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136B1 -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직물형 패딩원단 - Google Patents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직물형 패딩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136B1
KR102100136B1 KR1020180162878A KR20180162878A KR102100136B1 KR 102100136 B1 KR102100136 B1 KR 102100136B1 KR 1020180162878 A KR1020180162878 A KR 1020180162878A KR 20180162878 A KR20180162878 A KR 20180162878A KR 102100136 B1 KR102100136 B1 KR 102100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dyeing
processing
filling
shrin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대현
정정숙
Original Assignee
조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대현 filed Critical 조대현
Priority to KR1020180162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03D15/04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7Shapes or effects upon shrinkag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2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stiff, shape ret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직물형 패딩원단은 염색/가공후 충진직물(C)의 위사방향 수축율(R1)이 염색/가공후 내피직물(A)의 위사방향 수축율과 염색/가공후 외피직물(B)의 위사방향 수축율의 평균값(R3) 보다 5% 낮은 지점부터 30% 높은 지점까지의 범위에 속하고, 염색/가공후 충진직물(C)의 경사방향 수축율(R1)이 염색/가공후 내피직물(A)의 경사방향 수축율과 염색/가공후 외피직물(B)의 경사방향 수축율의 평균값(R4) 보다 3% 낮은 지점부터 15% 높은 지점까지의 범위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직물형 패딩원단은 염색 및 가공공정을 통과하면서 가해지는 열과 장력 등에 대한 형태안정성이 뛰어나 의류용 소재 뿐만 아니라 침구, 쿠션 매트 등과 같은 생활용품 소재로도 유용하다.

