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943B1 - 육상과 선박 사이의 표준 해사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육상과 선박 사이의 표준 해사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943B1
KR102101943B1 KR1020190160967A KR20190160967A KR102101943B1 KR 102101943 B1 KR102101943 B1 KR 102101943B1 KR 1020190160967 A KR1020190160967 A KR 1020190160967A KR 20190160967 A KR20190160967 A KR 20190160967A KR 102101943 B1 KR102101943 B1 KR 102101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structure
catalog
data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남선
정유준
Original Assignee
마린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린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린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0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5Conversion or adaptation of application format or content
    • H04L67/282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2Multivendor or multi-standard integ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육상과 선박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데이터연동장치 육상과 선박 사이에 송수신되는 정보의 제1 데이터구조를 정보모듈별로 정의한 정보카탈로그와 상기 정보카탈로그의 제1 데이터구조와 서비스의 제2 데이터구조 사이의 맵핑테이블을 포함하는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구조의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구조의 정보로 변경하고,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카탈로그를 생성하고, 제1 데이터구조의 정보와 제1 데이터구조를 정의한 정보카탈로그를 포함하는 교환세트를 생성한 후 메시지카탈로그와 교환세트를 선육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

Description

육상과 선박 사이의 표준 해사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tandard maritime data between ship and shore,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선육간 표준 해사데이터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육상과 선박의 장치에서 사용하는 데이터구조와 선육간 데이터 통신에 사용하는 데이터구조가 서로 다른 환경에서 육상과 선박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내비게이션(e-navigation) 서비스 제공자와 선박은 선육간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각종 운항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자는 선육간 데이터 통신을 통해 선박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자는 최적 항로를 제공하는 서비스, 선박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선박에 제공할 수 있다.
육상과 선박 사이의 일관된 데이터 교환과 활용을 위해 국제수로기구(IHO,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는 공통 데이터모델(CMDS, Common Maritime Data Structure)로 S-100 구조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하는 서비스의 데이터구조와 S-100 구조가 서로 다르므로 양자의 데이터구조를 연동하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이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자가 새로운 서비스를 S-100 구조에 맞추어 개발하고자 할 때 S-100 구조를 이해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육상 및 선박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서비스의 데이터구조를 선육간 통신의 데이터구조로 변환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연동장치의 일 예는, 육상과 선박 사이에 송수신되는 정보의 제1 데이터구조를 정보모듈별로 정의한 정보카탈로그와, 상기 정보카탈로그에 정의된 상기 제1 데이터구조와 서비스에 사용되는 정보의 제2 데이터구조 사이의 맵핑테이블을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상기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구조의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구조의 정보로 변경하는 데이터변환부; 상기 제1 데이터구조의 정보를 포함하는 교환세트를 생성하는 교환세트생성부; 상기 교환세트의 정보가 사용되는 서비스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카탈로그를 생성하는 메시지카탈로그생성부; 및 상기 메시지카탈로그와 상기 교환세트를 선육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의 일 예는, 데이터연동장치가 수행하는 육상과 선박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은, 육상과 선박 사이에 송수신되는 정보의 제1 데이터구조를 정보모듈별로 정의한 정보카탈로그와 상기 정보카탈로그의 제1 데이터구조와 서비스의 제2 데이터구조 사이의 맵핑테이블을 포함하는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구조의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구조의 정보로 변경하는 단계;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카탈로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구조의 정보와 상기 제1 데이터구조를 정의한 정보카탈로그를 포함하는 교환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카탈로그와 상기 교환세트를 선육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를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선육간 통신의 데이터구조로 용이하게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선육간 통신의 데이터구조가 변경되거나 서비스의 데이터구조가 변경된 경우에 해상에 위치한 선박의 라이브러리를 용이하게 갱신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서비스가 존재할 때 서비스별 데이터구조의 변환을 위한 복수 개의 라이브러리가 필요하지 않으며 하나의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데이터구조를 변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육간 데이터 송수신 방법이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연동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연동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브러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브러리의 구현 예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연동장치 사이에 송수신하는 교환세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환세트를 이용한 라이브러리의 갱신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카탈로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카탈로그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연동장치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육간 데이터 송수신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브러리 갱신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카탈로그를 이용한 정보 수신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육상과 선박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육간 데이터 송수신 방법이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육상에 위치한 서비스서버(100)와 각 선박(130,140)에 위치한 선박장치(132,142)는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와 연결된다.