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308B1 - 팽창 부위를 가진 지하도관 보수용 장치 - Google Patents

팽창 부위를 가진 지하도관 보수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308B1
KR102105308B1 KR1020180165880A KR20180165880A KR102105308B1 KR 102105308 B1 KR102105308 B1 KR 102105308B1 KR 1020180165880 A KR1020180165880 A KR 1020180165880A KR 20180165880 A KR20180165880 A KR 20180165880A KR 102105308 B1 KR102105308 B1 KR 102105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repair
module
underground pipe
repa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선
Original Assignee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5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팽창 부위를 가진 지하도관 보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균열 또는 이와 유사한 보수 부위를 효율적으로 밀폐시키면서 보수가 가능한 팽창 부위를 가진 지하도관 보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팽창 부위를 가진 지하도관 보수용 장치는 주입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팽창 가능한 접촉 몸체(11) 및 접촉 몸체(1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차단 부위(12)를 가진 접촉 모듈(10); 견고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접촉 모듈(10)과 결합되어 기체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 모듈(20); 및 접촉 몸체(11)에 배치된 보수액 주입 유닛(15)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팽창 부위를 가진 지하도관 보수용 장치{An Expanding Type of a Repairing Apparatus for Repairing a Underground Pipe}
본 발명은 팽창 부위를 가진 지하도관 보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균열 또는 이와 유사한 보수 부위를 효율적으로 밀폐시키면서 보수가 가능한 팽창 부위를 가진 지하도관 보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 또는 이와 유사한 지하도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의 하자를 보수하는 장치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자동 보수 로봇 또는 패커와 같은 장치가 하자 보수에 적용되고 있다. 특허등록번호 제10-0588821호는 균일 팽창이 가능한 패커를 구비하는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제10-2010-0027768호는 패커를 이용한 비굴착식 하수관로 보수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하수관로 또는 이와 유사한 지하도관의 보수 과정에서 가지 관(Branch Pipe) 또는 분기 관의 주변 부위가 보수가 되어야 하고, 이를 위하여 가지 관 또는 분기 관이 밀폐가 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보수용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등록번호 제10-0588821호(모악개발 주식회사, 2006년06월12일 공고) 균일 팽창이 가능한 패커를 구비하는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제10-2010-0027768호(쌍용건설 주식회사, 2010년03월11일 공개) 패커를 이용한 비굴착식 하수관로 보수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보수 과정에서 가지 관 또는 분기 관과 같은 연결 도관의 밀폐가 가능한 팽창 부위를 가진 지하도관 보수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팽창 부위를 가진 지하도관 보수용 장치는 주입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팽창 가능한 접촉 몸체 및 접촉 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차단 부위를 가진 접촉 모듈; 견고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접촉 모듈과 결합되어 기체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 모듈; 및 접촉 몸체에 배치된 보수액 주입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단 부위는 전체적으로 볼록 렌즈 형상이 되면서 접촉 몸체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큰 신축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접촉 몸체의 접촉면은 곡면 형상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베이스 모듈의 바깥쪽 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한 쌍의 선형 연장 돌기 및 한 쌍의 선형 연장 돌기의 사이에 배치된 고정 탭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팽창 부위를 가진 지하도관 보수용 장치는 가지 관 또는 분기 관과 같이 보수 부위에 연결된 연결 도관을 밀폐시켜 보수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장치는 보수 부위가 기체 팽창 구조에 의하여 밀폐가 되는 것에 의하여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장치는 보수 로봇과 결합되어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지하도관의 보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창 부위를 가진 지하도관 보수용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장치의 내부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장치가 보수 로봇에 결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장치가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창 부위를 가진 지하도관 보수용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팽창 부위를 가진 지하도관 보수용 장치는 주입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팽창 가능한 접촉 몸체(11) 및 접촉 몸체(1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차단 부위(12)를 가진 접촉 모듈(10); 견고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접촉 모듈(10)과 결합되어 기체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 모듈(20); 및 접촉 몸체(11)에 배치된 보수액 주입 유닛(15)을 포함한다.
