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397B1 - 스테이킹 및 프리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테이킹 및 프리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397B1
KR102110397B1 KR1020190047498A KR20190047498A KR102110397B1 KR 102110397 B1 KR102110397 B1 KR 102110397B1 KR 1020190047498 A KR1020190047498 A KR 1020190047498A KR 20190047498 A KR20190047498 A KR 20190047498A KR 102110397 B1 KR102110397 B1 KR 102110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king
token
tokens
node
block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현
Original Assignee
박남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남현 filed Critical 박남현
Priority to KR1020190047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는 복수의 노드 간에 송수신이 가능한 토큰을 발행하는 동작, 토큰을 계좌에 보유하고 있는 제1 노드로부터 제1 노드 계좌의 송신 권한을 정지시키고 권한의 정지를 유지하는 기간 동안 기 설정된 보상을 지급받게 되는 스테이킹 토큰 상태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제1 노드 계좌의 스테이킹 토큰 수량에 기초하여 제1 노드 계좌에 보상 지급을 결정하는 동작, 제1 노드로부터 스테이킹 토큰에 대한 송신 권한을 다시 얻게되는 언스테이킹 전환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및 제1 노드 계좌의 스테이킹 토큰 상태가 유지된 기간에 기초하여 스테이킹 토큰 중 일부가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동결되는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테이킹 및 프리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 및 방법{METHOD AND SERVER FOR STABILIZAING BLOCKCHAIN ECOSYSTEM USING STAKING AND FREEZING ALGORITHM}
본 문서의 실시예들은 스테이킹 및 프리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블록체인 생태계를 안정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 시스템은 정보가 담겨있는 데이터의 단위를 의미하는 블록이 체인 형태로 이어진 분산형 데이터베이스(이하 '블록체인')를 시스템에 참여하는 컴퓨팅 장치(이하 '노드')들이 스스로 운영하여 유지되는 시스템이다. 블록체인 시스템에 참여하는 노드들은 블록체인을 통하여 신뢰성 있는 공통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신뢰성 유지 및 공유라는 블록체인의 특성은 블록체인 생태계의 유지를 위한 작업(예를 들면, 합의 알고리즘 수행을 통한 블록체인의 기록 작업)에 참여하는 노드에게 보상되는 암호화폐를 통해 자발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 시스템은 탈중앙화 운영 방식을 기본으로 하여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기 때문에, 암호화폐의 교환과 거래를 통제하는 주체가 없어 막대한 자본을 가진 노드의 참여로 가격이 급등/급락을 반복하는 형태로 가격 변동이 심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노드의 악의적인 거래 형태로 인하여 암호화폐의 가치가 폭락할 경우, 신뢰성을 유지하는 수단인 암호화폐에 대한 보상이 노드들에게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어 하나의 블록체인 생태계가 훼손되거나 사라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문서의 실시예들은 노드들이 암호화폐를 안정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 자체로 블록체인 생태계의 유지를 위해 기여한 형태로써 보상을 받게 되는 새로운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위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1398호: 매출포인트에 대응하는 가상화폐가 채굴되는 플랫폼장치 (2019.04.2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6900호: 발행된 토큰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2018.01.19) 미국 공개특허공보 US2018/0109541: BLOCKCHAIN MINING USING TRUSTED NODES (2018.04.19)
본 문서의 실시예들은 노드들이 암호화폐를 일정 기간 안정적으로 보유하는 형태에 대해 보상을 받게 되는 스테이킹 알고리즘과, 암호화폐의 송신 권한이 정지된 상태인 스테이킹 기간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하는 프리징 알고리즘을 결합하여, 기존의 가격 변동성으로 인한 블록체인 생태계의 훼손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는 상기 서버가 속한 블록체인 시스템에 참여하는 복수의 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동작 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 상기 복수의 노드는 각각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 상의 계좌를 보유함 -,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노드 간에 송수신이 가능한 토큰을 발행하는 동작, 상기 토큰을 계좌에 보유하고 있는 제1 노드로부터 상기 제1 노드 계좌의 송신 권한을 정지시키고 상기 권한의 정지를 유지하는 기간 동안 기 설정된 보상을 지급받게 되는 스테이킹 토큰 상태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노드 계좌의 상기 스테이킹 토큰 수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노드 계좌에 상기 보상 지급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1 노드로부터 상기 스테이킹 토큰에 대한 상기 정지된 송신 권한을 복구시키는 언스테이킹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노드 계좌의 상기 스테이킹 토큰 상태가 유지된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킹 토큰 중 일부가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동결되는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하는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기간이 짧을수록 상기 스테이킹 토큰 중 더 많은 비율을 상기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방법은 상기 복수의 노드 간에 송수신이 가능한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 상기 토큰을 계좌에 보유하고 있는 제1 노드로부터, 상기 제1 노드 계좌의 송신 권한을 정지시키고 상기 권한의 정지를 유지하는 기간 동안 기 설정된 보상을 지급받게 되는 스테이킹 토큰 상태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 계좌의 상기 스테이킹 토큰 수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노드 계좌에 상기 보상 