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335B1 - Garment - Google Patents

Gar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335B1
KR102105335B1 KR1020180142350A KR20180142350A KR102105335B1 KR 102105335 B1 KR102105335 B1 KR 102105335B1 KR 1020180142350 A KR1020180142350 A KR 1020180142350A KR 20180142350 A KR20180142350 A KR 20180142350A KR 102105335 B1 KR102105335 B1 KR 102105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boundary
medical
parallel
elon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3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31405A (en
Inventor
미츠루 야마다
쇼스케 쿠마모토
료코 하타나카
세이타로 오치아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데상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데상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데상트
Publication of KR20190131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4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3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41D31/185Elastic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 A41D2300/52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10Knitte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Abstract

(과제) 생지 및 생지의 접합 부분의 신축성이 우수하고, 착용감이 좋은 의료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제 1 생지(10), 제 2 생지(20) 및 띠상 부재(30)를 갖는 의료(1)로서, 제 1 생지(10)는 뒷길(3)에 있고, 제 2 생지(20)는 앞길(2)에 있으며, 띠상 부재(30)는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은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경계선에 평행한 방향(경계선 평행방향(D1))의 신장률보다 경계선에 평행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이 크고,
Fx=Lx{12kb1x×12kb2x/(12kb1x+12kb2x)+6ktx}
Fy=Ly(3kb1y+3kb2y+kty)
Fb1x=Lb1x×6kb1x
Fb2x=Lb2x×6kb2x
Fb1y=Lb1y×6kb1y
Fb2y=Lb2y×6kb2y
상기 식의 해인 ktx와 kty는 ktx>kty의 관계에 있고, 상기 식의 해인 kb1x, kb1y, kb2x, 및 kb2y는 kb1x<kb1y와 kb2x<kb2y 중 적어도 한쪽의 관계에 있다.
(Task) It provides excellent elasticity of the dough and the joining part of the dough, and provides good fit.
(Solution) As a medical (1) having a first dough (10), a second dough (20) and a band-like member (30), the first dough (10) is on the back road (3) and the second dough (20 ) Is on the front road (2), the belt-like member (30) is disposed along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The elongation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oundary line (the boundary line orthogonal direction (D2)) than the elongation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oundary line (the boundary line parallel direction (D1))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This is big,
F x = L x {12k b1x × 12k b2x / (12k b1x + 12k b2x ) + 6k tx }
F y = L y (3k b1y + 3k b2y + k ty )
F b1x = L b1x × 6k b1x
F b2x = L b2x × 6k b2x
F b1y = L b1y × 6k b1y
F b2y = L b2y × 6k b2y
The solutions of the equations k tx and k ty are in the relationship of k tx > k ty , and the solutions k b1x , k b1y , k b2x , and k b2y are at least one of k b1x <k b1y and k b2x <k b2y . They are in one relationship.

Description

의료{GARMENT}Medical {GARMENT}

본 발명은 의료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제 1 생지, 제 2 생지 및 띠상 부재를 갖고, 띠상 부재가 제 1 생지와 제 2 생지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의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edical ca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dical care having a first dough, a second dough, and a belt-like member, wherein the belt-like member is disposed along the first and second dough.

종래, 복수의 생지를 실이나 바늘을 사용하지 않고 접합하고, 무봉제로 제조되는 무봉제 의복(예를 들면, 특허문헌 1~2 참조)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무봉제 의복은 바늘을 사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의복에 부러진 바늘이 혼입하는 일이 없는 점이나, 생지를 접착이나 용착에 의해 접합하기 때문에 의복의 제조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seamless garment (for example, refer to Patent Documents 1 to 2) manufactured by joining a plurality of doughs without using a thread or a needle is known. Since these needleless garments do not use a needle, there is no advantage that a broken needle does not mix into the garment, or because the dough is bonded by adhesion or welding, the garment is easily manufactured.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2007-162196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7-162196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 2008-101304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8-101304

그러나, 특허문헌 1~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조의 의복에서는 생지의 접합 부분의 신축성이 부족해 의복이 착용자의 신체에 충분히 추종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달리거나 도약하거나 하는 등의 운동 시에 있어서 의복이 땅기거나 하는 것 등에 의한 위화감이 있어 개선의 여지가 더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특허문헌 1~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조의 의복은 생지의 접합 부분의 피부 감촉이 나빠 착용감이 좋은 의복이 요구되고 있다. However, in a garment having a structure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1 to 2, the elasticity of the joint portion of the dough is insufficient, and the garment may not sufficiently follow the wearer's body.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re is further room for improvement because there is a sense of incongruity caused by the wear or tear of clothing during exercise such as running or jumping. In addition, clothes having a structure as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s 1 to 2 have poor skin texture at the joint portion of the dough, and clothes with good fit are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생지 및 생지의 접합 부분의 신축성이 우수하고, 착용감이 좋은 의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e said situation, and the objective is to provide the medical | medical property excellent in the elasticity of a joining part of a dough and a dough, and a feeling of wearing comfort.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본 발명의 의료는 제 1 생지, 제 2 생지 및 띠상 부재를 갖는 의료로서, 제 1 생지는 뒷길에 있고, 제 2 생지는 앞길에 있으,며, 띠상 부재는 제 1 생지와 제 2 생지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제 1 생지와 제 2 생지 중 적어도 한쪽은 제 1 생지와 제 2 생지의 경계선에 평행한 방향(이하, 「경계선 평행방향」이라고 기재함)의 신장률보다 경계선에 평행한 방향에 대략 직교(즉, 90°±10°)하는 방향(이하, 「경계선 직교방향」이라고 기재함)의 신장률이 크고,The medical ca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medical having a first dough, a second dough, and a belt-like member, wherein the first dough is on the back road, the second dough is on the front road, and the belt-like member is the first dough And the second dough,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oughs is a boundary line than the elongatio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undary line of the first and second dough lin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arallel line parallel direction"). The elongation in the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direction parallel to (ie, 90 ° ± 10 °)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orthogonal direction of the boundary line”) is large,

Fx=Lx{12kb1x×12kb2x/(12kb1x+12kb2x)+6ktx}F x = L x {12k b1x × 12k b2x / (12k b1x + 12k b2x ) + 6k tx }

Fy=Ly(3kb1y+3kb2y+kty)F y = L y (3k b1y + 3k b2y + k ty )

Fb1x=Lb1x×6kb1x F b1x = L b1x × 6k b1x

Fb2x=Lb2x×6kb2x F b2x = L b2x × 6k b2x

Fb1y=Lb1y×6kb1y F b1y = L b1y × 6k b1y

Fb2y=Lb2y×6kb2y F b2y = L b2y × 6k b2y

상기 식의 해인 kt x와 kty는 kt x>kty의 관계에 있고, 상기 식의 해인 kb 1x, kb 1y, kb 2x, 및 kb 2y는 kb 1x<kb 1y와 kb 2x<kb 2y 중 적어도 한쪽의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K t x and k ty Shinano of the formula is k t x> Shinano and the relationship of the equation k ty k b 1x, k b 1y, k b 2x, and k b 2y is k b 1x <k b 1y And k b 2x <k b 2y .

상기 식 중, Fx는 띠상 부재에 제 1 생지 및 제 2 생지가 적층된 부분(이하, 「적층 부분」이라고 기재함)에 대하여 경계선 직교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N), Lx는 적층 부분에 대하여 경계선 직교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mm), Fy는 적층 부분에 대하여 경계선 평행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N), Ly는 적층 부분에 대하여 경계선 평행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mm), Fb 1x는 제 1 생지에 대하여 경계선 직교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N), Lb 1x는 제 1 생지에 대하여 경계선 직교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mm), Fb 2x는 제 2 생지에 대하여 경계선 직교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N), Lb 2x는 제 2 생지에 대하여 경계선 직교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mm), Fb 1y는 제 1 생지에 대하여 경계선 평행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N), Lb 1y는 제 1 생지에 대하여 경계선 평행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mm), Fb 2y는 제 2 생지에 대하여 경계선 평행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N), Lb 2y는 제 2 생지에 대하여 경계선 평행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mm)를 각각 나타낸다.In the above formula, F x is a load (N) appli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undary with respect to the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dough are laminated on the band-like me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laminated portion"), and L x is the laminated portion. Is the displacement (mm) when the load is appli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undary line, F y is the load (N) appli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stacked part, and L y is the load when the load is appli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stacked part. Displacement (mm), F b 1x is the load appli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undary with respect to the first dough (N), L b 1x is the displacement (mm), F b when the load is appli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undary with respect to the first dough 2x is the load (N) appli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undary with respect to the second dough, L b 2x is the displacement (mm) when the load is appli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undary with respect to the second dough, F b 1y is relative to the first dough load is applied parallel to the boundary in the direction (N), L b 1y is first generated Displacement at the time was applied a load to the perimeter direction parallel to (mm), F b 2y is a boundary parallel to the load (N) exerted in a direction relative to the second dough, L b 2y is load into the boundary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dough The displacement (mm) when is applied is shown respectively.

상기 의료에 있어서, 상기 식의 해인 kt x와, kb 1x 및 kb 2x는 ktx>kb1x와 ktx>kb2x 중 적어도 한쪽의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medical treatment, it is preferable that k t x and k b 1x and k b 2x, which are solutions of the above formula, have at least one of k tx > k b1x and k tx > k b2x .

상기 의료에 있어서, 상기 식의 해인 kt x와 kty의 비는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단, 상기 식의 해인 ktx와 kty의 비=ktx/kty). In the above medical treat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f k t x and k ty which is the solution of the formula is 1.5 or more (however, the ratio of k tx and k ty which is the solution of the formula = k tx / k ty ).

상기 의료에 있어서, 제 1 생지와 제 2 생지 중 적어도 한쪽은 경계선 직교방향의 신장률과 경계선 평행방향의 신장률의 비가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단, 경계선 직교방향의 신장률과 경계선 평행방향의 신장률의 비=경계선 직교방향의 신장률[%]/경계선 평행방향의 신장률[%]). In the above medical treatment,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and the second dough preferably has a ratio of the elongation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rder line and the elongation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order line of 1.5 or more (however, the ratio of the elongation rat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rder line and the elongation rate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order line) = Elongation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undary line [%] / elongation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oundary line [%]).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본 발명의 의료는 제 1 생지, 제 2 생지 및 띠상 부재를 갖는 의료로서, 제 1 생지는 뒷길에 있고, 제 2 생지는 앞길에 있으며, 앞길 및 뒷길 중 적어도 한쪽은 암홀의 하부로부터 제 1 생지와 제 2 생지의 경계의 적어도 일부에 제 1 생지와 제 2 생지 중 적어도 한쪽보다 제 1 생지와 제 2 생지의 경계선에 평행한 방향(이하, 「경계선 평행방향」이라고 기재함)에 직교하는 방향(이하, 「경계선 직교방향」이라고 기재함)의 신장률이 큰 생지를 갖고, 띠상 부재는 제 1 생지와 제 2 생지 중 적어도 한쪽의 암홀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edical ca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medical having a first dough, a second dough, and a belt-like member, the first dough is on the back road, the second dough is on the front road, and at least one of the front road and the back road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undary line of the first and second dough lines at least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dough lines at least partially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armhole to the first and second dough lin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arallel line parallel direction") Has a large elongation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rthogonal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border line orthogonal direction"), and the band-like member is disposed along at least one armhole of the first and second doughs. Is to do.

상기 의료에 있어서, 제 1 생지와 제 2 생지 중 적어도 한쪽은 복수의 뜨기 조직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medical treatment,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and the second dough has a plurality of floating tissues.

상기 의료에 있어서, 뒷길의 중앙부에 제 1 생지보다 경계선 직교방향의 신장률이 큰 생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mentioned medical treat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of the back road has dough having a greater elongation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rder than the first dough.

상기 의료에 있어서, 착용 시에 팔꿈치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소매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신장률보다 소매의 길이방향의 신장률이 큰 길이 직교방향 신장부를 갖고 있으며, 길이 직교방향 신장부의 소매의 길이방향의 상하 양측에 소매의 길이방향의 신장률보다 소매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신장률이 큰 길이방향 신장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mentioned medical care, when worn, the portion located at the elbow portion has a length orthogonal extension portion in which the elong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is greater than the elongation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and the length of the sleeve in the length orthogonal extension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longation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is larger than the elong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on both sides of the direction.

상기 의료에 있어서, 소매통을 갖고 있으며, 소매통은 리브 뜨기부를 포함하고, 리브 뜨기부의 이랑의 길이방향은 소매통의 축방향에 비평행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medical care, it is preferable to have a sleeve, the sleeve includes a rib floating portion, and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rib floating portion is non-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leeve.

상기 의료에 있어서, 외의 또는 중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aid medical treatmen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external or middle.

