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092B1 -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092B1
KR102109092B1 KR1020180097557A KR20180097557A KR102109092B1 KR 102109092 B1 KR102109092 B1 KR 102109092B1 KR 1020180097557 A KR1020180097557 A KR 1020180097557A KR 20180097557 A KR20180097557 A KR 20180097557A KR 102109092 B1 KR102109092 B1 KR 102109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ort portion
support
fixed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777A (ko
Inventor
남철환
서광원
Original Assignee
남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철환 filed Critical 남철환
Priority to KR1020180097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09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18Chinning, pull-up, i.e. concentric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00Horizont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63B21/1618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on a door or a door frame
    • A63B21/1627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on a door or a door frame for anchoring on or between the vertical posts of a door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2 유닛의 양단부가 설치 대상물에 탈착 고정된 제1 유닛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제3 유닛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안착 고정되도록 하여 턱걸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부터, 기존의 구조물을 활용하여 숙련도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설치하여 턱걸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ASSEMBLY FOR PULL-UP EXCERCISING}
본 발명은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빌라같은 집합건물은 물론 다양한 주거공간의 방문 틀에 고정하여 턱걸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턱걸이(pull-up)는 철봉에 매달려 팔꿈치 관절을 굴곡시켜 턱을 철봉 위에까지 끌어올렸다가 다시 팔꿈치를 펴면서 매달린 자세로 되돌아 오기를 되풀이하는 운동이다.
턱걸이 운동을 할 때 매달린 자세에서 작용하는 근육은 수근(手筋), 전완근(前腕筋), 견갑거근(肩甲擧筋), 승모근(僧帽筋) 등이다
턱걸이 운동을 할 때 몸을 끌어올릴 때 작용하는 근육은 수근, 전완근, 상완이두근(上腕二頭筋), 상완근(上腕筋), 완요골근(腕橈骨筋), 대흉근(大胸筋), 소흉근, 승모근, 대원근(大圓筋), 광배근(廣背筋) 등이 작용한다.
이러한 매달리기에서의 철봉을 쥐는 방법은 ① 바로잡기, ② 업어잡기, ③ 엇걸어잡기 등이 있다.
따라서 턱걸이 운동은 앞에서 말한 근육의 힘과 지구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므로 체력 트레이닝에도 쓰인다.
이러한 턱걸이 운동은 통상적으로 공원이나 운동장 등 실외에 마련된 다양한 높이의 철봉 기구에서 행해질 수 있으나, 최근 미세먼지나 혹서 또는 혹한의 악천후에는 실외에서 운동하는 것이 꺼려지므로, 실내에서도 턱걸이 운동을 할 수 있다면 좋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공개특허 제10-2014-0034398호의 "실내용 철봉체 거치 기구"(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철봉체는 직선으로 이루어진 수평바가 브래킷 하우징을 통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자유로이 유지하는 철봉 지지대와 철봉 지지대의 철봉체 고정 하우징을 매개로 구성된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철봉체를 지지하고 설치하기 위하여 벽면이나 기둥의 양쪽을 일정 깊이와 면적으로 파내고 브래킷 하우징을 매설한 후 브래킷 하우징 커버 고정장치 등의 구성 부품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선행기술은 인테리어에 민감한 거주자들에게는 브래킷 하우징을 매설하기 위하여 벽면이나 기둥을 파내는 등의 손상을 가해야 한다는 점이 매우 못마땅하며, 대공사로 이어지는 부담이 있기에 보편적으로 사용하기에는 큰 무리가 있는 것이다.
공개특허 제10-2014-003439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기존의 구조물을 활용하여 숙련도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설치하여 턱걸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설치 대상물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설치 대상물의 상, 하 양단부의 길이에 대응하여 높낮이 조절 가능한 제1 유닛; 상기 제1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양단부를 구비한 파지봉을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닛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며, 삽입된 상기 제2 유닛의 양단부가 수납되어 안착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제2 유닛의 양단부가 안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일측의 면(이하 제1 면) 상부측에 접촉되는 제1 상부 지지부와, 상기 서로 마주보는 면 중 타측의 면(이하 제2 면) 상부측에 접촉되는 제2 상부 지지부와, 상기 제1 면 하부측에 접촉되는 제1 하부 지지부와, 상기 제2 면 하부측에 접촉되는 제2 하부 지지부와, 상기 제1 상부 지지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1 하부 지지부의 하단부까지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상부 지지부와 상기 제1 하부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1 높낮이 조절부와, 상기 제2 상부 지지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2 하부 지지부의 하단부까지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상부 지지부와 상기 제2 하부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높낮이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닛의 양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1 하부 지지부 및 상기 제2 하부 지지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 유닛은, 원기둥 형상인 상기 파지봉의 일단부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안착 블록과, 상기 파지봉의 타단부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안착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1 유닛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면에 고정된 상기 제1 유닛 중 중공인 제1 하부 내측 지지부의 일측 가장자리와 연결된 측면으로부터 절개 형성된 제1 가이드홈과, 상기 제1 하부 내측 지지부에 내장되는 상단부와, 상기 제1 가이드홈의 상부측에 노출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부에 대하여 하단부가 상기 제1 하부 내측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동편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봉의 일단부는, 상기 제1 가이드홈의 입구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1 회동편을 상기 제1 가이드홈으로부터 상기 제1 하부 내측 지지부의 내부로 밀어넣으면서 상기 제1 가이드홈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안착된 상기 파지봉의 일단부는 상기 제1 회동편의 하면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1 유닛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 면에 고정된 상기 제1 유닛 중 중공인 제2 하부 내측 지지부의 일측 가장자리와 연결된 측면으로부터 절개 형성된 제2 가이드홈과, 상기 제2 하부 내측 지지부에 내장되는 상단부와, 상기 제2 가이드홈의 상부측에 노출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부에 대하여 하단부가 상기 제2 하부 내측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동편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봉의 타단부는, 상기 제2 가이드홈의 입구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2 회동편을 상기 제2 가이드홈으로부터 상기 제2 하부 내측 지지부의 내부로 밀어넣으면서 상기 제2 가이드홈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안착된 상기 파지봉의 타단부는 상기 제2 회동편의 하면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설치 대상물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설치되고, 설치 대상물의 상, 하 양단부의 길이에 대응하여 높낮이 조절 가능한 제1 유닛; 제1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양단부를 구비한 파지봉을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제1 유닛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제2 유닛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며, 삽입된 제2 유닛의 양단부가 수납되어 안착되는 것을 허용하고, 제2 유닛의 양단부가 안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기존의 구조물을 활용하여 숙련도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설치하여 턱걸이 운동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벽면이나 기둥의 일부를 손상시켜 설치되어야 하는 선행기술과 달리 기존의 구조물에 전혀 손상을 가하지 아니하고 간단히 설치 또는 분리 해제하여 보관 및 수납할 수도 있으므로, 이사나 건물의 공사시 분리가 필요할 경우에 용이하게 설치 해제하여 운반 이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문틀에 설치할 경우 방문 손잡이의 위치와 문짝의 여닫는 방향을 회피하여, 즉 방문을 여닫는데 일체 