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535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535B1
KR102110535B1 KR1020130068562A KR20130068562A KR102110535B1 KR 102110535 B1 KR102110535 B1 KR 102110535B1 KR 1020130068562 A KR1020130068562 A KR 1020130068562A KR 20130068562 A KR20130068562 A KR 20130068562A KR 102110535 B1 KR102110535 B1 KR 102110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path switching
water
mounting surfac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5861A (ko
Inventor
서보성
김진호
오수영
김창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8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535B1/ko
Priority to EP14811069.5A priority patent/EP3009557B1/en
Priority to CN201480045209.8A priority patent/CN105452556B/zh
Priority to PCT/KR2014/005135 priority patent/WO2014200269A1/ko
Priority to US14/898,009 priority patent/US10428451B2/en
Publication of KR20140145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 A47L15/4221Arrangements for redirection of washing water, e.g. water diverters to selectively supply the spray ar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및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분배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고,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 포트가 형성된 하우징의 내부 압력 상승을 제한하도록 압력 제한부가 형성된 급수 분배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기 내부로 유입된 물을 분배하는 급수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의 화학적 분해 작용과 물과 세탁물간의 마찰 등 물리적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약칭함)에 묻은 오염물질을 분리해내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기본 구조로 하고 있다. 한편, 세탁기는 세척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세탁 행정에 따라 온수, 냉수, 스팀 등 다양한 상태로 물을 변화시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세제통에는 세제, 표백제, 헹굼제 등이 구별되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세탁기 내부에는 원하는 곳으로 물을 유동시키기 위한 급수배관이 다수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다수의 밸브를 이용할 경우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시에 복수의 방향으로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Y자 배관을 사용할 경우 배관의 내구성이 하락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Y자 배관을 이용하지 않고도 동시에 복수의 배관으로 물을 유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급수 분배기를 이용하여 동시에 복수의 지점으로 급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급수 분배기의 배출 유로가 모두 닫히게되는 이상 작동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 압력을 제한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및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모이는 저장공간과 상기 저장공간과 연결되어 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의 수압 상승을 제한하도록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하는 압력 제한부가 형성된 급수 분배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및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복수의 방향으로 분배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는 급수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 분배기는 기어 형상으로 함몰된 압력 제한부와 상기 압력 제한부를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도록 일정한 각도를 주기로 배출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압력 제한부또는 상기 배출홀과 택일적으로 연통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유로 절환판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Y자 배관을 이용하지 않고도 동시에 복수의 지점으로 급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급수 분배장치의 구성이 단순해 지고 부피가 줄어드는 장점도 있다.
셋째, 급수 분배 장치의 내부 압력을 일정 압력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급수 분배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로 형성판과 유로 절환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제한부가 작동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로 절환판의 작동에 따른 물의 분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급수 분배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압력 제한부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세탁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급수 분배기(1)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10); 케이싱(110) 내에 배치되는 터브(132); 터브(132)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134); 및 상기 케이싱(110)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모이는 저장공간(S)과 저장공간S)과 연결되어 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포트(17)가 형성되고, 저장공간(s)의 수압 상승을 제한하도록 저장공간(s)과 연통하는 압력 제한부(30)가 형성된 급수 분배기(1)를 포함한다. 케이싱(110)은 세탁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케이싱(110) 내에는 물이 담기는 터브(132)가 매달리고, 터브(132) 내에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134)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터브(132) 내에 담긴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케이싱(110)은, 세탁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전면과 상면이 개방된 캐비닛(111)과, 캐비닛(111)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세탁물 출입홀이 형성되고 캐비닛(111)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론트 커버(112)와, 캐비닛(111)의 상측에 구비되는 탑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12)에는 상기 세탁물 출입홀을 개폐하는 도어(118)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드럼(134) 내부의 세탁물이 보일 수 있도록 도어(118)에는 글래스(118a)가 구비될 수 있다. 글래스(118a)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어(118)가 닫힌 상태에서 글래스(118a)의 선단이 드럼(134) 내측까지 돌출될 수 있다.
세제 박스(114)는 예비 또는 본 세탁용 세제, 섬유 유연제, 표백제 등의 첨가제를 수용하는 것으로, 케이싱(110)에 인출가능하게 구비된다.
