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402B1 - Carrier tape feeding device - Google Patents

Carrier tape feed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402B1
KR102104402B1 KR1020120110686A KR20120110686A KR102104402B1 KR 102104402 B1 KR102104402 B1 KR 102104402B1 KR 1020120110686 A KR1020120110686 A KR 1020120110686A KR 20120110686 A KR20120110686 A KR 20120110686A KR 102104402 B1 KR102104402 B1 KR 102104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tape
unit
tape
carrier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6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44563A (en
Inventor
키미유키 야마사키
Original Assignee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0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402B1/en
Priority to PCT/KR2013/003424 priority patent/WO2014025120A1/en
Priority to CN201380041893.8A priority patent/CN104541595B/en
Priority to US14/419,781 priority patent/US10667450B2/en
Publication of KR20140044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5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4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05K13/0419Feeding with belts or tapes tape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20Advancing webs by web-penetrating means, e.g. pins
    • B65H20/22Advancing webs by web-penetrating means, e.g. pins to effect step-by-step advancement of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13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with orientation of the component while holding it; Drive mechanisms for gripping tools, e.g. lifting, lowering or turning of gripping too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제 1 캐리어 테이프 및 제 2 캐리어 테이프를 순차적으로 부품실장장치로 공급하는 이송부와,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일부가 접촉하는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일부와 선택적으로 결속하고, 상기 이송부로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이송부로 공급되는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 또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순차적 존재 여부 및 상기 회전부로 공급되는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존재 여부를 근거로 상기 이송부 및 상기 회전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arrier tape supply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arrier tape and the second carrier tape sequentially supplying to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a por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to which a part of the second carrier tape is selectively engaged, the transfer unit A rotation sensor for conveying the second carrier tape, and a sensing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first carrier tape or the second carrier tape supplied to the transport unit is sequentially present and whether there is a second carrier tape supplied to the rotation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carrier tape is present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unit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transfer unit and the rotation unit to be driven based on the presence of the first carrier tape. It includes a control unit.

Description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Carrier tape feeding device}Carrier tape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rier tape supply device.

부품실장 시스템은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에 실장(surface mounting)하는 시스템으로서,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로부터 집적 회로, 다이오드, 콘덴서, 저항 등과 같은 각종 부품을 공급받아 인쇄회로기판의 실장 위치까지 이동시킨 다음 인쇄회로기판 위에 실장하는 작업을 수행한다.A component mounting system is a system that mounts electronic components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receives various components such as integrated circuits, diodes, capacitors, resistors, etc. from a carrier tape supply, and prints a printed circuit board. After moving to the mounting position of, it is performed to mount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일반적으로 부품실장 시스템은 부품을 구비한 캐리어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 장치와,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와, 노즐들을 구비하여 테이프 공급 장치로부터 부품을 흡착하여 인쇄회로기판 위에 실장하는 헤드 어셈블리와, 헤드 어셈블리를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 등을 구비한다. In general, a component mounting system includes a tape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carrier tape with parts, a conveyor for transporting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head assembly having nozzles for adsorbing parts from the tape supply device and mounting them on a printed circuit board. , A driving device for moving the head assembly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일반적으로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는 전자 부품을 구비한 캐리어 테이프를 연속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캐리어 테이프의 표면에 부착된 커버 테이프를 분리시킴으로써 헤드 어셈블리가 전자 부품을 흡착할 수 있도록 전자 부품을 노출시킨다. 커버 테이프가 벗겨진 캐리어 테이프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의 전방으로 배출되고, 캐리어 테이프에서 분리된 커버 테이프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의 후방으로 배출된다.In general,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exposes the electronic component so that the head assembly can adsorb the electronic component by continuously supplying the carrier tape with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separating the cover tap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arrier tape. The carrier tape from which the cover tape has been peeled is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carrier tape supply, and the cover tape separated from the carrier tape is discharged to the rear of the carrier tape supply.

이러한 일반적인 부품실장 시스템은 미국 공개특허공보 US2003/0230617호(2003.12.18)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Such a general component mounting system is specifically disclosed in US Patent Publication No. US2003 / 0230617 (December 18, 2003).

한편, 상기와 같은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는 복수개의 캐리어 테이프를 설치하기 위하여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의 경우 복수개의 캐리어 테이프를 공급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의 교체 없이 작업의 연속성 및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의 경우 복수개의 캐리어 테이프를 가압함으로써 각 캐리어 테이프를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carrier tape loading unit to install a plurality of carrier tapes. In the case of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by supplying a plurality of carrier tapes, continuity and speed of operation can be secured without replacing the carrier tap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carrier tape loading portion, each carrier tape can be sequentially supplied by pressing a plurality of carrier tapes.

그러나 이러한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의 경우 공급되는 캐리어 테이프의 경우 우선 공급되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시 다른 캐리어 테이프가 같이 이송되거나 이상 거동이 발생하여 캐리어 테이프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의 경우 이송 시 캐리어 테이프의 거동에 의하여 잼(Jam)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when the carrier tape is supplied, the carrier tape may be stopped because other carrier tapes are transferred together or an abnormal behavior occurs when the carrier tape is first suppli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arrier tape loading part, a jam phenomenon may occur due to the behavior of the carrier tape during transport.

이러한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를 구비하는 일반적인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20561호(발명의 명칭 :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출원인 : 에스티에스 주식회사)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A general carrier tape supplying device having such a carrier tape loading unit is specifically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20561 (invention name: carrier tape supplying device, applicant: STS Co., Ltd.).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일반적인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의 경우 단순히 복수개의 캐리어 테이프를 설치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캐리어 테이프를 정확하게 정렬하지 못하므로 캐리어 테이프가 낭비되거나 부품실장장치의 작동 오류를 초래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case of the general carrier tape supply device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carrier tapes can be simply installed to supply continuously. However, in the above case, since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cannot accurately align the continuously supplied carrier tapes, the carrier tape may be wasted or an operation error of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may occur.

미국 공개특허공보 US 2003/0230617호(2003.12.18)US Patent Publication No. US 2003/0230617 (December 18, 200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20561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02056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개의 캐리어 테이프를 자동으로 부품실장장치에 공급 가능한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을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carrier tape supply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supplying a plurality of carrier tapes to a component mount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 1 캐리어 테이프 및 제 2 캐리어 테이프를 순차적으로 부품실장장치로 공급하는 이송부와,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일부가 접촉하는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일부와 선택적으로 결속하고, 상기 이송부로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이송부로 공급되는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 또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순차적 존재 여부 및 상기 회전부로 공급되는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존재 여부를 근거로 상기 이송부 및 상기 회전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arrier tape and the second carrier tape is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parts mounting device, and a por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to which a portion of the second carrier tape is selectively engaged and ,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first carrier tape or the second carrier tape supplied to the transfer unit and the rotation unit for transferring the second carrier tape to the transfer unit, and the presence of the second carrier tape supplied to the rotation unit The detection sensor unit and the presence of the first carrier tape is determined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unit, and at least one of the transfer unit and the rotation unit is driven based on the presence of the first carrier tap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rrier tape supply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to control as much as possible.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 또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와, 상기 제 1 이송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 또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제 2 이송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unit, the first transfer unit for transporting the first carrier tape or the second carrier tap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ransfer unit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ransfer the first carrier tape or the second carrier tape A second transfer part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감지센서부는, 상기 이송부와 상기 회전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에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 또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제 1 감지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sensor unit may include a first sensing sensor unit disposed between the transfer unit and the rotating unit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first carrier tape or the second carrier tape sequentially supplied from the rotating unit.

또한, 상기 감지센서부는, 상기 회전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로 공급되는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 및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제 2 감지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sensor unit may be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rotating uni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may include a second sensing sensor unit that detects the presen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carrier tape and the second carrier tape supplied to the rotating unit. have.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제 1 이송공 또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제 2 이송공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 또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 1 스프로켓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 part of the first carrier tape or the second carrier tape of the first carrier tape is inserted into a part of the first carrier tap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or the second carrier tape. Sprockets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제 1 이송공 또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제 2 이송공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 또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제 2 스프로켓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part, the first sprocket of the first carrier tape or a part of the second carrier tape is inserted into a second sprocket to transfer the first carrier tape or the second carrier tape of the second carrier tape It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부품실장장치는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제 1 부품 또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제 2 부품을 흡착하는 흡착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흡착노즐은 상기 제 2 스프로켓의 회전 중심 상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is provided with an adsorption nozzle that adsorbs the first part of the first carrier tape or the second part of the second carrier tape, and the adsorption nozzle is disposed on the rotation center of the second sprocket. You can.

또한, 상기 감지센서부, 상기 이송부,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제어부가 내측에 설치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부품실장장치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접속감지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ction sensor unit, the transfer unit, the rotat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is installed on the inside and the base frame forming the appearance, and installed on the base frame to detect wheth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the base frame is detected I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또한,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부존재가 판단되면,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회전부로부터 상기 이송부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bsence of the first carrier tape is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uni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rotation unit to transfer the second carrier tape from the rotation unit to the transfer unit.

또한,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존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를 구동시켜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부품실장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esence of the first carrier tape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unit, the control unit may drive the transfer unit to supply the first carrier tape to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또한,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공급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부품실장장치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를 제 1 시간 동안 구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pply of the first carrier tape is completed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unit, the control unit drives the transfer unit for a first time to supply the first carrier tape to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I can do it.

또한, 외부의 사용자에게 소리 또는 화상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alarm unit that provides information to an external user through sound or images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부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부존재에 관한 정보를 외부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알람부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bsence of the second carrier tape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uni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alarm unit to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the absence of the second carrier tape to an external user.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복수 개의 캐리어 테이프가 투입되는 단일 투입구 및 상기 캐리어 테이프에 내장된 부품들이 흡착되는 커버테이프제거부가 형성된 바디부와, 제 1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커버테이프제거부 쪽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모듈과, 상기 이송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이송모듈과의 이송이 완료된 때에는 후속적으로 투입된 제 2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이송모듈로 이송시키는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와, 상기 이송모듈에서 이송되는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 또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순차적 존재 여부 및 상기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로 공급되는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존재 여부를 근거로 상기 이송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port unit for transferring a first carrier tape toward the cover tape removal unit, and a body portion formed with a single inlet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carrier tapes are input and a cover tape removal unit for adsorbing parts embedded in the carrier tape A module and a carrier tape loading unit connected to the transfer module to transfer the second carrier tape, which is subsequently input, to the transfer module when transfer of the first carrier tape and the transfer module is completed. Based on the detection sensor unit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first carrier tape or the second carrier tape being sequentially transferred and the presence of the second carrier tape supplied to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and a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unit Determine whether the first carrier tape is present, and the first carr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rrier tape feed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uch that the at least one drive of the transfer module on the basis of the presence of the tape.

또한, 상기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는,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이송모듈이 연결된 동안에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상기 커버테이프제거부로의 이송을 제한하고,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이송모듈의 연결이 해제된 때에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제 2 이송공을 상기 이송모듈에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is connected to the first carrier tape and the transfer module, the transfer of the second carrier tape to the cover tape removal unit is restricted,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arrier tape and the transfer module is released. When it is done, the second transfer hole of the second carrier tape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fer module.

또한, 상기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의 단부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측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제 2 이송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을 제한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nd portion of the carrier tape loading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a second transfer hol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of the second carrier tape to limit the transfer of the second carrier tape.

또한, 상기 제 1,2 캐리어 테이프는, 상기 제 1,2 캐리어 테이프의 일면을 폐쇄하도록 결합하는 제 1,2 커버 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모듈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제 1 커버 테이프 또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제 2 커버 테이프를 일 방향에서만 제거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커버테이프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arrier tapes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over tapes coupled to close on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carrier tapes, and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ransfer modu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rst cover tape of the tape or the second cover tape of the second carrier tape may be removed only in one direction to further include a cover tape removing unit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상기 커버테이프제거부는, 일면에 커버 테이프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상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된 테이프 지지부와, 상기 커버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제 1측부를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상기 커버 테이프의 상기 제 1 측부가 분리된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며 휘어지도록 안내하는 벤딩 가이드부와, 분리된 상기 커버 테이프의 상기 제 1 측부가 상기 커버 테이프의 분리되지 않은 제 2 측부를 넘어 아래로 내려가도록 접히게 하는 접힘 안내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tape removal portion, the cover tape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carrier tape is detachably attached to one surface, the tape support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arrier tape, the length of the cover tape The separation portion for separating the one side from the carrier tape, the bending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first side of the cover tape separated from the carrier tape away from the separated portion, and the separation of the cover tape The first side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folding guide portion that is folded so as to go down beyond the second non-separated side portion of the cover tape.

또한, 상기 벤딩 가이드부는 상기 분리부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테이프 지지부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연장하는 제 1 로드와, 상기 제 1 로드와 교차하도록 상기 테이프 지지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 2 로드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nding guide portion may include a first rod extending from an upper side of the separation portion toward an edge of the tape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rod extending along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tape support portion so as to cross the first rod. .

또한, 상기 제 1 로드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며 연장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1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테이프 지지부의 하측을 향해 굴곡되어 상기 측면판을 향하도록 연장하는 제 2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od, the first extension extending in an incl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carrier tape, and bent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tape support at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to extend toward the side plate It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extension.

또한, 상기 벤딩 가이드부는 하측을 향해 개구된 반원의 단면을 갖도록 만곡되며 상기 분리부로부터 상기 테이프 지지부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nding guide portion is curved to have a cross section of a semicircle opened toward the lower side and may extend from the separation portion toward the edge of the tape support portion.

또한,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분리부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스프로켓을 구비하며, 상기 분리부는 상기 한 쌍의 스프로켓과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접촉점을 통과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module is provided with a pair of sprockets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separation portion, the separation portion passes through the contact point of the pair of sprockets and the carrier tape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ransport of the carrier tape It can be arranged to cross a straight line.

또한, 상기 커버 테이프의 상기 제 1 측부는, 분리되지 않은 상기 커버 테이프의 상기 제 2 측부를 넘어 아래로 내려가도록 180도 이상 회전하여 접힐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ide of the cover tape may be folded by rotating more than 180 degrees so as to fall down beyond the second side of the cover tape that is not separated.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캐리어 테이프를 공급하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와, 상기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부품을 흡착하여 외부 전자기기에 실장하는 부품실장장치와, 상기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및 상기 부품실장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테이프에 형성되는 표식부를 인지하는 표식인식부와, 상기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및 상기 부품실장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표식인식부로부터 인식된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표식부를 근거로 실장정보를 저장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부품실장 시스템를 제공할 수 있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rrier tape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t least two or more carrier tapes, a component mounting device for adsorbing the components of the carrier tape supplied from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and mounting them on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the carrier It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tape supply device and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to recognize the label formed on the carrier tape, and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and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from the label recognition uni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onent mounting system including a control device for storing mounting information based on the recognized marking portion of the carrier tape.

또한, 상기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는, 복수 개의 캐리어 테이프가 투입되는 단일 투입구 및 상기 캐리어 테이프에 내장된 부품들이 흡착되는 커버테이프제거부가 형성된 바디부와, 제 1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커버테이프제거부 쪽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모듈과, 상기 이송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이송모듈과의 이송이 완료된 때에는 후속적으로 투입된 제 2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이송모듈로 이송시키는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와, 상기 이송모듈에서 이송되는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 또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순차적 존재 여부 및 상기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로 공급되는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존재 여부를 근거로 상기 이송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rier tape supplying device, a body portion formed with a single inlet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carrier tapes are inputted and a cover tape removal portion to which parts embedded in the carrier tape are adsorbed, and the first carrier tape are transferred toward the cover tape removal portion. The transfer module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module, and when the transfer of the first carrier tape and the transfer module is completed, a carrier tape loading unit for transferring the second carrier tape subsequently fed to the transfer module, and the transfer The detection sensor unit detects whether the first carrier tape or the second carrier tape sequentially transferred from the module and whether the second carrier tape is supplied to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and a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unit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existence of the first carrier tape At least one of the transport modules on the basi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irst carrier tape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o as to be driven.

또한, 상기 부품실장장치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가 장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 상의 부품을 흡착하는 흡착노즐과, 상기 흡착노즐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 및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표식부를 인식하는 제 2 표식인식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the mounting portion is mounted to the carrier tape supply unit, and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ating portion, the adsorption nozzle for adsorbing the components on the carrier tape supplied from the carrier tape supply unit and , It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adsorption nozzle, it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mark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carrier tape and the marker portion of the carrier tape.

또한, 상기 실장정보는 외부 전자기기에 대응하는 정보, 캐리어 테이프 저장장치에 대응하는 정보, 캐리어 테이프에 대응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mount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arrier tape storage device, 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arrier tape.

또한, 외부의 사용자에게 소리 또는 화상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실장정보와 기 설정된 실장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실장정보와 기 설정된 실장정보가 상이한 경우 작업을 중지시키거나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further comprising an alarm unit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n external user through sound or image, the control device compares the mounting information with preset mounting information and stops the operation when the mounting information and the preset mounting information are different. Or to operate the alarm unit.

또한, 상기 표식부는 큐알 코드(QR-Code)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rker may be a QR cod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복수개의 캐리어 테이프를 단일 투입구로 공급한 후 복수개의 캐리어 테이프 중 제 1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모듈에 연결하는 단계와, 제 1 감지센서부를 통하여 감지된 상기 이송모듈에 연결된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존재 유무를 근거로 상기 이송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여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를 부품실장장치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이송모듈의 연결이 해제되면,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에 의해 이송이 제한된 복수개의 캐리어 테이프 중 제 2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이송모듈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품실장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supplying a plurality of carrier tapes to a single inlet, connecting the first carrier tape among the plurality of carrier tapes to the transfer module, and connected to the transfer module sensed through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Driving at least one of the transfer modules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rst carrier tape to transfer the first carrier tape to a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arrier tape and the transfer module is released, the carri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onent mounting method comprising connecting a second carrier tape to the transfer module among a plurality of carrier tapes whose transfer is restricted by the tape loading unit.

또한, 제 2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존재 유무를 근거로 상기 이송모듈 중 회전부만 회전시켜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이송모듈에 연결하여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econd carrier tape from the second detection sensor, and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econd carrier tape, rotates only the rotating part of the transfer module to transfer the second carrier tape to the transfer module.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connecting and transporting.

또한,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이송모듈에 연결시키는 단계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의 단부가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제 2 이송공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방식으로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이송모듈에 연결하는 단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connecting the second carrier tape to the transfer module, connecting the second carrier tape to the transfer module in such a way that the end portion of the carrier tape loading portion comes out of the second transfer hole of the second carrier tape. It may be a step.

