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468B1 -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468B1
KR102102468B1 KR1020190081169A KR20190081169A KR102102468B1 KR 102102468 B1 KR102102468 B1 KR 102102468B1 KR 1020190081169 A KR1020190081169 A KR 1020190081169A KR 20190081169 A KR20190081169 A KR 20190081169A KR 102102468 B1 KR102102468 B1 KR 102102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cross
preset
format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래진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쓰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쓰리 filed Critical (주)아이티쓰리
Priority to KR1020190081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참고문헌 적합성을 검증받을 문헌을 업로드하고, 적합성 검증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문헌 중 참고문헌 파트를 분리하고, 분리된 참고문헌 파트를 제외한 나머지를 본문 파트로 설정하는 분리부, 분리된 본문 파트와 참고문헌 파트 각각에 기 설정된 검색자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확인부, 기 설정된 검색자가 존재하는 경우 본문 파트와 참고문헌 파트로부터 각각 추출된 기 설정된 검색자를 기 설정된 형태로 가공하는 가공부, 가공된 두 개의 데이터가 상호교차하는지를 확인하는 교차검증부, 두 개의 데이터가 상호교차하는 경우, 교차된 기 설정된 검색자를 추출하는 추출부, 추출된 기 설정된 검색자를 포함한 키워드를 설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논문검색사이트에서 검색을 실시하는 검색부, 적어도 하나의 논문검색사이트에서 검색된 검색 결과에 포함된 텍스트에 키워드가 포함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외부검증부, 키워드가 검색 결과에 포함된 텍스트에 포함된 경우, 참고문헌 파트의 참고문헌 리스트를 APA 포맷으로 재구성하는 재구성부를 포함하는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CITATION COMPATIBILITY CONFIRMATION SERVICE USING CROSSCHECKING, SITE SEARCHING AND REFORMATTING}
본 발명은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논문 내 불일치 뿐만 아니라, 논문검색사이트와의 일치여부를 이중으로 검증하여 사문서 위조를 방지하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국제표준으로 카테고리 또는 참고문헌의 포맷을 변경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학자들이 타인의 정보원을 참조 인용한다는 것은 자기 글의 논리적 타당성을 주장하거나 자기의 소론을 전개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기 위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인쇄매체와 함께 전자정보원에 대해서도 출처와 소재를 정확하게 밝히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전자정보원의 참조기재에 대한 많은 형식이 있지만 대부분 최근의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않은 점을 감안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APA(American Psychological Assoication) 형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인터넷 정보원의 인용에 대한 참조기재 형식을 분석하고, 유형별로 전자정보원의 서지기재 요소를 바탕으로 전자정보원의 참조기재 형식을 제시해왔다. 그런데, 대다수의 참조문헌 및 학위논문에 대하여 서지사항을 기재하더라도 그 형식이 통일되어 있지 않고, 특히 학술논문인 경우, 자료자체가 신빙성이 있느냐 없느냐는 차치하고라도 출처만은 정확하고 일정한 원칙에 따라 기재되어야 함에도 그 형식도 통일되어 있지 않아 인용문헌과 피인용문헌 간의 관계 정립은 물론 정확한 출처도 표기되지 않아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때, 논문 내 참고문헌 정보를 추출하여 국제표준에 따라 자동구조화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6-0064306호(2016년06월08일 공개)에는, 논문 내 참고문헌 정보를 추출한 후, 학술정보 DB 구축의 국제표준에 기반한 참고문헌 정보로 자동구조화하고, 구조화된 참고문헌 정보를 이용하여 