보수용 장치는 보수 면에 밀착되어 보수액을 주입하는 접촉 모듈(10) 및 접촉 모듈(10)과 결합되어 접촉 모듈(10)을 받쳐주는 베이스 모듈(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촉 모듈(10)은 보수 위치를 포함하는 지하도관의 내부 면에 접촉되어 보수 지점의 둘레 면을 밀폐시킬 수 있다. 베이스 모듈(20)은 접촉 모듈(10)과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예를 들어 보수 로봇과 같은 보수 장비에 결합되어 접촉 모듈(10)을 받쳐주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접촉 모듈(10)은 고무, 실리콘, 엘라스토머 또는 이와 유사한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 기체 압력에 의하여 팽창 가능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접촉 모듈(10)은 전체적으로 사각 판 형상이 되면서 한쪽 면이 지하도관의 내부 면에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접촉 몸체(11); 접촉 몸체(11)의 둘레 면을 따라 형성된 밀폐 벽(141); 밀폐 벽(141)의 안쪽 부분에 밀폐 벽(141)을 따라 폐쇄된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밀폐 테두리(142); 밀폐 벽(141)의 아래쪽 끝 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결합 날개(13); 및 접촉 몸체(11)의 접촉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차단 부위(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촉 몸체(11)의 접촉면은 지하도관의 내부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실린더의 둘레 면의 일부와 유사한 곡면 형상이 될 수 있다. 곡면의 사각 판 유사 형상을 가지는 접촉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밀폐 벽(141)이 형성될 수 있고, 접촉면의 가장자리로부터 분리되어 안쪽 부분에 접촉면의 위쪽으로 돌출되는 밀폐 테두리(142)가 형성될 수 있고, 밀폐 테두리(142)는 사각 고리 형상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면의 가장자리와 밀폐 테두리(142) 사이에 사각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밀폐 벽(141)은 접촉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이후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밀폐 벽(141)의 돌출 높이와 밀폐 테두리(142)의 돌출 높이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밀폐 테두리(142)의 안쪽 부분에 이동 제한 돌기(143a, 143b)가 형성될 수 있고, 이동 제한 돌기(143a, 143b)는 기체 압력에 의하여 접촉면이 보수 지점의 주위에 밀착된 이후 외부 압력 또는 충격에 의하여 접촉면의 접촉 부분이 변경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동 제한 돌기는 밀폐 테두리(142)와 분리되어 접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서로 분리된 L-형상 또는 선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촉면의 중앙 또는 다른 적절한 위치에 구의 일부 형상 또는 볼록 렌즈 형상의 차단 부위(12)가 형성될 수 있다. 차단 부위(12)는 다른 도관이 연결된 부위에서 다른 도관의 입구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주 도관에 연결된 분기 관 또는 가지 관의 입구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차단 부위(12)는 원형의 테두리를 가지면서 접촉면으로부터 위쪽으로 구의 일부 형상 또는 볼록 렌즈의 형상으로 돌출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차단 부위(12)는 접촉 몸체(11)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으로 기체가 주입되면 팽창이 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차단 부위(12)는 접촉 몸체(11)의 다른 부위에 비하여 큰 신축성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접촉 몸체(11)의 다른 부위에 비하여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밀폐 벽(141)의 아래쪽 끝 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결합 날개(13)가 형성될 수 있고, 결합 날개(13)는 사각 띠 형상이 될 수 있다. 사각 띠 형상의 결합 날개(13)를 따라 균일하게 체결 홀(131_1 내지 131_N)이 형성될 수 있고, 체결 홀(131_1 내지 131_N)에 고정 볼트 또는 고정 스크루와 같은 고정 수단이 결합되어 결합 날개(13)가 베이스 모듈(20)의 둘레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접촉 몸체(11)에 보수액 주입 유닛(15)이 결합될 수 있고, 보수액 주입 유닛(15)은 접촉 몸체(11)에 고정되는 주입 몸체(152) 및 주입 몸체(152)에 배치되는 한 쌍의 주입 노즐(15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입 몸체(152)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견고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각 판 형상이 될 수 있다. 주입 노즐(151)의 개수는 보수액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보수액이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지면서 독립적으로 주입되는 경우 한 쌍의 주입 노즐(151)이 배치될 수 있고, 보수액이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상태로 주입되는 경우 하나의 주입 노즐(151)이 설치될 수 있다. 접촉 모듈(10)은 밀폐 벽(141) 및 결합 날개(13)에 의하여 베이스 모듈(20)에 결합될 수 있다.
