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282B1 - 개인 맞춤형 식사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 맞춤형 식사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282B1
KR102106282B1 KR1020190115454A KR20190115454A KR102106282B1 KR 102106282 B1 KR102106282 B1 KR 102106282B1 KR 1020190115454 A KR1020190115454 A KR 1020190115454A KR 20190115454 A KR20190115454 A KR 20190115454A KR 102106282 B1 KR102106282 B1 KR 102106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ood
meal
li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우진
차정우
김도윤
Original Assignee
임우진
차정우
김도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우진, 차정우, 김도윤 filed Critical 임우진
Priority to KR1020190115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2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맞춤형 식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의 건강 검진 기록이 저장되어 있는 건강검진 기록서버; 상기 건강검진 기록서버로부터 건강검진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식사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된 건강검진 기록을 수신하고 저장하는 앱서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식사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건강검진 기록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건강검진 결과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정보 입력 모듈; 상기 건강검진 결과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분석모듈;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섭취하고자 하는 음식 정보 또는 식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식사정보 입력모듈; 상기 식사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된 식사 정보로부터 입력된 식사의 적합도 및 부적합도를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기반하여 판단하는 식사정보 판단모듈; 및 상기 식사정보 판단모듈로부터 판단된 식사의 적합도 및 부적합도를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하는 식사정보 통보모듈을 포함하고, 사용자정보 입력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사상체질을 더 입력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식사정보 판단모듈은 사용자의 사상체질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된 식사에 대한 적합도 및 부적합도를 더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개인 맞춤형 식사 관리 시스템{PERSONALIZED MEAL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식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인의 건강 검진 데이터 및 개인의 체질을 고려한 개인 맞춤형 식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삶의 질, 건강 관리, 웰빙 등에 관심이 매우 커지고 있다. 그리고 노령 인구, 만성 질환자, 당뇨 환자, 노령 환자 등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음식 문화가 서구화되면서 청소년층이나 중년층의 사람들에게도 비만 환자들 역시 많이 늘어나고 있다.
현대에는 인터넷이나 인공 지능이 발전하면서 인터넷을 검색하면 각종 음식에 대한 좋은 성분이나 칼로리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고, 인공 지능의 기기들이 각종 정보를 음성이나 문자로 편리하게 제공해 주기도 한다.
또한, 음식의 무게를 측정하여 용기에 적정량의 음식량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음식량이 적어지면 경보를 송출하여 음식을 보충하는데 도움을 주는 뷔페용 다이어트 식사 시스템도 등장 하였다.
음식의 섭취는 영양분을 신체에 공급하는 기능 외에도 과도할 경우 여러 가지 질병을 유발하는 점에서 그 적정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음식을 통한 영양의 3대 요소인 당질, 단백질, 지질의 균형 있는 영양 섭취가 중요함과 동시에, 한끼 식사에 의해 섭취되는 칼로리를 고려한 균형 있는 식사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어느 경우에는 맛있는 음식 때문에 편식과 과식을 하는 경우가 있고, 다른 경우에는 적은 식사를 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람마다 그 건강 상태에 따라 필요한 영양소가 상이하고 또한 평상시 앓고 있는 질병이 있는 경우에는 식단을 통한 치료도 병행해야만 한다.
통상적으로 질병관리와 관련해서,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민의 질병, 부상에 대한 예방, 진단, 치료, 재활 등 건강 증진에 대한 사회보장을 증진시키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정기검진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지만 현재 그 정보를 이용하여 사람들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은 제안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실시하는 정기검진 검사결과는 검진 대상 개개인에 대한 세밀한 건강 및 의료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개별 맞춤 식단의 제공은 국민의 건강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또한 한편 이와 같은 건강검진 결과 이외에도 우리나라의 사상의학에서는 사람 개개인에 대해 선천적으로 지닌 형태적인 고유특질과 생리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크게 4가지의 체질(태양인(太陽人),소양인(少陽人),태음인(太陰人),소음인(少陰人))로 분류하고 있다.