리스트를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저널별로 상이한 형식으로 작성되는 참고문헌의 종류에 따라 각 참고문헌의 형식 및 구분자를 지정하여 설정하고, 논문 파일을 입력받아 참고문헌 영역을 인식하여 참고문헌 정보를 원형 형태로 추출하고, 참고문헌 원형 자동 추출을 통하여 추출된 참고문헌 정보에 대해 참고문헌 형식 및 구분자 지정을 통하여 지정된 형식 및 구분자에 따라 구분하여 학술정보 DB 구축의 국제표준인 NISO JATS DTD에서 규정한 항목으로 구성함으로써 참고문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상술한 방법은 하나의 논문 내 별지로 포함된 참고문헌과, 논문 내에 기재된 인용문헌이 일치하는 것을 가정하여 참고문헌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일 뿐, 논문 내에 기재되었으나 참고문헌에 기재되지 않았거나 잘못 기재된 경우, 또는 참고문헌 내에 기재되었으나 논문 내에 포함되지 않았거나 잘못 기재된 경우 등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교차검증은 다시 사람이 일일이 수작업으로 걸러내야 한다. 그리고, 논문 내 인용문헌과, 참고문헌을 교차하여 검증하였다고 할지라도, 교차검증된 인용정보가 올바른지에 대한 웹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실제로 참고문헌과 인용문헌이 논문검색사이트 등에 게재된 내용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다시 참고문헌의 인용 적절성의 문제로 회귀되기 때문에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무한반복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국제표준 APA(American Psychological Assoication)로 작성된 문헌을 본문과 참고문헌 파트로 나누고, 본문 파트에 포함된 인용문헌과, 참고문헌 파트의 참고문헌을 각각 기 설정된 형식으로 추출된 인용문헌과 참고문헌이 교차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교차검증이 이루어진 경우 교차된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문헌검색사이트에서 검색을 한 후, 키워드로 검색된 결과와 교차된 리스트 내의 결과가 동일한 경우 검증된 참고문헌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참고문헌을 APA 포맷으로 재구성한 후, 참고문헌이 검증되었음을 태깅하고, 교차검증되지 않았거나 검색되지 않은 리스트는 별도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여 재확인하도록 하는,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참고문헌 적합성을 검증받을 문헌을 업로드하고, 적합성 검증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문헌 중 참고문헌 파트를 분리하고, 분리된 참고문헌 파트를 제외한 나머지를 본문 파트로 설정하는 분리부, 분리된 본문 파트와 참고문헌 파트 각각에 기 설정된 검색자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확인부, 기 설정된 검색자가 존재하는 경우 본문 파트와 참고문헌 파트로부터 각각 추출된 기 설정된 검색자를 기 설정된 형태로 가공하는 가공부, 가공된 두 개의 데이터가 상호교차하는지를 확인하는 교차검증부, 두 개의 데이터가 상호교차하는 경우, 교차된 기 설정된 검색자를 추출하는 추출부, 추출된 기 설정된 검색자를 포함한 키워드를 설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논문검색사이트에서 검색을 실시하는 검색부, 적어도 하나의 논문검색사이트에서 검색된 검색 결과에 포함된 텍스트에 키워드가 포함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외부검증부, 키워드가 검색 결과에 포함된 텍스트에 포함된 경우, 참고문헌 파트의 참고문헌 리스트를 APA 포맷으로 재구성하는 재구성부를 포함하는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국제표준 APA(American Psychological Assoication)로 작성된 문헌을 본문과 참고문헌 파트로 나누고, 본문 파트에 포함된 인용문헌과, 참고문헌 파트의 참고문헌을 각각 기 설정된 형식으로 추출된 인용문헌과 참고문헌이 교차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교차검증이 이루어진 경우 교차된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문헌검색사이트에서 검색을 한 후, 키워드로 검색된 결과와 교차된 리스트 내의 결과가 동일한 경우 검증된 참고문헌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참고문헌을 APA 포맷으로 재구성한 후, 참고문헌이 검증되었음을 태깅하고, 교차검증되지 않았거나 검색되지 않은 리스트는 별도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여 재확인하도록 하고, 특히 저작권 및 윤리 