간섭을 주지않고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경우에 따라 파지봉을 아주 낮게 장착하여 팔굽혀펴기나 윗몸일으키기 등 응용 운동을 하는데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파지봉에 밴드 등을 고정하여 사용하면 밴드를 이용한 여러가지 운동이나 스트레칭 등 다양한 응용 동작 및 운동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닛은,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일측의 면(이하 제1 면) 상부측에 접촉되는 제1 상부 지지부와, 서로 마주보는 면 중 타측의 면(이하 제2 면) 상부측에 접촉되는 제2 상부 지지부와, 제1 면 하부측에 접촉되는 제1 하부 지지부와, 제2 면 하부측에 접촉되는 제2 하부 지지부와, 제1 상부 지지부의 상단부로부터 제1 하부 지지부의 하단부까지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제1 상부 지지부와 제1 하부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1 높낮이 조절부와, 제2 상부 지지부의 상단부로부터 제2 하부 지지부의 하단부까지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제2 상부 지지부와 제2 하부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높낮이 조절부를 포함하며, 제2 유닛의 양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제3 유닛은 제1 하부 지지부 및 제2 하부 지지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높이를 가진 문틀의 종류에 맞게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의 측면에서 매우 높은 효율성을 지닌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은, 원기둥 형상인 파지봉의 일단부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안착 블록과, 파지봉의 타단부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안착 블록을 더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턱걸이 운동을 할 때 파지봉이 제1 유닛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제3 유닛에 의하여 안착 고정될 수 있는 확실한 고정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 유닛은, 제1 유닛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1 면에 고정된 제1 유닛 중 중공인 제1 하부 내측 지지부의 일측 가장자리와 연결된 측면으로부터 절개 형성된 제1 가이드홈과, 제1 하부 내측 지지부에 내장되는 상단부와, 제1 가이드홈의 상부측에 노출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며, 상단부에 대하여 하단부가 제1 하부 내측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동편을 포함하며, 파지봉의 일단부는, 제1 가이드홈의 입구로부터 삽입되어 제1 회동편을 제1 가이드홈으로부터 제1 하부 내측 지지부의 내부로 밀어넣으면서 제1 가이드홈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안착된 파지봉의 일단부는 제1 회동편의 하면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턱걸이 운동을 하는 동안에 파지봉을 회전축으로 하여 발생되는 여러 방향으로 발생되는 토크(torque)로 인한 요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3 유닛은, 제1 유닛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2 면에 고정된 제1 유닛 중 중공인 제2 하부 내측 지지부의 일측 가장자리와 연결된 측면으로부터 절개 형성된 제2 가이드홈과, 제2 하부 내측 지지부에 내장되는 상단부와, 제2 가이드홈의 상부측에 노출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며, 상단부에 대하여 하단부가 제2 하부 내측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동편을 포함하며, 파지봉의 타단부는, 제2 가이드홈의 입구로부터 삽입되어 제2 회동편을 제2 가이드홈으로부터 제2 하부 내측 지지부의 내부로 밀어넣으면서 제2 가이드홈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안착된 파지봉의 타단부는 제2 회동편의 하면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턱걸이 운동을 하는 동안에 파지봉을 회전축으로 하여 발생되는 여러 방향으로 발생되는 토크(torque)로 인한 요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가 설치 대상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2는 설치 대상물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유닛과 제2 유닛 및 제3 유닛의 결합 관계를 다양한 시점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부분 사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유닛과 제2 유닛 및 제3 유닛의 결합 관계를 다양한 시점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부분 사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유닛을 제외하고 제1 유닛과 제3 유닛의 결합 구조를 다양한 시점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3 유닛이 형성된 제1 유닛을 설치대상물에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넣어 설치하려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3 유닛이 형성된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설치대상물에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넣어 설치하려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5와 비교하여 반대쪽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 개념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3 유닛이 형성된 제1 유닛을 설치 대상물에 고정한 다음 제2 유닛을 제3 유닛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7은 고정전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 개념도이며, 도 8은 고정후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 개념도
도 9 및 도 10은 도 7 및 도 8과 연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유닛의 양단부가 제3 유닛에 안착 고정되도록 안내되기까지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유닛의 양단부가 제3 유닛에 안착 고정된 상태를 다양한 시점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부분 사시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턱걸이 운동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토크의 일례를 복수의 화살표를 이용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가 설치 대상물(50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설치 대상물(500)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 및 제3 유닛(300)의 결합 관계를 다양한 시점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부분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 및 제3 유닛(300)의 결합 관계를 다양한 시점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부분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을 제외하고 제1 유닛(100)과 제3 유닛(300)의 결합 구조를 다양한 시점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3 유닛(300)이 형성된 제1 유닛(100)을 설치 대상물(500)에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넣어 설치하려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3 유닛(300)이 형성된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을 설치 대상물(500)에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넣어 설치하려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5와 비교하여 반대쪽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3 유닛(300)이 형성된 제1 유닛(100)을 설치 대상물(500)에 고정한 다음 제2 유닛(200)을 제3 유닛(300)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7은 고정전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 개념도이며, 도 8은 고정후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은 도 7 및 도 8과 연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의 양단부가 제3 유닛(300)에 안착 고정되도록 안내되기까지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 개념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의 양단부가 제3 유닛(300)에 안착 고정된 상태를 다양한 시점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부분 사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턱걸이 운동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토크의 일례를 복수의 화살표를 이용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5 및 도 6에서 입체 화살표는 후술할 제2 유닛 및 제3 유닛이 결합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도 9 및 도 10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후술할 제2 유닛 중 파지봉의 양단부가 이동 안내되어 수납 안착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닛(200)의 양단부가 설치 대상물(500)에 탈착 고정된 제1 유닛(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제3 유닛(300)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안착 고정되도록 하여 턱걸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제1 유닛(100)은 설치 대상물(5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설치되고, 설치 대상물(500)의 상, 하 양단부의 길이에 대응하여 높낮이 조절 가능한 것이다.
