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047B1 - Apparatus for preventing rainwater inflow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eventing rainwater inf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047B1
KR102105047B1 KR1020120148148A KR20120148148A KR102105047B1 KR 102105047 B1 KR102105047 B1 KR 102105047B1 KR 1020120148148 A KR1020120148148 A KR 1020120148148A KR 20120148148 A KR20120148148 A KR 20120148148A KR 102105047 B1 KR102105047 B1 KR 102105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uoyancy body
inflow
mounting spa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1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28305A (en
Inventor
정운익
김정호
Original Assignee
레인보우스케이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인보우스케이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레인보우스케이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28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3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0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 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중 호우나 홍수 등으로 인해 물이 구조물로 유입될 우려가 있는 경우 유입되는 물에 의해 부력체가 자동 상승하여 유입되는 물을 자동 차단하도록 하는 빗물 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빗물 유입 방지장치는 구조물의 입구에 서로 간격을 두고 2개의 지주가 설치되고, 지주 앞쪽에 위치하는 바닥면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장착공간에는 부력체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부력체의 배면에는 부력체가 상승할 때 두 지주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기 위한 물 차단부이 설치되어, 장착공간 안에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 부력체가 부력에 의해서 상승하고 물 차단부이 지주 사이의 공간을 차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rainwater inflow, and more specifically, whe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water may flow into a structure due to heavy rain or flood, the buoyant body is automatically raised by the incoming water to automatically block the incoming water. It relates to a rain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n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is provided with two stru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entrance of the structure, a mounting space is formed on the floor surface located in front of the strut, and a buoyancy body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space so as to be able to elevate. When the buoyancy body rises, a water blocking unit is provided to block the space between the two pillars. When rainwater flows into the mounting space, the buoyancy body rises by buoyancy and the water blocking unit blocks the space between the pillars.

Description

빗물 유입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RAINWATER INFLOW}Rain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APPARATUS FOR PREVENTING RAINWATER INFLOW}

본 발명은 빗물 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중 호우나 홍수 등으로 인해 물이 구조물로 유입될 우려가 있는 경우 유입되는 물에 의해 부력체가 자동 상승하여 유입되는 물을 자동 차단하도록 하는 빗물 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rainwater inflow, and more specifically, whe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water may flow into a structure due to heavy rain or flood, the buoyant body is automatically raised by the incoming water to automatically block the incoming water. It relates to a rain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일반적으로 저지대에 밀집되어 주택가의 지하주택 및 지하상가, 공장 등과 같은 곳에서는 매년 장마철이면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피해가 우려되어 이에 신속한 대처가 요구되고 있다.In general, in places such as underground houses, underground shopping centers, factories, etc., which are concentrated in low-lying areas, there is concern about flood damage caused by heavy rains during the rainy season every year, so prompt action is required.

특히, 우리나라 기후의 특성상 여름철 홍수기(7월 ~ 8월경)에 집중적인 호우가 쏟아져 많은 침수피해를 주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대규모의 택지조성, 도로건설 등과 같이 유역 내의 치밀한 도시계획 없이 개발된 시가지화 증대 등으로 물의 집중현상이 크게 변화되어 예상되지 않았던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In particular, due to the nature of the climate in Korea, heavy rains are pouring into the summer flood season (around July to August), causing a lot of flooding, and in recent years, urban areas developed without detailed urban planning within the watershed, such as large-scale housing site construction and road construction. Due to the possibility of unexpected damage due to the significant change in water concentration due to the increase, preparation for this is urgently required.

따라서, 이와 같이 저지대 주택가의 지하주택 또는 지하상가, 공장 등과 같은 곳에서는 이러한 침수피해를 조기에 방지하기 위한 신속한 대처가 요구되고 있는데, 종래의 경우에는 빗물이 집중적으로 유입될 우려가 있는 지하층의 계단출입구에 통상적인 부대를 사용하여 속에 모래나 자갈 또는 흙 등을 담아 봉합한 다음, 이를 빗물이 유입되는 지점에 쌓아 빗물의 유입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작업은 작업의 특성상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작업이 직접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많은 인력과 시간을 소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such low-rise residential areas, underground houses, underground shopping malls, factories, etc., there is a need for prompt action to prevent such flooding early, and in the conventional case, stairs in the basement floor where rainwater may be concentrated. Using a conventional bag at the entrance, the sand, gravel, or soil is sealed and sealed, and then it is stacked at the point where rainwater flows to prevent the inflow of rainwater as much as possible. Not only that, but most of the work has to be done through the manual work of the worker, so there wa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manpower and time.

특허 등록 제10-1124456호에는, 양측으로 소정거리의 이격을 두고 세워지는 구조물의 전면이나 내측 면에 고정되고,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고정 브래킷과;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양측에는 연결고리공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 고리공이 양측 고정 브래킷의 연결고리에 끼워지는 플렉시블 방수 판;을 포함하는 침수방지 설치구조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registration No. 10-1124456, fixed brackets are fixed to the front or inner surface of the structure erected at a distance of a predetermined distance on both sides, the connection ring is formed; It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 connection ring hole is formed on both sides, the flexible ring is fitted to the connection ring of the fixing brackets on both sides; there is disclosed an intrusion prevention installation structure comprising a.

