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200B1 -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200B1
KR102112200B1 KR1020190177603A KR20190177603A KR102112200B1 KR 102112200 B1 KR102112200 B1 KR 102112200B1 KR 1020190177603 A KR1020190177603 A KR 1020190177603A KR 20190177603 A KR20190177603 A KR 20190177603A KR 102112200 B1 KR102112200 B1 KR 102112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intellectual property
image
work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온유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온유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온유함
Priority to KR1020190177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운용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예비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기존의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예비 저작물과 상기 기존의 저작물 사이의 제1 유사도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유사도가 제1 임계치를 넘는 경우 소정의 이벤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LLECTUAL PROPERTY PLATFORM}
본 발명은 컨텐츠에 대한 지식재산권을 관리하여 사업자가 법적으로 안전하게 컨텐츠를 이용한 다양한 사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식재산권은 문학/예술 및 과학 작품, 연출, 예술가의 공연/음반 및 방송, 발명, 과학적 발견, 특허/디자인/상표/상호 등에 대한 보호 권리와 공업/과학/문학 또는 예술분야의 지적 활동에서 발생하는 기타 모든 권리를 포함한다.
특히, 지식재산권은 협의로 특허권, 상표권, 디자인권 및 저작권 등으로 법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한편, 최근, 캐릭터와 같은 컨텐츠가 제작되면, 해당 컨텐츠는 캐릭터 자체로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컨텐츠를 활용한 공간 개발(일 예로, 디즈니랜드와 같은 테마파크, 리조트 및 키즈카페 등), 미디어, 광고 및 PB 상품 등으로 다각화되어 사업에 활용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컨텐츠 제작자는 이와 같은 컨텐츠를 사업화할 능력이 부족하거나 컨텐츠를 활용한 사업에 대한 시장 인식이 부족하여, 다양한 컨텐츠가 개발됨에도 불구하고 사업적으로 다각화되지 못하고 사장되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컨텐츠에 대한 지식재산권을 관리하여 사업자가 법적으로 안전하게 컨텐츠를 이용한 다양한 사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운용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예비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기존의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예비 저작물과 상기 기존의 저작물 사이의 제1 유사도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유사도가 제1 임계치를 넘는 경우 소정의 이벤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운용되는 3D 프린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1 유사도가 임계치를 넘는 경우 상기 예비 저작물이 상기 3D 프린터에 의해 3D 프린팅되는 동작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기 시스템은, 제2 사용자 단말 및 제3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예비 저작물을 3분할하고, 상기 3분할된 예비 저작물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제2 사용자 단말, 제3 사용자 단말 각각을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지식재산권 플랫폼의 운용방법은 제작자가 컨텐츠를 제작하는 단계; 제작자에게 상기 컨텐츠의 지식재산권을 이전 받거나 사용 허락을 받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기반으로 사업을 진행하는 사업자에게 상기 컨텐츠의 지식재산권에 대한 사용료를 지급받고 사용을 허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작자가 상기 컨텐츠를 제작하는 단계는 정부나 금융사나 언론사로부터 투자 지원을 받아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의 지식재산권을 이전 받거나 사용 허락을 받는 단계는 제작자에게 투자하거나 사업자에게서 지급받은 사용료 중 일부를 제작자에게 지급한다는 약정으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사업자는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여 공간을 개발 또는 운영하거나, 상품을 개발 또는 유통하거나, 글로벌 배급을 수행하거나, 제3자에게 상기 컨텐츠의 사용을 허락하는 라이센싱 사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의 지식재산권과 맞는 사업자를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매칭된 사업자에게 상기 컨텐츠의 지식재산권의 사용함에 따른 리스크를 보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작자로부터 지식재산권을 이전 받아 사업자에게 법적으로 안전한 보증과 함께 컨텐츠를 사용한 사업을 영위하도록 함으로써, 컨텐츠를 이용한 공간 개발, 미디어, 광고 및 제품 사업에 대한 시장을 형성하며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식재산권 플랫폼의 운용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지식재산권 플랫폼의 운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식재산권 플랫폼의 운용 방법에 따라 개발된 테마파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지식재산권 플랫폼의 운용 방법에 따라 개발된 캐릭터 제품을 제작한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지식재산권 