드럼(134)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이 완충될 수 있도록, 터브(132)는 스프링에 의해 탑커버에 매달릴 수 있고, 또한 터브(132)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댐퍼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터브(132)와 드럼(134) 간에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드럼(134)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드럼(134)의 회전에 따라 세탁물이 들어올렸다가 떨어뜨려질 수 있도록, 드럼(134)의 내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리프터(134a)가 구비될 수 있다. 드럼(134)은 완전히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드럼(134)의 후방부가 수평보다 밑으로 내려오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드럼(134)을 회전 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모터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을 드럼(134)에 전달하는 방식에 따라 직접구동방식과 간접구동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직접구동방식은 모터의 회전축이 드럼(134)과 직접 체결되는 것으로, 모터의 회전축과 드럼(134)의 중심이 동일 선상에 정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는 이러한 직접구동방식을 따른 것으로, 터브(132)의 후방과 캐비닛(111) 사이의 공간에 구비된 모터에 의해 드럼(134)이 회전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후술하는 간접구동방식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간접구동방식은 모터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을 전달하는 밸트(belt)나 풀리(pully) 등의 동력전달수단을 이용하여 드럼(134)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모터의 회전축과 드럼(134)의 중심이 반드시 동축상에 정렬될 필요는 없다.
캐비닛(111)과 터브(132) 사이에는 개스킷(120)이 구비된다. 개스킷(120)은 일측이 캐비닛(111)과 결합되고, 타측이 터브(132)의 개구된 전면부의 둘레를 따라 결합된다. 따라서, 터브(132)에 저수된 물이 터브(132)와 캐비닛(111) 사이로 누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개스킷(120)은 터브(132)의 진동에 따라 탄성적으로 접철됨으로써 진동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개스킷(120)은 다소 간의 탄력성을 갖는 변형가능한 또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급수 분배기(1)의 적절한 제어를 통해 세제 박스(114), 스팀 발생장치(139) 및/또는 와류노즐 및/또는 스팀노즐로 공급된다. 세제 박스 하우징(117)의 내측으로 세제 박스(114)가 수용된다. 세제 박스 하우징(117)은 급수 밸로우즈(133)를 통해 터브(132)와 연통된다. 급수부에 의해 급수된 물이 세제 박스(114)를 경유하며 첨가제와 혼합된 후, 세제 박스 하우징(117)에 연결된 급수 밸로우즈(133)를 따라 터브(132) 내로 유동된다. 세제 박스(114)에 수용되는 첨가제로는 세탁 세제, 섬유 유연제, 표백제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세제 박스(114)에는 상기 첨가제들이 서로 섞이지 않고 분리 수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구획된 수용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급수 분배기(1)는 외부로부터 물이 입수되는 유입 포트(51)와 물이 배출되는 배출 포트(17)를 구비한다. 배출 포트(17)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 급수호스(131)와 연결된다. 급수 분배기(1)는 복수의 급수호스(131)와 연결된다. 복수의 급수호수들은 각각의 용도나 연결관계 등에 의하여 구분될 수 있다. 급수호스(131)는 유동하는 물의 온도에 따라 구분될 수 있고, 세제 박스(114)의 구획된 공간들 중 어느 공간과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으며, 스팀 발생장치(139) 또는 분부노즐 등과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급수호수들 중 일부는 세제 박스(114)로 물을 공급하는 것들로 각각의 호스는 첨가제를 종류별로 구분 수용하기 위해 세제 박스(114) 내에 형성된 구획된 공간들과 대응되도록 연결된다. 또한, 급수 분배기(1)는 둘 이상의 급수호수로 동시에 물을 유동시키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스팀 발생장치(139)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시키는 장치이다. 복수의 급수호스(131) 중 일부는 스팀 발생장치(139)와 연결된다. 스팀 발생장치(139)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공급호스를 통해 스팀노즐로 공급된다.
하우징(10)은 급수 분배기(1)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후술할 유로 절환판(40)이 장착될 수 있다. 유로 절환판(40)은 유입된 물이 복수의 배출 포트(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유동할 수 있도록 회전한다.
유로 절환판(40)의 작동 중 유로를 서로 연결하지 못한 상태로 정지되면 물이 배출될 수 없어 급수 분배기(1) 내부의 압력이 증가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수압 증가로 인한 급수 분배기(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압력 제한부(30)가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로 형성판(15)과 유로 절환판(40)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제한부(30)가 작동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로 절환판(40)의 작동에 따른 물의 분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10)은, 하우징(10)의 측면에 평평하게 형성된 제 1장착면(21)과 제 1장착면(21)과 직각되게 만나고, 제 1장착면(21)으로부터 연장되어 측단부로 갈수로 만곡되게 휘어지는 제 2장착면(22)과 제 2장착면(22)과 만곡되게 만나고, 제 2장착면(22)으로부터 연장되어 측단부로 갈수록 평평하게 형성되는 제 3장착면(23)과 제 3장착면(23)과 직각되게 만나고, 평평하게 형성되며 제 1장착면(21)과 직각을 이루는 제 4장착면(24)이 형성되며, 배출 포트(17)는 제 1장착면(21), 제 2장착면(22), 제 3장착면(23) 및 제 4장착면(24) 중 적어도 둘 이상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 1장착면(21)과 제 4장착면(24)에는 각각 3개의 배출 포트(1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장착면(22)과 제 3장착면(23)에는 각각 하나의 배출 포트(17)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급수 분배기(1)를 형성할 경우 배출 포트(17)는 총 8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장착면(21)과 제 4장착면(24) 사이에는 비교적 평평하게 형성된 중간면(25)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중간면(25)에는 유입 포트(51)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는, 캡(50)에 형성되어, 급수 분배기(1)로 물을 공급하도록 저장 공간(S)과 연통하는 유입 포트(51); 및 유로 절환판(40)을 회전시키도록 캡(50)의 일면에 배치되는 유로 절환 모터(53)를 더 포함한다.