상기 의료에 있어서, 제 1 생지와 제 2 생지는 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접합 부분에 띠상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medical treat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ough and the second dough are joined by welding, and a band-like member is attached to the bonding portion.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제 1 의료는 제 1 생지, 제 2 생지 및 띠상 부재를 갖는 의료로서, 제 1 생지는 뒷길에 있고, 제 2 생지는 앞길에 있으며, 띠상 부재는 제 1 생지와 제 2 생지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제 1 생지와 제 2 생지 중 적어도 한쪽은 제 1 생지와 제 2 생지의 경계선에 평행한 방향(이하, 「경계선 평행방향」이라고 기재함)의 신장률보다 경계선에 평행한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즉, 90°±10°)하는 방향(이하, 「경계선 직교방향」이라고 기재함)의 신장률이 크고,The first medic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dical having a first dough, a second dough, and a belt-like member, the first dough being on the back road, the second dough being on the front road, and the belt-like member along the first dough and the second dough Arranged,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oughs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undary line than the elongation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oundary line of the first and second dough lin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arallel line parallel direction"). The orthogonal (i.e., 90 ° ± 10 °)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 orthogonal direction of the boundary line '') has a large elongation,

Fx=Lx{12kb1x×12kb2x/(12kb1x+12kb2x)+6ktx}F x = L x {12k b1x × 12k b2x / (12k b1x + 12k b2x ) + 6k tx }

Fy=Ly(3kb1y+3kb2y+kty)F y = L y (3k b1y + 3k b2y + k ty )

Fb1x=Lb1x×6kb1x F b1x = L b1x × 6k b1x

Fb2x=Lb2x×6kb2x F b2x = L b2x × 6k b2x

Fb1y=Lb1y×6kb1y F b1y = L b1y × 6k b1y

Fb2y=Lb2y×6kb2y F b2y = L b2y × 6k b2y

상기 식의 해인 kt x와 kty는 kt x>kty의 관계에 있고, 상기 식의 해인 kb 1x, kb 1y, kb 2x, 및 kb 2y는 kb 1x<kb 1y와 kb 2x<kb 2y 중 적어도 한쪽의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의료가 이러한 구성인 것에 의해 의료를 구성하는 생지뿐만 아니라 제 1 생지와 제 2 생지의 경계 부분도 신축성이 우수하고, 특히 운동 시에 쾌적한 의료를 제공할 수 있다.K t x and k ty Shinano of the formula is k t x> Shinano and the relationship of the equation k ty k b 1x, k b 1y, k b 2x, and k b 2y is k b 1x <k b 1y And k b 2x <k b 2y . Since the medical care has such a structure, not only the dough which constitutes the medical care, but also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ivestocks is excellent in elasticity, and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provide comfortable medical care during exercise.

본 발명의 제 2 의료는 제 1 생지, 제 2 생지 및 띠상 부재를 갖는 의료로서, 제 1 생지는 뒷길에 있고, 제 2 생지는 앞길에 있으며, 앞길 및 뒷길 중 적어도 한쪽은 암홀의 하부로부터 제 1 생지와 제 2 생지의 경계의 적어도 일부에 제 1 생지와 제 2 생지 중 적어도 한쪽보다 제 1 생지와 제 2 생지의 경계선에 평행한 방향(이하, 「경계선 평행방향」이라고 기재함)에 대략 직교(즉, 90°±10°)하는 방향(이하, 「경계선 직교방향」이라고 기재함)의 신장률이 큰 생지를 갖고, 띠상 부재는 제 1 생지와 제 2 생지 중 적어도 한쪽의 암홀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의료가 이러한 구성인 것에 의해 의료의 신축성이 우수하고, 의료의 암홀 부분의 생지의 접합 부분의 피부 감촉이 좋아 착용감이 좋은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medical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dical having a first dough, a second dough, and a belt-like member, wherein the first dough is on the back road, the second dough is on the front road, and at least one of the front road and the back road is remov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armhole. Approximate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oundary line of the first and second dough lin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arallel line direction '') at least part of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ough lines, at least 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ough lines. Orthogonal (i.e., 90 ° ± 10 °)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border line orthogonal direction") has a large elongation, and the band-like member is disposed along at least one armhole of the first and second dough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When the medical care has such a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arment that is excellent in elasticity of medical care and has a good skin feeling at a joint portion of a dough in a medical armhole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의료의 전방측으로부터 본 전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의료의 후방측으로부터 본 전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의료에 있어서의 제 1 생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의료에 있어서의 제 2 생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의료를 착용자측으로부터 본 전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의료에 있어서의 소매를 구성하는 생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제 1 생지에 경계선 평행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8은 제 1 생지에 경계선 직교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9는 적층 생지에 경계선 평행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10은 적층 생지에 경계선 직교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1 shows the overall view from the front side of the medical care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the overall view from the back side of the medical care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plan view of a first dough in the medical care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plan view of a second dough in the medical care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developed view of the medical ca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wearer's side.
Fig. 6 is a plan view of the dough constituting the sleeve in the medical care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graph showing displacement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first dough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order.
8 shows a graph showing displacement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first dough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undary line.
Fig. 9 shows a graph showing displacement when a load is applied in the parallel direction of the border to the laminated dough.
10 shows a graph showing displacement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laminated dough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undary line.

(실시형태 1)(Embodiment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의료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본래 하기 실시형태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고 전·후기의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을 가해 실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그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의 여러 부재의 치수는 본 발명의 특징의 이해에 이바지하는 것을 우선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의 치수와는 다른 경우가 있다.Hereinafter, the medic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is appropriately applied in a range that can be suitable for the purposes of the previous and later stages.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carry out with changes, and they are all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since the dimensions of various members in the drawings are given priority for contributing to th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may differ from the actual dimensions.

본 발명은 의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의료(1)를 전방측으로부터 본 전체도를 나타내고, 도 2는 의료(1)를 후방측으로부터 본 전체도를 나타낸다. 의료(1)는 앞길(2)과 뒷길(3)을 갖고 있으며, 적어도 상반신에 착용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적어도 하반신에 착용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의료(1)가 상반신에 착용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을 경우, 의료(1)는 앞길(2)과 뒷길(3)에 추가하여, 예를 들면 소매(4)를 갖고 있어도 좋고, 또한 후드(5)가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앞길(2)과 뒷길(3)은 동체의 전방측과 후방측을 덮는 부분을 각각 의미하고, 앞길(2)과 뒷길(3)은 신체의 바로 옆에서 구분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edical care. 1 shows the overall view of the medical 1 as viewed from the front side, and FIG. 2 shows the overall view of the medical 1 as seen from the rear side. The medical (1) has a front road (2) and a back road (3), and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worn on the upper body, or at least a portion worn on the lower body. When the medical body 1 includes a portion worn on the upper body, the medical body 1 may have, for example, a sleeve 4 in addition to the front body 2 and the rear body 3, and also a hood 5 ) May be attached. The front road (2) and the back road (3) refer to the parts that cover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uselage, respectively, and the front road (2) and back road (3) are separated immediately next to the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의료(1)의 외면측이란 의료(1)의 착용 시에 착용자로부터 보아 외기측을 의미한다. 의료(1)의 피부면측이란 외면측과는 반대의 착용자측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medical 1 means the outer side when viewed from the wearer when the medical 1 is worn. The skin surface side of the medical (1) means the wearer side opposite to the outer surface side.

본 발명에 의한 제 1 의료(1)는 제 1 생지(10), 제 2 생지(20) 및 띠상 부재(30)를 갖는 의료(1)로서, 제 1 생지(10)는 뒷길(3)에 있고, 제 2 생지(20)는 앞길(2)에 있으며, 띠상 부재(30)는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은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경계선에 평행한 방향(이하, 「경계선 평행방향(D1)」이라고 기재함)의 신장률보다 경계선에 평행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하, 「경계선 직교방향(D2)」이라고 기재함)의 신장률이 크고,The first medic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medical (1) having a first dough (10), a second dough (20) and a band-like member (30), the first dough (10) is on the back road (3) And the second dough 20 is on the front road 2, and the belt-like member 30 is disposed along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nd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At least one of the dough 20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undary line than the elongation of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oundary line of the first dough line 10 and the second dough l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boundary line parallel direction (D1)") Elongation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hereinafter referred to as "border line orthogonal direction (D2)") is large,

Fx=Lx{12kb1x×12kb2x/(12kb1x+12kb2x)+6ktx}F x = L x {12k b1x × 12k b2x / (12k b1x + 12k b2x ) + 6k tx }

Fy=Ly(3kb1y+3kb2y+kty)F y = L y (3k b1y + 3k b2y + k ty )

Fb1x=Lb1x×6kb1x F b1x = L b1x × 6k b1x

Fb2x=Lb2x×6kb2x F b2x = L b2x × 6k b2x

Fb1y=Lb1y×6kb1y F b1y = L b1y × 6k b1y

Fb2y=Lb2y×6kb2y F b2y = L b2y × 6k b2y

상기 식의 해인 kt x와 kty는 kt x>kty의 관계에 있고, 상기 식의 해인 kb 1x, kb 1y, kb 2x, 및 kb 2y는 kb 1x<kb 1y와 kb 2x<kb 2y 중 적어도 한쪽의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K t x and k ty Shinano of the formula is k t x> Shinano and the relationship of the equation k ty k b 1x, k b 1y, k b 2x, and k b 2y is k b 1x <k b 1y And k b 2x <k b 2y .

상기 식 중, Fx는 띠상 부재(30)에 제 1 생지(10) 및 제 2 생지(20)가 적층 된 부분(이하, 「적층 부분(61)」이라고 기재함)에 대하여 경계선 직교방향(D2)으로 가해지는 하중(N), Lx는 적층 부분(61)에 대하여 경계선 직교방향(D2)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mm), Fy는 적층 부분(61)에 대하여 경계선 평행방향(D1)으로 가해지는 하중(N), Ly는 적층 부분(61)에 대하여 경계선 평행방향(D1)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mm), Fb 1x는 제 1 생지(10)에 대하여 경계선 직교방향(D2)으로 가해지는 하중(N), Lb 1x는 제 1 생지(10)에 대하여 경계선 직교방향(D2)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mm), Fb 2x는 제 2 생지(20)에 대하여 경계선 직교방향(D2)으로 가해지는 하중(N), Lb 2x는 제 2 생지(20)에 대하여 경계선 직교방향(D2)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mm), Fb 1y는 제 1 생지(10)에 대하여 경계선 평행방향(D1)으로 가해지는 하중(N), Lb 1y는 제 1 생지(10)에 대하여 경계선 평행방향(D1)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mm), Fb 2y는 제 2 생지(20)에 대하여 경계선 평행방향(D1)으로 가해지는 하중(N), Lb 2y는 제 2 생지(20)에 대하여 경계선 평행방향(D1)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mm)를 각각 나타낸다.In the above formula, F x is the orthogonal direction of the boundary line with respect to the portion where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re stacked on the band-shaped member 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laminated portion 61"). The load applied to D2) (N), L x is the displacement (mm) when a load is appli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undary (D2) with respect to the laminated part (61), and F y is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oundary with respect to the laminated part (61). The load (N) exerted by (D1), L y is the displacement (mm) when a load is applied in the boundary parallel direction (D1) to the stacked part (61), and F b 1x is relative to the first dough (10) Load appli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of the boundary (D2) (N), L b 1x is the displacement (mm) when load is appli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2) of the boundary to the first dough (10), F b 2x is the second dough (20) Load appli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2) of the boundary line (N), L b 2x is the displacement (mm), F b when a load is appli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2) of the boundary line to the second dough (20) 1y is relative to the first dough (10) Therefore, the load (N) applied in the boundary parallel direction (D1), L b 1y is the displacement (mm) when the load is applied in the boundary parallel direction (D1) to the first dough (10), F b 2y is the second The load (N) applied in the boundary parallel direction (D1) with respect to the dough 20, L b 2y is the displacement (mm) when the load is applied in the boundary parallel direction (D1) with respect to the second dough 20, respectively Shows.

Fx, Fy, Fb 1x, Fb 2x, Fb 1y 및 Fb 2y는 적층 부분(61), 제 1 생지(10), 및 제 2 생지(20)의 경계선 직교방향(D2)과 경계선 평행방향(D1)의 각각에 가한 하중과, 각 하중을 가했을 때의 적층 부분(61), 제 1 생지(10), 및 제 2 생지(20)의 신장의 관계인 하중을 세로축에, 신장을 횡축에 취해 그려지는 하중-신장 곡선에 있어서의 최대 신도까지의 하중인 것이 바람직하다. Fx, Fy, Fb 1x, Fb 2x, Fb 1y 및 Fb 2y의 값을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ktx, kty, kb 1x, kb 1y, kb 2x 및 kb 2y의 각 값의 산출이 정확하게 행해지게 된다. F x , F y , F b 1x , F b 2x , F b 1y and F b 2y are perpendicular to the boundary direction orthogonal (D2) of the stacked portion 61,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The load applied to each of the boundary parallel directions D1 and the elongation of the stacked portion 61,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when each load is applied are stretched on the vertical axis. It is preferably a load up to the maximum elongation in the load-extension curve drawn on the abscissa. By setting the values of F x , F y , F b 1x , F b 2x , F b 1y and F b 2y in this way, each of k tx , k ty , k b 1x , k b 1y , k b 2x and k b 2y The calculation of the value is performed accurately.