또한, 제2 유닛(200)은 제1 유닛(10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양단부를 구비한 파지봉(201)을 포함하는 것이다.
아울러, 제3 유닛(300)은 제1 유닛(100)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제2 유닛(200)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며, 삽입된 제2 유닛(200)의 양단부가 수납되어 안착되는 것을 허용하고, 제2 유닛(200)의 양단부가 안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유닛(100)이 장착될 설치 대상물(500)은 아파트나 빌라 등과 같은 집합건물의 방문이 장착되는 문틀일 수 있다.
한편, 제1 유닛(100)은,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일측의 면(이하 제1 면(501)) 상부측에 접촉되는 제1 상부 지지부(110)와, 서로 마주보는 면 중 타측의 면(이하 제2 면(502)) 상부측에 접촉되는 제2 상부 지지부(120)가, 제1, 2 높낮이 조절부(150, 160)에 의하여 제1, 2 하부 지지부(130, 140)와 연결되어 설치 대상물(500)의 상하 방향의 길이에 대응되게 고정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하부 지지부(130)는 제1 면(501) 하부측에 접촉되고, 제2 하부 지지부(140)는 제2 면(502) 하부측에 접촉된다.
이때, 제1 높낮이 조절부(150)는 제1 상부 지지부(110)의 상단부로부터 제1 하부 지지부(130)의 하단부까지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제1 상부 지지부(110)와 제1 하부 지지부(13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제2 높낮이 조절부(160)는 제2 상부 지지부(120)의 상단부로부터 제2 하부 지지부(140)의 하단부까지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제2 상부 지지부(120)와 제2 하부 지지부(14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따라서, 후술할 제2 유닛(200)의 양단부가 안착 고정될 후술할 제3 유닛(300)은 제1 하부 지지부(130) 및 제2 하부 지지부(140)에 형성되는 것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1 상부 지지부(110)는, 제1 면(501)의 상부측에 걸림 고정되는 제1 상부 외측 지지부(111)와, 제1 상부 외측 지지부(111)의 내측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1 상부 내측 지지부(112)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부 지지부(130)는, 제1 면(501)의 하부측에 걸림 고정되는 제1 하부 외측 지지부(131)와, 제1 하부 외측 지지부(131)의 내측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1 하부 내측 지지부(132)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제1 높낮이 조절부(150)의 상부측은 제1 상부 외측 지지부(111)와 제1 상부 내측 지지부(112) 사이에 결합되고, 제1 높낮이 조절부(150)의 하부측은 제1 하부 외측 지지부(131)와 제1 하부 내측 지지부(132) 사이에 결합됨을 도 4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후술할 제2 유닛(200)의 양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후술할 제3 유닛(300)은 제1 하부 내측 지지부(132)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 또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상부 외측 지지부(111)는,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면(501)의 상부측에 접촉되는 제1 상부 외측 밀착편(111a)과, 제1 상부 외측 밀착편(111a)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제1 면(501)의 일측 가장자리에 걸림 고정되는 제1 상부 외측 걸림편(111b)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할 제1 상부 내측 지지부(112)는 제1 상부 외측 밀착편(111a)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후술할 제1 높낮이 조절부(150)의 일부는 제1 상부 외측 밀착편(111a)과 제1 상부 내측 지지부(112) 사이에 결합되는 것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제1 상부 내측 지지부(112)는, 제1 상부 외측 밀착편(111a)에 밀착 고정되는 제1 상부 내측 밀착편(112a)을 포함하고, 후술할 제1 높낮이 조절부(150)의 일부는 제1 상부 외측 밀착편(111a)과 제1 상부 내측 밀착편(112a) 사이에 결합되는 것 또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1 하부 외측 지지부(131)는,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면(501)의 하부측에 접촉되는 제1 하부 외측 밀착편(131a)과, 제1 하부 외측 밀착편(131a)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제1 면(501)의 일측 가장자리에 걸림 고정되는 제1 하부 외측 걸림편(131b)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할 제1 하부 내측 지지부(132)는 제1 하부 외측 밀착편(131a)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후술할 제1 높낮이 조절부(150)의 일부는 제1 하부 외측 밀착편(131a)과 제1 하부 내측 지지부(132) 사이에 결합되는 것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제1 하부 내측 지지부(132)는, 제1 하부 외측 밀착편(131a)에 밀착 고정되는 제1 하부 내측 밀착편(132a)을 포함하고, 후술할 제1 높낮이 조절부(150)의 일부는 제1 하부 외측 밀착편(131a)과 제1 하부 내측 밀착편(132a) 사이에 결합되는 것 또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1 높낮이 조절부(150)는,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상, 하부 수용홈(151, 152)에 제1 중심 규제편(154)이 형성된 제1 높낮이 조절 스크류(153)의 상, 하 양단부가 수용되고, 높낮이 조절은 제1 상, 하부 높낮이 조절 너트(155, 156)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상부 수용홈(151)은 제1 상부 외측 지지부(111)와 제1 상부 내측 지지부(112)가 맞닿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제1 상부 외측 지지부(111) 및 제1 상부 내측 지지부(112)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1 직경으로 함몰된 것이다.
제1 하부 수용홈(152)은 제1 하부 외측 지지부(131)와 제1 하부 내측 지지부(132)가 맞닿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제1 하부 외측 지지부(131) 및 제1 하부 내측 지지부(132)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제1 직경으로 함몰된 것이다.
제1 높낮이 조절 스크류(153)는 제1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제2 직경을 가지며 상부측 외주면 및 하부측 외주면을 따라 각각 나사산이 형성된 것이다.
