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922B1 - Remote controlling system using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ling system using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922B1
KR102110922B1 KR1020140093447A KR20140093447A KR102110922B1 KR 102110922 B1 KR102110922 B1 KR 102110922B1 KR 1020140093447 A KR1020140093447 A KR 1020140093447A KR 20140093447 A KR20140093447 A KR 20140093447A KR 102110922 B1 KR102110922 B1 KR 102110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pplication unit
mobile
module
mobile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4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12321A (en
Inventor
김남진
조창희
방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우스
Priority to KR1020140093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922B1/en
Publication of KR20160012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3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9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장비를 제어하는 장비 제어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와 모바일 장치를 이용해 상기 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장비의 원격 제어와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장비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그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원하는 포맷으로 변환하거나 처리하는 엔진 어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장비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을 통해 상기 수집되거나 생성된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받은 데이터나 제어 명령을 상기 장비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원하는 작업을 처리하거나 디스플레이하고, 원하는 특정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에 요청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a server performing a function of an equipment controller for controlling equipment and a client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using a mobile device and performing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equipment. In the system comprising, the server, collects and stores at least one or more information from the equipment, and converts or processes at least one of the data to a desired format engine application unit and monitor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equipment , A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that transmits the collected or generated information through a connection with a client or processes the requested data or control command from the client to be performed on the device, wherein the client comprises the data manager Us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application processing unit displays the desired action, or at the client, and includes a mobile application that is requesting a particular desired data to said data manager application.

Figure R1020140093447
Figure R1020140093447

Description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REMOTE CONTROLLING SYSTEM USING MOBILE DEVICE}REMOTE CONTROLLING SYSTEM USING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비(또는 설비) 제어기로부터 모바일 장치로 제어와 모니터링에 관련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면서, 만약 송수신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장비의 제어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장비(또는 설비) 제어와 모니터링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efficiently transmit data related to control and monitoring from a device (or facility) controller to a mobile device, even if a problem occurs in transmission and reception. It relates to a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that can independently perform equipment (or equipment) control and monitoring in order not to affect the control of the.

일반적으로 종래의 장비(예 : 디스플레이, 반도체, 태양전지 등의 설비)는 자신의 상태 및 각종 I/O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상위 시스템과 네트워크로 연결이 되며,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장비(또는 설비)간 통신 표준인 SECS(SEMI Equipment Communication Standard)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In general, conventional equipment (eg, displays, semiconductors, solar cells, etc.) is connected to a network with a higher-level system to transmit its status and various I / O information. ) Uses the SECS (SEMI Equipment Communication Standard) protocol.

상기 SECS 프로토콜은 RS-232를 이용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사양인 SECS-I(SEMI E4)과, 이더넷(Ethernet) 통신 인터페이스 사양인 HSMS(High-Speed SECS Message Services)(SEMI E37)와, 상기 두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만들기 위한 규칙인 SECS-II(SEMI E5) 프로토콜과, 장비 구동 및 각종 이벤트 처리, 레시피 관리, 알람 관리, 원격 제어 등에 대한 규칙을 정의한 GEM(Generic Equipment Mode)(SEMI E3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비 및 상위 시스템은 이러한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The SECS protocol includes SECS-I (SEMI E4), a communication interface specification for using RS-232, and HSMS (High-Speed SECS Message Services) (SEMI E37), an Ethernet communication interface specification, and the two protocols. Using the SECS-II (SEMI E5) protocol, which is a rule for creating messages, and GEM (Generic Equipment Mode) (SEMI E30), which defines rules for equipment operation and various event processing, recipe management, alarm management, and remote control. It is configured, and each equipment and upper system must include the function to process data through these protocols.

상기 장비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I/O 변동 사항 및 각종 정보들을 수집하여 HSMS 메시지 형태로 구성해야 하며, 이렇게 구성된 데이터는 통상적으로 SECS/GEM 드라이버로 불리는 모듈을 통해 상위 시스템과 송수신하게 된다. The equipment needs to collect I / O changes and various information generated inside, and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HSMS messages, and the configured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o / from the upper system through a module called a SECS / GEM driver.

