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358B1 - Pet-only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Pet-only water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358B1
KR102101358B1 KR1020180087087A KR20180087087A KR102101358B1 KR 102101358 B1 KR102101358 B1 KR 102101358B1 KR 1020180087087 A KR1020180087087 A KR 1020180087087A KR 20180087087 A KR20180087087 A KR 20180087087A KR 102101358 B1 KR102101358 B1 KR 102101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purifier
pump
companion animals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0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12166A (en
Inventor
김태형
김상혁
권회주
박순도
Original Assignee
태형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형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형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7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358B1/en
Priority to PCT/KR2018/008602 priority patent/WO2020022543A1/en
Publication of KR20200012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1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3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22Pumps actuated by the drinking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6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actuated by the anim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6Filters with built-in pumps filters provided with a pump mounted in or on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순환 방식의 정수 물을 먹을 수 있도록 하면서, 반려동물에게 발생할 수 있는 방광염, 요로 결석 등의 비뇨기계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water purifier dedicated to companion animal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urinary system diseases such as cystitis and urinary tract stones that can occur in the companion animal, while allowing the companion animal to eat circulating purified water.

Description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Pet-only water purifier}Pet-only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반려동물(예; 개, 고양이 등)이 순환 방식의 정수 물을 먹을 수 있도록 하면서, 반려동물에게 발생할 수 있는 비뇨기계 질환(예; 방광염, 요로 결석 등)을 예방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companion animals (eg, dogs, cats, etc.) to eat circulating purified water while preventing urinary system diseases (eg, cystitis, urolithiasis, etc.) that may occur in companion animals. It is about water purifier.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상수원에서 공급되는 상수를 물리적 및 화학적 방법으로 여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한 후 공급하는 장치로, 정수기에서 출수되는 정수 물을 사람과 같은 주거 공간에서 생활하는 반려동물에게 제공하기 위한 필요성이 있다.In general, a water purifier is a device that removes impurities by filtering the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ource by a physical and chemical method, and there is a need to provide purified water from the water purifier to a companion animal living in a living space such as a person. have.

이에 따라, 종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가 개시되기에 이르렀다.Accordingly, conventionally, various types of companion water purifiers have been disclosed.

일예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0617호(등록일 2003.04.02. 이하 '선행기술 1' 이라함)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1167호(등록일 2003.04.21. 이하 '선행기술 2' 이라함)에서는, 정수필터를 장착하여둔 물통에 직수관을 연결하거나 또는 사람이 직접 물통에 물을 투입하면서, 상기 정수필터를 통과하여 정수된 물이 배출될 때 이를 반려동물이 먹을 수 있도록 하였다.For example,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10617 (Registration Date 2003.04.0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and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11167 (Registration Date 2003.04.21. In the above), when a water pipe equipped with a water filter is connected to a direct water pipe or a person directly inputs water into the water tank, when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filter, a companion animal can eat it.

그러나, 선행기술 1,2는 물통에 저장되어 정수된 물이 지속적으로 순환되는 것이 아니라 정체된 상태를 유지하는 관계로, 수질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렵다.However, prior arts 1 and 2 are stored in a water tank, and the purified water is not continuously circulated, but maintains a stagnant state, so it is difficult to properly manage water quality.

한편, 종래 공개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7718호(공개일 2017.02.16. 이하 '선행기술 3' 이라함)에서는 정수필터가 장착된 물통을 사용자가 잡은 상태에서 정수된 물을 받침대 등에 직접 따라 주어야 하는 것으로, 이는 사용자가 외출하는 경우 반려동물이 필요로 하는 취수량만큼 정수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없는 제약이 있고, 특히 선행기술 1,2와 동일하게 물통에서 정수된 물을 지속적으로 순환시킬 수 없는 것이므로 이 또한 수질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는 없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17718 (published on Feb. 16, 2017,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rior Art 3 ''), the purified water is placed on a pedestal, etc. It must be followed directly, which is a limitation that can not continuously supply purified water as much as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by the companion animal when the user goes out. As it cannot be circulated, water quality management could not be performed properly.

즉, 상기 설명되는 선행기술들은 비록 정수필터를 통해 정수된 물을 반려동물에게 제공하는 것이지만, 이는 물통에 대한 정화 성능과 청결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관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That is, although the prior arts described above provide purified water to a companion animal through a water filter,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maintain the purification performance and cleanliness of the water tank.

한편, 상기 설명되는 선행기술들은 정수기에서 반려동물을 위해 구비되는 취수부는 물통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데, 단순히 물이 담겨 있을 뿐 특별히 반려동물에게 흥미를 유발하기 어려운 형태를 가지고 있고, 취수부가 지면 가까이에 위치되어 먼지나 세균 등으로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On the other hand,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has a shape similar to the water intake unit provided for the companion animal in the water purifier, it is simply contained in water and has a shape that is not particularly interesting for companion animals, and the intake unit is close to the ground. It is highly likely to be contaminated with dust or bacteria.

또한, 종래의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는 본체의 하단에 일부 측면이 돌출되고, 상대적으로 정수기 본체에 비해 작은 크기의 물그릇이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관계로, 다수의 반려동물이 한꺼번에 정수를 음용하는 것이 불편하고, 노출되는 수면이 넓지 않아 반려동물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구조가 아닌 한계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a conventional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has a side surface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a water bowl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a water purifier body is relatively provided, a plurality of companion animals drink water at a time. It is uncomfortable, and there is a limitation, not a structure that can cause the interest of a companion animal because the exposed surface is not wide.

한편, 종래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는 상기 선행기술들 이외에 펌프를 적용하여 정수된 물을 펌핑하는 경우도 있지만, 상기 펌프는 물이 없는 상태에서 작동하여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이에 따라 종래에는 사용자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로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 water purifiers dedicated to companion animals may pump water purified by applying a pump in addition to the prior art, but the pump operates in the absence of wat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malfunction occurs. This requires the user's careful attention.

또한, 종래 펌프가 적용되는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에서는 필터 교체 주기를 알려주지 않고, 사용자의 주관적인 관점에서 필터를 교체하게 되므로, 반려동물에게 양질의 식수를 제공하기는 어려웠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water purifier for pets to which a conventional pump is applied,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quality drinking water to a companion animal because the filter is replaced from a subjective viewpoint of the user without informing the filter replacement cycle.

또한, 종래 펌프가 적용되는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는 주간과 야간에 따라 물 공급량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하게 공급되는 관계로, 야간에 잠들어 있는 보호자와 반려동물을 배려하고, 필터 사용 시간과 소비 전력을 줄일 수는 없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ater purifier for pets to which a pump is applied is not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day and night, but is supplied in the same way, considering the guardians and pets sleeping at night, and the filter usage time and The power consumption could not be reduced.

또한, 종래 펌프가 적용되는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는 전선이 연결되는 펌프가 물통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소음이 많이 발생하고, 펌프에 대한 분해가 어려워 물통에 대한 청소가 불편하며, 특히 펌프에 대한 교체나 수리가 어려웠던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water purifier for pets to which a pump is applied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to which the electric wire is connected, a lot of noise is generated and it is difficult to disassemble the pump, making cleaning of the water tank inconvenient, especially the pump It was difficult to replace or repair.

또한, 종래 펌프가 적용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는 주기적인 세척이 필요로 하지만, 전기로 제어되는 제품이기 때문에 전선과 펌프, PCB 등이 삽입된 본체 혹은 물통을 소모품을 함께 세척할 수밖에 없으며, 이 경우 전선으로의 물 접촉을 차단하면서 세척을 진행하여야 하는 등 세척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ater purifier for pets to which a pump is applied requires periodic cleaning, but because it is an electrically controlled product, it is inevitable to clean the consumables with the wire or pump, PCB, etc. inserted into the body or water bottle together. In this cas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leaning is difficult, such as washing while blocking water contact to the electric wire.

