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835B1 - 먼지집진체 - Google Patents

먼지집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835B1
KR102103835B1 KR1020190128623A KR20190128623A KR102103835B1 KR 102103835 B1 KR102103835 B1 KR 102103835B1 KR 1020190128623 A KR1020190128623 A KR 1020190128623A KR 20190128623 A KR20190128623 A KR 20190128623A KR 102103835 B1 KR102103835 B1 KR 102103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ase
present
dust collec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128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먼지포집판으로 포집하여 제거하므로서, 대기정화를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일측 및 타측이 개구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복수로 적층 형성된 먼지집진판(210);이 형성된 집진부(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먼지집진체 {Apparatus for capture dust}
본 발명은 유동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먼지포집판으로 포집하여 제거하므로서, 대기정화를 목적으로 한다.
특허발명 001은 개방형 오염원의 먼지포집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개방형 오염원이 설치되어 있는 공장의 통기구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먼지를 포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 저면의 면적이 상기 통기구보다 크고; 그리고 다수개의 물분사 노즐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구비되어 있는 물공급관이 폐공간을 형성하도록 그리고 이 폐공간의 면적이 통기구보다 크도록 그 저면이 가장자리부를 따라 구비되어 있는 공기흐름 방해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공기흐름방해판을 상기 통기구가 상기 물공급관이 형성하는 폐공간내에 오도록 하면서 상기 통기구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외부에 위치시켜 먼지함유 기류통과 면적을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물분사노즐을 통해 먼지함유 기류에 물을 분사시켜 먼지를 포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개방형 오염원의 먼지포집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2는 내열성 고분자 섬유의 다공성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중ㆍ고온 배가스의 먼지포집용 여과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무기질 섬유 지지체; 상기 무기질 섬유 지지체 상에 거품 코팅된 제1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레이어; 상기 제1 PTFE 레이어 상에 내열성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부착한 내열성 고분자 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 네트워크; 및 상기 다공성 네트워크 상에 거품 코팅된 제2 PTFE 레이어를 포함하는, 중·고온 배가스의 먼지포집용 여과체에 관한 것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3은 3중층으로 구성된 먼지포집용 여과체에 대한 것이며, 초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여과체에 관한 것으로, 무기질 섬유 지지체, 상기 지지체 상에 거품 코팅된 평균 기공 크기가 30㎛ 이하인 PTFE 층, 및 상기 거품 코팅된 PTFE 층 상에 라미네이트된 평균기공 크기가 2.5㎛ 이하인 PTFE 막을 포함함으로써 내화학성 및 내열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2.5㎛ 이하의 초미세먼지도 포집할 수 있는 먼지포집용 여과체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4는 공냉식 전기장치용 먼지포집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전기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공기흡입용 흡기팬을 구비한 공냉식 전기장치에 사용되는 공냉식 전기장치용 먼지포집구조는, 전기장치의 케이스에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어 복수 개의 흡입구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제1와류발생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흡입구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와류발생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한다.
(특허발명 001) KR 10-0262491 B1 (등록일자 2000년05월02일) (특허발명 002) KR 10-2018-0083999 A (공개일자 2018년07월24일) (특허발명 003) KR 10-1433774 B1 (등록일자 2014년08월19일) (특허발명 004) KR 10-2012-0111338 A (공개일자 2012년10월10일)
본 발명은 유동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먼지포집판으로 포집하여 제거하므로서, 대기정화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일측 및 타측이 개구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복수로 적층 형성된 먼지집진판(210);이 형성된 집진부(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먼지집진판은 복수로 형성되며,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단위판(41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위판의 꼭지점은 인접하는 단위판의 꼭지점과 직선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일면에 형성되며, 복수로 구멍이 형성된 흡입구(110a); 상기 케이스 타면에 형성되며, 복수로 구멍이 형성된 송풍구(120a);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일면에 형성되며, 복수로 구멍이 형성된 유입구(110b); 상기 케이스 타면에 형성되며, 복수로 구멍이 형성된 토출구(120b);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의 풍압차이를 최소화 하며, 먼지를 제거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정전기에 의해 먼지집진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먼지집진판은 지그재그판재를 형성하므로, 유동저항을 최소화 하며, 와류를 형성하여, 먼지의 집중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먼지집진홈은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먼지집진홈에 포집된 먼지를 흡입공기 또는 물의 흐름에 의해 제거하므로 효과적인 먼지포집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유입구 및 토출구에 의해 물의 유도를 원활하게 가이드하며, 집수용기에 의해 먼지만을 정화한 후, 재순환에 따른 먼지포집을 가능하게 하므로 물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먼지집진판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그재그로 배치된 단위판 및 단위판의 먼지유도홈 형상.