상위 시스템에서는 이렇게 전달받은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도록 HSMS 메시지를 분석하여 DB에 저장하게 되고, 상기 데이터를 하위 클라이언트에서 조회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데이터를 상위 시스템으로 요청해야 하며, 상위 시스템에서는 요청 받은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 처리 모듈을 통해 DB에서 필요 데이터를 가져와 하위 클라이언트로 전송해 주고, 이 데이터를 하위 클라이언트에서 받아 표시해 주는 형태로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다. The upper system analyzes the HSMS message and stores it in the DB so that the received data can be stored. In order to inquire the data from the lower client, the required data must be requested from the upper system, and the upper system requests data It is very complicated in the form of receiving necessary data from DB and sending it to the lower client through the processing module, and receiving and displaying this data from the lower client.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장비 제어기에서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된 데이터를 하위 클라이언트에서 다시 내려 받는 복잡한 구성으로 데이터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상위 시스템을 통한 데이터 전달 과정에서 불필요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전송될 수도 있으며, 상위 시스템이 아닌 하위 클라이언트와의 직접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보안성을 확보할 수 없으며, 장비 제어기 자체적으로 데이터의 요청을 처리하여 해당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만약 데이터 송수신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는 장비 제어기 자체의 기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data monitoring is performed in a complex configuration in which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equipment controller to the upper system is downloaded again from the lower client, the efficiency of data transmission decreases, and unnecessary data is included in the data transfer process through the upper system. It can be transmitted, and it cannot perform direc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a lower client other than the upper system, and even if it can perform direc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ecurity cannot be secured, and the equipment controller itself handles data requests. Therefore, if there is a problem in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ffects the function of the equipment controller itself.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00241호(2007.01.02.공개, 반도체 소자 제조 장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00241 (2007.01.02., Remot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장비(또는 설비) 제어기로부터 모바일 장치로 제어와 모니터링에 관련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면서, 만약 송수신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장비의 제어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장비의 제어와 모니터링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efficiently transmits data related to control and monitoring from the equipment (or facility) controller to the mobile device, while affecting control of the equipment even if a problem occurs in transmission and recep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that can independently perform control and monitoring of equipment in order not to giv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장비를 제어하는 장비 제어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와 모바일 장치를 이용해 상기 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장비의 원격 제어와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장비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그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원하는 포맷으로 변환하거나 처리하는 엔진 어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장비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을 통해 상기 수집되거나 생성된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받은 데이터나 제어 명령을 상기 장비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원하는 작업을 처리하거나 디스플레이하고, 원하는 특정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에 요청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using a mobile device and a server performing a function of an equipment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equipment, and performs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equipment. A system including a client, the server comprising: an engine application unit that collects and stores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from the equipment, and converts or processes at least one of them into a desired format; And a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that monitor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equipment, transmits the collected or generated information through a connection with a client, or processes data or control commands requested from the client to be performed on the equipment. And the client comprises: a mobile application unit processing or displaying a desired job in the client u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and requesting specific data desired by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장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읽어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의 요청을 처리하며,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알람 발생이나 이벤트 수행 요청 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 전달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제1 데이터 핸들러 모듈; 및 상기 장비에서 읽어온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및 상기 제1 데이터 핸들러 모듈에서 생성되거나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전달받은 처리 명령이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ine application unit reads at least one data from the equipment, generates data usable by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processes requests from the mobile application unit, and generates an alarm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Or a first data handler module that generates information to be delivered to the mobile application unit when an event execution request is made; And a first data storage unit which stores at least one data read from the equipment and data generated or processed by the first data handler module, and stores processing commands or data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제1 데이터 핸들러 모듈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읽어오고,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요청에 대한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로 전달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읽어온 데이터에 대한 확인 및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 전달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제2 데이터 핸들러 모듈; 및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와 장비의 제어와 모니터링에 관련하여 미리 정의된 포맷의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reads data generated by the first data handler module from the first data storage unit and generates a processing message for a data request received from the mobile application unit to generate the engine. A data collection module delivered to the application unit; A second data handler module that checks data read from the engine application unit and generates a message to be delivered to the mobile application unit, and processes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application unit to be delivered to the engine application unit; And a first interface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in a predefined format in relation to 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mobile application unit and equipmen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와 미리 정의된 포맷의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GUI 모듈에서 데이터 처리 요청 시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 전달할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3 데이터 핸들러 모듈;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에 알람 발생 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표시하는 GUI 모듈; 기 저장된 설정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의 전체적인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매니저; 및 상기 제3 데이터 핸들러 모듈에서 생성되거나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GUI 모듈을 통해 입력받은 정보나 출력할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application unit, a second interface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ssages in a predefined format with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A third data handler module that processes data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through the second interface module and generates a processing message to be delivered to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when a data processing request is made from a GUI module; A GUI module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r more information including alarm occurrence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on a screen using data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An application manager performing an overall management function of the mobile application unit using a pre-stored configuration data file; And a second data storage unit that stores data generated or processed by the third data handler module, and stores information input or output through the GUI modu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전달받아 설정하고, 모바일 식별정보를 인증키 발생기에 입력하며,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인증키 발생기가 상기 모바일 식별정보를 이용해 생성한 인증 라이브러리를 전달받아 설정하고,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와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가 연결되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는 시스템 식별정보와 모바일 식별정보를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는 자신에게 등록되어 있는 시스템 식별정보 및 인증 라이브러리의 모바일 식별정보를 상기 전송받은 식별정보들과 비교하여 일치하면 데이터의 송수신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application unit receives and se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ystem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inputs the mobi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to the authentication key generator, and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generates the mobile key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the authentication key generator. Receive and set the authentication library created using, and when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and the mobile application unit are connected, the mobile application unit transmits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obi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and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allowed when th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to the user and the mobi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uthentication library are compared with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동함에 있어서, 시스템의 구동이 시작되면,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 엔진 어플리케이션부,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는 각기 설정 데이터 파일을 로딩하고,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의 링크를 기다리면서 데이터 수집 모듈을 통해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폴링 방식으로 데이터를 리드하고,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와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가 링크되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 인증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제2 데이터 핸들러 모듈을 통해 상기 인증 정보를 체크하며,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의 인증 정보를 체크한 결과 정상이면, 인증 확인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인증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미리 설정된 인증 처리 알고리즘에 따라 정상적으로 원격 제어와 모니터링을 위한 동작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driving a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he mobile device, when the system starts to operate,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the engine application unit, and the mobile application unit each load a configuration data file, and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reads data from the engine application unit through a polling method through a data collection module while waiting for the link of the mobile application unit, and when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and the mobile application unit are linked, the mobile application unit receives the data manager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unit, and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receiv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application unit and receiv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second data handler module. Checking, if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check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application unit, and if it is normal, transmits an authentication confirmation message to the mobile application unit, and when the mobile application unit receives the authentication confirmation message,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processing algorithm is used. According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for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is normally start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여 처리함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는 GUI 모듈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페이지로 이동한 후, 제3 데이터 핸들러 모듈을 통해 페이지 인덱스를 체크하여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전송받은 페이지 인덱스를 제2 데이터 핸들러 모듈을 통해 체크하며, 상기 제2 데이터 핸들러 모듈은 상기 페이지 인덱스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서 취득하여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취득한 데이터를 포함하여 생성한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며,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제3 데이터 핸들러 모듈을 통해 데이터 파싱(Parsing)하여 상기 선택된 페이지의 지정된 위치에 데이터를 설정하고, GUI 모듈을 통해 상기 데이터가 설정된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ransmitting and processing data collected by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to a mobile application unit, the mobile application unit moves to a page selected by a user through a GUI module and then pages through a third data handler module. The index is checked and transmitted to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and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checks the page index received from the mobile application unit through a second data handler module, and the second data handler module requests data from the page index. Is obtained from the data collected from the data collection module to generate a message, and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sends the generated message including the acquired data to the mobile application unit. The mobile application unit parses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through a third data handler module to set data at a designated location on the selected page, and the data is set through a GUI module. It is characterized by displaying the pag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제2 데이터 핸들러 모듈을 통해 상기 페이지 인덱스에서 요청한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로부터 수집된 데이터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페이지 인덱스에서 요청한 데이터가 변경될 경우, 상기 변경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며,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수신된 변경된 데이터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제3 데이터 핸들러 모듈을 통해 데이터 파싱하여 상기 선택된 페이지의 지정된 위치에 데이터를 설정하고, GUI 모듈을 통해 상기 데이터가 설정된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monitors whether data collected from the data collection module is changed in response to data requested by the page index through the second data handler module, and the data requested from the page index is When changed, a message including the changed data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application unit, and the mobile application unit parses the message including the changed data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through the third data handler modu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is set at a designated location on the selected page, and a page on which the data is set is displayed through a GUI modu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는 이벤트 발생시 제1 데이터 핸들러 모듈을 통해 이벤트 데이터를 설정하고,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는 데이터 수집 모듈을 통해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취득하고, 제2 데이터 핸들러 모듈을 통해 상기 이벤트 데이터가 포함된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메시지를 제3 데이터 핸들러 모듈을 통해 데이터 파싱하여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한 후 미리 설정된 이벤트 처리 알고리즘에 따라 GUI 모듈을 통해 이벤트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transmit event data from the engine application unit to the mobile application unit for processing, the engine application unit sets event data through a first data handler module when an event occurs, and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data Acquiring the event data through the collection module, and generating an event message containing the event data through the second data handler module and transmitting it to the mobile application unit, the mobile application unit event message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by outputting an event alarm through a GUI module according to a preset event processing algorithm after generating data by parsing data through a third data handler modu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발생된 데이터 요청을 엔진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는 GUI 모듈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특정 버튼이 입력되면 해당하는 요청 데이터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요청 데이터를 제3 데이터 핸들러 모듈을 통해 기 지정된 포맷으로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수신된 요청 데이터를 제2 데이터 핸들러 모듈을 통해 데이터 파싱 및 체크한 후 상기 GUI 모듈에 출력하기 위한 요청 데이터를 설정하여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며,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수신된 요청 데이터를 제1 데이터 핸들러 모듈을 통해 검출하여 체크하고, 미리 설정된 요청 데이터 처리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요청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생성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nable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to transmit and process data requests generated from the mobile application unit to the engine application unit, the mobile application unit requests a corresponding request when a specific button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GUI module. Data is set, and the set request data is generated in a predetermined format through a third data handler module and transmitted to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and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receives request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application unit as a second data handler After parsing and checking data through a module, request data for output to the GUI module is set and transmitted to the engine application unit, and the engine application unit is applied to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Detected by checking the requested data received from syeonbu via a first data handler module, and wherein the process collects or generates the request data in accordance with the requested data processing algorithm set in advance.

