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095B1 - 다기능 보조 배터리 - Google Patents

다기능 보조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095B1
KR102101095B1 KR1020180126188A KR20180126188A KR102101095B1 KR 102101095 B1 KR102101095 B1 KR 102101095B1 KR 1020180126188 A KR1020180126188 A KR 1020180126188A KR 20180126188 A KR20180126188 A KR 20180126188A KR 102101095 B1 KR102101095 B1 KR 102101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rging
battery
auxiliary battery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운
조현수
Original Assignee
장석운
조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석운, 조현수 filed Critical 장석운
Priority to KR1020180126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9Charging or discharging for charge maintenance, battery initiation or rejuven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1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with introduction of pulses during the charging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여 각종 전자기기의 보조 전원 공급 용도로 사용되는 보조 배터리의 기능에 더하여 전등 기능과, 외부 미세 감지를 통한 공기 청정 기능, 외부 온도 감지를 통한 선풍기 사용 기능 등 여러 기능 들을 일체로 결합하여 보조 배터리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은 물론 충전 배터리의 사용시간과 수명을 더욱 연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활용도 및 가치를 크게 높이도록 한 다기능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USB 포트 또는 태양광 충전부를 통해 유 무선으로 충전 가능한 충전용 배터리부와, 상기 충전용 배터리부와 연결 제어되는 인공지능 제어부와, 상기 인공 지능 제어부와 연결 제어되고, 주변 온도, 주변 미세먼지 등 유해물질, 주변 밝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동시에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태를 각각 표시하고, 또 충전용 배터리부의 충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유해물질의 농도가 설정치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대기중에 수산라디칼 이온(OH-)을 생성시키기 위한 이온 발생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주변 밝기가 기준치 이하로 낮은 경우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조명부와, 상기 이온 발생부, 조명부를 선택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다기능 보조 배터리{Multifunctional auxiliary battery}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여 각종 전자기기의 보조 전원 공급 용도로 사용되는 보조 배터리의 기능에 더하여 전등 기능과, 외부 미세 감지를 통한 공기 청정 기능, 외부 온도 감지를 통한 선풍기 사용 기능 등 여러 기능 들을 일체로 결합하여 보조 배터리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활용도를 크게 높임은 물론 충전 배터리의 수명과 사용시간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다기능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보조 배터리는 휴대용 단말기나, MP3, 노트북 등 각종 전자기기의 전원을 보조로 공급하기 위한 용도의 보조 배터리로 사용되고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종래 제공되고 있는 보조 배터리는 전자기기에 대한 전원 공급 기능 이외에는 다른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로 인해 그 활용가치가 크게 떨어지는 문제를 피하기 어려웠다.
물론 종래에도 스피커 기능을 갖는 보조 배터리가 제안되고 있기는 하지만, 하나의 보조 배터리에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다양한 기능의 제공이 불가하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보조 배터리는 무선 충전 기능을 갖고 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주로 유선 충전에 의존하고 있어서, 휴대 사용시, 보조 배터리마저 방전되는 경우 그 보조 기능을 전혀 달성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 또한 야기되고 있다.
