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185B1 - Conducting polymer composite with high strechability - Google Patents

Conducting polymer composite with high strech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185B1
KR102102185B1 KR1020180119049A KR20180119049A KR102102185B1 KR 102102185 B1 KR102102185 B1 KR 102102185B1 KR 1020180119049 A KR1020180119049 A KR 1020180119049A KR 20180119049 A KR20180119049 A KR 20180119049A KR 102102185 B1 KR102102185 B1 KR 102102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composite
conductive polymer
electrical conductor
agf
sh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0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9303A (en
Inventor
손동희
서현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19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185B1/en
Publication of KR20200039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3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1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4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8G18/42 - C08G18/63
    • C08G18/6469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8G18/42 - C08G18/63 hav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08G18/75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and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a secondary carbon atom of the cycloaliphatic ring, e.g. isophorone diisocya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58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ureth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10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extensible conductors or c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전기전도체 입자를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영역; 및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며, 전기전도체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캐핑 영역을 포함하는 고 신축성을 가진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자가 치유능을 가지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및 상기 매트릭스 내에 분산 분포되는 복수의 전기전도체 클러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전도체 클러스터는, 제 1 전기전도체 입자; 및 상기 제 1 전기전도체 입자와 동일한 물질로서, 상기 제 1 전기전도체 입자의 주변에 분산 분포되며, 상기 제 1 전기전도체 입자에 비해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제 2 전기전도체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region including the electrical conductor particles; And it is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region, a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having high elasticity is provided that includes a capping region that does not include the electrical conductor 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a matrix made of a polymer material having self-healing ability; And a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clusters distributed in the matri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al conductor cluster includes: first electrical conductor particles; And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electroconductor particles,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conductor particles distributed around the first electroconductor particles and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first electroconductor particles. .

Description

고 신축성을 가진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Conducting polymer composite with high strechability}Conductive polymer composite with high strechability

본 발명은 우수한 신축성을 가지고 변형에 의해 전기전도도 특성이 향상되고 더 나아가 자가 치유 특성까지 나타내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having excellent elasticity, improved electrical conductivity properties by deformation, and further exhibiting self-healing propertie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최근 생물의학, 로봇, 유연한 소자에 적용되는 웨어러블 전자 기기(wearable electroinc device)에 인체친화적이면서도 신축성이 우수한 고분자 소재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 신축성 고분자 소재는 전자 소자와 인체 사이에 안정적으로 전력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기계적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인터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다. 인터커넥터는 상당한 변형, 예를 들어 급격한 연신이 일어나더라도 전력 및 데이터 전송 능력에 열화가 나타나지 않아야 한다. 추가적으로 인터커넥터의 일부가 손상되거나 심지어 절단되더라도 자가 치유(self-healability)에 의해 회복이 가능한 경우에는 활용 가치가 더욱 높아진다. Recently, a polymer material that is human-friendly and has excellent elasticity has been used in wearable electroinc devices applied to biomedicine, robots, and flexible devices. The high elastic polymer material can stably transmit power and data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human body, and can be applied to an interconnector having mechanical elasticity. The interconnects should not show any deterioration in power and data transmission capability even if significant deformation occurs, e.g., rapid stretching. Additionally, even if a part of the interconnect is damaged or even cut, the value of utilization becomes higher if it can be recovered by self-healability.

그러나 높은 신축성, 높은 전도성 및 우수한 자가 치유 능력을 동시에 구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현재의 착용형 인간-로봇 인터페이스는 심각한 손상 후에도 피드백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자기 치유가 가능한 신축성 있는 인터커넥트(interconnect)의 부족으로 인하여 인간과 기계 사이의 장기적인 상호 작용을 지원할 수 없다. 신축성 있는 전기전도체의 자가 치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량체(monomer) 및 촉매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캡슐을 내재시켜 파손된 크랙이 치유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단지 마이크로 캡슐이 위치한 영역의 크랙에 대해서 한번만의 치유가 가능한 문제가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크랙이 발생한 부분이 외부에서 자외선(UV)를 조사하거나 열을 가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자가 치유능을 가지는 고분자 기판 위에 EGaIn(eutectic Ga-In) 액상 금속 합금층을 형성하는 방법도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높은 신축성과 우수한 자가 치유능을 나타내나 액상 금속을 일반적인 전자 소자에 적용하기에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simultaneously realize high elasticity, high conductivity, and excellent self-healing ability. Current wearable human-robot interfaces cannot support long-term interactions between humans and machines due to the lack of flexible interconnects that enable self-healing to enable feedback communication even after severe damage. In order to improve the self-healing performance of the stretchable electrical conductor, a technique is known in which micro-capsules made of monomers and catalysts are embedded to heal broken cracks. However, this techniqu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possible to heal only once for a crack in an area where a microcapsule is located. As another method, a technique in which a portion where a crack has occurred i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UV) from outside or applied heat. Recently, a method of forming an eGaIn (eutectic Ga-In) liquid metal alloy layer on a polymer substrate having self-healing ability has also been proposed. Such a structure exhibits high elasticity and excellent self-healing ability, bu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liquid metal to a general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높은 신축성 및 전기전도도를 가지며 상당한 변형이 일어나더라도 전기전도도의 악화가 일어나지 않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손상이 일어나도 우수한 자가 치유능에 의해 회복이 일어나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의 제공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has an object to provide a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that has high elastic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does not deteriorate electrical conductivity even if significant deformation occurs.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in which recovery occurs due to excellent self-healing ability even when damage occurs. 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전기전도체 입자를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영역; 및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며, 전기전도체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캐핑 영역을 포함하는 고 신축성을 가진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region including the electrical conductor particles; And it is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region, a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having high elasticity is provided that includes a capping region that does not include the electrical conductor particl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자가 치유능을 가지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및 상기 매트릭스 내에 분산 분포되는 복수의 전기전도체 클러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a matrix made of a polymer material having self-healing ability; And a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clusters distributed in the matrix.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전도체 클러스터는, 제 1 전기전도체 입자; 및 상기 제 1 전기전도체 입자와 동일한 물질로서, 상기 제 1 전기전도체 입자의 주변에 분산 분포되며, 상기 제 1 전기전도체 입자에 비해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제 2 전기전도체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al conductor cluster includes: first electrical conductor particles; And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electrical conductor particles,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electrical conductor particles that are distributed and distributed around the first electrical conductor particles and have a smaller size than the first electrical conductor particles.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핑 영역은 자가 치유능을 가지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ping region may include a polymer having self-healing abil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및 상기 캐핑 영역은 자가 접합에 의해 연결된 것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and the capping region may be connected by self-bond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외력에 의해 변형 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유지할 경우 전기전도도가 증가하는 것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 state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may be increa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외력에 의해 변형됨에 따라 이격되었던 전기전도체 클러스터가 서로 연결되는 재배열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 rearrangement step in which spaced electrical conductor clust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may be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외력에 의해 변형 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유지될 경우 이격되었던 전기전도체 클러스터가 서로 연결되어 재배열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 state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he spaced electrical conductor cluster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rearran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외력에 의해 변형 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유지됨에 따라 응력의 이완이 일어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 state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relaxation of stress may occu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전기전도체 생성의 공급원은 상기 제 1 전기전도체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rce of the second electrical conductor production may be the first electrical conduc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가 치유능을 가지는 고분자 물질은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ethyleneoxide (PEO), Perfluoropolyether (PFPE), polybutylene (PB), poly(ethylene-co-1-butylene), poly(butadiene), hydrogenated poly(butadiene),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 block copolymer 혹은 random copolymer 및 poly(hydroxyalkanoate)의 주쇄(backbone)을 갖는 탄성중합체(elastomer material)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PDMS를 주쇄로 하는 물질로서 PDMS-4,4’-methylenebis(phenyl urea) (MPU)0.4-isophorone bisurea units (IU)0.6.가 자가 치유능을 가지는 고분자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 material having self-healing ability is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ethyleneoxide (PEO), Perfluoropolyether (PFPE), polybutylene (PB), poly (ethylene-co-1-butylene), poly ( butadiene), hydrogenated poly (butadiene), poly (ethylene oxide) -poly (propylene oxide) block copolymer or random copolymer and elastomer material having a backbone of poly (hydroxyalkanoate). For example, PDMS-4,4'-methylenebis (phenyl urea) (MPU) 0.4-isophorone bisurea units (IU) 0.6. As a main material for PDMS can be used as a polymer material having self-healing abil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기전도체는 금속물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g, Au, Cu, Al, W, Mo, Ti, Cr, Ni 및 Pt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ical conductor may be a metal material,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y one or more of Ag, Au, Cu, Al, W, Mo, Ti, Cr, Ni, and Pt You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변형율이 1700% 이하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p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may have a strain rate of 1700% or l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전기전도체는 판상형, 구형, 다각각형, 섬유형 및 부정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ical conductor may have any one or more shapes of plate-like, spherical, polygonal, fibrous and irregul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전기전도체는 500nm 내지 2㎛범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irst electrical conductor may have a size in the range of 500nm to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전기전도체는 50nm 이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lectrical conductor may have a size of 50 nm or less.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에 비해 우수한 신축성을 가지면서도 변형이 일어남에 따라 전기전도도가 향상되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손상이 일어나더라도 자가 치유가 가능하며 자가 치유 후에는 신축성 및 전기적 특성이 여전히 우수한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having superior elasticity and improving electrical conductivity as deformation occurs. In addition, even if damage occurs, self-healing is possible, and after self-heal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having excellent elasticity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SHP-AgF 복합체의 내부 조직을 관찰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SHP-AgF 복합체의 AgF 함량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SHP-AgF 복합체의 변형률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SHP-AgF 복합체의 응력-변형률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SHP-AgF 복합체의 변형률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 및 셀프-부스팅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SHP-AgF 복합체의 셀프-부스팅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SHP-AgF 복합체 내부 구조의 개념도 및 이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SHP-AgF 복합체의 변형에 따른 재배열 메카니즘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SHP-AgF 복합체를 변형시키거나 변형을 유지할 때 내부 구조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PDMS 및 ECOFLEX를 사용하여 제조한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의 특성을 관찰한 결과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SHP-AgF 복합체의 자가 치유능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SHP-AgF 복합체의 자가 치유 후의 전기적 및 기계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제 2 형 SHP-AgF 복합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제 2 형 SHP-AgF 복합체의 변형률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제 2 형 SHP-AgF 복합체의 변형 후 회복되는 과정을 관찰한 결과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제 1 형 및 제 2 형 SHP-AgF 복합체의 반복 하중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제 1 형 및 제 2 형 SHP-AgF 복합체의 응력-변형률 곡선 및 변형률에 따른 전기전도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제 1 형 및 제 2 형 SHP-AgF 복합체로 제조한 다이오드 특성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제 3 형 SHP-AgF 복합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제 3 형 SHP-AgF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순서도의 각 단계에 따라 제조된 결과물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제 3 형 SHP-AgF 복합체의 내부 구조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제 4 형 SHP-AgF 복합체의 내부 구조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제 1 형 및 제 3 형 SHP-AgF 복합체의 전기전도도 편차를 도시한 결과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다양한 형태의 SHP-AgF 복합체의 반복 하중 테스트 결과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제 4 형 SHP-AgF 복합체의 셀프-부스팅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제 4 형 SHP-AgF 복합체로 제조딘 인터커넥터를 이용한 시스템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3은 자기 치유 가능한 인공 피부를 실현하기 위해 구성된 인터커넥터의 제조 단계 및 구성이다.
1 is a result of observ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HP-AgF complex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change in electrical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AgF content of the SHP-AgF composite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change in electrical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strain of the SHP-AgF composite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stress-strain graph of the SHP-AgF composite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the change in electrical conductivity and self-boosting effect according to the strain of the SHP-AgF composite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show the results confirming the self-boosting effect of the SHP-AgF complex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HP-AgF composite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the results of observation.
1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rearrangement mechanism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SHP-AgF complex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the results of observing changes in the internal structure when modifying or maintaining the SHP-AgF complex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result of observing the properties of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prepared using PDMS and ECOFL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result showing the self-healing ability of the SHP-AgF complex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and 16 show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fter self-healing of the SHP-AgF complex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ype 2 SHP-AgF complex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shows the change in electrical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strain of the type 2 SHP-AgF composite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result of observing the process of recovery after modification of the type 2 SHP-AgF complex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shows the results of the repeated load test of the first and second type SHP-AgF composites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and 22 show changes in electrical conductivity according to stress-strain curves and strains of the first and second type SHP-AgF composites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result showing diode characteristics made of the first and second type SHP-AgF composites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ype 3 SHP-AgF complex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ype 3 SHP-AgF complex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6 is a step-by-step view of a result produced according to each step of the flowchart of FIG.
27 is a result of observ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ype 3 SHP-AgF complex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result of observ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ype 4 SHP-AgF complex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result showing variation in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first and third type SHP-AgF composites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result of repeated load tests of various types of SHP-AgF composites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1 shows the self-boosting effect of the type 4 SHP-AgF composite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2 shows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a system using an interconnect made of a type 4 SHP-AgF complex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manufacturing step and configuration of an interconnector configured to realize a self-healing artificial ski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completely.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신축성이 있는 고분자를 매트릭스로 하고 그 내부에 전기전도체 입자들이 분산 분포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신축성이 있는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자가 치유능이 있는 고분자일 수 있다.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stretchable polymer is used as a matrix, and electrical conductor particles are dispersedly distributed therein. The stretchable polymer may be, for example, a self-healing polymer.

