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411B1 - A Joint Material for Chassis Frame and Variable type Chassis Module of Vehicl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Joint Material for Chassis Frame and Variable type Chassis Module of Vehicl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411B1
KR102107411B1 KR1020180148589A KR20180148589A KR102107411B1 KR 102107411 B1 KR102107411 B1 KR 102107411B1 KR 1020180148589 A KR1020180148589 A KR 1020180148589A KR 20180148589 A KR20180148589 A KR 20180148589A KR 102107411 B1 KR102107411 B1 KR 102107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module
frame
vehic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5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현록
황명환
한종호
김동현
최길우
양세현
이계성
이해솔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48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4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4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4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adjustable length or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hassis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s to each other which constitute a chassis comprises: a first beam-shaped protrusion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a second beam-shaped protrusion bent from an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protrusion toward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protrusion; and a stepped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from a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so as to b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and having one side surface to which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s is coupl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formed are a plurality of steps in which a first surfac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and a second surface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appear alternately. The chassis connecting member and a variable vehicle chassis module the using same can make easy manufacturing of a vehicle chassis, which requires small quantity batch production even with the same parts.

Description

차대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A Joint Material for Chassis Frame and Variable type Chassis Module of Vehicle using the same}{A Joint Material for Chassis Frame and Variable type Chassis Module of Vehic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대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대를 구성하는 프레임이 결합되는 연결부재에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는 위치를 복수 개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차대의 길이와 폭을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동일한 부품을 사용하더라도 다품목 소량 생산이 요구되는 차량의 차대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차대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and a variable undercarriage module of a vehicle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a position where the frames are coupl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positions at which the frame is coupled to a connecting member to which a frame constituting the undercarriage is coupled.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asily change the length and width of the undercarriage, so that even if the same parts are used, the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and the variable undercarriage of the vehicle using the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that can facilitate the production of undercarriage of a vehicle requiring small quantities of multiple items It's about modules.

일반적으로 차량이라 함은 통상의 자동차, 전기 자동차 또는 트랙터와 같은 작업용 차량 등을 모두 포함하는데, 이들 차량의 구조는 크게 차대 또는 섀시(chassis)로 통칭되는 하부 구조물과 차체 또는 바디(body)로 통칭되는 상부 구조물로 구분된다.In general, the vehicle includes all vehicles such as ordinary automobiles, electric vehicles, or working vehicles such as tractors, and the structure of these vehicles is largely referred to as an undercarriage or chassis and a body or body. It is divided into upper structures.

이러한 차량은 모델에 따라 차대의 길이와 폭이 달라지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기존의 자동차 생산라인의 경우 생산되는 차량의 모델별로 차대 제작에 사용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부품(프레임 등)을 별도로 제작하여 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Since these vehicles generally vary in length and width of the chassis depending on the model, in the case of an existing automobile production line, parts of different sizes (frames, etc.) used for manufacturing chassis are manufactured separately for each vehicle model. It was operated in the same way.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차량 생산 방식은 기존의 자동차와 같이 소품목 다량 생산의 경우에는 문제점이 없으나, 최근 개발되고 있는 전기 자동차나 작업용 차량 등과 같이 다품목 소량 생산이 요구되는 차량에 대해서는 부품의 제작 및 관리 비용의 증가로 인하여 차량의 생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과 부품의 혼용으로 인한 불량율의 증가로 생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vehicle production method does not have a problem in the case of mass production of small items like a conventional car, but the production of parts is required for a vehicle that requires small quantity production of multiple items such as an electric vehicle or a work vehicle recently developed.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cost of the vehicle i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management cost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is lower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defect rate due to the mixing of parts.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일한 부품을 사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차대를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는데, 이와 관련하여 하기 [문헌 1]과 [문헌 2] 등에는 차폭을 가변할 수 있는 차량의 차대 구조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manufacturing chassis of various sizes using the same parts. In this regard, [Document 1] and [Document 2], etc. A technique for undercarriage construction is disclosed.

그러나, 하기 선행문헌들의 경우에도 생산이 완료된 차량이 주행 중에 도로 상황에 따라 차폭을 가변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내용만 개시되어 있을 뿐, 차량의 생산 단계에서 동일한 부품으로 다양한 크기의 차대를 제작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술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여전히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the following prior documents, only the contents of a structure capable of varying the vehicle width depending on the road condition while the vehicle is being produced are disclosed, and manufacturing vehicle chassis of various sizes with the same parts in the production stage of the vehicle Since it is not related to the technology, there is a problem that still has the disadvantages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770944호(2017. 8. 24. 공고)[Document 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770944 (announced on August 24, 2017)

[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610513호(2016. 4. 20. 공고)[Document 2]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610513 (announced on April 20, 2016)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대를 구성하는 프레임이 결합되는 연결부재에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는 위치를 복수 개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차대의 길이와 폭을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동일한 부품을 사용하더라도 다품목 소량 생산이 요구되는 차량의 차대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차대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urality of positions where the frame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to which the frame constituting the chassis is coupled, where the frame is coupled.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asily change the length and width of the undercarriage, so that even if the same parts are used, the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and the variable undercarriage of the vehicle using the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that can facilitate the production of undercarriage of a vehicle requiring small quantities of multiple item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odu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대 연결부재는 차대(chassis)를 구성하는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서로 결합시키는 차대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평행한 빔 형상의 제1돌출부, 상기 제1돌출부의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제1돌출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제1돌출부의 하부면 방향으로 절곡된 빔 형상의 제2돌출부, 및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의 결합부에서 상기 제1돌출부의 하부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면에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차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한 제1면과 상기 가로 프레임과 평행한 제2면이 서로 교대로 나타나는 복수의 계단형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that combines a horizontal frame and a vertical frame constituting a chassis (chassis) to each other, the first projection having a beam shape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 A second protrusion having a beam shape bent in a direction toward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from on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so as to incline outwardly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to b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In the engaging portion of the proje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jection, and includes a step portion that is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on one side, the side of the step portion,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tepped steps in which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alternately appear are formed.

또한, 상기 제1돌출부의 상부면 일측에는 차량의 전방모듈 또는 후방모듈과 연결된 연결 프레임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이 상기 제1돌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or coupling groove to which a connection frame connected to the front module or rear module of the vehicle is coupled i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do.