1. KR100778667 B1(2007.11.22.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제공되고 있는 보조 배터리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보조 배터리에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하여 제품의 활용도를 크게 높이고, 또 태양광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언제 어디서나 보조 배터리의 원래 기능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보조 배터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보조 배터리는, USB 포트 또는 태양광 충전부를 통해 유 무선으로 충전 가능한 충전용 배터리부와, 상기 충전용 배터리부와 연결 제어되는 인공지능 제어부와, 상기 인공 지능 제어부와 연결 제어되고, 주변 온도, 주변 미세먼지 등 유해물질, 주변 밝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동시에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태를 각각 표시하고, 또 충전용 배터리부의 충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유해물질의 농도가 설정치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대기중에 수산라디칼 이온(OH-)을 생성시키기 위한 이온 발생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주변 밝기가 기준치 이하로 낮은 경우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조명부와, 상기 이온 발생부, 조명부를 선택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온 발생부나 조명부, USB 포트를 이용하여 전원을 사용하는 전자기기들의 전원을 펄스제어방식에 의거한 인공지능제어를 통해 주변 환경에 따라 강약 조절되게 하여 충전 배터리부의 수명과 사용시간을 연장하기 위한 펄스 제어부가 더 결합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를 통해 대기 오염 물질의 농도가 설정치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이를 이용자나 주변에 청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알람이나 경고음을 일 회 또는 수회 반복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경고음 발생부가 더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온 발생부는,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유해물질의 농도가 설정치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작동되어 대기중에 수산 라디칼 이온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여 각종 전자기기의 보조 전원 공급 용도로 사용되는 보조 배터리의 기능에 더하여 전등 기능과, 외부 미세 먼지 감지를 통한 공기 청정 기능, 외부 온도 감지를 통한 선풍기 사용 알림 기능 등 여러 가지 기능들을 일체로 결합하여 보조 배터리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하여 보조 배터리 제품의 활용도나 이용가치를 크게 높일 수 있고, 충전 배터리를 활용한 주변장치의 전원 제어를 펄스 제어 방식을 도입하여 강약 조절함으로써 충전 배터리의 수명과 사용시간을 극대화할 수 있고, 또 태양광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언제 어디서나 보조 배터리의 원래 기능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할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조 배터리(100)는, 휴대하고 다니면서,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여 MP3, 노트북 등 각종 전자기기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다기능 보조 배터리(100)는, 충전용 배터리부(110)를 포함한다. 충전용 배터리부는 USB 포트(112)를 이용하여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충전용 배터리부(110)는 태양광 충전부(114)를 통해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다.
충전용 배터리부(110)는 인공 지능 제어부(120)와 연결 제어된다. 인공 제어부는 이후 설명되는 각 구성부재들을 인공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인공 지능 제어부(120)는 센서부(130)와 연결 제어된다.
센서부(130)는 다기능 보조 배터리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거나, 또는 미세먼지 등 각종 오염물질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고, 주변 밝기 정도를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센서부(130)는 상기한 감지 요소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동시에 감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센서부(130)를 통해 감지된 온도나 미세먼지 농도, 밝기 등은 인공 지능 제어부(120)를 통해 표시부(140)로 표시될 수 있다.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되는 것을 보고 이용자는 외부 온도나 미세먼지 농도, 주변 밝기 등을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맞추어 적절한 대응이 가능할 것이다.
표시부(140)로 표시되는 형태는 숫자를 비롯하여 기타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표시부(140)로는, 또 인공지능 제어부(120)의 제어를 통해 충전용 배터리부(110)의 충전상태나 잔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되어 질 수 있다.
