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604B1 - Earphones with hearing-impaired healing function - Google Patents

Earphones with hearing-impaired heal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604B1
KR102102604B1 KR1020180026501A KR20180026501A KR102102604B1 KR 102102604 B1 KR102102604 B1 KR 102102604B1 KR 1020180026501 A KR1020180026501 A KR 1020180026501A KR 20180026501 A KR20180026501 A KR 20180026501A KR 102102604 B1 KR102102604 B1 KR 102102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tsc
hearing
sound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5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5868A (en
Inventor
양원동
Original Assignee
송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하정 filed Critical 송하정
Priority to KR1020180026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604B1/en
Publication of KR20190105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8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6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14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external, e.g. earcaps or earmuffs
    • A61F11/145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external, e.g. earcaps or earmuffs electric, e.g. for active noise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A61F2011/14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과 더불어 난청을 치료할 수 있는 TSC 음향부가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이어폰을 듣다가 난청이나 이명을 TSC 음향으로 치료할 수 있는 기능성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본원 이어폰에 적용하는 TSC는 THRESHOLD SOUND CONDITIONING의 약자로 청각 뉴런이 반응을 일으키도록 작은 소리 에너지인 역치 수준의 미세 음향 에너지를 주파수별로 발생시켜서 청각을 자극하여 청력을 개선하는 것이다.
청각 기관은 물리적인 파동인 소리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뇌로 전달하는 기관으로 가장 중추적인 기관은 달팽이관으로 달팽이 관 안에 있는 15,000개 청각 세포들은 각각 서로 다른 음 높이(주파수)에 반응하며 즉 특정 음의 높이를 듣는 청각 세포의 성능이 저하될 경우 해당 음을 듣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소음성 난청 장애 발생을 없애고,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이어폰에 부가된 TSC는 청력 보호 장치를 제공하여 소리를 잘 듣도록 개선하여 보행시 예기치 못한 사고를 예방하고 국민건강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earphone that is capable of treating hearing loss or tinnitus with TSC sound while listening to the earphone in a normal state by installing a TSC sound unit capable of treating hearing loss in addition to the earphone.
The TSC applied to the earphon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n abbreviation of THRESHOLD SOUND CONDITIONING, and generates a small sound energy of a threshold level, fine acoustic energy for each frequency so that the auditory neurons react, thereby improving hearing by stimulating hearing.
The auditory organ is the organ that converts sound, which is a physical wave, into electrical signals and transmits it to the brain. The most central organ is the cochlea, and 15,000 auditory cells in the cochlea respond to different pitches (frequency). If the hearing cell's performance decreases, the corresponding sound cannot be heard.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occurrence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disorders, and the TSC added to earphones that can provide users with comfort provides hearing protection devices to improve hearing, thereby preventing unexpected accidents when walking and contributing to national health Is what you want.

Description

청각장애 치료 기능을 갖는 이어폰{Earphones with hearing-impaired healing function}Earphones with hearing-impaired healing function

본 발명은 청각장애 치료 기능을 갖는 이어폰(earphone)에 관한 것으로 자연스럽게 본원 이어폰을 착용하면서 난청이나 이명을 치료하고 청각장애의 개선과 방지를 하는 기능을 하는 기능성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having a hearing impairment treatment function, and naturally relates to a functional earphone that functions to treat hearing loss or tinnitus and improve and prevent hearing impairment while wearing the earphone.

이처럼 본원 이어폰을 사용하면은 난청을 일으키는 청각 유모세포(Auditory hair cell) 손상을 방지하며 음향자극 치료법인 TSC(Threshold Sound Conditioning)을 통하여 이어폰을 통하여 음향을 즐기면서 자연스럽게 청각장애를 치료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use of the earphone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events hearing hair cells (Auditory Hair Cell) damage that causes hearing loss and provides the ability to naturally treat hearing impairment while enjoying sound through the earphone through the Threshold Sound Conditioning (TSC), an acoustic stimulation treatment. It is a functional earphone.

한편, 기존의 이어폰은 밀폐된 귓속에서 스피커 앞면이 고막과 정면으로 마주하고 있어 스피커에서 발생한 잡음을 포함한 모든 소리가 여과 과정 없이 직접적으로 강하게 고막으로 전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earphone, the front of the speaker faces the eardrum in a closed ear, so that all sounds, including noise generated by the speaker, are directly and strongly transmitted to the eardrum without filtration.

그리고 일정시간 경과 후부터는 고막이 더는 견딜 수 없어 피로를 느끼기 시작하며 이를 지각하지 못하고 계속하여 과다음량이 공급되면 이 과다 공급 음량으로 인하여 결국 청각 유모세포의 유모의 손상으로 청각장애가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생활의 불편함과 더불어 보행 시 각종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기도 하였다.An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eardrum is no longer able to tolerate and begins to feel tired. If it is not perceived and continues to be supplied, the oversupply volume will eventually cause hearing impairment due to damage to the hair of the auditory hair cells.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have led to the inconvenience of life and exposure to various risks of accidents when walking.

최근 다양한 미디어 매체와 재생기기의 비약적 발전에 따라 다양한 사람들의 이어폰이나 헤드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사용시간 또한 날로 증가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media and playback devices, the use of earphones and headphones by various people is increasing, and the usage time thereof is also increasing day by day.

이런 대중적인 문화는 특히 자라나는 유소년 및 청소년기에 더욱 악영향을 끼칠 수 있고 이에 따른 청각장애(소음성 난청 등)가 발생하여 사회문제로 대두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청각 장애의 주범이라 할 수 있는 이어폰은 귀에 장착할 수 있게 소형으로 설계된 수화기로서 이어폰은 이어폰 리시버의 약칭으로 이어폰의 구조는 스피커가 장착된 헤드 부와 음향기기와 접속하는 잭을 헤드 부의 스피커와 연결하는 케이블로 이루어진다. This popular culture can have a more adverse effect in growing youth and adolescence, and it is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due to hearing impairment (such as hearing loss). In general, earphones, which are the main culprit of hearing impairment, are small-sized handsets designed to be mounted on the ears. Earphones are short for earphone receivers, and the structure of the earphones is the head of the head and the jack that connects to the sound equipment and the head of the head. It is made of a cable to connect with.

이러한 이어폰은 인체의 고막이 매우 예민한 기관임에도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소리 중 어떤 음이 사용자가 청취해야 할 소리(정음)이며 무엇이 소음(잡음)에 해당하는지를 규명치 않고 무분별하게 소리를 높여 사용하여 특히 청소년들의 난청이 사회적 이슈로 대두하기도 하였다.Even though the eardrum of the human body is a very sensitive organ, it is indiscriminately used by raising the sound indiscriminately without disclosing which sound from the speaker is the sound (static sound) that the user should listen to and what corresponds to the noise (noise). Hearing loss has also emerged as a social issue.

