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978B1 - 서빙 무선 노드 및 제어 노드에서 사용되는 방법들, 및 연관된 디바이스들 - Google Patents

서빙 무선 노드 및 제어 노드에서 사용되는 방법들, 및 연관된 디바이스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978B1
KR102105978B1 KR1020187002156A KR20187002156A KR102105978B1 KR 102105978 B1 KR102105978 B1 KR 102105978B1 KR 1020187002156 A KR1020187002156 A KR 1020187002156A KR 20187002156 A KR20187002156 A KR 20187002156A KR 102105978 B1 KR102105978 B1 KR 102105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ing
sensing
node
serving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1821A (ko
Inventor
진화 류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180021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04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6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sounding signals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9Allocation based on distance or geographical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서빙 무선 노드에서 사용되는 방법 및 연관된 서빙 무선 노드를 개시한다. 본 방법은, 서빙 무선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로부터,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는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와 직교함 -; 및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해 구성된 서빙 무선 노드의 수신기(RX) 무선 주파수(RF) 체인을 통해, 무선 링크의 방향에서의 모든 사운딩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서빙 무선 노드에서 사용되는 다른 방법 및 연관된 서빙 무선 노드를 개시한다. 본 개시내용은 서빙 무선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에서 사용되는 방법 및 연관된 제어 노드를 추가로 개시한다.

Description

서빙 무선 노드 및 제어 노드에서 사용되는 방법들, 및 연관된 디바이스들
본 개시내용에 제시된 기술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내용은 서빙 무선 노드에서 사용되는 방법들 및 연관된 서빙 무선 노드, 및 서빙 무선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에서 사용되는 방법 및 연관된 제어 노드에 관한 것이다.
이 섹션은 본 개시내용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배경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의도된다. 이 섹션에서의 설명은 추구할 수 있는 개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전에 생각되거나 추구된 개념들인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서 설명되는 것은 본 개시내용의 설명 및/또는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단순히 포함되었다고 해서 종래 기술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 30-300GHz의 고주파수에서 동작하는 밀리미터파(MilliMeter-Wave)(MMW) 무선 시스템들과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 또는 시스템들은 멀티-Gb/s 속도들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폭발적인 대역폭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유망 기술로서 부상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5세대(5G) 네트워크는 진화된 제3세대(3G) 기술들, 제4세대(4G) 기술들 및 초밀집 네트워크(Ultra-Density Network)(UDN)와 같은 신흥 또는 실질적으로 새로운 컴포넌트들의 조합일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MMW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RAT)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고주파수들에서는, 많은 수의 안테나들이 송신기, 수신기 또는 둘 다에서 사용가능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큰 전파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MMW 무선 시스템들에서 빔-포밍이 매우 중요한 특징이 된다.
빔-포밍은 지향성 신호 송신 및/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신호 처리 기술이다. 송신기(TX) 빔포밍의 경우, 신호들은 TX 안테나 어레이를 위해 선택된 프리 코딩 벡터를 적용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집중된다. 수신기(RX) 빔포밍의 경우, 수신기 안테나들의 RX 빔은 RX 안테나 어레이를 위해 선택된 프리 코딩 벡터를 적용함으로써 무선 신호들의 수신 방향으로 집중된다. 빔-포밍은 공간 선택성을 달성하기 위해 송신 및 수신 엔드들 모두에서 사용될 수 있다. 무지향성 수신/송신과 비교하여 개선된 점이 빔-포밍 이득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송신기들, 수신기들 또는 둘 다에서 다수의 안테나들이 사용가능하면, 안테나들에 효율적인 빔 패턴들을 적용하여 대응하는 무선 채널의 공간 선택성을 보다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은 하나의 예시적인 MMW RAT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제어 유닛(Central Control Unit)(CCU)으로 불리는 네트워크 노드 또는 제어 노드가 존재하며, 이것은 적어도 액세스 노드(Access Node)(AN)들, 예를 들어, AN1, AN2, AN3 및 AN4 간의 파라미터 구성들 및 조정을 담당한다.
통상적으로, 수신기 측에서 수신된 전력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8007878441-pct00001
여기서, PTX는 송신된 전력이고, GTX 및 GRX는 각각 송신 및 수신 안테나들의 빔포밍 이득들이고, λ는 파장이고, α는 매질에서의 흡수로 인한 감쇠 계수이다. 60GHz에서의 MMW-파 링크의 경우, 산소 흡수 손실은 16dB/km만큼 높을 수 있다.
위의 공식으로부터, 전파의 감쇠는 1/λ2에 비례하는 것이 명확하다. 동일한 전파 거리에서, 산소 흡수를 고려하지 않으면, 60GHz는 2GHz에 비해 29.5dB 더 감쇠된다.
이를 고려하면, 여분의 감쇠를 보상하기 위해서는 고이득 빔-포밍이 필수적이다. 작은 파장으로 인해, 더 많은 안테나 엘리먼트들이 동일한 사이즈로 안테나 패널에 통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높은 빔-포밍 이득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수십 또는 수백 개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이 있는 경우에는, 용인될 수 없는 비용으로 인해, 각각의 안테나 엘리먼트에 대해 하나의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RF) 체인(TX RF 체인 또는 RX RF 체인 중 어느 것)을 적용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다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이 하나의 RF 체인을 공유하며, 빔 방향을 조정하고 빔-포밍 이득을 최대화하기 위해 각각의 안테나에 특정 아날로그 위상 조정이 적용된다. 좁은 TX 빔으로 인해, AN 발견 영역을 활성화하고, 빔-포밍 이득을 최대화하도록 빔-포밍 트레이닝을 수행하기 위해, 비컨 신호들의 송신을 스티어링해야 한다.
한편, 고이득 빔-포밍은 예를 들어, 숨겨진 문제 및 청취장애(deafness) 문제를 포함한 도전사항들을 가져올 수 있다.
도 2는 고이득 빔-포밍의 지향성에 의해 야기되는 숨겨진 문제의 예를 예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쌍 1은 액세스 포인트 1(AP1)과 사용자 장비 1(UE1)에 의해 구성되고, 링크 쌍 2는 AP2와 UE2에 의해 구성된다. AP2가 UE2로 송신 중일 때, AP1과 UE1은 모두 AP2로부터 UE2로의 TX 빔 커버리지 외부에 있기 때문에, AP1과 UE1은 모두 AP2와 UE2에 의해 이용되는 채널을 검출할 수 없다. 그러나, AP1이 UE1에 데이터를 송신하면, 그 TX 빔이 UE2에 도달하여,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도 3은 고이득 빔-포밍의 지향성에 의해 야기되는 청취장애 문제의 예를 예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과 AP1은 링크 쌍 1을 구성하고, UE2와 AP2는 링크 쌍 2를 구성한다. 링크 쌍 2는 AP2로부터 UE2로 진행 중인 데이터 송신을 갖는다. 그러나, 이것은 UE1이 이 방향을 모니터링(또는 감지)하지 않기 때문에 UE1에 의해 검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UE1이 데이터 송신을 시작하면, UE1과 UE2가 서로 가까이 있기 때문에, UE2가 수신하는 데이터에 분명히 영향을 줄 수 있다.
현재, MMW-RAT의 총 캐리어 대역폭은 최대 1 또는 2GHz일 수 있다고 가정된다. 이 대역폭은 특정 대역폭, 예를 들어, 100MHz의 다수의 부-대역 캐리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는 4개의 부-대역들을 갖는 하나의 MMW-RAT 캐리어를 예시한다. 도 4에서 가장 작은 리소스 그리드는 주파수 도메인에서는 부-대역, 시간 도메인에서는 서브프레임에 대응하고,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로 지칭될 수 있다. 물론,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는 코드의 측면일 수도 있다.
사용가능한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해, 충돌 회피의 기본 정책으로서 경쟁 기반 리소스 할당 방식 및/또는 스케줄링 기반 리소스 할당 방식이 MMW-RAT에서 적용될 수 있다. 경쟁 기반 리소스 할당 방식은 채널 가용성에 대한 자체-결정에 기초하여 채널을 경쟁시키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스케줄링 기반 리소스 할당 방식에서, 스케줄러,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CCU는 우선 경쟁 기반 방법 또는 조정 방법을 통해 우선 리소스 제어 가능성을 얻고, 제어된 링크들에 리소스를 할당한다.
경쟁 기반 리소스 할당 방식과 스케줄링 기반 리소스 할당 방식의 특정 조합이 존재할 수 있다. 도 5는 MMW-RAT 네트워크에서의 복잡한 간섭 상황의 예를 예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이득 빔-포밍의 지향성으로 인해, 링크 1과 링크 2는 허용불가능한 업링크(UL) 대 다운링크(DL) 간섭을 가질 수 있고, 링크 5와 링크 6은 허용불가능한 DL 대 DL 간섭 및 UL 대 DL 간섭을 가질 수 있다.
고이득 빔-포밍의 지향성으로 인해, 전방향 송신(omni-transmission)보다 충돌 결정이 더 복잡하다. 전술한 청취장애와 숨겨진 문제들로 인해, 전통적인 측정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다. 또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WLAN, 802.11) 및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WPAN, 802.15)에서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캐리어 감지 방법들이 개발되었지만, 이들은 주로 로컬 액세스 시스템을 위한 것이다. 이것은 분산 캐리어 감지 방식이며, 즉, 캐리어 감지가 각각의 노드 쌍에 의해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MMW RAT의 경우, 첫째, 무선 피델리티(Wireless Fidelity)(WiFi)가 타겟으로 하는 것보다 다수의 AP들 및 UE들의 노드들을 수반하는 더 양호한 차원의 배치 및 더 양호한 네트워크 제어가능성(예를 들어, 자체-최적화, 자체-조직화 및 이동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MMW RAT는 WiFi보다 훨씬 양호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QoS)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Wi-Fi의 단순 분산 캐리어 감지보다 양호한 측정이 필요하다.
3G 및 4G 무선 시스템들에서의 간섭 측정들은 주로 링크 간 간섭보다는 셀 간/송신 포인트 간 간섭을 측정하도록 설계된다. MMW RAT의 경우, 소규모 섹터 사이즈 및 큰 중첩 커버리지로 인해, 3G 또는 4G 시스템들과 유사한 측정으로는 충돌하는 링크들을 식별하고 간섭 관리를 돕는 데 충분하지 않다.