그러나 종래 침수방지 설치구조는 사용자가 잠든 한밤중이나 새벽에 집중호우 또는 홍수가 발생하는 경우에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 지면위로 돌출되어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inundation prevention installation structure has a disadvantage that it cannot be used when a heavy rain or flood occurs in the middle of the night or at dawn when the user falls asleep, and when not in u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protrudes over the ground and interferes with traffic.

특히 대형 홍수가 발생할 경우, 종래 설치 구조상의 문제점으로 적시에 대처하지 못하여 피해를 키우는 문제점도 있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large floo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unable to cope in a timely manner due to problems with the conventional installation structure.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집중 호우나 홍수 등으로 인해 구조물 내로 물이 유입될 우려가 있는 경우 자동으로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빗물 유입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when there is a fear that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structure due to heavy rain or flood, a rain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block the inflow of water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상시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빗물 유입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in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normal traffic.

본 발명 빗물 유입 방지장치는, 구조물의 입구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주; 지주의 앞쪽 바닥면을 파내어 형성되는 장착공간; 및 장착공간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장착공간 내로 물이 유입될 때 발생되는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지주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부력체;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preventing rainwater in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llar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t an entrance of a structure; A mounting space formed by digging the front bottom surface of the prop; And a buoyancy body that is installed to be elevated in the mounting space and is raised by buoyancy generated when water flows into the mounting space to block the space between the pillars.

본 발명 빗물 유입 방지장치는, 장착공간 내에서 부력체의 아래에 설치되어 장착공간의 바닥에 대하여 부력체를 지지하고 부력체와 함께 지주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지지막을 더 포함한다.The apparatus for preventing rainwater in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upport film installed below the buoyancy body in the installation space to support the buoyancy body against the bottom of the installation space and to block the space between the pillars together with the buoyancy body.

장착공간의 내측 벽면에는 가이드 돌기가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부력체의 측면에는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가이드가 구비되어, 부력체는 가이드 돌기를 따라 승강된다.A guide protrusion is formed vertically long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and a guide having a groove into which the guide protrusion is inserted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uoyancy body, and the buoyancy body is elevated along the guide protrusion.

지주의 전면에는 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앵글이 상하로 길게 설치되며, 부력체의 배면에는 부력체 상승시 앵글의 앞부분에 접촉되어 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물 차단부가 구비된다.An angle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water is installed up and down on the front side of the prop, and a water blocking unit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to contact the front of the angle when the buoyancy body rises to block the inflow of water.

앵글의 가장자리는 경사면을 형성하며, 물 차단부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앵글의 경사면에 접촉되는 시일시트가 각각 구비된다.The edge of the angle forms an inclined surface, and seal sheets contacti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angle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dges of the water blocking portion to prevent inflow of water.

장착공간의 하부에는 장착공간 내의 물을 외부로 드레인시키기 위한 드레인 라인이 연결된다.A drain line for draining water in the mounting space to the outside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space.

본 발명 빗물 유입 방지장치는, 장착공간의 앞쪽 바닥면을 파내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의 물 유입 면적을 확장하여 물 유입을 개선하기 위한 물 유입 확장공간을 더 포함하며, 물 유입 확장공간은 장착공간과 연결된다.The apparatus for preventing rainwater in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digging the front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and further includes a water inflow expansion space for improving water inflow by expanding the water inflow area from the outside. Connected.

본 발명 빗물 유입 방지장치는, 물 유입 확장공간의 입구에 설치되며 물이 유입되는 홀들이 형성된 물 유입 뚜껑을 더 포함한다.The apparatus for preventing rainwater in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ater inflow cap formed at an inlet of the water inflow expansion space and formed with holes through which water flows.

물 유입 확장공간 내에서 물 유입 뚜껑의 하방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물을 걸러주는 오물걸름부재가 구비된다.In the water inlet expansion space, a filth filter member is provided below the water inlet cap to filter out filth from the outside.

부력체의 전면에는 부력체의 높이를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복수 개의 높이 조절홈이 상하로 이격 형성되고, 높이 조절홈 안에 높이 조절바를 삽입시켜서 부력체의 높이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On the front of the buoyancy body, a plurality of height adjustment grooves for manual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uoyancy body are spaced up and down, and a height adjustment bar is inserted into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to manually adjust the height of the buoyancy body.

본 발명 빗물 유입 방지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According to the rain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집중 호우나 홍수 등으로 인해 다량의 물이 구조물 내로 유입되는 경우 유입되는 물에 의해 구조물의 입구에 설치된 부력체가 자동으로 상승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구조물의 입구를 통한 물의 유입을 자동 차단할 수 있다.First, when a large amount of water flows into the structure due to heavy rain or flood, the buoyant body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structure is automatically raised by the incoming water to automatically block the inflow of water through the structure entrance.