자가 치유능을 가진 고분자는 내부 구조에 손상이 발생했을 때 스스로 손상을 치유하여 손상 발생 전의 상태로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고분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고분자는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ethyleneoxide (PEO), Perfluoropolyether (PFPE), polybutylene (PB), poly(ethylene-co-1-butylene), poly(butadiene), hydrogenated poly(butadiene),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 block copolymer 혹은 random copolymer, 및 poly(hydroxyalkanoate)를 주쇄(backbone)로 갖는 탄성중합체(elastomer material)를 포함한다. 상술한 물질들을 주쇄로 하는 탄성중합체에 전구체물질(precusor) 혹은 새로운 유닛(unit)을 첨가하는 방법으로 통해 자가 치유능을 가지는 고분자 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MS를 주쇄로 하는 물질로서 PDMS-4,4’-methylenebis(phenyl urea) (MPU)0.4-isophorone bisurea units (IU)0.6.이 자가 치유능을 가지는 고분자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A polymer having self-healing ability refers to a polymer having the ability to heal damage itself and recover to its pre-damage state when damage to the internal structure occurs. These polymers are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ethyleneoxide (PEO), Perfluoropolyether (PFPE), polybutylene (PB), poly (ethylene-co-1-butylene), poly (butadiene), hydrogenated poly (butadiene), poly (ethylene oxide) -It includes an elastomer material having a poly (propylene oxide) block copolymer or a random copolymer and a poly (hydroxyalkanoate) as a backbone. A polymer material having self-healing ability may be prepared by adding a precursor material or a new unit to the elastomer having the above-described materials as a main chain. For example, PDMS-4,4'-methylenebis (phenyl urea) (MPU) 0.4-isophorone bisurea units (IU) 0.6. As a main material for PDMS can be used as a polymer material having self-healing ability.

다른 예로서, 신축성이 있는 고분자는 PDMS, ECOFLEX, silbio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stretchable polymer may include PDMS, ECOFLEX, silbione, and the like.

내부에 분산 분포하는 전기전도체 입자들은 복합체이 전기전도성을 가지도록 하는 요소이다. 또한 복합체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경우, 내부에서 동적 재배열이 일어나면서 복합체의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일으키게 하는 요인이 된다. Electroconductive particles that are distributed and distributed therein are elements that allow the composite to have electrical conductivity. In addition, when the complex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dynamic rearrangement occurs inside, which is a factor that causes a change i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omplex.

상기 전기전도체 입자는 대표적으로 금속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으로는 Ag, Au, Cu 등 전기전도도가 높은 금속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W, Mo, Ti, Cr, Ni 및 P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입자들은 습식법, 분말야금법 등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제조 방법이나 분쇄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 입자는 구형, 플레이크(flake)형, 판상(plate)형, 섬유(fiber)형, 와이어(wire)형 등의 형상를 가지며, 형태를 특정할 수 없는 부정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electroconductive particles may typically include metal particles. The metal may include metals having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such as Ag, Au, and Cu. In addition, W, Mo, Ti, Cr, Ni and Pt may be included. These metal particles may be manufactured by a wet method, a powder metallurgy method, or the like, and may have various shapes according to a manufacturing method or a grinding method. For example, the metal particles may have a shape of a spherical shape, a flake shape, a plate shape, a fiber shape, a wire shape, and the like, and may have an irregular shape that cannot specify a shape. have.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에 있어서 분산 분포하는 전기전도체는 다른 크기의 동일 물질의 입자들이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는 클러스터(cluster)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편의를 위하여 입자의 크기가 큰 것을 제 1 전기전도체 입자라 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는 입자를 제 2 전기전도체 입자라 한다. 예를 들어, 제 1 전기전도체 입자는 500nm 내지 2㎛범위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제 2 전기전도체 입자는 50nm 이하(0 초과)의 크기 범위를 가질 수 있다. In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conductors distributed and distributed are characterized by forming clusters in which particles of the same material of different sizes are disposed close to each other. For convenience, a particle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is referred to as a first electric conductor particle, and a particle having a relatively small size is referred to as a second electric conductor particle.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conductor particles may have a size in the range of 500 nm to 2 μm, and the second electroconductor particles may have a size range of 50 nm or less (greater than 0).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예시적으로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고분자를 용해한 용액에 전기전도체 입자를 투입하여 제조한 혼합용액을 건조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전기전도체 입자는 이러한 혼합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원료일 수 있다. 또한 제 2 전기전도체 입자는 투입된 제 1 전기전도체 입자를 공급원으로 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기전도체 입자가 금속 입자일 경우, 매트릭스 내에서 상기 금속입자 표면에 형성된 산화층으로부터 금속이온이 매트릭스로 확산되어 가는 과정에 매트릭스로부터 공급되는 전자와 결합하여 나노 수준의 크기를 가지는 제 2 전기전도체 입자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금속 입자는 공급원인 제 1 금속 입자의 주변에 분산되어 분포되게 된다.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may be prepared by drying a mixed solution prepared by injecting electrical conductor particles into a solution in which a polymer constituting a matrix is dissolved, and the first electrical conductor particles are introduced to prepare such a mixed solution. It can be a raw material.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conductor particles may be produced by using the input first electroconductor particles as a source. For example, when the first electroconductive particle is a metal particle, a metal having a nano-scale size by combining with electrons supplied from the matrix while metal ions are diffused into the matrix from the oxide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etal particle in the matrix 2 Electroconductive particles can be formed. Therefore, the second metal particles are dispersed and distributed around the first metal particles as a source.

