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693B1 - 무인 변전소 설비 점검 방법 - Google Patents

무인 변전소 설비 점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693B1
KR102100693B1 KR1020190164732A KR20190164732A KR102100693B1 KR 102100693 B1 KR102100693 B1 KR 102100693B1 KR 1020190164732 A KR1020190164732 A KR 1020190164732A KR 20190164732 A KR20190164732 A KR 20190164732A KR 102100693 B1 KR102100693 B1 KR 102100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ation
information
inspector
facility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90164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 무인 변전소 설비 점검 방법은 변전설비 점검자들의 각 스마트 단말기 고유정보, 각 변전소 도어락 모듈 고유정보, 각 변전소 고유정보, 각 변전소 위치 정보, 해당 각 변전소 설비 내역, 각 설비의 점검 사항 및 점검자 직원 정보 및 각 점검자 안면인식 정보를 변전 사령실 서버에 저장하여 DB화하는 단계와, 변전 사령실 서버가 해당 각 변전소 설비 내역 및 각 설비의 점검 사항을 해당 변전소의 정문에 설치된 도어락 모듈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와, 변전소 설비 점검 어플을 설치한 다수의 설비 점검자가 소지한 각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가 설비 점검 어플을 활성화하고 점검자를 촬영하며 점검 요청 정보, 촬영된 영상 정보 및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 고유 정보를 변전 사령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변전 사령실 서버가 수신된 영상 정보에서 각각의 안면 정보를 추출하고 기저장된 안면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하는 단계와, 인증 후, 변전 사령실 서버가 점검 요청을 전송한 다수의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 해당 점검자 직원 정보 및 다수 변전소 설비를 기초로 점검자와 변전소를 매칭시켜 변전소별 점검자를 결정하는 단계와, 변전 사령실 서버가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로 점검할 해당 변전소 고유정보, 해당 도어락 고유 정보,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변전 사령실 서버가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 고유정보와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 고유 정보에 일치하는 안면정보를 해당 변전소의 도어락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와, 해당 점검자가 해당 변전소 출입문 위치로 이동하여 출입문 도어의 상부에 설치된 카메라부가 점검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도어락 모듈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와, 도어락 모듈이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에서 안면 정보를 추출하고 변전 사령실 서버에서 수신된 안면정보와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 모듈이 도어락을 오픈하고 설비 내역과 점검 사항을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와, 해당 점검자가 변전 설비인 변압기, 차단기, 개폐기, 릴레이, 피뢰기와 같은 설비를 점검하고 점검 결과를 키 입력부를 통하여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로 입력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와,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가 저장된 해당 변전 설비 내역과 해당 점검 결과를 해당 변전소의 도어락 모듈과 변전 사령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무인 변전소 설비 점검 방법{Facilities Inspection Method of Manless Substation}
본 발명은 다수 지역에 산재하여 분포하고 있는 무인 변전소의 점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인 변전소는 설비의 자동화와 인건비 상승으로 무인 변전소가 확대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무인 변전소의 변압기, 차단기, 개폐기 등 주요 설비에 대하여는 주기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전 또는 운영회사의 지정된 직원만이 변전소 내부로 출입하여 점검하고 또한 점검 내용을 즉시 실시간으로 변전 사령실로 전송하여 관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4410호(2017. 11.10. 공고)에 게시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상기 종래의 무인 비행점검장치를 이용한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 구성도이다. 상기도 1에서 상기 종래의 무인 비행점검장치를 이용한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은 무인비행점검장치(10), 스마트 무인 비행 점검장치 스테이션(40) 및 상위 시스템(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인비행점검장치(10)는 공간을 운행하여 전력설비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무인비행점검장치(10)의 비행 경로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될 수 있으며, 지정된 비행 경로를 운행하여 전력 설비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무인비행점검장치(10)의 미리 지정된 비행경로는 송전선로 또는 배전선로의 상태 신호를 발생하는 단말기(RTU) 위치가 작성된 맵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맵 정보는 무인비행점검장치(1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위 시스템(50) 또는 스마트 무인비행점검장치(10)으로부터 전송 받을 수 있다. 