지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로부터, 상기 스테이킹 토큰에 대한 상기 정지된 송신 권한을 복구시키는 언스테이킹 전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노드 계좌의 상기 스테이킹 토큰 상태가 유지된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킹 토큰 중 일부가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동결되는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간이 짧을수록 상기 스테이킹 토큰 중 더 많은 비율을 상기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노드들은 스테이킹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폐를 보유함에 따라 제공되는 보상을 얻고, 스테이킹 기간을 일정 기간 이상 유지하지 않는 경우 적용되는 프리징 알고리즘에 따른 암호화폐 동결 방식을 통해, 노드들이 암호화폐를 안정적으로 보유할 동기를 부여하면서 동시에 가격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어 암호화폐의 가격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리징 알고리즘에 따라 동결된 암호화폐는 노드의 투표에 따라 사용되는 방식이 정해지거나, 노드들에게 에어드랍의 형태로 제공되어 보다 많은 노드들을 블록체인 생태계에 끌어들일 수 있고, 노드들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합리적 합의를 이루는 수단이 되어 블록체인 생태계에 발전이 되는 형태로 토큰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시스템과 블록체인 시스템의 동작 환경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가 수행하는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a, 4b, 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스테이킹 토큰 수량에 따라 일반 보상과 특별 보상을 결정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언스테이킹 요청 시 스테이킹 유지 기간에 따라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되는 비율을 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노드의 관점에서 노드가 토큰을 획득하는 단계부터 송신하는 단계까지 적용되는 스테이킹 알고리즘 및 프리징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시스템(10)과 블록체인 시스템(20)의 동작 환경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시스템(10)은 블록체인 시스템(20)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시스템(10)의 구성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고,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시스템(10)과 연동되는 블록체인 시스템(20)의 관계 및 블록체인 시스템(20) 안에서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시스템(10)은 암호화폐를 일정 기간 안정적으로 보유하는 형태에 대해 보상을 받게 되는 스테이킹 알고리즘과, 암호화폐의 송신 권한이 정지된 상태인 스테이킹 기간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하는 프리징 알고리즘을 동작시켜 하여, 기존의 가격 변동성으로 인한 블록체인 생태계의 훼손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100)는 블록체인 시스템(20) 내에서 분산형 시스템 방식으로 기록되는 지급수단인 '암호화폐' 또는 '토큰'을 발행하고,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암호화폐' 또는 '토큰'의 사용이나 보상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토콜은 스테이킹 알고리즘 및 프리징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알고리즘의 상세한 내용 및 동작은 후술하기로 한다.
'암호화폐'는 하나의 블록체인 시스템(20)이 발생하는 시점부터 데이터 기록 및 신뢰 유지의 보상 수단으로 사용되는 지급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의미로 암호화폐를 지칭하는 경우에는 네이티브 암호화폐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다만, 본 문서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암호화폐'라는 용어가 반드시 네이티브 암호화폐의 개념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토큰의 개념도 포함할 수 있다.
'토큰'은 하나의 블록체인 시스템(20)에서 네이티브 암호화폐의 발생 이후 부가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디지털 교환수단으로써 소정의 용도 또는 가치를 지닐 수 있다. 토큰은 블록체인 시스템(20) 내에서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방식으로 발생, 이체, 사용 정보 등이 기록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용어의 개념에 따르면, 이더리움 블록체인 시스템을 예시로 설명하는 경우, 암호화폐는 이더리움을 의미할 수 있고, 토큰은 ERC-20 규약에 따라 이더리움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발행된 ERC-20 토큰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문서의 상세한 설명, 청구 범위 및 도면에서 암호화폐 및 토큰의 개념을 모두 '토큰'이라는 용어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100)가 발행한 토큰을 보유하거나 거래할 수 있는 노드(블록체인 시스템(20)의 참여자)가 사용하는 단말이다. 사용자 단말(2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연산을 수행할 수 있고, 블록체인 시스템(20)에 등록된 블록체인 계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 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노트북,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가상 네트워크, 원격 통신 등의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20)은 네트워크를 통해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시스템(10)과 연동되고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에서 발생시킨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다. 블록체인 시스템(20)은 블록체인 구조의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는 P2P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이해될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20)은 서로 연결된 복수 개의 컴퓨팅 장치인 노드들을 포함하는 피투피 네트워크로 이해될 수 있다. 각각의 노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연산을 수행할 수 있고, 블록체인 시스템(20)에 등록된 블록체인 계좌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은 블록체인 시스템(20)의 구성원인 노드에 포함될 수 있어, 인터넷 네트워크망에 연결된 주체이자 블록체인 시스템(20)의 노드로서 동작할 수 있다.