플랫폼의 운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식재산권 플랫폼의 운용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지식재산권 플랫폼의 운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지식재산권 플랫폼의 운용 방법에 따라 개발된 테마파크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지식재산권 플랫폼의 운용 방법에 따라 개발된 캐릭터 제품을 제작한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지식재산권 플랫폼의 운용방법은 플랫폼 회사(1)가 주체가 되어 이뤄질 수 있으며, 제작자(2)가 컨텐츠를 제작하는 단계(S10); 제작자(2)에게 컨텐츠의 지식재산권을 이전 받거나 사용 허락을 받는 단계(S20); 컨텐츠의 지식재산권과 맞는 사업자(3)를 매칭하는 단계(S30); 매칭된 사업자(3)에게 컨텐츠의 지식재산권의 사용함에 따른 리스크를 보증하는 단계(S40); 사업자(3)에게 컨텐츠의 지식재산권에 대한 사용료를 지급받고 사용을 허락하는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작자(2)가 컨텐츠를 제작하는 단계(S10)에서 제작자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작자(2)는 캐릭터 디자인 회사로서 애니메이션, 영화 및 컴퓨터 게임 등에 등장하는 등장인물의 외견이나 이미지를 디자인하는 회사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텐츠로서 등장인물의 캐릭터를 창작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작자(2)가 컨텐츠를 제작하는 단계(S10)는 정부나 금융사나 언론사(4)로부터 투자 지원을 받아 이뤄질 수도 있다. 즉, 제작자(2)는 플랫폼 회사(1)의 지식재산권 관리 플랫폼의 도움을 받아, 정부, 금융사 및 언론사(4) 등이 주최하는 공공 지원 사업 등에 지원할 수 있으며(이 경우, 플랫폼 회사와 제작자가 컨소시움 형태로 함께 지원 가능), 해당 사업에 선정되어 지원을 받아 컨텐츠를 제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플랫폼 회사(1)는 정부, 금융사, 및 언론사(4) 등에게 협업 모델을 제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는 공익적인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제작자(2)에게 컨텐츠의 지식재산권을 이전 받거나 사용 허락을 받는 단계(S20)에서 제작자(2)가 창작한 컨텐츠에 대한 지식재산권의 등록이 이뤄질 수 있다. 일 예로, 제작자(2)가 창작한 컨텐츠는 특허권, 상표권, 디자인권 및 저작권 등으로 등록될 수 있으며, 플랫폼 회사(1)는 제작자(2)의 특허권, 상표권, 디자인권 및 저작권 등을 이전 받아 지식재산권에 대한 소유주가 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지식재산권에 대한 실시권이나 사용권을 허락을 받아 실시권자나 사용권자가 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플랫폼 회사(1)는 제작자(2)가 창작한 컨텐츠에 대하여 지식재산권을 등록 받을 수 있는 권리에 대해 이전 받아, 이를 권리화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랫폼 회사(1)는 제작자(2)가 창작한 컨텐츠가 법적인 지식재산권으로 등록될 때까지 다양한 법률 서비스 업체(일 예로, 특허사무소, 특허펌 등)를 통해 법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플랫폼 회사(1)가 제작자(2)에게 컨텐츠의 지식재산권을 이전 받거나 사용 허락을 받는 단계(S20)는 플랫폼 회사(1)가 제작자(2)에게 투자하거나 사업자(4)에게서 지급받은 사용료 중 일부를 제작자(2)에게 지급한다는 약정으로 이뤄질 수 있다.
즉, 플랫폼 회사(1)는 투자에 대한 수익이나 추후 사업자(4)에게 받을 사용료 중 일부를 제작자(2)에게 지급함으로써, 제작자(2)가 제작한 컨텐츠에 대한 지식재산권을 이전 받거나 이에 대한 사용 허락을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플랫폼 회사(1)는 다수의 제작자(2)로부터 지식재산권을 획득하여, 특허, 디자인, 상표 및 저작권 등에 대한 풀(Pool)을 구성할 수 있다.
컨텐츠의 지식재산권과 맞는 사업자(3)를 매칭하는 단계(S30)에서는 플랫폼 회사(1)가 다수의 제작자(2)로부터 획득한 지식재산권 풀(Pool)을 분석하여, 이에 맞는 사업을 영위하는 사업자(3)를 매칭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랫폼 회사(1)가 사업자(3)를 찾아 직접 컨택하는 영업 방식을 취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플랫폼 회사(1)에서 IP 마켓 등을 웹(Web) 상에서 공개적으로 홍보하여 사업자(3)를 모집할 수도 있다.
매칭된 사업자(3)에게 컨텐츠의 지식재산권의 사용함에 따른 리스크를 보증하는 단계(S40)는 지식재산권은 등록되었다고 하더라도 제3자의 무효 심판 등에 의해서 권리가 무효화가 될 수도 있고, 제3자가 사업자(3)의 사업 행위가 자신의 지식재산권을 침해한다고 주장하며 경고장 송부, 심판 및 소 제기 등 다양한 액션을 취할 수 있으므로, 이를 우려하여 사업화를 망설이는 사업자(3)가 안정적으로 사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보증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이다.
보증 계약을 체결한 경우, 사업자(3)는 지식재산권이 무효화되거나 제3자에게 지식재산권 침해를 이유로 경고장, 심판 및 소 제기 등을 받은 경우, 플랫폼 회사(1)로부터 일정 보상금을 보상받고 나아가 플랫폼 회사(1)에서 심판 및 소 제기에 대응하여 컨설팅을 수행하며 대응 비용 중 적어도 일부를 지급할 수 있다.
한편, 플랫폼 회사(1)는 “보험 회사” 등으로부터 제휴를 받아 보증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사업자(3)에게 컨텐츠의 지식재산권에 대한 사용료를 지급받고 사용을 허락하는 단계(S50)에서는 사업자(3)가 플랫폼 회사(1)에게 지식재산권에 대한 실시료/사용료 등을 지급하고 이에 대한 급부로서 컨텐츠에 대한 지식재산권의 실시/사용을 허여 받는 단계일 수 있다(라이센싱 계약).
이 경우, “실시료/사용료”는 정액제로 지급될 수도 있고, 사업자(3)의 사업 실적에 따른 런닝개런티로 지급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업자(3)는 컨텐츠를 이용하여 공간을 개발 또는 운영하거나, 상품을 개발 또는 유통하거나, 글로벌 배급을 수행하거나, 제3자에게 컨텐츠의 사용을 허락하는 라이센싱 사업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업자(3)는 해당 컨텐츠를 기반으로 공간 개발(일 예로, 디즈니랜드와 같은 테마파크, 리조트 및 키즈카페 등), 미디어, 광고 및 PB 상품 제작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할 수 있다(도 3, 도 4 적색 점선 참조).