제1 중심 규제편(154)은 제1 높낮이 조절 스크류(153)의 중간부 외주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제1 상부 높낮이 조절 너트(155)는 제1 높낮이 조절 스크류(153)의 상부측 외주면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어 제1 상부 수용홈(151)의 입구 가장자리 외측에 걸리는 것이다.
제1 하부 높낮이 조절 너트(156)는 제1 높낮이 조절 스크류(153)의 하부측 외주면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어 제1 하부 수용홈(152)의 입구 가장자리 외측에 걸리는 것이다.
여기서, 제1 상부 수용홈(151)과 제1 하부 수용홈(152)의 내주면에는 제1 높낮이 조절 스크류(153)의 상,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수 나사산과 대응하는 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강력하고 확실한 체결력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1 중심 규제편(154)은 제1 높낮이 조절 스크류(153)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제1 상부 높낮이 조절 너트(155)가 지나치게 하강하거나, 제1 하부 높낮이 조절 너트(156)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규제하고, 중간부임을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높낮이 조절 스크류(153)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문틀과 같은 설치 대상물(500)인 경우에는 두 개 정도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제1 상부 높낮이 조절 너트(155)의 상면은, 제1 상부 높낮이 조절 너트(155)가 나사 결합하여 상승한 결과, 제1 상부 외측 지지부(111) 및 제1 상부 내측 지지부(112)의 하면에 맞닿아 제1 상부 지지부(110)의 상면이 문틀의 천장면에 맞닿아 밀착되도록 한다.
아울러, 제1 하부 높낮이 조절 너트(156)의 하면은, 제1 하부 높낮이 조절 너트(156)가 나사 결합하여 하강한 결과, 제1 하부 외측 지지부(131) 및 제1 하부 내측 지지부(132)의 상면에 맞닿아 제1 하부 지지부(130)의 하면이 문틀의 바닥면에 맞닿아 밀착되도록 한다.
한편, 제2 상부 지지부(120)는, 제2 면(502)의 상부측에 걸림 고정되는 제2 상부 외측 지지부(121)와, 제2 상부 외측 지지부(121)의 내측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2 상부 내측 지지부(122)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부 지지부(140)는, 제2 면(502)의 하부측에 걸림 고정되는 제2 하부 외측 지지부(141)와, 제2 하부 외측 지지부(141)의 내측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2 하부 내측 지지부(142)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제2 높낮이 조절부(160)의 상부측은 제2 상부 외측 지지부(121)와 제2 상부 내측 지지부(122) 사이에 결합되고, 제2 높낮이 조절부(160)의 하부측은 제2 하부 외측 지지부(141)와 제2 하부 내측 지지부(142) 사이에 결합됨을 도 4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후술할 제2 유닛(200)의 양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제3 유닛(300)은 제2 하부 내측 지지부(142)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 또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상부 외측 지지부(121)는,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 면(502)의 상부측에 접촉되는 제2 상부 외측 밀착편(121a)과, 제2 상부 외측 밀착편(121a)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제2 면(502)의 일측 가장자리에 걸림 고정되는 제2 상부 외측 걸림편(121b)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할 제2 상부 내측 지지부(122)는 제2 상부 외측 밀착편(121a)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후술할 제2 높낮이 조절부(160)의 일부는 제2 상부 외측 밀착편(121a)과 제2 상부 내측 지지부(122) 사이에 결합되는 것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제2 상부 내측 지지부(122)는, 제2 상부 외측 밀착편(121a)에 밀착 고정되는 제2 상부 내측 밀착편(122a)을 포함하고, 후술할 제2 높낮이 조절부(160)의 일부는 제2 상부 외측 밀착편(121a)과 제2 상부 내측 밀착편(122a) 사이에 결합되는 것 또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2 하부 외측 지지부(141)는,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 면(502)의 하부측에 접촉되는 제2 하부 외측 밀착편(141a)과, 제2 하부 외측 밀착편(141a)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제2 면(502)의 일측 가장자리에 걸림 고정되는 제2 하부 외측 걸림편(141b)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할 제2 하부 내측 지지부(142)는 제2 하부 외측 밀착편(141a)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후술할 제2 높낮이 조절부(160)의 일부는 제2 하부 외측 밀착편(141a)과 제2 하부 내측 지지부(142) 사이에 결합되는 것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제2 하부 내측 지지부(142)는, 제2 하부 외측 밀착편(141a)에 밀착 고정되는 제2 하부 내측 밀착편(142a)을 포함하고, 후술할 제2 높낮이 조절부(160)의 일부는 제2 하부 외측 밀착편(141a)과 제2 하부 내측 밀착편(142a) 사이에 결합되는 것 또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2 높낮이 조절부(160)는,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 상, 하부 수용홈(161, 162)에 제2 중심 규제편(164)이 형성된 제2 높낮이 조절 스크류(163)의 상, 하 양단부가 수용되고, 높낮이 조절은 제2 상, 하부 높낮이 조절 너트(165, 166)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제2 상부 수용홈(161)은 제2 상부 외측 지지부(121)와 제2 상부 내측 지지부(122)가 맞닿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제2 상부 외측 지지부(121) 및 제2 상부 내측 지지부(122)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1 직경으로 함몰된 것이다.
제2 하부 수용홈(162)은 제2 하부 외측 지지부(141)와 제2 하부 내측 지지부(142)가 맞닿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제2 하부 외측 지지부(141) 및 제2 하부 내측 지지부(142)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제1 직경으로 함몰된 것이다.
제2 높낮이 조절 스크류(163)는 제1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제2 직경을 가지며 상부측 외주면 및 하부측 외주면을 따라 각각 나사산이 형성된 것이다.
제2 중심 규제편(164)은 제2 높낮이 조절 스크류(163)의 중간부 외주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제2 상부 높낮이 조절 너트(165)는 제2 높낮이 조절 스크류(163)의 상부측 외주면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어 제2 상부 수용홈(161)의 입구 가장자리 외측에 걸리는 것이다.
제2 하부 높낮이 조절 너트(166)는 제2 높낮이 조절 스크류(163)의 하부측 외주면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어 제2 하부 수용홈(162)의 입구 가장자리 외측에 걸리는 것이다.
