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826B1 - Qr 코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Qr 코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826B1
KR102104826B1 KR1020190082825A KR20190082825A KR102104826B1 KR 102104826 B1 KR102104826 B1 KR 102104826B1 KR 1020190082825 A KR1020190082825 A KR 1020190082825A KR 20190082825 A KR20190082825 A KR 20190082825A KR 102104826 B1 KR102104826 B1 KR 102104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user terminal
payment
information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재
Original Assignee
(주)페르소나에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페르소나에이아이 filed Critical (주)페르소나에이아이
Priority to PCT/KR2019/00940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0641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결제 장치 및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QR 코드 결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공 방법은, 상기 결제 장치가, 결제를 수행할 제1 사용자 단말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대화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결제 장치가, 상품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판단된 제1 사용자 단말로 상기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명칭, 가격 정보 및 가격 정보에 대응되는 제1 QR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QR 코드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QR 코드를 바탕으로 제2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명칭, 가격 정보 및 상기 제2 QR 코드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QR 코드를 바탕으로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QR 코드 결제 방법 및 시스템{QR CODE PAYMENT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QR 코드 결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사용자 편의를 위한 다양한 결제 수단이 제공되고 있다. 일례로,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방식은 사용자가 QR 코드를 이용하여 QR 코드와 연동된 계좌에서 자동으로 결제가 이뤄지게 만드는 결제 방식이다.
QR 코드 결제 방식은 구매자 단말이 QR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QR 코드를 판매자가 읽어서 결제를 하는 방법(Customer Presented Mode, CPM)와 판매자가 QR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QR 코드를 구매자가 읽어서 결제를 하는 방법(Merchant Presented Mode, MPM)가 있다.
QR 코드를 스캔하기 위해서는 QR 코드와 QR 코드 스캐너가 필요하다. 그러나, QR 코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들은 각각 자신이 생성한 QR 코드 및 QR 코드 스캐너를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어떤 서비스 업체의 QR 코드를 다른 서비스 업체의 QR 코드 스캐너로 스캔하는 경우, 정상적인 결제가 이루어 지지 않는다. 이는 별도의 QR 코드 표준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자신만의 QR코드를 생성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매자 또는 판매자는 동일한 서비스 업체의 QR 코드 및 QR 코드 스캐너를 구비한 경우에만 정상적인 결제가 이뤄진다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QR 코드의 결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결제 장치 및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QR 코드 결제 방법은, 상기 결제 장치가, 결제를 수행할 제1 사용자 단말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대화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결제 장치가, 상품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판단된 제1 사용자 단말로 상기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명칭, 가격 정보 및 가격 정보에 대응되는 제1 QR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QR 코드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QR 코드를 바탕으로 제2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명칭, 가격 정보 및 상기 제2 QR 코드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QR 코드를 바탕으로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QR 코드를 바탕으로 제2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QR 코드를 디코딩 하는 단계; 디코딩된 제1 QR 코드로부터 결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결제 정보를 제2 인코딩 방식을 이용하여 인코딩한 제2 QR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QR 코드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QR 코드를 디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QR 코드와 동일한 제1 인코딩 방식이 적용된 복수개의 QR 코드 및 상기 복수개의 QR 코드 각각에 대응되는 결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QR 코드 및 상기 복수개의 QR 코드 각각에 대응되는 결제 정보를 입력값으로 인공지능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제1 인코딩 방식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제1 인코딩 방식을 바탕으로 상기 제1 QR 코드를 디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장치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lield Communication, NFC)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결제 장치가 결제를 위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장치와 제2 사용자 단말이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Bluetooth Low Energy, BLE)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결제 장치가, 결제를 위한 메신지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신지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상품의 바코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획득된 바코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신한 바코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명칭, 가격 정보 및 상기 제2 QR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명칭, 가격 정보 및 상기 제2 QR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수신한 제2 QR 코드를 상기 결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장치가, 상기 수신된 제2 QR 코드를 스캐닝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제 장치와 제2 사용자 단말이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Bluetooth Low Energy, BLE)를 수행하는 단계는, 빔포밍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 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에 존재하는 제1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상기 결제 장치와 가장 가까운 사용자 단말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제 