일 예로, 사업자(3)는 제작자(1)가 개발한 캐릭터를 메인으로 사용하여, 테마파크의 건물 외관 및 시설 등을 디자인할 수 있고, 해당 캐릭터가 로고, 앰블럼, 상표 등으로 사용된 PB 제품을 제작 판매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플랫폼 운용방법을 이용하여 제작자(2)의 창작 의욕을 활성화할 수 있고, 사업자(3)가 쉽고 편하며 안정적으로 지식재산권을 이용하여 사업을 영위하도록 서포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식재산권을 이용한 시장이 활성화되어 국가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플랫폼 운용방법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플랫폼 회사(1)를 회원제로 운영하여, 플랫폼 회사(1)를 통해 지식재산권을 허락을 받아 사업을 영위하는 다수의 사업자(3)의 사업 아이템을 이용하는 회원들에게 소정의 할인권을 배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랫폼 운용방법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제작자(1)가 기존 컨텐츠를 개량한 개량 컨텐츠(일 예로, 계량 발명, 계량 디자인)를 개발한 경우, 다수의 사업자(3) 중에서 기존 컨텐츠에 대한 지식재산권에 대해 사용료를 지급하여 사업을 영위하는 사업자(3)에게 우선적으로 라이센싱 계약을 제안할 수 있다.
만약, 기존 컨텐츠에 대한 지식재산권에 대해 사용료를 지급하여 사업을 영위하는 사업자(3)가 라이센싱 계약을 거절하는 경우, 해당 사업자(3)가 기존 컨텐츠에 대한 지식재산권을 사용하여 영위하는 사업의 수익을 기준으로 해당 사업이 일정 수익 이상을 창출하는 경우 해당 사업자(3)의 높은 사업 영위 능력과 이에 따른 플랫폼 회사(1)와 제작자(2)의 수익 및 해당 사업자(3)에 대한 신뢰 관계를 고려하여 개량 컨텐츠에 대한 다른 사업자(3)와의 라이센싱 체결 여부를 해당 사업자(3)의 동의 여하에 맡겨 판단하게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해당 사업자(3)가 기존 컨텐츠에 대한 지식재산권을 사용하여 영위하는 사업의 수익이 일정 수익 미만인 경우 해당 사업자(3)의 의사와 관계없이 개량 컨텐츠에 대한 지식재산권의 사용권을 다른 사업자(3)에게 허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랫폼 운용방법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회원들의 구매 정보를 활용하여, 기존 컨텐츠에 대한 사업 아이템을 이용한 회원들에게 개량 컨텐츠에 대한 사업 아이템을 홍보(웹 상에서 알림, 문자 메시지 등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 컨텐츠에 대한 사업자(3)와 개량 컨텐츠에 대한 사업자(3)가 다른 경우, 개량 컨텐츠에 대한 사업자(3)는 기존 컨텐츠에 대한 사업자(3)에게 시장 형성 및 개척에 따른 보상금을 권리금과 같은 형태로 지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랫폼 운용방법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회원들이 적극 참여하여 컨텐츠를 사업화할 사업자(3)를 선택할 수도 있다. 즉, 사업자(3)는 회원들에게 컨텐츠의 활용 능력, 즉, 사업화 능력에 대해서 평가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작 및 개발되는 컨텐츠를 사업 아이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업 수행을 건실하게 하여야 하는 책임이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플랫폼 운용방법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회원들이 투표에 의해 사업화가 필요한 최우수 컨텐츠를 선정하고, 이러한 최우수 컨텐츠에 대해서 웹 상에서 사업자(3)에게 우선적으로 노출되어 홍보될 수 있는 권한(키워드 노출, 배너 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랫폼 운용방법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최우수 컨텐츠를 선정한 회원들은 추후 사업자(3)가 선정되어 사업화를 진행하는 경우, 해당 사업 아이템에 대해서 구매를 보증하는 바우쳐를 미리 구입하여 사업화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사업자(3)는 바우쳐 수익금을 사업화 전에 지급받아 사업 자금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바우쳐 구입 비용은 웹 상에서 실시간으로 사업자(3)에게 노출될 수 있으며, 사업자(3)는 웹 상에서 바우쳐 구입 비용을 보고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업 성공 여부를 결정하여 라이센싱 계약을 추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제작자(2)의 창작 의지는 더욱 고취될 수 있으며, 홍보 능력이 없더라도 컨텐츠 개발에만 매진하여 양질의 컨텐츠를 개발하면 회원들의 높은 평가를 받아 알맞은 사업자(3)를 매칭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랫폼 운용방법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제작자(2)가 컨텐츠 초안을 웹 상에 업로드할 수 있고, 사업자(3)는 컨텐츠 초안을 보고 자신이 컨텐츠 제작에 참여하여 다양한 코멘트를 제작자(2)에게 전달할 수 있다. 나아가 사업자(3)는 해당 코멘트와 같이 최종 컨텐츠가 완성되고 지식재산권을 획득하는 경우, 사업자(3)가 해당 지식재산권에 대해 일정 사용료로 라이센싱을 체결하여 사업화한다는 보증 계약을 제작자(2)에게 제안할 수 있다. 즉, 사업자(3)는 컨텐츠의 제작 단계에도 참여하여 자신의 사업에 맞게 컨텐츠를 제작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플랫폼 운용방법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다수의 제작자(2)에게 주기적으로 로테이션으로 컨텐츠를 개발하는 의무를 부가할 수 있다. 주기적으로 제작된 컨텐츠에 대한 지식재산권은 사업 수익이 일정 금액 이하인 사업자(3)에게 무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익이 나는 경우 일정 비율의 사용료를 해당 컨텐츠를 제작한 제작자(2)에게 지급할 수 있다. 즉, 플랫폼의 다수의 제작자(2)를 이용하여 어려운 사업자(3)에게 무상으로 새로운 아이템을 지급하여 회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관리 서버(management server)일 수 있다.
