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567B1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567B1
KR102107567B1 KR1020140012605A KR20140012605A KR102107567B1 KR 102107567 B1 KR102107567 B1 KR 102107567B1 KR 1020140012605 A KR1020140012605 A KR 1020140012605A KR 20140012605 A KR20140012605 A KR 20140012605A KR 102107567 B1 KR102107567 B1 KR 102107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display area
display
data
re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6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92420A (en
Inventor
김진필
고재현
김흰돌
손석윤
안국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2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567B1/en
Publication of KR20150092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4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5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1Resolution modifying circuits, e.g. variable screen forma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8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image processing hardwa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6Determination of a pixel data signal depending on the signal applied in the previous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1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낮은 제2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타이밍 제어부 및 상기 제3 영상 데이터 중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전압을 제1 클럭에 대응하여 생성하고,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 전압을 상기 제1 클럭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인 제2 클럭에 대응하여 생성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is provided.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unit including a first display area displaying an image of one resolution and a second display area displaying an image of a second resolution lower than the first resolution, and first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And a timing controller outputting third image data including secon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and a first dat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data among the thir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first clock. And a data driver for generating a second dat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second clock having a frequency lower than the frequency of the first clock.

Figure R1020140012605
Figure R1020140012605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표시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의 종류에는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및 전계 발광 표시 패널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으며 표시 패널의 종류에 따라 표시 장치의 종류는 달라질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panel o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Types of 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various typ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 plasma display panel, an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and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and the type of the display devic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display panel.

구동부는 타이밍 제어부, 데이터 구동부 및 스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화상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여 데이터 구동부 및 스캔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는 표시 패널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에 각각에 표시되는 계조를 제어하는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에 제공할 수 있다. 스캔 구동부는 복수의 화소 각각에 데이터 신호가 전달될지 여부를 제어하는 스캔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 패널에 제공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timing control unit, a data driving unit, and a scan driving unit. The timing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ata driving unit and the scan driving unit in response to information on an image provided from the outside. The data driver may generate a data voltage controlling a gray level displayed on each of a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and provide the data voltage to the display panel. The scan driver may generate a scan signal that controls whether a data signal is transmit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and provides the scan signal to the display panel.

데이터 구동부는 생성된 데이터 전압을 표시 패널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다만, 표시 장치가 대형화되고 해상도가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데이터 라인의 수는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이 증가될 수 있다.The data driver may transmit the generated data voltage through the data line of the display panel. However, as the display device becomes larger and the resolution increases, the number of such data lines increases, and accordingly, power consumption of the display device may increase.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품질을 제공하면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while providing substantially the same display quality.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품질을 제공하면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while providing substantially the same display quality.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1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낮은 제2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타이밍 제어부 및 상기 제3 영상 데이터 중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전압을 제1 클럭에 대응하여 생성하고,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 전압을 상기 제1 클럭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인 제2 클럭에 대응하여 생성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cludes a first display area displaying an image of one resolution and a second display area displaying an image of a second resolution lower than the first resolution. The display unit, a timing controller outputting third image data including first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region and secon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region, and the first image among the third image data Data generated by generating a first data voltage corresponding to data corresponding to a first clock, and generating a second dat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second clock having a frequency lower than the frequency of the first clock It includes a driving unit.

여기서, 상기 제1 해상도는 상기 제2 해상도의 n^2 배이고, 상기 제1 클럭의 주파수는 상기 제2 클럭의 주파수의 n 배이며, 상기 n은 2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Here, the first resolution is n ^ 2 times the second resolution, the frequency of the first clock is n time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clock, and n can be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여기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해상도 변환부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timing control unit generates the third image data in response to a resolution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first image data into the second image data and a setting signal for setting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It may include a data correction unit.

또한, 상기 제1 온 전압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포화 영역에 대응되는 게이트 전압이고, 상기 제2 온 전압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선형 영역에 대응되는 게이트 전압일 수 있다.Further, the first on voltage may be a gate voltage corresponding to a saturation region of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second on voltage may be a gate voltage corresponding to a linear region of the thin film transistor.

상기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n x n 매트릭스 형태의 화소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해상도 변환부는 상기 화소 블록의 화소들의 계조 값을 상기 화소 블록의 평균 계조 값으로 보정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includes at least one pixel block in the form of an nxn matrix, and the resolution converter corrects the gradation values of the pixels of the pixel block to the average gradation values of the pixel blocks to convert the first image data to the second image data. Can be converted to

사용자의 시선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영역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area setting unit may output a setting signal for setting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according to a user's gaze.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와 이전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영역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area setting unit that compares the image data of the current frame with the image data of the previous frame and outputs a setting signal for setting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클럭에 대응하여 제공하는 제1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클럭에 대응하여 제공하는 제2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driving unit provides the first data driving unit to provide the first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image data to the second display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lock. It may include a second data driving unit.

상기 표시부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는 상기 표시부의 영역별로 서로 다른 세기의 광을 제공하며,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광의 세기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광의 세기보다 클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light source unit for providing light to the display unit, the light source unit provides light of different intensities for each area of the display unit, and the intensity of the light provided in the first display area is the light provid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Can be greater than a century.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1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낮은 제2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2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전압을 제1 클럭에 대응하여 생성하고,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 전압을 상기 제1 클럭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인 제2 클럭에 대응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other problems includes a first display area displaying an image of a first resolution and a second displaying image of a second resolution lower than the first resolution.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including a display area,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first image data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ird image data including second image data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area; Outputting and generating a first dat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first clock, and generating a second dat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data having a frequency lower than the frequency of the first clock And generating in response to two clocks.

여기서 상기 제1 해상도는 상기 제2 해상도의 n^2 배이고, 상기 제1 클럭의 주파수는 상기 제2 클럭의 주파수의 n 배이며, 상기 n은 2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Here, the first resolution is n ^ 2 times the second resolution, the frequency of the first clock is n time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clock, and n can be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상기 제3 영상 데이터 출력 단계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해상도 변환 단계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image data output step may correspond to a resolution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first image data into the second image data and a setting signal for setting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It may include the step of generating.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와 이전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mparing image data of the current frame with image data of the previous frame and outputting a setting signal for setting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사용자의 시선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a setting signal for setting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according to a user's gaze.

상기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n x n 매트릭스 형태의 화소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해상도 변환 단계는 상기 화소 블록의 화소들의 계조 값을 상기 화소 블록의 평균 계조 값으로 보정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includes at least one pixel block in the form of an nxn matrix, and the resolution conversion step corrects the gradation values of the pixels of the pixel block to the average gradation values of the pixel block to convert the first image data to the second image. Can be converted to data.

상기 표시부에 광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광 제공 단계는 상기 표시부의 영역별로 서로 다른 세기의 광을 제공하며,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광의 세기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광의 세기보다 클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light to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providing of light provides light of different intensities for each region of the display unit, and intensity of light provided to the first display region is provided to the second display region. Can be greater than the intensity of the light.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즉, 소비 전력을 개선할 수 있다.That is, power consumption can be improved.

