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176B1 -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증기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증기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176B1
KR102105176B1 KR1020190019782A KR20190019782A KR102105176B1 KR 102105176 B1 KR102105176 B1 KR 102105176B1 KR 1020190019782 A KR1020190019782 A KR 1020190019782A KR 20190019782 A KR20190019782 A KR 20190019782A KR 102105176 B1 KR102105176 B1 KR 102105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fiber membrane
membrane member
temperature fluid
vacuum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주
김민수
박찬우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9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36Pervaporation; Membrane distillation; Liquid permeation
    • B01D61/364Membrane disti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membrane distil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증기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의 중공사막부재 내부를 이동하는 유체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증기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증기 교환장치는, 내부에 진공실이 형성된 중공 기둥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내부에 고온유체가 이동하는 제1중공사막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내부에 저온유체가 이동하는 제2중공사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이격되면서 상기 진공실에 의해 상호 이격되고,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와 제2중공사막부재는 수증기가 투과하는 소수성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의 내부와 상기 진공실 상호간의 증기압차에 의해 상기 고온유체에서 발생되어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를 투과한 후 상기 진공실로 이동한 수증기는, 상기 진공실과 제2중공사막부재 내부 상호간의 증기압차에 의해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를 투과한 후 상기 저온유체에 흡수되어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증기 교환장치 { VAPOR EXCHANGER USING HYDROPHOBIC HOLLOW FIBER MEMBRANE }
본 발명은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증기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의 중공사막부재 내부를 이동하는 유체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증기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막 증류법은, 처리수 중 수증기만을 투과하는 소수성 다공질막을 이용하여, 가온된 원수(고온수)로부터, 포화수증기압차에 의해 소수성 다공질막을 통과한 수증기를 응축시켜, 증류수를 얻는 방법이다.
막 증류법은, 원수에 압력을 가하여 역침투막으로 여과하여 정제수를 얻는 역침투법과 비교하여, 고압을 필요로 하지 않아, 동력에너지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막 증류법은, 염분 등의 불휘발성의 용질의 분리 성능이 매우 높기 때문에, 고순도의 물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종래에는 이러한 막 증류법을 이용하여 해수에서 수증기를 추출하여 담수화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은 모두 고온유체에서 발생된 수증기만을 별도로 수집하도록 되어 있어, 수증기의 배출 및 유입에 의해 유체의 농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지 못한다.
공개특허 10-2017-0008871 등록특허 10-167976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중공사막 내부를 이동하는 고온유체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저온유체로 흡수시키면서 저온유체와 함께 이동시켜 고온유체와 저온유체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증기 교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증기 교환장치는, 내부에 진공실이 형성된 중공 기둥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내부에 고온유체가 이동하는 제1중공사막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내부에 저온유체가 이동하는 제2중공사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이격되면서 상기 진공실에 의해 상호 이격되고,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와 제2중공사막부재는 수증기가 투과하는 소수성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의 내부와 상기 진공실 상호간의 증기압차에 의해 상기 고온유체에서 발생되어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를 투과한 후 상기 진공실로 이동한 수증기는, 상기 진공실과 제2중공사막부재 내부 상호간의 증기압차에 의해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를 투과한 후 상기 저온유체에 흡수되어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의 외주면 및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진공실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의 내부를 이동하는 고온유체는 고농도이고,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의 내부를 이동하는 저온유체는 저농도이되, 상기 고온유체에서 상기 진공실을 거쳐 상기 저온유체로 이동하는 수증기에 의해 상기 고온유체의 농도는 초기농도보다 더 낮아지고 상기 저온유체의 농도는 초기농도보다 더 높아진다.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의 내부를 이동하는 고온유체는 저농도이고,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의 내부를 이동하는 저온유체는 고농도이되, 상기 고온유체에서 상기 진공실을 거쳐 상기 저온유체로 이동하는 수증기에 의해 상기 고온유체의 농도는 초기농도보다 더 높아지고 상기 저온유체의 농도는 초기농도보다 더 낮아진다.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의 내부를 이동하는 고온유체와,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의 내부를 이동하는 저온유체는 동일 농도이되, 상기 고온유체에서 상기 진공실을 거쳐 상기 저온유체로 이동하는 수증기에 의해 상기 고온유체의 농도는 초기농도보다 더 낮아지고 상기 저온유체의 농도는 초기농도보다 더 높아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증기 교환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온유체가 이동하는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의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상기 진공실을 거쳐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의 내부를 이동하는 저온유체에 흡수되어 저온유체와 함께 이동하게 됨으로써, 고온유체와 저온유체의 농도를 변화시켜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증기 교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평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을 취하여 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증기 교환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증기 교환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제1중공사막부재(20)와, 제2중공사막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진공실(11)이 형성된 중공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는 전체적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장착된다.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의 내부에는 고온유체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30)는 전체적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장착되며,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30)의 내부에는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의 내부를 이동하는 고온유체보다 온도가 낮은 저온유체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와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30)는 다수개의 중공사막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고, 다수개의 중공사막의 양단을 별도의 클램프 등으로 가압하여 고정 결합시킨다.