본 발명은 장비 제어기로부터 모바일 장치로 제어와 모니터링에 관련된 데이터만 수집하여 상위 시스템을 통하지 않고 직접 전송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이고, 상호 간에 등록되어 있는 장비 제어기와 모바일 장치 간에만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키며, 미리 설정된 데이터를 공유 영역에 저장하였다가 그 영역의 데이터만 모바일 장치로 직접 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을 방지하고, 또한 장비의 제어와 모니터링을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만약 데이터 송수신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장비 자체의 제어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efficiency by collecting only the data related to the control and monitoring from the equipment controller to the mobile device and directly transmitting it through the upper system, and improving the security by transmitting data only between the equipment controller and the mobile device registered with each other. And prevents the transmission of unnecessary data by storing the preset data in a shared area and directly transmitting only the data in the area to the mobile device, and also performs the 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equipment independently. Do not affect the control of the equipment itsel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서버 측 설정 데이터 파일의 포맷 구성의 일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측 설정 데이터 파일의 포맷 구성의 일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서버의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와 클라이언트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 간의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장비의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에 있어서, 시스템 로딩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6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에서의 전송 데이터의 생성 및 수집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7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8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이벤트 발생시 엔진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9는 상기 도 5에 있어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발생된 데이터 요청을 엔진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ormat configuration of a server-side configuration data file in FIG. 1;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ormat configuration of a client-side configuration data file in FIG. 1;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n authentication method between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of the server and the mobile application unit of the client in FIG. 1.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ystem loading method in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of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nd collecting transmission data in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in FIG. 5.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collected by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to the mobile application unit in FIG. 5.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event data from an engine application unit to a mobile application unit when an event occurs in FIG. 5.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a data request generated from the mobile application unit to the engine application unit in FIG. 5.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actice.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장비 제어기(장비를 제어하는 장치나 시스템)는 서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모바일 장치는 클라이언트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I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equipment controller (a device or a system for controlling equipment) functions as a server, and a mobile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functions as a clie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버는 기존의 장비 제어기(즉,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가 설치되기 전의 장비 제어기)에 추가로 엔진 어플리케이션부(110)와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server additionally installs the engine application unit 110 and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in addition to the existing equipment controller (ie, the equipment controller before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is installed). Includes.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서버에 설치되어 실제 장비(미도시)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저장하고, 그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원하는 포맷으로 변환하거나 처리하는 것으로, 제1 데이터 핸들러 모듈(111)과 제1 데이터 저장부(112)를 포함한다. The engine application unit 110 is installed on the server and continuously collects and stores at least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from actual equipment (not shown), and converts or processes at least one of them into a desired format. It includes a data handler module 111 and a first data storage unit 112.

다만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는 기존의 장비 제어기(즉,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가 설치되기 전의 장비 제어기)에 종속되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설치되는 것임에 유의한다. 즉,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와 기존의 장비 제어기는 데이터 공유 영역(예 : 제1 데이터 저장부)을 통해 장비(미도시)의 제어와 모니터링에 관련된 처리 명령이나 데이터를 공유하지만, 기존의 장비 제어기와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 간에 직접적으로 명령을 송수신함으로써 해당 명령이 처리되게 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note that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is installed to operate independently, rather than being dependent on an existing equipment controller (ie, the equipment controller before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is installed). That is,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and the existing equipment controller share processing commands or data related to control and monitoring of equipment (not shown) through a data sharing area (eg, a first data storage unit), but The command is not processed by transmitting / receiving a command directly between the device controller and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상기 서버에 설치되어 실제 장비(미도시)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을 통해 상기 수집되거나 생성된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받은 데이터나 제어 명령을 상기 실제 장비(미도시)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으로, 데이터 수집 모듈(121), 제2 데이터 핸들러 모듈(122), 및 제1 인터페이스 모듈(123)을 포함한다.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is installed on the server and monitors information collected from actual equipment (not shown), and transmits the collected or generated information through a connection with a client or data requested from the client or The control command is processed to be performed on the actual equipment (not shown), and includes a data collection module 121, a second data handler module 122, and a first interface module 123.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는 클라이언트(예 : 모바일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원하는 작업을 처리하거나 디스플레이 하는 것으로, 제2 인터페이스 모듈(210), 제3 데이터 핸들러 모듈(220), GUI(Graphic User Interface) 모듈(230),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40), 및 제2 데이터 저장부(250)를 포함한다.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is installed on a client (for example, a mobile device) to process or display a desired job in the client u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and a second interface module ( 210), a third data handler module 220,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module 230, an application manager 240, and a second data storage unit 250.