이러한 미세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고분자의 사슬 구조가 재배열 되면서 소성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매트릭스의 소정 변형 중에 그 내부에 분포한 전기전도체 클러스터도 재배열이 일어나게 되며, 이러한 전기전도체 클러스터에 의해 전기전도도 특성의 현저한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fine structure, plastic deformation occurs as the chain structure of the polymer constituting the matrix is rearranged. During the predetermined deformation of the matrix, the electrical conductor clusters distributed therein also rearrange,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al conductor clusters are remarkably changed.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복합체는 외력에 의해 길이가 연신되는 과정 중에 전기전도도의 증가가 나타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외력을 인가하여 복합체의 길이를 연신시키는 변형을 일으킨 후 상기 변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할 경우 변형 초기에 비해 전기전도도의 현저한 증가가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험예를 통해 보다 자세하게 기술하도록 한다. For example, the composi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hibit an increase in electrical conductivity during a process in which the length is stretched by an external force. As another example,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in a state in which the deformation is maintained after the deformation of stretching the length of the composite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a significant increase in electrical conductivity may occur compared to the initial deformation.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perimental examples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제 1 형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전기전도체 클러스터가 무작위적으로 분산 분포하는 형태이다. The type 1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is a type in which an electric conductor cluster is randomly distributed in a polymer matrix.

제 2 형태는 상기 제 1 형태의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전기전도체 입자를 포함하지 않은 자가 치유능이 있는 고분자를 접합시켜 캐핑 영역을 형성한 형태이다. The second form is a form in which a capping region is formed by bonding a self-healing polymer containing no electrical conductor particles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of the first shape.

제 3 형태는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상대적으로 전기전도체 클러스터의 밀도가 높은 고밀도 영역과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영역 저밀도 영역으로 구분되는 형태이다. The third form is a type that is divided into a high-density region with a relatively high dens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clusters and a low-density region with a relatively low density in the polymer matrix.

제 4 형태는 상기 제 3 형태의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전기전도체 입자를 포함하지 않은 자가 치유능이 있는 고분자를 접합시켜 캐핑 영역을 형성한 형태이다.The fourth form is a form in which a capping region is formed by bonding a self-healing polymer containing no electrical conductor particles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of the third shape.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험예에 대해서 기술한다. 본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본 실험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experimental examples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is experimental example is provided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perimental example.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본 실험예에서는 매트릭스를 이루는 고분자를 자가 치유능이 있는 PDMS-4,4’-methylenebis(phenyl urea) (MPU)0.4-isophorone bisurea units (IU)0.6..을 선택하였으며, 전기전도체 입자로는 플레이트 형태의 Ag 입자를 선택하였다.  In this Experimental Example, PDMS-4,4'-methylenebis (phenyl urea) (MPU) 0.4-isophorone bisurea units (IU) 0.6 .., which are self-healing polymers of the matrix, were selected. Ag particles were selected.

PDMS-4,4’-methylenebis(phenyl urea) (MPU)0.4-isophorone bisurea units (IU)0.6)(이하 ‘SHP’라 함) 1.5g을 클로로포름 8mL와 혼합하여 용액을 제조한 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에 플레이크 형상의 Ag 입자(이하 ‘AgF’라 함)를 첨가한 후 용액 안에 분산시키기 위하여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이 완료된 혼합용액을 옥타데실드리메톡시신란(octadecyltrimethoxysilane, OTMS)로 처리된 실리콘 다이옥사이드(SiO2) 웨이퍼 위에 붓고 1 시간 동안 실온에서 경화시켜 필름 형태의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이하 이를 “SHP-AgF 복합체”라고 한다)를 제작하였다. 필름 형태의 시편은 경화가 끝난 후 OTMS 처리된 기판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었다. AgF:SHP의 중량비(weight ratio)는 각각 2:1, 3:1, 4:1 및 5:1로 변화시켰으며, 이를 각각 시편 1, 시편 2, 시편 3 및 시편 4로 명명한다. AgF의 크기 분포(입도 분포)는 500nm 내지 2㎛범위를 가졌으며, 이는 동적 광산란(dynamic light scattering)으로 확인하였다.1.5 g of PDMS-4,4'-methylenebis (phenyl urea) (MPU) 0.4-isophorone bisurea units (IU) 0.6) (hereinafter referred to as 'SHP') was mixed with 8 mL of chloroform to prepare a solution and stirred for 1 hour. Did. After adding flake-shaped Ag partic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gF') to the solution, the mixture was stirred for 30 minutes to disperse in the solution. The stirred mixed solution is poured onto a silicon dioxide (SiO 2 ) wafer treated with octadecyltrimethoxysilane (OTMS) and cur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to form a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in the form of a film (hereinafter referred to as “SHP-AgF composite”) It is produced). The film-shaped specimen could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OTMS-treated substrate after curing. The weight ratio of AgF: SHP was changed to 2: 1, 3: 1, 4: 1 and 5: 1, respectively, and it is referred to as Specimen 1, Specimen 2, Specimen 3 and Specimen 4, respectively. The size distribution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AgF ranged from 500 nm to 2 μm, which was confirmed by dynamic light scattering.

도 1 (a), (b), (c) 및 (d)는 각각 시편 1, 시편 2, 시편 3 및 시편 4의 미세조직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SHP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AgF의 군집체(agglomerate)들이 관찰되며, AgF의 중량비가 높을수록 AgF 군집체가 더 많이 관찰됨을 확인할 수 있다. 1 (a), (b), (c), and (d) show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microstructures of Specimen 1, Specimen 2, Specimen 3 and Specimen 4, respectively,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Referring to FIG. 1, it can be seen that aggregates of AgF dispersed in the SHP matrix (agglomerates) are observed, and the higher the weight ratio of AgF, the more AgF aggregates are observed.

도 2에는 제조된 시편들의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편 내 AgF의 부피비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도시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3 차원 퍼콜레이션 이론(percolation theory)에 따라 식 1을 지수 변환한 식 2에 의해 피팅한 결과를 도 2에 같이 도시하였다. 식 1 및 식 2에서 ρ는 시편의 전기전도도, ρ0 는 필러(filler)의 전기전도도, Vf 0 및 Vc 0 는 각각 필러의 부피비 및 퍼콜레이션 초기 문턱값이며, s는 임계 지수 이다. Figure 2 shows the results showing the change in electrical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volume ratio of AgF in the specimen to confirm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specimens. The result of fitting equation 1 to equation 2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percolation theory is shown in FIG. 2. In Equations 1 and 2, ρ i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pecimen, ρ 0 i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filler, V f 0 and V c 0 are the volume ratio of the filler and the initial threshold of percolation, respectively, and s is the critical index.

도 2를 참조하면, 시편 1 및 시편 4의 초기 전도도(즉, 시편을 제조한 후 변형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전도도)는 19.29Scm-1 및 833.33Scm-1로서, 시편 내에 포함된 AgF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ring to Figure 2, the initial conductivity of the specimen 1 and specimen 4 (i.e., the conductivity in the state without deformation after preparing the specimen) is 19.29Scm -1 and 833.33Scm -1 , the content of AgF contained in the specimen It could be confirmed that as this increase, it increased.

ρ = ρ0(Vf0-Vc0)s (식 1)ρ = ρ 0 (Vf 0 -Vc 0 ) s (Equation 1)

log(ρ) =s[logρ0]+log(Vf0-Vc0) (식 2)log (ρ) = s [logρ 0 ] + log (Vf 0 -Vc 0 ) (Equation 2)

도 3에는 시편 1 내지 시편 4를 상온에서 1200% 변형률(strain)까지 분당 100% 변형 속도로 연신 시키면서 전기전도도(conductivity)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반적으로 시편들은 초기 연신이 진행될 때 전기전도도가 증가하나 일정 이상의 변형률을 넘어서는 다시 전기전도도가 다소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변형이 인가되기 전에 비해서는 현저하게 높은 전기전도도를 나타내었으며, 변형량이 1000%가 넘는 심한 변형이 인가되더라도 높은 전기전도도를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시편 3(AgF:SHP 4:1)의 경우에는 1200% 변형에서 가장 높은 전기전도도(741Scm-1)를 보였다. 시편 내 포함된 AgF의 함량이 높을수록 변형률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시편 1(AgF:SHP 2:1)의 경우에는 AgF의 함량이 낮아 전기전도도가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변형률에 따라서도 큰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시편 4(AgF:SHP 5:1)의 경우에는, 변형량에 따라 급격한 전기전도도 증가를 나타내었다. 다만, 높은 AgF 함량에 따른 취성 증가로 인하여 변형 초기에 시편의 파단이 발생됨에 따라 전기적 단락이 발생되었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응력(stress)-변형률(strain) 그래프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Figure 3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hange in electrical conductivity (conductivity) in real time while stretching the specimens 1 to 4 at room temperature to 100% strain rate per minute to 1200% strain (strain). Referring to FIG. 3, overall, the specimens showed an increase in electrical conductivity as the initial stretching progressed, but again a decrease in electrical conductivity over a certain strain. However,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the deformation was applied,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high even when severe strain exceeding 1000% was applied. For example, specimen 3 (AgF: SHP 4: 1) showed the highest electrical conductivity (741Scm -1 ) at 1200% strain. The higher the content of AgF contained in the specimen, the higher the increase rate of electrical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strain. In the case of Specimen 1 (AgF: SHP 2: 1), the AgF content was low, resulting in a low electrical conductivity, and no significant increase in strai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pecimen 4 (AgF: SHP 5: 1), the electrical conductivity rapid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deformation. However, due to the increased brittleness due to the high AgF content, an electrical short circuit occurred as the specimen fractured in the early stage of deformation. This can be confirmed from the stress-strain graph shown in FIG. 4.

