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648B1 - IoT(Internet Of Things)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IoT(Internet Of Things)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648B1
KR102101648B1 KR1020180088057A KR20180088057A KR102101648B1 KR 102101648 B1 KR102101648 B1 KR 102101648B1 KR 1020180088057 A KR1020180088057 A KR 1020180088057A KR 20180088057 A KR20180088057 A KR 20180088057A KR 102101648 B1 KR102101648 B1 KR 102101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ata
type
iot
senso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590A (ko
Inventor
백승엽
Original Assignee
에스피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주)이너웨이브
에스오케이엔생태보전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피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주)이너웨이브, 에스오케이엔생태보전연구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피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8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6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Internet Of Things)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IoT(Internet Of Things) 장치 및 이와 통신하는 외부 서버를 포함하는 IoT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IoT 장치가 기 구비된 각각의 센서에 대응되는 센서 타입, 데이터 타입, 센서 값을 순서대로 포함시킨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각 센서에 대응되는 센서 데이터를 기 설정된 센서 순서대로 결합시킨 센서 그룹 데이터를 생성하며, 그 생성된 센서 그룹 데이터를 통신 채널이 연결된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서버가 상기 IoT 장치로부터 수신된 센서 그룹 데이터를 각 센서 단위로 구분한 후, 구분된 센서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 타입, 데이터 타입, 센서 값을 기초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oT(Internet Of Things)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IoT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IoT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IoT와 외부 서버(일 예로 게이트웨이) 간에 효율적인 정보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는데, 여기서 IoT 장치들은 인터넷 통신 기능이 가능하고 소정의 정보를 수집 또는 생산하여 인터넷을 통해 외부의 서버 또는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IoT 장치에는 온도를 측정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장치, 습도를 측정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장치, 진동을 감지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장치 등이 있고, 더 나아가 조도, 용존 산소량, 수온 등을 감지하여 그 감지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장치들도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IoT 장치(즉, 일종의 센서 디바이스)와 외부 서버(일 예로 게이트웨이) 간에 통신 방식은 oneM2M이나, GMMP(Global M2M Protocol) 등에 의해 규정된 표준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있으나, 세부적인 데이터 규격은 규정되어 있지 않아 각 IoT 장치들이 저 마다의 자체적인 방식으로 패킷을 구성하여 사용하는 실정이다.
이처럼 다양한 제조사에서 개발한 각 IoT 장치 간의 통신 포맷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의 처리와 관련된 효율성이 상당히 떨어지고, 이기종간의 데이터 공유에 통일성이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 LoRa(Long Range) 등과 같이 대규모 저전력 장거리 무선통신 기술로 대기 전력이 적고 모듈 가격이 저렴하여 스마트 시티와 옥외 등에서 쓰일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고는 있지만, 여전히 저전력, 저사양을 위해 통신 패킷 사이즈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절실한 상태이다.
공개특허 제10-2018-008530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복수의 센서를 구비한 IoT 장치와 외부 서버(게이트웨이) 간에 통신 패킷을 최소화하면서도 확장성을 겸비한 IoT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IoT 통신 시스템은, 기 구비된 각각의 센서에 대응되는 센서 타입, 데이터 타입, 센서 값을 순서대로 포함시킨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각 센서에 대응되는 센서 데이터를 기 설정된 센서 순서대로 결합시킨 센서 그룹 데이터를 생성하며, 그 생성된 센서 그룹 데이터를 통신 채널이 연결된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하는 IoT 장치(Internet Of Things)와; 상기 IoT 장치로부터 수신된 센서 그룹 데이터를 각 센서 단위로 구분한 후, 구분된 센서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 타입, 데이터 타입, 센서 값을 기초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외부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IoT 장치는, 기 구비된 각각의 센서에 대응되는 센서 타입, 데이터 타입, 센서 값을 순서대로 포함시킨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센서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한 각 센서에 대응되는 센서 데이터를 기 설정된 센서 순서대로 결합시킨 센서 그룹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 그룹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센서 그룹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한 센서 그룹 데이터를 통신 채널이 연결된 외부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와; 기 구비된 센서의 종류 및 개수와 기 설정된 최대 전송 데이터 크기를 확인하는 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그룹 데이터 생성부는 기 구비된 센서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산출되는 센서 그룹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최대 전송 데이터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최대 전송 데이터 크기에 맞도록 센서 그룹 데이터를 분할하고, 각 분할된 센서 그룹 분할 데이터 앞에 인덱스 필드를 추가한 후 해당 인덱스 필드에 분할 순서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IoT 통신 서버는, IoT 장치로부터 센서 그룹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센서 그룹 데이터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각 센서 단위로 