또한, 종래 펌프가 적용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는 오직 물이 흐르는 소리와 형상으로만 흥미를 유발하므로, 반려동물이 제대로 물을 음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다.In addition, since a conventional water purifier dedicated to a pet to which a pump is applied induces interest only by the sound and shape of water flowing,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companion animal cannot properly drink water.

또한, 종래 펌프가 적용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는 필터가 누수 차단을 위한 방수용 오링 등을 통해 결합되어 있는 관계로, 필터 분리를 위해서는 일정한 힘이 필요로 하지만, 반려동물을 키우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여성인 점을 고려하면, 필터에 대한 분리가 어렵고, 필터를 분리한다 하더라도 이를 다시 결합시킬 때 그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방수 불량이 초래되어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경우가 많았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water purifier for pets to which a pump is applied is coupled through a waterproof O-ring for blocking leakage, a certain force is required to separate the filter, but most users who raise pets are female Considering the point, it is difficult to separate from the filter, and even when the filter is separated, when it is recombined, the coupling is not properly performed, and in many cases, water is leaked due to poor waterproofing.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0617호(등록일 2003.04.02.)Registr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10617 (Registration Date 2003.04.0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1167호(등록일 2003.04.21.)Registr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11167 (Registration Date 2003.04.21.)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7718호(공개일 2017.02.16.)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17718 (Publication date 2017.02.1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려동물이 순환 방식의 정수 물을 먹을 수 있도록 하면서, 반려동물에게 발생할 수 있는 방광염, 요로 결석 등의 비뇨기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dedicated to a companion animal to prevent a urinary system disease such as cystitis and urolithiasis, which may occur in a companion animal while allowing the companion animal to eat circulating purified water. Will do.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인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는, 구동전원 공급과 전자 제어를 위한 회로부가 수납되는 크래들; 상기 크래들에 올려지고, 물이 저장되는 상부 개방형의 저장조; 상기 회로부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고,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순환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필터 어셈블리; 상기 펌프가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 의해 정화된 정수 물을 반려동물이 음용 가능하게 하고, 음용되지 않은 정수 물 일부는 상기 저장조로 리턴 순환시키는 음용대; 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음용대의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것이다.A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which is a solution to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dle in which a circuit unit for driving power supply and electronic control is stored; An upper open storage tank that is placed on the cradle and stores water; A pump for driving by receiving driving power from the circuit unit and pumping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to circulate; A filter assembly that purifies water pumped by the pump; The pump is coupled to one end, the filter assembly is coupled to the other end, the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filter assembly to enable a companion animal to drink water, and some unused purified water is returned to the storage tank for drinking versus; Including, the pump is to be detach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drinking table is to be installed spac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또한, 상기 크래들에는 상기 회로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직형의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는 덮개에 의해 밀폐되는 구조를 이룬 것이다.In addition, the cradle forms a vertical storage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circuit portion, and the storage portion has a structure that is sealed by a cover.

또한, 상기 수납부의 상면에는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단자부가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first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portio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또한, 상기 크래들은 하부 크래들과 상부 크래들의 결합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크래들의 일측에 상기 수납부를 돌출 형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radle is made of a combination structure of a lower cradle and an upper cradle, and protrudes the receiving por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cradle.

또한, 상기 저장조의 일측 둘레에는 상기 수납부를 수용하기 위해 내측방향으로 함몰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receiving groove is recessed in the inner direction to accommodate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around one side of the storage tank.

또한,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마크론 단위의 필터 삽입물이 삽입되는 제 1 유로를 형성하여둔 원통부; 상기 원통부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유로와 연통되는 제 2 유로를 형성하여둔 제 1 캡; 상기 원통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음용대로 정수 물을 토출하기 위한 제 3 유로를 형성하여둔 제 2 캡; 및, 상기 음용대의 중심부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캡이 안착되며, 상기 제 2 유로와 연통되는 제 4 유로를 형성하여둔 덮개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lter assembly, a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first flow path is inserted into the filter insert of the macron unit; A first cap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and forming a second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ow path; A second cap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ow path to form a third flow path for discharging purified water to the drinking water; And, the first cap is seated to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enter of the drinking table, the cover portion formed to form a fourth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flow path; It is to include.

또한, 상기 음용대는, 상기 저장조의 상부측에 올려지는 하부대; 상기 하부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4 유로와 연통되는 제 5 유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펌프의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결합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수용하여 외측으로 정수 물을 상기 저장조로 리턴 순환시키는 배수공간과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배수홀을 형성하여둔 내부몸체; 상기 하부대와 상기 내부몸체의 상부측에 올려지는 것으로, 중심부에는 상기 배수공간과 연통되는 제 1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배수구 주변으로는 정수 물이 머무르는 음수영역을 형성하여둔 상부대; 및, 상기 필터 어셈블리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통해 정화된 정수 물을 상기 음수영역으로 분수형태로 토출하는 급수구를 형성하여둔 급수 캡; 을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rinking stand, the lower stand rais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servoir; It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base, while forming a fifth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fourth flow path, protrud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to enable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pump, and receiving the filter assembly to receive purified water to the outside. An internal body having a drainage space for return circulation to the storage tank and at least one or more drainage holes; It is raised on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inner body, a first drainage hol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age space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n upper stand formed with a negative area where purified water stays around the first drainage hole; And a water supply cap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ilter assembly and forming a water supply port for discharging purified water purified through the filter assembly in the form of a fountain into the negative area. It is to include.

또한, 상기 배수 캡에는 상기 음수영역의 수용 수위를 초과하는 정수 물을 상기 제 1 배수구를 통해 상기 배수공간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제 2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at least one or more second drains are formed in the drain cap to drain purified water exceeding the water level of the negative region into the drain space through the first drain.

또한, 상기 음수영역은 상기 배수구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negative region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drain.

또한, 상기 하부대 저면측 일단에는 상기 수납부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단자부와 전기적 접속이 가능한 제 2 단자부를 형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second terminal portion capable of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first terminal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ttom side of the lower base.

또한, 상기 제 1 단자부는 단자홈 또는 단자핀이고, 상기 제 2 단자부는 단자핀 또는 단자홈인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portion is a terminal groove or terminal pin,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is a terminal pin or terminal groove.

또한, 상기 내부몸체 내측 저면에는 제 2 결합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 2 결합부에는 상기 덮개부가 안착되도록 하되, 상기 제 2 결합부 내벽면에는 서로 단차를 이루는 삽입영역과 체결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덮개부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영역으로 삽입된 후 회전을 통해 상기 체결영역으로 진입하여 걸림되는 고정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second engaging portion is protrudingly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inner body, and the cover portion is seated on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nd an insertion region and a fastening region that form a step with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part, the fixed protrus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area through rotation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ng area is protruded.

또한, 상기 펌프에는 제 6 유로를 형성한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내부몸체의 제 1 결합부에 끼움방식으로 결합 고정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ump is formed with a connecting portion forming a sixth flow path, and the connecting portion is fix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inner body by fitting.

또한, 상기 저장조에는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저장조내의 물 저장량을 체크하고 이를 상기 회로부에 전달하는 정전용량센서를 형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torage tank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unit, and forms a capacitive sensor that checks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and delivers it to the circuit unit.

