアートシート及びネイルアートシート用の基材シート
JP2003102546A (ja) 二重まぶた形成用シール
JP5874138B2 (ja) 取っ手部付き再剥離シール
US20180190165A1 (en) Novelty Toilet Sticker
JP4514299B2 (ja) 易貼付性粘着ラベルの製造方法
JP2011177686A (ja) シール等剥がし具
JP7494144B2 (ja) コロナウイルス等ウイルス、菌接触感染防止具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