여기서, 제2 상부 수용홈(161)과 제2 하부 수용홈(162)의 내주면에는 제2 높낮이 조절 스크류(163)의 상,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수 나사산과 대응하는 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강력하고 확실한 체결력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2 중심 규제편(164)은 제2 높낮이 조절 스크류(163)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제2 상부 높낮이 조절 너트(165)가 지나치게 하강하거나, 제2 하부 높낮이 조절 너트(166)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규제하고, 중간부임을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높낮이 조절 스크류(163)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문틀과 같은 설치 대상물(500)인 경우에는 두 개 정도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제2 상부 높낮이 조절 너트(165)의 상면은, 제2 상부 높낮이 조절 너트(165)가 나사 결합하여 상승한 결과, 제2 상부 외측 지지부(121) 및 제2 상부 내측 지지부(122)의 하면에 맞닿아 제2 상부 지지부(120)의 상면이 문틀의 천장면에 맞닿아 밀착되도록 한다.
아울러, 제2 하부 높낮이 조절 너트(166)의 하면은, 제2 하부 높낮이 조절 너트(166)가 나사 결합하여 하강한 결과, 제2 하부 외측 지지부(141) 및 제2 하부 내측 지지부(142)의 상면에 맞닿아 제2 하부 지지부(140)의 하면이 문틀의 바닥면에 맞닿아 밀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입체 화살표 방향으로 제1, 2 높낮이 조절부(150, 160)에 의하여 상하 연결된 제1 상, 하부 지지부(110, 130)와 제2 상, 하부 지지부(120, 140)를 문틀과 같은 설치 대상물(500)의 제1, 2 면(501, 502)에 접촉시키고 걸림 고정시킨후, 제1, 2 높낮이 조절부(150, 160)로 상하 길이 조절하여 설치 대상물(500)의 천장 및 바닥면에 밀착 고정되게 한 다음, 제2 유닛(200)의 설치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도 6과 같이 원기둥 형상인 파지봉(201)의 일단부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안착 블록(210)과, 파지봉(201)의 타단부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안착 블록(2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유닛(200)은, 제1 안착 블록(210)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1 상면(211)과, 제1 안착 블록(210)의 하면을 형성하며 제1 상면(211)과 평행한 제1 하면(21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상면(211)은 제1 안착 블록(210)이 후술할 제3 유닛(300)에 수납되어 안착 고정될 때, 후술할 제3 유닛(300) 중 제1 회동편(320)의 하면(324)과 맞닿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 하면(212)은 후술할 제3 유닛(300) 중 복수의 제1 가이드홈(310) 중 하나의 제1 가이드홈(310) 바닥면에 맞닿아 안착된다.
이러한 제1 안착 블록(210)의 안착 고정 상태는 도 11(a)를 참조하면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닛(200)은, 제2 안착 블록(220)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2 상면(221)과, 제2 안착 블록(220)의 하면을 형성하며 제2 상면(221)과 평행한 제2 하면(22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상면(221)은 제2 안착 블록(220)이 후술할 제3 유닛(300)에 수납되어 안착 고정될 때, 후술할 제3 유닛(300) 중 제2 회동편(340)의 하면(344)과 맞닿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2 하면(222)은 후술할 제3 유닛(300) 중 복수의 제2 가이드홈(330) 중 하나의 제2 가이드홈(330) 바닥면에 맞닿아 안착된다.
이러한 제2 안착 블록(220)의 안착 고정 상태는 도 11(b)를 참조하면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3 유닛(300)은,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파지봉(201)의 일단부를 안내 수납 안착시키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제1 가이드홈(310)과, 제1 가이드홈(310)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안착 고정된 파지봉(210)의 일단부를 확실하게 눌러 고정시키는 제1 회동편(32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가이드홈(310)은 제1 유닛(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1 면(501)에 고정된 제1 유닛(100) 중 중공인 제1 하부 내측 지지부(132), 즉 제1 하부 내측 밀착편(132a)의 일측 가장자리와 연결된 측면으로부터 절개 형성된 것이다.
제1 회동편(320)은 제1 하부 내측 지지부(132)에 내장되는 상단부와, 제1 가이드홈(310)의 상부측에 노출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며, 상단부에 대하여 하단부가 제1 하부 내측 밀착편(132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파지봉(201)의 일단부, 즉 제1 안착 블록(210)은, 도 7 및 도 9와 같이 제1 가이드홈(310)의 입구로부터 삽입되어 제1 회동편(320)을 도 10과 같이 제1 가이드홈(310)으로부터 제1 하부 내측 지지부(132)의 내부로 밀어넣으면서 도 8 및 도 11과 같이 제1 가이드홈(310)의 바닥면(314)에 안착된다.
여기서, 안착된 제1 안착 블록(210)은 제1 회동편(320)의 하면(324)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이드홈(310)은, 제1 하부 내측 지지부(132)의 일측 가장자리와 연결된 측면으로부터 일정 폭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된 제1 경사 안내부(311)와, 제1 경사 안내부(311)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폭으로 하부측을 향하여 제1 하부 내측 지지부(132)의 일측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절개 형성된 제1 직선 안내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경사 안내부(311) 및 제1 직선 안내부(312)의 폭은 파지봉(201)의 일단부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1 안착 블록(210)의 폭보다 크거나 같아야 제1 안착 블록(210)의 이동에 지장이 없을 것이다.