본 기술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행해진 상기 고려사항들 및 다른 고려사항들이 고려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함들 중 적어도 일부를 위해, 본 개시내용은 하나의 CCU의 제어 하에 있는 이웃하는 무선 노드들을 상이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들로 구성하여, 이에 의해 간섭 측정들을 용이하게 할 것을 제안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서빙 무선 노드에서 사용되는 방법이 제안된다. 서빙 무선 노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하나 이상의 커버리지 영역에 이웃하는 커버리지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를 통해 서빙 무선 노드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를 서빙한다. 본 방법은, 서빙 무선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로부터,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는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와 직교한다. 본 방법은,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해 구성된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을 통해, 무선 링크의 방향에서의 모든 사운딩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사운딩 및 감지 지속기간 당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를 지시하고, 이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 중 하나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서빙 무선 노드에 의한 감지를 위해 감지 윈도우들로서 구성되고, 이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 중 나머지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들은 서빙 무선 노드에 의한 사운딩을 위해 사운딩 윈도우들로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윈도우들은 시간 도메인에서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감지 윈도우들에 대응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수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연속적인 또는 비연속적인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방법은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하나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를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들에 할당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감지하는 단계는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모든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감지하는 단계는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일부 또는 모든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에서 추가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방법은,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들의 수가 서빙 노드가 수신기들로서 역할하는 모든 무선 링크의 수보다 적으면,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과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한 감지 기간을 조정하는 단계; 및 조정된 감지 기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해 구성된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을 통해, 무선 링크의 방향에서의 모든 사운딩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는 링크 무선 품질; 링크 레이트; 또는 링크 트래픽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서빙 무선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에서 사용되는 방법이 제안된다. 서빙 무선 노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하나 이상의 커버리지 영역에 이웃하는 커버리지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를 통해 서빙 무선 노드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를 서빙한다. 본 방법은,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는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와 직교함 -; 및 결정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서빙 무선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서빙 무선 노드에서 사용되는 방법이 제안된다. 서빙 무선 노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하나 이상의 커버리지 영역에 이웃하는 커버리지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를 통해 서빙 무선 노드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를 서빙한다. 본 방법은, 서빙 무선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로부터,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들의 수가 서빙 노드가 수신기들로서 역할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수보다 적으면,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과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한 감지 기간을 조정하는 단계; 및 조정된 감지 기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해 구성된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을 통해, 무선 링크의 방향에서의 모든 사운딩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서빙 무선 노드가 제안되며, 이 서빙 무선 노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하나 이상의 커버리지 영역에 이웃하는 커버리지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를 통해 서빙 무선 노드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를 서빙한다. 서빙 무선 노드는, 서빙 무선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로부터,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 -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는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와 직교함 -; 및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해 구성된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을 통해, 무선 링크의 방향에서의 모든 사운딩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 유닛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5 양태에 따르면, 서빙 무선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가 제안된다. 서빙 무선 노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하나 이상의 커버리지 영역에 이웃하는 커버리지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를 통해 서빙 무선 노드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를 서빙한다. 제어 노드는,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는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와 직교함 -; 및 결정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서빙 무선 노드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6 양태에 따르면, 서빙 무선 노드가 제안되며, 이 서빙 무선 노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하나 이상의 커버리지 영역에 이웃하는 커버리지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를 통해 서빙 무선 노드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를 서빙한다. 서빙 무선 노드는, 서빙 무선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로부터,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들의 수가 서빙 노드가 수신기들로서 역할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수보다 적으면,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과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한 감지 기간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조정 유닛; 및 조정된 감지 기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해 구성된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을 통해, 무선 링크의 방향에서의 모든 사운딩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 유닛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7 양태에 따르면,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 내지 제3 양태들 중 어느 것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안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하나의 CCU의 제어하에 있는 이웃하는 무선 노드들은, 하나의 무선 노드의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가 그 이웃하는 무선 노드 각각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와 직교하는 방식으로, 상이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들로 구성된다. 이 경우, 무선 노드의 TX RF 체인은 그 링크 방향으로 사운딩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 엘리먼트로 구성되고, 이에 대항하여, 무선 노드의 이웃하는 노드의 RX RF 체인은 그 링크 방향에서의 모든 가능한 사운딩 신호들을 감지(모니터링)하기 위해 동일한 리소스 엘리먼트로 구성된다. 즉, 무선 노드가 지향성 사운딩 상태(즉, TX 상태)에 있으면,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는 지향성 사운딩 신호들을 감지해야 한다(즉, RX 상태). 이는 간섭 측정을 용이하게 하면서, 간섭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전술한 특징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취해지는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들 도면들이 본 개시내용에 따른 몇몇 실시예들만을 도시하고, 따라서,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한다면, 본 개시내용은 첨부 도면들의 추가적인 특이성 및 세부사항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하나의 예시적인 MMW RAT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고이득 빔-포밍의 지향성에 의해 야기되는 숨겨진 문제의 예를 예시한다.
도 3은 고이득 빔-포밍의 지향성에 의해 야기되는 청취장애 문제의 예를 예시한다.
도 4는 4개의 부대역들을 갖는 하나의 MMW-RAT 캐리어를 예시한다.
도 5는 MMW-RAT 네트워크에서의 복잡한 간섭 상황의 예를 예시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어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7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일반적인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할당 구조를 예시한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링크의 수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9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감지 리소스 할당 구조를 예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링크의 송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11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사운딩 리소스 할당 구조를 예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DSSI의 DSSW들로의 세 가지 예시적인 분할들을 예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3개의 예시적인 DSSI 구성들을 도시한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CCU의 제어 하에 있는 두 가지 예시적인 네트워크 배치들을 예시한다.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서빙 무선 노드에서 사용되는 방법(16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DSSI 패턴을 예시한다.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빙 무선 노드에서 사용되는 방법(18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서빙 무선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에서 사용되는 방법(19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서빙 무선 노드(2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다른 서빙 무선 노드(2100)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빙 무선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22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서빙 무선 노드(2000), 서빙 무선 노드(2100) 또는 제어 노드(2200)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장치(2300)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4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ADSS 하위-기능 모듈들 및 이들의 대응하는 프로토콜 계층들에의 매핑을 예시한다.
도 25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구성 시그널링 흐름들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26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감지 결과 시그널링 흐름들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27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스케줄링 기반 리소스 할당을 위한 예시적인 시그널링 흐름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이하, 본 개시내용은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들은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기보다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개시내용의 개념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공지된 구조들 및 기술들에 대한 설명들이 생략된다.
우선, 본 개시내용은 예를 들어, MMW RAT 네트워크에서 지향성 사운딩 및 감지 파라미터들을 정렬할 것(이 솔루션은 이하에서 정렬된 지향성 사운딩 및 감지(Aligned Directional Sounding and Sensing)(ADSS)로 언급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각각의 링크 쌍(즉, 링크 송신기 및 수신기)의 송신기를 지향성 사운딩 빔을 그 링크 방향으로 전송하기 위한 시간-주파수 무선 리소스 패턴으로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각각의 링크 쌍의 수신기를 그 링크 방향들에서의 모든 가능한 사운딩 신호들을 방향성 있게 모니터링하기 위해 동일한 시간-주파수 무선 리소스로 구성한다. 그에 따라, 모든 링크 쌍들의 수신기들은 그들의 대응하는 송신기들이 지향성 사운딩 신호들을 전송할 때 지향성 감지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희생 링크 쌍들 및 간섭 링크 쌍들이 정확하게 식별될 수 있고, 상호 간섭 레벨들이 측정될 수 있다. 즉, MMW RAT 네트워크의 유효 링크 간 간섭 맵(또한 지향성 링크 간섭 맵(Directional Link Interference Map), 즉 DLIM으로 지칭됨)이 도출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 정보는 리소스 할당 방식들, 예를 들어, 시간, 주파수 및 송신 전력 리소스를 강화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ADSS가 구현될 수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예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중앙 제어 유닛(CCU)(600) 및 복수의 무선 노드들(액세스 노드(AN)들로 지칭됨)을 포함하며, 도 6에는 6개의 AN들이 도시되어 있다. CCU(600)는, LTE 네트워크, 임의의 제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 셀룰러 네트워크, MWV 네트워크, Wimax 네트워크, WLAN/Wi-Fi, WPAN 등과 같은 임의의 무선 시스템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노드 B, 기지국(BS), eNB, eNodeB, 홈 노드 B, 홈 eNode B, 중계 노드, AP 또는 적어도 AN들 간의 파라미터 구성들 및 조정뿐만 아니라 AN들 간의 무선 링크들의 제어를 담당하는 임의의 다른 제어 노드 또는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각각의 무선 노드는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 모바일 무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 모바일폰, 무선 능력을 갖는 랩탑,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때때로 패블릿으로도 불리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컴퓨터(상기한 것들은 집합적으로 UE로 알려짐), 무선 능력들을 갖는 센서 또는 액츄에이터,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링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무선 네트워크 유닛들일 수 있다. 이 문헌에서 사용되는 "무선 노드" 또는 "AN"이라는 용어는 머신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MTC) 디바이스들로도 표시되는 머신 대 머신(Machine to Machine)(M2M) 디바이스들과 같은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 또한 커버한다는 것에 유의하도록 한다. 이 예에서, 4개의 AN들은 AP들, 즉, AP(610), AP(620), AP(630) 및 AP(640)로 예시되고, 2개의 AN들은 UE들, 즉, UE(650) 및 UE(660)로 예시된다. 또한, 각각의 AN은 상이한 무선 링크들에서 송신 노드 또는 수신 노드 중 어느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P(610)가 UE(650)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링크에서, AP(610)는 송신 노드이고, UE(650)는 수신 노드이다. 대조적으로, AP(610)가 UE(65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링크에서는, AP(610)가 수신 노드이고, UE(650)가 송신 노드이다. 달리 말하면, 무선 노드 또는 AN은 그 역할에 따라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 또는 서빙 무선 노드 중 어느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노드가 UE(660)인 경우, AP(620)가 그 서빙 무선 노드로서 기능한다. UE가 핫 포인트(hot point)로서 역할하고 다른 UE들을 서빙하면, UE가 서빙 무선 노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빙 무선 노드는 UE이고,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들은 UE에 의해 서빙되는 다른 UE들일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어 노드, 예를 들어, 도 6의 CCU(600)에서 수행되는 방법(7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방법(700)은 네트워크 측에서 ADSS를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단계(S710)에서, 제어 노드는 링크,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AP(610)와 UE(650) 간의 무선 링크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을 결정한다. 결정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은 링크에 대한 전용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 및 제어 노드에 의해 제어되는 모든 링크들에 대한 공통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공통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은 사운딩 및 감지 기간, 및 사운딩 및 감지 인터벌(즉, 사운딩 및 감지를 위한 지속기간)을 포함한다.
