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734B1 - 자석에 부착된 쇳가루를 자가 제거하는 쇳가루 검출기 - Google Patents

자석에 부착된 쇳가루를 자가 제거하는 쇳가루 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734B1
KR102106734B1 KR1020190093639A KR20190093639A KR102106734B1 KR 102106734 B1 KR102106734 B1 KR 102106734B1 KR 1020190093639 A KR1020190093639 A KR 1020190093639A KR 20190093639 A KR20190093639 A KR 20190093639A KR 102106734 B1 KR102106734 B1 KR 102106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blocking plate
magnet
brush
iron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용
Original Assignee
김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용 filed Critical 김진용
Priority to KR1020190093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0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cylindrical material carriers
    • B03C1/1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cylindrical material carriers with magnets moving during operation; with movable pole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2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with ultraviole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3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0Magnetic separation whereby the particles to be separated are in solid fo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분말에 포함된 쇳가루를 검출하기 위해 자석의 위치가 엇갈리게 지그재그 방식으로 일부에만 자석이 일체로 형성한 다수개의 가우스 자력봉을 원형으로 배열하여 제 1, 2 회전 플랜지에 체결한 다음, 상기 제 1, 2 플랜지 사이 가우스 자력봉에는 자력에 의해 쇳가루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좌우 양측에는 제 1, 2 쇳가루 수거부가 위치한 상태에서 제 1, 2 회전 플랜지에는 회전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압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중공 유압 실린더와 연결하여 가우스 자력봉을 회전하면 일측에 위치한 제 1 쇳가루 수거부에 자석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우스 자력봉에 끼움 결합된 링 브러쉬에 의해 자석에 부착된 쇳가루는 분리되어 제 1 쇳가루 수거함에 낙하되어 수거함과 동시에 자석 위치가 다른 가우스 자력봉은 쇳가루를 검출하고, 다시 가우스 자력봉을 원상태로 복귀한 다음 제 2 회전 플랜지 방향으로 중공 유압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를 인출하면 제 2 쇳가루 수거부를 자석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링 브러쉬에 의해 자석에 부착된 쇳가루는 분리되어 제 2 쇳가루 수거함에 낙하되어 수거함과 동시에 자석이 위치가 다른 가우스 자력봉은 쇳가루를 검출하는 방식을 반복함으로 인해 가우스 자력봉의 자석에 부착된 쇳가루를 제거하기 위해 쇳가루 검출기의 작동을 중지하지 않고 가우스 자력봉을 자가 세척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석에 부착된 쇳가루를 자가 제거하는 쇳가루 검출기{Self-removing fume detector attached to a magnet}
본 발명은 식품 분말가루에 포함된 쇳가루를 검출하기 위해 일부에만 자석이 형성되고 자석 위치가 서로 다른 다수개의 가우스 자력봉을 마련한 다음 자석 위치가 엇갈리게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하여 제 1, 2 플랜지에 체결한 후 상기 제 1, 2 플랜지를 중공 유압 실린더와 연결하여 회전하는 과정에서 쇳가루를 검출함과 동시에 가우스 자력봉을 인입 및 인출하는 과정에서 쇳가루 검출기의 작동을 중지하지 않고 자석에 부착된 쇳가루를 링 브러쉬에 의해 분리하여 쇳가루 수거함으로 낙하시키는 일정시간마다 반복하여 자석에 부착된 쇳가루를 자가 제거하는 쇳가루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을 분쇄한 고춧가루나 밀가루와 같은 곡물가루는 분쇄기 표면의 마모로 인해 생성되는 쇳가루나 아니면 곡물 및 곡물가루의 이송과정에서 이송관 표면의 마모로 인해 생성되는 쇳가루가 섞이게 된다.
따라서 분말가루에서 쇳가루를 분리시키기 위해 자성체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있으며, 특히, 고추가루를 제조함에 있어 발생하는 쇳가루를 완벽하게 제거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고추가루는 말린 고추를 분쇄기에 넣고 고추가루로 분쇄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분쇄기의 쇳가루가 고추가루에 섞여 배출되기 때문에, 제조과정상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고추가루가 배출되는 배출구에 회전식 자석을 설치하여 떨어지는 고추가루에서 쇳가루를 부착시킨 후, 자석에 붙은 쇳가루를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분쇄된 고추가루는 하나의 자석을 거치면 쇳가루가 제거되기 때문에 검출율이 낮고, 검출량이 한정되어있다.
