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448B1 -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with circula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with circulatio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448B1
KR102102448B1 KR1020180061375A KR20180061375A KR102102448B1 KR 102102448 B1 KR102102448 B1 KR 102102448B1 KR 1020180061375 A KR1020180061375 A KR 1020180061375A KR 20180061375 A KR20180061375 A KR 20180061375A KR 102102448 B1 KR102102448 B1 KR 102102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cold
heated air
cooled
circula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3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35864A (en
Inventor
김서영
이근희
최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스비
Priority to KR1020180061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448B1/en
Publication of KR20190135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8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4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5Removal of heat
    • F25B2321/0251Removal of heat by a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Table Equipment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는,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의 대류를 통해 냉온장을 수행하는 냉온 컵홀더에 있어서, 컵홀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음료 용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 일부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구동부로 재순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closed is a cold / hot cup holder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Cold and hot cup holder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ld or hot cup holder for performing a cold and hot storage through convection of the cooled or heated air, the cup holder body, formed in the body to accommodate the beverage container It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and a driving unit for supplying cooled or heated air to the receiving unit, wherein the receiving unit, the inlet formed to allow the cooling or heated air to flow, an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outlet through which a portion is discharged, and cooling or heat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can be recirculated to the driving unit.

Description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with circulation structure}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with circu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전모듈을 이용하여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의 대류를 통해 수용된 음료 용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냉온 컵홀더에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의 일부를 재순환시켜 열전모듈의 방열에 이용함으로써 방열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d / hot cup holder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in a cold / hot cup holder that cools or heats a beverage container accommodated through convection of cooled or heated air using a thermoelectric module, cooled or heated air It relates to a technical idea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by recirculating a portion of it and using it for heat dissipa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주로 차량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컵홀더는 예전에는 단순히 컵이나 병, 캔 등의 음료 용기의 파지 기능만 있었으나,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음료 용기의 냉장 혹은 온장이 가능한 냉온 컵홀더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Cup holders, which are mainly used in vehicles, used to simply hold the beverage containers such as cups, bottles, and cans, but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use of cold and hot cup holders capable of refrigerating or warming beverage containers is increasing.

특히,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 및 제백효과(Seebeck Effect)의 흡열 및 발열을 이용한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냉각 또는 발열을 수행하는 열전모듈을 이용하여 음료 용기의 냉각(냉장)과 가열(온장)을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In particular, cooling (refrigerating) and heating (warming) of a beverage container using a thermoelectric module that performs cooling or heat generation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using heat absorption and heat generation of the Peltier effect and Seebeck Effect. Technological ideas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as needed are becoming widespread.

이러한 열전모듈을 이용한 냉온 컵홀더에서, 종래에는 단순히 열전모듈을 발열면 혹은 냉각면을 컵홀더에 수용된 음료 용기에 직접 접촉시켜 냉장/온장을 수행하는 방식이 있었으나, 이는 음료 용기가 골고루 냉각 또는 가열되기 어려워 그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ld and hot cup holder using such a thermoelectric module, there has been a method of performing refrigeration / warming by simply contacting the thermoelectric module directly to the heating container or the cooling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cup holder, but the beverage container is evenly cooled or heat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was low.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열전모듈을 통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의 대류 현상을 이용하여 컵홀더 내에 수용된 음료 용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대류형 냉온 컵홀더가 개시된 바 있다.To solve this, a convection type cold / hot cup holder has been disclosed for cooling or heating a beverage container accommodated in a cup holder using a convection phenomenon of air cooled or heated through a thermoelectric module.

하지만 이러한 대류형 냉온 컵홀더의 경우 비교적 열손실이 많아 냉각 또는 가열 효율이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vection type cold / hot cup hold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oling or heating efficiency is not high due to relatively large heat loss.

따라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는 대류형 냉온 컵홀더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cal idea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a convective cold / hot cup holder using cooled or heated air.

한국등록특허(등록번호 10-1534964, "차량용 컵홀더")Korean Registered Patent (Registration No. 10-1534964, "Vehicle Cup Holder")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열전모듈을 이용하여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의 대류를 통해 수용된 음료 용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냉온 컵홀더에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의 일부를 재순환시켜 열전모듈의 방열에 이용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a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ol or heat a beverage container accommodated through convection of cooled or heated air using a thermoelectric module, in a cold or hot cup holder, recirculate a portion of the cooled or heated air to recirculate a part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It is to provide a technical idea that can be used for heat dissipation.