둘째, 부력체의 설치를 위해 바닥에 형성되는 장착공간 앞에 물 유입면적을 확장하여 물 유입을 개선하기 위한 물 유입 확장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다량의 물이 한꺼번에 장착공간 내로 유입되므로 부력체의 부력이 향상되어 부력체가 단시간 내에 자동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물의 유입 차단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다량의 물이 한꺼번에 밀려드는 경우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Second, the buoyancy of the buoyant body is caused by a large amount of water flowing into the mounting space at once by expanding the water inlet area in front of the installation space formed on the floor for the installation of the buoyant body to form a water inlet expansion space to improve the water inflow. Since it is improved, the buoyancy body can automatically rise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thereby increasing the effect of blocking the inflow of water. This structure can be effectively applied when a large amount of water is pushed all at once.

셋째, 부력체를 통해 다량의 물을 차단하고, 부력체와 지주 사이의 틈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물 차단부, 앵글 및 시일시트를 통해 차단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물의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Third, a large amount of water is blocked through the buoyant body, and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buoyant body and the prop is made to be blocked through the water blocking portion, angle and seal sheet, thereby completely blocking the inflow of water.

넷째, 평상시 부력체는 자중에 의해 장착공간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통행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다.Fourth, the buoyancy body is normal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by its own weight, and thus does not interfere with traffic at all.

다섯째, 수동으로 부력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홈과 높이 조절바를 구비함으로써, 빗물의 양 등을 고려하여 사전에 부력체의 높이를 수동으로 높일 수 있다.Fifth, by providing a height adjustment groove and a height adjustment bar to manually adjust the height of the buoyancy body, it is possible to manually increase the height of the buoyancy body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rain water and the like.

여섯째, 물 유입 확장공간의 입구에 물 유입 뚜껑을 구비함으로써, 평상시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오물 등의 유입이 1차적으로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Sixth, by providing a water inlet cap at the inlet of the water inlet expansion spac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flow of dirt and the like is primarily blocked without impeding normal traffic.

일곱째, 물 유입 확장공간 내에서 물 유입 뚜껑의 하방에 오물걸름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평상시 물 유입 뚜껑을 통해 유입되는 오물을 걸러줄 수 있고, 빗물 유입과 함께 유입되는 오물도 효과적으로 걸려줄 수 있다.Seventh, by providing a filth catching member under the water inlet cap in the water inlet expansion space, it is possible to normally filter out the filth that flows through the water immersion lid, and also effectively filth the inflow with rainwater inflow.

여덟째, 장착공간의 하부에 유입되는 물의 일부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라인을 구비함으로써, 장착공간 내로 지나치게 많은 양의 물이 유입되는 경우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부력체가 하강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도록 장착공간 내에 잔류하는 물도 효율적으로 배수할 수 있다.Eighth, by providing a drain line for draining a part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space, when an excessive amount of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mounting space, the amount of water can be adjusted, and the mounting space is not affected by the buoyant body descending. The water remaining inside can also be drained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빗물 유입 방지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서 빗물 유입시 빗물 차단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제1실시예에서 평상시 부력체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제1실시예에서 빗물 유입시 부력체가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빗물 유입 방지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빗물 유입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제3실시예에서 평상시 부력체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제3실시예에서 빗물 유입으로 부력체가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n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rainwater blocking structure when the rainwater flows in the first embodiment.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body is normally lowered in the first embodiment.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body rises when rainwater flows in the first embodiment.
Figure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ure 5;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rain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n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body is normally lowered in the third embodiment.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uoyancy body rises due to rainwater inflow in the third embodiment.

이하에서 본 발명 빗물 유입 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rainwater inflow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빗물 유입 방지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제1실시예에서 빗물 유입시 빗물 차단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preventing rainwater inflo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rainwater blocking structure when rainwater is introduced in the firs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빗물 유입 방지장치는 주택가의 지하주택, 지하상가, 공장 등과 같은 구조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주(10), 장착공간(20), 가이드돌기(30), 부력체(40), 지지막(50), 물 차단부(60), 앵글(70), 시일 시트(80)를 포함한다.Rain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for preventing rainwater from entering into a structure such as an underground house, an underground shopping mall, a factory, etc., a prop 10, a mounting space 20, a guide projection 30, It includes a buoyancy body 40, a support film 50, a water blocking portion 60, an angle 70, and a seal sheet 80.

지주(10)는 구조물의 입구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된다. 지주(10)에는 벽체(W)가 연결될 수 있으며, 벽체(W)는 일정높이로 축조되므로 빗물의 유입이 차단된다. 지주(10) 사이는 사람의 통행이나 물건의 반입, 반출을 위해 개방되므로 집중 호우나 홍수 등으로 인해 빗물 등이 지주(10)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The posts 10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t the entrance of the structure. A wall (W)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10), and the wall (W) is built to a certain height so that the inflow of rainwater is blocked. Between the holdings 10, it is opened for the passage of people or bringing in and taking out objects, so rainwater or the like may flow between the holdings 10 due to heavy rain or flooding.