장치와 제2 사용자 단말이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Bluetooth Low Energy, BLE)를 수행하는 단계는, 빔포밍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 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에 존재하는 제1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인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단체 메시지방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단체 메시지방을 바탕으로, 결제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방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명칭, 가격 정보 및 상기 제2 QR 코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되는 상품의 명칭 및 상기 가격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정된 제1 언어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표시되는 상품의 명칭 및 상기 가격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설정 언어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표시되는 상품의 명칭 및 상기 가격 정보에 대응되는 제2 언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언어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언어로 표시된 상기 상품의 명칭 및 상기 가격 정보를 상기 제1 언어로 번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언어로 번역된 상기 상품의 명칭 및 가격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서비스 업체가 제공하는 각기 다른 QR 코드를 하나의 QR 코드 스캐너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QR 코드는 복수의 서비스 업체가 제공하는 QR 코드 스캐너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의 디코딩 및 인코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통신 방법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번역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각 단계의 주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각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서버(20) 및 복수의 서비스 서버(30-1 내지 30-3) 및 결제 장치(40)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구매자 단말 또는 판매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복수의 서비스 서버(30-1 내지 30-3)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복수의 서비스 서버(30-1 내지 30-3)각각은 QR 코드를 생성하고, QR 코드 스캐너를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는, 복수의 서비스 서버(30-1 내지 30-3)가 제공하는 QR 코드를 디코딩한 후 결제 정보를 획득하여 새로운 QR 코드로 인코딩하기 위한 구성이다. 나아가 서버(20)는 복수의 서비스 서버(30-1 내지 30-3)가 제공한 QR 코드를 읽기 위한 QR 코드 스캐너를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결제 장치(40)는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 POS장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결제 장치(40)는 필요에 따라 결제 정보에 대응되는 QR 코드를 생성하거나, 결제 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하나의 QR Code는 기능 패턴(function pattern)과 인코딩 영역(encoding region)으로 구분되며, 세부적인 기능 패턴에는 finder pattern, alignment pattern, timing pattern 등으로 구성되며, 인코딩 영역에는 format information, version information, data and error correction codewords 등의 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기능 패턴(function pattern)들은 항상 QR Code의 같은 자리와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기능 패턴들로 하여금 고속 인식과 인식률 향상에 도움이 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첫째, finder pattern은 고정적으로 세 개의 방향에 사각형이 위치할 수 있다. 둘째, 세 개의 finder pattern을 이어주는 2개 점선의 timing pattern이 존재할 수 있다. 셋째, format information은 finder pattern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사각형 박스일 수 있다. 넷째, 버전 정보는 버전 7 이상부터 방향 패턴 좌측과 상측에 version information이 자리하고 버전 2 이상부터는 alignment pattern이 고정된 위치에 자리할 수 있다.. 하지만 QR Code의 구성요소는 버전에 따라 다소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10에서, 결제 장치(40)는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사용자 단말(10)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결제 장치(40)는 제1 사용자 단말(10)과 통신을 수행하여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10)을 판단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 방식, 블루투스 방식, 무선 통신 방식, NFC 방식 등 다양할 수 있다. 각각의 통신 방식은 제1 사용자 단말 (10) 및 결제 장치(40)에 내장된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LAN 방식,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 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결제 장치(40)는 서버(20)로부터 결제를 수행할 제1 사용자 단말(1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제1 사용자 단말(10)은 결제 수행을 위한 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사용자 단말(10)은 서버(20)로부터 대화방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여 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사용자 단말(10)은 결제 장치(40)로부터 대화방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여 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결제 장치(40)는 상품 정보를 획득하여 판단된 제1 사용자 단말(10)로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명칭, 가격 정보 및 가격 정보에 대응되는 제1 QR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QR 코드는 제1 서비스 서버(30-1)에 의해 생성되는 QR 코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QR 코드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제1 서비스 서버(30-1)에서 제공하는 QR 코드 스캐너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즉, 제1 서비스 서버(30-1)에서 제공하는 QR 코드 스캐너가 아닌 QR 코드 스캐너(예를 들어 제2 서비스 서버(30-2)에서 제공하는 QR 코드 스캐너, 제3 서비스 서버(30-3)에서 제공하는 QR 코드 스캐너)으로 제1 QR 코드를 스캐닝하는 경우, 정상적인 결제가 수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서로 다른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QR 코드를 해독하여 일반 QR 코드 스캐너 또는 서버(20)가 제공하는 QR 코드 스캐너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단계 S140에서, 제1 사용자 단말(10)은 제1 QR 코드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50에서, 서버(20)는 제1 QR 코드를 바탕으로 제2 QR 코드를 생성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버(20)는 제1 QR 코드의 인코딩 방식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제1 QR 코드를 디코딩한 후, 제2 인코딩 방식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및 도 5에서 후술한다.