도 5에는 시편 3에 대해서 1700% 변형률까지 연신시킨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시편 3의 경우에는 1700% 변형까지 연신 될 뿐만 아니라 599 Scm-1의 높은 전기전도도를 유지할 수 있었다. 시편 3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80℃ 및 130℃에서 어닐링한 경우의 변형률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결과를 측정하였으며, 도 5에 이를 도시하였다. 어닐링을 수행할 경우 시편 3의 신축성과 전도성이 저하되었으며, 이는 대부분 AgF의 산화 또는 고분자 매트릭스의 응집 때문으로 해석된다. 5 shows the result of stretching the specimen 3 to 1700% strain. Referring to FIG. 5, in the case of specimen 3, it was not only stretched to 1700% strain, but was able to maintain a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of 599 Scm -1 . For the specimen 3, the results of electrical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strain when annealing at 80 ° C and 130 ° C were additionally measured, and this is illustrated in FIG. 5. When the annealing was performed, the elasticity and conductivity of the specimen 3 was deteriorated, which is interpreted mostly because of oxidation of AgF or aggregation of the polymer matrix.

한편, 도 5에는 시편 3을 1700% 변형률까지 연신한 다음 변형률을 유지한 상태에서 1시간 유지한 경우 및 20시간 동안 유지한 경우의 전기전도도의 변화가 나타나 있다. 초기 599Scm-1를 나타내던 전기전도도는 1시간 유지 시 약 1000Scm-1로 증가하였으며, 최종 20시간 유지 후에는 2579S cm-1로 4배 이상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On the other hand, Fig. 5 shows the change in electrical conductivity when the specimen 3 is stretched to 1700% strain and then held for 1 hour while maintaining the strain, and for 20 hour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initial 599Scm -1 increased to about 1000Scm -1 when maintained for 1 hour, and rapidly increased to 4,479S cm -1 after the final 20 hours maintenance.

이러한 현상을 점 더 자세히 관찰하기 위하여 시편 3에 대해서 전기 저항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400% 변형률로 연신한 후 20분간 유지하는 단계를 총 4회 실시하였으며, 이 결과를 도 6 및 도 7에 도시하였다. In order to observe these phenomena in more detail, a total of 4 steps were performed after stretching at 400% strain while real-time monitoring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specimen 3 for 4 minute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6 and 7. .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400%, 800%, 1200% 및 1600%의 변형량에 도달 한 직후의 저항 값(Resistance) 각각 3.19 Ω, 9.49 Ω, 49.8 Ω 및 4.79 kΩ이었다. 해당 변형량을 20 분 동안 유지 한 후에 저항 값을 측정한 결과, 2.62 Ω, 6.61 Ω, 23.91 Ω 및 102.68 Ω로 감소했다. 특히 1600%의 변형률로 연신한 후 11시간을 유지한 경우 저항 값은 17.8Ω로서, 연신 된 직후 상태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저항값을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변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전기전도도가 연속적으로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6 and 7, the resistance values immediately after reaching deformation amounts of 400%, 800%, 1200%, and 1600% were 3.19 Ω, 9.49 Ω, 49.8 Ω, and 4.79 kΩ, respectively. After the corresponding amount of strain was maintained for 20 minutes, resistance values were measured, and the results were reduced to 2.62 Ω, 6.61 Ω, 23.91 Ω, and 102.68 Ω. In particular, when 11 hours were maintained after stretching at a strain of 1600%, the resistance value was 17.8 Ω,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tate immediately after stretching. From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continuously increased as time elapsed while maintaining the deformation.

추가적으로 연신 전 후의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800%로 변형 한 후 2시간동안 유지하고 이를 1000%까지 연신한 경우의 전기전도도와, 이러한 단계 없이 바로 1000%로 연신한 경우의 전기전도도와 비교하였으며, 이 결과를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8의 도시된 경로 1)은 1000% 변형률로 연신된 시편 3을 800% 변형률로 이완시키는 단계이며, 경로 2)는 2시간 동안 유지하는 단계이며, 경로 3은 다시 1000% 변형률로 연신시키는 단계이다. In addition, in order to observe the change in electrical conductivity before and after stretching, it is transformed to 800% and maintained for 2 hours, and compared with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hen stretched to 1000%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hen stretched to 1000% without these steps. Fig. 8 shows the results. The path 1) shown in FIG. 8 is a step of relaxing the specimen 3 stretched at 1000% strain to 800% strain, the path 2) is a step of maintaining for 2 hours, and the path 3 is stretching again at 1000% strain. to be.

초기 이러한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1000% 변형률로 연신된 경우의 전기전도도는 608.8Scm-1이었으나, 상술한 단계를 거친 경우에는 841.7Scm-1로 더 높은 값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복합체의 경우, 외력에 의해 변형이 일어난 후 상기 변형이 유지되는 동안 내부 구조의 재배열에 의해 전기적 특성의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을 발견한 본 발명자는 이를 "셀프 - 부스팅(self-boosting)"현상으로 명명하였다.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ase without such an initial step of directly stretched to 1000% strain is yieoteuna 608.8Scm -1, when subjected to the above-described steps, it was confirmed to represent a higher value to 841.7Scm -1. This means that in the case of the composi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deformation is caused by external force, the electrical properties are changed by rearrangement of the internal structure while the deformation is maintained. The inventors who discovered this phenomenon called it the "self-boosting" phenomenon.

이러한 셀프-부스팅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SHP 내에 분산된 AgF의 거동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is self-boosting, the behavior of AgF dispersed in SHP was investigated.

도 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SHP-AgF 복합체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및 이를 실제 관찰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9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HP-AgF complex prepa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ults of actual observation thereof.

도 9의 (a)를 참조하면, SHP-AgF 복합체는 제 1 형 SHP-AgF 복합체로서, SHP 매트릭스 내에 AgF가 무작위적으로 분산된 미세 구조를 갖는다. 더 나아가 상기 SHP-AgF 복합체는 상기 AgF의 주변에 분산 분포되어 있는 자발적으로 형성된 나노수준의 크기의 Ag나노입자(이하 이를 ‘AgNP’라 한다)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a), the SHP-AgF complex is a type 1 SHP-AgF complex, and has a microstructure in which AgF is randomly dispersed in the SHP matrix. Furthermore, the SHP-AgF complex further includes spontaneously formed nano-sized Ag nanopartic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gNP”) that are distributed and distributed around the AgF.

도 9의 (b) 내지 (c)에는 이러한 SHP-AgF 복합체의 내부 구조를 투과전자현미경(TEM) 및 에너지 분광 분석 장치(EDS)로 관찰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도 9의 (b) 내지 (d)를 참조하면, 플레이트 형태의 AgF 주변에 약 20nm 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대략 구형의 AgNP들이 분산 분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9 (b) to 9 (c) show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HP-AgF complex wit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and an energy spectroscopy device (EDS). Referring to (b) to (d) of FIG. 9, it can be confirmed that approximately spherical AgNPs having a diameter of about 20 nm or less are distributedly distributed around the AgF in the form of a plate.

상기 AgNP는 복합체 제조에 사용된 AgF가 제조 과정 중에 매트릭스인 SHP의 반응에 의해 자발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즉, AgNP는 AgF의 표면에서 생성되는 Ag2O로부터 생성되는 Ag+ 이온이 매트릭스로 확산되면서 SHP의 카르보닐기로부터 전자를 제공받아 형성된 것일 수 있다. The AgNP is interpreted to be spontaneously formed by the reaction of SHP, which is a matrix,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at is, AgNP may be formed by receiving electrons from the carbonyl group of SHP as Ag + ions generated from Ag 2 O generated on the surface of AgF diffuse into the matrix.

AgF 사이에 자발적으로 형성된 AgNP는 전도성 경로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gF 주변에 다수의 AgNP이 분산 분포되어 있는 구조를 AgF-AgNP 클러스터로 명명한다. AgNP spontaneously formed between AgFs ma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conductive pathway. In this specification, a structure in which a number of AgNPs are distributed and distributed around AgF is referred to as an AgF-AgNP cluster.

도 10 에는 변형된 SHP 매트릭스에서 AgF-AgNP 클러스터의 자기 정렬 및 재배열에 대한 메카니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단계별로 SHP-AgF 복합체의 미세구조를 μ-CT와 in-situ SEM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FIG. 10 schematically shows a mechanism for self-alignment and rearrangement of AgF-AgNP clusters in a modified SHP matrix. 11 and 12 are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microstructure of the SHP-AgF complex in steps shown in FIG. 10 by μ-CT and in-situ SEM.

도 10의 좌측 상단부 및 하단부를 참조하면, SHP 매트릭스 내에 AgF-AgNP 클러스터가 분산 배치되어 있어 있는 상태에서 인장응력에 의해 특정한 방향으로 연신(stretching)이 일어나게 된다. Referring to the upper left and lower parts of FIG. 10, stretching is performed in a specific direction by tensile stress in a state in which AgF-AgNP clusters are dispersedly disposed in the SHP matrix.