또한 그 체질에 따라 섭취하는 식품에 따라,그 작용현상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체질에 맞는 음식물인가에 따라 건강과 질병으로 발현되기도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각 소비자가 자신의 건강 상태와 사상체질에 따른 음식물을 구하여 섭취하기는 어렵고 또한 현재 자신이 섭취하고 있는 음식이 자신의 몸에 유익한 것인지 아니면 해로운 것인지 판별할 수 없기 때문에 자신에 맞는 식단을 구성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에 기반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은 국민건강검진의 검진 결과에 기반하여 식단을 제공하고 또한 제공된 음식이 자신에게 적합한지 여부를 알려줄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식사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이용한 식사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국민건강검진의 검진 결과에 더하여 사용자 본인의 사상체질을 고려하여 식단을 제공하고 또한 제공된 음식이 자신에게 적합한지 여부를 알려줄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식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르면, 개인의 건강 검진 기록이 저장되어 있는 건강검진 기록서버; 상기 건강검진 기록서버로부터 건강검진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식사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된 건강검진 기록을 수신하고 저장하는 앱서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식사관리 시스템이 제공되고,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건강검진 기록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건강검진 결과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정보 입력 모듈;
상기 건강검진 결과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분석모듈;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섭취하고자 하는 음식 정보 또는 식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식사정보 입력모듈;
상기 식사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된 식사 정보로부터 입력된 식사의 적합도 및 부적합도를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기반하여 판단하는 식사정보 판단모듈; 및
상기 식사정보 판단모듈로부터 판단된 식사의 적합도 및 부적합도를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하는 식사정보 통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정보 입력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사상체질을 더 입력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식사정보 판단모듈은 사용자의 사상체질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된 식사에 대한 적합도 및 부적합도를 더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양태에서 사용자 정보 입력모듈은 사용자로부터 과거 질병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모듈은 사용자의 과거 질병 정보 및 건강검진 결과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추천 음식 리스트 및 제1 회피 음식 리스트를 작성하고 작성된 제1 추천 음식 리스트 및 제1 회피 음식 리스트를 앱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모듈은 사용자의 사상체질에 기반하여 제2 추천 음식 리스트 및 제2 회피 음식 리스트를 더 작성하고 작성된 제2 추천 음식 리스트 및 제2 회피 음식 리스트를 앱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앱서버는, 제1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된 음식에 대해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제2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된 음식에 대해 제2 가중치를 부여하고, 제1 회피 음식 리스트에 포함된 음식에 대해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제2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된 음식에 대해 제2 가중치를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식사정보 판단모듈은 식사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음식이 입력되면, 식사정보 판단모듈은 입력된 음식이 서버에 기록된 사용자에 대한 제1 및 제2 추천 음식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또는 제1 및 제2 회피 음식 리스트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식사정보 판단모듈로부터 판단되는 적합도는, 식사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된 음식이: 제1 추천 음식 리스트 및 제2 추천 음식 리스트에 모두 포함된 경우 가장 높은 적합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지만 제2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두번째로 높은 적합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고 제2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세번째로 높은 적합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며, 식사정보 통보모듈은 입력된 음식에 대해 전술한 적합도에 기반하여 화면에 구별되게 표시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식사정보 판단모듈로부터 판단되는 부적합도는, 식사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된 음식이: 제1 회피 음식 리스트 및 제2 회피 음식 리스트에 모두 포함된 경우 가장 높은 부적합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 회피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지만 제2 회피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두번째로 높은 부적합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 회피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고 제2 회피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세번째로 높은 부적합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며, 식사정보 통보모듈은 입력된 음식에 대해 전술한 부적합도에 기반하여 화면에 구별되게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본인의 국민건강검진의 검진 결과와 사상체질을 고려하여 식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공된 음식이 자신에게 적합한지 여부를 알려줄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식사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식사 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식사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기능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사 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적합도 및 부적합도 평가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사 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사 관리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화면의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사 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음식의 적합도와 부적합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체크를 수행하는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식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락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은 사용자의 건강검진기록이 저장되어 있는 건강검진 기록서버(200), 상기 건강검진 기록서버(200)로부터 건강검진기록을 수신하고 건강검진기록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식사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도록 구성된 스마트폰(100),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하고 사용자의 식사 및 식단 관리를 제공하기 위한 앱서버(300)를 포함하고, 여기서 스마트폰(100)에서 제공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식사 관리 기능은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전용의 식사 관리 어플리케이션(400)을 통해 제공된다.
건강관리공단에 제공되는 건강검진 기록서버(200)와 식사 관리 어플리케이션(400)의 통신, 및 식사 관리 데이터가 저장되는 서버(300)와 어플리케이션(400)의 통신은 공지의 기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식사 관리 어플리케이션(400)의 주요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0)에 설치되는 식사 관리 어플리케이션(400)은 그 기능별로 사용자의 건강검진 정보 및 사상체질 정보등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입력 모듈(410),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420), 사용자가 섭취할 음식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식사 정보 입력 모듈(430), 입력된 식사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건강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식사 정보 판단 모듈(440); 식사 정보 판단 모듈(440)에서 분석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식사 정보 통보 모듈(450) 및 사용자에게 추천 식단을 제공하기 위한 식단 작성 모듈(46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기능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식사 관리 어플리케이션(400)에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 기능들의 적어도 일부분은 앱서버(300)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사용자 정보 입력 모듈(410)은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사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개인 식별정보를 사용자에게 입력하도록 기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는 앱서버(300)로 전송된다. 앱서버(3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개인 식별정보에 기반하여 건강검진 기록서버(200)에 액세스하고 건강검진 기록서버(200)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건강검진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한 건강검진 결과를 앱서버(300)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한다.
사용자 정보 입력 모듈(310)을 통해 수신되는 건강검진 결과는 건강검진 기록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건강검진 결과는 사용자에 의해 필요한 항목을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정보 입력 모듈(310)은 사용자의 식사 관리에 필요한 정보, 예를 들면, 비만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되는 사용자의 신장, 체중, 허리둘레, 체질량지수를 포함하는 정보, 시각이상을 판단하기 위한 시각 정보, 청각이상을 판단하기 위한 청각 정보, 고혈압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혈압(최고, 최저) 정보, 신장질환을 판단하기 위한 요단백 정보, 혈액 분석에 이용되는 혈색소, 공복혈당, 총콜레스트롤, HDL 콜레스트롤, 트리글리세라이드 등의 건강검진 검사 항목의 정보, 및 과거 병력 정보 등을 입력하도록 구성된 GUI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사용자로부터 수동으로 입력된 정보들은 앱서버(300)로 보내지고 앱서버(300)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다.
또한 사용자 정보 입력 모듈(410)은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사용자로부터 사상체질을 입력을 받도록 기능한다. 사상체질의 입력은 사용자가 직접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및 소음인으로부터 선택하여 입력될 수도 있고, 사상체질을 판단하기 위한 문진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사상체질을 판단할 수도 있다.
사상체질을 판단하기 위한 문진표는 아래의 예와 같다.
01 나의 체형
1) 체격에 비해 머리가 좀 크나 목이 짧다. 하체가 길고 부실하며 엉덩이가 빈약하다.
2) 상체와 하체의 비율이 균형적이고 대체로 건실한 편이다.