또한, 상기 제2돌출부의 단부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한 측면 확장 프레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ide extension fram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is coupled to an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대 연결부재는 차대(chassis)를 구성하는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서로 결합시키는 차대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평행한 빔 형상의 제1돌출부와,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1돌출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1돌출부의 하부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면에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차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한 제1면과 상기 가로 프레임과 평행한 제2면이 서로 교대로 나타나는 복수의 계단형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for coupling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constituting the chassis (chassis) to each other, the first projection of the beam shape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 step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n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to be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and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protrusion to be parallel, the one side of the step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tepped steps are formed in which the first surfac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surface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alternate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돌출부의 상부면과 이웃하는 상기 단차부의 외측면은 상기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에 결합된 차량의 전방모듈 또는 후방모듈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돌출부의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is inclin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front module or the rear module of the vehicle coupled to the engaging projection or the engaging groove. It is characterized by form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대 연결부재는 차대(chassis)를 구성하는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서로 결합시키는 차대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평행한 빔 형상의 제1돌출부,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1돌출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1돌출부의 하부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면에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의 외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돌출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차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한 제1면과 상기 가로 프레임과 평행한 제2면이 서로 교대로 나타나는 복수의 계단형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for coupling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constituting the chassis (chassis) to each other, the first projection of the beam shape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A step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ne end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portion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port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is coupled to one side, and the first side from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step portion Including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of the protrusion, on one side of the step portion, there are a plurality of stepped steps in which the first surfac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surface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alternate with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은 복수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차대 모듈을 형성하는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가로 프레임, 상기 가로 프레임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 및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사각 형상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사각 형상의 모서리부에 각각 연결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각각, 상기 가로 프레임과 평행한 빔 형상의 제1돌출부, 상기 제1돌출부의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제1돌출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제1돌출부의 하부면 방향으로 절곡된 빔 형상의 제2돌출부, 및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의 결합부에서 상기 제1돌출부의 하부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면에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한 제1면과 상기 가로 프레임과 평행한 제2면이 서로 교대로 나타나는 복수의 계단형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ariable undercarriage modul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riable undercarriage module of a vehicle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re combined to form an undercarriage module, a pair of horizontal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left and right of the horizontal frame A pair of vertical frames are disposed on each,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each of the corners of the square shape so as to combine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in a square shape,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s are respectively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The first protrusion in the beam shape, the second protrusion in the beam shap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from on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to incline outwardly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first to b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from the engaging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the horizontal frame on one side At least one of the vertical frames includes a stepped portion, and on one side of the stepped portion, a plurality of stepped steps in which a first surfac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and a second surface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appear alternately with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또한,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이 각각 상기 연결부재의 제1면과 제2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차대 모듈의 폭과 길이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idth and length of the undercarriage module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re respectively coupled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connecting member.

또한, 상기 차량의 전방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의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전방모듈 프레임과, 상기 차량의 후방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의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후방모듈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사각 형상의 상단 모서리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돌출부의 상부면 일측에 상기 전방모듈 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사각 형상의 하단 모서리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돌출부의 상부면 일측에 상기 후방모듈 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air of front module frames connected to the front module of the vehicle and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rizontal frame, and a pair of rear modules connected to the rear module of the vehicle and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rizontal frame. Further comprising a module frame,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each of the upper corners of the square shape is formed on at least one first coupling protrusion to which any one of the front module frames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 The connecting memb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ower edge portions of the square shape ar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cond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to which one of the rear module frames is coupled.

또한, 상기 차량의 전방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의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전방모듈 프레임과, 상기 차량의 후방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의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후방모듈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사각 형상의 상단 모서리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돌출부의 상부면 일측에 상기 전방모듈 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사각 형상의 하단 모서리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돌출부의 상부면 일측에 상기 후방모듈 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air of front module frames connected to the front module of the vehicle and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rizontal frame, and a pair of rear modules connected to the rear module of the vehicle and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rizontal frame. Further comprising a module frame,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each of the upper corners of the square shape is formed with at least one first coupling groove in which any one of the front module frames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 The connecting memb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ower edge portions of the square shape ar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cond coupling groove to which any one of the rear module frames is coupl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또한, 상기 사각 형상의 외측에 각각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확장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 확장 프레임의 단부는 각각 상기 연결부재의 제2돌출부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er side of the square shape further includes a pair of side extension frames arranged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and the ends of the side extension frame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ends of the second protrusions of the connecting member. do.

또한, 상기 차량은 전기차이고, 상기 사각 형상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가 설치되어 상기 차대 모듈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is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battery is installed inside the rectangular shape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undercarriage modu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은 복수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차대 모듈을 형성하는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가로 프레임, 상기 가로 프레임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 및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사각 형상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사각 형상의 모서리부에 각각 연결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각각 상기 가로 프레임과 평행한 빔 형상의 제1돌출부와,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1돌출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1돌출부의 하부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면에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한 제1면과 상기 가로 프레임과 평행한 제2면이 서로 교대로 나타나는 복수의 계단형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ariable undercarriage modul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riable undercarriage module of a vehicle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re combined to form an undercarriage module, a pair of horizontal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left and right of the horizontal frame A pair of vertical frames are disposed on each, and the connecting member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orner portions of the square shape so as to combine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in a square shape,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s are beams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respectively. A first protrusion having a shape, and a steppe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n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so as to b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and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coupled to one side. Including, the first surfac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on one side of the step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tepped steps with alternating second surfaces parallel to the frame are formed.

또한, 상기 사각 형상의 외측에 각각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확장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각각 상기 단차부의 외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돌출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측면 확장 프레임의 단부는 각각 상기 연결부재의 제2돌출부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air of side extension frames, which are arranged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respectively, on the outer side of the square shape, and the connecting member, respectively, protrudes from the outer side of the step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first protrusion. Further comprising a projection, the end of the side extension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차대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은 차량의 차대를 구성하는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이 결합되는 연결부재의 일측면에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한 제1면과 상기 가로 프레임과 평행한 제2면이 서로 교대로 나타나는 복수의 계단형 단차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이 각각 상기 연결부재의 제1면과 제2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차대의 길이와 폭을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부품을 사용하더라도 다품목 소량 생산이 요구되는 차량의 차대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ariable undercarriage module of a vehicle using the same include a first surfac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on one side of a connecting member that combines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constituting the vehicle chassis. The length of the undercarriage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re respectively coupled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connecting member by forming a plurality of stepped steps where the parallel second surfaces alternately appear. Since the width and width can be easily changed, even if the same parts are used, there is an advantage of facilitating the manufacture of a chassis for a vehicle that requires small quantities of multiple items.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대 연결부재가 적용된 차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대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대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4와 도5는 각각 도2의 차대 연결부재를 적용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사시도, 및
도6과 도7는 각각 도3의 차대 연결부재를 적용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사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hassis to which the chassis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ssis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vehicle chassis module of a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chassis connection member of FIG. 2 is applied, respectively.
6 and 7 are exploded and combined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of the variable undercarriage modul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of FIG. 3 is applied.