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서비스서버(110)와 각 선박(130,140) 사이에서 기 정의된 방법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IHO가 제시한 S-100 표준을 이용하여 선육간 통신망(12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다양한 표준화된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는 다양한 서비스를 선박장치(132,142)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서버(100)는 선박에게 실시간 최적 항로를 제공하는 서비스, 선박의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특정 서비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비스에 따라 서비스서버(100)와 선박장치(132,142) 사이에 주고받는 정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적 항로 서비스의 경우에, 선박장치(132,142)는 서비스서버(100)에게 현 항로 및 현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서비스서버(100)는 선박의 현 위치를 기초로 목적지에 대한 최적 항로를 계산한 후 최적 항로 정보를 선박장치(132,142)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선박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의 경우에, 선박장치(132,142)는 센서를 통해 각종 장비의 상태를 파악한 센싱값을 서비스서버(100)에 제공하고, 서비스서버(100)는 센싱값을 기초로 선박의 상태를 점검하고 점검 결과를 선박장치(132,142)로 제공할 수 있다. 선박장치의 일 예로 ECDIS(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등이 있다.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서버(100)와 선박장치(132,142)에서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구조와 선육간 데이터 통신에 사용하는 데이터구조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서비스의 데이터구조와 선육간 통신의 데이터구조 사이의 변환을 수행한다.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에 대해서는 도 2 이하에서 다시 살펴본다.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유지, 보수 또는 서비스 향상을 위한 업그레이드 등 다양한 원인으로 데이터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IHO가 제시하는 선육간 통신망의 표준이 변경되면, 선육간 통신의 데이터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원인으로 서비스의 데이터구조 또는 선육간 통신의 데이터구조가 변경되면,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변경된 데이터구조를 실시간 반영하여 통신하여야 한다. 선박(130,140)은 한 번 항해시 수개월이 소요될 수 있으며, 선육간 통신망의 제한된 대역폭 등을 고려하여 항해 중인 선박에 위치한 데이터연동장치(110b,110c)에 변경된 데이터구조를 실시간 반영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대하여 도 2 이하에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연동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는 육상의 데이터서버(100) 및 선박(130)의 선박장치(132)와 각각 연결된다.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는 상호간에 표준화된 통신방법(예를 들어, S-100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서비스서버(100)가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200,202)가 존재하면,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는 각 서비스(200,202)의 데이터구조와 통신망(120)의 데이터구조 사이를 맵핑한 라이브러리(210,212)를 포함한다. 서비스별 필요한 정보의 종류는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는 서비스별 라이브러리(2120,21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서비스(200)에서 사용하는 정보의 데이터구조와 통신망의 데이터구조 사이의 맵핑관계를 정의한 제1 라이브러리(210)를 육상측 데이터연동장치(110a)와 선박측 데이터연동장치(110b)에 각각 구비한다. 또한, 제2 서비스(202)에서 사용하는 정보의 데이터구조와 통신망의 데이터구조 사이의 맵핑관계를 정의한 제2 라이브러리(212)를 육상측 데이터연동장치(110a)와 선박측 데이터연동장치(110b)에 각각 구비한다. 제1 서비스(200)가 최적항로 서비스이면, 제1 라이브러리(210)는 선박의 현 항해 정보와 현 위치, 최적항로 정보의 데이터구조와 통신망의 데이터구조 사이의 맵핑관계를 포함하고, 제2 서비스(202)가 선박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의 경우에, 제2 라이브러리(212)는 센서의 각종 센싱값, 선박 점검 결과 등의 데이터구조와 통신망의 데이터구조 사이의 맵핑관계를 포함한다.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는 제1 라이브러리(210)를 이용하여 제1 서비스(200)의 정보의 데이터구조와 통신망의 데이터구조 사이의 변환을 수행하고, 제2 라이브러리(212)를 이용하여 제2 서비스의 정보의 데이터구조와 통신망의 데이터구조 사이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망(120)의 데이터구조가 변경되면,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에 포함된 복수 개의 라이브러리(210,212)의 갱신이 필요하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서비스별 라이브러리(210,212)를 포함하는 구조에서 통신망(120)의 데이터구조가 변경되면 전체 라이브러리(210,212)의 갱신이 필요하며, 제한된 대역폭을 가진 선육간 통신망(120)에서 갱신된 라이브러리 전체를 선박측 데이터연동장치(110b)로 전송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의 일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연동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서버(100) 및 선박장치(132)와 각각 연결된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는 하나의 라이브러리(300)를 포함한다. 도 2의 실시 예는 서비스별 라이브러리(210,212)를 포함하고 있으나, 본 실시 예는 복수의 서비스(200,202)를 위한 하나의 라이브러리(30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서비스(200)가 최적 항로 서비스 서비스이고, 제2 서비스(202)가 선박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인 경우에, 라이브러리(300)는 제1 서비스(200)를 위한 현 항해 정보와 현 위치, 최적항로 정보, 제2 서비스(202)를 위한 센서의 각종 센싱값, 선박 점검 결과와 통신망의 데이터구조 사이의 맵핑테이블을 포함한다.