본원 이어폰에 적용하는 TSC는 THRESHOLD SOUND CONDITIONING의 약자로 청각 뉴런이 반응을 일으키도록 작은 소리 에너지인 역치 수준의 미세 음향 에너지를 주파수별로 발생시켜서 청각을 자극하여 청력을 개선하는 것이다.The TSC applied to the earphon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n abbreviation of THRESHOLD SOUND CONDITIONING, and generates a small sound energy, a threshold level of fine acoustic energy for each frequency so that the auditory neurons react, thereby improving hearing by stimulating hearing.

상기 TSC는 달팽이 관의 청각 세포를 그룹단위로 분할 자극하여 유모세포의 복구를 자극하는 첨단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The TSC can be said to be a state-of-the-art technology that stimulates the repair of hair cells by dividing and stimulating the auditory cells of the cochlea in groups.

한편, 난청 장애의 원인이 볼륨의 요소보다도 그 밀폐로 인한 외이와 내이의 압력 역전현상으로 인한 내이의 파괴 파장이 충격을 주며 곧 내이의 압력 증가가 난청의 주원인인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found that the cause of the hearing loss is that the destruction of the inner ear due to the pressure reversal of the outer ear and inner ear due to the hermeticity is more important than the volume factor, and the increase in the inner ear pressure is the main cause of hearing loss.

최근 청소년 청각장애 진단도 급격히 늘었는데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6년 28만 2,032명의 난청 진단 환자 중 30대 이하가 10만 7,112명인 38%로 나타났다. In recent years, the diagnosis of hearing impairment among adolescents has also rapid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in 2016, out of 288,032 patients diagnosed with hearing loss, 38% of those under 30 were 10,112.

이는 과도한 소음에 장기간 노출되거나 이어폰 착용하고 고음을 듣는 것이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can be attributed to prolonged exposure to excessive noise or wearing earphones and hearing high notes.

이러한 이어폰을 통해 100데시벨(dB) 이상의 큰 소리가 한꺼번에 달팽이관에 장기간 전달되면 청력 세포를 손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This means that hearing loud cells over 100 decibels (dB)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rough these earphones can damage hearing cells.

반면 대부분의 난청은 나이가 들면서 생긴다. 30대 이후부터 서서히 청력이 떨어져 60대는 30~40%가 난청, "즉 잘 듣지 못하게 되며 난청은 잡음이 들리는 이명(耳鳴)과 어지러움을 동반하기도 한다. On the other hand, most hearing loss occurs with age. Hearing loss gradually declines after 30s, and 30-40% of hearing loss in the 60s is "I do not hear well, and hearing loss is accompanied by noise and dizziness."

이러한 난청이 시작되면 주위 사람으로부터 고립되어 소통이 없어지고 자연히 우울증이 따라오며 나아가 치매 비율이 3~4배나 높아지는 현상까지 발생하게 된다.When such hearing loss begins, isolation from people around you disappears, depression naturally follows, and even dementia rates increase by 3-4 times.

이와 같이 가는 귀먹는 건 흔한 일이라고 가볍게 넘길 수 없으며 장년들의 난청원인은 노화*?*소음, 흡연, 고혈압 등이다. 특히 이중에서 소음노출은 치명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20Hz부터 20K Hz까지의 가청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들을 수 있으나 생활 잡음이 증가하면서 청취 환경이 나빠지고 있다.Deafness like this is common and cannot be passed lightly, and the causes of hearing loss in older adults are aging *? * Noise, smoking, and high blood pressure. In particular, noise exposure can be said to be fatal, and in general, people can hear sound in the audible frequency range from 20Hz to 20K Hz, but the listening environment is deteriorating due to the increase in living noise.

특히, 최근 연구결과에서 모든 이어폰 청취자 중 무려 70%가 소음성 난청 장애로 인한 청력저하 증세가 있으며, 이것이 발전할 경우 청소년과 아이들이 중년 노년기에 거의 모두 난청 장애 청각 장애인이 될 위험에 처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a recent study, 70% of all earphone listeners have hearing loss due to noise-induced hearing impairment, and if this develops, teenagers and children are almost at risk of hearing impaired hearing impairment in both middle and old age. Is being reported.

특허등록공보 제10-1261625호 (등록일: 2013년 4월 40일)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1261625 (Registration Date: April 40, 2013) 특허등록공보 제20-0431196호 (등록일 : 2006년 11월 09일)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20-0431196 (Registration Date: November 09, 2006) 특허등록공보 제10-1520800호 (등록일 : 2015년 05월 11일)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1520800 (Registration Date: May 11, 2015) 특허등록공보 제10-1535112호 (등록일 : 2015년 07월 02일)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1535112 (Registration Date: July 02, 2015)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단순히 전기적으로 연결한 소형 스피커를 귀 내로 삽입하는 전자기기로 스피커 유닛 캐비닛의 구조적, 잡음 섞인 음의 과다 공급,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공기압 등으로 인하여 청각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었다. In general, earphones are electronic devices that simply insert small speakers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to the ears, and often have hearing problems due to the structure of the speaker unit cabinet, excessive supply of mixed noise, and air pressure generated by the speakers. .

상기한 TSC(Threshold Sound Conditioning)란 청각 뉴런(neuron)이 반응을 일으키기 시작하는 가장 작은 소리 에너지 값인 역치(threshold) 수준의 미세 음향 에너지를 주파수별로 발생시켜 청각에 공급함으로써 인간의 근본적인 청력을 외과적인 수술 없이 개선하는 신기술이다.Threshold Sound Conditioning (TSC) is the smallest sound energy value at which a hearing neuron starts to react and generates micro acoustic energy of a threshold level, which is a frequency, by frequency, and supplies it to the hearing. It is a new technology that improves without surgery.

즉" 들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청력 역치) 근처의 크기로 소리를 듣는 훈련을 지속하면 그 경계선이 내려가서 소리를 듣는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창출하며 오디오 기기 사용과 각종 소음노출이 심한 현대 사회에서 한번 감퇴한 청력을 방치할 경우 시간이 흐를수록 난청의 정도가 심각하게 악화될 수 있다.In other words, if you continue training to hear the sound at a level near the smallest sound level (hearing threshold), the boundary goes down, creat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bility to hear the sound, and the use of audio equipment and various noise exposures If the hearing loss once decayed, the degree of hearing loss may deteriorate severely over time.

이러한 귀의 청각 세포는 세포의 위치별로 가청 주파수가 구분되며 특정 세포가 손상될 경우 해당 주파수 청력이 급격하게 저하 되게 된다.The auditory cells of the ear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ells, and when a specific cell is damaged, the hearing of the frequency is rapidly reduced.

이러한 음향신호를 이용한 청각 세포 자극 방법은 주요 가청대역(250~12,000Hz) The auditory cell stimulation method using these acoustic signals is the main audible band (250 ~ 12,000Hz)

사이에 손상된 특정 청각 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자극하는 고해상도 중주파 자극을 일정기간 들려주어 청각 신경의 신경 가소성을 근본적으로 복구시키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It can be said to be a technology that fundamentally restores the neuroplasticity of the auditory nerve by hearing a high-resolution mid-frequency stimulus that selectively stimulates only certain damaged hearing cells in between.