또한, 임장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바,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presence of the bar can be improved, and the display quality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해상도 변환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제3 영상 데이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제1 클럭과 제2 클럭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임베디드 된 제1 데이터 전압과 제2 데이터 전압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부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보정 영상 데이터 출력 단계의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timing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conver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resolution conversion process.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ird image data.
6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d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clock.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embedded first data voltage and a second data voltage.
9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convers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of the step of outputting the corrected image data.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식별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지칭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 refers to the same configuration.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제어부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부의 블록도이며, 도 4는 해상도 변환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제3 영상 데이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timing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ata conver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and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resolution conversion process, and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ird image data.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부(110), 타이밍 제어부(120), 데이터 구동부(130) 및 스캔 구동부(140)을 포함한다.1 and 5, the display device 10 includes a display unit 110, a timing control unit 120, a data driving unit 130, and a scan driving unit 140.

표시부(110)는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표시부(110)는 복수의 스캔 라인(SL1, SL2, ..., SLn), 복수의 스캔 라인(SL1, SL2, ..., SLn)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DL1, DL2, ..., DLm) 및 복수의 스캔 라인(SL1, SL2, ..., SLn) 중 하나와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DL1, DL2, ..., DLm) 중 하나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캔 라인(SL1, SL2, ..., SLn)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형상 일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복수의 스캔 라인(SL1, SL2, ..., SLn)은 순서대로 배치된 제1 내지 제n 스캔 라인(SL1, SL2, ..., SLn)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 라인(DL1, DL2, ..., DLm) 각각은 복수의 스캔 라인(SL1, SL2, ..., SLn)과 교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데이터 라인(DL1, DL2, ..., DLm)은 제1 방향(D1)과 수직인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D1)은 행 방향과 대응될 수 있으며 제2 방향(D2)은 열 방향과 대응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화소(PX) 각각은 복수의 스캔 라인(SL1, SL2, ..., SLn) 중 하나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DL1, DL2, ..., DLm) 중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 각각은 연결된 스캔 라인(SL1, SL2, ..., SLn)으로부터 제공되는 스캔 신호(S1, S2, ..., Sn)에 대응하여 연결된 데이터 라인(DL1, DL2, ..., DLm)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The display 110 may be an area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The display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scan lines SL1, SL2, ..., SLn, and a plurality of data lines DL1, DL2, .. that intersect the plurality of scan lines SL1, SL2, ..., SLn. ., DLm) and one of the plurality of scan lines SL1, SL2, ..., SLn, and one of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1, DL2, ..., DLm, and a plurality of pixels PX respectively connected ). The plurality of scan lines SL1, SL2, ..., SLn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may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The plurality of scan lines SL1, SL2, ..., SLn may include first to nth scan lines SL1, SL2, ..., SLn arranged in order. Each of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1, DL2, ..., DLm may intersect the plurality of scan lines SL1, SL2, ..., SLn. That is,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1, DL2, ..., DLm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D2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1, and may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Here, the first direction D1 may correspond to the row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D2 may correspond to the column direction. The plurality of pixels PX may be arranged in a matrix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PX may be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scan lines SL1, SL2, ..., SLn and one of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1, DL2, ..., DLm.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PX is connected to the scan signals S1, S2, ..., Sn provided from the connected scan lines SL1, SL2, ..., SLn, and the data lines DL1, DL2,. .., DLm).

표시부(110)는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 영역(110a)은 제2 표시 영역(110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의 범위 및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은 표시 장치(10)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한 시청 거리, 시청 방향 및 시야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 표시 영역(110a)은 사용자의 정면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시야내의 주 시청 영역일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110b)은 사용자의 시야 외각의 보조 시청 영역일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의 범위 및 위치는 기 설정된 상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의 제1 표시 영역(110a) 및 제2 표시 영역(110b)은 사용자 또는 시스템의 신호에 의해 그 범위 및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0 may include a first display area 110a and a second display area 110b. As illustrated in FIG. 1, the first display area 110a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display areas 110b. However, the range and position of the first display area 110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are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display area 110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viewing distance, viewing direction, and field of view based on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10. That is, the first display area 110a may b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user, and may be a main viewing area within the user's field of view.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may be an auxiliary viewing area outside the user's field of view. The range and position of the first display area 110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may be in a preset stat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display area 110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in som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hereto. The range and position can be changed by the signal of the user or system.

표시부(110)는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은 하나의 영상의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제1 표시 영역(110a)에서 표시되는 영상과 제2 표시 영역(110b)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서로 해상도가 상이할 수 있다. 즉, 제1 표시 영역(110a)은 제1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2 표시 영역(110b)은 제2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해상도는 제1 해상도보다 낮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해상도는 3840X2160이고, 제2 해상도는 1920X1080로서, 제1 해상도는 제2 해상도의 4배일 수 있다. 보조 시청 영역인 제2 표시 영역(110b)은 제2 해상도로 표시되지만, 주 시청 영역인 제1 표시 영역(110a)은 제1 해상도로 표시되므로, 표시 장치(110)의 사용자는 실질적으로 제1 해상도의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즉, 표시부(110)는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가진 영역을 포함하지만, 주 시청 영역에 해당하는 제1 표시 영역은 고해상도를 유지하기에 실질적으로 시청자가 인식하는 표시 품질은 기타 다른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The display 110 may display one image. That is, the first display area 110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may be displayed by dividing one image. However, an image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110a and an image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may have different resolutions. That is, the first display area 110a may display an image of the first resolution, and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may display an image of the second resolution. Here, the second resolution may be lower than the first resolution.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resolution is 3840X2160, the second resolution is 1920X1080, and the first resolution may be four times the second resolution. The second viewing area 110b as the secondary viewing area is displayed at the second resolution, but the first viewing area 110a as the primary viewing area is displayed at the first resolution, so that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110 is substantially the first You can watch the resolution video. That is, the display unit 110 includes regions having different resolutions, but the first display region corresponding to the main viewing region maintains high resolution, so that the display quality perceived by the viewer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other display devices. can do.

타이밍 제어부(120)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타이밍 제어 신호(TCS)를 입력 받아 데이터 구동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 신호(DCS) 및 스캔 구동부(140)를 제어하기 위한 스캔 제어 신호(SCS)를 생성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 신호(TCS)는 클럭 신호(CLK),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일 수 있다. The timing controller 120 receives a timing control signal (TCS) from an external system and receives a data control signal (DCS) for controlling the data driver 130 and a scan control signal (SCS) for controlling the scan driver 140. Can be created. The timing control signal TCS may be a clock signal CLK,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and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또한, 타이밍 제어부(120)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입력 받아 보정된 제3 영상 데이터(DATA3)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타이밍 제어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 제어부(120)는 데이터 변환부(121), 데이터 제어 신호 생성부(122) 및 스캔 제어 신호 생성부(123)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timing control unit 120 may receive the first image data DATA1 and output the corrected third image data DATA3. More 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 2, the timing control unit 120 may include a data conversion unit 121, a data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122, and a scan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123. Can be.