구분하여 각 센서에 대응되는 센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각 센서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 타입, 데이터 타입, 센서 값을 기초로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알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알림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IoT(Internet Of Things) 장치 및 이와 통신하는 외부 서버를 포함하는 IoT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IoT 장치가 기 구비된 각각의 센서에 대응되는 센서 타입, 데이터 타입, 센서 값을 순서대로 포함시킨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각 센서에 대응되는 센서 데이터를 기 설정된 센서 순서대로 결합시킨 센서 그룹 데이터를 생성하며, 그 생성된 센서 그룹 데이터를 통신 채널이 연결된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서버가 상기 IoT 장치로부터 수신된 센서 그룹 데이터를 각 센서 단위로 구분한 후, 구분된 센서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 타입, 데이터 타입, 센서 값을 기초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IoT 장치의 제어방법은, 기 구비된 각각의 센서에 대응되는 센서 타입, 데이터 타입, 센서 값을 순서대로 포함시킨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생성된 각 센서에 대응되는 센서 데이터를 기 설정된 센서 순서대로 결합시킨 센서 그룹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생성된 센서 그룹 데이터를 통신 채널이 연결된 외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기 구비된 센서의 종류 및 개수와 기 설정된 최대 전송 데이터 크기를 확인하는 단계와; 기 구비된 센서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산출되는 센서 그룹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최대 전송 데이터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최대 전송 데이터 크기에 맞도록 센서 그룹 데이터를 분할하고, 각 분할된 센서 그룹 분할 데이터 앞에 인덱스 필드를 추가한 후 해당 인덱스 필드에 분할 순서 정보를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센서를 구비한 IoT 장치와 외부 서버 간에 통일된 세부 포맷에 따른 효율적인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어 통신 트래픽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상당히 많은 센서를 구비한 경우라도 인덱스 필드를 이용하여 분할 전송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IoT 장치들에 대한 확장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 및 외부 서버를 포함하는 전체 IoT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IoT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외부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의 제어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1의 IoT 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외부 서버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 포맷의 일 예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통신 시스템(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IoT(Internet Of Things) 장치와 외부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IoT 장치(1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신 기능(특히 인터넷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소정의 정보를 해당 통신 기능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IoT 장치(100)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하고, 그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 정보를 외부 서버(200)(일 예로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IoT 장치(100)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 빛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물 속에 포함된 산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용존 산소량 측정 센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수온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 중 적어도 복수 개의 센서를 구비하고서, 그 구비된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센싱 정보를 외부 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IoT 장치(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100)는 센서 데이터 생성부(110), 센서 그룹 데이터 생성부(120), 통신부(130), 센서 종류 확인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데이터 생성부(110)는 기 구비된 각각의 센서에 대응되는 센서 타입, 데이터 타입, 센서 값을 순서대로 포함시킨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만일 기 구비된 센서 중 일부가 동작하지 않거나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는 센서 데이터 생성부(110)는 현재 동작 중인 센서들에 대응되는 센서 데이터만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센서 데이터 생성부(110)는 각 센서들의 현재 상태, 설정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 센서 타입은 각 센서들의 종류를 특정하는 정보(예를 들어 온도 센서인지, 습도 센서인지 등을 구별하는 정보)이고, 데이터 타입은 각 센서들의 센서 값의 데이터 크기를 특정하는 정보(예를 들어 센서 값이 2바이트 크기인지, 4바이트 크기인지 등을 구별하는 정보)이며, 센서 값은 각 센서들의 센싱 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예를 들어 온도를 나타내는 정보, 습도를 나타내는 정보 등)에 해당한다.
통신부(130)는 상기 센서 그룹 데이터 생성부(120)에서 생성한 정보를 통신 채널이 연결된 외부 서버(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센서 그룹 데이터 생성부(120)에서 생성한 센서 그룹 데이터 도는 센서 그룹 분할 데이터를 외부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확인부(140)는 기 구비된 센서의 종류 및 개수와 기 설정된 최대 전송 데이터 크기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확인부(140)는 기 구비된 센서 중 일부가 동작하지 않거나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는 현재 동작 중인 센서의 종류 및 개수와 기 설정된 최대 전송 데이터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최대 전송 데이터 크기는 통신부(130)가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IoT 장치(100)의 통신용 버퍼나 처리 능력, 또는 통신 효율을 위해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고, 환경 변화(특히 통신 환경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되는 값일 수도 있다.