블록체인 계좌 정보는 비밀 키(private key)와 공개 키(public key)를 포함할 수 있다. 비밀 키는, 블록체인 시스템(20)에서 트랜잭션(예: 제1 사용자 계좌로부터 제2 사용자 계좌로 토큰이 송신되도록 하는 트랜잭션,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 시스템(20) 내에 배포하는 트랜잭션,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시키는 트랙잭션 등)이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의 디지털 서명으로 기능할 수 있다. 공개 키는 사용자의 블록체인 계좌 주소(account address, 이하, '계좌')로 기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계좌는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human-readable) 문자열 또는 숫자열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잭션은 블록체인 시스템(20)에 포함된 노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트랜잭션은 블록체인에 정보를 추가하거나 블록체인 시스템(20) 내에서 특정한 동작이 발생하도록 유발하도록 블록체인 시스템(20) 내의 노드들에게 전파되는 정보로서, 토큰의 발행에 관한 정보, 토큰의 이체에 관한 정보, 토큰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노드는 트랜잭션의 처리 결과를 블록체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트랜잭션이 발생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들은 발생한 트랜잭션의 무결성을 검증하고, 블록체인 시스템(20)에 규정된 합의 알고리즘(예: POW, POS, DPOS, POT 등)에 기초해 기 생성된 블록에 이어질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며, 새로이 생성된 블록은 다른 노드들에게 전파되면서 트랜잭션이 실행될 수 있다. 블록은 복수의 트랜잭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20) 내에서 발생되는 트랜잭션들은 상기 트랜잭션들을 생성한 주체의 블록체인 계좌의 비밀 키에 의해 암호화 서명되므로, 블록체인 시스템(20) 상에 위변조가 불가능한 암호학적 증명 데이터로서 기록될 수 있다.
블록에 대한 정보는 노드들이 공유하는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는 복수 개의 노드들이 같은 정보를 공유하는 공공 원장(public ledger)으로 이해될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20)은 다양한 노드들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배포 및 실행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 시스템(20)에서 스마트 컨트랙트의 조건을 따르는 트랜잭션이 발생할 경우, 정해진 규약에 따라 특정 트랜잭션이 발생하도록 하거나 다른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할 수 있다.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100)는 토큰과 관련된 동작에 대한 프로토콜이 정해진 인스트럭션 또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하여 블록체인 시스템(20) 내에 특정 동작이 실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및 통신 인터페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는 토큰 발생 모듈(111), 스테이킹 모듈(113), 보상 모듈(115) 및 프리징 모듈(117)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해 토큰 발생 모듈(111), 스테이킹 모듈(113), 보상 모듈(115) 및 프리징 모듈(117)을 구동시킬 수 있다.
토큰 발생 모듈(111)은 블록체인 시스템(20)에 배포될 토큰 또는 스마트 컨트랙트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배포될 토큰 또는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특정 프로토콜을 결정하여, 해당 토큰의 발행 및 스마트 컨트랙트 배포 동작이 수행되도록 블록체인 시스템(20)에 전파할 수 있다.
스테이킹 모듈(113)은 발행된 토큰을 계좌에 보유하고 있는 노드로부터, 해당 노드의 계좌에 포함된 토큰에 대한 송신 권한을 정지시키고 송신 권한의 정지를 유지하는 기간 동안 기 설정된 보상을 지급받게 되는 스테이킹 토큰 상태로의 전환 요청(이하, '스테이킹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스테이킹 요청에 따라 송신 권한이 정지되면서 노드에게 보상이 주어지게 하는 상태의 토큰을 이하, '스테이킹 토큰'이라 지칭한다.
보상 모듈(115)은 블록체인 시스템(20)에 참여하는 노드가 보유하고 있는 스테이킹 토큰의 수량에 기초하여 해당 노드에게 기 설정된 보상 지급을 결정할 수 있다.
프리징 모듈(117)은 스테이킹 토큰을 보유하고 있는 노드로부터, 스테이킹 토큰에 대한 송신 권한이 다시 복구되는 상태로의 언스테이킹 전환 요청(이하, '언스테이킹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프리징 모듈(117)은 노드의 언스테이킹 요청 시 해당 노드가 스테이킹 토큰을 유지한 기간에 기초하여, 스테이킹 토큰 중 일부에 대해서는 송신 권한을 복구하되, 나머지 일부에 대해서는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하는 프리징 알고리즘을 동작시킬 수 있다. 프리징 토큰이란, 토큰에 대한 모든 권한이 블록체인 시스템(20) 내에서 동결된 상태에 있는 토큰을 의미한다.