장착공간(20)은 내부에 부력체(40)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구조물의 입구 바깥쪽 즉, 지주(10)의 앞쪽 바닥면(F)을 파내어 형성된다. 장착공간(20)이 형성되는 바닥면은 콘크리트바닥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흙바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장착공간(20)의 하부에는 장착공간(20) 내부로 유입된 빗물의 일부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라인(21)이 형성된다. 드레인 라인(21)은 장착공간(20) 내로 지나치게 많은 양의 물이 유입되는 경우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부력체(40)가 하강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도록 장착공간(20) 내에 잔류하는 물도 효율적으로 배수할 수 있다.The mounting space 20 is a buoyancy body 40 installed therein to be able to elevate, and is formed by digging the front bottom surface F of the outside of the structure, that is, the pillar 10. The floor surface on which the mounting space 20 is formed may be formed of a concrete floor or a soil floor. A drain line 21 for draining a portion of rainwater flowing into the mounting space 20 is formed under the mounting space 20. The drain line 21 can control the amount of water when an excessive amount of water flows into the mounting space 20, and the water remaining in the mounting space 20 is also efficient so that the buoyancy body 4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escent. Can drain.

가이드돌기(30)는 장착공간(20)의 내부 양측면에 각각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부력체(40)의 승강을 가이드한다. 가이드돌기(30)로 인해 부력체(40)가 흔들림없이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다.The guide projections 3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mounting space 20 up and down, respectively, to guide the lifting of the buoyancy body 40. Due to the guide projection 30, the buoyancy body 40 can be smoothly elevated without shaking.

부력체(40)는 장착공간(20)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물이 장착공간(20) 내로 유입될 때 부력에 의해 상승한다. 부력체(40)의 소재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가벼운 재질, 예컨대 합성수지, 스티로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부력체(40)의 양측면에는 가이드돌기(30)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가이드(41)가 각각 상하로 길게 구비된다. 가이드(41)의 길이는 부력체(4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므로 경우에 따라 부력체(40)가 바닥면(F) 위까지 상승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buoyancy body 40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elevate in the mounting space 20 and rises by buoyancy when water flows into the mounting space 20. As the material of the buoyancy body 40, a light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water may be used, for example, synthetic resin or styrofoam.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uoyancy body 40, guide guides 30 are formed with grooves into which the guide protrusions 30 are slidably inserted, respectively. Since the length of the guide 41 is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uoyancy body 40,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buoyancy body 40 rises to the top of the floor F in some cases.

지지막(50)은 장착공간(20)의 내부에서 바닥면에 대하여 부력체(40)를 탄성 지지한다. 지지막(50)은 자체에 탄성력을 가지되, 평상시에는 부력체(40)의 자중에 의해 눌려 하강하면서 부력체(40)가 하강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장착공간(20) 내로 물이 유입되어 부력이 발생할 경우 부력체(40)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이 줄어들기 때문에 지지막(50)은 부력체(40)와 함께 상승하여 부력체(40)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지지막(50)으로는 고무판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지지막(50)은 부력체(40)가 바닥면(F) 위까지 상승하는 경우 지주(10) 사이를 가려주는 가림막의 역할을 하여 부력체(40)와 함께 지주(10)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지주(10) 사이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해준다.The support film 50 elastically supports the buoyancy body 40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inside the mounting space 20. The support film 50 has an elastic force on itself, and is normally pressed by the self-weight of the buoyancy body 40 while descending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buoyancy body 40 descends, and water flows into the mounting space 20 When the buoyancy occurs, since the load acting from the buoyancy body 40 is reduced, the supporting film 50 rises together with the buoyancy body 40 to maintain the buoyancy body 40 in an elevated state. A rubber plate may be used as the support film 50.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film 50 serves as a shielding film covering the spaces between the pillars 10 when the buoyancy body 40 rises to the top of the bottom surface F, between the pillars 10 together with the buoyancy body 40. By blocking the space, the water flowing between the pillars 10 is blocked.

물 차단부(60)는 부력체(40)의 배면에 구비되어 부력체(40)가 상승할 때 부력체(40)와 함께 지주(10)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외부의 빗물이 지주(10) 사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즉, 부력체(40)가 상승할 때 물 차단부(60)는 앵글(70)의 앞 부분에 접촉되어 부력체(40)와 지주(10) 사이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물 차단부(60)는 도면에서와 같이 지지막(5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The water blocking part 6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40 to block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body 10 together with the buoyancy body 40 when the buoyancy body 40 rises, so that rainwater from the outside is held (10). ) To prevent them from entering. That is, when the buoyancy body 40 rises, the water blocking portion 60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portion of the angle 70 to block the inflow of water through between the buoyancy body 40 and the support 10. The water blocking part 60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support film 50 as shown in the drawing or may be formed separately.