유입 포트(51)는 캡(50) 또는 하우징(10)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 포트(51)가 캡(50)에 형성된 경우, 유입 포트(51)는 중간면(25)의 상측에 형성된다. 유입 포트(51)의 전방에는 후술할 유량계(8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유량계(80)의 배치를 위해 소정의 공간이 필요하므로, 이와 같은 배치를 통해 유량계(80)가 배출 포트(17)에 의해 간섭받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유로 절환 모터(53)는 캡(50)의 일면에 배치될 수도 있고, 하우징(10)의 일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유로 절환 모터(53)의 회전축은 캠(55)과 연결된다. 캠(55)은 유로 절환판(40)에 형성된 캠 삽입구(45)에 삽입된다. 캠 삽입구(45)의 일측에는 누수를 방지하도록 실러(57)가 배치된다. 캠(55)은 실러(57)를 관통하여 캠 삽입구(45)에 삽입될 수 있다.
캠(55)의 단부와 캠 삽입구(45)는 서로 형합하는 형상이다. 캠(55)은 헛돌지 않도록 캠 삽입구(45)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캠(55)의 단부와 캠 삽입구(45)는 서로 맞물리도록 십자형으로 형성된다. 유로 절환 모터(53)는 스위치(59)와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59)는 유로 절환 모터(53)의 구동을 제어한다. 스위치(59)는 제어부와 연결된다. 제어부는 유량계(80)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10)은 림부(11)의 하측에 배출 포트(1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도록 서로 직교하는 장착면(20)이 형성되고, 캡(50)은 림부(11)에 장착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유입 포트(51)는 장착면(20)이 서로 만나는 부분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림부(11)를 포함한다. 림부(11)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유로 절환판(40)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림부(11)는 하우징(10)의 상측에 형성된다. 림부(11)의 상측에는 캡(50)이 배치된다. 림부(11)의 내부에는 유입 포트(51)로 부터 유입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 공간(S)이 형성된다. 캡(50)의 일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림부(11)에 장착될 수 있다. 캡(50)의 내주면은 림부(11)의 외주면과 형합하도록 원통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면(20)은 복수로 형성되고, 서로 직교하는 장착면(20)은 서로 만나는 부분이 대략 평평하게 형성된 중간면(25)이 형성될 수 있다. 중간면(25)에는 유입 포트(51)가 형성될 수 있다. 중간면(25)의 상측에는 캡(5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00)는 유입 포트(51)로 유동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유입 포트(51)에 장착되는 유량계(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량계(80)는 물이 흐르는 유동 경로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임펄러를 포함할 수 있다. 유량계(80)는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유량계(80)는 유입 포트(51)에 장착될 수 있다. 유량계(80)의 좌우 측면에는 장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면(20)은 서로 직각되게 형성된다. 배출 포트(17)는 장착면에 돌출 형성되고, 유량계(80)는 장착면(20)들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므로 유량계(80)와 배출 포트(17)의 간섭은 최소화 된다. 바람직하게는 유량계(80)는 중간면(25)과 대향하게 배치된다. 유량계(80)의 좌우 측면에는 제 1장착면(21)과 제 4장착면(24)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급수 분배기(1)은 개구홀(41)이 형성된 원판형상의 유로 절환판(40); 및 유로 절환판(40)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유로 절환판(40)의 회전시 개구홀(41)과 배출포트(17)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된 하우징(10)을 포함한다.급수 분배기(1)는, 개구홀(41)이 형성된 원판형상의 유로 절환판(40); 및 유입된 물이 개구홀(41)로 배출되기 전에 모이는 저장 공간(S)을 형성하도록 유로 절환판(40)을 덮는 캡(50)을 더 포함하고, 하우징(10)은, 유로절환판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형의 림부(11); 및 림부(11) 내부에 형성되고, 유로 절환판(40)의 회전시 각각 다른 배출 포트(17)로 물이 배출되도록 복수의 배출 포트(17)들과 각각 연통하는 복수의 배출홀(13)이 형성된 유로 형성판(15)을 포함하고, 압력 제한부(30)는, 개구홀(41)과 배출홀(13)이 연통하지 않도록 유로 절환판(40)이 배치될 때 저장 공간(S)에 모인 물을 배출시키도록 형성된다.