상술한 토큰 발생 모듈(111), 스테이킹 모듈(113), 보상 모듈(115) 및 프리징 모듈(117)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은 프로세서(11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토큰 발생 모듈(111), 스테이킹 모듈(113), 보상 모듈(115) 및 프리징 모듈(117)은 토큰의 발행, 토큰 상태의 변경, 노드의 보상이 발생하도록 하는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시스템(20)에 전파시켜, 블록체인 시스템(20)의 노드들에 의해 전파된 트랜잭션이 수행되도록 하여 상술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동작은 도 3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메모리(120)는 노드 DB(121) 및 수익 DB(123)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10)의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노드 DB(121)는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시스템(10)에 참여하는 사용자 단말(200)의 블록체인 계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계좌 정보는 해당 계좌가 보유하고 있는 토큰의 종류, 토큰의 수량, 스테이킹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익 DB(123)는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100)가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시스템(10)에 의하여 발생한 수익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수익은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가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ex. 암호화폐 거래소, 분산형 블록체인 거래소(DEX))으로 동작할 경우 플랫폼 운영에 의해 발생한 수익을 포함할 수 있고, 블록 프로듀서(Block Producer, BP)로 동작할 경우 채굴 알고리즘에 대한 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시스템(10) 및 블록체인 시스템(20)에 포함된 구성들과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무선 통신모듈 또는 유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100)가 수행하는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토큰 발생 모듈(111)은 복수의 노드 간에 송수신이 가능한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S210). 토큰 발생 모듈(111)은 특정 노드가 보유하는 토큰에 대해 송신 권한을 정지시키고 송신 권한의 정지를 유지하는 기간 동안 기 설정된 보상을 지급받게 되는 상태가 되는 스테이킹 요청, 또는 스테이킹 토큰에 대한 송신 권한을 다시 복구하는 언스테이킹 전환 요청 등의 트랜잭션을 토큰 보유 노드가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이 정해진 인스트럭션 또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배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하는 노드들은 해당 토큰을 이체하거나 교환하는 동작을 통해 서로의 계좌로 토큰을 송수신하고, 후술할 스테이킹 요청 및 언스테이킹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토큰이 블록체인 시스템(20)에 배포된 이후, 스테이킹 모듈(113)은 토큰을 계좌에 보유하고 있는 노드로부터 노드가 정한 일부 수량의 토큰에 대한 송신 권한을 정지시키고 권한의 정지를 유지하는 기간 동안 기 설정된 보상을 지급받게 되는 스테이킹 토큰으로 전환을 요청하는 스테이킹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230). 스테이킹 모듈(113)은 스테이킹 요청을 발생시킨 노드로부터 해당 요청을 직접 수신하거나, 블록체인 시스템(20)에 발생된 트랜잭션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스테이킹 모듈(113)은 노드가 스테이킹 요청한 수량에 따른 토큰에 대한 송신 권한을 중지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시스템(20)에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상 모듈(115)은 노드가 보유한 스테이킹 토큰의 수량에 기초하여 노드의 계좌에 기 설정된 보상 지급을 결정할 수 있다(S250). 보상 모듈(115)은 노드 DB(131)을 통해 각 노드의 스테이킹 보유 수량을 확인하거나, 블록체인 시스템(20)의 노드 계좌를 확인하여 각 노드의 스테이킹 보유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보상은 일반 보상(General Reward)과 특별 보상(Special Reward)으로 나뉘어 결정될 수 있다.
도 4a, 4b, 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스테이킹 토큰 수량에 따라 일반 보상과 특별 보상을 결정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4a는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100)가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시스템(10)에 의하여 발생한 수익에 대해 일정 보상으로 배정할 비율과 특별 보상으로 배정할 비율을 산정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여, 블록체인 시스템(20)의 총 스테이킹 토큰 수(N), 스테이킹 참여 총 노드 수(
Figure 112019041941654-pat00001
), 평균 스테이킹 토큰 수(SA), 평균 스테이킹 토큰 수 이상 보유한 노드 수(
Figure 112019041941654-pat00002
), 시스템 수익(P)이 다음과 같다면,
N= 10,000,000 토큰
Figure 112019041941654-pat00003
노드
SA= 100,000 토큰
Figure 112019041941654-pat00004
노드
Figure 112019041941654-pat00005
시스템 수익 1억원 중 특별 보상으로 배정될 비율 SR(%)은
Figure 112019041941654-pat00006
= 300/1,000 로써 30%인 3천만원으로 결정하고, 시스템 수익 중 일반 보상으로 배정할 비율 GR(%)을 1-SR 로써 70% 인 7천만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b는 하나의 노드 i에 대해 지급되는 일반 보상을 결정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4b를 참조하여, 시스템 수익 P, i 노드가 보유한 스테이킹 토큰 수 I, 일반 보상으로 배정될 비율 GR, 블록체인 시스템(20)의 총 스테이킹 토큰 수 N이 다음과 같다면,
P = 100,000,000 KRW
I = 100,000 토큰
GR = 70%
i 노드가 받게 될 일반 보상
Figure 112019041941654-pat00007
Figure 112019041941654-pat00008
로써 700,000 KRW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c는 블록체인 시스템(20)에서 평균 스테이킹 토큰 수 이상을 보유하는 노드에 대해 지급되는 특별 보상을 결정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특별 보상은 블록체인 시스템(20)의 평균 스테이킹 토큰 수
Figure 112019041941654-pat00009
개 이상을 보유한 노드에게 지급될 수 있으며, 블록체인 시스템(20)에서 스테이킹 토큰 수량을
Figure 112019041941654-pat00010
개 이상 보유한 노드 각각에 대해 스테이킹 토큰의 평균매수단가 순위를 판별하여, 판별된 순위에 따른 기 배정된 등급(도 4c, 노드의 등급 분류)에 부여된 가중치에 따라 특별 보상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스테이킹 토큰의 각 노드의 평균매수단가 순위에 따라 등급을 나누고, 각 등급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특별 보상으로 배정될 30,000,000 KRW를 가중치에 따라 각 등급에 배분하고, 각 등급에 배분된 금액을 각 등급에 속하는 노드의 수로 나누어 각 노드에게 분배될 특별 보상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일반 보상 및 특별 보상은 KRW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보상 모듈(115)은 노드 DB(131)에 저장된 스테이킹 토큰 보유 노드를 확인하여 4a 내지 4c의 알고리즘을 기초로 각 노드에게 지급될 보상을 산정하고, 수익 DB(133)를 통해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100)가 획득한 수익 분배를 결정하여, 스테이킹 토큰을 보유한 노드 계좌에 해당 수익을 분배할 수 있다.