또한, 상기 회로부에는 상기 정전용량센서에 의해 체크된 결과에 따라 상기 펌프의 구동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 출력에 따라 물 저장량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ircuit un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turning on or off the driving of the pump according to a result checked by the capacitive sensor, and a notification unit for outputting a water storage amount notification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회로부에는 필터 교체 주기를 체크하는 타이머를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의 타임 정보에 따라 필터 교체 주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상기 알림부를 통해 알림신호를 출력 제어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ircuit unit configures a timer for checking the filter replacement cycle, and the controller outputs and controls a notification signal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to inform the user of the filter replacement cycl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of the timer.

또한, 상기 알림부는 상기 덮개를 통해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LED램프인 것이다.In addition, the notification unit is an LED lamp that irradiates light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ver.

또한, 상기 알림부는 알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인 것이다.In addition, the notification unit is a speaker that outputs a notification sound.

또한, 상기 크래들과 상기 저장조 및 상기 음용대 중 어느 하나에는 조도센서를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에 대한 온 또는 오프 구동, 그리고 상기 펌프의 온 구동시 그 구동량을 증감시키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In addition, one of the cradle, the reservoir and the drinking table comprises an illuminance sensor, and the control unit drives the pump on or off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illuminance sensor, and when the pump is turned on It outputs a signal that controls the amount to increase or decrease.

또한, 상기 음용대는 투명재질이고, 상기 음용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면서 반려동물에게 흥미를 유발시키도록 투명재질인 상기 음용대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여 순환되는 물을 조명하는 조명부를 형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rinking table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nking table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o irradiate light inside the drinking table, which is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to cause interest to a companion animal, thereby forming a lighting unit that illuminates circulating water. will b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o have the following effects.

1. 순환 방식의 정수 물을 제공하면서 필터로 유입된 물의 100%가 필터의 구성요소를 통과할 수밖에 없는 구조로 설계되어, 필터를 통해 배출된 물의 염소량과 탁도가 사람에게 제공되는 정수기에 준하게 낮추면서 방광염, 요로 결석 등의 비뇨기계 질환 예방이 가능하다.1. While providing purified water in a circulating manner, 100%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is designed to pass through the components of the filter, so that the amount of chlorine and turbidity of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ilter conforms to the water purifier provided to humans. While lower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urinary system diseases such as cystitis and urolithiasis.

2. 정전용량 센서를 통해 내부 물이 일정 이상 소진되었을때 이를 알려주면서 자동으로 펌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설계되어, 제품 자체를 보호하며, 반려동물에게 지속적으로 식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2. It is designed to automatically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pump while notifying when the internal water is exhausted over a certain amount through the capacitive sensor, protecting the product itself, and continuously providing drinking water to companion animals.

3. 타이머를 통해 필터 교체 주기를 알려 주면서, 필터 교체 주기를 사용자가 손쉽게 인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반려동물에게 양질의 식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3. While the filter replacement cycle is notified through the timer,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filter replacement cycle, thereby providing good drinking water to the companion animal.

4. 내부의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낮과 밤을 어둠과 밝음으로 구분하여 물이 나오는 시간과 양을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설계하여, 밤에 잠들어 있는 보호자와 반려동물을 배려하고, 필터 사용 시간과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4. Designed to automatically adjust the time and amount of water by dividing day and night into darkness and light using the internal illuminance sensor, taking care of guardians and pets sleeping at night, and using filter time and It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5. 세면대의 물마개가 열리는 구조를 착안하여 사용자가 원할 때 상단 급수 캡을 열어 취수부의 물을 아래로 급격하게 하강시켜, 취수부에 존재하는 반려동물의 털, 모래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세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5.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sink's water stopper open, when the user wants, the top water supply cap is opened and the water in the intake section is drastically lowered to effectively clean foreign matter such as hair and sand from the pet. It is.

6. 펌프를 상단 취수부에 고정하여, 상단 취수부를 열면 저조장에 어떠한 구조 장치가 없어 저장조 세척이 용이하고, 펌프를 상단 취수부에서 쉽게 분리하여 상단 취수부에 대한 세척은 물론, 소음을 저감하고, 펌프 자체의 자가 교체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AS에 따른 불편함을 개선하는 것이다.6. When the pump is fixed to the upper water intake, and the upper water intake is opened, there is no rescue device in the storage tank, so it is easy to clean the storage tank, and the pump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upper water intake to clean the upper water intake and reduce noise. And, it is to improv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AS while allowing the pump itself to be replaced easily.

7. 커피포트에서 착안한 하단 크래들 분리 구조를 적용하되, 상기 하단 크래들에 모든 회로기판(PCB)과 전자 제어 부품들을 구성하여, 정수기 세척시 전자계통 부품들을 손쉽게 분리하면서 세척 편의성을 높인 것이다.7. The bottom cradle separation structure applied in the coffee pot is applied, but all the circuit boards (PCB) and electronic control parts are configured on the bottom cradle, thereby easily separating the electronic system parts and cleaning, thereby improving the cleaning convenience.

8. 취수부를 투명으로 제작하여 취수부에서 흐르는 물의 물결이 빛에 반사되어 투명 취수부 내부에 비춰지도록 구성하여, 빛에 관심이 많은 반려동물들이 더욱 물마시기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8. By making the water intake transparent, the wave of water flowing from the water intake is reflected on the light to be reflected inside the transparent water intake, so that pets interested in light can feel more interested in drinking water.

9. 필터의 삽입 구조를 회전 타입으로 구성하여, 일정한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필터 분리 또는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결합시 방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9. The insertion structure of the filter is configured as a rotational type, so that even if a constant force is not applied, the filter can be easily separated or combined, and a bad waterproofing is prevented when the filter is coupl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의 구조를 상방향에서 바라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의 구조를 하방향에서 바라본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의 구조를 보인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회로부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필터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필터 어셈블리의 결합 초기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필터 어셈블리가 회전하여 결합 고정된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정수된 물을 음수대에 급수시키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정수된 물을 저장조로 리턴 순환시키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mpanion animal-only water purifier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structure of a companion animal-only water purifier viewed from abov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structure of a companion animal-only water purifier as viewed from below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mpanion animal-only water purifier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ircui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filter assemb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initial state of engagement of the filter assemb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fixed state coupled to the filter assembly is rotat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a drinking fount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return circulation of purified water to the storage tank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technolog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the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In addition,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exemplary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necessary shapes. For example, the area illustrated at a right angle may be rounded or may have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Accordingly,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have schematic properties, and the shape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is intended to illustrate a particular form of region of the device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erefore, althoug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not mentioned or described in the corresponding drawings, they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Further, even if reference numerals are not indicated, they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의 구조를 상방향에서 바라본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의 구조를 하방향에서 바라본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의 구조를 보인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ater purifier for exclusive use of a companion animal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structure of a water purifier for exclusive use of a companion animal as viewed from above,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n exploded view of the structure of a water purifier dedicated to a companion animal as viewed from below, and FIG. 4 show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ater purifier dedicated to a companion animal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회로부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필터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필터 어셈블리의 결합 초기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필터 어셈블리가 회전하여 결합 고정된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ircuit part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a filter assembly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ilter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e schematic view showing an initial state of engagement of the assembly, and FIG. 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assembly is rotated and fix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는, 크래들(10), 저장조(20), 펌프(30), 필터 어셈블리(40), 음수대(50)를 포함하는 것이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Figures 1 to 8, a companion water purifier dedic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radle 10, storage tank 20, pump 30, filter assembly 40, drinking fountain 50 ).

상기 크래들(10)은 외부 전원라인을 통해 상용전원(AC 220) 공급이 이루어질 때 그 상용전원으로부터 구동전원을 상기 펌프(30)에 공급하고 전자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회로부(100)를 수납하여둔 것이다.When the commercial power (AC 220) is supplied through the external power line, the cradle 10 supplies the driving power from the commercial power to the pump 30 and houses the circuit unit 100 for performing electronic control. will be.