또한, 상기 캐리어 테이프는 표식부를 구비하고, 표식인식부에서 상기 표식부를 인지하여 상기 표식부에 해당하는 실장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rier tape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storing a moun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rking portion by having a marking portion and recognizing the marking portion in the marking recognition portion.

또한, 상기 실장정보와 상기 기 설정된 실장정보가 상이한 경우 작업을 중지하거나 외부로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ounting information and the predetermined mounting information is different,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stopping the work or generating an external alar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캐리어 테이프를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의 교체없이 작업을 신속하고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숙련된 작업자가 수동으로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복수개의 캐리어 테이프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비숙련에 의한 제품의 하자 및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smoothly without replacing the carrier tape by sequentially supplying the carrier tape.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defects and failures of the product due to the inexperience of the operator because the skilled worker can automatically supply a plurality of carrier tapes through a simple structure rather than manually replacing th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캐리어 테이프와 커버 테이프의 폭의 변화에 맞추어 캐리어 테이프와 커버 테이프의 수거 장치를 다르게 설계할 필요가 없고 캐리어 테이프와 커버 테이프의 폭이 넓은 경우에도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의 폭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need to design the collection device of the carrier tape and the cover tap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width of the carrier tape and the cover tape, and increase the width of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even when the width of the carrier tape and the cover tape is wide.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의 내부에서 캐리어 테이프의 교체 후 캐리어 테이프를 흡착노즐로 정확하게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의 손실을 방지하고 작업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loss of the carrier tape and secure the continuity of the work by accurately and sequentially supplying the carrier tape to the adsorption nozzle after replacing the carrier tape inside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실장 시스템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캐리어 테이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1의 커버테이프제거부의 일부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커버테이프제거부에서 일부 구성 요소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커버테이프제거부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커버테이프제거부에서 ⅩⅠ-ⅩⅠ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커버테이프제거부에서 ⅩⅡ-ⅩⅡ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커버테이프제거부에서 제 1 캐리어 테이프와 제 1 커버 테이프의 작동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 1 캐리어 테이프에서 ⅩⅣ-ⅩⅣ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제 1 캐리어 테이프에서 ⅩⅤ-ⅩⅤ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제 1 캐리어 테이프에서 ⅩⅥ-ⅩⅥ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7a는 도 10의 커버테이프제거부에 의해 제 1 캐리어 테이프에서 제 1 커버 테이프가 분리되는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와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커버테이프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커버테이프제거부의 일부 구성 요소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커버테이프제거부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에 도시된 부품실장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부품실장 시스템의 제어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ponent moun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carrier tape shown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rrier tape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arrier tape loading unit shown in FIG. 3.
5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first operation of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shown in FIG. 4.
FIG. 6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econd operation of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shown in FIG. 4.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shown in FIG. 3.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cover tape removal part of FIG. 1.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some components separated from the cover tape removing unit of FIG. 8.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over tape removal unit of FIG. 8.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XI in the cover tape removal unit of FIG. 10.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XII in the cover tape removal unit of FIG. 10.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carrier tape and the first cover tape in the cover tape removing unit of FIG. 10.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V-XIV in the first carrier tape of FIG. 13.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XV in the first carrier tape of FIG. 13.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XVI in the first carrier tape of FIG. 13;
17A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first cover tape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arrier tape by the cover tape removing unit of FIG. 10.
1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fferent angle from FIG. 17A.
1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ver tape remova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cover tape removal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is separated.
2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tape removal unit of FIG. 19.
2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component mounting system shown in FIG. 1.
22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trol procedure of the component mounting system shown in FIG. 21.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Meanwhil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refers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mentioned abov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Or do not exclude addition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실장 시스템(S)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ponent mounting system 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부품실장 시스템(S)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캐리어 테이프(C)를 공급하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가 2개의 캐리어 테이프(C)를 공급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component mounting system (S) may include a carrier tape supply (F) for supplying at least two or more carrier tape (C).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mainly with the case where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supplies two carrier tapes C.

한편, 부품실장 시스템(S)은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가 설치되는 부품실장장치(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부품실장장치(D)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로부터 공급되어 이송되는 캐리어 테이프(C)의 부품을 흡착하여 외부 전자기기(미도시)에 실장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mponent mounting system S may include a component mounting device D in which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is installed. At this time,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D) can be mounted on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not shown) by adsorbing the components of the carrier tape (C) supplied and transferred from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또한, 부품실장 시스템(S)은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 및 부품실장장치(D)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캐리어 테이프(C)에 형성되는 표식부(미표기)를 인지하는 표식인지부(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ponent mounting system (S)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and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D) is a label recognition unit (not marked) to recognize the marking portion (not marked) formed on the carrier tape (C) ).

이때, 상기 표식인지부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 또는 부품실장장치(D)에 설치되거나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 및 부품실장장치(D)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부품실장장치(D)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t this time, the marker recognition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or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D) or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and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D), respectively.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descrip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the case where it is installed in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D.

한편, 부품실장 시스템(S)은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 및 부품실장장치(D)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표식인식부로부터 인식된 캐리어 테이프(C)의 표식부(미도시)를 근거로 실장정보를 저장하는 제어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mponent mounting system (S)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and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D) is based on the marking portion (not shown) of the carrier tape (C) recognized from the label recognition unit It may include a control device (not shown) for storing the mounting information.

이때, 상기 실장정보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장정보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에 대응하는 정보, 캐리어 테이프에 대응하는 정보, 전자기기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ounting information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For example, the mounting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rrier tape, 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장치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에 설치되는 후술할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부품실장장치(D)에 설치되는 제어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어장치가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에 설치되는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stalled on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installed in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D).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descrip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the case where the control device includes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installed on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부품실장장치(D)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가 안착하는 안착부(D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품실장장치(D)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 내의 제 1 부품(미도시) 또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 내의 제 2 부품(미도시)을 흡착하는 흡착노즐(D1)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부품실장장치(D)는 흡착노즐(D1)을 통하여 흡착된 상기 제 1 부품 또는 상기 제 2 부품을 상기 외부 전자기기로 공급할 수 있다.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D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D2 on which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is seated. In addition,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D includes an adsorption nozzle D1 adsorbing a first component (not shown) in the first carrier tape 3 or a second component (not shown) in the second carrier tape 1. can do. Particularly,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D may supply the first component or the second component adsorbed through the adsorption nozzle D1 to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부품실장장치(D)는 흡착노즐(D1)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2 표식인식부(E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표식인식부(E2)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표식인식부(E2)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표식인식부(E2)는 상기 표식부를 스캔하는 스캔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표식인식부(E2)가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D may include a second mark recognition unit E2 spaced apart from the adsorption nozzle D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is time, the second marker recognition unit E2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Specifically, the second mark recognition unit E2 may include a camera. In addition, the second marker recognition unit E2 may include a scan unit that scans the marker.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econd marker recognition unit E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a focus on a case including a camera.

도 2은 도 1에 도시된 제 1 캐리어 테이프(3)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carrier tape 3 shown in FIG. 1.

도 2를 참고하면, 부품 장착 장비에 장착되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 tape feeder)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부품릴(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캐리어 테이프(미표기)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캐리어 테이프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와 제 2 캐리어 테이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캐리어 테이프(3) 및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는 서로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부품릴(8)과 제 1 캐리어 테이프(3)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2, a carrier tape feeder (F, tape feeder) mounted on a component mounting equipment continuously supplies carrier tape (not shown) supplied from a component reel (not shown) as shown in FIG. 1. to be. At this time, the carrier tape may include a first carrier tape 3 and a second carrier tape (not shown). At this time,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the second carrier tape may be formed similarly to each oth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component reel 8 and the first carrier tape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 1 부품릴(8)에는 대략 2000개 내지 5000개 정도의 부품들이 수납될 수 있다. 제 1 부품릴(8)에 감기어 있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는 복수 개의 제 1 수납공간(3a)이 형성된다.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각각의 제 1 수납공간(3a)에는 반도체 칩과 같은 제 1 부품(5)이 수납된다.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상부에는 제 1 커버 테이프(2)가 부착되며, 제 1 부품(5)이 수납된 제 1 수납공간(3a)을 밀봉한다.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가장자리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제 1 이송공(3b)이 형성된다.Approximately 2000 to 5000 parts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component reel 8. A plurality of first storage spaces 3a are formed in the first carrier tape 3 wound around the first component reel 8. A first component 5 such as a semiconductor chip is accommodated in each of the first storage spaces 3a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The first cover tape 2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seals the first storage space 3a in which the first component 5 is stored. A plurality of first transfer holes 3b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t the edg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제 1 캐리어 테이프(3)는 제 1 표식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표식부(6)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표식부(6)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표식부(6)는 제 1 부품(5)이 안착하는 제 1 수납공간(3a) 중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식부(6)가 제 1 부품(5)이 안착하는 제 1 수납공간(3a) 중 하나에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first carrier tape 3 may include a first marking portion 6. At this time, the first marker 6 may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For example, the first marking portion 6 may be formed on the first carrier tape 3. In addition, the first marking portion 6 may be formed in one of the first storage space 3a in which the first component 5 is seat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ase in which the marker 6 is formed in one of the first storage space 3a in which the first component 5 is sea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 1 표식부(6)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표식부(6)는 바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표식부(6)는 큐알 코드(QR-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표식부(6)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캐리어 테이프(3) 및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미도시)의 정보 등을 담을 수 있는 모든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The first marking portion 6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first marker 6 may include a barcode. In addition, the first marking unit 6 may include a QR code. At this time, the first marking portion 6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any form capable of containing informa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not shown) may be possible.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Meanwhile, hereinafter,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는 복수개의 캐리어 테이프가 투입되는 단일 투입구(미표기) 및 캐리어 테이프에 내장된 부품들이 흡착되는 커버테이프제거부(700)가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600)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캐리어 테이프를 공급 및 이송시키는 각 구성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3,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is a single inlet (not shown) in which a plurality of carrier tapes are input and a base frame 600 having a cover tape removal unit 700 in which parts embedded in the carrier tape are adsorbed. It may include. At this time, the base frame 600 forms an exterior, and each component for supplying and transporting the carrier tape may be installed therein.

이때, 복수개의 캐리어 테이프는 2개 이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캐리어 테이프가 2개의 캐리어 테이프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특히 복수개의 캐리어 테이프가 제 1 캐리어 테이프(3)과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carrier tapes may be two or mor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description will be mainly made of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carrier tapes include two carrier tapes. In particula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mainly of the case where the plurality of carrier tapes includes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the second carrier tape 1.

한편,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를 커버테이프제거부(700) 쪽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may include a transfer module (not shown) for transferring the first carrier tape 3 toward the cover tape removal unit 700.

상기 이송모듈은 복수개의 캐리어 테이프 중 제 1 캐리어 테이프(3)를 커버테이프제거부(700) 쪽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module may include a transfer unit (not indicated) for transferring the first carrier tape 3 among the plurality of carrier tapes toward the cover tape removal unit 700.

이때, 상기 이송부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제 1 이송공(3b) 또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제 2 이송공(미도시)에 삽입되어 제 1 캐리어 테이프(3) 또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커버테이프제거부(700) 쪽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210) 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ransfer part is inserted into the first transfer hole 3b of the first carrier tape 3 or the second transfer hole (not shown)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so that the first carrier tape 3 or the second It may include a first transfer unit 210 for transferring the carrier tape 1 toward the cover tape removal unit 700.

제 1 이송부(210)는 제 1 이송공(3b) 또는 제 2 이송공(미표기) 일부가 삽입되어 제 1 캐리어 테이프(3) 또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 1 스프로켓(21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 1 스프로켓(211)은 기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transport part 210 is a first sprocket (3b) or a second sprocket (not shown) is inserted into a first sprocket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or the second carrier tape (1) ( 211). At this time, the first sprocket 211 may be formed in a gear form.

특히 제 1 스프로켓(211)은 제 1 캐리어 테이프(3) 또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이송 이외에도 제 1 캐리어 테이프(3) 또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first sprocket 211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or the second carrier tape 1 in addition to the transport of the first carrier tape 3 or the second carrier tape 1.

구체적으로 제 1 캐리어 테이프(3) 또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는 각각 제 1 스프로켓(211)에 삽입됨으로써 위치가 한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캐리어 테이프(3) 또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가 비틀리거나 벗어난 경우에 위치에 후술할 커버테이프제거부(700)에 가이드되어 제 1 스프로켓(211)에 안착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or the second carrier tape 1 may be limi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sprocket 211, respectively. In addition, when the first carrier tape 3 or the second carrier tape 1 is twisted or deviated, it can be guided to the cover tape removal unit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seated on the first sprocket 211.

또한, 제 1 이송부(210)는 제 1 스프로켓(211)과 연결되어 제 1 스프로켓(211)을 회전시키는 제 1 구동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부(212)는 제 1 스프로켓(211)과 연결되는 제 1 구동력전달부(21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구동부(212)는 제 1 구동력전달부(212b)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생성하는 제 1 구동력생성부(212a)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transfer unit 210 may include a first driving unit 212 connected to the first sprocket 211 to rotate the first sprocket 211. In this case, the first driving unit 212 may include a first driving force transmission unit 212b connected to the first sprocket 211. 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unit 212 may include a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12a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212b to generate driving force.

구체적으로 제 1 구동력생성부(212a)는 제 1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구동력전달부(212b)는 제 1 구동력생성부(212a)와 연결되는 제 1 풀리어셈블리 또는 제 1 기어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구동력전달부(212b)가 제 1 기어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Specifically,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or 212a may include a first motor. Also, the first driving force transmission unit 212b may include a first pulley assembly or a first gear assembly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on unit 212a.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driving force transmission unit 212b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case where the first gear assembly is included.

제 1 이송부(210)는 제 1 구동부(212)에 설치되어 제 1 구동부(212)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 1 회전감지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회전감지센서부는 제 1 구동력생성부(212a)에 설치될 수 있다. The first transfer unit 210 may include a first rotation detection sensor unit (not shown) installed in the first driving unit 212 to detect rot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212. In particular, the first rotation detection sensor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12a.

이때, 상기 제 1 회전감지센서부는 제 1 구동부(212)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회전감지센서부는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감지센서부는 광센서를 포함하여 제 1 구동력생성부(212a)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회전감지센서부가 광센서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In this case, the first rotation detection sensor unit may be variously formed to sense the rot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212. For example, the first rotation detection sensor unit may include a hall sensor. In addition, the first rotation detection sensor unit may include an optical sensor to sense the rotation of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12a.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descrip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the case where the first rotation detection sensor unit includes an optical sensor.

한편, 상기 이송부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제 1 이송공(3b) 또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상기 제 2 이송공에 삽입되어 제 1 캐리어 테이프(3) 또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이송하는 제 2 이송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ransport unit is inserted into the first transport hole (3b) of the first carrier tape (3) or the second transport hole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the first carrier tape (3) or the second carrier tape ( It may include a second transfer unit 220 for transferring 1).

이때, 제 2 이송부(22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 또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이송시키면서 후술할 커버테이프제거부(700)의 작동을 보조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transfer unit 220 may assist the operation of the cover tape removal unit 700 to be described later while transferring the first carrier tape 3 or the second carrier tape 1.

제 2 이송부(22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제 1 이송공(3b) 또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제 2 이송공에 일부가 삽입되어 제 1 캐리어 테이프(3) 또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이송시키는 제 2 스프로켓(2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스프로켓(221)은 기어 형태로 형성되어 제 2 기어이가 제 1 이송공(3b) 또는 상기 제 2 이송공에 삽입될 수 있다. The second conveying unit 220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first conveying hole 3b of the first carrier tape 3 or the second conveying hole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so that the first carrier tape 3 or the second It may include a second sprocket 221 for transferring the carrier tape (1). At this time, the second sprocket 221 is formed in a gear shape so that the second gear teeth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feed hole 3b or the second feed hole.

또한, 제 2 스프로켓(221)은 회전 중심이 후술할 흡착노즐(D1)과 일직선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흡착노즐(D1)은 제 2 스프로켓(221)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sprocket 221 may have a rotation center form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adsorption nozzle D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pecifically, the adsorption nozzle D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econd sprocket 221.

또한, 제 2 이송부(220)는 제 2 스프로켓(221)과 연결되어 제 2 스프로켓(221)을 회전시키는 제 2 구동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구동부(222)는 제 2 구동력생성부(222a)와 제 2 구동력전달부(222b)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 2 구동력생성부(222a)와 제 2 구동력전달부(222b)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 1 구동력생성부(212a)와 제 1 구동력전달부(212b)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transfer unit 220 may include a second driving unit 222 connected to the second sprocket 221 to rotate the second sprocket 221. At this time, the second driving unit 222 may include a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22a and a second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222b. In particular, since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2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222b are similar to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12a and the first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212b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제 2 이송부(220)는 제 2 구동부(222)에 설치되어 제 2 구동부(222)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 2 회전감지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2 회전감지센서부는 제 2 구동력생성부(222a)에 설치되어 제 2 구동력생성부(222a)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회전감지센서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상기 제 1 회전감지센서부와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second transfer unit 220 may include a second rotation detection sensor unit (not shown) installed in the second driving unit 222 to sense the rot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222. In particular, the second rotation detection sensor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on unit 222a to sense rotation of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on unit 222a.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rotation detection sensor unit is formed similar to the first rotation detection sensor unit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below.

한편, 제 1 이송부(210) 및 제 2 이송부(220)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transport unit 210 and the second transport unit 220 may rotate to transport the carrier tape in one direction.

또한, 상기 이송모듈은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이 완료되면,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제 1 이송부(210) 및 제 2 이송부(220) 측으로 이송하는 회전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transfer of the first carrier tape 3 is completed, the transfer module may include a rotating unit 230 for transferring the second carrier tape 1 to the first transfer unit 21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220 side. You can.

한편,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는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는 상기 이송모듈로 복수개의 캐리어 테이프(미표기)가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는 회전부(230)로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Meanwhile,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may include a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At this time,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may smoothly supply a plurality of carrier tapes (not indicated) to the transfer module. In particular,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can smoothly supply the second carrier tape 1 to the rotating unit 230.