다음 도 10의 우측 하단부를 참조하면, SHP-AgF 복합체의 연신이 증가함에 따라, AgF-AgNP 클러스터는 인장 응력의 방향으로 정렬되고, 효율적인 퍼콜레이션(percolation) 경로로 인해 SHP-AgF 복합체의 전기전도도가 향상된다. 이는 퍼콜레이션 경로의 유효 길이가 SHP 매트릭스에서 AgF-AgNP 클러스터의 자기 정렬 및 재배열을 통해 SHP-AgF 복합체의 연신 후에 더 짧아지게 때문이다. 이러한 단계를 관찰한 결과가 도 11 및 도 12(a)에 나타나 있다.Next, referring to the lower right portion of FIG. 10, as the elongation of the SHP-AgF complex increases, the AgF-AgNP clusters are aligned in the direction of tensile stress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HP-AgF complex due to the efficient percolation path. Is improved. This is because the effective length of the percolation pathway becomes shorter after stretching of the SHP-AgF complex through self-alignment and rearrangement of AgF-AgNP clusters in the SHP matrix. The results of observing these steps are shown in FIGS. 11 and 12 (a).

다음 도 10의 우측 중단부를 참조하면, 고도로 연신된 상태에서 자기 정렬 된 경로는 SHP의 작은 균열로 인해 부분적으로 파손되어 약해지며, 이로 인해 전기전도도의 감소가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도 12의 (b)에 도시된, 균열된 SHP에 조직화 된 AgF-AgNP 클러스터의 자기 정렬과 자기 정렬 된 AgF-AgNP 클러스터의 부분적인 단절(Disconnected pathway)을 보여주는 1000% 변형시의 SEM 이미지로 확인 할 수 있다. SHP-AgF 복합체의 높은 신축성은 SHP의 높은 인성 및 신축성으로 인해 SHP 내에 균열이 있는 경우에도 퍼콜레이션 경로를 유지한다. Next, referring to the right middle portion of FIG. 10, the self-aligned path in the highly stretched state is partially broken and weakened due to small cracks in the SHP, thereby reducing electrical conductivity. This phenomenon is shown in Fig. 12 (b), SEM at 1000% strain showing self-alignment of AgF-AgNP clusters organized in cracked SHP and partial disconnection of self-aligned AgF-AgNP clusters. You can check it with an image. The high elasticity of the SHP-AgF complex maintains the percolation pathway even if there is a crack in the SHP due to the high toughness and elasticity of the SHP.

다음 도 10의 우측 상단부를 참조하면, 변형이 유지된 상태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AgF-AgNP 클러스터가 재배열되면서 자연스럽게 퍼콜레이션 경로가 복원되며 이에 따라 전기전도도는 원래상태보다 훨씬 높은 값으로 증가된다. 도 12의 (c)를 참조하면, 1000% 변형에서 단절되었던 AgF 입자들이 변형이 유지되는 동안 재배열되어, 분리 된 AgF-AgNP는 서로 접촉하거나 가까워져 전도성 경로가 회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Next, referring to the upper right portion of FIG. 10, the AgF-AgNP cluster is rearranged over time while the strain is maintained, and the percolation path is naturally restored, and accordingly,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s increased to a much higher value than the original state. Referring to (c) of FIG. 12, AgF particles that were disconnected at 1000% strain are rearranged while the strain is maintained, and it can be seen that the separated AgF-AgNPs are in contact with or close to each other to restore the conductive path.

이러한 전기전도도의 향상은 변형된 SHP 매트릭스에서 AgF-AgNP 클러스터의 동적 재배열로 설명 할 수 있다. AgF-AgNP 클러스터의 재배열은 주요한 구동력인 SHP-AgF 복합체의 응력 이완 효과(stress relaxation effect)에 의해 기인할 수 있다. This improvement in electrical conductivity can be explained by the dynamic rearrangement of AgF-AgNP clusters in the modified SHP matrix. Rearrangement of the AgF-AgNP cluster may be caused by the stress relaxation effect of the SHP-AgF complex, which is the main driving force.

이러한 응력 이완 효과는 과량의 AgF에 기인한 낮은 가교 결합 밀도로 인하여 매트릭스 자유 체적이 증가로 설명될 수 있으며, 낮은 가교 결합 밀도는 AgNP의 자발적 형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  This stress relaxation effect can be explained by an increase in matrix free volume due to low crosslinking density due to excessive AgF, and low crosslinking density can be explained by spontaneous formation of AgNP.

본 실험예에 추가하여 매트릭스가 되는 고분자를 PDMS 중 자가 치유능이 없는 비자발 회복 고분자인 Sylgard 184 및 ECOFLEX로 선택하여 응력 이완에 의한 셀프-부스팅 효과가 나타나는지 여부에 대해서 확인하였으며, 이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In addition to this experimental example, the polymer to be the matrix was selected as Sylgard 184 and ECOFLEX, which are self-healing polymers without self-healing ability among PDMS, and it was confirmed whether or not a self-boosting effect due to stress relaxation was exhibited. Did.

도 13의 (a)는 매트릭스로 PDMS(Sylgard 184) 및 ECOFLEX를 사용한 복합체의 응력-변형률 그래프가 나타나 있으며, 도 13의 (b)에는 변형률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 및 셀프-부스팅 효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분자 매트릭스로 Sylgard 184 및 ECOFLEX를 사용한 경우에도 역시 셀프-부스팅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고분자-AgF 복합체에 있어서 응력 이완 효과가 전기전도도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3 (a) shows a graph of stress-strain of a composite using PDMS (Sylgard 184) and ECOFLEX as a matrix, and FIG. 13 (b) shows a change in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 self-boosting effect according to the strain. have. As shown in FIG. 13,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boosting effect was also exhibited when Sylgard 184 and ECOFLEX were used as the polymer matrix. From thi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stress relaxation effect in the polymer-AgF composite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SHP를 매트릭스로 사용한 SHP-AgF 복합체는 자가 접합(self-bonding)에 의한 우수한 자가 치유(self-healing)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14의 (a)는 시편 3의 SHP-AgF 복합체가 절단된 형태를 보여주며, 도 14의 (b)는 상온에서 절단된 부분을 다시 접합시켰을 경우 자가 치유에 의해 절단된 부분이 정상적인 형태로 회복된 결과를 나타낸다. 자가 접합에 의해 계면영역이 제거되어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SHP-AgF complex using SHP as a matrix showed excellent self-healing effect by self-bonding. Fig. 14 (a) shows the cut form of the SHP-AgF complex of specimen 3, and Fig. 14 (b) shows that the part cut by self-healing is in a normal form when the cut part is rejoined at room temperature. The recovered results are shown. The interface region is removed by self-bonding, and it is composed of one body to confirm the process.

도 15는 절단 된 시편 2를 자가 치유 시킨 후 변형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시편 2의 경우에 자가 치유 후에도 연신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가 자가 치유 전에 비해 크게 변화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15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change in electrical conductivity according to deformation after self-healing the cut specimen 2. In the case of specimen 2, it can be confirmed that even after self-healing, the change in electrical conductivity due to stretching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compared to before self-healing.

자가 접합 단계에서 가열할 경우 자가 치유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열온도는 예를 들어 50℃ 내지 100℃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6은 시편 3에 대해서 절단 후 자가 치유시 열을 인가하는 경우의 연신 특성을 관찰한 것으로서, 자가 치유시 60℃로 열을 인가할 경우에 절단 전 SHP-AgF 복합체(pristine)와 유사한 수준으로 연신 특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가 절단 전 SHP-AgF 복합체(pristine)를 100% 라고 할 때 상온에서는 30% 였으나 60℃로 가열한 경우에는 92%였다. 가열함에 따라 자가 치유 효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When heated in a self-bonding step, self-healing ability may be improved. The heating temperature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in the range of 50 ° C to 100 ° C. FIG. 16 shows the stretching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applying heat when self-healing after cutting for specimen 3, and when applying heat to 60 ° C during self-healing, at a level similar to that of the SHP-AgF complex (pristine) before cutt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etching properties were exhibited. When the SHP-AgF complex (pristine) was 100% before self-cutting, it was 30% at room temperature, but 92% when heated to 60 ° C. It can be seen that the self-healing efficacy is improved as it is hea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SHP-AgF 복합체의 구조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를 따르는 SHP-AgF 복합체(200)는 제 1 형 SHP-AgF 복합체(201)의 상부 및 하부에 AgF를 포함하지 않은 SHP를 적층하여 캡핑(capping) 영역(202, 203) 제조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를 제 2 형 SHP-AgF 복합체로 명명한다. 제 2 형 SHP-AgF 복합체는 제 1 형 SHP-AgF 복합체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AgF를 포함하지 않는 SHP를 적층시킨 후 자가 접합에 의해 서로 접합되게 함으로써 캡핑 영역을 제조할 수 있다. 이미 기술한바와 같이 SHP는 자가 치유에 의해 절단된 면이 서로 접합될 경우 자발적으로 접합되어 연속체를 이루게 된다. 실험을 위해 시편 3의 SHP-AgF 복합체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SHP를 접합시켜 시편 5를 제조하였다. The structure of the SHP-AgF comple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17. Referring to FIG. 17, the SHP-AgF composit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tacks SHP-free AgF on top and bottom of the first type SHP-AgF composite 201 to form a capping region 202 , 203). This form is called type 2 SHP-AgF complex. The type 2 SHP-AgF composite may be prepared by laminating SHP-free AgF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ype 1 SHP-AgF composite, and then bonding to each other by self-bonding, thereby forming a capping region. As described above, SHP spontaneously joins to form a continuum when the faces cut by self-healing are joined together. For the experiment, specimen 5 was prepared by bonding SHP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HP-AgF composite of specimen 3.

도 18에는 시편 5의 변형률에 따른 전기전도도 결과 및 시편 3과 시편 5의 파괴에너지(Fracture energy)를 비교한 그래프가 같이 나타나 있다. 18 shows a graph comparing the results of electrical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strain of specimen 5 and the fracture energy of specimen 3 and specimen 5.