실행가능한 구현으로서, 제어 노드는, 예를 들어, 링크의 어느 단부, 예를 들어, AP(610) 또는 UE(650) 등으로부터 링크에 대한 설정 요청을 수신하면,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S720)에서, 제어 노드는 결정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을 링크의 송신 노드 및 수신 노드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노드는 AP(610)이고, 수신 노드는 UE(650)이다.
구현에서, 공통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은 수신 노드가 그 감지 결과를 제어 노드에 보고하기 위한 규칙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링크에 대한 전용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은 사운딩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를 특정하기 위한 사운딩 리소스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된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는 시간, 주파수 및 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한 것이다.
다른 구현에서, 방법(700)은 다음의 단계들(도시 생략), 즉, 제어 노드의 제어 하에 있는 모든 링크들의 모든 수신 노드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감지 결과들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하나 이상의 감지 결과들에 기초하여, DLIM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DLIM에 기초하여, 제어 노드에 의해 제어되는 모든 링크들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식 또는 리소스 할당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방법(700)의 하나의 주요 이점은, 모든 링크 쌍들의 수신 노드들이 그 이웃하는 링크들의 송신 노드들이 지향성 사운딩 신호들을 전송할 때 지향성 감지 상태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하나의 링크로 하여금 모든 간섭 링크들을 식별하고 이들 간섭 링크들로부터의 간섭 레벨을 측정할 수 있게 하며, 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는 주파수 리소스들의 공간 재사용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상이한 링크들 간의 충돌들을 피하고/거나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일반적인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할당 구조를 예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향성 사운딩 및 감지 기간(Directional Sounding and Sensing Period)(DSSP)은 사운딩 및 감지 기간을 나타내고, 지향성 사운딩 및 감지 인터벌(Directional Sounding and Sensing Interval)(DSSI)은 사운딩 및 감지 인터벌, 즉, 사운딩 및 감지를 위한 윈도우/지속기간을 나타낸다. DSSP 및 DSSI는 제어 노드에 의해 제어되는 모든 링크들에 대한 공통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이고, 제어 노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DSSP 및 DSSI는 주로 시간 도메인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DSSP 및 DSSI는 모두 시간 윈도우들을 나타낸다. 이 경우, 각각의 링크의 송신 노드는 DSSI에 의해 정의되는 시간 윈도우 동안에 링크의 방향에서 링크의 수신 노드로 사운딩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수신 노드는 동일한 시간 윈도우 동안에 링크의 방향에서의 모든 사운딩 신호를 감지한다. 이에 따라, 링크 간 간섭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크 5와 링크 6 간의 DL-DL 간섭이 효율적인 방식으로 감지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 DSSP 및 DSSI는 추가로 주파수 도메인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DSSI는 링크의 송신 노드/링크의 수신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부대역들을 추가로 정의할 수 있다.
DSSI 내에는, 다수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이 존재하며, 이들 중 일부는 전용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에 의해 사운딩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링크에 할당되고, 따라서 사운딩 리소스 유닛(Sounding Resource Unit)(SRU)들로 불린다. 하나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는 시간, 주파수 및 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는 하나의 시간-주파수 리소스 유닛 플러스 직교 시퀀스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이것은 다수의 사운딩 신호들이 직교 시퀀스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시간-주파수 유닛을 통해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DSSI 길이는 네트워크 내의 링크 밀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DSSP 길이는 TX/RX 방향 변경 및 TX 전력 변경 모두를 포함하여 링크 쌍들의 TX/RX 빔 변경을 추적할 정도로 짧을 수 있다.
예시적인 DLIM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LIM은 각각의 링크(링크 i,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크들 1-6 중 임의의 링크)의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사운딩 신호 전력, 및 링크(링크 i) 수신기에 의해 사운딩 신호들이 검출되는 다른 링크들로부터 수신된 사운딩 신호 강도들을 지시할 수 있다.
DLIM은 제1 링크의 송신기가 제2 링크의 수신기에 상당한 간섭을 일으키는 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상당한 간섭이 발생된 경우, 간섭 레벨 및 대응하는 링크 아이덴티티가 DLIM에 포함된다. 수신기로부터 보고된 사운딩 신호들(SRU) 및 대응하는 신호 강도들을 이용하여, 제어 노드는 수신기에 대한 링크들 및 대응하는 간섭 레벨들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LIM은 수신기로부터 새로운 지향성 사운딩 보고서의 수신 시 또는 링크 설정/링크 릴리즈 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러한 DLIM을 이용하여, 본 개시내용은 무선 리소스 할당(예를 들어, 시간, 주파수 및 TX 전력 리소스)을 강화할 수 있어, 공간 재사용이 효율적이고 충분하게 개선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AP(610)와 UE(650) 간의 무선 링크와 같은 링크의 수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9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방법(900)은 수신 측에서 ADSS를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이 경우, 수신 노드는 AP(610) 또는 UE(650)일 수 있다. 예시를 위해, UE(650)는 여기서 수신 노드로 취해지고, 이에 대응하여 AP(610)는 수신 노드에 대한 대응하는 송신 노드로서 역할하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단계(S910)에서, UE(650)는 제어 노드, 예를 들어, 도 6의 CCU(600)로부터 링크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을 수신한다.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은 링크에 대한 전용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 및 제어 노드에 의해 제어되는 모든 링크들에 대한 공통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공통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은 사운딩 및 감지 기간 및 사운딩 및 감지 인터벌을 포함한다.
단계(S920)에서, UE(650)는,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링크의 방향에서의 모든 사운딩 신호를 감지한다.
단계(S930)에서, UE(650)는 하나 이상의 감지 결과들을 제어 노드에 보고한다.
구현에서, 공통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은 UE(650)가 하나 이상의 감지 결과들을 제어 노드에 보고하기 위한 규칙을 추가로 포함한다.
사운딩 인터벌 동안에, 모든 수신 노드들은 그 링크 방향에서의 상태를 블라인드 모니터링해야 한다. 각각의 수신 노드는 그 링크의 수신 방향에서의 그 RX 빔을 타겟으로 해야 한다. 하나의 사운딩 기간 동안에 RX 빔 조정을 위한 여유 공간을 남기기 위해, 지향성 감지를 위한 RX 빔이 실제 데이터 수신을 위한 RX 빔보다 더 넓을 수 있다.
블라인드 검출을 통해, 수신 노드는 검출된 사운딩 신호들의 SRU에 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정보는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송신기 식별을 위해 제어 노드에 보고되어야한다. 또한, 수신 노드는 각각의 검출된 사운딩 신호의 강도를 추가로 측정할 수 있다. 이 측정 결과는 DLIM을 도출하기 위해 CCU에 보고되어야 하며, 이 DLIM은 간섭을 제어하기 위해 송신기 또는 간섭 조정 패턴에 허용되는 최대 TX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감지 리소스 할당 구조를 예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수신 노드는 DSSI 동안의 모든 SRU들을 통해 그 링크 방향에서의 모든 가능한 사운딩 신호들을 감지할 수 있다.
방법(900)의 하나의 주요 이점은, 수신 노드가 링크의 방향에서의 모든 사운딩 신호들을 이웃하는 링크들의 송신 노드들이 사운딩 신호들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 윈도우에서 감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방법(900)이 2개의 이웃하는 링크들에 적용되면, 이들 두 링크들 간의 간섭이 효율적인 방식으로 감지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AP(610)와 UE(650) 간의 무선 링크와 같은 링크의 송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11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방법(900)은 송신 측에서 ADSS를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이 경우, 송신 노드는 AP(610) 또는 UE(650)일 수 있다. 예시를 위해, AP(610)는 여기서 송신 노드로 취해지고, 이에 대응하여 UE(650)는 송신 노드에 대한 대응하는 수신 노드로서 역할하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단계(S1110)에서, AP(610)는 제어 노드,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CCU(600)로부터 링크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을 수신한다.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은 링크에 대한 전용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 및 제어 노드에 의해 제어되는 모든 링크들에 대한 공통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공통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은 사운딩 및 감지 기간 및 사운딩 및 감지 인터벌,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DSSP 및 DSSI를 포함한다.
단계(S1120)에서, AP(610)는,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링크의 방향으로 사운딩 신호를 송신한다.
구현에서, 링크에 대한 전용 사운딩 및 감지 관련 파라미터들은 사운딩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를 특정하기 위한 사운딩 리소스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특정된 리소스 유닛은 시간, 주파수 및 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한 것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사운딩 리소스 할당 구조를 예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송신 노드에는 하나의 SRU이 할당될 수 있고, 제어 노드,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CCU(600)에 의해 제어되는 총 M개의 송신기들이 있다. 임의적으로, 각각의 SRU는 주파수에 관해서도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SRU는 하나의 부대역을 점유할 수 있다.
방법(1100)의 하나의 주요 이점은, 송신 노드가 사운딩 신호를 링크의 방향으로, 자신 및 그 이웃하는 링크들의 수신 노드들이 사운딩 신호를 감지하고 있는 시간 윈도우에서 송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방법(1100)이 2개의 이웃하는 링크들에 적용되면, 이들 두 링크들 간의 간섭이 효율적인 방식으로 감지될 수 있다.