상기 제1 데이터 핸들러 모듈(111)은 실제 장비(미도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읽어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로부터의 요청을 처리(예 : I/O Write, Sequence 실행 등)한다. 그리고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알람 발생이나 이벤트 수행 요청 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로 전달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00)로 전달한다.The first data handler module 111 continuously reads at least one or more data from an actual device (not shown) to generate data usable in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In addition, the request from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is processed (eg, I / O Write, Sequence execution, etc.). Then, when an alarm is generated or an event is performed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to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00.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112)는 실제 장비(미도시)에서 지속적으로 읽어온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및 상기 제1 데이터 핸들러 모듈(111)에서 생성되거나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처리 명령이나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112)는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 및 실제 장비(또는 기존의 장비 제어기)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The first data storage unit 112 stores at least one or more data continuously read from actual equipment (not shown) and data generated or processed by the first data handler module 111. In addition, it stores the processing command or data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In addition, the first data storage unit 112 may share data with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and actual equipment (or an existing equipment controller).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121)은 상기 제1 데이터 핸들러 모듈(111)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112)로부터 읽어온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요청에 대한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110)로 전달한다. The data collection module 121 reads data generated by the first data handler module 111 from the first data storage unit 112. In addition, a processing message for the data request received from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engine application unit 110.

이때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121)로부터 전달받은 처리 메시지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112)에 저장하다.At this time, the engine application unit 110 stores the processing message received from the data collection module 121 in the first data storage unit 112.

상기 제2 데이터 핸들러 모듈(122)은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110)로부터 읽어온 데이터에 대한 확인(또는 체크) 및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로 전달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110)로 전달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The second data handler module 122 checks (or checks) data read from the engine application unit 110 and generates a message to be delivered to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and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The data received from is processed to be delivered to the engine application unit 110.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모듈(123)은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와 미리 정의된 포맷의 메시지(예 : 장비의 제어와 모니터링에 관련하여 미리 정의된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모듈(123)을 통해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와 미리 정의된 포맷의 메시지를 송수신한다.The first interface module 123 transmits and receives a message in a predefined format (for example, a message predefined in relation to control and monitoring of equipment) with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In addition, the second interface module 210 transmits and receives a message in a predefined format to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through the first interface module 123.

상기 제3 데이터 핸들러 모듈(220)은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210)을 통해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또한 상기 GUI 모듈(230)에서 데이터 처리 요청 시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로 전달할 처리 메시지를 생성한다.The third data handler module 220 processes data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through the second interface module 210, and when the GUI module 230 requests data processing, the data The processing message to be delivered to the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is generated.

상기 GUI 모듈(230)은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미도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또한 알람 발생 정보 및 이벤트 정보 등을 화면(미도시)에 디스플레이한다.The GUI module 230 displays at least one or more information on a screen (not shown) using data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and also displays alarm generation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on the screen (not shown). Display on.

상기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40)는 기 저장된 설정 데이터 파일(Configuration Data file)을 로딩하고,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의 구동을 위한 전체적인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미리 정의되어 있는 포맷에 맞추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텍스트 형태의 설정 데이터 파일(Configuration Data file)로 구성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빠른 시간 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application manager 240 loads a pre-stored configuration data file and performs an overall management function for driving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are configured in a text format of a configuration data file according to a predefined format so that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in a short time.

