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877B1 - 차량의 차체 보강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차체 보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877B1
KR102100877B1 KR1020170154127A KR20170154127A KR102100877B1 KR 102100877 B1 KR102100877 B1 KR 102100877B1 KR 1020170154127 A KR1020170154127 A KR 1020170154127A KR 20170154127 A KR20170154127 A KR 20170154127A KR 102100877 B1 KR102100877 B1 KR 102100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bar
vehicle
horizontal bar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810A (ko
Inventor
심기택
Original Assignee
심기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기택 filed Critical 심기택
Priority to KR1020170154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8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차체 보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측의 차체프레임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가로바 및 상기 가로바의 양단에 상하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가로바의 양단과 양측의 차체프레임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바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프레임 바디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프레임 사이에 차체 보강 장치를 적용해서 차량 주행시, 특히 고속 주행과 급커브 주행시 발생하는 과도한 비틀림 하중을 양측의 차체 프레임을 통해 차체 양측으로 분산해서 감쇄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차체 보강 장치{BODY REINFORCEMENT APPAR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 보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바디가 적용된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롤링과 피칭을 방지하도록 차체를 보강하는 차량의 차제 보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body)는 크게 모노코크 바디와 프레임 바디로 구분된다.
상기 모노코크 바디는 차체패널과 프레임이 상호 적절하게 조합되어 박스 형태를 띠는 것으로, 주로 세단(sedan) 형식의 승용자동차에서 채택된다.
상기 프레임 바디는 샤시프레임이 플로어패널의 주골격을 이루면서 그 위에 상부탑이 안착되는 구성으로서, 주로 SUV(Sports Utility Vehicle) 차량이나 상용차 또는 대형차량에 채택된다.
예를 들어,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프레임 바디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샤시프레임과 차체프레임가 결합되는 A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프레임 바디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측 선단부 위로 상호 대향되게 연장되도록 배치된 샤시프레임(10), 샤시프레임(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차체를 가로지르는 횡방향으로 배치된 크로스멤버(12), 샤시프레임(10)의 상부에 다수 군데로 장착되는 차체프레임(14) 및 차체프레임(14)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플로워패널(24) 등으로 구성된다.
샤시프레임(10)과 차체프레임(14)의 결합 부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시프레임(10)과 샤시프레임(10)의 상부에 배치된 차체프레임(14)이 각각 나사체결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샤시프레임(1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11)의 상하측부위에서 각각 상부부시(16)와 하부부시(18)가 각각 설치되고, 차체프레임(14)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15)에는 볼트(20)가 삽입된다. 볼트(20)는 상부부시(16)와 샤시프레임(10) 및 하부부시(18)를 각각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하부부시(18)의 저면에서 너트(22)에 체결된다.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프레임바디 차량의 프레임 구조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552720호(2006년 2월 20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412845호(2003년 12월 31일 공고)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프레임바디 차량에서는 고속주행과 급커브 주행시 과도한 비틀림하중이 발생하는 경우, 비틀림하중이 모두 상부 및 하부부시로 전달되어 감쇄된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에 따른 프레임바디 차량에서는 상부 및 하부부시의 마모속도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상부 및 하부부시의 수명이 단축되면서 과도한 실내소음이 발생하며, NVH(Noise Vibration Harshness)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프레임바디 차량에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부 및 하부부시의 마모 및 경화되면서 비틀림하중을 적절히 감쇄하지 못하면서 샤시프레임 상부에 장착된 상부탑의 롤링이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바디 차량에서 양측 샤시프레임을 연결해서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비틀림하중에 의한 차체의 롤링을 방지하는 차량의 차체 보강 강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체를 보강해서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비틀림하중에 의한 상부 및 하부부시의 마모를 방지하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차량의 차체 보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차체 보강 장치는 한 쌍의 샤시 프레임 양측에 마련된 복수 쌍의 차체 프레임이 마련된 프레임 바디 차량에서,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차체프레임을 연결해서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비틀림 하중을 차체 양측으로 분산해서 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측의 차체프레임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가로바 및 상기 가로바의 양단에 상하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가로바의 양단과 양측의 차체프레임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바와 연결바는 상기 가로바의 양단을 관통해서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차체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단부가 상기 가로바의 중앙부에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보강바 및 상기 보강바의 타단부와 크로스멤버 사이에 설치되는 설치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바는 차체에 마련된 장애물을 회피한 위치에 