3) 상체가 보다 발달되어 있으며, 여성인 경우 가슴이 넓고 하체가 부실한 편이다.
4) 하체와 엉덩이가 발달한 편이며, 대체로 손/발가락 마디가 큰 편이지만 전체 체형은 작은 편이다.
02.얼굴 형과 입술 형의 특징
1) 얼굴 윤곽이 뚜렷하고 목이 굵으며, 눈은 좀 작은 듯 하나 광채가 있고 입술이 얇은 편이다.
2) 얼굴이 대체로 넓어 표정이 근엄한 편이고, 피부는 거칠고 입술은 검고 큰 편이다.
3) 얼굴이 역삼각형의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턱이 작고 눈썹이 진하며 입술은 얇은 편이다.
4) 얼굴이 작고 달걀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목구비가 오목조목하며 입술이 작고 두툼한 편이다.
03. 상체 및 하체 특징
1) 상체는 건실한 편이나 허리와 하체가 약하여 오래 서 있기 힘들다.
2) 상·하체가 균형이 잡혀 있고 선 자세가 꼿꼿하다.
3) 하체에 비해 가슴이 크고 엉덩이가 작거나 다리가 가늘다.
4) 상체가 대체로 약하고 엉덩이가 크고 아랫배가 나왔다.
04. 걸음걸이와 시선 특징
1) 상체를 많이 흔드는 편이며 시선을 멀리 두어 잘 넘어지고, 오래 걷지 못한다.
2) 걸음이 늦어 여유롭고 무게 있게 걸으며 시선을 바로 앞을 보며 걷는 편이다.
3) 걸음이 빠르고 엉덩이를 흔드는 편이며 사방을 살피면서 걷고 하체보다 상체가 먼저 나간다.
4) 걸음걸이의 보폭이 크지 않아 안정성이 있고 시선을 가까이 두고 걷는다.
05. 신체적 특성
1) 가슴이 터질 것 같은 증상이 더러 있으며, 다리에 힘이 빠져 주저앉고 싶을 때도 있다.
2) 특히 오후가 되면 눈의 피로가 심하고 심장에 부담이 가 기력이 떨어진다.
3) 건망증이 심하여 금방 둔 물건도 찾지 못 하는 경향이 있다.
4) 무의식중에 한숨이 자주 나오고 소화 불량이 잦은 편이다.
06. 타인과 대화 스타일
1) 행동이 거침이 없고 상대방의 의견을 묵살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기주장을 굽히지 않는 편이다.
2) 대체로 남의 얘기는 잘 들어주나 자기와 의견이 일치하지 않으면 반대 이론을 내세우는 편이다.
3) 말에 거침이 없고 재치 있으며 잘잘못의 시비를 가려야 직성이 풀리나, 실수가 있어 곧잘 후회한다.
4) 소심하고 자기의 이야기는 잘하지 않으며 남의 이야기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골똘히 생각하는 편이다.
07. 업무 스타일
1) 독선적인 면이 있어 옳지 않더라도 자기의 뜻을 굽히지 않고 추진하는 경향이 있다.
2) 옳은 일에는 황소고집으로 일을 끝까지 추진하고 성취하는 편이다.
3) 일처리를 빨리 결정하고 약간 덤벙 되어 간혹 실수할 때도 있다.
4) 세심하여 쉽게 결정을 못 하는 편이나 결정된 일은 성실히 처리한다.
08. 대인관계
1) 고집스러워 자기주장이 강하고 리더 하는 경향이 있으나 주위에서 나를 피하는 경향이 있다.
2) 대인관계가 대체로 원활하지만 한 번 틀어지면 다시 이어지기 어려운 편이다.
3) 대인관계가 넓고 활동적이나 아주 깊지 않으며 관계가 깨어지더라도 상대방이 화해하면 받아준다.
4) 대인관계가 그리 넓지 못하지만 내가 선택한 사람들과는 깊게 사귄다.
09. 직장 안에서 적응과 성격 유형
1) 상사에게 반발도 곧 잘하며,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기를 좋아하고 아주 당당하다.
2) 과묵한 편이어서 사람들이 쉽게 접근하지 않고 어떤 일이든 마무리하지 않으면 가슴이 답답하다.
3) 동료의 부탁을 잘 들어주고 명랑하며, 상사나 부하의 불평도 곧잘 공감해주어 인간관계가 넓다.
4) 매너가 좋고 꼼꼼하다는 평을 듣지만 자신의 감정이 상하기 쉽다. 이때는 대화나 일을 통하여 해소한다.
10. 옷차림과 쇼핑 스타일
1) 화려하게 입지 않고 그냥 검거나 흰옷으로 단정하게 입으며, 충동구매는 거의 없다.
2) 분위기에 따라 옷을 입는 편이지만 남을 의식하여 고상하게 입고 깊게 생각하며, 의미를 찾아 구매한다.
3) 유행에 민감하며 미적감각을 중시해 화려하게 입으며 충동구매를 하는 편이다.
4) 어떤 옷도 잘 어울리는 편이라 잘 소화해 낸다. 세심하게 관찰하여 실용적인 판단 기준으로 구매한다.
11. 감각적 특징
1) 한 번들은 이야기나 노래를 잘 기억해 낸다. 남보다 좋은 소리나 음향을 중시한다.
2) 후각이 좋아 향기나 썩은 냄새 등을 특히 잘 맡는 편이다.
3) 관찰력이 있으며 길눈도 밝은 편이다. 남보다 시각적 미를 중시하는 편이다.
4) 미각이 좋아 맛을 잘 구분하고, 입맛도 까다로운 편이다.
12. 예전에 나타난 질병 유형
1) 하체가 약하고 요통이 잦으며 신트림이 나거나 자주 토하는 편이다.