상기 제2 데이터 저장부(250)는 상기 제3 데이터 핸들러 모듈(220)에서 생성되거나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또한 상기 GUI 모듈(230)을 통해 입력받은 정보나 출력할 정보를 저장한다.The second data storage unit 250 stores data generated or processed by the third data handler module 220 and also stores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GUI module 230 or information to be output.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서버 측 설정 데이터 파일의 포맷 구성의 일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측 설정 데이터 파일의 포맷 구성의 일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ormat configuration of a server-side configuration data file in FIG. 1,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a format configuration of a client-side configuration data file in FIG. 1. It is an example.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IP Address]는 서버의 IP 주소, [Port]는 서버의 접속 포트 번호, [Auth_Code]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에서 연결 요청 시 등록된 클라이언트인지를 체크하기 위한 인증 코드, [Link Status IO]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와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 정보를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110)로 알려주기 위한 IO 이름(DI), [SEQ Master ID]는 시스템에서 사용할 시퀀스(Sequence)의 마스터 ID(이때 상기 마스터 ID는 유일해야 한다), [SEQ Name]는 시퀀스 이름(Sequence Name)(엔진 어플리케이션부에 등록되어 있는 시퀀스 이름을 그대로 사용해야 한다), [SEQ Call ID]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에서 시퀀스 실행 요청 시 실제 시스템(즉, 서버)에서 구동될 시퀀스 정보에 대한 콜 아이디(Call ID)(이때 Call ID는 하나의 시퀀스에 파라메터에 따라 여러 개가 등록 가능하며, 하나의 시퀀스 내에서는 유일해야 한다), [SEQ Call Type]는 시퀀스 실행 요청 시 실행할 타입, [SEQ Parameter]는 실행할 시퀀스로 전달할 파라메터, [Alarm ID]는 알람 아이디(Alarm ID)(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에 등록되어 있는 ID로서 유일해야 한다). $PAGE [Index]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에서의 페이지 인덱스(Page Index)(모바일 장치의 환경 설정 정보(Configuration 정보)와 일치해야 한다), [IO Name]는 해당 페이지에 등록할 IO 이름, [IO Type]는 해당 페이지에 등록할 IO의 타입(예 : DI, DO, AI, AO, SI, SO), [Event ID]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에 이벤트 요청 시 사용할 이벤트 아이디, [Event Name]은 이벤트 네임, [Event Info]는 이벤트 정보(이벤트에 따라 맞춤형태의 정보로 설정된다).2 and 3, [IP Address] is the IP address of the server, [Port] is the server's access port number, and [Auth_Code] is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when requesting a connection to check whether it is a registered client. The authentication code to be used, [Link Status IO], the IO name (DI) to inform the engine application unit 110 of the network connection status information with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and [SEQ Master ID] to be used in the system Sequence's master ID (at this time, the master ID must be unique), [SEQ Name] is the sequence name (sequence name registered in the engine application must be used as it is), [SEQ Call ID] Is a call ID for sequence information to be executed in a real system (i.e., a server) when a sequence execution request is requested from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in this case, multiple Call IDs according to parameters in one sequence) It can be registered and must be unique within one sequence), [SEQ Call Type] is the type to be executed when the sequence is executed, [SEQ Parameter] is the parameter to be transmitted to the sequence to be executed, and [Alarm ID] is the Alarm ID ( It should be unique as an ID registered in the engine application). $ PAGE [Index] is the page index in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must match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Configuration information)), [IO Name] is the IO name to be registered on the page , [IO Type] is the type of IO to be registered on the page (eg, DI, DO, AI, AO, SI, SO), [Event ID] is the event ID to be used when an event is requested to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Event Name] is the event name, and [Event Info] is the event information (set according to the event as customized information).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맷에 맞춰 구성된 설정 데이터 파일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코딩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클라이언트에 원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by using a configuration data file configured in accordance with the format shown in FIGS. 2 and 3, a desired mobile application unit 200 can be configured and used in a client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coding operation.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서버의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와 클라이언트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 간의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n authentication method between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of the server and the mobile application unit of the client in FIG.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는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로부터 시스템의 식별정보(즉, 시스템 키)를 전달받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는 모바일 식별정보(즉, 모바일 키)를 인증키 발생기(300)에 입력한다. As illustrated in FIG. 4,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receives and se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e, a system key) of the system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In addition,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inputs mobi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e, a mobile key) into the authentication key generator 300.

상기 인증키 발생기(300)는 상기 모바일 식별정보(즉, 모바일 키)를 포함한 인증 라이브러리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인증 라이브러리는 배포자만 생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상기 인증키 발생기(300)에서 생성된 인증 라이브러리를 전달받아 설정한다.The authentication key generator 300 generates an authentication library including the mobi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e, a mobile key). At this time, only the distributor can create the authentication library. In addition,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receives and sets the authentication library generated by the authentication key generator 300.

상기와 같이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에 상호 간의 식별정보가 등록된 상태에서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와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가 연결되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는 시스템 식별정보(즉, 시스템 키)와 모바일 식별정보(즉, 모바일 키)를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로 전송한다. When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and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and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application The unit 200 transmits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ie, system key) and mobi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e, mobile key) to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자신에게 등록되어 있는 시스템 식별정보(즉, 시스템 키) 및 모바일 식별정보(즉, 모바일 키)가 상기 전송받은 식별정보들과 일치하면 데이터의 송수신을 허용한다.Accordingly,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allow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hen th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ie, the system key) and mobi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e, the mobile key) registered to the user match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do.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서로 등록되어 있는 장비 제어기와 모바일 장치 간에만 데이터의 송수신을 허용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mproves security by allow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only between equipment controllers and mobile devices registered with each other.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장비의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에 있어서, 시스템 로딩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ystem loading method in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of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의 구동이 시작되면(S101),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 엔진 어플리케이션부(110),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는 각기 설정 데이터 파일을 로딩한다(S102, S103, S104). As illustrated in FIG. 5, when the system starts to be operated (S101),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the engine application unit 110, and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each loads a configuration data file (S102). , S103, S104).

그리고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가 링크되기를 기다리면서(S105), 데이터 수집 모듈(121)을 통해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100)로부터 폴링(Polling) 방식으로 데이터를 리드한다(S106, S109).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waits for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to be linked (S105), and polls data from the engine application unit 100 through the data collection module 121 in a polling manner. Leads (S106, S109).

아울러,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와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의 각 인터페이스 모듈(123, 210)을 통해 링크(LINK)가 설정되면(S107, S108),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는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로 인증 정보를 전송하고(S110),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S111) 제2 데이터 핸들러 모듈(122)을 통해 상기 인증 정보를 체크한다(S112).In addition, when a link (LINK) is established through the interface managers 123 and 210 of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and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S107, S108),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S110), and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receiv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S111), and the second data handler module 122 ) To check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112).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의 인증 정보를 체크한 결과 정상이면(즉, 기 등록된 인증 정보이면)(S113),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인증 확인(OK Confirm)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로 전송한다(S114).As a result of check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if it is normal (ie, i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already registered) (S113),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sends an OK Confirm message to the mobile application. It transmits to the unit 200 (S114).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는 상기 인증 확인(Confirm) 메시지를 수신하면(S115), 미리 설정된 인증 처리 알고리즘에 따라 정상적으로 원격 제어와 모니터링을 위한 동작을 시작한다(S116).Upon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confirmation message (S115),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normally starts operations for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according to a preset authentication processing algorithm (S116).

그러나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의 인증 정보를 체크한 결과 정상이 아니면(즉, 기 등록된 인증 정보가 아니면)(S117),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인증 거부(NG Confirm)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로 전송한다(S118).However, as a result of check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if it is not normal (that i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not already registered) (S117),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sends an authentication rejection (NG Confirm) message.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is transmitted (S118).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는 상기 인증 거부(NG Confirm) 메시지를 수신하면(S119), 미리 설정된 인증 처리 알고리즘에 따라 원격 제어와 모니터링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그대로 시스템을 빠져나온다(S120).Upon receiving the NG Confirm message (S119),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exits the system without performing an operation for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according to a preset authentication processing algorithm (S120).