또한, 무인비행점검장치(10)는 미리 저장된 비행경로 내의 단말기(RTU)로부터 상태신호를 전송 받아 전력설비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무인비행점검장치(10)는 수신부(12), 송신부(14), 제어부(16), 저장부(22), 감지부(18) 및 충전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2)는 외부로부터 명령신호, 제어신호등의 신호를 받을 수 있다. 또한, 감지부(18)는 외부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감지부(18)는 카메라 장치, 센서, 적외선 센서, 열감지 센서, 온도 센서일 수 있으며, 전력설비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무인비행점검장치(10)의 감지부(18)는 열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감지부(18)는 전력설비에 기준 이상의 온도가 감지 되면, 전력설비의 상태를 촬영하거나 전력설비의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2)는 감지부(18)가 감지한 전력설비의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력설비의 상태는 송전선로 또는 배전선로의 정보일 수 있으며, 외관의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는 감지부(18)가 감지한 전력설비의 상태를 판단하여 전력설비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무인비행점검장치(10)은 전력설비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이면 전력설비의 상태를 저장부(22)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전력설비의 온도가 기준온도를 초과하면 상위시스템(50)으로 전력설비의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는 감지부(18)를 제어하여 전력설비의 상태에 따라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드는 고선명도인 HD(high-definition)화질로 전력설비를 감지하는 모드일 수 있으며, 제1 모드는 제2 모드보다 낮은 화질의 일반화질로 전력설비를 감지하는 모드 일 수 있다. 또한, 무인비행점검장치(10)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전력설비를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무인비행점검장치(10)의 제어부(16)는 감지부(18)가 감지한 전력설비의 온도 상태를 파악하여 기준 온도를 초과하면, 감지부(18)를 제2 모드로 제어하며, 감지부(18)가 감지한 전력설비의 온도 상태가 정상범위의 온도이면, 감지부(18)를 제1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충전부(2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충전하며, 무인비행점검장치(10)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14)는 감지부(18)가 감지한 전력설비의 상태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으며, 또한, 송신부(14)는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설비의 상태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아 수신부(12), 감지부(18), 저장부(22), 송신부(14) 및 충전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무인 비행 점검장치 스테이션(40)은 무인비행점검장치(10)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소 일 수 있으며, 스마트 무인 비행 점검장치 스테이션(40)은 무인비행점검장치(1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장치(42)와 외부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아 무인비행점검장치(10)로 명령신호,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충전장치(42)는 무인비행점검장치(10)가 전력설비를 감시하기 위해 공간을 자유롭게 운행한 후, 소모된 전력을 무인비행점검장치(10)로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44)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으면 무인비행점검장치(10)가 해석할 수 있도록 명령신호, 제어신호를 변환하여 무인비행점검장치(10)로 출력할 수 있다. 스마트 무인 비행 점검장치 스테이션(40)은 전력설비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전력설비에 구비되어 무인 비행점검장치(10)가 전력설비를 감시한 후, 소모된 전력을 충전해주기 위한 장치 일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아 무인비행장치에게 제어신호 또는 명령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무인 비행 점검장치 스테이션(40)은 상위 시스템(50) 또는 사용자에게 전력설비의 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무인 비행 점검장치 스테이션(40)은 송전선로 또는 배전선로의 전선을 늘여 매기 위하여 세운 기둥인 전봇대에 구비될 수 있다. 상위 시스템(50)은 제어신호 출력부(52)와 모니터링부(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판단부(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신호 출력부(52)는 스마트 무인 비행 점검장치 스테이션(40)으로 무인비행점검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신호 또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명령신호 또는 제어신호는 무인비행점검장치(10)가 공간을 자유롭게 운행하기 위해 출발할 수 있도록 출발신호, 무인비행점검장치(10)가 공간을 자유롭게 운행하기 위해 출발할 때, 전력설비와 부딪히지 않도록 일정 거리를 이격하여 비행할 수 있게 안전 이격신호, 무인비행점검장치(10)가 전력설비를 감시할 수 있는 구간을 수정하기 위한 궤적 수정지시인 궤적 수정신호일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54)는 무인비행점검장치(10)와 스마트 무인 비행 점검장치 스테이션(40)을 관측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54)는 무인비행점검장치(10)가 스마트 무인 비행 점검장치 스테이션(40)으로 출력한 감지부(18)의 전력설비 감지 상태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력설비 