또한,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입력 인터페이스(140), 출력 인터페이스(150), 저장 장치(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 및/또는 저장 장치(160)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을 위한 복수의 단계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와 저장 장치(160)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를 통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복수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예; 관리 서버)는 아래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관리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 중 적어도 둘을 서로 매칭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는 저작물(예; 예비 저작물)을 제작하는 제작자, 상기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는 저작권자,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일 수 있고, 제2 사용자는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관리 서버의 관리자, 운영자일 수 있고, 제3 사용자는 상기 지식재산권 플랫폼에 포함되는 저작물을 이용하여 굿즈(goods), 상품, 인형, 책, 앨범 등을 제작하는 사업자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제1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예비 저작물(예; 소설, 시, 논문, 강연, 각본, 음악, 연극, 무용, 회화, 서예, 도안, 조각, 공예, 건축물, 사진, 영상, 도형, 컴퓨터 프로그램, 작곡, 영화, 춤, 그림, 지도 등)을 획득 받을 수 있으며, 획득 받은 예비 저작물을 메모리(120), 저장 장치(160), 및/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는 관리 서버(100)를 통하여, 제3 사용자는 제3 사용자의 단말을 통하여, 메모리(120), 저장 장치(160), 및/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예비 저작물을 열람(또는 탐색 또는 획득)할 수 있다.
시스템은 관리 서버(100)가 운용하는 3D 프린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D 프린터는, 예를 들면, 메모리(120), 저장 장치(160), 및/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예비 저작물에 기반하여 2D(2차원) 형상, 3D(3차원) 형상, 3D 저작물 또는 3D 조형물을 출력(또는 프린팅)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저작물에 대한 정보 또는 저작물 그 자체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예를 들면, 상기 저작물에 대한 정보 또는 저작물 그 자체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합동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합동 출력이라 함은 상기 저작물에 대한 정보 또는 저작물 그 자체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개수만큼 분할되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분할 표시되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한 곳에 모아두었을 때 상기 저작물에 대한 정보 또는 저작물 그 자체가 표시되는 것처럼 출력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예비 저작물에 해당되는 이미지 정보를 상/중/하로 분할할 수 있고, 상/중/하로 분할된 이미지 각각을 제1 사용자 단말, 제2 사용자 단말, 제3 사용자 단말 각각에 의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합동 출력은, 예를 들면, 카드 섹션(card section), 카드 스턴트(card stunt)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합동 출력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단말 사이의 동기화를 위한 제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게 동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동기 신호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신호는 상기 동기 신호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수신된 시간을 나타내는 수신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수신 단말 각각에 대한 수신 시간 정보는, 상기 복수의 수신 단말 각각이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 사이의 거리차에 따라 발생하는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로 인하여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상이할 수 있다(즉, 상이한 수신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은 제1 사용자 단말, 제2 사용자 단말, 제3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 제2 사용자 단말, 제3 사용자 단말 순으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이의 거리는 X1이고, 제2 사용자 단말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이의 거리는 X2이고, 제3 사용자 단말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이의 거리는 X3일 수 있으며, X1 > X2 > X3 일 수 있다. 또한, 동기 신호(예; 제1 동기 신호)가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시간은 Ttx_1이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은 Ttx_1+Trx1이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은 Ttx_1+Trx2이고, 상기 제3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은 Ttx_1+Trx3일 수 있다. 또한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로 인하여 Trx1 > Trx2 > Trx3 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한 후에, 복수의 제2 동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는 제2 동기 신호를 Ttx_2에 제3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고, (제2 동기 신호를) Ttx_2-(Trx2-Trx3)에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고, (제2 동기 신호를) Ttx_2-(Trx1-Trx3)에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Ttx_1, Ttx_2, Ttx_3가 임계치보다 낮은 단말에 대해서만 합동 출력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Ttx_1, Ttx_2, Ttx_3 중에 임계치가 넘는 값에 대응하는 단말을 합동 출력을 위한 단말에서 제외시키고, 새로운 단말을 합동 출력을 위한 단말로서 재설정(또는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Ttx_1가 임계치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 프로세서(110)는 기존의 제1 사용자 단말이 아닌 새로운 제1 사용자 단말(예; 제4 사용자 단말)을 탐색하여, 동기 신호를 상기 새로운 제1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새로운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피드백 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가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상기 새로운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피드백 신호가 포함하는 Trx_4가 상기 임계치보다 낮을 경우, 프로세서(110)는 상기 새로운 제1 사용자 단말(예; 제4 사용자 단말), 제2 사용자 단말, 제3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상기 합동 출력을 수행토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 저장 장치(160), 및/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예비 저작물을 상기 합동 출력을 수행한 단말에 대해서만 공개하거나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단말, 