또한,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는 베이스 프레임(600)에 회동(Pivot)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가 단일 투입구(미도시)로 투입될 때에 베이스 프레임(600)로부터 멀어졌다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방식으로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제 2 삽입홀(미도시)에 끼워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frame 600 so as to be pivotable. In particular,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is a second carrier tape (1) in a manner that rot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frame 600 when the second carrier tape (1) is fed into a single inlet (not shown) and then closes ) May be fitted into a second insertion hole (not shown).

한편,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위치 또는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부는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감지센서부는 제 1 이송부(210)와 후술할 회전부(미표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감지센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감지센서부는 제 1 감지센서부(4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회전부(23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2 감지센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may include a sensing sensor unit (not indicated) that detects the position or presence of the carrier tape. In this case, a plurality of the detection sensor units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 units may include a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disposed between the first transfer unit 210 and a rotating unit (not indicat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 units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may include a second detection sensor unit 50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otation unit 230.

제 1 감지센서부(400)는 상기 복수개의 캐리어 테이프의 교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 2 감지센서부(500)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가 교체된 후 새로운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may check whether the plurality of carrier tapes are replaced. In addition, the second detection sensor unit 500 may check the existence of the new carrier tape after the carrier tape is replaced.

제 1 감지센서부(400) 및 제 2 감지센서부(500)는 광센서, 마그네틱센서, 근접센서 등과 같은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감지센서부(400) 및 제 2 감지센서부(500)가 광센서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first sensing sensor unit 400 and the second sensing sensor unit 500 may include all sensors capable of sensing an object such as an optical sensor, a magnetic sensor, and a proximity sensor.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unit 5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mainly in the case of including an optical sensor.

구체적으로 제 1 감지센서부(40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이송되다가 끝단이 후술할 상기 회전부를 통하여 이송되면,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끝단의 위치 또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존재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first carrier tape 3 is transferred to the first sensing sensor unit 400 and the end is transferred through the rotation unit to be described later,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first carrier tape 3 or the first carrier tape 3 ) Can be detected.

특히 제 1 감지센서부(40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이송되는 동안 제 1 캐리어 테이프(3) 측으로 광을 분사하고, 광의 검출 여부로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끝단을 인식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sprays light toward the first carrier tape 3 while the first carrier tape 3 is being transported, and recognizes the end of the first carrier tape 3 by detecting light. You can.

또한, 제 2 감지센서부(500)는 제 1 감지센서부(400)의 작동과 유사하도록 작동하여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detection sensor unit 500 operates to be similar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to check whether the second carrier tape 1 is present.

한편,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는 상기 감지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존재 여부를 근거로 상기 이송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may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carrier tape 3 is present based on the signal sensed by the detection sensor unit.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such that at least one of the transport modules is driven based on the existenc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존재하는 경우 제 1 구동부(212)와 제 2 구동부(222)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후술할 제 3 구동부(230a)를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first carrier tape 3 is presen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first driving unit 212 and the second driving unit 222 to be driven. In addition, when the first carrier tape 3 is not presen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o drive the third driving unit 230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는 회전부(230)에 설치되어 회전부(230)를 회전시키는 제 3 구동부(23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3 구동부(230a)는 제 3 모터를 포함하고, 제 3 모터는 회전부(230)와 직결되어 회전부(2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may include a third driving unit 230a installed on the rotating unit 230 to rotate the rotating unit 230. At this time, the third driving unit 230a includes a third motor, and the third moto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otating unit 230 to rotate the rotating unit 230.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는 베이스 프레임(600)에 설치되는 접속감지센서부(60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접속감지센서부(600a)는 베이스 프레임(600)과 부품실장장치(D)의 접속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may include a connection detection sensor unit 600a installed in the base frame 600. At this time, the connection detection sensor unit 600a may detect whether the base frame 600 and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D are connected.

특히 접속감지센서부(600a)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 프레임(600)과 부품실장장치(D)의 접속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속감지센서부(600a)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여 베이스 프레임(600)이 부품실장장치(D)에 접촉하는 경우 신호를 외부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접속감지센서부(600a)는 마그네틱 센서들로 구성되어 부품실장장치(D)가 서로 접속하는 경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nnection detection sensor unit 600a is formed in various forms to detect whether the base frame 600 and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D are connected. For example, the connection detection sensor unit 600a may generate a signal when the base frame 600 contacts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D, including a switching circuit. In addition, the connection detection sensor unit 600a is composed of magnetic sensors and can generate a signal when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s 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이하에서는 케리어 테이프 로딩부(10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Meanwhile, hereinafter,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케리어 테이프 로딩부(100)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shown in FIG. 3.

도 4를 참고하면, 회전부(23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일부와 결속할 수 있다. 특히 회전부(23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일부와 결속하여 제 1 스프로켓(211) 및 제 2 스프로켓(221)이 작동하는 경우 회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rotating part 230 may be engaged with a part of the first carrier tape 3. In particular, the rotating part 230 may rotate when the first sprocket 211 and the second sprocket 221 operate by binding with a part of the first carrier tape 3.

회전부(230)는 외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기어이(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어이는 회전부(230)의 외면을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기어이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 형성되는 제 1 이송공(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어이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이동하는 경우 회전하면서 상기 기어이가 제 1 이송공에 삽입되거나 제 1 이송공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The rotating part 230 may include a gear (not shown) formed to protrude on the outer surface. At this time, a plurality of the gear teeth may be provid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part 230. In particular, the gear teeth may be inserted into a first transfer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first carrier tape 3. Specifically, when the first carrier tape 3 moves, the gear teeth may be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first feed hole while rotating.

한편, 회전부(230)는 상기와 같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이동하는 경우에 회전하기도 하지만, 별도의 제 3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함으로써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구동부는 구동력을 생성할 수 있는 모터 등과 같은 엑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3 구동부는 회전부(230)의 회전 중심과 연결되어 회전부(23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rotating unit 230 may rotate when the first carrier tape 3 moves as described above, but may be rotated by including a separate third driving unit (not shown). At this time, the third driving unit may include an actuator such as a motor capable of generating driving force. In particular, the third driving unit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ng unit 230 to selectively rotate the rotating unit 230.

구체적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이송부(210) 및 제 2 이송부(220)가 작동하는 경우 회전부(230)는 피동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 감지센서부(400)에서 측정되는 결과에 따라서 능동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transfer unit 21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220 operate, the rotating unit 230 may rotate passively. However, it can actively rotate according to the result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unit 400.

예를 들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감지센서부(400)에서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소진된 것으로 판단되면, 회전부(230)는 회전하여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제 1 이송부(210) 및 제 2 이송부(220)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구동부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부(230)는 회전할 수 있다.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carrier tape 3 is exhausted from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the rotation unit 230 rotates to rotate the second carrier tape 1 to the first transfer unit. It may be transferred to the 21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220 side. At this time, the third driving unit generates a driving force, and the rotating unit 230 may rotate by the driving force.

한편,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는 회전부(23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베이스 프레임(6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핸들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핸들부(12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외면과 접촉하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선택적으로 결속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unit 230 and may include a handle unit 120 rotatably installed in the base frame 600. At this time, the handle unit 120 may selectively bind the second carrier tape 1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구체적으로 핸들부(120)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파지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120)는 파지부(121)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베이스 프레임(6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핸들바디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파지부(121)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파지부(121)는 핸들바디부(122)의 일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handle unit 120 may include a gripping unit 121 formed to be gripped by a user. 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120 may include a handle body portion 122 formed to extend from the grip portion 121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frame 600. At this time, the gripping portion 121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can increase user convenience. Particularly, the gripping part 121 may be installed to surround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body part 122.

핸들부(120)는 핸들바디부(12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삽입돌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삽입돌기(123)는 핸들바디부(122)로부터 회전부(23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돌기(123)는 복수개 구비되며, 복수개의 삽입돌기(123)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handle portion 120 may include an insertion protrusion 123 formed to protrude from the handle body portion 122. At this time, the insertion protrusion 123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handle body portion 122 to the rotating portion 230 side. In addition, a plurality of insertion protrusions 123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insertion protrusions 123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특히 삽입돌기(123)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에 형성되는 제 2 이송공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삽입돌기(123) 사이의 간격은 제 2 이송공의 간격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돌기(123)는 제 2 이송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이송을 제한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insertion protrusion 123 may b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transport hole formed in the second carrier tape 1. In addition, the spacing between each insertion protrusion 123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pacing of the second transfer hole. Therefore, the insertion protrusion 123 can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second transport hole to limit the transport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또한, 삽입돌기(123)의 돌출 높이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와 상기 이송모듈이 연결된 동안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적층된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이송을 제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insertion protrusion 123 may be formed to limit the transport of at least two or more stacked second carrier tapes 1 while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the transport module are connected.

즉, 삽입돌기(123)의 돌출 높이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제 2 이송공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캐리어 테이프(1)와 같이 적층된 캐리어 테이프가 2개 이상인 경우에 적층된 캐리어 테이프를 완전히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insertion protrusion 123 may be formed to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second transport hole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and when there are two or more carrier tapes stacked as the second carrier tape 1, It can be formed to completely penetrate the laminated carrier tape.

한편, 핸들부(120)는 핸들바디부(122)로부터 회전부(23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동방지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방지부(124)는 핸들바디부(122)의 일면으로부터 다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방지부(124)는 회전부(23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handle part 120 may include a movement preventing part 124 formed to protrude from the handle body part 122 toward the rotating part 230. That is, 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124 may be formed in multiple stages from one surface of the handle body portion 122. At this time, the movement preventing unit 124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ng unit 23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또한, 이동방지부(124)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방향을 중심으로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일단보다 전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방지부(124)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이송되는 경우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끝단을 지지하여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이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vement preventing unit 124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one end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centering on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Therefore, when the first carrier tape 3 is transferred, the movement preventing unit 124 supports the end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to prevent the second carrier tape 1 from being transferred.

한편,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는 베이스 프레임(6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블록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블록부(130)의 회전 중심은 회전부(230)의 회전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또한, 블록부(130)는 핸들부(120)의 회전에 따라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회전부(230) 측으로 가력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may include a block unit 130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frame 600. At this time, the rotation center of the block unit 130 may coincide with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on unit 230. In addition, the block unit 130 may force the second carrier tape 1 toward the rotation unit 23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unit 120.

구체적으로 블록부(130)는 일단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블록부(130)의 경사진 부분은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상부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블록부(13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길이방향은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외면과 일정 각도를 형성하므로 블록부(130)의 바닥면 일부는 경사를 형성하여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상부면과 면접촉을 할 수 있다. Specifically, one end of the block 130 may be inclined. At this time, the inclined portion of the block portion 130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Particularly, since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block portion 130 forms a certain angl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lock portion 130 forms an inclination to form the slope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It can make surfac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는 핸들부(120) 또는 블록부(130) 중 하나에 형성되어 블록부(130)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한정부(19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는 핸들부(120) 또는 블록부(13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위치한정부(19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may include a positioning unit 191 formed on one of the handle unit 120 or the block unit 130 to limit movement of the block unit 130. In addition,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may include a guide unit 195 for guiding the government 191 located on the other of the handle unit 120 or the block unit 130.

이때, 위치한정부(191)와 가이드부(195)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한정부(191)는 핸들부(120) 또는 블록부(130) 중 하나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위치한정돌기(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cated government 191 and the guide portion 195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located government 191 may include a positioned projection (not indicated) that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one of the handle unit 120 or the block unit 130.

또한, 가이드부(195)는 핸들부(120) 또는 블록부(130) 중 다른 하나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위치한정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홀(미표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홀은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은 타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195 may include a guide hole (not shown) tha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of the handle portion 120 or the block portion 130 and into which the positioned projection is inserted. At this time, the guide hole may be formed in a long hole shape. Also, the guide hole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가이드부(195)는 상기에 설명한 상기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것 이외에도, 핸들부(120) 또는 블록부(130) 중 다른 하나의 외면에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The guide portion 195 may include a guide groove (not shown) formed to be introduc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of the handle portion 120 or the block portion 130, in addition to including the guide hole described above. .

또한, 가이드부(195)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 이외에도 상기 위치한정돌기가 삽입되도록 핸들부(120) 또는 블록부(130) 중 다른 하나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는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며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195 may include a guide projection (not show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of the handle portion 120 or the block portion 130 so that the positioned projection is inserte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You can. At this time, a plurality of the guide protrusions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formed to face each other.

이때, 위치한정부(191)와 가이드부(195)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블록부(130)의 이동을 제한하는 모든 장치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위치한정부(191)가 상기 위치한정돌기를 포함하고, 가이드부(195)는 상기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위치한정부(191)는 핸들부(120)의 외면에 형성되고, 가이드부(195)는 블록부(130)의 외면에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t this time, the located government 191 and the guide unit 195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may include all devices and structures that restrict movement of the block unit 130.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located government 191 includes the positioned projection, and the guide unit 19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mainly in the case where the guide hole is included. In addition, the located portion 19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120, the guide portion 19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mainly in the case of being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 portion 130.

한편,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는 핸들부(120)와 블록부(130)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탄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탄성부(150)는 핸들부(120)의 일부분과 블록부(130)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핸들부(120)와 블록부(130)를 가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may include a first elastic unit 150 installed between the handle unit 120 and the block unit 130. At this time, the first elastic part 150 may press the handle part 120 and the block part 130 in a direction in which a part of the handle part 120 and the block part 130 are separated.

제 1 탄성부(15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탄성부(15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바(Bar) 형태의 고무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탄성부(150)는 핸들부(120) 및 블록부(130)의 회전 중심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탄성부(150)는 상기 이외에도 압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탄성부(150)가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first elastic portion 15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first elastic part 150 may include a rubber elastic body in the form of a bar formed of a rubber material. In addition, the first elastic portion 150 may include a torsion spring installed at the rotation center of the handle portion 120 and the block portion 130. The first elastic part 150 may include a compression spring in addition to the abov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elastic portion 1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mainly in the case of including a compression spring.

이때, 핸들부(120) 및 블록부(130)에는 제 1 탄성부(150)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도록 제 1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탄성부(150)는 핸들부(120) 및 블록부(130)에 정확하게 힘을 가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first insertion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handle portion 120 and the block portion 130 so that both ends of the first elastic portion 150 are respectively inserted. Therefore, the first elastic part 150 can accurately apply a force to the handle part 120 and the block part 130.

한편,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는 핸들부(120)와 블록부(130) 사이에 설치되어 제 1 탄성부(1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부재(160)는 제 1 탄성부(150)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핸들부(120) 또는 블록부(130) 중 하나에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이탈방지부재(160)는 핸들부(120) 또는 블록부(130)가 회전하는 경우 핸들부(120)와 블록부(130)의 회전 각도 차이를 일정 범위 안에서 유지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may include a detachment preventing member 160 installed between the handle unit 120 and the block unit 130 to prevent detachment of the first elastic unit 150. At this time, the departure preventing member 160 may be installed to penetrate the first elastic portion 150, it may be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one of the handle portion 120 or the block portion 130. Particularly, when the handle part 120 or the block part 130 rotates, the departure preventing member 160 may maintain a difference in rotation angle between the handle part 120 and the block part 130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는 핸들부(120)와 베이스 프레임(6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170)는 핸들부(12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연결부재(170)는 핸들부(120)의 일단 부분에 설치되어 베이스 프레임(600)와 연결시킴으로써 핸들부(120)의 회전을 일정 범위 내에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70)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 프레임(600)에 설치될 수 있다.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may include a connecting member 170 connecting the handle unit 120 and the base frame 600. At this time, the connecting member 170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handle unit 120. In particular, the connecting member 170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handle 120 to connect the base frame 600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handle 120 within a certain range. 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170 may be formed in a bolt shape and installed in the base frame 600.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는 핸들부(120)와 베이스 프레임(600) 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제 2 탄성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탄성부(180)는 핸들부(120)의 회전 시 핸들부(120)를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력할 수 있다.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may include a second elastic unit 180 installed to be disposed between the handle unit 120 and the base frame 600. At this time, the second elastic part 180 may press the handle part 12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when the handle part 120 rotates.

또한, 제 2 탄성부(18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탄성부(18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바(Bar) 형태의 고무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탄성부(180)는 핸들부(120)의 회전 중심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탄성부(180)는 상기 이외에도 압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탄성부(180)가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elastic portion 18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second elastic portion 180 may include a bar-shaped rubber elastic body formed of a rubber material. In addition, the second elastic portion 180 may include a torsion spring installed at the rotation center of the handle portion 120. The second elastic part 180 may include a compression spring in addition to the abov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econd elastic part 18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mainly in the case of including a compression spring.

제 2 탄성부(180)는 연결부재(170)가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탄성부(180)는 연결부재(170)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핸들부(120)와 베이스 프레임(6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핸들부(120)와 베이스 프레임(600)에는 제 2 탄성부(180)의 양단이 각각 일부 삽입하여 안착하도록 제 2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elastic part 180 may be installed at a portion where the connecting member 170 is installed. Specifically, the second elastic portion 18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handle portion 120 and the base frame 600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170 is inserted therein. At this time, a second insertion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handle portion 120 and the base frame 600 such that both ends of the second elastic portion 180 are partially inserted and seated, respectively.

한편, 이하에서는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의 작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Meanwhile,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케리어 테이프 로딩부(100)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케리어 테이프 로딩부(100)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first operation of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shown in FIG. 4. 6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econd operation of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shown in FIG. 4.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이송모듈 및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의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이송모듈은 제 1 캐리어 테이프(3)를 커버테이프제거부(700) 쪽으로 이송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5 and 6, briefly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module and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the transfer module transfers the first carrier tape 3 toward the cover tape removal unit 700. Can be formed.

또한,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는 상기 이송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제 1 캐리어 테이프(3)와 상기 이송모듈과의 연결이 해제된 때에 후속적으로 투입된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상기 이송모듈에 연결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is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transfer module to transfer the second carrier tape 1 subsequently input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the transfer module is released. It can be connected to a module.

특히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와 상기 이송모듈이 연결된 동안에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커버테이프제거부(700)로의 이송을 제한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may limit the transfer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to the cover tape removal unit 700 while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the transfer module are connected.

구체적으로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의 단부가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측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제 2 이송공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커버테이프제거부(700)로의 이송을 제한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ver tape removal unit 700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in a manner that the end of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is inserted into a second transport hol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The transfer to the furnace can be restricted.