Fx, Fy, Fb 1x, Fb 2x, Fb 1y 및 Fb 2y는 적층 부분(61), 제 1 생지(10), 및 제 2 생지(20)의 경계선 직교방향(D2)과 경계선 평행방향(D1)의 각각에 가한 하중과, 각 하중을 가했을 때의 적층 부분(61), 제 1 생지(10), 및 제 2 생지(20)의 신장의 관계인 하중을 세로축에, 신장을 횡축에 취해 그려지는 하중-신장 곡선에 있어서 하중과 변위가 비례하는 변형 초기의 영역 내의 하중인 바람직하다. 즉, Fx, Fy, Fb 1x, Fb 2x, Fb 1y 및 Fb 2y는 각 시료에 있어서의 하중과 변위가 비례하는 변형 초기의 영역 내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Fx, Fy, Fb 1x, Fb 2x, Fb 1y 및 Fb 2y의 값을 이렇게 설정 함으로써 ktx, kty, kb 1x, kb 1y, kb 2x 및 kb 2y의 비교를 보다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F x , F y , F b 1x , F b 2x , F b 1y and F b 2y are perpendicular to the boundary direction orthogonal (D2) of the stacked portion 61,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The load applied to each of the boundary parallel directions D1 and the elongation of the stacked portion 61,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when each load is applied are stretched on the vertical axis. In the load-extension curve drawn on the abscissa, the load is preferably within the initial region of deformation where the load and displacement are proportional.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F x , F y , F b 1x , F b 2x , F b 1y and F b 2y are values in the initial region of deformation in which the load and displacement in each sample are proportional. Comparison of k tx , k ty , k b 1x , k b 1y , k b 2x and k b 2y by setting the values of F x , F y , F b 1x , F b 2x , F b 1y and F b 2y in this way Can be performed more precisely.

Fx, Fy, Fb1x, Fb2x, Fb1y 및 Fb2y는 같은 값이어도 좋다. 즉, Lx, Ly, Lb 1x, Lb 2x, Lb 1y 및 Lb 2y가 적층 부분(61), 제 1 생지(10), 및 제 2 생지(20)의 경계선 직교방향(D2)과 경계선 평행방향(D1)의 각각에 같은 하중을 가했을 때의 각 변위이어도 좋다. 적층 부분(61), 제 1 생지(10), 및 제 2 생지(20)의 각 시료의 크기가 같으며, Fx, Fy, Fb 1x, Fb 2x, Fb 1y 및 Fb 2y가 같은 값인 것에 의해 각 시료에 의해 시험기의 설정이나 조건 등을 변경하지 않고 변위를 측정할 수 있어 각 변위의 측정을 행하기 쉬워진다.F x , F y , F b1x , F b2x , F b1y and F b2y may be the same value. That is, L x , L y , L b 1x , L b 2x , L b 1y, and L b 2y are orthogonal to the boundary of the stacked portion 61,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D2) ) And the angular displacement when the same load is applied to each of the boundary parallel directions D1. The size of each sample of the stacked portion 61,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is the same, F x , F y , F b 1x , F b 2x , F b 1y and F b 2y By having the same value, displacement can be measured without changing the setting or condition of the tester with each sample, making it easy to measure each displacement.

의료(1)는 제 1 생지(10), 제 2 생지(20), 및 띠상 부재(30)를 갖고 있다. 도 3은 제 1 생지(10)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4는 제 2 생지(20)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5는 의료(1)를 착용자측으로부터 본 전개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의료(1)를 착용자측으로부터 본 전개도란 의료(1)의 피부면측의 전개도이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생지(10)는 뒷길(3)에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생지(20)는 앞길(2)에 있다. 제 2 생지(20)는 우측 앞길에 있는 우측의 제 2 생지(20a)와, 좌측 앞길에 있는 좌측의 제 2 생지(20b)를 갖고 있어도 좋다.Medical (1) has a first dough (10), a second dough (20), and a belt-shaped member (30). 3 shows a top view of the first dough 10, FIG. 4 shows a plan view of the second dough 20, and FIG. 5 shows a developed view of the medical 1 as viewed from the wearer's side. In addition, the developed view which looked at the medical 1 from the wearer's side is the developed view of the skin 1 side of the medical 1. As shown in FIGS. 3 and 5, the first dough 10 is on the back road 3. 4 and 5, the second dough 20 is on the front road 2. The second dough 20 may have a right second dough 20a on the right front road and a left second dough 20b on the left front road.

제 1 생지(10)의 종류는 예를 들면, 평직, 능직, 주자직 등의 직물, 평 뜨기, 리브 뜨기, 가터 뜨기 등의 편물,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제 1 생지(10)는 그 중에서도 편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리브 뜨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생지(10)가 이렇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제 1 생지(10)의 신축성을 높일 수 있다.The type of the first dough 10 includes, for example, fabrics such as plain weave, twill weave, and runner weave, knitting such as flat knitting, rib knitting, and garter knitting, nonwoven fabrics, and the lik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ough 10 is knitted, and more preferably, it is rib knitting. Since the first dough 10 is configured in this way, the stretchability of the first dough 10 can be increased.

제 1 생지(10)는 복수의 뜨기 조직 또는 짜기 조직을 갖고 있어도 좋다. 구체예로서는 제 1 생지(10) 중에 리브 뜨기와 메쉬 뜨기와 같은 종류의 다른 뜨기 조직을 갖고 있는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제 1 생지(10)가 복수의 뜨기 조직 또는 짜기 조직을 갖고 있음으로써 제 1 생지(10)의 부분에 의해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생지(10)의 전체의 뜨기 조직을 리브 뜨기로 함으로써 제 1 생지(10)의 전체의 신축성을 높여 착용자의 신체에 피트시키고, 제 1 생지(10)의 겨드랑이 부근의 뜨기 조직을 메쉬 뜨기로 함으로써 열이 차기 쉬운 겨드랑이 부근의 통기성을 높임으로써 의료(1)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first dough 10 may have a plurality of knit tissues or knit tissues. As a specific example, the structure etc. which have different knitting structures of the same kind as rib knitting and mesh knitting are mentioned in the 1st dough 10. Since the first dough 10 has a plurality of knitting tissues or weaving tissues, characteristics can be changed by portions of the first dough 10. For example, by making the whole floating tissue of the first dough 10 ribbed, the overall elasticity of the first dough 10 is increased to fit the wearer's body, and the floating around the armpit of the first dough 10 is rais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it of the medical wear 1 by increasing the air permeability around the armpits where heat is likely to be cold by making the tissue mesh.

제 1 생지(10)를 구성하는 섬유의 재료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나일론 등의 합성 섬유, 면, 마 등의 천연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제 1 생지(10)를 구성하는 섬유의 재료는 그 중에서도 합성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생지(10)가 이렇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띠상 부재(30)와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어 의료(1)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first dough 10 include synthetic fibers such as polyester, polyurethane, and nylon, and natural fibers such as cotton and hemp. The material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first dough 10 is preferably synthetic fibers, and more preferably polyester. Since the 1st dough 10 is comprised in this way,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band-shaped member 30 can be raised, and manufacture of the medical 1 becomes easy.

제 1 생지(10)의 두께는 0.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7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2mm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 1 생지(10)의 두께의 하한값을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띠상 부재(30)와의 접합 강도가 높아 접합 부분(6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제 1 생지(10)의 두께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mm 이하, 5mm 이하, 3mm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생지(10)의 두께는 제 1 생지(10)의 임의의 복수의 부분의 두께를 측정하고, 이 측정한 복수의 두께를 평균한 것이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dough 10 is preferably 0.5 mm or more, more preferably 0.7 mm or more, even more preferably 1 mm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2 mm or more. By setting the low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dough 10 in this way,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band-shaped member 30 is high, so that the strength of the bonding portion 60 can be increased. The upp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dough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can be, for example, 10 mm or less, 5 mm or less, and 3 mm or less.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1st dough 10 measures the thickness of arbitrary some part of the 1st dough 10, and averages the measured multiple thickness.

제 2 생지(20)의 종류는 제 1 생지(10)의 종류와 마찬가지로 직물, 편물, 부직포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편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리브 뜨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생지(20)가 이렇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신축성이 좋은 제 2 생지(20)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생지(20)는 제 1 생지(10)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뜨기 조직 또는 짜기 조직을 갖고 있어도 좋다.The type of the second dough 20 is similar to the type of the first dough 10, and may include woven fabrics, knitted fabrics, and nonwoven fabrics. Among them, knitted fabrics are preferred, and rib knitting is more preferred. Since the 2nd dough 20 is comprised in this way, it can be set as the 2nd dough 20 with good elasticity. In addition, the second dough 20 may have a plurality of knitting or weaving tissues as in the first dough 10.

제 2 생지(20)를 구성하는 섬유의 재료는 제 1 생지(10)를 구성하는 섬유의 재료와 마찬가지로 합성 섬유, 천연 섬유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합성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생지(20)가 이렇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제 2 생지(20)와 띠상 부재(30)의 접합 강도가 높아지고, 제 2 생지(20)와 띠상 부재(30)를 접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As the material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second dough 20, synthetic fibers, natural fibers, and the like can be mentioned as the materials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first dough 10, and among them, synthetic fibers are preferred, and polyester. It is preferred. When the 2nd dough 20 is comprised in this way, the bonding strength of the 2nd dough 20 and the strip-shaped member 30 becomes high, and it becomes easy to bond the 2nd dough 20 and the strip-shaped member 30.

제 2 생지(20)의 두께는 제 1 생지(10)의 두께와 마찬가지로 0.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7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2mm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 2 생지(20)의 두께의 하한값을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제 2 생지(20)와 띠상 부재(30)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접합 부분(6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제 2 생지(20)의 두께의 상한값도 제 1 생지(10)와 마찬가지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mm 이하, 5mm 이하, 3mm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생지(20)의 두께는 제 2 생지(20)의 임의의 복수의 부분의 두께를 측정하고, 이 측정한 복수의 두께를 평균한 것이다.The thickness of the second dough 20 is preferably 0.5 mm or more, more preferably 0.7 mm or more, more preferably 1 mm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2 mm or more, similar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dough 10. By setting the low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second dough 20 in this way,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second dough 20 and the band-like member 30 can be increased, and the strength of the bonding portion 60 can be increased. The upp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second dough 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in the first dough 10, but can be, for example, 10 mm or less, 5 mm or less, and 3 mm or less.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2nd dough 20 measures the thickness of the arbitrary some part of the 2nd dough 20, and averages the measured multiple thickness.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는 다른 종류나 재료의 생지이어도 좋지만, 같은 종류나 재료의 생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가 같은 종류나 재료인 것에 의해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물성이 동등해지고,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접합 공정을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는 합성 섬유의 편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의 리브 뜨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가 이렇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신축성이 우수하고, 또한 접합 부분(60)의 강도가 높은 의료(1)로 할 수 있다.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may be of different kinds or materials, but are preferably of the same kind or material. When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re the same kind or material,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re equal, and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are equal. It becomes easy to perform the bonding process of (20).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1st dough 10 and the 2nd dough 20 are knitted of synthetic fiber,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ribbed of polyester. Since the 1st dough 10 and the 2nd dough 20 are comprised in this way, it can be set as the medical 1 which is excellent in elasticity and the strength of the bonding part 60 is high.

띠상 부재(30)의 종류는 평직, 능직, 주자직 등의 직물, 평 뜨기, 리브 뜨기, 가터 뜨기 등의 편물, 부직포, 이들의 포백에 합성 수지를 코팅한 것을 들 수 있다. 띠상 부재(30)의 종류는 그 중에서도 편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띠상 부재(30)가 편물인 것에 의해 띠상 부재(30)에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고, 접합 부분(60)에 신축성을 줄 수 있다. 또한, 띠상 부재(30)의 감촉이 좋기 때문에 착용감이 좋은 의료(1)로 할 수 있다.Kinds of the band-like member 30 include fabrics such as plain weave, twill weave, and runner weave, knitted fabrics such as flat knitting, rib knitting, and garter knitting, nonwoven fabrics, and synthetic resin coated on these fabrics. It is preferable that the kind of the band-shaped member 30 is a knitted fabric. When the band-shaped member 30 is knitted, stretchability can be imparted to the band-shaped member 30 and stretchability can be given to the bonding portion 60. In addition, since the belt-like member 30 has a good feel, it can be made into a medical wear 1 with good wearing comfort.

