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360B1 - 광열 나노입자, 항암제 및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를 포함하는 광열 나노복합체 - Google Patents

광열 나노입자, 항암제 및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를 포함하는 광열 나노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360B1
KR102100360B1 KR1020180090307A KR20180090307A KR102100360B1 KR 102100360 B1 KR102100360 B1 KR 102100360B1 KR 1020180090307 A KR1020180090307 A KR 1020180090307A KR 20180090307 A KR20180090307 A KR 20180090307A KR 102100360 B1 KR102100360 B1 KR 102100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psin
dtx
photothermal
hyaluronic acid
aun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5036A (ko
Inventor
고영탁
오윤토야 고토프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0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360B1/ko
Publication of KR20200015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ndrimers
    • A61K9/5161Polysaccharides, e.g. alginate, chitosan,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our-membered rings, e.g. tax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52Thermotherapy; Hyperthermia; Magnetic induction; Induction heating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ndrimers
    • A61K9/5169Proteins, e.g. albumin, 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Abstract

본 발명은 광열 나노입자; 항암제; 및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cathepsin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는 광열 나노입자의 표면에 결합된 광열 나노복합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열 나노복합체는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가 광열 나노입자의 표면에 결합되어 있어, 암세포 표면에 발현된 히알루론산 수용체인 CD44와 결합하여 암세포를 표적화할 수 있고, 암세포 내 리소좀으로 흡수되어 리소좀 내에 존재하는 카텝신 B에 의해 컨쥬게이트가 절단되면서 항암제를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열 나노복합체는 근적외선 조사 시 광열 나노입자에 의한 광열치료 효과와 항암제에 의한 화학 치료 효과를 동시에 가지므로 우수한 암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광열 나노입자, 항암제 및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를 포함하는 광열 나노복합체{A photothermal nanocomplex comprising photothermal nanoparticle, anticancer drug and conjugate of hyaluronic acid and substrate peptide of cathepsin B}
본 발명은 광열 나노입자, 항암제 및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를 포함하는 광열 나노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주요한 암 치료법은 크게 세 가지 방법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는데, 수술로 암을 잘라내어 제거하는 방법, 항암제를 이용한 화학 치료 요법, 그리고 방사선 치료 요법이 있으며, 이들 세 가지 방법을 단독 또는 함께 사용하여 암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술은 대부분의 경우 전신마취를 동반한다는 어려움이 있고, 암이 퍼진 경우 수술이 암 치료에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항암제를 이용한 화학 치료 요법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항암제의 생체 내 안정성과 세포막 투과 효율이 낮아서 많은 양의 약물 투여가 불가피하다는 점과 일단 안정성과 세포막 투과율이 높아지더라도 암세포와 정상세포를 구별하지 않은 무차별적인 세포 사멸 기작 때문에 정상 조직에까지 잠재적 독성을 나타내는 점이 있다. 방사선 치료 요법 또한 정상세포에 손상을 준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광열치료(photothermal therapy)는 최근 현대의학의 암 치료 분야에서 가장 급속하게 연구되고 있고 각광받고 있는 기술로, 금, 은, 멜라닌 또는 그래핀과 같은 광 감응성 물질을 투여한 후 질환 부위에 근적외선 레이저를 조사해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국소적인 가열을 통해 비정상적인 세포, 특히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치료법이다. 정상세포와 비교해서 빠르게 자라나는 암세포는 혈액의 공급이 좋지 못해 열에 대한 저항성이 나쁘므로, 열은 암세포를 선별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다. 또한 외과수술법에 비해 비침습적이고 간단하며, 여러 차례 반복 치료가 가능한 이점도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9360에서는 금 이온이 결합 된 파이레닐 덱스트란 고분자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는데 이는 근적외선 영역에서 높은 흡광도를 나타내었고 근적외선 레이저를 조사 시 온도 상승효과를 보고 함으로써 종양의 광열 치료 가능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광열치료법을 위한 광 감응성 물질은 암 부위로의 정확한 전달에 한계가 있어 아직까지는 이를 활용한 적극적인 임상실험이 어려운 실정으로 정상세포에 가해질 수 있는 위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암세포로의 고효율 표적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열 나노입자; 항암제; 및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cathepsin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를 포함하는 광열 나노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열 나노입자; 항암제; 및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cathepsin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를 포함하는 광열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광열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열 나노입자; 항암제; 및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cathepsin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는 광열 나노입자의 표면에 결합된 광열 나노복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히알루론산과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를 커플링제(coupling agent) 하에서 반응시켜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의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 항암제; 및 광열 나노입자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열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광열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열 나노복합체는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가 광열 나노입자의 표면에 결합되어 있어, 암세포 표면에 발현된 히알루론산 수용체인 CD44와 결합하여 암세포를 표적화할 수 있고, 암세포 내 리소좀으로 흡수되어 리소좀 내에 존재하는 카텝신 B에 의해 컨쥬게이트가 절단되면서 항암제를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열 나노복합체는 근적외선 조사 시 광열 나노입자에 의한 광열치료 효과와 항암제에 의한 화학 치료 효과를 동시에 가지므로 우수한 암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GFLGC)의 컨쥬게이트(HA-cl)의 형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금 나노입자(AuNP)에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HA-cl)가 결합되고 도세탁셀이 로딩된 금 나노복합체(DTX@HA-cl-AuNP)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HA 및 HA-cl의 NMR 결과이다 (HA: 히알루론산; HA-cl: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
도 4는 AuNP 및 DTX@HA-cl-AuNP의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AuNP: 금 나노입자; DTX@HA-cl-AuNP: 본 발명의 금 나노복합체).