도 18을 참조하면, 시편 5는 3500% 변형률까지 파괴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이때의 전기전도도는 1137Scm-1이었다. 또한 60시간 유지 후 셀프 부스팅에 의해서 3086Scm-1까지 전기전도도가 급등하였다. 이러한 전례없는 전기적 및 기계적 특성은 SHP-AgF 복합체와 캡핑 영역인 SHP 사이의 계면에서의 효과적인 에너지 이완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제 1 형 SHP-AgF 복합체인 시편 3의 파괴에너지에 비해 SHP와 SHP-AgF 복합체가 이루는 계면이 형성된 시편 5의 파괴에너지가 현저하게 높은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8, the specimen 5 did not break up to a strain of 3500%,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t this time was 1137Scm -1 . In addition, after maintaining for 60 hour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soared to 3086Scm -1 by self-boosting. These unprecedented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re interpreted to be due to the effective energy relaxation effect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HP-AgF composite and the capping region SHP. This can be confirmed from the result that the fracture energy of the specimen 5 having the interface formed by the SHP and the SHP-AgF composite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specimen 3, which is a type 1 SHP-AgF composite.

또한 제 2 형 SHP-AgF 복합체에서도 제 1 형 SHP-AgF 복합체에서와 같은 셀프-부스팅 효과가 나타남도 같이 확인할 수 있었다. In addi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self-boosting effect as in the type 1 SHP-AgF complex appeared in the type 2 SHP-AgF complex.

도 19의 (a) 및 (b)에는 시편 5를 각각 100% 및 200% 변형한 후 시간에 따라 회복되는 과정을 관찰한 결과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시편 5를 연신한 후 초기에는 벤딩(bending)이 발생하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벤딩된 부분이 펴지면서 처음 시편의 형상으로 빠르게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9 (a) and (b) show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process of recovering over time after deforming the specimen 5 by 100% and 200%, respectively. Referring to FIG. 19, it can be seen that bending occurs at an initial stage after stretching the specimen 5, but rapidly recovers to the shape of the first specimen as the bent portion expands over time.

도 20은 시편 3과 시편 5에 대해서 주기적으로 연신(Strech)/이완(Realse)을 10 반복한 경우의 특성을 관찰한 결과이다. 도 20의 “w/o encapsulation”은 시편 3을 의미하고, “w/ encapsulation”은 시편 5를 의미하며, 다른 도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FIG. 20 is a result of observing the properties of the specimen 3 and the specimen 5 when the stretching (Strech) / relaxation (Realse) is repeated 10 periodically. “W / o encapsulation” in FIG. 20 means specimen 3, “w / encapsulation” means specimen 5, and so on in other drawings.

도 20의 (a)에는 실험에 사용된 시편의 형상이 나타나 있으며, (b) 및 (c)에는 시편 3 및 시편 5의 응력-변형률 결과가 나타나 있다. 도 20의 (b) 및 (c)를 참조하면, 시편 5가 시편 3에 연신 된 후 회복되는 능력이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20의 (d)는 동일한 시편들에 대해서 1차 연신하고 10분 경과 후에 다시 2차 연신한 경우의 응력-변형률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시편 5가 시편 3에 비해 시간 경과에 따른 에이징 효과(aging effect)가 상대적으로 나타나지 않음을 나타낸다. 20 (a) shows the shape of the specimen used in the experiment, and (b) and (c) show the stress-strain results of the specimen 3 and the specimen 5. Referring to (b) and (c) of FIG. 20, it can be seen that the ability to recover after the specimen 5 is stretched to the specimen 3 is better. FIG. 20 (d) shows the stress-strain results when the primary specimens were first stretched for the same specimens and then stretched again after 10 minutes, and the aging effect of specimen 5 over time compared to specimen 3 ( aging effect).

도 21는 시편 3 및 시편 5의 자가 치유 후 응력-변형률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도 22는 변형률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21 및 도 22를 모두 참조하면, 시편 5가 시편 3에 비해 더 우수한 연신 특성을 나타내며, 연신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가 작아 더 안정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21 shows the results of stress-strain after self-healing of specimens 3 and 5, and FIG. 22 shows the results of changes in electrical conductivity according to strain. Referring to both FIGS. 21 and 22, it can be seen that the specimen 5 exhibits better stretching characteristics than the specimen 3, and the change in electrical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stretching is small and thus more stable.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SHP-AgF 복합체의 셀프-부스팅 효과는 극한의 변형 조건 하에서도 기존 전자 장치가 여전히 잘 작동 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The self-boosting effect of the SHP-AgF composi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nable the existing electronic device to still work well even under extreme deformation conditions.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시편 3 및 시편 5를 이용하여 다이오드를 제작한 후 전압에 따른 전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도 23에 그 결과가 나타나 있다. In order to prove this, after the diode was manufactured using the specimen 3 and the specimen 5, the current change according to the voltage was observ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23.

도 23의 (b)를 참조하면, 시편 3(w/o Encapsulation)의 경우 초기에는 전형적인 다이오드의 전압-전류 특성을 나타내었으나, 1700%의 변형 후에는 저항의 증가로 인하여 전압-전류 특성이 크게 변화하였다. 그러나 셀프-부스팅 효과에 의하여 유지 시간이 15분, 30분, 45분 및 60분으로 증가하면서 AgF의 동적 재배열에 의해 초기 다이오드의 성능을 회복하였다. Referring to (b) of FIG. 23, in the case of specimen 3 (w / o Encapsulation), the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of a typical diode was initially shown, but after the deformation of 1700%, the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was largely due to an increase in resistance. Changed. However, due to the self-boosting effect, the retention time was increased to 15 minutes, 30 minutes, 45 minutes and 60 minutes, and the performance of the initial diode was restored by the dynamic rearrangement of AgF.

반면, 도 23의 (a)를 참조하면, 시편 5(w/ Encapsulation)의 경우에는 초기의 다이오드 특성과 비교하여 1700% 변형 후에는 약간의 다이오드 특성 변화만이 있었으며, 변형 후 일정 시간 유지 후에는 셀프-부스팅 효과에 의해 다이오드의 특성이 초기로 회복하였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a) of FIG. 23, in the case of specimen 5 (w / Encapsulation), there was only a slight change in diode characteristics after 1700% deformation compared to the initial diode characteristic, and after maintaining a certain time after deform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ode were initially restored by the self-boosting effect.

이로부터 제 1 형 SHP-AgF 복합체 및 제 2 SHP-AgF 복합체를 전자 소자에 적용할 때의 셀프-부스팅 효과를 증명할 수 있었으며, 전기적 안정성 측면에서는 제 2 형 SHP-AgF 복합체가 제 1 형 SHP-AgF 복합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우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From this, the self-boosting effect when applying the type 1 SHP-AgF complex and the type 2 SHP-AgF complex to electronic devices could be demonstrated, and in the aspect of electrical stability, the type 2 SHP-AgF complex is the type 1 SHP-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relatively superior to the AgF complex.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HP-AgF 복합체의 구조가 도 2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SHP-AgF 복합체(400)는 SHP 매트릭스 내에 AgF가 불균일하게 분산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AgF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고밀도 영역(401)과 상기 고밀도 영역으로부터 상기 복합체의 어느 하나의 표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분산되되, AgF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저밀도 영역(402)을 포함한다. 이때 고밀도 영역(401)에서 저밀도 영역(402)로의 방향으로 AgF의 밀도는 연속적으로 감소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서 밀도가 단속적으로 감소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고밀도 영역(401)을 중심으로 하고 저밀도 영역(402)이 고밀도 영역(401)을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표면 또는 표면에 가까운 저밀도 영역은 실질적으로 AgF의 밀도가 매우 낮아 거의 순수한 SHP로 이루어진 영역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24에서와 같이 고밀도 영역(401)을 관통하는 중심축(C)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저밀도 영역(402)이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SHP-AgF 복합체를 제 3 형 SHP-AgF 복합체라고 명명한다. The structure of the SHP-AgF comple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24. In the SHP-AgF complex 400, AgF is non-uniformly dispersed in the SHP matrix. Referring to FIG. 24, a high-density region 401 with a relatively high density of AgF and a low-density region 402 with a relatively small density of AgF are dispersed while moving from the high-density region toward the surface of any one surface of the composite. Includes. At this time, the density of AgF in the direction from the high-density region 401 to the low-density region 402 may be continuously reduced. Alternatively, the density may be intermittently reduced. Also, the high-density region 401 may be centered, and the low-density region 402 may be in a form surrounding the high-density region 401. Optionally, the low-density region on or near the surface may be a region consisting of almost pure SHP with a substantially low AgF density. Optionally, as shown in FIG. 24, the low-density regions 402 facing each other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 passing through the high-density region 401. This type of SHP-AgF complex is called type 3 SHP-AgF complex.

도 25에는 제 3 형 SHP-AgF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단계별로 나타난 순서도가 나타나 있으며, 도 26은 단계별 제조예를 도시한 도면이 나타나 있다. 25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ype 3 SHP-AgF complex step by step, and FIG. 26 is a view showing a step-by-step manufacturing example.

도 25를 참조하면, 우선 일측부의 AgF 밀도(500)가 타측부의 AgF 밀도(501)보다 더 높은 SHP-AgF 복합체를 적어도 2개 준비한다(S100단계 및 도 26a). 편의상 이를 부분 SHP-AgF 복합체로 명명한다. Referring to FIG. 25, first, at least two SHP-AgF complexes having an AgF density 500 of one side higher than an AgF density 501 of the other side are prepared (step S100 and FIG. 26A). For convenience, this is called the partial SHP-AgF complex.