교육과 윤리 서약을 함에도 불구하고 표절이 난무하고 표절율을 낮추기 위하여 부정적인 방법을 이용하며, 참고문헌만 늘리기 위하여 속칭 꼼수를 써서 존재하지도 않는 참고문헌을 기재하는 등의 부정행위를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문헌(학위논문, 학술지 논문, 보고서 등)에 포함된 참고문헌과 본문 내 포함된 인용문헌이 일치하는지, 일치한다면 제대로 정확한 참고문헌을 참조한 것은 맞는지, 제대로 참조했다면 포맷은 국제표준에 맞게 구성되었는지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을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업로드된 문헌에서 1차적으로 상호교차 검증결과, 2차적으로 외부 논문검색사이트에 존재하는지의 검증, 3차적, 즉 최종적으로 1차와 2차 검증결과를 만족한다면 국제표준에 맞게 작성되었는지 등에 대한 결과와, 자동으로 포맷에 맞게 재구성된 참고문헌을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이미 논문을 제출하거나 게재한 저자로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리포팅하는 결과를 이후에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1차적으로 본문과 참조문헌을 각각 상호대조(교차검증)한 결과 일치하지 않는 리스트를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일치시키도록 수정할 수 있고, 2차적으로 외부 논문검색사이트에서 발견되지 않아 검증되지 않은 리스트를 수정하거나 재편집할 수도 있으며, 3차적으로 포맷에 맞게 재구성된 리스트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떤 부분을 수정하고 고쳐야 하는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된 문헌을 검증 및 분석하여 적합성 여부를 알려주거나, 기 게재된 문헌을 검증 및 분석하여 저자에게 적합성 검사 결과를 알려주거나, 자동으로 참고문헌의 포맷(형식)을 국제표준에 대응하도록 수정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문헌을 본문 파트와 참고문헌 파트로 분리하고, 본문 파트 및 참고문헌 파트로부터 각각 발행처 및 발행년도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발행처 및 발행년도가 존재하는 경우 본문 파트로부터 추출된 발행처 및 발행년도와, 참고문헌 파트로부터 추출된 발행처 및 발행년도가 일치하는지를 상호교차 검증함으로써, 하나의 문서 내에 발생할 수 있는 불일치를 1차적으로 검증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교차가 존재한(불일치가 없는) 발행처와 발행년도를 가지는 참고문헌 리스트를 찾고, 참고문헌 리스트로부터 저자, 제목 등을 추출하여 추출된 키워드를 검색어로 적어도 하나의 논문검색사이트에 해당 참고문헌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2차적으로 실제로 존재하는 논문인지를 확인하여 적합성을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실제로 존재하는 논문인 경우,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참고문헌의 포맷을 기 설정된 포맷에 맞게 재구성하여 검증된 참고문헌임을 표시하는 서버일 수 있다.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1차 내지 2차 검증에서 검증이 되지 않은 항목이나 식별자 또는 리스트 등은 저자나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자체적으로 자동 수정이 가능한 경우에는 수정을 하여 국제규격에 맞게 재구성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검증이 되지 않은 리스트, 목록, 키워드, 식별자 등을 로그로 저장하고, 이를 로그 리포트로 사용자 단말(100) 또는 저자의 저자 단말(미도시)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인용을 당하거나, 인용을 한 것에 따라 논문 맵(Map)을 특허 맵과 같이 생성하는 단말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6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분리부(310), 확인부(320), 가공부(330), 교차검증부(340), 추출부(350), 검색부(360), 외부검증부(370), 재구성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로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학위논문을 포함한 간행물 등을 포함한 문헌에서 종종 발생하는 부정행위를 근본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학위논문을 쓰는 학생들은 윤리교육 및 윤리서약을 함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이하 표 1과 같은 소위 꼼수를 써서 표절율만 낮추고 본인의 참고문헌만을 