실제로, 하나의 AN은 (액세스 링크 및/또는 백홀 링크를 포함하는) 다수의 링크들을 제공할 수 있고,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얼마나 많은 TX RF 체인들 또는 RX RF 체인들이 있던지 상관없이, 하나의 AN은 TX 또는 RX 상태 중 어느 것에서만 있을 수 있다. 이로 인해, AN이 송신기로서 TX 상태에 있으면, 다른 링크들에 대한 수신기로서 각각의 DSSI 동안에 일부 SRU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놓칠 수 있다. 즉, 하나의 노드가 상이한 링크들에 대한 송신기 및 수신기 모두의 역할을 하는 경우, ADSS에 청취장애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링크에 대한 수신기 역할을 하는 각각의 AN의 경우, 각각의 DSSI 동안에 링크 방향으로 타겟화되는 하나의 RX RF 체인이 있어야 한다. 하나의 AN에 의해 서빙되는 수신 링크들의 수가 이 AN의 RX RF 체인들의 수보다 많으면, 이 AN은 RX RF 체인들의 부족으로 인해 하나의 DSSI 동안에 AN이 수신기들로서 역할하는 모든 서빙되는 수신 링크들에 대한 지향성 감지를 동시에 처리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은 하나의 CCU의 제어 하에 있는 무선 노드들의 네트워크 배치에 따라 CCU의 제어 하에 있는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설정할 것을 추가로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하나의 CCU의 제어 하에 있는 이웃하는 무선 노드들을 상이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들로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우선, 지향성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들(Directional Sounding and Sensing Windows)(DSSW)의 정의가 도입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각의 DSSI는 하나 이상의(본 개시내용에서는 바람직하게 2개 이상의) DSSW들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DSSW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수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예를 들어, 각각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는 도 8에서 가장 작은 리소스 그리드로 표시됨)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일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DSSI의 DSSW들로의 세 가지 예시적인 분할들을 예시한다. 이들 세 가지 예들에서, DSSI는 3개의 DSSW들, 즉, DSSW0, DSSW1 및 DSSW2로 분할된다. DSSI는 또한 3개보다 많거나 적은 DSSW들로 분할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3의 상단 및 중간 부분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DSSW는 동일한 사이즈, 즉, 4개의 부대역들 및 2개의 서브프레임들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로 이루어진다. 상단 부분과 중간 부분의 차이는, 전자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은 비연속적이고, 후자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은 연속적이라는 점에 있다. 도 13의 하단 부분에서, 각각의 DSSW는 상이한 수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즉, 동일하지 않은 사이즈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갖는다.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은 각각의 DSSW는 4개의 부대역들 상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로 형성되지만, DSSW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수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DSSI 당 각각의 DSSW는 동일한/동일하지 않은 사이즈들의 연속적인/비연속적인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DSSI의 적어도 하나의 DSSW는 지향성 사운딩 신호 송신 윈도우(송신 DSSW(Transmission DSSW), 즉 TDSSW로 지칭됨)로서 하나의 AN에 할당될 수 있고, 나머지 DSSW들은 수신 DSSW(Reception DSSW)(RDSSW)로서 AN의 이웃하는 AN들 모두에 할당될 수 있다. 즉, 본 개시내용은 상이한 DSSI 구성들(DSSI 패턴들)로 이웃하는 AN들을 구성할 것을 제안하며, 이 상이한 DSSI 구성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TDSSW 및 적어도 하나의 RDSSW로 형성된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3개의 예시적인 DSSI 구성들을 도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3개의 DSSI 구성들, 즉, 구성 0, 구성 1 및 구성 2가 존재하며, 이들은 3개의 이웃하는 AN들에 각각 할당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에서, DSSI는 하나의 TDSSW와 2개의 RDSSW들을 포함하는 3개의 DSSW들로 분할된다. 이것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다른 적절한 구성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 0, 1 및 2의 TDSSW들은 서로 직교한다. 즉, 구성 0의 TDSSW에 수반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는 구성 1 또는 2의 TDSSW에 수반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와 직교한다. 여기서의 "직교"는 시간 도메인 또는 주파수 도메인 중 어느 것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0, 1 및 2의 TDSSW들은 별개의 서브프레임들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동일한 부대역들을 점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구성 0, 1 및 2의 TDSSW들은 별개의 부대역들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동일한 서브프레임들을 점유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CCU의 제어 하에 있는 두 가지 예시적인 네트워크 배치들을 예시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CCU는 CCU의 제어 하에 있는 각각의 AN에 대한 DSSI 구성을 결정할 수 있고, AN은 차례로 각각의 DSSI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AN에 의해 서빙되는 각각의 링크에 할당한다.
각각의 AN은 육각형 영역을 커버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도 15의 좌측 부분에는, 3개의 상이한 DSSI 구성들(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 0, 1 및 2)이 있고, 각각의 AN은 그것의 이웃하는 AN들과 상이한 DSSI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5의 육각형 영역을 커버하는 AN(AN(1501)로 표시)을 예로 들면, 도 14에 도시된 구성 2가 AN에 할당되고, 그 이웃하는 AN들에는 구성 0 또는 구성 1 중 어느 것이 할당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AN(1501)이 TX 상태에 있으면, 그 이웃하는 AN들의 모든 링크 수신기들은 모두 RX 상태에 있다.
도 15의 우측 부분에는, 7개의 상이한 DSSI 구성들이 있고, 각각의 AN에는 더 많은 이웃하는 AN들과 상이한 DSSI 구성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영 영역을 갖는 AN에는 DSSI 구성 4가 할당될 수 있고, 2개의 점선 사이클들로 표시된 육각형 영역들에서의 그것의 이웃하는 AN들에는 다른 DSSI 구성들이 할당된다.
도 15에 도시된 것들 이외의 임의의 다른 적절한 네트워크 배치들이 본 개시내용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서빙 무선 노드, 예를 들어, 도 5의 AP2에서 사용되는 방법(16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서빙 무선 노드는, MMW RAT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하나 이상의 커버리지 영역에 이웃하는 커버리지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를 통해 서빙 무선 노드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를 서빙한다. 예를 들어, AP 2는 UE 2 및 UE 5를 서빙하고, UE 2는 링크 쌍 2를 통해 AP 2에 접속되고, UE 5는 링크 쌍 5를 통해 AP 2에 접속된다. 이 예에서, AP1, AP3 및 AP4는 AP2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들일 수 있다.
방법(1600)은, 서빙 무선 노드가, 서빙 무선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예를 들어, 도 5의 CCU)로부터,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S161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DSSI 구성들일 수 있다.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즉, 도 8에 도시된 SRU)는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와 직교한다.
구현에서,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사운딩 및 감지 지속기간(즉, DSSI) 당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를 지시하고, 이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 중 하나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서빙 무선 노드에 의한 감지를 위해 감지 윈도우들로서 구성되고, 이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 중 나머지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들은 서빙 무선 노드에 의한 사운딩을 위해 사운딩 윈도우들로서 구성된다.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SSI 당 2개 이상의 DSSW들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도 14의 구성 0일 수 있고,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구성 1 또는 구성 2일 수 있다.
구현의 예로서,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윈도우들은 시간 도메인에서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감지 윈도우들에 대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빙 무선 노드가 사운딩 윈도우들에서 사운딩 신호를 송신하고 있으면,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는 감지 윈도우들에서 사운딩 신호를 감지해야 한다. 즉, AN이 DSSI 동안에 TX 상태에 있으면, 그것의 이웃하는 링크 수신기들은 모두 RX 상태에 있다.
구현의 다른 예로서, 각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또는 상이한 수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갖는다.
구현의 추가적인 예로서, 각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인 또는 비연속적인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갖는다.
방법(1600)은, 서빙 무선 노드가,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해 구성된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을 통해, 무선 링크의 방향에서의 모든 사운딩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S1620)를 추가로 포함한다.
구현에서, 단계(S1620)에서의 감지는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모든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에서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감지는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일부 또는 모든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에서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 방법(1600)은 단계(S16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630)에서, 서빙 무선 노드는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하나 이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들에 할당한다.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들의 수가 서빙 노드가 수신기들로서 역할하는 모든 무선 링크의 수보다 적으면, 각각의 DSSI에서 이러한 모든 링크들에 대한 지향성 감지를 동시에 처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경우, 방법(1600)은 임의적으로 2개의 추가적인 단계들, 즉,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과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한 감지 기간을 조정하는 단계; 및 조정된 감지 기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해 구성된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을 통해, 무선 링크의 방향에서의 모든 사운딩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무선 노드는 각각의 DSSI 대신에 n번째(n은 정수이고, n>1임) DSSI마다 일부 링크들에 대한 지향성 감지를 처리할 수 있다. 즉, 일부 링크들 각각에 대한 감지 기간은 하나의 DSSP보다 크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링크들은 본 명세서에서 느린 지향성 감지 링크들로 지칭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링크들에 대한 지향성 사운딩 신호의 송신은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링크들이 간섭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여전히 각각의 DSSI에서 처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느린 지향성 감지 링크들이 간섭 상황을 따르는 것이 더 느리긴 하지만, 지향성 사운딩을 전달하는 각각의 링크가 전체 간섭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느린 지향성 감지 링크들에서 경험된 간섭들이 더 긴 사이클로 업데이트되는 비용으로 전체 DLIM이 여전히 달성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DSSI 패턴을 예시한다. 서빙 무선 노드는 2개의 RX RF 체인들을 갖고, 서빙 무선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3개의 수신 링크들이 있다고 가정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빙 무선 노드는 모든 DSSI마다 및 제2 및 제3 링크(링크 1 및 2)에 대한 모든 다른 DSSI마다 제1 수신 링크(링크 0)에 대한 지향성 감지를 처리할 수 있다. 즉, 링크 0, 1 및 2의 감지 기간들은 각각 하나의 DSSP, 2개의 DSSP들 및 2개의 DSSP들로 조정된다. 이 경우, 링크 0은 정규 지향성 감지 링크라고 할 수 있고, 링크 1 및 2는 느린 지향성 감지 링크라고 할 수 있다.
AN에 의한 수신 링크들의 수가 감소하면, AN은 느린 지향성 감지 링크들을 정규 지향성 감지 링크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즉, 링크에 대한 모든 DSSI마다 지향성 감지가 처리됨).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는 링크 무선 품질; 링크 레이트; 또는 링크 트래픽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느린 지향성 감지 링크들은 링크 무선 품질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높은 간섭을 허용할 수 있는 더 양호한 무선 품질을 갖는 링크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우선순위로 선택될 수 있다. 2개의 이웃하는 링크들이 있고, 하나의 링크가 다른 링크보다 더 양호한 무선 링크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더 양호한 무선 품질을 갖는 링크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느린 지향성 감지 링크로서 선택될 수 있고, 따라서 이 링크는 다른 링크보다 덜 빈번하게, 즉, 더 큰 기간에서 감지될 것이다.
다른 예로서, 느린 지향성 감지 링크들은 링크 레이트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낮게 요구되는 레이트를 갖는 링크가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순위로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느린 지향성 감지 링크들은 링크 트래픽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낮은 트래픽 우선순위를 갖는 링크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우선순위로 선택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서빙 무선 노드에서 사용되는 방법(18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1800)은 방법(1600)의 실행가능한 변형이다.