유로 절환판(40)은 개구홀(41)이 형성된다. 유로 절환판(40)이 회전하면 개구홀(41)도 함께 회전된다. 유로 절환판(40)은 림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즉, 유로 절환판(40)은 저장 공간(S)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유로 절환판(40)은 캠(5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캠 삽입구(45)가 형성된다. 캠 삽입구(45)는 십자형으로 개구된 홀일 수 있다. 유로 절환판(40)의 하측에는 유로 형성판(15)이 배치된다. 유로 형성판(15)은 림부(11)의 저면에 배치되며, 림부(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유로 형성판(15)은 복수의 배출홀(13)이 형성되며 배출홀(13)은 각각 다른 배출 포트(17)와 연결될 수 있다. 배출홀(13)의 개수는 배출 포트(17)의 개수와 같거나 많을 수 있다. 유로 절환판(40)에 형성된 개구홀(41)은 회전하므로, 배출홀(13)이 개구홀(41)과 연통되기 위하여 배출홀(13)도 원형으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배출홀(13)들은 유로 절환판(40)의 회전 중심(O)을 기준으로 동일 거리에 원형으로 배열된다. 유로 형성판(15)의 내부에는 배출홀(13)과 배출 포트(17)를 연결하는 배출유로가 형성된다. 즉, 하우징(10)은 복수의 배출 포트(17)와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유로(배출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유로의 입구를 이루는 복수의 배출홀(13, 제1 배출홀(13a))이 유로 형성판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10)은, 유로 절환판(40)의 측면을 감싸고, 저장공간(s)의 측벽을 형성하는 림부(11); 림부(11)가 세워지고, 유로가 개구홀(41)과 연통되도록 복수의 배출홀(13)이 형성된 유로 형성판(15)을 포함하고, 압력 제한부(30)는, 개구홀(41)과 배출홀(13)이 연통하지 않도록 유로 절환판(40)이 배치될 때 저장공간(s)에 모인 물을 배출시키도록 형성된다.
압력 제한부(30)는 저장 공간(S)의 수압을 일정 압력 이하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저장 공간(S)은 유입 포트(51)를 통해 물이 유입된다. 개구홀(41)이 배출홀(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하지 못하면 물이 배출될 수 없어 저장 공간(S) 내부의 수압이 상승한다. 압력 제한부(30)는 저장 공간(S)에 모인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압력 제한부(30)는 개구홀(41)이 배출홀(13)과 연통되지 않을 때 작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로 절환판(4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형을 이루도록 배열된 복수의 관통홀(43)이 형성되고, 압력 제한부(30)는 관통홀(43)을 통해 물이 유입되도록 관통홀(43)과 연통하고, 유로 절환판(40)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관통홀(43)은 유로 절환판(40)에 형성된다. 관통홀(43)은 유로 절환판(40)의 회전 중심(O)을 기준으로 동일 거리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관통홀(43)은 회전 중심(O)을 기준으로 동일한 각도로 배열된다. 관통홀(43)과 회전 중심(O)간의 거리는 개구홀(41)과 회전 중심(O)과의 거리보다 짧다.
압력 제한부(30)는 하우징(10)에 형성될 수 있다. 압력 제한부(30)는 유로 형성판(15)에 형성된다. 압력 제한부(30)는 관통홀(43)을 통해 유입된 물이 적어도 일시적으로 머무는 공간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압력 제한부(30)는 관통홀(43)을 통해 유입된 물을 급수 분배기(1)의 외부로 배출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압력 제한부(30)는 관통홀(43)을 통해 유입된 물을 배출 포트(17) 중 어느 하나로 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제한부(30)는, 유로 절환판(4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저장 공간(S)과 연통여부가 달라지도록 기어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압력 제한부(30)는 관통홀(43)과 연통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형성된 유입 공간(30a)과 유입 공간(30a)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된 집수 공간(3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력 제한부(30)는 유로 형성판(15)에 기어모양으로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유입 공간(30a)과 집수 공간(30b)은 전체적으로 기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집수 공간(30b)의 중심에는 캠(55)이 삽입될 수 있다. 집수 공간(30b)의 중심은 캡(50)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관통홀(43) 및 배출홀(13)은 각자 원형을 이루며 배열되도록 회전 중심(O)을 기준으로 동일한 각도마다 주기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관통홀(43) 및 배출홀(13, 제1 배출홀(13a))은 각각 유로 절환판(40)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관통홀(43)이 이루는 각도 주기(θ3)와 배출홀(13)이 이루는 각도 주기(θ2)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제한부(30)는, 관통홀(43)을 통해 유입된 물이 배출 포트(17)로 유동하도록 배출홀(13)과 연통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제한부(30)의 유입 공간(30a)은 복수의 제1 배출홀(13a)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된다. 