점검시스템(1000)은 공간을 운행하여 전력설비의 상태와 온도를 감지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무인비행점검장치(10)와 결과를 입력 받아 외부로 출력하고, 무인비행점검장치(1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상위 시스템(50) 및 무인비행점검장치(10)가 운행을 종료하고 복귀하면 충전하고, 감지 결과를 입력 받아 상위 시스템(50)으로 출력하고, 제어신호를 입력 받아 무인비행점검장치(10)로 출력하는 스마트 무인비행 점검장치 스테이션(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판단부(56)는 상위 시스템(50), 스마트 스테이션(40) 및 무인비행점검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판단부(56)는 상위 시스템(50), 스마트 스테이션(40) 및 무인비행점검장치(10)를 상위 운영시스템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신호에 따라 상위 시스템(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위 시스템(50)은 상위 운영시스템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무인비행점검장치(10)로 명령신호 또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전력설비를 감시할 수 있다또한, 상위 시스템(50)은 제2 모드와 같은 고 해상도의 파일을 입력 받을 경우, 데이터 전송 문제에 의해 오류 또는 버퍼가 생길 수 있으므로 상위 시스템(50) 또는 사용자는 무인비행점검장치(100)에 직접 접속하여 전력설비의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위 시스템(50)의 제어신호는 무인비행점검장치(10)가 전력설비와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안전 이격신호일 수 있다. 상위 시스템(50)에서 전송하는 안전 이격신호는 송전 선로 또는 배전선로가 나타난 맵을 토대로 GPS정보를 사용하여 선로와 촬영이 가능한 정도의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운행하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무인 비행점검장치를 이용한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은 무인 비행체를 이용하여 변전소 설비를 점검할 수 있으나 점검자가 설비에 접근하는 것과 같이 설비에 최 근접하여 점검할 수 없는 문제로 인하여 점검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무인 비행체를 운행하기 위한 별도의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무나 변전소에 출입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지정된 점검자만인 변전 설비를 정비하고 점검 내역을 DB화하고 관리하며 점검자들끼리 호환하여 설비 점검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전 사령실에서 다수의 점검자들이 변전 설비에 대하여 점검한 내용을 실시간으로 보고받고 조치 사항을 점검자에게 즉시 제공하여 조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변전소가 분포되어 있는 경우 변전소를 중심으로 하여 점검하고 보수하도록 하며, 변전 사령실에서 점검자와 점검 변전소를 그때 그때 매칭하여 편리하게 운영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무인 변전소 설비 점검 방법은 변전설비 점검자들의 각 스마트 단말기 고유정보, 각 변전소 도어락 모듈 고유정보, 각 변전소 고유정보, 각 변전소 위치 정보, 해당 각 변전소 설비 내역, 각 설비의 점검 사항 및 점검자 직원 정보 및 각 점검자 안면인식 정보를 변전 사령실 서버에 저장하여 DB화하는 단계와, 변전 사령실 서버가 해당 각 변전소 설비 내역 및 각 설비의 점검 사항을 해당 변전소의 정문에 설치된 도어락 모듈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와, 변전소 설비 점검 어플을 설치한 다수의 설비 점검자가 소지한 각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가 설비 점검 어플을 활성화하고 점검자를 촬영하며 점검 요청 정보, 촬영된 영상 정보 및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 고유 정보를 변전 사령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변전 사령실 서버가 수신된 영상 정보에서 각각의 안면 정보를 추출하고 기저장된 안면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하는 단계와, 인증 후, 변전 사령실 서버가 점검 요청을 전송한 다수의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 해당 점검자 직원 정보 및 다수 변전소 설비를 기초로 점검자와 변전소를 매칭시켜 변전소별 점검자를 결정하는 단계와, 변전 사령실 서버가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로 점검할 해당 변전소 고유정보, 해당 도어락 고유 정보,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변전 사령실 서버가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 고유정보와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 고유 정보에 일치하는 안면정보를 해당 변전소의 도어락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와, 해당 점검자가 해당 변전소 출입문 위치로 이동하여 출입문 도어의 상부에 설치된 카메라부가 점검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도어락 모듈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와, 도어락 모듈이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에서 안면 정보를 추출하고 변전 사령실 서버에서 수신된 안면정보와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 모듈이 도어락을 오픈하고 설비 내역과 점검 사항을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와, 해당 점검자가 변전 설비인 변압기, 차단기, 개폐기, 릴레이, 피뢰기와 같은 설비를 점검하고 점검 결과를 키 입력부를 통하여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로 입력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와,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가 저장된 해당 변전 설비 내역과 해당 점검 결과를 