또한, 컵홀더 수용부의 바닥면에 리브 구조를 형성하여, 음료 용기의 바닥 하부까지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음료 용기의 냉각 또는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by forming a rib structur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the cooling or heated air to the bottom of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circulated smoothly to provide a technical idea to increase the cooling or heating efficiency of the beverage container.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는,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의 대류를 통해 냉온장을 수행하는 냉온 컵홀더에 있어서, 컵홀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음료 용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 일부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구동부로 재순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Cold and hot cup holder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in a cold or hot cup holder that performs a cold and hot storage through convection of cooled or heated air, the cup holder body, the body It is formed and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in which a beverage container can be accommodated, and a driving portion for supplying cooled or heated air to the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is an inlet formed to allow the cooled or heated air to flow in, and the It may include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some of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is discharged, and cooling or heat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ort may be recirculated to the driving unit.

또한, 상기 구동부는, 열전모듈, 상기 열전모듈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팬; 및In addition, the driving unit, a thermoelectric module, a fan coupled to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상기 열전모듈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방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방열부로 재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t includes a heat dissipation unit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oling or heat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is recirculated to the heat dissipation unit.

또한, 상기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는, 상기 배출구 및 상기 구동부 사이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유도하는 순환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d / hot cup holder having the circulation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circulation duct formed to communicate between the outlet and the driving unit to induce the cooled or heated air.

또한, 상기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는, 상기 수용부에 음료 용기가 수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며, 상기 수용부에 음료 용기가 수용되는 경우 차단되었던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d / hot cup holder having the circulation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blocking portion that blocks the inlet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no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opens the inlet that was blocked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can do.

또한, 상기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는, 상기 구동부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두 개의 수용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수용부들은, 상기 구동부에 구비되는 혼입방지벽에 의해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각각 독립적으로 순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d / hot cup holder having the circulation structure includes two receiving portions respectively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riving portion, and the two receiving portions are cooled by the mixing prevention wall provided in the driving portion, or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ed air can be circul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또한, 상기 수용부는, 바닥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리브 구조들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에 음료 용기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음료 용기의 바닥 하부에서 상기 복수 개의 리브 구조들 사이 공간을 통해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ib structure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the cooling or cooling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rib structures at the bottom of the beverage container.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ed air can be circulated.

또한, 상기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는, 상기 수용부의 상부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막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에 음료 용기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막음부가 상기 음료 용기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수용부 내부에서 순환하는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d / hot cup holder having the circulation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blocking portion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edg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the blocking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flow of the cooled or heated air circulating in the receiving portion.

또한, 상기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는, 상기 컵홀더 몸체의 상부를 덮을 수 있으면서, 상기 수용부에 대응되는 수용구가 형성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막음부는, 상기 수용구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d / hot cup holder having the circulation structure may further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holder body, and further include a cover on which an accommoda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accommodation part is formed, wherein the blocking portion is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hole. It can be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열전모듈을 이용하여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의 대류를 통해 수용된 음료 용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냉온 컵홀더에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의 일부를 재순환시켜 열전모듈의 방열에 이용함으로써 방열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ld or hot cup holder that cools or heats a beverage container accommodated through convection of cooled or heated air using a thermoelectric module, a portion of the cooled or heated air is recirculated to heat radia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By using it, it is possible to have an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또한, 컵홀더 수용부의 바닥면에 리브 구조를 형성하여, 음료 용기의 바닥 하부까지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음료 용기의 냉각 또는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rib structur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the cooling or heating air to the bottom of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circulated smoothly, thereby improving the cooling or heating efficiency of the beverage container. .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의 공기 순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의 순환덕트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의 수용부 바닥에 형성되는 리브 구조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의 덮개부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ld / hot cup holder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chematically shows a configuration of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of a cold / hot cup holder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n example of the implementation of a circulating duct of a cold / hot cup holder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n embodiment of the rib structu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old and hot cup holder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a cover portion of a cold / hot cup holder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denote the same member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ld / hot cup holder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1)는 컵홀더 몸체(100), 상기 컵홀더 몸체(10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예컨대, 110, 12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예컨대, 110, 120)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old / hot cup holder 1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p holder body 100 and at least one receiving portion (eg, 110) formed in the cup holder body 100. , 120), and a driving unit 200 for supplying air cooled or heated to the at least one receiving unit (eg, 110, 120).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예컨대, 110, 120)에는 각각 유입구(예컨대, 111, 121)와 배출구(예컨대, 112, 122)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let (eg, 111, 121) and the outlet (eg, 112, 122) may be formed in the at least one receiving part (eg, 110, 120),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구동부(20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는 상기 유입구(예컨대, 111, 121)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예컨대, 110, 1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Further, the cooled or heated air supplied from the driving unit 200 may be introduced into the at least one receiving unit (eg, 110, 120) through the inlets (eg, 111, 121).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예컨대, 110, 120) 내부에 유입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예컨대, 110, 120) 내에서 순환하다가 상기 배출구(예컨대, 112, 122)를 통해 일부가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led or heated air introduced into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eg, 110, 120) circulates in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art (eg, 110, 120) and then the outlet (eg, 112, 122). ), Some may be discharged.