Description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직물형 패딩원단{Woven fabric type padding material with excellent form-stability}
본 발명은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직물형 패딩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염색 및 가공공정에서 가해지는 열이나 장력 등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직물형 패딩원단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내피직물(A), 외피직물(B) 및 상기 내피직물(A)과 외피직물(B) 사이에 위치하는 1층 또는 2층 이상인 다층구조의 충진직물(C)로 구성되어 의류용 소재뿐만 아니라 침구, 쿠션, 매트 등과 같은 생활용품 소재로도 사용될 수 있는 패딩원단을 "직물형 패딩원단"이라고 한다.
패딩원단은 내피직물과 외피직물 사이에 스펀지, 오리털, 솜과 같은 충진소재를 게재시키고 자카드에 의해서 누빔라인으로 구성되어 제조되고 있는데 최근에 섬유기술의 발전으로 기능성 원사가 개발되면서 직기에 의한 제직으로 직물형 패딩원단이 제조되고 있다.
직물형 패딩원단의 제조방법 중 일례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0661848호 등에서는 직기에 의한 제직으로 내피직물과 외피직물을 제직하는 공정 중에 충진재로 인터공정을 통해 마련된 충진용 원사를 위사로 공급하여 3중 패딩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이 게재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출원특허 제10-2017-0159415호 등에서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직물(A), 외피직물(B) 및 상기 내피직물(A) 과 외피직물(B) 사이에 위치하는 1층 또는 다층구조의 충진직물(C)로 구성되고, 충진직물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사인 충진용 원사(1)가 경사(2)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엮여져 있는 2개 이상의 층(C1, C2, C3, C4)들이 다중직 조직으로 일체로 제직된 다층구조이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피직물(A), 외피직물(B) 및 충진직물(C)들은 자카드로 형성되는 누빔라인(3)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직물형 패딩원단을 게재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직물형 패딩원단들은 충진직물(C)이 다층구조이기 때문에 보온효과가 우수하고 충진직물(C)을 이루는 충진용 원사인 위사가 경사(2)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엮여져 의류용 원단으로 사용 중에 상기 충진용 원사가 간격이 벌어지거나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은 방지할 수 있으나 제직된 직물형 패딩원단을 염색 및 가공할 때 염색/가공 공정중에 가해지는 열과 압력에 의해 상기 직물형 패딩원단의 형태가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염색공정 및/또는 가공공정 중에 가해지는 열 또는 장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 다시 말해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직물형 패딩원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내피직물(A), 외피직물(B) 및 상기 내피직물(A)과 외피직물(B) 사이에 위치하는 충진직물(C)로 구성되는 직물형 패딩원단을 제조할 때, 염색/가공후 충진직물(C)의 위사방향 수축율(R1)을 염색/가공후 내피직물(A)의 위사방향 수축율과 염색/가공후 외피직물(B)의 위사방향 수축율의 평균값(R3) 보다 5% 낮은 지점부터 30% 높은 지점까지의 범위로 조절하고, 염색/가공후 충진직물(C)의 경사방향 수축율(R1)을 염색/가공후 내피직물(A)의 경사방향 수축율과 염색/가공후 외피직물(B)의 경사방향 수축율의 평균값(R4) 보다 3% 낮은 지점부터 15% 높은 지점까지의 범위로 조절해 준다.
본 발명의 직물형 패딩원단은 염색 및 가공공정을 통과하면서 가해지는 열과 장력 등에 대한 형태안정성이 뛰어나다.
도 1 내지 도 2는 직물형 패딩원단의 사시도.
도 3은 직물형 패딩원단의 표면상태 개략도.
도 4는 직물형 패딩원단내 충진원단(C)을 이루는 각층의 확대도.
이하,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직물형 패딩원단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직물(A), 외피직물(B) 및 상기 내피직물(A)과 외피직물(B) 사이에 위치하는 충진직물(C)로 구성되며, 상기 충진직물(C)의 염색/가공후 위사방향 수축율(R1)이 하기 식(Ⅰ)의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충진직물(C)의 염색/가공후 경사방향 수축율(R2)이 하기 식(Ⅱ)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18126329545-pat00001
Figure 112018126329545-pat00002
[상기 식(Ⅰ) 및 식(Ⅱ)에서, R1은 충진직물(C)의 염색/가공후 위사방향 수축율이고, R2는 충진직물(C)의 염색/가공후 경사방향 수축율이고, R3는 내피직물(A)의 염색/가공후 위사방향 수축율과 외피직물(B)의 염색/가공후 위사방향 수축율의 평균값이고, R4는 내피직물(A)의 염색/가공후 경사방향 수축율과 외피직물(B)의 염색/가공후 경사방향 수축율의 평균값이다]
충진직물(C)의 염색/가공후 위사방향 수축율(R1)과 충진직물(C)의 염색/가공후 경사방향 수축율(R2)들이 상기 식(Ⅰ) 및 식(Ⅱ)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염색/가공공정 중에 가해지는 열과 장력에 의해 직물형 패딩원단의 형태가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보다 바람직하기한 본 발명의 구현일례로서, 상기 충진직물(C)의 염색/가공후 위사방향 수축율(R1)이 하기 식(Ⅲ)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좋다.
Figure 112018126329545-pat00003
[상기 식(Ⅲ)에서, R1은 충진직물(C)의 염색/가공후 위사방향 수축율이고, R3는 내피직물(A)의 염색/가공후 위사방향 수축율과 외피직물(B)의 염색/가공후 위사방향 수축율의 평균값이다]
보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구현일례로서, 상기 충진직물(C)의 염색/가공후 경사방향 수축율(R2)이 하기 식(Ⅳ)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좋다.
Figure 112018126329545-pat00004
[상기 식(Ⅳ)에서, R2는 충진직물(C)의 염색/가공후 경사방향 수축율이고, R4는 내피직물(A)의 염색/가공후 경사방향 수축율과 외피직물(B)의 염색/가공후 위사방향 수축율의 평균값이다]
상기 충진직물(C)의 염색/가공후 위사방향 수축율(R1), 충진직물 염색/가공후 경사방향 수축율(R2), 내피직물의 염색/가공후 위사방향 수축율, 외피직물의 염색/가공후 위사방향의 수축율, 내피직물의 염색/가공후 경사방향 수축율 및 외피직물의 염색/가공후 경사방향 수축율들은 염색/가공전인 충진직물, 내피직물 또는 외피직물의 경사방향 또는 위사방향의 길이(L0)와 염색/가공후인 충진직물, 내피직물 또는 외피직물의 경사방향 또는 위사방향의 길이(L1)를 하기 식(Ⅴ)에 대입하여 구한 값이다.
Figure 112018126329545-pat00005
상기 충진직물(C)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사인 충진용 원사(1)가 경사(2)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엮여져 있는 2개 이상의 층(C1, C2, C3, C4)들이 다중직 조직으로 일체로 제직된 다층구조인 것이 보온성 향상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물형 패딩원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피직물(A), 외피직물(B) 및 충진직물(C)들은 자카드로 형성되는 누빔라인(3)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본 발명의 직물형 패당원단은 염색 및 가공공정을 통과하면서 가해지는 열과 장력 등에 대한 형태안정성이 뛰어나다.
A : 내피직물
B : 외피직물
C : 충진직물
C1,C2,C3,C4 : 충진직물을 이루는 각층
1 : 충진용 원사
2 : 경사
3 : 누빔라인

Claims (5)

  1. 내피직물(A), 외피직물(B) 및 상기 내피직물(A)과 외피직물(B) 사이에 위치하는 충진직물(C)로 구성되는 직물형 패딩원단에 있어서,
    상기 충진직물(C)의 염색/가공후 위사방향 수축율(R1)이 하기 식(Ⅰ)의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충진직물(C)의 염색/가공후 경사방향 수축율(R2)이 하기 식(Ⅱ)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직물형 패딩원단.
    Figure 112018126329545-pat00006

    Figure 112018126329545-pat00007

    [상기 식(Ⅰ) 및 식(Ⅱ)에서, R1은 충진직물(C)의 염색/가공후 위사방향 수축율이고, R2는 충진직물(C)의 염색/가공후 경사방향 수축율이고, R3는 내피직물(A)의 염색/가공후 위사방향 수축율과 외피직물(B)의 염색/가공후 위사방향 수축율의 평균값이고, R4는 내피직물(A)의 염색/가공후 경사방향 수축율과 외피직물(B)의 염색/가공후 경사방향 수축율의 평균값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직물(C)의 염색/가공후 위사방향 수축율(R1)이 하기 식(Ⅲ)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직물형 패딩원단.
    Figure 112018126329545-pat00008