단계(S1810)에서, 서빙 무선 노드는, 서빙 무선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예를 들어, 도 5의 CCU)로부터,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수신한다.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예를 들어, 상세한 네트워크 배치 또는 무선 환경에 따라, 필요에 따라 제어 노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가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와 직교하는 방식으로 제어 노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단계(S1820)에서, 서빙 무선 노드는,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들의 수가 서빙 노드가 수신기들로서 역할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수보다 적으면,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과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선택된 무선 링크들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한 감지 기간을 조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는 링크 무선 품질; 링크 레이트; 또는 링크 트래픽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양호한 무선 품질, 더 낮은 링크 레이트 또는 더 낮은 트래픽 우선순위를 갖는 링크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느린 지향성 감지 링크로서 선택될 수 있고, 따라서 이러한 링크는 더 큰 기간에서 감지될 것이다. 즉, 이러한 링크의 감지 기간은 하나의 DSSP보다 크게 조정될 수 있다.
단계(S1830)에서, 서빙 무선 노드는, 조정된 감지 기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해 구성된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을 통해, 무선 링크의 방향에서의 모든 사운딩 신호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여기서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시적인 DSSI 패턴을 지시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서빙 무선 노드(예를 들어, 도 5의 AP2)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예를 들어, 도 5의 CCU)에서 사용되는 방법(19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서빙 무선 노드는, MMW RAT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하나 이상의 커버리지 영역에 이웃하는 커버리지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를 통해 서빙 무선 노드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를 서빙한다. 예를 들어, AP 2는 UE 2 및 UE 5를 서빙한다. UE 2는 링크 쌍 2를 통해 AP 2에 접속되고, UE 5는 링크 쌍 5를 통해 AP 2에 접속된다. 이 예에서, AP1, AP3 및 AP4는 AP2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들일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1900)은 단계들(S1910 및 S1920)을 포함한다. 단계(S1910)에서, 제어 노드는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결정한다.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는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와 직교한다.
구현에서, 결정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사운딩 및 감지 지속기간 당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를 지시하고, 이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 중 하나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서빙 무선 노드에 의한 감지를 위해 감지 윈도우들로서 구성되고, 이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 중 나머지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들은 서빙 무선 노드에 의한 사운딩을 위해 사운딩 윈도우들로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 노드는 네트워크 배치에 기초하여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노드는 구성 2를 AN(1501)에 할당하고, 구성 0 또는 구성 1을 AN(1501)의 이웃하는 AN들에 할당할 수 있다.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결정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SSI 당 2개 이상의 DSSW들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결정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도 14의 구성 0일 수 있고,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구성 1 또는 구성 2일 수 있다.
구현의 예로서,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윈도우들은 시간 도메인에서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감지 윈도우들에 대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빙 무선 노드가 사운딩 윈도우들에서 사운딩 신호를 송신하고 있으면,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는 감지 윈도우들에서 사운딩 신호를 감지해야 한다.
구현의 다른 예로서, 각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또는 상이한 수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갖는다.
구현의 추가적인 예로서, 각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인 또는 비연속적인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갖는다.
단계(S1920)에서, 제어 노드는 결정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서빙 무선 노드로 송신한다. 그 후, 서빙 무선 노드는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각각의 서빙되는 링크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하나의 주요 이점은, 서빙 무선 노드가 TX 상태에 있으면, 그 이웃하는 AN들의 모든 링크 수신기들은 모두 RX 상태에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3에 예시된 청취장애 문제는 효율적인 방식으로 극복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서빙 무선 노드(2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서빙 무선 노드(200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하나 이상의 커버리지 영역에 이웃하는 커버리지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를 통해 서빙 무선 노드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를 서빙한다. 예를 들어, 서빙 무선 노드(20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AP2일 수 있으며, 이는 UE 2 및 UE 5를 서빙한다. UE 2는 링크 쌍 2를 통해 AP 2에 접속되고, UE 5는 링크 쌍 5를 통해 AP 2에 접속된다. 이 예에서, AP1, AP3 및 AP4는 AP2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들일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빙 무선 노드(2000)는 수신 유닛(2010), 감지 유닛(2020), 할당 유닛(2030) 및 조정 유닛(2040)을 포함한다. 할당 유닛(2030) 및 조정 유닛(2040)은 임의적이다.
수신 유닛(2010)은 서빙 무선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예를 들어, 도 5의 CCU)로부터,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는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와 직교한다.
구현에서,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사운딩 및 감지 지속기간 당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를 지시하고, 이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 중 하나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서빙 무선 노드에 의한 감지를 위해 감지 윈도우들로서 구성되고, 이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 중 나머지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들은 서빙 무선 노드에 의한 사운딩을 위해 사운딩 윈도우들로서 구성된다.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SSI 당 2개 이상의 DSSW들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도 14의 구성 0일 수 있고,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구성 1 또는 구성 2일 수 있다.
구현의 예로서,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윈도우들은 시간 도메인에서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감지 윈도우들에 대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빙 무선 노드가 사운딩 윈도우들에서 사운딩 신호를 송신하고 있으면,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는 감지 윈도우들에서 사운딩 신호를 감지해야 한다. 즉, AN이 DSSI 동안에 TX 상태에 있으면, 그 이웃하는 링크 수신기들은 모두 RX 상태에 있다.
구현의 다른 예로서, 각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또는 상이한 수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갖는다.
구현의 추가적인 예로서, 각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인 또는 비연속적인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갖는다.
감지 유닛(2020)은,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해 구성된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을 통해, 무선 링크의 방향에서의 모든 사운딩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구현에서, 감지 유닛(2020)은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모든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에서 감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감지 유닛(2020)은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일부 또는 모든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에서 감지를 추가로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할당 유닛(2030)은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하나 이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들에 할당하도록 구성된다.
조정 유닛(2040)은,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들의 수가 서빙 노드가 수신기들로서 역할하는 모든 무선 링크의 수보다 적으면,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과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한 감지 기간을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경우, 감지 유닛(2020)은, 조정된 감지 기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해 구성된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을 통해, 무선 링크의 방향에서의 모든 사운딩 신호를 감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서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시적인 DSSI 패턴을 지시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는 링크 무선 품질; 링크 레이트; 또는 링크 트래픽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양호한 무선 품질, 더 낮은 링크 레이트 또는 더 낮은 트래픽 우선순위를 갖는 링크에 대한 감지 기간이 하나의 DSSP보다 크게 조정될 수 있다.
도 2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다른 서빙 무선 노드(2100)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서빙 무선 노드(2100)는 서빙 무선 노드(2000)의 실행가능한 변형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빙 무선 노드(2100)는 수신 유닛(2110), 조정 유닛(2120) 및 감지 유닛(2130)을 포함한다. 조정 유닛(2120)은 도 20의 조정 유닛(2040)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수신 유닛(2110)은, 서빙 무선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예를 들어, 도 5의 CCU)로부터,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예를 들어, 상세한 네트워크 배치 또는 무선 환경에 따라, 필요에 따라 제어 노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가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와 직교하는 방식으로 제어 노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조정 유닛(2120)은,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들의 수가 서빙 노드가 수신기들로서 역할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수보다 적으면,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과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한 감지 기간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감지 유닛(2130)은, 조정된 감지 기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해 구성된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을 통해, 무선 링크의 방향에서의 모든 사운딩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여기서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시적인 DSSI 패턴을 지시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는 링크 무선 품질; 링크 레이트; 또는 링크 트래픽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양호한 무선 품질, 더 낮은 링크 레이트 또는 더 낮은 트래픽 우선순위를 갖는 링크에 대한 감지 기간은 하나의 DSSP보다 크게 조정될 수 있다.
도 2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서빙 무선 노드(예를 들어, 도 5의 AP2)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2200)(예를 들어, 도 5의 CCU)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서빙 무선 노드는, MMW RAT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하나 이상의 커버리지 영역에 이웃하는 커버리지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를 통해 서빙 무선 노드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를 서빙한다. 예를 들어, AP 2는 UE 2 및 UE 5를 서빙한다. UE 2는 링크 쌍 2를 통해 AP 2에 접속되고, UE 5는 링크 쌍 5를 통해 AP 2에 접속된다. 이 예에서, AP1, AP3 및 AP4는 AP2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들일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노드(2200)는 결정 유닛(2210) 및 송신 유닛(2220)을 포함한다.
결정 유닛(2210)은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는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와 직교한다.
구현에서, 결정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사운딩 및 감지 지속기간 당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를 지시하고, 이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 중 하나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서빙 무선 노드에 의한 감지를 위해 감지 윈도우들로서 구성되고, 이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 중 나머지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들은 서빙 무선 노드에 의한 사운딩을 위해 사운딩 윈도우들로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 노드(2200)는 네트워크 배치에 기초하여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노드(2200)는 구성 2를 AN(1501)에 할당할 수 있고, 구성 0 또는 구성 1을 AN(1501)의 이웃하는 AN들에 할당할 수 있다.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결정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SSI 당 2개 이상의 DSSW들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결정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도 14의 구성 0일 수 있고,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구성 1 또는 구성 2일 수 있다.
구현의 예로서,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윈도우들은 시간 도메인에서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감지 윈도우들에 대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빙 무선 노드가 사운딩 윈도우들에서 사운딩 신호를 송신하고 있으면,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는 감지 윈도우들에서 사운딩 신호를 감지해야 한다.
구현의 다른 예로서, 각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또는 상이한 수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갖는다.
구현의 추가적인 예로서, 각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인 또는 비연속적인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갖는다.
송신 유닛(2220)은 결정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서빙 무선 노드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그 후, 서빙 무선 노드는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각각의 서빙되는 링크에 적용할 수 있다.