단계 S160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명칭, 가격 정보 및 제2 QR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20)는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명칭, 가격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고, 제2 QR 코드는 결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0)은 결제 장치(40)에 표시된 제2 QR 코드를 스캐닝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70에서, 제1 사용자 단말(10)이 제2 QR 코드를 바탕으로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의 디코딩 및 인코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210에서, 서버(20)는 제1 QR 코드를 디코딩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서버(20)는 디코딩된 제1 QR 코드로부터 결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서버(20)는 획득된 결제 정보를 제2 인코딩 방식을 이용하여 인코딩한 제2 QR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2 인코딩 방식은, 복수의 서비스 업체(30-1 내지 30-3)이 제공하는 QR 코드 스캐너에 의해 해독될 수 있는 인코딩 방식일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서버(20)는 제2 QR 코드를 제1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QR 코드는 복수의 서비스 업체(30-1 내지 30-3)이 제공하는 QR 코드 스캐너에 의해 QR 코드 정보가 해독될 수 있으며, 서버(20)에 의해 제공되는 QR 코드 스캐너에 의해 QR 코드 정보가 해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QR 코드 재생성 및 QR 코드 스캐너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QR 코드 재생성 및 QR코드 스캐너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10)이 사용하는 번역 어플리케이션에 서비스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번역 어플리케이션은 챗봇의 형태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이며, 특히 사용자가 해외에서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결제를 돕기 위한 번역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11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나아가, 서버(20)는 챗봇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QR 코드를 만들기 위한 메시지를 입력하면, 사용자 메시지에 대응되는 QR 코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32900원 QR 코드 만들어줘”라고 입력하면, 서버(20)는 결제 금액 정보가 32900원인 QR 코드를 생성사여 챗봇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되는 QR 코드는 제2 인코딩 방식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서버(20)는 결제를 위한 결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해외에서 QR 결제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복수의 서비스 서버(30-1 내지 30-3)마다 연동된 은행 또는 계좌 정보가 달라 결제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서버(20)는 Visa/Master카드와 같이 복수의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신용 카드 등록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별도의 충전식 계좌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는 복수의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은행에 대한 계좌를 생성하고, 각각의 사용자 단말(10)이 사용하는 계좌와 동일한 국가의 은행 계좌를 통해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일정 금액을 제공 받고, 타 국가에서 사용자 단말(10)의 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서버(20)의 타 국가 계좌에서 결제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챗봇 어플리케이션은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1 QR 코드의 디코딩은 하기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310에서, 제1 QR 코드와 동일한 제1 인코딩 방식이 적용된 복수개의 QR 코드 및 결제 정보(상품 정보 및 가격 정보 등)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서버(20)는 복수개의 QR 코드 및 복수개의 QR 코드 각각에 대응되는 결제 정보를 입력값으로 인공지능모델에 입력하여 제1 인코딩 방식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개의 QR 코드 및 복수개의 QR 코드 각각에 대응되는 결제 정보를 학습 데이터로 인코딩 방식을 획득하도록 학습된 모델일 수 있다. 이때, 서버(20) 동일한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QR 코드 및 QR 코드에 대한 결제 정보를 하나의 학습 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즉, 서버(200)는 QR 코드, QR 코드의 결제 정보 및 QR 코드를 생성한 서비스 업체를 하나의 학습 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는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에 임의의 QR 코드를 입력값으로 입력하고, 출력값으로, 입력된 QR 코드를 생성하는 서비스 서버에 대한 정보 및 서비스 서버에 대응되는 인코딩 방식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서버(20)는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QR 코드를 생성한 서비스 서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서비스 서버에 대한 인코딩 방식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서버(20)는 획득된 제1 인코딩 방식을 바탕으로 제1 QR 코드를 디코딩 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통신 방법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단계 S410에서, 결제 장치(40)와 제1 사용자 단말(10)은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결제 장치(40)는 결제를 위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제1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결제 장치(40)가 상품에 대한 정보를 직접 수신하는 경우, 결제 장치(40)는 상품 정보 및 가격에 대한 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하고, 서버(20)는 결제 장치(40)로부터 수신한 상품 정보 및 가격에 대한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0)은 수신한 상품 정보 및 가격 정보를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결제 장치(40)와 제2 사용자 단말(10-1)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Bluetooth Low Energy, BLE)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440에서, 결제 장치(40)는 결제를 위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제2 사용자 단말(10-1)로 전송할 수 있다.