각 서비스(200,202)에 필요한 정보는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비스(200)와 제2 서비스(202)는 모두 선박 식별정보, 선박의 항해 속도 등을 포함하는 선박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라이브러리(300)는 각 서비스(200,202)를 위한 선박정보의 데이터구조를 라이브러리(300)에 포함할 수 있다. 즉, 라이브러리(300)는 제1 서비스(200)의 선박정보의 데이터구조와 통신망 데이터구조 사이의 변환을 위한 제1 맵핑테이블과, 제2 서비스(202)의 선박정보의 데이터구조와 통신망 데이터구조 사이의 변환을 위한 제2 맵핑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도 2에서 살핀 복수의 라이브러리(210,212)를 단순히 하나로 합쳐놓은 것에 불과하며, 라이브러리의 크기는 도 2의 서비스별 라이브러리를 모두 합쳐놓은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갱신된 라이브러리를 선박측으로 전송할 때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하는 문제점은 도 2와 동일하다.
이에 본 실시 예는, 서비스별 중복된 정보를 하나로 통합한 라이브러리(300)를 제공한다. 위 예의 경우에 라이브러리(300)는 제1 서비스(200) 및 제2 서비스(202)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선박정보의 데이터구조와 통신망의 데이터구조 사이의 변환을 위한 하나의 맵핑테이블만을 포함한다. 서비스별 중첩되는 정보를 통합한 라이브러리의 구현을 위하여 본 실시 예는 도 4와 같은 정보모듈을 정의하여 사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정보모듈(400)은 애플리케이션 스키마(application schema)(410), 정보카탈로그(feature catalogue)(420), 표시카탈로그(portrayal catalogue)(430) 등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로, 정보모듈을 서로 구분하고, 정보모듈의 내용이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정보모듈은 정보모듈식별자 및 정보모듈버전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모듈(400)은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별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선박정보에 대한 제1 정보모듈, 경고정보에 대한 제2 정보모듈 등을 정의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스키마(410)는 통신망의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종류와 상관관계(예를 들어, 종속관계 등)를 시스템 개발자를 위해 정의한 정보이며, 일 예로, UML(unified modeling language)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육간 통신망에 S-100 표준이 사용된다면, 애플리케이션 스키마(410)에는 S-100 표준에서 정의한 각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류와 상관관계 등의 데이터 구조가 UML로 기술될 수 있다. 따라서 S-100 표준이 변경되면, 그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스키마(410)도 변경된다.
정보카탈로그(420)는 개발자가 프로그램 개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종류와 상관관계 등을 정의한 정보이며, 이는 애플리케이션 스키마(410)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 스키마에 정의된 내용을 토대로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의 정보카탈로그를 만들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스키마(410)가 변경되면, 그에 따라 정보카탈로그(420) 또한 변경된다.
표시카탈로그(430)는 정보의 표시 형태를 정의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정보가 글자로 표현된다면, 표시카탈로그(430)는 정보를 표현하는 글자의 폰트와 색상 등을 정의하며, 그림으로 표현한다면 그림 모양 등을 정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일 뿐 각 정보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종류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모듈(400)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정보모듈(400)에 포함되는 내용 또한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정보에 대해 도 4와 같은 정보모듈이 미리 정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선육간 통신 표준(예를 들어, S-100)이 변경되면, 관리자 등에 의해 변경된 표준 내용이 애플리케이션 스키마(410), 정보카탈로그(420) 등에 반영된다고 가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브러리(50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라이브러리(300)는 도 3과 같이 육상 및 선박에 위치한 각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에 존재한다.
라이브러리(300)는 정보별 정보카탈로그(510)와 맵핑테이블(52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정보카탈로그(510)는 제1 정보의 데이터구조 등을 정의한 제1 정보카탈로그, 제2 정보의 데이터구조 등을 정의한 제2 정보카탈로그 등을 포함한다. 라이브러리(300)의 정보카탈로그(510)는 도 4와 같이 기 정의된 정보별 정보모듈(400)에 포함된 정보카탈로그(400)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라이브러리(300)는 또한 정보별 정보카탈로그(512,514)의 버전정보 등을 저장 관리할 수 있다.
맵핑테이블(520)에 포함된 정보별 맵핑테이블(522,524)은 정보별 정보카탈로그(512,514)에 정의된 데이터구조와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구조 사이의 변환을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정보별 맵핑테이블(522,524)은 정보별 정보카탈로그(512,514)의 데이터구조와 서비스의 데이터구조 사이의 맵핑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정보카탈로그의 데이터구조와 서비스의 데이터구조 사이의 변환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맵핑테이블(522)은 제1 정보카탈로그(512)의 데이터구조와 서비스의 데이터구조 사이에서 정보를 변환하는 함수 형태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브러리의 구현 예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선박 속도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변환하기 위한 라이브러리(30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라이브러리(300)는 선박 속도 정보의 데이터구조를 정의한 정보카탈로그(600)와, 정보카탈로그의 데이터구조와 서비스의 데이터구조 사이의 맵핑관계를 정의한 맵핑테이블(61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가 서비스서버(100) 또는 선박장치(132,142)로부터 'SOG 7 knots'를 수신하면, 라이브러리(300)의 맵핑테이블(610)을 이용하여 다음 표와 같이 변환한다.