이에 따라, 상기 크래들(10)에는 상기 회로부(1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직형의 수납부(11)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수납부(11)는 덮개(12)에 의해 밀폐되는 구조로 구성하여둔 것이다.Accordingly, the cradle 10 is formed with a vertical storage portion 11 for accommodating the circuit portion 100, as well as the storage portion 11 is configured to be sealed by a cover 12 I put it.

여기서, 상기 수납부(11)의 상면에는 상기 회로부(1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단자부(13)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제 1 단자부(13)는 단자홈 또는 단자핀일 수 있는 것이다.Here, a first terminal portion 13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portion 10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11, and the first terminal portion 13 may be a terminal groove or a terminal pin.

한편, 상기 크래들(10)은 하부 크래들(14)과 상부 크래들(15)의 결합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크래들(15)의 일측에는 수직형을 이루는 상기 수납부(11)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radle 10 may be made of a combination structure of the lower cradle 14 and the upper cradle 15, the storage portion 11 forming a vertical shape on one side of the upper cradle 15 is formed to protrude. will be.

상기 크래들(10)에 수직형의 수납부(11)를 돌출 형성한 후 이에 상기 회로부(100)를 수납 고정한 후 이를 덮개(12)를 밀폐하는 구조를 적용하는 이유는, 상기 크래들(10)로부터 상기 저장조(20)와 상기 펌프(30), 그리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와 상기 음수대(50)가 분리하여 세척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에따라 종래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의 문제로 지적된 전선과 펌프, PCB 등이 삽입된 본체 혹은 물탱크의 세척 작업 어려움을 간편하게 해소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The reason for applying the structure for sealing the cover 12 after receiving and fixing the circuit part 100 thereon after protrudingly forming the vertical storage part 11 on the cradle 10 is from the cradle 10. The storage tank 20, the pump 30, and the filter assembly 40 and the drinking fountain 50 is to facilitate the washing operation is separated, thus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companion animal water purifier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easily solving the difficulty of cleaning the main body or water tank in which the wire, pump, PCB, etc. indicated by are inserted.

상기 수납부(100)를 수직형으로 구성함에 따라, 상기 수납부(100)에 물이 접촉하더라도 이는 정체되지 않고 상기 수납부(100)를 따라 흘러내리게 되면서, 상기 수납부(100)내의 회로부(100)는 물 접촉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As the storage part 100 is vertically configured, even if wat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rage part 100, it does not stagnate and flows down along the storage part 100. 100) is not affected by water contact.

한편, 상기 수납부(11)에는 상기 회로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덮개(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작동스위치(16)를 가지며, 상기 작동스위치(16)에 의해 상기 펌프(30)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torage unit 11 has an operation switch 16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ver 12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unit 100, the pump 30 by the operation switch 16 ) Can be driven.

상기 저장조(20)는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는 상부 개방형의 구조물로서, 상기 크래들(10)에 올려지는 것이며, 상기 저장조(20)의 일측 둘레에는 상기 수납부(11)를 수용하기 위해 내측방향으로 함몰되는 수용홈(21)을 형성하여둔 것이다.The storage tank 20 is an upper open-type structure in which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stored, and is placed on the cradle 10, and in one direction around the storage tank 20, an inner direction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storage unit 11. It is to form a recessed receiving groove (21).

여기서, 상기 저장조(20)에는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회로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정전용량센서(20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정전용량센서(200)는 상기 저장조(20)내의 물 저장량을 체크하고 이를 상기 회로부(100)에 전달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Here, the storage tank 20 may be configured as a capacitive sensor 200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unit 100 as shown in Figure 5 attached, the capacitive sensor 200 is the storage tank 20 It is configured to check the amount of water stored therein and deliver it to the circuit unit 100.

이에따라, 상기 회로부(100)에는 상기 정전용량센서(200)에 의해 체크된 결과에 따라 상기 펌프(30)의 구동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어부(101), 그리고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신호 출력에 따라 물 저장량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알림부(102)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 필터 교체 주기를 체크하는 타이머(10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타이머(103)의 타임 정보에 따라 필터 교체 주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상기 알림부(102)를 통해 알림신호를 출력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circuit unit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01 for turning on or off the driving of the pump 30 according to a result checked by the capacitive sensor 200, and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01. Accordingly, it may further include a notification unit 102 for outputting a water storage amount notification signal, and may further include a timer 103 for checking a filter replacement cycle, so that the control unit 101 may include the timer 103 ), It is possible to output and control the notification signal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102 to inform the user of the filter replacement cycl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이때, 상기 알림부(102)는 상기 덮개(12)를 통해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LED램프 또는 '삐∼"와 같은 알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notification unit 102 may be configured as a speaker that outputs a notification sound such as an LED lamp or 'beep' that irradiates light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ver 12.

한편, 첨부된 도 5의 블럭도에서와 같이, 상기 크래들(10)과 상기 저장조(20) 및 상기 음용대(50) 중 어느 하나에는 조도센서(300)가 더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조도센서(3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30)에 대한 온 또는 오프 구동, 그리고 상기 펌프(30)의 온 구동시 그 구동량을 증감시키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는 것이다.Meanwhile, as in the attached block diagram of FIG. 5, an illuminance sensor 300 may be further configured in any one of the cradle 10, the reservoir 20, and the drinking stand 50, and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01 outputs a signal to control on or off driving of the pump 3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illuminance sensor 300, an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driving amount when the pump 30 is turned on. You can do it.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는 상기 알림부(102)를 통해 사용자가 필터 교체 또는 물 부족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면서, 반려동물의 건강한 생활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 상기 조도센서(300)를 통해서는 낮과 밤을 어둠과 밝음으로 구분하여 물이 나오는 시간과 양의 자동 조절이 가능하게 되면서 밤에 잠들어 있는 보호자와 반려동물을 배려할 수 있음은 물론, 필터 사용시간과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help the user to grasp the filter replacement or water shortage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102, thereby helping the companion animal to live a healthy life, and the illuminance. Through the sensor 300, day and night are divided into dark and bright, and automatic adjustment of the time and amount of water is possible, so that the guardian and companion animals asleep at night can be considered, as well as the filter usage time. It can be expecte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더불어, 상기 설명되는 타이머(103)를 적용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적절한 시기에 필터 교체 주기를 인지하도록 하여 반려동물에게 양질의 식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applying the timer 103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high quality drinking water to companion animals by allowing the user to recognize the filter replacement cycle at an appropriate time.

또한, 상기 정전용량센서(200)를 적용함에 따라, 상기 저장조(20)의 내부에 물이 일정 이상 소진되었을 경우에 알림부(102)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보하게 되면서, 상기 제어부(101)가 자동으로 펌프(30)에 공급하는 구동전원을 차단하게 되므로, 제품 자체를 보호하고, 반려동물에게 지속적으로 식수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종래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의 경우 순환 방식 펌프의 특성상 물이 없는 상태에서 작동할 때 고장의 위험성, 그리고 저장조(20)내에 물이 전부 소진되었을 때에도 지속적으로 상기 펌프(30)가 작동하게 되는 문제를 개선한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capacitive sensor 200 is applied, when the water in the storage tank 20 is exhausted for a certain amount or more, the user is notified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102, and the control unit 101 automatically As the driving power supplied to the pump 30 is cut off, the product itself is protected, and drinking water can be continuously provided to the companion animal.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there is no water due to the nature of the circulation type pump. It improves the risk of failure when operating in a state, and the problem that the pump 30 continuously operates even when the water in the reservoir 20 is exhausted.