2) 천식이 있거나 기관지가 약해 감기가 잦고, 피부병도 자주 있는 편이다.
3) 신장, 방광, 생식계통이 약하고 손발에 땀이 나거나 더위를 많이 탄다.
4) 잘 체하고 소화기가 좋지 않으며, 몸이 냉하여 남보다 추위를 잘 탄다.
13. 전체적인 체질 특징
1) 건강할 땐 소변량이 많고 힘차나, 건강이 안 좋을 때는 변비도 생기기 쉽다. 수면이 부족하면 아주 피곤하며 낮에 지치기 쉽고, 눈병도 잦다. 오래 서 있기가 좀 힘들다.
2) 조금만 활동해도 땀이 나는 편이며, 무엇이나 잘 먹고 과식하는 경향이 있다. 항상 심장과 폐 기능이 우려되기도 하며 외부 온도 변화나 공기오염에 예민해 재채기가 나오는 경우도 있다.
3) 건강할 땐 대변이 순조로우나 건강 상태가 나쁘면 그렇지 못 하는 경향이 있다. 초저녁잠이 많고 시원한 음식을 즐기고, 요통이 잦으며 신장, 방광, 생식기계가 우려되기도 한다.
4) 활동적인 것을 좋아하지 않고 실내에서 지내기를 좋아하는 편이다. 돼지고기보다 닭고기가 좋으며, 인삼 등 더운 음식도 별 탈 없이 먹으나 소식하지 않으면 소화장애가 있고, 변비나 설사가 잦은 편이다.
전술한 총 13문항 중 가장 많은 문항이 있는 것이 사용자의 체질을 나타내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1) 태양인, 2) 태음인, 3) 소양인 및 4) 소음인
태양인의 경우 통상적으로 가슴 윗부분이 발달된 체형으로 목덜미가 굵으며 허리가 가는 큰징이 있고, 또한 머리가 큰 반면, 하체가 약하고 눈빛이 강렬한 특징을 갖는다.
태음인의 경우 태양인과 반대로 상체가 약하고 목덜미 기세가 약하며, 허리가 굵고 엉덩이가 발달되어 있으며 자세가 굳건하고 안정적인 신체적 특징을 갖는다.
소양인의 경우 가슴이 잘 발달되어 어깨가 벌어진 느낌을 가지는데 반해 엉덩이는 빈약하고 골반이 좁은 신체적 특징을 갖는다.
소음인의 경우 골반이 크고 가슴이 빈약하여 움츠린 듯한 느낌을 주며, 체구가 작은 편이나 상하의 균형이 잘 잡혀있는 신체적 특징을 갖는다.
이상과 같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또는 문진표에 의해 결정된 사용자의 사상체질 정보는 사용자의 건감검진 결과와 동일하게 앱서버(300)에 전송되고 데이터 베이스(310)에 저장되어 진다.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420)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건강검진 결과 정보 및 사상체질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정보를 분석한다.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430)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로부터 비만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비만도에 따른 하루 필요 칼로리를 계산하고, 사용자의 과거 질병 정보 및 건강검진 결과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추천 음식 리스트 및 제1 회피 음식 리스트를 작성하고, 사용자의 사상체질에 기반하여 제2 추천 음식 리스트 및 제2 회피 음식 리스트를 작성하고, 이를 앱서버(300)에 전송하고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한다.
사용자의 과거 질병 정보 및 건감검질 결과 정보에 기반한 제1 추천 음식 리스트 및 제1 회피 음식 리스트는 사용자마다 상이하다. 하나의 예로 고혈압 있는 사용자의 경우 추천 음식 리스트 및 회피 음식 리스트는 다음과 같이 작성될 수 있다.
추천음식 리스트: 보리, 조, 현미, 메밀, 율무, 생강차, 인삼차, 옥수수, 고구마, 소고기, 돼지고기, 간, 생선, 가자미, 넙치, 달걀, 두부, 콩, 샐러드, 탈지유, 마늘, 부추, 파, 과일류, 참깨, 참기름, 흰설탕, 흑설탕, 잼, 우유, 보리차, 홍차, 커피, 표고버섯, 가지, 귤, 인삼, 메밀, 사과, 호박, 감자, 무, 다시마, 김, 미역, 땅콩
회피음식 리스트: 베이킹파우더, 소다, 된장, 고추장, 간장, 통조림, 베이컨, 햄, 치즈, 깍두기, 장아찌, 젓갈, 마가린, 마요네즈, 채소, 토마토 주스, 조개, 새우, 게, 해삼, 라면, 통조림, 팝콘, 감자튀김, 튀긴 땅콩, 치즈, 피자, 팥밥, 맥주, 아이스크림, 케이크, 돼지비계, 소고기, 초콜릿, 도넛, 호두, 잣, 소간, 돼지고기, 내장, 달걀노른자, 정어리, 오징어, 말린 문어
반면, 사용자의 사상체질에 기반하여 제2 추천 음식 리스트 및 제2 회피 음식 리스트는 통상적으로 다음과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1) 태양인
추천음식 리스트: 머루, 다래, 포도, 감, 앵두, 모과, 복숭아, 키위, 오렌지, 레몬, 송화가루, 오가피, 배추, 달래, 고사리, 송이버섯, 콩, 새우, 해삼, 붕어, 조개, 게
회피음식 리스트: 삼계탕, 보신탕, 매운탕
2) 태음인
추천음식 리스트: 배, 매실, 자두, 살구, 석류, 복숭아, 석류, 밤, 잣, 호두, 은행, 도라지, 더덕, 무, 당근, 연근, 토란, 참마, 버섯, 밀, 율무, 옥수수, 땅콩, 들깨, 쇠고기, 우유, 버터, 치즈, 간유, 명란, 우렁이, 뱀장어, 미역, 다시다, 김, 해조류,
회피음식 리스트: 닭고기, 개고기, 돼지고기, 삼계탕, 인삼차, 생강차
3) 소양인
추천음식 리스트: 딸기, 참외, 바나나, 파인애플, 수박, 멜론, 곶감, 위, 유자, 매실, 오이, 배추, 상추, 우엉, 아욱, 가지, 호박, 가지, 당근, 보리, 팥, 녹두, 참깨, 현미, 돼지고기, 계란, 생굴, 해삼, 멍게, 전복, 새우, 게, 가재, 잉어, 자라, 가물치, 가자미
회피음식 리스트: 파, 마늘, 고추, 생각, 후추, 닭고기, 개고기, 염소고기, 노루고기, 꿀 등
4) 소음인
추천음식 리스트: 복숭아, 사과, 오렌지, 귤, 사과, 토마토, 자몽, 무화과, 대추, 미나리, 시금치, 양배추, 쑥갓, 고추, 파, 마늘, 후추, 생강, 부추, 찹쌀, 차조, 벌꿀, 닭고기, 개고기, 염소고기, 참새, 꿩, 양젖, 명태, 도미, 조기, 멸치, 민어, 미꾸라지
회피음식 리스트: 면, 참외, 수박, 차가운 우유, 팥빙수, 생맥주, 보리밥, 돼지고기, 밀
이와 같이 작성된 하루 필요 칼로리, 제1 추천 음식 리스트 및 제1 회피 음식 리스트, 제2 추천 음식 리스트 및 제2 회피 음식 리스트는 사용자의 식단 정보를 작성하거나 사용자의 식사 정보를 판단하는 기초가 된다.
앱서버(300)는 보다 정확한 사용자에 대한 적합도 또는 부적합도를 계산하기 위해서, 사용자별로 작성된 추천 음식 리스트 및 회피 음식 리스트에 기재된 음식별로 서버에 저장을 해는 동시에 각각의 음식에 대한 표준 성분표를 작성하고 이를 음식과 매칭시켜 저장한다.