또한,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와 상기 이송모듈의 연결이 해제된 때에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제 2 이송공을 상기 이송모듈에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의 단부가 제 2 이송공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방식으로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제 2 이송공을 상기 이송모듈에 연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may connect the second transport hole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to the transport module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the transport module is released. Specifically, the second transport hole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port module in such a way that the end of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is pulled out of the second transport hole.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권취되는 제 1 권취롤(미도시)을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의 외부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 2 캐리어 테이프(1)가 권취되는 제 2 권취롤(미도시)을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의 외부에 설치할 수 있다. In order to drive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the user can install a first winding roll (not shown) on which the first carrier tape 3 is wound, outside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Also, a second winding roll (not shown) on which the second carrier tape 1 is wound can be installed outside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이때, 상기 제 1 권취롤로부터 제 1 캐리어 테이프(3)를 인출하여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에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캐리어 테이프(3)를 베이스 프레임(600)에 형성된 상기 단일 투입구를 통하여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의 내부로 인입하여 회전부(230), 제 1 스프로켓(211) 및 제 2 스프로켓(221)의 외면에 결속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carrier tape 3 may be withdrawn from the first winding roll and installed in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Specifically, the first carrier tape 3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through the single inlet formed in the base frame 600 to rotate the 230, the first sprocket 211, and the second sprocket ( It can be installed so as to be bound to the outer surface of 221).

이때, 회전부(230)의 상기 기어이, 제 1 스프로켓(211)의 기어이 및 제 2 스프로켓(221)의 기어이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 형성되는 제 1 이송공(3b) 중 일부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ear of the rotating part 230, the gear of the first sprocket 211 and the gear of the second sprocket 221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some of the first transport holes 3b formed in the first carrier tape 3 Can be.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제 2 권취롤로부터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인출하여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제 2 캐리어 테이프(1)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외면을 따라서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 캐리어 테이프(1)가 삽입되면, 제 2 캐리어 테이프(1)는 핸들부(120)가 위치한 부분에서 멈출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completed, the second carrier tape 1 can be withdrawn from the second winding roll and inserted into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At this time, the second carrier tape 1 may be inserted inwar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When the second carrier tape 1 is inserte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arrier tape 1 can be stopped at a portion where the handle unit 120 is located.

상기와 같이 제 2 캐리어 테이프(1)가 삽입되는 경우, 사용자는 핸들부(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지부(121)를 파지하여 가력하면, 파지부(121)와 함께 핸들바디부(122)가 회전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carrier tape 1 is insert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rotate the handle unit 120. Specifically, when the gripping part 121 is gripped and applied, the handle body part 122 may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gripping part 121.

핸들바디부(122)가 회전하면, 핸들바디부(122)는 베이스 프레임(600)을 중심으로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위치한정부(191)는 핸들바디부(12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When the handle body portion 122 rotates, the handle body portion 122 may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around the base frame 600. At this time, the located government 191 can rotate with the handle body portion 122.

위치한정부(191)는 회전하면서 가이드부(195)의 상기 가이드홀 내부를 일정 정도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위치한정부(191)가 상기 가이드홀의 끝단에 도달하면, 위치한정부(191)는 블록부(130)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블록부(130)는 위치한정부(191)에 의하여 핸들바디부(122)와 함께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e located government 191 can move inside the guide hole of the guide portion 195 to a certain degree while rotating. At this time, when the located government 191 reaches the end of the guide hole, the located government 191 may apply a force to the block 130. In this case, the block 130 may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together with the handle body 122 by the located government 191.

한편, 상기와 같이 핸들바디부(122)와 블록부(130)가 운동하는 경우, 제 2 탄성부(180)는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핸들바디부(122)를 가력할 수 있다. 이때, 제 2 탄성부(180)는 핸들바디부(122)의 운동에 의하여 압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le body portion 122 and the block portion 130 are move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elastic portion 180 presses the handle body portion 122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can do. At this time, the second elastic portion 180 may be compressed by the motion of the handle body portion 122.

상기와 같이 파지부(121)를 통하여 핸들바디부(122)를 제 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블록부(130)와 제 1 캐리어 테이프(3)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공간을 통하여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끝단을 블록부(130)의 일측에 배치시킬 수 있다.When the handle body portion 122 is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through the gripping portion 121 as described above,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block portion 130 and the first carrier tape 3. At this time, the end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lock unit 130 through the space.

상기와 같이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배치가 완료되면, 핸들부(120)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탄성부(180)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핸들바디부(122)를 가력함으로써 핸들부(120)의 회전을 도울 수 있다. When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handle unit 120 may be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elastic part 180 may assist the rotation of the handle part 120 by pressing the handle body part 122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와 같이 핸들부(120)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블록부(130)도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 1 탄성부(150)는 블록부(130)와 핸들바디부(122)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힘을 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handle unit 120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the block unit 130 may also rotate in the second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elastic portion 150 may apply a force to separate the block portion 130 and the handle body portion 122 from each other.

한편, 상기와 같이 핸들부(120) 및 블록부(130)가 회전하는 경우, 핸들부(120)의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부(120)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핸들바디부(122)는 연결부재(170)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handle unit 120 and the block unit 130 rotate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 angle of the handle unit 120 may be limited. Specifically, when the handle portion 120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the handle body portion 122 may contact a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70.

이때, 연결부재(170)의 일단의 단면적은 연결부재(170)의 다른 부분의 단면적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재(170)의 일단의 단면적은 연결부재(170)의 다른 부분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ross-sectional area of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70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the cross-sectional area of other parts of the connecting member 170. For example, the cross-sectional area of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70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other parts of the connecting member 170.

따라서 핸들바디부(122)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다가 연결부재(170)의 일단에 도달하면 더 이상 회전하지 않아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특히 연결부재(170)가 핸들바디부(122)의 회전을 제한하여 핸들부(120)가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과도하게 누름으로써 제 2 캐리어 테이프(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handle body portion 122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reaches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70, the rotation angle may be limited because it no longer rotates. In particular, the connection member 170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handle body portion 122, thereby preventing the second carrier tape 1 from being damaged by the handle portion 120 pressing the second carrier tape 1 excessively. have.

한편, 상기와 같이 핸들바디부(122)가 회전하는 경우 제 2 캐리어 테이프(1)에 형성되는 제 2 이송공(1b)에는 삽입돌기(123)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캐리어 테이프(1)는 삽입돌기(123)로 인하여 핸들부(120)에 결속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le body portion 122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the insertion protrusion 123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transfer hole 1b formed in the second carrier tape 1. Therefore, the second carrier tape 1 may be bound to the handle portion 120 due to the insertion protrusion 123.

또한, 상기와 같이 핸들바디부(122)가 회전하는 경우 블록부(130)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외면과 접촉할 수 있다. 특히, 블록부(130)의 경사진 바닥면은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상부면과 접촉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handle body portion 122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the block portion 130 ma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In particular, the inclined bottom surface of the block portion 130 ma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이때, 블록부(130)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외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록부(130)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두께에 비례적으로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lock unit 130 may rotate at a certain angle in the first direction while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Specifically, the block unit 130 may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in proportion to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특히 상기와 같이 블록부(130)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 1 탄성부(150)는 블록부(130)를 회전부(230) 측으로 가력할 수 있다. 이때, 블록부(130)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에 완전히 밀착하게 되고,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회전부(230) 및 제 1 캐리어 테이프(3) 측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특히 제 2 캐리어 테이프(1)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이 진행되는 동안 마찰력 등의 외력에 의하여 제 1 캐리어 테이프(3)와 함께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block portion 130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lastic portion 150 may force the block portion 130 toward the rotation portion 230. At this time, the block portion 130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carrier tape 1, the second carrier tape 1 can be applied to the rotating portion 230 and the first carrier tape (3). In particular, the second carrier tape 1 may move in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together with the first carrier tape 3 by an external force such as frictional force while the first carrier tape 3 is being transported. have.

상기와 같은 경우, 삽입돌기(123)는 1차적으로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결속하여 제 1 캐리어 테이프(3)와 이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캐리어 테이프(1)가 삽입돌기(123)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이동방지부(124)가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이송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above case, the insertion protrusion 123 can primarily prevent the second carrier tape 1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first carrier tape 3. In addition, when the second carrier tape 1 deviates from the insertion protrusion 123, the movement preventing unit 124 can prevent the transfer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경우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계속해서 외부의 부품실장장치(미도시)로 이송되는 동안 제 2 캐리어 테이프(1)는 안정적으로 계속해서 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above operation, the second carrier tape 1 can stably and continuously maintain the current state while the first carrier tape 3 is continuously transferred to an external component mounting device (not shown).

한편, 상기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가 작동하는 경우 제 1 캐리어 테이프(3)는 상기 이송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캐리어 테이프(3)는 회전부(230), 제 1 이송부(210) 및 제 2 이송부(220)에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operate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arrier tape 3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fer module. Specifically, the first carrier tape 3 may b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 230, the first conveying part 210, and the second conveying part 220.

또한, 제 1 캐리어 테이프(3)는 제 1 이송부(210) 및 제 2 이송부(220)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이송모듈에 연결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의 단부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제 2 이송공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커버테이프제거부(700)로의 이송을 제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arrier tape 3 may be transporte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transport module when the first transport unit 210 and the second transport unit 220 are driven.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end of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ransport hole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to the cover tape removal unit 700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Transport can be restricted.

상기와 같이 작동하다가 상기 제 1 권취롤에 권취되어 있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완전히 소진될 수 있다. 특히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완전히 소진되는 경우 제 1 캐리어 테이프(3)은 상기 이송모듈과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제 1 감지센서부(40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소진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While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arrier tape 3 wound on the first winding roll may be completely exhausted. In particular, when the first carrier tape 3 is completely exhausted, the first carrier tape 3 may be disconnected from the transfer module. At this time,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carrier tape 3 is exhausted.

구체적으로 제 1 감지센서부(40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완전히 소진된 경우 외부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감지센서부(40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존재하는 경우 광센서에서 광이 측정되지 않으므로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제 1 감지센서부(40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광센서에서 광이 측정되므로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부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sensing sensor unit 400 may generate a signal to the outside when the first carrier tape 3 is completely exhausted. For example, when the first carrier tape 3 is present,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may check the existenc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because light is not measured by the optical sensor.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carrier tape 3 does not exist,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may check the absenc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since light is measured by the optical sensor.

상기와 같이 제 1 감지센서부(400)에서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부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상기 이송모듈로 공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carrier tape 3 is not present in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may supply the second carrier tape 1 to the transfer module.

이때, 상기와 같이 제 2 캐리어 테이프(1)가 공급되면, 상기 이송모듈과 제 2 캐리어 테이프(1)는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제 2 캐리어 테이프(1)는 회전부(230)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우 삽입돌기(123)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제 2 이송공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제 2 이송공은 회전부(230)의 기어이가 삽입되어 회전부(230)와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second carrier tape 1 is supplied as described above, the transfer module and the second carrier tape 1 may be connected. In particular, the second carrier tape 1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 230. In particular, in such a case, the insertion protrusion 123 may be withdrawn from the second transport hole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At this time, the second conveying hole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 230 by inserting the gear of the rotating part 230.

상기와 같이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연결이 완료되면, 회전부(2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는 신호를 판별하고 회전부(230)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회전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connection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ng unit 230 may be rotated. At this time,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can control the rotating unit 230 by providing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determining a signal and controlling rotation of the rotating unit 230.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소진되는 경우 제 2 캐리어 테이프(1)가 회전부(230)로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완전히 소진된 경우 제 2 캐리어 테이프(1)와 제 1 캐리어 테이프(3)는 서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 1 탄성부(150)에 의하여 회전부(230) 측으로 힘을 받는 블록부(130)가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회전부(230) 측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carrier tape 3 is exhausted, the second carrier tape 1 may be supplied to the rotating part 230. Specifically, when the first carrier tape 3 is completely exhausted, the second carrier tape 1 and the first carrier tape 3 may not contact each other. At this time, the block portion 130, which receives the force from the first elastic portion 150 toward the rotating portion 230, may apply the second carrier tape 1 to the rotating portion 230.

제 2 캐리어 테이프(1)는 상기 힘에 의하여 회전부(230) 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블록부(130)는 위치한정부(191) 및 가이드부(195)에 의하여 공급하는 경로, 즉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The second carrier tape 1 may be supplied to the rotating part 230 side by the force. At this time, the block unit 130 may be limited in the path supplied by the located government 191 and the guide unit 195, that is, the rotation angle.

구체적으로 제 2 캐리어 테이프(1)가 제 1 캐리어 테이프(3)와 접촉하는 경우, 위치한정부(191)는 가이드부(195)의 중앙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반면, 제 1 캐리어 테이프(3)와 제 2 캐리어 테이프(1)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경우, 위치한정부(191)는 제 1 탄성부(150)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가이드부(195)의 일단에 접촉하여 더 이상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second carrier tape 1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arrier tape 3, the located government 191 may be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195.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the second carrier tape 1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located top portion 191 is one end of the guide portion 195 by the force applied from the first elastic portion 150 You may not be able to move any further by contacting.

특히 위치한정돌기(미표기)가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된 경우, 상기 위치한정돌기는 상기 가이드홀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홀의 끝단부분으로 이동하여 정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위치한정부(191)와 가이드부(195)가 서로 작용함으로써 블록부(130)가 제 2 캐리어 테이프(1)에 과도한 힘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Particularly, when the positioned positive projection (not indicated)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the positioned positive projection may stop by moving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guide hole to the end portion of the guide hole. The block portion 130 can be prevented from exerting excessive force on the second carrier tape 1 by mutually acting with the government 191 and the guide portion 195 positioned as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와 같이 제 2 캐리어 테이프(1)가 회전부(230)에 결속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회전부(2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감지센서부(400)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시작점을 감지할 수 있다. 제 1 감지센서부(400)가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시작점을 감지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Meanwhile, when the second carrier tape 1 is bound to the rotating part 230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part may rotate the rotating part 230. At this time,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may detect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The method in which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detects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이 제 1 감지센서부(400)에서 감지된 값을 근거로 상기 제어부는 제 1 이송부(210)와 제 2 이송부(220)에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시작점이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 또는 거리 등을 계산할 수 있다.Based on the value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is the time until the start point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arrives at the first transfer unit 21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220 Or you can calculate the distance, etc.

상기 제어부는 상기에서 계산된 시간 또는 거리 등을 근거로 회전부(230)의 회전속도, 회전시간 및 회전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부(230)가 회전하는 경우, 제 2 캐리어 테이프(1)는 제 1 이송부(210) 및 제 2 이송부(220)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rotation speed, rotation time, and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unit 230 based on the time or distance calculated above. When the rotating part 230 rotates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arrier tape 1 may be transferred to the first conveying part 210 and the second conveying part 220.

한편, 종래의 캐리어 테이프 공급 방법에 따르면 작업자가 투입되고 있는 제1 캐리어 테이프(3)가 거의 소진될 시점까지 기다린 후 연속하여 투입될 제2 캐리어 테이프(1)의 기단과 제1 캐리어 테이프(3)의 말단을 전용 연결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하여야만 하였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arrier tape supply method, the operator waits until the time when the first carrier tape 3 being input is almost exhausted, and then the base end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to be continuously input and the first carrier tape 3 ) Ha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 dedicated connecting tape.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는 후속적으로 투입될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언제든지 상기 부품실장장치에 인입하고 핸들부(120)를 제 2 방향으로 눌러 놓기만 하면 대기하다가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공급이 완료되는 시점에 자동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캐리어 테이프의 공급에 필요한 작업량 및 작업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However,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the second carrier tape 1 to be subsequently input into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at any time and presses the handle unit 120 in the second direction. If it is waited, it can be automatically supplied at the time when the supply of the first carrier tape 3 is completed,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work and time required for supply of the carrier tape.

또한, 종래의 캐리어 테이프 공급 방법에 따르면 제2 캐리어 테이프(1)의 기단과 제1 캐리어 테이프(3)의 말단을 서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정밀도를 요하므로 비숙련자가 작업할 경우 연결 부위에서 실장될 부품의 손실(loss)이 발생할 수 있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arrier tape supply method, precision is required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base end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and the ends of the first carrier tape 3 to each other, so that when unskilled people work, it will be mounted at the connection site Loss of parts could occur.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는 별도의 캐리어 테이프 연결작업이 불필요하고 간단하게 복수개의 캐리어 테이프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비숙련자의 작업에 의한 제품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However,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carrier tape connection operation and can automatically supply a plurality of carrier tapes, thereby minimizing product loss due to unskilled work. have.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shown in FIG. 3.

도 7을 참고하면,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는 핸들부(120'), 블록부(130'), 회전부(140'), 제 1 탄성부(150'), 이탈방지부재(160'), 연결부재(170'), 제 2 탄성부(180'), 위치한정부(191') 및 가이드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핸들부(120'), 블록부(130'), 회전부(140'), 제 1 탄성부(150'), 이탈방지부재(160'), 연결부재(170'), 제 2 탄성부(180'), 위치한정부(191') 및 가이드부(195')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carrier tape loading part 100 ′ includes a handle part 120 ′, a block part 130 ′, a rotating part 140 ′, a first elastic part 150 ′, and a departure preventing member 160 ′. ), A connecting member 170 ', a second elastic portion 180', a located government 191 'and a guide portion 195'. At this time, the handle part 120 ', the block part 130', the rotating part 140 ', the first elastic part 150', the departure preventing member 160 ', the connecting member 170', and the second elastic part (180 '), the located government (191') and the guide portion (195 ')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핸들부(120')는 파지부(121'), 핸들바디부(122'), 삽입돌기(123'), 이동방지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파지부(121'), 핸들바디부(122') 및 이동방지부(124')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Meanwhile, the handle portion 120 'may include a grip portion 121', a handle body portion 122 ', an insertion protrusion 123', and a movement preventing portion 124 '. At this time, the gripping portion 121 ', the handle body portion 122', and 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124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below.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복수개의 캐리어 테이프를 공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는 3개 이상의 캐리어 테이프를 공급할 수도 있다.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may supply a plurality of carrier tapes similarly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may supply three or more carrier tapes.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경우,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이송되는 동안 제 2 캐리어 테이프(1) 및 제 3 캐리어 테이프(10)가 동시에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에서 대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first carrier tape 3 is being transported, the second carrier tape 1 and the third carrier tape 10 can simultaneously wait in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 .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이 완료된 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공급이 완료되면, 제 2 캐리어 테이프(1)가 회전부(230)에 의하여 제 1 이송부(210) 및 제 2 이송부(220)로 이송될 수 있다.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may supply the second carrier tape 1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transfer of the first carrier tape 3 is completed. In addition, when the supply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is completed, the second carrier tape 1 may be transferred to the first transfer unit 21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220 by the rotating unit 230.