도 5는 AuNP 및 DTX@HA-cl-AuNP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A: AuNP(금 나노입자); B: DTX@HA-cl-AuNP(본 발명의 금 나노복합체)).
도 6은 카텝신 B의 유무에 따른 DTX@HA-cl-AuNP의 DTX 방출을 나타낸 것이다 (DTX@HA-cl-AuNP: 본 발명의 금 나노복합체; Cath B: 카텝신 B; DTX: 도세탁셀).
도 7은 MCF-7 또는 HeLa 세포 내로 DTX/C6@HA-cl-AuNP의 흡수를 확인한 공초점 현미경 사진이다 (C6: 쿠마린 6; DTX/C6@HA-cl-AuNP: 쿠마린 6이 함께 로딩된 본 발명의 금 나노복합체).
도 8은 MCF-7 세포에 DTX 처리, DTX@HA-cl-AuNP 처리 또는 DTX@HA-cl-AuNP 처리 후 레이저 조사하였을 때의 세포 독성 효과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9는 HeLa 세포에 DTX 처리, DTX@HA-cl-AuNP 처리 또는 DTX@HA-cl-AuNP 처리 후 레이저 조사하였을 때의 세포 독성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10은 HeLa 또는 MCF-7 세포에 유리 DTX 처리 또는 DTX@HA-cl-AuNP 처리 후 레이저 조사하였을 때의 세포 사멸 효과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1은 종양을 가진 마우스에 유리 DTX 처리, DTX@HA-cl-AuNP 처리 또는 DTX@HA-cl-AuNP 처리 후 레이저 조사하였을 때의 시간에 따른 종양 부피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2는 종양을 가진 마우스에 유리 DTX 처리, DTX@HA-cl-AuNP 처리 또는 DTX@HA-cl-AuNP 처리 후 레이저 조사한 후, 적출한 종양의 모습이다.
도 13은 종양을 가진 마우스에 유리 DTX 처리, DTX@HA-cl-AuNP 처리 또는 DTX@HA-cl-AuNP 처리 후 레이저 조사하였을 때의 시간에 따른 마우스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금 나노복합체가 암세포 표면에 발현된 히알루론산 수용체인 CD44와 결합하여 암세포를 표적화할 수 있고, 암세포 내 리소좀으로 흡수되어 리소좀 내에 존재하는 카텝신 B에 의해 컨쥬게이트가 절단되면서 항암제를 방출시키며, 근적외선 조사 시 광열 나노입자에 의한 광열치료 효과와 항암제에 의한 화학 치료 효과를 동시에 가지므로 암 세포를 사켤시킴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광열 나노입자; 항암제; 및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cathepsin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conjugate)를 포함하되, 상기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는 광열 나노입자의 표면에 결합된 광열 나노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광열 나노입자는 금속 나노입자, 유기 고분자 나노입자, 그래핀 나노시트, 멜라닌 나노입자, 지질 나노입자 또는 무기 나노입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열 나노입자는 금 나노입자일 수 있다. 상기 금 나노입자의 직경은 10 내지 100 nm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20 내지 80 nm일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30 내지 70 n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열 나노입자는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발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는 히알루론산의 카르복실 그룹(carboxyl group)과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N 말단의 아미노 그룹(amino group)의 아미드(amide) 결합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는 광열 나노입자의 표면에 공유결합, 이온결합, 배위결합 또는 기타 상호작용을 통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잔기가 광열 나노입자의 표면에 결합된 것일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아미노산 잔기 중 티올 그룹(thiol group)이 광열 나노입자의 표면에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는 Gly-Phe-Leu-Gly-Cys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고, Cys 아미노산의 티올 그룹이 금 나노입자의 표면에 Au-S 결합을 통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결합을 통해 광열 나노입자는 히알루론산으로 코팅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은 암세포 표면에 발현된 단백질과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알루론산은 암세포 표면에 발현된 CD44와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암제는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와 광열 나노입자 사이에 로딩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항암제는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와 광열 나노입자 사이에 물리적으로 로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암제는 수난용성(water insoluble) 항암제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도세탁셀(docetaxel) 또는 파클리탁셀(paclitaxel)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광열 나노복합체는 암세포 표면에 결합 후 암세포 내 리소좀으로 흡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암제는 리소좀 내에 존재하는 카텝신 B에 의해 방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항암제는 카텝신 B에 의해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가 절단되어 방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 히알루론산과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를 