늘리려고 내용을 늘리기 위한 부정적인 방법으로 매칭이 안되거나 검증이 안된 인용문헌만을 표기하는 경우가 너무나도 많으며, 카피킬러와 같은 표절을 찾아내주는 프로그램에서 걸리지 않고 빠져나가도록 허위 인용문헌만을 기재하여, 겉으로는 참고문헌이 많아보이지만 실상은 없는 문헌이거나, 표절율을 낮추기 위해 주석을 달거나 참고문헌을 기재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참고문헌이거나, 표기를 일부러 틀리게 기재하는 방법 등으로, 인용은 되어 표절률은 내려가고 카피킬러 등의 프로그램에 걸리지 않지만, 실상은 인용은 전혀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행위 등은 엄연한 사문서 위조에 해당하며, 이는 형법 등의 법률에 정의된 범죄에 해당하며 저작권에 위배됨은 두말할 필요가 없음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범죄행위를 제거하고 한국에서도 저작권 위반이나 사문서 위조에 대한 심각성을 깨닫는 계기를 만들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물론, 상술한 목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분 논문 내 인용의 예 비고
종래기술 ~를 보고했다 표절률 잡아냄
~를 보고했다(홍길동,2017) 참고문헌과 관계가 없이 인용만 있다면 참고문헌이 있는지도 없는지도 검증되지 않고, 단순히 인용(주석표시)만 있다고 해서 표절로 잡아내지 않음
~를 보고했다(홍길동,2016)
~를 보고했다(홍길봉,2017)
본 발명의 구성 ~를 보고했다 참고문헌에 표기가 없거나 참고문헌과 표기가 다르거나, 틀린 경우 모두를 1차적으로 잡아낼 수 있으며, 2차적으로 문헌이 신뢰성이 있는지까지 직접 검색으로 검증을 수행함
~를 보고했다(홍길동,2017)
~를 보고했다(홍길동,2016)
~를 보고했다(홍길봉,2017)
상술한 표 1을 참조하면, 실제로 홍길동(2017)이 맞는 인용인데, 홍길"봉"으로 잘못 표기하거나, 2017을 "2016"으로 표기하는 등으로 잘못된 인용이 존재하더라도 기존의 기술들은 이를 검증하지 않고 단순 형식으로 표절률을 검증하기 때문에 잡아낼 수 없다. 또한, 종래기술의 카피킬러 등의 표절률 확인 프로그램에서는, 인용이 제대로 되었는지에 상관없이 주석만 형식적으로 달려있으면 검증을 하고자 하는 문서에 동일한 문장 등이 존재할지라도 표절로 잡아내지 않는다. 이를 이용하여 많은 학생(학사 내지 석박사 과정)들이 단순히 표절률을 낮추기 위하여 주석 표기를 하지만, 실제로 존재하지도 않는 참고문헌을 기재하는 등 사문서 위조를 감행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1차적으로 문서 내에서 본문과 참고문헌 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를 상호교차검증함으로써 표시상의 착오 또는 통정허위표시 등의 사기를 잡아낼 수 있고, 2차적으로 상호교차검증된 참고문헌이 실제로 존재하는지를 검색을 통하여 잡아냄으로써 실제로 존재하는 문헌을 인용했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윤리서약에 위배되는 행동을 하거나 사문서 위조 등의 사기행각을 벌이는 학생 등을 잡아냄으로써 형법에 의해 경찰 및 검찰단계로 인계되기 이전에 본인에게 알려주고, 이를 고치도록 함으로써 범죄율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분리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된 문헌 중 참고문헌 파트를 분리하고, 분리된 참고문헌 파트를 제외한 나머지를 본문 파트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참고문헌 적합성을 검증받을 문헌을 업로드하고, 적합성 검증 결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문헌이란 학위논문, 간행물, 학회지 등 다양한 종류의 문서를 의미한다. 그리고, 참고문헌 파트는, 결론과 저자 소개 이후에 표시되는 참고문헌이거나 주석으로 표시되는 참고문헌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의 요약, 서론, 본론 및 결론 부분은 문헌의 본문 파트로, 결론 이후에 참고문헌으로 표시된 라인 이후의 부분은 문헌의 참고문헌 파트를 의미한다.
확인부(320)는, 분리된 본문 파트와 참고문헌 파트 각각에 기 설정된 검색자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부(320)는, 분리된 본문 파트와 참고문헌 파트 각각에 기 설정된 검색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로그로 기록한 후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검색자는, 발행처 및 발행년도일 수 있다. 여기서, APA(American Psychological Assoication) 포맷인 경우, 발행처 및 발행년도가 기 설정된 검색자였지만, APA 포맷 이외의 포맷인 경우, 다른 식별자가 검색자일 수도 있고 상술한 검색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발행처는, 예를 들어, 저자이름인 홍길동일 수도 있고, 발행년도는 2019년과 같은 형식일 수 있다.