한편, 프리징 모듈(117)은 노드가 보유한 스테이킹 토큰에 대한 정지된 송신 권한을 다시 복구시키는 언스테이킹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270). 언스테이킹 요청은 해당 요청을 발생시킨 노드로부터 직접 수신하거나, 해당 노드가 블록체인 시스템(20)에 발생시킨 트랜잭션을 수집하여 수신할 수 있다.
프리징 모듈(117)은 특정 노드로부터 언스테이킹 요청을 수신한 경우, 언스테이킹을 요청한 노드가 스테이킹 토큰 상태를 유지한 기간에 기초하여, 언스테이킹을 요청한 토큰 중 일부를 블록체인 시스템(20)에서 동결시켜 해당 노드로부터 토큰에 대한 모든 권한이 동결되는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하고, 나머지 일부 토큰에 대해서는 송신 권환을 복구하여 언스테이킹 할 수 있다(S290). 이때 프리징 모듈(117)은 언스테이킹을 요청한 노드가 언스테이킹 전환 요청을 철회하고 다시 언스테이킹을 요청한 토큰에 대해 스테이킹 토큰 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소정의 기간을 부여하여, 해당 노드로부터 언스테이킹 철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100)의 사용자는 언스테이킹 전환 요청을 철회할 수 있는 기간을 설정할 수 있고, 철회 기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프리징 모듈(117)은 스테이킹 토큰을 보유한 노드가 스테이킹 토큰을 유지한 기간이 1일씩 늘어남에 따라, 스테이킹된 토큰 중 언스테이킹 전환될 수 있는 토큰의 비율을 전날의 비율보다 소정 비율만큼 높이고, 스테이킹된 토큰 중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될 수 있는 비율을 전날의 비율보다 상기 소정 비율만큼 낮추는 방식으로 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노드가 소정 수량에 대해 언스테이킹 요청할 경우, 프리징 모듈(117)은 언스테이킹이 요청된 수량 중 중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시킬 비율과 송신 권한을 복구시킬 토큰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언스테이킹 요청 시 스테이킹 유지 기간에 따라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되는 비율을 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언스테이킹 요청한 노드가 스테이킹 토큰을 유지한 기간이 n일 (1≤n≤200,n은 자연수) 일 때, 스테이킹된 토큰 중 언스테이킹하여 송신 권한이 복구된 토큰으로 전환시킬 토큰의 비율을
Figure 112019041941654-pat00011
로, 스테이킹된 토큰 중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시킬 토큰의 비율은
Figure 112019041941654-pat00012
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 i가 1000개의 토큰에 대해 스테이킹 기간을 120일 동안 유지한 후 언스테이크 요청을 하였다면, 80%인 800개가 언스테이킹 되어 송신 권한이 복구되어 자유롭게 이체, 거래가 가능한 토큰으로 전환되며, 나머지 20%인 200개의 토큰은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되어 200개의 프리징 토큰에 대한 노드 i의 권한이 동결될 수 있다.
프리징 모듈(117)은 프리징 토큰에 대해 블록체인 시스템(20) 상에서 소각하는 동작, 복수의 노드에 대해 각각의 스테이킹 토큰의 수량에 비례한 투표권을 기초로 프리징 토큰에 대한 사용을 결정하는 동작, 및 복수의 노드 각각의 보유한 스테이킹 토큰의 수량에 비례하여 프리징 토큰을 분배시키고 분배 후 해당 토큰의 송신 권한을 복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노드들은 스테이킹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폐를 보유함에 따라 제공되는 보상을 얻고, 스테이킹 기간을 일정 기간 이상 유지하지 않는 경우 적용되는 프리징 알고리즘에 따른 권한 동결 방식을 통해, 노드들이 암호화폐를 안정적으로 보유할 동기를 부여받으면서 동시에 가격의 변동이 방지되어 가격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프리징 알고리즘에 의한 프리징 토큰은 노드의 투표에 따라 사용되는 방식이 정해지거나, 스테이킹 노드들에게 에어드랍의 형태로 제공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블록체인 생태계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100)에 포함된 구성들이 동작하는 단계의 수행 주체는 도 2와 함께 설명된 구성과, 도 3과 함께 설명된 단계별 동작을 통해서 이해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노드의 관점에서 노드가 토큰을 획득하는 단계부터 송신하는 단계까지 적용되는 스테이킹 알고리즘 및 프리징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노드는 블록체인 생태계 관리 서버가 발행한 토큰을 보유하는 경우 보유한 토큰 중 일정 수량에 대하여 스테이킹을 요청할 수 있다(S301).