한편, 제3 유닛(300)은, 파지봉(201)의 일단부에 의하여 제1 가이드홈(310)으로부터 밀려나 회동한 제1 회동편(320)이 제1 하부 내측 지지부(132)에 완전히 일시 수납될 수 있도록, 제1 하부 내측 지지부(132)의 내부에 함몰 형성된 제1 수납 포켓(이하 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3 유닛(300)은, 제1 회동편(320)의 하단부가 제1 회동편(320)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1 하부 내측 지지부(132)를 관통하여 제1 회동편(320)의 상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1 회동핀(32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동편(320)의 하면(324)은, 도 9와 같이 파지봉(201)의 일단부가 삽입되기 전에는 제1 가이드홈(310)의 바닥면(314)과 평행을 이루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가이드홈(310)은, 제1 경사 안내부(311)와 제1 직선 안내부(312)의 양측 연결 부위를 라운드지게 연결한 원호 형상의 제1 곡면 연결부(313a, 313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회동편(320)의 외측 가장자리와 연결된 외측면 상의 한 지점은, 파지봉(201)의 일단부가 삽입되기 전에는 도 9와 같이 양측의 제1 곡면 연결부(313a, 313b) 중 일측 제1 곡면 연결부(313a)에 맞닿음으로써, 제1 회동편(320)의 하면(324)이 제1 가이드홈(310)의 바닥면(314)과 평행을 이루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3 유닛(300)은,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파지봉(201)의 타단부를 안내 수납 안착시키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제2 가이드홈(330)과, 제2 가이드홈(330)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안착 고정된 파지봉(201)의 타단부를 확실하게 눌러 고정시키는 제2 회동편(34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2 가이드홈(330)은 제1 유닛(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2 면(502)에 고정된 제1 유닛(100) 중 중공인 제2 하부 내측 지지부(142)의 일측 가장자리와 연결된 측면으로부터 절개 형성된 것이다.
제2 회동편(340)은 제2 하부 내측 지지부(142)에 내장되는 상단부와, 제2 가이드홈(330)의 상부측에 노출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며, 상단부에 대하여 하단부가 제2 하부 내측 지지부(14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파지봉(201)의 타단부, 즉 제2 안착 블록(220)은, 제2 가이드홈(330)의 입구로부터 삽입되어 제2 회동편(340)을 제2 가이드홈(330)으로부터 제2 하부 내측 지지부(142)의 내부로 밀어넣으면서 도 11과 같이 제2 가이드홈(330)의 바닥면(334)에 안착된다.
여기서, 안착된 제2 안착 블록(220)은 제2 회동편(340)의 하면(344)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가이드홈(330)은, 제2 하부 내측 지지부(142)의 일측 가장자리와 연결된 측면으로부터 일정 폭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된 제2 경사 안내부(331)와, 제2 경사 안내부(331)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폭으로 하부측을 향하여 제2 하부 내측 지지부(142)의 일측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절개 형성된 제2 직선 안내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경사 안내부(331) 및 제2 직선 안내부(332)의 폭은 파지봉(201)의 타단부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2 안착 블록(220)의 폭보다 크거나 같아야 제2 안착 블록(220)의 이동에 지장이 없을 것이다.
한편, 제3 유닛(300)은, 파지봉(201)의 일단부에 의하여 제2 가이드홈(330)으로부터 밀려나 회동한 제2 회동편(340)이 제2 하부 내측 지지부(142)에 완전히 일시 수납될 수 있도록, 제2 하부 내측 지지부(142)의 내부에 함몰 형성된 제2 수납 포켓(이하 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3 유닛(300)은, 제2 회동편(340)의 하단부가 제2 회동편(340)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2 하부 내측 지지부(142)를 관통하여 제2 회동편(340)의 상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2 회동핀(34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회동편(340)의 하면(344)은, 도 9를 비교 참조하면서 다시 도 4(b)를 참조하면 파지봉(201)의 타단부가 삽입되기 전에는 제2 가이드홈(330)의 바닥면(334)과 평행을 이루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가이드홈(330)은, 제2 경사 안내부(331)와 제2 직선 안내부(332)의 양측 연결 부위를 라운드지게 연결한 원호 형상의 제2 곡면 연결부(333a, 333b)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제2 회동편(340)의 외측 가장자리와 연결된 외측면 상의 한 지점은, 파지봉(201)의 타단부가 삽입되기 전에는 양측의 제2 곡면 연결부(333a, 333b) 중 일측 제2 곡면 연결부(333a)에 맞닿음으로써, 제2 회동편(340)의 하면(344)이 제2 가이드 홈의 바닥면과 평행을 이루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설치 대상물(5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설치되고, 설치 대상물(500)의 상, 하 양단부의 길이에 대응하여 높낮이 조절 가능한 제1 유닛(100); 제1 유닛(10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양단부를 구비한 파지봉(201)을 포함하는 제2 유닛(200); 및 제1 유닛(100)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제2 유닛(200)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며, 삽입된 제2 유닛(200)의 양단부가 수납되어 안착되는 것을 허용하고, 제2 유닛(200)의 양단부가 안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3 유닛(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기존의 구조물을 활용하여 숙련도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설치하여 턱걸이 운동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벽면이나 기둥의 일부를 손상시켜 설치되어야 하는 선행기술과 달리 기존의 구조물에 전혀 손상을 가하지 아니하고 간단히 설치 또는 분리 해제하여 보관 및 수납할 수도 있으므로, 이사나 건물의 공사시 분리가 필요할 경우에 용이하게 설치 해제하여 운반 이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문틀에 설치할 경우 방문 손잡이의 위치와 문짝의 여닫는 방향을 회피하여, 즉 방문을 여닫는데 일체 간섭을 주지않고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경우에 따라 파지봉(201)을 아주 낮게 장착하여 팔굽혀펴기나 윗몸일으키기 등 응용 운동을 하는데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파지봉(201)에 밴드 등을 고정하여 사용하면 밴드를 이용한 여러가지 운동이나 스트레칭 등 다양한 응용 동작 및 운동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닛(100)은, 제1 면(501) 상부측에 접촉되는 제1 상부 지지부(110)와, 제2 면(502)상부측에 접촉되는 제2 상부 지지부(120)와, 제1 면(501) 하부측에 접촉되는 제1 하부 지지부(130)와, 제2 면(502) 하부측에 접촉되는 제2 하부 지지부(140)와, 제1 상부 지지부(110)의 상단부로부터 제1 하부 지지부(130)의 하단부까지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제1 상부 지지부(110)와 제1 하부 지지부(130)를 서로 연결하는 제1 높낮이 조절부(150)와, 제2 상부 지지부(120)의 상단부로부터 제2 하부 지지부(140)의 하단부까지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제2 상부 지지부(120)와 제2 하부 지지부(140)를 서로 연결하는 제2 높낮이 조절부(160)를 포함하며, 제2 유닛(200)의 양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제3 유닛(300)은 제1 하부 지지부(130) 및 제2 하부 지지부(140)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높이를 