가공부(330)는, 기 설정된 검색자가 존재하는 경우 본문 파트와 참고문헌 파트로부터 각각 추출된 기 설정된 검색자를 기 설정된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이때, 가공부(330)는, 기 설정된 형태는, 예를 들어, 발행처(발행년도)일 수 있다. 물론, 다른 형태로도 가능하며, 상술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교차검증부(340)는, 가공된 두 개의 데이터가 상호교차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문 파트에는 홍길동(2019)로 기재하고, 참고문헌에는 실수나 오기 또는 착오 등으로 홍길당(2019)로 기재하거나, 또는 다른 형태로 잘못 기재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교차검증부(340)는 두 개의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본문 파트에만 존재하는 기 설정된 검색자와, 참고문헌 파트에만 존재하는 기 설정된 검색자로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실수인지 또는 다른 의도가 있는지를 교차검증부(34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하고, 실수 또는 착오 등이라면 수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교차검증부(340)는, 자동으로 발행처 및 발행년도를 포함하여 참고문헌에 기재된 제목 등으로 웹크롤링을 실시한 후, 웹크롤링으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참고문헌 파트 및 본문 파트의 불일치를 수정하고, 수정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추출부(350)는, 두 개의 데이터가 상호교차하는 경우, 교차된 기 설정된 검색자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검색자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발행처와 발행년도였고, 발행처(발행년도)의 형식으로 가공되었으므로, 상술한 예를 인용하면 홍길동(2019)일 수 있다. 이렇게 본문 파트에도 존재하고, 참고문헌 파트에도 존재하며, 그 두 개의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문헌 내에서는 불일치가 존재하지 않는다. 즉, 하나의 참고문헌을 본문 파트와, 참고문헌 파트에서 서로 다르게 써서 두 개로 인식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표시상의 착오없음).
검색부(360)는, 추출된 기 설정된 검색자를 포함한 키워드를 설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논문검색사이트에서 검색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키워드는, 저자 및 제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문 파트에서는 홍길동(2019)로 기재되었지만, 참고문헌 파트에서는 『저자명(역할어).(발행년).표제(역할을 달리한 저자)(판차), 발행지: 발행사.』의 형식으로 기재되기 때문에, 표제(제목)을 알 수 있게 된다.(APA Book reference Format-Author, A. A., Author, B.B., & Author, C.C. (year of publication). Title of work. Location:Publisher.). 이에 따라, 검색부(360)에서는, 저자와 제목에 포함된 키워드를 추출하여 키워드 단어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방식으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목에 포함된 단어(조사를 제외한 키워드나 단어)를 모두 AND 조건으로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고, 제목에 포함된 키워드와 저자를 AND 조건으로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검색부(360)의 검색 목적은, 참고문헌이 논문검색사이트에 존재하는 실제하는 논문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즉, 1차에서는 표시상의 착오나 불일치를 확인했다면, 검색부(360)에서는 문헌 외부의 원본(피참고 객체)과 비교를 수행하여 실제로 존재하는 문헌인지를 2차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기초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외부검증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논문검색사이트에서 검색된 검색 결과에 포함된 텍스트에 키워드가 포함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논문검색사이트는 RISS일 수 있지만 다른 논문검색사이트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발행처와 발행년도는 홍길동(2019)이고, 제목은 ABC라고 가정하면, 홍길동, ABC를 검색한 결과에, ABC, 홍길동, 2019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즉, 참고문헌을 참조할 때 실제하는 참고문헌을 참조했는지를 확인하고, 실제하는 참고문헌을 참조했다면 제대로 기재했는지, 즉 외부 데이터와 문헌의 내부 데이터를 비교하는 과정이 2차적인 검증 과정이다. 