노드가 스테이킹 요청한 경우, 블록체인 생태계 관리 서버는 스테이킹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요청된 수량에 대한 토큰을 스테이킹 토큰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S303).
이에 따라, 노드는 스테이킹 토큰을 보유함에 따라 시스템 수익을 분배 받을 수 있는 보상의 대상으로 적용되며(S305), 스테이킹 토큰에 대한 송신 권한이 정지될 수 있다(S307).
노드는 스테이킹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S309), 보유한 스테이킹 토큰의 수량에 따라 지급 받을 수 있는 일반 보상 및 특별 보상이 결정되며, 일정한 기간 마다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100)의 시스템(10)에서 발생하는 수익의 일부를 받을 수 있다(S313).
한편, 노드는 스테이킹 상태 유지 중 스테이킹 토큰의 송신 권한을 복구하기 위해 언스테이킹 요청을 할 수 있으며(S315), 이 경우 언스테이킹 요청을 철회할 수 있는 전환 보류 기간을 가질 수 있다(S317).
노드가 전환 보류 기간 중 언스테이킹 요청을 취소한다면 다시 S311 단계로 돌아가 보상 대상이 되지만, 노드가 전환 보류 기간 중 전환을 취소하지 않거나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100)가 전환 보류 기간을 설정하지 않는다면 프리징 알고리즘 적용 대상이 될 수 있다(S321).
이에 따라, 노드가 스테이킹 토큰을 보유한 기간에 따라, 언스테이킹 요청한 토큰 중 일부는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되고(S321), 나머지 일부 토큰은 송신 권한이 회복된다. 이에 따라, 송신 권한이 회복된 토큰은 일반 보상 및 특별 보상 대상에서 제외되고(S302), 노드는 송신 권한이 회복된 토큰을 자유롭게 거래하거나 송신할 수 있다(S304).
한편, 프리징 토큰은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100)가 관리하는 별도의 블록체인 계좌를 통해 관리될 수 있고(S323), 스테이킹 토큰을 보유한 노드의 투표에 따라 활용될 수 있다(S325).
도 3 및 도 6과 함께 설명된 동작의 순서는 예시일 뿐, 그 시계열적 순서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설계에 따라 논리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노드들은 스테이킹 알고리즘을 통해 토큰을 보유함에 따라 제공되는 보상을 얻고, 스테이킹 기간을 일정 기간 이상 유지하지 않는 경우 적용되는 프리징 알고리즘에 따른 암호화폐 동결 방식을 통해, 노드들이 암호화폐를 안정적으로 보유할 동기를 부여하면서 동시에 가격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어 암호화폐의 가격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리징 알고리즘에 따라 동결된 프리징 토큰은 노드의 투표에 따라 사용되는 방식이 정해지거나, 노드들에게 에어드랍의 형태로 제공되어 보다 많은 노드들을 블록체인 생태계에 끌어들일 수 있고, 노드들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합리적 합의를 이루는 수단이 되어 블록체인 생태계에 발전이 되는 형태로 토큰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예: 전자 장치)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 메모리 버퍼, 하드 드라이브, 데이터베이스,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read-only memory), ROM(read-only memory) 및/또는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예들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및/또는 등등 일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통합 이전에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11)

  1.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속한 블록체인 시스템에 참여하는 복수의 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동작 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 상기 복수의 노드는 각각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 상의 계좌를 보유함 -,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노드 간에 송수신이 가능한 토큰을 발행하는 동작;
    상기 토큰을 계좌에 보유하고 있는 제1 노드로부터, 상기 제1 노드 계좌에 보유된 일부 토큰의 송신 권한을 정지시키고 상기 권한의 정지를 유지하는 기간 동안 기 설정된 보상을 지급받게 되는 스테이킹 토큰 상태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노드 계좌의 상기 스테이킹 토큰 수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노드 계좌에 상기 보상 지급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1 노드로부터, 상기 스테이킹 토큰에 대한 상기 정지된 송신 권한을 복구시키는 언스테이킹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언스테이킹 요청에 따라, 상기 스테이킹 토큰 중 일부의 토큰에 대한 송신 권한을 다시 복구시켜 상기 언스테이킹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스테이킹 토큰 중 일부에 대해 상기 제1 노드가 가지는 모든 권한을 상실시키고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동결된 상태인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언스테이킹 요청을 수신하기까지 상기 스테이킹 토큰 상태가 유지된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언스테이킹 상태로 전환되는 비율 및 상기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되는 비율을 결정하되, 상기 유지된 기간이 짧을수록 상기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되는 비율이 커지도록 결정하는,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보상 지급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에서 소정 형태로 발생한 수익이 P일 때,