센서 그룹 데이터 생성부(120)는 센서 데이터 생성부(110)에서 생성한 각 센서에 대응되는 센서 데이터를 기 설정된 센서 순서대로 결합시킨 센서 그룹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IoT 장치(100)에 복수 개의 센서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하였으므로, 센서 데이터 생성부(110)에 의해 생성되는 센서 데이터는 복수 개가 있고, 센서 그룹 데이터 생성부(120)는 그 복수 개의 센서 데이터를 연이어 연결한 형태의 센서 그룹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특히, 센서 그룹 데이터 생성부(120)는 확인부(140)에서 확인한 센서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산출되는 센서 그룹 데이터의 크기가 마찬가지로 확인부(140)에서 확인한 최대 전송 데이터 크기를 비교하여 만일 센서 그룹 데이터의 크기가 더 크다면 최대 전송 데이터 크기에 맞도록 센서 그룹 데이터를 분할하여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 그룹 데이터 생성부(120)는 최대 전송 데이터 크기에 맞도록 센서 그룹 데이터를 분할하되, 각 분할된 센서 그룹 분할 데이터 앞에 인덱스 필드를 추가한 후 해당 인덱스 필드에 분할 순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실제 전체 패킷이 생성된 이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전체 패킷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특히, 센서 그룹 데이터 생성부(120)는 센서 그룹 데이터의 분할 시 각 센서에 대응되는 센서 타입, 데이터 타입, 센서 값이 동일한 센서 그룹 분할 데이터에 포함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센서에 대응되는 센서 타입, 데이터 타입, 센서 값에 대한 정보가 나뉘어 서로 다른 전송 패킷에 포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외부 서버(200)는 IoT 장치(100)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신하거나, 각 IoT 장치(100)에 제어 신호 또는 설정 값 등을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댁내에 구비된 게이트웨이에 해당할 수도 있다.
물론 외부 서버(200)는 인터넷 망을 통해 연결되는 외부 업체가 운영하는 별도의 서버일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댁내에 구비되어 복수의 IoT 장치(100)와 통신하는 게이트웨이인 것을 일 예로 한다.
특히 외부 서버(200)는 각 IoT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센서 그룹 데이터를 각 센서 단위로 구분한 후, 구분된 센서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 타입, 데이터 타입, 센서 값을 기초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외부 서버(2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서버(200)는 수신부(210), 제어부(220), 알림 정보 제공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신부(210)는 각 IoT 장치(100)로부터 각 센서 그룹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IoT 장치(100)와 외부 서버(200) 간의 통신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제어부(220)는 수신부(210)에 수신된 센서 그룹 데이터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각 센서 단위로 구분하여 각 센서에 대응되는 센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각 센서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 타입, 데이터 타입, 센서 값을 기초로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센서 그룹 데이터에 온도 센서에 의한 온도 정보와, 습도 센서에 의한 습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20)는 기 설정된 패킷 포맷(예를 들어 센서 타입의 크기, 데이터 타입의 크기와 데이터 타입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판단된 센서 값의 크기)을 고려하여 온도 값과 습도 값을 추출하고,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알림 정보 제공부(230)는 제어부(220)에 의해 생성된 알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알림 정보 제공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미 도시함)를 통해 알림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로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100)의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IoT 장치(100)는 기 구비된 복수의 센서에 의한 센싱 정보를 수집한다(단계 S1).
이어서 IoT 장치(100)는 수집된 센싱 정보를 기초로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고(단계 S3), 그 생성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센서 그룹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5).
이때 IoT 장치(100)는 센서 그룹 데이터의 크기가 최대 전송 데이터의 크기보다 더 큰 경우(단계 S7), 최대 전송 데이터 크기에 맞춰 센서 그룹 데이터를 분할하게 되는데(단계 S)9, 각 센서 그룹 분할 데이터 앞에는 인덱스 필드를 추가하여 각 분할 순서를 알 수 있도록 한다(단계 S11).
물론, IoT 장치(100)는 센서 그룹 데이터를 분할하지 않는 경우에도 그 센서 그룹 데이터 앞에 인덱스 필드를 추가하고 그 인덱스 필드에 특별한 숫자(예를 들어 '0')가 포함되도록 하여 외부 서버(200)가 해당 센서 그룹 데이터가 분할되지 않은 것임을 알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단계 S15).
IoT 장치(100)는 각 센서 그룹 분할 데이터를 분할된 순서 즉, 인덱스 값이 작은 것부터 순차적으로 외부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S13).
이렇게 IoT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센서 그룹 데이터 포맷의 일 예가 도 5에 도시 되었다.
즉, 도 5를 살펴보면, 가장 처음 바이트는 인덱스 필드로서 센서 그룹 데이터의 분할 여부 및 분할 순서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0'이면 분할되어 있지 않은 상태, '1'이상은 분할된 순서)가 저장되어 있고, 그 다음 센서 타입, 데이터 타입, 값 필드는 첫 번째 센서(SDV1)에 대응되는 정보가 포함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 이후의 바이트들에는 두 번째 센서(SDV2)에 대응되는 정보(센서 타입, 데이터 타입, 값)가 배치되고, 이러한 과정은 반복된다.