띠상 부재(30)를 구성하는 섬유의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나일론 등의 합성 섬유, 면, 마 등의 천연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띠상 부재(30)를 구성하는 섬유의 재료는 그 중에서도 합성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우레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띠상 부재(30)가 이렇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제 1 생지(10) 및 제 2 생지(20)의 접합 강도가 증가하고, 의료(1)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띠상 부재(30)의 신축성을 높일 수도 있다.The material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band-shaped member 30 may include synthetic fibers such as polyester, polyurethane, and nylon, and natural fibers such as cotton and hemp. The material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band-like member 30 is preferably a synthetic fiber, and more preferably a polyurethane. When the band-shaped member 30 is configured in this way, the bonding strength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increases, and the productivity of the medical 1 can be increased. Further, the stretchability of the band-shaped member 30 can also be increased.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상 부재(30)는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즉, 띠상 부재(30)는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양쪽에 접합되어 있고,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는 띠상 부재(30)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띠상 부재(30)가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를 접합하고 있음으로써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의 접합 부분(60)의 표면이 실과 바늘에 의해 봉합된 것이나 용착에 의해 접합된 것과 비교해서 요철이 적은 매끈매끈한 상태가 되어 의료(1)의 착용자에게의 피부 감촉이 향상된다.As shown in FIG. 5, the strip-shaped member 30 is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1st dough 10 and the 2nd dough 2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band-shaped member 30 is joined to both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nd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re joined by the belt-shaped member 30. It is done. Because the band-shaped member 30 joins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the surfaces of the bonding portions 60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are sealed by a thread and a needle or by welding. Compared to the bonded one, the smoothness is less smooth and the skin feels to the wearer of the medical wear 1 are improved.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경계는 띠상 부재(30)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띠상 부재(30)의 중앙부란 띠상 부재(30)의 폭의 길이를 3등분한 것 중의 중앙의 영역을 가리킨다.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가 띠상 부재(30)의 이러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제 1 생지(10) 및 제 2 생지(20)와 띠상 부재(30)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어 의료(1)의 생산 효율이 좋고, 또한 내구성이 우수한 의료(1)로 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belt-shaped member 30.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rip-shaped member 30 refers to a central region of the length of the strip-shaped member 30 divided into three equal parts. Since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re arranged at this position of the band-like member 30,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nd the band-like member 30 is increased. It can be made high,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medical 1 is good, and it can be set as the medical 1 excellent in durability.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겨드랑이 부분의 앞길(2)과 뒷길(3)의 경계, 어깨 부분의 앞길(2)과 뒷길(3)의 경계, 및 암홀(71)의 위치에 띠상 부재(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위치에 띠상 부재(30)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피부 감촉이 좋고, 착용감이 좋은 의료(1)가 된다.As shown in FIG. 5, the band-like member 30 is located at the position of the armhole 71,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front road 2 and the back road 3 of the shoulder part, the front road 2 and the back road 3 of the armpit part, and the armhole 71 It is preferred that is formed. Since the band-like member 30 is formed at these positions, the skin 1 has a good skin feel and a good wearing feeling.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은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경계선에 평행한 방향(경계선 평행방향(D1))의 신장률보다 경계선에 평행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이 크다. 즉,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은 착용자의 두부로부터 족부를 향하는 방향인 상하방향의 신장률보다 착용자의 동체의 둘레방향의 신장률쪽이 크다.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이 이렇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착용자의 신체에 피트되기 쉬운 의료(1)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직교」란 80°~100°를 의미한다. 80°~100°모두에서 경계선 평행방향(D1)의 신장률보다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이 클 필요는 없고, 80°~100°의 특정 각도에서 경계선 평행방향(D1)의 신장률보다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이 크면 좋다.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is more parallel to the boundary than the elongation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oundary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the boundary line parallel direction D1). The elongation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one directio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undary line D2) is large. That is,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has a greater elong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earer's body than the elong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from the head of the wearer to the foot. Since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is configured in this way, it becomes the medical 1 that is easy to fit on the wearer's body.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orthogonal" means 80 ° to 100 °. It is not necessary that the elongation of the boundary orthogonal direction (D2) is greater than the elongation of the boundary parallel direction (D1) at 80 ° to 100 °, and the boundary is orthogonal to the elongation of the boundary parallel direction (D1) at a specific angle of 80 ° to 100 °. The elongation in the direction D2 may be large.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이 경계선 평행방향(D1)의 신장률보다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이 크면 좋지만 제 1 생지(10) 및 제 2 생지(20)가 경계선 평행방향(D1)의 신장률보다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생지(10) 및 제 2 생지(20)가 이렇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의료(1)의 신축성을 더욱 높일 수 있고,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의료(1)가 추종하기 쉬워진다.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may have a greater elongation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2 of the border than the elongation of the border parallel direction D1, but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elongation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2 of the boundary line is larger than the elongation in the parallel direction D1 of the boundary line. Since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re configured in this way, the elasticity of the medical 1 can be further increased, and the medical 1 can easily follow the movement of the wearer's body.

의료(1)는 하기 식의 해인 kt x와 kty가 kt x>kty의 관계에 있다. 또한, 하기 식의 해인 kb 1x, kb 1y, kb 2x, 및 kb 2y가 kb 1x<kb 1y와 kb2x<kb2y 중 적어도 한쪽의 관계에 있다.In the medical treatment (1), k t x and k ty, which are solutions of the following equation, are related to k t x > k ty . In addition, k b 1x , k b 1y , k b 2x , and k b 2y, which are solutions of the following formula, have at least one relationship among k b 1x <k b 1y and k b2x <k b2y .

Fx=Lx{12kb1x×12kb2x/(12kb1x+12kb2x)+6ktx}F x = L x {12k b1x × 12k b2x / (12k b1x + 12k b2x ) + 6k tx }

Fy=Ly(3kb1y+3kb2y+kty)F y = L y (3k b1y + 3k b2y + k ty )

Fb1x=Lb1x×6kb1x F b1x = L b1x × 6k b1x

Fb2x=Lb2x×6kb2x F b2x = L b2x × 6k b2x

Fb1y=Lb1y×6kb1y F b1y = L b1y × 6k b1y

Fb2y=Lb2y×6kb2y F b2y = L b2y × 6k b2y

상기 식 중, Fx는 띠상 부재(30)에 제 1 생지(10) 및 제 2 생지(20)가 적층 된 부분(적층 부분(61))에 대하여 경계선 직교방향(D2)으로 가해지는 하중(N), Lx는 적층 부분(61)에 대하여 경계선 직교방향(D2)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mm), Fy는 적층 부분(61)에 대하여 경계선 평행방향(D1)으로 가해지는 하중(N), Ly는 적층 부분(61)에 대하여 경계선 평행방향(D1)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mm), Fb 1x는 제 1 생지(10)에 대하여 경계선 직교방향(D2)으로 가해지는 하중(N), Lb 1x는 제 1 생지(10)에 대하여 경계선 직교방향(D2)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mm), Fb 2x는 제 2 생지(20)에 대하여 경계선 직교방향(D2)으로 가해지는 하중(N), Lb 2x는 제 2 생지(20)에 대하여 경계선 직교방향(D2)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mm), Fb 1y는 제 1 생지(10)에 대하여 경계선 평행방향(D1)으로 가해지는 하중(N), Lb 1y는 제 1 생지(10)에 대하여 경계선 평행방향(D1)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mm), Fb 2y는 제 2 생지(20)에 대하여 경계선 평행방향(D1)으로 가해지는 하중(N), Lb 2y는 제 2 생지(20)에 대하여 경계선 평행방향(D1)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mm)를 각각 나타낸다.In the above formula, F x is a load appli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oundary (D2) with respect to a portion (laminated portion 61) in which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re stacked on the band-shaped member 30 ( N), L x is the displacement (mm)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stacked portion 61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rder (D2), F y is the load applied to the stacked portion 61 in the parallel direction (D1) of the border (N), L y is the displacement (mm) when the load is applied in the parallel direction (D1) to the stacked portion (61), F b 1x is the orthogonal direction (D2) to the border with respect to the first dough (10) The applied load (N), L b 1x is the displacement (mm) when the load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line 10 (D2), F b 2x is orthogonal to the second line 20 Load (N) applied in the direction (D2), L b 2x is the displacement (mm) when the load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econd line (2) with respect to the second dough (20), F b 1y is the first dough (10 Parallel direction of the boundary with respect to) (D1) The load applied to (N), L b 1y is the displacement (mm) when a load is applied in the parallel direction (D1) to the first line (10), F b 2y is the boundary line to the second line (20) The loads N applied in the parallel direction D1 and L b 2y represent displacements (mm) when loads are applied in the parallel direction D1 to the second line 20.

Lx, Ly, Lb 1x, Lb 2x, Lb 1y 및 Lb 2y를 측정한 후, 상기 식의 해인 kt x, kty, kb 1x, kb 1y, kb 2x, 및 kb 2y를 산출하고, kt x와 kty의 관계, kb1x와 kb1y의 관계, 및 kb2x와 kb2y의 관계를 구한다.After measuring L x , L y , L b 1x , L b 2x , L b 1y and L b 2y , the solutions of the above equations k t x , k ty , k b 1x , k b 1y , k b 2x , and k b 2y is calcula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 t x and k ty, the relationship between k b1x and k b1y ,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 b2x and k b2y are obtained.

상기 식의 해인 kt x와 kty가 kt x>kty의 관계에 있고, kb 1x, kb1y, kb 2x, 및 kb 2y가 kb 1x<kb 1y와 kb 2x<kb 2y 중 적어도 한쪽의 관계에 있음으로써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경계 부분의 신축성이 우수하고,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의료(1)가 추종하기 쉬워 운동 시에 쾌적한 의료(1)로 할 수 있다.K t x and k ty, which are solutions of the above equation, are in the relationship of k t x > k ty , and k b 1x , k b1y , k b 2x , and k b 2y are k b 1x <k b 1y and k b 2x < Since k b 2y is at least one of the relations, the elasticity of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is excellent, and the medical body 1 is easy to follow the movement of the wearer's body. It can be made into pleasant medical care (1).

또한, 무봉제로 의료를 제작할 때, 미려한 마무리로 하기 위해서 생지의 접합 시에 생지에 장력을 가할 필요가 있다. 신축성이 우수한 의료로 하기 위해서 신장률이 높은 생지를 사용하면 각 생지의 접합 공정에 있어서 생지가 과도하게 신장하여 미려한 마무리가 되기 어려운 것이나 각 생지의 접합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kt x와 kty가 kt x>kty의 관계에 있는 것에 대해서 kb 1x, kb1y, kb 2x, 및 kb 2y가 kb 1x<kb 1y와 kb 2x<kb 2y 중 적어도 한쪽의 관계에 있음으로써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과도한 신장을 띠상 부재(30)가 방지하고,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접합 강도를 높여 의료(1)의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manufacturing a medical material with no sealing, it is necessary to apply tension to the dough during bonding of the dough in order to achieve a beautiful finish. When a dough having a high elongation rate is used to make a medical excellent in elasticity, in the bonding process of each dough, the dough is excessively stretch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achieve a beautiful finish, or the bonding of each dough may be insufficient. k b 1x , k b1y , k b 2x , and k b 2y are k b 1x <k b 1y and k b 2x <k b 2y for k t x and k ty being related to k t x > k ty By being in at least one of the relationship, the band-like member 30 prevents excessive elongation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nd the bonding strength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To increase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medical (1).

kb 1x, kb 1y, kb 2x, 및 kb 2y가 kb 1x<kb 1y와 kb 2x<kb 2y 중 적어도 한쪽의 관계에 있으면 좋지만 kb 1x<kb 1y 및 kb 2x<kb 2y의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kb 1x, kb 1y, kb 2x, 및 kb 2y가 이러한 관계에 있음으로써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경계 부분의 신축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의료(1)가 착용자의 신체에 피트되기 쉬워진다. 또한, 제 1 생지(10) 및 제 2 생지(20)와 띠상 부재(30)의 접합 공정에 있어서도 접합을 행하기 쉬워져 의료(1)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It is good if k b 1x , k b 1y , k b 2x , and k b 2y are in relation to at least one of k b 1x <k b 1y and k b 2x <k b 2y , but k b 1x <k b 1y and k b It is preferable to be in a relationship of 2x <k b 2y . Since k b 1x , k b 1y , k b 2x , and k b 2y are in this relationship, the elasticity of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can be further improved, and medical (1) It becomes easy to fit the wearer's body. In addition, even in the bonding process of the 1st dough 10 and the 2nd dough 20 and the band-shaped member 30, it becomes easy to perform bonding, and the productivity of the medical 1 can be improved.

의료(1)가 후드(5)를 가질 경우, 후드(5)는 복수의 생지로부터 구성되고, 각 생지의 경계를 따라 띠상 부재(30)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띠상 부재(30)는 후드(5)를 구성하는 각 생지에 각각 접합되어 있고, 후드(5)를 구성하는 각 생지가 띠상 부재(30)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드(5)가 복수의 생지로부터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착용자의 머리에 후드(5)가 따르기 쉬워진다. 후드(5)를 구성하는 각 생지의 경계를 따라 띠상 부재(30)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후드(5)가 착용자의 머리에 피트되어도 후드(5)를 구성하는 각 생지의 접합부의 표면이 매끈매끈하게 되어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주기 어려워진다.When the medical 1 has the hood 5, it is preferable that the hood 5 is formed from a plurality of dough, and the band-like member 30 is disposed along the boundary of each dough.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ip-shaped member 30 is respectively bonded to each dough which constitutes the hood 5, and each dough which constitutes the hood 5 is bonded by the belt-shaped member 30. Since the hood 5 is formed from a plurality of doughs, the hood 5 is easy to follow the wearer's head. Since the band-like member 30 is disposed along the boundary of each dough constituting the hood 5, even when the hood 5 fits the wearer's head, the surface of the joint of each dough constituting the hood 5 is smooth. This makes it difficult to give the wearer a sense of discomfort.