또한, 자석에 쇳가루가 부착된 상태로 지속적으로 고추가루에 포함된 쇳가루를 검출하면 쇳가루가 자석 표면에 부착되어있어 자력이 저하되어 쇳가루를 검출하는 검출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자석에 부착된 쇳가루를 일정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제거해야 하는데 이럴 경우 고추분쇄기의 작동을 중지하고 자석에 부착된 쇳가루를 제거하기 때문에 고추가루의 생산효율 및 검출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자석에 부착된 쇳가루를 수작업에 의해 강제로 제거하려 하나 깨끗하게 제거하는게 쉽지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제10 - 2010 - 0125616호 "쇳가루 제거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식품 분말가루에 포함된 쇳가루를 자석의 자력에 의해 검출하고, 쇳가루 검출기의 작동을 중지하지 않고 자석에 부착된 쇳가루를 자가 제거하여 검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은 쇳가루 검출기에 있어서,
받침대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유압모터와 일측이 연결되어 중공 유압 실린더와, 상기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제 1, 2 회전 플랜지 사이에는 봉형상중 일부에만 자석이 형성된 다수개의 가우스 자력봉을 마련한 다음 지그재그방식으로 엇갈리게 자석을 배열하여 제 1, 2 회전 플랜지에 양단을 고정한 후, 회전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체와,
상기 제 1, 2 회전 플랜지 사이에는 가우스 자력봉에 제 1, 2 분말가루 차단판이 이격된 상태로 끼움 결합되어 가우스 자력봉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 1, 2 회전 플랜지와 함께 회전하며 투입된 식품분말가루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자석에 의해 쇳가루를 검출하고 제 1, 2 쇳가루 수거함에 식품분말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검출부와,
상기 제 1 회전 플랜지와 제 1 분말가루 차단판 사이에는 인입 및 인출공이 배열된 제 1 브러쉬 차단판이 위치하고, 상기 제 2 회전 플랜지와 제 2 분말가루 차단판 사이에는 인입 및 인출공이 형성된 제 2 브러쉬 차단판이 위치한 상태에서 인입 및 인출공으로 가우스 자력봉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 1 브러쉬 차단판과 제 1 분말가루 차단판 사이에 위치하는 가우스 자력봉과 상기 제 2 브러쉬 차단판과 제 2 분말가루 차단판 사이에 위치하는 가우스 자력봉에는 링형상의 링 브러쉬가 각각 끼움 결합되어 실린더 하우징 내부로 실린더 로드의 인입 및 인출과정에서 제 1, 2 브러쉬 차단판에 형성된 인입 및 인출공으로 자석은 통과하고 링 브러쉬는 1, 2 브러쉬 차단판 간섭되어 통과하지 못하고 자석에 부착된 쇳가루가 링 브러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링 브러쉬에 의해 강제로 자석에서 분리하여 하부에 각각 위치한 제 1, 2 쇳가루 수거함으로 낙하시키는 제 1, 2 쇳가루 수거부와,
상기 받침대 상면에는 제 1 브러쉬 차단판과 제 1 분말가루 차단판 사이와 제 2 브러쉬 차단판과 제 2 분말가루 차단판 사이 하부에 각각 위치하여 낙하되는 쇳가루를 수거하도록 각각 설치된 제 1, 2 쇳가루 수거함과,
상기 받침대 상면에는 검출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쇳가루가 검출된 식품분말가루를 배출하는 배출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에 부착된 쇳가루를 자가 제거하는 쇳가루 검출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쇳가루 검출기는 지그재그방식으로 엇갈리게 자석을 배열한 가우스 자력봉의 양단을 제 1, 2 회전 플랜지에 원형으로 배열하여 체결한 다음 중공 유압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와 제 1, 2 회전 플랜지를 연결하여 실린더 로드의 회전으로 제 1, 2 회전 플랜지와 가우스 자력봉이 회전하고 실린더 하우징 내부로 실린더 로드가 인입 및 인출하는 동작에 의해 가우스 자력봉에 삽입된 링 브러쉬는 제 1, 2 브러쉬 차단판에 간섭되어 인입 및 인출공으로 통과하지못하고 자석만 통과함과 동시에 자석에 부착된 쇳가루는 링브러쉬에 의해 걸러져 분리되어 하부에 위치한 제 1, 2 쇳가루 수거함으로 낙하되어 수거하는 방식으로 자가 제거함과 동시에 검출부에서는 쇳가루를 검출함으로 인해 쇳가루 검출기의 작동을 중지하지않고 