차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가로바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바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바는 차체에 마련된 장애물을 회피한 위치에 차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단부가 상기 가로바의 중앙부에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보강바, 상기 보강바의 타단부와 크로스멤버 사이에 설치되는 설치블록 및 상기 가로바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바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바는 차체에 마련된 장애물을 회피한 위치에 차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바의 양단과 상기 보강바의 타단부에는 각각 상기 연결바와 가로바의 중앙부가 안착되도록 단차진 수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바와 연결바, 보강바 및 보조바는 각각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압출 성형된 압출 바를 가공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차체 보강 장치에 의하면, 프레임 바디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프레임 사이에 차체 보강 장치를 적용해서 차량 주행시, 특히 고속 주행과 급커브 주행시 발생하는 과도한 비틀림 하중을 양측의 차체 프레임을 통해 차체 양측으로 분산해서 감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의 후단부와 같이 비틀림 하중이 집중되고, 장애물로 인해 가로바를 양측 차체프레임 사이에 설치하기 어려운 경우, 가로바의 중앙부에 차체의 전방을 향해 보강바를 설치하고, 가로바의 양측에 각각 보조바를 설치해서 연결바와 연결할 비틀림 하중을 양측의 차체 프레임을 통해 차체 양측으로 분산해서 감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비틀림 하중으로 인한 차체의 롤링을 방지하고, 부시의 마모를 방지하며,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프레임 바디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샤시프레임과 차체프레임가 결합되는 A 부분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 보강 장치가 적용된 차체의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체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차체 보강 장치의 확대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체 보강 장치의 일측 부분을 확대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차체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차체 보강 장치의 확대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차체 보강 장치의 일측 부분을 확대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실제 차량의 차체 후단부에 설치된 차체 보강 장치의 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 보강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프레임 바디가 적용된 차량에 적용되는 차체의 구성을 원용해서 차체 보강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은 프레임 바디가 적용되는 차량별 특성에 따라 차체의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된 차체에도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 보강 장치가 적용된 차체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각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보강 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연장 배치된 한 쌍의 샤시프레임(10), 한 쌍의 샤시프레임(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차체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크로스멤버(12), 한 쌍의 샤시프레임(10) 양측에 장착되는 복수 쌍의 차체프레임(14) 및 복수 쌍의 차체프레임(14) 중에서 한 쌍 이상의 차체프레임(14)을 연결하도록 차체를 가로질러 장착되는 차체 보강 장치(30)를 포함한다.
상기 차체는 차체프레임(14)의 상측에 설치되는 플로워패널(24) 및 플로워패널(24)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탑(도면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체 보강 장치(30)는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차체프레임(14)을 연결해서 차량의 주행시, 특히 고속 주행과 급커브 주행시 발생하는 비틀림 하중을 양측의 차체 프레임(14)으로 분산해서 감쇄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차체 보강 장치(30)는 차체의 전단부에서 후단부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3에는 차체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하나씩 총 2개의 차체 보강 장치(30,30')가 적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체의 중앙부에도 하나 이상의 차체 보강 장치를 적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차체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차량 보강 장치(3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체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차체 보강 장치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체 보강 장치의 일측 부분을 확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차체 보강 장치(30)는 양측의 차체프레임(14)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가로바(40) 및 가로바(40)의 양단에 상하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배치되어 가로바(40)의 양단과 양측의 차체프레임(14)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바(50)를 포함한다.
가로바(40)와 연결바(50)는 가로바(40)의 양단을 관통해서 삽입되는 볼트(32)에 의해 차체프레임(14)에 설치된다.
여기서, 연결바(50)의 상부에는 도 2에 도시된 하부부시(18)에 대응되는 부시(31)가 설치되고, 부시(31)의 상부에는 도면에 미도시하고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상부부시(16)와 플로어 패널(24) 및 상부탑이 배치된다.
연결바(50)와 차체프레임(14) 사이에는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비틀림하중을 감쇄하는 부시(31)가 설치되고, 볼트(32)의 상단에는 너트(33)가 체결될 수 있다.
가로바(40)는 단면이 대략 사각 또는 육각 형상의 압출 바로 마련되고, 가로바(40)의 양단에는 각각 연결바가 안착되도록 한 쌍의 안착면(4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로바(40)는 알루미늄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된 압출 바를 성형해서 제조될 수 있다.
즉, 가로바(40)는 종래에 철 재질이나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재질을 단조나 주조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과 달리,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재질을 압출(extruding) 성형한 압출 바를 가공하여 제조된다.