가진 문틀의 종류에 맞게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의 측면에서 매우 높은 효율성을 지닌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200)은, 원기둥 형상인 파지봉(201)의 일단부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안착 블록(210)과, 파지봉(201)의 타단부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안착 블록(220)을 더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턱걸이 운동을 할 때 파지봉(201)이 제1 유닛(1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제3 유닛(300)에 의하여 안착 고정될 수 있는 확실한 고정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 유닛(300)은, 제1 유닛(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1 면(501)에 고정된 제1 유닛(100) 중 중공인 제1 하부 내측 지지부(132)의 일측 가장자리와 연결된 측면으로부터 절개 형성된 제1 가이드홈(310)과, 제1 하부 내측 지지부(132)에 내장되는 상단부와, 제1 가이드홈(310)의 상부측에 노출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며, 상단부에 대하여 하단부가 제1 하부 내측 지지부(13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동편(320)을 포함하며, 파지봉(201)의 일단부는, 제1 가이드홈(310)의 입구로부터 삽입되어 제1 회동편(320)을 제1 가이드홈(310)으로부터 제1 하부 내측 지지부(132)의 내부로 밀어넣으면서 제1 가이드홈(310)의 바닥면(314)에 안착되고, 안착된 파지봉(201)의 일단부는 제1 회동편(320)의 하면(324)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턱걸이 운동을 하는 동안에 파지봉(201)을 회전축으로 하여 발생되는 여러 방향으로 발생되는 토크(torque)로 인한 요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3 유닛(300)은, 제1 유닛(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2 면(502)에 고정된 제1 유닛(100) 중 중공인 제2 하부 내측 지지부(142)의 일측 가장자리와 연결된 측면으로부터 절개 형성된 제2 가이드홈(330)과, 제2 하부 내측 지지부(142)에 내장되는 상단부와, 제2 가이드홈(330)의 상부측에 노출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며, 상단부에 대하여 하단부가 제2 하부 내측 지지부(14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동편(340)을 포함하며, 파지봉(201)의 타단부는, 제2 가이드홈(330)의 입구로부터 삽입되어 제2 회동편(340)을 제2 가이드홈(330)으로부터 제2 하부 내측 지지부(142)의 내부로 밀어넣으면서 제2 가이드홈(330)의 바닥면(334)에 안착되고, 안착된 파지봉(201)의 타단부는 제2 회동편(340)의 하면(344)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턱걸이 운동을 하는 동안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봉(201)을 회전축으로 하여 발생되는 여러 방향으로 발생되는 토크(torque, 입체 화살표 방향 참조)로 인한 요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구조물을 활용하여 숙련도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설치하여 턱걸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10...제1 상부 지지부
111...제1 상부 외측 지지부
111a...제1 상부 외측 밀착편
111b...제1 상부 외측 걸림편
112...제1 상부 내측 지지부
112a...제1 상부 내측 밀착편
120...제2 상부 지지부
121...제2 상부 외측 지지부
121a...제2 상부 외측 밀착편
121b...제2 상부 외측 걸림편
122...제2 상부 내측 지지부
122a...제2 상부 내측 밀착편
130...제1 하부 지지부
131...제1 하부 외측 지지부
131a...제1 하부 외측 밀착편
131b...제1 하부 외측 걸림편
132...제1 하부 내측 지지부
132a...제1 하부 내측 밀착편
140...제2 하부 지지부
141...제2 하부 외측 지지부
141a...제2 하부 외측 밀착편
141b...제2 하부 외측 걸림편
142...제2 하부 내측 지지부
142a...제2 하부 내측 밀착편
150...제1 높낮이 조절부
151...제1 상부 수용홈
152...제1 하부 수용홈
153...제1 높낮이 조절 스크류
154...제1 중심 규제편
155...제1 상부 높낮이 조절 너트
156...제1 하부 높낮이 조절 너트
160...제2 높낮이 조절부
161...제2 상부 수용홈
162...제2 하부 수용홈
163...제2 높낮이 조절 스크류
164...제2 중심 규제편
165...제2 상부 높낮이 조절 너트
166...제2 하부 높낮이 조절 너트
200...제2 유닛
201...파지봉
210...제1 안착 블록
211...제1 상면
212...제1 하면
220...제2 안착 블록
221...제2 상면
222...제2 하면
300...제3 유닛
310...제1 가이드홈
311...제1 경사 안내부
312...제1 직선 안내부
313a, 313b...제1 곡면 연결부
314...제1 가이드홈(310)의 바닥면
320...제1 회동편
321...제1 회동핀
324...제1 회동편(320)의 하면
330...제2 가이드홈
331...제2 경사 안내부
332...제2 직선 안내부
333a, 333b...제2 곡면 연결부
334...제2 가이드홈(330)의 바닥면
340...제2 회동편
341...제2 회동핀
344...제2 회동편(340)의 하면
500...설치 대상물
501...제1 면
502...제2 면

Claims (5)

  1. 설치 대상물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설치 대상물의 상, 하 양단부의 길이에 대응하여 높낮이 조절 가능한 것으로, 상기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일측의 면(이하 제1 면) 상부측에 접촉되는 제1 상부 지지부와, 상기 서로 마주보는 면 중 타측의 면(이하 제2 면) 상부측에 접촉되는 제2 상부 지지부와, 상기 제1 면 하부측에 접촉되는 제1 하부 지지부와, 상기 제2 면 하부측에 접촉되는 제2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제1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양단부를 구비한 파지봉과, 원기둥 형상인 상기 파지봉의 일단부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안착 블록과, 상기 파지봉의 타단부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안착 블록을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닛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며, 삽입된 상기 제2 유닛의 양단부가 수납되어 안착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제2 유닛의 양단부가 안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3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상부 지지부는,
    상기 제1 면의 상부측에 접촉되는 제1 상부 외측 밀착편과, 상기 제1 상부 외측 밀착편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면의 일측 가장자리에 걸림 고정되는 제1 상부 외측 걸림편을 포함하는 제1 상부 외측 지지부와,
    상기 제1 상부 외측 지지부의 내측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1 상부 내측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상부 지지부는,
    상기 제2 면의 상부측에 접촉되는 제2 상부 외측 밀착편과, 상기 제2 상부 외측 밀착편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면의 일측 가장자리에 걸림 고정되는 제2 상부 외측 걸림편을 포함하는 제2 상부 외측 지지부와,
    상기 제2 상부 외측 지지부의 내측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2 상부 내측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 지지부는,
    상기 제1 면의 하부측에 접촉되는 제1 하부 외측 밀착편과, 상기 제1 하부 외측 밀착편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면의 일측 가장자리에 걸림 고정되는 제1 하부 외측 걸림편을 포함하는 제1 하부 외측 지지부와,
    상기 제1 하부 외측 지지부의 내측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1 하부 내측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부 지지부는,