쇳가루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쇳가루 검출기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쇳가루 검출기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쇳가루 검출기가 정상적으로 쇳가루를 검출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쇳가루 검출기에서 회전체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검출된 쇳가루를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쇳가루 검출기에서 회전체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검출된 쇳가를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쇳가루 검출기에서 링 브러쉬에 의해 쉿가루가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확대 측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쇳가루 검출기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쇳가루 검출기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 쇳가루 검출기(1)는 식품분말에 포함된 쇳가루를 자석(24)에 의해 검출하고, 검출된 쇳가루가 자석(24)에 많이 부착되면 자력이 약해져 검출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자석(24)에서 쇳가루를 자가 제거함과 동시에 한쪽에서는 식품분말에 포함된 쇳가루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쇳가루 검출기(1)는 크게 쇳가루를 검출하는 검출부(2), 회전체(25), 구동부(3), 쇳가루 수거부(4)로 구성된다.
상기 쇳가루 검출기(1)는 받침대(20)를 형성한 다음 받침대(20)의 상면 일측에는 유압모터(8)가 위치하고, 상기 유압모터(8)와 일측이 연결되어 실린더 하우징(6)에 삽입된 실린더 로드(7)와 제 1, 2 회전 플랜지(9, 10)와 연결되어 실린더 로드(7)의 회전으로 제 1, 2 회전 플랜지(9, 10)가 회전하고, 상기 실린더 로드(7)가 실린더 하우징(6)으로 인입 및 인출되어 제 1, 2 회전 플랜지(9, 1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중공 유압 실린더(5)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공 유압 실린더(5)와 유압모터(8)는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중공 유압 실린더(5)의 실린더 로드(7)는 실린더 하우징(6)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입 및 인출되고, 회전한다.
상기 중공 유압 실린더(5)의 실린더 로드(7)는 회전체(25)와 연결된 상태에서 타측 끝단은 받침대(20)에 부착된 회전 롤러부(19)와 연결되어 회전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회전체(25)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제 1, 2 회전 플랜지(9, 10) 사이에는 봉형상중 일부에만 자석(24)이 형성된 다수개의 가우스 자력봉(11)을 마련한 다음 지그재그방식으로 엇갈리게 자석(24)을 배열하여 제 1, 2 회전 플랜지(9, 10)에 양단을 고정한 후, 회전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가우스 자력봉(11)을 20개를 마련하고, 가우스 자력봉(11)의길이방향을 따라 자석(24)위치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게 아니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가우스 자력봉(11)중 10개는 제 1, 2 분말가루 차단판(22, 22') 사이 중심에서 제 1 분말가루 차단판(22)의 좌측으로 자석(24)이 위치하고, 가우스 자력봉(11)중 나머지 10개는 제 1, 2 분말가루 차단판(22, 22') 사이 중심에서 제 2 분말가루 차단판(22')의 우측에 자석(24)이 위치하는 방식으로 가우스 자력봉(11)의 자석 위치를 서로 엇갈리게 배열한다.
상기와 같이 가우스 자력봉(11)에 형성된 자석(24) 위치를 엇갈리게 배열하여 사용하면 제 1 분말가루 차단판(22)의 좌측에 위치한 자석(24)에 의해 식품분말가루에 포함된 쇳가루(26)를 자력에 의해 검출한 다음 자가 제거하기 위해 제 1 쇳가루 수거함(13)으로 이동하면 가우스 자력봉(11)중 나머지중 제 2 분말가루 차단판(22')의 우측에 자석(24)이 위치한 가우스 자력봉(11)이 제 1, 2 분말가루 차단판(22, 22') 사이 검출부)2_에 위치하여 쇳가루(26) 검출을 계속 진행한다.