도 3은 본 발의 단위판, 먼지유도홈, 정전기유도띠의 결합관계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유동로가 형성된 먼지집진체의 결합관계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를 이용한 먼지포집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물을 이용한 먼지포집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먼지집진판의 유동해석.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일측 및 타측이 개구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복수로 적층 형성된 먼지집진판(210);이 형성된 집진부(200);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먼지집진판은 균일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먼지집진판은 정전기유도판(220)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유도판은 정전기를 유도여부를 제어하는 정전기제어기(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1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것이며,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것이다. 양단이 개구된 4개의 판재로 구성된 케이스는 일측에서 공기가 투입되며, 타측으로 공기가 배출된다. 앞에서 제시한 케이스의 내부에는 먼지집진판을 위치시키며, 공기가 케이스 일측으로 투입되어 타측으로 배출되는 과정중, 먼지집진판에 먼지를 부착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먼지집진판은 균일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나열되며, 상기 먼지집진판 사이로 공기가 투과되며, 공기 투과과정에서 먼지는 먼지집진판에 부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먼지집진판은 정전기 유도판을 형성하며, 정전기에 의해 먼지가 부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집진된 먼지는 외부로 일시에 배출되어야 하며, 이는 정전기제어기에 의해 정전기를 부가하거나 제거하는 기능으로 수행된다.
상기 케이스 및 먼지집진판은 금속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지집진판 및 먼지집진판 사이에는 공기유동로를 형성한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먼지집진판은 복수로 형성되며,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단위판(410);을 포함하는 먼지집진체.
[실시예 2-2]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단위판 및 단위판 사이에 위치하며, 일면이 개방된 먼지집진홈(420);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먼지집진홈의 개방면은 공기유동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먼지집진홈은 지그재그로 형성된 돌출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단위판은 직선 및/또는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6]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먼지집진홈은 상기 단위판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7]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먼지집진홈은 상기 단위판과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8]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단위판의 각도는 30도 내지 40도의 경사각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9]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먼지집진홈 내부에 위치하는 정전기유도띠(4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1 내지 2-9는 먼지집진판을 구체적으로 한정한다. 하나의 먼지집진판은 복수의 단위판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판들은 상호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지그재그 형태를 취한다. 상기 단위판은 직선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진판에는 복수의 먼지집진홈을 형성한다. 상기 먼지집진홈은 단위판들에 각각 형성되며, 하나의 먼지집진판에는 복수의 먼지집진홈을 형성한다. 상기 먼지집진홈들은 지그재그로 이루어진 먼지집진판의 돌출부위에 위치된다. 상기 먼지집진홈은 ㄷ자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개구된 부분이 유동방향과 반대방향을 취하고 있다. 즉, 공기가 유동되는 과정에서 지그재그로 이루어진 유로부위에서 속도가 감소되며, 속도가 감소된 공기 중 일부는 먼지집진홈의 내부에서 와류되며 정체된다. 와류되며 정체되는 공기의 먼지는 먼지집진홈 표면과 충돌하며 먼지집진홈 내부에 모아진다. 이러한 과정은 공기유동통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수회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먼지는 먼지집진홈 내부에 단계적으로 부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지의 부착효과를 높이기 위해 정전기유도띠가 먼지집진홈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정전기유도띠는 정전기를 선택적으로 발생시켜, 와류 중에 포함된 먼지가 포집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단위판의 꼭지점은 인접하는 단위판의 꼭지점과 직선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직선은 케이스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아크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직선은 케이스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사선으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1 내지 3-3은 공기유동로를 구체화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먼지집진체는 공기가 케이스를 관통되는 과정에서 먼지를 포집하는 장치이다.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하며, 케이스의 진입전 후에 대한 풍압차를 최소화하며, 먼지를 집진해야 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공기유동로는 직선을 형성한다. 다만, 일정한 와류를 인위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수차례의 굴곡을 형성한다. 굴곡에 의해 공기유동 속도가 저하되며, 굴곡에 의한 공기유동의 방향전환이 와류를 용이하게 생성한다. 즉, 단위판의 곡지점은 대응되는 먼지집진판의 2개꼭지점과 직선을 형성한다. 반면, 상기 직선은 케이스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완만한 아크 또는 사선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일면에 형성되며, 복수로 구멍이 형성된 흡입구(110a); 상기 케이스 타면에 형성되며, 복수로 구멍이 형성된 송풍구(120a);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일측개구에 형성된 제1커버(131) 상기 케이스 타측개구에 형성된 제2커버(132);를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에 형성된 흡입관(141a); 상기 송풍구에 형성된 송풍관(151a);을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에 형성된 흡입밸브(142a); 상기 송풍관에 형성된 송풍밸브(152a);를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송풍관 단부에 형성된 송풍팬(143);을 포함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 단부에 형성된 집진체(15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4-1 내지 4-6은 먼지집진판에 포집된 먼지를 제거함에 있어서, 흡입공기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의 상부에는 고압의 공기가 송출되는 송풍구를 위치시키며, 하부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형성한다. 케이스가 개방된 조건에서 고압으로 송풍할 경우, 먼지집진판의 먼지는 다시 공기 중으로 이동될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의 일측과 타측에는 제1커버 및 제2커버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를 폐쇄한 후, 밀폐된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흡입구로 흡입해야 된다.