그리고 상기 배출구(예컨대, 112, 122)를 통해 배출되는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구동부(200)를 향해 재순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구동부(200)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cooling or heat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s (eg, 112 and 122) may be recirculated toward the driving unit 200, thereby improving heat dissipation efficiency of the driving unit 200.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배출구(112, 12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예컨대, 110, 120)의 후면 하부 벽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할 순환덕트를 상기 컵홀더 몸체(100)의 후면에 형성하기 용이해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배출구(112, 122)로부터 배출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의 이동 거리를 줄여 열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utlets 112 and 122 may be preferably formed on the rear lower wall surface of the at least one receiving portion (eg, 110, 120). Through this, it may be easy to form a circulating duct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rear surface of the cup holder body 100, which reduces the heat loss by reduc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cooled or heated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s 112 and 122. Can have the effect.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예컨대, 112, 120)가 두 개의 수용부들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예컨대, 110, 1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수용부들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세 개 이상의 복수 개의 수용부들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후술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평균적인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at least one receiving portion (eg, 112, 120) is implemented as two receiving portion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at least one accommodating portion (eg, 110, 120) may be implemented as two accommodating portions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but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three or more plural accommodating portions as necessary. Even in this cas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average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상기 구동부(200)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unit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2 schematically shows a configuration of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200)는 열전모듈(210), 팬(220), 및 방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riving unit 200 may include a thermoelectric module 210, a fan 220, and a heat dissipation unit 230.

일반적으로 열전모듈(210)은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 및 제백효과(Seebeck Effect)의 흡열 및 발열을 이용한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냉각 또는 발열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In general, the thermoelectric module 210 may refer to a device that performs cooling or heat generation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using heat absorption and heat generation of the Peltier effect and the Seebeck Effect.

상기 팬(220)은 이러한 열전모듈(21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열전모듈(210)의 냉각 또는 가열 여부에 따라 냉각된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예컨대, 110, 120)로 공급할 수 있다.The fan 2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10, the cooled air or heated air depending on whether the thermoelectric module 210 is cooled or heated, the at least one receiving portion (for example, 110 , 120).

또한 상기 방열부(230)는 상기 열전모듈(210)의 타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방열부(230)는 방열핀, 히트싱크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열전모듈(210)의 타측면에서 발생하는 열기 또는 냉기를 방열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 dissipation unit 23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10. The heat dissipation unit 23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eat dissipation fin, a heat sink, etc.,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heat or cold air gener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10 can be dissipated. If possible, it can be implemented in any form.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컵홀더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상기 컵홀더 몸체(100)에는 두 개의 수용부(예컨대, 110, 120)가 일정 거리 내에서 근접하여 형성되게 된다.In general, the cup holder installed in the vehicle is often located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of the vehicle, and thus, the cup holder body 100 has two receiving portions (eg, 110, 120) formed close to each other within a certain distance. Will be.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예컨대, 110, 120)가 서로 근접하게 되는 위치에 상기 유입구(예컨대, 111, 121)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동부(200)에 하나의 팬(220)을 이용하면서도 각각의 유입구(예컨대, 111, 121)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 by forming the inlets (eg, 111, 121) at positions where the at least one receiving part (eg, 110, 120) is close to each other, one of the driving parts 200 is formed. While using the fan 220 of the can be implemented to simultaneously supply the cooled or heated air to each inlet (for example, 111, 121).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1)의 공기 순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air circulation structure of the cold / hot cup holder 1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의 공기 순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of a cold / hot cup holder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1)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예컨대, 110, 120) 중 제1수용부(예컨대, 110)에 음료 용기(c)가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n a cold / hot cup holder 1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everage container is provided to a first receiving part (eg, 110) of the at least one receiving part (eg, 110, 120) (c) may be accepted.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음료 용기(c)에 저장된 음료는 차가운 음료이며, 상기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1)를 통해 음료를 냉각하거, 음료의 냉기를 유지하는 경우 즉, 상기 구동부(200)에서 냉각된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물론, 이하 설명할 본 발명의 순환구조가 상기 구동부(200)에서 가열된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평균적인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For convenience of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beverage stored in the beverage container c is a cold beverage, and when the beverage is cooled through the cold / hot cup holder 1 having the circulation structure, that is, when maintaining the cold of the beverage, that is, the driving unit The case where the air cooled in 200 is suppli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course, the circula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easily inferred to an average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the same can be applied even when heated air is supplied from the driving unit 200.