커플링제(coupling agent) 하에서 반응시켜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의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 항암제; 및 광열 나노입자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열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1)에서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는 히알루론산의 카르복실 그룹과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N 말단의 아미노 그룹이 반응하여 아미드(amide) 결합으로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단계 1)의 커플링제는 카르보닐디이미다졸(carbonyldiimidazole, CDI),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icyclohexylcarbodiimide, DCC) 또는 에칠디메칠아미노프로필카르모디이미드(Ethyl-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EDAC)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단계 1)의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는 Gly-Phe-Leu-Gly-Cys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단계 1)의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 항암제; 및 광열 나노입자를 반응시켜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는 광열 나노입자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는 Gly-Phe-Leu-Gly-Cys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고, Cys 아미노산의 티올 그룹이 금 나노입자의 표면에 Au-S 결합을 통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결합을 통해 광열 나노입자는 히알루론산으로 코팅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항암제는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와 광열 나노입자 사이에 로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항암제는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와 광열 나노입자 사이에 물리적으로 로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광열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열 나노복합체는 광열 나노입자; 항암제; 및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는 광열나노입자 표면에 결합된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광열 나노복합체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열 나노입자는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발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광열 나노입자는 금속 나노입자, 유기 고분자 나노입자, 그래핀 나노시트, 멜라닌 나노입자, 지질 나노입자 또는 무기 나노입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잔기가 광열 나노입자의 표면에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은 암세포 표면에 발현된 단백질과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알루론산은 암세포 표면에 발현된 CD44와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암제는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와 광열 나노입자 사이에 로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암제는 수난용성 항암제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도세탁셀(docetaxel) 또는 파클리탁셀(paclitaxel)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광열 나노복합체는 암세포 표면에 결합 후 암세포 내 리소좀으로 흡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암제는 리소좀 내에 존재하는 카텝신 B에 의해 방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항암제는 카텝신 B에 의해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가 절단되어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암은 뇌종양, 양성성상세포종, 악성성상세포종, 뇌하수체 선종, 뇌수막종, 뇌림프종, 핍지교종, 두개내인종, 상의세포종, 뇌간종양, 두경부 종양, 후두암, 구인두암, 비강암, 비인두암, 침샘암, 하인두암, 갑상선암, 구강암, 흉부종양, 소세포성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흉선암, 종격동 종양, 식도암, 유방암, 남성유방암, 복부종양, 위암, 간암, 담낭암, 담도암, 췌장암, 소장암, 대장암, 항문암, 방광암, 신장암, 남성생식기종양, 음경암, 전립선암, 여성생식기종양,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자궁육종, 질암, 여성외부생식기암, 여성요도암, 피부암, 백혈병, 악성림프종, 다발성골수종 또는 재생불량성 빈혈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유효성분을 10 내지 9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주사제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는 복강내, 직장내, 피하, 정맥, 근육내 또는 흉부내 주사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는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환자의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양은 0.0001 내지 1,000 ㎎/㎏, 구체적으로 0.001 내지 500 ㎎/㎏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하루에 1회 수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 또는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병용 투여시, 투여는 순차적 또는 동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히알루론산(이하 HA)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이하 GFLGC)의 컨쥬게이트(이하 HA-cl)를 제조하고, 이를 도세탁셀(이하 DTX) 및 금 나노입자(이하 AuNP)와 혼합하여 HA-cl이 AuNP 표면에 결합되고 DTX가 로딩된 금 나노복합체(이하 DTX@HA-cl-AuNP)를 제조하였다(도 1 및 도 2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양성자 핵자기공명 분광법을 통해 HA과 GFLGC가 컨쥬게이션을 형성하였음을 확인하였으며(도 3 참조), DTX@HA-cl-AuNP의 크기, 제타 전위 및 흡광도를 측정하고, 투과전자현미경으로 형태를 관찰하여 AuNP 표면에 HA-cl이 결합되었음을 확인하였다(표 1, 도 4 및 도 5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DTX@HA-cl-AuNP이 카텝신 B가 있는 조건에서 배양되었을 때 더 많은 DTX를 방출시킴을 확인하였다(도 6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DTX@HA-cl-AuNP이 CD44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로 선택적으로 흡수되고 세포내 리소좀에서 도세탁셀이 방출됨을 확인하였다(도 7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MCF-7 또는 HeLa 세포에 유리 DTX 또는 DTX@HA-cl-AuNP만 처리하였을 때보다 DTX@HA-cl-AuNP 처리 후 레이저 조사하였을 때 세포 독성 효과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8 및 도 9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MCF-7 또는 HeLa 세포에 유리 DTX 처리 또는 DTX@HA-cl-AuNP 처리 후 레이저 조사하였을 때 세포 사멸이 유도됨을 확인하였으며, DTX@HA-cl-AuNP 처리 후 레이저 조사하였을 때 세포 사멸의 비율이 보다 높음을 확인하였다(도 10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종양을 가진 마우스에 유리 DTX 또는 DTX@HA-cl-AuNP만 처리하였을 때보다 DTX@HA-cl-AuNP 처리 후 레이저 조사하였을 때 종양의 성장이 현저하게 억제됨을 확인하였다(도 11 내지 13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열 나노복합체는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가 광열 나노입자의 표면에 결합되어 있어, 암세포 표면에 발현된 히알루론산 수용체인 CD44와 결합하여 암세포를 표적화할 수 있고, 암세포 내 리소좀으로 흡수되어 리소좀 내에 존재하는 카텝신 B에 의해 컨쥬게이트가 절단되면서 항암제를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열 나노복합체는 근적외선 조사 시 광열 나노입자에 의한 광열치료 효과와 항암제에 의한 화학 치료 효과를 동시에 가지므로 우수한 암 치료 효과를 나타내므로, 암 치료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금 나노복합체의 제조
히알루론산(HA)과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인 Gly-Phe-Leu-Gly-Cys(GFLGC)의 컨쥬게이트(HA-cl)를 금 나노입자(AuNP)에 표면에 결합시키고, HA-cl이 결합된 AuNP에 항암제인 도세탁셀(DTX)을 로딩시켜 금 나노복합체(DTX@HA-cl-AuNP)를 제조하였다.
<1-1> HA-cl의 제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HA와 GFLGC를 컨쥬게이션(conjugation) 시키고자 하였다. 먼저, HA 9.8 mg(0.98 ㎛ol)를 탈 이온수(DIW) 0.5 ㎖에 용해시키고, 이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200 ㎖에 카보닐디이미다졸(CDI) 3 mg(18.6 ㎛ol)을 용해시킨 용액과 혼합하여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한 반응물에 0.5 ㎖의 DMF에 5 ㎎의 Me-Cys-Gly-Phe-Leu-Gly(9.8 ㎛ol)를 용해시킨 용액을 10 ㎕의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의 존재하에서 천천히 첨가하고 200 rpm으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투석막(MWCO 3.5 kD)을 사용하여 DIW 2 ℓ에 대해 24시간 동안 정제하고, 추가 실험을 위해 정제된 수용액을 48시간 동안 동결건조시켰다.
<1-2> DTX@HA-cl-AuNP의 제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HA-cl을 AuNP에 결합시키고, 여기에 DTX를 첨가하여 DTX@HA-cl-AuNP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1 ㎖의 DIW(65.42 μM)에 HA-cl 1 mg을 용해시키고, 이 용액 42 ㎕에 AuNP 1 ㎖(7.47 nM) 및 에탄올 200 ㎖에 용해시킨 DTX 42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으며, 교반하는 동안 에탄올을 증발시키기 위해 비이커를 개방한 채로 두었다. 이어서, 결합되지 않은 DTX를 원심분리(1200 rpm, 10℃, 30분)하여 제거하고, 상등액을 버렸다. 수득한 펠렛을 DIW로 세척하고 DIW에 침지시켰다.
< 실험예 1> HA와 GFLGC의 컨쥬게이션 확인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HA-cl의 HA와 GFLGC의 컨쥬게이션 형성을 확인하기 위해, 양성자 핵자기공명 분광법(1H NMR, Brucker, 600 MHz; Billerica, MA)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HA-cl은 δ = 7.3 ppm, δ = 3.1 ppm 및 δ = 1.3 ppm에서 유의적인 신호를 나타내었으며 이들은 각각 페닐기 내 C = C의 공명(resonance), 시스테인 내의 CH 및 라이신 내의 디메틸 그룹을 가리킨다. 3-4 ppm; 및 4.5 및 1.9 ppm에서 관찰된 추가 신호는 각각 HA의 고리 내 CH2의 공명 및 HA의 아세틸 그룹에 해당한다. 따라서, 실시예 1을 통해 HA-cl이 제조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3).