공기흡입은 밀폐조건에서 원활하게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밀폐된 케이스 내부는 대기압 보다 높은 압력을 발생시켜야 된다. 이는 송풍구로부터 투입된 공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송풍구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해, 상기 송풍구는 송풍관을 형성하며, 송풍관의 단부는 송풍팬을 장착한다. 반면, 밀폐된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흡입구는 흡입관과 연결되며, 상기 흡입관은 집진체와 결합된다. 상기 흡입관에는 진공펌프를 장착할 수 있다. 앞에서 제시한 송풍관 및 흡입관은 각각 송풍밸브 및 흡입밸브를 형성하여, 송풍 및 흡입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 흡입밸브, 송풍밸브, 제1커버 및 제2커버는 제어기에 의해 작동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일면에 형성되며, 복수로 구멍이 형성된 유입구(110b); 상기 케이스 타면에 형성되며, 복수로 구멍이 형성된 토출구(120b);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 형성된 유입관(141b); 상기 토출구에 형성된 토출관(151b);을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에 형성된 유입밸브(142b); 상기 토출관에 형성된 토출밸브(152b);를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 단부에 형성된 집수용기(154);를 포함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 단부에 형성된 물공급구(144);를 포함한다.
[실시예 5-6]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5에 있어서, 상기 집수용기 및 상기 물공급구를 연통하는 순환관(145);을 포함한다.
[실시예 5-7]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집수용기 내부에 수용되며, 먼지를 필터링 하는 필터(146);를 포함한다.
[실시예 5-8] 본 발명은 먼지집진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7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메시망/부직포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5-1 내지 5-8은 먼지집진판에 포집된 먼지를 제거함에 있어서, 물을 이용하여 먼지제거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케이스 상부는 물 공급용 유입구를 형성하며, 케이스 하부는 물 배출용 토출구를 형성한다. 상기 유입구 및 토출구는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구멍은 앞에서 제시한 먼지집진홈에 위치된다. 즉, 유입구로 유입된 물은 먼지집진홈을 따라 흐르며, 토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물 흐름에 의해 먼지집진홈에 부착된 먼지는 물과 함께 수용되어 배출될 수 있다. 물공급을 위해 유입관에는 물공급구를 형성하며, 상기 물공급구는 상수가 결합된다. 상기 상수는 간헐적으로 흐를 수 있으며, 제어밸브에 의해 흐름이 제어된다. 토출관을 통해 배출된 물은 먼지를 포함한다. 이는 집수용기에 수용되어 폐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폐수되는 물의 자원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순환관을 통해 유입관과 연통시킬 수 있다. 연통을 위해 펌프가 장착된다. 집수용기에 수용된 물은 필터에 의해 먼지를 제거한 후, 정화된 물을 순환시킬 수 있다.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필터는 부직포를 형성하거나 메시망의 천을 사용할 수 있다.
100 : 케이스 110a : 흡입구
110b : 유입구 120a : 송풍구
120b : 토출구 131 : 제1커버
132 : 제2커버 141a : 흡입관
141b : 유입관 142a : 흡입밸브
142b : 유입밸브 143 : 송풍팬
144 : 물공급구 145 : 순환관
146 : 필터 151a : 송풍관
151b : 토출관 152a : 송풍밸브
153 : 집진체 152b : 토출밸브
154 : 집수용기 200 : 집진부
210 : 먼지집진판 220 : 정전기유도판
230 : 정전기제어기 410 : 단위판
420 : 먼지집진홈 430 : 정전기유도띠

Claims (5)

  1. 먼지집진체에 있어서,
    일측 및 타측이 개구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복수로 적층 형성된 먼지집진판(210);이 형성
    된 집진부(200);
    상기 먼지집진판은 복수로 형성되며,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단위판(410);
    상기 단위판 및 단위판 사이에 위치하며, 일면이 개방된 먼지집진홈(420);
    상기 먼지집진홈 내부에 위치하는 정전기유도띠(430);
    상기 단위판의 꼭지점은 인접하는 단위판의 꼭지점과 직선이 형성되어, 복수의 단위판 사이에 형성된 공기유동로는 직선을 형성하는 것;
    상기 케이스 일면에 형성되며, 복수로 구멍이 형성된 유입구(110b);
    상기 케이스 타면에 형성되며, 복수로 구멍이 형성된 토출구(120b);
    상기 유입구 단부에 형성된 물공급구(144);
    상기 토출구 단부에 형성된 집수용기(154);
    상기 집수용기 및 상기 물공급구를 연통하는 순환관(145);
    상기 집수용기 내부에 수용되며, 먼지를 필터링 하는 필터(146);
    를 포함하는 먼지집진체.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일면에 형성되며, 복수로 구멍이 형성된 흡입구(110a);
    상기 케이스 타면에 형성되며, 복수로 구멍이 형성된 송풍구(120a);
    를 포함하는 먼지집진체.