해당 변전소의 도어락 모듈과 변전 사령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무인 변전소 설비 점검 방법은 무인 변전소를 순회 점검하는 경우에 점검자를 인증하고 변전 사령실에서 실시간으로 점검 내용을 확인하므로 신속히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변전소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 모듈에 변전 설비를 점검한 내용이 저장되어 있고 후임자가 점검할 때 전임자가 점검한 적검 결과가 후임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로 수신되므로 점검의 일관성이 유지되고 점검에 따른 조치 결과 여부를 확실히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변전소와 다수의 점검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변전 사령실에서 상황에 맞추어 변전소별 점검자를 그때그때 지정하여 순회 점검하도록 함으로써 점검의 누락이나 실수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점검자의 안면정보를 이용하여 점검자를 인증함으로써 해킹으로 인한 변전소 침입이나 무단 점검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무인 비행점검장치를 이용한 전력설비 점검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인 변전소 설비 점검 시스템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변전 사령실 서버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무인 변전소 설비 점검 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무인 변전소 설비 점검 방법을 도 2 내지 도 4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인 변전소 설비 점검 시스템 전체 구성도이다. 상기도 2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인 변전소 설비 점검 시스템은 변전설비 점검자들의 각 스마트 단말기 고유정보, 각 변전소 도어락 모듈 고유정보, 각 변전소 고유정보, 각 변전소 위치 정보, 해당 각 변전소 설비 내역, 각 설비의 점검 사항 및 점검자 직원 정보 및 각 점검자 안면인식 정보를 기초로 점검 DB를 형성하고 관리하며, 각 변전소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 모듈로 해당 변전소 고유 정보에 매칭하는 변전 설비 내역과 설비별 점검 사항을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각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점검 요청정보, 얼굴 영상정보 및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 고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얼굴 영상 정보에서 안면정보를 추출하고 기저장된 안면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하며, 인증된 점검자 정보, 각 변전소의 설비 정보를 기초로 점검자와 변전소를 매칭시켜 변전소별 점검자를 결정하며,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로 결정된 해당 변전소 고유 정보, 해당 변전소의 도어락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해당 변전소 고유 정보와 매칭하는 점검하기로 결정된 점검자의 인증된 안면 정보와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 고유정보를 해당 변전소의 출입문에 설치된 해당 도어락 모듈로 전송하며, 작업자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해당 변전소의 설비 점검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변전소 점검 DB에 저장하는 변전 사령실 서버(100)와, 해당 변전소의 출입문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 점검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검검자 영상 정보를 도어락 모듈로 전송하는 카메라부(200)와,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에서 안면 정보를 추출하고 변전 사령실 서버에서 기수신된 안면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을 오픈하고, 저장된 해당 변전소 설비 내역과 점검 사항을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도어락 모듈(300)과, 도어락 모듈로부터 해당 변전소의 설비 내역과 점검 사항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설비를 점검한 후에 설비 점검 결과를 입력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설비별 점검 사항을 해당 변전소의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 모듈과 변전 사령실 서버로 전송하는 해당 작업자 스마트 단말기(400) 및 카메라부, 도어락 모듈, 작업자 스마트 단말기 및 사령실 서버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인터넷망 또는 무선 통신망(5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도어락 모듈은 점검자의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점검 결과를 수신하여 DB화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변전소 설비별 일자별 점검 내용 또는 일자별 설비 점검 내용 등으로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변전 사령실 서버의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도 3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변전 사령실 서버(100)는 변전설비 점검자들의 각 스마트 단말기 고유정보, 각 변전소 도어락 모듈 고유정보, 각 변전소 고유정보, 각 변전소 위치 정보, 해당 각 변전소 설비 내역, 각 설비의 점검 사항, 점검자 직원 정보, 점검자 직원 안면정보, 안면정보 인증 결과 정보, 변전소별 점검자 결정 정보를 기초로 DB화하고 작업자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해당 변전소의 설비 점검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변전 점검 DB(110)와, 각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얼굴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얼굴 영상 정보에서 안면정보를 추출하는 안면정보 추출부(120)와. 