본 명세서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시된 실시예와 상이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emplari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various forms different from the illustrated embodiments.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Further,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s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n the specification,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t is also included.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certain part of the specification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instead of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specification, the singular expression means that the plural expression is included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차대가 전기차용 차대인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기존의 자동차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다양한 작업용 차량의 차대에도 적용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ase where the chassis is an chassis for an electric vehicle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n existing vehicle but also to chassis of various various working vehicles.

(제1실시예)(Example 1)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대 연결부재가 적용된 차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대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hassis to which the chassis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assis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차대 연결부재(20)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차대의 중앙모듈(1)과, 상기 중앙모듈(1)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결합되는 전방모듈(2) 및 후방모듈(3)을 구성하는 빔(beam) 또는 바(bar) 형상의 프레임을 서로 결합시키는데 사용되는 구성요소이다.The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enter module 1 of a undercarriag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a front module 2 and a rear module 3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enter module 1, respectively. It is a component that is used to combine beam-shaped or beam-shaped frames constituting each other.

이때, 상기 중앙모듈(1)은 하부에서 차체(body)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전기차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B)이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entral module (1) is configured to perform a function of supporting a body (body) from the bottom,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 battery module (B) for driving an electric vehicle may be installed.

또한, 상기 전방모듈(front end module)(2)은 차량을 구동하는 모터 시스템, 전륜 시스템, 조향 시스템, 쿨링 시스템, 기타 차체 지지 프레임 등이 설치되는 구성이며, 상기 후방모듈(rear end module)(3)은 차량을 구동하는 후륜 시스템과 기타 차체 지지 프레임 등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In addition, the front module (front end module) (2)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 motor system for driving a vehicle, a front wheel system, a steering system, a cooling system, and other body support frames are installed, and the rear end module ( 3)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 rear wheel system for driving a vehicle and other body support frames are installed.

한편,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중앙모듈(1)을 구성하는 차대의 폭 방향 프레임인 가로 프레임(미도시)과 차대의 길이 방향 프레임인 세로 프레임(미도시)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1돌출부(21), 상기 제1돌출부(21)로부터 연장된 제2돌출부(22), 및 상기 제1돌출부(21)와 제2돌출부(22)의 결합부에 형성된 단차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member 20 is to combine the horizontal frame (not shown), which is the width direction frame of the chassis constituting the central module 1, and the vertical frame (not shown), which is the longitudinal frame of the chassis, The first protrusion 21, the second protrusion 22 extending from the first protrusion 21, and the stepped portion 23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21 and the second protrusion 22 It includes.

먼저, 상기 제1돌출부(21)는 상기 가로 프레임(미도시)과 평행한 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차대 조립시 하부면에는 가로 프레임이나 세로 프레임이 결합될 수 있다.First, the first protrusion 21 is formed in a beam shape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not shown). When assembling the chassis, a horizontal frame or a vertical frame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또한, 상기 제2돌출부(22)는 상기 제1돌출부(21)의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제1돌출부(21)의 일측 단부로부터 제1돌출부(21)의 하부면 방향으로 절곡된 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econd protrusion 22 is made of a beam shap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21 from on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21 so as to be inclin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protrusion 21 .

따라서, 상기 제2돌출부(22)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돌출부(21)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1돌출부(21)의 외측 방향(즉,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이 형성하는 사각 형상 차대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된다.Accordingly, one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22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21, and the other end has an outer direction (ie, a horizontal frame and a vertical frame) of the first protrusion 21. To the outside of the square-shaped undercarriage).

또한, 상기 단차부(23)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1돌출부(21)와 제2돌출부(22)의 결합부 중도에서 상기 제1돌출부(21)의 하부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tep portion 23 is configur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21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21 and the second protrusion 22 so as to b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

또한,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상기 단차부(23)의 일측면(구체적으로는,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이 형성하는 사각 형상의 차대와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한 제1면(23a)과 상기 가로 프레임과 평행한 제2면(23b)이 서로 교대로 나타나는 복수의 계단형 단차가 형성된다.In addition, one side surface of the step portion 23 to which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is combined (specifically, the side opposite to the rectangular frame undercarriage formed by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is the vertical frame. A plurality of stepped steps are formed in which the first surface 23a parallel to and the second surface 23b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alternate with each other.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단차부(23)가 제1면(23a)과 제2면(23b)이 각각 3개씩 교대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는데,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차대 연결부재(20)는 차대 제작시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이 각각 상기 제1면(23a)과 제2면(23b)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차대의 길이와 폭이 동시에 가변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step portion 23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surface 23a and the second surface 23b are alternately formed by three, respectively, and the chassis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hassis 20 is manufactured, the length and width of the chassis may be simultaneously changed according to a position where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re coupled to one of the first surface 23a and the second surface 23b, respectively. .

일예로서, 상기 가로 프레임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1돌출부(21)의 하부면 또는 상기 제1돌출부(21)의 하부면과 이웃하는 단차부(23)의 제1면(23a)에 결합되는 경우 차대의 폭이 최대가 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의 일측 단부가 상기 단차부(23)의 단부측에 위치한 제1면(23a) 또는 단부측에 위치한 제2면(23b)에 결합되는 경우 차대의 폭이 최소가 된다.As an example, when on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21 or the first surface 23a of the stepped portion 23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21 The width of the undercarriage when the width of the undercarriage becomes the maximum and on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is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23a located at the end side of the step portion 23 or the second surface 23b located at the end side This becomes the minimum.

또한, 상기 세로 프레임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1돌출부(21)의 하부면 또는 상기 제1돌출부(21)의 하부면과 이웃하는 단차부(23)의 제1면(23a)에 결합되는 경우 차대의 길이가 최소가 되고, 상기 세로 프레임의 일측 단부가 상기 단차부(23)의 단부측에 위치한 제1면(23a) 또는 단부측에 위치한 제2면(23b)에 결합되는 경우 차대의 길이가 최대가 된다. In addition, when one end of the vertical frame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21 or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21, the first surface 23a of the step 23 adjacent to the difference The length of the chassis is minimized when the length of the stage is minimized and one end of the vertical frame is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23a located at the end side of the step portion 23 or the second surface 23b located at the end side. It becomes the maximum.

한편, 상기 제1돌출부(21)의 외면 일측에는 차량의 전방모듈(1) 또는 후방모듈(2)과 연결된 연결 프레임(F1)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제1돌출부(21)의 상부면에 복수의 결합돌기(21a)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Meanwhile,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or coupling groove to which the connection frame F1 connected to the front module 1 or the rear module 2 of the vehicle is coupled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21.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21a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21.