NFC 통신을 이용하는 제1 사용자 단말(10)과는 달리, BLE 통신을 이용하는 제2 사용자 단말(10-1)은 상품 결제를 기다리는 후순위 구매자일 수 있다. 즉, 상점에서 상품에 대한 결제는 한명의 점원(이 사용하는 하나의 결제 장치) 당 한명의 사용자에 대하여만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결제를 기다리는 후순위 구매자들은 선순위 구매자의 상품 구매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후순위 구매자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 단말(10-1)은 BLE 통신을 이용해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를 미리 획득하거나, 획득된 결제 정보에 따라 결제를 미리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510에서, 제2 사용자 단말(10-1)의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품의 바코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제2 사용자 단말(10-1)은 획득된 바코드 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서버(20)는 수신한 바코드 정보를 바탕으로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명칭, 가격 정보 및 제2 QR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서버(20)가 제2 사용자 단말(10-1)로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명칭, 가격 정보 및 제2 QR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즉, 후순위 구매자는 상점의 점원이 사용하는 결제 장치(40)로부터 결제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구매자 스스로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결제 준비를 선순위 구매자가 결제를 진행하는 동안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사용자 단말(10-1)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바코드 정보를 획득하여 서버(20)로 전송하면, 서버(20)는 획득된 바코드 정보를 기초로 상품 정보 및 가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는 획득된 바코드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10-1)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상점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상점에서의 상품의 가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사용자 단말(10-1)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상점에 대한 정보는 제2 사용자 단말(10-1)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될 수 있다. 즉, 서버(20)는 제2 사용자 단말(10-1)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위치에 존재하는 상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10-1)은, 서버(20)로부터 수신한 상품의 명칭, 가격 정보 및 제2 QR 코드를 생성된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QR 코드는 제1 QR 코드를 디코딩한 후 제2 인코딩 방식으로 인코딩한 QR 코드일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QR 코드는 제2 사용자 단말(10-1)의 사용자가 직접 생성한 QR 코드로서,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품 결제는 QR 코드를 결제 장치(40)가 스캐닝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550에서, 제2 사용자 단말(10-1)은 수신한 제2 QR 코드를 결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QR 코드를 결제 장치(40)로 전송한다는 것의 의미는, 제2 QR 코드를 BLE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결제 장치(40)가 제2 사용자 단말(10-1)에 표시된 제2 QR 코드를 직접 스캐닝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60에서, 결제 장치(40)는 수신된 제2 QR 코드를 스캐닝하여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사용자 단말(10-1)의 사용자의 악의적인 행동 또는 실수로 인하여 일부 상품이 누락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점원은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결제 장치(40)를 통해 획득하고, 결제 장치(40)를 통해 획득된 상품 정보와 제2 사용자 단말(10-1)을 통해 획득된 상품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결제 장치(40)를 통해 획득된 상품 정보와 제2 사용자 단말(10-1)을 통해 획득된 상품정보가 동일한 경우, 결제 장치(40)는 미리 수신한 제2 QR 코드에 대한 정보를 서버(20) 또는 복수의 서비스 서버(30-1 내지 30-3)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여 최종 결제를 완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결제 장치(40)를 통해 직접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 이외의 구매 대기자들은 자신이 직접 결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결제를 기다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상점에는 복수의 구매자들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결제 장치(40)가 구매 대기자의 사용자 단말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610에서, 결제 장치(40)는 빔포밍을 이용하여 결제 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에 존재하는 제1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1 내지 10-3)을 검색할 수 있다.