정리하면, 1차 검증은 문헌의 내부 데이터 간의 불일치를 확인하는 작업이고, 2차 검증은 문헌 자체의 내부 데이터를 외부 데이터(사이트 상에 게재된)와 비교함으로써, 외부 데이터와의 불일치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재구성부(380)는, 키워드가 검색 결과에 포함된 텍스트에 포함된 경우, 참고문헌 파트의 참고문헌 리스트를 APA 포맷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ISS 카테고리를 APA 형식에 맞게 재구성하는 것일 수 있다. RISS 카테고리는, 학위논문, 국내학술지논문, 해외학술지논문, 학술지, 단행본, 공개강의, 연구보고서 등이 존재하고, APA 형식은, 인용하는 객체가 책인지(저자명 (역할어). (발행년). 표제 (역할을 달리한 저자)(판차). 발행지: 발행사., Author, A. A., Author, B.B., & Author, C.C. (year of publication). Title of work. Location:Publisher.), 책의 챕터인지(저자명, 저자명 (역할어). (발행년). chapter 제목. 편저자, 편자자 (역할어), 표제 (책에서의 chapter 페이지). 발행지: 발행사., Author, A. A., & Author, B. B. (Year of publication). Title of chapter. In A. Editor & B. Editor (Eds.), Title of book (pages of chapter). Location: Publisher.), 저널인지(연구자명. (발행년). 논문명. 자료명(발행단체명), 권(호), 논문수록면수., Author, A. A., Author, B. B., & Author, C. C. (Year). Title of article. Title of Periodical, volume number(issue number), pp-pp.), 전자 논문(DOI 포함)인지(Author, A. A., & Author, B. B. (Date of publication). Title of article. Title of Online Periodical,volume number(issue number if available), pp-pp. Retrieved from http://www.someaddress.com/full/url/), DOI 제외 전자 논문인지(Author, A. A., & Author, B. B. (Date of publication). Title of article. Title of Journal, volume number, pp-pp. doi:0000000/000000000000), 학위논문인지(연구자. (수여년도). 논문명. 학위명, 수여기관명, 소재지., Author, A. A. (Year of publication). Title of thesis (Type of thesis). Institution, Location.), 웹사이트인지(저자명. (발행년). 전자문서명. 전자메일주소, Author, A.A. (Date of publication). Title of website. Retrieved from http://www.someaddress.com/full/url/)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이에 따라, 각 카테고리(인용하는 객체)가 달라지면, APA 포맷(형식)도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이를 카테고리 또는 객체를 검색한 결과에 따라 변경해야 한다. 또는, RISS 카테고리가 잘못된 경우에는, 문헌의 참고문헌의 포맷으로 RISS 카테고리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Vice Versa)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카테고리에 따른 포맷에 맞게 참고문헌이 재작성(재배열)되었으면, 검증된 참고문헌으로 태깅하거나 분류하고, 발행처(발행년도)와 제목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비검증 참고문헌으로 분류하여 이후 저자나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함으로써, 이를 인지하고 수정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외부검증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논문검색사이트에서 검색된 검색 결과에 포함된 텍스트에 키워드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비검증 참고문헌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문헌을 업로드받거나 기 게재된 문헌을 로딩하고, (b) 문헌을 본문 파트와 참고문헌 파트로 분리한 후, (c) 본문 파트에서 발행처와 발행년도를 추출하고, 참고문헌 파트에서 발행처와 발행년도를 추출한 후, 발행처(발행년도)의 형태로 가공하고, 두 개의 데이터(본문 파트, 참고문헌 파트)를 비교한다. 그리고 나서, (d)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호검증된 교차된 발행처와 발행년도를 추출하고, 논문검색사이트에 키워드를 검색한 후, 검색결과 중 발행처(발행년도)와 제목이 동일한 문헌이 존재하는 경우, 2차 외부검증완료처리를 하고, APA 포맷으로 참고문헌을 변환하거나, 논문검색사이트의 카테고리를 변경한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문헌을 업로드받으면(S4100), 문헌을 로딩하고 참고문헌 파트와 본문 파트를 분리한다(S4200). 그리고,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본문 파트로부터 발행처 및 발행년도가 존재하는지(S4300, S4310), 참고문헌 파트로부터 발행처 및 발행년도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S4400, S4410), 각 파트에서 발행처 및 발행년도가 존재하는 경우, 발행처(발행년도)의 형식으로 각각 가공하여(S4600, S4700), 두 개의 가공된 데이터인 발행처(발행년도)가 상호교차하는지(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S4800).