< 실험예 2> DTX@HA-cl-AuNP의 생리화학적 특성 평가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DTX@HA-cl-AuNP의 생리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2-1> 금 나노입자 표면에서의 HA-cl의 결합 확인
실시예 1-2에 따라 제조한 DTX@HA-cl-AuNP의 표면에 HA-cl이 결합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DTX@HA-cl-AuNP의 유체학적 직경(hydrodynamic diameter), 제타 전위(zeta potential) 및 흡광도를 측정하고,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형태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DTX@HA-cl-AuNP의 유체학적 직경 및 제타전위는 동적 광산란법(dynamic light scattering, DLS) 및 전기영동 광산란법(ELSZ-1000; Otsuka Electronic Co., Osaka, Jap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흡광도는 가시자외부흡광도측정법(Agilent 8453 UV-Vis Spectroscopy: Agilent Technologies, Waldbronn, Germany)을 이용하여 450-600 nm에서 측정하였으며, 금 나노복합체의 형태는 투과전자현미경 JEM1010(JEOL, Tokyo, Japan)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시료 크기 (nm) 제타 전위 (mV) PDI
AuNP 53.70±0.71 44.03±1.61 0.31±0.01
DTX@HA-cl-AuNP 75.90±5.10 -4.1±0.53 0.28±0.03
그 결과, AuNP와 DTX@HA-cl-AuNP의 유체학적 직경은 각각 53.7과 75.9 nm이고, 제타 전위는 각각 44.03과 -4.1 mV로(표 1), DTX@HA-cl-AuNP는 AuNP에 비해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고 입자의 표면 전하가 음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HA-cl이 금 나노입자에 결합되었음을 나타내며, 표면 전하의 음의 값은 순환 시 입자의 안정성이 향상됨을 나타낸다. 또한, 흡광도 결과에서도 AuNP에 비해 DTX@HA-cl-AuNP의 흡수피크가 적색으로 약간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으며(도 4),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결과, DTX@HA-cl-AuNP는 HA-코팅으로 인해 층이 형성되고 약물 로딩 및 중합체 코팅으로 인해 AuNP에 비해 더 어둡고 끈적해보였다(도 5). 따라서 상기 결과들은 금 나노입자 표면에 HA-cl이 성공적으로 결합되었음을 보여준다.
<2-2> 도세탁셀의 로딩량 측정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DTX@HA-cl-AuNP의 DTX 로딩량을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DTX@HA-cl-AuNP를 아세토니트릴로 분해시키고, 내부 직경이 4.6×150 mm인 5 ㎛ Sepax BR-C18 컬럼(Sepax Technologies, Inc., Newark, Delaware)을 사용하여 1 ㎖/min의 유속으로 역상 HPLC(Agilent technologies, Palo Alto, California)을 수행하였다. 아세토니트릴과 물을 65:35(v/v)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이동상으로 사용하였다. 포토다이오드 어레이(photodiode array)를 이용하여 227 nm의 파장에서 DTX를 검출하였다. DTX의 체류 시간(retention time)은 3.36 분이었다. DTX의 농도는 DTX(1.25-80 ㎍/㎖) 검정선을 이용하여 계산되었으며, 로딩된 도세탁셀의 용량은 방정식(1)을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방정식(1): 로딩 용량(loading capacity, %)=(나노입자 제형 내 DTX의 중량/나노입자 제형의 중량)×100
그 결과, DTX@HA-cl-AuNP 내 DTX의 로딩 용량은 30 중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3> 시험관 내( in vitro ) DTX@HA-cl-AuNP의 약물 방출 평가
시험관 내에서 카텝신 B의 처리 유무에 따른 DTX@HA-cl-AuNP의 약물 방출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DTX@HA-cl-AuNP 용액(200 ㎕, DTX 1 mg/㎖)을 준비하고, 이를 12 kDa의 분자량 컷오프(cut-off)를 지닌 Mini Pur-A-Lyzer 튜브(Sigma-Aldrich)에 로딩하였다. 튜브를 카텝신 B가 있거나 없는 PBS(pH 7.4) 3 ㎖에 담그고 37℃, 50 rpm의 회전 테이블에서 배양하였다. 배양한 지 0.5, 1, 2, 4, 6, 8, 12, 24, 48 및 72시간째에 새로운 배지로 교체하였고, 배지로 방출된 DTX의 양을 HPLC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배양한 지 3시간이 되었을 때에는 카텝신 B의 존재 여부에 관계없이 35%의 DTX가 방출되었다. 카텝신 B가 없는 조건에서 초기에 DTX가 버스트 방출(burst release)된 것은 입자에 느슨하게 결합된 도세탁셀의 해리때문이다. 배양시간이 길어질수록 카텝신 B가 있는 조건에서 배양되었을 때 더 많은 DTX가 방출되었다. 카텝신 B가 있는 조건에서 배양 10시간 후에는 60%의 DTX가 방출되고 24시간 후에는 75%의 DTX가 방출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리소좀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카텝신 B와의 배양 후, DTX@HA-cl-AuNP로부터 더 많은 DTX가 방출됨을 확인하였다(도 6).