AgF의 밀도가 비대칭인 부분 SHP-AgF 복합체는 SHP와 AgF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HP용액과 AgF가 혼합된 혼합용액을 기판에 붓고 건조시키는 과정 중에 비중이 더 큰 AgF는 SHP 용액 내에서 아래로 가라앉게 되며, 따라서 건조가 완료된 SHP-AgF 복합체 내에서 하부 영역의 AgF 밀도가 상부 영역에 비해 더 높은 밀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하부에 고밀도 영역(501)을 가지고 상부에 저밀도 영역(502)을 가지는 비대칭 AgF-SHP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건조되는 조건을 제어하여 혼합용액의 건조 시간을 천천히 할수록 하부영역에서의 AgF 밀도를 더 높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비대칭 SHP-AgF 복합체를 복수개로 제조할 수 있다. Partial SHP-AgF complexes having an asymmetric density of AgF may be prepared using a specific gravity difference between SHP and AgF. For example, during the process of pouring and drying the mixed solution of SHP solution and AgF onto the substrate, AgF having a higher specific gravity sinks down in the SHP solution, and thus AgF in the lower region in the dried SHP-AgF complex. The density will have a higher density than the upper region. Therefore, an asymmetric AgF-SHP composite having a high-density region 501 at the bottom and a low-density region 502 at the top can be manufactured. At this time, by controlling the drying conditions, the slower the drying time of the mixed solution, the higher the AgF density in the lower region can be adjusted. Using this method, a plurality of asymmetric SHP-AgF complexes can be prepared.

다음, 적어도 2개의 부분 SHP-AgF 복합체를 선택한 후 AgF의 밀도가 높은 고밀도 영역(501)끼리 서로 접하도록 배치한 후 자가 접합되도록 한다(S200단계 및 도 26b). 이때 자가 접합을 가속화하기 위하여 접합 중에 가열처리를 할 수 있다.Next, after selecting at least two partial SHP-AgF complexes, high-density regions 501 having a high AgF density ar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n self-bonded (step S200 and FIG. 26B). At this time, in order to accelerate self-bonding, 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during the bonding.

선택적으로 이렇게 제조된 제 3 형 SHP-AgF 복합체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에 AgF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SHP를 추가로 적층하여 캡핑 영역(503,504)을 형성할 수 있다(S3000단계 및 도 26c). 따라서 캐핑 영역(503, 504)은 저밀도 영역(502)에 인접하여 배치되게 된다. 캡핑 영역 또한 자가 접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제 3 형 SHP-AgF 복합체의 표면에 캡핑 영역이 형성된 형태를 제 4 형 SHP-AgF 복합체로 명명한다. Optionally, capping regions 503 and 504 may be formed by additionally stacking SHP-free AgHP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ype 3 SHP-AgF composite thus prepared (S3000 and FIG. 26C). Therefore, the capping regions 503 and 504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low-density region 502. The capping region can also be formed by self-bonding. Hereinafter, a form in which a capping reg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ype 3 SHP-AgF complex is referred to as a type 4 SHP-AgF complex.

도 27의 (a) 및 (b)는 AgF:SHP의 중량비가 각각 3:1 및 4:1 일때의 제 3 형 SHP-AgF 복합체(이를 각각 시편 6 및 시편 7이라함)의 단면을 SEM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27의 점선 부분은 접합 전 계면영역이었던 부분이며, 자가 접합에 의해 계면영역이 제거되어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7 (a) and 27 (b) show the cross-sections of Type 3 SHP-AgF composites (which are referred to as Specimen 6 and Specimen 7, respectively) when the weight ratio of AgF: SHP is 3: 1 and 4: 1, respectively, by SEM. It is the result of observation. The dotted line portion in FIG. 27 is a portion that was an interface region before bonding, and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face region is removed by self-bonding to form one body.

도 28에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 4 형 SHP-AgF 복합체(이를 시편 8이라함)의 단면 사진을 SEM으로 관찰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상부의 제 1 SHP-AgF 복합체(1st layer)와 하부의 제 2 SHP-AgF 복합체(2nd layer) 사이에는 접합 전 계면영역이었던 부분이 존재하며, (도 28의 가운데 점선 영역) 최상부 및 최하부에는 SHP로 이루어진 캡핑 영역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op encap. 및 Bottom encap.).FIG. 28 shows the results of observation of a cross-sectional photograph of a type 4 SHP-AgF composite (which is referred to as specimen 8) prepar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by SEM. Between the first SHP-AgF composite (1st layer) at the top and the second SHP-AgF composite (2nd layer) at the bottom, there was a portion that was the interface region before bonding (in the middle dotted region in FIG. 28), the top and bottom SHP It can be confirmed that a capping region consisting of (Top encap. And Bottom encap.) Exists.

제 3 형 SHP-AgF 복합체 또는 제 4 형 SHP-AgF 복합체는 변형 가능한 전자 회로의 견고한 상호 연결을 제조 할 수 있는 독창적인 후보가 될 수 있다. AgF의 밀도가 높은 고밀도 영역이 형성되는 부분은 자가 접합에 의해 계면이 존재하지 않으며 또한 굽힘으로 인한 변형을 완화시키는 중립적인 기계면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시편 3 및 시편 7에 대해서 먼저 1500% 변형까지 연신하면서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도 29에 도시하였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편 7(Double)은 시편 3(Single)에 비해 변형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편차가 적어 훨씬 안정적인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Type 3 SHP-AgF complexes or Type 4 SHP-AgF complexes can be unique candidates for making robust interconnects of deformable electronic circuits. This is because the portion where the high-density region having a high density of AgF is formed is located on a neutral machine surface that does not have an interface due to self-bonding and also relieves deformation due to bending. To prove thi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pecimen 3 and the specimen 7 was first stretched to 1500% strain, and this is illustrated in FIG. 29. As shown in FIG. 29, the specimen 7 (Double) exhibited much more stable electrical properties due to less variation in electrical conductivity due to deformation than the specimen 3 (Single).

도 30에는 시편 3(Single w/o encap.), 시편 5(Single w/ encap.), 시편 7 (Double w/o encap.) 및 시편 8(Double w/ encap.)에 대해서 50%의 변형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내구성 테스트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시편 8의 경우가 가장 우수한 내구성을 내었다. 한편 시편 7은 캡핑 영역이 없으나 캡핑 영역이 있는 시편 5에 비해 더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내었다. Fig. 30 shows a 50% deformation of specimen 3 (single w / o encap.), Specimen 5 (single w / o encap.), Specimen 7 (double w / o encap.), And specimen 8 (double w / o encap.). Durability test results are shown that are repeated periodically. Referring to FIG. 30, the specimen 8 exhibited the best dur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specimen 7 had no capping region, but showed better durability than the specimen 5 having the capping region.

도 31에는 시편 8의 셀프-부스팅 효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1700% 변형에서 155Scm-1의 전기적도도를 나타내었으며, 12시간 유지 후에는 588Scm-1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Fig. 31 shows the self-boosting effect of Specimen 8. Referring to FIG. 31,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155Scm -1 is shown at 1700% strain, and it can be seen that after 12 hours maintenance, it is increased to 588Scm -1 .

시편 8과 같은 제 4 형 SHP-AgF 복합체를 이용하여 인터커넥터를 제조한 후, 유연한 무선 EMG 신호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이 생체 통합 시스템은 전도성 젤을 사용하지 않고 피부에 균일하게 장착되었으며 투명한 피부 패치로 덮었다.After the interconnector was prepared using a type 4 SHP-AgF complex such as specimen 8, it was applied to a flexible wireless EMG signal monitoring system. This bio-integrated system was uniformly mounted to the skin without the use of a conductive gel and covered with a transparent skin patch.

제작된 인터커넥트는 flexor carpi ulnaris의 고유 주파수와 비슷한 ~ 100Hz에서 낮은 임피던스(1.5kΩ)를 나타낸다(도 32a). 상호 연결을 통해 전도성 젤을 사용하지 않아도 전완부 굴곡근의 근육 수축에 대해 실시간 EMG 모니터링을 매우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행 할 수 있었다(도 32b). 전기 생리 학적 성능 외에도, 상기 인터커넥트는 치명적인 손상 전후의 50 % 변형 범위 내에서 신뢰성 있는 기계적 성질을 나타내었다. 또한 초기 및 자가 치유 된 인터커넥터는 각각 최대 4000% 및 2980%까지 연신되었다. The fabricated interconnect exhibits low impedance (1.5 kΩ) at ~ 100 Hz, similar to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flexor carpi ulnaris (FIG. 32A). Through the interconnection, real-time EMG monitoring of muscle contraction of the forearm flexor muscle can be performed very accurately and quickly without using a conductive gel (FIG. 32B). In addition to electrophysiological performance, the interconnect exhibited reliable mechanical properties within the 50% strain range before and after fatal damage. In addition, the initial and self-healing interconnects were stretched up to 4000% and 2980%, respectively.