Speed Reference SOG
Speed Value 7
Speed Units Knots
반대로, 선육간 통신망을 통해 표 1과 같이 표현된 정보를 수신하면,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라이브러리(300)의 맵핑테이블(610)을 이용하여 표 1의 정보를 서비스의 데이터구조인 "SOG 7 Knots"로 변환하여 서비스서버(100) 또는 선박장치(132,142)에 전달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연동장치 사이에 송수신하는 교환세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교환세트(700)는 실 데이터(710) 및 정보카탈로그(720)를 포함하며, 실시 예에 따라 표시카탈로그(730) 또는 맵핑 테이블(7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육상과 선박에 위치한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교환세트(700)를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 교환세트(700)는 정보모듈 단위로 생성된다. 예를 들어, 선박정보에 대한 제1 정보모듈과 경고정보에 대한 제2 정보모듈이 정의되어 있고, 선박정보와 경고정보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선박정보에 관한 제1 교환세트와 경고정보에 관한 제2 교환세트를 각각 생성하여 전송한다.
실 데이터(710)는 말 그대로 서비스서버(100) 또는 선박장치(132,142)가 서비스를 위해 전송하는 실제 데이터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6의 예에서, 실 데이터(710)는 선박 속도인 "7"일 수 있다.
정보카탈로그(720)는 실 데이터(710)가 포함된 정보의 데이터구조를 정의한 정보로서,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라이브러리(300)에 정의된 정보카탈로그(500)를 이용하여 교환세트(700)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정보를 정의한 제1 정보모듈이 존재하는 경우에, 라이브러리(300)에는 제1 정보모듈에 대한 제1 정보카탈로그가 존재한다. 선박 속도 정보가 선박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일부이면,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라이브러리(300)에 포함된 제1 정보모듈에 대한 제1 정보카탈로그와 선박 속도의 실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교환세트(700)를 생성한다.
표시카탈로그(730)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교환세트(700)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보에 대한 정보모듈(도 4 참조)에 표시카탈로그가 정의되어 있다면, 제1 정보의 실 데이터를 포함하는 교환세트(700)는 표시카탈로그(730)를 포함할 수 있다.
맵핑테이블(740)은 정보카탈로그(720)의 데이터구조와 서비스의 데이터구조 사이의 변환을 위한 맵핑관계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선박 속도 정보를 정의한 제1 정보카탈로그의 데이터구조가 변경되었다면, 교환세트(700)는 변경된 제1 정보카탈로그의 데이터구조와 서비스의 데이터구조 사이의 변환을 정의한 새로운 맵핑테이블(740)을 포함한다. 데이터구조의 변화가 없다면 교환세트(700)는 맵핑테이블(74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맵핑테이블(740)을 포함한 교환세트(700)를 수신한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로컬의 라이브러리(300)를 갱신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정보를 정보모듈 단위로 정의하고 각 서비스는 정보모듈 단위로 정의된 정보를 사용하므로, 특정 정보의 데이터구조가 변경되면 변경된 정보의 데이터구조만을 선박으로 전송하여 선박측 데이터연동장치(110b,110c)에 존재하는 라이브러리(300)를 갱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 예가 도 8에서 도시되어 있다.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는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제1 서비스(200)와 제2 서비스(202)는 모두 선박정보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서비스(200)를 위한 선박정보와 제2 서비스(202)를 위한 선박정보는 모두 동일한 형태의 교환세트(700)로 생성되어 육상과 선박의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c) 사이에 송수신된다.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수신한 교환세트에 포함된 선박정보가 어느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지 교환세트(700)에 포함된 정보만으로는 파악하기가 어렵다. 이와 같이 복수의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에 공통된 교환세트를 이용하여 송수신되는 정보가 어느 서비스를 위한 정보인지 구별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메시지카탈로그의 일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환세트를 이용한 라이브러리의 갱신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도 7에 정의된 교환세트(700)를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2 정보의 데이터구조가 변경되었다면, 육상측 데이터연동장치(110a)는 데이터구조의 변경 후 제2 정보를 처음으로 전송할 때 변경된 제2 정보의 데이터구조가 정의된 제2-1 정보카탈로그(810)와 갱신된 제2-1 맵핑테이블(820)을 포함한 교환세트(700)를 생성하여 선박측 데이터연동장치(110b,110c)로 전송한다.