이와 같이, 압출 바를 이용해 가로바(40)를 제조함에 따라, 본 발명은 가로바의 조밀도를 향상시켜 내부에 기포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주행 중 발생하는 열에 의한 가로바의 변형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가로바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을 제조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머시닝 센터(machining center)와 같은 전용 공작기계를 이용해 가공하는 경우, 제작속도를 향상시켜 짧은 시간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압출 바를 사용함에 따라, 조밀도가 높아 가공된 표면이 매끄럽고, 다양한 안료를 이용해 차체 보강 장치의 표면에 용이하게 도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각 안착면(41)은 연결바(50)의 하면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가로바(40)의 상단과 단차진 수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 안착면(41)에는 볼트(32)가 관통 설치되는 관통공(42)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바(50)는 가로바(40)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대략 사각 또는 육각 형상의 압출 바로 마련되고, 연결바(50)의 중앙부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볼트가 설치되는 설치공(5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가로바(40)와 연결바(50)의 단면은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 바디가 적용된 차량의 양측 차체프레임 사이에 차체 보강 장치를 적용해서 차량 주행시, 특히 고속 주행과 급커브 주행시 발생하는 과도한 비틀림 하중을 양측의 차체 프레임을 통해 차체 양측으로 분산해서 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비틀림 하중으로 인한 차체의 롤링을 방지하고, 부시의 마모를 방지하며,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차체의 후단부에 적용되는 차체 보강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차체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차체 보강 장치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차체 보강 장치의 일측 부분을 확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차체의 후단부에 적용되는 차체 보강 장치(3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차체의 전단부에 적용되는 차체 보강 장치(30)의 구성과 유사하며, 다만 가로바(40)의 중앙부에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보강바(60) 및 보강바(60)의 전단부와 크로스멤버(12) 사이에 설치되는 설치블록(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차체 보강 장치(30')는 가로바(4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각 연결바(50)와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바(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차체의 후단부에는 차량의 주행시 비틀림하중이 차체의 전단부에 비해 크게 발생하고, 연료탱크와 같이 가로바(40) 설치시 간섭되는 장애물이 설치됨에 따라,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장애물을 회피해서 가로바(40)를 설치하고, 가로바(40)와 크로스멤버(12) 사이에 보강바(60)를 설치해서 보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강바(60)는 가로바(40) 및 연결바(50)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대략 사각 또는 육각 형상의 압출 바로 마련될 수 있다.
보강바(60)의 선단부에는 설치블록(70)을 관통해서 제1 체결볼트(64)가 설치되는 체결홈(61)이 형성되고, 보강바(60)의 후단부에는 가로바(40)의 중앙부와 결합되도록 수평으로 결합면(62)이 형성되며, 결합면(62)에는 제2 체결볼트(65)가 체결되는 체결공(63)이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볼트(64)는 설치블록(70)을 관통해서 보강부(60)의 체결홈(61)에 체결되고, 체결홈(6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볼트(65)는 보강바(60)의 체결공(63)을 관통해서 가로바(40)의 중앙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보강공(43)을 관통해서 설치되고, 제2 체결볼트(62)의 상단에는 체결너트(66)가 체결될 수 있다.
설치블록(70)은 세로 및 높이에 비해 가로 길이가 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설치블록(70)에는 고정볼트에 의해 크로스멤버(12)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공이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보조바(80)는 가로바(40) 및 연결바(50)와 동일한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된 압출 바로 마련되며, 가로 및 높이에 비해 세로 길이가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바(80)의 양단에는 각각 볼트(32)와 고정볼트(83)가 체결되는 제1 및 제2 고정공(81,8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은 실제 차량의 차체 후단부에 설치된 차체 보강 장치의 사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에 마련된 장애물을 회피한 위치에 가로바를 설치하고, 보조바를 이용해서 가로바와 연결바를 연결하며, 가로바의 중앙부에 보강바를 설치해서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의 후단부와 같이 비틀림 하중이 집중되고, 장애물로 인해 가로바를 양측 차체프레임 사이에 설치하기 어려운 경우, 가로바의 중앙부에 차체의 전방을 향해 보강바를 설치하고, 가로바의 양측에 각각 보조바를 설치해서 연결바와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비틀림 하중을 양측의 차체 프레임을 통해 차체 양측으로 분산해서 감쇄함으로써, 차체의 롤링을 방지하고, 부시의 마모를 방지하며,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보조바가 가로바 양단에 차체의 전방을 향해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가로바의 양측, 즉 차체의 폭방향을 따라 보조바를 설치하거나 차체의 후방을 향해 설치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은 가로바와 보조바가 서로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차체프레임과 플로어 패널 및 상부탑을 연결하는 부분뿐만 아니라, 샤시프레임과 차체프레임 및 플로어 패널을 연결하는 부분에도 적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샤프프레임의 상하부에는 각각 상부부시와 하부부시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 바디가 적용된 차량 뿐만 아니라, 모노코크 바디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에도 적용해서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비틀림 하중을 차체 양측으로 분산해서 감쇄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비틀림 하중을 양측의 차체 프레임을 통해 샤시프레임으로 분산해서 감쇄함으로써, 차체의 롤링을 방지하는 차량의 차체 보강 장치 기술에 적용된다.