의료(1)가 후드(5)를 가질 경우, 후드(5)와 제 1 생지(10)의 경계를 따라 띠상 부재(30)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후드(5)를 구성하는 생지와 제 1 생지(10)가 띠상 부재(30)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드(5)와 제 1 생지(10)의 경계에 띠상 부재(30)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후드(5)와 제 1 생지(10)의 접합부에 요철이 생기기 어려워져 피부 감촉이 좋은 의료(1)로 할 수 있다.When the medical 1 has the hood 5, it is preferable that the band-like member 30 is disposed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hood 5 and the first dough 10.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dough forming the hood 5 and the first dough 10 are joined by the band-shaped member 30. Because the band-like member 30 is dispos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hood 5 and the first dough 10, unevenness is unlikely to occur at the joint between the hood 5 and the first dough 10, so that the skin feels good (1 ).

의료(1)가 우측 앞길에 있는 우측의 제 2 생지(20a)와, 좌측 앞길에 있는 좌측의 제 2 생지(20b)를 가질 경우, 우측의 제 2 생지(20a)와 좌측의 제 2 생지(20b)를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갖고 있어도 좋다. 결합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선 파스너, 면 파스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결합 부재는 의료(1)의 포켓의 개구부 등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생지(10) 또는 제 2 생지(20)에의 결합 부재의 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봉제, 초음파나 열에 의한 용착,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을 들 수 있다. 결합 부재의 접합 방법은 그 중에서도 봉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 부재가 제 1 생지(10) 또는 제 2 생지(20)에 봉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결합 부재와 제 1 생지(10) 또는 제 2 생지(20)의 결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결합 부재의 결합 및 분리 시에 결합 부재와 제 1 생지(10) 또는 제 2 생지(20)의 접합부에 응력이 가해져도 결합 부재가 제 1 생지(10) 또는 제 2 생지(20)로부터 이탈하기 어려워진다.If the medical (1) has a second dough (20a) on the right in the right front road and a second dough (20b) on the left in the left front path, the second dough (20a) on the right and the second dough on the left ( 20b) may be provided. Examples of the coupling member include a sun fastener and a cotton fastener. Further, the engaging member may be formed in an opening of a pocket of the medical 1 or the like. As a bonding method of the bonding member to the 1st dough 10 or the 2nd dough 20, sewing, the welding by ultrasonic waves or heat, the adhesion by adhesive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The bonding method of the joining member is preferably sewing. When the coupling member is joined to the first dough 10 or the second dough 20 by sewing,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bonding member and the first dough 10 or the second dough 20 can be increased. Therefore, even when stress is applied to the joining member and the joint between the joining member and the first dough 10 or the second dough 20 at the time of joining and separating the joining member, the joining member is removed from the first dough 10 or the second dough 20. It is difficult to escape.

또한, 결합 부재와 제 1 생지(10) 또는 제 2 생지(20)의 접합부에는 띠상 부재(30)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 부재와 제 1 생지(10) 또는 제 2 생지(20)의 접합부에 띠상 부재(30)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결합 부재의 접합부의 표면을 매끈매끈하게 하여 결합 부재의 접합부가 착용자의 신체에 위화감을 주기 어려워진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and-shaped member 30 is disposed at the joint between the coupling member and the first dough 10 or the second dough 20. The band-like member 30 is disposed at the joint portion of the joining member and the first dough 10 or the second dough 20 to smooth the surface of the joining portion of the joining member so that the joining portion of the joining member feels uncomfortable to the wearer's body. It becomes difficult to give.

상기 식의 해인 kt x와, kb 1x 및 kb 2x는 kt x>kb 1x와 kt x>kb2x 중 적어도 한쪽의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kt x와, kb 1x 및 kb 2x가 이러한 관계에 있음으로써 의료(1)의 신축성이 향상되어 운동 시에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을 방해하기 어려운 의료(1)로 할 수 있다. 또한, 의료(1)의 제조 시에 있어서도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접합 부분(60)이 지나치게 신장하는 것을 방지하여 의료(1)의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k t x and k b 1x and k b 2x, which are solutions of the above formula, have at least one of k t x > k b 1x and k t x > k b2x . Since k t x and k b 1x and k b 2x have such a relationship, the elasticity of the medical 1 is improved, and thus it is possible to make the medical 1 difficult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wearer's body during exercise. In addition,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medical 1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the bonding portion 60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from being excessively stretched even when the medical 1 is manufactured.

또한, kt x와, kb 1x 및 kb 2x는 kt x>kb 1x 및 kt x>kb 2x의 관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kt x와, kb 1x 및 kb 2x가 이러한 관계에 있음으로써 의료(1)의 신축성을 더욱 높일 수 있어 의료(1)가 착용자의 신체에 추종하기 쉬워진다.Further, k t and x, k b and k b 1x 2x is more preferably in a relationship of k x t> b k 1x and k t x> k b 2x. Since k t x and k b 1x and k b 2x are in such a relationship, the elasticity of the medical 1 can be further increased, so that the medical 1 can easily follow the wearer's body.

상기 식의 해인 kt x와 kty의 비는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7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ktx와 kty의 비는 ktx/kty의 계산식에 의해 산출한다. kt x와 kty의 비의 하한값을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접합 부분(60)에 있어서의 신축성이 높아져 착용자의 신체에 추종하기 쉬운 의료(1)로 할 수 있다. kt x와 kty의 비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 이하, 8 이하, 5 이하로 할 수 있다.The ratio of k t x and k ty which are solutions of the above formula is preferably 1.5 or more, more preferably 1.7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2 or more. Incidentally, the ratio of k k tx and ty are calculated by the formula of k tx / k ty. By setting the lower limit of the ratio of k t x and k ty in this way, the elasticity in the joint portion 60 is increased, so that the medical body 1 is easy to follow the wearer's body. Although the upper limit of the ratio of k t x and k t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can be, for example, 10 or less, 8 or less, or 5 or less.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은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과 경계선 평행방향(D1)의 신장률의 비가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7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생지(10)의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과 제 1 생지(10)의 경계선 평행방향(D1)의 신장률의 비는 제 1 생지(10)의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제 1 생지(10)의 경계선 평행방향(D1)의 신장률[%]의 계산식에 의해 산출하고, 제 2 생지(20)의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과 제 2 생지(20)의 경계선 평행방향(D1)의 신장률의 비는 제 2 생지(20)의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제 2 생지(20)의 경계선 평행방향(D1)의 신장률[%]의 계산식에 의해 산출한다.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의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과 경계선 평행방향(D1)의 신장률의 비의 하한값을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의료(1)의 착용 시에 있어서의 운동 등의 움직임에 의료(1)가 추종하기 쉬워진다.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의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과 경계선 평행방향(D1)의 신장률의 비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 이하, 8 이하, 5 이하로 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preferably has a ratio of the elongation rate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2 of the boundary line and the elongation rate in the parallel direction D1 of the boundary line being 1.5 or more, more preferably 1.7 or more, and 2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above.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elongation rate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2 of the first dough 10 to the elongation rate in the parallel direction D1 of the boundary line of the first dough 10 is the orthogonal direction D2 of the boundary of the first dough 10. Elongation rate [%] /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formula of the elongation rate [%] of the parallel direction D1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elongation rate of the orthogonal direction D2 of the second dough 20 and the second dough ( The ratio of the elongation rate in the boundary parallel direction D1 of 20) is the elongation rate [%] of the orthogonal direction D2 of the second dough 20 /% of the elongation rate of the parallel direction D1 of the second dough 20 [%] ]. By setting the lower limit of the ratio of the elongation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2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2 of the border and the elongation in the parallel direction of the border D1, when the medical 1 is worn It becomes easy for the medical 1 to follow a movement, such as a movement. The upper limit of the ratio of the elongation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2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nd the elongation in the parallel direction of the border D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for example, 10 or less, It can be 8 or less and 5 or less.

(실시형태 2)(Embodiment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의료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2에 의한 의료는 기본적으로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의료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the medic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ince the medical ca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basically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medical ca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ption of the common parts is omitted.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의료(1)는 제 1 생지(10), 제 2 생지(20) 및 띠상 부재(30)를 갖는 의료(1)로서, 제 1 생지(10)는 뒷길(3)에 있고, 제 2 생지(20)는 앞길(2)에 있으며, 앞길(2) 및 뒷길(3) 중 적어도 한쪽은 암홀(71)의 하부로부터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경계의 적어도 일부에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보다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경계선에 평행한 방향(이하, 「경계선 평행방향(D1)」이라고 기재함)에 직교하는 방향(이하, 「경계선 직교방향(D2)」이라고 기재함)의 신장률이 큰 생지를 갖고, 띠상 부재(30)는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의 암홀(71)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medical (1) of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dical (1) having a first dough (10), a second dough (20) and a band-like member (30), wherein the first dough (10) is a back road (3) In, the second dough (20) is on the front road (2), at least one of the front road (2) and the back road (3),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from the bottom of the armhole (71)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oundary line of the 1st dough 10 and the 2nd dough 20 than at least one of the 1st dough 10 and the 2nd dough 20 in at least a part of the boundary of a boundary (hereinafter, "the boundary line parallel direction ( D1) '', and the elongation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rthogonal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border line orthogonal direction (D2)") has a large elongation, and the band-like member 30 has a first dough 10 and a second doug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along at least one armhole 71 of (20).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길(2) 및 뒷길(3) 중 적어도 한쪽은 암홀(71)의 하부로부터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경계의 적어도 일부에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보다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이 큰 생지(41)를 갖고 있다. 의료(1)의 암홀(71)의 하부는 조깅 등의 운동 시에 팔을 흔드는 등의 움직임에 의해 생지에 응력이 가해지기 쉬운 부분이다. 그 때문에 의료(1)의 암홀(71)의 하부로부터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경계의 적어도 일부에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보다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이 큰 생지(41)를 갖고 있음으로써 팔을 흔드는 등의 움직임이 있는 운동 시에 있어서 암홀(71)의 하부의 생지가 땅기는 것을 방지하여 의료(1)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5, at least one of the front road 2 and the back road 3 has a first dough (at least part of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armhole 71) A dough 41 having an elongation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2 of the boundary line greater than at least one of the 10) and the second dough 20 is provided. The lower portion of the armhole 71 of the medical 1 is a portion where stress is easily applied to the dough by movements such as shaking an arm during exercise such as jogging. Therefore, at least a part of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armhole 71 of the medical 1 is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By having the dough 41 having a high elongation rate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2) of the boundary line, the movement of the armhole 71 is prevented from being crushed during movement with movement such as shaking the arm, so that the wear of the medical 1 is prevented. Can increase.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보다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이 큰 생지(41)는 제 1 생지(10) 및 제 2 생지(20)보다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보다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이 큰 생지(41)가 이렇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암홀(71) 부분의 신축성을 보다 높일 수 있어 운동 시에 있어서의 의료(1)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dough 41 having a greater elongation in the boundary orthogonal direction D2 than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is the boundary orthogonal to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 It is preferable that the elongation of D2) is large. Since the dough 41 having a larger elongation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2) of the boundary than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is configured in this way, the elasticity of the armhole 71 can be further increased, and thus the movem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earing comfort of the medical care 1 in the city.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보다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이 큰 생지(41)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보다 신축성이 높은 뜨기 조직 또는 짜기 조직으로 하는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보다 신축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As a method of making the dough 41 having a greater elongation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oundary line D2 than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for example,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 And a method of using a material having a higher elasticity than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having a floating or weaving tissue having a higher elasticity than at least one of 20).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보다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이 큰 생지(41)는 뒷길(3)에 있는 제 1 생지(10)와, 앞길(2)에 있는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에 용착이나 봉제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좋지만,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의 뜨기 조직 또는 짜기 조직을 부분적으로 변화시키고,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을 구성하는 생지 안에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보다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이 큰 생지(41)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보다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이 큰 생지(41)와,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을 일체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보다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이 큰 생지(41)와,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이 이렇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보다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이 큰 생지(41)의 경계 부분에 접합에 의한 요철 등이 생기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피부 감촉이 좋은 의료(1)로 할 수 있다.The dough 41 having a greater elongation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2) of the boundary than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is the first dough 10 and the front path 2 on the back road 3. It may be bonded to at least one of the second dough 20 in the welding or sewing, but at least one of the first tissue 10 and the second dough 20 of the floating tissue or weaving tissue is partially changed, A dough having a greater elongation in the orthogonal direction of the border (D2) than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in the dough form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 It is preferable to include 41). That is,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is a dough 41 having a greater elongation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2 than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nd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It is preferable to make one side an integral structure.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has at least one of the dough 41 having a greater elongation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2 than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nd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Since it is configured in this way, it is difficult to generate irregularities due to bonding at the boundary portion of the dough 41 having a greater elongation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2 than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It can be made into medical (1) with good skin texture.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보다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이 큰 생지(41)는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보다 통기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암홀(71)의 하부의 생지와 착용자 사이는 열이 차기 쉽기 때문에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보다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이 큰 생지(41)에 예를 들면, 메쉬 뜨기 생지 등의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보다 통기성이 높은 생지(41a)를 사용함으로써 의료(1)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dough 41 having a greater elongation in the boundary orthogonal direction D2 than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is more breathable than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It is preferable that this is high. Since the heat between the wearer and the wear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armhole 71 is easy to be cold, it is an example in the dough 41 having a greater elongation in the boundary orthogonal direction D2 than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earing comfort of the medical 1 by using a dough 41a that is more breathable than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such as a mesh knitting dough.