상기 펌프(30)는 상기 회로부(100)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고, 상기 저장조(20)에 저장된 물을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를 거쳐 상기 음수대(50)로 펌핑시키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pump 30 is driven by receiving driving power from the circuit unit 100 and configured to pump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20 through the filter assembly 40 to the drinking fountain 50. will be.

이때, 상기 펌프(30)에는 제 6 유로(U6)를 형성한 연결부(31)가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연결부(31)는 상기 음수대(50)에 구성되는 후술하는 내부몸체(52)의 제 1 결합부(52a)에 끼움방식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펌프(30)는 상기 저장조(20)의 내부에서 상기 저장조(2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공중 부양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pump 30 is formed with a connecting portion 31 forming a sixth flow path U6, and the connecting portion 31 is made of an internal body 52 to be described later, which is configured in the drinking fountain 50. 1 can be coupled and fixed in a fitting manner to the engaging portion 52a, whereby the pump 30 can maintain an levitation stat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20 inside the reservoir 20 It is.

한편, 상기 펌프(30)가 상기 저장조(2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공중 부양 형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펌프(30)의 펌핑동작에 따른 소음 차단 효과가 증대되고, 상기 저장조(20)의 상단으로부터 음용대(50)를 분리시킬 때, 상기 펌프(30)도 함께 분리되므로, 상기 저장조(20)에 대한 세척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펌프(30)를 상기 음용대(50)로부터 손쉽게 분리 가능하므로, 상기 음용대(50)에 대한 세척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상기 펌프(30)에 대한 사용자의 자가 교체가 가능하게 되면서 AS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ump 30 maintains the levitation shape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20, the noise blocking effect due to the pumping operation of the pump 30 is increased, and the storage tank 20 When separating the drinking stand 50 from the top, the pump 30 is also separated, so that the cleaning of the storage tank 20 can be easily performed, as well as the pump 30 to the drinking stand 50 Since i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washing of the drinking table 50 can be easily performed,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AS cost as the user's self-replacement with respect to the pump 30 is possible.

여기서, 상기 제 1 결합부(52a)에 상기 연결부(31)를 끼움 결합시, 상기 연결부(31)의 외주면에는 패킹(미도시)가 형성되며, 이에따라 상기 펌프(30)에 의해 물이 펌핑되어 상기 제 6 유로(U6)에 유입될 때, 상기 제 1 결합부(52a)와 상기 연결부(31)의 사이에서는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다.Here, when the connection portion 31 is fitt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52a, a packing (not show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31, and accordingly, water is pumped by the pump 30. When flowing into the sixth flow path U6, leakage was not generat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52a and the connecting portion 31.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는 상기 펌프(30)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것으로, 원통부(41), 제 1 및 제 2 캡(42)(43), 덮개부(44)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filter assembly 40 is to purify the water pumped by the pump 30, and includes a cylindrical portion 41, first and second caps 42, 43, and a cover portion 44. .

상기 원통부(41)는 마크론 단위의 필터 삽입물(예; 카본블럭과 세디먼트)(미도시)이 삽입되는 제 1 유로(U1)를 형성하여둔 것이다.The cylindrical portion 41 is formed by forming a first flow path U1 into which a filter insert (eg, a carbon block and a sediment) (not shown) of a macron unit is inserted.

즉, 상기 원통부(41)의 제 1 유로(U1)를 따라 물이 통과될 때, 상기 필터 삽입물을 거치면서 정화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water passes along the first flow path U1 of the cylindrical portion 41, it can be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insert.

여기서, 상기 제 1 유로(U1)에 상기 필터 삽입물을 채우게 되면, 상기 물은 상기 제 1 유로(U1)를 따라 상기 필터 삽입물을 100% 통과하게 되므로, 상기 물의 염소량과 탁도를 사람에게 제공하는 정수기와 동일하게 낮출 수 있는 것이다.Here, when the filter insert is filled in the first flow path U1, the water passes through the filter insert 100% along the first flow path U1, so that the water purifier provides the chlorine amount and turbidity of the water to a person. It can be lowered in the same way.

즉, 물은 1차 정화된 이후에 상기 저장조(20)로 리턴 순환된 후 다시 펌핑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므로, 물의 염소량과 탁도를 서서히 낮출 수 있으며, 이에따라 종래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의 문제로서, 필터로 유입된 물의 100%가 필터 구성요소를 통과하지 못하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필터를 통해 배출된 물의 염소량과 탁도가 필터를 통과하기 전과 큰 차이를 갖고 있지 않은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water is repeatedly circulated after returning to the storage tank 20 after being first purified, the process of pumping again is repeated, so that the amount of chlorine and turbidity of water can be gradually lowered, and accordingly, as a problem of a conventional water purifier dedicated to companion animals, Since 100% of the water entering the filter does not pass through the filter compon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blem that the amount of chlorine and turbidity of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ilter does no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before passing through the filter.

상기 제 1 캡(42)은 상기 원통부(41)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유로(U1)와 연통되는 제 2 유로(U2)를 형성하여둔 것이다.The first cap 42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41, and forms a second flow path U2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flow path U1.

상기 제 2 캡(43)은 상기 원통부(41)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유로(U1)와 연통되어 상기 음용대(50)로 정수 물을 토출하기 위한 제 3 유로(U2)를 형성하여둔 것이다.The second cap 43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41,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flow path U1 to provide a third flow path U2 for discharging purified water to the drinking table 50. It is formed.

상기 덮개부(44)는 상기 음용대(50)의 중심부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캡(42)이 안착되며, 상기 제 2 유로(U2)와 연통되는 제 4 유로(U4)를 형성하여둔 것이다.The cover portion 44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drinking table 50, the first cap 42 is seated, forming a fourth flow path (U4)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flow path (U2) I did it.

여기서,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음용대(50)에 포함되는 후술하는 내부몸체(52)의 내측 저면에는 제 2 결합부(52c)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 2 결합부(52c)에는 상기 덮개부(44)가 안착되도록 하되, 상기 제 2 결합부(52c)의 내벽면에는 삽입영역(T1)과 체결영역(T2)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덮개부(44)의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영역(T1)으로 삽입된 후 회전을 통해 상기 체결영역(T2)으로 진입하여 걸림되는 고정돌기(44a)를 돌출 형성하였으며, 이는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의 사용자가 여성인점을 고려하여 오링을 사용한 힘으로 삽입하는 일반적인 필터 삽입 구조가 아닌 회전 삽입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약한 힘으로도 필터 어셈블리(4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그 결합시 효과적인 방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Here, as shown in the attached Figures 6 to 8,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inner body 52 to be described later included in the drinking table 50 to form a second engaging portion (52c) protruding, the second engaging portion The cover portion 44 is seated at 52c, but an insertion region T1 and a fastening region T2 are protru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2c, and the cover portion 44 i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area (T1), and then, through rotation, it enters into the fastening area (T2) and protrudes and forms a fixed protrusion (44a) that is caught,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female user's point of view of the female By using a rotational insertion structure rather than a general filter insertion structure that inserts with O-ring force,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filter assembly 40 with a weak force, as well as to obtain an effective waterproof effect when combining. will be.

상기 음용대(50)는 상기 펌프(30)가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40)가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에 의해 정화된 정수 물을 반려동물이 음용 가능하게 하고, 음용되지 않은 정수 물 일부는 상기 저장조(20)로 리턴 순환시키도록 구성하여둔 것으로, 하부대(51), 내부몸체(52), 상부대(53), 급수 캡(54)을 포함하는 것이다.In the drinking stand 50, the pump 30 is coupled to one end, and the filter assembly 4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so that the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filter assembly 40 can be used by pets. , Part of the unused purified water is configured to return to the storage tank 20, and includes a lower base 51, an inner body 52, an upper base 53, and a water supply cap 54 .