특히, 현대인들은 음향기기기의 과다사용으로 인하여 고주파 영역에서의 청각 능력 저하가 두드러지며 청력이 저하된 영역에서도 잘 듣기 위하여 음향기기의 출력을 높이게 되고, 이는 청력이 저하된 부분만의 음압이 높아지는 것이 아닌 전체 음압이 높아져 청력이 손상되는 결과를 초래한다.In particular, modern people have noticeable deterioration of hearing ability in the high frequency region due to excessive use of sound device, and increase the output of the sound device in order to hear well even in areas where hearing is deteriorated. If not, the overall sound pressure rises, resulting in hearing loss.

따라서, 청력이 저하된 경우 저하된 청력을 주파수 밴드별로 바로잡아 주어야 원하는 음을 들어 정확하게 음을 이해할 수 있고 상대방과의 통신할 수 있고 청력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when hearing is deteriorated, the deteriorated hearing should be corrected for each frequency band so that the desired sound can be accurately understood,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 can be prevented, and hearing loss is prevented.

따라서, TV, Radio, MP3, 전화기 및 기타 음향기기와 연결하여 소리를 듣는 음향변환기기에, 사용자의 청각 능력에 맞도록 각 주파수 밴드별로 특성을 보정하여 명료한 음질로 들리도록 하면서 귀에 손상을 주는 것을 예방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connected to a TV, radio, MP3, telephone, and other sound devices, and the sound conversion device that listens to the sound is corrected for each frequency band to fit the user's hearing ability, so that it is heard with clear sound quality and damages the ears. It needs to be prevented.

본원은 전술한바 대로 청각장애 치료기능을 갖는 기능성을 겸비한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자연스럽게 본원 이어폰을 착용하면서 음악을 즐기면서 난청이나 이명을 치료하고 청각장애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성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earphone having a function of treating a hearing impairment as described above, and relates to a functional earphon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treating hearing loss or tinnitus and preventing hearing impairment while enjoying music while wearing the earphone naturally.

현재 난청은 줄기세포나 약물을 이용한 난청치료 응용 소프트웨어의 개발 시도가 있으나 아직 동물실험 수준에 불과 하였다.Currently, hearing loss has been attempted to develop application software for the treatment of hearing loss using stem cells or drugs, but it is still at the level of animal testing.

한편, 내이의 청각 유모 세포에 대한 영구적인 손상은 감각 신경 청력 손실을 발생시켜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초래한다. 내이의 청각 유모 세포는 음향 자극을 전달하는 수용체 세포이다. On the other hand, permanent damage to the auditory hair cells of the inner ear causes sensory nerve hearing loss, which causes communication difficulties. The auditory hair cells in the inner ear are receptor cells that transmit acoustic stimuli.

손상된 내이의 청각 유모 세포의 재생은 현재 보청기 장치 이외의 치료법이 없는 상황에서 본원은 청각 치료의 새로운 장을 제공하였으며 본원의 이어폰을 사용하면서 난청을 일으키는 청각 유모세포 손상을 방지하며 음향자극 치료법인 TSC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청각장애를 치료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Regeneration of damaged hair cells in the damaged inner ear provides a new chapter of hearing treatment in situations where there is currently no treatment other than hearing aid devices and prevents damage to hearing hair cells that cause hearing loss while using the earphon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is an acoustic stimulation therapy TSC It relates to a functional earphone having a function to naturally treat hearing impairment through.

본 발명은 상기한바 대로 청각 장애 치료 및 방지 기능을 갖는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자연스럽게 본원 이어폰을 착용하면서 난청이나 이명을 치료하고 청각장애를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기능성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본원 이어폰을 사용하면서 난청을 일으키는 청각 유모세포 손상을 방지하며 음향자극 치료법인 TSC기술을 통하여 이어폰을 통하여 음향을 즐기면서 자연스럽게 청각장애를 치료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having a function to treat and prevent hearing impairment as described above, and relates to a functional earphone that functions to treat hearing loss or tinnitus and prevent hearing impairment while wearing the earphone naturally. While preventing hearing damage to the hair cells that cause hearing loss, and through the acoustic stimulation treatment TSC technology, it relates to a functional earphone having a function to naturally treat hearing impairment while enjoying sound through the earphone.

이러한 본 발명의 이어폰은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이어폰을 장시간 및 장기간 지속적으로 사용한다 해도 청력(고막)의 피로 및 손상이 없으므로 이로 인해 유발되는 두통을 방지하며 이어폰 사용자의 청취능력의 증대 및 소음성 난청 장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a headache caused by hearing (eardrum) fatigue and damage even if the user continues to use the earphone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for a long time, and increases the listening ability and noise of the earphone user It has the effect of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national health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hearing loss disorders.

도 1은 본원 발명의 청각장애 치료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의 일실시예에 의한
종래 이어폰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청각장애 치료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의 실시예에 의한
본원 이어폰의 가청 주파수와 음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청각장애 치료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의 일실시예에 의한
본원 이어폰의 TSC 융합제품의 구성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청각장애 치료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의 일실시예에 의한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본원 발명의 청각장애 치료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의 일실시예에 의한
동작모드의 구성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청각장애 치료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어폰과 TSC의 컨트롤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본원 발명의 청각장애 치료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어폰과 TSC의 Setup 모드의 동작순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8은 본원 발명의 청각장애 치료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어폰과 TSC의 Setup 모드의 또 다른 동작순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9는 본원 발명의 청각장애 치료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향모드의 동작순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0은 본원 발명의 청각장애 치료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의 일실시예에 의한
충전 및 업데이트 모드의 동작순서를 나타낸 그림이다.
1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functional earphone having a hearing impairment trea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icture showing a conventional earphone.
Figur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functional earphone having a hearing impairment trea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picture showing the audible frequency and sound pressure of the earphone.
Figure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functional earphone having a hearing impairment trea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picture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SC convergence product of the earphone.
Figure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functional earphone having a hearing impairment trea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figure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5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functional earphone having a hearing impairment trea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diagram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mode.
6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functional earphone having a hearing impairment trea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diagram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earphone and TSC controller system.
7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functional earphone having a hearing impairment trea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diagram shows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earphone and TSC setup mode.
8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functional earphone having a hearing impairment trea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diagram shows another operation sequence of the earphone and TSC setup mode.
9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functional earphone having a hearing impairment trea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sound mode.
10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functional earphone having a hearing impairment trea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figure shows the operation sequence of charging and updating mode.