도 23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서빙 무선 노드(2000), 서빙 무선 노드(2100) 또는 제어 노드(2200)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장치(2300)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여기서, 장치(2300) 내에는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를 갖는 프로세싱 유닛(2306)이 포함된다. 프로세싱 유닛(2306)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프로시저들의 상이한 액션들을 수행하는 단일 유닛 또는 복수의 유닛들일 수 있다. 장치(2300)는 또한 다른 엔티티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유닛(2302) 및 다른 엔티티들에 신호(들)를 제공하기 위한 출력 유닛(2304)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유닛 및 출력 유닛은 통합된 엔티티로서 또는 도 20, 도 21 또는 도 22의 예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장치(2300)는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EEPROM), 플래시 메모리 및 하드 드라이브의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2308)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2308)은 코드/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2310)을 포함하며, 이는 장치(2300) 내의 프로세싱 유닛(2306)에 의해 실행될 때, 장치(2300) 및/또는 이것이 포함되는 서빙 무선 노드 또는 제어 노드로 하여금, 예를 들어, 도 16, 도 18 또는 도 19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프로시저의 액션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 프로그램(2310)은 컴퓨터 프로그램 모듈들(2310A-2310E, 2310F-2310I 또는 2310J-2310L)로 구조화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로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2300)가 서빙 무선 노드(2000)에서 사용될 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2300)의 컴퓨터 프로그램 내의 코드는, 서빙 무선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로부터,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2310A)을 포함한다.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는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와 직교한다. 컴퓨터 프로그램(2310) 내의 코드는,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해 구성된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을 통해, 무선 링크의 방향에서의 모든 사운딩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모듈(2310B)을 추가로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2310) 내의 코드는,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하나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를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들에 할당하기 위한 할당 모듈(2310C)을 추가로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2310) 내의 코드는,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들의 수가 서빙 노드가 수신기들로서 역할하는 모든 무선 링크의 수보다 적으면,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과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한 감지 기간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모듈(2310D)을 추가로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2310) 내의 코드는, 예를 들어, 서빙 무선 노드의 동작들과 연관된 다른 관련 프로시저들을 제어 및 수행하기 위하여, 모듈(2310E)로서 예시된 추가적인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무선 노드가 BS이면, 모듈(2310E)은 BS의 동작들과 연관된 다른 관련 프로시저들을 제어 및 수행할 수 있다.
장치(2300)가 서빙 무선 노드(2100)에서 사용될 때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2300)의 컴퓨터 프로그램 내의 코드는, 서빙 무선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로부터,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2310F)을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내의 코드는,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들의 수가 서빙 노드가 수신기들로서 역할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수보다 적으면,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과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한 감지 기간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모듈(2310G)을 추가로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내의 코드는, 조정된 감지 기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해 구성된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을 통해, 무선 링크의 방향에서의 모든 사운딩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유닛(2310H)을 추가로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2310) 내의 코드는 예를 들어, 서빙 무선 노드의 동작들과 연관된 다른 관련 프로시저들을 제어 및 수행하기 위하여, 모듈(2310I)로서 예시된 추가적인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무선 노드가 BS이면, 모듈(2310I)은 BS의 동작들과 연관된 다른 관련 프로시저들을 제어 및 수행할 수 있다.
장치(2300)가 제어 노드(2200)에서 사용될 때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2300)의 컴퓨터 프로그램 내의 코드는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2310J)을 포함한다.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는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와 직교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내의 코드는 결정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서빙 무선 노드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2310K)을 추가로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2310) 내의 코드는 예를 들어, 제어 노드의 동작들과 연관된 다른 관련 프로시저들을 제어 및 수행하기 위하여, 모듈(2310L)로서 예시된 추가적인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질적으로 서빙 무선 노드(2000)를 에뮬레이션하기 위해 도 16에 예시된 흐름의 액션들, 또는 서빙 무선 노드(2100)를 에뮬레이션하기 위해 도 18에 예시된 흐름의 액션들, 또는 제어 노드(2200)를 예뮬레이션하기 위해 도 19에 예시된 흐름의 액션들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이한 컴퓨터 프로그램 모듈들이 프로세싱 유닛(2306)에서 실행되면, 이들은 예를 들어, 도 20의 유닛들(2010-2040), 또는 도 21의 유닛들(2110-2130) 또는 도 22의 유닛들(2210-222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3과 관련하여 위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에서의 코드 수단들은, 프로세싱 유닛에서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위에서 언급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액션들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모듈들로서 구현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코드 수단들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 수단은 하드웨어 회로들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단일 CPU(중앙 처리 유닛)일 수 있지만, 2개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명령어 세트 프로세서들 및/또는 관련된 칩들 세트들 및/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와 같은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캐싱 목적으로 보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접속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해 운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플래시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또는 EEPROM일 수 있고,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위에서 설명된 컴퓨터 프로그램 모듈들은 서빙 무선 노드 또는 제어 노드 내의 메모리들의 형태로 상이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 상에 분산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ADSS 관련 기능들(이하, ADSS 기능이라고도 함)을 시스템 프로토콜 계층들 및 관련된 시그널링 흐름에 매핑할 것을 추가로 제안한다. 본 기술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시스템 프로토콜 계층들(이하, 간단히 "프로토콜 계층들"이라고 함)은 예를 들어,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 PHY(PHYsical) 계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DSS 기능은 예를 들어, 위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방법(700), 방법(900), 방법(1100), 방법(1600), 방법(1800) 및/또는 방법(1900)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ADSS 기능은 위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서빙 무선 노드(2000), 서빙 무선 노드(2100), 제어 노드(2200) 및/또는 장치(230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ADSS 기능은, 상이한 역할들에 대응하고 상이한 프로토콜 계층들에 매핑되는 다수의 ADSS 하위-기능 모듈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4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ADSS 하위-기능 모듈들 및 이들의 대응하는 프로토콜 계층들에의 매핑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에 따른 전체 ADSS 기능은 각각의 서빙 무선 노드(예를 들어, 도 6의 AP(620))의 CCU, RRC 계층 및 MAC 계층, 및 그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예를 들어, 도 6의 UE(660))의 RRC 계층 및 MAC 계층을 통해 분산될 수 있다. 각각의 프로토콜 계층에 매핑되는 ADSS 기능은 다수의 하위-기능 모듈들로 추가로 분할될 수 있다.
CCU에서, ADSS 기능은 CCU ADSS 관리자에 의해 구현되고, CCU ADSS 관리자는 도 24에 예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하위-기능 모듈들, 즉, 구성 관리자, DLIM 관리자 및 리소스 할당 관리자를 포함한다.
구성 관리자는 CCU의 제어 하에 있는 각각의 AP 또는 각각의 링크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들을 관리할 수 있다.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들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DSSP 시작점 및 길이, DSSI 시작점 및 길이, DSSI 패턴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링크에 대해 SRU가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관한 구성들; 또는
·예를 들어, 보고하기 위한 타이밍, 보고 포맷 등을 포함하여, 수신 노드가 그 감지 결과들을 CCU에 보고하기 위한 규칙들에 대한 구성들.
예를 들어, 구성 관리자는 도 7의 단계(S710) 또는 도 19의 단계(S1910)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성 관리자는 도 22의 결정 유닛(2210)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DLIM 관리자는 DLIM을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것은 다음과 같이 행해질 수 있다. 첫째, DLIM 관리자는 모든 링크 수신기들(즉, 수신 노드들)로부터 감지 결과들을 수집한다. 감지 결과들은 측정 보고서들을 통해 CCU에 보고될 수 있다. 둘째, DLIM 관리자는 감지 결과들을 평가하고, 각각의 링크들 간의 간섭 관계를 결정한다. 셋째, DLIM 관리자는 간섭 관계에 기초하여 DLIM을 도출하고, DLIM을 리소스 관리자에게 출력한다. 임의적으로, DLIM 관리자는 최신 감지 결과들에 기초하여 DLIM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LIM 관리자는 방법(700)에서 DLIM의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관리자는 리소스 할당 관련 구성들 및 적응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소스 할당 관련 구성들 및 적응들은 스케줄링 기반 리소스 할당을 위한 리소스 템플릿 할당, 간섭 완화를 위해 간섭 링크 및/또는 희생 링크를 위한 리소스 템플릿 조정; 대응하는 노드들에 대한 대응하는 명령어의 간섭 완화 액션 결정 및 생성, 또는 충돌 회피 개선을 위한 경쟁 관련 구성 조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대응하는 노드들에 대한 대응하는 명령어의 간섭 완화 액션 결정 및 생성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간섭 완화를 위하여 간섭 링크 및/또는 희생 링크에 대한 링크 리다이렉션 조정, 및/또는
·조정된 스케줄링, 및/또는
·조정된 빔포밍, 및/또는
·조정된 블랭킹 등.
AP에서, ADSS 기능은 RRC 계층 및 MAC 계층을 통해 분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P 측에서의 ADSS 기능은 ADSS RRC 모듈 및 ADSS MAC 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RRC 계층에서, ADSS RRC 모듈은 링크 특정 사운딩 리소스 할당 및 적응에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SRU 관리자 및 RRC ADSS 관리자를 포함할 수 있다. SRU 관리자는 SRU 리소스들을 관리한다. 즉, SRU 관리자는 구성된 DSSI 패턴에 따라 각각의 링크에 대한 SRU 리소스들의 할당을 관리할 수 있다. RRC ADSS 관리자는 사운딩 리소스 혼잡 시에 링크 특정 ADSS 구성 정책을 조정하고, 지향성 사운딩 및 감지 보고서를 관리할 수 있다.
MAC 계층에서, ADSS MAC 모듈은 ADSS를 수행하고, AP 측에서 ADSS RRC 모듈과 같은 상위 계층 ADSS 모듈들로부터의 명령어들에 따라 리소스를 사용하는 데 사용된다. 이것은 ADSS 실행자와 리소스 할당 실행자를 포함할 수 있다. ADSS 실행자는 TX 링크에 대해 할당된 SRU를 통해 송신기에 대한 지향성 사운딩 신호의 송신을 결정하고, RX 링크에 대한 지향성 감지를 수행한다. 리소스 할당 실행자는 상부 유닛들로부터의 리소스 할당 또는 리소스 할당 전략에 따라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링크에 트래픽이 도달하는 경우, 리소스 할당 실행자는 CCU의 리소스 관리자로부터 수신된 스케줄링 템플릿에 기초하여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또한, 리소스 할당 실행자는 구성된 정책 및 파라미터들에 따라 CCU에 사운딩 리소스 사용을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DSS 실행자는 도 9의 단계(S920) 또는 도 11의 단계(S1120) 또는 도 16의 단계(S1620) 또는 도 18의 단계(S1830)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성 관리자는 도 20의 감지 유닛(2020) 또는 도 21의 감지 유닛(2130)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로서, 리소스 할당 실행자는 도 16의 단계(S1630)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리소스 할당 실행자는 도 20의 할당 유닛(2030)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에는, 대응하는 피어 ADSS 프로토콜 엔티티들, 즉, RRC 계층의 ADSS RRC 모듈 및 MAC 계층의 ADSS MAC 모듈이 있다.