센서부(130)의 센서 감지를 통해 감지된 외부 온도가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되는 경우, 이용자는 USB 포트(112)와 휴대용 선풍기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송풍을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센서부(130)를 통해 미세 먼지 농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감지되는 것으로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되는 경우에는, 인공 지능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이온 발생부(150)가 작동되면서 고전압에 의해 대기중에 산소 음이온(02-) 및 수소 양이온(H2+)을 방사시키게 되고, 이러한 음이온 및 양이온의 방사를 통해 만들어지는 수산라디칼 이온(OH-)에 의해 대기중의 미세먼지나, 전자파, 각종 유해 물질들은 분해 제거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다기능 보조 배터리 주변의 각종 유해물질은 수산라디칼 이온을 통해 청정하게 제거되어 질 수 있게 되어, 이용자를 비롯하여 다기능 보조 배터리 주변이 항상 청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용자의 건강에 상당한 이로움을 제공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조명 밝기 감지를 통해, 특히 어두운 곳에서 조명부(160)에 의해 전등 기능을 발휘하게 할 수 있어서, 별도의 전등을 휴대하지 않고서도 유용하게 전등을 대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부(130)의 감지를 통해 감지되고, 인공 지능 제어부(120)를 통해 제어되는 수산 라디칼이온 생성이나 조명부(160)를 통한 조명은 조작부(170)를 통해 이용자가 별도로 선택 조작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조작부(170)를 통한 선택 조작은 오염 정도나 주변 밝기가 설정치나 기준치와 관계 없이 편의적으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조작부(170)를 통해 각 기능의 수동 조작은, 충전용 배터리부(110)의 충전 전력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조작부(170)는 터치 패널 방식이 이용될 수 있고, 또는 버튼 방식을 통해 조작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질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이온 발생부(150)는, 이용자나, 다기능 보조 배터리 주변의 미세먼지 등 오염물질에 의한 유해 요소를 사전에 차단한다는 의미에서 센서부(130)를 통해 설정치 이상으로 미세먼지 등의 유해물질 농도가 감지되는 것으로 표시되는 경우에는, 인공 지능 제어부(120)의 제어를 통해 자동적으로 작동되어 수산 라디칼 이온을 대기중에 생성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부(130)를 통해 대기 오염 물질의 농도가 설정치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이를 이용자나 주변에 청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알람이나 경고음을 일 회 또는 수회 반복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경고음 발생부(180)를 더 갖출 수 있을 것이다. 경고음은 타이머를 통해 수초 동안 알려주거나, 아니면 경고음악 등 다양한 방법으로 알릴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경고음 발생부(180)를 더 갖춤으로 인해 다기능 보조 배터리 주변의 유해물질 정도를 주변에서 청각적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적절한 조치, 즉 주변을 벗어나는 등의 여러 조치들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 필요시, 이온 발생부를 수동적으로 작동시켜 주변을 청정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기능 보조 배터리(100)는, 휴대하고 다니다가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여 각종 전자 기기의 보조 전원으로 사용하고, 또 온도 감지나, 미세 먼지 등 유해물질 감지, 주변밝기 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이를 센서부(130)를 통해 감지하고, 그에 따라 이온 발생부(150)나, 조명, 기타 USB 포트(112)를 이용한 주변기기의 작동을 주변환경에 따른 강약조절을 펄스제어방식을 활용하여 인공지능제어부(120)에 의해 배터리의 수명과 사용시간을 극대화하고, 또한 인공 지능 제어부(120)를 통해 적정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단순한 보조 전원의 공급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여러 가지 기능들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제품의 이용 효율 및 상품 가치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고, 특히, 대기중에 수산 라디칼 이온생성을 통해 주변 유해 물질의 자동 감지 및 제거 분해가 가능함에 따라 이용자는 물론 다기능 보조 배터리의 주변 대기를 항상 청정하게 하는 특단의 이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100: 다기능 보조 배터리 110: 충전용 배터리부
112: USB 포트 114: 태양광 충전부
120: 인공 지능 제어부 125: 펄스 제어부
130: 센서부 140: 표시부
150: 이온 발생부 160: 조명부
170: 조작부

Claims (4)

  1. USB 포트 또는 태양광 충전부를 통해 유 무선으로 충전 가능한 충전용 배터리부와,
    상기 충전용 배터리부와 연결 제어되는 인공지능 제어부와,
    상기 인공 지능 제어부와 연결 제어되고, 주변 온도, 주변 미세먼지 등 유해물질, 주변 밝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동시에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태를 각각 표시하고, 또 충전용 배터리부의 충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유해물질의 농도가 설정치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대기중에 수산라디칼 이온(OH-)을 생성시키기 위한 이온 발생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주변 밝기가 기준치 이하로 낮은 경우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조명부와,
    상기 이온 발생부, 조명부를 선택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센서부를 통해 대기 오염 물질의 농도가 설정치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이를 이용자나 주변에 청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알람이나 경고음을 일 회 또는 수회 반복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경고음 발생부가 더 갖추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조 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부나 조명부, USB 포트를 이용하여 전원을 사용하는 전자기기들의 전원을 펄스제어방식에 의거한 인공지능제어부를 통해 주변 환경에 따라 강약 조절되게 하여 충전 배터리부의 수명과 사용시간을 연장하기 위한 펄스 제어부가 더 결합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조 배터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부는,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유해물질의 농도가 설정치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작동되어 대기중에 수산 라디칼 이온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조 배터리.