즉, 결제 장치(40)는 빔포밍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대기줄의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을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빔포밍 기법이란, 송신 기기 또는 수신 기기의 배열을 이용하여 방사 패턴의 방향 또는 민감도를 조절하거나, 신호를 중첩시켜 신호의 세기를 강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처리 기법의 한 종류이다. 이때 복수개의 신호의 위상이 달라질 수 있는데, 위상을 맞추기 위해 출력되는 신호를 지연시키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장치(40)의 빔포머는 딜레이 앤 섬 빔포머(delay-and-sum-beamformer)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빔포밍 기술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S620에서, 결제 장치(4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1 내지 10-3)중 결제 장치(40)와 가장 가까운 사용자 단말을 제2 사용자 단말(10-1)로 선택할 수 있다.
즉, 제1 영역에 복수의 사용자 단말(10-1 내지 10-5)이 존재하는 경우, 결제 장치(40)는 결제 장치(40)와 가장 가까운 사용자 단말을 제2 사용자 단말(10-1)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결제 장치(40)는 제1 영역에 위치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1 내지 10-5) 중 통신 신호의 세기가 가장 강한 사용자 단말을 제2 사용자 단말(10-1)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결제 장치(40)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바탕으로 결제 장치(40)와 가장 가까운 제2 사용자 단말(10-1)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710에서, 결제 장치(40)는 빔포밍을 이용하여 결제 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에 존재하는 제1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1 내지 10-3)을 검색할 수 있다.
단계 S720에서, 결제 장치(40)는 제1 영역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10-1 내지 10-3)인 경우, 복수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단체 메시지방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 서버(20)는 생성된 단체 메시지방을 바탕으로 결제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방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제1 영역에 복수의 사용자 단말(10-1 내지 10-3)이 존재하는 경우라도, 검색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1 내지 10-3)에 대응되는 사용자 모두가 구매자이지 않은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 단말(10-1 내지 10-3)의 사용자들이 친구관계일 뿐, 복수의 사용자 단말(10-1 내지 10-3)중 한명만이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또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1 내지 10-3)의 사용자들이 친구 관계이며 한명의 사용자가 상품에 대한 결제를 모두 수행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20)는 제1 영역에 존재한다고 판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1 내지 10-3)의 사용자 모두를 포함하는 단체 메시지 방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20)는 생성된 단체 메시지 방에 개인 메시지 방을 생성하기 위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1 내지 10-3)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단체 메시지 방에 생성된 개인 메시지 방 생성 아이콘을 통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면, 서버(20)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개인 메시지 방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1 내지 10-3)의 사용자가 함께 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아닌 경우, 서버(2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개인 메시지 방을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사용자 단말(10-1 내지 10-3)의 사용자가 함께 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들인 경우, 서버(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1 내지 10-3)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상품에 대한 바코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바코드 정보 모두에 대한 상품 정보 및 가격 정보를 단체 메시지 방에 표시하고, 이에 대한 제2 QR 코드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단체 메시지 방이 생성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바코드 정보를 서버(20)가 획득한 경우, 서버(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바코드 정보 모두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 및 가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가 제2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제1 상품에 대한 바코드 정보를, 제3 사용자 단말(10-2)로부터 제2 상품에 대한 바코드 정보를, 제3 사용자 단말(10-4)로부터 제3 상품에 대한 바코드 정보를 획득한 경우, 서버(20)는 제1 상품 내지 제3상품 각각에 대한 상품 정보 및 가격 정보를 단체 메시지 방으로 전송하고, 제1 상품부터 제3 상품까지의 총 가격에 대한 결제 정보를 바탕으로 제2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사용자 단말 내지 제4 사용자 단말(10-1 내지 10-3)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제2 QR 코드를 결제 장치(40)에 제공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단말(10-1)은 제2 QR 코드를 결제 장치(40)에 제공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장치(40)는 서버(20)로 제2 사용자 단말(10-1)의 결제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결제 장치(40)로부터 결제 요청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서버(20)는 제3 사용자 단말(10-2) 및 제4 사용자 단말(10-3)으로 결제 동의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단말(10-2) 및 제4 사용자 단말(10-3)로부터 결제 동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서버(20)는 제2 사용자 단말(10-1)의 결제 요청에 대응되는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구매자가 함께 물건을 구매하는 경우, 서버(20)는 결제를 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에게 결제 정보 및 동의 여부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잘못 수행될 수 있는 결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번역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810에서, 제1 사용자 단말(10)은 표시되는 상품의 명칭 및 가격 정보가 제1 사용자 단말(10)에 설정된 제1 언어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820에서, 제1 사용자 단말(10)은 표시되는 상품의 명칭 및 가격 정보가 제1 사용자 단말(10)에 설정된 제1 언어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표시되는 상품의 명칭 및 가격 정보에 대응되는 제2 언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830에서, 제1 사용자 단말(10)은 제1 언어 정보를 바탕으로 제2 언어로 표시된 상품의 명칭 및 가격 정보를 제1 언어로 번역할 수 있다.