이 경우, 상기 결합돌기(21a)는 상기 제1돌출부(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결합돌기(21a)의 갯수와 이격되는 거리는 차대의 폭이 변화될 수 있는 경우의 수와 변화되는 길이에 대응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aging projections 21a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2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number of the engaging projections 21a and the distance from the chassis can be varied. It is more preferably set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cases and the length to be chang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차대 제작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대 연결부재(20)에 의하여 차대의 폭이 변화되는 경우에도 상기 전방모듈(1)과 후방모듈(2)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the chassis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even when the width of the chassis is changed by the chassis connecting memb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module 1 and the rear module 2 have the advantage of being commonly used. have.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21)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된 제2돌출부(22)의 타측 단부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한 측면 확장 프레임(F2)이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측면 확장 프레임(F2)는 차대의 폭을 증가시키는 기능과 차대의 측면부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 side extension frame F2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22 expos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21, if necessary. The side extension frame F2 serves to increase the width of the undercarriage and reinforce the side strength of the undercarriag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대 연결부재(20)는 용접이나 볼트결합 등에 의하여 상술한 가로 프레임(미도시), 세로 프레임(미도시), 연결 프레임(F1), 및 측면 확장 프레임(F2)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The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 horizontal frame (not shown), a vertical frame (not shown), a connecting frame (F1), and a side extension frame (such as by welding or bolting). F2).

(제2실시예)(Example 2)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대 연결부재(121)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12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차대 연결부재(120)의 경우에도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모듈(1)을 구성하는 차대의 폭 방향 프레임인 가로 프레임(미도시)과 차대의 길이 방향 프레임인 세로 프레임(미도시)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1돌출부(121)와 상기 제1돌출부(121)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단차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case of the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1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transverse frame (not shown), which is the width frame of the undercarriage constituting the central module 1, and the longitudinal frame of the undercarriage, It is intended to combine a vertical frame (not shown) with each other, and includes a first protrusion 121 and a stepped part 123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121.

먼저, 상기 제1돌출부(121)는 상기 가로 프레임(미도시)과 평행한 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차대 조립시 하부면에는 가로 프레임이나 세로 프레임이 결합될 수 있다.First, the first protrusion 121 is formed in a beam shape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not shown). When assembling the undercarriage, a horizontal frame or a vertical frame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또한, 상기 단차부(123)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1돌출부(121)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1돌출부(121)의 하부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tep portion 123 is configur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121 from on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121 so as to b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이때,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상기 단차부(123)의 일측면에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면(123a)과 제2면(123b)이 서로 교대로 나타나는 복수의 계단형 단차가 형성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first surface 123a and the second surface 123b,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step portion 123 to which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re combined. A plurality of stepped steps that are alternately formed are form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so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돌출부(121)의 상부면과 이웃하는 상기 단차부(123)의 외측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합돌기(121a)에 결합되는 차량의 전방모듈 또는 후방모듈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돌출부(121)의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123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121 and the front module or the rear module of the vehicle coupled to the engaging projection (121a) as described later.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form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protrusion 121.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대 연결부재(120)는 상기 단차부(123)의 외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돌출부(121)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122)를 더 포함되도록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제2돌출부(122)를 가로 프레임과 평행한 빔 형상으로 구성하여 단부가 상기 제1돌출부(121)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하였다.In addition, the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econd protruding portion 122 protruding outward of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121 from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123,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second protrusion 122 is configured in a beam shape parallel to a horizontal frame so that an end is exposed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121.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121)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된 제2돌출부(122)의 단부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한 측면 확장 프레임(F2)이 결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중복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a side extension frame F2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may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122 expos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121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escription overlaps with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t will be omitted here.

다만,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차대 연결부재(120)는 제1실시예에 따른 차대 연결부재(20)와 대비할 때 제2돌출부(122)가 차대의 폭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2돌출부(22)가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실시예와 대비할 때 중앙모듈(1)의 면적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ared with the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protrusion 122 is horizontally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ndercarriage. Due to the structure, the area of the central module 1 is increased when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protrusion 22 extends in an inclined direction.

한편, 상기 제1돌출부(121)의 외면 일측에는 차량의 전방모듈(1) 또는 후방모듈(2)과 연결된 연결 프레임(F1)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121a)(또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도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at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121,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121a (or coupling groove) to which the connection frame F1 connected to the front module 1 or rear module 2 of the vehicle is coupled is coupled. Although it may be form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o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제3실시예)(Example 3)

도4와 도5는 각각 도2의 차대 연결부재를 적용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사시도이고, 도6과 도7는 각각 도3의 차대 연결부재를 적용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사시도이다. 4 and 5 are exploded and combined perspective views of a variable undercarriage module of a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of FIG. 2 is applied, respectively. FIGS. 6 and 7 are respectively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s of FIG. 3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undercarriage module of a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은 차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어 구성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가변형 차대 모듈은 일예로서 한 쌍의 가로 프레임(11,12), 한 쌍의 세로 프레임(13,14), 및 상기 프레임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부재(30,40,50,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variable undercarriage modul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frames constituting the undercarriage, and for this purpose, the variable undercarriage module is a pair of horizontal frames 11 and 12 and a pair of vertical frames. (13,14), and a connecting member (30,40,50,60) for coupling the frames.

상기 가로 프레임(11,12)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가로 프레임(11)과 제2가로 프레임(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로 프레임(13,14)은 상기 가로 프레임(11,12)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제1세로 프레임(13)과 제2세로 프레임(14)으로 구성된다.The horizontal frames 11 and 12 are composed of a first horizontal frame 11 and a second horizontal frame 12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frames 13 and 14 are the horizontal frames 11 , 12) is composed of a first vertical frame 13 and a second vertical frame 14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또한, 상기 연결부재(30,40,50,60)는 상기 가로 프레임(11,12)과 세로 프레임(13,14)을 사각 형상으로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연결부재(30,40,50,60)는 상기 사각 형상의 모서리부에서 각각 가로 프레임(11,12)의 일측 단부 중 어느 하나 및 세로 프레임(13,14)의 일측 단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30,40,50,60) is intended to combine the horizontal frame (11,12) and the vertical frame (13,14) in a square shape, the connecting member (30,40,50, 60)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on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1,12) and one end of the vertical frame (13,14), respectively, at the corners of the square shape.

이와 같이 형성된 사각 형상의 프레임 및 연결부재의 결합체는 전체 차대 모듈 중 도1에 도시한 중앙모듈(1)을 형성하게 된다.The combination of the rectangular frame and the connecting member formed as described above forms the central module 1 shown in FIG. 1 among all chassis modules.

또한, 상기 가변형 차대 모듈은 상기 차량의 전방모듈(2)과 연결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구체적으로는, 제1가로 프레임)의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전방모듈 프레임(71,72)과, 상기 차량의 후방모듈(3)과 연결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구체적으로는, 제2가로 프레임)의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후방모듈 프레임(73,74)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variable undercarriage module is connected to the front module (2) of the vehicle, a pair of front module frames (71,72)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rizontal frame (specifically,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a pair of rear module frames 73 and 74 which are connected to the rear module 3 of the vehicle and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rizontal frame (specifically, the second horizontal frame).