한편, 제 2 캐리어 테이프(1)가 공급된 후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이송이 완료되면, 상기에서 설명한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이송이 완료된 후의 작동과 유사하게 작동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transfer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is completed after the second carrier tape 1 is supplied, the first carrier tape 3 described above can operate similarly to the operation after the transfer is completed.

구체적으로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이송이 완료되면, 제 3 캐리어 테이프(미도시)는 블록부(130')에 의하여 회전부(14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140')는 회전하여 제 1 스프로켓(211) 및 제 2 스프로켓(221)에 상기 제 3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transfer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is completed, the third carrier tape (not shown) may be supplied to the rotating portion 140 'side by the block portion 130'. In addition, the rotating part 140 'may rotate to transfer the third carrier tape to the first sprocket 211 and the second sprocket 221.

특히 제 1 캐리어 테이프(3), 제 2 캐리어 테이프(1) 및 제 3 캐리어 테이프(10)가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동안, 블록부(130')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 및 제 3 캐리어 테이프(10)에 힘을 가하여 상기와 같이 회전부(140') 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ile the first carrier tape 3, the second carrier tape 1 and the third carrier tape 10 are sequentially transported, the block portion 130 'includes the second carrier tape 1 and the third carrier tape. By applying a force to the (10) it can be supplied to the rotating portion 140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 제 2 캐리어 테이프(1) 및 제 3 캐리어 테이프(10)를 블록부(130')를 통하여 회전부(230)에 공급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를 교체하지 않고도 상기 부품실장장치에 캐리어 테이프를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supplies the first carrier tape 3, the second carrier tape 1 and the third carrier tape 10 to the rotating part 230 through the block part 130 ′, and thereby the carrier tape. It is possible to sequentially supply the carrier tape to th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without replacing.

특히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캐리어 테이프를 공급함으로써 부품실장 공정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allows the component mounting process to be performed quickly and smoothly by sequentially supplying carrier tapes as described above.

도 8은 도 1의 커버테이프제거부(700)의 일부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커버테이프제거부(700)에서 일부 구성 요소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커버테이프제거부(700)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cover tape removal part 700 of FIG. 1.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some components separated from the cover tape removal unit 700 of FIG. 8.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over tape removal unit 700 of FIG. 8.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커버테이프제거부(70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 운동을 안내하는 테이프 지지부(710)와, 테이프 지지부(710)에 형성되어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을 분리하는 분리부(720)와, 제 1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분리된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변형하며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벤딩 가이드부(730)와, 제 1 커버 테이프(2)의 변형된 일부분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접히도록 안내하는 접힘 안내부(740)를 구비한다.8 to 10, the cover tape removal unit 700 extends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a tape support 710 that guides the transport mo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 A separation portion 720 formed on the tape support portion 710 to separate a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and a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separated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It has a bending guide portion 730 for guiding the movement, and a folding guide portion 740 for guiding the deformed part of the first cover tape 2 to be folded to the sid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테이프 지지부(71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이송되는 방향, 즉 도 3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합성 수지나 금속 판재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테이프 지지부(71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tape support portion 710 exten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arrier tape 3 is transferred, that is, in the X-axis direction in FIG. 3, and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or a metal plate. The tape support portion 710 functions to guide the first carrier tape 3 to move along the X-axis direction.

테이프 지지부(710)에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을 분리하는 분리부(720)가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분리부(720)는 테이프 지지부(710)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었다. 그러나 실시예는 분리부(720)의 이와 같은 제작 방법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분리부(720)를 테이프 지지부(710)와 별도로 제작한 이후에 테이프 지지부(710)에 분리부(720)를 용접하거나 리벳이나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테이프 지지부(710)에 분리부(720)를 결합할 수도 있다.The tape support portion 710 is formed with a separation portion 720 separating a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from one edg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eparation portion 720 is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tape support portion 710 to process it.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eparation part 720, and after the separation part 720 is separately manufactured from the tape support part 710, the separation part 720 is attached to the tape support part 710. The separation part 720 may be coupled to the tape support part 710 by welding or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rivet or a bolt.

벤딩 가이드부(73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멀어지며 휘어지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벤딩 가이드부(730)는 분리부(720)의 상측에 배치된 제 1 플레이트(731)와 제 2 플레이트(732)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벤딩 가이드부(730)가 제 1 플레이트(731)와 제 2 플레이트(732)의 두 개의 플레이트를 구비하지만, 실시예는 플레이트의 개수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플레이트의 개수를 더 늘리거나, 1개만 설치할 수도 있다.The bending guide portion 730 functions to guide a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to bend away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The bending guide part 730 may include a first plate 731 and a second plate 732 disposed above the separation part 72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bending guide portion 730 includes two plates, the first plate 731 and the second plate 732,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 number of plates and the number of plates is further added. It can be extended or only one can be installed.

제 1 플레이트(731)와 제 2 플레이트(732)의 각각은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 방향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제 1 경사면(731a)과 제 2 경사면(732a)을 구비한다. 제 2 플레이트(732)의 제 2 경사면(732a)의 경사각 θ3은 제 1 플레이트(731)의 제 1 경사면(731a)의 경사각 θ2 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θ3>θ2). Each of the first plate 731 and the second plate 732 includes a first inclined surface 731a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732a which are inclined at different angles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 The inclination angle θ3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732a of the second plate 732 may be set larg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θ2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731a of the first plate 731 (θ3> θ2).

접힘 안내부(740)는 제 2 플레이트(732)의 상면을 덮는 상판(741)과, 상판(741)에서 테이프 지지부(710)의 타측 가장자리(710a)의 측면을 덮도록 하측을 향해 연장하는 측면판(42)을 구비한다. The folding guide portion 740 extends downward to cover a side surface of the other edge 710a of the tape support portion 710 from the top plate 741 and the top plate 741 covering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plate 732. A plate 42 is provided.

상판(741)은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는 제 3 경사면(741a)을 구비한다. 제 3 경사면(741a)의 경사각 θ4는 제 2 플레이트(732)의 제 2 경사면(732a)의 경사각 θ3 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θ4>θ3). The top plate 741 has a third inclined surface 741a which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The inclination angle θ4 of the third inclined surface 741a may be set larg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θ3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732a of the second plate 732 (θ4> θ3).

테이프 지지부(710)는 베이스 프레임(60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600)에는 제 1 스프로켓(211)과 제 2 스프로켓(221)이 설치된다. 제 1 스프로켓(211)과 제 2 스프로켓(221)은 테이프 지지부(7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 1 캐리어 테이프(3)와 접촉하며 제 1 캐리어 테이프(3)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ape support 71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600. The first sprocket 211 and the second sprocket 221 are installed on the base frame 600. The first sprocket 211 and the second sprocket 221 are disposed under the tape support portion 710 to contact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perform a function of moving the first carrier tape 3.

테이프 지지부(710)는 제 1 스프로켓(211)과 제 2 스프로켓(221)의 기어이(211a, 221a)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공(711, 712)을 구비한다. 장공(711, 712)도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제 1 스프로켓(211)과 제 2 스프로켓(221)은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제 1 이송공(3b)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직선(L2) 상에 배치된다. The tape support portion 710 includes long holes 711 and 712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gear teeth 211a and 221a of the first sprocket 211 and the second sprocket 221. The long holes 711 and 712 also extend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The first sprocket 211 and the second sprocket 221 are straight lines extending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ansport holes 3b of the first carrier tape 3 ( L2).

테이프 지지부(71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서 제 1 커버 테이프(2)가 분리된 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부품 픽업용 구멍(713)을 구비한다.The tape support portion 710 includes a hole 713 for picking up a part that exposes the area where the first cover tape 2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to the outside.

분리부(72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 방향에 대해 θ1의 각도의 경사를 이루도록 테이프 지지부(710)의 일측 가장자리(710b)에 배치된다. 분리부(720)는 제 1 스프로켓(211)과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접촉점(P1)에서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직선(L1)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The separating part 720 is disposed at one edge 710b of the tape support part 710 to form an inclination of θ1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The separating part 720 is disposed to cross a straight line L1 extending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at the contact point P1 of the first sprocket 211 and the first carrier tape 3. .

제 1 플레이트(731)가 분리된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잘 휘어지도록 안내하기 위해 제 1 플레이트(731)의 제 1 경사면(731a)의 경사각 θ2는 분리부(720)의 경사각 θ1 보다 더 작게 설정될 수 있다(θ1>θ2). The inclination angle θ2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731a of the first plate 731 is guided so that a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from which the first plate 731 is separated is bent, the inclination angle θ1 of the separation unit 720 Can be set smaller than (θ1> θ2).

테이프 지지부(710)가 베이스 프레임(6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X축 방향으로 이송되며,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벗겨지고,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서 헤드 어셈블리(7)의 흡착 노즐(7a)에 의해 제 1 부품(5)의 픽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테이프 지지부(710)와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적어도 일부분이 베이스 프레임(600)에 대해 진동할 수 있다. In the state where the tape support portion 710 is coupled to the base frame 600, the first carrier tape 3 is transferred in the X-axis direction, and a part of the first cover tape 2 is peeled off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While the pickup of the first part 5 is made by the adsorption nozzle 7a of the head assembly 7 in the first carrier tape 3, at least the tape support 710 and the first carrier tape 3 A portion may vibrate relative to the base frame 600.

테이프 지지부(710)가 제 1 캐리어 테이프(3)를 이동시키며 제 1 부품(5)의 픽업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테이프 지지부(710)와 제 1 캐리어 테이프(3)와 제 1 스프로켓(211)의 접촉점(P1)에서 테이프 지지부(710)와 제 1 스프로켓(211)의 상호간의 위치 변동이 최소화되도록 설계된다. 즉 접촉점(P1)에서 베이스 프레임(600)에 대해 테이프 지지부(710)와 제 1 스프로켓(211)의 위치 변화가 최소로 유지된다. Since the tape support portion 710 moves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the transfer of the first carrier tape 3 must be stably performed while the first component 5 is picked up, the tape support portion 710 and the tape It is designed to minimize the variation in position between the tape support 710 and the first sprocket 211 at the contact point P1 of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the first sprocket 211. That is, the position change of the tape support portion 710 and the first sprocket 211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600 at the contact point P1 is kept to a minimum.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부(720)가 접촉점(P1)을 통과하여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직선(L1)을 가로지르도록 테이프 지지부(710)의 일측 가장자리(710b)에 배치되므로,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이송되는 동안 분리부(720)가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서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을 분리하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분리 동작이 발생되는 분리부(720)의 전방과 후방의 각각에서 제 1 스프로켓(211)과 제 2 스프로켓(221)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며 제 1 캐리어 테이프(3)를 분리부(720)로 안정적으로 이송시키기 때문에 제 1 커버 테이프(2)가 분리될 때에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dge portion 710b of the tape support portion 710 passes through the contact point P1 to cross the straight line L1 extending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Since it is disposed in, the operation of separating a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may be stably performed while the first carrier tape 3 is being transported. In addition, the first sprocket 211 and the second sprocket 221 are maintained in contact with the first carrier tape 3 at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eparation unit 720 where the separation operation occurs, and the first carrier tape Since the (3) is stably transferred to the separating part 720, vibrations generated when the first cover tape 2 is separated can be minimized.

도 11은 도 10의 커버테이프제거부(700)에서 ⅩⅠ-ⅩⅠ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커버테이프제거부(700)에서 ⅩⅡ-ⅩⅡ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XI in the cover tape removal unit 700 of FIG. 10.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XII in the cover tape removal unit 700 of FIG. 10.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테이프 지지부(710)에 의해 안내되며 X축 방향을 따라 이송되면, 분리부(720)에 의해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상면에 부착된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가 분리된다. 분리부(72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고 있어서, 제 1 커버 테이프(2)는 테이프 지지부(710)의 일측 가장자리(710b)에서부터 분리된다. 11 and 12, when the first carrier tape 3 is guided by the tape support portion 710 and transported along the X-axis direc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by the separation portion 720 A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attached to is separated. The separating portion 72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so that the first cover tape 2 is separated from one edge 710b of the tape support portion 710.

도 11에는 제 1 커버 테이프(2)가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서 분리된 부분을 제 1 분리부(2b; 제1 측부)로, 제 1 커버 테이프(2)가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부분을 제 1 부착부(2a; 제2 측부)로 도시하였다.In FIG. 11, a portion in which the first cover tape 2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is a first separation portion 2b (first side), and the first cover tape 2 is a first carrier tape 3 ) Is shown as the first attachment portion 2a (second side portion).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서 분리된 제 1 커버 테이프(2)의 제 1 분리부(2b)는 벤딩 가이드부(730)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제 1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멀어지며 테이프 지지부(710)의 타측 가장자리(710a)를 향하여 휘어진다. 벤딩 가이드부(730)에 의해 휘어진 제 1 커버 테이프(2)의 제 1 분리부(2b)는 접힘 안내부(740)에 의해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가장자리에서 접힌다. 즉 제 1 커버 테이프(2)가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측을 향하던 제 1 커버 테이프(2)의 제 1 분리부(2b)의 일면(2b-1)이 제 1 부착부(2a)를 넘어 아래로 내려가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가장자리의 측면(3d)을 향하도록, 제 1 커버 테이프(2)가 접힘 안내부(740)에 의해 접힌다. The first separation portion 2b of the first cover tape 2 separated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is guided by the bending guide portion 730 to move away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the tape support portion 710 ) Toward the other edge 710a. The first separation portion 2b of the first cover tape 2 bent by the bending guide portion 730 is folded at the edg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by the folding guide portion 740. That is, when the first cover tape 2 is attached to the first carrier tape 3, one surface 2b-1 of the first separating portion 2b of the first cover tape 2 facing upward is the first. The first cover tape 2 is folded by the folding guide 740 so that it goes down over the attachment portion 2a and faces the side 3d of the edg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제 1 커버 테이프(2)의 제 1 분리부(2b)의 일부분이 접히는 동안 제 1 커버 테이프(2)의 제 1 부착부(2a)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 부착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며,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서 분리되기 전에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 부착되어 있었던 제 1 커버 테이프(2)의 제 1 분리부(2b)의 타면(2b-2)은 접힘 안내부(740)의 측면판(742)을 향한다. The first attachment portion 2a of the first cover tape 2 remains attached to the first carrier tape 3 while a portion of the first separation portion 2b of the first cover tape 2 is folded The other surface 2b-2 of the first separation portion 2b of the first cover tape 2, which was attached to the first carrier tape 3 before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is a folding guide portion. Towards the side plate 742 of 740.

접힌 제 1 커버 테이프(2)는 측면판(742)에 의해 측면판(742)의 내부로 유도되어 배출되기 때문에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서 분리된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테이프 공급 장치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folded first cover tape 2 is guided and discharged into the inside of the side plate 742 by the side plate 742, a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separated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is taped. It can be prevented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supply device.

또한 제 1 커버 테이프(2)가 분리된 후 일정 시간 동안에는 일부 부품이 정전기 현상에 의해 벤딩 가이드부(730)에 의해 휘어지는 제 1 커버 테이프(2)에 붙은 상태로 제 1 커버 테이프(2)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도 제 1 커버 테이프(2)에 붙어 이동하는 제 1 부품이 제 1 커버 테이프(2)가 접히는 측면으로 낙하하므로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는다.In addition, for a period of time after the first cover tape 2 is separated, the first cover tape 2 is attached to the first cover tape 2 which is bent by the bending guide part 730 due to electrostatic phenomenon. The case of moving along may occur.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component moving on the first cover tape 2 falls to the side where the first cover tape 2 is folded, the first carrier tape 3 Do not interfere with progress.

도 13는 도 10의 커버테이프제거부(700)에서 제 1 캐리어 테이프와 제1 커버 테이프의 작동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 1 캐리어 테이프에서 ⅩⅣ-ⅩⅣ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제 1 캐리어 테이프에서 ⅩⅤ-ⅩⅤ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제 1 캐리어 테이프에서 ⅩⅥ-ⅩⅥ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전의 도면에 도시되었던 일부 구성 요소들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1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carrier tape and the first cover tape in the cover tape removal unit 700 of FIG. 10.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V-XIV in the first carrier tape of FIG. 13.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XV in the first carrier tape of FIG. 13.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XVI in the first carrier tape of FIG. 13; 13 to 16,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llustration of some components that have been shown in the previous drawings is omitted.

도 13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X축 방향으로 이송되는 경로의 중간에 배치된 분리부(720)에 의해 제 1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분리된다.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분리부(720)에 도달하면,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표면의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분리된다. 13 to 16, the first cover tape 2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by the separation part 720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path in which the first carrier tape 3 is transferred in the X-axis direction ) Is separated. As shown in FIG. 14, when the first carrier tape 3 reaches the separator 720, a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on the surfac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is separated.

도 15을 참조하면,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서 분리된 제 1 커버 테이프(2)의 제 1 분리부(2b)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멀어지도록 휘어진다. 제 1 커버 테이프(2)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 대하여 225도 이상 315도 이하의 각도의 범위로 절곡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first separation portion 2b of the first cover tape 2 separated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is bent away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The first cover tape 2 may be bent in a range of 225 degrees or more and 315 degre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first carrier tape 3.

도 16을 참조하면, 제 1 커버 테이프(2)의 제 1 분리부(2b)가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접힌다. 도 15 내지 도 16에서 제 1 커버 테이프(2)의 제 1 분리부(2b)가 휘어져 접히는 동안 제 1 커버 테이프(2)의 제 1 부착부(2a)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므로, 제 1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부품이 픽업이 된 이후에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와 제 1 커버 테이프(2)가 함께 테이프 공급 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first separation portion 2b of the first cover tape 2 is fold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In FIGS. 15 to 16, the first attachment portion 2a of the first cover tape 2 is the surfac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while the first separation portion 2b of the first cover tape 2 is bent and folded. Since the parts are picked up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the first cover tape 2 togeth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ape feeder. have.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 장착되는 부품의 크기에 따라 제 1 캐리어 테이프(3)와 제 1 커버 테이프(2)의 폭이 더 넓어지거나 좁아질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테이프 공급 장치에서는 제 1 커버 테이프(2)의 제 1 부착부(2a)가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 1 커버 테이프(2)의 제 1 분리부(2b)가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접힌 상태로 배출되기 때문에, 제 1 캐리어 테이프(3)와 제 1 커버 테이프(2)의 폭이 넓은 경우에도 테이프 공급 장치의 폭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e width of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the first cover tape 2 may be wider or narrower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omponents mounted on the first carrier tape 3. In the tape supply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irst attachment portion 2a of the first cover tape 2 remains attached to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the first separation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is maintained. Since (2b) is discharged in a folded state to the sid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even if the width of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the first cover tape 2 is wide, the increase in the width of the tape supply device is minimized. can do.