도 6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에서의 전송 데이터의 생성 및 수집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nd collecting transmission data in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in FIG.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제1 데이터 핸들러 모듈(111)을 통해 전송 데이터를 폴링 방식으로 생성하고(S201), 폴링 주기에 따라 상기 생성 데이터를 갱신한다(S202). 상기와 같이 데이터의 생성 및 갱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121)을 통해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100)로부터 폴링(Polling) 방식으로 데이터를 리드한다(S203, S204).As illustrated in FIG. 6, the engine application unit 110 generates transmission data through the first data handler module 111 in a polling manner (S201), and updates the generated data according to a polling period (S202). ). When data is generated and updated as described above,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reads data from the engine application unit 100 through the data collection module 121 in a polling manner (S203). , S204).

도 7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collected by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to the mobile application unit in FIG. 5.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는 GUI 모듈(23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페이지로 이동한 후(S301), 제3 데이터 핸들러 모듈(220)을 통해 페이지 인덱스를 체크하여(S302)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로 전송한다(S303).As illustrated in FIG. 7,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moves to a page selected by a user through the GUI module 230 (S301), and then checks a page index through the third data handler module 220. (S302) and transmits it to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S303).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로부터 전송받은(S304) 페이지 인덱스를 제2 데이터 핸들러 모듈(122)을 통해 체크한다(S305). 상기 제2 데이터 핸들러 모듈(122)은 상기 페이지 인덱스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121)로부터 수집된(S305) 데이터에서 취득하여 메시지를 생성한다(S307). 상기 과정(S307)은 페이지가 바뀔 때마다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상기 취득 데이터를 포함하여 생성된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로 전송한다(S308).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checks the page index received from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S304) through the second data handler module 122 (S305). The second data handler module 122 generates a message by acquiring the data requested from the page index from the data collected from the data collection module 121 (S305) (S307). The process (S307) is performed whenever the page is changed. Then,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transmits a message generated including the acquired data to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S308).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는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로부터 수신된(S309) 메시지를 제3 데이터 핸들러 모듈(220)을 통해 데이터 파싱(Parsing)하여 상기 선택된 페이지의 지정된 위치에 데이터를 설정한다(S310). 그리고 상기 GUI 모듈(230)을 통해 상기 데이터가 설정된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다(S311).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sets data at a designated location on the selected page by parsing (S309)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through the third data handler module 220. (S310). Then, the page on which the data is set is displayed through the GUI module 230 (S311).

또한 상기 제2 데이터 핸들러 모듈(122)은 상기 페이지 인덱스에서 요청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121)로부터 수집된(S305) 데이터에서 변경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312). 만약 상기 페이지 인덱스에서 요청한 데이터가 변경될 경우 상기 변경된 데이터를 취득하여 메시지를 생성한다(S313). 그리고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상기 변경된 데이터를 포함하여 생성한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로 전송한다(S314).In addition, the second data handler module 122 monitors whether data requested from the page index is changed i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data collection module 121 (S305) (S312). If the requested data is changed in the page index, a message is generated by acquiring the changed data (S313). Then,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transmits the message generated including the changed data to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S314).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는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로부터 수신된(S309) 메시지(즉, 변경된 데이터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제3 데이터 핸들러 모듈(220)을 통해 데이터 파싱(Parsing)하여 상기 선택된 페이지의 지정된 위치에 데이터를 설정한다(S316). 그리고 상기 GUI 모듈(230)을 통해 상기 데이터가 설정된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다(S311).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parses the data (S309)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ie, a message including changed data) through the third data handler module 220. By setting the data at the designated location of the selected page (S316). Then, the page on which the data is set is displayed through the GUI module 230 (S311).

도 8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이벤트 발생시 엔진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event data from the engine application unit to the mobile application unit when an event occurs in FIG. 5.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발생시(또는 이벤트 실행 요청시)(S401)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제1 데이터 핸들러 모듈(111)을 통해 이벤트 데이터를 설정한다(S402).As illustrated in FIG. 8, when an event occurs (or an event execution request) (S401), the engine application unit 110 sets event data through the first data handler module 111 (S402).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121)을 통해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취득하고(S403), 상기 제2 데이터 핸들러 모듈(122)을 통해 상기 이벤트 데이터가 포함된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여(S404)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모듈(123)을 통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로 전송한다(S405).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acquires the event data through the data collection module 121 (S403), and generates an event message including the event data through the second data handler module 122 (S404) It transmits to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through the first interface module (123) (S405).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는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로부터 수신된(S406)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제3 데이터 핸들러 모듈(220)를 통해 데이터 파싱(Parsing)하여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한 후(S407) 미리 설정된 이벤트 처리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GUI 모듈(230)을 통해 이벤트 알람을 출력한다(S408).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generates event data by parsing (S406) the event message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through the third data handler module 220 (S407). ) Outputs an event alarm through the GUI module 230 according to a preset event processing algorithm (S408).

도 9는 상기 도 5에 있어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발생된 데이터 요청을 엔진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a data request generated from the mobile application unit to the engine application unit in FIG. 5.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는 상기 GUI 모듈(23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특정 버튼이 입력되면 해당하는 요청 데이터(Request Data)를 설정한다(S501). 예컨대 상기 특정 버튼은 IO 값(Input Output Value)을 설정하거나, 시퀀스를 호출(Sequence Call)하거나, 알람을 클리어하거나, 또는 이벤트 결과를 출력하는 것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9, when a specific button is input from a user through the GUI module 230,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sets corresponding request data (S501). For example, the specific butt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etting an IO value (Input Output Value), calling a sequence (Sequence Call), clearing an alarm, or outputting an event result.