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의 외주면과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30)의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과 이격되면서 상기 진공실(11)에 의해 상호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의 외주면 및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30)의 외주면은 상기 진공실(11)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와 제2중공사막부재(30)는 수증기가 투과하는 소수성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와 제2중공사막부재(30) 내부를 통하는 액체는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와 제2중공사막부재(30)가 소수성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와 제2중공사막부재(30)를 투과하지 못하고, 수증기만이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와 제2중공사막부재(30)를 투과하게 된다.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의 내부에 고온유체가 이동하고,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30)의 내부에 저온유체가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의 내부에는 고온유체에 의해 수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의 내부와 상기 진공실(11) 상호간의 증기압차에 의해,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 내부에 존재하는 수증기는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를 투과한 후 상기 진공실(11)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실(11)에 수증기가 어느 정도 이상 충진되게 되면, 상기 진공실(11)과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30) 내부 상호간의 증기압차에 의해 상기 진공실(11)에 존재하는 수증기는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30)를 투과한 후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30) 내부를 이동하는 상기 저온유체에 흡수되어 상기 저온유체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고온유체가 이동하는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의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상기 진공실(11)을 거쳐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30)의 내부를 이동하는 저온유체에 흡수되어 저온유체와 함께 이동하게 됨으로써, 고온유체와 저온유체의 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와 제2중공사막부재(30)가 상기 진공실(11)에 의해 상호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 내부를 이동하는 고온유체와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30) 내부를 이동하는 저온유체의 열교환이 상기 진공실(11)에 의해 차단되어,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수증기가 보다 장시간 효과적으로 저온유체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와 제2중공사막부재(30)의 둘레를 상기 진공실(11)이 감싸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증기가 상기 진공실(11)로 보다 많이 투과될 수 있고, 또한 진공실(11)에 존재하는 수증기가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30)의 내부로 보다 많이 투과될 수 있다.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의 내부를 이동하는 고온유체가 고농도이고,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30)의 내부를 이동하는 저온유체는 저농도인 경우, 상기 고온유체에서 상기 진공실(11)을 거쳐 상기 저온유체로 이동하는 수증기에 의해 상기 고온유체의 농도는 초기농도보다 더 낮아지고 상기 저온유체의 농도는 초기농도보다 더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의 내부를 이동하는 고온유체가 저농도이고,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30)의 내부를 이동하는 저온유체가 고농도인 경우, 상기 고온유체에서 상기 진공실(11)을 거쳐 상기 저온유체로 이동하는 수증기에 의해 상기 고온유체의 농도는 초기농도보다 더 높아지고 상기 저온유체의 농도는 초기농도보다 더 낮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20)의 내부를 이동하는 고온유체와,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30)의 내부를 이동하는 저온유체의 농도가 동일한 경우, 상기 고온유체에서 상기 진공실(11)을 거쳐 상기 저온유체로 이동하는 수증기에 의해 상기 고온유체의 농도는 초기농도보다 더 낮아지고 상기 저온유체의 농도는 초기농도보다 더 높아지게 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주스 등의 액체의 농도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증기 교환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하우징, 11 : 진공실,
20 : 제1중공사막부재,
30 : 제2중공사막부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내부에 진공실이 형성된 중공 기둥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내부에 고온유체가 이동하는 제1중공사막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내부에 저온유체가 이동하는 제2중공사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이격되면서 상기 진공실에 의해 상호 이격되고,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와 제2중공사막부재는 수증기가 투과하는 소수성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의 내부와 상기 진공실 상호간의 증기압차에 의해 상기 고온유체에서 발생되어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를 투과한 후 상기 진공실로 이동한 수증기는, 상기 진공실과 제2중공사막부재 내부 상호간의 증기압차에 의해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를 투과한 후 상기 저온유체에 흡수되어 함께 이동하며,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의 외주면 및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진공실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의 내부를 이동하는 고온유체는 고농도이고,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의 내부를 이동하는 저온유체는 저농도이며,
    상기 고온유체에서 상기 진공실을 거쳐 상기 저온유체로 이동하는 수증기에 의해 상기 고온유체의 농도는 초기농도보다 더 낮아지고 상기 저온유체의 농도는 초기농도보다 더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증기 교환장치.
  4. 내부에 진공실이 형성된 중공 기둥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내부에 고온유체가 이동하는 제1중공사막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내부에 저온유체가 이동하는 제2중공사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이격되면서 상기 진공실에 의해 상호 이격되고,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와 제2중공사막부재는 수증기가 투과하는 소수성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의 내부와 상기 진공실 상호간의 증기압차에 의해 상기 고온유체에서 발생되어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를 투과한 후 상기 진공실로 이동한 수증기는, 상기 진공실과 제2중공사막부재 내부 상호간의 증기압차에 의해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를 투과한 후 상기 저온유체에 흡수되어 함께 이동하며,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의 외주면 및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진공실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의 내부를 이동하는 고온유체는 저농도이고,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의 내부를 이동하는 저온유체는 고농도이며,
    상기 고온유체에서 상기 진공실을 거쳐 상기 저온유체로 이동하는 수증기에 의해 상기 고온유체의 농도는 초기농도보다 더 높아지고 상기 저온유체의 농도는 초기농도보다 더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증기 교환장치.