상기 하부대(51)는 상기 저장조(20)의 상부측에 올려지는 구조물이다.The lower stand 51 is a structure that is rai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tank (20).

상기 내부몸체(52)는 상기 하부대(51)의 중심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 4 유로(U4)와 연통되는 제 5 유로(U5)를 형성하면서 상기 펌프(30)의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결합부(52a)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를 수용하여 외측으로 정수 물을 상기 저장조(20)로 리턴 순환시키는 배수공간(A1)과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배수홀(52b)을 형성하여둔 것이다.The inner body 5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the center of the lower base 51, and is capable of detachment of the pump 30 while forming a fifth flow path U5 communicating with the fourth flow path U4. A drainage space (A1) and at least one or more drainage holes for protrud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52a) to be made, and receiving the filter assembly (40) to return purified water to the storage tank (20) for circulation. (52b) was formed.

상기 상부대(53)는 상기 하부대(51)와 상기 내부몸체(52)의 상부측에 올려지는 것으로, 중심부에는 상기 배수공간(A1)과 연통되는 제 1 배수구(53a)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배수구(53a)의 주변으로는 정수 물이 머무르는 음수영역(53b)을 형성하여둔 것이다.The upper stand 53 is to be rai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tand 51 and the inner body 52, a first drain port 53a communicating with the drainage space A1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A negative region 53b in which purified water stays is formed around the first drain port 53a.

상기 급수 캡(54)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에 포함되는 제 2 캡(43)의 상단에 올려지는 것으로,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를 통해 정화된 정수 물을 상기 음수영역(53b)으로 분수 형태로 토출하는 급수구(54a)를 형성하여둔 것이다.The water supply cap 54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ap 43 included in the filter assembly 40, and purified water purified through the filter assembly 40 is fractionated into the negative area 53b. It forms a water supply port (54a) for discharging in the form.

여기서, 상기 제 2 캡(43)의 위에 상기 급수 캡(54)이 올려질 때, 상기 급수 캡(54)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제 2 배수구(54b)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배수구(54b)는 상기 음수영역(53b)의 수용 수위를 초과하는 정수 물을 상기 제 1 배수구(53a)를 통해 상기 배수공간(A1)으로 배수시키기 위함이다.Here, when the water supply cap 54 is placed on the second cap 43, at least one or more second drains 54b are formed in the water supply cap 54, and the second drains 54b ) Is for draining the purified water exceeding the water level of the negative region 53b to the drainage space A1 through the first drain port 53a.

따라서, 상기 배수공간(A1)으로 배수된 정수 물은 상기 배수홀(52b)을 통해 상기 저장조(20)로 리턴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다시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로 재순환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urified water drained to the drainage space A1 is returned to the storage tank 20 through the drainage hole 52b, so that it can be recycled back to the filter assembly 40.

한편, 상기 급수 캡(54)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므로, 상기 상부대(53)에 형성되는 제 1 배수구(53a)의 개방 면적은 넓어질 수 있으며, 이에따라 경사진 음수영역(53b)에 존재하는 정수 물은 물론, 정수 물을 음용시 발생하는 반려동물의 털이나 모래 등의 이물질이 상기 음수영역(53b)에 떨어지더라도, 상기 이물질은 개방면적이 확장된 상기 제 1 배수구(53a)를 통해 배수공간(A1)으로 급격하게 배수되면서, 음용대(50)의 음수영역(53b)에 존재하는 반려동물의 털이나 모래 등의 이물질을 손쉽게 치울 수 있고, 이에따라 종래 반려동물 전용 정수기에서 발생하는 제품을 분해한 뒤 세척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water supply cap 54 can be separated from the filter assembly 40, the opening area of the first drain port 53a formed in the upper stand 53 can be widened, and accordingly the inclined negative area Even if the foreign matter such as hair or sand of a companion animal generated when drinking purified water as well as the purified water present in (53b) falls in the negative area (53b), the foreign matter remains in the first drain with an expanded open area. As it is rapidly drained to the drainage space (A1) through (53a), foreign matter such as hair or sand of the companion animal existing in the negative area 53b of the drinking table 50 can be easily removed, and accordingly, it is dedicated to the conventional companion animal.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nconvenience of disassembling and washing the product generated in the water purifier.

한편, 상기 하부대(51)의 저면측 일단에는 상기 수납부(11)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단자부(13)와 전기적 접속이 가능한 단자핀 또는 단자홈 형태의 제 2 단자부(51a)를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음용대(50)를 저장조(20)의 위에 올려놓을 때 상기 회로부(100)를 통해 상기 펌프(30)로의 구동전원 공급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 terminal pin or a terminal groove type second terminal portion 51a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1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11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lower base 51. Since it is formed, when the drinking stand 50 is placed on the storage tank 20, the driving power supply to the pump 30 through the circuit unit 100 can be easily made.

여기서, 상기 음용대(50)를 이루는 하부대(51)와 내부몸체(52)는 물론 상부대(53), 및/또는 급수 캡(54)은 투명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음용대(50)를 이루는 하부대(51) 및/또는 상부재(53)의 외주면에 상기 제어부(101)에 의해 제어되는 조명부(400)를 구성할 수 있고, 이에따라 상기 조명부(400)에서 상기 음용대(50)측으로 조명을 조사하여 정수 물을 비추게 되면, 반려동물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게 되면서, 반려동물의 적정량 수분 섭취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lower stand 51 and the inner body 52 constituting the drinking stand 50, as well as the upper stand 53, and / or the water supply cap 54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ccordingly the drinking stand A lighting unit 400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01 may be configur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lower unit 51 and / or the upper member 53 constituting (50), and accordingly, the lighting unit 400 may use the drinking stand. When irradiated with light on the (50) side to illuminate purified water,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interest of the companion animal, and induce the proper amount of water intake of the companion animal.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펌프(30)에 의해 저장조(20)의 물을 펌핑하여 필터 어셈블리(40)를 통해 정화시킨 후 이를 음용대(50)에 급수시키므로, 반려동물은 음용대(50)로 급수된 정수 물 음용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반려동물이 취수량 부족으로 발생하는 비뇨기계 질환(예; 방광염, 요로 결석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rified through the filter assembly 40 by pumping the water in the storage tank 20 by the pump 30, as shown in FIGS. Since it is supplied to the drinking table 50, the companion animal can drink purified water that has been supplied to the drinking table 50, and accordingly, the urinary system disease caused by lack of water intake by the companion animal (eg cystitis, urolithiasis) Etc.).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상기 음용대(50)에서 급수된 정수 물이 경사진 상기 음수영역(53b)의 높이를 초과하여 급수되는 경우, 상기 정수 물은 급수 캡(54)의 제 2 배수구(54b)→제 1 배수구(53a)→배수유로(A1)→배수홀(52b)을 통해 저장조(20)로 리턴 순환되고, 이렇게 리턴 순환된 정수 물이 다시 상기 펌프(30)에 의해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를 거쳐 상기 음용대(50)로 급수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므로, 반려동물에게 보다 쾌적한 식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lied with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drinking table 50 in excess of the height of the inclined negative area 53b, the purified water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cap 54. The second drain (54b) → first drain (53a) → drainage passage (A1) → is returned to the storage tank (20) through the drainage hole (52b), the purified water is returned to the circulation pump 30 By repeating the process of supplying water to the drinking table 50 through the filter assembly 40,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comfortable drinking water to a companion animal.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는, 크래들(10)로부터 저장조(20)가 분리 가능하고, 상기 저장조(20)로부터 음용대(50)가 분리 가능함은 물론, 상기 음용대(50)에서는 필터 어셈블리(40)와 펌프(30)가 손쉽게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저장조(20)와 상기 음용대(40)를 손쉽게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그 유지 관리가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tank 20 is detachable from the cradle 10, and the drinking stand 50 is detachable from the storage tank 20, as well as the drinking stand. In 50, since the filter assembly 40 and the pump 30 are easily separated, the storage tank 20 and the drinking table 40 can be easily washed and used, so that the maintenance is convenient. There is this.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water purifier for use only for companion animal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practiced by anyone who has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Needless to say,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크래들 11; 수납부
12; 덮개 13; 제 1 단자부
14; 하부 크래들 15; 상부 크래들
20; 저장조 21; 수용홈
30; 펌프 31; 연결부
40; 필터 어셈블리 41; 원통부
42; 제 1 캡 43; 제 2 캡
44; 덮개부 44a; 고정돌기
50; 음용대 51; 하부대
51a; 제 2 단자부 52; 내부몸체
52a; 제 1 결합부 52b; 배수홀
52c; 제 2 결합부 53; 상부대
53a; 제 1 배수구 53b; 음수영역
54; 급수 캡 54a; 급수구
54b; 제 2 배수구 100; 회로부
101; 제어부 102; 알림부
103; 타이머 200; 정전용량센서
300; 조도센서 400; 조명부
A1; 배수공간 U1; 제 1 유로
U2; 제 2 유로 U3; 제 3 유로
U4; 제 4 유로 U5; 제 5 유로
U6; 제 6 유로 T1; 삽입영역
T2; 체결영역
10; Cradle 11; Storage
12; Cover 13; First terminal part
14; Lower cradle 15; Upper cradle
20; Reservoir 21; Acceptance home
30; Pump 31; Connection
40; Filter assembly 41; Cylinder
42; First cap 43; 2nd cap
44; Cover 44a; Fixed projection
50; Drinking Table 51; Lower base
51a; A second terminal portion 52; Internal body
52a; A first engaging portion 52b; Drainage hall
52c; A second coupling portion 53; Upper
53a; First drain 53b; Negative area
54; Water supply cap 54a; Water supply
54b; A second drain 100; Circuit
101; Control unit 102; Notification
103; Timer 200; Capacitive sensor
300; Illuminance sensor 400; Lighting
A1; Drainage space U1; 1st Euro
U2; Second euro U3; Third Euro
U4; Fourth euro U5; Euro 5
U6; Sixth euro T1; Insertion area
T2; Fastening area