< 실험예 4> 시험관 내 DTX@HA-cl-AuNP의 세포 흡수(cellular uptake) 평가
DTX@HA-cl-AuNP의 세포 흡수를 평가하기 위해,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HeLa 및 MCF-7 세포 내 DTX@HA-cl-AuNP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형광 물질 쿠마린 6을 DTX와 함께 HA-cl-AuNP에 로딩하였다. 6-웰 플레이트 웰 당 10% FBS가 보충된 DMEM 배지 2 ㎖를 분주하고, Hela, MCF-7 및 NIH3T3 세포를 각각 6×105 세포/웰의 밀도로 접종하였다. 각 웰에 유리 쿠마린 6(free coumarin 6) 또는 쿠마린 6과 DTX가 로딩된 HA-cl-AuNP(DTX/C6@HA-cl-AuNP)를 첨가하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를 차가운 PBS로 2회 세척하고 4% 포름알데하이드 2 ㎖로 5분간 고정한 후, 다시 차가운 PBS로 1회 세척하였다. 세포의 핵을 염색하기 위해서 1 mg/㎖의 DAPI(4'6-diamidino-2-phenylindole)를 첨가하고, 리소좀을 염색하기 위해서 Lysotracker Red 착색제를 첨가하여 더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슬라이드를 PBS로 한번 씻어 내고 공초점 현미경(Nikon Instruments Inco., Melville, NY)을 이용하여 슬라이드를 관찰하였다. 이미지는 DAPI 필터(청색) 및 쿠마린 6 필터(녹색)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배양 2시간 후 유리 쿠마린 6(C6) 및 쿠마린 6과 DTX가 로딩된 HA-cl-AuNP(DTX/C6@HA-cl-AuNP) 모두 세포에 의해 흡수되었다. HA는 CD44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로 금 나노복합체의 선택적 흡수를 가능하게 한다. DAPI와 Lysotracker 형광 신호는 서로 중복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세탁셀은 리소좀에서 방출된 것으로 나타났다(도 7).
< 실험예 5> 시험관 내 DTX@HA-cl-AuNP의 세포 독성 효과 평가
DTX@HA-cl-AuNP의 세포 독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MTT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96-웰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10% FBS 및 1% 페니실린으로 보충된 DMEM 배지를 분주한 후, 배지에 MCF-7 및 HeLa 세포를 각각 1.0×104세포/웰의 밀도로 접종하고 밤새 배양하였다. 각 세포에 유리 DTX 또는 DTX@HA-cl-AuNP를 0.1, 1 또는 10 ㎍/㎖ 농도로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5 mg/㎖의 MTT 용액 10 ㎕을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플레이트에 디메틸술폭사이드 100 ㎖을 넣고 10초 동안 진탕시킨 후, Epoch 마이크로 플레이트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5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두 세포주에서 DTX@HA-cl-AuNP의 세포 독성 효과는 유리 DTX의 세포 독성 효과와 유사하였고, DTX@HA-cl-AuNP를 처리하고 레이저를 조사한 실험군은 레이저를 조사하지 않은 유리 DTX 또는 DTX@HA-cl-AuNP 실험군보다 높은 세포 독성 효과를 나타냈다. HeLa 세포에 도세탁셀을 농도 10 ㎍/㎖로 처리하였을 때, 유리 DTX 및 DTX@HA-cl-AuNP 실험군은 각각 52% 및 48%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냈으나, DTX@HA-cl-AuNP에 레이저를 조사한 실험군은 35%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도 8), MCF-7 세포에서도 DTX@HA-cl-AuNP에 레이저를 조사한 실험군의 세포 생존율이 가장 낮았다(도 9). 따라서, DTX@HA-cl-AuNP는 근적외선 레이저 노출 시 암세포에 대한 우수한 광열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도 8 및 도 9).
< 실험예 6> 시험관 내 DTX@HA-cl-AuNP의 세포 사멸 효과 평가
DTX@HA-cl-AuNP에 의한 세포사(cell death)가 세포 사멸 경로(apoptotic pathway)를 통해 일어나는지 확인하기 위해, 유세포 분석법을 이용하여 세포 사멸을 검출하였다.