접촉 모듈(10)의 아래쪽에 베이스 모듈(20)이 결합될 수 있고, 베이스 모듈(20)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이와 유사한 금속 소재 또는 견고한 합성수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베이스 모듈(20)은 접촉 모듈(10)에 대응되는 형상이 될 수 있고, 접촉 모듈(10)과 결합되어 내부에 기체가 수용되어 접촉면을 밀착시키면서 차단 부위(12)를 팽창시킬 수 있는 밀폐된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모듈(20)은 곡면 사각 판 형상의 베이스 몸체(21); 베이스 몸체(21)의 아래쪽 면에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선형 연장 돌기(221, 222); 한 쌍의 선형 연장 돌기(221, 222)의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 탭(23); 및 베이스 몸체(21)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형성된 다수 개의 결합 홀(24_1 내지 24_K)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몸체(21)는 예를 들어 보수 로봇과 같은 보수 설비에 결합될 수 있고, 보수 설비와 결합되는 결합 면은 곡면 형상이 될 수 있다. 선형 연장 돌기(221, 222)는 베이스 몸체(21)의 뒤쪽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선형 연장 돌기(221, 222)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각각의 선형 연장 돌기(221, 222)는 사각 단면 또는 이와 유사한 단면을 가지면서 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선형 연장 돌기(221, 222)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선형 연장 돌기(221, 222)의 사이에 고정 탭(23)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탭(23)은 박스 평상 또는 높이를 가진 사각 판 형상이 될 수 있고, 중앙 부분에 체결 홀(231)이 형성될 수 있다. 선형 연장 돌기(221, 222) 또는 고정 탭(23)은 보수용 장치를 보수 로봇과 같은 보수 설비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선형 연장 돌기(221, 222) 또는 고정 탭(23)의 구조는 보수 로봇 또는 다른 보수 설비에 형성된 고정 수단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베이스 몸체(21)에 보수액 주입 유닛(15)의 주입 노즐에 연결되는 보수액 주입 커넥터(251, 25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 모듈(10)과 베이스 모듈(20)의 사이에 형성되는 밀폐 수용 공간으로 공기와 같은 기체를 주입하는 기체 주입 탭(GT)이 형성될 수 있다. 보수액 주입 커넥터(251, 252) 또는 기체 주입 탭(GT)은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베이스 몸체(21)의 둘레 부분에 다수 개의 결합 홀(24_1 내지 24_K)이 형성될 수 있고, 결합 홀(24_1 내지 24_K)은 체결 홀(131_1 내지 131_N)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홀(24_1 내지 24_K)과 체결 홀(131_1 내지 131_N)이 스크루, 핀 또는 볼트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접촉 모듈(10)과 베이스 모듈(20)이 서로 결합되어 보수용 장치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에 밀폐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수용 공간의 내부로 공기와 같은 기체가 주입되어 접촉 몸체(11)의 접촉 면 또는 차단 부위(12)가 팽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팽창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밀폐 수용 공간은 기밀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밀폐 벽(141)은 베이스 모듈(20)의 위쪽 부분에 개스킷 구조를 가지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장치의 내부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접촉 모듈(10)의 아래쪽에 박스 형상의 제1 서브 수용 부분(17)이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 모듈(20)의 위쪽 부분에 내부 밀폐 벽(26)에 의하여 제2 서브 수용 부분(27)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밀폐 벽(26)은 베이스 몸체(2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 부분(261); 및 수직 부분(261)으로부터 베이스 몸체(21)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평 부분(26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수평 부분(262)의 끝 부분에 베이스 몸체(21)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무리 팁(262a)이 형성될 수 있다. 수평 부분(262)과 베이스 몸체(21) 사이에 결합 갭(G)이 형성될 수 있고, 결합 갭(G)에 밀폐 벽(141)의 아래쪽 부분 또는 결합 날개(13)의 안쪽 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서브 수용 부분(17)과 제2 서브 수용 부분(27)은 서로 결합되어 밀폐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잠금 테두리(29)에 의하여 밀폐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날개(13)의 위쪽에 베이스 몸체(21)와 동일 또는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지면서 잠금 홀(29_1)이 형성된 잠금 테두리(29)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수단이 잠금 홀(29_1), 체결 홀(131_1) 및 결합 홀(24_1)에 체결이 되고, 신축성을 가진 결합 날개(13)가 견고한 소재의 베이스 몸체(21) 및 잠금 테두리(29) 사이에서 압축되어 수용 공간의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보수액 주입 커넥터(251, 252)는 제2 서브 수용 공간(27)의 바닥 면을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고, 이송 튜브에 의하여 주입 노즐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기체 주입 탭과 연결되는 유입 홀(GH)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 홀(GH)을 통하여 주입된 기체에 의하여 접촉 몸체 또는 차단 부위가 팽창될 수 있다. 