  5. 내부에 진공실이 형성된 중공 기둥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내부에 고온유체가 이동하는 제1중공사막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내부에 저온유체가 이동하는 제2중공사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이격되면서 상기 진공실에 의해 상호 이격되고,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와 제2중공사막부재는 수증기가 투과하는 소수성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의 내부와 상기 진공실 상호간의 증기압차에 의해 상기 고온유체에서 발생되어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를 투과한 후 상기 진공실로 이동한 수증기는, 상기 진공실과 제2중공사막부재 내부 상호간의 증기압차에 의해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를 투과한 후 상기 저온유체에 흡수되어 함께 이동하며,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의 외주면 및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진공실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제1중공사막부재의 내부를 이동하는 고온유체와, 상기 제2중공사막부재의 내부를 이동하는 저온유체는 동일 농도이고,
    상기 고온유체에서 상기 진공실을 거쳐 상기 저온유체로 이동하는 수증기에 의해 상기 고온유체의 농도는 초기농도보다 더 낮아지고 상기 저온유체의 농도는 초기농도보다 더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증기 교환장치.
KR1020190019782A 2019-02-20 2019-02-20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증기 교환장치 KR102105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782A KR102105176B1 (ko) 2019-02-20 2019-02-20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증기 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782A KR102105176B1 (ko) 2019-02-20 2019-02-20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증기 교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176B1 true KR102105176B1 (ko) 2020-04-27

Family

ID=70467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782A KR102105176B1 (ko) 2019-02-20 2019-02-20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증기 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1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2508A1 (en) * 2022-02-11 2023-08-17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r combination of fluid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2030A (ja) * 2013-05-13 2014-11-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濃度差発電装置及び複合発電装置
KR20160074200A (ko) * 2014-12-18 2016-06-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막 증류용 분리막 모듈 장치
KR101679766B1 (ko) 2015-05-19 2016-11-25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막증류에 의한 담수 제조장치
KR20170008871A (ko) 2014-07-10 2017-01-24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막 증류 장치 및 소수성 다공질막
KR20170087986A (ko) * 2016-01-21 2017-08-0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증류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2030A (ja) * 2013-05-13 2014-11-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濃度差発電装置及び複合発電装置
KR20170008871A (ko) 2014-07-10 2017-01-24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막 증류 장치 및 소수성 다공질막
KR20160074200A (ko) * 2014-12-18 2016-06-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막 증류용 분리막 모듈 장치
KR101679766B1 (ko) 2015-05-19 2016-11-25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막증류에 의한 담수 제조장치
KR20170087986A (ko) * 2016-01-21 2017-08-0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증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2508A1 (en) * 2022-02-11 2023-08-17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r combination of fluids
WO2023152511A1 (en) * 2022-02-11 2023-08-17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Method and apparatus for mineral extra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nsekizoglu Membrane distillation: principle, advances, limitations and future prospects in food industry
WO2015080125A1 (ja) 膜蒸留モジュールおよび排水処理装置
KR101605535B1 (ko) 응축장치가 결합된 막 증류 수처리 장치
KR102105176B1 (ko)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증기 교환장치
EP0207951A1 (en) OSMOTIC CONCENTRATION BY MEMBRANE.
US20140174998A1 (en) Filtration assembly including multiple modules sharing common hollow fiber support
KR101524225B1 (ko) 막 증류용 분리막 모듈
JP6724124B2 (ja) 正浸透性能が改善されたメンブレン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溶液分離方法
CN103964526A (zh) 一种太阳能微聚光毛细蒸发海水淡化膜
JPH0140641B2 (ko)
KR20150004881A (ko) 정화수를 얻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519478B1 (ko) 진공관과 냉각채널이 결합된 막 증류 수처리 장치
KR102105349B1 (ko) 이중 분리막을 이용한 수증기 교환장치
KR101330175B1 (ko) 중공섬유 분리막 모듈
JPS63182004A (ja) 水溶液の濃縮装置
EA031763B1 (ru) Способ деминерализации растворов
KR101679768B1 (ko) 막증류에 의한 담수 제조장치
JP2013202580A (ja) 中空糸膜の透水性能の評価方法
KR20160133253A (ko) 배플을 포함하는 막증류용 분리막 모듈
KR101576804B1 (ko) 다중 냉각수유로가 구비된 중공사막 모듈 그리고 이를 이용한 막증류 장치 및 방법
US41535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solvent from solute
SU585855A1 (ru)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рулонного типа
CN202803119U (zh) 聚四氟乙烯筒式平板膜蒸馏器
KR101584117B1 (ko) 중공사막 모듈
KR20190113216A (ko) 막 젖음이 발생된 막 증류 모듈용 분리막의 성능 회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