표준 성분표는 특정 음식에 대한 표준 레시피에 따른 음식 재료들의 성분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표준 성분표에 따르면 특정 음식을 구성하는 재료들을 알 수 있게 되고, 이 음식의 재료들이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도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식사 정보 입력 모듈(430)은 사용자가 현재 섭취하고자 하는 음식을 어플리케이션(300)을 통해 입력하는 처리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400)을 통해 현재 먹고자하는 음식물을 화면상에 제공된 키패드를 통해 입력하거나 또는 카메라를 통해 섭취하고자 하는 음식물에 대해 촬영을 수행한다.
식사 정보 판단 모듈(440)은 사용자가 키패드 또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한 음식물을 분석하고 해당하는 음식물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판단한다. 식사 정보 판단 모듈(400)은 사용자로부터 취득된 음식물에 대한 칼로리를 분석하는 한편, 입력된 음식물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추천 음식 리스트에 해당하는지 아니면 제2 추천 음식 리스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제1 회피 음식 리스트에 해당하는지 제2 회피 음식 리스트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식사 정보 판단 모듈(440)로부터 입력된 음식물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어플리케이션은 단계 S100에서 식사 정보 판단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이어진 단계 S110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식사 정보 판단 모듈(440)은 식사 정보 입력 모듈(430)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음식물 입력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110에서 음식물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식사 정보 판단 모듈(440)은 음식물이 입력될 때 까지 대기하는 한편 음식물이 입력된 경우에는 단계 S120으로 진행된다.
단계 S120에서 식사 정보 판단 모듈(440)은 입력된 음식물에 대해 데이터베이스(310)에 사용자에게 매칭된 음식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 구체적으로 식사 정보 판단 모듈(440)은 먼저 단계 S130에서 입력된 음식물(또는 촬영된 음식물)이 사용자에 대한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색한다.
사용자에 대한 추천 음식 리스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과거 질병 정보 및 건강검진 결과 정보에 기반하여 작성되는 제1 추천 음식 리스트 및 또는 사상체질에 기반한 제2 추천 음식 리스트를 포함하고, 입력된 음식물이 제1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또는 제2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또는 이들 모두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132 ~ 단계 S136).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추천 음식 리스트와 제2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는 음식들은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갖고 있고(제1 추천 음식 리스트에 더 높은 가중치가 부여됨), 제1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된 적합도와 제2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된 특정 음식물에 대한 적합도는 평가시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음식물이 제1 추천 음식 리스트와 제2 추천 음식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제1 추천 음식 리스트와 제2 추천 음식 리스트에 부여되는 가중치가 상이하므로 적합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어진 단계 S150에서는 입력된 음식물에 대한 종합 적합도가 평가된다. 예를 들면, 입력된 음식물이 제1 추천 음식 리스트와 제2 추천 음식 리스트에 모두 포함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적합도가 계산되고 합산되기 때문에 가장 높은 적합도 음식물로 평가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150에서 입력된 음식물이 제1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고 제2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추천 음식 리스트에서 평가된 적합도만이 종합 적합도로서 평가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단계 S150에서 입력된 음식물이 제2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고 제1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추천 음식 리스트에서 평가된 적합도만이 종합 적합도로서 평가될 수 있다.
따라서 종합 적합도 평가에서는 두개의 리스트에 모두 포함된 음식일 수록 평가 점수가 높고, 이어서 제1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가 두번째로 높은 평가 점수를 획득하며, 마지막으로 제2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가 세번째로 높은 평가 점수를 획득하게 되며, 이어서 단계 S200에서 평가된 점수가 사용자에게 통보된다.
