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219B1 -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219B1
KR102102219B1 KR1020130098727A KR20130098727A KR102102219B1 KR 102102219 B1 KR102102219 B1 KR 102102219B1 KR 1020130098727 A KR1020130098727 A KR 1020130098727A KR 20130098727 A KR20130098727 A KR 20130098727A KR 102102219 B1 KR102102219 B1 KR 102102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est
point
user
informatio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1410A (ko
Inventor
소경숙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8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219B1/ko
Publication of KR20150021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서비스 지역에 사용자가 진입하는 경우 사용자 장치에 관심지점(POI) 리스트를 제공하여 통신망을 통한 위치정보의 지속적인 교환 없이 관심지점 리스트를 기초로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위치가 속한 지역에 대응되는 관심지점 리스트를 제공받아 로컬 저장하고, 별도의 위치정보 전송 없이 사용자의 위치와 로컬 저장된 관심지점 리스트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관심지점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관심지점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여 컨텐츠를 수신함으로써, 불필요한 위치정보의 지속적인 전송에 따른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통신에 필요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on POI,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서비스 지역에 사용자가 진입하는 경우 사용자 장치에 관심지점(POI) 리스트를 제공하여 통신망을 통한 위치정보의 지속적인 교환 없이 관심지점 리스트를 기초로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망과 이를 지원하는 각종 사용자 장치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컨텐츠를 스마트폰, PDA 등과 같은 사용자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다양한 통신모듈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크게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는 사용자의 위치에 적합한 컨텐츠를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일례로 사용자의 위치에 근접한 매장에서 제공하는 쿠폰, 포인트, 멤버쉽 카드 등을 컨텐츠로 제공하여 매장 방문을 유도하는 동시에 마케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서비스는 사용자 장치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에 지속적으로 위치정보를 전송하여야 하므로 지속적인 배터리 소모가 발생하며, 특히 위치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다수 설치되어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전송하는 경우 이러한 배터리 소모 현상이 더욱 가속되어 사용자 장치를 사용하는 불편함으로 초래하므로 이러한 서비스에 대한 이용을 기피할 수 있다.
더군다나, 이러한 서비스는 통신상태가 좋지 않은 지역에서 위치정보의 전송이 어려워 위치정보에 즉각 반응하여 컨텐츠를 제공하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미 지나친 위치에 대한 컨텐츠를 제공받아 매장유도나 마케팅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97395호 [명칭: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정보 검색 장치 및 방법]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가 속한 지역에 대응되는 관심지점 리스트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사용자 장치에서 별도의 위치정보 전송 없이 사용자의 위치와 로컬 저장된 관심지점 리스트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관심지점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고 관심지점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위치정보의 지속적인 전송에 따른 배터리 소모를 경감시키고, 효율적으로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에서 컨텐츠와 매칭되는 관심지점에 대한 관심지점 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할 필요없이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관심지점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관심지점 정보를 수신하여 관련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위치정보의 수신에 따라 통신부하를 감소시켜 통신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관심지점을 검색하는 과정을 제거하여 신속하게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적용되는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부,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속한 지역에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에 대한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속한 지역에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에 대한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로컬 저장하는 관심지점 관리부 및 관심지점 관리부를 통해 저장된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에서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위치정보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에 대한 관심지점 정보를 컨텐츠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관심지점 정보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컨텐츠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는 컨텐츠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사용자 장치는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관심지점 관리부는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저장부에 로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컨텐츠 처리부는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을 관심지점 정보로 생성하여 컨텐츠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관심지점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는 상기 지역의 범위에 대한 지역정보를 포함하며, 컨텐츠 처리부는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지역정보에 따른 범위를 이탈하기 이전까지 사용자 위치정보를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컨텐츠 처리부는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지역정보에 따른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관심지점 관리부를 통해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여 다른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컨텐츠는 쿠폰, 광고 동영상,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적용되는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속한 지역에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을 취합하여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장치에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관심지점 제공부 및 사용자 장치로부터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관심지점에 대한 관심지점 정보를 수신하여 관심지점 정보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는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장치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속한 지역에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에 대한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상기 지역의 범위에 대한 지역정보와 함께 수신하여 로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장치가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의 수신 이후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생성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지역정보와 비교하여 지역의 범위에 대한 이탈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장치가 상기 지역의 범위를 이탈하기 이전까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 대신 로컬 저장된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관심지점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여 관심지점 정보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 장치가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을 관심지점 정보로 생성하여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관심지점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속한 지역에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에 대한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 사용자 장치로부터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에 대한 관심지점 정보를 수신하며, 