본 발명은 전술하였듯이 청각장애 치료기능을 갖는 이어폰(earphone)에 관한 것으로 자연스럽게 본원 이어폰을 착용하면서 난청을 일으키는 청각 유모세포를 자극하여 난청이나 이명을 치료하고 청각장애를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기능성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본원 이어폰을 사용하면서 난청을 일으키는 청각 유모세포 손상을 방지하며 음향자극 훈련법인 TSC(Threshold Sound Conditioning)을 통하여 이어폰을 통하여 음향을 즐기면서 자연스럽게 청각장애를 치료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having a hearing impairment treatment function, as described above, to a functional earphone that functions to treat hearing loss or tinnitus and prevent hearing impairment by stimulating auditory hair cells causing hearing loss while wearing the earphone naturally. More specifically, it prevents hearing hair cells from causing hearing loss while using the earphon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has the function to naturally treat hearing impairment while enjoying sound through earphones through the Threshold Sound Conditioning (TSC), an acoustic stimulation training method. It's about earphones.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근래에 들어 지하철이나 버스 같은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젊은 층은 상당수는 이어폰을 끼고 있고 길거리를 보면 대다수의 청소년이 길을 걸으며 이어폰을 통하여 음악을 들으며 보행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고 주변소리를 감지하지 못하여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자주 접할 수 있다.In recent years, many young people who use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subways and buses wear earphones, and if you look at the street, you can easily see that most teenagers walk on the street and listen to music while walking through the earphones and do not detect the surrounding sounds. You can often encounter things that lead to accidents.

이러한 청소년들이 장기간 큰소리의 음악을 이어폰으로 듣다 보면 난청이 발생하는데 이와 같이 난청 원인은 대부분 이어폰 소음이 지배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최근 5년 사이 10대 소음성 난청이 30% 증가를 했다고 보고되고 있다.. When these teenagers listen to loud music for a long period of time, hearing loss occurs, and the reason for the hearing loss is mostly dominant earphone noise,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teenager noise hearing loss has increased by 30% in the last 5 years.

한편, 조용한 곳에서는 40dB이면 잘 들리던 이어폰 볼륨을 지하철(80dB)에서는 115dB까지도 올리게 되며 85dB 8시간, 105dB 2시간이면 소음성 난청이 발생하게 되며 나아가 사회생활에 매우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a quiet place, when the sound level is 40dB, the earphone volume, which can be easily heard, is raised to 115dB in the subway (80dB), and in the case of 85dB 8 hours, 105dB 2 hours, noise-induced hearing loss occurs, and further, it is very uncomfortable for social life.

본원은 이러한 난청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었으며 본원에 적용되는 TSC는 Threshold Sound Conditioning (TSC) 또는 Trigger Signal Control (TSC)의 약어인 이 기술은 청각의 역치(Threshold)를 자극하여 인간의 청력을 실제로 개선하는 신기술로 비투약(non-drug), 비침습적(non-invasive) 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The present application was devised to solve this hearing loss, and the TSC applied to this application, which is an abbreviation of Threshold Sound Conditioning (TSC) or Trigger Signal Control (TSC), actually stimulates the threshold of hearing and actually improves human hearing. This is a non-drug, non-invasive method that is a new technology;

이 기술은 현재까지는 감각 신경성 난청을 치료하고 청력을 강화시키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So far, this technique is the only way to cure sensorineural hearing loss and enhance hearing.

이러한 TSC 기술 원리는 달팽이관의 외부의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인간 청각 시스템에 기반으로 달팽이관의 청각유모 세포는 마치 피아노의 건반처럼 고유의 대역을 가지고 배열되어 있다.The principle of this TSC technology is based on the human auditory system that converts the sound from the outside of the cochlea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auditory hair cells of the cochlea are arranged with a unique band like a piano keyboard.

각 청각유모 세포들은 각각 특정 대역의 소리에만 반응하므로 특정 대역에 문제가 생기면 그 해당 대역의 해당 대역의 청각 유모세포의 조정이 필요하게 되며 해당 대역의 세포를 활성화 시키는 것 그것이 바로 본원 TSC 기술의 원리라고 할 수 있다.Each auditory hair cell responds only to sound in a specific band, so if there is a problem in a specific band, adjustment of the auditory hair cells in the corresponding band in the corresponding band is necessary and activating the cells in that band. Can be said.

청각모 세포의 특정 대역에 이상이 있다면, 해당 대역의 소리를 듣기 위해 평소보다 높은 볼륨이 필요로 하며 이와 같은 원리로 프로그램이 청각유모 세포의 각 대역별(INDEX1~INDEX9)로 최소 치의 음으로 테스트하여 청각 장애자의 청각 대역중에 이상 대역을 찾아내게 된다.If there is an abnormality in a specific band of auditory hair cells, a higher volume than usual is required to hear the sound of the band, and with this principle, the program is tested at the minimum value by each band of the auditory hair cells (INDEX1 to INDEX9). Thus, abnormal bands are found among the hearing bands of the hearing impaired.

한편, 사람의 귓속 달팽이관에는 무려 15,000개의 청각 유모세포가 있으며 이 세포들은 피아노 건반과 같이 각기 다른 음에 반응을 한다.Meanwhile, the human cochlea has 15,000 auditory hair cells in the cochlea, and these cells respond to different sounds, such as piano keys.

예를 들면 박쥐소리 여자소리 남자소리 전자음 소리 등 귀로 들어오는 소리의 주파수마다 반응하는 세포들이 정해져 있다는 것이다. 자음과 모음에 반응하는 청각 세포가 불편하면 영어 듣기 평가시험 점수가 나쁘게 나올 수 있다.For example, there are cells that respond to the frequencies of sounds coming into the ears, such as the sounds of bats, women, men, and electrons. If the hearing cells responding to consonants and vowels are uncomfortable, the scores on the English listening test may be poor.

그런데 이 세포들의 역할은 외부로부터 소리가 들어오면 소리를 뇌로 전달하는 However, the role of these cells is to transmit sound to the brain when sound comes in from the outside.

'내 유모세포(3,500여 개/구심성 청각 세포)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소리를 조정하는 '외유모 세포(15,000여개/ 원심성 억제세포)로 구분된다.'My hair cells (about 3,500 cells / centriotic hearing cells) are classified into' hair hair cells (about 15,000 cells / centrifugal inhibitory cells) 'that regulate the sound coming from outside.

그래서 청각 세포가 건강한지 아닌지를 검사하는 것을 '청력검사'라고 한다.That is why hearing cells are tested for health or not.

정상(~ 24dB ), 경도 난청(25~ 39dB), 중도 난청(41dB~54dB), 중고도 난청(55dB~69dB) 여기서부터 보청기를 착용해야만 일상적인 대화를 할 수 있으며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인공와우 수술이 필요하며 이러한 검사결과 값을 역치라고 한다.Normal (~ 24dB), mild hearing loss (25 ~ 39dB), moderate hearing loss (41dB ~ 54dB), medium-sized hearing loss (55dB ~ 69dB) From here, wearing a hearing aid is necessary for daily conversation, and cochlear implant surgery for fundamental treatment This is necessary and the value of these test results is called the threshold.

본원 발명의 TSC는 난청이나 이명 등 청력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기술로, 청각을 담당하는 달팽이관에서 손상된 특정 청각 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자극하는 방식을 취하며 고해상도 중주파 자극 음을 이어폰을 통하여 일정기간 귀에 들려줘 청각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하게 되는 획기적인 기술인 것이다.The TS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that fundamentally improves hearing problems such as hearing loss and tinnitus, and takes a method of selectively stimulating only certain damaged hearing cells in the cochlea in charge of hearing, and listen to high-resolution mid-frequency stimulation sounds through the earphones to the ea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a breakthrough technology that activates the function of hearing cell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 대해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각장애 치료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의 주요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main configuration of a functional earphone having a hearing impairment trea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원 발명의 청각장애 치료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의 일실시예에 의한 1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functional earphone having a hearing impairment trea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종래 이어폰을 나타낸 그림이다.It is a picture showing a conventional earphone.