이에 더하여, 식사 정보 판단 모듈(440)은 종합 적합도의 평가시, 입력된 음식이 제1 추천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해당하는 음식에 대해 앱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표준 성분표에 기반하여 입력된 음식에 대한 적합도를 평가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부대찌게를 입력한 경우 식사정보 판단모듈(440)은 앱서버에 저장된 부대찌게에 대한 표준 성분표를 불러오고, 표준 성분표 상에 포함되는 부재찌게의 재료들, 예를 들면, 콩, 두부, 햄, 쏘시지, 소금, 설탕, 돼지고기, 고추가루 등의 재료들의 전체 비율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도를 계산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하게 추천 리스트에 포함된 음식이라고 하더라도, 음식을 구성하는 성분의 비율에 따라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도가 달라지고 또한 그로 인한 적합도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단계 S150에서의 종합 적합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종합적합도 = (제1 추천 음식 리스트 적합도 * 제1 가중치) + (제2 추천 리스트 적합도 * 제2 가중치)로 계산되고, 제1 추천 음식 리스트의 적합도는 음식을 구성하는 재료들에 의한 각각의 영향도의 합으로 계산될 수 있다.
다시 단계 S130으로 되돌아가, S130에서 입력된 음식물(또는 촬영된 음식물)이 사용자에 대한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40으로 진행되고, 단계 S140에서는 입력된 음식물이 전술한 회피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사용자에 대한 회피 음식 리스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과거 질병 정보 및 건강검진 결과 정보에 기반하여 작성되는 제1 회피 음식 리스트 및 사상체질에 기반한 제2 추천 음식 리스트를 포함하고, 입력된 음식이 제1 회피 음식 리스트또는 제2 회피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또는 이들 모두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142 ~ 단계 S146).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회피 음식 리스트와 제2 회피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는 음식들은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갖고 있고(제1 회피 음식 리스트에 더 높은 가중치가 부여됨), 제1 회피 음식 리스트에 포함된 적합도와 제2 회피 음식 리스트에 포함된 특정 음식물에 대한 적합도는 평가시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음식물이 제1 회피 음식 리스트와 제2 회피 음식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제1 추천 음식 리스트와 제2 추천 음식 리스트에 부여되는 가중치가 상이하므로 적합도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이어진 단계 S160에서는 입력된 음식물에 대한 종합 부적합도가 평가된다. 예를 들면, 입력된 음식물이 제1 회피 음식 리스트와 제2 회피 음식 리스트에 모두 포함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적합도가 계산되고 합산되기 때문에 가장 높은 부적합도 음식물로 평가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160에서 입력된 음식물이 제1 회피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고 제2 회피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회피 음식 리스트에서 평가된 부적합도만이 종합 부적합도로서 평가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단계 S160에서 입력된 음식물이 제2 회피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고 제1 회피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회피 음식 리스트에서 평가된 적합도만이 종합 부적합도로서 평가될 수 있다.
따라서 종합 부적합도 평가에서는 두개의 리스트에 모두 포함된 음식일 수록 부적합 점수가 높고, 이어서 제1 회피 음식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가 두번째로 높은 부적합 평가 점수를 획득하며, 마지막으로 제2 회피 음식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가 세번째로 높은 부적합 평가 점수를 획득하게 되며, 이어서 단계 S200에서 평가된 점수가 사용자에게 통보된다.
이에 더하여, 식사 정보 판단 모듈(440)은 종합 부적합도의 평가시, 입력된 음식이 제1 회피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해당하는 음식에 대해 앱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표준 성분표에 기반하여 입력된 음식에 대한 부적합도를 평가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이전과 동일하게 부대찌게를 입력한 경우 식사정보 판단모듈(440)은 앱서버에 저장된 부대찌게에 대한 표준 성분표를 불러오고, 표준 성분표 상에 포함되는 부재찌게의 재료들, 예를 들면, 콩, 두부, 햄, 쏘시지, 소금, 설탕, 돼지고기, 고추가루 등의 재료들의 전체 비율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도를 계산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하게 회피 리스트에 포함된 음식이라고 하더라도, 음식을 구성하는 성분의 비율에 따라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도가 달라지고 또한 그로 인한 부적합도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단계 S150에서의 종합 부적합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종합 부적합도 = (제1 회피 음식 리스트 부적합도 * 제1 가중치) + (제2 회피 리스트 부적합도 * 제2 가중치)로 계산되고, 제1 회피 음식 리스트의 적합도는 음식을 구성하는 재료들에 의한 각각의 영향도의 합으로 계산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식사 정보 통보 모듈(450)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식사 정보 통보 모듈(450)은 사용자가 식사 정보 입력 모듈(430)을 통해 먹고자 하는 음식을 입력하거나 음식을 촬영하여 입력하고 나면, 식사 정보 판단 모듈(440)이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음식이 제1 및 제2 추천 리스트에 있는지 또는 제1 및 제2 회피 음식 리스트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식사 정보 통보 모듈(450)은 사용자에게 이를 통보하게 된다.