관통홀(43)은 유로 절환판(40)에 형성된다. 관통홀(43)과 연통하는 유입 공간(30a)의 각도주기(θ1)와 배출홀(13)의 각도 주기(θ2)는 동일할 수 있다. 관통홀(43)은 회전 중심(O)를 중심으로 동일한 각도주기(θ3)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 공간(30a)의 각도주기(θ1)와 배출홀(13)의 각도 주기(θ2)와 관통홀(43)의 각도주기(θ3)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유입 공간(30a)은 배출홀(13)과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출홀(13)들은, 유로 절환판(40)의 회전 중심(O)을 기준으로 원형을 이루도록 배열된 복수의 제 1배출홀(13a)들과 제 1배출홀(13a)보다 회전 중심(O)과 가깝게 형성되고, 제 1배출홀(13a)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하는 제 2배출홀(13b)이 형성된다. 제 2배출홀(13b)은 회전 중심(O)을 기준으로 유입 공간(30a)과 제 1배출홀(13a) 사이에 형성된다. 제 2배출홀(13b)은 유입 공간(30a)과 제 1배출홀(13a)을 연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로 절환판(40)은, 회전 각도에 따라 제 1배출홀(13a)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제 1개구홀(41a)과 회전 각도에 따라 제 2배출홀(13b)과 연통하는 제 2개구홀(41b)과 제 2개구홀(41b) 보다 회전 중심(O)과 가깝게 형성된 관통홀(43)이 형성되고, 압력 제한부(30)는 제 1배출홀(13a)과 제 2배출홀(13b)이 유로 절환판(40)에 의해 폐쇄될때 관통홀(43)과 제 2배출홀(13b)을 연결하도록 유로 형성판(15) 내부에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압력 제한부(30)는 제 1배출홀(13a)과 제 1개구홀(41a)이 연통되지 않고, 제 2배출홀(13b)과 제 2개구홀(41b)이 연통되지 않을 때 관통홀(43)과 연통된다.
회전 중심(O)를 기준으로 제 1개구홀(41a)과 제 2개구홀(41b)이 이루는 각도(θ4)는 θ1 및/또는 θ2 및/또는 θ3의 배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 절환판(40)이 θ1/2만큼 회전할 경우, 관통홀(43)과 유입공간(30a)는 연통한다면 개구홀(41)과 배출홀(13)은 단절된 상태이다. 유로 절환판(40)이 θ1만큼 회전할 경우, 관통홀(43)과 유입공간(30a)이 단절된 상태라면 개구홀(41)과 배출홀(13)은 서로 연통된 상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0);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터브(132);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134); 및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복수의 방향으로 분배하도록 상기 케이싱(110) 내부에 배치되는 급수 분배기(1)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 분배기(1)는 기어 형상으로 함몰된 압력 제한부(30)와 압력 제한부(30)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도록 일정한 각도를 주기로 배출홀(13)이 형성된 하우징(10); 및 상기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압력 제한부(30) 또는 상기 배출홀(13)과 택일적으로 연통하는 복수의 구멍(41, 43)이 형성된 유로 절환판(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10); 케이싱(110) 내에 배치되는 터브(132); 터브(132)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134); 및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복수의 방향으로 분배하도록 케이싱(110) 내부에 배치되는 급수 분배기(1)를 포함하고, 급수 분배기(1)는, 배열된 형상이 원형으로 이루도록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43)과, 적어도 하나의 개구홀(41)이 형성된 원판형의 유로 절환판(40); 유입된 물이 개구홀(41) 또는 관통홀(43)로 배출되기 전에 모이는 저장 공간(S)을 형성하도록 유로 절환판(40)을 덮는 캡(50); 및 유로 절환판(40)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유로 절환판(40)의 회전 각도에 따라 개구홀(41)이 각각 다른 유로와 연통하도록 원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배출홀(13)과 유로 절환판(40)의 회전 각도에 따라 관통홀(43)과 연통되도록 압력 제한부(30)가 형성된 하우징(10)을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급수 분배기(1)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압력 제한부(30)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8에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급수 분배기(90)는 저장공간(s)을 형성하도록 하우징(78)을 덮는 캡(75)을 더 포함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력 제한부(60)는, 저장 공간(S)과 연통되고 하우징(78) 또는 캡(75)의 외부로 길게 연장된 돌출부(61); 돌출부(61)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차폐하도록 돌출부(61) 내부에 삽입된 차폐판(63); 돌출부(61)의 단부와 차폐판(63)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65); 및 차폐판(63)이 저장 공간(S)의 수압에 의해 이동되면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돌출부(61)와 연통하는 압력 해제 포트(67)를 포함한다.