도 2는 본원 발명의 청각장애 치료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의 일실시예에 의한 Figur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functional earphone having a hearing impairment trea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원 이어폰의 가청주파수와 음압을 나타낸 그림으로;As a picture showing the audio frequency and sound pressure of the earphone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원은 기본적인 이어폰이나 헤드폰 기능을 수행하면서 TSC 채널별 청력검사 볼륨 DB 값을 검색 및 저장하고 TSC 모드 TSC 음향 방출 수행 채널별 설정된 DB 이하의 역치 값으로 치료용(주파수) 방출(설정된 30분 동안 수행) 자동종료 반복 수행하게 된다.The present application retrieves and stores hearing test volume DB values for each TSC channel while performing basic earphone or headphone functions, and performs TSC mode TSC sound emission. Treatment (frequency) emission with a threshold value below the DB set for each channel (performed for a set 30 minutes) ) It will perform automatic shutdown repeatedly.

한편, 본원의 TSC 음향 부의 가청 주파수와 바람직한 음압을 살펴보면;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audible frequency and preferred sound pressure of the TSC acoustic uni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주파수 해상도(샘플링주파수)=44.1Hz 강도 해상도 =16bit로 이루어진다.Frequency resolution (sampling frequency) = 44.1 Hz intensity resolution = 16 bits.

채널1은 대역폭: 800Hz~1,200Hz; 채널2는 대역폭: 1,600Hz~2,400Hz; Channel 1 is bandwidth: 800Hz ~ 1,200Hz; Channel 2 is bandwidth: 1,600Hz ~ 2,400Hz;

채널3은 대역폭: 3,200Hz~4,800Hz로 채널4 대역폭: 6,400Hz~9,600Hz로 이루어짐이 매우 바람직하다.It is very preferable that the channel 3 consists of a bandwidth: 3,200 Hz to 4,800 Hz, and the channel 4 bandwidth: 6,400 Hz to 9,600 Hz.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의한 바람직한 신호체계는 A 신호= 1,000Hz~1,300Hz 범위를 500m sec 주기로 왕복하는 주파수 변조(FM)신호이며; B 신호= 2,000Hz~2,600Hz 범위를 330m sec 주기로 왕복하는 주파수 변조(FM)신호; C 신호= 4,000Hz~5,200Hz 범위를 200m sec 주기로 왕복하는 주파수 변조(FM)신호, D 신호= 8,000Hz~10,400Hz 범위를 130m sec 주기로 왕복하는 각각의 주파수 변조(FM)신호로 구성되며 이를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동 알고리즘은 환자의 청력 상태에 따라서 대역폭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Next, a preferred sig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n A signal = a frequency modulated (FM) signal that reciprocates in a range of 1,000 Hz to 1,300 Hz in 500 m sec periods; B signal = a frequency modulated (FM) signal that reciprocates in a range of 2,000 Hz to 2,600 Hz at a period of 330 m sec; C signal = 4,000Hz ~ 5,200Hz range of frequency modulation (FM) signal that reciprocates every 200m sec period, D signal = 8,000Hz ~ 10,400Hz range of each frequency modulation (FM) signal that reciprocates every 130m sec period. It is indicated by. In addition, the driving algorithm may be used by changing the bandwidth according to the hearing state of the patient.

도 3은 본원 발명의 청각장애 치료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의 일실시예에 의한 Figure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functional earphone having a hearing impairment trea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원 이어폰의 TSC 융합제품의 구성을 나타낸 그림으로 본원 이어폰은 우측소리 출력부(40)와 좌측 소리 출력부(60)와 좌측 리드 선(80)과; 우측 리드 선(100)과; 음향매체 연결 잭(120); 이루어진 이어폰 및 헤드폰을 주요구성으로 하며 특히 음향 매체로부터 소리를 청취하는 이어폰과 귀 내부 달팽이관의 청각유모 세포를 치료하는 TSC 음향부가 함께 기기에 구성되는 것이 본원의 특징인 것이다.As a picture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SC fusion product of the earphon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earphon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right sound output unit 40, a left sound output unit 60, and a left lead wire 80; A right lead wire 100; A sound media connection jack 120; It is a featur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at the earphones and headphones are made as a main component, and that the earphones for listening to sound from an acoustic medium and the TSC acoustic unit for treating the hearing hair cells in the cochlea inside the ear are configured together.

아울러 상기 이어폰과 귀 내부 달팽이관의 청각유모 세포를 치료하는 TSC 음향부는 이어폰 및 헤드폰 케이블과 연통 되어 이어폰 일측부에 설치되며 이어폰 및 TSC 모듈(180)과 전원을 인가하여 이를 작동시키는 배터리 부(160)와 이를 조작하는 제어부(200)가 동작상태를 살펴 보거나 터치로 이를 제어할 수 있는 LCD나 LED 액정 또는 패널등이 구성되게 된다.In addition, the earphone and the TSC sound unit for treating hearing hair cells in the cochlea inside the ear is installed in one side of the earphone in communication with the earphone and headphone cable, and the battery unit 160 operates by applying power to the earphone and the TSC module 180 And the control unit 200 for manipulating it is to look at the operating state or LCD or LED liquid crystal or panel that can be controlled by a touch is configured.

아울러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 제거 부와 음압 레벨을 검출하는 음압 검출부가 구성되며; 설정된 볼륨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볼륨 값보다 작은 경우,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동일한 음량을 출력하기 위하여 등 음량 곡선에 따라 저주파 대역 및 고주파 대역의 음원의 크기를 높이도록 제어하는 것의 일실시예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In addition, a noise removal unit for removing noise and a sound pressur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sound pressure levels are configured; When the set volume value is smaller than the preset reference volume value, an embodiment of controlling to increase the size of a sound source in a low frequency band and a high frequency band according to a back volume curve in order to output the same volume in all frequency bands is illustrated. will be.

도 4는 본원 발명의 청각장애 치료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의 일실시예에 의한 Figure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functional earphone having a hearing impairment trea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그림으로 본원의 이어폰 및 TSC 모듈(180) 에는 이어폰과 전화기와; TSC를 세팅하거나 전환하는 버튼인 동작 모드 전환 버튼이 구성되며 배터리를 충전하고 현재의 전류 잔여량을 표기하는 배터리 창과 현재 기기의 동작상태를 볼수있거나 이를 제어할수있는 LCD나 LED 액정 또는 패널 등이 구성되게 된다.As a picture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the earphone and TSC module 180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 an earphone and a telephone; The operation mode change button, which is a button for setting or switching the TSC, is configured, and it consists of a battery window that charges the battery and displays the current remaining amount, and an LCD or LED liquid crystal or panel that can view or control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urrent device. .