띠상 부재(30)는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의 암홀(71)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암홀(71)은 착용자의 겨드랑이와 접촉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특히 이 부분의 피부 감촉을 좋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의 암홀(71)을 따라 띠상 부재(30)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암홀(71)의 표면을 매끈매끈하게 하여 착용감이 좋은 의료(1)로 할 수 있다.The band-shaped member 30 is disposed along at least one armhole 71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Since the armhole 71 is a part in contact with the wearer's armpit, it is particularly desired to improve the skin feel of this part. As the band-shaped member 30 is disposed along at least one of the armholes 71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the surface of the armhole 71 is smoothed to provide a comfortable fit (1 ).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는 뜨기 조직이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뜨기 조직을 다른 것으로 함으로써 의료(1)의 각 부분에 적합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의료(1)인 상의의 등 부분은 열이 차기 쉽기 때문에 뒷길(3)에 있는 제 1 생지(10)에 메쉬 뜨기 등의 통기성이 높은 뜨기 조직을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have different floating tissues. By making the floating tissu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different, it is possible to impart a suitable function to each part of the medical 1. For example, since the back portion of the top of the medical person 1 is easily heat-fed, the use of a highly breathable floating tissue, such as mesh floating, is used for the first dough 10 on the back road 3.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은 복수의 뜨기 조직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제 1 생지(10) 안에 리브 뜨기와 메쉬 뜨기와 같은 다른 종류의 복수의 뜨기 조직을 갖고 있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이 복수의 뜨기 조직을 갖고 있음으로써 제 1 생지(10)나 제 2 생지(20)의 각 부분에 적절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생지(10)의 전체의 뜨기 조직을 리브 뜨기로 하여 제 1 생지(10)의 전체의 신축성을 높여서 착용자의 신체에 피트시키고, 또한 제 1 생지(10)의 겨드랑이 부근의 뜨기 조직을 메쉬 뜨기로 하여 열이 차기 쉬운 겨드랑이 부근의 통기성을 높임으로써 의료(1)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has a plurality of floating tissues. Specifically, for example, a configuration having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knitting tissues such as rib knitting and mesh knitting in the first dough 10 is exemplified. Since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has a plurality of floating tissues, appropriate characteristics can be imparted to each part of the first dough 10 or the second dough 20. For example, by making the whole floating tissue of the first dough 10 to rib knit, the overall elasticity of the first dough 10 is increased to fit the wearer's body, and also in the vicinity of the armpit of the first dough 1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it of the medical wear 1 by increasing the air permeability in the vicinity of the armpit where heat is likely to be cold by using a floating structure as a mesh.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은 복수의 뜨기 조직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 1 생지(10) 및 제 2 생지(20)가 각각 복수의 뜨기 조직을 갖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생지(10) 및 제 2 생지(20)가 각각 복수의 뜨기 조직을 갖고 있음으로써 착용자의 신체 전체에 있어서 각 부위에 요구되고 있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어 보다 기능적인 의료(1)로 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has a plurality of floating tissues, but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each have a plurality of floating tissues. It is more preferable. Since each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has a plurality of floating tissues, it is possible to impart the required function to each part of the entire wearer's body, thereby making the medical function more functional (1). You can.

뒷길(3)의 중앙부에 제 1 생지(10)보다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이 큰 생지(41b)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뒷길(3)이 이렇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의료(1)인 상의의 등 부분의 신축성을 향상시켜 착용자에게 피트된 상의로 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ar road 3 has a dough 41b having a greater elongation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2 of the border than the first dough 10. Since the back road 3 is configured in this way, the elasticity of the back portion of the top of the medical person 1 can be improved to make the top fit to the wearer.

제 1 생지(10)보다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이 큰 생지(41b)는 제 2 생지(20)의 어깨 부분에도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2 생지(20)가 이렇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팔을 돌리는 등의 움직임 시에 생지가 잡아당겨져서 땅기기 쉬운 앞길(2)의 어깨 부분의 생지에 신축성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착용감이 좋은 의료(1)로 할 수 있다.The dough 41b having a larger elongation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2 of the border than the first dough 10 may be formed on the shoulder portion of the second dough 20. Because the second dough 20 is configured in this way, it can be stretched during movement such as turning an arm, so that it can be stretched to the shoulder region of the front road 2, which is easy to grasp, so it is comfortable to wear. ).

도 6은 의료(1)의 소매(4)를 구성하는 소매 생지(50)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 시에 팔꿈치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소매(4)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D4)의 신장률보다 소매(4)의 길이방향(D3)의 신장률이 큰 길이 직교방향 신장부(51)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료(1)의 소매(4)가 이러한 구성인 것에 의해 팔꿈치를 구부리는 움직임 시에 소매(4)의 팔꿈치부의 생지가 신축함으로써 의료(1)가 착용자의 움직임을 방해하기 어려워진다.6 shows a top view of the sleeve dough 50 constituting the sleeve 4 of the medical 1. As shown in FIG. 6, the length orthogonal to the elong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3 of the sleeve 4 is greater than the elongation in the direction D4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4 at the portion located at the elbow when worn.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direction extension portion 51. Due to the structure of the sleeve 4 of the medical 1, the dough of the elbow portion of the sleeve 4 is stretched during the movement of bending the elbow, making it difficult for the medical 1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wearer.

길이 직교방향 신장부(51)의 소매(4)의 길이방향의 상하 양측에 소매(4)의 길이방향(D3)의 신장률보다 소매(4)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D4)의 신장률이 큰 길이방향 신장부(52)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료(1)가 이러한 구성의 소매(4)를 갖고 있음으로써 소매(4)가 착용자의 팔에 피트되어 착용자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다.The elongation in the direction D4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4 is greater than the elong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3 of the sleeve 4 on both sides of the length 4 of the sleeve 4 in the orthogonal direction extending portion 51. It is desirable to have a large longitudinal extension 52. By having the sleeve 4 of this configuration, the medical 1 can fit the wearer's arm to follow the wearer's movement.

길이 직교방향 신장부(51)로서는 예를 들면, 가터 뜨기 등의 뜨기 조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 신장부(52)로서는 예를 들면, 리브 뜨기 등의 뜨기 조직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lengthwise orthogonal extension portion 51, for example, a floating structure such as garter knitting can be used. Further, as the longitudinal extension portion 52, for example, a floating structure such as rib knitting can be used.

길이 직교방향 신장부(51)와 길이방향 신장부(52)는 길이 직교방향 신장부(51)를 구성하는 생지와 길이방향 신장부(52)를 구성하는 생지가 소매 생지(50)에 용착이나 봉제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좋지만, 소매 생지(50)의 뜨기 조직이나 짜기 조직을 부분적으로 변화시켜서 소매 생지(50)를 구성하는 생지 안에 길이 직교방향 신장부(51)와 길이방향 신장부(5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소매 생지(50)와, 길이 직교방향 신장부(51) 및 길이방향 신장부(52)가 일체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매 생지(50)가 이렇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소매 생지(50)와 길이 직교방향 신장부(51), 소매 생지(50)와 길이방향 신장부(52)의 각각의 경계 부분에 접합에 의한 요철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소매(4)의 피부 감촉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length orthogonal extension portion 51 and the length extension portion 52 are made of a dough constituting the length orthogonal extension portion 51 and a dough constituting the length extension portion 52 welded to the sleeve fabric 50. Although it may be joined by sewing or the like, the length orthogonal extension portion 51 and the longitudinal extension portion 52 in the dough constituting the sleeve fabric 50 by partially changing the knitting or weaving structure of the sleeve fabric 5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sleeve dough 50, the longitudinally extending portion 51 and the longitudinally extending portion 52 are integral structures. Since the sleeve dough 50 is configured in this way, the unevenness by bonding to the boundary portions of the sleeve dough 50 and the lengthwise orthogonal extension portion 51 and the sleeve dough 50 and the lengthwise extension portion 52 is performed. Since it can be made smaller, the skin feel of the sleeve 4 can be improved.

소매 생지(50)를 구성하는 생지는 소매(4)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D4)보다 소매(4)의 길이방향(D3)의 신장률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소매 생지(50)가 이렇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조깅 등의 팔을 전후로 흔드는 운동 시에 팔에의 추종성이 높은 소매(4)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운동 시에 소맷부리가 걷혀 올라가는 것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ough forming the sleeve dough 50 has a greater elong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3 of the sleeve 4 than in the direction D4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4. Since the sleeve dough 50 is configur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make the sleeve 4 with a high followability to the arm during an exercise that shakes the arm back and forth such as jogging. As a result, it may be difficult to cause the cuffs to roll up during exercise.

의료(1)는 소매통을 갖고 있으며, 소매통은 리브 뜨기부(53)를 포함하고, 리브 뜨기부(53)의 이랑(53a)의 길이방향은 소매통의 축방향에 비평행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매통의 축방향이란 소매통의 소맷부리의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평면 A와, 평면 A와 평행하며 소매통의 상단부를 포함하는 평면 B를 지나는 축의 연장방향을 가리킨다. 리브 뜨기부(53)의 이랑(53a)의 길이방향이 소매통의 축방향에 비평행하게 되어 있다란 리브 뜨기부(53)의 이랑(53a)의 길이방향과 소매통의 축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0°초과인 것을 가리킨다. 소매통이 이렇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팔을 전후로 흔드는 움직임에 추종하기 쉬운 소매가 된다. 그 때문에 팔을 전후로 흔드는 운동 시에 특히 착용감이 좋은 의료(1)로 할 수 있다.Medical (1) has a sleeve, the sleeve includes a rib floating portion 53, it is preferable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b 53 of the rib 53 is non-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leeve. The axial direction of the sleeve refers to a direction in which the axis A extends along a plane A including at least a portion of a lower end of the cuff of the sleeve and a plane B parallel to the plane A and including a top portion of the sleeve. The angle betwe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b 53 of the rib 53 and the axial direction of the sleeve is 0 °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b 53 is non-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leeve. It indicates that it is exceeded. With this structure, the sleeve becomes an easy-to-follow sleeve to shake the arm back and forth.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make the medical article (1), which is particularly comfortable to wear when the arm is shaken back and forth.

리브 뜨기부(53)의 이랑(53a)의 길이방향과 소매통의 축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1°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소매통의 리브 뜨기부(53)의 이랑(53a)의 길이방향의 각도의 하한값을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팔을 전후로 흔드는 움직임에 소매통이 보다 추종하기 쉬워져 운동 시의 의료(1)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리브 뜨기부(53)의 이랑(53a)의 길이방향과 소매통의 축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4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소매통의 리브 뜨기부(53)의 이랑(53a)의 길이방향의 각도의 상한값을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소매통의 하부가 착용자의 전완부에 피트되기 쉬워진다.The angle betwe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b 53a of the rib floating portion 53 and the axial direction of the sleeve is preferably 1 ° or more, more preferably 3 °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5 ° or more. By setting the lower limit of the ang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b 53a of the rib floating portion 53 of the sleeve, the sleeve can be more easily tracked by the movement of the arm back and forth, thereby increasing the fit of the medical 1 during exercise. . The angle betwe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b 53a of the rib floating portion 53 and the axial direction of the sleeve is preferably 45 ° or less, more preferably 40 °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35 ° or less. By setting the upper limit of the ang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b 53a of the rib floating portion 53 of the sleeve, the lower portion of the sleeve is easily fitted to the forearm of the wearer.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2에 의한 의료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medical car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의료(1)는 외의 또는 중의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의란 가장 외측에 착용하는 의료이며, 중의란 외의와 내의 사이의 중간에 착용하는 의료이다. 의료(1)가 외의 또는 중의이며, 의료(1)의 내측에 예를 들면, 흡수성이 좋은 속옷 등을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edical (1) is external or intermediate. Outer clothing is a medical clothing worn on the outermost side, and middle clothing is a medical clothing worn between the outer clothing and the inner cloth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medical clothing 1 is external or medium, and, for example, an absorbent underwear or the like is worn inside the medical clothing 1.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는 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착으로서는 열 용착, 초음파 용착 등을 들 수 있다.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가 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의료(1)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re joined by welding. Examples of welding include thermal welding and ultrasonic welding. Since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re joined by welding,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can be increased, and the durability of the medical 1 can be increased. You can.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가 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접합 부분(60)에 띠상 부재(3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가 용착됨으로써 제 1 생지(10)를 구성하는 재료와 제 2 생지(20)를 구성하는 재료가 용합하여 고화되기 때문에 접합 부분(60)이 단단하고, 감촉이 나빠진다. 접합 부분(60)에 띠상 부재(30)가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감촉이 나쁜 접합 부분(60)이 띠상 부분(30)에 덮이기 때문에 의료(1)의 착용 시에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기 어려워진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and-shaped member 30 is attached to the bonding portion 60 to which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re joined by welding. Since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re welded,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first dough 10 and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second dough 20 are fused and solidified, so that the joint 60 is hard. And the texture becomes worse. Since the band-shaped member 30 is attached to the bonding portion 60, the bonding portion 60 having a poor texture is covered with the band-shaped portion 30, so that it is difficult to give discomfort to the wearer when the medical wear 1 is worn.