예컨대, 냉각된 공기를 상기 제1수용부(예컨대, 110)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열전모듈(210)의 일면 즉, 상기 팬(220)과 결합된 면은 냉각되고, 상기 방열부(230)가 결합되는 열전모듈(210)의 타면은 가열될 수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supply cooled air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eg, 110), on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10, that is, a surface coupled with the fan 220, is cooled, and the heat dissipation part 230 is provided. The oth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10 to which it is coupled may be heated.

상기 열전모듈(210)의 일면이 냉각되고, 상기 팬(220)이 구동되는 경우, 상기 제1수용부(예컨대, 110)에 형성된 제1유입구(예컨대, 111)를 통해 상기 열전모듈(210)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상기 팬(220)의 구동을 통해 유입될 수 있다.When on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10 is cooled and the fan 220 is driven, the thermoelectric module 210 through a first inlet (for example, 111) formed in the first receiving part (eg, 110) The air cooled by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driving of the fan 220.

그리고 유입된 냉각된 공기는, 상기 음료 용기(c)의 외주면 및 상기 제1수용부(예컨대, 110)의 내측벽 사이를 따라 순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의 흐름은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으로 나타낼 수 있다.And the introduced cooled air may be circula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c) and the inner wall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eg, 110). The flow of air (cooled or heated air) may be represented by an arrow shape shown in FIG. 3.

상기 제1수용부(예컨대, 110)에서 순환되는 상기 냉각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제1유입구(예컨대, 111)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배출구(예컨대, 1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Some of the cooled air circulated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eg, 11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eg, 112)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inlet (eg, 111). have.

이때 상기 제1수용부(예컨대, 110) 내에 유입된 냉각된 공기가 모두 상기 제1배출구(예컨대, 112)를 통해 배출되기는 사실상 어려우며, 일부는 화살표 a와 같이 상기 제1배출구(예컨대, 112)를 통해 배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화살표 b와 같이 상기 제1수용부(예컨대, 110) 내부를 계속해서 순환하게 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virtually difficult for all of the cooled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eg, 110)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eg, 112), and part of the first outlet (eg, 112) as shown by arrow a. It is discharged through, and the rest of the portion may be continuously circulated inside the first receiving portion (eg, 110) as shown by arrow b.

이처럼 상기 제1배출구(예컨대, 112)를 통해 배출된 냉각된 공기는 상기 구동부(200)를 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배출구(예컨대, 112)를 통해 배출된 냉각된 공기는 상기 구동부(200)에 포함된 상기 방열부(230)를 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s such, the cool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eg, 112) may be implemented to face the driving unit 200. More specifically, the cool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eg, 112) may be implemented to face the heat dissipation unit 230 included in the driving unit 200.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배출구(예컨대, 112)의 배출 방향이 상기 구동부(200)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배출구(예컨대, 112)를 통해 배출된 상기 냉각된 공기가 상기 구동부(200)로 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ol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eg, 112) is formed so tha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first discharge port (eg, 112) faces the driving part 200, and the driving part ( 200).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배출구(예컨대, 112)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냉각된 공기는 상기 제1배출구(예컨대, 112)와 연결되며, 상기 컵홀더 몸체(100)의 후면에 형성되는 순환덕트(300)를 통해 상기 구동부(200)로 재순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ol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eg, 112) is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eg, 112), and is form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cup holder body 100 It may be recycled to the driving unit 200 through the duct 300.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열전모듈(210)의 일면이 냉각되고 있으므로, 상기 열전모듈(210)의 타면 즉, 방열부(230)측은 가열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방열부(230)의 방열이 단순히 외부 공기와의 접촉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음료 용기(c)의 냉각을 위한 냉각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방열부(230)를 향해 재순환시킴으로써, 방열효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on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10 is being cooled, the oth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210, that is, the heat dissipation unit 230 side may be heated. Conventionally, the heat dissipation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230 is simply made by contact with external air, bu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cooled air for cooling the beverage container c is the heat dissipation unit 230 By recirculating toward, it is possible to have an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상기 순환덕트(300)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1배출구(예컨대, 112)와 상기 구동부(200) 사이를 연통하여 연결 즉, 상기 제1배출구(예컨대, 112)로부터 배출되는 냉각된 공기를 상기 구동부(200) 및/또는 상기 방열부(230)를 향해 재순환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면,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The circulation duct 300 is basically connected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outlet (eg, 112) and the driving unit 200, that is, the cooled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outlet (eg, 112)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 200) and / or if it can be induced to recirculate toward the heat dissipation unit 230, it may be possible to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as necessary.