그리고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는 상기 설정된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제3 데이터 핸들러 모듈(220)을 통해 기 지정된 포맷으로 생성하여(S502)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로 전송한다(S503).Then,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generates the set request data in a predetermined format through the third data handler module 220 (S502) and transmits it to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S503).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200)로부터 수신된(S504) 요청 데이터를 제2 데이터 핸들러 모듈(122)을 통해 데이터 파싱(Parsing) 및 데이터를 체크한 후(S505) 요청 데이터를 설정하여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110)로 전송한다(S506).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checks data parsing and data received through the second data handler module 122 through the second data handler module 122 (S505), and requests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application unit 200 (S505). Data is set and transmitted to the engine application unit 110 (S506).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120)에서 수신된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핸들러 모듈(111)을 통해 검출하여 체크하고(S507), 미리 설정된 요청 데이터 처리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요청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생성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S508).The engine application unit 110 detects and checks the request data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0 through the first data handler module 111 (S507), and according to a preset request data processing algorithm Collect request data or perform processing such as generation (S508).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장비의 제어에 영향을 주지 않고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직접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장비 자체의 제어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면서, 상호 간에 등록되어 있는 장비 제어기와 모바일 장치 간에만 데이터를 전송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affect the control of the equipment and transmits data directly from the server to the client, so that even if a problem occurs in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t does not affect the control of the equipment itself, and the equipment controllers registered with each other. It improves security by transmitting data only between mobile devices.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pertains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 point. 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 서버 110 : 엔진 어플리케이션부
111 : 제1 데이터 핸들러 모듈 112 : 제1 데이터 저장부
120 ;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 121 : 데이터 수집 모듈
122 : 제2 데이터 핸들러 모듈 123 : 제1 인터페이스 모듈
200 ; 클라이언트 210 : 제2 인터페이스 모듈
220 : 제3 데이터 핸들러 모듈 230 : GUI 모듈
240 : 어플리케이션 매니저 250 : 제2 데이터 저장부
300 : 인증키 발생기
100: server 110: engine application unit
111: first data handler module 112: first data storage unit
120;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121: data collection module
122: second data handler module 123: first interface module
200; Client 210: second interface module
220: third data handler module 230: GUI module
240: application manager 250: second data storage unit
300: authentication key generator

Claims (10)

장비를 제어하는 장비 제어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와 모바일 장치를 이용해 상기 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장비의 원격 제어와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장비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그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원하는 포맷으로 변환하거나 처리하는 엔진 어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장비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을 통해 상기 장비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받은 데이터나 제어 명령을 상기 장비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원하는 작업을 처리하거나 디스플레이하고, 원하는 특정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에 요청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여 처리함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는 GUI 모듈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페이지로 이동한 후, 제3 데이터 핸들러 모듈을 통해 페이지 인덱스를 체크하여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전송받은 페이지 인덱스를 제2 데이터 핸들러 모듈을 통해 체크하며,
상기 제2 데이터 핸들러 모듈은 상기 페이지 인덱스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데이터 수집 모듈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서 취득하여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취득한 데이터를 포함하여 생성한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며,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제3 데이터 핸들러 모듈을 통해 데이터 파싱(Parsing)하여 상기 선택된 페이지의 지정된 위치에 데이터를 설정하고, GUI 모듈을 통해 상기 데이터가 설정된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In th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server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equipmen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equipment and a client that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using a mobile device and performs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equipment,
The server includes: an engine application unit that collects and stores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from the equipment, and converts or processes at least one of them into a desired format; And
A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that monitor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equipment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equipment through a connection with a client or processes data or control commands requested from the client to be performed on the equipment; Including,
The client may include a mobile application unit that processes or displays a desired job in the client u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and requests specific data desired by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In transmitting and processing the data collected by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to the mobile application unit,
After moving to the pag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GUI module, the mobile application unit checks the page index through the third data handler module and transmits it to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checks the page index received from the mobile application unit through a second data handler module,
The second data handler module acquires data requested from the page index from data collected from a data collection module to generate a message, and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transmits a message including the acquired data to the mobile application unit. ,
The mobile application unit parses a message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through a third data handler module to set data at a designated location of the selected page, and displays a page on which the data is set through a GUI modul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장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읽어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의 요청을 처리하며,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알람 발생이나 이벤트 수행 요청 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 전달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제1 데이터 핸들러 모듈; 및
상기 장비에서 읽어온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및 상기 제1 데이터 핸들러 모듈에서 생성되거나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전달받은 처리 명령이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engine application unit,
Read at least one data from the equipment, generate data available in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process requests from the mobile application unit, and deliver it to the mobile application unit when an alarm is generated or an event is reques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A first data handler module that generates information to do so; And
Including the first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or more data read from the equipment and data generated or processed by the first data handler module, and stores processing commands or data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제1 데이터 핸들러 모듈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읽어오고,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요청에 대한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로 전달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읽어온 데이터에 대한 확인 및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 전달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제2 데이터 핸들러 모듈; 및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와 장비의 제어와 모니터링에 관련하여 미리 정의된 포맷의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A data collection module that reads data generated by the first data handler module from the first data storage unit, generates a processing message for a data request received from the mobile application unit, and transmits the processed message to the engine application unit;
A second data handler module that checks data read from the engine application unit and generates a message to be delivered to the mobile application unit, and processes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application unit to be delivered to the engine application unit; And
And a first interface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in a predefined format in relation to the 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mobile application unit and equip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와 미리 정의된 포맷의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GUI 모듈에서 데이터 처리 요청 시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 전달할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3 데이터 핸들러 모듈;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에 알람 발생 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표시하는 GUI 모듈;
기 저장된 설정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의 전체적인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매니저; 및
상기 제3 데이터 핸들러 모듈에서 생성되거나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GUI 모듈을 통해 입력받은 정보나 출력할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application unit,
A second interface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in a predefined format with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A third data handler module that processes data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through the second interface module and generates a processing message to be delivered to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when a data processing request is made from a GUI module;
A GUI module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r more information including alarm occurrence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on a screen using data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An application manager performing an overall management function of the mobile application unit using a pre-stored configuration data file; And
And a second data storage unit that stores data generated or processed by the third data handler module and stores information input or output through the GUI module.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전달받아 설정하고, 모바일 식별정보를 인증키 발생기에 입력하며,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인증키 발생기가 상기 모바일 식별정보를 이용해 생성한 인증 라이브러리를 전달받아 설정하고,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와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가 연결되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는 시스템 식별정보와 모바일 식별정보를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는 자신에게 등록되어 있는 시스템 식별정보 및 인증 라이브러리의 모바일 식별정보를 상기 전송받은 식별정보들과 비교하여 일치하면 데이터의 송수신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application unit receives and sets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inputs mobi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n authentication key generator, and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authenticates the authentication key generator generated using the mobi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 and set the library,
When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and the mobile application unit are connected, the mobile application unit transmits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obi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allow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when th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to the user and the mobi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uthentication library are matched with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동함에 있어서,
시스템의 구동이 시작되면,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 엔진 어플리케이션부,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는 각기 설정 데이터 파일을 로딩하고,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의 링크를 기다리면서 데이터 수집 모듈을 통해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폴링 방식으로 데이터를 리드하고,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와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가 링크되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 인증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제2 데이터 핸들러 모듈을 통해 상기 인증 정보를 체크하며,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의 인증 정보를 체크한 결과 정상이면, 인증 확인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인증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미리 설정된 인증 처리 알고리즘에 따라 정상적으로 원격 제어와 모니터링을 위한 동작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n driving th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he mobile device,
When the system starts to operate,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the engine application unit, and the mobile application unit each load a configuration data file,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reads data in a polling manner from the engine application unit through a data collection module while waiting for the link of the mobile application unit,
When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and the mobile application unit are linked, the mobile application unit transmits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receiv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application unit and check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second data handler module,
If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check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application unit and it is normal, an authentication confirmation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application unit.
When the mobile application unit receives the authentication confirmation message,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for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is normally started according to a preset authentication processing algorithm.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제2 데이터 핸들러 모듈을 통해 상기 페이지 인덱스에서 요청한 데이터에 대응하여 데이터 수집 모듈로부터 수집된 데이터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페이지 인덱스에서 요청한 데이터가 변경될 경우, 상기 변경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며,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수신된 변경된 데이터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제3 데이터 핸들러 모듈을 통해 데이터 파싱하여 상기 선택된 페이지의 지정된 위치에 데이터를 설정하고, GUI 모듈을 통해 상기 데이터가 설정된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monitors whether data collected from a data collection module is changed in response to data requested by the page index through the second data handler module, and when the requested data is changed in the page index, the changed Generates a message containing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application unit,
The mobile application unit parses a message containing the changed data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through the third data handler module to set data at a designated location on the selected page, and the data is set through a GUI module.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by displaying a p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는 이벤트 발생시 제1 데이터 핸들러 모듈을 통해 이벤트 데이터를 설정하고,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는 데이터 수집 모듈을 통해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취득하고, 제2 데이터 핸들러 모듈을 통해 상기 이벤트 데이터가 포함된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메시지를 제3 데이터 핸들러 모듈을 통해 데이터 파싱하여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한 후 미리 설정된 이벤트 처리 알고리즘에 따라 GUI 모듈을 통해 이벤트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n order to be able to process by transmitting event data from the engine application unit to the mobile application unit,
The engine application unit sets event data through a first data handler module when an event occurs,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acquires the event data through a data collection module, generates an event message containing the event data through a second data handler module, and transmits the event message to the mobile application unit,
The mobile application unit may parse the event message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through a third data handler module to generate event data and output an event alarm through a GUI module according to a preset event processing algorithm.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발생된 데이터 요청을 엔진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는 GUI 모듈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특정 버튼이 입력되면 해당하는 요청 데이터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요청 데이터를 제3 데이터 핸들러 모듈을 통해 기 지정된 포맷으로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수신된 요청 데이터를 제2 데이터 핸들러 모듈을 통해 데이터 파싱 및 체크한 후 상기 GUI 모듈에 출력하기 위한 요청 데이터를 설정하여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로 전송하며,
상기 엔진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데이터 매니저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수신된 요청 데이터를 제1 데이터 핸들러 모듈을 통해 검출하여 체크하고, 미리 설정된 요청 데이터 처리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요청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생성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In order to enable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to transmit and process data requests generated from the mobile application unit to the engine application unit,
When a specific button is input from a user through a GUI module, the mobile application unit sets corresponding request data, generates the set request data in a predetermined format through a third data handler module, and transmits the requested data to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parses and checks the request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application unit through a second data handler module, sets request data for output to the GUI module, and transmits it to the engine application unit,
The engine application unit detects and checks the request data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r application unit through a first data handler module, and collects or generates and processes the request data according to a preset request data processing algorithm. Remote control system using.
KR1020140093447A 2014-07-23 2014-07-23 Remote controlling system using mobile device KR1021109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447A KR102110922B1 (en) 2014-07-23 2014-07-23 Remote controlling system using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447A KR102110922B1 (en) 2014-07-23 2014-07-23 Remote controlling system using mobi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321A KR20160012321A (en) 2016-02-03
KR102110922B1 true KR102110922B1 (en) 2020-05-18