관심지점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 서비스 장치 및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여 수신된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로컬 저장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근거로 상기 지역의 범위를 이탈하기 전까지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관심지점 정보를 컨텐츠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여 관심지점 정보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위치가 속한 지역에 대응되는 관심지점 리스트를 제공받아 로컬 저장하고, 별도의 위치정보 전송 없이 사용자의 위치와 로컬 저장된 관심지점 리스트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관심지점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관심지점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여 컨텐츠를 수신함으로써, 불필요한 위치정보의 지속적인 전송에 따른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통신에 필요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에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할 필요가 없어 불필요한 위치정보의 수신에 따른 부하를 감소시켜 통신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관심지점을 검색하는 과정을 제거하여 신속하게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환경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적용되는 서비스 장치의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 생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적용되는 사용자 장치의 관심지점 정보 생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방식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사용자 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에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 장치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컨텐츠를 매번 확인하여야 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장치의 전력 소모와 통신 리소스가 비효율적으로 관리되며,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서비스 장치의 통신부하가 증가하여 신속한 컨텐츠 제공이 어려운 기존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구성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에서 관심지점(POI: Point Of Interest, 이하 관심지점)을 지역 단위로 분할하고,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을 취합하여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로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며, 사용자 장치는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로컬 저장하여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수신한 시점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지 않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매칭되는 관심지점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관심지점 정보로 서비스 장치에 제공하여, 해당 관심지점 정보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할 필요없이 사용자 장치에서 직접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관심지점을 확인하여 관심지점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관심지점 정보를 서비스 장치에 전송하여 사용자 장치의 전력 소모를 크게 경감시키며 서비스 장치와의 지속적인 통신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사용자 장치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장치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매칭되는 관심지점을 확인할 필요가 없어 내부적인 프로세스를 크게 간소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와의 지속적인 통신이 요구되지 않아 통신부하를 크게 경감시킬 뿐 아니라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관심지점 정보에 매칭되는 컨텐츠만 제공하면 되므로 사용자 장치의 요구에 응답하여 컨텐츠의 신속한 제공이 가능하다.
특히,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사용자 장치에 위치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에 사용자 장치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위치 기반 컨텐츠의 요청시 상술한 구성에 따라 전력 소모와 필요한 리소스를 최소화하면서 신속하게 각 어플리케이션으로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대한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 환경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100)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장치와 연결된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210) 및 컨텐츠 서비스 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220)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속한 지역에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POI: Point Of Interest, 이하 관심지점)을 취합하여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서비스 장치(22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에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에 대한 관심지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심지점 정보에 포함된 관심지점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컨텐츠를 사용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사용자 장치(100)는 스마트폰, PDA, 전자패드, 노트북 등과 같은 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210)와 컨텐츠 서비스 장치(220)는 각각 서버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더하여,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210)와 컨텐츠 서비스 장치(220)는 하나의 서버로 통합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장치(20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 장치(100)에 미리 설치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요청시 사용자 장치(100)가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에 속한 지역의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장치(100)에 로컬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200)에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할 필요 없이 사용자 장치(100)가 로컬 저장된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에 매칭되는 관심지점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해당 상기 관심지점을 포함하는 관심지점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관심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장치(100)는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할 필요없이 로컬 저장된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관심지점을 직접 추출하여 서비스 장치(200)에 제공함으로써, 기존에 사용자 장치에서 지속적인 위치정보 제공으로 인한 전력 소모 및 서비스 장치와의 지속적인 통신에 따른 비효율적인 리소스 관리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초로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지역을 이탈하기 전까지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비스 장치(200)는 기존과 같이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매번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매칭되는 관심지점을 검색하고, 상기 관심지점과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데 따른 서비스 장치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도 2 내지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적용되는 사용자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복수의 서비스부(101a, 101b, 101c)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의 요청에 대한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서비스 처리부(110)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처리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처리부(111)와, 관심지점 관리부(11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컨텐츠 처리부(111)는 복수의 서비스부(101a, 101b, 101c)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요청정보를 수신하면(①),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210)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관심지점에 대한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제공부(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②).