이렇게 1차 검증이 완료되었으면(문헌 내 불일치 검증), 교차된 발행처(발행년도)를 추출하고(S4900), 적어도 하나의 논문검색사이트에 키워드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검색을 실시하며(S4910), 검색 결과 내 텍스트에 발행처(발행년도)와 제목이, 1차 검증이 완료된 발행처(발행년도)와 제목과 일치하는 경우(S4930), APA 포맷에 맞게 참고문헌 리스트를 재구성하거나, 논문검색사이트의 카테고리를 APA 포맷에 맞게 변경한다(S4950). 전자의 경우는 외부 데이터에 기반하여 내부 데이터를 변경하는 것이고, 후자의 경우는 내부 데이터에 기반하여 외부 데이터를 변경하는 것이다.
한편, S4310, S4410에서 발행처와 발행년도가 존재하지 않으면, 관리자 단말(400)로 로그가 전송되어(S4500), 저장되거나 사용자 단말(100)로 토스되고(S4510, S4530), S4800에서 1차 내부 검증이 실패한 경우, 본문 파트에만 존재하는 리스트(S4810), 참고문헌 파트에만 존재하는 리스트(S4830)로 각각 로그를 남기고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하여(S4850), 관리자 단말(400)에서 로그로 저장하거나(S4870),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로그를 알림(Alert)할 수도 있다(S4890). 그리고, S4930에서 외부 데이터와 내부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검증 참고문헌으로 로그를 남기거나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S4990), S4930에서 외부 데이터와 내부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검증 참고문헌으로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거나 자체적으로 DB화할 수 있다(S4970).
상술한 단계들(S4100~S497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7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문헌 중 참고문헌 파트를 분리하고, 분리된 참고문헌 파트를 제외한 나머지를 본문 파트로 설정한다(S5100).
그리고,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는, 분리된 본문 파트와 참고문헌 파트 각각에 기 설정된 검색자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S5200), 기 설정된 검색자가 존재하는 경우 본문 파트와 참고문헌 파트로부터 각각 추출된 기 설정된 검색자를 기 설정된 형태로 가공한다(S5300).
또한,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가공된 두 개의 데이터가 상호교차하는지를 확인하고(S5400), 두 개의 데이터가 상호교차하는 경우, 교차된 기 설정된 검색자를 추출한다(S5500).
여기서,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는, 추출된 기 설정된 검색자를 포함한 키워드를 설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논문검색사이트에서 검색을 실시하고(S5600), 적어도 하나의 논문검색사이트에서 검색된 검색 결과에 포함된 텍스트에 키워드가 포함되었는지를 확인한다(S5700).
마지막으로,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는, 키워드가 검색 결과에 포함된 텍스트에 포함된 경우, 참고문헌 파트의 참고문헌 리스트를 APA 포맷으로 재구성한다(S5800).
이와 같은 도 5의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참고문헌 적합성을 검증받을 문헌을 업로드하고, 적합성 검증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문헌 중 참고문헌 파트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참고문헌 파트를 제외한 나머지를 본문 파트로 설정하는 분리부, 상기 분리된 본문 파트와 참고문헌 파트 각각에 기 설정된 검색자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기 설정된 검색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본문 파트와 참고문헌 파트로부터 각각 추출된 기 설정된 검색자를 기 설정된 형태로 가공하는 가공부, 상기 가공된 두 개의 데이터인 본문 파트와 참고문헌 파트가 상호교차하는지를 확인하는 교차검증부, 상기 두 개의 데이터인 본문 파트와 참고문헌 파트가 상호교차하는 경우, 교차된 기 설정된 검색자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된 기 설정된 검색자를 포함한 키워드를 설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논문검색사이트에서 검색을 실시하는 검색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문검색사이트에서 검색된 검색 결과에 포함된 텍스트에 상기 키워드가 포함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외부검증부, 상기 키워드가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텍스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참고문헌 파트의 참고문헌 리스트를 APA 포맷으로 재구성하는 재구성부를 포함하는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부는, 상기 분리된 본문 파트와 참고문헌 파트 각각에 기 설정된 검색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로그로 기록하고, 이를 사용자단말로 통보하며,
    상기 교차검증부는, 상기 가공된 두 개의 데이터인 본문 파트와 참고문헌 파트가 상호교차하지 않는 경우, 본문 파트에만 존재하는 기 설정된 검색자와, 참고문헌 파트에만 존재하는 기 설정된 검색자로 각각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단말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문헌의 요약, 서론, 본론 및 결론 부분을 본문 파트로 구분하고, 결론 이후에 참고문헌으로 표시된 라인 이후의 부분을 참고문헌 파트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검색자는 발행처 및 발행년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형태는, 발행처(발행년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는, 저자 및 제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검증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문검색사이트에서 검색된 검색 결과에 포함된 텍스트에 상기 키워드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비검증 참고문헌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90081169A 2019-07-05 2019-07-05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102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169A KR102102468B1 (ko) 2019-07-05 2019-07-05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169A KR102102468B1 (ko) 2019-07-05 2019-07-05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468B1 true KR102102468B1 (ko) 2020-04-21