이때, 상기 연결부재(30,40,50,60)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0,120)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연결부재(30,40,50,60)를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0)와 동일하게 구성하였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member (30,40,50,60) can be preferably implemented by any one of the connecting member (20,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is an example As the connection member (30,40,50,60) wa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nection member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따라서, 이하에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30,40,50,6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 중 언급되지 않은 부분은 제1실시예에서 도2에 대해 설명된 내용으로 대체되며, 다만 도면부호만 다르게 부여된다.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parts not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s 30, 40, 50 and 60 are replaced with the cont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However, only th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differently.

또한, 상기 제1가로 프레임(11)의 좌우에 각각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30)와 제2연결부재(40)는 서로 좌우 대칭 형상이고, 상기 제2가로 프레임(12)의 좌우에 각각 결합되는 제3연결부재(50) 및 제4연결부재(60)는 각각 상기 제1연결부재(30) 및 제2연결부재(40)와 서로 상하 대칭 형상이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30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0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11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12, respectively. The third connecting member 50 and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60 to be coupled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30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0.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30,40,50,60)의 구성은 상기 제1가로 프레임(11)의 일측 단부(11a)와 제1세로 프레임(13)의 일측 단부(13a)에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30)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연결부재(40,50,60)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refore, hereinafter,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s 30, 40, 50, and 60 includes one end 11a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11 and one end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3 ( The first connection member 30 coupled to 13a)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remaining connection members 40, 50, and 60 will be omitted.

다만, 이 경우 다른 연결부재(40,50,60)는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제1연결부재(30)와의 형상 차이(즉, 서로 좌우 대칭이거나 상하 대칭인 형상)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각각 결합되는 프레임의 종류 및/또는 방향이 달라진다.However, in this case, the other connecting members 40, 50, and 60 have a shape difference from the first connecting member 30 (that is,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each other or symmetrical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thereby being coupled to each other. The type and / or direction of the frame is different.

상기 제1연결부재(30)는 각각, 상기 제1가로 프레임(11)과 평행한 빔 형상의 제1돌출부(31), 상기 제1돌출부(31)의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제1돌출부(31)의 일측 단부로부터 제1돌출부(31)의 하부면 방향으로 절곡된 빔 형상의 제2돌출부(32), 및 상기 제1세로 프레임(13)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1돌출부(31)와 제2돌출부(32)의 결합부에서 상기 제1돌출부(31)의 하부면 방향으로 돌출된 단차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connecting member 30, respectively, the first projection 31 of the beam shape parallel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11, the first projection 31 to be inclin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projection 31 ), The first protrusion 31 and the secon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second projection 32 of the beam shap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jection 31 from one end portion, and the first vertical frame 13 It comprises a step portion (33)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31 in the engaging portion of the projection (32).

또한, 상기 단차부(33)는 제1가로 프레임(11)의 일측 단부(11a)과 대향하는 일측면에 상기 제1가로 프레임(11)과 제1세로 프레임(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11 and the first vertical frame 13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tepped portion 33 facing one end 11a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11. do.

이를 위하여, 상기 단차부(33)의 일측면에는 앞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세로 프레임(13)과 평행한 제1면(미도시)과 상기 제1가로 프레임(11)과 평행한 제2면(미도시)이 서로 교대로 나타나는 복수의 계단형 단차가 형성된다.To this end, a first surface (not shown) parallel to the first vertical frame 13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11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epped portion 33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 plurality of stepped steps are formed in which parallel second surfaces (not shown) alternat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은 상기 제1가로 프레임(11)과 제1세로 프레임(13)이 상기 제1연결부재(30)의 제1면과 제2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차대 모듈의 폭과 길이를 동시에 가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variable undercarriage modul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rizontal frame 11 and the first vertical frame 13 are among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30. The width and length of the undercarriage module may be simultaneously changed according to a position coupled to any one.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40)의 경우 제1가로 프레임(11)의 타측 단부(11b)와 대향하는 단차부(43)의 일측면에 상기 제1가로 프레임(11)과 제2세로 프레임(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복수의 계단형 단차가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0, the first horizontal frame 11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step portion 43 facing the other end 11b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11 A plurality of stepped steps to which at least one of (14) is coupled is formed.

마찬가지로, 상기 제3연결부재(50)의 경우 제2가로 프레임(12)의 일측 단부(12a)와 대향하는 단차부(53)의 일측면에 상기 제2가로 프레임(12)과 제1세로 프레임(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복수의 계단형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제4연결부재(60)의 경우에도 제2가로 프레임(12)의 타측 단부(12b)와 대향하는 단차부(63)의 일측면에 상기 제2가로 프레임(12)과 제2세로 프레임(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복수의 계단형 단차가 형성된다.Likewise, in the case of the third connecting member 50, the second horizontal frame 12 and the first vertical frame on one side of the stepped portion 53 facing the one end 12a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12 A plurality of stepped steps to which at least one of (13) is coupled is formed, and even in the case of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60, the stepped portion 63 facing the other end 12b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12 ) A plurality of stepped steps to which at least one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12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14 is coupled is formed on one side of).

한편, 상기 사각 형상의 상단 모서리부, 즉 제1가로 프레임(11)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제1,2연결부재(30,40)의 제1돌출부(31,41) 외면 일측에는 상기 전방모듈 프레임(71,72)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결합돌기(31a,41a)가 각각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side of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square shape, that is, the first protrusions 31 and 41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30 and 40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11 At least one first coupling protrusion 31a, 41a to which any one of the module frames 71, 72 is coupled is formed.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연결부재(30)의 제1돌출부(31)에는 제1전방모듈 프레임(71)이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31a)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40)의 제1돌출부(41)에는 제2전방모듈 프레임(72)이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41a)가 형성된다.Specifically, a first coupling protrusion 31a to which a first front module frame 71 is coupled is formed in the first protrusion 31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30,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40 is formed. A first coupling protrusion 41a to which the second front module frame 72 is coupled is formed in the first protrusion 41.