제2 사용자 단말, 제3 사용자 단말, 제4 사용자 단말 중에서 전술한 합동 출력을 소정의 시간 이상으로 수행한 단말, 전술한 합동 출력을 소정의 횟수 이상 참여한 단말 만에 대해서만, 상기 프로세서(110)가 메모리(120), 저장 장치(160), 및/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예비 저작물을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하거나, 상기 예비 저작물을 상기 3D 프린터를 통하여 3D 프린팅하는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은 상기 예비 저작물을 스캔하여 상기 예비 저작물 그 자체 또는 예비 저작물에 대한 스캔 정보를 획득하는 스캔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상기 스캔 장치를 통하여 획득된 예비 저작물 그 자체 또는 스캔 정보가 기존의 저작권에 저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20), 저장 장치(160), 및/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는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상기 스캔 장치를 통한 스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알람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예비 저작물 그 자체(또는 스캔 정보) 및 기존의 저작물 사이의 유사도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예를 들면, 상기 유사도가 임계치(예; 30% 유사, 50% 유사, 80% 유사, 유사도 0.6, 유사도 0.9 등)를 넘거나 유사도가 임계치를 넘는 예비 저작물의 개수가 다른 임계치를 넘어서는 경우에 상기 알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예; 예비 저작권자)가 원하지 않는 저작권 침범(또는 저작권 침해)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시스템은 이미지 분석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캔 장치는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분석 모듈은 제1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상기 예비 저작물에 대한 제1 영상 이미지(f1)와 제2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제2 영상 이미지(f2)에서 중복되는 오브젝트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된 오브젝트에서 파라미터를 추출해 파라미터를 변경하여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며 오브젝트 간 최적의 매칭의 유사도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분석 모듈은 제1 카메라 모듈(또는 제2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상기 예비 저작물에 대한 제1 영상 이미지(f1)(또는 제2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제2 영상 이미지(f2)) 및 메모리(120), 저장 장치(160), 및/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된 기존의 저작물 사이에 중복되는 오브젝트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된 오브젝트에서 파라미터를 추출해 파라미터를 변경하여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며 오브젝트 간 최적의 매칭의 유사도 값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예를 들면, 상기 산출된 유사도 값이 임계치(예; 30% 유사, 50% 유사, 80% 유사, 유사도 0.6, 유사도 0.9 등)를 넘거나 상기 유사도 값이 임계치를 넘는 예비 저작물의 개수가 다른 임계치를 넘어서는 경우(예; 복수의 예비 저작물을 스캔 장치를 통하여 스캔하는 경우)에 상기 알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라미터 변경에 따른 오브젝트의 변경 비율에 대응되도록, 제1 영상 이미지(f1)와 제2 영상 이미지(f2)의 크기를 변경시켜, 제1 영상 이미지(f1)와 제2 영상 이미지(f2)를 중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미지 유사도 분석에 대한 이미지 분석 모듈은 파라미터의 변경에 의해 변경되는 제1 영상 이미지(f1)의 오브젝트와 제2 영상 이미지의 오브젝트 간 최적의 매칭 유사도 값을 통해, 제1 영상 이미지(f1)와 제2 영상 이미지(f2)를 중첩시키며 자연스러운 하나의 영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예비 저작물(즉, 제1 예비 저작물과 제2 예비 저작물을 합성은 제3 예비 저작물)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미지 유사도 분석에 대한 이미지 분석 모듈은 제1 카메라 모듈, 제2 카메라 모듈, 오브젝트 추출 모듈, 파라미터 산출 변경 모듈, 매칭 유사도 산출 모듈, 영상 크기 조절 모듈, 매칭 오브젝트 중첩 모듈 등을 구성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 추출 모듈, 파라미터 산출 변경 모듈, 매칭 유사도 산출 모듈, 영상 크기 조절 모듈 및 매칭 오브젝트 중첩 모듈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기계 학습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연산기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산기기는 다층구조 형태의 신경망을 기반으로 다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컴퓨터가 될 수 있다. 이하, 이미지 유사도 분석에 대한 이미지 분석 모듈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은 특정 영역에서 제1 영역을 촬영하며 제1 영상 이미지(f1)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카메라 모듈은 제1 카메라 모듈과 이격 설치되어, 제1 영역과 일부 중복되는 제2 영역을 촬영하여 제2 영상 이미지(f2)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은 특정 영역(예; 예비 저작물의 위치하는 지점)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로 떨어져 설치되며 특정 영역을 서로 다른 각도로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에는 제1 예비 저작물이 위치하고, 제2 영역에는 제2 예비 저작물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카메라 모듈은 특정 영역의 기준선(G)으로부터 G1만큼 떨어져 설치될 수 있고, 제2 카메라 모듈은 특정 영역의 기준선(G)으로부터 G2만큼 떨어져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은 서로 다른 방향에서 특정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카메라 모듈은 특정 영역을 촬영하며 제1 영상 이미지(f1)를 생성하여 오브젝트 추출 모듈로 전송할 수 있고, 제2 카메라 모듈은 특정 영역을 촬영하며 제2 영상 이미지(f2)를 생성하여 오브젝트 추출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한 제1 영상 이미지(f1)에는 사물 오브젝트(P1)와 제1 오브젝트(ob)가 포함될 수 있고, 제2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한 제2 영상 이미지(f2)에는 사물 오브젝트(P2)와 제2 오브젝트(ob)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는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에서 각각 촬영된 오브젝트이되, 동일한 오브젝트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상에서는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해질 수 있도록,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는 사람이 오브젝트가 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사람의 형상이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가 되는 것은 일례가 될 뿐,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가 사람 형상의 오브젝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브젝트 추출 모듈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 간 중복되는 중복 영역으로부터 제1 영상 이미지(f1)에 포함되는 제1 오브젝트와 제2 영상 이미지(f2)에 포함되는 제2 오브젝트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 추출 모듈은 입력되는 영상 이미지로부터 오브젝트를 추출할 수 있는 기준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오브젝트는 오브젝트 추출 모듈이 작동하기 전에 오브젝트 추출 모듈에 설정될 수 있다.