    [상기 식(Ⅲ)에서, R1은 충진직물(C)의 염색/가공후 위사방향 수축율이고, R3는 내피직물(A)의 염색/가공후 위사방향 수축율과 외피직물(B)의 염색/가공후 위사방향 수축율의 평균값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직물(C)의 염색/가공후 경사방향 수축율(R2)이 하기 식(Ⅳ)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직물형 패딩원단.
    Figure 112018126329545-pat00009

    [상기 식(Ⅳ)에서, R2는 충진직물(C)의 염색/가공후 경사방향 수축율이고, R4는 내피직물(A)의 염색/가공후 경사방향 수축율과 외피직물(B)의 염색/가공후 위사방향 수축율의 평균값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직물(C)은 위사인 충진용 원사(1)가 경사(2)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엮여져 있는 2개 이상의 층(C1, C2, C3, C4)들이 다중직 조직으로 일체로 제직된 다층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직물형 패딩원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직물(A), 외피직물(B) 및 충진직물(C)들은 자카드로 형성되는 누빔라인(3)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직물형 패딩원단.
KR1020180162878A 2018-12-17 2018-12-17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직물형 패딩원단 KR102100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878A KR102100136B1 (ko) 2018-12-17 2018-12-17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직물형 패딩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878A KR102100136B1 (ko) 2018-12-17 2018-12-17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직물형 패딩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136B1 true KR102100136B1 (ko) 2020-04-13

Family

ID=70224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878A KR102100136B1 (ko) 2018-12-17 2018-12-17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직물형 패딩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1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282B1 (ko) * 2000-08-24 2003-06-25 백우진 패딩주름의류 및 패딩주름원단의 제조방법
KR20030087237A (ko) * 2002-05-08 2003-11-14 주식회사 코오롱 형태안정성 및 스웨드 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제조방법
KR20170130929A (ko) * 2016-05-20 2017-11-29 원창머티리얼 주식회사 복합 기능성 다중직 직물의 제조방법
KR101900769B1 (ko) * 2017-05-24 2018-09-20 정성제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재귀반사원단의 제조방법
KR20180110545A (ko) * 2017-03-29 2018-10-10 지유코리아 주식회사 발열기능을 갖는 기능성 삼중직원단
KR20180112229A (ko) * 2017-04-03 2018-10-12 강수진 3중 패딩원단 및 그 패딩원단의 직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282B1 (ko) * 2000-08-24 2003-06-25 백우진 패딩주름의류 및 패딩주름원단의 제조방법
KR20030087237A (ko) * 2002-05-08 2003-11-14 주식회사 코오롱 형태안정성 및 스웨드 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제조방법
KR20170130929A (ko) * 2016-05-20 2017-11-29 원창머티리얼 주식회사 복합 기능성 다중직 직물의 제조방법
KR20180110545A (ko) * 2017-03-29 2018-10-10 지유코리아 주식회사 발열기능을 갖는 기능성 삼중직원단
KR20180112229A (ko) * 2017-04-03 2018-10-12 강수진 3중 패딩원단 및 그 패딩원단의 직조방법
KR101900769B1 (ko) * 2017-05-24 2018-09-20 정성제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재귀반사원단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07545A (en) Double faced knit fabric and method
CN101410039B (zh) 用于粘弹性泡沫床垫的罩
US3145132A (en) Woven stretchable fabrics
US3965943A (en) Narrow elastic fabric for use as waistband in articles of apparel
US8193105B2 (en) Allergen barrier fabric
US3788365A (en) Narrow elastic fabric for use as waistband in articles of apparel
JPWO2016125838A1 (ja) 薄地軽量織物
CN106987990A (zh) 一种弹性保暖提花面料的织造方法
US4135025A (en) Fabric web for production of reinforcing inserts for garments
CN102268762B (zh) 羽毛的钻出防止结构
KR102100136B1 (ko)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직물형 패딩원단
US3813698A (en) Trousers having narrow elastic fabric waistband
KR101874737B1 (ko) 고수축사와 저수축사를 경사로 한 중공주름직물
CN212827262U (zh) 丙纶保暖针织面料
KR20010041106A (ko) 의복 또는 의류 제품 보강용 텍스타일 지지체, 그의 제조방법 및 용도
US3227511A (en) Methods of forming woven stretchable fabrics
KR102100138B1 (ko) 제직성 및 볼륨감이 우수한 직물형 패딩원단용 충진섬유
KR101772435B1 (ko) 경편직물과 이의 제조방법
CN213507400U (zh) 多层织物
CN216733307U (zh) 一种防起球的竹浆纤维梭织面料
KR102138115B1 (ko) 볼륨감 및 권축회복력이 우수한 직물형 패딩원단용 충진섬유
US3831200A (en) Technique for eliminating pilling in shirt collars
JP7467322B2 (ja) 高ストレッチ織物
CN219709721U (zh) 一种多层起伏高低层高空气层三明治提花面料
CN217597987U (zh) 一种耐磨化纤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