도 4는 식사 정보 통보 모듈(450)에서의 통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사 정보 통보 모듈(450)은 전술한 바와 같은 판단결과(종합 적합도 및 종합 부적합도)를 수신하면, 먼저 단계 S220에서와 같이 추천 리스트에 속하는 음식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단계 S220에서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222로 진행되고 단계 S222에서는 제1 추천 리스트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제1 추천 리스트 음식에 속한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는 S224로 이어지고 제2 추천 리스트에도 속하는 음식인지를 더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식사 정보 통보 모듈(450)은 판단결과에 기반하여 두개의 추천 리스트 모두에 속하는 음식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252에서와 같이 3개의 초록색칸으로 표시하여 제1 및 제2 추천 리스트 모두 만족함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반면, 두개의 리스트 중 하나만 만족하는 경우에는 2개의 칸만 초록색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쉽게 적합도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식사 정보 통보 모듈(450)은 전술한 그래픽적인 방법 이외에 식사정보 판단모듈(440)에서 계산된 종합 적합도를 함께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수치적으로 보다 알기 쉽게 접근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유사하게 단계 S220에서 추천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입력된 음식이 회피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에는 단계 S242에서 제1 회피 리스트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제1 회피 리스트 음식에 속한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는 S244로 이어지고 여기서 제2 회피 리스트에도 속하는 음식인지를 더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식사 정보 통보 모듈(450)은 판단결과에 기반하여 두개의 회피 리스트 모두에 속하는 음식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256에서와 같이 3개의 붉은색칸으로 표시하여 제1 및 제2 회피 리스트 모두에 포함됨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반면, 두개의 리스트 중 하나만 포함된 경우에는 2개의 붉은색 칸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쉽게 부적합도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식사 정보 통보 모듈(450)은 전술한 그래픽적인 방법 이외에 식사정보 판단모듈(440)에서 계산된 종합 부적합도를 함께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수치적으로 보다 알기 쉽게 접근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단계 S26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추천 리스트와 회피 리스트 모두에 포함되지 않은 음식은 노란색 칸으로 표시하여 제공하여 사용자는 섭취하고자 하는 음식이 추천 리스트에도 회피 리스트에도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쉽게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식사 정보 통보 모듈(450)은 회피 리스트에 포함된 음식이 선택되고 이를 사용자에게 화면을 통해 알려준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입력된 음식은 ****에 해롭기 때문에 음식을 섭취하는 것을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그래도 음식을 드시겠습니까?
사용자가 전술한 비추천 제안에도 불구하고 음식을 먹는 경우(예를 선택)에 식사 정보 판단 모듈(440)은 사용자가 선택한 음식에 대한 부적합도를 계산하고 이를 저장한다.
도 6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식사를 선택한 경우 이를 기반으로 한 병원 진단을 추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 음식 또는 비추천 음식에 대해 음식을 섭취하는 것을 선택한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식사 정보 판단 모듈(440)은 단계 S31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음식들에 대한 적합도와 부적합도를 각각 누적한다.
이어서 식사 정보 판단 모듈(440)은 누적된 부적합도로부터 누적된 적합도를 뺄셈하여 처리하고, 단계 S330에서 누적된 부적합도가 미리정해진 한계값(예를 들면 1000%)를 넘어선 경우 단계 S340에서 병원이나 가까운 진료소를 찾아 검사를 받아 볼 것을 통보하고 단계 S330에서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단계 S310으로 되돌아가 단계를 반복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본인의 국민건강검진의 검진 결과와 사상체질을 고려하여 식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공된 음식이 자신에게 적합한지 여부를 알려줄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식사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먹은 음식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위험성을 미리 통보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기 보다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마트 폰 200: 건강검진 기록서버
300: 앱서버 310: 데이터베이스
400: 어플리케이션 410: 사용자정보 입력 모듈
420: 사용자 정보 분석 모듈 430: 식사정보 입력 모듈
440: 식사정보 판단 모듈 450: 식사정보 통보 모듈

Claims (5)

  1. 개인의 건강 검진 기록이 저장되어 있는 건강검진 기록서버; 상기 건강검진 기록서버로부터 건강검진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식사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된 건강검진 기록을 수신하고 저장하는 앱서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식사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건강검진 기록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건강검진 결과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정보 입력 모듈; 상기 건강검진 결과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분석모듈;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섭취하고자 하는 음식 정보 또는 식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식사정보 입력모듈; 상기 식사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된 식사 정보로부터 입력된 식사의 적합도 및 부적합도를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기반하여 판단하는 식사정보 판단모듈; 및 상기 식사정보 판단모듈로부터 판단된 식사의 적합도 및 부적합도를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하는 식사정보 통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정보 입력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사상체질을 더 입력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식사정보 판단모듈은 사용자의 사상체질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된 식사에 대한 적합도 및 부적합도를 더 판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모듈은 사용자로부터 과거 질병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모듈은 사용자의 과거 질병 정보 및 건강검진 결과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추천 음식 리스트 및 제1 회피 음식 리스트를 작성하고 작성된 제1 추천 음식 리스트 및 제1 회피 음식 리스트를 앱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모듈은 사용자의 사상체질에 기반하여 제2 추천 음식 리스트 및 제2 회피 음식 리스트를 더 작성하고 작성된 제2 추천 음식 리스트 및 제2 회피 음식 리스트를 앱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앱서버는, 제1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된 음식에 대해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제2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된 음식에 대해 제2 가중치를 부여하고, 제1 회피 음식 리스트에 포함된 음식에 대해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제2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된 음식에 대해 제2 가중치를 부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식사정보 판단모듈은 식사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음식이 입력되면, 식사정보 판단모듈은 입력된 음식이 서버에 기록된 사용자에 대한 제1 및 제2 추천 음식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또는 제1 및 제2 회피 음식 리스트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식사정보 판단모듈로부터 판단되는 적합도는, 식사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된 음식이: 제1 추천 음식 리스트 및 제2 추천 음식 리스트에 모두 포함된 경우 가장 높은 종합 적합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지만 제2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두번째로 높은 종합 적합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고 제2 추천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세번째로 높은 종합 적합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며, 식사정보 통보모듈은 입력된 음식에 대해 적합도에 기반하여 화면에 구별되게 표시하고,