오브젝트 추출 모듈은 기준 오브젝트를 이용해, 제1 영상 이미지(f1)에서 기준 오브젝트와 매칭되는 제1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제2 영상 이미지(f2)에서 기준 오브젝트와 매칭되는 제2 오브젝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브젝트 추출 모듈은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를 추출하여 파라미터 산출 변경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파라미터 산출 변경 모듈은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로부터 크기에 대한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라미터 산출 변경 모듈은 제1 오브젝트로부터 가로 길이에 대응하는 가로 파라미터(x1)와 세로길이에 대응하는 세로 파라미터(y1)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오브젝트로부터 가로길이에 대한 가로 파라미터(x2)와 세로길이에 대한 세로 파라미터(y2)를 추출할 수 있다. 파라미터 산출 변경 모듈은 추출된 가로 파라미터와 세로 파라미터의 값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파라미터 산출 변경 모듈은 추출된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하며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라미터 산출 변경 모듈은 제1 오브젝트의 가로길이의 파라미터 값을 x1_a 내지 x1_z로 변경시키고, 세로길이의 파라미터 값을 y1_a 내지 y1_z로 변경시키며 제1 오브젝트의 크기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파라미터 산출 변경 모듈은 제2 오브젝트의 가로길이의 파라미터 값을 x2_a 내지 x2_z로 변경시키고, 세로길이의 파라미터 값을 y2_a 내지 y2_z로 변경시키며 제2 오브젝트의 크기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다만, 파라미터 산출 변경 모듈은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로부터 가로 파라미터 값과 세로 파라미터 값을 산출하되, 산출된 가로 파라미터 값과 세로 파라미터 값을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 내에서 변경시킬 수 있다.
즉, 파라미터 산출 변경 모듈은 x1_a 내지 x1_z 와 x2_a 내지 x2_z가 x1과 x2값 사이에 있는 값 그리고 y1_a 내지 y1_z 와 y2_a 내지 y2_z가 y1과 y2값 사이에 있는 값이 되도록만 파라미터 값을 변경할 수 있다. 파라미터 산출 변경 모듈은 제1 오브젝트의 x1, y1에서부터 제2 오브젝트의 x2, y2까지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를 다양한 크기로 변경할 수 있다.
매칭 유사도 산출 모듈은 파라미터 산출 변경 모듈에서 크기가 변경되는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의 일치도를 계산할 수 있다. 특히, 매칭 유사도 산출 모듈은 기계 학습 다시 말해, 딥 러닝 방식으로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를 계산하며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의 매칭률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칭 유사도 산출 모듈은 영상 입력 단계. 컨볼루션 레이어를 통한 인코팅 단계, 영상분할단계, 영역별 풀리-커넥티드 레이어를 통한 패턴 매칭 단계, 영상 병합단계 그리고 컨볼루션 레이어를 통한 디코팅 단계 그리고 입력-복원 오차 최소화 파라미터를 탐색하는 단계와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의 매칭률을 계산하는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컨볼루션(convolution)은 합성 곱을 의미하고, 인코딩(encoding)은 부호화를 의미하고, 풀리-커넥티드(fully-connected)는 완전연결을 의미하고, 디코딩(decoding)은 복호화를 의미할 수 있다.
매칭 유사도 산출 모듈은 N개의 인코딩 컨볼루션 레이어, M개의 영역별 인코딩 풀리-커넥티드 레이어, M개의 영역별 디코딩 풀리-커넥티드 레이어, N개의 디코딩 컨볼루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매칭 유사도 산출 모듈의 입력 데이터는 위 레이어들에 의해 순차적으로 처리되며, 가장 먼저 1번째 인코딩 컨볼루션 레이어에 입력된다.
여기서, 인코딩 컨볼루션 레이어에 입력된 데이터는 컨볼루션, 전이 함수, 영상 축소 과정을 통해 처리된다.
컨볼루션 동작으로 처리된 데이터는 전이 함수에 입력된다. 전이 함수의 경우에는 딥 러닝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전이 함수가 사용될 수 있다. 전이 함수로 처리된 후의 영상 데이터는 영상 축소 과정을 거친다. 영상 축소는 영상의 가로, 세로 길이를 각각 (1/2)배로 축소된다.
전술한 데이터 처리 과정이 N개의 인코딩 컨볼루션 레이어에 걸쳐 반복된다. 제1 오브젝트 및 제2 오브젝트는 N번째 인코딩 컨볼루션 레이어를 거친 후 가로 DW 등분, 세로 DH 등분된다. 이때 분할된 각각의 영상 데이터는 '블록'이 될 수 있다. 각 블록의 데이터는 해당 블록을 담당하는 인코딩 풀리-커넥티드 레이어에 입력된다.
인코딩 풀리-커넥티드 레이어는 행렬 곱 파라미터와 바이어스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코딩 풀리-커넥티드 레이어의 동작은 컨볼루션 신경망에서의 드랍아웃 방식으로 진행된다. 전술한 데이터 처리 과정이 M개의 인코딩 풀리-커넥티드 레이어에 걸쳐 반복된다.
인코딩은 1번째 인코딩 컨볼루션 레이어부터 N번째 인코딩 컨볼루션 레이어까지, 1번째 인코딩 풀리-커넥티드 레이어부터 M번째 인코딩 풀리-커넥티드 레이어까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디코딩은 인코딩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디코딩 풀리-커넥티드 레이어는 행렬 곱 파라미터와 바이어스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코딩 풀리-커넥티드 레이어의 동작은 인코딩 풀리-커넥티드 레이어의 동작과 동일하다.
디코딩 컨볼루션 레이어는 컨볼루션 파라미터와 바이어스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매칭 유사도 산출 모듈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오브젝트를 학습하고, 학습 된 오브젝트가 매칭될 수 있는 오브젝트가 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매칭 유사도 산출 모듈은 오브젝트가 매칭될 수 있는 오브젝트로 판별된 경우,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간 일치도를 계산할 수 있다. 특히, 매칭 유사도 산출 모듈은 인코딩/디코딩 컨볼루션 레이어의 컨볼루션 파라미터와 바이어스 파라미터, 인코딩/디코딩 풀리-커넥티드 레이어의 행렬 곱 파라미터와 바이어스 파라미터가 입력 오브젝트와 복원 오브젝트 사이의 평균 오차를 최소화하는 값을 갖도록 학습될 수 있다.