마찬가지로, 상기 사각 형상의 하단 모서리부, 즉 제2가로 프레임(12)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제3,4연결부재(50,60)의 제1돌출부(51,61) 외면 일측에도 상기 후방모듈 프레임(73,74)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결합돌기(51a,61a)가 각각 형성된다. Similarly, the rear of the first edge portion 51 and 61 of the third and fourth connecting members 50 and 60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quare-shaped lower edge portion, that is, the second horizontal frame 12 is also provided at the rear side. At least one second coupling protrusion 51a, 61a to which any one of the module frames 73, 74 is coupled is formed.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3연결부재(50)의 제1돌출부(51)에는 제1후방모듈 프레임(73)이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51a)가 형성되고, 상기 제4연결부재(60)의 제1돌출부(61)에는 제2후방모듈 프레임(74)이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61a)가 형성된다.Specifically,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51a to which a first rear module frame 73 is coupled is formed in the first protrusion 51 of the third connection member 50, and the fourth connection member 60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61a to which the second rear module frame 74 is coupled is formed in the first protrusion 61.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제1결합돌기(31a,41a)와 제2결합돌기(51a,61a)가 각각 해당 연결부재(30,40,50,60)에서 제1돌출부(31,41,51,61)의 상부면 일측에 상기 제1돌출부(31,41,51,6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s 31a, 41a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s 51a, 61a are respectively the first protrusions 31, 41, 51 in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members 30, 40, 50, 60. , 61) wa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s 31, 41, 51, 61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연결부재(30,40,50,60)가 결합돌기에 의하여 각각 상기 전방모듈 프레임(71,72)과 후방모듈 프레임(73,74)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결합홈에 의하여 상기 전방모듈 프레임(71,72)과 후방모듈 프레임(73,74)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Further,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connecting members 30, 40, 50, and 60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ront module frames 71, 72 and the rear module frames 73, 74, respectively, by engaging projections. If necessary, it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ront module frame (71,72) and the rear module frame (73,74) by a coupling groov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은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사각 형상의 외측에 각각 상기 세로 프레임(13,14)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확장 프레임(81,82)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variable undercarriage modul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adds a pair of side extension frames 81 and 82 which are arranged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s 13 and 14, respectively, on the outside of the square shape, if necessar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이 경우 상기 확장 프레임(81,82)의 양측 단부는 각각 상기 연결부재(30,40,50,60)의 제2돌출부(32,42,52,62) 단부에 결합되어, 차대 모듈의 폭을 확장하고 차대 모듈의 측면부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this case, both ends of the expansion frames 81 and 82 are coupled to the ends of the second protrusions 32, 42, 52, and 62 of the connecting members 30, 40, 50, and 60, respectively, to increase the width of the undercarriage module. It performs the function of expanding and reinforcing the side strength of the undercarriage modul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차대 모듈을 이용하여 차대를 제작하는 경우를 도5에 도시하였는데, 동일한 구성요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가로 프레임(11,12)과 세로 프레임(13,14)이 연결부재(30,40,50,60)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폭과 길이를 가진 차대 모듈을 제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chassis using the variable chassi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llustrated in FIG. 5, even when the same components are used, the horizontal frames 11 and 12 and the vertical frames 13, 14) It can be seen that a chassis module having various widths and lengths can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a position where the connecting members 30, 40, 50, and 60 are coupled.

일예로서, 가로 프레임(11,12)의 양측 단부가 각각 자신이 결합되는 연결부재에 대하여 제1돌출부의 하부면 또는 제1돌출부의 하부면과 이웃하는 단차부의 제1면에 결합되고, 세로 프레임(13,14)의 양측 단부가 각각 자신이 결합되는 연결부재에 대하여 제1돌출부의 하부면 또는 제1돌출부의 하부면과 이웃하는 단차부의 제1면에 결합되는 경우 최대 폭과 최소 길이를 가진 차대 모듈이 제작된다(도5의 (a) 참고).As an example,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s 11 and 12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or the lower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for the connecting member to which they are coupled, and the vertical frame When both ends of the (13, 14) ar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or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first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protrusion, the connection member to which they are coupled has the maximum width and the minimum length. An undercarriage module is produced (see Fig. 5 (a)).

또한, 가로 프레임(11,12)의 양측 단부가 각각 자신이 결합되는 연결부재에 대하여 단차부의 단부측에 위치한 제1면 또는 단부측에 위치한 제2면에 결합되고, 세로 프레임(13,14)의 양측 단부가 각각 자신이 결합되는 연결부재에 대하여 단차부의 단부측에 위치한 제1면 또는 단부측에 위치한 제2면에 결합되는 경우 최소 폭과 최대 길이를 가진 차대 모듈이 제작된다(도5의 (b) 참고).In addition,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s 11 and 12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located at the end side of the step portion or the second surface located at the end sid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member to which they are coupled, and the vertical frames 13 and 14 When both ends of each are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located at the end side of the step portion or the second surface located at the end sid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member to which they are coupled, a chassis module having a minimum width and a maximum length is manufactured (FIG. 5). (b) Reference).

이와 같이 연결부재(30,40,50,60)에 결합되는 각각의 프레임은 용접이나 볼트 결합에 의하여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각각의 프레임들이 용접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재(30,40,50,60)에 결합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As described above, each frame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s 30, 40, 50, and 60 can b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by welding or bolting.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each fram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by welding. (30,40,50,6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된 차대 모듈은 차량의 하부에서 차체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차대 모듈이 전기차의 차대 모듈인 경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프레임(11,12)과 세로 프레임(13,14)이 형성하는 사각 형상의 내부에는 배터리 모듈(B)이 설치되어 차대 모듈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ndercarriage module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perform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vehicle body at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1, when the undercarriage module is an undercarriage module of an electric vehicle, a horizontal frame is shown. A battery module B may be installed inside the rectangular shape formed by the 11 and 12 and the vertical frames 13 and 14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undercarriage module.

한편, 도6과 도7에는 가로 프레임(11,12)과 세로 프레임(13,14)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130,140,150,160)로서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차대 연결부재(120)를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며, 연결부재(130,140,150,160) 및 차대 모듈의 구성은 제2실시예와 본 실시예에서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FIGS. 6 and 7 show a case where the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120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is applied as the connecting members 130, 140, 150, and 160 for connecting the horizontal frames 11, 12 and the vertical frames 13, 14 It is a drawing, and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s 130, 140, 150, 160 and the undercarriage module overlaps with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is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below.

다만, 이 경우 차대 모듈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이 되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도4와 도5의 경우보다 차대 모듈의 전체 면적이 더 넓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undercarriage module is generally shaped like a rectangle, the overall area of the undercarriage module is wider than in the case of FIGS. 4 and 5 described above.