안면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안면 정보와 점검 DB에 기저장된 안면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하는 안면 정보 인증부(130)와, 안면 인증부에서 인증된 점검자 정보, 각 변전소의 설비 정보를 기초로 점검자와 변전소를 매칭시켜 변전소별 점검자를 결정하는 변전소별 점검자 결정부(140)와, 다수의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와 다수의 도어락 모듈과 무선 통신 또는 인터넷 통신을 하는 송수신 모듈(150)과, 키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변전설비 점검자들의 각 스마트 단말기 고유정보, 각 변전소 도어락 모듈 고유정보, 각 변전소 고유정보, 각 변전소 위치 정보, 해당 각 변전소 설비 내역, 각 설비의 점검 사항, 점검자 직원 정보, 점검자 안면정보, 안면 인증 결과 정보, 변전소별 점검자 결정 정보를 DB화하여 점검 DB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각 변전소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 모듈로 해당 변전소의 변전 설비 내역과 설비별 점검 사항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각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점검 요청정보, 얼굴 영상정보 및 스마트 단말기 고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얼굴 영상 정보를 안면정보 추출부로 전송하여 안면정보를 추출하도록 제어하고, 추출된 안면 정보를 안면정보 인증부로 전송하여 수신된 안면 정보와 기저장된 안면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하도록 제어하고, 인증된 점검자 정보, 각 변전소의 설비 정보를 기초로 변전소별 점검자 결정부에서 점검자와 변전소를 매칭시켜 변전소별 점검자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며,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로 결정된 해당 변전소 고유 정보, 해당 변전소의 도어락 모듈 고유 정보 및 변전소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해당 변전소 고유 정보와 매칭하는 점검자의 인증된 안면 정보와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 고유정보를 해당 변전소의 출입문에 설치된 해당 도어락 모듈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해당 변전소별 점검 결과 정보를 점검 DB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160)와,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170)와, 입력된 데이터, 인증 결과 정보, 점검 결과 정보를 표출하는 표시부(1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변전소별 점검자 결정부(140)에서 점검자와 변전소를 매칭하여 결정하는 것은 변전설비를 기초로 매칭하는 것으로 점검자의 경력, 설비별 점검 주기, 변전소별 설비 내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OCR, OCGR과 같은 계전기 점검은 초보자에게 점검하도록 할 수 없고 경력자에게 점검하도록 하여야 하는 것이고, 차단기 점검 주기와 피뢰기 점검 주기는 상이할 수 있으며, 일상점검 또는 상세 점검에 따라 그날의 점검 내용이 상이할 수 있는 것이고, 변전소 규모에 따라 또는 변전 설비의 변전하는 전압 크기에 따라 변전 설비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다수의 팩터들을 고려하여 점검자와 해당 변전소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무인 변전소 설비 점검 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도 4에서 본 발명 무인 변전소 설비 점검 방법은 변전설비 점검자들의 각 스마트 단말기 고유정보, 각 변전소 도어락 모듈 고유정보, 각 변전소 고유정보, 각 변전소 위치 정보, 해당 각 변전소 설비 내역, 각 설비의 점검 사항, 각 점검자 직원 정보 및 각 점검자 안면인식 정보를 변전 사령실 서버에 저장하여 DB화하는 단계(S11)와, 변전 사령실 서버가 해당 변전소 고유 정보에 매칭하는 변전소 설비 내역 및 각 설비의 점검 사항을 해당 변전소의 정문에 설치된 도어락 모듈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S12)와, 변전소 설비 점검 어플을 설치한 다수의 설비 점검자가 소지한 각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가 설비 점검 어플을 활성화하고 점검자를 촬영하며 점검 요청 정보, 촬영된 영상 정보 및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 고유 정보를 변전 사령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3)와, 변전 사령실 서버가 수신된 영상 정보에서 각각의 안면 정보를 추출하고 기저장된 안면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하는 단계(S14)와, 인증 후, 변전 사령실 서버가 점검 요청을 전송한 다수의 인증된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 해당 점검자 직원 정보 및 다수 변전소 설비를 기초로 인증 점검자와 변전소를 매칭시켜 변전소별 점검자를 결정하는 단계(S15)와, 변전 사령실 서버가 변전소별로 결정된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로 점검할 해당 변전소 고유정보, 해당 도어락 모듈 고유 정보, 변전소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6)와, 변전 사령실 서버가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 고유정보와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 고유 정보에 매칭하는 점검자 안면정보를 해당 변전소의 도어락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S17)와, 해당 점검자가 해당 변전소 출입문 위치로 이동하여 출입문 도어의 상부에 설치된 카메라부가 점검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도어락 모듈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S18)와, 도어락 모듈이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에서 안면 