이러한 순환덕트(300)의 구현 예가 도 4에 도시된다.An exampl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circulating duct 300 is shown in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의 순환덕트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4 shows an example of the implementation of a circulating duct of a cold / hot cup holder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컵홀더 몸체(100)의 후면에 상기 제1배출구(예컨대, 112) 및 상기 구동부(200)를 둘러싸는 형상의 순환덕트(300)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a circulation duct 300 having a shape surrounding the first discharge port (eg, 112) and the driving unit 200 is illustrated on a rear surface of the cup holder body 100.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순환덕트(300)의 후면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200) 중 상기 팬(220)만 남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 구현시에는 상기 순환덕트(300)가 상기 구동부(200)의 적어도 일부까지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drawin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lthough the rear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300 is open, and only the fan 220 is left out of the driving unit 200, in practice, the circulation duct 300 is shown. Of course, it may be formed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driving unit 200.

이때 상기 순환덕트(300)는 상기 방열부(230)의 타측면 즉, 상기 열전모듈(210)과 결합된 일측면의 반대면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구동부(200)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방열부(230)의 원활한 방열을 위해 상기 방열부(230) 인근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circulation duct 300 may be formed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230, that is, the opposite surface of one side coupled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2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It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entire (200). In the latter case, for smooth heat dissipation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230, at least one air entrance may be formed near the heat dissipation unit 230.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순환덕트(300)는 상기 컵홀더 몸체(100)의 후면에서 상기 배출구들(예컨대, 112, 122)은 물론 상기 구동부(200) 전체를 덮어 커버할 수 있는 케이스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케이스에 외부 공기 유입 및 내부 공기 배출을 위한 공기 출입구가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irculation duct 300 is in the form of a case that can cover the entire outlet of the driving unit 200 as well as the outlets (for example, 112, 122)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up holder body 100 It may be implemented as. Of course, even in this case, at least one air inlet for external air inlet and internal air outlet may be formed in the cas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컵홀더 몸체(100)에 두 개의 수용부들(예컨대, 110, 120, 이하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라 함)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항상 모든 수용부들(예컨대, 110, 120)에 음료 용기(c)가 수용되지 않고, 어느 하나의 수용부 예컨대, 제1수용부(예컨대, 110)에만 음료 용기(c)가 수용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cup holder body 100 is formed with two receiving portions (eg, 110, 1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all the receiving portions are always (for example, It may occur that the beverage container c is not accommodated in 110 and 120 and the beverage container c is accommodated only in one of the receiving portions, for example, the first receiving portion (eg, 110).

이러한 경우에는 음료 용기(c)가 수용되지 않은 제2수용부(예컨대, 120)까지 냉각된 공기를 공급할 필요는 없을 수 있다.In this case, it may not be necessary to supply the cooled air to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eg, 120)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c is not accommodat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음료 용기(c)가 수용되지 않은 즉, 사용하지 않는 측의 제2수용부(예컨대, 120)에는 상기 구동부(200)로부터 냉각된 공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container c is not accommodated, that is,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eg, 120) of the side which is not used can be blocked so that the cooled air from the driving unit 200 is not supplied. have.

이를 위해, 상기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1)는 상기 유입구들(예컨대, 111, 121)을 개방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차단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ld / hot cup holder 1 having the circulation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part 500 that can open or block the inlets (eg, 111 and 121).