이는, 하나의 부품 장착 장비에 복수의 테이프 공급 장치가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테이프 공급 장치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부품 장착 장비의 단위 면적당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can contribute to increase in productivity per unit area of the component mounting equipment by minimizing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tape feeding apparatus when a plurality of tape feeding apparatuses are arranged in parallel in one component mounting equipment.

도 17a는 도 10의 커버테이프제거부(700)에 의해 제 1 캐리어 테이프에서 제 1커버 테이프가 분리되는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와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17A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first cover tape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arrier tape by the cover tape removal unit 700 of FIG. 10. 1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fferent angle from FIG. 17A.

도 17a 및 도 17b를 참고하면, 도 1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분리부(720)를 통과하는 동안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분리되어 제 1 분리부(2b)가 되고, 제 1 커버 테이프(2)의 나머지 부분은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는 제 1 부착부(2a)가 된다. Referring to FIGS. 17A and 17B, as shown in FIG. 17A, a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is first carrier tape 3 while the first carrier tape 3 passes through the separator 720. It is separated from and becomes the first separation portion 2b,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becomes the first attachment portion 2a, which remains attached to the first carrier tape 3.

분리부(720)는 두께 방향에서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룬다. 즉 분리부(720)의 두께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점점 두꺼워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분리부(72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를 향하는 전방 단부에 경사면(720a)을 구비한다.The separating part 72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separation portion 720 is formed to be gradually thickened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Therefore, the separation portion 720 has an inclined surface 720a at the front end facing the first carrier tape 3.

제 1 커버 테이프(2)가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서 원활하게 분리되기 위해서는 분리부(720)의 전방 단부의 경사면(720a)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표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B)가 제 1 커버 테이프(2)가 분리부(720)에 의해 제 1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박리되면서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표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A) 보다 크게 설정되어야 한다(B>A).The angle B formed by the inclined surface 720a of the front end of the separating portion 720 relative to the surfac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in order for the first cover tape 2 to be smoothly separated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angle A formed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as the first cover tape 2 is peeled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by the separation portion 720 (B > A).

만일, 제 1 커버 테이프(2)가 분리부(720)에 의해 제 1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박리되면서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표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A)가 분리부(720)의 전단의 경사면(720a)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표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B)보다 크면(A>B), 제 1 커버 테이프(2)의 박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에서 T는 분리부(720)의 두께를 나타낸다.If, the first cover tape (2)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by the separation portion 720, the angle (A) formed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of the separation portion (720) If the inclined surface 720a of the front end is larger than the angle B formed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A> B), peeling of the first cover tape 2 may not be smoothly performed. In FIGS. 17A and 17B, T denotes the thickness of the separation unit 720.

제 1 커버 테이프(2)가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 부착될 때 제 1 커버 테이프(2)와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위치와 양이 불규칙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커버 테이프(2)를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서 원활하게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도 1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분리부(720)의 폭(W/2)은 제 1 커버 테이프(2)의 폭(W)의 대략 절반의 수준이 되어야 한다. When the first cover tape 2 is attached to the first carrier tape 3, the position and amount of adhesive applied between the first cover tape 2 and the first carrier tape 3 may be irregular. Therefore, in order to smoothly separate the first cover tape 2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as shown in FIG. 17B, the width (W / 2) of the separation portion 720 is that of the first cover tape 2 It should be about half the width (W).

제 1 커버 테이프(2)가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서 분리되는 동안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가장자리에 제 1 커버 테이프(2)의 제 1 부착부(2a)가 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제 1 부착부(2a)가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서 박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 1 커버 테이프(2)가 분리부(720)에 의해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서 박리되는 각도(C)가 제 1 부착부(2a)를 분리시키게 될 각도 보다 작도록 분리부(720)의 두께(T)를 설계할 수 있다.The first attachment portion 2a of the first cover tape 2 can remain attached to the edg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while the first cover tape 2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It should b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attachment portion 2a from being peeled off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the angle at which the first cover tape 2 is peeled off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by the separation portion 720 ( The thickness T of the separation portion 720 may be designed such that C) is smaller than the angle at which the first attachment portion 2a will be separated.

상술한 구성의 테이프 공급 장치에 의하면 제 1 캐리어 테이프(3)와 제 1 스프로켓(211)의 접촉점(P1)을 지나는 직선상에 배치된 분리부(720)에 의해 제 1 커버 테이프(2)가 분리되므로, 제 1 커버 테이프(2)의 분리 동작이 정밀하며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ape supply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irst cover tape 2 is provided by the separation part 720 disposed on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ontact point P1 of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the first sprocket 211. Since it is separated,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can be made precisely and stably.

또한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만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서 분리된 이후에, 분리된 부분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접힌 상태에서 제 1 캐리어 테이프(3)와 제 1 커버 테이프(2)가 전방을 향해 이송되며 테이프 공급 장치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에서 제 1 커버 테이프(2)를 수거하기 위한 기구적인 요소들을 생략할 수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only a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the separated portion is folded to the sid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the first carrier tape 3 is Since the first cover tape 2 is transported forward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ape supply device, it is possible to omit the mechanical elements for collecting the first cover tape 2 from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so that the carrier tape can be omitted.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ly device can be simplified.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커버테이프제거부(8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1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ver tape removal unit 8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8을 참고하면, 커버테이프제거부(80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 운동을 안내하는 테이프 지지부(810)와, 테이프 지지부(810)에 형성되어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을 분리하는 분리부(820)와, 제 1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분리된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변형하며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벤딩 가이드부(830, 833)와, 제 1 커버 테이프(2)의 변형된 일부분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접히도록 안내하는 접힘 안내부(24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8, the cover tape removal unit 800 extends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guides the transport mo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with a tape support 810 and a tape support A separation portion 820 formed in 810 to separate a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and a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separated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are guided to move while being deformed The bending guide parts 830 and 833 are provided, and a folding guide part 240 that guides the deformed part of the first cover tape 2 to be folded to the sid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테이프 지지부(810)는 제 1 스프로켓(미도시)과 제 2 스프로켓(미도시)의 돌기부(미도시)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 방향(X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장공(811, 812)을 구비한다. 또한 테이프 지지부(81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서 제 1 커버 테이프(2)가 분리된 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부품 픽업용 구멍(813)을 구비한다.The tape support portion 810 is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direction parallel to the X axis) so that the protrusions (not shown) of the first sprocket (not shown) and the second sprocket (not shown) can pass through. It has a long hole (811, 812) extending along the. In addition, the tape support portion 810 is provided with a hole 813 for picking up a part that exposes the area where the first cover tape 2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to the outside.

분리부(82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 방향에 대해 θ8의 각도의 경사를 이루도록 테이프 지지부(810)의 일측 가장자리(810b)에 형성된다. 분리부(820)는 제 1 스프로켓(미도시)과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접촉점(P1)에서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직선(L1)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The separating portion 820 is formed at one edge 810b of the tape support portion 810 to achieve an inclination of θ8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The separating part 820 is arranged to cross a straight line L1 extending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at the contact point P1 of the first sprocket (not shown) and the first carrier tape 3 do.

벤딩 가이드부(830, 833)는 분리부(820)의 상측으로부터 테이프 지지부(810)의 측면을 향하여 연장하는 제 1 로드(830)와, 제 1 로드(830)를 교차하도록 테이프 지지부(810)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제 2 로드(833)를 구비한다. The bending guide portions 830 and 833 include a first rod 830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paration portion 820 toward the side of the tape support portion 810, and a tape support portion 810 to cross the first rod 830. It has a second rod 833 extending along the side edge of the.

접힘 안내부(240)는 테이프 지지부(810)의 타측 가장자리(810a)에서 제 1 로드(830)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제 1 로드(830)에 의해 휘어진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접히게 하는 도입부(841)와, 테이프 지지부(810)의 타측 가장자리(810a)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하여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접힌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을 덮는 측면판(842)을 구비한다.The folding guide portion 240 is formed o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od 830 at the other edge 810a of the tape support portion 810 and is a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curved by the first rod 830. The introduction portion 841 which is fold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the first side which extends downward from the other edge 810a of the tape support portion 810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a side plate 842 covering a portion of the cover tape 2.

제 1 로드(83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 방향에 대해 경사각 θ7로 경사를 이루며 연장하는 제 1 연장부(831)와, 제 1 연장부(831)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굴곡되며 측면판(842)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제 2 연장부(832)를 구비한다.The first rod 830 is bent downward from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831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831 extending in an inclined angle with an inclination angle θ7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832 extending toward the side plate 842.

제 1 로드(830)의 제 1 연장부(831)는 분리부(820)에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간격(Tc)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므로, 분리부(820)에 의해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서 분리된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은 제 1 연장부(831)에 의해 안내되며 테이프 지지부(310)의 타측 가장자리(810a)를 향하여 휘어진다. Since the first extension portion 831 of the first rod 83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paration portion 8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c, the separation portion 820 separates the first carrier tape 3 A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is guided by the first extension 831 and is bent toward the other edge 810a of the tape support 310.

제 2 연장부(832)는 측면판(842)의 내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연장부(832)의 단부가 측면판(842)의 내측에 용접되거나 접착제로 고정되거나 별도의 고정 수단에 의해 측면판(842)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832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side plate 842. For example,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832 may be welded to the inside of the side plate 842, fixed with an adhesive, or fixed to the inside of the side plate 842 by a separate fixing means.

이와 같이 제 1 로드(830)의 제 2 연장부(832)가 측면판(84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제 1 연장부(831)가 분리부(820)의 상측으로 소정 간격(Tc)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 1 커버 테이프(2)가 휘어지도록 안내할 수 있다.Thus, by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832 of the first rod 830 is coupled to the side plate 842, the first extension portion 831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paration portion 82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c ), And can guide the first cover tape 2 to bend.

제 1 연장부(831)에 의해 휘어진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은 제 2 로드(833)와 제 2 연장부(832)의 교차점에서 제 2 연장부(832)에 의해 더 휘어짐으로써,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가장자리의 측면을 덮도록 접힌다. A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bent by the first extension portion 831 is further bent by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832 at the intersection of the second rod 833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832, The first carrier tape 3 is folded to cover the side surface.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은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가장자리의 측면을 덮도록 접힌 상태로 제 2 연장부(832)에 의해 안내되며 측면판(842)과 테이프 지지부(810)의 사이로 이동한다. A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is guided by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832 in a folded state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edg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the side plate 842 and the tape support portion 810 Move between.

제 1 연장부(831)가 분리된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잘 휘어지도록 안내하기 위해 제 1 연장부(831)의 경사각 θ7은 분리부(820)의 경사각 θ8 보다 더 작게 설정될 수 있다(θ8>θ7). The inclination angle θ7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831 may be set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θ8 of the separation portion 820 to guide the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from which the first extension portion 831 is separated to bend well. (Θ8> θ7).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커버테이프제거부(900)의 일부 구성 요소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커버테이프제거부(900)의 사시도이다.1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some components of the cover tape removal unit 9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2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tape removal unit 900 of FIG. 19.

도 19 및 도 20을 참고하면, 커버테이프제거부(90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 운동을 안내하는 테이프 지지부(910)와, 테이프 지지부(910)에 형성되어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을 분리하는 분리부(920)와, 제 1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분리된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변형하며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벤딩 가이드부(930)와, 제 1 커버 테이프(2)의 변형된 일부분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접히도록 안내하는 접힘 안내부(940)를 구비한다. 19 and 20, the cover tape removal unit 900 extends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a tape support 910 that guides the transport mo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 The separation portion 920 formed on the tape support portion 910 to separate a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and a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separated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are deformed, It is provided with a bending guide portion 930 for guiding to move, and a folding guide portion 940 for guiding the deformed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to be folded to the sid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테이프 지지부(910)는 제 1 스프로켓(미도시)과 제 2 스프로켓(미도시)의 돌기부(미도시)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 방향(X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장공(911, 912)을 구비한다. 또한 테이프 지지부(91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서 제 1 커버 테이프(2)가 분리된 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부품 픽업용 구멍(913)을 구비한다.The tape support part 910 is a transport directio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X axis) of the first carrier tape 3 so that the protrusions (not shown) of the first sprocket (not shown) and the second sprocket (not shown) can pass through. It has a long hole (911, 912) extending along the. In addition, the tape support portion 910 is provided with a hole 913 for picking up a part that exposes the area where the first cover tape 2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to the outside.

분리부(92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 방향에 대해 θ9의 각도의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분리부(920)는 제 1 스프로켓(미도시)과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접촉점(P1)에서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직선(L1)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The separating part 920 is disposed to form an inclination of an angle of θ9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The separating part 920 is arranged to cross the straight line L1 extending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at the contact point P1 of the first sprocket (not shown) and the first carrier tape 3. do.

벤딩 가이드부(930)는 하측을 향해 개구된 반원의 단면을 갖도록 만곡되며 분리부(920)로부터 테이프 지지부(910)의 타측 가장자리(910a)를 향하여 연장한다. 벤딩 가이드부(930)는 테이프 지지부(910)의 상면에 부착되는 베이스(333)와, 베이스(333)에서 상측을 향해 만곡되어 테이프 지지부(910)의 일측 가장자리(910b)에 배치된 분리부(920)에 의해 분리된 제 1 커버 테이프(2)를 테이프 지지부(910)의 타측 가장자리(910a)를 향해 휘어지게 하는 벤딩부(931)와, 벤딩부(931)에 의해 휘어진 제 1 커버 테이프(2)를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안내하는 안내부(932)를 구비한다. The bending guide portion 930 is curved to have a cross section of a semicircle opened toward the lower side and extends from the separation portion 920 toward the other edge 910a of the tape support portion 910. The bending guide part 930 includes a base 333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tape support part 910 and a separation part curved at an upper side from the base 333 and disposed at one edge 910b of the tape support part 910 ( A bending part 931 that causes the first cover tape 2 separated by 920 to be bent toward the other edge 910a of the tape support part 910, and a first cover tape curved by the bending part 931 ( And a guide portion 932 for guiding 2) to the sid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벤딩부(931)에 의해 휘어져 안내부(932)를 통과한 제 1 커버 테이프(2)는 접힘 안내부(940)에 의해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접힌다. The first cover tape 2 bent by the bending portion 931 and passed through the guide portion 932 is folded to the sid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by the folding guide portion 940.

접힘 안내부(940)는, 테이프 지지부(910)의 가장자리에서 벤딩 가이드부(930)에 의해 휘어진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접히게 하는 도입부(941)와, 테이프 지지부(910)의 타측 가장자리(910a)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하여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접힌 제 1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을 덮는 측면판(942)을 구비한다.The folding guide portion 940 is an introduction portion that allows a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curved by the bending guide portion 930 at the edge of the tape support portion 910 to be fold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941) and a side plate 942 that extends downward from the other edge 910a of the tape support 910 and covers a portion of the first cover tape 2 folded to the sid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do.

도 21은 도 1에 도시된 부품실장 시스템(S)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부품실장 시스템(S)의 제어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FIG. 2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component mounting system S illustrated in FIG. 1. FIG. 22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procedure of the component mounting system S shown in FIG. 21. In the follo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above represent the same members.

도 21 및 도 22를 참고하면, 부품실장 시스템(S)이 작동하는 경우 우선 제 1 부품릴(8)과 제 2 부품릴(8a)을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 1 캐리어 테이프(3)와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에 설치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21 and 22, when the component mounting system S is operated, first the first component reel 8 and the second component reel 8a may be installed on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At this time,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the second carrier tape 1 on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한편, 이하에서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와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설치한 후 부품실장 시스템(S)이 작동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Meanwhile, 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component mounting system S operates after installing the first carrier tape 3 and the second carrier tape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제 1 캐리어 테이프 및 제 2 캐리어 테이프를 설치하고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가 작동하는 경우1. When the first carrier tape and the second carrier tape are installed and the carrier tape feeder is working.

부품실장 시스템(S)이 작동하는 경우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는 부품실장장치(D)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는 안착부(D2)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When the component mounting system S is operated,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may be installed in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D. Specifically,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D2 and fixed.

상기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가 안착부(D2)에 안착되는 경우 제어부(600b)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가 정확하게 안착부(D2)에 안착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S111단계)When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D2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600b may determine whether the carrier tape supplying device F is correctly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D2. )

구체적으로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가 안착부(D2)에 안착하는 경우 접속감지센서부(600a)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와 안착부(D2)의 접속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D2, the connection detection sensor unit 600a may detect whether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and the seating portion D2 are connected.

특히 접속감지센서부(600a)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가 안착부(D2)와 접속하는 경우 스위치가 온(ON)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위치가 온이 되는 경우 접속감지센서부(600a)는 온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온 신호를 제어부(600b)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가 상기와 같이 안착부(D2)에 안착하는 경우 제어부(600b)는 부품실장장치(D)와 접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b)는 부품실장장치(D)의 제어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신호가 교환될 수 있다. Particularly, when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is connected to the seating portion D2, the connection detection sensor unit 600a may be switched on.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detection sensor unit 600a may generate an on signal and transmit the 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600b. In addition, when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D2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600b may be connected to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D.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600b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D and signals may be exchanged.

상기와 같이 접속감지센서부(600a)와 제어유닛으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600b)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가 안착부(D2)에 정확히 설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에는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S112단계) When a signal is applied from the connection detection sensor unit 600a and the control unit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600b may determine that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is correctly installed in the seating unit D2. At this time, power may be applied to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step S112).

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감지센서부(600a)와 제어유닛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600b)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가 정확하게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f it is determined that no signal is applied from at least one of the connection detection sensor unit 600a and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600b determines that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is not correctly installed. You can.

이때, 제어부(600b)는 외부의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거나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의 위치 정렬 경고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S113단계)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0b may operate the alarm unit so as to be recognized by an external user or emit a position alignment warning of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to the outside (step S113).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600b)는 제 1 감지센서부(400)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114단계)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the control unit 600b may determine whether a signal is applied from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Step S114)

제 1 감지센서부(40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존재하는 경우 외부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설치된 경우, 제 1 감지센서부(400)에서 발생하는 광은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 의하여 차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 1 감지센서부(400)에서 발생하는 광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 의하여 차단됨으로써 제 1 감지센서부(40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존재한다는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600b)로 전송할 수 있다.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may generate a signal to the outside when the first carrier tape 3 is present. Specifically, when the first carrier tape 3 is installed, light generated from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may be blocked by the first carrier tape 3. In this case, the light generated by the first sensing sensor unit 400 is blocked by the first carrier tape 3, so that the first sensing sensor unit 400 generates a signal that the first carrier tape 3 is present. To the control unit 600b.