단계 S840에서, 제1 사용자 단말(10)은 제1 언어로 번역된 상품의 명칭 및 가격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언어를 판단하고, 제2 언어를 번역하는 것은 제1 사용자 단말(10)에서 수행될 수 있지만 서버(20)에서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1 사용자 단말(10)은 설정된 제1 언어에 대한 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하고, 서버(20)는 제1 언어와 제2 언어가 다른 언어인 경우, 상품 정보 및 가격정보를 제1 언어로 번역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가 외국에 있는 경우, 물품 구매에 대한 정보를 번역하여 표시해 줌으로써,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상품 결제 과정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10) 및 결제 장치(40)는 음성을 입력 받기 위한 마이크 및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장치(40)의 마이크 및 제1 사용자 단말(10-1)의 마이크는 각각 판매자와 구매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는 음성을 번역하여 결제 장치(40) 및 제1 사용자 단말(10-1) 각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서비스 서버(30-1 내지 30-3)가 생성하는 QR 코드는 복수의 서비스 서버(30-1 내지 30-3)의 상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서버(20)는 QR 코드의 디코딩 및 인코딩 과정에서 복수의 서비스 서버(30-1 내지 30-3)의 상표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지 않고 제2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는 제1 QR 코드를 디코딩하는 과정에서, 제1 QR 코드에 서비스 서버의 상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서버(20)는 제1 QR 코드에 대응되는 서비스 서버의 상표 정보를 획득하고, 제1 QR 코드에 상기 획득된 제1 QR 코드에 대응되는 서비스 서버의 상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는 제1 QR 코드를 제2 QR 코드로 인코딩하는 단계에서, 상기 획득된 제1 QR 코드에 대응되는 서비스 서버의 상표 정보를 포함하도록 제1 QR 코드를 제2 QR 코드로 인코딩 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는 제1 QR 코드에 대응되는 서비스 서버의 상표 정보를 제2 QR 코드에 표시할 뿐만 아니라, 해당 상표가 제1 QR 코드에 대응되는 서비스 업체의 QR 코드를 가공한 것이라는 정보를 제2 QR 코드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서버(20)는 제2 QR 코드의 외부 영역에 제1 QR 코드에 대응되는 서비스 서버의 상표 및 해당 상표가 제1 QR 코드에 대응되는 서비스 업체의 QR 코드를 가공한 것이라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서버(20)는 제1 QR 코드를 인코딩하여 제2 QR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QR 코드, 제1 QR 코드에 대응되는 서비스 서버의 상표 및 해당 상표가 제1 QR 코드에 대응되는 서비스 업체의 QR 코드를 가공한 것이라는 메시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는 제2 QR 코드의 상단에 제1 서비스 업체의 상표를 표시하고, 제2 QR 코드의 하단에 "해당 QR 코드는 OO페이의 서비스 입니다" 또는 "해당 QR 코드는 OO페이의 QR 코드부터 가공된 QR 코드입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서버(20)는 생성된 제2 QR 코드를 제1 QR 코드에 대응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는, 결제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 해당 오류가 제2 QR 코드에서 발생한 오류인지 판단하는 단계, 해당 오류가 제2 QR 코드에서 발생한 경우, 제1 QR 코드를 바탕으로 새로운 제2 QR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해당 오류가 제2 QR 코드에서 발생하지 않은 오류인 경우, 제1 QR 코드 및 제2 Qr 코드를 제1 QR 코드에 대응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통해 생성된 제2 QR 코드를 제1 QR 코드에 대응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서버(20)는 결제 오류에 대하여 폭넓은 보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이다.