Family

ID=70456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169A KR102102468B1 (ko) 2019-07-05 2019-07-05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4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402B1 (ko) * 2023-03-17 2023-06-23 주식회사 무하유 인용 문헌의 타당성 및 유효성을 검증하는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4091A (ja) * 2007-09-04 2009-03-26 Komiyama Insatsu Kogyo Kk 電子ジャーナル編集システム及び原稿編集方法
KR20100037325A (ko) * 2008-10-01 2010-04-0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패턴 기반 참고문헌 자동 구축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101033611B1 (ko) * 2010-07-09 2011-05-1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참고 문헌 적합성 판정 시스템 및 방법
WO2011159843A2 (en) * 2010-06-15 2011-12-22 Thomson Reuters (Scientific) Inc. System and method for citation processing, presentation and transport for validating referenc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4091A (ja) * 2007-09-04 2009-03-26 Komiyama Insatsu Kogyo Kk 電子ジャーナル編集システム及び原稿編集方法
KR20100037325A (ko) * 2008-10-01 2010-04-0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패턴 기반 참고문헌 자동 구축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WO2011159843A2 (en) * 2010-06-15 2011-12-22 Thomson Reuters (Scientific) Inc. System and method for citation processing, presentation and transport for validating references
JP2013528885A (ja) * 2010-06-15 2013-07-11 トムソン ルーターズ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参考文献検証のための引用処理、提示および移送用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033611B1 (ko) * 2010-07-09 2011-05-1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참고 문헌 적합성 판정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402B1 (ko) * 2023-03-17 2023-06-23 주식회사 무하유 인용 문헌의 타당성 및 유효성을 검증하는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1508B2 (e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for extracting conveyance graphs
Thielen et al. How to prepare a systematic review of economic evaluations for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database selection and search strategy development (part 2/3)
US20180075138A1 (en)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using classification taxonomy
CN106682150B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装置
AU2009238294B2 (en) Data transformation based on a technical design document
Rader et al. Methods for documenting systematic review searches: a discussion of common issues
US2018031475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compliance framework database schema
Ha et al. Evaluation of a mobile health approach to tuberculosis contact tracing in Botswana
Utamachant et al. An analysis of high-value datasets: a case study of Thailand’s open government data
Myntti et al. Authority control in a digital repository: Preparing for linked data
KR102102468B1 (ko)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Pitti et al. Social networks and archival context: From project to cooperative archival program
Xiao et al. Investigating metadata adoptions for open government data portals in US cities
Olfat et al. A GML-based approach to automate spatial metadata updating
Borgman et al. Who uses the digital data archive? An exploratory study of DANS
KR102469983B1 (ko) 교차검증, 사이트 검색 및 포맷 재구성을 이용한 논문 내 참고문헌 적합성 검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Fenlon et al. Tooling the aggregator's workbench: Metadata visualization through statistical text analysis
Beals Stuck in the Middle: Developing Research Workflows for a Multi-Scale Text Analysis
CN113407678A (zh) 知识图谱构建方法、装置和设备
Peveler et al. Lichen: customizable, open source plagiarism detection in Submitty
Landis et al. GaNCH: using linked open data for Georgia’s natural, cultural and historic organizations’ disaster response
CN110399414A (zh) 一种图书荐购系统设计
JP5500859B2 (ja) 環境関連情報集計分析システム。
Corrado et al. Access's Unsung Hero: The [Impending] Rise of Embedded Metadata
Tikito et al. ODK-X: From A Classic Process to A Smart Data Collection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