ADSS RRC 모듈은 서빙 AP로부터 피어 ADSS RRC 모듈로부터의 구성들을 수신하여, 로컬 ADSS 기능 모듈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가 링크의 수신 노드로서 역할하는 경우에 감지 결과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 내의 ADSS RRC 모듈은 도 9의 단계(S910) 또는 도 11의 단계(S1110)를 수행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가 링크의 수신 노드로서 역할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 내의 ADSS RRC 모듈은 도 9의 단계(S930)를 수행할 수도 있다.
ADSS MAC 모듈은,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가 링크의 송신 노드로서 역할하는 경우에는 지향성 사운딩 신호 송신을 스케줄링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가 링크의 수신 노드로서 역할하는 경우에는 지향성 감지 신호 수신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가 수신 노드로서 역할하는 경우, 그것의 ADSS MAC 모듈은 또한 감지 결과들을 생성하고, 구성들에 따라 이들을 RRC 계층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의 ADSS MAC 모듈은 도 9의 단계(S930)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5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구성 시그널링 흐름들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U는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들에 대한 정보(구성 정보라고도 함)를 AP의 ADSS RRC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런 다음, AP의 ADSS RRC 모듈이 정보에 따라 구성된다. 도 2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AP의 ADSS RRC 모듈은 구성 정보를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의 ADSS RRC 모듈(즉, 도 24에 예시된 바와 같은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의 ADSS RRC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25c 및 도 25d에서, AP 또는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 중 어느 것에 있어서, 각각의 ADSS RRC 모듈은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ADSS MAC 모듈을 구성해야 한다. 구성 정보는 ADSS 관련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DSSP 시작 및 길이, DSSI 시작 및 길이, DSSI 패턴들, SRU 할당 및 지향성 감지 및 측정에 대한 구성들, 측정 보고서 관련 구성들, 지향성 사운딩 신호 송신 관련 구성들(예를 들어, TX)을 지시할 수 있다.
도 26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감지 결과 시그널링 흐름들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감지 결과들은 수신 노드들에서 처리되어, 측정 보고서로 출력된다. 링크의 각각의 수신 노드는 MAC 계층의 링크에 대한 감지 결과들을 생성하고, 측정 보고서를 그것의 ADSS RRC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도 26a). 수신 노드가 AP인 경우, 측정 보고서는 AP의 ADSS RRC 모듈에 의해 직접 CCU로 전송된다(도 26b). 수신 노드가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인 경우, 측정 보고서는 먼저 AP의 피어 ADSS RRC 모듈로 전송되고, AP의 피어 ADSS RRC 모듈은 차례로 측정 보고서를 CCU에 포워딩한다(도 26c). CCU는 AP의 ADSS RRC 모듈을 구성 정보로 한번 구성할 수 있으며, AP의 ADSS RRC 모듈은 구성 정보를 저장하고, 새로운 링크를 위해 이 저장된 구성 정보로 그것의 서빙되는 링크를 구성할 수 있다.
다수의 링크들을 서빙하는 AP의 경우, 그것의 ADSS RRC 모듈은 추가로,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다수의 링크들에 대한 감지 보고서들을 통합하고, 통합된 감지 결과들을 CCU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7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스케줄링 기반 리소스 할당을 위한 예시적인 시그널링 흐름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트래픽 변동이 발생하면, 하나의 링크에 할당된 리소스 템플릿이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예에서, 링크가 (예를 들어, 템플릿에 의해) 할당된 허가보다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필요로 하면, 이 링크를 서빙하는 AP는 CCU에 템플릿 허가 요청 허가(Template Grant Request)(GRA)를 전송할 수 있다. 응답으로서, CCU의 리소스 관리자는 템플릿 허가 할당(Template Grant Allocation)(TGA) 메시지를 통해 새로운 리소스 템플릿으로 링크에 더 많은 리소스들을 할당할 수 있다. 유사하게, 링크가 할당된 허가보다 더 낮은 데이터 레이트를 필요로 하면, AP는 CCU에 GRA를 전송할 수 있고, CCU는 그것의 리소스 관리자에 의해 TGA 메시지를 통해 새로운 리소스 템플릿으로 링크에 더 적은 리소스들을 할당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기보다는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그 등가물들에 의해 정의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대안들 및 수정들을 행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개시내용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5)

  1. 서빙 무선 노드(serving radio node)에서 사용되는 방법(1600)으로서, 상기 서빙 무선 노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하나 이상의 커버리지 영역에 이웃하는 커버리지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를 서빙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빙 무선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로부터,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sounding and sensing related configuration)을 수신하는 단계(S1610) - 상기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sounding resource element)는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와 직교함 -; 및
    상기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해 구성된 상기 서빙 무선 노드의 수신기(RX) 무선 주파수(RF) 체인을 통해, 상기 무선 링크의 방향에서의 모든 사운딩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S1620)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사운딩 및 감지 지속기간 당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two or more sounding and sensing windows per sounding and sensing duration)를 지시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 중 하나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의한 감지를 위해 감지 윈도우들로서 구성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 중 나머지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들은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의한 사운딩을 위해 사운딩 윈도우들로서 구성되는 방법(1600).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윈도우들은 시간 도메인에서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감지 윈도우들에 대응하는 방법(1600).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수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갖는 방법(1600).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연속적인 또는 비연속적인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갖는 방법(1600).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하나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를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들에 할당하는 단계(S1630)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1600).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모든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에서 수행되는 방법(1600).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일부 또는 모든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에서 추가로 수행되는 방법(1600).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무선 노드의 수신기(RX) 무선 주파수(RF) 체인들의 수가 상기 서빙 무선 노드가 수신기들로서 역할하는 모든 무선 링크의 수보다 적으면, 상기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과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한 감지 기간(sensing period)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감지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해 구성된 상기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을 통해, 상기 무선 링크의 방향에서의 모든 사운딩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16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는,
    링크 무선 품질;
    링크 레이트; 또는
    링크 트래픽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1600).
  11. 서빙 무선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에서 사용되는 방법(1900)으로서, 상기 서빙 무선 노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하나 이상의 커버리지 영역에 이웃하는 커버리지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를 서빙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S1910) -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상기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는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와 직교함 -; 및
    상기 결정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상기 서빙 무선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S1920)
    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사운딩 및 감지 지속기간 당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를 지시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 중 하나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의한 감지를 위해 감지 윈도우들로서 구성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 중 나머지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들은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의한 사운딩을 위해 사운딩 윈도우들로서 구성되는 방법(1900).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윈도우들은 시간 도메인에서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감지 윈도우들에 대응하는 방법(1900).
  14.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수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갖는 방법(1900).
  15.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연속적인 또는 비연속적인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갖는 방법(1900).
  16. 서빙 무선 노드에서 사용되는 방법(1800)으로서, 상기 서빙 무선 노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하나 이상의 커버리지 영역에 이웃하는 커버리지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를 서빙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빙 무선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로부터,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S1810);
    상기 서빙 무선 노드의 수신기(RX) 무선 주파수(RF) 체인들의 수가 상기 서빙 무선 노드가 수신기들로서 역할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수보다 적으면, 상기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과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한 감지 기간을 조정하는 단계(S1820); 및
    상기 조정된 감지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해 구성된 상기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을 통해, 상기 무선 링크의 방향에서의 모든 사운딩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S1830)
    를 포함하는 방법(1800).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는,
    링크 무선 품질;
    링크 레이트; 또는
    링크 트래픽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1800).
  18. 서빙 무선 노드(2000)로서, 상기 서빙 무선 노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하나 이상의 커버리지 영역에 이웃하는 커버리지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를 서빙하고, 상기 서빙 무선 노드는:
    상기 서빙 무선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로부터,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2010) - 상기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는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와 직교함 -; 및
    상기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해 구성된 상기 서빙 무선 노드의 수신기(RX) 무선 주파수(RF) 체인을 통해, 상기 무선 링크의 방향에서의 모든 사운딩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 유닛(2020)
    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사운딩 및 감지 지속기간 당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를 지시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 중 하나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의한 감지를 위해 감지 윈도우들로서 구성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 중 나머지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들은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의한 사운딩을 위해 사운딩 윈도우들로서 구성되는 서빙 무선 노드(2000).
  19. 삭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윈도우들은 시간 도메인에서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감지 윈도우들에 대응하는 서빙 무선 노드(2000).
  21. 제18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각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수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갖는 서빙 무선 노드(2000).
  22. 제18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각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연속적인 또는 비연속적인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갖는 서빙 무선 노드(2000).
  23. 제18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하나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를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들에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할당 유닛(2030)
    을 추가로 포함하는 서빙 무선 노드(2000).
  24. 제18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유닛(2020)은 상기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모든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에서 감지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서빙 무선 노드(2000).
  25. 제18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유닛(2020)은 상기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일부 또는 모든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에서 감지를 추가로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서빙 무선 노드(2000).
  26. 제18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무선 노드의 수신기(RX) 무선 주파수(RF) 체인들의 수가 상기 서빙 무선 노드가 수신기들로서 역할하는 모든 무선 링크의 수보다 적으면, 상기 수신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과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한 감지 기간을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조정 유닛(2040)
    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감지 유닛(2020)은, 상기 조정된 감지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해 구성된 상기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을 통해, 상기 무선 링크의 방향에서의 모든 사운딩 신호를 감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서빙 무선 노드(2000).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는,
    링크 무선 품질;
    링크 레이트; 또는
    링크 트래픽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빙 무선 노드(2000).
  28. 서빙 무선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2200)로서, 상기 서빙 무선 노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하나 이상의 커버리지 영역에 이웃하는 커버리지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를 서빙하고, 상기 제어 노드는: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2210) -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상기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는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에 의해 지시되는 각각의 사운딩 리소스 엘리먼트와 직교함 -; 및
    상기 결정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상기 서빙 무선 노드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2220)
    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은 사운딩 및 감지 지속기간 당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를 지시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 중 하나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의한 감지를 위해 감지 윈도우들로서 구성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 중 나머지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들은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의한 사운딩을 위해 사운딩 윈도우들로서 구성되는 제어 노드(2200).
  29. 삭제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윈도우들은 시간 도메인에서 각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대한 감지 윈도우들에 대응하는 제어 노드(2200).
  31. 제28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각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수의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갖는 제어 노드(2200).