매칭 유사도 산출 모듈은 평균 오차가 최소화된 제1 오브젝트, 제2 오브젝트를 매칭시키며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간 매칭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칭 유사도 산출 모듈은 가로 및 세로의 크기가 x1_a 및 y1_a로 변경된 제1 오브젝트와 x2_a 및 y2_a로 변경된 제2 오브젝트를 매칭시키며 88%의 매칭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가로 및 세로의 크기가 x1_v 및 세로 y1_v로 변경된 제1 오브젝트와 x2_v 및 y2_v로 변경된 제2 오브젝트를 매칭시키며 95%의 매칭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아울러, 가로 및 세로의 크기가 x1_z 및 세로 y1_z로 변경된 제1 오브젝트와 x2_z 및 y2_z로 변경된 제2 오브젝트를 매칭시키며 90%의 매칭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매칭 유사도 산출 모듈은 매칭 값이 가장 높은 파라미터 값을 영상 크기 조절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크기 조절 모듈은 일치도 즉, 매칭 값이 가장 높은 제1 오브젝트의 크기의 변화율에 대응되도록 제1 영상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고, 일치도가 가장 높은 제2 오브젝트의 크기의 변화율에 대응되도록 제2 영상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크기 조절 모듈은 제1 오브젝트가 20% 확대되고, 제2 오브젝트가 20% 축소되어,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간 일치도 값이 가장 높을 때, 제1 영상 이미지(f1)를 20% 확대시키고, 제2 영상 이미지(f2)를 20% 축소시킬 수 있다.
매칭 오브젝트 중첩 모듈은 일치도가 가장 높은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를 중심으로 크기가 변경된 제1 영상 이미지(f1)와 제2 영상 이미지(f2)를 중첩시킨다. 예를 들면, 매칭 오브젝트 중첩부(20)는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가 중첩되도록 20% 확대된 제1 영상 이미지와 20% 축소된 제2 영상 이미지를 중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매칭 오브젝트 중첩 모듈은 제1 영상 이미지(f1)와 제2 영상 이미지(f2)를 중첩시키며 중첩된 부분이 자연스러운 중첩 영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110)는 이미지 분석 모듈을 통하여 제1 예비 저작물과 제2 예비 저작물에 기반하여 제3 예비 저작물(예; 상기 중첩 영상 이미지)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지금까지 이미지 유사도 분석에 대한 이미지 분석 모듈에 대한 설명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유사도 분석에 기반하는 합성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이하 언급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별도 언급이 없는 한 전술한 이미지 유사도 분석에 대한 이미지 분석 모듈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할 수 있다.
이미지 유사도 분석에 기반하는 합성 방법은 복수 개의 카메라부와 카메라부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연산기기 즉, 컴퓨터에 의해 일련의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이미지 유사도 분석에 기반하는 합성 방법은 (A)단계에서부터 (F)단계에 이르는 일련의 단계를 통해, 복수 개의 영상 이미지에서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파라미터를 변경하며 다양한 크기의 영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며, 크기 변경된 복수 개의 영상 이미지 간 유사도 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최적의 유사도 값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이미지를 중첩시켜 자연스러운 파노라마 영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유사도 분석에 기반하는 합성 방법은 제1 카메라 모듈이 제1 영역을 촬영하여 제1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제2 카메라 모듈이 제1 영역과 일부 중복되는 제2 영역을 촬영하여 제2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A)단계(S1010)를 시작할 수 있다.
(A)단계 이후, 오브젝트 추출 모듈이 제1 영역과 제2 영역 간 중복되는 중복 영역으로부터 제1 영상 이미지에 포함되는 제1 오브젝트와 제2 영상 이미지에 포함되는 제2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B)단계(S1020)로 진행할 수 있다.
(B)단계 이후, 파라미터 산출 변경 모듈이 추출된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로부터 크기에 대한 파라미터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파라미터 값을 변경하며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는 (C)단계(S1030)를 진행할 수 있다.
매칭 유사도 산출부가 기계학습 방법으로 크기가 변경되는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의 일치도를 계산하는 (D)단계(S1040)를 진행할 수 있다.
(D)단계 이후, 영상 크기 조절 모듈을 통해 일치도가 가장 높은 제1 오브젝트의 크기 변화율에 대응되도록 제1 영상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고, 제2 오브젝트의 크기 변화율에 대응되도록 제2 영상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는 (E)단계(S1050)를 진행할 수 있다.
(E)단계 이후, 매칭 오브젝트 중첩 모듈을 통해 변경된 제1 영상 이미지(f1)와 제2 영상 이미지(f2)를 일치도가 가장 높은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를 중심으로 중첩시켜, 하나의 중첩 영상 이미지(예; 새로운 예비 저작물)를 출력하는 (F)단계(S1060)를 진행할 수 있다.