상기 차단부(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용기(c)가 수용되지 않은(사용하지 않는) 제2수용부(예컨대, 120)의 유입구(제2유입구, 121)를 차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blocking part 500 may block an inlet (second inlet, 121) of a second receiving part (eg, 120)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c is not accommodated (not used). have.

그리고, 이후 상기 제2수용부(예컨대, 120)에 음료 용기(c)가 수용되는 경우에는,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상기 차단부(500)가 이동하면서 차단되었던 상기 제2유입구(121)가 개방될 수 있다.Then, when the beverage container (c)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for example, 120), the second inlet 121, which was blocked while the blocking portion 500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of the drawing, is opened. Can be.

이때 상기 차단부(500)가 상기 제2유입구(121)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차단부(500)에 의해 상기 제2수용부(120)의 제2배출구(예컨대, 122)가 차단되지 않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blocking unit 500 opens the second inlet 121, the second outlet (for example, 122) of the second receiving unit 120 is not blocked by the blocking unit 500. It may be desirable.

이러한 상기 차단부(500)는 상기 제1수용부(예컨대, 110)에도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수용부(예컨대, 110)에서의 차단부(500)는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수용부(예컨대, 110)의 제1유입구(예컨대, 111)를 개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blocking unit 500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receiving unit (eg, 110). For example, the blocking portion 500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eg, 110) is implemented to open the first inlet (eg, 111)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eg, 110) while moving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drawing. Can be.

한편, 상기 제1수용부(예컨대, 110) 및 상기 제2수용부(예컨대, 120)에 모두 음료 용기(c)가 수용되는 경우 즉, 상기 제1수용부(예컨대, 110) 및 상기 제2수용부(예컨대, 120)가 모두 사용 중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순환구조에 따라 상기 구동부(200)로부터 냉각된 공기가 각각의 수용부들을 지나 순환덕트(300)를 통해 재순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수용부(예컨대, 110) 및 상기 제2수용부(예컨대, 120) 각각으로부터 재순환되는 냉각된 공기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200)에 혼입방지벽(40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beverage container c is accommodated in bot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eg, 11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eg, 120), that is,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eg, 110) and the second When all of the accommodating portions (eg, 120) are in use, air cooled from the driving part 200 may be recirculated through the circulating duct 300 through the respective accommodating parts according to the circula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ve.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mixing of the cooled air recirculated from each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eg, 11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eg, 120), an intrusion prevention wall 400 is formed in the driving part 200. It may be.

상기 혼입방지벽(400)은 상기 순환덕트(300) 내에서 상기 제1수용부(예컨대, 110) 및 상기 제2수용부(예컨대, 120)로부터 배출되어 재순환되는 냉각된 공기의 혼입을 방지, 각각의 수용부에 따라 독립적으로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mixing prevention wall 400 prevents mixing of cooled air discharged and recirculated from the first receiving portion (eg, 110)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eg, 120) within the circulation duct 300, Circulation can be made independently for each receiving part.

이처럼 각각의 수용부에 따른 독립적인 순환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세 개 이상의 복수 개의 수용부들이 구현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구동부(200)로부터 생성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의 유입/배출이 각각의 수용부들에 따라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혼입방지벽(400)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dependent circulation according to each receiving unit may be equally applied even when three or more receiving units are implemented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a plurality of the intrusion prevention walls 400 may be formed so that the inflow / exhaustion of the cooled or heated air generated from the driving unit 200 can be independent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spective receiving unit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예컨대, 110, 120)의 바닥면(예컨대, 113, 123)에는 복수 개의 리브 구조가 형성되어 음료 용기(c)의 바닥과 상기 바닥면(예컨대, 113, 123)이 완전 밀착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ib structure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s (eg, 113, 123) of the at least one receiving portion (eg, 110, 120) to form the bottom and the bottom of the beverage container (c). The bottom surface (for example, 113, 123) may be implemented so as not to be in close contact. This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의 수용부 바닥에 형성되는 리브 구조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Figure 5 shows an embodiment of the rib structu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old and hot cup holder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수용부(예컨대, 110)의 제1바닥면(예컨대, 113)에는 복수 개의 리브 구조들(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 구조들(114)은 상기 제1수용부(예컨대, 110)에 음료 용기(c)가 수용되는 경우, 도 5의 우측 그림과 같이 상기 제1바닥면(예컨대, 113)과 상기 음료 용기(c)의 바닥 사이에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리브 구조들(114)로 인해 상기 리브 구조들(114) 사이의 공간들을 통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지날 수 있어, 음료 용기(c)의 측면은 물론 바닥을 통해서도 냉각 또는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어 음료 용기(c)의 냉각 또는 가열 효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5, a plurality of rib structures 114 may be formed on the first bottom surface (eg, 113) of the first accommodation part (eg, 110). When the beverage container c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eg, 110), the rib structures 114 may include the first bottom surface (eg, 113) and the beverage container as shown in the right figure of FIG. 5. Between the bottom of (c) it can be made to form a space through which the cooled or heated air can pass. That is, due to the rib structures 114, the cooled or heated air may pass through the spaces between the rib structures 114, so that the cooling or heating is performed not only through the 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c but also through the floor.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cooling or heating efficiency of the beverage container (c).