데이터 변환부(121)는 해상도 변환부(121a) 및 데이터 보정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 데이터(DATA1)는 해상도 변환부(121a) 및 데이터 보정부(121b)에 모두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상 데이터(DATA1)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원시 영상 데이터일 수 있으며, 제1 해상도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해상도 변환부(121a)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제2 영상 데이터(DATA2)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영상 데이터(DATA2)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에 비해 해상도가 감소된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즉, 해상도 변환부(121a)는 고해상도의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데이터 에버리징(Data Averaging) 과정을 수행하여 저해상도인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다.The data conversion unit 121 may include a resolution conversion unit 121a and a data correction unit 121b. As illustrated in FIG. 3, the first image data DATA1 may be input to both the resolution converter 121a and the data correction unit 121b. Here, the first image data DATA1 may be raw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outside, or may b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solution. The resolution converter 121a may convert the first image data DATA1 into second image data DATA2. The second image data DATA2 may be image data having a reduced resolution compared to the first image data DATA1. That is, the resolution converter 121a may generate the low-resolution second image data DATA2 by performing the data averaging process of the high-resolution first image data DATA1.

표시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n x n 매트릭스 형태의 화소 블록(P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블록(PB)는 제1 내지 제4 화소(PX1, ..., PX4)로 구성된 2 x 2 매트릭스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해상도 변환부(121a)는 화소 블록(PB)의 화소들(PX1, ..., PX4)의 계조 값을 화소들(PX1, ..., PX4)의 평균 계조 값으로 보정할 수 있다. 즉,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기준으로 제1 내지 제4 화소(PX1, ..., PX4)에 입력되는 계조 값은 D1, ..., D4일 수 있으며, 상기 계조 값들의 평균 계조 값은 Da일 수 있다. 해상도 변환부(121a)는 제1 내지 제4 화소(PX1, ..., PX4)에 입력되는 계조 값을 Da로 변환하여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2 영상 데이터(DATA2)의 화소 블록(PB)은 동일한 계조 값을 표현할 수 있으며, 이는 하나의 새로운 화소로 간주될 수 있다. 제2 영상 데이터(DATA2)는 화소 블록(B) 단위로써 하나의 화소가 새로이 정의되기에, 제1 영상 데이터(DATA1)에 비해 해상도가 감소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화소를 구성된 화소 블록(PB)으로 데이터 에버리징(Data Averaging)을 수행한다면 제1 영상 데이터(DATA1)의 1/4에 해당하는 해상도를 가지는 제2 영상 데이터(DATA2)가 생성될 수 있다. 해상도 변환부(121a)는 생성된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데이터 보정부(121b)로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pixel block PB in the form of an n x n matrix. As illustrated in FIG. 4, the pixel block PB may be in the form of a 2 x 2 matrix composed of first to fourth pixels PX1, ..., PX4,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resolution converter 121a may correct the grayscale values of the pixels PX1, ..., PX4 of the pixel block PB to the average grayscale values of the pixels PX1, ..., PX4. That is, the grayscale values input to the first to fourth pixels PX1, ..., PX4 based on the first image data DATA1 may be D1, ..., D4, and the average grayscale of the grayscale values The value can be Da. The resolution converter 121a may generate the second image data DATA2 by converting the gradation values input to the first to fourth pixels PX1, ..., PX4 to Da. That is, the pixel blocks PB of the second image data DATA2 can express the same grayscale value, which can be regarded as one new pixel. Since the second image data DATA2 is newly defined as a pixel block (B) unit, resolution may be reduced compared to the first image data DATA1. As illustrated in FIG. 4, if data averaging is performed using four pixel pixels PBs, second image data having a resolution corresponding to 1/4 of the first image data DATA1 ( DATA2) can be created. The resolution converter 121a may output the generated second image data DATA2 to the data correction unit 121b.

데이터 보정부(121b)에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와 제2 영상 데이터(DATA2)가 입력될 수 있다. 데이터 보정부(121b)는 표시 영역(110)의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에 각각 대응되도록 제1 영상 데이터(DATA1)와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조합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영상 데이터(DATA3)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와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영상 데이터(DATA1)는 제1 표시 영역(110a)에 입력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제2 영상 데이터(DATA2)는 제2 표시 영역(110b)에 입력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표시 영역(110a)은 고해상도인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제2 표시 영역(110b)은 저해상도인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표시할 수 있다.The first image data DATA1 and the second image data DATA2 may be input to the data correction unit 121b. The data compensator 121b combines the first image data DATA1 and the second image data DATA2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display area 110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of the display area 110, respectively. Can be.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5, the third image data DATA3 may include first image data DATA1 and second image data DATA2, and the first image data DATA1 is the first display. The data may be input to the region 110a, and the second image data DATA2 may be data input to the second display region 110b.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display area 110a may display first image data DATA1 having high resolution, and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may display second image data DATA2 having low resolution. have.

데이터 제어 신호 생성부(122)는 클럭 신호(CLK) 및 수평 동기 신호(Hsync)를 수신 받을 수 있으며, 데이터 제어 신호(DCS)를 데이터 구동부(130)에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제어 신호(DCS)는 예를 들어,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SSP) 및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일 수 있다. 여기서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서로 주파수가 다른 제1 클럭(SSC1)와 제2 클럭(SSC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The data control signal generator 122 may receive the clock signal CLK and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and output the data control signal DCS to the data driver 130. The data control signal DCS may be, for example, a source start pulse (SSP) and a source sampling clock (SSC). Here, the source sampling clock SSC may include a first clock SSC1 and a second clock SSC2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스캔 제어 신호 생성부(123)는 클럭 신호(CLK)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수신 받을 수 있으며, 스캔 제어 신호(SCS)를 스캔 구동부(120)에 출력할 수 있다. 스캔 제어 신호(SCS)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및 게이트 샘플링 클럭(Gate Sampling Clock: GSC)일 수 있다.The scan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123 may receive the clock signal CLK and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nd output the scan control signal SCS to the scan driver 120. The scan control signal SCS may be a gate start pulse (GSP) and a gate sampling clock (GSC).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스캔 구동부(140)는 스캔 제어 신호(SCS)에 수신 받으며, 이에 대응하여 복수의 스캔 신호(S1, S2, ..., Sn)을 표시부(110)에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스캔 신호(S1, S2, ..., Sn)은 대응되어 연결된 복수의 스캔 라인(SL1, SL2, ..., SLn)을 통해서 각각의 화소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턴-온(Turn-on)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scan driver 140 receives the scan control signal SCS and correspondingly outputs a plurality of scan signals S1, S2, ..., Sn to the display unit 110. have. The plurality of scan signals S1, S2, ..., Sn are turned on by turning on a thin film transistor of each pixel through a plurality of scan lines SL1, SL2, ..., SLn connected to each other. )can do.