10: 샤시프레임 12: 크로스멤버
14: 차체프레임 16,18: 상부,하부부시
20: 볼트 22: 너트
24: 플로워패널 30,30': 차체 보강 장치
31: 부시 32: 볼트
33: 너트 40: 가로바
41: 안착면 42: 관통공
43: 보강공 50: 연결바
51: 설치공 60: 보강바
61: 체결홈 62: 결합면
63: 체결공 64,65: 제1, 제2 체결볼트
66: 체결너트 70: 설치블록
80: 보조바 81,82: 제1,제2 고정공
83: 고정볼트

Claims (8)

  1. 한 쌍의 샤시 프레임 양측에 마련된 복수 쌍의 차체 프레임이 마련된 프레임 바디 차량의 차체 보강 장치에 있어서,
    양측의 차체프레임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가로바 및
    상기 가로바의 양단에 상하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가로바의 양단과 양측의 차체프레임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바를 포함하여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차체프레임을 연결해서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비틀림 하중을 차체 양측으로 분산해서 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보강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와 연결바는 상기 가로바의 양단을 관통해서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차체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보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가로바의 중앙부에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보강바 및
    상기 보강바의 타단부와 크로스멤버 사이에 설치되는 설치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바는 차체에 마련된 장애물을 회피한 위치에 차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보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바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바는 차체에 마련된 장애물을 회피한 위치에 차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보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가로바의 중앙부에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보강바,
    상기 보강바의 타단부와 크로스멤버 사이에 설치되는 설치블록 및
    상기 가로바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바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바는 차체에 마련된 장애물을 회피한 위치에 차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보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의 양단과 상기 보강바의 타단부에는 각각 상기 연결바와 가로바의 중앙부가 안착되도록 수평으로 단차진 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보강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와 연결바, 보강바 및 보조바는 각각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압출 성형된 압출 바를 가공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제 보강 장치.

KR1020170154127A 2017-11-17 2017-11-17 차량의 차체 보강 장치 KR102100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127A KR102100877B1 (ko) 2017-11-17 2017-11-17 차량의 차체 보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127A KR102100877B1 (ko) 2017-11-17 2017-11-17 차량의 차체 보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810A KR20190056810A (ko) 2019-05-27
KR102100877B1 true KR102100877B1 (ko) 2020-04-16

Family

ID=6667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127A KR102100877B1 (ko) 2017-11-17 2017-11-17 차량의 차체 보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8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9685B (zh) * 2021-08-02 2022-10-04 山东泰开汽车制造有限公司 用于运输铝水的车架和半挂车及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3000A (ja) * 2004-02-19 2007-08-16 メタルサ セルビシオス エセ デ アール.エレ 自動車のフレー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720B1 (ko) 2000-12-28 2006-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임바디 차량의 프레임 장착구조
KR100412845B1 (ko) 2001-08-21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차체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3000A (ja) * 2004-02-19 2007-08-16 メタルサ セルビシオス エセ デ アール.エレ 自動車のフレ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810A (ko) 201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5223191B4 (de) Aufbau einer vorderen Fahrzeugkarosserie
DE102012015627B4 (de) Fahrzeugkarosseriestruktur eines Fahrzeugs und Herstellungsverfahren derselben
DE102015009155B4 (de) Hintere Fahrzeugkarosseriestruktur eines Fahrzeugs
DE602004004707T2 (de) Fahrgestell-Modul und Antriebsaggregate für Kraftfahrzeuge
CN103085739B (zh) 保险杠加强装置
DE102012015625A1 (de) Fahrzeugkarosseriestruktur eines Fahrzeugs und Herstellungsverfahren derselben
DE102013005603A1 (de) Fahrzeugkarosserie-Frontstruktur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DE102004062932A1 (de) Hintere Bodenstruktur eines Kraftfahrzeugs
DE102015222604A1 (de) Frontfahrzeugkarosserieaufbau
DE102008039949B4 (de) Querträger für ein Nutzfahrzeug
DE102016225397B4 (de) Verstärkungsstruktur eines fahrzeugrahmenelements
DE102004018977A1 (de) Kraftfahrzeug
DE102009042060A1 (de) Strukturbauteil für Hinterrahmenstruktur eines Kraftfahrzeugs
DE102013218474B4 (de) Lenkungsträgerelement
US8414046B2 (en) Reinforced vehicle structure
DE112016000884T5 (de) Fahrrad mit nachgiebiger Sattelstützen-Verbindung
RU2677751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переднего обвязочного бруса, пола и головного борта грузового кузова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на шасси легк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KR102100877B1 (ko) 차량의 차체 보강 장치
DE102016103082A1 (de) Hinterer Abschnitt der Fahrzeugkarosseriestruktur eines Kraftfahrzeugs
US10836433B2 (en) Rear subframe structure
DE102005010233B3 (de) Motorgetriebeträger
DE102018003768A1 (de) Rahmenglied für ein Fahrzeug
DE102012109498A1 (de) Vorrichtung zur Montage eines Kotflügels eines Fahrzeugs
US8449022B2 (en) Reinforced vehicle structure
DE102009044529B4 (de) Aggregatelager in einem Kraftfahrze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