도 5에는 제1수용부(예컨대, 110)의 경우가 예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바닥면(예컨대, 113, 123)들에 형성되는 리브 구조들(114)은 나머지 수용부(예컨대, 1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FIG. 5, the case of the first accommodation unit (eg, 110) is illustrated, but the rib structures 114 formed on the bottom surfaces (eg, 113, 123) are the same for the rest of the accommodation unit (eg, 120). Of course, it can be appli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예컨대, 110, 120)로부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의 이탈을 방지하여 냉각 또는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chnical idea to increase cooling or heating efficiency by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cooled or heated air from the at least one receiving portion (eg, 110, 120).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의 덮개부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6 shows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a cover portion of a cold / hot cup holder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1)는 상기 제1수용부(예컨대, 110)의 상부 테두리를 둘러싸는 형태의 막음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cold / hot cup holder 1 having the circulation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portion 115 in a form surrounding the upper rim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eg, 110).

상기 막음부(115)는 상기 음료 용기(c)가 상기 제1수용부(예컨대, 110)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음료 용기(c)의 외주면과 일정 수준 이상 밀착되어, 상기 음료 용기(c)와 상기 제1수용부(예컨대, 110)의 내측벽 사이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수용부(예컨대, 120)에도 상기 막음부(115)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blocking portion 11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c)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when the beverage container (c)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eg, 110), the beverage container (c)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oling or heated air is leaking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eg, 110). Of course, the blocking portion 115 may be formed i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eg, 120).

이러한 상기 막음부(115)는 상기 제1수용부(예컨대, 110)의 상부 테두리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blocking portion 115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rim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eg, 110).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컵홀더 몸체(100)의 상부를 덮는 별도의 덮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막음부(115)는 이러한 상기 덮개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가 상기 컵홀더 몸체(100)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예컨대, 110, 120)의 상부에서 상기 음료 용기(c)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example, a separate cover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top of the cup holder body 100, and the blocking portion 115 is formed on the cover, so that the cover is provided with the cup holder body 100. When combined, it may be implemen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c) at the top of the at least one receiving portion (eg, 110, 120).