앵글(70)은 지주(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지주(10)와 부력체(40) 사이로의 물 유입을 차단한다. 물 차단부(60)의 양쪽에는 부력체(40) 상승시 앵글(70)에 밀착되어 앵글(70)과 함께 지주(10)와 부력체(40) 사이의 틈을 없애주어 물 유입을 철저히 차단해준다.
The angle 7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ost 10 to block the inflow of water between the post 10 and the buoyancy body 40. When the buoyancy body 40 rises on both sides of the water blocking portion 60,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ngle 70, thereby completely blocking the inflow of water by removing the gap between the support 10 and the buoyancy body 40 together with the angle 70 Do it.

도 3은 제1실시예에서 평상시 부력체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buoyancy body is normally lower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3.

평상시 또는 구조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의 적을 경우에는 장착공간(20) 내로 유입되는 물이 없거나 적기 때문에 부력체(40)가 상승할 만한 부력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부력체(40)의 자중에 의해 지지막(50)이 눌리면서 부력체(40)는 하강한 상태를 유지한다.Normally or when the amount of water flowing into the structure is small, there is no or little water flowing into the mounting space 20, so that the buoyancy that the buoyancy body 40 can rise is not formed. Therefore, the supporting film 50 is pressed by the weight of the buoyancy body 40 while the buoyancy body 40 maintains a descending state.

구조물로 소량의 물이 유입되는 경우, 그 물은 지주(10) 사이로 통과하지 못하고 전량 장착공간(20) 내로 유입된 후 드레인 라인(21)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따라서, 지주(10) 사이를 통해 구조물 내로는 유입되지 못한다.When a small amount of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structure, the water does not pass between the pillars 10 and flows into the entire mounting space 20 and is then drained out through the drain line 21. Therefore, it does not flow into the structure through the posts (10).

한편, 부력체(40)는 지지막(50)에 의해 하강한 상태로 지지되되, 그 상면이 바닥면(F)과 일치하기 때문에 사람의 통행이나 물건의 유입 및 반출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다. 부력체(40)의 하강시 부력체(40)의 상면이 바닥면(F)가 일치하도록 부력체(40)의 하중 및 지지막(50)의 탄성계수가 결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buoyancy body 40 is supported in a descending state by the support film 50, but its top surface is coincident with the bottom surface (F),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assage of people or the entry and exit of objects at all. When the buoyancy body 40 is lowered, the load of the buoyancy body 40 and the elasticity coefficient of the support film 50 are determined so that the top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40 coincides with the bottom surface F.

부력체(40)의 저면에는 부력체(40)가 하강할 때 지지막(50)을 용이하게 눌러 줄 수 있도록 핀 형태의 안내부재(43)가 구비될 수 있다.
A pin-shaped guide member 43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40 to easily press the support film 50 when the buoyancy body 40 descends.

도 5는 제1실시예에서 빗물 유입시 부력체가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body rises when rainwater flow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5.

집중 호우나 홍수 발생시 다량의 물이 구조물로 접근하는 경우 물이 지주(10) 사이를 통과하기 전 지주(10)의 앞쪽 바닥면(F)에 형성된 장착공간(20) 내로 유입된다. 물론, 물의 유입 초기 소량의 물이 지주(10) 사이로 통과할 수는 있다.In the case of heavy rain or flood, when a large amount of water approaches the structure, water flows into the mounting space 20 formed on the front bottom surface F of the strut 10 before passing between the struts 10. Of course, a small amount of water in the initial flow of water may pass between the pillars 10.

장착공간(20) 내로 물이 유입되면 부력체(40)에 부력이 발생하게 되고, 그 부력에 의해 부력체(40)는 자동으로 상승하게 된다. 부력체(40)의 상승높이는 장착공간(20) 내로 유입되는 물의 양에 따라 결정되므로 다량의 물이 유입되는 경우 부력체(40)의 상승높이는 높아진다.When water flows into the mounting space 20, buoyancy is generated in the buoyancy body 40, and the buoyancy body 40 is automatically raised by the buoyancy. Since the rising height of the buoyancy body 4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flowing into the mounting space 20, when a large amount of water is introduced, the rising height of the buoyancy body 40 is increased.

부력체(40)가 상승하면서 물 차단부(60)와 함께 두 지주(10)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기 때문에 지주(10) 사이로 다량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Since the buoyancy body 40 rises and blocks the space between the two pillars 10 together with the water blocking portion 60, it is possible to primarily block the inflow of a large amount of water between the pillars 10.

물 차단부(60)의 상승과 함께 물 차단부(60)가 앵글(70)의 앞부분에 접촉되고 물 차단부(60)에 구비된 시일 시트(80)가 앵글(70)에 밀착되므로 지주(10)와 부력체(40) 사이로 유입되는 물을 2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With the rise of the water blocking portion 60, the water blocking portion 60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portion of the angle 70, and the seal sheet 80 provided in the water blocking portion 6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ngle 70, so that the holding ( 10) and the water flowing between the buoyancy body 40 can be secondaryly blocked.