교환세트(700)를 수신한 선박측 데이터연동장치(110b,110c)는 교환세트(700)에 포함된 제2-1 정보카탈로그(810)와 제2-1맵핑테이블(820)을 이용하여 로컬 라이브러리(300)를 갱신한다. 예를 들어, 선박측 데이터연동장치(110b,110c)는 로컬 라이브러리(300)의 제2 정보카탈로그(514)를 제2-1 정보카탈로그(810)로 갱신하고, 제2 맵핑테이블(524)을 제2-1 맵핑테이블(820)로 갱신한다.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의 라이브러리(300)는 정보모듈 단위로 갱신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구조가 갱신된 정보모듈의 정보를 전송할 때 갱신된 정보카탈로그와 맵핑테이블을 전송하여 라이브러리(300)를 갱신하므로 선육간 통신의 표준이 변경될 때 라이브러리(300) 전체를 한꺼번에 전송하여 갱신할 필요가 없으므로 갱신을 위한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카탈로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메시지카탈로그(900)는 정보모듈식별자(910), 정보모듈버전(920), 서비스식별자(930), 선박장치식별자(940) 등을 포함한다. 메시지카탈로그(900)는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어떤 서비스의 어떤 정보가 전송되는지 알려주기 위한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정보모듈식별자(910)는 각 정보를 구분하는 식별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정보모듈에 정의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 정보모듈식별자(910)는 제1 정보모듈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0과 같이 제1 정보 내지 제3 정보를 제1 교환세트 내지 제3 교환세트(1002,1004,1006)를 통해 전송하는 경우에, 정보모듈식별자(910)는 제1 내지 제3 정보를 정의하고 있는 제1 내지 제3 정보모듈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모듈버전(920)은 교환세트(700)를 통해 전송하는 정보가 정의된 정보모듈의 버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정보를 정의한 제1 정보모듈이 버전1에서 버전2로 갱신되었다면, 정보모듈버전(920)은 제1 정보모듈의 버전정보로 '버전2'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모듈의 버전이 이전과 동일하다면, 정보모듈버전(920)은 생략될 수 있다. 메시지카탈로그(900)를 수신한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정보모듈버전을 통해 정보모듈에 정의된 정보의 데이터구조 등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정보모듈버전의 정보를 라이브러리(300)의 정보카탈로그(510)와 함께 저장하여 정보카탈로그(510)의 버전을 관리할 수 있다.
서비스식별자(930)와 선박장치식별자(940)는 정보의 출발지와 도착지를 정의한다. 서비스식별자(930)는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정보이고, 선박장치식별자(940)는 각 선박의 선박장치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정보이다. 예를 들어, 육상의 서비스서버(100)가 제1 서비스의 정보를 제1 선박장치(132)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 서비스식별자(930)는 제1 서비스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선박장치식별자(940)는 제1 선박장치(132)의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메시지카탈로그(900)를 수신한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메시지카탈로그(900)에 포함된 정보모듈식별자(910)와 정보모듈버전(920)을 통해 어느 정보모듈이 갱신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선박측 데이터연동장치(110b)는 제1 메시지카탈로그(1000)와 제1 내지 제3 교환세트(1002,1004,1006)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메시지카탈로그(1000)에 포함된 제1 내지 제3 정보모듈의 식별자가 존재하고, 제3 정보모듈의 버전이 이전과 다르면, 선박측 데이터연동장치(110b)는 제3 정보모듈의 데이터구조가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 선박측 데이터연동장치(110b)는 제3 교환세트(1006)에 포함된 변경된 정보카탈로그와 변경된 맵핑테이블을 이용하여 로컬 라이브러리(300)를 갱신할 수 있다.
메시지카탈로그(900)는 도 7에서 살핀 교환세트(700)를 통해 데이터연동장치간에 송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정보모듈(400)은 메시지카탈로그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종류와 상관관계 등을 정의한 정보카탈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메시지카탈로그(900)에 대한 교환세트(700)는 정보모듈식별자(910) 등의 실 데이터와 메시지카탈로그의 데이터구조를 정의한 정보카탈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카탈로그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제1 메시지카탈로그(1000), 제1 내지 제3 교환세트(1002,1004,1006), 제2 메시지카탈로그(1008), 제4 내지 제5 교환세트(1010,1012)를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서버시스(100)에 연결된 데이터연동장치(110a)이고, 제2 데이터연동장치(100b,110c)는 선박장치(110b,110c)에 연결된 데이터연동장치(110b,110c)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제2 데이터연동장치(110b,110c)는 제1 데이터연동장치(110a)가 전송한 복수 개의 메시지카탈로그(1000,1008)와 복수 개의 교환세트(1002,1004,1006,1010,1012)를 수신한다. 제1 데이터연동장치(110a)와 제2 데이터연동장치(110b,110c)는 선육간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므로, 경우에 따라 제1 데이터연동장치(110a)가 전송하는 순서와 다르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데이터연동장치(110b,110c)는 제1 메시지카탈로그(1000)를 수신한 후 제2 교환세트(1004)와 제1 교환세트(1002)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데이터연동장치(100b,110c)는 제2 메시지카탈로그(1008)를 수신한 후 제3 교환세트(1006), 제4 교환세트(1010), 제5 교환세트(1012)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2 데이터연동장치(110b,110c)는 제1 메시지카탈로그(1000) 및 제2 메시지카탈로그(1008)를 통해 어느 서비스의 어느 정보를 수신하여야 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데이터연동장치(110b,110c)는 제1 메시지카탈로그(1000)에 포함된 정보모듈식별자를 통해 제1 내지 제3 정보의 수신이 필요함을 알 수 있고, 제2 메시지카탈로그(1008)에 포함된 정보모듈 식별자를 통해 제4 및 제5 정보의 수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제2 데이터연동장치(110b,110c)는 일정시간 동안 각 메시지카탈로그(1000,1008)에서 파악된 정보의 수신을 대기한다. 제2 데이터연동장치(110b,110c)는 일정시간 동안 순서와 관계없이 제1 메시지카탈로그(1000)를 통해 파악된 수신대상 정보인 제1 내지 제3 정보가 모두 수신되면, 제1 내지 제3 정보를 라이브러리(300)를 이용하여 데이터구조 변환을 수행한다. 또한 제2 데이터연동장치(110b,110c)는 일정시간 동안 순서와 관계없이 제2 메시지카탈로그(1008)를 통해 파악된 수신대상 정보인 제4 및 제5 정보가 모두 수신되면, 제4 및 제5 정보를 라이브러리(300)를 이용하여 데이터구조 변환을 수행한다. 일정시간 내 수신대상 정보가 모두 수신되지 않는다면 제2 데이터연동장치(110b,110c)는 에러 메시지를 제1 데이터연동장치(110a)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연동장치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라이브러리(1110), 데이터변환부(1120), 교환세트생성부(1130), 메시지카탈로그생성부(1140), 송수신부(1150) 및 갱신부(1160)를 포함한다.