정보를 추출하고 변전 사령실 서버에서 수신된 안면정보와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9)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 모듈이 도어락을 오픈하고 변전소 설비 내역과 설비별 점검 사항을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S20)와, 해당 점검자가 변전 설비인 변압기, 차단기, 개폐기, 릴레이, 피뢰기와 같은 설비를 점검하고 점검 결과를 키 입력부를 통하여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로 입력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S21)와,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가 저장된 해당 변전 설비 내역과 변전 설비별 점검 결과를 해당 변전소의 도어락 모듈과 변전 사령실 서버로 전송하여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S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S22 단계에서 변전 설비별 점검 결과를 도어락 모듈로 전송하는 것은 차후에 점검자로 하여금 전임 점검자가 점검한 내용을 도어락 모듈로 부터 수신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점검의 연속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S14 단계에서 인증에 실패하면 점검 요청을 거부하고 거부 메시지를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S19 단계에서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도어락 모듈이 변전 사령실 서버로 알람을 제공하여 조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S22 단계에서 해당 작업자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해당 변전 설비 결과 정보를 수신한 변전 사령실 서버는 점검 결과에 대한 조치 사항을 해당 작업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조치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변전 사령실 서버, 200 : 카메라부,
300 : 도어락 모듈, 400 : 작업자 스마트 단말기,
500 : 인터넷망 또는 무선통신망

Claims (2)

  1. 다수 지역에 산재하여 분포하고 있는 무인 변전소 설비의 순회 점검을 위한 무인 변전소 설비 점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인 변전소 설비 점검 방법은,
    변전설비 점검자들의 각 스마트 단말기 고유정보, 각 변전소 도어락 모듈 고유정보, 각 변전소 고유정보, 각 변전소 위치 정보, 해당 각 변전소 설비 내역, 각 설비의 점검 사항, 각 점검자 직원 정보 및 각 점검자 안면인식 정보를 변전 사령실 서버에 저장하여 DB화하는 단계(S11)와;
    변전 사령실 서버가 해당 변전소 고유 정보에 매칭하는 변전소 설비 내역 및 각 설비의 점검 사항을 해당 변전소의 정문에 설치된 도어락 모듈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S12)와;
    변전소 설비 점검 어플을 설치한 다수의 설비 점검자가 소지한 각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가 설비 점검 어플을 활성화하고 점검자를 촬영하며 점검 요청 정보, 촬영된 영상 정보 및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 고유 정보를 변전 사령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3)와;
    변전 사령실 서버가 수신된 영상 정보에서 각각의 안면 정보를 추출하고 기저장된 안면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하는 단계(S14)와;
    인증 후, 변전 사령실 서버가 점검 요청을 전송한 다수의 인증된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 해당 점검자 직원 정보 및 다수 변전소 설비를 기초로 인증 점검자와 변전소를 매칭시켜 변전소별 점검자를 결정하는 단계(S15)와;
    변전 사령실 서버가 변전소별로 결정된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로 점검할 해당 변전소 고유정보, 해당 도어락 모듈 고유 정보, 변전소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6)와;
    변전 사령실 서버가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 고유정보와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 고유 정보에 매칭하는 점검자 안면정보를 해당 변전소의 도어락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S17)와;
    해당 점검자가 해당 변전소 출입문 위치로 이동하여 출입문 도어의 상부에 설치된 카메라부가 점검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도어락 모듈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S18)와;
    도어락 모듈이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에서 안면 정보를 추출하고 변전 사령실 서버에서 수신된 안면정보와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9)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 모듈이 도어락을 오픈하고 변전소 설비 내역과 설비별 점검 사항을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S20)와;
    해당 점검자가 변전 설비를 점검하고 점검 결과를 키 입력부를 통하여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로 입력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S21);
    및 해당 점검자 스마트 단말기가 저장된 해당 변전 설비 내역과 변전 설비별 점검 결과를 변전 사령실 서버로 전송하여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S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무인 변전소 설비 점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변전소 설비 점검 방법은,
    상기 S19 단계에서 안면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어락 모듈이 변전 사령실 서버로 알람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변전소 설비 점검 방법.