또한, 검출부는 제 1, 2 회전 플랜지(9, 10) 사이에 가우스 자력봉(11)에 제 1, 2 분말가루 차단판(22, 22')이 이격된 상태로 끼움 결합되어 가우스 자력봉(11)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 1, 2 회전 플랜지(9, 10)와 함께 회전하며 투입된 식품 분말가루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자석(24)의 자력에 의해 쇳가루(26)를 검출하고 제 1, 2 쇳가루 수거함(13, 14)에 식품분말가루가 투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검출부(2)의 일측에는 식품분말 가루를 회전체(25)의 상부로 투입하는 식품분말 투입부(15)와 회전체(25)의 하부에는 검출과정을 거친 식품분말가루를 배출하는 배출구(16)가 형성된다.
또한, 쇳가루 수거부(4)는 제 1 회전 플랜지(9)와 제 1 분말가루 차단판(22) 사이에는 인입 및 인출공(17)이 배열된 제 1 브러쉬 차단판(23)이 위치하고, 상기 제 2 회전 플랜지(10)와 제 2 분말가루 차단판(22') 사이에는 인입 및 인출공(17)이 형성된 제 2 브러쉬 차단판(23')이 위치한 상태에서 인입 및 인출공(17)으로 가우스 자력봉(11)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 1 브러쉬 차단판(23)과 제 1 분말가루 차단판(22) 사이에 위치하는 가우스 자력봉(11)과 상기 제 2 브러쉬 차단판(23')과 제 2 분말가루 차단판(22') 사이에 위치하는 가우스 자력봉(11)에는 링형상의 링 브러쉬(12)가 각각 끼움 결합되어 실린더 하우징(6) 내부로 실린더 로드(7)의 인입 및 인출과정에서 제 1, 2 브러쉬 차단판(23, 23')에 형성된 인입 및 인출공(17)으로 자석(24)은 통과하고 링 브러쉬(12)는 제 1, 2 브러쉬 차단판(23, 23')에 간섭되어 통과하지 못하고 자석(24)에 부착된 쇳가루가 링 브러쉬(1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링 브러쉬(12)에 의해 강제로 자석(24)에서 분리되어 하부에 각각 위치한 제 1, 2 쇳가루 수거함(13, 14)으로 낙하시키는 구조이다.
상기 제 1, 2 쇳가루 수거함(13, 14)의 하부에는 서랍형식으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쇳가루 배출함(21, 21)이 각각 형성되어 수거된 쇳가루를 용이하게 버릴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제 1, 2 쇳가루 수거함(13, 14)은 "U"자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가 개방되고, 상부 끝단에는 회전력에 의해 수거된 쇳가루가 날리지 않도록 개폐되는 덮개가 경첩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받침대(20) 상면에는 제 1 브러쉬 차단판(23)과 제 1 분말가루 차단판 (22)사이와 제 2 브러쉬 차단판(23')과 제 2 분말가루 차단판(22') 사이 하부에 각각 위치하여 낙하되는 쇳가루를 수거하도록 각각 설치된 제 1, 2 쇳가루 수거함(13, 14) 위치한다.
또한, 도면에 미 도시하였으나 검출부(2)에는 표면에 테프론 코팅된 자외선 램프를 설치하여 검출중인 식품을 살균하고, 자외선 램프가 파손되어도 검출중인 식품으로 유리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면에 미 도시하였으나 검출부(2)에 오존 살균기를 설치하여 쇳가루 검출기의 휴지시간동안 기계내부를 자동으로 살균하여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도 3은 본 발명 쇳가루 검출기가 정상적으로 쇳가루를 검출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 쇳가루 검출기(1)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20개의 가우스 자력봉중 검출부(2)를 중심으로 좌측에 자석(24)이 위치한 가우스 자력봉(11)과 우측에 자석(24)이 위치한 가우스 자력봉(11)에서 자석(24)의 위치를 엇갈리게 배열하여 설치한 다음 검출부(2)의 좌측에 위치한 자석(24)이 검출부(2)에 위치하도록 실린더 로드(7)를 인출하면 검출부(2) 좌측에 위치한 자석(24)은 제 1, 2 분말가루 차단판 (22, 22')사이에 위치하고, 검출부(2) 우측에 위치한 자석(24)은 제 2 분말가루 차단판(22') 외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대기한다.