돌출부(61)는 저장 공간(S)의 물이 유동될 수 있다. 압력 제한부(30)는 탄성부재(65)의 탄성 계수를 조절하여 물을 배출시키는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차폐판(63)은 수압을 탄성 부재에 전달할 수 있도록 돌출부(61) 내부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차폐판(63)은 탄성 부재가 물에 잠기지 않도록 실링한다. 또한, 차폐판(63)은 물이 차폐판(63)을 통과하여 압력 해제 포트(67)로 유입될 수 없도록 실링한다. 압력 해제 포트(67)는 차폐판(63) 및/ 또는 탄성부재(65)의 압축 경로 상에 형성된다. 수압이 증가되어 탄성부재(65)가 압축되면 돌출부(61) 내부로 유입된 물은 압력 해제 포트(67)와 연통하게된다. 지지체(69)는 탄성부재(65)가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부제를 지지한다. 지지체(69)는 돌출부(61)를 차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00)는 하우징(77)에 형성되어, 급수 분배기(90)로 물을 공급하도록 저장 공간(S)과 연통하는 유입 포트(71); 및 유로 절환판(79)을 회전시키도록 하우징(77)에 장착되는 유로 절환 모터(73)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77)은 배출 포트(1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도록 서로 직교하는 장착면(20)이 측면에 형성되고, 유입 포트(51)는 장착면(20)이 서로 만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 포트(51)는 하우징(78)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유입 포트(51)는 중간면(25)에 형성될 수도 있다. 중간면(25)은 제 1장착면(21)과 제 4장착면(24) 사이에 형성된다. 중간면(25)의 일측은 제 1장착면(21)과 만나고, 중간면(25)의 타측은 제 4장착면(24)과 만난다. 제 1장착면(21)과 제 4장착면(24)의 연장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 급수원에서 배출된 물은 케이싱(110) 내부로 유입된다. 물은 유량계(80)를 거쳐 유입 포트(51)를 통해 급수 분배기(1)로 유입된다. 물은 저장 공간(S) 내부로 유입된다. 제어부는 세탁 행정에 따라 급수가 필요한 곳으로 물을 유동시킨다. 제어부는 유로 절환 모터(53)를 구동하여 유로 절환판(40)을 회전 시킨다. 유로 절환판(40)은 개구홀(41)이 회전되어 미리 정해진 배출홀(13)과 연통되도록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된다. 저장 공간(S) 내부의 물은 개구홀(41)을 통해 배출홀(13)로 유입되고 배출홀(13)로 유입된 물은 유로 형성판(15)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연통하는 배출 포트(17)로 유동한다. 배출 포트(17)는 급수 배관과 연결되어 세제 박스(114), 스팀장치, 분무노즐 등과 연결된다.
한편, 유로 절환 모터(53)의 오작동 등으로 인하여 유로 절환판(40)이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연통홀과 배출홀(13)이 서로 연결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공간(S) 내부의 수압을 낮추기위해 압력 제한부(30)가 작동한다. 일 실시예로 압력 제한부(30)는 하우징(10)에 기어 형상으로 패인 공간일 수 있다. 이 경우 물은 관통홀(43)을 통해 압력 제한부(30)로 유동하고, 압력 제한부(30)는 배출홀(13)과 연결되므로 물을 배출 포트(17)로 유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압력 제한부(30)는 저장 공간(S)과 연통된 돌출부(61)를 포함한다. 저장 공간(S)네에 수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도 8(a)와 같이 차폐판(63)은 정지되어 있다. 저장 공간(S)내로 물이 유입되어 수압이 증가하면, 돌출부(61)의 차폐판(63)을 통해 탄성부재(65)에 힘이 가해진다. 수압이 증가할 수로 차폐판(63)은 압력 해제 포트(67)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도8(b)와 같이 차폐판(63)이 이동할 수 있다. 수압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해 차폐판(63)이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면, 저장 공간(S)은 압력 해제 포트(67)와 연통되고 물은 급수 분배기(1)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차폐판(63)은 도8(c)와 같이 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급수 분배기 10: 하우징
11: 림부 13: 배출홀
13a: 제 1배출홀 13b: 제 2배출홀
15: 유로 형성판 17: 배출 포트
21: 제 1장착면 22: 제 2장착면
23: 제 3장착면 24: 제 4장착면
25: 중간면 θ1: 유입공간의 각도주기
θ2: 배출홀의 각도주기 θ3: 관통홀의 각도주기
θ4; 개구홀 사이의 각도 30: 압력 제한부
30a: 유입공간 30b: 집수공간
40: 유로 절환판 41: 개구홀
41a: 제 1개구홀 41b: 제 2개구홀
43: 관통홀 45: 캠 삽입구
O: 회전 중심 S: 저장 공간
50: 캡 51: 유입 포트
53: 유로 절환 모터 55: 캠
57: 실러 59: 스위치
60: 압력 제한부 61: 돌출부
63: 차폐판 65: 탄성부재
67: 압력 해제 포트 69: 지지체
71: 유입 포트 73: 유로 절환 모터
75: 캡 78: 하우징
79: 유로 절환판 80: 유량계
90: 급수 분배기 100: 세탁기
110: 케이싱 111: 케비닛
112: 프론트 커버 114: 세제박스
116: 탑커버 117: 세제박스 하우징
118: 도어 118a: 글래스
120: 개스킷 131; 급수호스
132: 터브 133: 급수 밸로우즈
134: 드럼 134a: 리프터
139; 스팀장치

Claims (18)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및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모이는 저장공간과 상기 저장공간과 연결되어 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의 수압 상승을 제한하도록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하는 압력 제한부가 형성된 급수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 분배기는,