KR1020190164732A 2019-12-11 2019-12-11 무인 변전소 설비 점검 방법 KR102100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732A KR102100693B1 (ko) 2019-12-11 2019-12-11 무인 변전소 설비 점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732A KR102100693B1 (ko) 2019-12-11 2019-12-11 무인 변전소 설비 점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693B1 true KR102100693B1 (ko) 2020-04-14

Family

ID=70291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732A KR102100693B1 (ko) 2019-12-11 2019-12-11 무인 변전소 설비 점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6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554B1 (ko) * 2021-02-22 2021-07-26 주식회사 신의테크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시의 차단기 제어 방법
KR102289624B1 (ko) * 2021-02-22 2021-08-17 주식회사 신의이엔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계획정전 시 차단기 제어 시스템
CN114421615A (zh) * 2021-12-28 2022-04-29 厦门市同耀电器实业有限公司 一种提高配电箱维修安全系数的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5704A (ko) * 2006-09-07 2006-10-11 정성학 유/무인 변전소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유/무인 변전소 통합제어방법
KR20170124410A (ko) * 2016-05-02 2017-11-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무인비행점검장치를 이용한 전력설비 점검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5704A (ko) * 2006-09-07 2006-10-11 정성학 유/무인 변전소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유/무인 변전소 통합제어방법
KR20170124410A (ko) * 2016-05-02 2017-11-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무인비행점검장치를 이용한 전력설비 점검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554B1 (ko) * 2021-02-22 2021-07-26 주식회사 신의테크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시의 차단기 제어 방법
KR102289624B1 (ko) * 2021-02-22 2021-08-17 주식회사 신의이엔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계획정전 시 차단기 제어 시스템
CN114421615A (zh) * 2021-12-28 2022-04-29 厦门市同耀电器实业有限公司 一种提高配电箱维修安全系数的控制方法及系统
CN114421615B (zh) * 2021-12-28 2023-11-28 厦门市同耀电器实业有限公司 一种提高配电箱维修安全系数的控制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693B1 (ko) 무인 변전소 설비 점검 방법
KR102100694B1 (ko) 무인 변전소 설비 점검 시스템
CN109980781B (zh) 一种变电站智能监控系统
CN111293784B (zh) 施工现场临时用电系统
CN103544739B (zh) 基于b/s架构的可视化地铁设备巡检管理系统的巡检方法
CN108957240A (zh) 电网故障远程定位方法及系统
KR101379223B1 (ko) 전력기기 조작자의 안전 강화 기능을 갖는 도어 록킹 시스템
CN208521198U (zh) 配电房系统
CN105035904A (zh) 基于物联网技术的电梯安全运行智能监控系统
CN104183043B (zh) 变电站无人值守安防系统
CN106296045A (zh) 一种电网异物激光清除设备安全管理控制装置及方法
CN112421778A (zh) 基于变电信息综合处理系统的联动方法及联动系统
CN109982037A (zh) 智能巡检装置
CN109510311A (zh) 配电柜运行环境监控装置及其使用方法
CN104537786A (zh) 用于变电站的红外远程影像识别报警装置
CN106296927A (zh) 一种智能变电站安全防护系统
CN103760865A (zh) 基于mstp专用通信网络的远程监控平台
CN105353714A (zh) 一种智能型一体化管控系统及其用于安防监控的方法
CN113283290A (zh) 一种基于3d视觉、rgb特征的配电房监控方法
CN109473186B (zh) 用于核电站的机器人监控系统
CN209608393U (zh) 配电柜运行环境监控装置
CN211579269U (zh) 一种变电站断路器开关柜防误入装置
CN113852915A (zh) 地铁站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114176A (zh) 一种基于物联代理终端的智能防窃电装置及防窃电方法
CN110980457A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电梯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