라이브러리(1110)는 서비스의 데이터구조와 선육간 통신망의 데이터구조 사이의 변환을 위한 맵핑테이블과 선육간 통신에 사용되는 정보모듈 단위의 데이터구조를 정의한 정보카탈로그를 포함한다. 라이브러리(1110)의 일 예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변환부(1120)는 선육간 송수신되는 정보의 제1 데이터구조와 서비스에 사용되는 정보의 제2 데이터구조 사이의 변환을 수행한다. 선육간 송수신되는 정보의 제1 데이터구조는 도 4에서 살핀 정보모듈의 정보카탈로그에 정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가 선육간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수신하면, 데이터변환부(11200는 수신한 정보의 제1 데이터구조를 서비스를 위한 제2 데이터구조로 변환한다. 또한, 데이터변환부(1120)는 서비스서버(100) 또는 선박장치(131,142)가 생성한 정보의 제2 데이터구조를 선육간 통신을 위한 제1 데이터구조로 변환한다.
교환세트생성부(1130)는 선육간 정보의 전송을 위한 교환세트를 생성한다. 교환세트의 일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교환세트생성부(1130)는 정보모듈 단위로 교환세트를 생성한다. 교환세트생성부(1130)는 정보의 실 데이터와 정보의 정보카탈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정보의 데이터구조가 갱신 또는 변경되었다면, 교환세트생성부(1130)는 갱신 또는 변경된 데이터구조를 정의한 정보카탈로그와 변경된 맵핑테이블을 포함한 교환세트를 생성할 수 있다.
메시지카탈로그생성부(1140)는 교환세트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종류(정보모듈 식별자)와 데이터구조의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정보모듈 버전), 정보가 사용되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식별자(서비스식별자) 등을 포함하는 메시지카탈로그를 생성한다. 메시지카탈로그의 일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송수신부(1150)는 메시지카탈로그, 교환세트 등을 선육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 송수신부(1150)는 메시지카탈로그를 수신하면, 메시지카탈로그를 통해 수신할 정보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송수신부(1150)는 일정시간 동안 수신대상 정보가 모두 수신되면, 이를 데이터변환부(1120)에 전달하여 데이터구조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일정시간 동안 수신대상 정보가 모두 수신되지 않으면 송수신부(1150)는 에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갱신부(1160)는 정보모듈의 데이터구조가 갱신 또는 변경된 경우에 갱신 정보카탈로그와 갱신 맵핑테이블을 교환세트를 통해 수신한다. 그리고 갱신부(1160)는 갱신 정보카탈로그와 갱신 맵핑테이블을 이용하여 로컬의 라이브러리를 갱신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육간 데이터 송수신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정보의 데이터구조를 선육간 통신망의 데이터구조로 변환한다(S1200).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데이터구조 변환의 일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전송하는 정보를 위한 메시지카탈로그와 교환세트를 각각 생성한다(S1210,S1220).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메시지카탈로그와 교환세트를 선육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S1230).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브러리 갱신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맵핑테이블을 포함한 교환세트를 수신한다(S1300).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교환세트에 포함된 맵핑테이블과 정보카탈로그를 이용하여 로컬 라이브러리를 갱신한다(S1310). 라이브러리 갱신의 일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카탈로그를 이용한 정보 수신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메시지카탈로그를 수신한다(S1400).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메시지카탈로그에 포함된 정보모듈식별자 등을 통해 수신대상 정보의 종류를 파악한다(S1400). 예를 들어, 메시지카탈로그에 제1 정보모듈의 식별자, 제3 정보모듈의 식별자가 존재하면,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제1 정보모듈과 제3 정보모듈에 해당하는 정보가 수신대상임을 알 수 있다.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교환세트를 수신한다(S1420).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수신대상 정보가 모두 수신되었다면(S1430),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수신 정보의 데이터구조를 변환한다(S1440). 그리고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데이터구조가 변환된 정보를 메시지카탈로그에 포함된 서비스식별자에 해당하는 서비스에 전달한다(S1450).