구체적으로, MCF-7과 HeLa 세포를 37℃에서 0.25% 트립신으로 처리하고,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를 첨가하여 분해(digestion) 과정을 종결시켰다. 이어서 세포를 PBS로 3회 세척하고, 이를 15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수확하고 상등액을 버렸다. 유리(free) DTX를 처리 또는 DTX@HA-cl-AuNP 처리 후 레이조 조사하여 유도된 세포 사멸의 비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Annexin V-FITC 아폽토시스 검출 키트를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이용하였다. 세포를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등액을 버리고 세포를 수집하여 PBS로 3회 세척한 후, 세포를 10 ㎕의 프로피디움 요오드화물(propidium iodide) 및 5 ㎕의 Annexin V-FITC를 포함하는 완충 용액 500 ㎕에 2×105 세포/㎖의 밀도로 재현탁시켰다. 염색된 세포를 25℃에서 10-15분 동안 배양한 후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그 결과, HeLa 세포에 유리 DTX를 처리 또는 DTX@HA-cl-AuNP 처리 후 레이저 조사하였을 때, 초기 세포 사멸 세포는 각각 25.2% 또는 35.9%였고, 후기 세포 사멸 세포는 30.9% 또는 49.1% 였으며, MCF-7 세포에 유리 DTX를 처리 또는 DTX@HA-cl-AuNP 처리 후 레이저 조사하였을 때, 초기 세포 사멸 세포는 각각 57.2% 또는 97.6%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는 유리 DTX를 처리하였을 때보다 DTX@HA-cl-AuNP 처리 후 레이저를 조사하였을 때 세포 사멸이 효율적으로 유도되었음을 보여준다(도 10).
< 실험예 7> 생체 내( in vivo ) DTX@HA-cl-AuNP의 항암 효과 평가
동물 모델에서 DTX@HA-cl-AuNP의 항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종양이 있는 누드 마우스에 유리 DTX 또는 DTX@HA-cl-AuNP를 각각 처리하고 종양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동물 실험은 가천의대 동물 실험 및 사용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가 승인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수행되었다. 먼저, BALB/c 누드 마우스(4주령)의 뒤쪽 영역에 Hela 세포를 1×106 세포/200 ㎕(PBS) 의 양으로 피하 주사하였다. 마우스 내 종양의 부피가 약 50-100 mm3에 이르면 마우스를 무작위로 네 그룹(n = 4)으로 분류하고 다음 네 가지 요법 중 하나를 꼬리 정맥을 통해 6일 동안 투여했다: (i) 식염수; (ii) 에탄올에 용해된 유리 DTX (1.4 mg/kg); (iii) DTX@HA-cl-AuNP (1.4 mg/kg); (iv) DTX@HA-cl-AuNP (1.4 mg/kg) + 레이저 조사. 레이저 조사는 금 나노복합체를 처리한 지 24시간 후, 종양 조직에 670 nm의 파장으로 20분 동안 수행되었다. 종양의 직경을 버니어 캘리퍼스로 2차원적으로 측정하고 종양의 부피(V)를 V=1/2×L×W2 (여기서 L은 가장 긴 직경이고, W는 길이(L)에 수직인 최단 직경)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또한, 대조군 및 DTX 제제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매일 각 우스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실험 종료 시, 경추 탈골로 동물을 사멸시키고 종양 조직을 채취하고 촬영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PBS)를 처리한 그룹에서는 종양의 부피가 계속 증가한 반면, 유리 DTX 또는 DTX@HA-cl-AuNP를 처리한 그룹에서는 종양의 성장이 억제되었다. DTX@HA-cl-AuNP는 유리 DTX보다 항암 치료 효과가 우수하였고, 특히 DTX@HA-cl-AuNP 투여와 레이저를 조사를 함께한 그룹의 경우, 현저하게 종양의 성장이 억제되어, DTX 항암제와 AuNP의 광열 치료 효과가 항암치료에 시너지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11 및 도 12). 마우스의 체중은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모든 그룹에서 체중이 점차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13).

Claims (12)

  1. 금 나노입자,항암제, 히알루론산 및 Gly-Phe-Leu-Gly-Cys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카텝신 B(cathepsin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는 금 나노입자의 표면에 결합된 금 나노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잔기가 금 나노입자의 표면에 결합된, 금 나노복합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은 암세포 표면에 발현된 CD44와 결합하는, 금 나노복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와 금 나노입자 사이에 로딩된, 금 나노복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 나노복합체는 암세포 표면에 결합 후 암세포 내 리소좀으로 흡수되는 것인, 금 나노복합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수난용성인, 금 나노복합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도세탁셀(docetaxel) 또는 파클리탁셀(paclitaxel)인, 금 나노복합체.