따라서 유압모터(8)의 작동으로 실린더 로드(7)가 회전하면 회전체(25)에 부착된 가우스 자력봉(11)과 제 1, 2 브러쉬 차단판(23, 23')과, 제 1, 2 분말가루 차단판(22, 22')도 함께 회전하면서 제 1, 2 분말가루 차단판(22, 22') 사이에 위치한 자석(24)은 하부방향으로 낙하되는 식품분말 가루에 포함된 쇳가루를 검출한다.
도 4는 본 발명 쇳가루 검출기에서 회전체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검출된 쇳가루를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쇳가루 검출기에서 링 브러쉬에 의해 쉿가루가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확대 측면도이다.
자석(24)에 부착된 쇳가루에 의해 자력이 약해져 쇳가루의 검출효율이 저하될 수 있어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에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실린더 로드(7)가 실린더 하우징(6) 방향으로 인입되면 가우스 자력봉(11)도 중공 유압 실린더(5)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1, 2 분말가루 차단판(22, 22')에 위치한 자석(24)도 제 1 분말가루 차단판(22)과 제 1 브러쉬 차단판(23)을 통과한다.
상기와 같이 제 1 브러쉬 차단판(23)에 자석(24)이 통과하면 제 1 브러쉬 차단판(23)에는 링 브러쉬(12)가 제 1 브러쉬 차단판(23)에 형성된 인입 및 인출공(17)을 통과하지 못하고 자석(24)을 포함한 가우스 자력봉(11)만 통과하기 때문에 링 브러쉬(12)는 인입 및 인출공(17)을 통과하는 자석(24) 표면에 부착된 쇳가루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강제로 간섭한 다음 자석(24)이 링 브러쉬(12)를 다 통과하고 나면 자력이 사라져 링 브러쉬(12)에 의해 간섭된 쇳가루는 하부에 위치한 제 1 쇳가루 수거함(13)으로 낙하되어 수거되고, 가우스 자력봉(11)에서 우측에 위치한 자석(24)은 제 1, 2 브러쉬 분말가루 차단판(22, 22')에 위치하여 식품분말에 포함된 쇳가루를 지속적으로 검출한다.
또한, 반대로 검출부(2) 우측에 위치한 자석(24)에 부착된 쇳가루(26)를 자가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로드(7)가 실린더 하우징(6)에서 인출되면 가우스 자력봉(11)도 이동하여 쇳가루가 자가 제거된 자석()이 제 1, 2 분말가루 차단판(22, 22') 사이로 위치하면 쇳가루가 부착된 자석(24)은 제 2 분말가루 차단판(22')으로 이동하여 제 2 브러쉬 차단판(2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링 브러쉬(12)에 의해 자석(24)에 부착된 쇳가루를 자석(24)에서 분리하여 제 2 쇳가루 수거함(14)으로 낙하시켜 제거한다.
본 발명 쇳가루 검출기(1)는 상기와 같이 검출된 일측에서는 쇳가루를 자가 제거함과 동시에 타측에서는 쇳가루를 검출하는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쇳가루 검출기 2: 검출부
3: 구동부 4: 쇳가루 수거부
5: 중공 유압 실린더 6: 실린더 하우징
7: 실린더 로드 8: 유압모터
9: 제 1 회전 플랜지 10: 제 2 회전 플랜지
11: 가우스 자력봉 12: 링 브러쉬
13: 제 1 쇳가루 수거함 14: 제 2 쇳가루 수거함
15: 식품 분말 투입부 16: 배출구
17: 인입 및 인출공
19: 회전롤러부 20: 받침대
21, 21': 쇳가루 배출함 22, 22' 제 1, 2 분말가루 차단판
23, 23': 제 1, 2 브러쉬 차단판 24: 자석
25: 회전체 26: 쇳가루

Claims (4)

  1. 받침대(20); 와
    상기 받침대(20)의 상면 일측에는 유압모터(8);와
    상기 유압모터(8)와 일측이 연결되어 실린더 하우징(6)에 삽입된 실린더 로드(7)와 제 1, 2 회전 플랜지(9, 10)와 연결되어 실린더 로드(7)의 회전으로 제 1, 2 회전 플랜지(9, 10)가 회전하고, 상기 실린더 로드(7)가 실린더 하우징(6)으로 인입 및 인출되어 제 1, 2 회전 플랜지(9, 1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중공 유압 실린더(5); 와