수신대상정보가 모두 수신되지 않았다면(S1430),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일정시간 동안 교환세트의 수신을 대기한다(S1460). 일정시간동안 수신대상 정보가 모두 수신되지 않는다면(S1460), 데이터연동장치(110a,110b,110c)는 에러 메시지를 전송한다(S147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삭제
  2. 육상과 선박 사이에 송수신되는 정보의 제1 데이터구조를 정보모듈별로 정의한 정보카탈로그와, 상기 정보카탈로그에 정의된 상기 제1 데이터구조와 서비스에 사용되는 정보의 제2 데이터구조 사이의 맵핑테이블을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상기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구조의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구조의 정보로 변경하는 데이터변환부;
    상기 제1 데이터구조의 정보를 포함하는 교환세트를 생성하는 교환세트생성부;
    상기 교환세트의 정보가 사용되는 서비스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카탈로그를 생성하는 메시지카탈로그생성부; 및
    상기 메시지카탈로그와 상기 교환세트를 선육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환세트생성부는,
    정보모듈의 데이터구조가 변경되면, 변경된 정보모듈의 정보카탈로그와 변경된 맵핑테이블을 포함하는 교환세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연동장치.
  3. 육상과 선박 사이에 송수신되는 정보의 제1 데이터구조를 정보모듈별로 정의한 정보카탈로그와, 상기 정보카탈로그에 정의된 상기 제1 데이터구조와 서비스에 사용되는 정보의 제2 데이터구조 사이의 맵핑테이블을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상기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구조의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구조의 정보로 변경하는 데이터변환부;
    상기 제1 데이터구조의 정보를 포함하는 교환세트를 생성하는 교환세트생성부;
    상기 교환세트의 정보가 사용되는 서비스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카탈로그를 생성하는 메시지카탈로그생성부; 및
    상기 메시지카탈로그와 상기 교환세트를 선육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변경된 정보카탈로그와 변경된 맵핑테이블을 포함하는 교환세트를 수신하고,
    상기 변경된 정보카탈로그와 상기 변경된 맵핑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라이브러리를 갱신하는 갱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연동장치.
  4. 삭제
  5. 육상과 선박 사이에 송수신되는 정보의 제1 데이터구조를 정보모듈별로 정의한 정보카탈로그와, 상기 정보카탈로그에 정의된 상기 제1 데이터구조와 서비스에 사용되는 정보의 제2 데이터구조 사이의 맵핑테이블을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상기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구조의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구조의 정보로 변경하는 데이터변환부;
    상기 제1 데이터구조의 정보를 포함하는 교환세트를 생성하는 교환세트생성부;
    상기 교환세트의 정보가 사용되는 서비스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카탈로그를 생성하는 메시지카탈로그생성부; 및
    상기 메시지카탈로그와 상기 교환세트를 선육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선박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카탈로그에 포함된 서비스 식별자를 기초로 수신할 정보의 종류를 파악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기 정의된 일정시간 동안 상기 파악한 정보의 종류가 모두 수신되지 않으면 에러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연동장치.
  6. 삭제
  7. 데이터연동장치가 수행하는 육상과 선박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은,
    육상과 선박 사이에 송수신되는 정보의 제1 데이터구조를 정보모듈별로 정의한 정보카탈로그와 상기 정보카탈로그의 제1 데이터구조와 서비스의 제2 데이터구조 사이의 맵핑테이블을 포함하는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구조의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구조의 정보로 변경하는 단계;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카탈로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구조의 정보와 상기 제1 데이터구조를 정의한 정보카탈로그를 포함하는 교환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카탈로그와 상기 교환세트를 선육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교환세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정보모듈의 데이터구조가 변경되면, 변경된 정보모듈의 정보카탈로그와 변경된 맵핑테이블을 포함하는 교환세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육간 데이터 송수신 방법.
  8. 데이터연동장치가 수행하는 육상과 선박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은,
    육상과 선박 사이에 송수신되는 정보의 제1 데이터구조를 정보모듈별로 정의한 정보카탈로그와 상기 정보카탈로그의 제1 데이터구조와 서비스의 제2 데이터구조 사이의 맵핑테이블을 포함하는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구조의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구조의 정보로 변경하는 단계;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카탈로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구조의 정보와 상기 제1 데이터구조를 정의한 정보카탈로그를 포함하는 교환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카탈로그와 상기 교환세트를 선육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변경된 정보카탈로그와 변경된 맵핑테이블을 포함하는 교환세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정보카탈로그와 상기 변경된 맵핑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라이브러리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육간 데이터 송수신 방법.