    상기 저장공간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1 개구홀이 형성된 원판형상의 유로 절환판; 및
    상기 복수의 배출포트와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유로 각각의 입구를 이루는 복수의 제1 배출홀이 소정의 원주 상을 따라 배열된 유로 형성판을 포함하고,
    상기 유로 절환판은,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개구홀이 상기 복수의 제1 배출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통되고,
    상기 유로 절환판에는, 상기 유로 절환판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회전 중심과 상기 개구홀이 이격된 거리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원주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 제한부는, 상기 제1 개구홀이 상기 복수의 제1 배출홀 모두와 연통되지 않도록 상기 유로 절환판이 배치될 때 상기 복수의 관통홀과 연통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유입공간과, 상기 유입공간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된 집수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유입공간은 상기 복수의 제1 배출홀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세탁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유로 형성판에 세워지고, 상기 유로 절환판의 측면을 감싸고, 상기 저장공간의 측벽을 형성하는 림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제한부는,
    상기 유로 절환판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여부가 달라지도록 기어형상으로 형성된 세탁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각도마다 주기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출홀은 상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각도마다 주기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이 이루는 각도 주기와 상기 복수의 제1 배출홀이 이루는 각도 주기는 서로 동일한 세탁기.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형성판에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출홀보다 상기 회전 중심과 가깝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출홀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복수의 유입공간 중 어느 하나를 연통하는 제2 배출홀이 형성된 세탁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절환판에는, 상기 유로 절환판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제2 배출홀과 연통하는 제2 개구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홀은, 상기 복수의 관통홀보다 상기 회전 중심과 멀게 형성되는 세탁기.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덮는 캡;
    상기 캡에 형성되어, 상기 급수 분배기로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하는 유입포트; 및
    상기 유로 절환판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캡의 일면에 배치되는 유로 절환 모터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림부의 하측에 상기 배출포트가 돌출 형성될 수 있도록 서로 직교하는 장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캡은 상기 림부에 장착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유입포트는 상기 장착면이 서로 만나는 부분의 상측에 형성되는 세탁기.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급수 분배기로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하는 유입포트; 및
    상기 유로 절환판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유로 절환 모터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출포트가 돌출 형성될 수 있도록 서로 직교하는 장착면이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포트는 상기 장착면이 서로 만나는 부분에 형성되는 세탁기.
  16. 제 11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포트로 유동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포트에 장착되는 유량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평평하게 형성된 제 1장착면과 상기 제 1장착면과 직각되게 만나고, 상기 제 1장착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측단부로 갈수로 만곡되게 휘어지는 제 2장착면과 상기 제 2장착면과 만곡되게 만나고, 상기 제 2장착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측단부로 갈수록 평평하게 형성되는 제 3장착면과 상기 제 3장착면과 직각되게 만나고,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장착면과 직각을 이루는 제 4장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포트는,
    상기 제 1장착면, 상기 제 2장착면, 상기 제 3장착면 및 상기 제 4장착면 중 적어도 둘 이상에 형성된 세탁기.