    상기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제 1, 2 회전 플랜지(9, 10) 사이에는 다수개의 가우스 자력봉(11)을 마련한 제 1, 2 회전 플랜지(9, 10)에 양단을 고정한 후, 회전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체(25)로 구성된 쇳가루 검출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회전 플랜지(9, 10) 사이에는 봉형상중 일부에만 자석(24)이 형성된 다수개의 가우스 자력봉(11)을 마련하되, 상기 가우스 자력봉(11)은 길이방향을 따라 자석(24)의 위치를 동일하게 형성하는게 아니라 가우스 자력봉(11)중 일부는 제 1, 2 분말가루 차단판(22, 22') 사이 검출부(2)를 중심으로 하여 제 1 분말가루 차단판(22)의 좌측에 자석(24)이 위치하고, 나머지 가우스 자력봉은 제 2 분말가루 차단판(22')의 우측에 자석(24)이 위치하도록 자석(24) 위치를 지그재그방식으로 엇갈리게 배열하여 제 1, 2 회전 플랜지(9, 10)에 양단을 고정한 후, 회전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체(25); 와
    상기 제 1, 2 회전 플랜지(9, 10) 사이에는 가우스 자력봉(11)에 제 1, 2 분말가루 차단판(22, 22')이 이격된 상태로 끼움 결합되어 가우스 자력봉(11)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 1, 2 회전 플랜지(9, 10)와 함께 회전하며 투입된 식품 분말가루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자석(24)의 자력에 의해 쇳가루를 검출하고 제 1, 2 쇳가루 수거함(13, 14)에 식품분말가루가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검출부(2)와,
    상기 제 1 회전 플랜지(9)와 제 1 분말가루 차단판(22) 사이에는 인입 및 인출공(17)이 배열된 제 1 브러쉬 차단판(23)이 위치하고, 상기 제 2 회전 플랜지(10)와 제 2 분말가루 차단판(22') 사이에는 인입 및 인출공(17)이 형성된 제 2 브러쉬 차단판(23')이 위치한 상태에서 인입 및 인출공(17)으로 가우스 자력봉(11)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 1 브러쉬 차단판(23)과 제 1 분말가루 차단판(22) 사이에 위치하는 가우스 자력봉(11)과 상기 제 2 브러쉬 차단판(23')과 제 2 분말가루 차단판(22') 사이에 위치하는 가우스 자력봉(11)에는 링형상의 링 브러쉬(12)가 각각 끼움 결합되어 실린더 하우징(6) 내부로 실린더 로드(7)의 인입 및 인출과정에서 제 1, 2 브러쉬 차단판(23, 23')에 형성된 인입 및 인출공(17)으로 자석(24)은 통과하고 링 브러쉬(12)는 제 1, 2 브러쉬 차단판(23, 23')에 간섭되어 통과하지 못하고 자석(24)에 부착된 쇳가루가 링 브러쉬(1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링 브러쉬에 의해 강제로 자석(24)에서 분리되어 하부에 각각 위치한 제 1, 2 쇳가루 수거함(13, 14)으로 낙하시키는 제 1, 2 쇳가루 수거부(4)와,
    상기 받침대(20) 상면에는 제 1 브러쉬 차단판(23)과 제 1 분말가루 차단판 (22)사이와 제 2 브러쉬 차단판(23')과 제 2 분말가루 차단판(22') 사이 하부에 각각 위치하여 낙하되는 쇳가루를 수거하도록 각각 설치된 제 1, 2 쇳가루 수거함(13, 14);과,
    상기 받침대(20) 상면에는 검출부(2) 하부에 위치하여 쇳가루가 검출된 식품분말가루를 배출하는 배출구(16);로 이루어져 가우스 자력봉(11)중 제 1 분말가루 차단판(22)의 좌측에 위치한 자석(24)이 제 1, 2 분말가루 차단판(22, 22') 사이 검출부(2)로 이동하여 식품분말 투입부(15)에서 낙하되는 식품분말가루에 포함된 쇳가루를 자력에 의해 검출한 다음 중공 유압 실린더(5)에 의해 가우스 자력봉(11)이 제 1 쇳가루 수거함(13)방향으로 이동하면 자석(24)은 제 1 브러쉬 차단판(23)을 통과하면서 쇳가루(26)는 링 브러쉬(12)에 의해 간섭되어 제 1 쇳가루 수거함(13)으로 낙하됨과 동시에 제 2 분말가루 차단판(22') 우측에 자석(24)이 위치한 가우스 자력봉(11)도 좌측으로 이동함으로 인해 제 2 분말가루 차단판(22') 우측에 위치한 자석(24)도 제 1, 2 분말가루 차단판(22, 22') 사이 검출부(2)에 위치하여 식품분말가루에 포함된 쇳가루를 검출하는 방식을 반복하여 쇳가루를 제거 및 검출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에 부착된 쇳가루를 자가 제거하는 쇳가루 검출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93639A 2019-08-01 2019-08-01 자석에 부착된 쇳가루를 자가 제거하는 쇳가루 검출기 KR102106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639A KR102106734B1 (ko) 2019-08-01 2019-08-01 자석에 부착된 쇳가루를 자가 제거하는 쇳가루 검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639A KR102106734B1 (ko) 2019-08-01 2019-08-01 자석에 부착된 쇳가루를 자가 제거하는 쇳가루 검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734B1 true KR102106734B1 (ko) 2020-05-04