이때, 위치정보 제공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부(121) 및 위치정보 생성부(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위치정보 생성부(122)는 사용자 장치(100)에 구성된 위치측정부(130)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측정부(130)는 GPS, Wifi AP, Cell ID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설정부(121)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에 대한 측정주기가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위치정보 생성부(122)는 상기 측정주기에 따라 위치측정부(130)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컨텐츠 처리부(111)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생성부(122)는 설정부(121)의 측정주기에 따른 측정시점마다 생성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위치정보 제공부(120)는 각 서비스부(101a, 101b, 101c)의 요청정보 전송시마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대신 측정주기 사이에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부(101a, 101b, 101c)에 대해서는 별도의 위치측정 없이 임시 저장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빈번한 위치측정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측정주기 내에 서로 다른 요청정보에 대해 생성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는 크게 차이가 없으므로 동일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단말 리소스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처리부(112)는 위치정보 제공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관심지점 관리부(112)에 전송하며(③), 관심지점 관리부(112)는 사용자 장치에 구성된 통신부(140)를 통해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210)로 전송할 수 있다(④).
이에 따라,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21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속한 지역에 대한 지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지역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관심지점 DB(211)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⑤).
이때,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210)는 상기 지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을 취합하여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지역정보를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210)는 복수의 지역으로 구분된 맵정보를 저장하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맵정보에 맵매칭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가 속한 지역에 대한 지역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B지역에 속해 있으므로,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는 B지역에 대응되는 지역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지역정보는 B지역에 대한 맵정보 상에서의 범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210)는 상기 B지역에 대한 지역정보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는 도시된 바와 같이 B지역에 속한 복수의 관심지점을 포함하며, 각 관심지점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고유식별데이터, 좌표데이터, 명칭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210)는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에 상기 지역정보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장치(100)의 서비스 처리부(110)에 포함된 관심지점 관리부(112)는 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장치에 구성된 저장부(150)에 로컬 저장할 수 있다(⑥).
이후, 컨텐츠 처리부(111)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위치정보 제공부(120)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⑦), 사용자 장치의 저장부(150)에 로컬 저장된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지역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속한 지역에 대응되는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⑧).
이에 따라, 컨텐츠 처리부(111)는 저장부(150)로부터 추출된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 중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을 추출하여 관심지점 정보로 생성하고(⑨), 생성된 관심지점 정보를 컨텐츠 서비스 장치(220)로 전송할 수 있다(⑩). 이때, 관심지점 정보는 관심지점에 대한 고유식별데이터, 좌표데이터, 명칭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컨텐츠 처리부(1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을 취합하여 관심지점 정보(관심지점 정보 1)로 생성하고, 상기 관심지점 정보를 컨텐츠 서비스 장치(2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처리부(111)는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주기적으로 위치정보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관심지점 정보(관심지점 정보 2)를 컨텐츠 서비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처리부(111)는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지역정보에 따른 지역 범위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지역 범위에 대한 이탈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지역 범위를 이탈하지 않은 경우에만 관심지점 정보를 컨텐츠 서비스 장치(2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처리부(111)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지역정보에 따른 지역을 이탈하기 전까지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22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관심지점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관심지점 정보를 전송하여, 기존과 같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전송하여 발생하는 사용자 장치의 전력 소모와 비효율적인 리소스 관리를 개선시킬 수 있다.