Family

ID=5535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447A KR102110922B1 (en) 2014-07-23 2014-07-23 Remote controlling system using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92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312B1 (en) 2021-03-10 2021-10-20 이대영 Geographic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5208A (en) 2016-03-09 2017-09-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pparatys for data process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797B1 (en) * 2012-04-02 2016-12-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of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Using Mobile Device
KR20140073043A (en) * 2012-12-06 2014-06-16 장봉환 Application service system of smart terminal for watching power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312B1 (en) 2021-03-10 2021-10-20 이대영 Geographic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321A (en)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90481B (en) There is the handheld field maintenance tool in procedure communication tunnel
CN105635051B (en) Data intera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9154890A (en) Software renewing apparatus and software update system
EP3026863A1 (en) Firewall with application packet classifier
JP5976210B2 (en) Monitoring system,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monitoring method and program
WO2012118639A4 (en) Remote monitoring systems for monitoring medical devices vi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101587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changing data with laser or machine tool apparatuses
US20170013064A1 (en) Automated opc connectivity
KR102110922B1 (en) Remote controlling system using mobile device
CN106097609A (en) The remote control administrative system of intelligence POS terminal and remote monitoring and administration method
CN108540516B (en) Running state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control terminal, network equipment and system
EP3021557B1 (en) Control network system
JP2018195153A (en) Machine tool utilization status remote monitoring apparatus
JP6575311B2 (en) Network system and control device
JP5262353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50063165A1 (en) Data sharing system between master inverter and slave inverter
CN112684763A (en)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CN107783515B (en) On-site equipment detecting and managing system
JP2019106568A (en) Remote monitoring device, monitoring center server, and initial setting method for monitoring target facility
JP2008234122A (en) Cooperation method of screen display information and cooperation method
JP5934418B1 (en) Operation status transmitter
KR101892385B1 (en) Profibus decentralized periphery network organization system
JP2005115736A (en) Operation status management system for machine tool
KR1007055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autonomous message transmission
US69445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machine controll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