상술한 바와 같이 물 차단부(60)를 통해 다량의 물을 1차 차단하고 물 차단부(60), 앵글(70) 및 시일 시트(80)를 통해 물을 2차 차단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구조물로 접근하는 물을 철저하게 차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is made to primarily block a large amount of water through the water blocking unit 60 and to block the water secondaryly through the water blocking unit 60, the angle 70, and the seal sheet 80, thereby forming a structure. Access water can be completely blocked.

한편, 도면에서와 같이 부력체(40)가 바닥면(F) 위쪽까지 상승하는 경우 부력체(40)와 함께 지지막(50)도 지주(10)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지주(10) 사이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buoyancy body 40 rises to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F, the support membrane 50 together with the buoyancy body 40 also blocks the space between the props 10, thereby holding the spaces between the props 10. It blocks the inflow of water through.

다량의 물이 장착공간(20) 내로 계속해서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물의 일부가 드레인 라인(21)을 통해 배수되더라도 장착공간(20) 내로 일정량 이상이 물이 계속해서 채워지므로 부력체(40)의 상승상태가 계속해서 유지된다. 만일, 집중 호우나 홍수가 그쳐 장착공간(20) 내로의 물의 유입이 줄어들거나 정지하는 경우 장착공간(20) 내로 유입된 물은 드레인 라인(21)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므로 부력이 소멸되어 부력체(40)는 하강하게 된다.
When a large amount of water is continuously introduced into the mounting space 20, even if a part of the introduced water is drained through the drain line 21,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continuously filled into the mounting space 20, so that the buoyancy body 40 The ascended state is maintained. If, in the event of heavy rain or flooding,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mounting space 20 is reduced or stopped, the water flowing into the mounting space 20 is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line 21 so that the buoyancy disappears and the buoyancy body 40 is lowered.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빗물 유입 방지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rain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빗물 유입 방지장치에 따르면 부력체(40)의 높낮이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외에 다른 구성요소들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According to the rain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height adjusting means capable of manual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uoyancy body 40 may be further provided.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so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높이 조절수단은 부력체(40)의 전면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높이 조절홈(42)과, 일단은 높이 조절홈(42)에 탈거 가능하게 끼워지고 타단부는 바닥면(F)에 걸쳐지는 높이 조절바(90)를 포함한다.The height adjusting means is a plurality of height adjusting grooves 42 spaced apart vertically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40, one end is removably fitted into the height adjusting groove 42, and the other end is a bottom surface ( F) includes a height adjustment bar 90 that spans.

이러한 구조를 이용해 사용자는 집중 호우나 홍수 등이 발생하기 이전에 미리 수동에 의해 부력체(40)를 상승시킨 후, 높이 조절바(90)를 높이 조절홈(42)에 끼워 부력체(40)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By using such a structure, the user manually raises the buoyancy body 40 before the heavy rain or flood occurs, and then inserts the height adjustment bar 90 into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42, thereby buoyancy body 40. Can increase the height of.

높이 조절바(90)의 일단을 높이 조절홈(42)에 끼운 상태에서 높이 조절바(90)의 타단이 지면에 걸쳐지므로 부력체(40)는 하강하지 않고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Since one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bar 90 is fitted in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42, the oth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bar 90 spans the ground, so that the buoyancy body 40 does not descend and maintains an elevated state.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빗물 유입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제3실시예에서 평상시 부력체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은 제3실시예에서 빗물 유입으로 부력체가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n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body is normally lowered in the third embodiment, and FIG. 10 is rainwater inflow in the third embodiment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body rises.

본 실시예에 따른 빗물 유입 방지장치는 제1실시예에서 물 유입 확장공간(100), 물 유입 뚜껑(110) 및 오물거름부재(120)를 더 포함한다. 이 외에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apparatus for preventing rainwater inflow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water inflow expansion space 100, a water inflow lid 110, and a dirt filter 120 in the first embodiment. The rest of the components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so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물 유입 확장공간(100)은 장착공간(20)의 앞쪽 바닥면을 파내어 형성되어 물 유입 면적을 확장함으로써 장착공간(20) 내로 다량의 물이 단시간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물 유입 확장공간(100)의 하부는 장착공간(20)과 연결된다.The water inflow expansion space 100 is formed by digging the front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20 to expand the water inflow area so that a large amount of 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mounting space 20 in a short time.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inflow expansion space 100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space 20.