  9. 1) 히알루론산과 Gly-Phe-Leu-Gly-Cys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를 커플링제(coupling agent) 하에서 반응시켜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의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 항암제; 및 금 나노입자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커플링제는 카르보닐디이미다졸(carbonyldiimidazole, CDI),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icyclohexylcarbodiimide, DCC) 또는 에칠디메칠아미노프로필카르모디이미드(Ethyl-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EDAC)인, 금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1항의 금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80090307A 2018-08-02 2018-08-02 광열 나노입자, 항암제 및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를 포함하는 광열 나노복합체 KR102100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307A KR102100360B1 (ko) 2018-08-02 2018-08-02 광열 나노입자, 항암제 및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를 포함하는 광열 나노복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307A KR102100360B1 (ko) 2018-08-02 2018-08-02 광열 나노입자, 항암제 및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를 포함하는 광열 나노복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036A KR20200015036A (ko) 2020-02-12
KR102100360B1 true KR102100360B1 (ko) 2020-04-14

Family

ID=69569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307A KR102100360B1 (ko) 2018-08-02 2018-08-02 광열 나노입자, 항암제 및 히알루론산 및 카텝신 b의 기질 펩타이드의 컨쥬게이트를 포함하는 광열 나노복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3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399B1 (ko) 2017-09-20 2018-12-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종양세포 특이적 감응형 자가조립 나노약물복합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570B1 (ko) * 2009-10-08 2012-02-14 국립암센터 광감각제 - 금속나노입자 복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광역학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399B1 (ko) 2017-09-20 2018-12-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종양세포 특이적 감응형 자가조립 나노약물복합체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2015. Vol.7, pp.9078-9087.*
Journal of Wuhan University of Technology-Mater. Sci. Ed. 2018. Vol.33, Issue 2, pp.512-52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036A (ko) 202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u et al. Transformable nanoparticle‐enabled synergistic elicitation and promotion of immunogenic cell death for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immunotherapy
Liu et al. Focused ultrasound-augmented targeting delivery of nanosonosensitizers from homogenous exosomes for enhanced sonodynamic cancer therapy
Gao et al. Polymeric micelles encapsulating pH-responsive doxorubicin prodrug and glutathione-activated zinc (II) phthalocyanine for combined chemotherapy and photodynamic therapy
Wei et al. Light-activated ROS-responsive nanoplatform codelivering apatinib and doxorubicin for enhanced chemo-photodynamic therapy of multidrug-resistant tumors
Chen et al. Multistimuli-responsive PEGylated polymeric bioconjugate-based nano-aggregate for cancer therapy
Yi et al. Size-controlled, colloidally stable and functional nanoparticles based on the molecular assembly of green tea polyphenols and keratins for cancer therapy
Liu et al. A multifunctional nanoparticle system combines sonodynamic therapy and chemotherapy to treat hepatocellular carcinoma
Um et al. Visible light-induced apoptosis activatable nanoparticles of photosensitizer-DEVD-anticancer drug conjugate for targeted cancer therapy
KR102065711B1 (ko) 종양 인식형 광감각제-약물 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종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Gong et al. Enzyme-induced transformable peptide nanocarriers with enhanced drug permeability and retention to improve tumor nanotherapy efficacy
KR20180114517A (ko)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u et al. A Cascade‐Targeting Nanocapsule for Enhanced Photothermal Tumor Therapy with Aid of Autophagy Inhibition
Xu et al. Active-targeting and acid-sensitive pluronic prodrug micelles for efficiently overcoming MDR in breast cancer
Zhou et al. Alternative and injectable preformed albumin-bound anticancer drug delivery system for anticancer and antimetastasis treatment
KR102206770B1 (ko) 광열 나노입자, 항암제 및 히알루론산 및 peg의 컨쥬게이트를 포함하는 광열 나노복합체
Dong et al. Targeted antimicrobial peptide delivery in vivo to tumor with near infrared photoactivated 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s
Ming et al. A minimalist and robust chemo-photothermal nanoplatform capable of augmenting autophagy-modulated immune response against breast cancer
Wang et al. Salinomycin nanocrystals for colorectal cancer treatment through inhibition of Wnt/β-catenin signaling
KR20120045155A (ko) 광역학치료를 위한 고분자-광응답제 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ng et al. “Attractive/adhesion force” dual-regulatory nanogels capable of CXCR4 antagonism and autophagy inhibition for the treatment of metastatic breast cancer
Guo et al. Self-assembled Camptothecin derivatives–Curcuminoids conjugate for combinatorial chemo-photodynamic therapy to enhance anti-tumor efficacy
Tian et al. Mitochondria-targeted pentacyclic triterpenoid carbon dots for selective cancer cell destruction via inducing autophagy, apoptosis, as well as ferroptosis
Zhang et al. Drug-bearing peptide-based nanospheres for the inhibition of metastasis and growth of cancer
Xu et al. The design and synthesis of redox-responsive oridonin polymeric prodrug micelle formulation for effective gastric cancer therapy
Lim et al. Co-delivery of d-(KLAKLAK) 2 peptide and doxorubicin using a pH-sensitive nanocarrier for synergistic anticancer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