접촉 모듈(10)과 베이스 모듈(20)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 보수용 장치는 보수 로봇에 장착되어 지하도관의 보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장치가 보수 로봇에 결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수 로봇(RB)에 결합 부재(31)가 형성될 수 있고, 결합 부재(31)의 끝 부분에 형성된 커플러(311)에 작동 실린더(32)가 결합될 수 있다. 작동 실린더(32)의 한쪽 끝에 위치 고정 패드(33)가 결합되고, 작동 실린더(32)의 다른 끝에 결합 유닛(3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 유닛(34)에 형성된 결합 패드(341)에 보수용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패드(341)에 베이스 몸체(21)에 형성된 선형 연장 돌기(221, 222)가 고정되는 고정 홈 및 고정 탭(23)에 형성된 체결 홀(231)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결합 탭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수 로봇(RB)에 결합된 보수용 장치에 의하여 지하도관의 보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장치가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수 로봇의 로봇 몸체(41)는 바퀴와 같은 이동 수단에 의하여 지하도관(MP)의 내부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로봇 몸체(41)의 앞쪽에 결합 부재(31)가 결합되고, 결합 부재(3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작동 실린더(32)가 결합될 수 있다. 작동 실린더(32)의 한쪽에 결합된 위치 고정 패드(33)가 보수 위치와 마주보는 지하도관(MP)의 내부 면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 유닛(34)에 보수용 장치가 결합될 수 있고, 차단 부위(12)는 분기 관(BP)의 입구에 위치할 수 있다. 로봇 몸체(41)에 로봇의 이동을 위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 유닛(42)이 배치되고, 로봇 몸체의 뒤쪽에 다양한 방향을 회전 가능한 카메라 모듈(43)이 배치될 수 있다. 다중 관 모듈(44)의 내부에 보수액 및 기체 주입을 위한 다수 개의 이송 튜브가 배치될 수 있고, 다중 관 모듈(44)은 유도 관(441)을 경유하여 보수용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기와 같은 기체의 주입에 따라 차단 부위(12)에 의하여 분기 관(BP)의 입구가 차단되고, 분기 관(BP)의 둘레 부분이 보수용 장치의 접촉 모듈(10)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이후 보수액이 다중 관 모듈(44)을 통하여 보수 위치로 주입되어 보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장치는 다양한 지하도관의 보수에 적용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팽창 부위를 가진 지하도관 보수용 장치는 가지 관 또는 분기 관과 같이 보수 부위에 연결된 연결 도관을 밀폐시켜 보수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장치는 보수 부위가 기체 팽창 구조에 의하여 밀폐가 되는 것에 의하여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수용 장치는 보수 로봇과 결합되어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지하도관의 보수에 적용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접촉 모듈 11: 접촉 몸체
12: 차단 부위 13: 결합 날개
15: 보수액 주입 유닛 17: 제1 서브 수용 부분
20: 베이스 모듈 21: 베이스 몸체
23: 고정 탭 24_1 내지 24_K: 결합 홀
26: 내부 밀폐 벽 27: 제2 서브 수용 부분
29: 잠금 테두리 29_1: 잠금 홀
31: 결합 부재 32: 작동 실린더
33: 위치 고정 패드 34: 결합 유닛
41: 로봇 몸체 42: 조명 유닛
43: 카메라 모듈 44: 다중 관 모듈
131_1 내지 131_N: 체결 홀 141: 밀폐 벽
142: 밀폐 테두리 143a, 143b: 이동 제한 돌기
151: 주입 노즐 152: 주입 몸체
221, 222: 선형 연장 돌기 231: 체결 홀
251, 252: 보수액 주입 커넥터 261: 수직 부분
262: 수평 부분 262a: 마무리 팁
311: 커플러 341: 결합 패드
441: 유도 관 BP: 분기 관
G: 결합 갭 GH: 유입 홀
GT: 기체 주입 탭 MP: 지하도관
RB: 보수 로봇

Claims (4)

  1. 주입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팽창 가능하고 한쪽 면이 지하도관의 내부 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곡면 형상의 접촉면을 가지는 접촉 몸체(11) 및 접촉 몸체(1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차단 부위(12)를 가진 접촉 모듈(10);
    견고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접촉 모듈(10)과 결합되어 기체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 모듈(20); 및
    접촉 몸체(11)에 배치된 보수액 주입 유닛(15)을 포함하고,
    차단 부위(12)는 전체적으로 볼록 렌즈 형상이 되면서 접촉 몸체(11)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큰 신축성을 가지며,
    접촉 모듈(10)은 접촉 몸체(11)의 둘레 면을 따라 형성된 밀폐 벽(141); 밀폐 벽(141)의 안쪽 부분에 밀폐벽(141)을 따라 폐쇄된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밀폐 테두리(142) 및 밀폐 벽(141)의 아래쪽 끝 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결합 날개(13)를 더 포함하고, 밀폐 테두리(142)와 분리되어 접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서로 분리된 L-형상 또는 선형 구조로 형성되는 이동 제한 돌기(143a, 143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부위를 가진 지하도관 보수용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 모듈(20)의 바깥쪽 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한 쌍의 선형 연장 돌기(221, 222) 및 한 쌍의 선형 연장 돌기(221, 222)의 사이에 배치된 고정 탭(23)을 더 포함하는 팽창 부위를 가진 지하도관 보수용 장치.