    상기 시스템의 총 스테이킹 토큰이 N개 이고, 상기 제1 노드의 스테이킹 토큰이 I 개라면, 상기 보상(
    Figure 112019134188133-pat00037
    )을 아래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수학식 1]
    Figure 112019134188133-pat00038

    (상기 GR은 상기 시스템의 수익 중 각 노드가 보유한 상기 스테이킹 토큰 수량에 비례하여 지급되는 것으로 설정된 비율(%), 상기 I는 상기 제1 노드의 스테이킹 토큰 수, 상기 N은 상기 시스템의 총 스테이킹 토큰 수, 상기 P는 상기 시스템에서 발생한 수익)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보상 지급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스테이킹 토큰을 보유한 노드의 수에 대한 상기 시스템의 총 스테이킹 토큰의 수인 평균 스테이킹 수량이 SA개 일 때,
    상기 제1 노드의 스테이킹 토큰의 개수가 SA개 이상으로 판별되면, 상기 시스템에서 상기 스테이킹 토큰 수량을 상기 SA개 이상 보유한 노드 각각에 대해 스테이킹 토큰의 평균매수단가 순위를 판별하여, 상기 순위에 따른 기 배정된 등급에 기초하여
    Figure 112019134188133-pat00039
    (상기 SR은 상기 시스템의 수익 중 상기 평균매수단가를 기초로 지급될 비율 (%), 상기 P는 상기 시스템에서 발생한 수익) 중 일부에 대해 추가적으로 보상(
    Figure 112019134188133-pat00040
    )이 지급되도록 결정하는,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제1 노드에게 상기 언스테이킹 전환 요청을 철회하여 다시 스테이킹 토큰 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소정의 기간을 부여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는,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언스테이킹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스테이킹 토큰이 유지된 기간이 1일씩 늘어남에 따라, 상기 스테이킹된 토큰 중 상기 언스테이킹 전환될 수 있는 토큰의 비율을 전날의 비율보다 소정 비율만큼 높이고, 상기 스테이킹된 토큰 중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될 수 있는 비율을 전날의 비율보다 상기 소정 비율만큼 낮추어, 상기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될 비율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언스테이킹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기간이 n일 (
    Figure 112019134188133-pat00041
    ) 일 때, 상기 스테이킹된 토큰 중 상기 언스테이킹 전환될 수 있는 토큰의 비율을
    Figure 112019134188133-pat00042
    로, 상기 스테이킹된 토큰 중 상기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될 수 있는 토큰의 비율은
    Figure 112019134188133-pat00043
    로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언스테이킹 전환을 요청한 토큰 수량이 U개일 경우, 상기 U개 중
    Figure 112019134188133-pat00044
    개를 언스테이킹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U 개 중
    Figure 112019134188133-pat00045
    개를 상기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리징 토큰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 상에서 소각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노드 각각이 보유한 상기 스테이킹 토큰의 수량에 비례하는 투표권에 기초하여 사용 방법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노드 각각이 보유한 상기 스테이킹 토큰의 수량에 비례하도록 상기 프리징 토큰을 상기 각각의 계좌로 분배시킨 후 상기 송신 권한을 복구시키는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
  9.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가 수행하는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노드 간에 송수신이 가능한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
    상기 토큰을 계좌에 보유하고 있는 제1 노드로부터, 상기 제1 노드 계좌에 보유된 일부 토큰의 송신 권한을 정지시키고 상기 권한의 정지를 유지하는 기간 동안 기 설정된 보상을 지급받게 되는 스테이킹 토큰 상태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 계좌의 상기 스테이킹 토큰 수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노드 계좌에 상기 보상 지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로부터, 상기 스테이킹 토큰에 대한 상기 정지된 송신 권한을 복구시키는 언스테이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언스테이킹 요청에 따라, 상기 스테이킹 토큰 중 일부의 토큰에 대한 송신 권한을 다시 복구시켜 상기 언스테이킹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스테이킹 토큰 중 일부에 대해 상기 제1 노드가 가지는 모든 권한을 상실시키고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동결된 상태인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언스테이킹 요청을 수신하기까지 상기 스테이킹 토큰 상태가 유지된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언스테이킹 상태로 전환되는 비율 및 상기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되는 비율을 결정하되, 상기 유지된 기간이 짧을수록 상기 프리징 토큰으로 전환되는 비율이 커지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방법.