다시말해, 사용자 장치(100)에서 직접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관심지점을 추출하여 컨텐츠 서비스 장치(220)로 제공함으로써, 기존에 서비스 장치(200)와의 지속적인 통신에 따른 전력소모와 불필요한 정보 전송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00)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에 따른 관심지점의 검색 프로세스를 생략할 수 있어 서비스 장치(200)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설명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는 수신 시점 및 주체에 따라 서로 상이한 정보일 수 있다. 일례로, 관심지점 관리부(112)가 수신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는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컨텐츠 처리부(111)가 수신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와 상이한 위치의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관심지점 정보를 수신하는 컨텐츠 서비스 장치(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심지점 정보에 포함된 관심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컨텐츠 DB(221)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⑪).
이때, 컨텐츠 DB(221)는 관심지점에 매칭되어 쿠폰, 광고 동영상, 광고 이미지, 멤버쉽 카드 등에 대한 컨텐츠가 미리 저장되며, 컨텐츠 서비스 장치(220)는 관심지점 정보에 포함된 서로 다른 관심지점 각각에 대응되어 매칭된 컨텐츠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100)의 컨텐츠 처리부(111)는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요청정보를 전송한 서비스부(101)로 제공하여 서비스부(101)를 통해 각종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⑫).
상술한 구성에 더하여, 컨텐츠 처리부(111)는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의 수신 이후 위치정보 제공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지역을 이탈하는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관심지점 관리부(112)를 통해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210)로 전송하여, 다른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다른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에 매칭되는 관심지점에 대한 관심지점 정보를 컨텐츠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여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장치(100)에 구성된 서로 다른 서비스부(101a, 101b, 101c) 각각은 상기 요청정보에 서비스부(101)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컨텐츠 처리부(111)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처리부(111)는 요청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통해 서비스부(101)를 식별하고, 관심지점 정보에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컨텐츠 서비스 장치(2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컨텐츠 서비스 장치(220) 역시 상기 식별정보를 통해 사용자 장치(100)에 구성된 서비스부(101)를 식별하고 요청정보를 전송한 서비스부에 제공될 컨텐츠를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컨텐츠 처리부(111)는 컨텐츠 서비스 장치(22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와 함께 전송된 식별정보로부터 서비스부(101)를 구분하여, 상기 수신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서비스부(101)로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더하여, 컨텐츠 처리부(111)는 서비스부(101)로부터 요청정보 수신시 위치정보 제공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와 저장부(150)에 저장된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지역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속한 지역에 대응되는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서비스 장치(200)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할 필요 없이 저장부(150)에 저장된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로부터 관심지점 정보를 생성할 수 있어, 사용자 장치의 전력 효율과 통신 효율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된 서비스부(101)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에 대한 요청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
상기 요청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며(S2),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속한 지역에 대응되는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의 존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
이때, 사용자 장치(100)는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에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에 대한 관심지점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관심지점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00)는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가 없는 경우 사용자 장치(100)와 통신하는 서비스 장치(200)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4).
이후, 사용자 장치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속한 지역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에 대한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 및 상기 지역의 범위에 대한 지역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며(S5),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와 지역정보를 매칭하여 로컬 저장할 수 있다(S6).
한편, 사용자 장치(100)는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의 수신 이후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생성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S7) 지역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지역의 범위에 대한 이탈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100)가 상기 지역의 범위를 이탈하기 이전까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지 않고, 로컬 저장된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관심지점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장치(200)로 관심지점 정보를 전송하여(S9), 상기 관심지점 정보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S10).