KR1020180165880A 2018-12-20 2018-12-20 팽창 부위를 가진 지하도관 보수용 장치 KR102105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880A KR102105308B1 (ko) 2018-12-20 2018-12-20 팽창 부위를 가진 지하도관 보수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880A KR102105308B1 (ko) 2018-12-20 2018-12-20 팽창 부위를 가진 지하도관 보수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308B1 true KR102105308B1 (ko) 2020-05-04

Family

ID=70732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880A KR102105308B1 (ko) 2018-12-20 2018-12-20 팽창 부위를 가진 지하도관 보수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3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821B1 (ko) 2006-01-06 2006-06-12 모악개발 주식회사 균일 팽창이 가능한 패커를 구비하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KR20100027768A (ko) 2008-09-03 2010-03-11 쌍용건설 주식회사 패커를 이용한 비굴착식 하수관로 보수 장치 및 방법
KR20170130696A (ko) * 2016-05-19 2017-11-29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하수관 보수용 가지 관 밀폐 팩 및 이를 가진 하수관 보수 장치
KR20180037165A (ko) * 2018-04-02 2018-04-11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하수관 자동 보수 로봇 장치 및 그에 의한 하수관 보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821B1 (ko) 2006-01-06 2006-06-12 모악개발 주식회사 균일 팽창이 가능한 패커를 구비하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KR20100027768A (ko) 2008-09-03 2010-03-11 쌍용건설 주식회사 패커를 이용한 비굴착식 하수관로 보수 장치 및 방법
KR20170130696A (ko) * 2016-05-19 2017-11-29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하수관 보수용 가지 관 밀폐 팩 및 이를 가진 하수관 보수 장치
KR20180037165A (ko) * 2018-04-02 2018-04-11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하수관 자동 보수 로봇 장치 및 그에 의한 하수관 보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00538A1 (zh) 无人船载管线维修夹具
KR102105308B1 (ko) 팽창 부위를 가진 지하도관 보수용 장치
JP2008069831A (ja) 管接続部材を分岐部から取り外すための弁装置及びその取外方法
CN106015784B (zh) 无人船载管线连接器
CN207437963U (zh) 玻璃钢顶管接头试压装置
KR102320922B1 (ko) 지하도관 보수용 패커 장치
KR20130100435A (ko) 선체블록의 기밀시험용 막음지그
CN219319673U (zh) 一种无压管道闭水试验装置
JP6426892B2 (ja) 弁体撤去装置及び弁体撤去方法
CN103591290A (zh) 改进的复合式密封圈
CN204201368U (zh) 一种胶囊式油管断口封堵器
JP2016161083A (ja) 作業用治具
CN204533956U (zh) 一种哈夫节
KR20090001795U (ko) 가스켓 홈이 형성된 배관의 메탈링
CN113154151A (zh) 市政给排水用管道连接结构
KR101836447B1 (ko) 수밀성이 향상된 맨홀
JP5404191B2 (ja) 排水枡の補修方法及び補修枡
RU262781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монта изгибных участков трубопровода (варианты)
CN220016450U (zh) 一种便于安装的插式法兰
CN105526464A (zh) 一种胶囊式油管断口封堵器及输油管道断口快速封堵方法
CN205479962U (zh) 管道修补器组件及管卡组件
JP2008185042A (ja) 配管の管台支持部の補修方法
CN213917945U (zh) 一种新型管道承插连接夹具
KR20170130696A (ko) 하수관 보수용 가지 관 밀폐 팩 및 이를 가진 하수관 보수 장치
CN219013688U (zh) 一种管道非开挖修复内置套管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