    상기 제2 면의 하부측에 접촉되는 제2 하부 외측 밀착편과, 상기 제2 하부 외측 밀착편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면의 일측 가장자리에 걸림 고정되는 제2 하부 외측 걸림편을 포함하는 제2 하부 외측 지지부와,
    상기 제2 하부 외측 지지부의 내측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2 하부 내측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1 유닛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면에 고정된 중공인 상기 제1 하부 외측 걸림편의 일측 가장자리와 연결된 측면으로부터 절개 형성된 제1 가이드홈과,
    상기 제1 하부 내측 지지부에 내장되는 상단부와, 상기 제1 가이드홈의 상부측에 노출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부에 대하여 하단부가 상기 제1 하부 내측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동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 면에 고정된 중공인 상기 제2 하부 외측 걸림편의 일측 가장자리와 연결된 측면으로부터 절개 형성된 제2 가이드홈과,
    상기 제2 하부 내측 지지부에 내장되는 상단부와, 상기 제2 가이드홈의 상부측에 노출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부에 대하여 하단부가 상기 제2 하부 내측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상부 지지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1 하부 지지부의 하단부까지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상부 지지부와 상기 제1 하부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1 높낮이 조절부와,
    상기 제2 상부 지지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2 하부 지지부의 하단부까지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상부 지지부와 상기 제2 하부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높낮이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닛의 양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1 하부 지지부 및 상기 제2 하부 지지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봉의 일단부는, 상기 제1 가이드홈의 입구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1 회동편을 상기 제1 가이드홈으로부터 상기 제1 하부 내측 지지부의 내부로 밀어넣으면서 상기 제1 가이드홈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안착된 상기 파지봉의 일단부는 상기 제1 회동편의 하면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봉의 타단부는, 상기 제2 가이드홈의 입구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2 회동편을 상기 제2 가이드홈으로부터 상기 제2 하부 내측 지지부의 내부로 밀어넣으면서 상기 제2 가이드홈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안착된 상기 파지봉의 타단부는 상기 제2 회동편의 하면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
KR1020180097557A 2018-08-21 2018-08-21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 KR102109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557A KR102109092B1 (ko) 2018-08-21 2018-08-21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557A KR102109092B1 (ko) 2018-08-21 2018-08-21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777A KR20200021777A (ko) 2020-03-02
KR102109092B1 true KR102109092B1 (ko) 2020-05-11

Family

ID=69805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557A KR102109092B1 (ko) 2018-08-21 2018-08-21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0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029B1 (ko) 2021-12-13 2022-02-16 최세영 가정용 턱걸이 운동기구
WO2024098162A1 (en) * 2022-11-11 2024-05-16 Didyk William Dynamic workstation apparatus, methods, systems, and ki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555B1 (ko) * 2020-06-30 2021-12-10 방경택 실내 운동기구 어셈블리
KR102401338B1 (ko) * 2020-10-13 2022-05-24 송창현 문틀 운동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4624A1 (en) * 1999-08-09 2001-06-21 Yvan Cournoyer Body exerciser
KR200470221Y1 (ko) * 2012-11-20 2013-12-16 이종우 철봉
US20160263414A1 (en) * 2015-03-09 2016-09-15 Johnson Health Tech Co., Ltd. Horizontal bar hook
KR200486552Y1 (ko) 2017-05-23 2018-06-05 이재호 철봉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398A (ko) 2012-09-11 2014-03-20 서정수 실내용 철봉체 거치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4624A1 (en) * 1999-08-09 2001-06-21 Yvan Cournoyer Body exerciser
KR200470221Y1 (ko) * 2012-11-20 2013-12-16 이종우 철봉
US20160263414A1 (en) * 2015-03-09 2016-09-15 Johnson Health Tech Co., Ltd. Horizontal bar hook
KR200486552Y1 (ko) 2017-05-23 2018-06-05 이재호 철봉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029B1 (ko) 2021-12-13 2022-02-16 최세영 가정용 턱걸이 운동기구
WO2024098162A1 (en) * 2022-11-11 2024-05-16 Didyk William Dynamic workstation apparatus, methods, systems, and k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777A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9092B1 (ko)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
JP4350151B2 (ja) 回転可能なハンドルと回動可能なバーとを備えた引き上げ運動用組立体
US20120115683A1 (en) Pull-up bar
US8550964B2 (en) Resistanc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s
US73162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communication cable support structure
US6220988B1 (en) Exercise bar
US6179748B1 (en) Chin-up bar
KR200451111Y1 (ko) 회전형 타격 연습기
US8177692B2 (en) Pike pole exercise apparatus
US6692416B1 (en) Exercise machine handles
EP2380636A1 (en) Gymnastic equipment
US6913543B2 (en) Golf swing conditioner
US2729411A (en) Adjustable line hanger
CN208474659U (zh) 一种室内水管的安装结构
KR20100107923A (ko) 휴대용 팔씨름 단련기
CN213941988U (zh) 一种上肢协调训练装置
CN111514515B (zh) 一种多功能健身弹力拉绳装置
US20040254036A1 (en) Hand-eye trainer
CN209188063U (zh) 一种排球扣球训练装置
DE202008003744U1 (de) Klimmzug-Übungsgerät mit drehbaren Handgriffen und schwenkbarer Stange
US7094187B1 (en) Exercise device
CN206391512U (zh) 一种用于体育教育训练的发球器
US11745050B2 (en) Positioning device for a portable fitness equipment
CN114288606B (zh) 便于使用的竹制跳绳
CN2386844Y (zh) 运动器材的手动调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