더불어 여기에 이어폰의 소리를 조절하는 이어폰 동작버튼과; 역치 값을 변경하고 표시하는 역치값 표시부 및 버튼과;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140) 부와; Data를 전송하고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USB 커넥터가 구성되게 되며 이를 일실시예의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In addition, an earphone operation button for adjusting the sound of the earphones; A threshold value display unit and a button for changing and displaying a threshold value; A microphone 140 unit for inputting voice; A USB connector for transmitting data and performing an update is configured, which is illustrated in an embodiment.

도 5는 본원 발명의 청각장애 치료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의 일실시예에 의한 5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functional earphone having a hearing impairment trea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동작모드의 구성을 나타낸 그림으로;A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mode;

모드구분Mode classification 기능function 설명Explanation 기본모드Basic mode 이어폰 기본 기능수행Basic function of earphone 기기의 기본 기능으로 동작지원.Supports operation as the basic function of the device. 설정모드Setting mode 추가기능에 따른 설정Setting according to additional functions TSC 채널별 청력검사 볼륨 dB 값 검색 및 저장.Hearing test volume dB value search and storage for each TSC channel. TSC모드TSC mode TSC 음향방출 수행TSC acoustic emission 채널별 설정된 dB 이하의 역치 값으로 치료음 방출,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수행 후, 자동종료 됨.
Treatment sound emission with threshold value below dB set for each channel,
After repeated execution for the set time, it is automatically terminated.
충전charge 배터리 충전Battery charging USB케이블을 연결하면 배터리 충전진행.Connect the USB cable to charge the battery. UpdateUpdate Data Update 수행Data Update Data Update Console 프로그램 갱신수행.Performed Data Update Console program update.

상기 이어폰 및 TSC 모듈(180)은 버튼을 한 번씩 누를 때마다 차례로 변경됨이 바람직하고 누름의 숫자는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earphone and the TSC module 180 are preferably changed in sequence each time the button is pressed once, and the number of pressing is not limited thereto.

바람직하게는 이어폰 > TSC > Setup 순서로 변경됨이 바람직하며 각 모드에서 작업이 종료되면 기본 모드인 이어폰 모드로 자동 전환되게 되며 이를 일실시예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Preferably, it is preferable to change the order of earphones> TSC> Setup, and when the operation is completed in each mode, it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earphone mode, which is the basic mode, and this is illustrated in one embodiment.

Earphone 사용Using Earphone

1. Earphone/TSC/Setup 선택 버튼 중 어어폰 선택1. Select earphone from Earphone / TSC / Setup selection buttons

2. 이어폰 사용 중 전화 통화(음악 청취) 시 “● 누르면” 통화연결, Music Start/Stop2. When using a earphone during a phone call (listening to music), press “●” to connect the call, Music Start / Stop

3. 이어폰 사용 중 통화(음악 청취) 시 “▲▼ 로 음량 조절“3. When using a earphone while listening to music (music listening), press “▲ ▼ to adjust the volume“

USB( 콘솔-Update/충전-8시간 사용 기준 )USB (Based on Console-Update / Charging-8 hours)

1. USB port로 충전. (충전 배터리 사용)1. Charging via USB port. (Use rechargeable battery)

사용자 TSC 자가 진단 및 볼륨검색 설정 (Left/Right 스피커를 동시착용 기준)User TSC self-diagnosis and volume search setting (based on simultaneous wearing of Left / Right speakers)

1. Earphone/TSC/Setup 선택버튼 중 “Setup ”버튼 선택1. Select “Setup” button among Earphone / TSC / Setup selection buttons

2. 채널 1 설정(LED1) ▲▼ 로 역치 볼륨(dB) 설정 ⇒ ● 저장 후 다음 채널이동2. Set the threshold volume (dB) with channel 1 setting (LED1) ▲ ▼ ⇒ ● Save and move to the next channel

3. 채널 2 설정(LED2) ▲▼ 로 역치 볼륨(dB) 설정 ⇒ ● 저장 후 다음 채널이동3. Set channel 2 (LED2) ▲ ▼ to set threshold volume (dB) ⇒ ● Save and move to the next channel

4. 채널 3 설정(LED3) ▲▼ 로 역치 볼륨(dB) 설정 ⇒ ● 저장 후 다음 채널이동4. Set the threshold volume (dB) with channel 3 setting (LED3) ▲ ▼ ⇒ ● Save and move to the next channel

5. 채널 4 설정(LED4) ▲▼ 로 역치 볼륨(dB) 설정 ⇒ ● 저장5. Set the threshold volume (dB) with channel 4 setting (LED4) ▲ ▼ ⇒ ● Save

6. 기본 모드로 자동 전환된다.6. It automatically switches to the default mode.

TSC 실행TSC execution

"TSC" 버튼을 누른다. 30분 동안 설정 채널에 대한 치료음이 방출되며, 재활치료가 반복 수행되며 원하지 않으면, Earphone 버튼을 눌러 음향모드롤 전환할 수 있다.Press the "TSC" button. The treatment sound for the set channel is emitted for 30 minutes, rehabilitation treatment is repeatedly performed, and if not desired, the acoustic mode can be switched by pressing the Earphone button.

RESET 실행RESET execution

Setup Data를 지우는 기능을 한다.This function erases the Setup Data.

도 6은 본원 발명의 청각장애 치료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의 일실시예에 의한 6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functional earphone having a hearing impairment trea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어폰과 TSC의 컨트롤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그림으로; 이어폰과 TSC의 컨트롤러 시스템의 작동과정인 이어폰 신호음 처리기와 TSC 음향과 처리기;A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system of the earphone and TSC; Earphone signal processor and TSC sound processor, which i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ontroller system of the earphone and TSC;

시간을 나타내는 시계와 전원을 인가하여 기기를 작동하는 배터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핵심 장치인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메모리 안에 프로그램을 전기적으로 지우고 쓸 수 있는 ROM 인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과; 저장기능을 갖고 있는 메모리(memory)와; 마이크 신호음 처리기와;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모듈과 모드 전환기와 리셋 처리기의 일실시예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which is a key device that executes a battery program that operates a device by applying a clock and power supply that indicates time, and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which is a ROM that can erase and write programs in memory. and; A memory having a storage function; A microphone tone processor; Figure 1 shows an embodiment of a charging module for charging the battery, a mode changer, and a reset processor.

도 7은 본원 발명의 청각장애 치료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의 일실시예에 의한 7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functional earphone having a hearing impairment trea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어폰과 TSC의 Setup 모드의 동작순서를 나타낸 그림으로 TSC 셋업과 초기설정 채널별 역치값 등에 대하여 이를 일실시예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setup mode of the earphone and TSC. It shows an example of the TSC setup and threshold values for each initial setup channel.