이미지 유사도 분석에 기반하는 합성 방법은 (F)단계를 끝으로 일련의 단계를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이미지 분석 모듈을 통하여 제1 예비 저작물과 제2 예비 저작물에 기반하여 제3 예비 저작물(예; 상기 중첩 영상 이미지)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운용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예비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기존의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예비 저작물과 상기 기존의 저작물 사이의 제1 유사도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유사도가 제1 임계치를 넘는 경우 소정의 이벤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운용되는 3D 프린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1 유사도가 임계치를 넘는 경우 상기 예비 저작물이 상기 3D 프린터에 의해 3D 프린팅되는 동작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기 시스템은, 제2 사용자 단말 및 제3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예비 저작물을 3분할하고, 상기 3분할된 예비 저작물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제2 사용자 단말, 제3 사용자 단말 각각을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3)

  1.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단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단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3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운용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내지 상기 제3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예비 저작물을 촬영하는 스캔 장치를 통하여 상기 예비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예비 저작물에 대한 정보는 회화, 서예, 도안, 사진, 및 그림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운용되는 3D 프린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복수의 기존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
    상기 복수의 예비 저작물 각각과 상기 복수의 기존 저작물 사이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이미지 분석 모듈; 및
    상기 유사도가 유사도 임계치를 넘는 경우 제1 알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유사도가 유사도 임계치를 넘는 예비 저작물의 개수가 개수 임계치를 넘는 경우 제2 알람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예비 저작물을 상부, 중부, 및 하부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상부에 기반하여 제1 저작물 서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분할된 중부에 기반하여 제2 저작물 서브 정보를 생성하고, 및 상기 분할된 하부에 기반하여 제3 저작물 서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저작물 서브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2 저작물 서브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3 저작물 서브 정보를 상기 제3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함으로써, 상기 예비 저작물에 상응하는 합동 출력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내지 상기 제3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제1 동기 신호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내지 상기 제3 사용자 단말 각각에게 제1 시점에 전송하고,
    상기 제1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제1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제1 피드백 신호는 상기 제1 동기 신호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신된 시점인 제2 시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점과 상기 제1 시점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이 시간차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상기 합동 출력에서 제외시키도록 제어하고, 새로운 단말인 제4 사용자 단말을 탐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4 사용자 단말이 탐색되면, 제2 동기 신호를 상기 제4 사용자 단말에게 제3 시점에 전송하고,
    상기 제2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제2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제4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제2 피드백 신호는 상기 제2 동기 신호가 상기 제4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신된 시점인 제4 시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시점과 상기 제3 시점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이 상기 시간차 임계치보다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내지 상기 제4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기반의 합동 출력을 수행토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내지 상기 제4 사용자 단말 중에서 상기 합동 출력에 참여한 횟수가 소정의 횟수 임계치를 넘는 단말에 대해서만 상기 예비 저작물을 상기 3D 프린터를 통하여 3D 프린팅하는 권한을 설정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90177603A 2019-12-30 2019-12-30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112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603A KR102112200B1 (ko) 2019-12-30 2019-12-30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603A KR102112200B1 (ko) 2019-12-30 2019-12-30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200B1 true KR102112200B1 (ko) 2020-05-18

Family

ID=70912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603A KR102112200B1 (ko) 2019-12-30 2019-12-30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2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447B1 (ko) * 2014-04-16 2016-04-06 양희찬 디지털 저작물을 업로드 하는 단말, 디지털 저작물을 관리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들
KR20160106882A (ko) * 2015-03-03 2016-09-13 허규호 3차원 프린터용 데이터 중개 장치
KR20170054119A (ko) * 2015-11-09 2017-05-17 주식회사 임팩시스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분산 인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7149106A (ja) * 2016-02-26 2017-08-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立体物造形用データ出力規制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447B1 (ko) * 2014-04-16 2016-04-06 양희찬 디지털 저작물을 업로드 하는 단말, 디지털 저작물을 관리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들
KR20160106882A (ko) * 2015-03-03 2016-09-13 허규호 3차원 프린터용 데이터 중개 장치
KR20170054119A (ko) * 2015-11-09 2017-05-17 주식회사 임팩시스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분산 인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7149106A (ja) * 2016-02-26 2017-08-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立体物造形用データ出力規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adamuz The treachery of images: non-fungible tokens and copyright
Johnson Intellectual property and the incentive fallacy
KR101073112B1 (ko) 저작물과 광고를 공개라이센스를 이용하여 결합한 컨텐츠 관리방법 및 그 장치
KR102092840B1 (ko) 저작물의 자산화 및 접근성을 확장하는 저작물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CN105631700A (zh) 内容创建、部署合作以及标记
US201303046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digital product synthesis, commerce, and distribution
US20200134585A1 (en) Trusted transaction system for digital asset licensing
Klein et al. Understanding copyright: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digital age
Barnett The costs of free: commoditization, bundling and concentration
CN110249329A (zh) 防止网络漫画擅自复制及被复制网络漫画追踪系统、方法及程序
KR102112200B1 (ko) 지식재산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300751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ntent from creation to consumption
Alhadeff et al. Limits of Algorithmic Fair Use
KR101609447B1 (ko) 디지털 저작물을 업로드 하는 단말, 디지털 저작물을 관리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들
CN116910701A (zh) 加密数字资产管理系统
Abeywardena et al. VANGUARD: a blockchain-based solution to digital piracy
Seecof Scanning into the Future of Copyrightable Images: Computer-Based Image Processing Poses a Present Threat
Wu et al. Detecting image forgeries using geometric cues
KR101553628B1 (ko) 디지털 콘텐츠 유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유료 서비스 방법
WO2022066970A1 (en) Multi-language media versioning network and process flow
KR20110028623A (ko) 기여 제작자의 체인에 걸쳐서 제작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트랜잭션 수행 방법, 트랜잭션 준비 모듈, 중앙 관리 모듈 및 트랜잭션 수행 시스템
Bhowmik et al. JPEG White paper: towards a standardized framework for media blockchain and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
Cantatore Publishing and the law: Copyright and globalisation
KR20160148784A (ko) 사전 제작된 2d/3d프린팅 출력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영상 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87978B1 (ko) Ec 통합형 메타미디어의 제작 방법, 전송 시스템 및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