1 : 중앙모듈 2 : 전방모듈
3 : 후방모듈 11,12 : 가로 프레임
13,14 : 세로 프레임 20,30,40,50,60,120 : 연결부재
21,31,41,51,61,121 : 제1돌출부 22,32,42,52,62,122 : 제2돌출부
23,33,43,53,63,123 : 단차부 71,72 : 전방모듈 프레임
73,74 : 후방모듈 프레임 81,82 : 측면 확장 프레임
1: Central module 2: Front module
3: Rear module 11, 12: Horizontal frame
13,14: Vertical frame 20,30,40,50,60,120: Connection member
21,31,41,51,61,121: first protrusion 22,32,42,52,62,122: second protrusion
23,33,43,53,63,123: Step 71,72: Front module frame
73,74: rear module frame 81,82: side extension frame

Claims (22)

차대(chassis)를 구성하는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서로 결합시키는 차대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평행한 빔 형상의 제1돌출부;
상기 제1돌출부의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제1돌출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제1돌출부의 하부면 방향으로 절곡된 빔 형상의 제2돌출부; 및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의 결합부에서 상기 제1돌출부의 하부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면에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차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한 제1면과 상기 가로 프레임과 평행한 제2면이 서로 교대로 나타나는 복수의 계단형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 연결부재.
In the chassis connecting member that combines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constituting the chassis (chassis) to each other,
A first protrusion having a beam shape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A second protrusion having a beam shape that is bent in a direction toward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from on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so as to incline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first projec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 so as to b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jection, and includes a stepped portion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on one side, ,
A chassis connect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tepped steps in which a first surfac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and a second surface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are alternately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step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상부면 일측에는 차량의 전방모듈 또는 후방모듈과 연결된 연결 프레임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이 상기 제1돌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 연결부재.
According to claim 1,
Undercarriag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or coupling groove to which a connection frame connected to the front module or rear module of the vehicle is coupl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Connecting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의 단부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한 측면 확장 프레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 연결부재.
According to claim 2,
An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a side extension fram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is coupled to an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차대(chassis)를 구성하는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서로 결합시키는 차대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평행한 빔 형상의 제1돌출부;와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1돌출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1돌출부의 하부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면에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차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한 제1면과 상기 가로 프레임과 평행한 제2면이 서로 교대로 나타나는 복수의 계단형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 연결부재.
In the chassis connecting member that combines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constituting the chassis (chassis) to each other,
A first protrusion having a beam shape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and
It includes a stepped portion that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from on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to b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is coupled to one side,
A chassis connect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tepped steps in which a first surfac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and a second surface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are alternately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step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상부면 일측에는 차량의 전방모듈 또는 후방모듈과 연결된 연결 프레임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이 상기 제1돌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 연결부재.
According to claim 4,
Undercarriag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or coupling groove to which a connection frame connected to the front module or rear module of the vehicle is coupl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Connecting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상부면과 이웃하는 상기 단차부의 외측면은 상기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에 결합되는 차량의 전방모듈 또는 후방모듈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돌출부의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 연결부재.
The method of claim 5,
The outer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form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front module or the rear module of the vehicle coupled to the engaging projection or the engaging groove.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차대(chassis)를 구성하는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서로 결합시키는 차대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평행한 빔 형상의 제1돌출부;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1돌출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1돌출부의 하부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면에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의 외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돌출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차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한 제1면과 상기 가로 프레임과 평행한 제2면이 서로 교대로 나타나는 복수의 계단형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 연결부재.
In the chassis connecting member that combines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constituting the chassis (chassis) to each other,
A first protrusion having a beam shape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A step portion protruding from the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protrusion in a direction toward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to b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is coupled to one side; And
It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outer side of the step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first protrusion,
A chassis connect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tepped steps in which a first surfac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and a second surface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are alternately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step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상부면 일측에는 차량의 전방모듈 또는 후방모듈과 연결된 연결 프레임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 연결부재.
The method of claim 7,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or coupling groove to which the connection frame connected to the front module or rear module of the vehicle is coupl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상부면과 이웃하는 상기 단차부의 외측면은 상기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에 결합되는 차량의 전방모듈 또는 후방모듈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돌출부의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 연결부재.
The method of claim 8,
The outer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form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front module or the rear module of the vehicle coupled to the engaging projection or the engaging groove.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의 단부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한 측면 확장 프레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 연결부재.
The method of claim 8,
An undercarriage connect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a side extension fram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is coupled to an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복수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차대 모듈을 형성하는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가로 프레임;
상기 가로 프레임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 및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사각 형상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사각 형상의 모서리부에 각각 연결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각각, 상기 가로 프레임과 평행한 빔 형상의 제1돌출부, 상기 제1돌출부의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제1돌출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제1돌출부의 하부면 방향으로 절곡된 빔 형상의 제2돌출부, 및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의 결합부에서 상기 제1돌출부의 하부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면에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한 제1면과 상기 가로 프레임과 평행한 제2면이 서로 교대로 나타나는 복수의 계단형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
In the variable chassis module of a vehicle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re combined to form a chassis module,
A pair of horizontal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air of vertical frame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rizontal frame; And
It comprises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each corner portion of the square shape to combine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in a square shape,
Each of the connecting members is a first beam having a beam shape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and a beam shape bent in a direction toward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from on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so as to be inclin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protrusion. A step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is coupled to one side and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to be parallel to the two protrusions and the vertical frame. Including wealth,
On one side of the step portion, a variable vehicle undercarriage modul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tepped steps in which a first surfac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and a second surface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are alternately form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이 각각 상기 연결부재의 제1면과 제2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차대 모듈의 폭과 길이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
The method of claim 11,
The width and length of the undercarriage module vary depending on a position where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re coupled 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connecting member, respectively.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방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의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전방모듈 프레임;과
상기 차량의 후방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의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후방모듈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사각 형상의 상단 모서리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전방모듈 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결합돌기가 상기 제1돌출부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사각 형상의 하단 모서리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후방모듈 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결합돌기가 상기 제1돌출부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
The method of claim 12,
A pair of front module frames connected to the front modules of the vehicle and dispos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rizontal frame; and
It is connected to the rear module of the vehicle, and further includes a pair of rear module frames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rizontal frame,
The connecting memb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edge portions of the square shape, at least one first coupling protrusion to which any one of the front module frames is coupl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The connecting memb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ower edge portions of the square shape, the variable typ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cond coupling protrusion to which any one of the rear module frame is coupl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Undercarriage modul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방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의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전방모듈 프레임;과
상기 차량의 후방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의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후방모듈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사각 형상의 상단 모서리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전방모듈 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결합홈이 상기 제1돌출부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사각 형상의 하단 모서리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후방모듈 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결합홈이 상기 제1돌출부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
The method of claim 12,
A pair of front module frames connected to the front modules of the vehicle and dispos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rizontal frame; and
It is connected to the rear module of the vehicle, and further includes a pair of rear module frames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rizontal frame,
The connecting memb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edge portions of the square shape, at least one first coupling groove to which any one of the front module frames is coupl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The connecting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edge portions of the square shape, is a variable type of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cond coupling groove to which any one of the rear module frames is coupl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Undercarriage module.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형상의 외측에 각각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확장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 확장 프레임의 단부는 각각 상기 연결부재의 제2돌출부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4,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side extension frame disposed in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on the outside of the square shape,
Each of the end of the side extension frame is a variable undercarriage modul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전기차이고,
상기 사각 형상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가 설치되어 상기 차대 모듈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
The method of claim 15,
The vehicle is an electric vehicle,
At least one battery is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square shape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undercarriage module, the vehicle undercarriage module.
복수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차대 모듈을 형성하는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가로 프레임;
상기 가로 프레임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 및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사각 형상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사각 형상의 모서리부에 각각 연결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각각, 상기 가로 프레임과 평행한 빔 형상의 제1돌출부와,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1돌출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1돌출부의 하부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면에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한 제1면과 상기 가로 프레임과 평행한 제2면이 서로 교대로 나타나는 복수의 계단형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
In the variable chassis module of a vehicle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re combined to form a chassis module,
A pair of horizontal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air of vertical frame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rizontal frame; And
It comprises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each corner portion of the square shape to combine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in a square shape,
Each of the connecting members protrudes in a direction toward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from on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so as to b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and a first protrusion having a beam shape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horizontal to one side. It includes a step portion that is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On one side of the step portion, a variable vehicle undercarriage modul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tepped steps in which a first surface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and a second surface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are alternately formed.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이 각각 상기 연결부재의 제1면과 제2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차대 모듈의 폭과 길이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
The method of claim 17,
The width and length of the undercarriage module vary depending on a position where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re coupled 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connecting member, respectively.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방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의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전방모듈 프레임;과
상기 차량의 후방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의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후방모듈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사각 형상의 상단 모서리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전방모듈 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결합돌기가 상기 제1돌출부의 외면 일측에 상기 제1돌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사각 형상의 하단 모서리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후방모듈 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결합돌기가 상기 제1돌출부의 외면 일측에 상기 제1돌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
The method of claim 18,
A pair of front module frames connected to the front modules of the vehicle and dispos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rizontal frame; and
It is connected to the rear module of the vehicle, and further includes a pair of rear module frames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rizontal frame,
The connecting memb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edge portions of the square shape, at least one first coupling protrusion to which any one of the front module frames is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onnecting memb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ower edge portions of the square shape, the at least one second coupling protrusion to which any one of the rear module frame is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A flexible undercarriage module for a vehicle, which is form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방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의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전방모듈 프레임;과
상기 차량의 후방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의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후방모듈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사각 형상의 상단 모서리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전방모듈 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결합홈이 상기 제1돌출부의 외면 일측에 상기 제1돌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사각 형상의 하단 모서리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후방모듈 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결합홈이 상기 제1돌출부의 외면 일측에 상기 제1돌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
The method of claim 18,
A pair of front module frames connected to the front modules of the vehicle and dispos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rizontal frame; and
It is connected to the rear module of the vehicle, and further includes a pair of rear module frames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rizontal frame,
The connecting memb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edge portions of the square shape have at least one first coupling groove to which any one of the front module frames is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onnecting memb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ower edge portions of the square shape have at least one second coupling groove to which any one of the rear module frames is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A flexible undercarriage module for a vehicle, which is form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형상의 외측에 각각 상기 세로 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확장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각각 상기 단차부의 외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돌출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측면 확장 프레임의 단부는 각각 상기 연결부재의 제2돌출부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7 to 20,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side extension frame disposed in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on the outside of the square shape,
Each of the connecting members further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first protrusion, respectively,
Each of the end of the side extension frame is a variable undercarriage modul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전기차이고,
상기 사각 형상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가 설치되어 상기 차대 모듈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형 차대 모듈.