데이터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데이터 제어 신호(DCS) 및 제3 영상 데이터(DATA3)를 수신 받을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전압은 데이터 라인(DL1, DL2 ..., DLm)을 통해 각각의 턴-온(Turn-on)된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데이터 구동부(13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data driving unit 130 may receive the data control signal DCS and the third image data DATA3 from the timing control unit 120, and output a data voltage based on the data control signal DCS. The data voltage may be input through the source terminal of each turn-on thin film transistor through the data lines DL1, DL2 ..., DLm. Hereinafter, the data driver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의 블록도이며, 도 7은 제1 클럭과 제2 클럭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8은 임베디드 된 제1 데이터 전압과 제2 데이터 전압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d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first clock and a second clock, and FIG. 8 is a diagram of embedded first data voltage and second data voltage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데이터 구동부(130)는 제1 데이터 구동부(131a) 및 제2 데이터 구동부(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구동부(131a)는 제3 영상 데이터(DATA3) 중 제1 영상 데이터(DATA1)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전압(HD1, HD2, ..., HDm)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제2 데이터 구동부(131b)는 제3 영상 데이터(DATA3) 중 제2 영상 데이터(DATA)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 전압(LD1, LD2, ..., LDm)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구동부(131a) 및 제2 데이터 구동부(131b)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 및 제2 영상 데이터(DATA3)를 각각 수신 받을 수 있다. 6 to 8, the data driver 130 may include a first data driver 131a and a second data driver 131b. The first data driver 131a may output first data voltages HD1, HD2, ..., HDm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data DATA1 among the third image data DATA3, and the second data The driver 131b may output second data voltages LD1, LD2, ..., LDm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data DATA among the third image data DATA3. The first data driver 131a and the second data driver 131b may receive the source start pulse SSP and the second image data DATA3, respectively.

다만, 제1 데이터 구동부(131a)는 제1 클럭(SSC1)이 소스 샘플링 클럭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제2 데이터 구동부(131b)는 제1 클럭(SSC1)보다 낮은 주파수인 제2 클럭(SSC2)가 소스 샘플링 클럭으로 입력될 수 있다. 즉, 제1 데이터 구동부(131a)는 제1 클럭(SSC1)에 대응하여 소스 스타트 펄스(SSP)를 쉬프트하여 제1 샘플링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제2 데이터 구동부(131b)는 제2 클럭(SSC2)에 대응하여 소스 스타트 펄스(SSP)를 쉬프트하여 제2 샘플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데이터 구동부(131a)는 상기 제1 샘플링 신호에 응답하여 제3 영상 데이터(DATA3) 중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샘플링하여 래치할 수 있으며, 감마 전압 생성부(미도시)에서 출력되는 감마 기준 전압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전압(HD1, HD2, ..., HDm)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구동부(131b)는 상기 제2 샘플링 신호에 응답하여 제3 영상 데이터(DATA3) 중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샘플링하여 래치할 수 있으며, 감마 전압 생성부(미도시)에서 출력되는 감마 기준 전압에 기초하여 제2 데이터 전압(LD1, LD2, ..., LDm)을 생성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first data driver 131a, the first clock SSC1 may be input as a source sampling clock, and the second data driver 131b may have a second clock SSC2 having a lower frequency than the first clock SSC1. Can be input as the source sampling clock. That is, the first data driver 131a may output a first sampling signal by shifting the source start pulse SSP in response to the first clock SSC1, and the second data driver 131b may include a second clock ( The second sampling signal may be output by shifting the source start pulse SSP in response to SSC2). In addition, the first data driver 131a may sample and latch the first image data DATA1 among the third image data DATA3 in response to the first sampling signal, and the gamma voltage generator (not shown) The first data voltages HD1, HD2, ..., HDm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output gamma reference voltage. The second data driver 131b may sample and latch the second image data DATA2 among the third image data DATA3 in response to the second sampling signal, and is output from the gamma voltage generator (not shown). The second data voltages LD1, LD2, ..., LDm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gamma reference voltage.

여기서 제1 데이터 전압(HD1, HD2, ..., HDm)은 제1 표시 영역(110a)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데이터 전압(HL1, HL2, ..., HLm)은 제2 표시 영역(110b)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110a)은 제1 클럭(SSC1)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압이 인가될 수 있으며, 제2 표시 영역(110b)은 제2 클력(SSC2)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data voltages HD1, HD2, ..., HDm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display area 110a, and the second data voltages HL1, HL2, ..., HLm may be provided to the second display area. It may be provided in (110b). The dat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lock SSC1 may be applied to the first display area 110a, and the dat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lock force SSC2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여기서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의 해상도 관계와 제1 클럭(SSC1)과 제2 클럭(SSC2)의 주파수 관계는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 표시 영역(110a)의 제1 해상도가 제2 표시 영역(110b)의 제2 해상도의 n^2배일 때, 제1 클럭(SSC1)의 주파수는 제2 클럭(SSC2)의 주파수는 n배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해상도가 제2 해상도의 4 배일 때, 제1 클럭(SSC1)의 주파수는 제2 클럭(SSC2)의 주파수의 2 배일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가 낮은 제2 클럭(SSC2)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전력은 제1 클럭(SSC1)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전력보다 낮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 전력이 절감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저해상도 영역에 해당하는 제2 표시 영역(110b)에 제공되는 제2 데이터 전압(HL1, HL2, ..., HLm)이 낮은 주파수인 제2 클럭(SSC2)에 대응되어 생성될 수 있기에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표시 영역(110b)을 저 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하더라도 보조 시청 영역에 해당하기에 사용자가 체감하는 표시 품질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품질을 제공하면서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Here, the resolu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display area 110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and the frequency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clock SSC1 and the second clock SSC2 may correspond. That is, when the first resolution of the first display area 110a is n ^ 2 times the second resolution of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the frequency of the first clock SSC1 i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clock SSC2. It can be n times. As illustrated in FIG. 7, when the first resolution is four times the second resolution, the frequency of the first clock SSC1 may be twice the frequency of the second clock SSC2. Here, the power required to provide the second clock SSC2 having a low frequency may be lower than the power required to provide the first clock SSC1, and accordingly, power consumption may be reduced. That is,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cond data voltage (HL1, HL2, ..., HLm) provid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corresponding to the low-resolution area having a low frequency. Since it can be gener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two clocks SSC2,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displays an image with a low resolution, since it corresponds to the auxiliary viewing area, the display quality experienced by the user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That is,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while providing substantially the same display quality.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데이터 전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 신호와 데이터 전압이 병합된 임베디드(embedded) 형태일 수 있다. 고 해상도인 제1 표시 영역(110a)에 제공되는 제1 데이터 전압(HD1)의 패킷에서 영상 데이터 전송에 소모되는 패킷의 수는 저 해상도인 제2 표시 영역(110b)에 제공되는 제2 데이터 전압(HL1)의 패킷에서 영상 데이터 전송에 소모되는 패킷의 수의 두 배일 수 있다. 즉, 제2 데이터 전압(HL1)의 나머지 패킷은 블랭크(Blank) 상태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되는 전력이 절감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some embodiments, the data voltage may be an embedded form in which a clock signal and a data voltage are merged as illustrated in FIG. 8. The number of packets consumed for transmitting image data in the packet of the first data voltage HD1 provided in the first display area 110a having a high resolution is the second data voltage provid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having a low resolution. It may be twice the number of packets consumed for transmitting image data in the packet of (HL1). That is, the remaining packets of the second data voltage HL1 may be in a blank state, and accordingly power consumed may be reduced.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언급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already mentioned are omitted or simplified, and the differences are mainly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부의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convers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는 도 1 내지 도 8의 표시 장치(10)에 비해 표시 영역 설정부(250) 및 광원부(260)를 더 포함하며, 표시 장치(20)의 데이터 보정부(221b)는 표시 영역 설정부(250)에서 제공되는 설정 신호(DS)에 대응하여 제3 영상 데이터(DATA3)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데이터 보정부(221b)는 설정 신호(DS)에 의해 설정된 제1 표시 영역(210a) 및 제2 표시 영역(210b)에 대응되도록 제3 영상 데이터(DATA3)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보정부(221b)는 설정 신호(DS)에 대응하여 광원 제어 신호(LCS)를 생성할 수 있으며, 광원 제어 신호(LCS)를 광원부(260)로 출력할 수 있다.9 to 10, the display device 2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isplay area setting unit 250 and a light source unit 260 compared to the display device 10 of FIGS. 1 to 8. Included, the data correction unit 221b of the display device 20 may generate the third image data DATA3 in response to the setting signal DS provided from the display area setting unit 250. That is, the data correction unit 221b may generate the third image data DATA3 to correspond to the first display area 210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210b set by the setting signal DS. In addition, the data correction unit 221b may generate a light source control signal LCS in response to the set signal DS, and may output the light source control signal LCS to the light source unit 260.