물 유입 뚜껑(110)은 물 유입 확장공간(100)의 입구에 탈거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람이 통행하거나 물건을 구조물 내로 반입 반출하고자 할 때 사람이나 물건이 물 유입 확장공간(100)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며 크기가 큰 오물을 걸러준다. 물 유입 뚜껑(110)에는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물 유입홀(111)이 형성된다. 물 유입 뚜껑(110)의 상면은 지면과 일치하도록 하여 사람이 통행할 때 걸리지 않도록 한다. 물 유입 확장공간(100) 내에 위치되는 오물거름부재(120)에 걸러진 오물을 제거하기 위한 경우 물 유입 뚜껑(110)를 물 유입 확장공간(1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The water inlet lid 110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at the entrance of the water inflow expansion space 100 so that a person or object does not fall into the water inflow expansion space 100 when a person passes or wants to carry objects in and out of the structure. Filter out large filth. A plurality of water inlet holes 111 through which water passes is formed in the water inlet lid 110. The top surface of the water inlet cap 110 is aligned with the ground so that it is not caught when a person passes. In order to remove the filth filtered by the filth filter member 120 located in the water inflow expansion space 100, the water inflow cap 110 may be separated from the water inflow expansion space 100.

오물거름부재(120)는 물 유입 확장공간(100) 내에서 물 유입 뚜껑(110)의 하방에 설치되어 물 유입 뚜껑(110)을 통해 유입되는 오물을 걸러준다. 오물만 유입되는 경우 외에도 물과 함께 오물이 유입되더라도 오물을 효과적으로 걸러줄 수 있다. 오물거름부재(120)에 걸러진 오물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물 유입 뚜껑(110)을 분리한 후 오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오물거름부재(120)는 물 유입 뚜껑(110)과 별개로 형성되어 물 유입 확장공간(100) 내에 설치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 유입 뚜껑(110)에 결합된 상태로 물 유입 확장공간(1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The dirt filter member 120 is installed below the water inflow lid 110 in the water inflow expansion space 100 to filter out the dirt flowing through the water inflow lid 110. In addition to the case where only filth is introduced, even if filth is introduced together with water, filth can be effectively filtered. When the amount of dirt filtered by the dirt filter member 120 is large, the dirt may be removed after removing the water inlet lid 110 as described above. The filth filter member 120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water inflow lid 110 and installed in the water inflow expansion space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water inflow expansion space in a state coupled to the water inflow lid 110 ( 100).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유입 확장공간(100)으로 인해 물 유입 면적이 확장된다. 따라서, 구조물로 다량의 물이 밀려드는 경우 장착공간(20)의 입구뿐만 아니라 물 유입 확장공간(100)을 통해 다량의 물이 장착공간(20) 내로 유입되므로 단시간에 부력체(40)의 부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단시간에 부력체(40)를 자동 상승시킬 수 있다.
9 and 10, the water inflow area is expanded due to the water inflow expansion space 100. Accordingly, when a large amount of water is pushed into the structure, a large amount of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mounting space 20 through the water inflow expansion space 100 as well as the inlet of the mounting space 20, so that the buoyancy of the buoyancy body 40 in a short time Since this occurs, the buoyancy body 40 can be automatically raised in a short tim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빗물 유입 방지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집중 호우나 홍수 등과 같은 자연 재해시를 토대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수도관 또는 하수관이 터지는 등의 사고 발생으로 인해 구조물 내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 등 다양한 경우에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rain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the scop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You can. For example,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based on natural disasters such as heavy rain or flo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cases such as when water flows into a structure due to an accident such as a water pipe or a sewer pipe bursting. Yes, of course.

10 : 지주 20 : 장착공간
21 : 드레인 라인 30 : 가이드돌기
40 : 부력체 41 : 가이드
42 : 높이 조절홈 50 : 지지막
60 : 물 차단부 70 : 앵글
80 : 시일 시트 90 : 높이 조절바
100 : 물 유입 확장공간 110 : 물 유입 뚜껑
120 : 오물걸름부재
10: prop 20: mounting space
21: drain line 30: guide projection
40: buoyancy body 41: guide
42: height adjustment groove 50: support membrane
60: water block 70: angle
80: seal sheet 90: height adjustment bar
100: water inlet expansion space 110: water inlet lid
120: filth absent

Claims (10)