반면,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 1 감지센서부(400)에서 발생하는 광은 제 1 캐리어 테이프(3)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 1 감지센서부(40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600b)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carrier tape 3 is not present, light generated from the first sensing sensor unit 400 may not be blocked by the first carrier tape 3. At this time,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may generate a signal that the first carrier tape 3 does not exist and transmit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600b.

상기와 같이 제어부(600b)로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제어부(600b)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0b)는 상기와 같이 작업 초기에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제 1 감지센서부(400) 상에 존재하지 않는지 판별할 수 있다.(S114단계)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600b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600b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carrier tape 3 is present.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0b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carrier tape 3 does not exist on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at the beginning of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step S114).

구체적으로 제 1 감지센서부(400)에서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존재한다는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600b)는 제 3 구동부(230a)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0b)는 제 3 구동부(230a)를 제 2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S118단계)Specifically, when a signal that the first carrier tape 3 exists in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o operate the third driving unit 230a.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he third driving unit 230a to rotate at a second speed (step S118).

반면, 제 1 감지센서부(400)에서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600b)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존재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115단계)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carrier tape 3 does not exist in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the control unit 600b may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carrier tape 1 is present (step S115). )

이때, 제 2 감지센서부(500)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 또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 2 감지센서부(500)에서 신호를 감지하는 방법은 제 1 감지센서부(400)에서 감지하는 방법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detection sensor unit 500 may detect the presence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or the first carrier tape 3. At this time, the method for sensing the signal in the second sensing sensor unit 500 is similar to the method for sensing in the first sensing sensor unit 400,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제어부(600b)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작업을 정지하고 상기 알람부를 통하여 작업 없음을 경고하거나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S124단계)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carrier tape 1 does not exist, the controller 600b may stop the operation and warn that there is no operation or generate an alarm through the alarm unit (step S124).

반면, 상기와 같이 제 2 감지센서부(500)에서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존재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600b)는 제 3 구동부(230a)를 제 1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S116단계)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ence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is detected in the second detection sensor unit 500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o rotate the third driving unit 230a at a first speed. Yes (S116 step)

이때, 제 3 구동부(230a)는 제 1 속도로 회전하면서 회전부(2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부(230)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부(23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제 1 이송공(3b)에 결합하여 제 1 캐리어 테이프(3)를 제 1 감지센서부(400)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hird driving unit 230a may rotate the rotating unit 230 while rotating at the first speed. When the rotating part 230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ng part 230 is coupled to the first transport hole 3b of the first carrier tape 3 to attach the first carrier tape 3 to the first detection sensor part 400. Can be transferred to the side.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이송되는 동안 제 1 감지센서부(4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존재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감지센서부(400)가 제 1 캐리어 테이프(3)를 감지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first carrier tape 3 is being transported,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may detect the existenc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since the method for detecting the first carrier tape 3 by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어부(600b)는 제 1 감지센서부(400)가 제 1 캐리어 테이프(3)를 감지한 결과를 근거로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존재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117단계) 구체적으로 제 1 감지센서부(400)에서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존재를 감지한 경우, 제어부(600b)는 상기 결과를 근거로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제 1 감지센서부(400) 상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600b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carrier tape 3 is present based on the result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detecting the first carrier tape 3 (step S117). When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detects the presenc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the control unit 600b displays the first carrier tape 3 on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based on the result. It can be judged to be located in.

상기와 같이 판단되면, 제어부(600b)는 제 3 구동부(230a)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제 3 구동부(230a)가 상기 제 2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18단계) 이때, 상기 제 2 속도는 상기 제 1 속도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2 속도는 상기 제 1 속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he third driving unit 230a to rotate at the second speed afte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third driving unit 230a. (Step S118) At this time, the first The second speed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the first speed. In particular, the second speed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speed.

한편, 제어부(600b)는 제 3 구동부(230a)를 상기 제 2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제 1 캐리어 테이프(3)를 규정량만큼 제 1 스프로켓(211)로 이송시킬 수 있다.(S119단계) 이때, 제어부(600b)는 제 3 구동부(230a)의 회전 시간 또는 회전 횟수 등을 제어함으로써 제 1 캐리어 테이프(3)를 규정량 이송시킬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어부(600b)가 제 3 구동부(230a)의 회전 시간을 제어하여 제 1 캐리어 테이프(3)를 규정량 이송시키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600b may transfer the first carrier tape 3 to the first sprocket 211 by a predetermined amount while rotating the third driving unit 230a at the second speed. (Step S119)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0b may transfer the first carrier tape 3 by a predetermined amount by controlling the rotation time or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third driving unit 230a.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ntroller 600b will control the rotation time of the third driving unit 230a and focus on the case where the first carrier tape 3 is transferred in a prescribed amount.

제어부(600b)는 제 3 구동부(230a)를 제 1 시간 동안 상기 제 2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 3 구동부(230a)는 상기 제 1 시간 동안 상기 제 2 속도로 구동되는 경우 제어부(600b)에 기 설정된 규정량만큼 제 1 캐리어 테이프(3)를 이송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he third driving unit 230a to rotate at the second speed for a first time. At this time, when the third driving unit 230a is driven at the second speed for the first time, the first carrier tape 3 may be transferred to the control unit 600b by a predetermined amount.

이때, 제 3 구동부(230a)에는 제 3 회전감지센서부(140b)가 설치되어 제 3 구동부(230a)의 회전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 3 회전감지센서부(140b)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 1 회전감지센서부(220c) 또는 제 2 회전감지센서부(320c)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t this time, a third rotation detection sensor unit 140b is installed in the third driving unit 230a to sense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third driving unit 230a. Since the third rotation detection sensor unit 140b is the same or similar to the first rotation detection sensor unit 220c or the second rotation detection sensor unit 320c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제어부(600b)는 제 3 회전감지센서부(140b)에서 측정된 제 3 구동부(230a)의 회전 정도를 근거로 상기와 같이 제 3 구동부(230a)를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he third driving unit 230a a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third driving unit 230a measured by the third rotation sensing sensor unit 140b.

상기와 같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이송되는 경우, 제 1 캐리어 테이프(3)는 제 1 감지센서부(400)를 지나 제 1 스프로켓(211) 및 제 2 스프로켓(221)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제 1 스프로켓(211) 및 제 2 스프로켓(221)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작동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제 3 구동부(230a)가 작동하는 경우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제 1 이송공(3b)은 제 1 스프로켓(211) 및 제 2 스프로켓(221)에 삽입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carrier tape 3 is transferr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arrier tape 3 may be transferred to the first sprocket 211 and the second sprocket 221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have. At this time, the first sprocket 211 and the second sprocket 221 may be freely rotatable. In particular, when the third driving unit 230a operate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ransport hole 3b of the first carrier tape 3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sprocket 211 and the second sprocket 221.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를 규정량 이송한 후 제어부(600b)는 제 3 구동부(230a)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S121단계) 이때, 제 1 캐리어 테이프(3)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스프로켓(211)과 제 2 스프로켓(221)에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제 1 표식부(미도시)는 제 2 표식인식부(E2)의 하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fter transferring the first carrier tape 3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o stop the third driving unit 230a. (Step S121) At this time, the first carrier tape 3 )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procket 211 and the second sprocket 221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the first marking portion (not show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arking recognition portion E2.

상기와 같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위치가 정렬되면, 제 2 표식인식부(E2)는 상기 제 1 표식부를 인식하여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은 인식된 상기 제 1 표식부를 제어부(600b)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posi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is aligne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marker recognition unit E2 may recognize the first marker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the recognized first marker to the controller 600b.

제어부(600b)는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 표식부가 전송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실장정보와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S122단계) 이때, 기 설정된 실장정보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 설정된 실장정보는 제 1 부품(5)의 스펙, 크기, 종류, 사용되는 상기 외부 전자기기의 종류, 생산일자, 생산장소 및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의 스펙, 제조사, 사용 가능한 상기 외부 전자기기 등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When the first marker is transmitt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600b may determine whether it is the same as the preset mounting information. (Step S122) At this time, the preset mounting information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For example, the preset mounting information is the specification, size, and type of the first part 5, the typ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used, the production date, the production place, and the specification, manufacturer, and use of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It may be a variety of information, such as the external electronics possible.

한편, 제어부(600b)는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 표식부와 기 설정된 실장정보를 비교한 후 서로 상이한 것으로 판단되면, 작업을 중지하거나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S124단계)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roller 600b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fter comparing the first marking unit and the preset mounting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may be stopped or the alarm unit may be operated (step S124).

반면, 제어부(600b)는 상기 제 1 표식부와 기 설정된 실장정보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표식부에 해당하는 실장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123단계) 예를 들면, 상기 제 1 표식부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큐알코드로 형성되는 경우, 제어부(600b)는 큐알코드에 해당하는 실장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et mounting informa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marking unit, the controller 600b may store moun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rking unit. (Step S123) For example, the first marking If the additional is formed of a QR cod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600b may store moun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QR code.

상기와 같이 저장이 완료되면, 제어부(600b)는 제 1 구동력생성부(212a)와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 1 구동력생성부(212a)와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는 각각 제 1 스프로켓(211) 및 제 2 스프로켓(221)을 회전시킬 수 있다.(S125단계)When the storage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o operate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or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or 222a. At this time,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22a may rotate the first sprocket 211 and the second sprocket 221, respectively (step S125).

제어부(600b)는 상기와 같이 제 1 구동력생성부(212a) 및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를 제어하는 동안 제 3 구동부(230a)는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230)는 제 3 구동부(230a)와 함께 정지하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 가능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he third driving unit 230a to stop while controlling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22a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rotating unit 230 may be freely rotatable without stopping with the third driving unit 230a.

상기와 같이 제 1 구동력생성부(212a)와 제 2 구동력생성부(222a)가 작동하는 경우 제 1 이송공(3b)에 삽입되는 제 1 스프로켓(211) 및 제 2 스프로켓(221)에 의하여 제 1 캐리어 테이프(3)는 일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222a operat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procket 211 and the second sprocket 221 inserted into the first transfer hole 3b One carrier tape 3 can be transported in one direction.

또한, 상기와 같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이송하는 동안 회전부(230)는 제 1 이송공(3b)에 삽입되어 피동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first carrier tape 3 is being transported, the rotating part 23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transport hole 3b and rotated passively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transport of the first carrier tape 3. .

상기와 같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이송하는 경우 제 1 캐리어 테이프(3)는 커버테이프제거부(700)에 의하여 제 1 캐리어 테이프(3)으로부터 제 1 커버 테이프(2)이 일부 박리될 수 있다. 특히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커버 테이프(2)은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일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내부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carrier tape 3 is transport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arrier tape 3 is partially peeled from the first carrier tape 3 by the cover tape removal unit 700. You can. 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ver tape 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by rotating to one sid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구동력생성부(212a)와 제 2 구동력생성부(222a)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와 같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내부가 노출되면, 흡착노즐(D1)은 제 1 부품(5)을 흡착하여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S126단계) 이때, 제 1 구동력생성부(212a)와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는 설정 시간 동안 구동 및 정지를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제 1 캐리어 테이프(3)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sid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is exposed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222a are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the adsorption nozzle D1 is the first. The component 5 can be adsorbed and taken out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step S126). At this time,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222a are set for a set time. The first carrier tape 3 can be sequentially transported by repeatedly driving and stopping during the operation.

특히 제 1 구동력생성부(212a)와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는 제 1 설정 시간 동안 구동한 후 제 2 설정 시간 동안 정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 1 구동력생성부(212a)와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는 상기 제 1 설정 시간의 구동 및 상기 제 2 설정 시간의 정지를 교번하여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22a may be controlled to stop for a second predetermined time after driving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22a may be controlled to alternately perform driving of the first set time and stopping of the second set time.

이때, 제 1 회전감지센서부(220c)와 제 2 회전감지센서부(320c)는 각각 제 1 구동력생성부(212a) 및 제 2 구동력생성부(222a)의 작동을 감지하여 제어부(600b)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600b)는 제 1 회전감지센서부(220c)와 제 2 회전감지센서부(320c)에서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제 1 구동력생성부(212a)와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를 상기와 같이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rotation detection sensor unit 220c and the second rotation detection sensor unit 320c detect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22a, respectively, to the control unit 600b. Can transmit. The controller 600b is configured to recall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22a based on the signals detected by the first rotation sensing sensor unit 220c and the second rotation sensing sensor unit 320c. Can be controlled as follows.

상기와 같이 제 1 구동력생성부(212a)와 제 2 구동력생성부(222a)가 작동하는 동안 흡착노즐(D1)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부품(5)을 흡착하여 내부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이때, 흡착노즐(D1)은 제 1 구동력생성부(212a) 및 제 2 구동력생성부(222a)가 상기 제 2 설정 시간동안 정지할 때 상기와 같이 제 1 부품(5)을 흡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222a are operating, the adsorption nozzle D1 adsorbs the first component 5 as described above and can be drawn out from the inside. . At this time, the adsorption nozzle D1 may adsorb the first component 5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222a are stopped for the second set time.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제 1 감지센서부(400)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존재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감지센서부(400)는 감지된 결과를 제어부(600b)를 지속적으로 피드백(Feedback) 해줄 수 있다. Meanwhile, while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in progress,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may continuously detect the existenc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In this case,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may continuously feedback the control result 600b to the detected result.

제어부(600b)는 제 1 감지센서부(400)에서 피드백 해주는 신호를 근거로 작업의 지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7단계) 구체적으로 제어부(600b)는 제 1 감지센서부(400)에서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존재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600b may determine whether to continue the operation based on a signal fed back from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step S127).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detected signal.

이때, 제어부(600b)는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구동력생성부(212a)와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S125단계 및 S126단계와 같이 제 1 캐리어 테이프(3)를 이송시키면서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제 1 부품(5)을 흡착하여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carrier tape 3 is present,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o drive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22a. That is, the first component 5 of the first carrier tape 3 can be adsorbed and supplied to the outside while transferring the first carrier tape 3 as in steps S125 and S126 described above.

특히 상기와 같은 작업은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계속 공급되는 한 지속될 수 있다. 즉, 제 1 감지센서부(400)가 제 1 캐리어 테이프(3)를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600b)는 제 1 구동력생성부(212a)와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를 상기와 같이 지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bove operation can be continued as long as the first carrier tape 3 is continuously supplied. That is, when the first sensing sensor unit 400 detects the first carrier tape 3, the control unit 600b continuously controls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22a as described above. Can be controlled.

반면, 제 1 감지센서부(400)에서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 1 감지센서부(400)는 제어부(600b)로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부존재와 관련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carrier tape 3 is not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unit 400, the first sensor unit 400 sends a signal related to the absence of the first carrier tape 3 to the control unit 600b. Can transmit.

상기와 같이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600b)는 제 1 구동력생성부(212a) 및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를 정지시킬 수 있다.(S129단계) 즉, 제어부(600b)는 제 1 구동력생성부(212a) 및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를 정지시킴으로써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을 정지시킬 수 있다. When the signal is input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600b may stop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on unit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on unit 222a. (Step S129), that is, the control unit 600b has the first driving force By stopping the generating unit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22a, the transfer of the first carrier tape 3 can be stopped.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이 완료되면, 제어부(600b)는 다시 제 1 구동력생성부(212a) 및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를 일정속도로 구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b)는 제 1 구동력생성부(212a) 및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를 일정속도를 구동시킴으로써 제 1 캐리어 테이프(3)의 남은 부분의 제 1 부품(5)을 부품실장장치(D)로 공급할 수 있다.(S129단계)Meanwhile, whe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completed, the controller 600b may drive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22a again at a constant speed.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600b mounts the first component 5 of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3 by driving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22a at a constant speed. It can be supplied to the device (D) (step S129).

이때, 제어부(600b)는 제 1 구동력생성부(212a) 및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를 제어하여 제 1 캐리어 테이프(3)를 일정량만큼 이송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b)는 제 1 구동력생성부(212a) 및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를 기 설정된 설정 시간 동안 구동 및 정지를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222a to transfer the first carrier tape 3 by a predetermined amount.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22a to be repeatedly performed and stopped for a predetermined set time.

특히 제어부(600b)는 제 1 구동력생성부(212a) 및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를 제 3 설정 시간 동안 구동하고 제 4 설정 시간 동안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b)는 제 1 구동력생성부(212a) 및 제 2 구동력생성부(222a)의 구동 및 정지를 교번하여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0b)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회전감지센서부(220c) 및 제 2 회전감지센서부(320c)에서 측정된 결과를 근거로 제 1 구동력생성부(212a) 및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를 제어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222a to be driven for a third set time and stopped for a fourth set tim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o alternately repeat driving and stopping of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or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or 222a.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0b, a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results measured by the first rotation detection sensor unit 220c and the second rotation detection sensor unit 320c,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The generation unit 222a can be controlled.

2. 제 1 캐리어 테이프 소진 후 제 2 캐리어 테이프로 교환2. First carrier tape is exhausted and replaced with second carrier tape

한편, 제어부(600b)가 상기와 같이 제 1 구동력생성부(212a) 및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를 제어하는 경우 제 1 캐리어 테이프(3)는 완전히 소진될 수 있다. 이때, 제 1 캐리어 테이프(3)가 완전히 소진되면,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100)가 작동하여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회전부(230)로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제 2 캐리어 테이프(1)가 공급되는 방법은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Meanwhile, when the control unit 600b controls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22a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arrier tape 3 may be completely exhausted. At this time, when the first carrier tape 3 is completely exhausted, the carrier tape loading unit 100 may operate to supply the second carrier tape 1 to the rotating unit 230. In particular, since the method for supplying the second carrier tape 1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below.

상기와 같이 제 2 캐리어 테이프(1)가 회전부(230)로 공급되는 경우, 제어부(600b)는 제 2 감지센서부(500)에서 신호가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31단계) 특히 제 2 감지센서부(5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b)는 제 2 감지센서부(50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근거로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존재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carrier tape 1 is supplied to the rotating unit 230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600b may determine whether a signal is detected by the second sensing sensor unit 500 (step S131). As described above, the detection sensor unit 500 may detect the presence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0b may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carrier tape 1 is present based o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detection sensor unit 500.