표시 영역 설정부(250)는 표시부(210)에서 제1 표시 영역(210a)과 제2 표시 영역(210b)의 위치와 범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한 설정 신호(DS)를 데이터 보정부(221b)에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영역 설정부(250)는 사용자의 시선에 의해 제1 표시 영역(210a)과 제2 표시 영역(210b)을 설정할 수 있다. 즉, 표시부(210)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일면은 사용자의 시선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표시부(21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정보가 반사된 사용자의 눈동자를 촬영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눈동자 촬영 정보와 표시부(210)의 영상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응시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응시 방향을 추정하는 데이터를 표시 영역 설정부(250)에 제공할 수 있으며, 표시 영역 설정부(250)는 이를 토대로 사용자의 시선이 주로 머무는 주 시청 영역에 해당하는 제1 표시 영역(210a)와 보조 시청 영역에 해당하는 제2 표시 영역(210b)의 위치 및 범위를 각각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한 설정 신호(DS)를 데이터 보정부(221b)에 제공할 수 있다. The display area setting unit 250 may set the position and range of the first display area 210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210b in the display unit 210, and the data correction unit ( 221b). The display area setting unit 250 may set the first display area 210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210b by the user's gaze. That is, a sensor (not shown) capable of recognizing a user's gaze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10. The sensor may photograph the user's pupil whose information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10 is reflected, and estimate the user's gaze direction based on the user's pupil shooting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display unit 210. The sensor may provide data for estimating the gaze direction to the display area setting unit 250, and based on this, the display area setting unit 250 may include a first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a main viewing area in which the user's gaze mainly stays ( The location and range of the second display area 210b corresponding to 210a) and the auxiliary viewing area may be respectively set, and a corresponding setting signal DS may be provided to the data correction unit 221b.

다만 표시 영역의 설정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의 표시 영역 설정부(250)는 현재 프레임의 제1 영상 데이터(DATA1) 및 이전 프레임의 제1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데이터의 변화량이 큰 동영상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1 표시 영역(210a)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변화량의 적은 정지영상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2 표시 영역(210b)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However, the method of setting the display area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splay area setting unit 250 in some embodiments compares the first image data DATA1 of the current frame and the first image data of the previous frame, and thus the amount of change of data is large. An area corresponding to a video may be set as the first display area 210a, and an area corresponding to a still image having a small amount of change in data may be set as the second display area 210b.

광원부(260)는 표시부(210)에 광(L)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장치(2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으며, 표시부(210)는 자체 발광을 하지 못하고 배면광을 투과시키는 액정 패널(Liquid panel)일 수 있다. 광원부(260)는 표시부(210)의 영역별로 서로 다른 세기의 광을 제공할 수 있다. 광원부(260)는 표시부(210)의 각 화소(PX)에 대응되는 발광 블록(미도시)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발광 블록(미도시)의 발광 정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데이터 보정부(221b)는 발광 제어 신호(LCS)를 광원부(26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광 블록별로 발광 세기는 조절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unit 260 may provide light L to the display unit 210. Here, the display device 2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the display unit 210 may be a liquid crystal panel that does not emit light and transmits back light. The light source unit 260 may provide light having different intensities for each region of the display unit 210. The light source unit 260 includes a light emitting block (not shown) corresponding to each pixel PX of the display unit 210 and can independently control the light emission level of each light emitting block (not shown). That is, the data correction unit 221b may provide the light emission control signal LCS to the light source unit 260, and accordingly, the light emission intensity for each light emission block may be adjusted.

여기서 본 실시예의 발광 제어 신호(LCS)는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이 서로 다른 세기의 광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다. 즉, 데이터 보정부(221b)는 설정 신호(DS)에 의해 설정된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에 대응되는 영역에 서로 다른 세기의 광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발광 제어 신호(LCS)를 광원부(260)에 제공할 수 있다. 광원부(260)는 제1 표시 영역(110a)에 제1 광(L1)을 제공하고 제2 표시 영역(110b)에 제1 광(L)보다 약한 세기를 가진 제2 광(L2)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보조 시청 영역에 해당하는 제2 표시 영역(110b)에는 보다 약한 광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주 시청 영역인 제1 표시 영역(110a)에서 보조 시청 영역인 제2 표시 영역(110b)으로 갈수록 약한 광이 제공되기에, 표시면(210)의 측부로 갈수록 표시 영상은 어두워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 영상의 인장감은 향상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는 보다 높은 표시 품질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Here, the light emission control signal LCS of this embodiment may be a signal that controls the first display area 110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to provide light having different intensities. That is, the data correction unit 221b controls a light emission control signal to provide light having different intensities to areas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110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set by the setting signal DS. (LCS) may be provided to the light source unit 260. The light source unit 260 provides the first light L1 to the first display area 110a and the second light L2 having a weaker intensity than the first light L to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Can be. That is, weaker light may be provided to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viewing area, and accordingly, power consumption may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weaker light is provided from the first display area 110a which is the main viewing area to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which is the secondary viewing area, the display image may become darker toward the side of the display surface 210. Accordingly, the tension of the display image can be improved. That is, the display device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provide a higher display quality but also reduce power consumption.