  9. 삭제
  10. 데이터연동장치가 수행하는 육상과 선박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은,
    육상과 선박 사이에 송수신되는 정보의 제1 데이터구조를 정보모듈별로 정의한 정보카탈로그와 상기 정보카탈로그의 제1 데이터구조와 서비스의 제2 데이터구조 사이의 맵핑테이블을 포함하는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구조의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구조의 정보로 변경하는 단계;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카탈로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구조의 정보와 상기 제1 데이터구조를 정의한 정보카탈로그를 포함하는 교환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카탈로그와 상기 교환세트를 선육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메시지카탈로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메시지카탈로그에 포함된 서비스 식별자를 기초로 수신할 정보의 종류를 파악하는 단계; 및
    기 정의된 일정시간 동안 상기 파악한 정보의 종류가 모두 수신되지 않으면 에러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육간 데이터 송수신 방법.
  11. 제 7항 또는 제 8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90160967A 2019-12-05 2019-12-05 육상과 선박 사이의 표준 해사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01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967A KR102101943B1 (ko) 2019-12-05 2019-12-05 육상과 선박 사이의 표준 해사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967A KR102101943B1 (ko) 2019-12-05 2019-12-05 육상과 선박 사이의 표준 해사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943B1 true KR102101943B1 (ko) 2020-04-17

Family

ID=70460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967A KR102101943B1 (ko) 2019-12-05 2019-12-05 육상과 선박 사이의 표준 해사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9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445B1 (ko) * 2016-11-24 2017-07-11 주식회사 케이엘넷 S-100 기반의 지리적 데이터 및 운용 데이터를 연계하여 표준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6026A (ko) * 2016-06-09 2019-01-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데이터 통합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90007144A (ko) * 2017-07-11 2019-01-2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 안전 정보 표준 데이터 처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설계 방법
KR101963303B1 (ko) * 2018-11-12 2019-03-2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S-100 표준 정보 전송 데이터 간소화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90048335A (ko) * 2017-10-31 2019-05-09 엔지엘 주식회사 육상환경에서 서비스 공급자가 원하는 해사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법과 MMS(Maritime Messaging Service) 통신을 통하여 해상환경에서 서비스 사용자가 해사 서비스의 메타 데이터를 조회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026A (ko) * 2016-06-09 2019-01-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데이터 통합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755445B1 (ko) * 2016-11-24 2017-07-11 주식회사 케이엘넷 S-100 기반의 지리적 데이터 및 운용 데이터를 연계하여 표준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7144A (ko) * 2017-07-11 2019-01-2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 안전 정보 표준 데이터 처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설계 방법
KR20190048335A (ko) * 2017-10-31 2019-05-09 엔지엘 주식회사 육상환경에서 서비스 공급자가 원하는 해사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법과 MMS(Maritime Messaging Service) 통신을 통하여 해상환경에서 서비스 사용자가 해사 서비스의 메타 데이터를 조회하는 방법
KR101963303B1 (ko) * 2018-11-12 2019-03-2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S-100 표준 정보 전송 데이터 간소화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tts et al. OpenGIS® Sensor Model Language (SensorML) Implementation Specification. Version 1.0. 0.
US10963511B2 (en) Vessel data integration system
RU2370808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данных с вложенными таблицами без схемы
CN105760534B (zh) 自定义的可序列化的数据结构、hadoop集群、服务器及其应用方法
Chen et al. Geo-processing workflow driven wildfire hot pixel detection under sensor web environment
CN109495392A (zh) 报文转换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1159177B (zh) 一种基于异构数据的数据融合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0891052A (zh) 一种自然资源空间数据跨网查询系统及方法
KR102101943B1 (ko) 육상과 선박 사이의 표준 해사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aszak et al. Let the asset decide: Digital twins with knowledge graphs
CN108229558A (zh) 一种多路信息融合系统
CN110377896B (zh) 用于生成电子表格的方法、系统、计算机系统和介质
Paladin et al. Maritime information sharing environment deployment using the advanced multilayered Data Lake capabilities: EFFECTOR project case study
KR101963303B1 (ko) S-100 표준 정보 전송 데이터 간소화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Prabhune et al. P-PIF: a ProvONE provenance interoperability framework for analyzing heterogeneous workflow specifications and provenance traces
AU2010252068A1 (en) Method for adapting data in a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associated system
Litwiller et al. Improving robotic and autonomous systems information interoperability: standardizing data exchanges with XML
Lee et al. An intelligent agent system for managing heterogeneous sensors in dispersed and disparate wireless sensor network
CN113807076B (zh) 一种航海矢量文件的解析、生成方法及系统
US20050063387A1 (en) System and method of order reexamination in electronic data interchange
Isenor et al. Coordinating UAV information for executing national security-oriented collaboration
Wang et al. Enhancing Maritime Data Standardization and Integrity using Docker and Blockchain
Park et al. Common Vocabulary Set for Support of Interoperability of Data Contents of Maritime Equipment and Systems in E-Navigation Services
Rustad et al. Exposing Military Sensor Data using SpatioTemporal Asset Catalog (STAC)
Wang et al. Enhancing IoT Service Interface Through AsyncAPI with Exten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