The method of claim 21,
The vehicle is an electric vehicle,
At least one battery is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square shape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undercarriage module, the vehicle undercarriage module.


KR1020180148589A 2018-11-27 2018-11-27 A Joint Material for Chassis Frame and Variable type Chassis Module of Vehicle using the same KR1021074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589A KR102107411B1 (en) 2018-11-27 2018-11-27 A Joint Material for Chassis Frame and Variable type Chassis Module of Vehicl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589A KR102107411B1 (en) 2018-11-27 2018-11-27 A Joint Material for Chassis Frame and Variable type Chassis Module of Vehicl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411B1 true KR102107411B1 (en) 2020-05-07

Family

ID=7073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589A KR102107411B1 (en) 2018-11-27 2018-11-27 A Joint Material for Chassis Frame and Variable type Chassis Module of Vehicl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41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1741B2 (en) 2021-08-26 2023-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rame including internal battery compartmen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5593U (en) * 2013-04-19 2014-10-29 (주)우신특수포장 Assembly type tray for carriage
KR20160020263A (en) * 2014-08-13 201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supporting member for loading solar cell module
JP2016097851A (en) * 2014-11-25 2016-05-30 アイシン軽金属株式会社 Battery-mounted frame structure
JP2016210206A (en) * 2015-04-30 2016-12-15 アイシン軽金属株式会社 Frame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5593U (en) * 2013-04-19 2014-10-29 (주)우신특수포장 Assembly type tray for carriage
KR20160020263A (en) * 2014-08-13 201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supporting member for loading solar cell module
JP2016097851A (en) * 2014-11-25 2016-05-30 アイシン軽金属株式会社 Battery-mounted frame structure
JP2016210206A (en) * 2015-04-30 2016-12-15 アイシン軽金属株式会社 Frame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1741B2 (en) 2021-08-26 2023-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rame including internal battery compartm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7967B1 (en) A Joint Material for Chassis Frame and Variable type Chassis Module of Vehicle using the same
US7427098B2 (en) Rear vehicle body structure
US10363973B2 (en) Vehicle framework structure
US10252750B2 (en) Vehicular frame
JP3964775B2 (en) Vehicle floor structure
BR112016004227B1 (en) VEHICLE BODY STRUCTURE
CN102991584A (en) Front part body structure of vehicle
JP6988835B2 (en) Rear body structure
JP2008279956A (en) Vehicular deck structure
KR100333294B1 (en) Frame for bus applied center space frame
JP2007083868A (en) Vehicle body construction
KR102107411B1 (en) A Joint Material for Chassis Frame and Variable type Chassis Module of Vehicle using the same
CN112519558A (en) Accumulator frame
US8020926B2 (en) Vehicular structural frame assembly
EP2508414B1 (en) Body of an industrial vehicle with seat base integrated to the floor and method for realizing a body of an industrial vehicle
KR20220067330A (en) Radiator side member and front vehicle sturucture provided with the same
CN106428233B (en) Panel structure
JP2005153714A (en) Frame structure of car body
JP2005035316A (en) Operator cab reinforcing structure
JP4124879B2 (en) Chassis frame cross member
JP2004203328A (en) Car body structure
CN105745140A (en) Vehicle body rear structure
CN219154590U (en) Instrument board lower part skeleton and connection structure, vehicle thereof
JP2014091346A (en) Vehicle rear part structure
US11608119B2 (en) Rear vehicle body combina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