Family

ID=70732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639A KR102106734B1 (ko) 2019-08-01 2019-08-01 자석에 부착된 쇳가루를 자가 제거하는 쇳가루 검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73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1844A (ko) * 2005-03-21 2006-09-26 주식회사 안심푸드 위생 고추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00031371A (ko) * 2008-09-12 2010-03-22 주식회사 포스코 철분 수거장치
KR20100125616A (ko) 2009-05-21 2010-12-01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온라인 서비스에 있어서의 안내정보 전달 시스템
KR101183819B1 (ko) * 2011-08-19 2012-09-19 예천청결고추영농조합법인 고춧가루 철분 제거기
KR101225134B1 (ko) * 2011-02-25 2013-01-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철분진 포집장치
KR101759486B1 (ko) * 2016-05-11 2017-07-20 이규호 쇳가루 검출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1844A (ko) * 2005-03-21 2006-09-26 주식회사 안심푸드 위생 고추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00031371A (ko) * 2008-09-12 2010-03-22 주식회사 포스코 철분 수거장치
KR20100125616A (ko) 2009-05-21 2010-12-01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온라인 서비스에 있어서의 안내정보 전달 시스템
KR101225134B1 (ko) * 2011-02-25 2013-01-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철분진 포집장치
KR101183819B1 (ko) * 2011-08-19 2012-09-19 예천청결고추영농조합법인 고춧가루 철분 제거기
KR101759486B1 (ko) * 2016-05-11 2017-07-20 이규호 쇳가루 검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3807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foreign matter from coins or similar disk-like objects
JP4601236B2 (ja) 穀物の選別システム
US4896836A (en) Rotary feeder wth metal removing means
US6835315B2 (en) Media vacuum filter
JP2009142743A (ja) 粉砕装置
JP4504408B2 (ja) スプリング含有物処理装置及びスプリング含有物処理方法
KR200387287Y1 (ko) 고추분쇄기용 금속물질 선별기
CN116213055A (zh) 垃圾分选线及其实施方法
KR102106734B1 (ko) 자석에 부착된 쇳가루를 자가 제거하는 쇳가루 검출기
US4420390A (en) Magnetic separator for particulates
CN107570263A (zh) 多功能饲料加工机
US3587858A (en) Fiber handling and cleaning device
CN206810434U (zh) 一种新式高速万能粉碎机
CN102553819A (zh) 垃圾分选筛
WO2017173985A1 (zh) 干法除尘装置
CN216224826U (zh) 一种进料除杂系统
KR20220003047U (ko) 이물제거기구가 구비된 고추씨 분리기
KR102274800B1 (ko) 포장분말의 분진방지용 탈철장치
KR100948174B1 (ko) 분말가루의 금속류 분리장치
WO2010034068A1 (en) Tyre processing device
US6029569A (en) Apparatus for food contaminant removal
KR200436915Y1 (ko) 필터를 사용하여 이물질을 걸러내는 장치
JP2003220365A (ja) 製茶用選別装置
KR20010079302A (ko) 음식물 찌꺼기 및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US5967334A (en) In-situ self-cleaning feed system for separa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