도 8은 본원 발명의 청각장애 치료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어폰과 TSC의 Setup 모드의 일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동작순서를 나타낸 그림으로 TSC의 셋업과 설정된 채널 대역에 따른 치료 음의 방출과 TSC의 알림과 전환 종료의 일실시예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8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operation sequ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setup mode of the earphone and the TS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functional earphone having a hearing impairment trea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reatment according to the set channel of the TSC and the set channel Illustrated is an embodiment of the negative emission, the notification of the TSC and the end of the transition.

도 9는 본원 발명의 청각장애 치료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향모드의 동작순서를 나타낸 그림으로 이어폰의 동작과 통화 마이크 활성화와 비활성화 오디오 음향방출 수행과; 오디오와 통화종료 등에 대한 과정을 일실시예의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acoustic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functional earphone having a hearing impairment trea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earphone and the call microphone activation and deactivation audio sound emission performance; The process for audio, call termination, etc., is illustrated in one embodiment.

마지막으로 도 10은 본원 발명의 청각장애 치료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의 일실시예에 의한 충전 및 업데이트 모드의 동작순서를 나타낸 그림으로 USB 충전과 충전모드와 충전 램프 등과 업데이트와 기본모드로의 전환 등을 일실시예의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Finally,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charging and update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functional earphone having a hearing impairment treat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B charging and charging mode and charging lamp, such as updates and switching to the basic mode, etc. It is shown as a picture of one embodiment.

본원은 이처럼 이어폰 본체(20)와 우측소리 출력부(40)와; 좌측 소리 출력부(60)와; 좌측 리드 선(80)과; 우측 리드 선(100)과; 음향매체 연결 잭(120)과; 마이크(140)와; 배터리 부(160)와; 이어폰 및 TSC 모듈 (180) 과 제어부(200)로 크게 구성되게 된다.As described herein, the earphone body 20 and the right sound output unit 40; A left sound output unit 60; Left lead wire 80; A right lead wire 100; A sound media connection jack 120; A microphone 140; A battery unit 160; The earphone and the TSC module 180 and the control unit 200 are largely configured.

더불어 본원은 이어폰 및 헤드폰에 대하여 상기 음향 매체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통되어 소리를 청취하는 이어폰과 귀 내부 달팽이관의 청각유모 세포를 치료하는 TSC 음향부가 함께 구성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be configured with a TSC sound unit for treating hearing hair cells in the cochlea inside the ear and an earphone for listening to sound in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sound medium with respect to the earphone and headphones.

아울러 상기 이어폰은 무선이어폰, 헤드폰, 헤드세트, 블루투스 이어폰, 커널 형 이어폰과 오픈 형 이어폰을 모두 포함하여 본원의 TSC 음향부를 설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earphones include a wireless earphone, headphones, a headset, a Bluetooth earphone, a kernel-type earphone, and an open-type earphone.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as described above is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xamples.

20: 이어폰 본체 40: 우측소리 출력부
60: 좌측 소리 출력부 80: 좌측 리드 선
100: 우측 리드 선 120: 음향매체 연결 잭
140: 마이크 160: 배터리 부
180: 이어폰 및 TSC 모듈 200: 제어부
20: earphone body 40: right sound output
60: left sound output section 80: left lead wire
100: right lead wire 120: sound media connection jack
140: microphone 160: battery unit
180: earphone and TSC module 200: control unit

Claims (9)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어폰 본체(20)와 우측소리 출력부(40)와; 좌측 소리 출력부(60)와; 좌측 리드 선(80)과; 우측 리드 선(100)과; 음향매체 연결 잭(120)과; 마이크(140)와;
배터리 부(160)와; 이어폰 및 TSC 모듈 (180) 과; 제어부(200)로 구성된 이어폰 및 헤드폰에 대하여 음향 매체로부터 소리를 청취하는 이어폰과 귀 내부 달팽이관의 청각유모 세포를 치료하는 TSC 음향부가 함께 구성되되;
상기 TSC 음향 부의 가청 주파수와 음압은 주파수 해상도(샘플링주파수)=44.1 KHz 강도 해상도 =16bit로 이며;
채널1은 대역폭: 800Hz~1,200Hz;
채널2는 대역폭: 1,600Hz~2,400Hz;
채널3은 대역폭: 3,200Hz~4,800Hz;
채널4 대역폭: 6,400Hz~9,600Hz로 이루어지되; 청각 환자의 청력 상태에 따라서, 치료 대역폭을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이어폰 및 TSC 모듈 (180)에 있어 TSC 음향부의 가청 주파수의 신호 체계는;
A 신호= 1,000Hz~1,300Hz 범위를 500m sec 주기로 왕복하는 주파수 변조(FM)신호이며;
B 신호= 2,000Hz~2,600Hz 범위를 330m sec 주기로 왕복하는 주파수 변조(FM)신호;
C 신호= 4,000Hz~5,200Hz 범위를 200m sec 주기로 왕복하는 주파수 변조(FM)신호;
D 신호= 8,000Hz~10,400Hz 범위를 130m sec 주기로 왕복하는 주파수 변조(FM)신호로 구성되며 환자의 청력 상태에 따라서 치료 대역폭을 변경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TSC 음향부는 TSC 채널별 청력검사 볼륨 DB 값을 검색 및 저장하고 TSC 모드시 TSC 음향 방출 수행을 위하여 채널별로 설정된 DB 이하의 역치 값으로 설정된 30분 동안 치료용 주파수를 방출하며,
상기 이어폰 및 TSC 모듈 (180) 에는 이어폰 및 헤드폰 케이블과 연통되어 이어폰 일측부에 설치되며 이어폰 및 TSC 모듈(180)과 전원을 인가하여 이를 작동시키는 배터리 부(160)와 이를 조작하는 제어부(200)가 구성되며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 제거부와 음압 레벨을 검출하는 음압 검출부를 더 포함되며,
상기 이어폰 및 TSC 모듈(180)에는 이어폰과 전화기, TSC를 세팅하거나 전환하는 버튼인 동작 모드 전환 버튼이 구성되며 배터리를 충전하고 현재의 전류 잔여량을 표기하는 배터리 창과; 이어폰의 소리를 조절하는 이어폰 동작버튼과; 역치 값을 변경하고 표시하는 역치값 표시부 및 버튼과;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140) 부와; Data를 전송하고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USB 커넥터가 구성되며,
상기 이어폰은 설정된 볼륨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볼륨 값보다 낮은 경우,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동일한 음량을 출력하기 위하여 등 음량 곡선에 따라 저주파 대역 및 고주파 대역의 음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 모드 전환 버튼에 의한 동작 모드는 기본모드(이어폰 기본기능), 설정모드(TSC 채널별 청력검사 볼륨 dB 값 검색 및 저장), TSC모드(채널별 설정된 dB 이하의 역치 값으로 치료음 방출,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수행 후, 자동종료 됨), 충전모드(USB케이블을 연결하면 배터리 충전진행), 업데이트모드(데이터 업데이트 콘솔 프로그램 갱신 수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 치료 기능을 갖는 기능성 이어폰.
An earphone body 20 and a right sound output unit 40; A left sound output unit 60; Left lead wire 80; A right lead wire 100; A sound media connection jack 120; A microphone 140;
A battery unit 160; Earphone and TSC module 180; For the earphone and the headphones composed of the control unit 200, an earphone for listening to sound from an acoustic medium and a TSC acoustic unit for treating auditory hair cells in the cochlea inside the ear are configured together;
The audible frequency and sound pressure of the TSC sound section are frequency resolution (sampling frequency) = 44.1 KHz intensity resolution = 16 bits;
Channel 1 is bandwidth: 800Hz ~ 1,200Hz;
Channel 2 is bandwidth: 1,600Hz ~ 2,400Hz;
Channel 3 is bandwidth: 3,200Hz ~ 4,800Hz;
Channel 4 bandwidth: 6,400Hz ~ 9,600Hz, but; Depending on the hearing condition of the hearing patient, the treatment bandwidth can be changed and used.
In the earphone and TSC module 180, the signal system of the audible frequency of the TSC sound unit is;
A signal = a frequency modulation (FM) signal that reciprocates in a range of 1,000 Hz to 1,300 Hz in 500 m sec periods;
B signal = a frequency modulated (FM) signal that reciprocates in a range of 2,000 Hz to 2,600 Hz at a period of 330 m sec;
C signal = frequency modulation (FM) signal that reciprocates in a range of 4,000 Hz to 5,200 Hz in 200 m sec periods;
D signal = It consists of a frequency modulated (FM) signal that reciprocates in a range of 8,000 Hz to 10,400 Hz at a period of 130 m sec. It can be used by changing and setting the treatment bandwidth according to the hearing condition of the patient.
The TSC acoustic unit retrieves and stores the hearing test volume DB value for each TSC channel and emits a treatment frequency for 30 minutes set to a threshold value below the DB set for each channel to perform TSC sound emission in the TSC mode,
The earphone and TSC module 180 is installed in one side of the earphone in communication with the earphone and headphone cable, and the battery unit 160 for operating it by applying power to the earphone and the TSC module 180 and the control unit 200 for operating the same Is composed and further includes a noise removing unit for removing noise and a sound pressur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sound pressure level,
The earphone and TSC module 180 includes an earphone and a phone, a button for setting or switching a TSC, an operation mode switching button, and a battery window for charging a battery and displaying a current residual amount; An earphone operation button for adjusting the sound of the earphone; A threshold value display unit and a button for changing and displaying a threshold value; A microphone 140 unit for inputting voice; A USB connector is configured to transmit data and perform updates.
When the set volume value is lower than a preset reference volume value, the earphone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controlling a sound source of a low frequency band and a high frequency band according to a back volume curve in order to output the same volume in the entire frequency band,
The operation mode by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button is a basic mode (basic function of the earphone), a setting mode (search and store the hearing test volume dB value for each TSC channel), and a TSC mode (a threshold value below the set dB for each channel), Functional earphone with hearing impairment treatment function characterized by including repetition for a set period of time, automatic shutdown), charging mode (battery charging progress when USB cable is connected), and update mode (data update console program update performed)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26501A 2018-03-06 2018-03-06 Earphones with hearing-impaired healing function KR1021026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501A KR102102604B1 (en) 2018-03-06 2018-03-06 Earphones with hearing-impaired heal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501A KR102102604B1 (en) 2018-03-06 2018-03-06 Earphones with hearing-impaired healing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868A KR20190105868A (en) 2019-09-18
KR102102604B1 true KR102102604B1 (en) 2020-04-21