그 밖에 표시 장치(20)에 포함된 구성들에 대한 다른 설명은 도 1 내지 도 8의 표시 장치(10)에 포함된 동일한 명칭을 갖는 설명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Other 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2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escriptions having the same name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10 of FIGS. 1 to 8 and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12는 보정 영상 데이터 출력 단계의 순서도이다. 11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flowchart of a step of outputting corrected image data.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1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110a) 및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낮은 제2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 영역(110b)을 포함하는 표시부(110)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제3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S110) 및 상기 표시 영역별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S120)을 포함한다.11 and 12,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area 110a displaying an image of a first resolution and a second resolution lower than the first resolution.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110 including a second display area 110b displaying an image, the method comprising: outputting third image data (S110) and generating data voltages for each display region (S120).

먼저, 제3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S110).First, the third image data is output (S110).

표시부(110)는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은 하나의 영상의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제1 표시 영역(110a)에서 표시되는 영상과 제2 표시 영역(110b)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서로 해상도가 상이할 수 있다. 즉, 제1 표시 영역(110a)은 제1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2 표시 영역(110b)은 제2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해상도는 제1 해상도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 영역(110a)은 사용자의 정면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시야내의 주 시청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표시 영역(110b)은 사용자의 시야 외각의 보조 시청 영역일 수 있다. 보조 시청 영역인 제2 표시 영역(110b)은 제2 해상도로 표시되지만, 주 시청 영역인 제1 표시 영역(110a)은 제1 해상도로 표시되므로, 표시 장치(110)의 사용자는 실질적으로 제1 해상도의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즉, 표시부(110)는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가진 영역을 포함하지만, 주 시청 영역에 해당하는 제1 표시 영역은 고해상도를 유지하기에 실질적으로 시청자가 인식하는 표시 품질은 기타 다른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0 may display one image, and may include a first display area 110a and a second display area 110b. That is, the first display area 110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may be displayed by dividing one image. However, an image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110a and an image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may have different resolutions. That is, the first display area 110a may display an image of the first resolution, and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may display an image of the second resolution. Here, the second resolution may be lower than the first resolution. Also, the first display area 110a may b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user, and may be a main viewing area within the user's field of view. In addition,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may be an auxiliary viewing area outside the user's field of view. The second viewing area 110b as the secondary viewing area is displayed at the second resolution, but the first viewing area 110a as the primary viewing area is displayed at the first resolution, so that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110 is substantially the first You can watch the resolution video. That is, the display unit 110 includes regions having different resolutions, but the first display region corresponding to the main viewing region maintains high resolution, so that the display quality perceived by the viewer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other display devices. can do.

타이밍 제어부(120)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입력 받고 이를 변환하여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1 영상 데이터(DATA1)가 제1 표시 영역(110a)에 대응되고, 제2 영상 데이터(DATA2)가 제2 표시 영역(110b)에 대응되도록 조합된 제3 영상 데이터(DATA3)를 생성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생성된 제3 영상 데이터(DATA3)를 데이터 구동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The timing controller 120 may receive the first image data DATA1 and convert it to generate the second image data DATA2, and the first image data DATA1 corresponds to the first display area 110a. The combined third image data DATA3 may be generated such that the second image data DATA2 corresponds to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The timing controller 120 may output the generated third image data DATA3 to the data driver 120.

보다 상세하게, 제3 영상 데이터 출력 단계(S110)는 해상도 변환 단계(S112)와 제3 영상 데이터 생성 단계(S11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타이밍 제어부(120)는 해상도 변환부(121a) 및 데이터 보정부(12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상도 변환부(121a)에서 해상도 변환 단계(S112)가 수행된 후, 데이터 보정부(121b)에서 제3 영상 데이터(DATA3)이 생성하는 단계(S114)가 수행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third image data output step S110 may include a resolution conversion step S112 and a third image data generation step S114. That is, the timing control unit 120 may include a resolution conversion unit 121a and a data correction unit 121b, and after the resolution conversion step S112 is performed in the resolution conversion unit 121a, the data correction unit 121b In step S114, the third image data DATA3 is generated.

제1 영상 데이터(DATA1)는 해상도 변환부(121a) 및 데이터 보정부(121b)에 모두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상 데이터(DATA1)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원시 영상 데이터일 수 있으며, 제1 해상도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해상도 변환부(121a)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제2 영상 데이터(DATA2)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영상 데이터(DATA2)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에 비해 해상도가 감소된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즉, 해상도 변환부(121a)는 고해상도의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데이터 에버리징(Data Averaging)하여 저해상도인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에버리징 과정은 표시 장치(10)에서의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생략하도록 한다.The first image data DATA1 may be input to both the resolution converter 121a and the data correction unit 121b. Here, the first image data DATA1 may be raw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outside, or may b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solution. The resolution converter 121a may convert the first image data DATA1 into second image data DATA2. The second image data DATA2 may be image data having a reduced resolution compared to the first image data DATA1. That is, the resolution converter 121a may generate low-resolution second image data DATA2 by data averaging the high-resolution first image data DATA1. Here, the data averaging process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escription in the display device 10, so that it is omitted.

데이터 보정부(121b)에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와 제2 영상 데이터(DATA2)가 입력될 수 있다. 데이터 보정부(121b)는 표시 영역(110)의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에 각각 대응되도록 제1 영상 데이터(DATA1)와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조합할 수 있다. 제3 영상 데이터(DATA3)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와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영상 데이터(DATA1)는 제1 표시 영역(110a)에 입력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제2 영상 데이터(DATA2)는 제2 표시 영역(110b)에 입력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데이터 보정부(121b)는 생성된 제3 영상 데이터(DATA3)를 데이터 구동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image data DATA1 and the second image data DATA2 may be input to the data correction unit 121b. The data compensator 121b combines the first image data DATA1 and the second image data DATA2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display area 110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of the display area 110, respectively. Can be. The third image data DATA3 may include first image data DATA1 and second image data DATA2, and the first image data DATA1 may be data input to the first display area 110a. The second image data DATA2 may be data input to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The data correction unit 121b may output the generated third image data DATA3 to the data driver 130.

또한, 타이밍 제어부(120)는 데이터 제어 신호(DCS)를 생성하여 데이터 제공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제어 신호(DCS)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 및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일 수 있으며,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제1 클럭(SSC1) 및 제1 클럭(SSC1)보다 낮은 주파수인 제2 클럭(SSC2)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ming control unit 120 may generate a data control signal DCS and output it to the data providing unit 130. The data control signal DCS may be a source start pulse SSP and a source sampling clock SSC, and the source sampling clock SSC may be lower than the first clock SSC1 and the first clock SSC1. A second clock SSC2, which is a frequency, may be included.

이어서, 표시 영역별 데이터 전압을 생성한다(S120).Subsequently, a data voltage for each display area is generated (S120).