이후, 사용자 장치(100)는 상기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부(101)를 통해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에서 컨텐츠와 매칭된 관심지점에 대한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로컬 저장하고, 해당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매칭되는 관심지점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관심지점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여 서비스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함으로써 위치 기반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위치정보의 지속적인 전송에 따른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통신에 필요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으로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 분야, 마케팅 분야, 전자지갑 분야, 내비게이션 분야, 텔레매틱스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0: 사용자 장치 101: 서비스부
110: 서비스 처리부 111: 컨텐츠 처리부
112: 관심지점 관리부 120: 위치정보 제공부
121: 설정부 122: 위치정보 생성부
130: 위치측정부 140: 통신부
150: 저장부 210: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
211: 관심지점 DB 220: 컨텐츠 서비스 장치
221: 컨텐츠 DB

Claims (10)

  1.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부;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속한 지역에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에 대한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에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속한 지역에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에 대한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상기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로컬 저장하는 관심지점 관리부; 및
    상기 관심지점 관리부를 통해 저장된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에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에 대한 관심지점 정보를 컨텐츠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관심지점 정보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는 컨텐츠 처리부
    를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 처리부는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지역정보에 따른 지역 범위에 대한 사용자의 이탈 여부를 판단하며, 이탈하기 전까지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관심지점 관리부를 통해 상기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지 않고 상기 관심지점 정보만을 전송하며, 이탈하는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관심지점 관리부를 통해 상기 관심지점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여 다른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적용되는 사용자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처리부는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관심지점을 상기 관심지점 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관심지점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적용되는 사용자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0098727A 2013-08-20 2013-08-20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102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727A KR102102219B1 (ko) 2013-08-20 2013-08-20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727A KR102102219B1 (ko) 2013-08-20 2013-08-20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410A KR20150021410A (ko) 2015-03-02
KR102102219B1 true KR102102219B1 (ko) 2020-04-20

Family

ID=53019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727A KR102102219B1 (ko) 2013-08-20 2013-08-20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2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456B1 (ko) 2020-10-26 2021-04-21 이정음 사용자 특화 이벤트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968B1 (ko) * 2011-05-06 2012-05-09 팅크웨어(주) 오픈형 poi에 대한 실시간 검색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395B1 (ko) 2003-06-24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정보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1615504B1 (ko) * 2009-09-10 201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968B1 (ko) * 2011-05-06 2012-05-09 팅크웨어(주) 오픈형 poi에 대한 실시간 검색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456B1 (ko) 2020-10-26 2021-04-21 이정음 사용자 특화 이벤트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410A (ko) 2015-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5097B2 (en) Wireless charging management system an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terminal
CN103200238A (zh) 地理围栏的智能网络信息系统
CN105786807B (zh) 展会信息推送的方法、设备与系统
CN103795802A (zh) 基于位置的嵌入式wifi网络广告系统和方法
CN103064980A (zh) 基于移动终端及gps查询景点信息的方法和系统
KR101453317B1 (ko) 와이파이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3839441A (zh) 移动终端基于文字识别技术的停车场车位定位方法
CN105335515A (zh) 一种信息推荐方法和装置
CN102958152A (zh) 实现第三方定位的wlan定位方法和定位服务器
KR20090080000A (ko) Lbs 기반의 모바일 쿠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4252795A (zh) 公交车到站时间预测方法
CN205318553U (zh) 数据处理装置和系统以及打印机
KR102102219B1 (ko) 관심지점 기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202903200U (zh) 一种配电巡检地图导航及设备信息管理手持终端
US10412535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beacon service
CN103258031A (zh) 基于移动终端的医疗机构信息查询系统
KR101329241B1 (ko) 네트워크 위치 기반 개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1698645A (zh) 位置信息获取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1400520A (zh) 人脸识别库的构建方法、人脸支付方法、装置和系统
Namiot et al. On mobile wireless tags
KR20120059177A (ko) 무선 태그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방법, 이를 제공하는 단말 측위 장치 및 응용 서비스 장치
US10334420B2 (en) Data-flow control device and data-flow control method
JP2008159005A (ja) 携帯端末、混雑情報収集サーバ、及び混雑状況把握方法
KR101773976B1 (ko) 위치 인식 기반 결제 방법 및 결제 시스템
TW202036446A (zh) 旅遊資訊傳播系統、伺服器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