프로세서(102)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신규 학습용 데이터를 획득하고,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신규 학습용 데이터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테스트 결과, 라벨링된 정보가 소정의 제1 기준값 이상의 정확도로 획득되는 제1 학습용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학습용 데이터를 상기 신규 학습용 데이터로부터 삭제하고, 상기 추출된 학습용 데이터가 삭제된 상기 신규 학습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된 모델을 다시 학습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02)는 프로세서(102)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04)에는 프로세서(10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사용자 단말
20: 서버
30-1 내지 30-3: 복수의 서비스 서버
40: 결제장치

Claims (10)

  1. 사용자 단말, 결제 장치 및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QR 코드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 장치가, 결제를 수행할 제1 사용자 단말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대화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결제 장치가, 상품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판단된 제1 사용자 단말로 상기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명칭, 가격 정보 및 상기 가격 정보에 대응되는 제1 QR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QR 코드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QR 코드를 바탕으로 제2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명칭, 가격 정보 및 상기 제2 QR 코드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QR 코드를 바탕으로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QR 코드를 바탕으로 제2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QR 코드를 디코딩 하는 단계;
    디코딩된 제1 QR 코드로부터 상기 가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가격 정보를 제2 인코딩 방식을 이용하여 인코딩한 제2 QR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QR 코드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QR 코드를 디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QR 코드와 동일한 제1 인코딩 방식이 적용된 복수개의 QR 코드 및 상기 복수개의 QR 코드 각각에 대응되는 결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QR 코드 및 상기 복수개의 QR 코드 각각에 대응되는 결제 정보를 입력값으로 인공지능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제1 인코딩 방식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제1 인코딩 방식을 바탕으로 상기 제1 QR 코드를 디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지능모델은,
    QR 코드, QR 코드의 결제 정보 및 QR 코드를 생성한 서비스 업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하나의 학습데이터로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학습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인공지능모델을 학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장치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lield Communication, NFC)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결제 장치가 결제를 위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장치와 제2 사용자 단말이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Bluetooth Low Energy, BLE)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결제 장치가, 결제를 위한 대화방을 생성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상품의 바코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획득된 상기 바코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수신한 상기 바코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명칭, 가격 정보 및 상기 제2 QR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명칭, 가격 정보 및 상기 제2 QR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수신한 상기 제2 QR 코드를 상기 결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장치가, 수신한 상기 제2 QR 코드를 스캐닝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제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장치와 제2 사용자 단말이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Bluetooth Low Energy, BLE)를 수행하는 단계는,
    빔포밍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 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에 존재하는 제1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상기 결제 장치와 가장 가까운 사용자 단말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결제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장치와 제2 사용자 단말이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Bluetooth Low Energy, BLE)를 수행하는 단계는,
    빔포밍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 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에 존재하는 제1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인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단체 메시지방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단체 메시지방을 바탕으로, 결제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방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결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명칭, 가격 정보 및 상기 제2 QR 코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되는 상품의 명칭 및 상기 가격 정보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정된 제1 언어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표시되는 상품의 명칭 및 상기 가격 정보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정된 제1 언어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표시되는 상품의 명칭 및 상기 가격 정보에 대응되는 제2 언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언어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언어로 표시된 상기 상품의 명칭 및 상기 가격 정보를 상기 제1 언어로 번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언어로 번역된 상기 상품의 명칭 및 가격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결제 방법.