    여기서 종합적합도 = (제1 추천 음식 리스트 적합도 * 제1 가중치) + (제2 추천 리스트 적합도 * 제2 가중치)로 계산되고, 제1 추천 음식 리스트의 적합도는 음식을 구성하는 재료들에 의한 각각의 영향도의 합으로 계산되고,
    상기 식사정보 판단모듈로부터 판단되는 부적합도는, 식사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된 음식이: 제1 회피 음식 리스트 및 제2 회피 음식 리스트에 모두 포함된 경우 가장 높은 종합 부적합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 회피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지만 제2 회피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두번째로 높은 종합 부적합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 회피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고 제2 회피 음식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세번째로 높은 종합 부적합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며, 식사정보 통보모듈은 입력된 음식에 대해 부적합도에 기반하여 화면에 구별되게 표시하며,
    여기서 종합 부적합도 = (제1 회피 음식 리스트 부적합도 * 제1 가중치) + (제2 회피 리스트 부적합도 * 제2 가중치)로 계산되고, 제1 회피 음식 리스트의 부적합도는 음식을 구성하는 재료들에 의한 각각의 영향도의 합으로 계산되며,
    상기 식사정보 판단모듈은 누적된 종합 부적합도로부터 누적된 종합 적합도를 뺄셈하여 처리하고, 누적된 부적합도가 미리정해진 기준값을 넘어선 경우 사용자에게 검사를 받아 볼 것을 통보하도록 구성된
    개인 맞춤형 식사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15454A 2019-09-19 2019-09-19 개인 맞춤형 식사 관리 시스템 KR102106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454A KR102106282B1 (ko) 2019-09-19 2019-09-19 개인 맞춤형 식사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454A KR102106282B1 (ko) 2019-09-19 2019-09-19 개인 맞춤형 식사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282B1 true KR102106282B1 (ko) 2020-05-07

Family

ID=70733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454A KR102106282B1 (ko) 2019-09-19 2019-09-19 개인 맞춤형 식사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2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659A (ko) 2020-12-30 2022-07-08 권순일 인터넷에 기반한 체질 및 건강상태 맞춤형 건강식단 제공시스템
KR102662776B1 (ko) * 2023-07-28 2024-05-07 김진수 사용자 니즈에 기반하는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시스템 설계 제안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5642A (ko) * 2011-10-26 2013-05-06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이동 통신 기기 및 건강 관리 방법
KR20130102239A (ko) * 2012-03-07 2013-09-17 신양철 건강 식단정보 제공시스템
KR20140049810A (ko) * 2012-10-18 2014-04-28 주식회사 핸디소프트 상황인식 기반의 음식추천 시스템
KR20150074434A (ko) * 2013-12-24 2015-07-02 김강 문자인식 기반 식단 자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5642A (ko) * 2011-10-26 2013-05-06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이동 통신 기기 및 건강 관리 방법
KR20130102239A (ko) * 2012-03-07 2013-09-17 신양철 건강 식단정보 제공시스템
KR20140049810A (ko) * 2012-10-18 2014-04-28 주식회사 핸디소프트 상황인식 기반의 음식추천 시스템
KR20150074434A (ko) * 2013-12-24 2015-07-02 김강 문자인식 기반 식단 자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659A (ko) 2020-12-30 2022-07-08 권순일 인터넷에 기반한 체질 및 건강상태 맞춤형 건강식단 제공시스템
KR102662776B1 (ko) * 2023-07-28 2024-05-07 김진수 사용자 니즈에 기반하는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시스템 설계 제안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epherd Social determinants of food choice
Parasecoli Feeding hard bodies: Food and masculinities in men's fitness magazines
Kiefer et al. Eating and dieting differences in men and women
Pettersson et al. The food and weight combat. A problematic fight for the elite combat sports athlete
US20190139440A1 (en) Cancer Prevention/Improvement Advice Device
JP4907566B2 (ja) ダイエットを支援する装置、方法
Rousset et al. Emotions generated by meat and other food products in women
CN112786154A (zh) 食谱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2106282B1 (ko) 개인 맞춤형 식사 관리 시스템
Lee et al. Intelligent ontological agent for diabetic food recommendation
Estruch Riba et al.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with a Mediterranean diet supplemented with extra-virgin olive oil or nuts
Quigley et al. Food comes first: methodologies for the National Nutrition Survey of New Zealand
Bovell-Benjamin et al. Use of focus groups to understand African-Americans' dietary practices: Implications for modifying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Liou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Fat-Related Dietary Behavior in Chinese Americans.
Jane Kirby et al. Dieting For Dummies?
Charles Says…
Varoucha-Azcarate Analysis of the diet in a Spanish prison and the level of perception in a sample of prisoners
Laudanska-Krzeminska Dietary behaviour of students from Poznan universities
Pires Soares et al. Association between intuitive eating and food intake in type 2 diabetes: a study based on the NOVA classification.
Gumede Understanding the effect of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intake, physical activity and assessing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f Dlangezwa high school learner's.
Chikotas et al. Comprehensive Review of Nutrition Components for Occupational Health Nurses—Part 2
Rhoden Bringing down high blood pressure
Dytell et al. A causal analysis of interrelationships among exercise, physical fitness, and well-being in the US Navy personnel
Duşa et al. THE IMPACT OF BEHAVIOR, MOTIVATION AND FOOD PREFERENCES ON THE QUALITY OF LIFE
Sonpipare et al. DEHA-PRAKRITI AND ITS IMPORTANCE IN DAILY LIF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