상기 막음부(115)는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음료 용기(c)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으면, 상기 음료 용기(c)를 넣고 빼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소정의 탄성을 지닌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막음부(115)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locking portion 115 has a predetermined elasticity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putting and removing the beverage container (c) if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c) to prevent the cooling or heating air from escaping.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For example, the blocking portion 115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8)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의 대류를 통해 냉온장을 수행하는 냉온 컵홀더에 있어서,
컵홀더 몸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구동부;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음료 용기가 수용되며, 상기 구동부를 중심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로부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받는 복수 개의 수용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구동부를 향해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의 재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용부들은 상기 구동부에 구비되는 혼입방지벽에 의해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각각 독립적으로 순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
In the cold or hot cup holder for performing a cold and hot field through convection of the cooled or heated air,
Cup holder body;
A driving unit supplying cooled or heated air; And
A beverage container is formed in the body, and is formed around the driving unit, and includes a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receiving cooling or heated air from the driving unit.
The receiving portion,
An inlet formed to allow the cooled or heated air to flow in; And
A portion of the cooled or heat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is formed to be discharged toward the driving unit, and include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recirculation of the cooled or heated air can be made,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parts are cold and hot cup holders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oled or heated air can be circul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by a mixing prevention wall provided in the driv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열전모듈;
상기 열전모듈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팬; 및
상기 열전모듈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방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방열부로 재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Thermoelectric module;
A fan coupled to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It includes a heat dissipation unit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Cold or hot cup holder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oling or heat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is recirculated to the heat dissip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는,
상기 배출구 및 상기 구동부 사이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유도하는 순환덕트를 더 포함하는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
According to claim 1, Cold and hot cup holder having the circulation structure,
A cold / hot cup holder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that is formed to communicate between the outlet and the driving part and further includes a circulation duct for guiding the cooled or heated 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는,
상기 수용부에 음료 용기가 수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며, 상기 수용부에 음료 용기가 수용되는 경우 차단되었던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
According to claim 1, Cold and hot cup holder having the circulation structure,
A cold / hot cup holder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blocking portion that blocks the inlet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no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opens the inlet that is blocked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바닥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리브 구조들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에 음료 용기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음료 용기의 바닥 하부에서 상기 복수 개의 리브 구조들 사이 공간을 통해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portion,
It includes a plurality of rib structure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the cold or hot cup holder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oled or heated air can be circulat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rib structures at the bottom of the beverage container. .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의 대류를 통해 냉온장을 수행하는 냉온 컵홀더에 있어서,
컵홀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음료 용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구동부; 및
상기 수용부의 상부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막음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구동부를 향해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의 재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에 음료 용기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막음부가 상기 음료 용기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수용부 내부에서 순환하는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
In the cold or hot cup holder for performing a cold and hot field through convection of the cooled or heated air,
Cup holder body;
A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body and capable of receiving a beverage container;
A driving unit supplying cooled or heated air to the receiving unit; And
It includes a blocking portion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edge of the receiving portion,
The receiving portion,
An inlet formed to allow the cooled or heated air to flow in; And
A portion of the cooled or heat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is formed to be discharged toward the driving unit, and include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recirculation of the cooled or heated air can be made,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the blocking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has a circu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prevent the cooling or heated air circulating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Cold and hot cup hold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는,
상기 컵홀더 몸체의 상부를 덮을 수 있으면서, 상기 수용부에 대응되는 수용구가 형성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막음부는,
상기 수용구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구조를 가지는 냉온 컵홀더.

According to claim 7, The cold and hot cup holder having the circulation structure,
While being able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holder body, and further includes a cover on which a receiv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he blocking portion,
Cold and hot cup holder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

KR1020180061375A 2018-05-29 2018-05-29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with circulation structure KR1021024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375A KR102102448B1 (en) 2018-05-29 2018-05-29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with circulatio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375A KR102102448B1 (en) 2018-05-29 2018-05-29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with circulation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864A KR20190135864A (en) 2019-12-09
KR102102448B1 true KR102102448B1 (en) 2020-04-20

Family

ID=68837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375A KR102102448B1 (en) 2018-05-29 2018-05-29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with circulation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44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207A1 (en) * 2022-07-05 2024-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plit electrode structur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007B1 (en) * 2013-10-17 2016-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Heating and cooling cup holder
KR101534964B1 (en) 2013-12-18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up holder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207A1 (en) * 2022-07-05 2024-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plit electrode struc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864A (en) 201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0551B1 (en) Thermal conditioning beverage container holder
US5699669A (en) Air-circulating base for bottled water cooling and dispensing apparatus
US20140130517A1 (en)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JP2016022953A (en) Underbody unit for motor vehicle
KR102102448B1 (en)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with circulation structure
US20240116326A1 (en) Electric vehicle and thermal manager thereof
CN110539678B (en) Cup holder for vehicle
KR101344526B1 (en) A cooling and heating cabinet device for vehicles
JP2017128324A (en) Galley system of aircraft
KR102533183B1 (en) hot and cold room
US10081286B2 (en) Storage container
CN111609651B (en) Entrance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KR101895052B1 (en) A vehicle cup holder device us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CN104204694B (en) Cooling device including quickly cooling device
KR101349723B1 (en) Cooling and heating cabinet for vehicle
US20230400231A1 (en) High efficiency micro-chiller unit
US20220242294A1 (en) Heating and cooling cup holder for vehicle
KR101228718B1 (en) movable internal organs fridge
KR102261354B1 (en) Cup holder for vehicle
KR101534584B1 (en)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KR101335494B1 (en) Storage container and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with the same
KR102131886B1 (en) Storage
CN114728610B (en) Cold and hot cup holder for automobile
KR102547907B1 (en) Cold chain convection cooling insulated box
KR102547906B1 (en) Cold chain insulated box with dockable cooling module, which maximizes insulation performance and internal convection effici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