  10. 제9항의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1. 제9항의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47498A 2019-04-23 2019-04-23 스테이킹 및 프리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 및 방법 KR102110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498A KR102110397B1 (ko) 2019-04-23 2019-04-23 스테이킹 및 프리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498A KR102110397B1 (ko) 2019-04-23 2019-04-23 스테이킹 및 프리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397B1 true KR102110397B1 (ko) 2020-05-13

Family

ID=70729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498A KR102110397B1 (ko) 2019-04-23 2019-04-23 스테이킹 및 프리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3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8358A (zh) * 2021-03-18 2021-06-11 上海能链众合科技有限公司 一种链上冰封表维护办法
KR102314526B1 (ko) * 2021-06-04 2021-10-19 라이트브라더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이동 기구 제조/유통 내역 트래킹 서비스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67801B1 (ko) * 2022-03-25 2022-11-21 김상율 탈중앙화 노드 시스템의 보안 검증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3368A (ja) * 2000-08-22 2002-02-28 Oki Electric Ind Co Ltd 金融機関の預金獲得システム装置
KR20180006900A (ko) 2015-05-13 2018-01-19 소니 주식회사 발행된 토큰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80115402A (ko) * 2017-04-13 2018-10-23 현대비에스앤씨 (주) 블록체인 기반 p2p 펀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41398A (ko) 2017-10-12 2019-04-22 윤성원 매출포인트에 대응하는 가상화폐가 채굴되는 플랫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3368A (ja) * 2000-08-22 2002-02-28 Oki Electric Ind Co Ltd 金融機関の預金獲得システム装置
KR20180006900A (ko) 2015-05-13 2018-01-19 소니 주식회사 발행된 토큰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80115402A (ko) * 2017-04-13 2018-10-23 현대비에스앤씨 (주) 블록체인 기반 p2p 펀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41398A (ko) 2017-10-12 2019-04-22 윤성원 매출포인트에 대응하는 가상화폐가 채굴되는 플랫폼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SC 지갑 사용과 설명 2편| 프리징 및 언프리징 자산, 토큰 발행, 거래 기능’, 네이버블로그(2019.01.19. 게재)* *
‘스테이킹(Staking), 언스테이킹(Unstaking)’, 티스토리(2019.03.12. 게재)* *
미국 공개특허공보 US2018/0109541: BLOCKCHAIN MINING USING TRUSTED NODES (2018.04.19)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8358A (zh) * 2021-03-18 2021-06-11 上海能链众合科技有限公司 一种链上冰封表维护办法
CN112948358B (zh) * 2021-03-18 2024-05-28 上海零数众合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链上冰封表维护办法
KR102314526B1 (ko) * 2021-06-04 2021-10-19 라이트브라더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이동 기구 제조/유통 내역 트래킹 서비스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67801B1 (ko) * 2022-03-25 2022-11-21 김상율 탈중앙화 노드 시스템의 보안 검증 동작 방법
KR102469490B1 (ko) * 2022-03-25 2022-11-24 김상율 탈중앙화 노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3182577A1 (ko) * 2022-03-25 2023-09-28 김상율 탈중앙화 노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3743B1 (en) Tokens or crypto currency using smart contracts and blockchains
US10460283B2 (en) Smart contract optimization for multiparty service or product ordering system
US20190228409A1 (en) Transaction Pools Using Smart Contracts and Blockchains
KR102110397B1 (ko) 스테이킹 및 프리징 알고리즘을 이용한 블록체인 생태계 안정화 서버 및 방법
KR102110395B1 (ko) 가변기여 채굴형 거래소 서버 및 가변기여 채굴 방법
JP2022511623A (ja) ブロックチェーン基盤のコンテンツ共有創作サーバー、コンテンツ配給サーバーおよびこれを含むシステム
Huberman et al. An economist’s perspective on the bitcoin payment system
CN109726249B (zh) 一种去中心化芯片研发交易数据存储方法及系统
JP2022535636A (ja) 金融商品推薦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KR20220065273A (ko)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소유권 아이템 자산의 유동성 가치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수행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65271A (ko)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소유권 아이템 자산의 유동성 가치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수행하는 판매자 단말 장치 및 시스템
Vakilinia et al. An incentive-compatible mechanism for decentralized storage network
KR102137784B1 (ko)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Luo et al. Bit-energy: An innovative bitcoin-style distributed transactional model for a competitive electricity market
KR20200048547A (ko) 블록체인 기반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20066786A (ko) 실물자산 투자방법
KR20220065274A (ko)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소유권 아이템 자산의 유동성 가치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수행하는 참여자 단말 장치 및 시스템
KR20200093483A (ko) 멀티 체인 레이어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Dekker et al. Automating bulk commodity trading using smart contracts
KR20200048550A (ko) 블록체인 기반 거래 규칙 적용을 위한 프로그램
KR20200048548A (ko) 블록체인 기반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48552A (ko) 금 교환을 위한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48551A (ko) 실질 경제 가치와의 교환을 위한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48530A (ko) 블록체인 기반 지급 준비율 제어 시스템
KR20200048527A (ko) 블록체인 기반 지급 준비율 제어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