Claims (20)

구동전원 공급과 전자 제어를 위한 회로부가 수납되는 크래들; 상기 크래들에 올려지고, 물이 저장되는 상부 개방형의 저장조; 상기 회로부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고,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순환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필터 어셈블리; 및, 상기 펌프가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 의해 정화된 정수 물을 반려동물이 음용 가능하게 하고, 음용되지 않은 정수 물 일부는 상기 저장조로 리턴 순환시키는 음용대; 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음용대의 중심부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 4 유로를 형성하여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음용대는, 상기 저장조의 상부측에 올려지는 하부대; 상기 하부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4 유로와 연통되는 제 5 유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펌프의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결합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수용하여 외측으로 정수 물을 상기 저장조로 리턴 순환시키는 배수공간과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배수홀을 형성하여둔 내부몸체; 상기 하부대와 상기 내부몸체의 상부측에 올려지는 것으로, 중심부에는 상기 배수공간과 연통되는 제 1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배수구 주변으로는 정수 물이 머무르는 음수영역을 형성하여둔 상부대; 및, 상기 필터 어셈블리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통해 정화된 정수 물을 상기 음수영역으로 분수형태로 토출하는 급수구를 형성하여둔 급수 캡; 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음용대의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A cradle in which circuit parts for driving power supply and electronic control are accommodated; An upper open storage tank that is placed on the cradle and stores water; A pump for driving by receiving driving power from the circuit unit and pumping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to circulate; A filter assembly that purifies water pumped by the pump; And, as the pump is coupled to one end and the filter assembly is coupled to the other end, the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filter assembly to enable a companion animal to drink, and a portion of the unused purified water is returned to the storage tank for circulation Drinking table; Including,
The filter assembly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enter of the drinking table includes a cover portion formed with a fourth flow path,
The drinking stand, the lower stand rais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servoir; It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base, while forming a fifth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fourth flow path, protrud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to allow the pump to be detached, receiving the filter assembly to receive purified water outwardly. An internal body having a drainage space for return circulation to the storage tank and at least one or more drainage holes; It is raised on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inner body, a first drainage hol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age space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n upper stand having a negative area around which the purified water stays; And a water supply cap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ilter assembly and forming a water supply port for discharging purified water purified through the filter assembly into the negative area in a fractional form. Including,
The pump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drinking table, the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에는 상기 회로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직형의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는 덮개에 의해 밀폐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radle is formed with a vertical storage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circuit portion,
The storage unit is a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s sealed by a cov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상면에는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단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2,
A first water purifier for use in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portio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하부 크래들과 상부 크래들의 결합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크래들의 일측에 상기 수납부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cradle is made of a combination structure of a lower cradle and an upper cradle, and a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portion protrudes on one side of the upper crad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의 일측 둘레에는 상기 수납부를 수용하기 위해 내측방향으로 함몰되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4,
A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is formed around one side of the storage tank to form a receiving groove recessed in an inner direction to accommodate the storage uni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덮개부에 더하여, 마크론 단위의 필터 삽입물이 삽입되는 제 1 유로를 형성하여둔 원통부; 상기 원통부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유로와 연통되는 제 2 유로를 형성하여둔 제 1 캡; 상기 원통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음용대로 정수 물을 토출하기 위한 제 3 유로를 형성하여둔 제 2 캡;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 1 캡이 안착되면서 상기 제 2 유로와 연통되는 상기 제 4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filter assembly,
In addition to the cover portion, a cylindrical portion forming a first flow path through which a filter insert of a macron unit is inserted; A first cap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and forming a second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ow path; A second cap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ow path to form a third flow path for discharging purified water to the drinking water; Further comprising,
The cover portion is a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ap is seated and forms the fourth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flow path.
삭제dele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캡에는 상기 음수영역의 수용 수위를 초과하는 정수 물을 상기 제 1 배수구를 통해 상기 배수공간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제 2 배수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water supply cap, at least one or more second water outlets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second drains are formed for draining the purified water exceeding the water level of the negative area to the drain space through the first drai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수영역은 상기 제 1 배수구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negative area is a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drai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대 저면측 일단에는 상기 수납부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단자부와 전기적 접속이 가능한 제 2 단자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9,
A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ttom side of the lower stand, wherein a second terminal part capable of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first terminal par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art is forme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부는 단자홈 또는 단자핀이고, 상기 제 2 단자부는 단자핀 또는 단자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terminal portion is a terminal groove or terminal pin,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is a water purifier for use in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pin or terminal groov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몸체 내측 저면에는 제 2 결합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 2 결합부에는 상기 덮개부가 안착되도록 하되,
상기 제 2 결합부 내벽면에는 서로 단차를 이루는 삽입영역과 체결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덮개부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영역으로 삽입된 후 회전을 통해 상기 체결영역으로 진입하여 걸림되는 고정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1,
A second coupling portion protrudes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inner body, and the cover portion is seated 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 insertion region and a fastening region that form a step with each other are formed, a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the fastening protrusion that enters into the fastening region through rotation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region is protruded. Water purifier for use only for companion animals.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에는 제 6 유로를 형성한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내부몸체의 제 1 결합부에 끼움방식으로 결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2,
The pump is formed with a connection part forming a sixth flow path, and the connection part is a water purifier for use only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is fixed in a fitting manner to the first coupling part of the inner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에는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저장조내의 물 저장량을 체크하고 이를 상기 회로부에 전달하는 정전용량센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2,
The storage tank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unit, and a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n electrostatic capacity sensor that checks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and delivers it to the circuit unit.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에는 상기 정전용량센서에 의해 체크된 결과에 따라 상기 펌프의 구동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 출력에 따라 물 저장량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4,
The circuit un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turning on or off the driving of the pump according to a result checked by the capacitive sensor, and a notification unit for outputting a water storage amount notific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Water purifier for pets only.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에는 필터 교체 주기를 체크하는 타이머를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의 타임 정보에 따라 필터 교체 주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상기 알림부를 통해 알림신호를 출력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5,
A timer for checking the filter replacement cycle is configured in the circuit unit,
The control unit outputs and controls a notification signal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to inform a user of a filter replacement cycl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of the time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덮개를 통해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LED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6,
The notification unit is a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D lamp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ve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알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6,
The notification unit is a water purifier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aker outputs a notification sound.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과 상기 저장조 및 상기 음용대 중 어느 하나에는 조도센서를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에 대한 온 또는 오프 구동, 그리고 상기 펌프의 온 구동시 그 구동량을 증감시키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8,
An illuminance sensor is configured in any one of the cradle, the reservoir, and the drinking table,
The control unit outputs a signal for controlling on or off of the pump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illuminance sensor, and outputs a signal to control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driving amount when the pump is on.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대는 투명재질이고, 상기 음용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면서 반려동물에게 흥미를 유발시키도록 투명재질인 상기 음용대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여 순환되는 물을 조명하는 조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9,
The drinking table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inking table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o form a lighting unit that illuminates circulating water by irradiating light to the inside of the drinking table, which is a transparent material to induce interest in a companion animal. Water purifier for pets.
KR1020180087087A 2018-07-26 2018-07-26 Pet-only water purifier KR1021013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087A KR102101358B1 (en) 2018-07-26 2018-07-26 Pet-only water purifier
PCT/KR2018/008602 WO2020022543A1 (en) 2018-07-26 2018-07-30 Water purifier exclusively for pe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087A KR102101358B1 (en) 2018-07-26 2018-07-26 Pet-only water pur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166A KR20200012166A (en) 2020-02-05
KR102101358B1 true KR102101358B1 (en) 2020-04-17