  18. 삭제
KR1020130068562A 2013-06-14 2013-06-14 세탁기 KR102110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562A KR102110535B1 (ko) 2013-06-14 2013-06-14 세탁기
EP14811069.5A EP3009557B1 (en) 2013-06-14 2014-06-11 Washing machine
CN201480045209.8A CN105452556B (zh) 2013-06-14 2014-06-11 洗衣机
PCT/KR2014/005135 WO2014200269A1 (ko) 2013-06-14 2014-06-11 세탁기
US14/898,009 US10428451B2 (en) 2013-06-14 2014-06-11 Washing machine with water supply distribu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562A KR102110535B1 (ko) 2013-06-14 2013-06-14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861A KR20140145861A (ko) 2014-12-24
KR102110535B1 true KR102110535B1 (ko) 2020-05-13

Family

ID=52022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562A KR102110535B1 (ko) 2013-06-14 2013-06-14 세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28451B2 (ko)
EP (1) EP3009557B1 (ko)
KR (1) KR102110535B1 (ko)
CN (1) CN105452556B (ko)
WO (1) WO20142002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543B1 (ko) 2017-08-07 2021-03-09 채인수 다방변밸브 제어장치
CN107411680A (zh) * 2017-09-20 2017-12-01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吊挂结构以及洗碗机
WO2019056764A1 (zh) 2017-09-20 2019-03-28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及底座组件
CN108457052B (zh) * 2018-01-10 2021-03-30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
US11293131B2 (en) * 2018-03-30 2022-04-05 Midea Group Co., Ltd. Appliance with hand held steam accessor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67920A1 (en) * 2005-09-23 2007-03-29 General Electric Company Spray fill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120090360A1 (en) * 2010-11-12 2012-04-19 General Electric Company Surge fill apparatus and method for top load washing machine
US20120318389A1 (en) * 2011-06-17 2012-12-20 Etimex Technical Components Gmbh Water switch
US20130000762A1 (en) * 2011-06-28 2013-01-03 General Electric Company Fluid flow diverter for a dishwasher appliance
US20130086754A1 (en) * 2011-10-06 2013-04-11 Whirlpool Corporation Dispensing treating chemistry i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3599A (ja) * 1989-12-01 1991-07-26 Hitachi Ltd 全自動洗濯機の洗剤投入装置
JPH07289782A (ja) 1994-04-26 1995-11-07 Toshiba Corp 洗濯機の給水弁及び洗濯機
KR200142472Y1 (ko) 1996-12-26 1999-06-01 윤종용 세탁기의 급수장치
KR19990020956A (ko) 1997-08-30 1999-03-25 전주범 세탁기의 살수장치
KR100680986B1 (ko) 2004-04-09 2007-02-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용 급수밸브
KR20060023017A (ko) * 2004-09-08 2006-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JP4861913B2 (ja) * 2007-06-20 2012-01-2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乾燥機
DE102007056922A1 (de) 2007-11-27 2009-05-2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serführendes Hausgerät mit einer Wasserweiche
KR101233243B1 (ko) 2008-09-25 2013-02-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
EP2559370B1 (en) 2011-08-17 2014-03-2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Water bearing appliance with an improved water pump
CN203052049U (zh) * 2012-11-09 2013-07-10 陈跃龙 一种洗衣机进水管减压逆止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67920A1 (en) * 2005-09-23 2007-03-29 General Electric Company Spray fill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120090360A1 (en) * 2010-11-12 2012-04-19 General Electric Company Surge fill apparatus and method for top load washing machine
US20120318389A1 (en) * 2011-06-17 2012-12-20 Etimex Technical Components Gmbh Water switch
US20130000762A1 (en) * 2011-06-28 2013-01-03 General Electric Company Fluid flow diverter for a dishwasher appliance
US20130086754A1 (en) * 2011-10-06 2013-04-11 Whirlpool Corporation Dispensing treating chemistry i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0269A1 (ko) 2014-12-18
CN105452556B (zh) 2017-11-14
EP3009557A1 (en) 2016-04-20
KR20140145861A (ko) 2014-12-24
EP3009557B1 (en) 2018-08-08
US10428451B2 (en) 2019-10-01
US20160122935A1 (en) 2016-05-05
EP3009557A4 (en) 2017-04-05
CN105452556A (zh)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535B1 (ko) 세탁기
US10669661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2447410B1 (en) Washing machine
EP3054046B1 (en)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EP2799611B1 (en) Washing machine
EP2712951B1 (en) Wall-mounted drum-type washing machine
US20120103028A1 (en) Washing machine and detergent case thereof
KR20100018239A (ko) 볼밸런서 및 이를 구비한 세탁장치
AU2016234984A1 (en) Washing machine
KR20120053579A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세탁기
US20110120192A1 (en) Fluid balanc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9957660B2 (en) Washing machine
CN217052748U (zh) 投放装置的抽屉、投放装置以及衣物处理设备
KR102160971B1 (ko) 밸런서 및 이를 갖는 세탁기
JP2018524026A (ja) 衣類処理装置
KR102448494B1 (ko) 세탁기
KR102401039B1 (ko) 의류처리장치
US20190203397A1 (en) Washing machine
KR20130125199A (ko) 세탁기
EP3431648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070003358A (ko)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CN110300824B (zh) 洗衣机
CN109082850A (zh) 壁装式洗衣机、桶一体化后面板和后面板的制造模具
KR20140120547A (ko) 세탁기
JP2021528182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