KR1020180126188A 2018-10-22 2018-10-22 다기능 보조 배터리 KR102101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188A KR102101095B1 (ko) 2018-10-22 2018-10-22 다기능 보조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188A KR102101095B1 (ko) 2018-10-22 2018-10-22 다기능 보조 배터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095B1 true KR102101095B1 (ko) 2020-04-16

Family

ID=70454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188A KR102101095B1 (ko) 2018-10-22 2018-10-22 다기능 보조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09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667B1 (ko) 2006-09-29 2007-11-22 (주)정인일렉텍 스피커가 구비된 모바일 기기용 보조 배터리
KR20170023336A (ko) * 2015-08-21 2017-03-03 세진파워 주식회사 배터리 보호 기능을 갖는 설비 보호 장치
KR101728881B1 (ko) * 2016-07-19 2017-04-21 (주)버추얼텍 하나의 포트를 이용한 보조배터리와 보조배터리의 충방전 제어방법
KR200483251Y1 (ko) * 2016-08-26 2017-04-24 주식회사 에너위즈 보조 배터리
KR20170138317A (ko) * 2016-06-07 2017-12-15 윤민국 무선태양광공유보조배터리
KR20180062762A (ko) * 2016-12-01 2018-06-11 한승현 유해공기 감지 및 공기 청정 겸용 휴대용 보조배터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667B1 (ko) 2006-09-29 2007-11-22 (주)정인일렉텍 스피커가 구비된 모바일 기기용 보조 배터리
KR20170023336A (ko) * 2015-08-21 2017-03-03 세진파워 주식회사 배터리 보호 기능을 갖는 설비 보호 장치
KR20170138317A (ko) * 2016-06-07 2017-12-15 윤민국 무선태양광공유보조배터리
KR101728881B1 (ko) * 2016-07-19 2017-04-21 (주)버추얼텍 하나의 포트를 이용한 보조배터리와 보조배터리의 충방전 제어방법
KR200483251Y1 (ko) * 2016-08-26 2017-04-24 주식회사 에너위즈 보조 배터리
KR20180062762A (ko) * 2016-12-01 2018-06-11 한승현 유해공기 감지 및 공기 청정 겸용 휴대용 보조배터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4373B2 (en) Portable gas alarm device
KR102122249B1 (ko) 공기청정기
WO2007090112A8 (en) Battery powered lighting appliance
WO2011041423A3 (en) Self-contained, wearable light controller with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EP1594348A3 (en) Light source controlling circuit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20130022503A1 (en) Air purifier
KR20180063031A (ko) 무선충전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공기청정기
CN104258638A (zh) 一种电动送风空气过滤器、电焊变光护目镜及其控制器
GB2380870A (en) A portable power converter pack
CN204576135U (zh) 一种基于单片机的多功能智能检测控制器
KR102101095B1 (ko) 다기능 보조 배터리
KR20140100381A (ko) 휴대 기기 충전 장치
CN202802276U (zh) 带检测功能的便携式负离子空气净化器
HK1166842A1 (en) Control unit for a device such as a fan
KR20170029781A (ko) 살균기능이 포함된 휴대폰용 음이온 발생장치
EP1672796A3 (en) Optical proximity switch
EP1699131A3 (en) Portable hand powered generator
CN212063557U (zh) 具有隐藏保护开关的杀菌消毒充电宝
KR20170051330A (ko) Led를 장치한 커버를 장착한 가라오케 마이크
CN111306517A (zh) 消毒设备及消毒方法
EP1765038A3 (en) Light assembly with rechargeable battery
CN103868157A (zh) 带夜灯的空气净化器的工作方法
CN204643905U (zh) 多功能紫外线净水棒
RU2330337C2 (ru) Сотовый телефон
RU2330336C2 (ru) Пульт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электронными устройств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