  5. 삭제
KR1020190128623A 2019-10-16 2019-10-16 먼지집진체 KR102103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623A KR102103835B1 (ko) 2019-10-16 2019-10-16 먼지집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623A KR102103835B1 (ko) 2019-10-16 2019-10-16 먼지집진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835B1 true KR102103835B1 (ko) 2020-04-23

Family

ID=70472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623A KR102103835B1 (ko) 2019-10-16 2019-10-16 먼지집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8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353B1 (ko) * 2021-06-24 2022-02-08 박주현 기체 정화 장치
CN114522803A (zh) * 2022-04-24 2022-05-24 浙江百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反向多级涡流除尘系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2491B1 (ko) 1996-12-23 2000-08-01 이구택 개방형 오염원의 먼지포집방법
KR200254463Y1 (ko) * 2001-07-27 2001-12-01 최진순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
KR20120111338A (ko) 2011-03-31 2012-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냉식 전기장치용 먼지포집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전기장치
KR101433774B1 (ko) 2013-10-04 2014-08-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3중층으로 구성된 먼지포집용 여과체
KR101596106B1 (ko) * 2010-11-26 2016-02-19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습분 분리 장치
KR20180083999A (ko) 2017-01-13 2018-07-24 주식회사 창명산업 내열성 고분자 섬유의 다공성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중ㆍ고온 배가스의 먼지포집용 여과체 및 그의 제조방법
CN207839195U (zh) * 2018-05-16 2018-09-11 宁夏马连富电力科技有限公司 新型电除尘烟气净化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2491B1 (ko) 1996-12-23 2000-08-01 이구택 개방형 오염원의 먼지포집방법
KR200254463Y1 (ko) * 2001-07-27 2001-12-01 최진순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
KR101596106B1 (ko) * 2010-11-26 2016-02-19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습분 분리 장치
KR20120111338A (ko) 2011-03-31 2012-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냉식 전기장치용 먼지포집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전기장치
KR101433774B1 (ko) 2013-10-04 2014-08-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3중층으로 구성된 먼지포집용 여과체
KR20180083999A (ko) 2017-01-13 2018-07-24 주식회사 창명산업 내열성 고분자 섬유의 다공성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중ㆍ고온 배가스의 먼지포집용 여과체 및 그의 제조방법
CN207839195U (zh) * 2018-05-16 2018-09-11 宁夏马连富电力科技有限公司 新型电除尘烟气净化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353B1 (ko) * 2021-06-24 2022-02-08 박주현 기체 정화 장치
CN114522803A (zh) * 2022-04-24 2022-05-24 浙江百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反向多级涡流除尘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11576B1 (en) Fluid suction nozzle and fluid-treating apparatus
KR102103835B1 (ko) 먼지집진체
US6280507B1 (en) Air manager apparatus and method for exhausted equipment and systems, and exhaust and airflow management in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facility
EP0135487B1 (en) Exhaust device
US7540896B2 (en) Air handling system
CN107084466A (zh) 新风换气机
KR20160024507A (ko) 공기청정시스템
KR102002022B1 (ko) 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CN203869220U (zh) 一种中央空调的送风净化装置
CN108224616A (zh) 一种基于建筑体用外部通风装置
CN108057292A (zh) 车间粉尘处理设备
JP2023501887A (ja) フィルタ装置、及びフィルタ装置のフィルタエレメントの洗浄方法
CN108592226B (zh) 一种多通道去除气载微生物粒子净化器
KR101972219B1 (ko) 환기용 공기청정장치
KR20200086085A (ko)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CN201186070Y (zh) 环状滤芯型空气净化消毒pm10循环涤滤装置
JPH11179128A (ja) 空気浄化装置
CN214551961U (zh) 过滤器及空气处理设备
KR200405164Y1 (ko) 집진기용 가교 현상 방지 백 필터 장치
JP2017124367A (ja) 空気清浄装置
KR102582572B1 (ko) 공기 청정 장치
CN212431169U (zh) 水洗空气净化器
CN214426151U (zh) 一种清洁空气机器人
KR102582567B1 (ko) 공기 청정 장치
JP2650087B2 (ja) 空気清浄機付きパーティションを用いた空調ル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