데이터 구동부(130)는 제3 영상 데이터(DATA3)를 수신 받을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데이터 구동부(130)는 제1 데이터 구동부(131a) 및 제2 데이터 구동부(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구동부(131a)는 제3 영상 데이터(DATA3) 중 제1 영상 데이터(DATA1)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전압(HD1, HD2, ..., HDm)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제2 데이터 구동부(131b)는 제3 영상 데이터(DATA3) 중 제2 영상 데이터(DATA)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 전압(LD1, LD2, ..., LDm)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구동부(131a) 및 제2 데이터 구동부(131b)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 및 제2 영상 데이터(DATA3)를 각각 수신 받을 수 있다.The data driver 130 may receive the third image data DATA3, and output a data voltage based on this. In more detail, the data driver 130 may include a first data driver 131a and a second data driver 131b. The first data driver 131a may output first data voltages HD1, HD2, ..., HDm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data DATA1 among the third image data DATA3, and the second data The driver 131b may output second data voltages LD1, LD2, ..., LDm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data DATA among the third image data DATA3. The first data driver 131a and the second data driver 131b may receive the source start pulse SSP and the second image data DATA3, respectively.

다만, 제1 데이터 구동부(131a)는 제1 클럭(SSC1)이 소스 샘플링 클럭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제2 데이터 구동부(131b)는 제1 클럭(SSC1)보다 낮은 주파수인 제2 클럭(SSC2)가 소스 샘플링 클럭으로 입력될 수 있다. 즉, 제1 데이터 구동부(131a)는 제1 클럭(SSC1)에 대응하여 소스 스타트 펄스(SSP)를 쉬프트하여 제1 샘플링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제2 데이터 구동부(131b)는 제2 클럭(SSC2)에 대응하여 소스 스타트 펄스(SSP)를 쉬프트하여 제2 샘플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데이터 구동부(131a)는 상기 제1 샘플링 신호에 응답하여 제3 영상 데이터(DATA3) 중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샘플링하여 래치할 수 있으며, 감마 전압 생성부(미도시)에서 출력되는 감마 기준 전압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전압(HD1, HD2, ..., HDm)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구동부(131b)는 상기 제2 샘플링 신호에 응답하여 제3 영상 데이터(DATA3) 중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샘플링하여 래치할 수 있으며, 감마 전압 생성부(미도시)에서 출력되는 감마 기준 전압에 기초하여 제2 데이터 전압(LD1, LD2, ..., LDm)을 생성할 수 있다.However, in the first data driver 131a, the first clock SSC1 may be input as a source sampling clock, and the second data driver 131b may have a second clock SSC2 having a lower frequency than the first clock SSC1. Can be input as the source sampling clock. That is, the first data driver 131a may output a first sampling signal by shifting the source start pulse SSP in response to the first clock SSC1, and the second data driver 131b may include a second clock ( The second sampling signal may be output by shifting the source start pulse SSP in response to SSC2). In addition, the first data driver 131a may sample and latch the first image data DATA1 among the third image data DATA3 in response to the first sampling signal, and the gamma voltage generator (not shown) The first data voltages HD1, HD2, ..., HDm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output gamma reference voltage. The second data driver 131b may sample and latch the second image data DATA2 among the third image data DATA3 in response to the second sampling signal, and is output from the gamma voltage generator (not shown). The second data voltages LD1, LD2, ..., LDm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gamma reference voltage.

여기서 제1 데이터 전압(HD1, HD2, ..., HDm)은 제1 표시 영역(110a)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데이터 전압(HL1, HL2, ..., HLm)은 제2 표시 영역(110b)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110a)은 제1 클럭(SSC1)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압이 인가될 수 있으며, 제2 표시 영역(110b)은 제2 클럭(SSC2)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Here, the first data voltages HD1, HD2, ..., HDm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display area 110a, and the second data voltages HL1, HL2, ..., HLm may be provided to the second display area. It may be provided in (110b). The dat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lock SSC1 may be applied to the first display area 110a, and the dat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lock SSC2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여기서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의 해상도 관계와 제1 클럭(SSC1)과 제2 클럭(SSC2)의 주파수 관계는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 표시 영역(110a)의 제1 해상도가 제2 표시 영역(110b)의 제2 해상도의 n^2배일 때, 제1 클럭(SSC1)의 주파수는 제2 클럭(SSC2)의 주파수는 n배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해상도가 제2 해상도의 4 배일 때, 제1 클럭(SSC1)의 주파수는 제2 클럭(SSC2)의 주파수의 2 배일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가 낮은 제2 클럭(SSC2)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전력은 제1 클럭(SSC1)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전력보다 낮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 전력이 절감될 수 있다. Here, the resolu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display area 110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and the frequency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clock SSC1 and the second clock SSC2 may correspond. That is, when the first resolution of the first display area 110a is n ^ 2 times the second resolution of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the frequency of the first clock SSC1 i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clock SSC2. It can be n times. As illustrated in FIG. 7, when the first resolution is four times the second resolution, the frequency of the first clock SSC1 may be twice the frequency of the second clock SSC2. Here, the power required to provide the second clock SSC2 having a low frequency may be lower than the power required to provide the first clock SSC1, and accordingly, power consumption may be reduced.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저해상도 영역에 해당하는 제2 표시 영역(110b)에 제공되는 제2 데이터 전압(HL1, HL2, ..., HLm)이 낮은 주파수인 제2 클럭(SSC2)에 대응되어 생성될 수 있기에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표시 영역(110b)을 저 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하더라도 보조 시청 영역에 해당하기에 사용자가 체감하는 표시 품질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품질을 제공하면서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That is, in the driv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second clock having a low frequency of the second data voltages HL1, HL2, ..., HLm provided to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corresponding to the low resolution area Since it can be generated corresponding to (SSC2),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displays an image with a low resolution, since it corresponds to the auxiliary viewing area, the display quality experienced by the user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The driv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reduce power consumption while providing substantially the same display quality.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 설정 단계는 해상도 변환 단계(S112) 이후 및 제3 영상 데이터 생성 단계(S114) 이전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in some embodiments, the driv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setting the first display area 110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The display area setting step may be after the resolution conversion step (S112) and before the third image data generation step (S114),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의 범위 및 위치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와 이전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의 범위 및 위치는 사용자의 시선에 의해 설정될 수 도 있다.The range and position of the first display area 110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may be set by comparing image data of a current frame with image data of a previous fram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ange and position of the first display area 110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may be set by a user's gaze.