Family

ID=68070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501A KR102102604B1 (en) 2018-03-06 2018-03-06 Earphones with hearing-impaired heal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60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349A1 (en) * 2021-01-13 2022-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on basis of remaining battery capacit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2003912B2 (en) 2021-01-13 2024-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based on battery residual capacity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4730A (en) 2020-03-11 2021-09-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Therapeutic apparatus and method for hearing impairment by using PEM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726B1 (en) 2008-01-28 2009-09-14 주식회사 인스모바일 The hearing level formaly as hearing loss measure system and method and the audio signal output controller using the same and method
KR100995102B1 (en) 2008-08-18 2010-11-18 심양수 Tinnitus therapy unit which used an electrical stimulus and cooling wat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196Y1 (en) 2006-08-11 2006-11-23 박진용 Hearing protection device
CA2675020C (en) * 2007-01-10 2017-05-09 Peter Anthony Winkler Tinnitus treatment
KR100963888B1 (en) * 2007-12-10 2010-06-17 [주]이어로직코리아 Method and Apparatus of the Hair Cell Stimulation using Acoustic Signal
KR101261625B1 (en) 2010-12-08 2013-05-06 김상구 Earphone having variable shape
KR101520800B1 (en) 2013-10-31 2015-05-15 유한회사 청텍 Earphone apparatus having hearing character protecting function of an individual
KR101535112B1 (en) 2014-06-20 2015-07-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Earphone and mobile apparatus and system for protecting hearing,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726B1 (en) 2008-01-28 2009-09-14 주식회사 인스모바일 The hearing level formaly as hearing loss measure system and method and the audio signal output controller using the same and method
KR100995102B1 (en) 2008-08-18 2010-11-18 심양수 Tinnitus therapy unit which used an electrical stimulus and cooling wa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349A1 (en) * 2021-01-13 2022-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on basis of remaining battery capacit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2003912B2 (en) 2021-01-13 2024-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based on battery residual capacity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868A (en)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009B1 (en) Control for hearing prosthesis fitting
US9005107B2 (en) Frequency altered feedback for treating non-stuttering pathologies
US9955270B2 (en) Bone conduction device fitting
US75649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mersive simulation of hearing loss and auditory prostheses
US20040234089A1 (en) Hearing aid
CA2483517A1 (en) Non-stuttering bio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using daf
CN103458339A (en) Audio output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US10129672B2 (en) Hearing device comprising a signal generator for masking tinnitus
CN104822119B (en) Equipment for determining cochlea dead region
US106742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earing instrument to relieve tinitus, hyperacusis, and hearing loss
KR102102604B1 (en) Earphones with hearing-impaired healing function
KR101745027B1 (en) Tinnitus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timulaitng of Hair Cell
US20190090044A1 (en) Earpiece with user adjustable white noise
CN214224352U (en) Sound signal frequency dividing device
WO2009110243A2 (en) Method for adjusting voice converting processor
US20220210587A1 (en) Hearing aid having tinnitus masking function
CN112995878A (en) Frequency band cutting method and frequency band cutting device
KR20050109323A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the hearing ability test function
CN109982203B (en) Bluetooth single-chip dual-channel EQ-adjustable embedded development construction method and application
WO2023119076A1 (en) Tinnitus remediation with speech perception awareness
JP2017220794A (en) Ear pad and earphone with the pad, ear training device for improving hardness of hearing, and method
KR101363052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wireless hearing aid using elastic attachment adhesive and wireless hearing aid manufactured using the same
JP2011527158A (en) Hearing enhancement and hearing protection method and system
CN108260052A (en) Circuit and hearing aid apparatus are adjusted for the audio data of hearing aid
Swann Dangerous vibrations: Hearing da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