다만 도 5에는 두 번째 센서(SDV2) 부터는 센서 타입, 데이터 타입, 값 필드를 편의상 도시하지 않았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IoT 장치 및 외부 서버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 : IoT 통신 시스템 100 : IoT 장치
200 : 외부 서버 110 : 센서 데이터 생성부
120 : 센서 그룹 데이터 생성부 130 : 통신부
140 : 확인부 210 : 수신부
220 : 제어부 230 : 알림 정보 제공부

Claims (10)

  1. IoT(Internet Of Things) 장치 및 이와 통신하는 외부 서버를 포함하는 IoT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IoT 장치가 기 구비된 각각의 센서에 대응되는 센서 타입, 데이터 타입, 센서 값을 순서대로 포함시킨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각 센서에 대응되는 센서 데이터를 기 설정된 센서 순서대로 결합시킨 센서 그룹 데이터를 생성하며, 그 생성된 센서 그룹 데이터를 통신 채널이 연결된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외부 서버가 상기 IoT 장치로부터 수신된 센서 그룹 데이터를 각 센서 단위로 구분한 후, 구분된 센서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 타입, 데이터 타입, 센서 값을 기초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c) 상기 IoT 장치가 기 구비된 센서의 종류 및 개수와 기 설정된 최대 전송 데이터 크기를 확인하는 단계와;
    (d) 상기 IoT 장치가 기 구비된 센서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산출되는 센서 그룹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최대 전송 데이터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최대 전송 데이터 크기에 맞도록 센서 그룹 데이터를 분할하고, 각 분할된 센서 그룹 분할 데이터 앞에 인덱스 필드를 추가한 후 해당 인덱스 필드에 분할 순서 정보를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센서 그룹 데이터의 분할 시 각 센서에 대응되는 센서 타입, 데이터 타입, 센서 값이 동일한 센서 그룹 분할 데이터에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타입은 각 센서들의 종류를 특정하는 정보이고, 상기 데이터 타입은 각 센서들의 센서 값의 데이터 크기를 특정하는 정보이며, 상기 센서 값은 각 센서들의 센싱 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7.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88057A 2018-07-27 2018-07-27 IoT(Internet Of Things)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01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057A KR102101648B1 (ko) 2018-07-27 2018-07-27 IoT(Internet Of Things)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057A KR102101648B1 (ko) 2018-07-27 2018-07-27 IoT(Internet Of Things)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590A KR20200017590A (ko) 2020-02-19
KR102101648B1 true KR102101648B1 (ko) 2020-04-17

Family

ID=69669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057A KR102101648B1 (ko) 2018-07-27 2018-07-27 IoT(Internet Of Things)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64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519B1 (ko) * 2012-07-20 2014-06-09 주식회사 씨에스 센싱 정보 수신 장치, 센싱정보 수신방법 및 센서 관리 시스템
KR20160123560A (ko) * 2015-04-16 2016-10-26 전자부품연구원 패킷 분할 전송 및 복원 방법
KR101969815B1 (ko) 2017-01-18 2019-04-17 콘텔라 주식회사 IoT 게이트웨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590A (ko)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3439B2 (ja) 意味命名モデル
US10070292B2 (en) Providing multiple virtual bluetooth low energy devices
US9984022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identify a communication protocol being used in a process control system
CN105408865B (zh) 用于针对IoT系统的作为服务的数据注释的方法与设备
US20130165044A1 (en) Bluetooth Low Energy Module Systems and Methods
US10785713B2 (en) Device and method for accessing multiple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683066B (zh) 异构系统集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8206788B (zh) 一种流量的业务识别方法及相关设备
KR20120048525A (ko) Sms를 통해 원격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1222547A (zh) 一种面向移动应用的流量特征提取方法及系统
CN112672328A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设备及环境数据的获取方法
CN104038654A (zh) 中继装置、客户端装置及方法
CN108881124B (zh) 在模块间实现高性能通信的方法、系统、存储介质及设备
CN111585817B (zh) 一种省电模式的切换方法及装置
KR102101648B1 (ko) IoT(Internet Of Things)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8460044B (zh) 数据的处理方法和装置
EP3332538A1 (en) Service elements
CN105052207B (zh) 一种信息查询方法、设备及系统
US20190306073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hancing the throughput between smart meter and server
CN112256714A (zh) 数据同步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11522642B (zh) 风电机组状态监测数据的获取方法、查询方法及电子设备
KR101755149B1 (ko) M2m 기반 데이터 전송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40147428A (ko) 차량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7118192A1 (zh) 一种数据传输间隔的确定方法及装置
CN112383924B (zh) 基站设备管理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