구조물의 입구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앞쪽 바닥면을 파내어 형성되는 장착공간; 및
상기 장착공간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장착공간 내로 물이 유입될 때 발생되는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지주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부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공간 내에서 상기 부력체의 아래에 설치되어 장착공간의 바닥에 대하여 부력체를 지지하고, 부력체와 함께 지주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지지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공간의 내측 벽면에는 가이드 돌기가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가이드가 구비되어, 상기 부력체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따라 승강되고,
상기 지주의 전면에는 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앵글이 상하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부력체의 배면에는 부력체 상승시 상기 앵글의 앞부분에 접촉되어 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물 차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앵글의 가장자리는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물 차단부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앵글의 경사면에 접촉되는 시일시트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유입 방지장치.
Posts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t the entrance of the structure;
A mounting space formed by digging the front bottom surface of the post; And
It includes a buoyancy body that is installed to be elevated in the mounting space, and rises by buoyancy generated when water flows into the mounting space to block the space between the pillars.
It is further installed in the mounting space below the buoyancy body to support the buoyancy body with respect to the bottom of the mounting space, and further includes a support film blocking the space between the pillars with the buoyancy body,
A guide protrusion is formed vertically long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and a guide having a groove into which the guide protrusion is inserted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and the buoyancy body is elevated along the guide protrusion,
An angle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water is installed up and dow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and a water blocking part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water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uoyant body in contact with the front portion of the angle when the buoyancy body rises,
The edge of the angle forms an inclined surface, rain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water block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seal sheet in contact with each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angle to block the inflow of wa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간의 하부에는 상기 장착공간 내의 물을 외부로 드레인시키기 위한 드레인 라인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유입 방지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rain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drain line for draining water in the mounting space to the outside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space.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간의 앞쪽 바닥면을 파내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의 물 유입 면적을 확장하여 물 유입을 개선하기 위한 물 유입 확장공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 유입 확장공간은 상기 장착공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유입 방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r 6,
It is formed by digging the front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and further includes a water inflow expansion space for expanding the water inflow area from the outside to improve water inflow,
The water inflow expansion space is rain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mounting spa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 유입 확장공간의 입구에 설치되며 물이 유입되는 홀들이 형성된 물 유입 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유입 방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7,
Rain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water inlet expansion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ater inlet cap formed with holes through which water flow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 유입 확장공간 내에서 상기 물 유입 뚜껑의 하방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물을 걸러주는 오물걸름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유입 방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8,
Rain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in the water inlet expansion space is provided with a filth filtering member for filtering the dirt flowing from the outside under the water inlet l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의 전면에는 상기 부력체의 높이를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복수 개의 높이 조절홈이 상하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홈 안에 높이 조절바를 삽입시켜서 상기 부력체의 높이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유입 방지장치.
According to claim 1,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a plurality of height adjustment grooves for manual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uoyancy body are spaced up and down, and a height adjustment bar is inserted into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to manually adjust the height of the buoyancy body. Rain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KR1020120148148A 2012-05-16 2012-12-18 Apparatus for preventing rainwater inflow KR10210504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52110 2012-05-16
KR1020120052110 2012-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305A KR20130128305A (en) 2013-11-26
KR102105047B1 true KR102105047B1 (en) 2020-04-27

Family

ID=4985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148A KR102105047B1 (en) 2012-05-16 2012-12-18 Apparatus for preventing rainwater infl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04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6330A (en) * 2004-02-13 2005-08-25 Koichi Takano Flooding preventive device
KR100531031B1 (en) * 2005-04-12 2005-11-24 주식회사 창조종합건축사사무소 Drain-line protecting inundation and flowing backward to building
JP2007291616A (en) * 2006-04-21 2007-11-08 Kaneso Co Ltd Waterproofing device
JP2012082606A (en) * 2010-10-08 2012-04-26 Hideki Fujita Water shield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6330A (en) * 2004-02-13 2005-08-25 Koichi Takano Flooding preventive device
KR100531031B1 (en) * 2005-04-12 2005-11-24 주식회사 창조종합건축사사무소 Drain-line protecting inundation and flowing backward to building
JP2007291616A (en) * 2006-04-21 2007-11-08 Kaneso Co Ltd Waterproofing device
JP2012082606A (en) * 2010-10-08 2012-04-26 Hideki Fujita Water shield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305A (en) 201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420B1 (en) Backflow prevention device for manhole of sewer pipe
JP4727756B1 (en) Underfloor inundation prevention structure
KR100983466B1 (en) Backflow prevention device for manhole of sewer pipe
KR20090105791A (en) Slanting cover
KR101085466B1 (en) Device for draining of balcony
US20130292311A1 (en) Stormwater Drain Backflow Flood Control Device
JP6501961B1 (en) Flood resistant building with flood protection and renovation method
KR101132131B1 (en) A shield apparatus of rain inflow for basement space of building
KR101326602B1 (en) Apparatus for draining of rain water for road
KR102301318B1 (en) Drainage grating structure
KR102105047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rainwater inflow
KR100676369B1 (en) Back flow prevention device of a manhole for building complexes
KR100898839B1 (en) Apparatus for reducing rainwater outflow
KR20170064301A (en) Man-hole structure
KR101698459B1 (en) Water proof apparatus for window
KR20220144072A (en) Protruding grating in which drainage height consecutively rises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rise
KR101038336B1 (en) Method for introducing underground water using water storage tank in gutter, and filtering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JP2619605B2 (en) Tide prevention device
JP3717454B2 (en) Drainage structure of floating type flood control device
KR20210051327A (en) Odor reduction device of sewer
GB2371324A (en) Pivotable flood barrier
KR101453693B1 (en) A Buoyancy Function Apparatus of Facilities
CN209179155U (en) A kind of discharge structure of basement
JPH08193393A (en) Drainage equipment structure in balcony
JP2017020331A (en) Installation method of rain water storage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