도 33에는 자기 치유 가능한 인공 피부를 실현하기 위해 구성된 인터커넥터의 제조 단계 및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SHP-AgF 복합체(conductor)를 SHP와 결합시킨 3개의 전도체를 도 33의 (a)과 같이 접합하여 기준 전극, 접지 전극 및 활성 전극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인체의 팔과 로봇 핸드를 연결하는 인터커넥터로 구성한 후 이를 통해 일련의 명령을 전달하였으며, 성공적으로 명령이 전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33의 (b)와 같이 제조된 인터커넥터를 절단 한 후 60 ℃에서 1.5 시간 동안 열을 가하면서 자가 치유 시켜 다시 접합하였다. 이렇게 자가 치유된 인터커텍터 또한 명령 전달이 훌륭하게 수행되어 자가 치유되기 이전과 마찬가지로 로봇 핸드가 인간의 손동작을 정확하게 재연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3 shows the manufacturing steps and configuration of the interconnector configured to realize a self-healing artificial skin. The three conductors in which the SHP-AgF complex was combined with SHP were bonded as shown in FIG. 33 (a) to constitute a reference electrode, a ground electrode, and an active electrode. After configuring this as an interconnector that connects the human arm and the robot hand, a series of commands was transmitted through i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mands were successfully delivered. In addition, after cutting the interconnector prepared as shown in FIG. 33 (b), it was self-healed while being heated at 60 ° C. for 1.5 hours, and then joined again. In this way, the self-healing interconnector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robot hand accurately reproduces the human hand motion as before the self-healing because the command transmission was performed well.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400 : SHP-AgF 복합체
401 : 고밀도 영역
402 ; 저밀도 영역
400: SHP-AgF complex
401: high density area
402; Low density area

Claims (16)

전기전도체 입자를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영역; 및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며, 전기전도체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캐핑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자가 치유능을 가지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및
상기 매트릭스 내에 분산 분포되는 복수의 전기전도체 클러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전도체 클러스터는,
제 1 전기전도체 입자; 및
상기 제 1 전기전도체 입자와 동일한 물질로서, 상기 제 1 전기전도체 입자의 주변에 분산 분포되며, 상기 제 1 전기전도체 입자에 비해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제 2 전기전도체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외력에 의해 변형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유지할 경우 전기전도도가 증가하고, 외력에 의해 변형됨에 따라 이격되었던 전기전도체 클러스터가 서로 연결되는 재배열 단계가 진행되는,
고 신축성을 가진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A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region including electrical conductor particles; And
It is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region, and includes a capping region that does not contain the electrical conductor particles,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A matrix made of a polymer material having self-healing ability;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ical conductor clusters distributed in the matrix,
The electrical conductor cluster,
First electrical conductor particles; And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electrical conductor particles, the dispersion is distributed around the first electrical conductor particle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electrical conductor particles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first electrical conductor particles,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When it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 state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ncreases, and a rearrangement step in which the spaced electrical conductor clust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the deformation by the external force proceeds,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with high elastic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핑 영역은 자가 치유능을 가지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 신축성을 가진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According to claim 1,
The capping region includes a polymer having self-healing ability,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with high elasticit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및 상기 캐핑 영역은 자가 접합에 의해 연결된 것인,
고 신축성을 가진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According to claim 2,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and the capping region are connected by self bonding,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with high elasticit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외력에 의해 변형 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유지될 경우 이격되었던 전기전도체 클러스터가 서로 연결되어 재배열되는,
고 신축성을 가진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According to claim 1,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When it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 state deformed by external force, the electrically conductive clusters spaced a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rearranged.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with high elastic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외력에 의해 변형 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유지됨에 따라 응력의 이완이 일어나는,
고 신축성을 가진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According to claim 1,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Relaxation of stress occurs as it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 state deformed by external forc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with high elastic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기전도체 생성의 공급원은 상기 제 1 전기전도체인,
고 신축성을 가진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According to claim 1,
The source of the second electrical conductor generation is the first electrical conductor,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with high elasticity.
제 1 항에 있어서,
자가 치유능을 가지는 고분자 물질은,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ethyleneoxide (PEO), Perfluoropolyether (PFPE), polybutylene (PB), poly(ethylene-co-1-butylene), poly(butadiene), hydrogenated poly(butadiene),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 block copolymer 혹은 random copolymer, 및 poly(hydroxyalkanoate) 중 어느 하나를 주쇄(backbone)로 하는 탄성중합체(elastomer material)를 포함하는,
고 신축성을 가진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According to claim 1,
Polymer materials with self-healing ability,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ethyleneoxide (PEO), Perfluoropolyether (PFPE), polybutylene (PB), poly (ethylene-co-1-butylene), poly (butadiene), hydrogenated poly (butadiene), poly (ethylene oxide) -poly ( Propylene oxide) block copolymer or random copolymer, and an elastomer (elastomer material) containing one of poly (hydroxyalkanoate) as a backbon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with high elasticity.
제 9 항에 있어서,
자가 치유능을 가지는 고분자 물질은.PDMS-4,4’-methylenebis(phenyl urea) (MPU)0.4-isophorone bisurea units (IU)0.6을 포함하는,
고 신축성을 가진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The method of claim 9,
Polymeric substances with self-healing capabilities include PDMS-4,4'-methylenebis (phenyl urea) (MPU) 0.4-isophorone bisurea units (IU) 0.6,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with high elasticity.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전기전도체는 금속물질인,
고 신축성을 가진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lectrical conductor is a metal material,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with high elasticit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물질은 Ag, Au, Cu, Al,W, Mo, Ti, Cr, Ni 및 Pt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 신축성을 가진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The method of claim 11,
The metal material includes any one or more of Ag, Au, Cu, Al, W, Mo, Ti, Cr, Ni and Pt,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with high elastic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변형율이 3500% 이하인,
고 신축성을 가진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According to claim 1,
Th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Strain is less than 3500%,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with high elastic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기전도체는 판상형, 구형, 다각각형, 섬유형 및 부정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을 가지는,
고 신축성을 가진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lectrical conductor has a shape of any one or more of plate-like, spherical, polygonal, fibrous and irregular,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with high elastic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기전도체는 500nm 내지 2㎛범위의 크기를 가지는,
고 신축성을 가진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lectrical conductor has a size in the range of 500nm to 2㎛,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with high elastic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기전도체는 50nm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고 신축성을 가진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electrical conductor has a size of 50nm or less,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with high elasticity.
KR1020180119049A 2018-10-05 2018-10-05 Conducting polymer composite with high strechability KR1021021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049A KR102102185B1 (en) 2018-10-05 2018-10-05 Conducting polymer composite with high strech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049A KR102102185B1 (en) 2018-10-05 2018-10-05 Conducting polymer composite with high strechab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303A KR20200039303A (en) 2020-04-16
KR102102185B1 true KR102102185B1 (en) 2020-04-21

Family

ID=7045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049A KR102102185B1 (en) 2018-10-05 2018-10-05 Conducting polymer composite with high strechab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18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7427A (en) 2002-08-29 2004-03-18 Hitachi Chem Co Ltd Conductive polymer-metal cluster conjugate electrod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9500802A (en) 2005-07-01 2009-01-08 ナショナル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シンガポール Conductive composite material
KR101442632B1 (en) 2013-04-03 2014-09-22 한국세라믹기술원 piezoelectric composite film and piezoelectric apparatus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900B1 (en) * 2007-05-09 2009-05-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Conductive composit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63467B1 (en) * 2007-10-30 2010-06-1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A self-healing conductive composite
KR101808535B1 (en) * 2011-08-25 2017-1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03782B1 (en) * 2014-11-13 2017-12-01 한국기계연구원 Polymer complex structure having self-healing function using three dimensional conductive network, method for manufacturing, distinguishing and recovering polymer complex structure having self-healing function using three dimensional conductive netwo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7427A (en) 2002-08-29 2004-03-18 Hitachi Chem Co Ltd Conductive polymer-metal cluster conjugate electrod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9500802A (en) 2005-07-01 2009-01-08 ナショナル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シンガポール Conductive composite material
KR101442632B1 (en) 2013-04-03 2014-09-22 한국세라믹기술원 piezoelectric composite film and piezoelectric apparatu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303A (en)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Self-healing of materials under high electrical stress
US9757496B2 (en) Thermally healable and reshapable conductive hydrogel composite
US10804537B2 (en) Protected particles of anode active materials,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ontaining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N102656646B (en) There is the dielectric substance of nonlinear dielectric constant
KR101609028B1 (en)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190118182A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the protected particles of the anode activ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2245167B1 (en) Thermally conductive sheet, production method for thermally conductive sheet, heat dissipation member, and semiconductor device
KR101405513B1 (en) Polymer blend composition and actuators using the same
KR20160012083A (en) A slurry composition and a lithium-ion battery separator comprising the same
CN110073531A (en) Conductive foil enhancing, the electrod composition of polymer stabilizing and preparation method
Jomaa et al. Investigation of elastic, electrical and electromechanical properties of polyurethane/grafted carbon nanotubes nanocomposites
KR102102186B1 (en) Conducting polymer composite with high strech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Ramesh et al. Self‐healable conductive materials
US20200169075A1 (en) Cable fitting for hvdc cables
Mohanraj et al. Effect of some service conditions on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conductive styrene–butadiene rubber–carbon black composites
KR102102185B1 (en) Conducting polymer composite with high strechability
KR20200140765A (en) Thermally healable and reshapable conductive hydrogel composite
KR102168518B1 (en) Conducting polymer composite with high strechability
AU2017243872B2 (en) Conductive composites
Agar et al. Electrically conductive silicone nano-composites for stretchable RF devices
KR20180059392A (en) Conductive particles,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
DE102011053099A1 (en) A method of filling a contact hole in a chip package and chip package assemblies
CN108891108A (en) A kind of electroluminescent driving elastomer of high actuation performan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4656657B (en) Preparation method of high-conductivity self-healing nano composite organic hydrogel
WO2022170345A1 (en) Thermally stable elastic polymer-encapsulated anode particles for lithium batter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