Family

ID=69181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087A KR102101358B1 (en) 2018-07-26 2018-07-26 Pet-only water purifi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1358B1 (en)
WO (1) WO2020022543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660A (en) *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고유컴퍼니 Water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22173B2 (en) 2014-03-26 2024-05-29 SCR Engineers Ltd Livestock location system
US11071279B2 (en) 2014-09-05 2021-07-27 Intervet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health in animal populations
US10986817B2 (en) 2014-09-05 2021-04-27 Intervet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health in animal populations
US11832584B2 (en) 2018-04-22 2023-12-05 Vence, Corp. Livestoc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12911927B (en) 2018-10-10 2023-06-27 世亚工程设备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drying milk of livestock
KR102323953B1 (en) * 2019-07-16 2021-11-09 태형물산 주식회사 Pet-only water purifier
KR102171079B1 (en) 2020-02-21 2020-10-28 주식회사 더카본스튜디오 Water-treating device
KR102173742B1 (en) * 2020-06-17 2020-11-03 고은주 Direct sink water purifier for pets with undersink water purification
USD990062S1 (en) 2020-06-18 2023-06-20 S.C.R. (Engineers) Limited Animal ear tag
USD990063S1 (en) 2020-06-18 2023-06-20 S.C.R. (Engineers) Limited Animal ear tag
IL275518B (en) 2020-06-18 2021-10-31 Scr Eng Ltd An animal tag
KR102205067B1 (en) * 2020-07-10 2021-01-20 주식회사 두일하우 Pet-only water purifier using antibacterial ball
GB2600711A (en) * 2020-11-04 2022-05-11 Sureflap Ltd Drinking apparatus for an animal
USD985857S1 (en) 2020-11-04 2023-05-09 Sureflap Ltd. Water bowl
AU2021388045A1 (en) 2020-11-25 2023-06-22 Identigen Limited A system and method for tracing members of an animal population
CN113229166B (en) * 2021-05-14 2022-10-14 龙岩学院 Intelligent drinking water tank water adding device for farm
EP4098108A1 (en) * 2021-06-02 2022-12-07 Shenzhen Liyi99.Com, Ltd. Pet drinking fountain
CN113349085A (en) * 2021-06-10 2021-09-07 中山市洁泰净化科技有限公司 Pet water dispenser
EP4342293A1 (en) * 2021-06-29 2024-03-27 PurrSong, Inc. Water purifier for pets
CN114303984A (en) * 2022-01-11 2022-04-12 喵喵黑科技(深圳)有限公司 Solar pet water dispens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498Y1 (en) * 2002-02-07 2002-05-11 정휘철 Water purifier having illuminating water lever
JP2017148018A (en) 2016-02-26 2017-08-31 株式会社マルカン Drink supply device for pet
JP2018014914A (en) 2016-07-27 2018-02-01 株式会社リッチェル Circulation type water feeder for pe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8253U (en) * 1991-02-28 1993-12-03 平山 勲 Automatic feeding machine for small animals
KR200310617Y1 (en) 2003-01-27 2003-04-18 김기호 A Water Purifier For A Pet
KR200311167Y1 (en) 2003-02-05 2003-04-21 김기호 A Water Purifier For A Exclusive Pet
US7270082B2 (en) * 2004-01-14 2007-09-18 Rolf C. Hagen, Inc. Pet drinking fountain
KR101910571B1 (en) * 2012-03-21 2019-01-04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ortable water purifier system using uv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JP3200546U (en) 2015-08-07 2015-10-22 株式会社イーテック Water purifier for pet animals
KR102656807B1 (en) * 2016-06-17 2024-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498Y1 (en) * 2002-02-07 2002-05-11 정휘철 Water purifier having illuminating water lever
JP2017148018A (en) 2016-02-26 2017-08-31 株式会社マルカン Drink supply device for pet
JP2018014914A (en) 2016-07-27 2018-02-01 株式会社リッチェル Circulation type water feeder for p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660A (en) *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고유컴퍼니 Water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KR102537786B1 (en) * 2020-11-24 2023-05-31 주식회사 고유컴퍼니 Water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166A (en) 2020-02-05
WO2020022543A1 (en)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358B1 (en) Pet-only water purifier
US11412719B2 (en) Pump assembly including clip or snap on filter
US20080257272A1 (en) Disinfecting pet watering device and method
KR101825334B1 (en) Cat fountain
CN207870035U (en) Fountain type watering device for pet
US9137968B2 (en) Watering device for animals
KR102057934B1 (en) Animal water purifier using wireless power
KR101669911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KR102656807B1 (en) Water purifier
KR102323953B1 (en) Pet-only water purifier
KR20170001535U (en) Water bottle with sterilize function
US20190297842A1 (en) Pet Water Fountain
KR20180138238A (en) pet water fountain with filter
CN210695461U (en) Deep ultraviolet LED sterilizing pet water dispenser
CN210610659U (en) Animal drinking device
CN208739855U (en) A kind of drinking machine for animal
CN110663572A (en) Portable water feeder
CN215774856U (en) Recyclable pet drinking device
CN218043133U (en) Pet water dispenser
CN212971195U (en) Pet water dispenser
CN213587167U (en) Automatic watering device of goat
CN214677089U (en) Water feeder
CN214709539U (en) Filtering component and water feeder
CN210987634U (en) Portable water feeder
CN214047074U (en) Drinking machine for p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