나아가,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표시부(110)에 광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광 제공 단계는 표시부(110)에 영역별로 서로 다른 세기의 광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표시 영역(110a)에 제공되는 광의 세기는 제2 표시 영역(110b)에 제공되는 광의 세기보다 클 수 있다. 즉, 보조 시청 영역에 해당하는 제2 표시 영역(110b)에는 보다 약한 광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주 시청 영역인 제1 표시 영역(110a)에서 보조 시청 영역인 제2 표시 영역(110b)으로 갈수록 약한 광이 제공되기에, 표시면(210)의 측부로 갈수록 표시 영상은 어두워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 영상의 인장감은 향상될 수 있다.Furthermore, in some embodiments,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light to the display unit 110. Here, the display device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light providing step may provide light having different intensities for each area to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intensity of light provided to the first display area 110a is greater than the intensity of light provided to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Can be. That is, weaker light may be provided to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viewing area, and accordingly, power consumption may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weaker light is provided from the first display area 110a which is the main viewing area to the second display area 110b which is the secondary viewing area, the display image may become darker toward the side of the display surface 210. Accordingly, the tension of the display image can be improved.

그 밖에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에 포함된 구성들에 대한 다른 설명은 도 1 내지 도 8의 표시 장치(10)에 포함된 동일한 명칭을 갖는 설명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Other 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driv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escriptions having the same name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10 of FIGS. 1 to 8 and thus will be omitt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10, 210: 표시부
120, 220: 스캔 구동부
130, 230: 데이터 구동부
140, 240: 타이밍 제어부
150, 250: 전압 생성부
10, 2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0, 210: display
120, 220: scan driver
130, 230: data driver
140, 240: timing control
150, 250: voltage generator
10, 20: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laims (15)

제1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낮은 제2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타이밍 제어부; 및
상기 제3 영상 데이터 중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전압을 제1 클럭에 대응하여 생성하고,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 전압을 상기 제1 클럭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인 제2 클럭에 대응하여 생성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여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영상 데이터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영상 데이터가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 장치.
A display unit including a first display area displaying an image of a first resolution and a second display area displaying an image of a second resolution lower than the first resolution;
A timing control unit outputting third image data including first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region and secon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region; And
A first dat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data among the third image data is generated corresponding to a first clock, and a second dat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data is lower than a frequency of the first clock And a data driver that is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lock,
The timing control unit converts the first image data to generate the second image data, such that the first image data corresponds to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image data corresponds to the second display area. A display device that generates the third image data by combining the first image data and the second image dat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상도는 상기 제2 해상도의 n^2 배이고,
상기 제1 클럭의 주파수는 상기 제2 클럭의 주파수의 n 배이며,
상기 n은 2이상의 자연수인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esolution is n ^ 2 times the second resolution,
The frequency of the first clock is n time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clock,
The n is a natural number display device of 2 or mor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해상도 변환부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보정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iming control unit converts the first image data to the second image data, and a resolution conversion unit.
And a data correction unit generating the third image data in response to a set signal for setting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n x n 매트릭스 형태의 화소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해상도 변환부는 상기 화소 블록의 화소들의 계조 값을 상기 화소 블록의 평균 계조 값으로 보정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display unit includes at least one pixel block in the form of an nxn matrix,
The resolution converter converts the first image data into the second image data by correcting the gradation values of the pixels of the pixel block to the average gradation values of the pixel block.
제3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선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영역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3,
And a display area setting unit configured to output setting signals for setting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according to a user's gaze.
제3 항에 있어서,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와 이전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영역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3,
And a display area setting unit configured to compare the video data of the current frame with the video data of the previous frame and output a setting signal for setting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클럭에 대응하여 제공하는 제1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클럭에 대응하여 제공하는 제2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driving unit provides the first data driving unit to provide the first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image data to the second display region in response to the second clock.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 data driv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는 상기 표시부의 영역별로 서로 다른 세기의 광을 제공하며,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광의 세기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광의 세기보다 큰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ght source for providing light to the display unit,
The light source unit provides light of different intensities for each region of the display unit,
A display device having an intensity of light provided on the first display area greater than an intensity of light provided on the second display area.
제1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낮은 제2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2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전압을 제1 클럭에 대응하여 생성하고,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 전압을 상기 제1 클럭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인 제2 클럭에 대응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여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영상 데이터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영상 데이터가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including a first display area displaying an image of a first resolution and a second display area displaying an image of a second resolution lower than the first resolution, the method comprising:
Outputting third image data including first image data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area and second image data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area; And
A first dat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data is generated corresponding to a first clock, and a second dat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data is corresponding to a second clock having a frequency lower than the frequency of the first clock. It includes the steps to generate,
The step of outputting the third image data,
The first image is generated by converting the first image data to generate the second image data, the first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rea.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that generates the third image data by combining data with the second image data.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상도는 상기 제2 해상도의 n^2 배이고,
상기 제1 클럭의 주파수는 상기 제2 클럭의 주파수의 n 배이며,
상기 n은 2이상의 자연수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resolution is n ^ 2 times the second resolution,
The frequency of the first clock is n time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clock,
The n is a driving method of a display device having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상 데이터 출력 단계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해상도 변환 단계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third image data output step may include converting the first image data into the second image data and converting the resolution.
And generating the third image data in response to a setting signal for setting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제11 항에 있어서,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와 이전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nd comparing the image data of the current frame with the image data of the previous frame and outputting a setting signal for setting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제1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선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nd outputting a setting signal for setting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according to a user's gaze.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n x n 매트릭스 형태의 화소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해상도 변환 단계는 상기 화소 블록의 화소들의 계조 값을 상기 화소 블록의 평균 계조 값으로 보정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display unit includes at least one pixel block in the form of an nxn matrix,
In the converting of the resolution,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that converts the first image data into the second image data by correcting the gradation values of pixels in the pixel block to the average gradation values of the pixel block.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광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광 제공 단계는 상기 표시부의 영역별로 서로 다른 세기의 광을 제공하며,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광의 세기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광의 세기보다 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light to the display unit,
The light providing step provides light of different intensities for each region of the display unit,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intensity of light provided in the first display area is greater than the intensity of light provid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KR1020140012605A 2014-02-04 2014-02-04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KR1021075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605A KR102107567B1 (en) 2014-02-04 2014-02-04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605A KR102107567B1 (en) 2014-02-04 2014-02-04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420A KR20150092420A (en) 2015-08-13
KR102107567B1 true KR102107567B1 (en) 2020-05-08

Family

ID=54056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605A KR102107567B1 (en) 2014-02-04 2014-02-04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56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417A (en) 2019-10-21 2021-04-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riving controll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7300A1 (en) * 2011-09-27 2013-04-04 シャープ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7300A1 (en) * 2011-09-27 2013-04-04 シャープ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420A (en)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659B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8487863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529503B1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US1014737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 standby mode controller for storing a standby screen image
CN105895044B (en) The method of the big visual angle colour cast of liquid crystal display and improvement liquid crystal display
JP2005346052A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080044104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50026414A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070088930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10497328B2 (en) Display panel driving apparatus,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3083978A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KR101859481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140071707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126550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 same
KR20140025740A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20070196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reof
KR102107567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KR102185676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dimming of backlight
KR102019766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02028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uminance of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101973405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3020269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rive control circuit us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e method
KR20200086241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50105874A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31797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