본원은 2018년 5월 16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8-94941호에 의거하는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는 것이다. 2018년 5월 16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8-94941호의 명세서의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고를 위해 원용된다. This application claims the benefit of priority under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8-94941 filed on May 16, 2018. The entir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8-94941, filed on May 16, 2018,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성질의 것은 아니고 전·후기의 취지를 따라 설계 변경하는 것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Hereinafter, the working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specifically shown by examples. The following example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 design chang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before and after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나타내는 제 1 생지(10), 도 4에 나타내는 제 2 생지(20)(20a, 20b)를 사용하여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를 초음파 용착에 의해 접합했다.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접합 부분(60)에 띠상 부재(30)를 배치해서 부착하여 의료(1)를 제작했다.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베이스 부분은 리브 뜨기 조직으로 하고,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 중 적어도 한쪽보다 통기성이 높은 생지(41a)는 메쉬 뜨기 조직으로 하고, 제 1 생지(10)보다 경계선 직교방향(D2)의 신장률이 큰 생지(41b)는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베이스 부분보다 리브의 폭이 큰 굵은 리브 뜨기 조직으로 했다. 띠상 부재(30)의 폭은 10mm이었다. 또한, 제 1 생지(10) 및 제 2 생지(20)의 베이스 부분의 두께는 1.45mm이었다.As shown in Fig. 5,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re ultrasonicated using the first dough 10 shown in Fig. 3 and the second dough 20 (20a, 20b) shown in Fig. 4. Bonding was carried out by welding. The band-like member 30 was disposed and attached to the joint portion 60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to manufacture the medical 1. The base portion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is a rib knitting structure, and the dough 41a, which is highly breathable than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is a mesh float. The thick ribs having a larger rib than the base portions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re made of tissue, and the dough 41b having a greater elongation in the boundary orthogonal direction D2 than the first dough 10 is larger than the base portions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It was made as a floating organization. The width of the strip-shaped member 30 was 10 mm. In addition, the thicknesses of the base portions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were 1.45 mm.

의료(1)의 뒷길(3)의 제 1 생지(10)의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경계선 평행방향(D1)과 경계선 직교방향(D2)을 따라 제 1 생지(10)의 측정 시료를 채취했다.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접합 부분(60)이며, 띠상 부재(30)에 제 1 생지(10) 및 제 2 생지(20)가 적층되어 있는 적층 부분(61)으로부터 경계선 평행방향(D1)과 경계선 직교방향(D2)을 따라 적층 부분(61)이 중앙이 되도록 적층 부분(61)의 측정 시료를 채취했다. 각 측정 시료의 크기는 세로를 160~180mm, 가로를 60mm로 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베이스 부분의 뜨기 조직이 같기 때문에 제 1 생지(10)의 측정 시료가 제 2 생지(20)의 측정 시료도 겸하고 있다.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베이스 부분의 뜨기 조직이 다를 경우는 앞길(2)의 제 2 생지(20)의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제 2 생지(20)의 측정 시료를 채취한다.A measurement sample of the first dough 10 was taken along the boundary parallel direction (D1) and the boundary perpendicular direction (D2) from the base portion of the first dough (10) of the back road (3) of the medical (1). From the laminated portion 61 where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re stacked on the band-shaped member 30, which is the bonding portion 60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 measurement sample of the stacked portion 61 was taken such that the stacked portion 61 is centered along the bordered parallel direction D1 and the bordered orthogonal direction D2. The size of each measurement sample was 160 to 180 mm in length and 60 mm in width.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loating tissues of the base portion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re the same, the measurement sample of the first dough 10 also serves as the measurement sample of the second dough 20. . When the floating tissues of the base portion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re different, a measurement sample of the second dough 20 is taken from the base portion of the second dough 20 of the front road 2. .

각 측정 시료의 세로의 중앙부에 띠상 부재(30)의 폭과 같은 길이가 되도록 표시를 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폭 10mm의 띠상 부재(30)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의 간격(이하, 점간 거리라고 함)은 10mm로 했다.Display was made to be the same length as the width of the band-shaped member 30 in the vertical center of each measurement sampl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band-shaped member 30 having a width of 10 mm is used, the spacing of the displ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istance between points) is set to 10 mm.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제 1 생지(10)의 측정 시료를 경계선 평행방향(D1)으로 잡아당기고, 제 1 생지(10)의 측정 시료의 경계선 평행방향(D1)의 변위 Lb1y를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그리퍼 간의 거리가 100mm가 되도록 제 1 생지(10)의 측정 시료를 그리퍼에 고정하고, 제 1 생지(10)의 측정 시료에 경계선 평행방향(D1)으로 하중 Fb1y을 가해 제 1 생지(10)의 측정 시료에 한 표시의 점간 거리의 증가량을 측정했다. 제 1 생지(10)의 측정 시료의 인장 속도는 200mm/min으로 했다. 측정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Shimadzu Corporation제의 탁상형 오토그래프 AGS-X 1kN을 사용할 수 있다.A tensile tester was used to pull the measurement sample of the first dough 10 in the boundary parallel direction (D1), and the displacement L b1y in the boundary parallel direction (D1) of the measurement sample of the first dough 10 was measured. Specifically, the measurement sample of the first dough 10 is fixed to the gripper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grippers is 100 mm, and the load F b1y is applied to the measurement sample of the first dough 10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oundary (D1). The increase amount of the point-to-point distance of the mark on the measurement sample of (10) was measured. The tensile speed of the measurement sample of the first dough 10 was 200 mm / min. As the measuring device, for example, a tabletop autograph AGS-X 1 kN manufactured by Shimadzu Corporation can be used.

제 1 생지(10)의 측정 시료의 경계선 평행방향(D1)의 변위 Lb1y의 측정과 마찬가지로 제 1 생지(10)의 측정 시료의 경계선 직교방향(D2)의 변위 Lb1x, 적층 부분(61)의 측정 시료의 경계선 평행방향(D1)의 변위 Ly, 및 적층 부분(61)의 측정 시료의 경계선 직교방향(D2)의 변위 Lx를 측정했다. 표 1에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First displacement L b1x, the laminated portion of the dough (10) test sample boundary parallel (D1) border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D2) displaced similarly to the measurement of L b1y of the measurement sample of a first dough 10 of the 61 The displacement L y in the boundary line parallel direction (D1) of the measurement sample and the displacement L x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2) of the measurement sample of the laminated portion 61 were measured. Table 1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Figure 112018114700916-pat00001
Figure 112018114700916-pat00001

측정 시료에 가한 하중 Fb1y, Fb 1x, Fy, 및 Fx과, 그 변위 Lb1y, Lb1x, Ly, 및 Lx를 이하의 식에 대입하여 하기 식의 해인 kt x, kty, kb1x, 및 kb1y를 산출했다. 상술한 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베이스 부분의 뜨기 조직이 같다. 그 때문에 제 1 생지(10)에 대한 식의 해인 kb 1x와 kb 1y의 값이 kb 2x와 kb 2y의 값과 같다고 생각되며, 제 1 생지(10)의 측정 시료에 대해 변위의 측정 및 해의 산출을 행하고 있다.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베이스 부분의 뜨기 조직이 다를 경우는 제 2 생지(20)에 대해서도 제 1 생지(10)와 마찬가지로 제 2 생지(20)의 측정 시료에 하중 Fb2y 및 Fb 2x을 가해 변위 Lb2y 및 Lb 2x의 측정을 행하고, 해 kb2x 및 kb2y의 산출을 행한다.The loads F b1y , F b 1x , F y , and F x applied to the measurement sample and their displacements L b1y , L b1x , L y , and L x are substituted for the following equations, which are solutions of the following equations, k t x , k ty , k b1x , and k b1y were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floating structure of the base portion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is the sam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values of k b 1x and k b 1y , which are solutions of the equation for the first dough 10, are the same as those of k b 2x and k b 2y , and the displacement of the measured sample of the first dough 10 Measurement and solution calculation are performed. When the floating tissues of the base portion of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re different, the load on the measurement sample of the second dough 20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dough 10 for the second dough 20. Displacement L b2y and L b 2x are measured by adding F b2y and F b 2x , and the solutions k b2x and k b2y are calculated.

Fx=Lx{12kb1x×12kb2x/(12kb1x+12kb2x)+6ktx}F x = L x {12k b1x × 12k b2x / (12k b1x + 12k b2x ) + 6k tx }

Fy=Ly(3kb1y+3kb2y+kty)F y = L y (3k b1y + 3k b2y + k ty )

Fb1x=Lb1x×6kb1x F b1x = L b1x × 6k b1x

Fb1y=Lb1y×6kb1y F b1y = L b1y × 6k b1y

도 7~도 10은 각 측정 시료에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생지(10)의 측정 시료에 경계선 평행방향(D1)으로 10N의 하중 Fb1y을 가했을 때의 변위 Lb1y는 3.4mm이었다. Fb1y=Lb1y×6kb1y로부터 kb1y=0.49이다.7 to 10 are graphs showing displacement when a load is applied to each measurement sample. As shown in Fig. 7, the displacement L b1y when a load F b1y of 10N was applied to the measurement sample of the first dough 10 in the parallel direction D1 of the border was 3.4 mm. F b1y = L b1y × 6k b1y to k b1y = 0.49.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생지(10)의 측정 시료에 경계선 직교방향(D2)으로 10N의 하중 Fb1x을 가했을 때의 변위 Lb1x는 9.1mm이었다. Fb1x=Lb1x×6kb1x로부터 kb1x=0.18이다.As shown in Fig. 8, the displacement L b1x when the load F b1x of 10N was applied to the measurement sample of the first dough 10 in the orthogonal direction D2 of the boundary line was 9.1 mm. F b1x = L b1x × 6k b1x to k b1x = 0.18.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생지(61)의 측정 시료에 경계선 평행방향(D1)으로 10N의 하중 Fy를 가했을 때의 변위 Ly는 2.8mm이었다. Fy=Ly(3kb1y+3kb2y+kty)로부터 kty=0.63이다.As shown in Fig. 9, the displacement L y when a load F y of 10 N was applied to the measurement sample of the laminated dough 61 in the boundary parallel direction D1 was 2.8 mm. From F y = L y (3k b1y + 3k b2y + k ty ), k ty = 0.63.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생지(61)의 측정 시료에 경계선 직교방향(D2)으로 10N의 하중 Fx을 가했을 때의 변위 Lx는 1.0mm이었다. Fx=Lx{12kb1x×12kb2x/(12kb1x+12kb2x)+6ktx}로부터 ktx=1.54이다.As shown in Fig. 10, the displacement L x when a load F x of 10N was applied to the measurement sample of the laminated dough 61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oundary D2 was 1.0 mm. From F x = L x {12k b1x × 12k b2x / (12k b1x + 12k b2x ) + 6k tx }, k tx = 1.54.

산출한 kt x, kty, kb 1x, 및 kb 1y로부터 kt x>kty의 관계에 있고, 또한 kb1x<kb1y의 관계에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의 의료(1)는 제 1 생지(10)와 제 2 생지(20)의 경계 부분의 신축성이 우수하고, 특히 운동 시의 착용감이 쾌적한 것이 된다.From the calculated k t x , k ty , k b 1x , and k b 1y , there is a relationship of k t x > k ty , and also has a relationship of k b1x <k b1y . Therefore, the medical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excellent in elasticity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ough (10) and the second dough (20), and is particularly comfortable to wear during exercise.