  32. 제28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각각의 사운딩 및 감지 윈도우는 연속적인 또는 비연속적인 사운딩 및 감지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갖는 제어 노드(2200).
  33. 서빙 무선 노드(2100)로서, 상기 서빙 무선 노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무선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하나 이상의 커버리지 영역에 이웃하는 커버리지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무선 노드를 서빙하고, 상기 서빙 무선 노드(2100)는:
    상기 서빙 무선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로부터, 상기 서빙 무선 노드에 대한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2110);
    상기 서빙 무선 노드의 수신기(RX) 무선 주파수(RF) 체인들의 수가 상기 서빙 무선 노드가 수신기들로서 역할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수보다 적으면, 상기 사운딩 및 감지 관련 구성과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한 감지 기간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조정 유닛(2120); 및
    상기 조정된 감지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의 각각의 무선 링크에 대해 구성된 상기 서빙 무선 노드의 RX RF 체인을 통해, 상기 무선 링크의 방향에서의 모든 사운딩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 유닛(2130)
    을 포함하는 서빙 무선 노드(2100).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는,
    링크 무선 품질;
    링크 레이트; 또는
    링크 트래픽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빙 무선 노드(2100).
  35.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항, 제3항, 제11항, 제13항, 제16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2310)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7002156A 2015-06-26 2016-06-24 서빙 무선 노드 및 제어 노드에서 사용되는 방법들, 및 연관된 디바이스들 KR1021059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PCT/CN2015/082516 2015-06-26
PCT/CN2015/082516 WO2016206103A1 (en) 2015-06-26 2015-06-26 Methods used in serving radio node and control node, and associated devices
PCT/CN2016/087045 WO2016206628A1 (en) 2015-06-26 2016-06-24 Methods used in serving radio node and control node, and associated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821A KR20180021821A (ko) 2018-03-05
KR102105978B1 true KR102105978B1 (ko) 2020-05-04

Family

ID=57584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156A KR102105978B1 (ko) 2015-06-26 2016-06-24 서빙 무선 노드 및 제어 노드에서 사용되는 방법들, 및 연관된 디바이스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10033496B2 (ko)
EP (1) EP3320753B1 (ko)
JP (1) JP6538208B2 (ko)
KR (1) KR102105978B1 (ko)
CN (1) CN107852775B (ko)
AR (1) AR105139A1 (ko)
HK (1) HK1247496A1 (ko)
RU (1) RU2683617C1 (ko)
WO (2) WO20162061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3496B2 (en) * 2015-06-26 2018-07-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used in serving radio node and control node, and associated devices
US10111105B2 (en) 2015-06-26 2018-10-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used in control nodes, and associated control nodes
KR102209576B1 (ko) * 2018-11-22 2021-02-0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이터 처리를 위한 링크 스케쥴링 방법 및 그 장치
WO2022040843A1 (en) * 2020-08-24 2022-03-03 Qualcomm Incorporated Sensing resource configuration
CN114762381A (zh) * 2020-10-14 2022-07-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无线感知方法、无线感知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14463A1 (en) 2006-12-07 2010-01-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terminal station,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O2014036059A1 (en) 2012-08-28 2014-03-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ynamic point-to-point spectrum licensing
WO2015002465A1 (en) 2013-07-02 2015-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sounding channel operation in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9551B2 (ja) 2002-03-05 2006-11-22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668555B2 (en) * 2006-08-23 2010-02-23 Cisco Technology, Inc. Method for computing beamforming weighting vectors with collaborated uplink sounding
US20080188260A1 (en) 2007-02-02 2008-08-0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power control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599705B2 (en) 2008-02-01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based on enhanced pilot measurement reports
JP5181883B2 (ja) 2008-07-08 2013-04-10 株式会社リコー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068844B2 (en) * 2008-12-31 2011-11-29 Intel Corporation Arrangements for beam refinement in a wireless network
US8923215B2 (en) * 2009-02-27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transmissions in 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network systems
CN101867938B (zh) * 2009-04-20 2013-01-0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用于多点协同传输的上行参考信号的配置方法和装置
JP4965741B2 (ja) 2009-04-24 2012-07-04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9166875B2 (en) * 2009-06-22 2015-10-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optimization using SON solutions
WO2011006116A1 (en) * 2009-07-10 2011-01-13 Saeid Safavi Centralized cross-layer enhanc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wireless network
KR101434763B1 (ko) * 2009-09-21 2014-08-26 록스타 비드코, 엘피 다운링크 고차 mimo를 위한 기준 신호 설계
CN101674160B (zh) * 2009-10-22 2012-12-12 复旦大学 多输入多输出无线通信系统信号检测方法及装置
KR101524752B1 (ko) * 2009-10-23 201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셀간 협력을 위한 통신 시스템
CN102111844B (zh) 2009-12-26 2013-08-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中继的选择方法、通信方法、基站及系统
KR101643225B1 (ko) 2010-02-23 2016-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신호 송신 방법
RU2432581C1 (ru) * 2010-03-03 2011-10-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РТЛ-Сервис" Способ локации радиоузла, система локации радиоузла и узел обработки данных
KR20120007696A (ko) * 2010-07-15 2012-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펨토 셀에서의 간섭 완화 방법 및 그 장치
CN102448126A (zh) 2010-09-30 2012-05-09 索尼公司 通信资源集合配置方法和装置以及资源管理方法和系统
US9072001B2 (en) 2010-11-01 2015-06-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selective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upporting same
US20120170497A1 (en) * 2011-01-04 2012-07-05 HT mMobile Inc. Method for reporting srs in discontinuous recep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CN102624465B (zh) 2011-01-30 2016-01-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认知无线电的感知辅助的方法及系统
WO2012167184A2 (en) 2011-06-02 2012-12-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managing converged gateway communications
CN103563409B (zh) 2011-06-09 2018-06-08 黑莓有限公司 用于小区间干扰协调的分布式无线资源管理的方法和装置
US9585083B2 (en) * 2011-06-17 2017-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network entry in a millimeter-wave mobile broadband communication system
EP2721858B1 (en) 2011-08-08 2017-10-18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uplink interference management in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s
WO2013025158A1 (en) 2011-08-12 2013-02-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nodes for coordinating uplink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GB2498402B (en) 2012-01-16 2014-01-15 Toshiba Res Europ Ltd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spectrum sensing with partial soft information feedback in a cognitive relay network
CN103378935B (zh) 2012-04-27 2018-04-27 广州世炬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反馈歧义调整下行相关参数的方法
US9219541B2 (en) 2012-06-13 2015-12-22 All Purpose Networks LLC Baseb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n LTE wireless base station employing periodically scanning RF beam forming techniques
US9398630B2 (en) * 2012-08-10 2016-07-19 Alcatel Lucent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and schedul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KR20140023738A (ko) 2012-08-17 201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간의 간섭 정보 공유에 기반한 링크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TWI611708B (zh) * 2012-08-28 2018-01-11 Idac控股公司 從主波束的通信鏈路交遞的方法及裝置
US20150236808A1 (en) 2012-09-25 2015-08-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link adaptation for flexible subframe communications
KR20140047394A (ko) 2012-10-12 2014-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N104838683A (zh) 2012-11-16 2015-08-12 美国博通公司 异构网络中的低功率几乎空白子帧(abs)
US9699589B2 (en) 2012-12-21 2017-07-04 Blackberry Limited Managing sessions for direct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US9516563B2 (en) 2013-01-21 2016-12-06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handover of a beamformed link
CN105009474A (zh) 2013-02-07 2015-10-28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低延迟毫米波(mmw)回程系统的物理层(phy)设计
US9392639B2 (en) * 2013-02-27 2016-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channel sounding in beamformed massive MIMO systems
US20140315490A1 (en) 2013-04-23 2014-10-23 Robbin Hughes Enhancing efficiency of communication terminals using radio communication
EP2992619B1 (en) * 2013-04-30 2020-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beam forming scheme
US20140328264A1 (en) 2013-05-03 2014-11-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ordination messaging using high efficiency wifi
US9445283B2 (en) * 2013-08-23 2016-09-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Channel sounding for frequency division duplex system
CN103813347B (zh) * 2014-02-28 2018-01-2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基站频率资源配置方法及网络设备
CN107005975B (zh) 2014-12-15 2021-02-0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在网络节点中使用的方法和链路的接收和发送节点以及相关联设备
KR102481015B1 (ko) * 2015-05-14 2022-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경쟁 구간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GB2539736A (en) * 2015-06-25 2016-12-28 Airspan Networks Inc Wireless network configuration using path loss determination between nodes
US10033496B2 (en) * 2015-06-26 2018-07-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used in serving radio node and control node, and associated devices
US10652753B2 (en) * 2015-07-24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 and channe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unlicensed band
US10064227B2 (en) * 2015-08-13 2018-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unlicensed spectru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14463A1 (en) 2006-12-07 2010-01-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terminal station,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O2014036059A1 (en) 2012-08-28 2014-03-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ynamic point-to-point spectrum licensing
WO2015002465A1 (en) 2013-07-02 2015-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sounding channel operation in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52775B (zh) 2021-06-04
US20170180092A1 (en) 2017-06-22
EP3320753A4 (en) 2019-06-05
US20180367266A1 (en) 2018-12-20
KR20180021821A (ko) 2018-03-05
JP2018525876A (ja) 2018-09-06
RU2683617C1 (ru) 2019-03-29
US20180316473A1 (en) 2018-11-01
US10033496B2 (en) 2018-07-24
CN107852775A (zh) 2018-03-27
WO2016206628A1 (en) 2016-12-29
EP3320753B1 (en) 2022-03-23
HK1247496A1 (zh) 2018-09-21
AR105139A1 (es) 2017-09-06
JP6538208B2 (ja) 2019-07-03
EP3320753A1 (en) 2018-05-16
WO2016206103A1 (en) 2016-12-29
US10341068B2 (en)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978B1 (ko) 서빙 무선 노드 및 제어 노드에서 사용되는 방법들, 및 연관된 디바이스들
CN107005975B (zh) 在网络节点中使用的方法和链路的接收和发送节点以及相关联设备
US10499251B2 (en) Methods used in control nodes, and associated control nodes
US10433316B2 (en) Methods used in control node and radio node and associated devices
US10454718B2 (en) Methods used in control node and serving radio node, and associated devices
OA18729A (en) Methods used in control node and radio node and associated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