이때, 제 2 감지센서부(500)에서 전송된 신호를 근거로 제 2 캐리어 테이프(1)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600b)는 작업없음을 경고하거나 알람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상기 알람부를 제어할 수 있다.(S141단계) 또한, 제어부(600b)는 제 1 구동력생성부(212a) 내지 제 3 구동부(230a)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하여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carrier tape 1 does not exist based o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detection sensor unit 500, the controller 600b warns that there is no operation or releases the alarm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0b may stop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s 212a to 3rd driving units 230a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carrier tape supply unit F. You can.

반면, 제 2 감지센서부(500)에서 전송된 신호를 근거로 제 2 캐리어 테이프(1)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600b)는 제 3 구동부(230a)를 상기 제 1 속도로 구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S134단계) 특히 제어부(600b)는 제 3 구동부(230a)를 상기 제 1 속도로 구동하도록 제어하여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이송시킬 수 있다.(S132단계)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carrier tape 1 exists based o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detection sensor unit 500, the control unit 600b drives the third driving unit 230a at the first speed. (Step S134)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he third driving unit 230a to be driven at the first speed to transfer the second carrier tape 1 (Step S132).

상기와 같이 제 3 구동부(230a)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동안, 제 1 감지센서부(400)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600b)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0b)는 제 1 감지센서부(400)에서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제 1 감지센서부(400) 상에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존재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133단계)While controlling to drive the third driving unit 230a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detected by the first sensing sensor unit 40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600b.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0b may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carrier tape 1 is present on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S133). step)

구체적으로 제 1 감지센서부(400)의 신호를 근거로 제 2 캐리어 테이프(1)가 제 1 감지센서부(400) 상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600b)는 제 3 구동부(230a)를 계속해서 상기 제 1 속도로 구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Specifical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carrier tape 1 does not exist on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based on the signal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the control unit 600b is the third driving unit 230a ) To be continuously driven at the first speed.

반면, 제 1 감지센서부(400)의 신호를 근거로 제 2 캐리어 테이프(1)가 제 1 감지센서부(400)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600b)는 제 3 구동부(230a)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S134단계) 이때, 제 2 캐리어 테이프(1)는 계속해서 이송되다가 제 1 감지센서부(400) 상에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일단이 위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carrier tape 1 is present on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based on the signal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the control unit 600b is the third driving unit 230a In this case, the second carrier tape 1 may be continuously transported, and then one end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may be located on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have.

상기의 작업이 완료되면, 제어부(600b)는 제 3 구동부(230a)를 상기 제 2 속도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35단계) 특히 제어부(600b)는 제 3 구동부(230a)의 회전 시간 또는 회전 횟수 등을 제어함으로써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규정량만큼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0b)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구동부(230a)를 상기 제 1 시간 동안 상기 제 2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규정량만큼 이송시킬 수 있다.(S136단계) When the above operation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he third driving unit 230a to be driven at the second speed. (Step S135)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600b rotates the third driving unit 230a. Alternatively, the second carrier tape 1 can be transported by a prescribed amount by controlling the number of rotations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0b may transfer the second carrier tape 1 by a prescribed amount by controlling the third driving unit 230a to rotate at the second speed for the first time as described above. (Step S136)

한편, 상기와 같이 제 3 구동부(230a)가 제어되는 경우 제 2 캐리어 테이프(1)는 제 1 스프로켓(211) 및 제 2 스프로켓(221)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특히,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제 2 이송공(미도시)은 제 1 스프로켓(211) 및 제 2 스프로켓(221)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 1 스프로켓(211) 및 제 2 스프로켓(221)은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이송에 따라 피동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third driving unit 230a is controlle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arrier tape 1 may be transferred to the first sprocket 211 and the second sprocket 221. In particular, the second transport hole (not shown)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procket 211 and the second sprocket 221. At this time, the first sprocket 211 and the second sprocket 221 may be passively rotated according to the transport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제어부(600b)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규정량 이송시키도록 제 3 구동부(230a)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S137단계) 이때, 제 3 구동부(230a)가 정지되는 경우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일단은 제 2 스프로켓(221)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일단은 흡착노즐(D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o stop the third driving unit 230a to transfer the second carrier tape 1 in a prescribed amount. (Step S137) At this time, when the third driving unit 230a is stopped, 2 One end of the carrier tape 1 may be located on the second sprocket 221. That is, one end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may be disposed under the adsorption nozzle D1.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이 완료되면, 제 2 표식인식부(E2)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제 2 표식부(미도시)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표식인식부(E2)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표식부를 인지하여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operation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marker recognition unit E2 may recognize the second marker unit (not shown)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marker recognition unit E2 may recognize the second marker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 2 표식부를 다시 제어부(600b)로 전송하고, 제어부(600b)는 상기 제 2 표식부와 기 설정된 실장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S139단계) 이때, 기 설정된 실장정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the second marking unit back to the control unit 600b, and the control unit 600b may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mounting unit and the preset mounting information match (step S139). Since the information is the same or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어부(600b)는 상기 제 2 표식부와 기 설정된 실장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작업없음 경고 또는 알람을 방출하도록 상기 알람부를 제어할 수 있다.(S141단계)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 제어부(600b)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F)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et mounting information does not match the second marking unit and the second marking unit, the controller 600b may control the alarm unit to emit no work warning or alarm. (Step S141) 600b may stop the operation of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F.

반면, 상기 제 2 표식부와 기 설정된 실장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600b)는 상기 제 2 표식부에 해당하는 실장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139단계) 이때, 제어부(600b)가 저장하는 실장정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et mounting information matches the second marking unit, the controller 600b may store moun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arking unit (step S139). Since the mounting information is the same or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와 같이 실장정보의 저장이 완료되면, 제어부(600b)는 제 1 구동력생성부(212a)와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를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b)는 제 1 구동력생성부(212a)와 제 2 구동력생성부(222a)가 구동과 정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orage of the mounting information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o drive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or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or 222a.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22a to repeat driving and stopping.

특히 제어부(600b)는 제 1 구동력생성부(212a)와 제 2 구동력생성부(222a)가 상기 제 1 설정 시간 동안 구동한 후 상기 제 2 설정 시간 동안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설정 시간 동안 흡착노즐(D1)은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제 2 부품(미도시)을 흡착하여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S145단계)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or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or 222a to stop for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after driving for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At this time, during the second set time, the adsorption nozzle D1 can adsorb the second component (not shown)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and take it out to the outside.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제 1 감지센서부(400)는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존재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감지센서부(400)는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600b)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600b)는 제 1 감지센서부(400)에서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44단계)Meanwhile, while the above operation is in progress,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may continuously detect the presence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At this time,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may transmit the detected signal to the control unit 600b. The control unit 600b may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carrier tape 1 is present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step S144).

제 1 감지센서부(400)에서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제 2 캐리어 테이프(1)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600b)는 제 1 구동력생성부(212a) 및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를 상기와 같이 작동하도록 계속해서 제어할 수 있다.(S142단계)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carrier tape 1 is present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the control unit 600b includes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22a. ) Can be continuously controlled to operate as described above (step S142).

반면, 제 1 감지센서부(400)에서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제 2 캐리어 테이프(1)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600b)는 제 1 구동력생성부(212a) 및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를 일정속도로 구동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carrier tape 1 does not exist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400, the control unit 600b generates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The portion 222a can be driven at a constant speed.

구체적으로 제어부(600b)는 제 1 구동력생성부(212a) 및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를 일정속도를 구동시킴으로써 제 2 캐리어 테이프(1)의 남은 부분의 상기 제 2 부품을 부품실장장치(D)로 이송시킬 수 있다.(S145단계)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600b drives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22a at a constant speed to mount the second component of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econd carrier tape 1 in a component mounting device ( D). (Step S145)

이때, 제어부(600b)는 제 1 구동력생성부(212a) 및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를 제어하여 제 2 캐리어 테이프(1)를 일정량만큼 이송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b)는 제 1 구동력생성부(212a) 및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를 기 설정된 설정 시간 동안 구동 및 정지를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222a to transfer the second carrier tape 1 by a predetermined amount.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222a to be repeatedly performed and stopped for a predetermined set time.

특히 제어부(600b)는 제 1 구동력생성부(212a) 및 제 2 구동력생성부(222a)를 제 3 설정 시간 동안 구동하고 제 4 설정 시간 동안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b)는 제 1 구동력생성부(212a) 및 제 2 구동력생성부(222a)의 구동 및 정지를 교번하여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구동력생성부(212a) 및 제 2 구동력생성부(222a)가 작동하는 경우 제 2 캐리어 테이프(1)는 끝단의 상기 제 2 부품까지 완전히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222a to be driven for a third set time and stopped for a fourth set tim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0b may control to alternately repeat driving and stopping of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or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or 222a. When the first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212a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generating portion 222a are op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arrier tape 1 may be completely drawn out to the second component at the en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캐리어 테이프를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의 교체없이 작업을 신속하고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숙련된 작업자가 수동으로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복수개의 캐리어 테이프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비숙련에 의한 제품의 하자 및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smoothly without replacing the carrier tape by sequentially supplying the carrier tape.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defects and failures of the product due to the inexperience of the operator because the skilled worker can automatically supply a plurality of carrier tapes through a simple structure rather than manually replacing th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캐리어 테이프와 커버 테이프의 폭의 변화에 맞추어 캐리어 테이프와 커버 테이프의 수거 장치를 다르게 설계할 필요가 없고 캐리어 테이프와 커버 테이프의 폭이 넓은 경우에도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의 폭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need to design the collection device of the carrier tape and the cover tap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width of the carrier tape and the cover tape, and increase the width of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even when the width of the carrier tape and the cover tape is wide.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D)의 내부에서 캐리어 테이프의 교체 후 캐리어 테이프를 흡착노즐(D1)로 정확하게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의 손실을 방지하고 작업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 the loss of the carrier tape and secure the continuity of work by supplying the carrier tape to the adsorption nozzle (D1) sequentially after the replacement of the carrier tape inside the carrier tape supply device (D) You can.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mentioned above,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ll includ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s long as they belong to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S : 부품실장 시스템
D : 부품실장장치
F :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100 :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
210 : 제 1 이송부
220 : 제 2 이송부
400 : 제 1 감지센서부
500 : 제 2 감지센서부
600 : 바디 프레임
700 : 커버테이프제거부
S: Parts mounting system
D: Parts mounting device
F: Carrier tape supply device
100: carrier tape loading unit
210: first transfer unit
220: second transfer unit
400: first detection sensor unit
500: second detection sensor unit
600: body frame
700: cover tape removal unit

Claims (34)

제 1 캐리어 테이프 및 제 2 캐리어 테이프를 순차적으로 부품실장장치로 공급하는 이송부;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일부가 접촉하는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일부와 선택적으로 결속하고, 상기 이송부로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회전부;
상기 이송부로 공급되는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 또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순차적 존재 여부 및 상기 회전부로 공급되는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
상기 이송부의 구동부와 상기 회전부의 구동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의 구동부의 회전 및 상기 회전부의 구동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부;
일단이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삽입홀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시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를 구속하고,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소진 시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회전부로 공급하는 캐리어 테이프 로딩부; 및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존재 여부를 근거로 상기 이송부 및 상기 회전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회전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이송부의 구동부의 작동과 상기 회전부의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A transfer unit for sequentially supplying the first carrier tape and the second carrier tape to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A rotating portion that selectively binds a por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to which a portion of the second carrier tape contacts and transfers the second carrier tape to the transfer portion;
A sensing sensor unit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first carrier tape or the second carrier tape supplied to the transfer unit is sequentially present and whether the second carrier tape supplied to the rotating unit is present;
A rotation sensing sensor unit disposed on the driving unit of the transport unit and the driving unit of the rotation unit to sense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of the transport unit and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of the rotation unit;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frame, and includes the insertion protrusion selectively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of the second carrier tape to constrain the second carrier tape when transporting the first carrier tape, and constrain the first carrier A carrier tape loading unit supplying the second carrier tape to the rotating unit when the tape runs out; And
The presence of the first carrier tape is determined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unit, and at least one of the transfer unit and the rotation unit is driven based on the presence of the first carrier tape, and the rotation is controlled A carrier tape supply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of the transfer unit and the driving unit of the rotating unit based on the result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 또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 및
상기 제 1 이송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 또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제 2 이송부;를 구비하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fer unit,
A first transfer unit transferring the first carrier tape or the second carrier tape; And
A carrier tape supply device comprising a; a second transfer unit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transfer unit to transfer the first carrier tape or the second carrier t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는,
상기 이송부와 상기 회전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에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 또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제 1 감지센서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etection sensor unit,
And a first sensing sensor unit disposed between the transfer unit and the rotating unit to detect the existence of the first carrier tape or the second carrier tape sequentially supplied from the rotat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는,
상기 회전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로 공급되는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 및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제 2 감지센서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etection sensor unit,
And a second sensing sensor unit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rotating unit and detecting the presen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carrier tape and the second carrier tape supplied to the rotat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제 1 이송공 또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제 2 이송공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 또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 1 스프로켓;을 구비하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fer unit,
A carrier having a first sprocket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the first carrier tape or the second carrier tape by partially inserting the first carrier hole of the first carrier tape or the second carrier hole of the second carrier tape Tape feed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제 1 이송공 또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제 2 이송공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 또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제 2 스프로켓;을 구비하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fer unit,
A carrier tape supply comprising; a second sprocket for partially transferring the first carrier tape or the second carrier tape by being partially inserted into the first carrier hole of the first carrier tape or the second carrier hole of the second carrier tape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실장장치는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제 1 부품 또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제 2 부품을 흡착하는 흡착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흡착노즐은 상기 제 2 스프로켓의 회전 중심 상에 배치되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suction nozzle for adsorbing the first component of the first carrier tape or the second component of the second carrier tape,
The adsorption nozzle is a carrier tape supply device disposed on the rotation center of the second sprock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 상기 이송부,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제어부가 내측에 설치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부품실장장치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접속감지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base frame in which the detection sensor unit, the transfer unit, the rota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are installed inside and form an appearance; And
And a connection detection sensor unit installed on the base frame to detect whether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부존재가 판단되면,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회전부로부터 상기 이송부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absence of the first carrier tape is determined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otating unit to transfer the second carrier tape from the rotating unit to the transport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존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를 구동시켜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부품실장장치로 공급하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presence of the first carrier tape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unit, the control unit drives the transfer unit to supply the first carrier tape to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의 공급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부품실장장치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를 제 1 시간 동안 구동시키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pply of the first carrier tape is completed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unit, the control unit drives the transfer unit for a first time to supply the first carrier tape to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Tape feeder.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의 사용자에게 소리 또는 화상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arrier tape supply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alarm unit that provides information to an external user through sound or images.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부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캐리어 테이프의 부존재에 관한 정보를 외부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알람부를 제어하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When the absence of the second carrier tape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larm unit to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the absence of the second carrier tape to an external us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110686A 2012-08-06 2012-10-05 Carrier tape feeding device KR1021044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686A KR102104402B1 (en) 2012-10-05 2012-10-05 Carrier tape feeding device
PCT/KR2013/003424 WO2014025120A1 (en) 2012-08-06 2013-04-23 Carrier tape feeding device, chip mounting system, and chip mounting method
CN201380041893.8A CN104541595B (en) 2012-08-06 2013-04-23 Carry feeder, chip mount system and chip mounting method
US14/419,781 US10667450B2 (en) 2012-08-06 2013-04-23 Carrier tape feeding device, chip mounting system, and chip moun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686A KR102104402B1 (en) 2012-10-05 2012-10-05 Carrier tape feed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563A KR20140044563A (en) 2014-04-15
KR102104402B1 true KR102104402B1 (en) 2020-04-24

Family

ID=50652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686A KR102104402B1 (en) 2012-08-06 2012-10-05 Carrier tape feed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40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052B1 (en) * 2015-09-08 2020-06-26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Tape feeder for feeding of electronic component
KR101999897B1 (en) * 2017-09-26 2019-10-01 주식회사 선일기연 Reel feeding device and feeding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9637A (en) * 2002-09-25 2004-04-15 Fuji Mach Mfg Co Lt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program
JP2010212681A (en) * 2009-03-09 2010-09-24 Koshoku Kin Carrier tape automatic feed apparatus for components mounting machine
JP2011077096A (en) * 2009-09-29 2011-04-14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component feeder, and method of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JP2011211169A (en) * 2010-03-30 2011-10-20 Sts Kk Carrier tape feed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1030B2 (en) 2002-06-18 2007-04-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Tape feeder
KR101563306B1 (en) * 2009-01-19 2015-10-2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Apparatus for supplying electronic parts and chip mounter having the same
KR101020561B1 (en) 2010-09-10 2011-03-09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Feeder of carrier ta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9637A (en) * 2002-09-25 2004-04-15 Fuji Mach Mfg Co Lt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program
JP2010212681A (en) * 2009-03-09 2010-09-24 Koshoku Kin Carrier tape automatic feed apparatus for components mounting machine
JP2011077096A (en) * 2009-09-29 2011-04-14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component feeder, and method of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JP2011211169A (en) * 2010-03-30 2011-10-20 Sts Kk Carrier tape fee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563A (en) 201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41595A (en) Carrier tape feeding device, chip mounting system, and chip mounting method
CN101784181B (en) Apparatus for supplying electronic parts and chip mounter having the same
JP4696182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KR101116990B1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component supply apparatus,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US10555449B2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carrier tape comprising device for automatically exposing parts
WO2013136423A1 (en) Work head and top tape removal device
JP6653333B2 (en) Control device for component mounting machine
KR20170088413A (en) Setup assistance device,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setup assistance method
KR102104402B1 (en) Carrier tape feeding device
JP6259986B2 (en) Splicing equipment
JP2014510420A (en) Tape feeder and method for moving a transport tape toward a pickup position in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JP6988077B2 (en) Adhesive device and transfer control unit
JP4713330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JP2014225592A (en) Splicing device and feeding method of component tape in splicing device
WO2019229996A1 (en) Replacement system and replacement device
JP6714720B2 (en) Parts verification system
JP4539522B2 (en) Component supply method i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line
JP4728163B2 (en) Parts supply device
JP4450809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JP6577022B2 (en) Automatic splicing equipment
JP4232653B2 (en) Tape feeder
JP4378428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JP4887067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JP5816113B2 (en) Component mounting equipment
KR101224871B1 (en) Apparatus for feeding carrier tape automatical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