  9.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1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 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90082825A 2019-03-11 2019-07-09 Qr 코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102104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9409 WO2021006410A1 (ko) 2019-03-11 2019-07-29 Qr 코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387 2019-03-11
KR20190027387 2019-03-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4826B1 true KR102104826B1 (ko) 2020-04-27

Family

ID=70467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825A KR102104826B1 (ko) 2019-03-11 2019-07-09 Qr 코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4826B1 (ko)
WO (1) WO202100641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318B1 (ko) * 2020-06-10 2021-10-28 박대용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46152A (ko) 2020-10-07 2022-04-14 주식회사 모비스 다차원 이미지를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결제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2504100B1 (ko) * 2021-09-02 2023-02-24 김종덕 Qr 코드를 이용한 통합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50618B1 (ko) 2022-10-13 2023-07-03 주식회사 티페이먼트 블루투스와 실시간 qr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5775A (ko) * 2012-09-14 2014-03-2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결제 방법, 이를 실행하는 결제 서버,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140103019A (ko) * 2013-02-15 2014-08-25 류창화 안전결제코드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안전결제중개서버
KR20150029664A (ko) * 2015-02-26 2015-03-18 이명수 타임 스탬프 기반의 보안 코드를 이용하는 pg 서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50111445A (ko) * 2014-03-24 2015-10-06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결제 단말 장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모바일 단말 장치, 및 그들의 제어 방법
KR20150130724A (ko) * 2014-05-14 2015-11-24 (주)베스텍컴 가상계좌를 이용한 결제 중개 서버 및 그 방법
KR20180048138A (ko) * 2016-11-02 2018-05-10 이창헌 공동분담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5775A (ko) * 2012-09-14 2014-03-2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결제 방법, 이를 실행하는 결제 서버,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140103019A (ko) * 2013-02-15 2014-08-25 류창화 안전결제코드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안전결제중개서버
KR20150111445A (ko) * 2014-03-24 2015-10-06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결제 단말 장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모바일 단말 장치, 및 그들의 제어 방법
KR20150130724A (ko) * 2014-05-14 2015-11-24 (주)베스텍컴 가상계좌를 이용한 결제 중개 서버 및 그 방법
KR20150029664A (ko) * 2015-02-26 2015-03-18 이명수 타임 스탬프 기반의 보안 코드를 이용하는 pg 서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80048138A (ko) * 2016-11-02 2018-05-10 이창헌 공동분담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318B1 (ko) * 2020-06-10 2021-10-28 박대용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46152A (ko) 2020-10-07 2022-04-14 주식회사 모비스 다차원 이미지를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결제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2504100B1 (ko) * 2021-09-02 2023-02-24 김종덕 Qr 코드를 이용한 통합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50618B1 (ko) 2022-10-13 2023-07-03 주식회사 티페이먼트 블루투스와 실시간 qr 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6410A1 (ko)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4826B1 (ko) Qr 코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US10445724B2 (en) System for performing payment in mobile terminal
US20200380491A1 (en) Wireless short range communication link transmission of line item data in real time
US20170083900A1 (en) Method for mobile payment
CN108495316B (zh) 一种无线连接方法及设备
US11972435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y using QR code
RU2756989C2 (ru) Приложение "цифровой кошелек" для мобильного платежа
WO2023045536A1 (zh) 信息显示
EP3895109B1 (en) Two-dimensional code transaction processing common gateway
CN105225103A (zh) 继续支付系统和方法
KR101878105B1 (ko) 매장별 또는 상품별 특화코드에 유전 정보를 매칭하여 모바일 단말로 개인 맞춤형 상품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
US11157903B2 (en) Method for supplying data on a payment transaction, corresponding device and program
US20220036339A1 (en) Payment verification method and system
WO2022062600A1 (zh) 信息展示方法和信息展示装置
EP3306549A1 (en) User non-repudiation payment system and method using user terminal
KR102178804B1 (ko) 인증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N113487322B (zh) 数据处理方法及系统
CN111414604B (zh) 认证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KR102479745B1 (ko) 경기장 내 배달 업무 분배 시스템 및 방법
KR101968805B1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부인방지 대금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555593A (zh) 信用合约体系下的发约处理方法以及装置
US20240112183A1 (en) Terminal and authentication method
KR20190062145A (ko)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및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매체
AU2018283198A1 (en) Mobile payment roaming
CN111382360B (zh) 信息推送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