1 의료 2 앞길
3 뒷길 4 소매
5 후드 10 제 1 생지
20 제 2 생지 20a 우측의 제 2 생지
20b 좌측의 제 2 생지 30 띠상 부재
41 경계선 직교방향의 신장률이 큰 생지
41a 제 1 생지와 제 2 생지 중 적어도 한쪽보다 통기성이 높은 생지
41b 제 1 생지보다 경계선 직교방향의 신장률이 큰 생지
50 소매 생지 51 길이 직교방향 신장부
52 길이방향 신장부 53 리브 뜨기부
53a 리브 뜨기부의 이랑 60 접합 부분
61 적층 부분 71 암홀
D1 경계선 평행방향 D2 경계선 직교방향
D3 소매의 길이 방향 D4 소매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1 Medical 2 Road
3 back road 4 sleeves
5 Hood 10 First dough
20 Second dough 20a Second dough on the right
20b Left side 30 band-shaped member
41 The area where the elongation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undary line is large
41a The first and second doughs are more breathable than at least one.
41b A dough with a greater elongation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rder than the first dough
50 Sleeve fabric 51 Length Orthogonal extension
52 Longitudinal extension 53 Rib floating
53a rib float part 60 joint
61 Lamination part 71 Arm hole
D1 boundary parallel direction D2 boundary perpendicular direction
D3 Lengthwise direction of sleeve D4 Orthogonal to lengthwise direction of sleeve

Claims (11)

제 1 생지, 제 2 생지 및 띠상 부재를 갖는 의료로서,
상기 의료는 외의 또는 중의이며,
상기 제 1 생지, 상기 제 2 생지 및 상기 띠상 부재는 무봉제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생지, 상기 제 2 생지 및 상기 띠상 부재는 편물이며,
상기 제 1 생지는 뒷길에 있고, 상기 제 2 생지는 앞길에 있으며,
상기 띠상 부재는 상기 제 1 생지와 상기 제 2 생지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1 생지와 상기 제 2 생지 중 적어도 한쪽의 암홀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뒷길은 상기 제 1 생지보다 상기 제 1 생지와 상기 제 2 생지의 경계선에 평행한 방향(이하 「경계선 평행방향」이라고 기재함)에 직교하는 방향(이하 「경계선 직교방향」이라고 기재함)의 신장률이 크고, 모재에 둘러싸인 편지 영역이 존재하고 있으며,
상기 편지 영역은 상기 제 1 생지와 일체 구조이며,
상기 제 1 생지와 상기 제 2 생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경계선 평행방향의 신장률보다 상기 경계선 직교방향의 신장률이 크고,
Fx=Lx{12kb1x×12kb2x/(12kb1x+12kb2x)+6ktx}
Fy=Ly(3kb1y+3kb2y+kty)
Fb1x=Lb1x×6kb1x
Fb2x=Lb2x×6kb2x
Fb1y=Lb1y×6kb1y
Fb2y=Lb2y×6kb2y
상기 식의 해인 ktx와 kty는 ktx>kty의 관계에 있고, 또한 ktx와 kty의 비는 2 이상 10 이하이며,
상기 식의 해인 kb1x, kb1y, kb2x, 및 kb2y는 kb1x<kb1y와 kb2x<kb2y 중 적어도 한쪽의 관계에 있고,
상기 제 1 생지와 상기 제 2 생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경계선 직교방향의 신장률과 상기 경계선 평행방향의 신장률의 비가 2 이상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상기 식 중,
Fx는 상기 띠상 부재에 상기 제 1 생지 및 상기 제 2 생지가 적층된 부분(이하, 「적층 부분」이라고 기재함)에 대하여 상기 경계선 직교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N),
Lx는 상기 적층 부분에 대하여 상기 경계선 직교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mm),
Fy는 상기 적층 부분에 대하여 상기 경계선 평행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N),
Ly는 상기 적층 부분에 대하여 상기 경계선 평행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mm),
Fb1x는 상기 제 1 생지에 대하여 상기 경계선 직교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N),
Lb1x는 상기 제 1 생지에 대하여 상기 경계선 직교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mm),
Fb2x는 상기 제 2 생지에 대하여 상기 경계선 직교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N),
Lb2x는 상기 제 2 생지에 대하여 상기 경계선 직교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mm),
Fb1y는 상기 제 1 생지에 대하여 상기 경계선 평행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N),
Lb1y는 상기 제 1 생지에 대하여 상기 경계선 평행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mm),
Fb2y는 상기 제 2 생지에 대하여 상기 경계선 평행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N),
Lb2y는 상기 제 2 생지에 대하여 상기 경계선 평행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변위(mm)를 각각 나타내고,
단, 상기 식의 해인 ktx와 kty의 비=ktx/kty이고,
상기 경계선 직교방향의 신장률과 상기 경계선 평행방향의 신장률의 비=상기 경계선 직교방향의 신장률[%]/상기 경계선 평행방향의 신장률[%]이다]
A medical having a first dough, a second dough, and a band-like member,
The medical care is extraneous or intravenous,
The first dough, the second dough, and the band-shaped member are joined with a non-sewn material,
The first dough, the second dough and the band-like member are knitted,
The first dough is on the back road, the second dough is on the front road,
The band-shaped member is disposed along the first dough and the second dough, and is disposed along at least one armhole of the first dough and the second dough,
The back road i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dough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arallel line parallel direction") than the first dough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border line orthogonal direction"). The elongation rate is large, and the letter area surrounded by the base material exists.
The letter area is integral with the first d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and the second dough has a greater elongation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rder than the elongation in the parallel direction of the border,
F x = L x {12k b1x × 12k b2x / (12k b1x + 12k b2x ) + 6k tx }
F y = L y (3k b1y + 3k b2y + k ty )
F b1x = L b1x × 6k b1x
F b2x = L b2x × 6k b2x
F b1y = L b1y × 6k b1y
F b2y = L b2y × 6k b2y
The solutions of the above equations k tx and k ty have a relationship of k tx > k ty , and the ratio of k tx and k ty is 2 or more and 10 or less,
The solutions of the above formulas k b1x , k b1y , k b2x , and k b2y are at least one of k b1x <k b1y and k b2x <k b2y ,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and the second dough is medical,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the elongation in the orthogonal direction of the boundary line and the elongation in the parallel direction of the boundary line is 2 or more and 10 or less.
[In the above formula,
F x is a load (N) exert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of the boundary with respect to a portion in which the first dough and the second dough are stacked on the band-like me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laminated portion"),
L x is the displacement (mm)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laminated portion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undary,
F y is a load (N) appli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oundary with respect to the laminated portion,
L y is the displacement (mm) when a load is appli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oundary with respect to the laminated portion,
F b1x is a load (N) appli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undary with respect to the first dough,
L b1x is the displacement (mm)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first dough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undary,
F b2x is a load (N) appli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undary with respect to the second dough,
L b2x is the displacement (mm)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second dough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undary line,
F b1y is a load (N) appli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oundary with respect to the first dough,
L b1y is the displacement (mm) when a load is appli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oundary with respect to the first dough,
F b2y is a load (N) appli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oundary with respect to the second dough,
L b2y represents the displacement (mm) when a load is appli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oundary with respect to the second dough, respectively.
However, the ratio of k tx and k ty , which are solutions of the above formula, is k tx / k ty
The ratio of the elongation rate in the orthogonal direction to the elongation rate in the parallel direction of the boundary line = the elongation rate in the orthogonal direction of the boundary line [%] / the elongation rate in the parallel direction of the boundary line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지 영역은 상기 의료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중앙부 편지와, 상기 중앙부 편지의 좌우 양측이며 상기 경계선보다 내측에 상기 중앙부 편지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는 측부 편지를 갖고 있는 의료.
According to claim 1,
The letter area has a central letter arranged in the central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edical care, and a side letter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letter and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letter inside the bord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의 해인 ktx와, kb1x 및 kb2x는 ktx>kb1x와 ktx>kb2x 중 적어도 한쪽의 관계에 있는 의료.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solution of the formula k tx , k b1x, and k b2x is a medical in which at least one of k tx > k b1x and k tx > k b2x is relat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생지와 상기 제 2 생지 중 적어도 한쪽은 복수의 뜨기 조직을 갖고 있는 의료.
The method of claim 1 or 2,
At least one of the first dough and the second dough has a plurality of floating tissue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착용 시에 팔꿈치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소매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신장률보다 상기 소매의 길이방향의 신장률이 큰 길이 직교방향 신장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길이 직교방향 신장부의 상기 소매의 길이방향의 상하 양측에 상기 소매의 길이방향의 신장률보다 상기 소매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신장률이 큰 길이방향 신장부를 갖고 있는 의료.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n worn, the portion located at the elbow portion has a length orthogonal extension portion in which the elong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is greater than the elongation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A medical device having a longitudinal extension portion having a larger elongation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than an elongation r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on both sides of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sleeve in the lengthwise orthogonal extension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소매통을 갖고 있으며,
상기 소매통은 리브 뜨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 뜨기부의 이랑의 길이방향은 상기 소매통의 축방향에 비평행하게 되어 있는 의료.
The method of claim 5,
Has a sleeve,
The sleeve includes a rib floating portio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rib of the rib floating portion is non-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leev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생지 및 상기 제 2 생지의 두께는 각각 0.5mm 이상 10mm 이하인 의료.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thickness of the first dough and the second dough is 0.5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respectively.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생지와 상기 제 2 생지는 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접합 부분에 상기 띠상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의료.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first dough and the second dough are joined by welding,
Medical in which the band-shaped member is attached to the bond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42350A 2018-05-16 2018-11-19 Garment KR10210533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94941 2018-05-16
JP2018094941A JP6619841B2 (en) 2018-05-16 2018-05-16 Cloth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405A KR20190131405A (en) 2019-11-26
KR102105335B1 true KR102105335B1 (en) 2020-04-28

Family

ID=68533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350A KR102105335B1 (en) 2018-05-16 2018-11-19 Garment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350285A1 (en)
JP (1) JP6619841B2 (en)
KR (1) KR102105335B1 (en)
CA (1) CA3024428A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9512A (en) 1998-10-19 2000-05-09 Onyone Kk Upper garment for sports
KR100573087B1 (en) 1998-12-28 2006-04-24 에스알아이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Outerwear
WO2010100721A1 (en) 2009-03-03 2010-09-10 株式会社アシックス Wear
KR101503174B1 (en) 2013-11-21 2015-03-16 제일모직 주식회사 Suit Top Comprising Expansion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611U (en) * 1971-05-25 1973-01-17
JPS56173611U (en) * 1980-05-26 1981-12-22
JP3049066U (en) * 1997-11-20 1998-05-29 西川合繊株式会社 Clothes that can be worn for both front and back and front and back
JP2001011707A (en) * 1998-12-28 2001-01-16 Sumitomo Rubber Ind Ltd Jacket
JP3063091U (en) * 1999-04-14 1999-10-19 株式会社ワコール Women's clothing
US7743476B2 (en) * 2004-06-24 2010-06-29 Mmi-Ipco, Llc Engineered fabric articles
JP2006176912A (en) * 2004-12-22 2006-07-06 Shima Seiki Mfg Ltd Method for knitting sleeved knitwear
JP4399671B2 (en) 2005-12-16 2010-01-20 有限会社シープアート Non-sewn gar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7636948B1 (en) * 2006-01-26 2009-12-29 Lineweight Llc Combat shirt and armor system
US7856668B2 (en) * 2006-09-29 2010-12-28 Nike, Inc. Article of apparel for resistance training
JP2008101304A (en) * 2006-10-20 2008-05-01 Morito Co Ltd Seamless garment
KR100972968B1 (en) 2007-05-17 2010-07-29 주식회사 씨에스 Device for fixing antenna and antenna assembly including the same
JP5235519B2 (en) * 2008-06-16 2013-07-10 美津濃株式会社 shirt
WO2012131873A1 (en) * 2011-03-28 2012-10-04 株式会社ワコール Knitted fabric and article of clothing using same
DE202011050261U1 (en) * 2011-05-26 2012-08-27 X-Technology Swiss Gmbh Sports clothing
US20180116304A1 (en) * 2011-12-30 2018-05-03 Opedix, Llc Shirts and shorts having elastic and non-stretch portions and bands to provide hip and posture support
US10219554B2 (en) * 2012-11-09 2019-03-05 Nike, Inc. Freedom of movement jacket/coat
US10750796B2 (en) * 2012-11-09 2020-08-25 Nike, Inc. Freedom of movement garment
GB2509155A (en) * 2012-12-21 2014-06-25 Janus Holdings Ltd Fabric comprising polychloroprene and metal oxide, used in sportswear
WO2015109001A1 (en) * 2014-01-14 2015-07-23 Under Armour, Inc. Article of apparel
EP3094481A4 (en) * 2014-01-15 2017-08-30 Cohesive Systems LLC Fabrication process for garments and other fabric products
WO2016109564A2 (en) * 2014-12-29 2016-07-07 Shriver Mccullough Resistance exercise clothing
CN108348024A (en) * 2015-11-16 2018-07-31 W.L.戈尔有限公司 Upper body clothes
US10413005B2 (en) * 2016-04-07 2019-09-17 Nike, Inc. Sleeve construction for an article of apparel
US20180177248A1 (en) * 2016-12-22 2018-06-28 Alf Wear Dba Kuhl Garment including selectively located ventilation panels of three-dimensional mes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9512A (en) 1998-10-19 2000-05-09 Onyone Kk Upper garment for sports
KR100573087B1 (en) 1998-12-28 2006-04-24 에스알아이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Outerwear
WO2010100721A1 (en) 2009-03-03 2010-09-10 株式会社アシックス Wear
KR101503174B1 (en) 2013-11-21 2015-03-16 제일모직 주식회사 Suit Top Comprising Expansion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24428A1 (en) 2019-11-16
JP2019199664A (en) 2019-11-21
JP6619841B2 (en) 2019-12-11
US20190350285A1 (en) 2019-11-21
KR20190131405A (en)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3005B2 (en) Sleeve construction for an article of apparel
CN102548437B (en) Elbow joint supporter
KR102509300B1 (en) pants
US20190330773A1 (en) Garments with integrated gripping technology
JP7259164B2 (en) lower body clothing
US20180352883A1 (en) Upper body garment
BR112015004059A2 (en) Composite sheet material,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a disposable wear article using this
KR101752356B1 (en) Pants with expanding waist
KR102105335B1 (en) Garment
JP6211274B2 (en) Sports wear
JP6246699B2 (en) Swimsuit
JP6336892B2 (en) Underwear suitable for sensitive skin
CN108236132A (en) Underwear part
JP6441553B2 (en) Jumpsuit
JP3201656U (en) Diaper cover
JP4145043B2 (en) Sanitary shorts
CN212117117U (en) Novel crease-resistant jacket
CN219229059U (en) Anti-tightening comfortable underpants
KR200415976Y1 (en) Interlining for clothes
JP5226589B2 (en) shirt
JP2016199821A (en) clothing
JP3203905U (en) Lower garment
KR20220042426A (en) undergarments medical
CN111557489A (en) Novel crease-resistant clothing
JP2013091881A (en) Suppo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